KR20010031239A -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239A
KR20010031239A KR1020007004201A KR20007004201A KR20010031239A KR 20010031239 A KR20010031239 A KR 20010031239A KR 1020007004201 A KR1020007004201 A KR 1020007004201A KR 20007004201 A KR20007004201 A KR 20007004201A KR 20010031239 A KR20010031239 A KR 20010031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cargo
train
pallet
trans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이빈드티이.이벌슨
Original Assignee
비얀 오우. 핸슨
티티에스 핸들링 시스템즈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얀 오우. 핸슨, 티티에스 핸들링 시스템즈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비얀 오우. 핸슨
Publication of KR2001003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2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9Transporter fram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테이너(5)와 같은, 다량의 화물 유니트를 운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 및 방법은, 규격화된 각 팔레트(4a, 4b...4n)를 위한 각각의 화물트롤리(1a, 1b...1n)와, 이에 대응되게 각 화물 유니트(5)를 위한 규격화된 팔레트로 구성되어, 유사한 규격화된 팔레트 트레인과 동일한 다수의 유사한 트롤리 트레인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트롤리 트레인은 자동 락킹수단 및 고정수단과 함께, 상기 트롤리가 커브나 경사면을 주행할 수 있는 수단이 추가로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load units}
미국 특허번호 5,618,148에는, 다량 유니트(larger units)의 운반에 관한 장치 및 방법으로, 특히 콘테이너의 적하(loading) 및 양하(unloading)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 및 방법은, 특히 신속하며 효율적인 적하 및 양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고속 콘테이너 선박과 관련되어 적용된 것이다.
본 발명은 미국 특허번호 5,618,148에 개시되어 있는 시스템을 보다 발전시킨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적하 및 양하 시스템을 보다 빠르고, 자동적으로 처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영국 특허출원 2,291,032(Sorensen/Thorny Croft Guilds & Co. Inc.)에서는, 화물을 수송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다수의 운반기기들은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트레인(train)과 같이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래 기술의 트레인은 그 길이가 적하될 선박의 화물 갑판 상의 선택된 위치의 유효길이와 대체적으로 같게 된다.
그러나, 상기 GB2,291,032에 기술하고 있는 내용에 의하면, 운반장치들은 각 운반장치들의 각 코너에 가스지지수단이 배열되게 구성이 된다. 상기 가스지지수단은 처음으로 어떠한 전동레일과도 별개로 구성된다. 그러나, 비록 이와 같은 가스지지장치가 임의 전동레일과도 독립되어 있으나, UK2,291,032에 의한 장치에서는, 당해 운반선에 진입시에는 운반장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기 위하여 가이드레일에 종속되게 된다. 특히, 운반장치 트레인을 위한 견인력은 거대한 기관차에 의해 제공되며, 반대로 상기 기관차는 트레인이 운반되기 위한 표면에 대해 마찰접촉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한편, 가스지지수단은 평탄한 기초를 요구하게 되나, 이는 상당히 기초를 제공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것으로, 특히 외항(outdoors port)에서 그러하다.
〈발명의 목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US5,618,148에 따른 시스템을 개량한 것으로, 새롭고 효과적인 형태의 개선된 시스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UK2,291,032에 개시된 장치를 제한하고 있는 단점들을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레일을 갑판 위에서 사용할 수가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레일은 해변 위의 연관된 레일들과 통해 있으며, 특수한 운반 트롤리는 지상에서 유지되는 동안 항만 설비의 부분이 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롤리 트레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트롤리 트레인은, 트롤리 트레인을 해당하는 팔레트(pallet) 트레인의 하측에 임의 방향으로 운전하기 위하여, 당해 팔레트 또는 팔레트 화물의 아래를 쉽게 통과할 수 있는 동력트롤리가 포함하며, 또한 각각의 승강설비와 구동설비를 갖는 트롤리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롤리 자체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는 독특한 로킹(locking) 시스템을 제공하여, 자동화를 높임에 따라 시스템을 무인화하기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이며 또한 커브의 레일을 따라 구동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화물 트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상술한 목적들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및 방법으로 달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제1항 과 제2항으로 특징되어 정의된 아이디어와 해결책으로 각각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과 장점은 아래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되어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제1항의 서문에 제시된 유형의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제12항의 서문에 제시된 장치와 관련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1실시예의 전체적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이 달성될 수가 있다.
