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118A -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118A
KR20010030118A KR1020000048815A KR20000048815A KR20010030118A KR 20010030118 A KR20010030118 A KR 20010030118A KR 1020000048815 A KR1020000048815 A KR 1020000048815A KR 20000048815 A KR20000048815 A KR 20000048815A KR 20010030118 A KR20010030118 A KR 20010030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ortion
wall
storage partition
contain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하이네
뤼디게르 비둘레
Original Assignee
중 유겐, 말리 래이너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 유겐, 말리 래이너,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filed Critical 중 유겐, 말리 래이너
Publication of KR20010030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1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44)가 특히 중앙 팔 걸이(central arm rest) 아래에 수용되는(housed)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관 칸막이 부(10)의 바닥부(14) 및 벽(16)이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제시하며, 그래서 상기 벽(16)은 바닥부(14)에 대해 평평하게 놓이는 위치로 선회 가능하며, 바닥부(14)는 길이 방향 벽에 대해 평평하게 놓이는 수직 위치로 선회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보관 칸막이 부(10)는 사용중이지 않을 때 최소 공간을 점유하도록 접혀질 수 있어서, 용기(44)의 내측 공간 전체의 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STORAGE COMPARTMENT FOR A CONTAINER, ESPECIALLY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특히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에 관한 것이다. 보관 칸막이 부는 특히 용기 측벽의 내측면 상에 장착되기 위한 것이며, 용기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중앙 팔 걸이(central arm rest) 아래에 수용될(housed) 수 있다. 보관 칸막이 부는, 예를 들면 큰 용기에 작은 물품(item)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큰 용기에서 최소 사용 공간을 갖는 보관 칸막이 부를 수용하는 문제를 기초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칸막이 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관 칸막이 부의 횡단면도.
도 3은 보관 칸막이 부가 사용중이지 않을 때의 도 2의 보관 칸막이 부의 횡단면도.
도 4는 보관 칸막이 부가 과적 상태(overloaded)일 때의 도 2의 보관 칸막이 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보관 칸막이 부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보관 칸막이 부 12: 베이스 부재
14: 바닥부 16: 벽
18: 길이 방향 벽 20: 단부벽
22, 36: 선회 조인트
28, 42: 헬리컬 토션 스프링(helical torsion spring)
30: 리브(rib)
32: 스냅-작용 돌출부(snap- action projection)
34: 지지 선반 48: 가이드웨이
50: 가이드 요소
이런 문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칸막이 부는, 보관 칸막이 부가 장착되는 용기 측벽의 내측면 상으로 선회 가능하여, 사용중이지 않을 때의 보관 칸막이 부는 극히 작은 공간만을 차지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칸막이 부는, 용기의 측벽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는(standing) 거의 수평인 위치로부터 용기 측벽의 내측면에 대해 평평하게 놓이는 거의 수직인 위치로, 힌지 조인트(hinged joint)에 의해 선회 가능한 바닥부를 구비한다. 사용중이지 않을 때, 바닥부는 용기의 측벽에 대해 선회되며, 그 결과 용기의 전체 용적이 보관 공간으로 이용된다.
