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452A -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 Google Patents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452A
KR20010030452A KR1020000055257A KR20000055257A KR20010030452A KR 20010030452 A KR20010030452 A KR 20010030452A KR 1020000055257 A KR1020000055257 A KR 1020000055257A KR 20000055257 A KR20000055257 A KR 20000055257A KR 20010030452 A KR20010030452 A KR 20010030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astic
rotating body
movable contact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195B1 (ko
Inventor
이시하라유키히로
사와다마사키
야마모토다모츠
이노우에히로토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3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5Electromechanical pulse generators
    • H01H2019/006Electromechanical pulse generators being rotation direction sensitive, e.g. the generated pulse or code depends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1H2019/146Roller type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기기의 조작면으로부터 돌출된 원형 조작 손잡이의 외주를 접선방향으로 회전조작 및 회전중심방향으로 가압 조작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에 관한 것으로, 본체 부분의 외경(外徑)을 작게하여, 사용기기의 케이스 높이를 낮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압 조작이 부드럽고 조립하기 용이한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체부(基體部)(31)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프레임(33)내에 중앙 대경(大徑)부가 원주형 손잡이부(35)로 된 스텝 원주형상의 회전체(3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손잡이부(35) 측부의 원형축부(36)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동접점(37)에 대해, 기체부(31)에 지지된 탄성접점(39A, 39B, 39C)을 탄성 접촉시켜 회전형 엔코더를 구성함과 동시에, 프레임(33)의 회전 이동에 의해 동작하는 자력 복귀형 가압 스위치(41)를 기체부(31)에 배치한다.

Description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ELECTRONIC PARTS OF PRESS TURN-OPERATING TYPE}
본 발명은 주로 마우스 등의 컴퓨터 주변기기, 휴대전화 등의 통신단말기기, 차에 싣는 전장품 등에 사용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기기의 조작면에서 돌출된 원형조작 손잡이의 외주를 접선 방향으로 회전하는 조작과 회전 중심축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조작을 행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으로는 도15의 외관 사시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가압 스위치 부착 회전형 엔코더(이후, 간단히 REPS라고 표기한다)가 알려져 있다.
도16은 그 REPS의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종래의 REPS에 대해 도15와 도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REPS는 접점 부착 기판(1)과, 상기 접점 부착 기판(1)의 편측에 배치된 회전 조작부로서의 회전형 엔코더(2)와, 상기 접점 부착 기판(1)의 반대측에 배치된 가압 조작부로서의 가압 스위치(3)로 이루어진다.
회전형 엔코더(2)는 일정 범위에서 수직방향(도15 및 도16에 도시하는 화살표V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접점 부착 기판(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압 스위치(3)는 접점 부착 기판(1)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접점 부착 기판(1)은 도17의 외관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평판상의 수지체에 회전형 엔코더(2)의 이동용 가이드 레일부(4)를 가지는 오목부(5)와, 가압 스위치(3)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부(6)와, 회전형 엔코더(2)의 전기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3세트의 접점판(8)과 접속된 단자(7)와, 하단의 부착면(1B)에 이 REPS를 기기의 배선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레그부(1A)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형 엔코더(2)는 도16의 측면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a)접점 부착 기판(1)의 오목부(5)에 끼워넣어진 수지제의 슬라이드 접점체(9)와,
b)상기 슬라이드 접점체(9)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된 세개의 탄성 접점(10)과,
c)상기 슬라이드 접점체(9)에 부착된 원주축(15)과,
d)상기 원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된 원형의 조작 손잡이(12)와,
e)상기 원형의 조작 손잡이(12)의 내면에 부착된 수지제의 회전체(14)와,
f)상기 회전체(14)에 지지된 방사상 가동 접점판(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 접점체(9)는 가이드 레일부(4)에 의해 일정 범위에서 수직방향(화살표V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오목부(5)에 끼워져 지지된다.
도19는 상기 두개의 탄성 접점(10)과 방사상 가동 접점판(13)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슬라이드 접점체(9)에 고정된 공통 탄성 접점과 두개의 신호용 탄성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세개의 탄성접점(10)은 방사상 가동 접점판(13)의 링상 접점부(13A) 및 빗살상 접점부(13B)에 탄성 접촉하고 있다. 즉, 상기 세개의 탄성접점(10)은 상기 원주축(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14)에 지지된 방사상 가동 접점판(13)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손잡이(12)를 회전시키면, 세개의 탄성접점(10)은 링상 접점부(13A) 및 빗살상 접점부(13B)위를 탄성 접촉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조작에 의해, 회전형 엔코더(2)는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세개의 탄성접점(10)의 각각과 도통시킨 세개의 탄성접점(11)은 접점 부착 기판(1)에 배치된 세개의 접점판(8)과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형 엔코더(2)에서 발생한 전기신호는 상기 탄성접점(11)과 상기 접점판(8)을 통해 상기 단자(7)로 전달된다.
또한, 슬라이드 접점체(9)의 하방 단부에 장착된 판스프링(16)은 접점 부착 기판(1)의 핀상 돌기(17)(도17 참조)에 탄성 접촉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통상 판스프링(16)은 회전형 엔코더(2)가 가압 스위치(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도록 힘을 가하고 있다.
가압 스위치(3)는 접점 부착 기판(1)의 회전형 엔코더(2)와는 반대측 면의 오목부(6)(도17에 도시한다)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1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가압 스위치(3)의 조작 버튼(18)은 회전형 엔코더(2)의 원주축(15)의 가압부(15A)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 스위치(3)의 전기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단자(19)는 그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종래의 REPS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것이다. 도18은 이 REPS가 사용기기에 장착되는 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1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점 부착 기판(1)은 그 하단의 부착면(1B)이 배선기판(20) 면에 접하도록, 레그부(1A)에 의해 배선기판(20)에 장착된다. 또한, 회전형 엔코더(2)의 단자(7)와, 가압 스위치(3)의 단자(19)는 기기 배선기판(20)의 부착 구멍(21, 22)에 삽입되어 납땜된다. 또한, 원형 조작 손잡이(12)의 외주부(12A)는 조작부로서 기기의 상부 케이스 조작면(2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기기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REPS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기재한다.
우선, 회전형 엔코더(2)에 대해 기재한다.
조작자는 원형의 조작 손잡이(12)의 외주부(12A)에 접선방향(도15에 도시하는 화살표H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조작 손잡이(12)를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 회전체(14)가 축(15)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세개의 탄성접점(10)은 회전체(14)에 지지된 방사상 가동 접점판(13)의 링상 접점부(13A) 및 빗살상 접점부(13B)위를 탄성 접촉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 결과, 회전형 엔코더(2)는 회전형 엔코더로서 조작 손잡이(12)의 회전방향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이 전기신호는 탄성접점(10)으로부터 세개의 탄성접점(11)을 경유하여, 접점 부착 기판(1)상의 접점판(8)에 전달된다. 또한, 그 전기신호는 외부 접속용 단자(7)를 거쳐 기기의 배선기판(20)의 회로에 전달된다.
다음에, 가압 스위치(3)에 대해 기재한다.
