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876A -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876A
KR20010029876A KR1020000037552A KR20000037552A KR20010029876A KR 20010029876 A KR20010029876 A KR 20010029876A KR 1020000037552 A KR1020000037552 A KR 1020000037552A KR 20000037552 A KR20000037552 A KR 20000037552A KR 20010029876 A KR20010029876 A KR 20010029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eature
divider
retaining element
retain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4943B1 (ko
Inventor
에렌베르거마리나
질홀거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1002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60P7/14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the load bracing means comprising a movable bulk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를 개시한다.
전방 단부 영역에서, 인출 형상부를 전동 차량 지붕 영역내의 차량 장착 고정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유지 요소를 가진 인출 형상부를 구비하는 가요성 평면적 구조체를 가진 전동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가 주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적 구조체가 인출된 작동 상태일 경우, 유지 요소는 인출 형상부의 상부 모서리를 넘어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유지 요소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동 차량 지붕 영역의 측면부 지붕 프레임 요소로부터 이격되어 수평 헤드라이너 영역내에는 대응하는 차량 장착 유지대가 위치된다.
스테이션 웨건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Cargo area divide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평면적 구조체를 갖는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cargo area divider)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요성 평면적 구조체는 차량 고정 베어링에 장착된 롤러 쉐이드 축(roller-shade shaft)에 감기거나 그로부터 풀릴 수 있도록 배치되며, 전면 단부 영역에는 치수적으로(dimensionally) 안정된 인출 형상부(pull-out profile)가 구비되고, 상기 인출 형상부는 평면적 구조체의 전 너비에 걸쳐 연장되며, 평면적 구조체가 인출된 작동 상태에 있는 경우, 차량의 지붕 영역내의 차량 장착 유지대에 인출 형상부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유지 요소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종류의 적재 공간 분할기는 스테이션 왜건(station wagons)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종류의 적재 공간 분할기는 롤러 쉐이드 축에 감기거나 그로부터 풀릴 수 있도록 배치된 분할기 망(divider net)의 형태로서의 가요성 평면적 구조체를 가진다. 롤러 쉐이드 축은 베어링을 통하여 차량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롤러 쉐이드 축은 카세트 하우징내로 일체화되고, 상기 카세트 하우징은 차량상에 고정적으로 위치되며, 분할기 망의 통과를 위하여 상부 일측 영역에서 차량의 횡단 방향으로 뻗는 길이방향의 슬롯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기망의 전면 단부 영역에서는 두 개의 대향 측면의 각각에서 훅 손잡이(hooking knob) 형태의 유지 요소가 구비된 인출 형상부가 제공된다. 특정적으로 각각 측면부에서 측면 지붕 프레임 요소들 높이에 있는 지붕 영역내 대응하는 수용체들은 차량 장착 유지대로서 훅 손잡이와 결합된다. 인출 형상부와 분할기 망이 위로 인출되어 분할기 망이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일단 인출된 작동 상태가 이루어지면 인출 형상부의 유지 요소는 측면의 차량 장착 유지대내에 걸린다.
파이브 시리즈 투어링 웨건("5-series touring" wagon) 모델 베엠베(B.M.W)의 경우에, 공통의 카셋트 하우징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롤러 쉐이드 축들상에 배치된 두 개의 분할기 망을 서로 인접시켜 위치시키는 것도 역시 알려져 있다. 하나의 분할기 망은, 인출되어질 수 있으며 인출된 상태에서는 차량의 전 너비에 거쳐 연장되며 또한 상응하는 유지 요소를 통하여 측면의 지붕-프레임-장착 유지대내에 걸리는 인출 형상부를 구비한다. 제 2 분할기 망은, 필요시에는, 제 1 분할기 망의 인출 형상부내에 걸린다.
앞서 인용되었으며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였을 때 단순화된 유지대를 구비하는 종류의 적재 공간 분할기를 창작하는 동시에 차량의 횡단 방향에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요성 평면적 구조체를 위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창작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도 1은, 뒷좌석 장치 후방의 차량 내부공간안에서 보관된 휴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공간 분할기의 일 구현예를, 후방에서 본 관점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가요성 평면적 구조체가 부분적으로 인출된 상태에서의 도 1의 적재 공간 분할기를 도시한다.
