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949A -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949A
KR20010030949A KR1020007003694A KR20007003694A KR20010030949A KR 20010030949 A KR20010030949 A KR 20010030949A KR 1020007003694 A KR1020007003694 A KR 1020007003694A KR 20007003694 A KR20007003694 A KR 20007003694A KR 20010030949 A KR20010030949 A KR 20010030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y
compartment
inlet
products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저위토마스칼
에릭슨그레고리죤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1003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94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65G47/0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65G47/0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 B65G47/08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grouping articles in 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8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articles being tilted or inverted prior to depositing
    • B65G57/08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articles being tilted or inverted prior to depositing alternate articles being inver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on or by endless belts or like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1Forming a pile of articles alternatively overturned, or swivelled from a certain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30Chains
    • B65H2404/31Chains with auxiliary handling means
    • B65H2404/311Blades, lugs, plates, paddles, fingers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격실을 구비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스태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제품을 연속적인 형태로 상기 스태커쪽으로 제 1 경로를 따라 운반하는 단계와; 상기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입구 위치에서 상기 격실내로 상기 제품의 제 1 부분을 도입하는 단계와; 상기 입구 위치로부터 하류에 위치된 스트립핑 위치에서 상기 스태커로부터 상기 제품의 어레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가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RRAYS OF ARTICLES FOR PACKAGING}
많은 소비재 제품은 형상이 균일하거나 대칭이 아니며, 그에 따라 이들 제품을 포장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들 제품이 적당한 방법으로 포장되지 않는다면, 패키지 강도 및 일체성이 나빠지게 될 수 있으며, 초과하는 양의 포장 재료가 필요하여 이러한 단점을 보상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결과적인 패키지는 소비자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빈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소정의 사이즈의 패키지내에 가능한한 많은 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의 사이즈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제품이 비균일한 방법으로 포장되어야 하는 최적의 포장이 종종 요구된다. 그러나, 비균일한 포장은 자동화되고 기계적인 제조/포장 공정에서 이뤄지게 하기는 어렵다.
특이한 포장 단점을 갖고 있는 비대칭 제품의 특히 전형적인 예로는 기저귀, 성인용 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및 팬티라이너와 같은 흡수성 제품이 있다. 유사한 배출 영역 근방에 위치되는 부가적인 흡수성 재료로 인해서 제품의 가랑이 부분이 웨이스트 영역보다 두께가 두꺼울 수 있어서, 이들 제품은 특히 기저귀 및 성인용 실금 패드는 종종 윤곽을 형성한다. 각 기저귀 또는 패드는 외부 패키지내로 삽입되기 전에 통상 반으로 접혀있기 때문에, 이러한 두께의 차이는 기저귀 또는 실금 패드가 포장되는 경우에 더욱 심해진다. 또한, 기저귀 또는 패드가 패키지내로 삽입되기 전에 통상 압축되어 있으며, 이들 제품의 프로파일에 의해 야기되는 압축성의 차이는 추가적인 포장의 어려움을 야기시킬 수 있다.
제품이 컨베이어 시스템을 따라 잇따라서 제조 영역에 잔류하도록 기저귀, 성인용 실금 패드 및 이와 유사한 제품은 연속적인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기저귀 및 성인용 실금 패드의 경우에 있어서, 이들 제품은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가동 운반 장치상의 평면에 놓여 있는 제조 영역에 통상 잔류한다. 다음에, 기저귀 또는 패드는 반으로 접혀진 다음 직립 위치로 회전된다. 이러한 직립 위치에 있어서, 기저귀 또는 패드는 접혀진 노즈 부분(이후에는 기부 단부라고 함)이 선도하여 연속적으로 운반된다. 다음에, 기저귀 또는 패드는 포장을 위해서 소정 개수의 기저귀 또는 패드를 어레이(또는 스택)로 모으는 어레이 형성 장치로 놓여진다. 스태커(stacker) 또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라고 하는 이러한 어레이 형성 장치는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기저귀 또는 패드를 포함하는 어레이(또는 스택)내로 컨베이어 시스템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전진하는 일련의 제품으로 전환시킨다. 다음에, 제품 어레이는 다른 포장 단계로 전진할 수 있다. 예시적인 포장 장치는 미국 특허 제 3,954,165 호, 제 4,325,475 호 및 제 5,474,168 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방법에 있어서, 어레이의 기저귀 또는 패드는 동일하며 나란한 배향으로 그내에 배열된다. 예를 들면, 스태커에 잔류하는 어레이에 존재하는 각 기저귀는 통상 노즈 전방 배향으로 되어 있다. 그내의 기저귀의 노즈 부분에 대응하는 어레이의 영역은 기저귀의 프로파일로 인해서 종종 두께가 보다 두꺼워질 것이며, 어레이의 압축성은 패드 프로파일로 인해서 횡으로 균일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스태커는 통상 제품의 배향이 어레이내에서 변경되는 어레이를 제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어레이의 각 제품이 2개의 개별 배향중 하나를 갖고 있으며, 그에 따라 특정 어레이내의 제품의 배향이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는 제품 어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어레이의 제품이 다양한 배향을 갖는 제품의 어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레이의 제품이 교호하는 배향을 갖는 제품의 어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이 실질적으로 직선 라인 경로를 따라서 스태커의 격실내로 배치되게 하는 스태커를 이용하여 교호하는 배향을 갖는 제품의 어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품이 교호하는 배향의 어레이내에 위치되게 하는 것으로 기저귀와 같은 제품의 어레이의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들 및 다른 목적은 제품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성취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①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격실을 구비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스태커를 제공하는 단계와,
② 제 1 경로를 따라서 다수의 제품을 연속적인 형태로 스태커를 향해 운반하는 단계와,
③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입구 위치에서 격실내로 제품의 제 1 부분을 도입하는 단계와,
④ 입구 위치로부터 하류에 위치된 스트립핑 위치에서 스태커로부터 제품의 어레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방법은 제 2 입구 위치에서 격실내로 제품의 제 2 부분을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레이는 제품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의 제품은 제 2 부분의 제품의 배향에 대향된 배향으로 어레이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스태커는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다수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핑거를 포함하며, 격실은 인접한 핑거 사이의 영역을 포함한다. 격실의 각각은 제 1 입구를 구비하며, 격실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2 입구를 더 구비하며, 제품의 제 1 부분은 제 2 입구를 통해 격실내로 도입되며, 제품의 제 2 부분은 제 1 입구를 통해 격실내로 도입된다. 제 1 부분의 각 제품은 양 제 1 및 제 2 입구를 구비하는 격실을 통해 제 1 경로로부터의 제품을 강제함으로써 격실내로 도입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제 1 입구 위치에 위치된 다른 격실내로 도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 부분의 각 제품은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를 통해 제품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제 1 입구 위치에 위치된 격실내로 강제되는 반면에, 제 2 부분의 각 제품은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서 제 1 입구 위치로부터 상류에 있는 제 2 입구 위치에서 격실내로 도입된다.
