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948A -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948A
KR20010030948A KR1020007003693A KR20007003693A KR20010030948A KR 20010030948 A KR20010030948 A KR 20010030948A KR 1020007003693 A KR1020007003693 A KR 1020007003693A KR 20007003693 A KR20007003693 A KR 20007003693A KR 20010030948 A KR20010030948 A KR 20010030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y
products
stacker
forming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저위토마스칼
에릭슨그레고리죤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1003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94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2Stacking of articles characterised by stacking during trans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65G47/0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 B65G47/08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grouping articles in r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제품(10)의 어레이(15)를 형성하는 방법은, ① 상기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격실(28)을 구비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스태커(20)를 제공하는 단계와, ② 상기 스태커(20)의 제 1 경로를 따라서 상기 다수의 제품(10)을 연속적인 형태로 운반하는 단계와, ③ 상기 제품(10)을 입구 위치에서 상기 격실(28)내로 도입하는 단계와, ④ 상기 제품을 제 1 스트립핑 방향(C)에서 상기 격실(28)내로 강제함으로써 상기 제품(10)의 제 1 어레이(15)를 제 1 스트립핑 위치(29)에서 상기 스태커(20)로부터 제거하는 단계와, ⑤ 상기 제 1 스트립핑 방향(C)에 실질적으로 대향된 방향(A)에서 상기 스태커로부터 먼 제 2 경로를 따라서 상기 제 1 어레이(15)를 운반하는 단계와, ⑥ 상기 단계 ② 내지 단계 ⑤를 다음 제품에 대해서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장치가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RRAYS OF ARTICLES FOR PACKAGING}
많은 소비재 제품은 형상이 균일하거나 대칭이 아니며, 그에 따라 이들 제품을 포장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들 제품이 적당한 방법으로 포장되지 않는다면, 패키지 강도 및 일체성이 나빠지게 될 수 있으며, 초과하는 양의 포장 재료가 필요하여 이러한 단점을 보상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결과적인 패키지는 소비자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빈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소정의 사이즈의 패키지내에 가능한한 많은 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의 사이즈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제품이 비균일한 방법으로 포장되어야 하는 최적의 포장이 종종 요구된다. 그러나, 비균일한 포장은 자동화되고 기계적인 제조/포장 공정에서 이뤄지게 하기는 어렵다.
특이한 포장 단점을 갖고 있는 비대칭 제품의 특히 전형적인 예로는 기저귀, 성인용 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및 팬티라이너가 있다. 유사한 배출 영역 근방에 위치되는 부가적인 흡수성 재료로 인해서 제품의 가랑이 부분이 웨이스트 영역보다 두께가 두꺼울 수 있어서, 이들 제품은 특히 기저귀 및 성인용 실금 패드는 종종 윤곽을 형성한다. 각 기저귀 또는 패드는 외부 패키지내로 삽입되기 전에 통상 반으로 접혀있기 때문에, 이러한 두께의 차이는 기저귀 또는 실금 패드가 포장되는 경우에 더욱 심해진다. 또한, 기저귀 또는 패드가 패키지내로 삽입되기 전에 통상 압축되어 있으며, 이들 제품의 프로파일에 의해 야기되는 압축성의 차이는 추가적인 포장의 어려움을 야기시킬 수 있다.
제품이 컨베이어 시스템을 따라 잇따라서 제조 영역에 잔류하도록 기저귀, 성인용 실금 패드 및 이와 유사한 제품은 연속적인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기저귀 및 성인용 실금 패드의 경우에 있어서, 이들 제품은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가동 운반 장치상의 평면에 놓여 있는 제조 영역에 통상 잔류한다. 다음에, 기저귀 또는 패드는 반으로 접혀진 다음 직립 위치로 회전된다. 이러한 직립 위치에 있어서, 기저귀 또는 패드는 접혀진 노즈 부분(이후에는 기부 단부라고 함)이 선도하여 연속적으로 운반된다. 다음에, 기저귀 또는 패드는 포장을 위해서 소정 개수의 기저귀 또는 패드를 어레이(또는 스택)로 모으는 어레이 형성 장치로 놓여진다. 스태커(stacker) 또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라고 하는 이러한 어레이 형성 장치는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기저귀 또는 패드를 포함하는 어레이(또는 스택)내로 컨베이어 시스템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전진하는 일련의 제품으로 전환시킨다. 다음에, 제품 어레이는 다른 포장 단계로 전진할 수 있다. 예시적인 포장 장치는 미국 특허 제 3,954,165 호, 제 4,325,475 호 및 제 5,474,168 호에 개시되어 있다.
스태커를 잔류시키는 어레이의 배향에 따라서, 포장하기 전에 기저귀 또는 패드의 어레이를 회전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스태커를 회전시키는 것은 통상적으로 회전 드럼과 같은 적층 회전 장치를 이용하여 성취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고가이며, 포장 공정에 부가적인 단계를 추가시키며, 제조 설비의 소중한 바닥 공간을 소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어레이 회전 장치의 필요성을 제거하며, 제품의 어레이를 노즈 전방(즉, 기단 단부 전방) 및/또는 테일 전방(즉, 말단 단부 전방) 배향으로 중지없이 포장 기구로 직접 운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어레이가 기단 또는 말단 단부 전방 배향으로 포장 기구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연속적인 포장을 위해 제품의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드럼 또는 다른 어레이 회전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어레이가 기단 또는 말단 단부 전방 배향으로 포장 기구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연속적인 포장을 위해 제품의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품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격실을 구비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스태커를 제공하는 단계와,
ⓑ 다수의 제품을 연속적인 형태로 상기 스태커로 제 1 경로를 따라 운반하는 단계와,
ⓒ 입구 위치에서 격실내로 제품을 도입하는 단계와,
ⓓ 제 1 스트립핑 위치에서 격실로부터 제품을 강제함으로써 제 1 스트립핑 위치에서 스태커로부터 제품의 제 1 어레이를 제거하는 단계와,
ⓔ 제 1 스트립핑 방향에 실질적으로 배향된 방향에서 스태커로부터 제 2 경로를 따라 제 1 어레이를 운반하는 단계와,
ⓕ 다음 제품에 대해서 상기 단계 ⓑ 내지 단계 ⓔ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태커는 예를 들면 체인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핑거와, 스프로켓의 회전에 의해 체인이 그 위에서 이동되는 다수의 스프로켓을 구비하는 폐쇄된 루프 체인을 포함한다. 제품이 도입되는 격실은 인접한 핑거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며, 또 스태커가 그 위에서 회전하는 평면 지지 표면에 의해 선택적으로 둘러싸여져 있을 수 있다.