도 3은, 가요성 평면적 구조체가 인출된 작동 상태에 있을 때의 도 1과 도 2의 적재 공간 분할기를 도시한다.
도 4는,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확대된 표현으로, 보관 위치에 있는 인출 형상부 높이에서의 적재 공간 분할기의 일 부분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된 일부분 즉 상방향으로 약간 인출되어 중간적 위치에 있는 인출 형상부를 도시한다.
도 6은, 유지 요소가 작동 위치로 주축회전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더 나아간 중간적 위치에서의 도 4와 5의 적재 공간 분할기를 도시한다.
도 7은, 적재 공간 분할기의 인출 형상부의 유지 요소가 돌출되는 지붕 공간 차량 장착 유지대 영역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공간 분할기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인출 형상부가 유지 요소를 통하여 삽입되는 차량 장착 유지대 영역안에서의 도 1 내지 6의 적재 공간 분할기를 원근 화법으로 도시한다.
도 9는, 유지 요소가 하방으로부터 안으로 끼워진 상태에서의 도 8에 도시된 차량 장착 유지대의 삽입 형상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수평 헤드라이너 영역 4... 카세트 하우징
5... 인출 형상부 6... 차량 장착 유지대
7... 분할기 망 8... 유지 요소
12,13... 스프링 레그(spring leg) 16... 수용체 패널
18... 소켓 요소 19... 안내 형상부
20... 삽입 형상부
상기 목적은 평면적 구조체가 인출된 작동상태일 때, 유지 요소들이 인출 형상부 상부 모서리를 넘어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대응하는 차량 장착 유지대는 유지 요소를 수용하기 위하여, 차량 지붕 영역내 측면 지붕 프레임 요소로부터 이격되어 수평 헤드라이너 영역(headliner region)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요소는 (종래의 기술에서처럼) 인출 형상부의 윤곽선을 넘어 횡방향으로 더 이상 돌출되어 나오지 않으며, 오히려 인출 형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유지 요소들은 그들이 휴지 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평면적 구조체가 작동 상태일 때에도 인출 형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거나, 혹은 평면적 구조체가 평면적 구조체의 인출된 작동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만 작동 상태로 전이되는등, 인출 형상부에 고정적으로 그리고 유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차량 차체의 측면 지붕 프레임 요소로부터 이격되고 수평 헤드라이너 영역내의 대응하는 차량 장착 유지대 배치 때문에, 헤드라이너 영역의 폭에 걸쳐 배분된 방식으로 차량 장착 유지대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평면적 구조체가 각각 지붕 영역내에 서로 독립적으로 걸리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두 개의 분할기 망을 고정하는 것에 대하여 종래 기술에서 제공된 것과 같은 횡단으로 연장될 수 있는 인출 형상부는 따라서 더 이상 필요치않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유지 요소는 인출 형상부상에서 인출 형상부내로 함입된 휴지 위치와 인출 형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승된 작동 위치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휴지 위치에서는, 유지 요소는 따라서 시각적으로 균일한 인상을 위하여 인출 형상부 내로 보이지 않게 일체화된다. 유지 요소가 휴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적재 공간 분할기의 시각적으로 호감을 끄는 전체적인 외관과 더불어, 유지 요소가 휴지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위험도 역시 감소된다. 유지 요소는 필요에 따라 휴지 위치 또는 작동 위치로 수동적으로 전환될 수도 있으며, 그들은 인출 형상부의 대응하는 인출 또는 인입 동작에 따라서 휴지 위치 또는 작동 위치로 자동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유동가능한 장착은 모든 적절한 운동 형식, 특히 선형이나 회동 운동도 역시 포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인출 형상부의 인입된 보관 위치의 높이에서, 차량상에 고정적으로 위치되고, 인출 형상부의 보관된 위치가 도달됨에 따라 각 유지 요소를 그 함입된 휴지 위치내로 강제시키고, 인출 형상부가 인출됨에 따라 작동 위치내로의 이동을 위하여 그들을 해방하는 포지티브 안내 요소를 구비하는 포지티브 안내 장치와 유지 요소가 결합된다. 