조작자는 회전형 엔코더(2)를 밀어올리는 판스프링(16)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원형 조작 손잡이(12)의 외주부(12A)에 회전축 중심방향(도16 및 도18에 도시하는 화살표V1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가한다. 이 누르는 힘에 의해 회전형 엔코더(2) 전체는 접점 부착 기판(1)의 가이드 레일부(4)에 따라 화살표V1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 움직임에 따라 원주축(15)의 가압부(15A)는 조작 버튼(18)을 눌러내린다. 그 조작 버튼(18)의 움직임에 의해 가압 스위치(3)는 동작하고,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그 전기신호는 단자(19)를 거쳐 기기 배선기판(20)의 회로에 전달된다. 이 후, 조작 손잡이(12)에 가해진 누르는 힘을 없애면, 판스프링(1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형 엔코더(2)가 되돌려져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종래의 REPS는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REPS에서 상기 방사상 가동 접점판(13)은 링상 접점부(13A)의 외측에 빗살상 접점부(13B)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직경이 크다. 따라서, 회전체(14)의 외경도 크다.
그리고, 이를 조작하는 원형의 조작 손잡이(12)는 더 크게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도1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사용기기에 장착할 경우, 접점 부착 기판(1)이 조작면(23)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또한, 배선기판(20)과 조작 손잡이(12)의 외주와의 사이에 조작 손잡이(12)가 회전할 수 있도록 간극이 필요하다.
이때문에, 기기의 조작면(23)으로부터 배선기판(20)까지의 사이를 넓게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REPS를 부착한 기기의 케이스 높이 치수가 커져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접점 부착 기판(1)의 편측에 회전형 엔코더(2)가 상하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그 반대측에 가압 스위치(3)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조작 손잡이(12)를 가압 조작할 경우, 접점 부착 기판(1)의 가이드 레일부(4)에 비틀리는 힘이 작용하고, 조작감이 흩어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REPS는 회전형 엔코더(2)에서 발생한 전기신호를 전하기 위해 탄성접점(11)과 접점판(8)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REPS는 탄성접점 및 슬라이드 이동 접촉부가 많고, 조립이 어려우며 비용이 높다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회전 조작부 및 원형의 조작 손잡이의 직경을 작게할 수 있어, 사용기기의 케이스 높이 치수를 작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조작이 부드럽고, 구성 부품수가 적어 조립하기 쉬우며, 낮은 가격의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은 회전 조작부와, 자력 복귀형 가압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 조작부는 절연 재료제 기체부와, 상기 기체부에 형성된 지지부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을 구비한 변을 가지는 사각형 프레임과, 상기 사각형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면에 가동접점을 형성한 소경부와 손잡이부인 대경부로 이루어지는 스텝 원주형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 소경부의 외주면에 구비된 가동접점에 탄성 접촉하고, 상기 기체부에 지지된 탄성접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력 복귀형 가압 스위치는 상기 기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회전 이동에 의해 가압 되어 동작한다.
이에 따라, 조작 손잡이의 직경을 작게할 수 있어 장착 기기의 케이스 높이 치수를 작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압 조작이 부드럽고, 구성부품수가 적어 조립하기 쉬우며 낮은 가격의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지지축을 구비한 변에 대향하는 변의 단부 돌기가 기체부에 형성된 규제구멍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회전 이동 각도를 규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수지로 형성한 중앙구멍을 가지는 대경 중공 원통상의 손잡이부와, 외주면에 가동접점을 구비한 소경의 원형 축부로 구성한다. 상기 원형 축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중앙구멍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외주면이 조작되는 대경의 손잡이부와 외주면에 가동접점을 가지는 소경의 축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체를 고정밀도의 낮은 가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손잡이부의 외경·형상이나 색의 변경, 전기신호의 차이에 의한 가동접점의 변경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의 원형 축부의 상기 손잡이부 양측 근원부를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대향하는 2변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상기 원형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2변의 외측에 상기 원형 축부의 가동접점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접점 및 이에 탄성 접촉하는 탄성접점 주위를 커버로 덮은 것이다. 즉, 사용하는 사람의 손으로 조작되는 손잡이부에서 접점부분을 프레임에서 분리하고, 커버로 덮는다. 이 구성에 의해, 접점부분의 먼지를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REPS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REPS의 정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하는 REPS 분해 사시도,
도4A, B, C, D는 도1에 도시하는 REPS 회전체의 형성과정의 설명도,
도5는 도2의 5-5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6은 도2의 6-6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7은 도2의 7-7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8은 도1에 도시하는 REPS를 장착한 기기의 정면에서 본 부분 단면도,
도9는 도8의 9-9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10은 도8의 10-10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REPS의 정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
도12는 도11에 도시하는 REPS의 분해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REPS의 정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
도14는 도13에 도시하는 REPS의 분해 사시도,
도15는 종래의 REPS의 외관 사시도,
도16은 도15에 도시하는 종래의 REPS의 측면 단면도,
도17은 도15에 도시하는 종래의 REPS의 요부인 접점 부착 기판의 외관 사시도,
도18은 도15에 도시하는 종래의 REPS를 장착한 기기의 측면에서 본 부분 단면도,
도19는 도15에 도시하는 종래의 REPS 접점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에 대해 최근의 컴퓨터 주변기기나 통신단말기기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REPS를 예로들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1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REPS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REPS의 정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하는 REPS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 2,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REPS는
a) 다수의 탄성접점을 구비한 절연 수지제의 기체부(31)와,
b) 상기 기체부(31)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부(32)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사각형 프레임(33)과,
c) 상기 사각형의 프레임(3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가동접점부를 가지는 회전체(34)와,
d) 기체부(31)에 배치된 가압 스위치(41)와,
e) 상기 다수의 탄성접점과 가동접점부의 먼지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42)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체부(31)는 세개의 탄성접점(39A, 39B, 39C)과 접속부(40A)를 구비한 평판 스프링(40)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회전체(34)는 그 중앙부에 대경 원주형의 손잡이부(35)와, 그 양측부에 소경의 원형 축부(36A) 및 (36B)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34)는 단부의 원주형상이다. 상기 원형축부(36A)의 외주면에, 가동접점(37)이 배치되고, 원형 축부(36B)에 링상 요철부(38)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접점(37)은 기체부(31)에 지지된 세개의 탄성접점(39A, 39B, 39C)과 탄성 접촉하고 있다. 또한, 링상 요철부(38)는 기체부(31)로부터 신장된 평판스프링(40)의 접속부(40A)와 탄성 접촉하고 있다.
상기 기체부(31)와 상기 회전체(34)는 회전 조작부로서의 회전형 엔코더를 구성한다.
그리고, 프레임(33)은 도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지축(43)을 구비한 변(44A)과, 이에 대향하는 변(44B)과, 이들과 직교하도록 연결된 대향하는 2변(45A, 45B)으로 이루어진다. 변(44A)의 지지축(43)은 기체부(31)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부(32)의 지지 구멍(32A)에 삽입되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에 대향하는 변(44B)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46A)와 (46B)는 기체부(31)에 형성된 규제 구멍(47A, 47B)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33)의 회전 이동 각도범위는 규제 구멍(47A, 47B)에 의해, 고정밀도로 규제되어 있다.