어레이는 스태커로부터 스트립퍼 바아에 의해서 어레이 지지체(예를 들면 배출 플랫폼)상으로 강제되며, 다음에, 각 어레이는 스태커의 이동 평면과는 상이한 평면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후에, 어레이는 어레이 지지체로부터 제거되며, 제 1 스트립핑 방향과 실질적으로 대향된 방향에서 스태커로부터 제 2 경로를 따라 운반된다. 스트립핑 방향이 스트립퍼로부터의 운반 방향과 대향되기 때문에, 제품은 이들이 스태커의 격실내로 우선 배치되는 경우와 동일한 배향으로 잔류할 것이다. 예를 들면, 어레이의 노즈 부분(또는 기단 단부)은 제품이 스태커에 존재할 때 선단이며, 스태커에 잔류하는 제품의 어레이는 이러한 동일한 기단 단부 전방 배향을 갖게 될 것이다.
교호하는 배향을 갖는 제품 어레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 격실로부터의 제품을 제 2 방향에서 강제함으로서 제 2 스트립핑 위치에서 스태커로부터 제품의 제 2 어레이를 제거하는 단계와,
ⓑ 격실의 회전 평면과 상이한 평면으로 제품의 제 2 어레이를 이동하는 단계와,
ⓒ 제 2 스트립핑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스태커로부터 제 2 경로를 따라 제 2 어레이를 운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어레이의 제품은 제 1 어레이의 제 1 배향과 실질적으로 대향된 배향으로 제 2 경로를 따라 운반되는, 상기 제 2 어레이 운반 단계와,
ⓓ 다음 제품을 위해서 단계 ⓐ 내지 단계 ⓒ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그 결과 제 1 및 제 2 어레이는 교호하는 형태로 제 2 경로를 따라서 운반되며, 이에 의해 다음 포장 작동으로 교호하는 배향을 가진 제품의 어레이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스태커의 격실로부터의 제품을 강제하는 단계는 격실로부터 멀리 그리고 스태커가 그 둘레를 이동하는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로부터 어레이 지지체상으로 멀리 외측으로 제품을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스트립퍼는 폐쇄된 루프의 내부에 통상 위치되며, 제품을 스태커로부터 강제시키기 위해서 폐쇄된 루프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멀리 이동한다. 제품은 예를 들면 기저귀, 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및 팬티라이너를 포함한다.
상술한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는 또한,
ⓐ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격실을 구비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 경로를 따라 전진가능한 연속적인 스태커와,
ⓑ 제 1 경로를 따라서 격실내로 다수의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제 1 컨베이어와,
ⓒ 제 1 어레이 지지체와,
ⓓ 제 1 스트립핑 방향에서 격실로부터 어레이 지지체상으로 제품의 어레이를 강제하도록 구성된 제 1 스트립퍼와,
ⓔ 제 1 스트립핑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향된 운반 방향에서 어레이 지지체로부터 제품의 어레이를 운반하기 위한 제 2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제 2 스트립핑 방향에서 격실로부터 제 2 어레이 지지체상으로 제품의 어레이를 강제하도록 구성된 제 2 어레이 지지체 및 제 2 스트립퍼가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제 2 스트립 방향은 운반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어레이 지지체(또는 배출 플랫폼이라고 함)는 제 2 컨베이어에 의해 어레이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 2 컨베이어의 이동 평면쪽으로 스태커의 이동 평면 사이에서 이동가능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연속적인 포장을 위해 제품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장치를 빠져나가는 각 어레이가 2개 배향중 한 배향(즉, 노즈 전방 또는 테일 전방)으로 될 수 있는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특히 지적하고 구별되게 청구하는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하지만,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 설명으로부터 이러한 것들은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어레이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어레이 형성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어레이 형성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장치로 형성된 기저귀의 2개 어레이를 포함하는 기저귀의 백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장치로 형성된 기저귀의 2개 어레이를 포함하는 기저귀의 백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7은 도 3의 장치로 형성된 기저귀의 2개 어레이를 포함하는 기저귀의 백의 또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본 발명은 특히 포장하기 전의 기저귀, 성인용 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및 팬티라이너의 어레이를 형성하기에 적합하지만,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모든 다양한 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역이 단지 이들 제품에 대한 장치 및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명료함을 위해 예시적인 제품으로서 기저귀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연속적인 포장을 위해 제품(예를 들면, 기저귀)의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장치 및 방법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0)는 반으로 접혀지고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위치로 회전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기저귀(10)는 기단 또는 노즈 부분(11) 및 말단 또는 테일 부분(12)을 구비한다. 기저귀(10)는 화살표(D)의 방향에서 본 발명의 장치쪽으로 운반되며, 다수의 개별 기저귀는 동일한 방법으로 기저귀(10)를 순차적으로 따라간다. 기저귀는 제조 영역으로부터 컨베이어 벨트 등과 같은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공지된 다양한 장치에 의해 본 발명의 장치로 운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공급 장치는 미국 특허 제 4,325,475 호의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스태커 또는 어큐물레이터라고 하는 어레이 형성 장치(20)가 제공된다. 스태커(20)는 회전하는 체인(26)에 고정된 다수의 핑거(또는 패들)를 포함한다. 체인(26)은 다수의 회전하는 스프로켓(22, 23, 24) 둘레로 연장된다. 이들 스프로켓중 하나 이상은 어레이 형성 장치의 정밀한 제어를 위해서 통상 서보 모터인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핑거(21)는 평면 지지 표면(도시하지 않음)의 정상 또는 바로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으며, 전체 스태커(20)[핑거(21) 및 체인(26)을 포함함]는 폐쇄된 루프 형태로 이동한다.