유지 요소의 포지티브 안내의 결과로, 그들은 인출 형상부가 인출됨에 따라 작동 위치로 명확하게 전환되고, 인출 형상부가 그 보관 위치로 다시 인입됨에 따라 그들은, 역으로, 그 보관된 휴지 위치로 다시 명확하게 복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는, 각 유지 요소는 그 작동 상태의 방향으로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이는 유지 요소의 작동 위치로의 극히 단순하고 자동적인 전환으로 귀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는, 각 유지 요소는 주축회전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방법으로 장착되며, 인출 형상부의 보관 위치 영역내에서 차량상에서 부동적으로 위치되는 멈치와 상호 작용하는 안내 윤곽부를 구비한다. 멈치와 안내 윤곽부는 인출 형상부의 대응하는 인출 또는 인입에 따른 각 유지 요소의 자동적인 전환을 가능케하는 포지티브 안내 장치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는, 각 차량 장착 유지대는 유지 요소를 일치되게 고정하며, 차량 운행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여 열쇠 형상으로 수축되는 삽입 형상부를 구비한다. 유지 요소는 따라서, 인출 형상부가 위로 인출되어 작동 위치에서는, 삽입 형상부내로 하부로부터 삽입되고, 일치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차량 운행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여 삽입 형상부내로 삽입될 수 있다. 형면적 구조체가 인출된 작동 상태이고, 인출 형상부가 적절한 지지 배치에 의하여 이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지지된다면, 충돌의 경우에 가요성 평면적 구조체에 걸리는 부하로 인출 형상부는 안착 위치내로 전방을 향하여 명확하게 밀리기 때문에, 열쇠 형상으로 축소된 삽입 형상부 영역으로의 수동으로 미는 작동은 필요치 않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는, 각 차량 장착 유지대는, 삽입 형상부 하부에서 이격되어서, 유지 요소의 외부 윤곽선(삽입 방향에서 관찰한)과 매칭되는 통로를 구비한 수용체 패널을 가지며, 상기 수용체 패널은 차량의 길이 방향에서 삽입 형상부와 평행하고 따라서 헤드라이너 영역과 평행하게 변위되도록 장착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유지 요소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시각적으로 매력있고 대략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헤드라이너 영역을 만드는, 각 유지 요소에 대한 삽입 형상부의 은폐된 배치를 가능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는, 수용체 패널은 슬라이드 가이드를 통하여 변위되도록 장착된다. 이는 특히 단순하고 기능적으로 신뢰성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가이드는, 상호 평행하고 삽입 형상부 상부에서 차량상에 고정적으로 위치하는 두 개의 안내 형상부를 가지며, 수용체 패널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안내 아암이 슬라이드 가능게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그 위에 장착된다. 이 구성은 수용체 패널에 대한 안정된 보류력와 지지력를 생성한다. 안내 아암과 수용체 패널의 일체화된 구조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단일의 유닛로서의 생산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더 이상의 장점과 특징은 특허청구범위와 도면을 참조하면서 제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구현예에 대한 다음의 기술로부터 명확하다.
도 1은, 뒷좌석 장치 후방의 차량 내부공간안에서 보관된 휴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공간 분할기의 일 구현예를, 후방에서 본 관점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가요성 평면적 구조체가 부분적으로 인출된 상태에서의 도 1의 적재 공간 분할기를 도시한다.
도 3은, 가요성 평면적 구조체가 인출된 작동 상태에 있을 때의 도 1과 도 2의 적재 공간 분할기를 도시한다.
도 4는,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확대된 표현으로, 보관 위치에 있는 인출 형상부 높이에서의 적재 공간 분할기의 일 부분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된 일부분 즉 상방향으로 약간 인출되어 중간적 위치에 있는 인출 형상부를 도시한다.
도 6은, 유지 요소가 작동 위치로 주축회전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더 나아간 중간적 위치에서의 도 4와 5의 적재 공간 분할기를 도시한다.