기체부(31)에 설치된 가압 스위치(41)는 상기 프레임(33)의 회전 이동에 의해 가압되어 동작한다. 상기 가압 스위치(41)는 자력 복귀형의 가압 스위치이다.
또한, 커버(42)는 가동접점(37) 및 탄성접점(39A, 39B, 39C) 등의 주위를 덮어 먼지 방지를 도모하고, 접점부 등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REPS는 소형이고 낮은 가격의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프레임(33)의 2변(45A, 45B)의 각각의 중앙에, 상방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지지 구멍(48A, 48B)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지지 구멍(48A, 48B)에 스텝 원주형상 회전체(34)의 원형 축부(36A, 36B)가 상방으로부터 가압 삽입되어 있다. 상기 지지 구멍(48A, 48B) 각각의 개구부 폭은 상기 원형 축부(36A, 36B)의 외형보다 조금 작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해 회전체(34)는 상기 프레임(3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도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회전체(34)는 대경 원통상의 수지제 손잡이부(35)의 중앙 구멍(35A)에 가동접점(37)을 가지는 소경 원형 축부(36)를 삽입 결합시킨 것이다.
도4는 상기 회전체(34)의 형성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4A의 외관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헤더 가공에 의해 금속막대의 양단부에 링상 요철부(38) 및 (48)과, 금속막대의 대략 중간에 비원형의 돌출된 차양부(49)를 가지는 금속 원형축(50)을 형성한다. 요철부(38) 및 (48)의 요철 피치 각도는 동일 각도로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링상 요철부(48)의 요부(오목부)는 소정 절연수지를 아웃 서트 성형에 의해 절연수지로 메운다. 이 수지성형에 의해 도4B의 외관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전부(導電部)와 절연부가 원주상에 소정 각도 피치로 번갈아 배치된 빗살상 가동접점(37B)이 형성된다. 따라서, 원형의 링상 가동접점(37A)과 상기 빗살상 가동접점(37B)을 구비한 원형 축부(36)가 형성된다. 여기서, 가동접점(37A)과 상기 빗살상 가동접점(37B)의 도전부는 도통하고 있다.
또한, 도4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절연부를 형성하는 수지는 금속 원형축(50)의 링상 요철부(48)측의 중심 구멍(48A)을 포함하는 단면 전체를 원판상으로 덮는다. 이 구성에 의해, 빗살상 가동접점(37B)의 절연부를 형성하는 수지는 단단하게 링상 요철부(48)와 결합한다.
도4C의 외관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후, 이상과 같이 하여 형성된 원형 축부(36)는 별도로 수지형성된 대경 원통상의 손잡이부(35)의 중앙 구멍(35A) 내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5)의 중앙 구멍(35A)에 상기 비원형의 차양부(49)와 동 형상의 비원형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원형 축부(36)의 비원형 차양부(49)를 손잡이부(35)의 중앙 구멍(35A)의 비원형 개구부에 걸리게 함으로써 양자는 공동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그 결과, 도4D의 정면 단면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단부 원주 형상의 회전체(34)로서 완성된다.
이와 같이, 회전체(34)를 대경 원통상의 손잡이부(35)와 외주면에 가동접점(37) 등을 가지는 원형 축부(36)으로 나누어 형성함으로써 회전체(34)는 고정밀도이고 낮은 가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회전체(34)는 손잡이부의 외경이나 형상의 변경, 색 변경, 전기신호의 다름에 의한 가동접점의 변경 등에 대해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형성된 회전체(34)는 상술과같이, 프레임(33)의 대향하는 2변(45A, 45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5는 도2의 5-5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5는 상기 링상 가동접점(37A) 및 신호용 접점으로서의 가동접점(37B)과 기체부(31)에 지지된 세개의 탄성접점(39A, 39B, 39C)의 위치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탄성접점(39A, 39B, 39C)의 각각은 탄성금속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공통 접점용의 탄성접점(39A)은 링상 가동접점(37A)에 하방에서 탄성 접촉하고, 신호 접점용의 두개의 탄성접점(39B, 39C)은 모두 빗살상 가동접점(37B)에 하방으로부터 탄성 접촉하고 있다. 신호접점용 두개의 탄성접점(39B, 39C)의 길이는 소정치수만큼 조금 다르게 하고 있다. 따라서, 신호용 두개의 탄성 접촉위치는 소정치수만큼 조금 밀려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34)의 가동접점(37A) 및 가동접점(37B)과 기체부(31)에 지지된 탄성접점(39A, 39B, 39C)에 의해, 회전형 엔코더의 전기신호 발생용의 접점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접점(39A, 39B, 39C)의 각각과 연결된 일체의 탄성을 가지는 세개의 접속단자(39D, 39E, 39F)는 기체부(31)의 단부 소정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단자(39D, 39E, 39F)는 회전형 엔코더의 전기신호 도출용 단자이다. 예컨대, 도3과 도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일단에 탄성접점(39A)을, 타단에 접속단자(39D)를 구비한 탄성체는 기체부(31)의 평판상 하면에 설치된 얕은 오목한 형상의 수용부(31A)내를 향해 구부러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에 형성된 접속단자(39D)는 기체부(31)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다른 탄성접점(39B, 39C)을 구비한 각각의 탄성체도 탄성접점(39A)을 구비한 탄성체와 동일 형상이다. 도6은 도2의 6-6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회전체(34)의 원형 축부(36B)에 배치된 링상 요철부(38)에는 기체부(31)로부터 연장된 평판 스프링(40)의 접속부(40A)가 하방으로부터 탄성 접촉하고 있다. 접속부(40A)가 링상 요철부(38)의 요부내에 끼워진 위치에서 상기 탄성접점(39B, 39C)은 가동접점(37B) 절연부의 위치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가동접점(37)과 탄성접점(39B, 39C)은 비도통 상태에 있다.
이상과 같이, 세개의 탄성접점(39A, 39B, 39C) 및 평판 스프링(40)은 회전체(34)를 하방으로부터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체(34)를 지지하는 프레임(33)은 통상, 그 회전 이동 각도 범위의 상방의 종단위치에 있도록 힘이 가해지며 안정된 상태에 있다.
또한, 이들 가동접점(37)과 탄성접점(39A, 39B, 39C) 및 링상 요철부(38)와 평판 프레임(40)의 주위는 먼지 방지용 커버(42)로 덮여있다. 그 먼지 방지용 커버(42)는 기체부(31)의 코킹 접속부(31C)에 의해, 손잡이부(35)의 양측에 부착되어 있다.
도7은 도2의 7-7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가압 스위치(41)는 프레임(33)의 변(44B)에 대응하여 기체부(31)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 스위치(41)는 기체부(31)에 설치된 원형 오목부(51)내에 인서트 성형된 외측 고정접점(52A)과 중앙 고정접점(52B)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52)와, 상기 고정접점(52A)에 그 외주부를 실은 탄성 금속 박판제의 원형 돔상 가동접점(53)과, 기체부(31)에 설치된 원형 오목부(51)와 원형 돔상 가동접점(53)의 상부를 막는 휘어짐이 가능한 절연 필름(54)으로 이루어진다.