도 1의 장치에서 각각의 핑거(21) 사이의 영역은 격실(28)을 규정하며, 상기 격실(28)내로 기저귀(10)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격실(28)은 인접한 핑거(21)의 측벽과, 핑거(21)가 그 위에서 이동하는 평면 표면에 의해 규정된다. 스태커(20)가 수평 평면에서 회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는 스태커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후자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평 평면 지지 표면은 필요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격실(28)은 인접한 핑거(21) 사이의 영역으로만 규정된다. 기저귀(10)는 화살표(D)의 방향으로 기저귀(10)를 전진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또는 다른 운반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격실(28)내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저귀는 체인(26)이 공급 스프로켓(24)(입구 위치)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지점에 인접한 격실(28)내로 공급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26)이 스프로켓(24)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핑거(21)는 서로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분산되며, 이에 의해 기저귀(10)가 보다 쉽게 그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격실(28)을 개방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체인(26)이 스프로켓(24)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핑거(21)가 분산되는 것은 스프로켓(24)의 직경이 감소할 때 향상된다.
일단 기저귀가 입구 위치에서 인접한 핑거(21) 사이의 격실(28)내로 배치되면, 배치된 기저귀는 체인 및 핑거가 전진될 때 그 격실내로 이동될 것이다. 다음 기저귀가 유사한 방법으로 인접한 핑거 사이에 형성된 격실내로 위치되어서, 다수의 기저귀는 연속적인 형태로 격실내로 배치된다. 이들 기저귀가 스프로켓(22) 둘레로 이동할 때, 인접한 핑거(21) 사이에 위치된 다수의 기저귀는 스트립핑 위치(29)에 도달할 것이다. 여기에서, 가동 스트립퍼 바아(27)가 화살표(D)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인접한 핑거 사이로부터 배출 플랫폼 또는 어레이 지지체(25)상으로 기저귀를 강제시킬 것이다. 각 기저귀의 노즈 부분이 핑거(21)의 높이 이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스트립퍼 바아(27)는 핑거(21)의 높이보다 약간 높게 위치되어서, 스트립퍼 바아(27)가 화살표(B) 방향으로 강제될 때 격실(28)로부터의 기저귀를 스트립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모든 기저귀 어레이(15)가 형성된다. 다음에, 어레이(15)는 스태커(20)로부터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에서 다음 포장 단계쪽으로 운반된다. 도면에서는 본래 단순히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한 핑거(21) 사이의 공간은 명료함을 위해서 증가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의 장치에 있어서, 스트립퍼 바아(27)가 걸쳐있는 격실(28)의 개수는 분명하게 각 어레이(15)를 포함하는 기저귀의 개수에 대응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퍼 바아(27)는 스태커(20)에 의해 이동된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내에 위치되어 있다.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라는 것은 위에서 볼 때(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루프의 내부를 말하며, 스트립퍼 바아(27)는 스트립퍼(20)의 이동 평면에 정밀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트립퍼 바아(27)는 이동 평면에서 약간 위에 위치되어 있고, 스트립퍼 바아(27)는 기저귀를 격실(28)을 벗어나게 강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핑 방향(B)은 기저귀의 어레이(15)가 스태커(20)로부터 멀리 운반되는 방향(A)에 대체로 대응한다. 그러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레이(15)의 기저귀의 배향은 각 기저귀의 노즈 섹션이 더 이상 선단이 아닌 경우에 스태커(20)에 진입하는 개별 기저귀의 배향에 반대방향(180°)이다. 포장 동안에, 어레이(15)는 중합체 백 또는 다른 용기의 개방 단부내로 본래 강제되며, 다음에 백의 개방 단부는 밀봉된다. 그러나, 각 기저귀의 테일 섹션이 도 1의 종래 기술의 장치 및 방법에서 선단이기 때문에, 기저귀는 우선 백 테일내로 배치될 것이다. 포장 공정 동안에 밀봉되는 개방 단부는 백의 바닥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소비자에 의해 통상 개방된 단부에 대향되어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기저귀의 백을 개방할 때, 각 기저귀의 테일 부분이 상부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소비자는 기저귀의 노즈 부분(또는 접힌부분)이 상부에 있어서 소비자가 개별적인 기저귀를 쉽게 식별하고 제거할 수 있는 것을 선호한다. 이러한 배향을 성취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복잡한 회전 드럼 또는 다른 회전 장치를 이용하여 각 어레이에 회전 작동을 가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복잡하고 제조 설비내에 추가적인 플로어 공간을 취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다시 한번 다수의 스프로켓 또는 드럼(22, 23, 2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체인 또는 벨트(26)에 고정된 다수의 핑거(21)를 포함하는 스태커(20)를 이용한다. 기저귀(10)는 입구 위치[도 2에서 스프로켓(24)에 인접함]에서 인접한 핑거(21)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격실(28)내로 도입된다. 다음에, 기저귀의 어레이(15)는 상술한 방법에서 스트립퍼 바아(27)에 의해 스트립핑 위치(29)에서 스태커(20)로부터 제거된다. 위에서 볼 때, 스트립퍼 바아(27)는 체인(26)에 의해 규정된 폐쇄된 루프의 내부내에 위치되며, 화살표(C) 방향에서 외측으로 제거된다. 따라서, 스트립퍼 바아(27)는 기저귀(10)의 어레이(15)를 격실을 벗어나고 배출 플랫폼(25)상으로 밀어낸다. 기저귀(10)의 어레이(15)는 스태커(20)로부터 다음 포장 작동 위치까지 스태커(20)로부터 화살표(A) 방향으로 운반된다. 스태커(20)로부터 멀리 어레이(15)를 운반하는 것은 도 4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성취될 수 있거나,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다양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의 기저귀(10)의 어레이(15)는 기저귀가 노즈 전방 배향에서 스트립퍼로부터 운반되는 도 1의 어레이와는 상이하다. 