도 2는 갑판에서 이용 가능한 로킹 시스템의 사시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지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로서, 위치설정 스터드의 한 실시예의 세부항목을 보여주는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 트롤리의 한 가지 실시예의 정지상태를 보여주는 끝 단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한 끝 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나, 운반 트롤리의 상기 실시예의 구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과 비교될 수 있는 것으로 운반 트롤리 트레인만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트롤리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고 있으며 특히 엔드트롤리(end trolley)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송 트롤리의 한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어 및 전동 세부항목과, 또한 동력트롤리의 한 가지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엔드트롤리의 확대된 도면으로서, 이에 포함되는 래싱(lashing) 제어시스템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엔드트롤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엔드트롤리에 포함되는 래싱 제어시스템의 세부항목을 보여주는 확대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엔드트롤리의 끝 단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여기서는 상승된 상태의 팔레트를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도 10과 유사하게 끝 단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잠김 위치에서 하강된 상태에 팔레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부분 절개된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래싱 시스템의 세부항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운반 트롤리의 제어 및 구동수단의 도식적인 평면도로서, 도 7과 유사하지만 방사빔(radial beam) 조정이 포함된 한 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개량된 적하 및 양하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특히 고속 콘테이너선에 관한 것이다.
본 CP트레인(콘테이너 플랫폼 트레인; container platform train) 시스템은 45' 까지의 콘테이너, 보디(body) 교환, 트레일러, 팔레트, 슬립시트(slip sheets) 및 대형화물에 대하여 신속하며 신뢰할 수 있는 적하 및 양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CP트레인 시스템은
a) 선박의 작업공정 시간을 줄이며,
b) 화물작업 비용을 줄이며,
c)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으며,
d)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각종 수송기관을 통합한 수송을 제공하며,
e) 부두에서 화물의 작업시간을 줄이며,
f) 화물 및 설비가 손상되는 것을 감소시키며,
g) 현재 로지스틱스(logistics) 산업의 전자자료교환(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요건에 적합한 시스템을 제공하며,
h) 부두의 노동 요건을 줄일 수가 있게 한 것이다.
CP트레인은 선박의 적하/양하를 레일/도로로 적하 및 전달하는 것을 연결시키는 각종 수송기관을 통합하는 부두운영을 위한 것이다. 본 시스템은 선박으로부터 또는 선박으로 단위화돤 화물을 적하하고 양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화물 갑판과 부두사이에 높이의 차이를 위하여 제공되는 링크스팬(link-span) 또는 경사면을 사용하여 선미 도어를 이용하게 된다.
부두는 선정된 위치의 특별한 운영 요건을 맞추기 위하여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배열될 수가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동력장치가 구비된 다수의 트롤리(1a, 1b...1n)로 구성될 수가 있으며, 상기 트롤리들은,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인을 구성하기 위한 연결프레임(2a, 2b...2m)에 의하여 연결되게 구성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동력트롤리에 의하여 각각의 트롤리(1a, 1b...1n)에 전원을 공급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동력트롤리(3)에 의해 공급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된 세부사항들로 구성된다.
동력트롤리 또는 트롤리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트레인은 바람직하게는 특별하게 설계된 적재 운반트롤리 또는 화물 플랫폼의 아래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상기 적재 운반플랫폼 또는 화물 플랫폼은 여기서 화물 팔레트(4a, 4b...4n)로 도시되어 있으며, 트롤리 트레인에 대응되게 하나의 트레인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화물 팔레트의 트레인에는 화물 유니트(5a, 5b...5n)가 미리 적재되어 있는 상태로 선적된 팔레트 또는 플랫폼은 선박으로부터 운반하거나, 선박으로 운반하기 위한 준비가 된 상태의 트레인으로 배열하기 전에 승강할 수가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각 트롤리의 수압시스템(1a)은 각 트롤리에 설치된 제동시스템, 클리팅(cleating) 시스템, 승강 시스템의 전원을 제공할 뿐만이 아니라, 바퀴(6a-6d)의 견인력을 제공하게 된다.
선상에서 화물이 적재된 플렛폼의 열은,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이, 선박 중심선에 평행한 레인(lane)에 설치될 수 있다.