도 7은, 적재 공간 분할기의 인출 형상부의 유지 요소가 돌출되는 지붕 공간 차량 장착 유지대 영역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적재 공간 분할기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인출 형상부가 유지 요소를 통하여 삽입되는 차량 장착 유지대 영역안에서의 도 1 내지 6의 적재 공간 분할기를 원근 화법으로 도시한다.
도 9는, 유지 요소가 하방으로부터 안으로 끼워진 상태에서의 도 8에 도시된 차량 장착 유지대의 삽입 형상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6 및 8,9에 도시된 적재 공간 분할기는, 기본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차량 내부공간(1)내의 뒷자석 장치(2)의 좌석등받이 장치 후방 일측상에서 차량에 고정적으로 위치되는 카세트 하우징(4)을 구비한다. 차량 내부공간(1)은 승차자 객실(1)의 전 높이에 걸쳐 적재 공간 분할기(4,5,7)에 의해 승차자 객실 혹은 적재 공간으로 분할된다. 적재 공간 분할기는 가요성 평면적 구조체 역할을 하는 분할기 망(7)을 구비하고, 상기 분할기 망은 카셋트 하우징(4)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 쉐이드 축에 감기거나 그로부터 풀릴 수 있도록 지지된다. 전면 단부 영역에서 분할기 망(7)은 분할기 망(7)의 전 너비에 걸쳐서 횡단방향으로 연장되며 치수적으로 안정된 인출 형상부(5)와 결합된다. 인출 형상부(5)는,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작동 위치에서는(도 2 및 3) 인출 형상부(5)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유지 요소(8)를 구비한다. 분할기 망(7)이 인출된 작동 상태(도 3)에 있는 경우, 두 개의 유지 요소(8)는 차량 지붕의 수평 헤드라이너 영역(3)내에 배치된 차량 장착 유지대(6)내로 각각 결합한다. 유지대(6)는, 헤드라이너 영역(3)의 헤드라이너 상부에서, 차량의 지붕 영역의 대응하는 본체 부분에 결합된다. 유지대(6)들의 하부는(이후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됨) 유지대(6)가 헤드라이너 후면에서 함입된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헤드라이너 영역(3)과 근사적으로 같은 높이로 종료된다.
인출 형상부는, 적어도 두 개의 유지 요소(8)의 배치 영역안에서 즉 마주보는 측면부 영역안에서는, 저면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공동(空洞) 형상부로서 구성된다. 각각의 유지 요소(8)는 인출 형상부(5)내에서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수평 회동축(10)을 중심으로 주축 회전 운동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어, 유지 요소(8)가 차량의 근사적으로 수직인 횡단방향의 평면내에서 주축회전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 평면을 따라 인출 형상부(5)의 상부 측면에서는, 유지 요소(8)가 보관된 휴지 위치(도 4)로부터 상승된 작동 위치(도 6)를 향하여 외부로 통과할수 있도록 하는 출구 슬롯(더 이상 지정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상승된 작동 위치에서는, 유지 요소(8)는 출구 슬롯(도 4내지 6)의 측면의 멈치 모서리에 접하여 정지한다. 각 유지 요소(8)는 회동 축(10)과 동축적으로 배치된 레그 스프링(12,13)에 의하여 외부를 향하여 주축회전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부하를 받으며, 제 1 스프링 가지(12)는 인출 형상부(5)의 상부 일측의 내부 표면에 대하여 죄어되고, 제 2 스프링 가지(12)는 유지 요소(8)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지지 스터드(14)에 대하여 죄어된다.