이것은 스트립핑 방향(C)이 어레이 운반 방향(A)에 180° 대향되는 사실의 결과이다. 종래 기술의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기저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효과적인 제품 유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트립된다. 대향 방향으로 스트립핑함으로써, 본 발명은 복잡하고 고가의 어레이 회전 장치의 필요성을 제거하는데, 그 이유는 기저귀의 어레이가 노즈 선단 배향에서 포장 장치로 운반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어레이 회전 장치는 회전 공정 동안에 기저귀를 손상시킬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체인(26)에 의해 폐쇄된 루프 형태로 회전하는 다수의 핑거(21)를 포함하는 유사한 스태커(20)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기저귀 공급 메카니즘은 명료함을 위해 도시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장치는 본 기술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다. 또한, 체인(26)의 개별 링크 뿐만 아니라 스프로켓(22, 23, 24)의 대응하는 개별 치형부는 또는 명료함을 위해 생략하였다. 그러나, 체인(26)은 핑거(21)가 고정되는 벨트 또는 다른 회전가능한 폐쇄된 루프 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가 체인(26)으로 대체되는 경우, 개별 스프로켓은 회전하는 드럼을 포함하며, 벨트는 상기 드럼을 중심으로 인장되어 있다. 또한, 핑거(21)는 단순히 일 예시 실시예로 도시된 것이며, 많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핑거 사이에 격실(28)이 제공되도록 구성된 핑거(21)만이 필요하다. 각각의 격실(28)은 핑거(21)에 의해 각 측면상에 그리고 핑거(21)가 그 위에서 이동하는 평면 표면(33)에 의해 그 기부에 접착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핑거(21)는 바람직하게 체인, 벨트 또는 다른 구동 메카니즘에 의해 평면 형태로 폐쇄된 루프에서 전진될 수 있는 개별 카세트 또는 다양한 다른 형태의 격실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한쌍의 가동 스트립퍼 바아(27a, 27b)가 제공된다. 또한, 한쌍의 대응하는 배출 플랫폼(25a, 25b)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트립퍼 바아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다시 한번 기저귀는 인접한 핑거(21)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는 격실(28)내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기저귀는 한쌍의 대면하고 평행한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격실(28)내로 도입될 수 있으며, 기저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서 이동한다. 컨베이어 벨트는 연속적인 형태로 스태커로 기저귀를 운반하고, 각 기저귀는 노즈-제 1 방법으로 그 격실(28)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된 기저귀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 1 스트립핑 위치(29a)로 핑거(21) 및 체인(26)과 함께 이동한다. 기저귀가 스트립핑 위치(29a)를 통해 이동할 때, 제 1 스트립퍼 바아(27a)는 제 1 스트립핑 방향(B)에서 스태커(20)로부터 제 1 어레이(15a)를 선택적으로 강제한다. 따라서, 제 1 어레이(15a)는 상술한 방법에서 제 1 배출 플랫폼(25a)상에 배치된다.
제 1 스트립퍼 바아(27a)는 기저귀의 일부분만이 그들 각 격실로부터 제거되고 그리고 나머지는 제 1 스트립핑 위치(29a)를 지나서 격실(28)로 계속 이동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이들 기저귀는 이들이 제 2 스트립핑 위치(29b)에 도달할 때까지 스프로켓(23) 둘레에서 핑거(21) 및 체인(26)과 함께 이동할 것이다. 제 2 스트립핑 위치(29b)에서, 제 2 스트립퍼 바아(27b)는 제 2 스트립핑 방향(C)에서 스태커(20)로부터 기저귀의 제 2 어레이(15b)를 강제한다. 따라서, 제 2 어레이(15b)의 기저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배출 플랫폼(25b)상에 배치된다.
기저귀의 어레이를 스태커(20)로부터 멀리 운반하기 위해서는 기저귀를 스태커(20)의 평면을 벗어나도록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배출 플랫폼(25a, 25b)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표면(33)으로부터 상방으로 멀리 이동될 것이다. 또한, 배출 플랫폼은 후방 벽(37) 및 한쌍의 측벽(38)을 포함하는 배출 프레임에서 각각 둘러싸여 있다. 후방 벽(37)은 백스톱으로서 작용하며, 기저귀는 스트립퍼 바아(27)에 의해 상기 백스톱을 향해 강제되며, 이에 의해 기저귀 어레이가 배출 플랫폼상으로 적절하게 배치되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측벽(38) 및 후방 벽(37)은 서로 결합되어서 플랫폼이 상방으로 이동될 때 기저귀 어레이(15)를 배출 플랫폼(25)상에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이동 동안에는 기저귀 어레이(15)가 낙하되지 않는다.
기저귀의 어레이를 연속적인 포장 단계로 운반하기 위해서, 분할된 운반 장치(15)가 스태커(20)의 평면상에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분할된 운반 장치(15)는 스태커(20) 아래의 평면에 제공되며, 배출 플랫폼은 운반 장치에 기저귀 어레이가 존재하도록 하방으로 이동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분할된 운반 장치(35)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판 컨베이어(40, 41)를 포함한다. 각기 기저귀의 어레이(15a, 15b)가 그 위에 위치된 배출 플랫폼(25a, 25b)은 어레이가 판 컨베이어에 의해 어레이의 한쪽 측면상에 파지될 때 상방으로 상승된다. 이러한 기술은 본 기술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각 판 컨베이어(40, 41)는 컨베이어가 도시된 방향에서 전진할 때 조정 작용을 제공하여 플랫폼으로부터의 어레이 제거를 용이하게 해야 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조정 작용은 판의 외측 표면을 테이퍼지게 함으로써 제공되며, 컨베이어(40, 41)의 한쌍의 대향 판 사이의 거리는 각 컨베이어의 바닥 부분[스태커(20)에 가장 근접한 부분]에서 그리고 각 판 컨베이어의 상부 부분에서 가장 크다. 이러한 방법에서, 배출 플랫폼(25a, 25b)은 기저귀의 각 어레이를 판 컨베이어(40, 41) 사이의 영역내로 배향하며, 대향 판 사이의 거리의 테이퍼 성질로 인해서 이와 함께 이동하는 판 컨베이어(40, 4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각 어레이를 상방으로 더 배향하는 작용을 할 것이다.