적하 및 양하 작업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박이 도착하기 전에 수출화물은 플랫폼(4a, 4b, 4n)에 고정되어, 선박의 제시된 적재장소에 일치하는 형태로 있게 된다.
작업은 선상에 첫 번째 두 개의 플랫폼 레인을 제거하면서 시작된다. 트롤리의 빈 트레인은 플렛폼 열의 아래로 진행하며, 고정장치가 해제되면서 자동적으로 올바른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는 도 8 내지 도 12을 참고로 보다 상세한 설명될 것이다.
플랫폼(4a, 4b...4n) 트레인에 대응하는 아래에 트롤리(1a, 1b...1n)의 위치설정을 돕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와 같이, 보다 상세하게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각 플랫폼(4a)의 아래에 대응하는 홀(51) 안으로 고정하기 위한 각 트롤리의 상측에 가이드핀(50)을 배열할 수가 있다. 다음에, 트롤리 트레인에 각 화물 트롤리는 갑판으로부터 각 플랫폼을 승강하여 당해 부두에 미리 지정된 위치에 일렬의 전철기(switch)들을 통하여 플랫폼 트레인을 나르게 된다. 부두에서 플랫폼은 위치설정핀 또는 스터드의 상측에 놓이게 되며, 도 3에 도면부호 7a 및 7b의 예로서 도시된 것과 같다. 그 다음으로, 빈 CT-트레인은 당해 빈 트롤리 트레인에 해당하는 미리 적재된 플렛폼의 다른 트레인과 같이 배열된 수출 화물을 픽업하기 위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입 트레인이 전철기들을 지나게 되면, 대기하고 있는 트레인은 상기 선박에 빈 레인으로 수출 화물을 이동시키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랫폼은 선박 갑판에 배열된 위치설정 스탠드(8a, 8b)에 놓이게 된다. 빈 CP-트레인이 제거됨과 동시에, 위치한 팔레트 트레인은 자동적으로 상기 위치설정 스탠드에 고정되게 되며, 이는 도 8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적하/양하 작업은 선박의 적하/양하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되게 된다.
지상에 플랫폼을 보다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60-80㎜ 높이의 원뿔형의 스터드(7a, 7b)를 부두 트랙을 따라 적절히 위치하여 사용될 수가 있다. 상기 스터드(7a, 7b)는 상기 플랫폼이 놓이게 되면, 플랫폼 지지부(9)에 해당 홀 안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배열되게 된다. 유사한 스터드가 화물 갑판 위에 보오드에 레인를 따라 삽입될 수가 있다.
상기 운반 트롤리와 동력트롤리와 연결되게 구성된 CP-트레인이 다른 지상 작업을 위하여 부두로 복귀하더라도 트레인 또는 플랫폼 트레인은 화물과 같이 보오드상에 남아 있게 된다.
상기 CP-트레인 시스템은 빠른 부두 처리능력을 제공하며, 화물 운반시간을 단축하여 비용의 절감을 위한 것이다. 화물은 플랫폼으로부터 직접 도로나 레일 섀시로 옮기게 된다. 상기 시스템은 한 선박으로부터 다른 선박으로 플랫폼 트레인을 직접 옮기기 위한 것이다.
CP-트레인은 부두를 통한 화물의 효율적인 흐름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열된 궤도 트랙에서 적절히 운영될 수가 있다. 본 시스템은 자동화된 게이트 또는 반자동화 게이트 및 화물 예약 시스템이 구비된 종래의 로지스틱스(logistics) 작동 시스템 상태와 일관된 데이터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될 수가 있다.
CP-트레인은 전용 항구들 사이에 로지스틱스 시스템을 위한 것이다. 제어 시스템과 시스템의 화물적재 측면에 있어 관련 항구들 사이에 조정이 요구된다. 본 시스템 설계는 전용 항구의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에 종래의 로우-로우 항구(Ro-Ro port) 처리장치를 사용한 선박을 양륙하기 위한 긴급절차를 포함할 수가 있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트롤리(3)는, 본 첨부 도면 상에는 트롤리(1a)로 표시된 CP-트레인 트롤리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트롤리(1a-1b...1n)는 자동 추진식으로 견인 에너지를 갖게 된다.