통상, 돔상 가동접점(53)의 중앙부와 중앙 고정접점(52B) 사이에 소정 접점 갭이 있다. 따라서, 외측 고정접점(52A)과 중앙 고정접점(52B)은 비도통이고, 스위치(52)는 OFF이다. 또한, 조작자가 손잡이부(35)를 그 중심축 방향으로 누르면, 프레임(33)의 변(44B) 하면의 가압용 돌출부(44C)가 절연 필름(54)을 통하여 돔상 가동접점(53)을 밀어 내린다. 그 밀어내리는 힘에 의해 돔상 가동접점(53)은 중앙 고정접점(52B)과 접촉하도록 변형된다. 그 변형에 의해 외측 고정접점(52A)과 중앙 고정접점(52B)은 돔상 가동접점(53)을 통하여 도통한다. 즉, 스위치(52)는 온으로 된다. 또한, 조작자가 손잡이부(35)로 밀어내리는 힘을 제거하면, 돔상 가동접점(53)은 원래의 형상으로 자력 복귀한다. 즉, 스위치(52)는 오프로 된다. 돔상 가동접점(53)은 변형시 및 복귀시에 절도(節度)감을 가진다.
가압 스위치(41)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자력 복귀형으로 동작시에 절도감을 가지는 고성능 가압 스위치(41)를 콤팩트하고 또한 다른 구성부재와 높은 위치정밀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각의 고정접점(52A, 52B)과 연결하는 스위치 접속단자(52C, 52D)가 기체부(31)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접속단자(52C, 52D)는 가압 스위치(41)의 전기신호 도출용 단자이다. 예컨대, 일단에 고정접점(52A)을, 타단에 접속단자(52C)를 구비한 탄성체는 기체부(31)의 평판상 하면에 구비된 얕은 오목형상의 수용부(31B)내를 향해 구부러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에 형성된 접속단자(52C)는 기체부(31)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다른 고정접점(52B)을 구비한 각각의 탄성체도 고정접점(52A)을 구비한 탄성체와 동일 형상이다. 각 스위치 접속단자(52C, 52D)의 첨단이 기체부(31)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은 회전형 엔코더의 접속단자(39D, 39E, 39F)와 동일하다.
그리고, 기체부(31)의 평판상 하면 양단에는 이 REPS를 기기의 배선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레그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REPS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도8은 본 실시형태의 REPS가 사용기기에 장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9는 도8의 9-9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체부(31) 하면의 레그부(55)를 기기의 배선기판(56)의 부착 구멍(56A)에 삽입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REPS는 배선기판(56)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장착된다. 그 장착에 의해, 기체부(31)의 하면으로 돌출한 접속단자(39D, 39E, 39F) 및 스위치 접속단자(52C, 52D)(도7 참조)는 배선기판(56)상의 각 피접속 접점(57) 및 (58)(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탄성 접촉한다.
그리고, 기기의 상부 케이스(59A)와 하부 케이스(59B)를 조합할 시, 상부 케이스(59A)에 설치한 가압 리브(59C)는 하부 케이스(59B)에 지지된 배선기판(56)상의 본 REPS 기체부(31)의 상면을 하부 케이스(59B)측으로 밀어낸다. 이 밀어냄에 의해 본 REPS는 기기에 고정된다. 또한, 그 접속단자(39D, 39E, 39F) 및 스위치 접속단자(52C, 52D)는 배선기판(56)상의 각 피접속 접점(57) 및 (58)에 대해 확실하게 탄성 가압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체(34) 손잡이부(35)의 외주(35B)가 조작부로서 상부 케이스(59A)의 조작면(6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REPS는 사용기기의 배선기판(56)에 눌러 고정하는 것만으로 각 접속단자(39D, 39E, 39F) 및 스위치 접속단자(52C, 52D)를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REPS는 사용기기에의 부착시, 납땜 접속시의 열에 의한 변형이나, 납땜 플랙스에 의한 더러워짐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기체부(31) 등에 내열성의 수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본 실시 형태의 REPS는 낮은 가격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REPS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8 및 도9에 있어서, 조작자는 기기의 조작면(60)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체(34)의 손잡이부(35)의 외주부(35B)에 접선방향(도9에 도시하는 화살표H 방향)의 힘을 가한다. 이 접선방향의 힘에 의해, 회전체(34)는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원형축부(36A) 및 (36B)가 회전하고, 회전형 엔코더가 동작한다.
즉, 기체부(31)에 지지된 탄성접점(39A) 및 (39B, 39C)는 원형축부(36A)의 링상 가동접점(37A)과 빗살상 가동접점(37B)상을 탄성 접촉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각각의 탄성접점(39A) 및 (39B, 39C)에 도통시킨 접속단자(39D-39E) 사이 및 (39D-39F)사이에 각각 전기신호(펄스 신호)가 발생한다. 그 신호가 배선기판(56)상의 피접속접점(57)을 지나 기기의 회로에 전달된다. 또한, 원형 축부(36B)의 링상 요철부(38)에 기체부(31)로부터 연장된 평판 스프링(40)의 접속부(40A)가 탄성 접촉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 탄성 접촉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전기신호에 맞춘 절도감이 발생된다. 또한, 손잡이부(35) 즉 회전체(34)의 회전이 멈추면, 평판 스프링(40)의 접속부(40A)는 링상 요철부(38)의 요부내에 끼워져 정지한다.