양 제 1 및 제 2 어레이(15a, 15b)는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교호하는 배열로 동일하게 분할된 운반 장치(35)내로 배치된다. 따라서, 기저귀(10)의 제 2 어레이(15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관계로 분할된 운반 장치(35)를 따라 운반된다. 다음에, 기저귀(10)의 제 1 어레이(15a)는 인접한 제 2 어레이(15b) 사이의 분할된 운반 장치(35)내로 위치된다. 이러한 형태에서, 다수의 기저귀 어레이는 교호하는 형태로 포장 조작을 위해 운반될 것이다. 환언하면, 기저귀의 어레이는 노즈 선단 및 노즈 후연 배향 사이에서 교호한다. 물론, 분할된 운반 장치(35)는 배출 플랫폼으로부터 기저귀 어레이를 멀리 운반하기 위한 단지 예시적인 하나의 컨베이어이며, 당 업자에게 공지된 모든 다양한 컨베이어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장치는 제 1 배출 플랫폼(25a)을 이용하는 제 1 스트립핑 위치(29a)에서 단순히 모든 기저귀를 배출함으로써 포장 조작을 위해 운반되는 기저귀의 어레이에 대해서 종래의 노즈 후연 배향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2의 방법은 모든 기저귀가 제 2 스트립핑 위치(29b)에서 스태커(2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으로 도 4의 장치를 이용하여 성취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기저귀의 각 어레이는 노즈 선단 배향에서 포장 조작을 위해 제공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모든 다양한 조합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특정 어레이가 노즈 선단 또는 노즈 후연 배향으로 포장 조작을 위해 존재하는 가에 대한 명확한 변화성을 제공한다.
기저귀 및 성인용 실금 패드는 종종 각 패키지에서 단일 또는 다중 어레이로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따라 이뤄질 수 있는 3개의 선택적인 포장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모든 패키지 형태에 있어서, 외측 패키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분(46) 및 바닥 부분(47)을 구비하는 가요성의 중합체 백(45)을 포함한다. 포장 동안에, 상부 부분(46)은 기저귀 어레이의 삽입 동안에 폐쇄되어 유지된다. 해제가능한 밀폐체(48)가 전형적으로 제공되며, 천공된 인열 스트립, 해제가능하게 밀봉된 스트립 또는 당 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적당한 수단을 포함하는 모든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바닥 부분(47)은 포장 단계 동안에 개방되어 유지되는데, 그 이유는 기저귀의 어레이(15)가 개방 바닥 부분(47)을 통해 삽입되기 때문이다. 기저귀 어레이가 이를 관통하여 삽입된 후에, 바닥 부분(47)은 밀봉 스트립(49) 또는 당 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수단에 의해 밀봉된다.
도 5의 기저귀 패키지에 있어서, 기저귀(15)의 2개 어레이는 테일 선단(또는 노즈 후연) 배향에서 패키지내로 삽입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패키지 형태는 포장 전에 회전 장치를 이용함이 없이 도 1의 종래 기술의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이뤄질 수 있다. 그러나, 도 4의 패키지 형태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밀폐체(48)가 소비자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에 각 기저귀의 테일 부분만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의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기저귀는 노즈 선단 배향에서 백에 존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조된 기저귀의 패키지는 도 6의 배향을 가질 것이다. 도 6의 패키지가 해제가능한 밀폐체(48)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에, 각 기저귀의 노즈 부분은 종종 필요에 따라서 소비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가 이용되는 경우에, 기저귀의 어레이는 교호하는 배향(노즈 선단 및 노즈 후연)에서 포장 장치에 존재할 것이다. 2개의 어레이가 포장 조작 동안에 하나의 백내에 위치된다면, 제조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의 상부 부분(46) 및 바닥 부분(47)을 향해 위치된 기저귀의 노즈 부분을 구비하는 백을 제조하는 선택권을 가질 것이다. 이러한 형태에서, 밀봉 스트립(49)을 이용하여 보다 단단한 시일이 성취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각 어레이의 기저귀의 노즈 부분(11)이 백 밀봉 작동 동안에 백의 벽에 가해진 압력하에서 붕괴될 가능성이 작기 때문이다. 이것은 보다 많은 기저귀 소정의 백 사이즈상에 포장될 수 있게 하며, 기저귀의 보다 단단한 패키지를 제공할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기저귀의 패키지는 소매상인에게 운반 및 이송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팰릿상에 적재된다. 통상적으로 백은 상부 부분(46)이 상방을 향하도록 팰릿상에 적재된다. 기저귀가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즈 부분이 상부 부분(46) 및 바닥 부분(47)의 내부 벽쪽으로 외측으로 향하게 도 7에 도시된 방법으로 포장되는 경우에, 기저귀의 패키지는 붕괴됨이 없이(즉, "팰릿 처짐"이 야기됨이 없이) 보다 많은 적재물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의 패키지 배향은, 기저귀의 어레이가 백내에 배치된 후에 기저귀의 테일 부분이 기저귀의 백의 바닥 부분(47)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스트립(49) 또는 다른 메카니즘에 의해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경험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2의 장치 및 방법이나, 어레이 회전 드럼을 따라 도 1의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도 6의 배향이 이용되는 경우에, 기저귀의 하나 이상의 테일이 백 밀봉 공정 동안에 백에 부주위하게 밀봉될 수 있는 실질적인 위험이 있다는 사실의 경험이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3 및 도 4의 장치 및 방법은 각 어레이의 기저귀의 테일 부분이 상부 부분(46) 및 바닥 부분(47)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백을 제조하는데 또한 이용될 수 있다. 환언하면,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부분이 아닌 각 기저귀의 노즈 부분이 패키지의 라인(50)을 따라 위치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중 어레이 패키지에 있어서, 약한 라인(50)이 종종 제공되며, 이에 의해 그 내의 모든 기저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전체 백을 소비자가 반으로 절단할 수 있게 한다. 모든 기저귀의 노즈 부분이 라인(50)을 따라 정렬되는 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이 이용되는 경우에, 소비자는 라인(50)을 따라 백을 절단하여 필요에 따라서 노즈 부분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술한 설명은 가능한 본 발명의 각각 그리고 모든 변형예를 총망라하는 수단이 아니며, 그에 따라서 설명 및 도시를 위해서만 설명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변형 및 수정은 본 명세서의 요지에 비추어 당 업자가 이해할 수 있으며, 이들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영역내에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기저귀를 이용하여 기술하였지만, 이들 장치 및 방법은 성인용 실금 패드 뿐만 아니라 어레이로 모여지는 다른 다양한 형태의 제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역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며, 도면에 도시되고 및 상술한 설명에 규정된 실시예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0)

  1. 제품(10)의 어레이(15)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① 상기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격실(28)을 구비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스태커(20)를 제공하는 단계와,
    ② 상기 스태커(20)의 제 1 경로를 따라서 상기 다수의 제품(10)을 연속적인 형태로 운반하는 단계와,
    ③ 상기 제품(10)을 입구 위치에서 상기 격실(28)내로 도입하는 단계와,
    ④ 상기 제품을 제 1 스트립핑 방향(C)에서 상기 격실(28)내로 강제함으로써 상기 제품(10)의 제 1 어레이(15)를 제 1 스트립핑 위치(29)에서 상기 스태커(20)로부터 제거하는 단계와,
    ⑤ 상기 제 1 스트립핑 방향(C)에 실질적으로 대향된 방향(A)에서 상기 스태커로부터 먼 제 2 경로를 따라서 상기 제 1 어레이(15)를 운반하는 단계와,
    ⑥ 상기 단계 ② 내지 단계 ⑤를 다음 제품에 대해서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경로를 따라서 상기 어레이(15)를 운반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상기 스태커(20)의 평면과는 상이한 평면으로 상기 제품(10)의 상기 제 1 어레이(15)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10)은 상기 제 1 경로를 따라서 제 1 배향에서 운반되며, 상기 제 1 어레이(15)의 상기 제품(10)은 상기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향에서 상기 제 2 경로를 따라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10)의 각각이 기단 단부(11) 및 말단 단부(12)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어레이(15)의 상기 제품(10)은 상기 제 1 및 제 2 경로를 따라서 기단 단부 전방 배향으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 상기 제품(10)을 제 1 스트립핑 방향(B)에서 상기 격실(28)로부터 강제함으로써 상기 제품(10)의 제 2 어레이(15)를 제 2 스트립핑 위치(29)에서 상기 스태커(20)로부터 제거하는 단계와,