동력트롤리(3)는 운전기준에 따라 수송화물을 승강할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를 출력할 수가 있으며, 운전기준에 따라 트레인을 추진시킬 수 있는 충분한 견인 에너지를 제공할 수가 있어야 한다.
또한, 동력트롤리(3)은 트레인의 제동 시스템과 안전 시스템을 관리하는 제어수단이 구성되어야 한다.
동력트롤리(3)의 최대 높이는 임의 운반 트롤리의 최대높이를 초과하여서는 안되며, 예를 들어 750㎜이하이거나 동력트롤리가 플랫폼 라인을 통과할 수가 있어야 한다.
동력트롤리는 적절히 모듈로 구성될 수가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디젤모터(12), 전동기(13), 제2디젤모터(14) 및 제2전동기(15) 등의 완전한 동력 팩과, 적절한 동력 공급케이블(17)에 고전압을 가할 수 있는 전기제어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동력트롤리는 앞뒤 일렬로 연결된 상태로 운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가 있어, 특정 트롤리 트레인의 전력공급을 만족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트레인 트롤리, 또는 운반 트롤리에는 트레인 커플링(train coupling)을 트롤리 구조의 상측에 설치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트롤리 트레인은 구조물 베이스의 프레임에 하나로 연결될 수가 있다. 상기 커플링은 바람직하게는 커브를 돌거나 경사면을 올라갈 수 있도록 2면운동이 가능한 킹핀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프랜지가 구비된 수직으로 작동하는 바퀴(6a-6d)는 트롤리와 부두 구역의 레일 사이에서 작용하게 되며, 상기 바퀴들은 바람직하게는 고품질의 롤러베어링을 사용한 트롤리 구조에 설치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트롤리에 최소한 두 개의 바퀴는 통합구성된 샤프트와 통합구성된 주차브레이크(21)를 갖는 유성기어 시스템(20)이 설치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브레이크은 수압에 의하여 해제되는 안전장치 제동시스템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각 트롤리(1a)는 폐재생회로(closed regenerative circuit)에서 동작하는 가변 모터가 구비한 통합구성된 수압시스템(22)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각 국소 수압시스템(22)는 최소한 두 개의 전기모터(23)로 전원을 공급할 수가 있으며, 반대로 상기 전기모터(23)는 전기제어시스템(24)에 연결되게 된다.
운반 트롤리는 직류/교류 궤도 전동장치가 제공되거나, 수압으로 전달되는 동력이 고려될 수가 있다.
또한, 각 트롤리(1a)는 입출력(I/O) 버스를 통하여 마스터 트롤리 또는 트롤리와 제어 테이블에 연결된 필수 센서(25a, 25b)가 제공될 수가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트롤리(1a)는 화물 프레임(31)을 승강함에 따라 콘테이너 또는 화물 유니트가 적재된 화물 팔레트(4a)를 승강할 수 있는 수압실린더(30)가 제공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플랫폼 또는 팔레트는 중량을 최적화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콘테이너를 위한 모든 플랫폼들은 표준 트위스트 락(twist lock)이 설치될 수가 있으며, 팔레트 구조는 선박 갑판구조에 콘(cone)에 대해 위치설정하며 관련 CP-트레인의 프레임에 대해 위치설정하기 위한 원뿔형태의 강철가이드가 제공될 수가 있다.
트롤리들의 연결프레임는 상기 플렛폼을 위치시키며 운반할 수 있는 개방된 강철프레임으로써 제공될 수가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트롤리 킹핀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배열된다.
도 8 내지 도 1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고유한 락킹(locking)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테이너를 위한 플랫폼들은 트위스트 락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설치되어야 한다. 도 8 내지 도 12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락킹시스템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플랫폼(4a)이 어떻게 도 10과 같이 상측에서 도 11과 같이 하측으로 위치하게 되는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고정부재(40)는 고정을 준비하기 위한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 트롤리(11a)는 플랫폼(4a)의 아래로부터 해제된다. 회복동작이 시작되면, 트롤리 락킹암(41)의 첫 번째 세트는 돌출된 플랫폼 락킹암(43)과 접촉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엔드트롤리(1n)가 각 고정장치(40)을 통과하게 되면, 연결된 플랫폼 락킹암의 각각을 회전시키는 순차적인 동작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트롤리 트레인이 부두로 복귀하게 됨에 따라 하측에 팔레트(4n...4a)를 고정하게 된다.