이 때, 빗살상 가동접점(37B)에 접촉하는 탄성접점(39B)과 (39C)의 위치를 밀리게 하고 있다. 이 밀림에 의해, 접속단자(39D-39E)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신호와 (39D-39F)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신호 사이에 위상차가 생긴다. 그 위상차에 의해 회전체(34)(즉 손잡이부(35))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사용기기의 회로가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체(34) 즉 손잡이부(35)를 조작하지 않을 때, 두개의 탄성접점(39B, 39C)은 빗살상 가동접점(37B)의 절연부에 접촉하고 있다. 그 상태에서 회전체(34)를 회전시켜도 탄성접점(39B, 39C)은 다시 새로운 절연부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이 회전형 엔코더는 회전조작시 이외는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33)에 지지된 회전체(34)가 세개의 탄성접점(39A, 39B, 39C) 및 평판 스프링(40)에 의해 상방으로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손잡이부(35)의 통상의 회전 조작시에 가압 스위치(41)의 가압용 돌출부(44C)를 구비한 프레임(33)의 변(44B)은 하방으로는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회전 조작시에 손잡이부(35)에 하방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져, 상기 탄성접점(39A, 39B, 39C) 및 평판 스프링(40)이 다소 눌려 휘어진다. 그러나, 프레임(33)이 조금 회전 이동하고, 가압용 돌출부(44C)를 구비한 변(44B)가 내려 가도 자력 복귀형인 가압 스위치(41)는 ON으로 동작되기 어렵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도10은 도8의 10-10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10의 화살표H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손잡이부(35)의 외주부(35B)에 하방으로 누르는 힘을 가하면, 프레임(33)은 기체부(31)에 지지된 지지축(4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한다. 그 회전 이동에 의해, 변(44B) 하면의 가압용 돌출부(44C)가 내려가 가압 스위치(41)가 동작한다. 즉, 휘어짐이 가능한 절연 필름(54)을 통해 가압용 돌출부(44C)가 원형 돔상 가동접점(53)의 상면 중앙부를 하방으로 강하게 누른다. 이에 따라, 도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원형 돔상 가동접점(53)은 절도감을 따라 탄성 반전한다. 그 반전에 의해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53)의 중앙부 하면은 중앙 고정 접점(52B)에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스위치(52)의 외측 고정 접점(52A)과 중앙 고정 접점(52B) 사이(즉 스위치 접속단자(52C)와 (52D) 사이)가 단락하여 스위치가 ON으로 된다. 스위치 접속단자(52C)와 (52D)의 ON신호는 배선기판(56)상의 피접속 접점(도시하지 않음)을 지나 기기 회로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하방으로 누르는 힘은 회전체(34)를 상방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세개의 탄성접점(39A, 39B, 39C)과 평판 스프링(40)(도10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힘과 가압 스위치(41)의 복귀력과 합한 힘보다 큰 힘이 필요하다.
이 후, 손잡이부(35)에 가해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원형 돔상 가동접점(53)은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그 결과, 스위치 접속단자(52C)와 (52D) 사이는 다시 OFF로 된다. 변(44B)의 가압용 돌출부(44C)는 가동접점(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올라간다. 또한, 프레임(33)은 세개의 탄성접점(39A, 39B, 39C)과 평판 스프링(40)의 힘에 의해 밀어올려진다. 이 결과, 프레임(33)은 회전 이동 각도 범위의 상방의 종단위치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 가압 스위치(41)의 가압 조작은 사각형의 하나의 변(44A)이 구비하는 지지축(43)을 중심으로 하여, 프레임(33)을 회전 이동에 의해 가압용 돌출부(44C)로 밀어내리는 조작이다. 따라서, 이 가압조작에서는 비틀리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손잡이부(35)의 누르는 위치에 상관없이 부드럽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3)에 지지된 회전체(34)의 원형 축부(36B)에 배치된 링상 요철부(38)의 요부에는 탄성 접촉하는 평판 스프링(40)의 접속부(40A)가 끼워져 있다(도6 참조). 따라서, 손잡이부(35)에 누르는 힘을 가하여 프레임(33)을 회전 이동시켜 가압 스위치(41)를 동작시킬 시에, 회전체(34)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가압 스위치(41)를 동작시킬 시에, 엔코더는 회전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이 가압조작시, 두개의 탄성접점(39B, 39C)은 빗살상 가동접점(37B)의 절연부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엔코더로서 오신호를 발하는 일도 없다.
또한, 가동접점(37B)과 두개의 탄성접점(39B, 39C)의 탄성 접촉하는 위치는 지지축(43)을 중심으로 하는 프레임(33)의 회전 이동시의 회전체(34) 중심축의 거의 회전 이동 원호상에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프레임(33)을 회전 이동시켜 가압 스위치(41)를 동작시킬 시, 가동접점(37B)과 두개의 탄성접점(39B, 39C)의 탄성 접촉 위치의 밀림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회전형 엔코더의 가동접점(37)의 직경은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원형 손잡이부(35)의 직경이 작아지고, 사용기기의 높이 치수를 작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가압 스위치(41)는 조작이 부드럽고, 구성 부품수가 적어 조립하기 쉬우며 가격이 낮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직경이 작고, 조작이 부드러우며, 조립이 용이하고, 낮은 가격의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1에 있어서, 회전체(34)의 링상 요철부(38)에 설치한 오목홈의 각도 피치를 빗살상 가동접점(37B) 절연부의 각도 피치의 2분의 1(또는 4분의 1)로 한 절도(節度)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절도기구에 의해, 회전체(34)의 1회전당 절도수는 2배(또는 4배)가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접촉위치가 조금 밀린 신호 접점용 두개의 탄성접점(39B, 39C)에 의해, 인접한 절도위치에서 각각 다른 전기신호를 내도록할 수 있다. 이때문에, 회전체 1회전당 전기신호의 카운트수를 2배(또는 4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기체부(31)에 지지된 탄성접점(39A, 39B, 39C)중 적어도 회전체의 빗살상 가동접점(37B)에 탄성 접촉하는 탄성접점이 회전체(34)의 중심축선보다 프레임의 지지축측의 위치로부터 연장되고, 그 탄성 접촉 위치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프레임의 회전 이동시에 회전체 중심축의 회전 이동원상에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가압 조작 부품부의 조작시에 탄성접점이 빗살상 가동접점에 탄성 접촉하고 있는 위치의 변동이 적어 회전 조작부가 오동작하는 것을 적게할 수 있다.
실시형태2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REPS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1에 도시하는 REPS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REPS는 상기 실시형태1에 의한 REPS의 일부를 변경한 다른 구성의 REPS이다. 그 변경부는 회전체의 원형축부에 설치하는 가동접점의 배열위치, 회전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측부의 커버 구성이다. 실시 형태1로부터 변경한 부분을 제외한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1에 의한 REPS와 동일하다. 이때문에, 상기 실시 형태1과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1과 다른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1, 도12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REPS에서 사각형의 프레임(63)은 절연 수지제 기체부(61)의 한쌍의 지지부(62)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체(64)는 상기 사각형 프레임(6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체(64)는 그 중앙부에 대경 원주형의 손잡이부(35)와, 손잡이부(35)의 양측부에 소경의 원형축부(65A) 및 (65B)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64)는 스텝 원주형상이다. 상기 손잡이부(35)의 원형축부(65A)에는 빗살상 가동접점(66B)만이 구비되고, 원형축부(65B)에는 링상 가동접점(66A)과 링상 요철부(67)가 설치되어 있다. 빗살상 가동접점(66B)은 기체부(61)에 지지된 두개의 탄성접점(68B, 68C)과 탄성 접촉하고 있다. 또한, 링상 요철부(67)는 기체부(61)로부터 연장된 평판 스프링(40)의 접속부(40A)와 탄성 접촉하고, 가동접점(66A)은 기체부(61)에 지지된 탄성접점(68A)과 탄성 접촉하고 있다. 즉, 원형축부(65A)는 기체부(61)에 지지된 두개의 탄성접점(68B, 68C)과 탄성 접촉하고, 원형축부(65B)는 접속부(40A) 및 탄성접점(68A)과 탄성 접촉하고 있다.
상기 기체부(61)와 상기 회전체(64)는 회전조작부로서의 회전형 엔코더를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회전체(64)는 실시 형태1에 도시한 회전체(34)의 도4A, B, C, D에서 도시한 형성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체(64)의 형성방법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기체부(61)에 자력 복귀형의 가압 스위치(41)가 프레임(63)의 회전 이동에 의해 동작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손잡이부(35)의 양측에 먼지 방지용 커버(69, 70)가 부착되는 것은 실시 형태1의 경우와 같다.