인출 형상부(5)의 보관 위치로의 인출 형상부의 이동 작동으로 유지 요소(8) 가 보관되도록 하고, 인출 형상부(5)가 보관 위치로부터 상방향으로 당겨지기 시작하면서 유지 요소(8)의 자동적 상승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도 4 내지 6은, 일면에서 유지 요소(8)의 하부면상에 제공된 안내 윤곽부(15)와 카세트 하우징(4)의 상부 일측상에 배치된 멈치 표면(9)으로 구성된 포지티브 안내 장치(9,15)가 유지 요소(8)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안내 윤곽부(15)는, 유지 요소(8)의 회동축(10)에 대하여 그리고 인출 형상부(5)의 운동 방향에 대하여, 인출 형상부(5)의 하강 동작이 발생하고 안내 윤곽부(15)가 정지 표면(9)에 접하게될 때에, 유지 요소(8)의 휴지 위치의 방향으로 유지 요소(8)상에 토크가 인가될 수 있는 방법으로 경사지고 구부려지며 연장된다. 안내 윤곽부(15)의 대응하는 구성 때문에, 인출 형상부(5)의 보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유지 요소(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된 휴지 위치로 완전히 전환된다. 인출 형상부(6)가 다시 상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에는, 레그 스프링(12,13)이 유지 요소(8)를 작동 위치로 자동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안내 윤곽부(15)와 차량에 고정적으로 위치된 카세트 하우징(4)의 정지 표면(9)은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다.
각각의 차량 장착 유지대(6)는, 헤드라이너 바로 상부에서, 그 중간 영역이 깔때기 형상(도 8,9)으로 상방향으로 부풀려진 접시 형상의 수용체 패널(16)을 구비한다. 깔때기 형상 방식(도 8,9)으로 부풀려진 수용체 패널(16) 영역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방향에서 평면도로 보았을 때, 그 치수가 유지 요소(8)의 해머 형상 헤드의 외부 윤곽보다 약간 큰 슬랏 형상의 통로를 구비한다. 깔때기 형상의 볼록부는 각각의 유지 요소(8)의 해머 형상 헤드를 삽입하기 위한 센터링 보조기를 구성한다. 수용체 패널(16)은, 헤드라이너 바로 뒤에서, 변위되도록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그 목적을 위하여, 둥근 막대의 형상으로,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고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방향으로 돌출하면서 안내 형상부(19) 주위에 약간 유동적인 방식으로 끼워지는 네 개의 안내 아암(17)의 도움으로 수용체 패널(16)이 지지되는 두 개의 안내 형상부(19)가, 지붕 영역의 대응하는 본체 요소에 고정되며, 치수적으로 안정되고 족쇄 형상을 한 마운트(6)의 지지 부분내에 제공된다. 안내 아암(17)은 수용체 패널(16)상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로부터 상부로 돌출한다. 안내 아암(17)들 사이에서는, 안내 아암(17) 및 수용체 패널(16)과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저면을 향하여 개방되면서 그 상단에서 유지 요소(8)의 해머 형상의 헤드를 떠받치기 위한 수용체 영역을 구비하는 소켓 요소(18)가 연장된다.
소켓 요소(18)의 수용체 영역의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유사한 예시적 구현예로부터 명확하다. 그곳에 도시된 차량 장착 유지대(6a)와 인출 형상부(5a)의 유지 요소(8a)는 작동과 기술적 구성의 관점에서 도 1 내지 6, 8, 및 9에 도시된 예시적 구현예에 상응하며, 수용체 패널(16)의 안내에서와 유지 요소(8a)의 하부 영역에 있어서의 형태적 변화만이 제공되었다. 작동상으로 동일한 설계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 7의 예시적 구현예에 대하여 각각의 경우 글자 "a"가 단순히 부가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선택되었다.
유지대(6)의 지지 요소는, 유지 요소(8)를 위한 개구부 영역 내에서, 열쇠 형상(도 9)으로 수축된 개구(21,22)를 구비한 삽입 형상부(20)를 형성한다. 근사적으로 반원형이고, 그 폭이 유지 요소(8)의 해머 형상 헤드의 폭보다 큰 개구 영역(21)은, 단계적 방식으로 수축되고 그 폭이 해머 형상의 헤드 하부에서의 유지 요소(8)의 폭보다 약간 큰 개구 영역(22)과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여 인접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 요소(8)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여 수축된 개구 영역(22) 내로 밀리는 순간, 수용체 패널(16)의 변위와 동시에, 밖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삽입 형상부(20)내로 일치되게 안착된다. 소켓 요소(18)는 깔때기 형상의 볼록부와 마주보며 위치하는 삽입 형상부(20)의 측면에 위치하고, 따라서 유지 요소(8)의 삽입 동작을 위하여 단부에 위치된 멈치를 형성한다.