보관 칸막이 부의 하나의 벽은 보관 칸막이 부의 바닥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닥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는 위치로부터 바닥부에 평평하게 놓이는 위치로 선회 가능하다. 보관 칸막이 부가 사용중이지 않을 때, 벽이 바닥부에 얹혀지게 선회되며, 바닥부는 거의 수직의 직립 위치로 선회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칸막이 부는, 보관 칸막이 부의 벽 및 바닥부의 선회 운동을 서로에 대해서 정확하게 조정하는 구동 메커니즘(driving mechanism)(기어 장치)을 구비하며, 그래서 바닥부가 거의 수직 위치로부터 거의 수평 위치로 선회될 때, 보관 칸막이 부의 벽은 바닥부에 대해 평평하게 놓이는 위치로부터, 바닥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는 위치로 선회한다. 바닥부가 거의 수평 위치로부터 거의 수직 위치로 선회되면, 구동 메커니즘은 바닥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는 위치로부터, 바닥부에 대해 평평하게 놓이는 위치로 벽을 선회시킨다. 본 발명은, 용기가 분할될 수 있도록 하며 작은 물품이 큰 용기 내에 깔끔하게 보관되는 이점을 가지며, 사용중이지 않을 때,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칸막이 부는 용기 측벽의 내측면에 대해 최소 사용 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구동 메커니즘은 캠 메커니즘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진전으로, 캠 메커니즘은 바닥부의 선회축에 수직인 평면에 고정된 가이드웨이를 포함한다. 가이드웨이는 선회축으로부터의 거리를 달리하면서 바닥부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arc) 형상으로 이어진다. 보관 칸막이 부의 벽은, 예를 들면 가이드웨이와 맞물리는 측방향으로 돌출한 가이드 핀과 같은 가이드 요소를 구비한다. 캠 메커니즘에 의해서, 보관 칸막이 부의 바닥부에 대한 벽의 각 위치는 바닥부의 선회각에 따라 종속적이 되며, 벽의 선회 운동은 반드시 바닥부의 선회 운동으로부터 파생되며, 그 결과 바닥부가 거의 수평 위치가 유지될 때 벽은 바닥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으며, 바닥부가 거의 수직 위치가 될 때 벽은 바닥부에 대해 평평하게 놓인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형태에서, 보관 칸막이 부의 바닥부는 바닥부를 거의 수평인 위치에서 지지하는 과적 방지 수단을 갖는다. 예를 들어 무거운 물건이 보관 칸막이 부에 놓여져서 보관 칸막이 부가 과적 상태가 되면, 과적 방지 수단이 해제되며 과적 방지 수단은 바닥부가 아래로 접혀지도록 동작한다. 그 결과 보관 칸막이 부에 대한 손상이 방지된다.
선호되는 형태에서, 보관 칸막이 부의 바닥부는 스프링 메커니즘에 의해 거의 수평 위치로 눌려지며, 벽은 바닥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는 위치로 눌려진다. 사용중이지 않을 때, 바닥부는 해제 가능한(releasable) 고정 장치에 의해 거의 수직 위치에 고정된다. 해제 가능한 고정 장치는, 예를 들면 바닥부가 거의 수직 위치로부터 거의 수평 위치로 눌려질 때 측부 쪽으로 멀어지게 탄성적으로 눌려지는 스냅-작용 돌출부를 포함한다. 고정 장치를 극복한 후, 바닥부는 스프링 작용에 의해 거의 수직 위치로 선회한다. 또한, 그 자체로 알려진 푸시-푸시 또는 카디오이드 메커니즘(push-push or cardioid mechanism)이 해제 가능한 고정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도 1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칸막이 부(10)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압출 성형된 부분으로 만들어진, 베이스 부재(base member)(12), 바닥부(14), 및 벽(16)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부재(12)는 길이 방향 벽(18)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방향 벽의 두 단부로부터 단부벽(20)이 돌출한다. 바닥부(14)는, 베이스 플레이트(12)에 평행한 수직 위치로부터 힌지 조인트(hinged joint)에 의해, 90°선회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2)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는 수평 위치로 직각되게 선회 가능하다. 수평 위치에서, 바닥부(14)는 단부벽(20)의 하단 모서리에 위치된다. 힌지 조인트는 베이스 플레이트(12)의 단부벽(20)의 구멍(24)을 통해서 바닥부(14)의 구멍(26)으로 삽입되는 두 개의 핀(22)에 의해 형성된다. 두 개의 핀(22)은 길이 방향 벽(18)에 가깝게, 단부벽(20) 하단 모서리의 바로 위에 배치되며, 그래서 두 개의 핀은 길이 방향 벽(18)에 평행한 바닥부(14)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헬리컬 토션 스프링(helical torsion spring)(28)은 핀(22) 상에 위치되며, 상기 스프링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베이스 부분(12) 상에서 지지되며, 바닥부(14)를 수평 위치로 누른다.
바닥부(14)는 측방향으로 돌출한 리브(30)를 구비하며, 바닥부의 수직 위치에서, 상기 돌출 리브는 서로 마주하고 있는 단부벽(20) 내측부 상의 스냅-작용 돌출부(32)와 작용하며, 해제 가능한 고정 장치(holding arrangement)(30, 32)를 형성한다. 바닥부(14)의 수평 위치에서, 리브(30)는, 단부벽(20)의 내측부에 유사하게 배치되어 리브(30)와 함께 보관 칸막이 부(10)의 과적 방지 수단(30, 34)을 형성하는 지지 선반(supporting ledge)(34) 위에 놓인다.