    ⓑ 상기 스태커(20)의 회전 평면과는 상이한 평면으로 제품(10)의 상기 제 2 어레이(15)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 상기 제 2 스트립핑 방향(B)과 동일한 방향에서 상기 스태커(20)로부터 상기 제 2 경로를 따라서 상기 제 2 어레이(15)를 운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어레이(15)의 제품(10)은 상기 제 1 어레이(15)의 상기 제 1 배향에 실질적으로 대향된 방향에서 상기 제 2 경로를 따라 운반되는, 상기 운반 단계와,
    ⓓ 상기 단계 ⓐ 내지 단계 ⓒ를 다음 제품(10)에 대해서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어레이(15)는 교호하는 형태로 상기 제 2 경로를 따라 운반되며, 이에 의해 교호하는 배향을 가진 상기 제품(10)의 어레이(15)의 스트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20)는 폐쇄된 루프 체인(26)과, 상기 체인(26)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핑거(21)와, 다수의 스프로켓(22, 23, 24)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26)은 상기 스프로켓(22, 23, 24)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격실(28)은 인접한 핑거(21)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20)는 폐쇄된 루프 체인(26)과, 상기 체인(26)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핑거(21)와, 다수의 스프로켓(22, 23, 24)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26)은 상기 스프로켓(22, 23, 24)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격실(28)은 인접한 핑거(21)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10)은 기저귀, 실금 패드 및 생리용 냅킨 및 팬티라이너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흡수성 제품(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10)은 기저귀, 실금 패드 및 생리용 냅킨 및 팬티라이너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흡수성 제품(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28)로부터의 상기 제품(10)을 강제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제품(10)을 상기 격실(28)로부터 외측으로 멀리 그리고 상기 스태커(20)가 그 위에서 이동하는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로부터 멀리 어레이 지지체(25)상으로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12. 연속적인 포장을 위해 제품(10)의 어레이(15)를 형성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품(10)을 수납하기 위해 다수의 격실(28)을 구비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전진가능한 연속적인 스태커(20)와,
    제 1 경로를 따라 상기 다수의 제품(10)을 상기 격실(28)내로 운반하기 위한 제 1 컨베이어와,
    제 1 어레이 지지체(25)와,
    제 1 스트립핑 방향(C)에서 상기 격실(28)로부터의 제품(10)의 어레이(15)를 상기 어레이 지지체(25)상으로 강제하도록 형성된 제 1 스트립퍼 바아(27)와,
    제품(10)의 어레이(15)를 상기 어레이 지지체(25)로부터 운반하기 위한 제 2 컨베이어(35)를 포함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베이어(35)가 상기 제 1 스트립핑 방향(C)에 실질적으로 대향된 운반 방향(A)에서 어레이(15)를 운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 2 어레이 지지체(25)와, 제 2 스트립핑 방향(B)에서 상기 격실(28)로부터 제품(10)의 어레이(15)를 상기 제 2 어레이 지지체(25)상으로 강제하기 위해 구성된 제 2 스트립퍼 바아(2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트립핑 방향(B)은 상기 운반 방향(A)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지지체(25)는 상기 스태커(20)의 이동 평면 사이에서 상기 제 2 컨베이어(35)의 이동 평면쪽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어레이 지지체(25)는 상기 스태커(20)의 이동 평면 사이에서 상기 제 2 컨베이어(35)의 이동 평면쪽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20)는 폐쇄된 루프 체인(26)과, 상기 체인(26)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핑거(21)와, 다수의 스프로켓(22, 23, 24)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26)은 상기 스프로켓(22, 23, 24)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격실(28)은 인접한 핑거(21)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20)는 폐쇄된 루프 체인(26)과, 상기 체인(26)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핑거(21)와, 다수의 스프로켓(22, 23, 24)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26)은 상기 스프로켓(22, 23, 24)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격실(28)은 인접한 핑거(21)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지지체(25)는 상기 스태커(20)가 그 둘레로 이동하는 폐쇄된 루프 경로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스트립퍼 바아(27)는 상기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지지체(25)는 상기 스태커(20)가 그 둘레로 이동하는 폐쇄된 루프 경로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스트립퍼 바아(27)는 상기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립퍼 바아(27)는 상기 스태커(20)의 대향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KR1020007003693A 1997-10-07 1998-10-07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0100309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46,285 1997-10-07
US08/946,285 US5897291A (en) 1997-10-07 1997-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rrays of articles for packaging
PCT/US1998/021137 WO1999018021A1 (en) 1997-10-07 1998-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rrays of articles for packag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948A true KR20010030948A (ko) 2001-04-16

Family

ID=2548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693A KR20010030948A (ko) 1997-10-07 1998-10-07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97291A (ko)
EP (1) EP1023234A1 (ko)
JP (1) JP2001519304A (ko)
KR (1) KR20010030948A (ko)
AU (1) AU9790598A (ko)
WO (1) WO1999018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9440A1 (de) * 1999-10-14 2001-05-03 Knapp Logistik Automation Förderstreckenanordnung in einer Füllstation
US7232829B2 (en) 2001-04-06 2007-06-19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Therapeutic compounds and methods
US6723035B2 (en) * 2001-09-28 2004-04-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tucking side panels with side panel fold location control
US6776316B2 (en) * 2001-09-28 2004-08-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tucking refastenable side seams
US20030102200A1 (en) * 2001-12-04 2003-06-05 Chauhan Vijay Conveying machines
DE10228061A1 (de) * 2002-06-17 2003-12-24 Optima Filling & Packaging Vorrichtung zur Bildung von Stapeln
DE10341992A1 (de) * 2003-09-08 2005-03-31 Optima Filling And Packaging Machines Gmbh Stapelbildungsvorrichtung
US20050124952A1 (en) * 2003-10-07 2005-06-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outer covers adapted to attain 3-D configurations