스태커는 전진가능한 지지체를 더 포함하며, 핑거중 일부 또는 모두는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며, 이러한 전진가능한 지지체는 핑거의 이동 평면과는 상이한 평면에서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서 이동한다. 따라서, 상술한 제 2 입구는 전진가능한 지지체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즉, 인접한) 인접하는 핑거 사이의 영역에 의해서 규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진가능한 지지체는 체인을 포함하지만, 벨트와 같은 다른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제품의 어레이는 제 1 입구를 통해 격실을 벗어나게 어레이를 강제함으로써 스태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이들 방법은 기저귀 및 성인용 실금 패드용으로 적당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전진가능한 다수의 격실을 구비하는 연속적인 스태커와,
ⓑ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입구 위치에서 다수의 제품을 격실내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과,
ⓒ 제품을 어레이를 격실을 벗어나게 강제하고 제 1 입구의 하류에 위치된 스트립퍼를 포함한다.
격실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1 및 제 2 입구를 구비하며, 컨베이어 시스템은 그 제 1 입구를 통해 격실내로 들어가도록 강제되고 그 후에 제 2 입구를 통해 격실을 벗어나도록 강제되는 제품이 제 1 입구 위치로 운반하기 위해 컨베이어 시스템에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핑거의 일부분은 각각 인접한 핑거에 부착되어서, 서로 부착된 인접한 핑거 사이의 영역에 의해 규정된 각 격실은 제 2 입구에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 핑거는 오프셋 브라켓에 의해 전진가능한 지지체에 부착되며, 이에 의해 핑거의 이동 평면은 전진가능한 지지체의 평면과 상이하게 되도록 확실하게 한다. 따라서, 제 2 입구는 전진가능한 지지체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인접한 핑거 사이의 영역에 의해 규정될 수 있으며, 제 1 입구는 전진가능한 지지체에 말단이 위치된 인접한 핑거 사이의 영역에 의해 규정된다. 다음에, 컨베이어 시스템은 제 2 입구를 통해 제 1 입구 위치에서 격실내로 제품을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컨베이어 시스템은 그 길이부의 일부분을 따라서 면한 관계로 위치된 한쌍의 전진가능한 벨트를 포함하여, 제품이 벨트 사이의 제 1 입구 위치로 운반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시스템은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서 제품을 운반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립퍼는 제 1 입구를 통해 제품이 격실을 벗어나게 되도록 구성된다. 스트립핑 위치는 양 입구 위치로부터 하류에 위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연속적인 포장을 위해 제품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품이 다양한 배향으로 어레이에 위치되는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특히 지적하고 구별되게 청구하는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하지만,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 설명으로부터 이러한 것들은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2-2 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장치에 이용된 핑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4개의 인접한 핑거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기저귀는 한쌍의 인접한 핑거 사이에 형성된 폐쇄된 격실내에 위치되어 있는 도면,
도 5는 도 1의 4개의 인접한 핑거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기저귀는 한쌍의 인접한 핑거 사이에 형성된 통과-관통(또는 "개방") 격실내에 위치되어 있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어레이를 포함하는 기저귀의 백의 개략적인 도면.
본 발명은 연속적인 포장을 위해 기저귀, 성인용 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및 팬티라이너의 어레이를 형성하는데 특히 적당하지만,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제품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모든 다양한 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역은 단지 이들 제품용의 장치 및 방법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료함을 위해서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제품인 기저귀만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형적으로, 기저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윤곽되며(테일 부분보다 노즈 부분이 두께가 두꺼움), 종래 기술의 어레이 형성 방법은 정렬된 기저귀 배향(즉, 노즈 부분이 다른것에 서로 인접하여 위치됨)을 갖고 있다. 이것은 어레이의 일 단부가 다른 것보다 충분히 두껍게 하여, 불충분한 포장이 이뤄지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기저귀(10)의 어레이(15)를 그내에 구비하는 컨테이너(35)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전형적으로, 컨테이너(35)는 가요성 중합체 백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모아진 다수의 어레이(15)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저귀(10)는 노즈 부분(11) 및 테일 부분(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어레이의 기저귀는 교호하는 배향으로 제공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기저귀의 노즈 부분은 인접하는 기저귀의 테일 부분 다음에 위치되어 있다.
도 6의 어레이(15)의 형태는 기저귀 두께의 변화를 기본적으로 상쇄한다. 그 결과, 소정 개수의 기저귀에 있어서 백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보다 많은 기저귀가 소정 사이즈의 백내로 끼워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도 6의 비정렬된 배향의 기저귀의 어레이가 정렬된 배향을 가진 기저귀보다 상당히 큰 범위로 압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양없이 부푼 것이 제거되기 때문에 백 외관이 개선된다. 중요하게, 본 출원인의 시험은 기저귀가 도 6의 비정렬된 배향으로 포장되는 경우에 패키지가 로드에 매우 보다 균일한 작용을 제공하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이러한 기저귀 패키지가 팰릿상에 적층되는 경우에, 결과적인 로드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것보다 매우 안정적이여서, 팰릿 떨어짐이나 제품 손상 등이 방지된다.