벽(16)은 바닥부(1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닥부(14)에 대해 평평하게 놓인 위치로부터 바닥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는 위치로 90°까지 선회될 수 있다.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바닥부(14)와 벽(16)은 두 개의 핀(36)에 의해 형성된 힌지 조인트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핀은 벽(16)의 단부 표면상의 러그(lug)에 있는 구멍(38)을 지나 바닥부(14)에 있는 구멍(40)으로 삽입된다. 헬리컬 토션 스프링(42)은 핀(36) 상에 위치된다. 헬리컬 토션 스프링(42)은 바닥부(14)에 지지되며, 벽(16)을 바닥부(14)와 멀리 떨어져 서 있는 위치로 누른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칸막이 부(10)는 박스 형태의 용기(44)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는 보관 칸막이 부(10) 베이스 부분(12)의 길이 방향 벽(18)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aperture)(46)를 일 측벽에 갖는다.
단부 벽(20)의 내측부 상에는 가이드웨이(48)가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웨이는 그루브(groove)의 형태이고, 바닥부(14)의 선회축을 형성하는 구멍(24)을 중심으로 원호 모양(반드시 원호일 필요는 없음)으로 이어진다. 구멍(24)으로부터 가이드웨이(48)까지의 간격은 변하며, 가이드웨이(48)는 구멍(24) 근처에서 시작해서 180°보다 작은 각도에 걸쳐 구멍(24)으로부터 멀어지며 나선형으로 이어지는 나선 모양의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러그의 구멍(38)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서, 벽(16)은 가이드 요소를 형성하며 가이드웨이(48)와 맞물리는 측방향으로 돌출한 페그(peg)(50)를 구비한다. 고정된 가이드웨이(48)와 페그(50)는, 바닥부(1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벽(16)에 대한 캠 메커니즘(cam mechanism)(48, 50)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칸막이 부(10)의 기능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용기(44) 내에 삽입된, 사용 위치에 있는 보관 칸막이 부(10)를 도시한다. 보관 칸막이 부(10)의 베이스 부재(12)에 있는 길이 방향 벽(18)은 용기(44)의 측벽(52) 내측면에 장착된다. 바닥부(14)는 용기(44)의 측벽(52)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수평되게 상기 측벽(52)에 직각을 이루며 용기(44)의 내부 공간에 서 있게 된다. 바닥부(14)는 측부 리브(30)에 의해서 보관 칸막이 부(10)의 단부벽(20)에 있는 지지 선반(34) 상에 놓이며, 헬리컬 토션 스프링(28)은 바닥부(14)를 눌러 지지 선반(34)과 맞물리도록 한다. 바닥부(1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벽(16)은 바닥부(14)로부터 수직 위쪽으로 서 있다. 벽(16)은 헬리컬 토션 스프링(42)에 의해 상기 위치로 눌려지고, 가이드웨이(48)와 맞물리는 페그(50)에 의해 상기 위치에 고정된다.
보관 칸막이 부(10)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보관 칸막이 부는 도 3에 도시된 비작동 위치(non functional position)로 이동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 바닥부(14)는, 도 3에 도시된 수직 위치가 되도록 위쪽으로, 헬리컬 토션 스프링(28)의 힘에 의해 눌려진다. 수직 위치에서, 바닥부(14)와 길이 방향 벽(18) 사이에는 벽(16)이 놓이는 틈새(gap)가 있다. 바닥부(14)를 위쪽으로 선회시킬 때, 가이드웨이(48)에서 슬라이딩되는 페그(50)를 갖는 벽(16)은, 바닥부(14)로부터 멀리 수직하게 서 있는 위치로부터, 바닥부(14)와 길이 방향 벽(18) 사이에서 바닥부(14)에 대해 평평하게 놓인 위치로 선회된다. 가이드웨이(48)와 페그(50)는, 바닥부(14)가 위쪽으로 선회될 때, 벽(16)으로 하여금 바닥부(14)와 접촉되게 선회하게 하는 캠 메커니즘(48, 50)을 형성한다. 바닥부(14)가 다시 수평 위치로 선회되면, 가이드웨이(48)와 페그(50)는 벽(16)으로 하여금 바닥부(14)로부터 멀리 수직하게 위쪽으로 서 있는 위치로 선회하게 한다.