따라서, 분할기 망(1)을 도 1에 도시된 휴지 위치로부터 인출된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는, 인출 형상부(5)는 상방향으로 당겨지고, 그 결과로서 유지 요소(8)는 자동적으로 그 상승된 작동 상태로 밀린다. 인출 형상부(5)는 유지 요소(8)가 헤드라이너 영역(3)내의 각 유지대(6)의 수용체 패널(16)의 깔때기 형상의 볼록부내로 결합될 때까지 상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또는 밀린다. 유지 요소(8)와 인출 형상부(5)는, 유지 요소(8)의 해머 형상의 헤드 단부면이 소켓 요소(18)의 수용하는 영역에서 정지할 때까지 상방향으로 더욱 밀린다. 인출 형상부(5)는 그런 다음 차량 운행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여 약간 밀리며, 따라서 유지 요소(8)가 삽입 형상부(20)의 수축된 개구 영역(22)으로 들어가고, 해머 형상의 헤드와 그 개구 영역(22)의 모서리 뒤에서 결합되도록 한다. 이는 삽입 형상부(20)에서의 일치된 안착으로 귀착된다. 분할기 망(7)이 인입된 휴지 위치내로 다시 하강되며, 인출 형상부가 그 보관 위치로 하강되기 위하여는, 유지 요소(8)가 다시 각 삽입 형상부(20)의 확대된 개구 영역(21)의 높이에 위치될 때까지, 인출 형상부(5)는 먼저 차량의 운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당겨지거나 밀린다. 인출 형상부(5)는 그런 다음, 카세트 하우징(4)이 도달되면, 유지 요소(8)의 안내 윤곽부(15)가 멈치 표면(9)에 대하여 접촉하고 유지 요소(8)를 하강된 휴지 위치로 전환시키도록, 하방향으로 하강된다. 롤러 쉐이드 축은 분할기 망의 인입 방향으로 스프링 부하를 받기 때문에, 분할기 망(7)의 복귀 동작 및 이에 대응하는 인출 형상부(5)의 보관 위치내로의 하강 동작은 롤러 쉐이드 축의 대응하는 스프링 배치로부터의 스프링 힘의 도움으로 일어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에 의한 경우, 승차자 객실과 적재 공간을 분할하여 급격한 제동등에 대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평면적 구조체가 인출된 작동 상태일 경우, 유지 요소는 인출 형상부의 상부 모서리를 넘어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평면적 구조체가 인입되는 경우에는, 유지 요소가 보관된 휴지 상태로 전환되어, 매끄러운 외관뿐만 아니라 충돌시에도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차량 고정 베어링에 장착된 롤러 쉐이드 축에 감기거나 그로부터 풀릴 수 있도록 배치되며, 전면 단부 영역에는 치수적으로 안정된 인출 형상부가 구비되고, 상기 인출 형상부는 평면적 구조체의 전 너비에 걸쳐 연장되며, 평면적 구조체가 인출된 작동 상태에 있는 경우, 차량의 지붕 영역내의 차량 장착 유지대에 인출 형상부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유지 요소들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평면적 구조체를 갖는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에 있어서,
    평면적 구조체(7)가 인출된 작동 상태에 있는 경우, 유지 요소(8,8a)는 인출 형상부(5,5a)의 상부 모서리를 넘어서 상방향으로 돌출하고, 대응하는 차량 장착 유지대(6,6a)는 유지 요소(8,8a)를 수용하기 위하여 차량 지붕 영역의 측면부 지붕 프레임 요소와 이격되어서 수평 헤드라이너 영역(3)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유지 요소(8,8a)는 인출 형상부(5,5a)상에서 인출 형상부(5,5a)내로 보관된 휴지 위치와 인출 형상부(5,5a)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승된 작동 위치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3. 제 2항에 있어서,
    인출 형상부(5)의 인입된 보관 위치의 높이에서, 차량상에 고정적으로 위치되고, 인출 형상부(5)의 보관된 위치가 도달됨에 따라 각 유지 요소(8)를 그 함입된 휴지 위치내로 강제시키고, 인출 형상부(4)가 인출됨에 따라 작동 위치내로의 이동을 위하여 그들을 해방하는 포지티브 안내 요소(9)를 구비하는 포지티브 안내 장치(9,15)와 유지 요소(8)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4.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유지 요소(8,8a)는 그 작동 상태의 방향으로 스프링 부하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5. 제 3항에 있어서,
    각 유지 요소(8)는 주축회전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방법으로 장착되며, 인출 형상부(5)의 보관 위치 영역내에서 차량상에 부동적으로 위치되는 멈치(9)와 상호 작용하는 안내 윤곽부(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6.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차량 장착 유지대(6,6a)는 유지 요소(8,8a)를 일치되게 고정하며, 차량 운행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여 열쇠 형상으로 수축되는 삽입 형상부(20,20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7. 제 6항에 있어서,
    각 차량 장착 유지대(6,6a)는, 삽입 형상부(20,20a) 하부에서 이격되어서,