도 1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저귀의 어레이를 모으는데 이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어레이 형성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어레이 형성 장치는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이미 공지된 스태커 또는 어큐뮬레이터와 많은 부분이 유사한 스태커(20)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연속적인 포장을 위해 제품(예를 들면 기저귀)의 어레이를 형성하는데 통상 사용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영역에 잔류하는 기저귀(10)는 스태커(20)를 향해 화살표(A)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운반된다. 기저귀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한 다양한 공지된 모든 수단에 의해 스태커를 향해 운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저귀(10)는 연속적인 형태로 한쌍의 면하고 평행한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하나의 예시적인 장치가 미국 특허 제 4,325,475 호의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장치는 통상 접혀진 직립 위치(도 2에 잘 도시되어 있음)에서 스태커(20)를 향해 장치로부터 개별 기저귀를 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태커(20)는 폐쇄된 루프 형태로 이동하는(즉, 무단 루프에서 이동하는) 체인(26)(또는 다른 회전하는 지지체)에 고정된 다수의 핑거(또는 패들)(21)를 포함한다. 용어 "폐쇄된 루프(closed loop)"는 체인(26)과 이에 부착된 핑거(21) 양자의 이동 경로를 말한다.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각에 대한 이동 평면이 상이한 것이 양호하지만, 각각 동일한 일반적인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체인(26)은 다수의 회전하는 스프로켓 둘레로 연장되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4개의 스프로켓(22, 23, 24, 25)이 이용된다. 하나 이상의 스프로켓은 어레이 형성 장치가 정밀하게 제어된 운동하도록 모터, 전형적으로 서보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보 모터(45)는 스프로켓(22)을 구동시키며, 이에 의해 스프로켓(22, 23, 24, 25)을 중심으로 체인(26)을 전진시킨다. 또한, 체인(26)은 폐쇄된 루프 형태로 핑거를 전진시키기 위한 동등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수의 회전하는 드럼을 중심으로 인장된 벨트(또는 유사한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의 장치에서 각 핑거(21) 사이의 영역은 격실 또는 포켓을 규정하며, 기저귀(10)는 상기 격실 또는 포켓내로 공급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기저귀(10)는 컨베이어 벨트 또는 다른 운반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격실(28)내로 배출되며, 상기 격실은 인접한 핑거(21)와 핑거가 그 위로 운반되는 평면 지지 표면(33)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서 규정된다. 지지 표면(33)은 기저귀가 격실(28)내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에 기저귀가 그 위로 이동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 그러나, 스태커의 회전 평면이 수직인 경우에 지지 표면(33)은 제거될 수 있다(이러한 것은 미국 특허 제 4,650,173 호에 도시되어 있음). 바람직하게, 단일 기저귀가 각 격실(28)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기저귀는 체인(26)이 공급 스프로켓(2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점에 인접한 공급 위치(18)에서 격실(28)내로 공급된다. 체인(26)이 스프로켓(22)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핑거(21)는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외측으로 벌려지며, 이에 의해 벌려진 핑거(21) 사이의 격실(28)을 개방하여서, 기저귀(10)가 그 내부에 쉽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체인(26)이 스프로켓(2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핑거(21)가 벌려지는 것은 스프로켓(22)의 직경이 감소될 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핑거(21)는 개별적인 카세트나, 체인, 벨트 또는 다른 구동 장치에 의해 바람직하게 평면 형태인 폐쇄된 루프에서 전진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의 격실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역은 이러한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단 기저귀가 스프로켓(22)에 인접한 공급 위치에서 핑거(21) 사이에 형성된 격실(28)내에 배치되면, 그에 따라 배치된 기저귀는 체인(26)이 도 1에 도시된 방향으로 전진될 때 이러한 격실내로 이동할 것이다.
종래 기술의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바로 다음 기저귀는 인접한 핑거 사이에 형성된 격실내로 유사하게 배치되어서, 체인이 전진할 때 다수의 기저귀가 연속적인 형태로 격실내로 배치된다. 다음에, 배치된 기저귀를 포함하는 격실이 스트립핑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배치된 기저귀는 체인이 다양한 스프로켓을 중심으로 전진될 때 격실내로 이동된다. 여기에서, 가동 스트립퍼 바아는 배출 스테이션상으로 기저귀가 격실을 벗어나게 강제하며, 이에 의해 다음 포장을 위한 기저귀의 어레이를 형성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종래 기술의 스태커가 이용되는 경우에 종래 기술의 방법에서의 모든 기저귀는 동일한 배향(통상 노즈가 전방임)으로 스태커내로 공급되기 때문에, 각 어레이의 기저귀는 동일한 배향으로 나란하게 정렬될 것이다(즉, 각 기저귀의 노즈 부분이 어레이에서 다른 기저귀의 노즈 부분과 정렬됨). 스트립퍼 바아에 의해 격실로부터 강제된 제품의 어레이는 이러한 동일하게 정렬된 배향을 갖게 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중앙 부분이 단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기저귀가 형성되기 때문에, 기저귀의 노즈 부분의 두께가 테일 부분보다 상당히 두껍게 된다. 따라서, 기저귀가 동일하게 배향된 기저귀의 어레이로서 포장된다면, 포장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야기된다. 예를 들면, 기저귀의 테일 부분에 대응하는 어레이의 영역은 기저귀의 노즈 부분에 대응하는 대향 영역보다 상당히 더 압축가능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각 어레이내의 기저귀의 배향이 도 6에 도시된 어레이(15)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교호되는 기저귀의 어레이를 모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어레이는 종래 기술의 스테커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없다.
어레이내의 이러한 교호하는 기저귀 배향을 성취하기 위해서, 상술한 종래 기술의 어레이 형성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방법으로 변형되었다. 다시 한번, 기저귀는 컨베이어 벨트 또는 다른 운반 시스템을 거쳐서 공급 위치(18)쪽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모든 기저귀가 공급 위치(18)에서 격실(28)내로 위치되지는 않는다. 실제로 기저귀의 일부분이 종래 기술과 동일한 방법으로 격실(28)내로 부착되는 반면에, 기저귀의 일부분은 격실의 "후방"으로부터 격실(28)내로 도입된다. 각 격실(28)의 "후방"은 체인(26)에 인접한 인접 핑거(21) 사이의 영역으로서 규정된다. 따라서, 기저귀의 제 1 부분은 후방 입구(40)를 통해서 격실(28)내로 배치되며(도 5 참조), 기저귀의 제 2 부분은 입구(39)를 통해서 격실(28)내로 배치된다(도 4 참조). 입구(39)는 종래 기술의 방법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입구 지점이며, 다만 인접한 핑거의 외부 에지 사이의 영역을 포함한다. 양자의 경우에, 기저귀의 선단부는 교호로 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격실(28)내의 기저귀의 제 1 부분의 배향은 기저귀의 제 2 부분의 배향과 반대가 된다.
기저귀의 제 1 및 제 2 부분이 그 각 격실내로 적절히 배치된 후에, 배치된 기저귀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들 격실내로 이동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하류 스트립퍼 바아(27)는 [체인(26)의 이동 평면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볼 때; 이러한 경우에 위에서 봄] 체인(26)에 의해 형성된 폐쇄된 루프의 내부내에 적절하게 위치된다. 스트립퍼 바아(27)는 소정 개수의 기저귀를 그 각 격실(28)을 벗어나게 그리고 배출 스테이션(30)상으로 강제하도록 화살표(B)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이에 의해 제 1 배향에 위치된 기저귀의 제 1 부분과, 제 2 배향에 위치된 기저귀의 제 2 부분을 구비하는 다수의 기저귀를 포함하는 어레이(15)를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기저귀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15)내에서 배향이 교호하게 된다. 기저귀가 그 사이에 위치된 핑거(21)의 높이를 지나서 연장되기 때문에, 스트립퍼 바아(27)는 핑거(21)의 높이보다 약간 높게 위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스트립퍼 바아(27)는 기저귀를 그 각 격실(28)을 벗어나게 쉽게 강제할 수 있다.