US20050074584A1 (en) * 2003-10-07 2005-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ner composites adapted to attain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s
DE10348233A1 (de) * 2003-10-09 2005-05-04 Optima Filling & Packaging Vorrichtung zur Bildung von Stapeln
ATE524401T1 (de) * 2003-10-31 2011-09-15 Fer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andlung eines förderstromes von flachen gegenständen
DE102004015763A1 (de) * 2004-03-24 2005-10-13 Optima Filling And Packaging Machin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ildung von Stapeln
JP4729319B2 (ja) * 2005-03-24 2011-07-2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形成装置
DE102006005397A1 (de) * 2006-02-03 2007-08-09 Focke & Co.(Gmbh & Co. Kg) Vorrichtung zum Handhaben von flachen Gegenständen, insbesondere Windeln
DE102006045087A1 (de) * 2006-09-21 2008-03-27 Focke & Co.(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andhaben von Windeln
DE102007021146A1 (de) 2007-05-03 2008-11-06 Focke & Co.(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andhaben von flachen Gegenständen, insbesondere Windeln
US9452090B2 (en) * 2008-12-30 2016-09-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gender specific indicia
DE112011102471T5 (de) 2010-07-23 2013-04-25 Zuiko Corporation Vorrichtung zum Ausrichten und Überführen von Artikeln
ES2544629T3 (es) * 2010-09-15 2015-09-02 Sigma Engineering B.V. Un dispositivo y un método para empaquetar productos substancialmente planos dentro de una caja
DE102010053040A1 (de) * 2010-12-02 2012-06-06 Focke & Co.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Gruppieren von Gegenständen
US9566193B2 (en) * 2011-02-25 2017-02-14 Curt G. Jo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disposable products at high speeds with small machine footprint
DE102011105887A1 (de) * 2011-06-27 2012-12-27 Focke & Co.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Gruppieren von Gegenständen
DE102012015820A1 (de) * 2012-08-10 2014-02-13 Focke & Co. (Gmbh & Co. Kg) Fertigungs- und Verpackungsanlage für Hygieneprodukte sowie Verfahren zurn Betreiben derselben
ITBO20120619A1 (it) * 2012-11-09 2014-05-10 Tissue Machinery Co Spa Apparato e metodo di confezionamento di pannolini o altri oggetti sanitari morbidi piatti ripiegati.
US9283683B2 (en) 2013-07-24 2016-03-15 Curt G. Joa, Inc. Ventilated vacuum commutation structures
US20150078876A1 (en) * 2013-09-18 2015-03-19 C.G. Bretting Manufacturing Co., Inc. Pack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s using linear motor
US9289329B1 (en) 2013-12-05 2016-03-22 Curt G. Joa, Inc. Method for producing pant type diapers
EP3148495B1 (en) * 2014-05-27 2020-07-1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product
US10683116B2 (en) * 2015-03-19 2020-06-16 Gdm S.P.A. Grouping unit and method to form groups of hygiene absorbent articles in a packaging machine
US9540127B2 (en) 2015-06-09 2017-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rive mechanism and methods of grouping articles
US9580253B2 (en) 2015-06-09 2017-0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justable carriage for transporting articles of various sizes and a group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9580254B2 (en) 2015-06-09 2017-0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grouping articles into arrays of various configurations
US9540183B2 (en) 2015-06-09 2017-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estable transport members and a corresponding track
US9573771B2 (en) 2015-06-09 2017-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grouping articles into arrays of various configurations
US9663305B2 (en) 2015-06-09 2017-05-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grouping articles into arrays of various configurations
WO2017019544A1 (en) 2015-07-24 2017-02-02 Curt G. Joa, Inc. Vacuum commut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170101281A1 (en) 2015-10-13 2017-04-13 Curt G. Joa, Inc. Disposable product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IT201600079182A1 (it) * 2016-07-28 2018-01-28 Bucci Automations S P A Gruppo di arresto per prodotti igienico-sanitari
CN108455239B (zh) * 2018-02-11 2023-10-13 广州市兴世机械制造有限公司 一次性裤型卫生用品的成型输送方法及设备
IL257582B (en) 2018-02-18 2021-08-31 Velox Puredigital Ltd Conveyors interfacing system and method
CN108315887A (zh) * 2018-04-11 2018-07-24 浙江凌志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收料机构
IL268713B2 (en) 2019-08-14 2024-02-01 Velox Puredigital Ltd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handling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2736A (en) * 1968-11-18 1971-01-05 Kimberly Clark Co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disposable diapers
US3685818A (en) * 1970-04-06 1972-08-22 Kimberly Clark Co Machine for making diapers
SE355002B (ko) * 1971-11-22 1973-04-02 Sunds Ab
US3954165A (en) * 1973-07-12 1976-05-04 R. C. H. Tool Corporation Automatic collating machine
US3961697A (en) * 1974-03-20 1976-06-08 R. A. Jones & Company Inc. Apparatus for shingling and packing of articles
US4022456A (en) * 1975-07-11 1977-05-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and cutting an interconnected web of disposable diapers or the like having stretched elastic leg bands secured thereto
US4018432A (en) * 1975-11-20 1977-04-19 Kimberly-Clark Corporation Diaper folder and stacker mechanism
US4106260A (en) * 1976-09-29 1978-08-15 Hanes Corporation Article folding and packaging system
US4074508A (en) * 1976-12-21 1978-02-21 Riegel Textile Corporation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ban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articles
US4141193A (en) * 1977-07-12 1979-02-27 Joa Curt G Horizontal diaper grouper
CH632203A5 (de) * 1978-08-22 1982-09-30 Sig Schweiz Industrieges Einrichtung zur konstanthaltung des gewichtes von stapelpackungen.