상기한 구성에서 도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체부(61)의 한쌍의 지지부(62)의 양측에 각각 두개씩의 탄성 레그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체(64)의 손잡이부(35)를 끼고 양측에 구비된 빗살상 가동접점(66B)과 링상 가동접점(66A)은 일체의 금속재료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가동접점(66B)과 가동접점(66A)은 서로 도통하고 있다. 이것은 실시 형태1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와같이 형성된 회전체(64)는 사각형의 프레임(6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사각형의 프레임(63)은 도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コ자형체(72)와 コ자형체(72)의 개구부를 막기위한 변(74)으로 구성된다. コ자형체(72)는 지지축(71)을 구비한 변(72A)과 이에 대향하는 변(72B)과 변(72A)과 변(72B)을 연결하는 변(72C)을 구비한 것이다. 변(72C)에는 회전체(64)의 지지부로서의 둥근 구멍(73A)을 가진다. 또한, 변(74)은 회전체(64)의 지지부로서의 둥근 구멍(73B)을 가진다. 변(72C)의 외측에는 링상 가동접점(66A)과 이에 탄성 접촉하는 탄성접점(68A)의 주위를 덮는 먼지 방지용 커버(70)가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변(74)의 외측에는 상기의 빗살상 가동접점(66B)과 이에 탄성 접촉하는 탄성접점(68B, 68C)의 주위를 덮는 먼지 방지용 커버(69)가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각 커버(69, 70)의 외측 단부에는 기체부(61)의 단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규제구멍(75A, 75B)에 삽입되어 프레임(63)의 회전 이동 각도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돌기(69A)와 (70A)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회전체(64)를 사각형의 프레임(63)에 지지하기 위한 조합방법에 대해 기재한다. 상기의 コ자형체(72)와 그 개구부를 막는 변(74)을 연결할 시에 변(72C)의 둥근 구멍(73A)에 원형축부(65B)를 미리 삽입하고, 또한, 변(74)의 둥근 구멍(73B)에 원형축부(65A)를 미리 삽입한다. 그 후, コ자형체(72)의 변(72A)과 (72B)의 각각의 돌기부(72D)를 변(74)의 두개의 작은 구멍(74A)에 삽입한다. 그리고, 돌기부(72D)의 선단을 열 코킹 등에 의해 고정시키고, コ자형체(72)와 변(74)을 연결한다. 이 연결에 의해, 사각형의 프레임(63)이 조립된다. 또한, コ자형체(72)와 변(74)의 연결에 의해, 회전체(64)는 사각형의 프레임(63)에 지지된다.
또한, 가압 스위치(41)를 구비한 기체부(61)의 구성은 실시 형태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기체부(61)에 구비된 회전형 엔코더의 접속단자(68E, 68F)와 (68D)는 탄성 접촉점(68B, 68C)과 (68A)이 한쌍의 지지부(62)의 양측에 구비됨으로써, 한쌍의 지지부(62)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부(61)의 탄성접점(68B)와 (68A)의 측방에 각각 형성된 벽부(76)는 상기 커버(69, 70)와 마찬가지로 접점부의 먼지 방지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회전체(64)의 가동접점(66A, 66B)에 대해 세개의 탄성접점(68A, 68B, 68C)이 탄성 접촉하고 있는 상태 및 가압 스위치(41)의 구성은 실시형태1과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한 REPS의 사용기기에의 장착방법 및 동작도 실시형태1의 경우와 같다. 따라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세개의 탄성접점(68A, 68B, 68C)과 평판 스프링(40)을 기체부(61)의 한쌍의 지지부(62) 및 손잡이부(35)의 양측에 세개씩 균등하게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REPS는 좌우 대칭으로 되고, 폭치수는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REPS는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할 시에 접점부 등에 손상을 주는 것을 적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2에 있어서도,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회전체(64)의 링상 요철부(67)에 형성한 오목홈의 각도 피치를 빗살상 가동접점(65B)의 절연부 각도 피치의 2분의 1(또는 4분의 1)로 한 절도기구를 구성할 수 있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3
도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으로서의 REPS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14는 도13에 도시하는 REPS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REPS는 상기 실시형태2에 의한 REPS에 대해 손잡이부를 회전 조작할시에 전기신호의 발생에 맞추어 절도감을 발생하는 절도기구의 구성방법을 변경한 것이다. 이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2에 의한 REPS와 동일하므로,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상기 실시형태2와 다른 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3 및 도14에 도시하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REPS에서 사각형의 프레임(83)은 절연 수지제 기체부(81)의 한쌍의 지지부(82)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사각형의 프레임(83)은 コ자형체(84)와 그 개구부를 막는 변(85)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회전체(86)는 그 프레임(8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회전체(86)는 중앙부가 대경 원주형의 손잡이부(87)와, 그 양측부에 구비한 소경의 원형축부(88A) 및 (88B)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86)는 스텝 원주형상이다. 상기 손잡이부(87)의 원형축부(88A)의 외주면에 빗살상 가동접점(89B)이 배치되고, 원형축부(88B)에는 링상 가동접점(89A)을 배치하고 있다. 기체부(81)에 지지된 두개의 탄성접점(68B, 68C)은 빗살상 가동접점(89B)에 탄성 접촉하고, 고정접점(68A)은 가동접점(89A)에 탄성 접촉하고 있다.
상기 기체부(81)와 상기 회전체(86)는 회전 조작부로서의 회전형 엔코더를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회전체(86)는 실시형태1에 도시한 회전체(34)의 도4A, B, C, D에서 도시한 형성과정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체(86)의 형성방법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기체부(81)에 자력 복귀형의 가압 스위치(41)가 프레임(83)의 회전 이동에 의해 눌려 동작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프레임(83)을 구성하는 コ자형체(84)와 변(85)의 외방에 먼지 방지용 커버(90, 91)가 부착되어 있다. 이 구성은 실시형태2의 경우와 동일하다.
회전체(86)의 원형축부(88B)에는 링상 가동접점(89A)만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86)의 손잡이(87)와 원형축부(88B)의 단부(段部) 단면(92)에, 탄성 금속 박판제의 링상 스프링체(93)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83) 변(95)의 스프링체(93)와 대향하는 면은 방사상으로 오목홈을 형성한 원형 요철면(94)으로 되어있다. 그 원형 요철면(94)의 요철 각도 피치는 회전체(86)의 빗살상 가동접점(89B)의 절연부와 동일 각도 피치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체(93)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탄성 접속부(93A)는 이 원형 요철면(94)에 탄성 접촉하여 절도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링상 스프링체(93)의 탄성 접속부(93A)가 프레임(83) 변(95)의 원형 요철면(94)에 탄성 접촉하도록 조립하는 방법을 이하에 기재한다.
