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371A -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371A
KR20010028371A KR1019990040577A KR19990040577A KR20010028371A KR 20010028371 A KR20010028371 A KR 20010028371A KR 1019990040577 A KR1019990040577 A KR 1019990040577A KR 19990040577 A KR19990040577 A KR 19990040577A KR 20010028371 A KR20010028371 A KR 20010028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terephthalate res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2344B1 (ko
Inventor
최기대
유동천
금종구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9990040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344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8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08L2666/82Phosphorus-containing stabiliz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84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 친화성 난연 열가소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가소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적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질소계 난연 상승제, 무기 금속 화합물계 복합 난연 상승 작용제 및 충전재를 함유시킨 전기적 특성, 탁월한 난연성 및 균형잡힌 물리적 특성을 갖는 환경 친화성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30 내지 80 중량%; b) 적인계 난연제 1 내지 15 중량%; c) 질소계 난연 상승제 2 내지 15 중량%; d) 무기 금속화합물계 복합 난연 상승 작용제 2 내지 15 중량%; 및 e) 충전재 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HAVING FLAME-RESISTANCE}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환경 친화성 난연 열가소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가소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적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질소계 난연 상승제, 무기 금속 화합물계 복합 난연 상승 작용제 및 충전재를 함유시킨 전기적 특성, 탁월한 난연성 및 균형잡힌 물리적 특성을 갖는 환경 친화성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기계적 및 전기적 성질과 기타 물리적·화학적 특성이 뛰어나 자동차, 전기·전자기기 및 사무기기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불에 잘 타기 때문에 난연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는 별도로 유기 할로겐계 난연제 및 보조 난연제를 사용하여 난연성을 부여하여 왔다.
그러나, 염소 또는 브롬 원소를 함유하는 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수지는 가공될 때 할로겐화 수소에 의해 가공기기의 부식, 수지 분해, 유독 가스의 발생 등의 원인을 제공한다. 또한 화재 발생시 다량의 할로겐화 화합물을 발생시켜 유독 가스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기 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 보조제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은 실제로 사용될 때 성형품에 접촉하고 있는 금속을 부식시켜 부품의 작용을 방해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전기 접촉 부품으로 적용할 때 접촉 금속이 쉽게 오염되어 전기 저항치의 변화가 유발되기도 한다. 또한 할로겐계 화합물 및 안티몬 화합물계 난연 보조제를 포함한 열가소성 수지는 전기적 특성 중의 하나인 내트래킹성의 급격한 저하를 가져 온다. 또한 최근 환경 문제 관련하여 논란이 되고 있는 화재 및 소각 시의 다이옥신 발생 우려로 유럽 일부 국가에서 폴리 브로미네이티드 바이페닐 및 데카 등의 난연제 규제를 제안한 바가 있다.
따라서, 현재 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는 난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비할로겐계 난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제조 방법은 난연제로 적인(미국 특허 제3,951,908호 및 미국특허 제4,403,052호),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 화합물(미국 특허 제4,278,591호) 등이 사용된 바 있고, 적인과 무기 필러를 사용한 예(유럽 특허 제83768 Al호)가 있다. 또한 인산에스테르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사용한 예(일본특허 공개공보 평8-259787호)및 적인과 인산에스테르를 함께 사용한 예(미국 특허 제3,878,162호)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바람직한 난연 정도를 얻기 위해서 다량의 난연제를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한 과다한 비용 상승, 물성 저하, 내열성 감소 및 전기적 특성 저하를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적인을 포함하는 난연계에서는 고온 안정성 저하로 가공 중에 미량의 수분 접촉에 의해서도 포스핀 가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은 환경 친화적인 난연제를 함유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 상승제, 복합 난연 상승 작용제 및 충전재를 함유하여 효과적인 난연 상승계를 적용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량의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아 과다한 비용 상승 및 특성저하 없이 우수한 전기적 특성, 탁월한 난연성 및 균형잡힌 물리적 특성을 갖는 환경 친화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인계 난연제를 사용하면서도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아서 가공 중에 미량의 수분 접촉에 의해 포스핀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형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30 내지 80 중량%;
b) 적인계 난연제 1 내지 15 중량%;
c) 질소계 난연 상승제 2 내지 15 중량%;
d) 무기 금속화합물계 복합 난연 상승 작용제 2 내지 15 중량%; 및
e) 충전재 5 내지 50 중량%
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전기, 전자, 또는 자동차용 성형 제품도 제공한다.
[작 용]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적인계 난연제를 사용하고, 보조적으로 질소계 난연 상승제, 복합 난연 상승 작용제 및 충전재를 함유시킴으로써 효과적인 난연 상승계를 적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난연제의 소량 첨가에 의해서도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내며, 기타 물리적 특성도 저하되지 않고 균형적인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다음의 성분들이 사용된다.