    유지 요소(8,8a)의 외부 윤곽선(삽입 방향에서 관찰한)과 매칭되는 통로를 구비한 수용체 패널(16,16a)을 가지며, 상기 수용체 패널은 차량의 길이 방향에서 삽입 형상부(20,20a)와 평행하고 따라서 헤드라이너 영역(3)과 평행하게 변위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8. 제 7항에 있어서,
    수용체 패널(16)은 슬라이드 가이드(17,19)를 통하여 변위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9. 제 8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이드는, 상호 평행하고 삽입 형상부(20) 상부에서 차량상에 고정적으로 위치하는 두 개의 안내 형상부(19)를 가지며, 수용체 패널(16)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안내 아암(17)이 슬라이드 가능게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그 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KR1020000037552A 1999-07-01 2000-07-01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KR100644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0107.7 1999-07-01
DE19930107A DE19930107C1 (de) 1999-07-01 1999-07-01 Laderaumabtrennung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876A true KR20010029876A (ko) 2001-04-16
KR100644943B1 KR100644943B1 (ko) 2006-11-10

Family

ID=791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552A KR100644943B1 (ko) 1999-07-01 2000-07-01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25436B1 (ko)
EP (1) EP1065109A3 (ko)
JP (1) JP2001030839A (ko)
KR (1) KR100644943B1 (ko)
DE (1) DE19930107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4855C2 (sv) * 1998-04-20 2001-05-07 Volvo Ab Skyddsanordning för fordon
JP2003252127A (ja) 2001-12-28 2003-09-10 Pioneer Electronic Corp 駆動制御装置および駆動制御方法
DE10238613A1 (de) * 2002-08-19 2004-03-11 Bos Gmbh & Co. Kg Einbau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US6749241B1 (en) 2002-08-29 2004-06-15 Collins & Aikman Products Vehicle cargo panel having retractable belt
US7017965B2 (en) * 2003-08-07 2006-03-28 Bos Gmbh & Co. Kg Motor-vehicle cargo net
DE10356911B3 (de) * 2003-12-02 2005-01-20 Bos Gmbh & Co. Kg Laderaumschut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7163260B2 (en) * 2004-06-17 2007-01-16 Asc Incorporated Automotive vehicle open air system
US20050280293A1 (en) * 2004-06-17 2005-12-22 Macnee Arthur L Iii Automotive vehicle open air system
US7114769B2 (en) * 2004-06-17 2006-10-03 Asc Incorporated Automotive vehicle open air system
US20050280290A1 (en) * 2004-06-17 2005-12-22 Urban Michael J Automotive vehicle open air system
DE102005032470B3 (de) * 2005-07-08 2007-03-08 Bos Gmbh & Co. Kg Laderaumschut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62380B3 (de) * 2005-12-23 2007-03-01 Dr.Ing.H.C. F. Porsche Ag Kraftfahrzeug mit einer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ein Trenn- bzw. Rückhalteelement
DE102006034635A1 (de) * 2006-07-27 2008-01-31 Dr.Ing.H.C. F. Porsche A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FR2915941B1 (fr) * 2007-05-09 2010-08-20 Cera Dispositif de fixation d'un filet de protection de compartiment a bagages de vehicule automobile
US7938483B2 (en) 2007-05-24 2011-05-10 Specialty Vehicle Acquisition Corp. Movable vehicular roof
US7527328B2 (en) * 2007-05-24 2009-05-05 Specialty Vehicle Acquisition Corp. Modular roof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8403615B1 (en) 2008-08-20 2013-03-26 Bruno Independent Living Aids, Inc. Vehicle lift barrier