빈 트롤리 트레인가 플랫폼 트레인의 아래쪽으로 들어가게 되면, 트롤리 락킹암(41A)의 두 번째 세트는 당해 고정장치의 각각을 해제하게 되지만, 반대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보다 자세한 돌출된 플랫폼 락킹암(43)은 도 12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두 가지의 위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하측에 고정된 위치와 상측에 개방된 위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도 9에서도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동 고정시스템이 구비됨에 따라서, 선상에서 각각의 고정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인력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신속하며 경제적으로 물류를 운송할 수가 있게 된다.
트레인이 커브와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을 주행할 수 있도록 본 시스템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트롤리는 레디얼빔(radial beam) 조정이 제공될 수가 있다. 이는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레디얼빔 조정수단은 당해 트롤리의 두 개 샤프트(60a, 60b)가 예상되는 곡률반경에 해당되는 각도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는 바퀴의 플랜지가 커브길을 주행시 ″하나의 접촉점″이 되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사항이 된다. 이러한, 능력은 플랜지의 마찰과, 바퀴의 상승 등을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3에서 라디얼빔 조정수단은 두 개의 실린더(61a)(61b)로서 부설되어 있으며, 각각의 실린더(61a)(61b)는 두 개의 센서(25a)(25b) 중에 하나가 레일 커브의 시작점 또는 끝점을 통과할 때에 동작하게 된다.
결합은 커브길 동안에 자재륜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가 있다.
직선부에 의하여 레일을 따라 안전 ″만곡″주행을 확보하기 위해, 스티프 샤프트(stiff shaft)가 구비된 원뿔형의 바퀴가 설치될 수가 있다.

Claims (22)

  1. 다량의 운반선에 적하하고, 다음으로 상기 선박에 적하가 될때까지 다른 적하 작업을 위하여 팔레트(5)로부터 운반 트롤리(1a)를 제거하는 동안에 화물 유니트(5)가 있는 팔레트(4)가 승강되고 운반되어 최소한 하나의 지상용 운반 트롤리(1a)에 의해 하강하는 방법에 의하며, 이것에 의하여 목적 항구에서 양하 작업은, 유사한 지상용 트롤리 수단에 의해 실질적으로 반대 과정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콘테이너(5)의 예와 같은 다량의 화물 유니트를 운반하는 것으로, 특히 팔레트(4)를 이용하여 콘테이너를 적하 및 양하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팔레트(4a, 4b...4n)을 위한 규격화된 각각의 화물 트롤리와 이에 대응되게 각 화물 유니트(5)를 위한 규격화된 팔레트의 이용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화물 트롤리는 규격화된 팔레트의 유사한 트레인(4a, 4b...4n)과 대등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유사한 트롤리(1a, 1b...1n) 트레인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화된 화물 트롤리(1a, 1b...1n) 트레인은, 상호 연결되며, 또한 각 화물 트롤리에 갖추어진 개개의 구동수단 및 승강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동력유니트로 구성된 최소한 하나의 엔드 동력트롤리(3)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중심 트롤리와 같은 위치설정 감지수단이 구비된 최소한 하나의 화물 트롤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할 수 있는 레일과 적절한 공간이 있는 위치설정수단 및 락킹 고정수단이 구비된 상기 운반선의 적하 갑판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선의 적하 갑판에 갖추어진 상기 해당 위치설정 수단과 락킹 수납수단과 일치하는 고정장치가 제공되는 규격화된 화물 팔레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의 팔레트의 아래로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낮으며, 원격 조작을 위한 수단이 구비된 동력트롤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 락킹수단이 제공된 엔드트롤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해당 트롤리 트레인의 끝에 전단부가 상기 팔레트 트레인의 아래를 지나가면 팔레트 트레인의 고정장치를 복귀하고(픽업), 상기 트롤리 트레인의 끝에 후단부가 상기 팔레트 트레인의 아래를 지나가면 팔레트 트레인의 고정장치를 고정(위치설정)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곡률 센서수단이 연동되어 트롤리가 곡선 레일에 진입시 레디얼빔 조정이 되는 레디얼빔 조정수단이 구비된 각각의 트롤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으로부터 항구의 부두에 지정된 위치에 두 개의 화물 플랫폼 레인을 양하하기 위하여 동시에 두 개의 동력트롤리 트레인을 사용하며, 다음으로 대기하는 두 개의 트레인이 수출화물을 상기 선박의 빈 레인 등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트레인의 각 끝에 최소한 하나의 동력트롤리를 사용하며, 상기 동력트롤리들은 직렬식으로 연결되어 운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방법.