도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손잡이부(87)의 단부 단면(92)에 두개의 각구멍(92A)이 형성되고, 또한, 링상 스프링체(93)에 두개의 레그부(93B)가 형성되어 있다. 우선, 그 각각의 각구멍(92A)에 각각의 레그부(93B)를 끼워넣는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87)의 단부 단면(92)에 링상 스프링체(93)를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 실시형태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コ자형체(84)와 그 개구부를 막는 변(85)을 연결한다. 즉, 변(95)의 둥근 구멍(95A)에 원형축부(88B)를 미리 삽입하고, 또한, 변(85)의 둥근 구멍(85A)에 원형축부(88A)를 미리 삽입한다. 그 후, コ자형체(84)의 변(84A)과 (84B)의 각각의 돌기부(84C)를 변(85)의 두개의 작은 구멍(85B)에 삽입한다. 그리고, 돌기부(84C)의 첨단을 열 코킹 등에 의해 고정하고, コ자형체(84)와 변(85)을 연결한다. 이 연결에 의해, 사각형의 프레임(83)은 조립된다. 또한, コ자형체(84)와 변(85)의 연결에 의해, 회전체(86)는 사각형의 프레임(83)에 지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한 REPS의 그 이외의 부분의 구성이나 사용기기에의 장착방법 및 동작은 실시형태1 또는 2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회전체(86)의 원형축부(88B)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REPS의 폭치수는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 절도기구의 구성은 회전체(86)의 손잡이부(87)와 원형축부(88B)와의 단부 단면(92)에 스프링체(93)를 장착하고, 이에 대향하는 프레임(83)의 변(95)의 면을 원형 요철면(94)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 배치를 반대로 하여, 회전체(86)측에 원형 요철면을 구비하고, 프레임(83)측에 스프링체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회전체(86)의 단차부를 손잡이부(87)와 원형축부(88B)의 단부 단면(92)으로 했는데, 이를 원형 축부를 부분적으로 굵게하여 단차면을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3에 있어서,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회전체(86)의 원형 요철면(94)에 형성된 오목홈의 각도 피치를 빗살상 가동접점(89B)의 절연부의 각도 피치의 2분의 1 또는 4분의 1로 하여 절도기구를 구성할 수 있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조작부의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가동접점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원형 조작 손잡이의 직경 및 사용기기의 높이 치수를 작게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스위치의 조작이 부드럽고, 구성부품수가 적어 조립하기 쉬우며 낮은 가격의 가압·회전조작형 전자부품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5)

  1. 회전 조작부와 가압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에 있어서,
    절연재로 형성된 기체부와,
    상기 기체부에 형성된 지지부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을 구비한 변을 가지는 사각형 프레임과,
    상기 사각형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면에 가동접점을 구비한 소경부와 손잡이부인 대경부로 이루어지는 스텝 원주형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 소경부의 외주면에 구비된 가동접점에 탄성 접촉하고, 상기 기체부에 지지된 탄성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 조작부와,
    상기 기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회전 이동에 의해 가압되어 동작하는 자력 복귀형 가압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의 프레임의 지지축을 구비한 변에 대향하는 변의 단부 돌기가 상기 기체부에 형성된 규제구멍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수지로 형성한 중앙구멍을 가지는 대경 중공 원통상의 손잡이부와, 외주면에 가동접점을 구비한 소경의 원형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형 축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중앙구멍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원형 축부의 상기 손잡이부 양측 근원부를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대향하는 2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2변의 외방에 상기 원형 축부의 가동접점을 배치하고, 상기 가동접점 및 이에 탄성 접촉하는 상기 탄성접점 주위를 커버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5. 제4항에 있어서, 1변에 지지축을 구비하여 대향하는 2변을 회전체의 지지부를 가지는 변으로 연결한 コ자형체의 개구부를, 회전체 지지부를 가지는 변으로 막은 사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적어도 한쪽 지지부를 가지는 변의 외방에 가동접점 및 이에 탄성 접촉하는 탄성접점의 주위를 덮는 커버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회전체 원형 축부의 외주에 링상 가동접점 및 이와 도통한 도전부와 절연부가 소정 각도 피치로 번갈아 배치된 빗살상 가동접점을 구비하고, 기체부에 각각의 가동접점에 탄성 접촉하는 다수개의 탄성접점을 배치하며, 회전 조작부를 회전형 엔코더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복귀형 가압 스위치는 기체부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고정 접점상에 탄성 금속 박판제의 원형 돔상 가동접점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8. 제1항에 있어서, 회전체 손잡이부 측부의 원형 축부의 외주면에 상기 원형축부의 중심축선과 평행으로 소정 각도 피치로 오목홈을 형성한 링상 요철부에 기체부로부터 연장된 평판 스프링 선단의 접속부가 탄성 접촉하는 절도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9. 제8항에 있어서, 기체부에 지지되고, 회전체의 가동접점에 탄성 접촉하는 탄성접점 및 링상 요철부에 탄성 접촉하는 평판 스프링이 모두 상기 회전체를 상기 기체부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10. 제1항에 있어서, 회전체 손잡이부와 원형 축부의 단부 단면 또는 원형축부에 설치한 단차부의 단면과, 프레임의 상기 단면에 대향하는 면의 어느 한쪽을 소정 각도 피치로 방사상으로 오목홈을 형성한 원형 요철면으로 하고, 다른쪽에 이 요철면에 탄성 접촉하는 탄성 접속부를 가지는 스프링체를 배치하는 절도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11. 제6항에 있어서, 기체부에 지지된 2개의 탄성접점이 회전체의 빗살상 가동 접점에 탄성 접촉하고, 그 탄성 접촉 위치가 소정 칫수만큼 밀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12. 제11항에 있어서, 회전체 손잡이부 측부의 한쪽 원형 축부의 외주면에 링상 요철부 및 링상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기체부에 지지된 평판 스프링 선단의 접속부 및 탄성 접점을 각각 탄성 접촉시켜, 다른쪽 원형 축부의 외주면에 빗살상 가동접점을 형성하고, 기체부에 지지된 2개의 탄성 접점을 탄성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13. 제8항에 있어서, 회전체의 링상 요철부 또는 원형 요철면에 형성하는 오목홈의 각도 피치를 회전체의 빗살상 가동접점의 도전부 및 절연부를 배치하는 각도 피치와 동일하게 하고, 기체부로부터 연장된 평판 스프링 선단의 접속부가 상기 링상 요철부 또는 원형 요철면의 오목부내에 끼워질 시에 상기 빗살상 가동접점에 대한 탄성 접점의 탄성 접촉 위치가 상기 절연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14. 제6항에 있어서, 기체부에 지지된 다수개의 탄성 접점 중 적어도 회전체의 빗살상 가동 접점에 탄성 접촉하는 탄성 접점이 회전체의 중심축선보다 프레임의 지지축측의 위치로부터 연장되고, 그 탄성 접촉 위치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프레임 회동시의 회전체 중심축의 회전 이동원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15. 제1항에 있어서, 기체부의 하면을 평판상으로 하고, 회전 조작부의 탄성 접점 및 가압 스위치와 각각 도통시킨 다수개의 탄성 가압 접속단자를 상기 기체부의 하면보다 돌출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KR1020000055257A 1999-09-20 2000-09-20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KR100356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65604 1999-09-20
JP26560499A JP3952642B2 (ja) 1999-09-20 1999-09-20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452A true KR20010030452A (ko) 2001-04-16
KR100356195B1 KR100356195B1 (ko) 2002-10-18

Family

ID=1741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257A KR100356195B1 (ko) 1999-09-20 2000-09-20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88212B1 (ko)
EP (1) EP1085546B1 (ko)
JP (1) JP3952642B2 (ko)
KR (1) KR100356195B1 (ko)
CN (1) CN1189905C (ko)
TW (1) TW4751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733B1 (ko) * 2005-12-28 2007-09-20 주식회사 신창전기 회전식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2046B2 (ja) * 2002-10-16 2008-03-19 オムロン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6974921B2 (en) * 2003-03-04 2005-12-13 Sonion Roskilde A/S Combined roller and push switch assembly