US8684645B2 (en) 2012-03-19 2014-04-01 Kenneth Hobbs Removable gate
DE102012221585B4 (de) * 2012-11-26 2016-11-24 Bos Gmbh & Co. Kg Rückhalte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50823A1 (de) * 1977-11-14 1979-05-17 Klaus Zimmermann Sicherheitsgurteinrichtung in fahrzeugen,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JPH0478043U (ko) * 1990-11-21 1992-07-08
DE4328746C2 (de) * 1993-08-26 1995-08-24 Baumeister & Ostler Gmbh Co Sicherheitsnetzanordnung
DE4336380C2 (de) * 1993-10-25 1995-08-10 Baumeister & Ostler Gmbh Co Sicherheitsnetzanordnung
DE4441610C2 (de) * 1994-11-23 1997-10-02 Baumeister & Ostler Gmbh Co Sicherheitsnetzanordnung
DE19531303C1 (de) * 1995-08-25 1997-02-06 Baumeister & Ostler Gmbh Co Laderaumabtrennung zwischen einem Fondraum und einem Laderaum eines Innenraumes eines Kombi-Personenkraftwagens
US5772370A (en) * 1995-11-22 1998-06-30 Moore; Donal Retractable and/or removable net type cargo restraining system
KR100197002B1 (ko) * 1995-12-02 1999-06-15 정몽규 화물차용 적재함의 로프 고정고리
US5702143A (en) * 1996-03-15 1997-12-30 Tachi-S Co., Ltd. Arrangement for anchoring a guard net in automobile
KR0130459Y1 (ko) * 1996-09-17 1998-12-15 박병재 자동차의 화물 고정용 네트 후크
DE19728587C1 (de) * 1997-07-04 1998-11-05 Baumeister & Ostler Gmbh Co Sicherheitsnetzanordnung mit Belastungsanzei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25436B1 (en) 2001-12-04
KR100644943B1 (ko) 2006-11-10
DE19930107C1 (de) 2000-07-13
JP2001030839A (ja) 2001-02-06
EP1065109A2 (de) 2001-01-03
EP1065109A3 (de) 200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943B1 (ko)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US7055877B2 (en)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interior
US5820187A (en) Cargo space partition between a rear compartment and a cargo space of a station wagon interior
US8196985B2 (en) Console assembly
US8708408B2 (en) Armrest assembly having beverage holder
US7086678B2 (en) Separating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EP2055531B1 (en) Tunnel console for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US20070296234A1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KR20010050540A (ko) 차량용 적재 공간 분할기
US20070085363A1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20080007079A1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5613732A (en) Vehicle seat armrest incorporating a transmitter unit for a garage door opening system
US20030090130A1 (en) Built-in combination for use in a means of locomotion
JP2002308016A (ja) 自動車のための荷物室カバー装置
US20050151398A1 (en) Motor-vehicle seat-back storage compartment
DE19901073A1 (de) Staubehälter für ein Kraftfahrzeug
CN219056135U (zh) 用于车辆的物品存放装置
KR200144494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H11245731A (ja) 自動車用トノカバー装置
KR0175242B1 (ko) 자동차 도어용 컵 홀더
KR20240055795A (ko) 차량 내부에 다른 구성품을 부착하기 위해 추가 부품을 사용하는 시트 어셈블리, 차량 및 설치 방법
KR200144495Y1 (ko) 자동차 도어용 컵 홀더
KR19980036413U (ko) 차량용 컵 홀더
KR100294752B1 (ko) 자동차용컵홀더
KR0114412Y1 (ko) 차량용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