따라서, 어레이(15)가 스태커에 의해 형성된 후에, 어레이는 스태커로부터 다른 포장 작동 위치쪽으로 운반된다. 스태커(20)로부터 어레이를 운반하는 것은 컨베이어 벨트, 카세트 운반 시스템 등을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 스테이션(30)은 기저귀가 그위로 배출되는 가동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이러한 플랫폼은 스태커(20)의 회전 평면을 벗어나 이동되며, 그후에 어레이를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으로 보낸다.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은 다음 포장 단계로 운반하기 위해 가동 플랫폼으로부터 어레이를 추출한다. 종래 기술의 방법에 있어서, 어레이는 동일한 화살표(B) 방향에서 스트립퍼로부터 운반된다.
각 격실(28)의 제 2 또는 후방 입구(40)를 통해 기저귀의 제 1 부분을 배치하기 위해 바람직한 기술은 스태커(20)의 이동 경로에 의해 규정된 폐쇄된 루프의 내부(13)내로부터 격실내로 이들 기저귀를 배치시키는 것이다. "폐쇄된 루프의 내부"라는 용어는 위에서 볼 때 체인(26) 및 핑거(21)에 의해 둘러싸인 전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체인(26)과 공평면인 부분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기저귀의 제 1 부분이 내부(13)내로 통과되고, 그 후에 모든 다양한 수단에 의해 후방 입구(40)를 통해 격실(28)내로 통과되는 반면에, 제 2 부분의 기저귀가 화살표(A)로 표시된 이동 라인으로부터 전환되는 것이 대부분 요구된다. 예를 들면, 기저귀의 제 2 부분은 스태커(20)의 이동 평면을 벗어나고, 그 후에 스태커(20)에 의해 규정된 폐쇄된 루프의 내부내로 전진된다. 그러나, 직선의 평면 경로로부터 먼 이러한 변화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기저귀가 격실(28)을 통해서 폐쇄된 루프의 내부로 실제로 통과하고, 그 후에 후방 입구로부터 다른 격실(28)내로 통과하게 하는 핑거 및 운반 벨트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우측 핑거(21a)의 측면도이다. 핑거(21a)는 종래 기술의 핑거와 유사한 평평한 패들형 부분(50)을 포함한다. 각진 부분(53)은 핑거(21a)의 일 단부에 위치되며, 도 3의 평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각을 이루고 있다(도 4의 평면도에 잘 도시되어 있음). 한쌍의 결합 요소(51)는 패들형 부분(50)에 대향된 각진 부분(53)의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모든 다양한 결합 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진 부분(53)상의 후크형 연장부를 포함한다. 오프셋 브라켓(52)이 각진 부분(53)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각진 부분(53)은 핑거(21a)가 사용중일 경우에 실질적으로 지지 표면(33)의 평면 아래에 있을 것이다. 또한, 오프셋 브라켓(52)은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체인(26)의 링크와 협동하여 체인(26)과 이에 부착된 핑거의 운동을 실행한다. 오프셋 브라켓(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1a)의 하부 에지 아래의 지점에서 체인(26)의 링크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로켓(22)은 도 3에서 절단되어 도시되어 있으며, 체인(26)과 이에 부착된 핑거의 운동을 실행하도록 체인(26)의 링크와 협력한다. 오프렛 브라켓(52)은 앵글 아이론(54)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체인(26)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론(54)은 오프셋 브라켓(52)에 볼트 체결되어 있고, 링크 및 앵글 아이론을 통해 연장되는 핀에 의해 체인(26)의 링크에 고정되어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핑거(21)가 체인(26)에 부착될 필요는 없는데, 그 이유는 한쌍의 결합 핑거(21)중 단지 하나가 체인(26)에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각의 핑거(21)는 체인(26) 또는 다른 가동 지지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핑거(21b)가 또한 제공되어 있으며, 핑거(21a, 21b)는 교호하는 형태로 체인(26)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 핑거(21b)는 우측 핑거(21a)와 경상이며, 그 각진 부분(53)은 핑거(21a)의 각진 부분(53)의 방향에 대향된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핑거(21b)상의 결합 요소는 핑거(21a)상의 대응하는 결합 요소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착은 인접하고 결합된 핑거가 체인이 스프로켓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서로 멀리 피봇될 수 있도록 도어 힌지와 대부분 유사하게 피봇될 수 있어야 한다. 실제로, 인접한 핑거(21a, 21b)의 각진 부분이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힌지 결합이 성취될 수 있는 수단은 상당히 다양할 수 있다. 핑거(21a)상의 단순한 후크형 연장 결합 요소(51)가 이용되는 경우에, 핑거(21b)상의 결합 요소는 간단한 슬롯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 요소(51)는 상기 슬롯을 통해 연장된다. 또한,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공지된 다른 힌지형 커넥터가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핑거(21a, 21b)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단일 금속 스트립이 양 핑거를 형성할 수도 있다(금속 스트립에서의 적당한 벤드가 형성된 후). 이러한 구성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핑거(21a, 21b)의 접속부는 가요성 굽힘부를 포함하여 체인이 스프로켓을 중심으로 통과할 때 결합된 핑거가 서로로부터 멀리 피봇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영역에서의 가요성은 이 영역에서 보다 얇은 금속 스트립을 이용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우측 및 좌측 핑거(21a, 21b)가 교호하는 형태로 체인(26)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구별되는 종류의 격실이 제공된다. 인접한 결합된 핑거(21a, 21b)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폐쇄된" 격실(28a)이 제공된다. 격실(28a)이 폐쇄되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기저귀가 입구(39)를 통해서 격실(28a)내에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각진 부분(53) 및 결합 요소(51)는 격실(28a)의 후방 부분[즉, 체인(26)에 인접한 부분]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격실(28b)은 각진 부분(53)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인접한 핑거 사이의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에서, 기저귀는 입구(39) 또는 후방 입구(40)를 통해 격실(28b)내로 부착될 수 있다. 후방 입구(40)는 인접한 핑거 사이의 어떠한 접속에 의해서 차단되지 않거나, 오프셋 브라켓(52)에 의해 제공된 오프셋으로 인해서 이것을 차단하지 않는다. 각각의 격실은 체인(26)의 평면과 상이한 평면에 잔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격실(28)은 체인(26) 및 스프로켓상에 위치되며, 격실은 스프로켓을 중심으로 전진된다.