상기 a)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부탄-1,4-디올과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단량체로 사용하여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터 교환반응을 통하여 축중합한 중합체가 사용된다.
또한 충격강도를 높이기 위해 변성시킨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적 변성 방법에는 중합 시에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TM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아미드를 공중합한 것 등이 있고, 물리적 변성 방법으로 충격 보강제(impact modifier)를 블렌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 충격 보강제로는 코아(core; 고무 재질)-쉘(shell; 플라스틱 재질)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M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삼원공중합체-스티렌(AES), 아크릴로니트릴-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ASA), 모든 아크릴계 고무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의 삼원공중합체(EPDM),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스티렌-부타디엔(SB), 스티렌-이소프렌 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비닐알콜(EVOH) 공중합체, PBT계 탄성체, PET계 탄성체 및/또는 나일론(Nylon)계 탄성체 등이 사용된다. 상기 언급된 수지 외에 충격상승이 되는 어떠한 수지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충격 보강제로 변성시 상용화제 또는 분산제로 말레인산 무수물, 옥사졸린 및/또는 에폭시 그룹을 말단기 또는 측쇄에 갖는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를 첨가할 수 있다.
이밖에 강인화, 외관 개선, 혹은 유동성 개선의 목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페놀 수지(phenol resin) 등을 블렌드 할 수 있다. 또한 증량 등의 목적으로 다른 수지와 블렌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미리 변성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용융 혼련 전에 순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다른 수지를 함께 첨가하여 혼합 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a)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양은 전체 수지 조성물 내에서 30 내지 80 중량%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중량 %이다.
또한 상기 b)의 적인계 난연제는 분말을 바로 사용하거나 수화금속산화물과 블렌드하여 사용하거나 열가소성 수지에 고농도로 혼합된 마스터 뱃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지와의 분산성 및 포스핀 가스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인을 다양한 방법으로 피복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적인 분말의 피복 방법으로 산화티탄과 합성수지, 수산화 알루미늄 또는 수산화 마그네슘과 합성수지, 열경화성 수지(멜라민 수지 또는 아미노 레진, 우레아 수지, 페놀 수지, 알키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또는 에폭시 수지) 단독 및 Zn 또는 Ni 화합물 및 열경화성 수지 등으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코팅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특허 공개공보 소61-11132호 및 소62-21704호).
이밖에 포스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탄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포스핀 가스 포집제로 활성탄, 파라핀 오일, 실리콘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포스핀 가스 억제제로 여러 형태의 금속 산화물을 적인 함량의 10 중량 % 이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b)의 적인 난연제의 입자 평균 크기는 작을수록 유리하고 통상 50 ㎛ 이내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가 적당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가 사용된다. 또한 전체 수지 조성물 내의 함량은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 %이다.
또한 상기 c)의 질소계 난연 상승제는 질소 함유 난연제 또는 질소-인 함유 난연제가 있다.
질소 함유 난연 상승제로는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멜라민(melamine) 및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와 트리페닐 아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이 있고, 질소-인 함유 난연제로는 멜라민 포스페이트(melamine phosphate),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melamine pyrophosphate),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알킬 아민 포스페이트(alkylamine phosphate), 피퍼라진 산 폴리포스페이트(piperazine acid polyphosphate)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질소계 난연제 및/또는 인튜메슨트(intumescent) 첨가제(예를 들면 디펜타에리트리톨, 전분, 덱스트린 등의 폴리하이드릭 화합물(polyhydric compounds), 무기산 등)를 1 종 또는 2 종 이상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c)의 질소계 난연 상승제의 전체 수지 조성물내 함량은 2 내지 15 중량%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 %이다.
또한 상기 d)의 무기 금속 화합물계 복합 난연 상승 작용제는 금속 수산화물 및 무기 금속 화합물이 있다.
대표적인 금속 수산화물로는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aluminium hydrate), 마그네슘 하이드레이트(magnesium hydrate), 칼슘 하이드레이트(calcium hydrate) 등이 있으며, 분말상, 표면처리 분말상 또는 그래뉼 타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무기 금속 화합물로는 징크 설파이드(zinc sulfide), 징크 옥사이드 (zinc oxide), 산화 티타늄(titinium oxide), 마그네슘 칼슘 카보네이트(magnesium calcium carbonate), 마그네슘 카보네이트(magnesium carbonate),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징크 보레이트(zinc borate), 징크 보레이트 하이드레이트(zinc borate hydrate), 황산 마그네슘 하이드레이트(magnesium sulfate hydrate)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복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d)의 무기 금속 화합물계 복합 난연 상승 작용제의 전체 수지 조성물 내 함량은 2 내지 15 중량%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이다.