US4370844A (en) * 1979-03-12 1983-02-01 O. G. Hoyer A/S Packaging apparatus
US4307800A (en) * 1979-12-03 1981-12-29 Joa Curt G Apparatus for alternating the folded and open edges of a succession of folded pads
US4374559A (en) * 1980-03-12 1983-02-22 Baker Perkins Holdings Ltd. Apparatus for handling articles
US4325475A (en) * 1980-05-21 1982-04-20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US4394898A (en) * 1981-04-23 1983-07-26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lanced stacks of diapers
US4399905A (en) * 1981-07-02 1983-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alternately forming and forwarding stacks of articles
US4650173A (en) * 1984-07-13 1987-03-17 Paper Converting Machine Co. Method of operating a diaper producing machine and apparatus
JPS61115810A (ja) * 1984-11-05 1986-06-03 村田機械株式会社 コーン状物品の箱詰めロボット
SE451261B (sv) * 1986-01-08 1987-09-21 Mo Och Domsjoe Ab Anordning for att dubbelvika en flexibel produkt
IT1189948B (it) * 1986-04-21 1988-02-10 Ciba Leasing Srl Macchina automatica per l'inscatolamento di sacchetti con uno o due bordi contrapposti appiattiti
US4771589A (en) * 1987-09-24 1988-09-20 Osgood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package of alternately inverted containers
DE3940296A1 (de) * 1989-06-24 1991-01-10 Focke & Co Produktionsanlage fuer die herstellung von grosseinheiten in der form von kartonierten gebinden aus gruppen von kleinpackungen von papiertaschentuechern
US5174089A (en) * 1989-08-07 1992-12-29 Danieli & C. Officine Meccaniche Spa Method to package sections and rotary packaging machine that employs the method
US5018334A (en) * 1990-04-11 1991-05-28 H. J. Langen & Sons Limited Carton loading machine having load accumulator
DE4022162A1 (de) * 1990-07-12 1992-01-16 Licentia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stapeln von kleingut
US5081823A (en) * 1990-07-23 1992-01-21 Ent Hans V D Multiple article stacking and packaging apparatus
IT1248120B (it) * 1991-01-25 1995-01-05 Bruno Castellan Gruppo traslatore-posizionatore strato
US5218813A (en) * 1991-04-24 1993-06-15 Graphic Management Associates, Inc. Bundling device and method
IT1251485B (it) * 1991-09-17 1995-05-15 Sagitta Off Mec Macchina perfezionata per la ripiegatura e l'incollaggio periferico dei bordi di un materiale in foglio e simili
DE4204987C2 (de) * 1992-02-19 1995-04-13 Natec Reich Summer Gmbh Co Kg Vorrichtung zum Schneiden und Abstapeln von scheibenförmigen Einzelpackungen
DK0673342T3 (da) * 1992-12-18 1997-09-15 Procter & Gamble Stablingsapparat og fremgangsmåde, der omorienterer produktenheder ad en i hovedsagen spiralformet bane, medens de transporteres fra en ladestation til en aflæsningsstation
NL9300442A (nl) * 1993-03-11 1994-10-03 Kloeckner Haensel Tevopharm Stapelinrichting.
DE29600932U1 (de) * 1996-01-22 1996-03-07 Paper Converting Mach Gmbh Gruppierungsvorrichtung für Hygieneproduk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18021A1 (en) 1999-04-15
JP2001519304A (ja) 2001-10-23
AU9790598A (en) 1999-04-27
US5897291A (en) 1999-04-27
EP1023234A1 (en) 200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0948A (ko)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010030949A (ko)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1318672B1 (ko) 완충재 자동 투입 장치 및 방법
US8583279B2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flat objects, in particular nappies
JPH0448692B2 (ko)
US4642013A (en) Apparatus for stacking flat articles
JPH03501013A (ja) 製品を分離、積載するための装置
US20080138187A1 (en) Method For Handling a Blister in a Blister Packaging Machine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Z295830B6 (cs) Balicí stroj, zejména pro nápojové plechovky
JP2003516281A (ja) 物品をブリスターバンドに供給する装置
US11939090B2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articles
JP3551144B2 (ja) 外側コンテナ内にバッグを挿入する装置
JPH0834413A (ja) フォイルチューブ包装体の切断兼積重ね装置
US4974391A (en) Automatic package loading system for bakery goods and the like
PL185130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maszynowego nakładania elementów wylewowych na mające płaską ściankę górną, prostopadłościenne opakowania wypełnione płynnymi produktami
JPS59167408A (ja) 充填袋物整列装置
US6928789B2 (en) Assembly for collecting together different goods
US20230348125A1 (en) Packing machine for horizontal and vertical packing of articles into a packing box
US4702471A (en) Article transport arrangement
NL1015247C2 (nl) Inrichting voor het in houders verpakken van met producten gevulde zakken.
RU27465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и формирования групп плоских изделий на конвейере
JP3649779B2 (ja) 果菜物搬送帯
JP3678798B2 (ja) 袋体箱詰め装置
JP3245448B2 (ja) 分包シート集積装置
GB2218959A (en) System for feeding flat folded tubular packing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