상기 핑거 형태는 기저귀가 선택적으로 기저귀 운반 컨베이어로부터 격실(28a, 28b)내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기저귀가 운반 컨베이어로부터 격실(28a)내로 배출될 때, 인접한 핑거의 결합된 각진 부분(53)은 체인(26)에 인접하고 그 위의 격실의 후방에서 기저귀의 운동을 정지시키며, 이에 의해 기저귀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실(28a)내에 잔류되는 것을 보장한다. 스프로켓(22) 및 내부 루프 컨베이어 시스템(설명함)의 상세는 도 4에서 생략되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음에, 격실(28a)내에 배치된 기저귀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방법으로 체인(26)에 의해 스태커(20) 둘레로 운반된다. 그러나, 기저귀가 격실(28b)내로 배출 또는 배치되는 경우에, 격실로의 후방 입구가 개방된다. 따라서, 기저귀가 운반 컨베이어로부터 개방 격실(28b)내로 충분한 힘으로 배출된다면, 기저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실(28b)의 후방 입구(40)를 통해 통과될 것이다.
스태커(20)에 의해 규정된 폐쇄된 루프의 내부내에 내부 루프 컨베이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내부 루프 컨베이어 시스템은 격실(28b)을 통해 완전히 배출된 기저귀를 수납하고, 스태커(20)에 의해 규정된 폐쇄된 루프의 내부(13)를 통해서 이들 기저귀를 운반하며, 그후에 그 후방 입구를 통해서 다른 격실(28b)내로 이들 각 기저귀를 배치한다. 바람직하게, 내부 루프 컨베이어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직선 이동 경로를 따라서 폐쇄된 루프의 대향 측면으로 기저귀를 운반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기 동일한 배향(바람직하게 노즈 부분이 전방임)을 가진 기저귀(10)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저귀 공급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스태커(20)에 존재하게 된다. 핑거/체인 조합체가 스프로켓을 중심으로 전진되기 때문에, 기저귀는 폐쇄된 격실(28a) 및 개방(또는 "통과-관통") 격실(28b)내로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폐쇄된 격실(28a)내에 배치된 기저귀는 그내에 잔류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핑거/체인 조합체와 함께 폐쇄된 루프의 일부분을 중심으로 이동된다. 한편, 공급 위치(18)에서 개방 격실(28b)내로 배출된 기저귀는 이를 통해 완전히 통과되고, 내부 루프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포착된다. 그후에 폐쇄된 루프의 내부를 통해 통과되는 기저귀는 입구 위치(19)에 위치된 제 2 격실(28b)의 후방 입구(40)를 통해서 내부 루프 컨베이어에 의해 배출된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입구 위치(19)는 바로 대향 공급 위치(18)에 위치되며, 이에 의해 내부 루프 기저귀 통과를 간단하게 한다. 입구 위치(19)에서의 다른 격실은 기저귀를 이미 포함하는 폐쇄된 격실(28a)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 루프 컨베이어 시스템은 모든 다른 격실[즉, 격실(28b)]내로 통과-관통 기저귀를 입구 위치(19)에 배치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입구 위치(19)에서 폐쇄된 격실(28a)에서의 기저귀는 180° 회전되는 반면에, "통과-관통" 기저귀는 그러하지 않다. 따라서, 입구 위치(19)를 지난 기저귀는 교호하는 배향(즉, 노즈 전방 및 노즈 후연 배향 사이의 교호하는)으로 스태커(20)의 격실내에 위치될 것이다. 다음에, 교호하는 배향을 가진 기저귀의 어레이는 상술한 방법으로 스태커(20)로부터 제거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내부 루프 컨베이어 시스템은 다수의 회전가능한 드럼(62 내지 66)을 중심으로 각기 개별적으로 인장된 한쌍의 운반 벨트(60, 61)를 포함한다. 도시된 형태는 단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수많은 다른 드럼 위치가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운반 벨트(60, 61)는, 벨트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벨트(60, 61) 사이에서 기저귀가 운반될 수 있도록 밀폐 면한 관계로 위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운반 벨트 배열은 본 기술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서보 모터(46)는 드럼(64)을 구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일 서보 모터(46)는 양 벨트를 구동시켜서 균일한 벨트 속도를 보장한다. 따라서, 서보 모터(46)는 양 구동 드럼(64)에 적당한 전동 장치에 의해 링크연결되어야 한다.
서로 바로 인접한 벨트(60, 61)의 부분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도록 구동 드럼(64)은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모든 다른 회전가능한 드럼, 즉 드럼(62, 63, 65, 66)은 대향 벨트와 결합된 대응하는 숫자의 드럼의 방향과 대향된 방향으로 각각 회전된다. 예를 들면, 제 1 운반 벨트(60)와 결합된 드럼(63)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반면에, 제 2 운반 벨트(61)와 결합된 드럼(63)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서, 기저귀(10)가 개방 격실(28b)내로 배출되거나 배치되고 격실의 후방 입구(40)를 통해 통과되는 경우에, 기저귀는 전진 벨트(60, 61)에 의해 파지될 것이다. 따라서, 기저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60, 61) 사이에서 입구 위치(19)쪽으로 운반될 것이다. 기저귀가 이동할 영역에서의 벨트(60, 61) 사이의 거리는 기저귀를 손상됨이 없이 기저귀 운반을 실행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본 발명의 내부 루프 시스템은 기저귀를 스태커내로 공급하는데 이용된 종래 기술의 운반 컨베이어와 유사하다는 것은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내부 루프 컨베이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그 후방 입구(40)를 통해서 격실(28b)내로 각 기저귀를 배출하기 때문에, 격실이 초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정지 바아(70)는 입구 위치(19)에 위치된 격실의 입구(39)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정지 바아(70)는 단순히 3개의 각 개방 격실(28b)을 지나서 내부 루프 컨베이어 시스템으로부터 배출된 기저귀의 이동을 더 방지하는 것이다.