  12. 팔레트(4)로 구성되며, 상기 팔레트에 의하여 콘테이너 또는 적재 유니트(5)는 승강되어 다량의 운반선에 적하 및 양하하기 위하여 최소한 하나의 지상용 운반 트롤리(1a)에 의해 운반되는 것으로, 콘테이너(5)와 같은 다량의 적재 유니트를 운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규격화된 각각의 화물 트롤리들(1a, 1b...1n)로 구성되어, 상기 화물 트롤리는 각 화물 유니트(5)를 위한 규격화된 각 해당 팔레트(4a, 4b...4n)를 운반하며, 규격화된 팔레트의 유사한 트레인(4a, 4b...4n)과 대등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유사한 트롤리(1a, 1b...1n) 트레인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화된 화물 트롤리(2a, 2b...2m) 트레인은, 상기 화물 트롤리를 연결할 수 있게 구비된 연결수단(2a, 2b...2m)과, 각 화물 트롤리에 의해 운반되는 각각의 구동수단 및 승강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유니트로 구성된 동력트롤리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중심 트롤리와 같은 위치설정 감지수단이 구비된 최소한 하나의 화물 트롤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15.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롤리는, 분리할 수 있는 레일과 적절한 공간이 있는 위치설정수단 및 락킹 고정수단이 구비된 운반선의 적하 갑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16.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인은, 상기 운반선의 적하 갑판에 갖추어진 상기 해당하는 위치설정수단 및 락킹 수납수단과 대응하는 고정장치로 제공되는 규격화된 화물 팔레트 트레인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17. 제 1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력트롤리는, 그 높이가 임의 팔레트의 아래로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낮으며, 원격 조작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18. 제 12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엔드트롤리는, 자동 락킹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19. 제 12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락킹수단은, 해당 트롤리 트레인의 끝에 전단부가 상기 팔레트 트레인의 아래를 지나가면 팔레트 트레인의 고정장치를 복귀하고(픽업), 상기 트롤리 트레인의 끝에 후단부가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팔레트 트레인의 아래를 지나가면 팔레트 트레인의 고정장치를 고정(위치설정)하기에 적합한 원격 동작하는 수단으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방법.
  20. 제 12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들은, 트레인에 트롤리가 곡선 레일을 진입시 레디얼빔 조정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곡률 센서수단과 연동되는 레디얼빔 보정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21. 제 12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동력트롤리 트레인은, 상기 선박으로부터 두 개의 화물 플랫폼의 레인을 양하하기 위하여 동시에 적하 및 양하 작업에 적합하며, 두 번째 두 개의 트레인은 상기 선박에 빈 레인으로 수출화물을 이동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22. 제 12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트레인은, 상기 트롤리 트레인의 각 끝에 최소한 하나의 동력트롤리가 구성되며, 상기 동력트롤리들은 직렬식으로 연결되어 운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KR1020007004201A 1997-10-20 1998-10-01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100312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19974834A NO317637B1 (no) 1997-10-20 1997-10-20 Fremgangsmate og anordning for lasting og lossing av skip
NO19974834 1997-10-20
PCT/NO1998/000295 WO1999020553A1 (en) 1997-10-20 1998-10-01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load uni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239A true KR20010031239A (ko) 2001-04-16

Family

ID=1990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201A KR20010031239A (ko) 1997-10-20 1998-10-01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35796B1 (ko)
EP (1) EP1047621B1 (ko)
JP (1) JP2001520156A (ko)
KR (1) KR20010031239A (ko)
AU (1) AU744903B2 (ko)
DE (1) DE69828532T2 (ko)
DK (1) DK1047621T3 (ko)
ES (1) ES2236951T3 (ko)
NO (1) NO317637B1 (ko)
WO (1) WO1999020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4082B2 (en) 2005-07-27 2009-05-19 The Boeing Company Cargo container handl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20090241797A1 (en) * 2008-03-30 2009-10-01 Flavio Costa Ecological Goods Logistics System