US7124648B2 (en) * 2003-05-19 2006-10-24 Alps Electric Co., Ltd. Force feedback input device
FR2856191B1 (fr) * 2003-06-11 2005-07-22 Itt Mfg Enterprises Inc Dispositif de commande a tambour et a voies de commutation multiples, et appareil electronique equipe de tels dispositifs
US7088348B2 (en) 2003-07-14 2006-08-08 Microsoft Corporation Ergonomic pointing device
JP4180455B2 (ja) * 2003-07-24 2008-11-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力覚付与型入力装置
JP4363155B2 (ja) 2003-10-20 2009-11-11 オムロン株式会社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123119A (ja) * 2003-10-20 2005-05-12 Omron Corp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375055B2 (ja) 2004-02-26 2009-1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転型エンコーダ
KR100804790B1 (ko) * 2004-03-10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
US7527600B2 (en) * 2004-06-14 2009-05-05 Verilux, Inc. Light fixture accessory connector and mounting bracket
US6967293B1 (en) * 2004-07-21 2005-11-22 Speed Tech Corp. Roller construction module having an error prevention structure
US7212834B2 (en) * 2004-08-18 2007-05-01 Speed Tech Corp. Mobile device having an improved roller feel
US7535464B1 (en) * 2004-08-30 2009-05-19 Microsoft Corporation Navigation wheel having discrete switches
FR2874739B1 (fr) * 2004-09-01 2006-10-20 Itt Mfg Enterprises Inc Dispositif perfectionne de commande a tambour et a voies de commutation multiples
ATE458257T1 (de) * 2005-07-30 2010-03-15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Schalter
US7145087B1 (en) * 2005-08-29 2006-12-05 Zippy Technology Corp. Multi-instruction switch
CN101026040A (zh) * 2006-02-18 2007-08-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开关装置
US7860538B2 (en) * 2006-02-28 2010-12-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7996050B2 (en) * 2006-02-28 2011-08-09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DE102006039388A1 (de) * 2006-08-22 2008-03-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Gerät
JP4738296B2 (ja) * 2006-09-15 2011-08-0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入力装置
JP2008177090A (ja) * 2007-01-19 2008-07-31 Tokai Rika Co Ltd 入力装置
US20080174572A1 (en) * 2007-01-19 2008-07-24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Input apparatus
CN201025520Y (zh) * 2007-03-06 2008-02-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脑面板
KR20090028944A (ko) * 2007-09-17 2009-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입력장치
TWM329848U (en) * 2007-09-20 2008-04-01 Speed Tech Corp Electrical navigation device
JP5117339B2 (ja) * 2008-09-22 2013-01-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CN102623228B (zh) * 2011-01-28 2014-08-27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旋钮机构
DE102011103670B4 (de) * 2011-06-08 2016-02-18 Leopold Kostal Gmbh & Co. Kg Druck- und drehbetätigbares Bedienelement
DE102011103633A1 (de) * 2011-06-08 2012-12-13 Leopold Kostal Gmbh & Co. Kg Druck- und drehbetätigbares Bedienelement
FR2998414B1 (fr) * 2012-11-19 2014-12-26 C & K Components Sas "dispositif perfectionne de commande a tambour et a voies de commutation multiples"
JP5914312B2 (ja) * 2012-12-07 2016-05-11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回転操作型電子部品
DE102013004381A1 (de) * 2013-03-12 2014-09-18 Leopold Kostal Gmbh & Co. Kg Eingabeeinheit für ein druck- und drehbetätigbares Bedienelement
TWI497899B (zh) 2013-08-05 2015-08-21 Ind Tech Res Inst 機構式編碼器
DE202014103113U1 (de) * 2014-07-07 2015-10-1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Antriebskomponente eines Antriebsstrangs eines Kraftfahrzeugschlosses
CN110957601A (zh) * 2019-11-27 2020-04-03 厦门义兰德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触指弹簧式充电装置的接触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1508A (ja) * 1996-12-25 1998-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操作・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H117865A (ja) 1997-04-21 1999-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3437054B2 (ja) * 1997-05-12 2003-08-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入力スイッチ
JPH1139998A (ja) * 1997-07-16 1999-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型エンコーダ
JP3766207B2 (ja) 1998-05-25 2006-04-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4055281B2 (ja) * 1999-02-10 2008-03-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FR2792486B1 (fr) * 1999-04-16 2001-05-18 Itt Mfg Enterprises Inc Commutateur electrique multiple a tambour unique d'actionn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733B1 (ko) * 2005-12-28 2007-09-20 주식회사 신창전기 회전식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6195B1 (ko) 2002-10-18
US6388212B1 (en) 2002-05-14
JP2001084877A (ja) 2001-03-30
EP1085546A2 (en) 2001-03-21
EP1085546A3 (en) 2003-01-15
TW475187B (en) 2002-02-01
EP1085546B1 (en) 2004-04-07
JP3952642B2 (ja) 2007-08-01
CN1289136A (zh) 2001-03-28
CN1189905C (zh) 200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195B1 (ko)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JP3222714B2 (ja)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EP1028446B1 (en) Combined push-to-activate and rotary switch
EP1947668B1 (en) Combined switch
JP3956554B2 (ja) 回転型エンコーダおよびこれを用いた複合操作型電子部品
KR20040014582A (ko) 조작형 전자 부품
JPH117865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操作型電子部品
KR100420190B1 (ko)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KR20010081141A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JP2002110002A (ja) スイッチ装置
JP4101592B2 (ja) 押下スイッチ及び多方向入力装置
JPH11144564A (ja) 回転型電気部品の操作機構
JP2002278695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4362979A (ja) スイッチ装置
KR20100130143A (ko) 복합 스위치
US4558513A (en) Adjustable rotary switch
JP326187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4002414B2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4044310B2 (ja) 回転型パルススイッチ
JP2590764Y2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
JP3876578B2 (ja) 回転型エンコーダおよびこれを用いた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2001135197A (ja)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3593468B2 (ja) 防塵スイッチ装置
JP2002025395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エンコーダ
JP2000149720A (ja) 押釦スイッチ付き回転式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