모든 다른 격실과 루프의 내부를 통해 기저귀를 완전히 통과시키는 공정은 폐쇄된 격실(28a)내에 기저귀를 단순히 위치시키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긴 시간 주기 동안에 통상 이뤄진다. 이러한 시간 변화는 스태커(20)의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시도하는 경우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들 문제점을 극복하고 모든 타이밍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내부 루프 컨베이어 시스템은 다른 기저귀에 의해 차지하지 않은 적당한 격실내로 기저귀를 배향할 수 있는 있도록 피봇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 벨트(60, 61)와, 이들 벨트가 인장되는 각 드럼을 포함하는 내부 루프 컨베이어 시스템은 공급 위치(18)에서 스프로켓(22)의 축에 대응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제 3 서보 모터(47)는 화살표(C)로 표시한 바와 같이 입구 위치(19)에 인접한 내부 루프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부분의 이동을 실행하도록 전기자(48)를 구동시키는데 이용된다. 환언하면, 운반 벨트(60, 61) 사이로부터 기저귀가 빠져나가는 지점은 적당한 격실내로 통과-관통 기저귀를 배향하도록 피봇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출 지점[즉, 입구 위치(19)에 인접한 벨트(60, 61)의 부분]은 다음 기저귀가 그 내로 배출될 개방 격실(28b)의 이동을 추적하며, 이에 의해 적당한 기저귀 배치를 보장하게 된다. 내부 루프 컨베이어 시스템의 피봇 작용은 본 발명의 어레이 형성 공정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스프로켓(24, 25)의 횡방향 이동과 함께 균일하게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장점은 매 기저귀가 스태커(20)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저귀는 교호하는 격실(28b)을 통해 통과될 수 있거나, 핑거는 균일하게 변형되어 모든 핑거가 후방 입구(40)를 구비하는 개방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모든 기저귀가 통과될 수 있게 함으로써, 스태커로부터 강제된 어레이에서의 기저귀의 배향은 서로 모두 균등하지만, 기저귀를 스태커에 의해 180° 회전시키게 하는 종래 기술에 의해 전형적으로 제공되는 배향과는 반대이다. 또한,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배향에 다수의 기저귀를 구비하는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에, 개방 격실(28b)은 폐쇄된 격실(28a)과 정밀하게 교호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내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술한 설명은 가능한 본 발명의 각각의 그리고 모든 변형예를 총망하하는 것이 아니며, 그에 따라 도시 및 설명을 위해서 표현된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기술에 비추어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며, 이들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영역내에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이 기저귀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 장치 및 방법은 성인용 실금 패드 뿐만 아니라 어레이내로 수집될 모든 다른 형태의 제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역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며, 도면에 도시된 것과 상술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5)

  1. 제품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격실을 구비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스태커를 제공하는 단계와,
    ⓑ 상기 다수의 제품을 연속적인 형태로 상기 스태커쪽으로 제 1 경로를 따라 운반하는 단계와,
    ⓒ 상기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입구 위치에서 상기 격실내로 상기 제품의 제 1 부분을 도입하는 단계와,
    ⓓ 상기 입구 위치로부터 하류에 위치된 스트립핑 위치에서 상기 스태커로부터 상기 제품의 어레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제 2 부분을 제 2 입구 위치에서 상기 격실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가 상기 제품의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의 제품이 상기 제 2 부분의 제품의 배향과 대향된 배향에서 상기 어레이에 위치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격실은 제 1 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격실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2 입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품의 제 1 부분은 상기 제 2 입구를 통해 상기 격실내로 도입되며, 상기 제품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입구를 통해 상기 격실내로 도입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는 상기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격실은 인접한 핑거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의 각 제품은 제 1 및 제 2 입구 양자를 구비하는 격실을 통해서 상기 제 1 경로부터 상기 제품을 완전히 강제함으로써 격실내로 도입되며, 그후에 상기 제 1 입구 위치에 위치된 다른 격실내로 도입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의 각 제품은 상기 제품을 상기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를 통해 운반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 1 입구 위치에 위치된 격실내로 강제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는 상기 핑거가 고정되는 전진가능한 지지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진가능한 지지체는 상기 핑거의 이동 평면과는 상이한 평면에서 상기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전진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의 각각은 제 1 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격실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2 입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입구는 상기 전진가능한 지지체에 기단에 위치된 인접한 핑거 사이의 영역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제 1 입구는 상기 전진가능한 지지체에 말단에 위치된 인접한 핑거 사이의 영역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제품의 제 1 부분은 상기 제 2 입구를 통해 상기 격실내로 도입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어레이는 상기 제 1 입구를 통해 상기 어레이를 상기 격실을 벗어나게 강제함으로써 상기 스태커로부터 제거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기저귀 및 성인용 실금 패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12. 연속적인 포장을 위해서 제품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 상기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전진가능한 다수의 격실을 구비하는 연속적인 스태커와,
    ⓑ 상기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입구 위치에서 상기 다수의 제품을 상기 격실내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과,
    ⓒ 상기 제 1 입구의 하류에 위치되며, 제품의 어레이를 상기 격실을 벗어나게 강제하기 위한 스트립퍼를 포함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 1 및 제 2 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은 제 1 입구를 통해 격실내로 강제되고, 그 후에 제 2 입구를 통해 격실을 벗어나도록 강제되는 제품이 상기 제 1 입구 위치로 운반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에 존재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는 전진가능한 지지체에 고정된 다수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격실은 인접한 핑거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가능한 지지체는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은 상기 격실의 평면과는 상이한 평면을 따라 전진가능한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의 일부분이 인접한 핑거에 각각 부착되어 있어서, 서로 부착된 인접한 핑거 사이의 영역에 의해 규정된 각 격실이 상기 제 2 입구에 없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오프셋 브라켓에 의해 상기 전진가능한 지지체에 부착되며, 상기 제 2 입구는 상기 전진가능한 지지체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이 그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서 면한 관계로 위치된 한쌍의 전진가능한 벨트를 포함하여서, 상기 제품이 상기 벨트 사이의 상기 제 1 입구 위치로 전달될 수 있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은 상기 제품을 상기 폐쇄된 루프 경로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운반되게 위치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의 각각은 제 1 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격실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2 입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입구는 상기 전진가능한 지지체에 기단에 위치된 인접한 핑거 사이의 영역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제 1 입구는 상기 전진가능한 지지체에 말단에 위치된 인접한 핑거 사이의 영역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은 상기 제 2 입구를 통해 상기 제 1 입구 위치에서 상기 격실내로 상기 제품을 운반하도록 구성된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퍼는 상기 제품을 상기 제 1 입구를 통해 상기 격실을 벗어나도록 강제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22. 제품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격실을 구비하는 스태커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태커는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격실의 각각은 제 1 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격실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2 입구를 구비하는, 상기 스태커 제공 단계와,
    ⓑ 상기 다수의 제품을 연속적인 형태로 상기 스태커쪽으로 제 1 경로를 따라 운반하는 단계와,
    ⓒ 상기 제품의 제 1 부분을 제 1 입구 위치에서 상기 제 2 입구를 통해 상기 격실내로 도입하고, 상기 제 2 제품의 제 2 부분을 제 2 입구 위치에서 상기 제 1 입구를 통해 상기 격실내로 도입하는 단계와,
    ⓓ 상기 양 입구 위치로부터 하류에 위치된 스트립핑 위치에서 상기 스태커로부터 상기 제품의 어레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가 상기 제품의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의 제품이 상기 제 2 부분의 제품의 배향과 대향된 배향에서 상기 어레이에 위치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의 각 제품은 제 1 및 제 2 입구 양자를 구비하는 격실을 통해서 상기 제 1 경로부터 상기 제품을 완전히 강제함으로써 격실내로 도입되며, 그후에 상기 제 1 입구 위치에 위치된 다른 격실내로 도입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의 각 제품은 상기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상기 제 1 입구 위치로부터 상류인 제 2 입구 위치에서 격실내로 도입되는
    제품의 어레이 형성 방법.