US8294285B2 (en) * 2008-08-14 2012-10-23 F3 & I2, Llc Power packaging with railcars
US7608934B1 (en) * 2008-08-14 2009-10-27 F3 & I2, Llc Power packaging with railcars
KR20110069445A (ko) * 2009-12-17 2011-06-23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
NO332033B1 (no) 2010-07-12 2012-05-29 Polotec As System for handtering av last
CN102730158B (zh) * 2011-03-31 2015-12-16 上海船舶研究设计院 一种船舶码头集装箱装卸系统
WO2015119993A1 (en) * 2014-02-04 2015-08-13 The Skydyne Company Schock isolation system
DE102017201973A1 (de) * 2017-02-08 2018-08-09 Ford Motor Company Verfahren zum Transport von Lasten, Lastenschienenfahrzeug und Lastenterminal
CN108327856A (zh) * 2018-02-01 2018-07-27 芜湖市皖南造船有限公司 一种安装在甲板上的运输装置
CN112960067B (zh) * 2021-01-29 2022-04-12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分段配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29261A (ko) * 1967-06-12 1971-04-21
US3543952A (en) * 1968-03-29 1970-12-01 Kaiser Ind Corp Container handling and storage system
SE467247B (sv) * 1988-12-02 1992-06-22 Sj Godstransportdivision Affae Transportsystem
US5112172A (en) * 1990-09-12 1992-05-12 Knorr Brake Holding Corporation Sliding pull up stanchion and method
NO303933B1 (no) * 1994-02-11 1998-09-28 Tts Dr Bak As FremgangsmÕte og anlegg for transport av st°rre enheter
GB2291032A (en) * 1994-06-01 1996-01-17 Thornycroft Giles & Co Ltd Load transportation
FI972687A (fi) * 1997-06-19 1998-12-20 Teco Engineering Oy Menetelmä ja laitteisto konttien lastaamiseksi alukseen ja purkamiseksi alukses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17637B1 (no) 2004-11-29
ES2236951T3 (es) 2005-07-16
AU744903B2 (en) 2002-03-07
WO1999020553A1 (en) 1999-04-29
NO974834D0 (no) 1997-10-20
DE69828532T2 (de) 2006-05-04
JP2001520156A (ja) 2001-10-30
DK1047621T3 (da) 2005-02-14
EP1047621A1 (en) 2000-11-02
DE69828532D1 (de) 2005-02-10
AU9653498A (en) 1999-05-10
EP1047621B1 (en) 2005-01-05
NO974834L (no) 1999-04-21
US6435796B1 (en) 200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4107C2 (ru) Способ перегрузки грузов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KR100719031B1 (ko) 아이에스오 컨테이너용 선적 장치
JP5834078B2 (ja) 貨物を取り扱うシステム
US58908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ars
US3788500A (en) Automatic transfer and transport system
US1541457A (en) System of transportation
KR20010031239A (ko) 적재 유니트를 수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H08503432A (ja) 車両を輸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3428094B1 (en) Multimodal transport interworking system
US56904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ars
US6279483B1 (en) Rail/road transport
WO1983000320A1 (en) Method of removing a container from a rail truck
JPH04345431A (ja) 貨車荷役装置
CN220702316U (zh) 一种重型超长货物轮渡过江装置
CN112551180B (zh) 一种码头集疏运系统
EP0539111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plurality of cargo spaces
SE467247B (sv) Transportsystem
SE446330B (sv) Apparatur for lastning och lossning av serskilt fartyg men even lagerlokaler eller andra godsupplagsplatser
CN110127400A (zh) 一种多式联运装卸设备及其装卸方法
JP3327624B2 (ja) コンテナー払い出し設備
AU740220B2 (en) Rail/road transport
CN113895974A (zh) 一种循环式集装箱水平运输系统及方法
FI82420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lastning av ett laongstraeckt stycke pao taogvagnen.
JPS6382232A (ja) 荷物移載システム
MXPA04009574A (es) Aparato para agilizar el movimiento de contenedores cargados en vagones de ferrocarril a transportes terrest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