수직 위쪽으로 선회된 위치에서, 바닥부(14)는 단부벽(20)의 스냅-작용 돌출부(32)에 스냅식으로 맞물려지는 측방향 리브(30)에 의해 헬리컬 토션 스프링(28)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바닥부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바닥부(14)는 길이 방향 벽(18)으로부터 멀어지게 눌려지며, 리브(30)는 스냅-작용 돌출부(32)를 극복하기 위해 탄성 변형을 받으며, 뒤 이어 바닥부(14)는 중력 및 토션 스프링 요소(28)에 의해 수평 위치로 선회된다. 바닥부(14)의 리브(30)와 단부벽(20)의 스냅-작용 돌출부(32)는 헬리컬 토션 스프링(28)의 힘에 대항하여 바닥부(14)를 수직 위치에서 고정하는 해제 가능한 고정 장치(30, 32)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무거운 물건이 바닥부 또는 벽에 위치되는 이유로, 보관 칸막이 부(10)의 벽(16) 또는 바닥부(14)가 작동 위치에서 과적 상태가 되면, 바닥부(14)의 리브(30)는 단부벽(20)의 지지 선반(34)을 넘기 위해서 탄성 변형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4)는 벽(16)과 함께 수평 위치를 지나서 아래로 선회한다. 바닥부(14)의 리브(30)는 단부벽(20)의 지지 선반(34)과 함께 과적 상태가 될 때, 벽(16)과 함께 바닥부(14)가 아래쪽으로 멀리 접히도록 하는, 과적 방지 수단을 형성한다. 과적 상태가 되고 난 후, 리브(30)가 지지 선반(34)을 넘을 때까지 바닥부(14)는 위쪽으로 눌려지며 보관 칸막이 부(10)가 다시 사용될 수 있도록 준비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상기 상세한 설명과 함께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된 다른 적용에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인식되어질 것이다.

Claims (6)

  1.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로서, 상기 용기의 측벽 내측면에 장착 가능한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에 있어서,
    상기 보관 칸막이 부(10)는 힌지 조인트(hinged joint)(22)에 의해 거의 수평 위치에서 거의 수직 위치로 선회 가능한 바닥부(14)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 칸막이 부(10)는 힌지 조인트(36)에 의해 상기 바닥부(14)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바닥부(14)에 대해 평평하게 놓이는 위치로부터 바닥부(14)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는 위치로 선회 가능한 벽(16)을 포함하며, 및 상기 보관 칸막이 부(10)는 상기 바닥부(14)가 거의 수직 위치로부터 거의 수평 위치로 선회될 때 상기 바닥부(14)에 대해 평평하게 놓인 위치로부터 상기 바닥부(14)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는 위치로 상기 벽(16)을 선회시키며, 그 반대로 상기 바닥부(14)가 거의 수평인 위치로부터 거의 수직인 위치로 선회될 때 상기 바닥부(14)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는 위치로부터 상기 바닥부(14)에 대해 평평하게 놓인 위치로 상기 벽(16)을 선회시키는 구동 메커니즘(48, 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캠 메커니즘(cam mechanism)(48, 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용기용 보관 칸막이 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 메커니즘(48, 50)은 상기 바닥부(14)의 선회축에 수직인 평면에 고정된 가이드웨이(48)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웨이는 상기 바닥부(14)의 선회축에 대하여 거리를 달리하면서 원호(arc) 형상으로 이어지며, 상기 보관 칸막이 부(10)의 벽은 상기 벽(16)의 선회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웨이(48)와 슬라이딩(sliding)되게 맞물리는 가이드 요소(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4)는 거의 수평 위치에서 상기 바닥부(14)를 지지하며, 상기 바닥부(14)가 과적 상태로 될 때 아래로 접히도록 하는 과적 방지 수단(30, 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칸막이 부(10)는 상기 바닥부(14)를 거의 수평 위치로 누르는 스프링 요소(28)와, 상기 바닥부(14)를 상기 스프링 요소(28)의 힘에 대항하여 거의 수직 위치에서 고정하는 해제 가능한 고정 장치(30, 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칸막이 부(10)는 상기 벽(16)을 상기 바닥부(14)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는 위치로 누르는 스프링 요소(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
KR1020000048815A 1999-09-07 2000-08-23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 KR200100301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42629.5 1999-09-07
DE19942629A DE19942629A1 (de) 1999-09-07 1999-09-07 Ablagefach für einen Behälter insbesondere in einem Kraftwa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118A true KR20010030118A (ko) 2001-04-16

Family

ID=792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815A KR20010030118A (ko) 1999-09-07 2000-08-23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27605B1 (ko)
EP (1) EP1083091B1 (ko)
JP (1) JP3377507B2 (ko)
KR (1) KR20010030118A (ko)
AT (1) ATE236808T1 (ko)
DE (2) DE19942629A1 (ko)
ES (1) ES219465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4021725U1 (de) 2004-06-05 2010-07-15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Laserbearbeitungsmaschine mit Strahldiagnosevorrichtung zur Bestimmung wenigstens eines Strahlkenndatums eines Laserstrahls an einer Laserbearbeitungsmaschine
DE102010025625A1 (de) * 2010-06-30 2012-01-05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Ablagevorrichtung sowie Raumteiler zum Einsatz in einer solchen Ablagevorrichtung
CN203460789U (zh) 2010-06-30 2014-03-05 佛吉亚内饰系统有限公司 板形分隔件及包括分隔件的储存装置
FR2993835B1 (fr) * 2012-07-30 2014-08-29 Faurecia Interieur Ind Dispositif de rangement apte a etre compartimente.