KR1020007003694A 1997-10-07 1998-10-07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010030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44,537 1997-10-07
US08/944,537 US5897292A (en) 1997-10-07 1997-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rrays of articles for packaging
PCT/US1998/021301 WO1999018019A1 (en) 1997-10-07 1998-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rrays of articles for packag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949A true KR20010030949A (ko) 2001-04-16

Family

ID=2548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694A KR20010030949A (ko) 1997-10-07 1998-10-07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97292A (ko)
EP (1) EP1021362A1 (ko)
JP (1) JP2001519302A (ko)
KR (1) KR20010030949A (ko)
AU (1) AU1186599A (ko)
WO (1) WO1999018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1627B1 (fr) * 1996-09-24 1998-10-16 Remericq Maurice Installation pour l'emmagasinage temporaire d'articles et procede de commande du fonctionnement de cette installation
FR2778898B1 (fr) * 1998-05-22 2000-08-04 Realisations Electr Et Mecaniq Procede pour alterner le sens d'empilage d'objets plats et souples, moyens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et installations de constitution de lots equipes de ces moyens
JP4159670B2 (ja) * 1998-09-25 2008-10-01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Ptp包装体の集束移載方法及び装置
DE10019069A1 (de) * 2000-04-18 2001-10-25 Optima Filling & Packaging Vorrichtung zur Bildung von Stapeln
US20020123730A1 (en) 2001-03-05 2002-09-05 Popp Robert Lee Tucked fastener for improved fastener performance
FR2825352A1 (fr) * 2001-05-30 2002-12-06 Realisations Electr Et Mecaniq Procede de chargement d'articles plats
US6723035B2 (en) * 2001-09-28 2004-04-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tucking side panels with side panel fold location control
US6776316B2 (en) * 2001-09-28 2004-08-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tucking refastenable side seams
DE10150496A1 (de) 2001-10-16 2003-04-24 Winkler & Duennebi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efinierten Ablegen von Produkten aus einer Fächerkette
US20030220696A1 (en) * 2002-05-23 2003-11-27 Levine David Jerome Implantable porous metal
US20050023168A1 (en) * 2003-07-31 2005-02-03 Marnocha Craig M. Shipping and display system
DE10341992A1 (de) * 2003-09-08 2005-03-31 Optima Filling And Packaging Machines Gmbh Stapelbildungsvorrichtung
DE10348233A1 (de) * 2003-10-09 2005-05-04 Optima Filling & Packaging Vorrichtung zur Bildung von Stapeln
DE102004015763A1 (de) * 2004-03-24 2005-10-13 Optima Filling And Packaging Machin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ildung von Stapeln
DE102004030013A1 (de) * 2004-06-22 2006-01-12 Premark Feg L.L.C. (N.D.Ges.D. Staates Delaware), Wilmington Geschirrspülmaschine und Betriebsverfahren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DE102004031290A1 (de) * 2004-06-29 2006-02-09 Adam Opel Ag Ankippsystem für eine Bördelvorrichtung
DE102006005397A1 (de) * 2006-02-03 2007-08-09 Focke & Co.(Gmbh & Co. Kg) Vorrichtung zum Handhaben von flachen Gegenständen, insbesondere Windeln
DE102007021146A1 (de) 2007-05-03 2008-11-06 Focke & Co.(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andhaben von flachen Gegenständen, insbesondere Windeln
FR2951444B1 (fr) * 2009-10-19 2012-08-17 Stork Food Systems France Dispositif de formation de lots de produits pour leur chargement dans des receptacles
IT1400627B1 (it) * 2010-06-17 2013-06-14 Immobiliare Metalprogetti Srl Dispositivo distributore automatico per oggetti.
DE102010053040A1 (de) * 2010-12-02 2012-06-06 Focke & Co.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Gruppieren von Gegenständen
JP5755918B2 (ja) * 2011-03-24 2015-07-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897837B2 (ja) * 2011-07-25 2016-03-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US9505512B2 (en) * 2011-12-14 2016-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eet good loading device and method of loading sheet goods
EP2604237B1 (en) 2011-12-14 2014-07-2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viding arrays of absorbent articles in varying orientations for packaging
DE102012208029A1 (de) * 2012-05-14 2013-11-14 Robert Bosch Gmbh Einrichtung zum Übergeben von Gegenständen in Aufnahmen einer Fördervorrichtung
DE102012015820A1 (de) * 2012-08-10 2014-02-13 Focke & Co. (Gmbh & Co. Kg) Fertigungs- und Verpackungsanlage für Hygieneprodukte sowie Verfahren zurn Betreiben derselben
ITBO20120619A1 (it) * 2012-11-09 2014-05-10 Tissue Machinery Co Spa Apparato e metodo di confezionamento di pannolini o altri oggetti sanitari morbidi piatti ripiegati.