US8960481B2 (en) 2013-03-14 2015-02-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aptable bin with moveable shelf
CN107187707B (zh) * 2017-06-22 2018-12-07 贵州省安顺市黔艺贝纺织有限公司 一种蚕丝被的包装设备
US20190111849A1 (en) * 2017-10-16 2019-04-18 Matthew Thomas Besley Open Space Organizer Apparatus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1261A (en) * 1933-04-05 1934-03-13 Thompson Herbert Automobile desk
US2586543A (en) * 1947-11-18 1952-02-19 John J Kennedy Support
US4809897A (en) * 1988-03-28 1989-03-07 Center-Tech Incorporated Multicompartment console storage receptacle
DE4006487C1 (en) * 1990-03-02 1991-04-11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Motor vehicle glove compartment - has movable shelf supported on guide on compartment wall
JP3287081B2 (ja) * 1992-11-27 2002-05-27 株式会社ニフコ 引き出しユニット
DE19527918A1 (de) * 1995-07-29 1997-01-30 Hymer Leichtmetallbau Haltevorrichtung für Behälter
US5671686A (en) * 1996-02-12 1997-09-30 Manchester Plastics, Inc. Automotive console writing table
US5794952A (en) * 1996-09-23 1998-08-18 Rehrig International, Inc. Support assembly for a plastic basket of a shopping cart
DE29906934U1 (de) * 1999-04-17 1999-09-09 Grass Gmbh Schwinglade für Küchenmöbel u.dg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36808T1 (de) 2003-04-15
JP3377507B2 (ja) 2003-02-17
ES2194655T3 (es) 2003-12-01
US6427605B1 (en) 2002-08-06
JP2001122034A (ja) 2001-05-08
EP1083091A2 (de) 2001-03-14
EP1083091B1 (de) 2003-04-09
EP1083091A3 (de) 2001-06-13
DE19942629A1 (de) 2001-03-08
DE50001687D1 (de) 200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196B1 (ko) 드링크 용기 보유 지지 장치
US5259580A (en) Container holder
KR101223374B1 (ko) 컵 홀더
US6349913B1 (en) Cup holder having a vertically oriented drawer
US6409136B1 (en)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5762307A (en) Retractable automotive cupholder for compact storage in an interior storage compartment
JPH08244514A (ja) 飲料容器のための保持装置
KR100500780B1 (ko) 컵 홀더 장치
KR20010030118A (ko) 자동차의 용기 보관 칸막이 부
GB2335107A (en) Phone cradle with means to retain phone
US7036785B2 (en) Cam activated extendable cupholder
JP4855612B2 (ja) 物品収容装置
JP2002087168A (ja) 容器ホルダー
JP3594470B2 (ja) カップホルダー
KR102400566B1 (ko) 차량용 회전식 컵 홀더
JP4878666B2 (ja) カップホルダー
KR100361686B1 (ko) 자동차용 컵홀더
GB2222142A (en) System for dispensing liquid from a paperboard carton.
US20110095060A1 (en) Device for laterally positioning an object in a container
JP4679008B2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JP2019123408A (ja) 容器載置装置
JP3519485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カップホルダ構造
JP2009149192A (ja) 車両用物品保持装置
KR100799228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H0580871U (ja) カップ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