JP5865885B2 (ja) * 2013-11-13 2016-02-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に係る物品の集積装置、及び集積方法
CN106413647B (zh) * 2014-05-27 2020-03-31 宝洁公司 制备吸收产品的方法
GB201512819D0 (en) 2015-07-21 2015-09-02 Scaife Martin Customised fast moving consumer goods produ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2736A (en) * 1968-11-18 1971-01-05 Kimberly Clark Co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disposable diapers
US3685818A (en) * 1970-04-06 1972-08-22 Kimberly Clark Co Machine for making diapers
SE355002B (ko) * 1971-11-22 1973-04-02 Sunds Ab
US3954165A (en) * 1973-07-12 1976-05-04 R. C. H. Tool Corporation Automatic collating machine
US3915293A (en) * 1974-02-15 1975-10-28 Fairchild Industries Article loading apparatus
US3961697A (en) * 1974-03-20 1976-06-08 R. A. Jones & Company Inc. Apparatus for shingling and packing of articles
US4022456A (en) * 1975-07-11 1977-05-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and cutting an interconnected web of disposable diapers or the like having stretched elastic leg bands secured thereto
US4018432A (en) * 1975-11-20 1977-04-19 Kimberly-Clark Corporation Diaper folder and stacker mechanism
US4106260A (en) * 1976-09-29 1978-08-15 Hanes Corporation Article folding and packaging system
US4074508A (en) * 1976-12-21 1978-02-21 Riegel Textile Corporation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ban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articles
US4141193A (en) * 1977-07-12 1979-02-27 Joa Curt G Horizontal diaper grouper
CH632203A5 (de) * 1978-08-22 1982-09-30 Sig Schweiz Industrieges Einrichtung zur konstanthaltung des gewichtes von stapelpackungen.
US4370844A (en) * 1979-03-12 1983-02-01 O. G. Hoyer A/S Packaging apparatus
US4307800A (en) * 1979-12-03 1981-12-29 Joa Curt G Apparatus for alternating the folded and open edges of a succession of folded pads
US4374559A (en) * 1980-03-12 1983-02-22 Baker Perkins Holdings Ltd. Apparatus for handling articles
US4325475A (en) * 1980-05-21 1982-04-20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US4394898A (en) * 1981-04-23 1983-07-26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lanced stacks of diapers
US4399905A (en) * 1981-07-02 1983-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alternately forming and forwarding stacks of articles
US4577453A (en) * 1984-02-01 1986-03-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cartoning multi-stack arrays of compressible articles
US4650173A (en) * 1984-07-13 1987-03-17 Paper Converting Machine Co. Method of operating a diaper producing machine and apparatus
JPS61115810A (ja) * 1984-11-05 1986-06-03 村田機械株式会社 コーン状物品の箱詰めロボット
SE451261B (sv) * 1986-01-08 1987-09-21 Mo Och Domsjoe Ab Anordning for att dubbelvika en flexibel produkt
IT1189948B (it) * 1986-04-21 1988-02-10 Ciba Leasing Srl Macchina automatica per l'inscatolamento di sacchetti con uno o due bordi contrapposti appiattiti
US4771589A (en) * 1987-09-24 1988-09-20 Osgood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package of alternately inverted containers
DE3940296A1 (de) * 1989-06-24 1991-01-10 Focke & Co Produktionsanlage fuer die herstellung von grosseinheiten in der form von kartonierten gebinden aus gruppen von kleinpackungen von papiertaschentuechern
US5174089A (en) * 1989-08-07 1992-12-29 Danieli & C. Officine Meccaniche Spa Method to package sections and rotary packaging machine that employs the method
US5018334A (en) * 1990-04-11 1991-05-28 H. J. Langen & Sons Limited Carton loading machine having load accumulator
DE4022162A1 (de) * 1990-07-12 1992-01-16 Licentia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stapeln von kleingut
US5081823A (en) * 1990-07-23 1992-01-21 Ent Hans V D Multiple article stacking and packaging apparatus
IT1248120B (it) * 1991-01-25 1995-01-05 Bruno Castellan Gruppo traslatore-posizionatore strato
US5218813A (en) * 1991-04-24 1993-06-15 Graphic Management Associates, Inc. Bundling device and method
IT1251485B (it) * 1991-09-17 1995-05-15 Sagitta Off Mec Macchina perfezionata per la ripiegatura e l'incollaggio periferico dei bordi di un materiale in foglio e simili
DE4204987C2 (de) * 1992-02-19 1995-04-13 Natec Reich Summer Gmbh Co Kg Vorrichtung zum Schneiden und Abstapeln von scheibenförmigen Einzelpackungen
WO1994014685A2 (en) * 1992-12-18 1994-07-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grouping and orientating articles
NL9300442A (nl) * 1993-03-11 1994-10-03 Kloeckner Haensel Tevopharm Stapelinrichting.
US5400894A (en) * 1994-03-14 1995-03-28 Brenton Engineering Co. Production line accumulator
FI98444C (fi) * 1995-08-04 1997-06-25 Mitek Holdings Inc Laitteisto naulalevyjen tai vastaavien pakkaamiseksi
DE19601664C2 (de) * 1996-01-18 1998-09-03 Gevas Verpackungs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ageorientierten Anordnen von durch Faltung an gegenüberliegenden Kanten ungleich dicken Hygieneartikeln zum nachfolgenden Verpac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19302A (ja) 2001-10-23
US5897292A (en) 1999-04-27
WO1999018019A1 (en) 1999-04-15
EP1021362A1 (en) 2000-07-26
AU1186599A (en) 199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0949A (ko)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010030948A (ko) 제품의 어레이 형성 장치 및 방법
US7104027B2 (en) Product packaging system
EP0480436B1 (en) Distributing and collecting device for products to be conveyed
CZ295830B6 (cs) Balicí stroj, zejména pro nápojové plechovky
US4443995A (en) Metering device and method
JPH0448692B2 (ko)
AU2007209736B2 (en) Apparatus for collating flat objects and for conveying the collated objects further
AU702313B2 (en) Apparatus for combining sheet-like products
PL185130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maszynowego nakładania elementów wylewowych na mające płaską ściankę górną, prostopadłościenne opakowania wypełnione płynnymi produktami
EP0250190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collating articles
JP2007508218A (ja) スタッカー
CA1272158A (en) Slide fastener overturning conveyor
SK30094A3 (en) Method of transporting of products and device for realization of this method
US20210047140A1 (en) Accumulator for Processing Line and Method of Using Same
CA2346397C (en) Automatic handling device for flexible flat products, in particular catamenial products, and intermediate stacker unit to be used therein
US3524530A (en) Device for feeding brochures
US4502262A (en) Insert packaging device
US6698579B1 (en) Automatic handling device for flexible flat products, in particular catamenial products and intermediate stacker unit to be used therein
JPH0740942A (ja) 物品包装機
NL8901437A (nl) Inrichting voor het overbrengen van stapels produkten voor verpakking, en installatie voorzien van de inrichting.
GB2074120A (en) Feeding and folding leaflets to be boxed with articles
JPH0398835A (ja) 薬剤包装機の薬包取出装置
JPH0398824A (ja) 段積整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