또한 상기 e)의 충전재는 섬유상, 판상 및 입자 형태의 다양한 유기 및/또는 무기 충전재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충전재의 예로는 탄소 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광물 섬유, 티탄산 칼륨 휘스커(potassium titanate whiskers), 실리콘 카바이드 섬유, 보론 카바이드 섬유, 아라미드 펄프, 유리 플래이크(glass flake), 실리카, 탄산칼슘, 카본 블랙, 전도성 카본 블랙, 카올린, 규회석(wollastonite), 탈크(talc), 마이카(mica) 등이 있다.
이러한 상기 e)의 충전재의 전체 수지 조성물 내 함량은 5 내지 50 중량%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 %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 수지 조성물은 물성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할로겐계 난연제, 실리콘계 난연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가수분해 안정제, 이형제, 안료, 대전 방지제, 전도성 부여제 또는 전자파(EMI) 차폐제, 자성부여제, 포스핀 가스 억제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억연제, 불소계 적하 방지제, 내마찰 내마모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난연 수지 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첨가제와 함께 믹서에서 일차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이축 압출기(twin-screw extruder), 일축 압출기(single-screw extruder), 롤밀(roll-mills), 니더(kneader) 또는 밤바리 믹서(banbury mixer) 등 다양한 가공기기를 사용하여 사용 용융 혼련한 후 사출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각 성분의 함량은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중량%로 나타냈다. 다음 예들에서 사출 성형 시편의 물리적 성질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인장강도 및 신율 : ASTM D638
열변형온도 : ASTM D648 (18.6kgf/cm.cm 의 하중사용)
충격강도 : ASTM D256 (1/8인치 두께, 상온, 노치 아이조드)
난연성 : UL(Underwriter's Laboratory) 94의 막대 수직 연소시험 방법으로
시험하고, 난연등급은 V0 > V1 > V2 의 순으로 우수하다.
전기적 특성 : ASTM D2863 (내트래킹성, CTI)
내열성 : 오븐 에이징 외관 관찰 (170 ℃, 1주일)
포스핀 가스 검출량 (Drager tube포집, 적정)
: 압출 Die 부분 발생량 및 밀폐 용기 보관시 발생량 (25 ℃, 24 시간 기준)
실시예 1∼6 , 비교예 1∼4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LG화학 제품으로 "Lupox GP-1000"을, PET수지는 삼양사, 아이오 노모(Ionomer; 변성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수지는 듀폰(Dupont)사, 적인은 이태리 이탈마치(Italmatch)사, 인산에스테르는 일본 대팔화학사의 RDP(resocinol diphenylphosphate)를, 멜라민은 삼성정밀화학사, 멜라민 포스페이트는 앨브라이트 윌스(Albright Wilson)사, 수산화 마그네슘은 일본 교와 케미칼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표 1에 나타난 조성물 함량과 안정제, 활제 및 적하 방지제등을 수퍼믹서로 잘 혼합하여 별도의 2 차 투입구를 장착한 동방향 이축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렛으로 만든 다음 건조 후 사출 성형하여 상온 안정화 과정을 거친 후 각종 물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무기 충전재는 2 차 투입구를 통하여 별도 투입 하였으며 압출기 설정 온도는 240 ℃ 내지 270 ℃로 하였으며, 사출 성형기 설정 온도는 250 ℃ 내지 260 ℃로 하였다.
실시예 7∼10 , 비교예 5∼7
실시예 1∼6과 같이 제조하되, 표 2에 나타낸 조성 함량으로 제조하며, 각 수지 성분 및 난연 성분은 앞 실시예와 동일하며, 충격보강재인 메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MBS)로는 LG 화학사의 MB830을 사용하였으며, 포스핀 가스 포집 및 적정은 압출기 다이 출구와 밀폐 용기 보관시의 검출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각 조성물의 결과는 표 1과 2에 각각 나타나 있으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적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 상승제, 무기 금속 화합물계 복합 난연 상승 작용제 및 충전재로 구성된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표 1과 2에서 볼 수 있듯이 우수한 난연 상승효과로 소량 첨가로 과다한 비용 상승 없이 우수한 전기적 특성, 탁월한 난연성 및 균형 잡힌 물리적 특성과 내열성을 갖음을 명백히 알 수있다.
즉, 표 1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뚜렷한 난연 상승 작용으로 소량의 첨가에 의해서도 우수한 난연 특성, 내열 특성, 및 우수한 물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2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존에 공지된 적인 함유 난연 조성물에 비해서 월등한 난연 상승 효과, 균형잡힌 물성 특성과 함께 유독 가스 발생량도 극히 적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환경 친화적인 비할로겐 적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 상승제, 무기 금속 화합물계 복합 난연 상승 작용제 및 충전재를 복합적으로 함유시켜 효과적인 난연 상승계가 적용되도록 하여 과다한 비용상승 및 특성 저하 없이 우수한 전기적 특성, 탁월한 난연성 및 균형잡힌 물리적 특성을 갖는 환경 친화성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이다.

Claims (9)

  1.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30 내지 80 중량%;
    b) 적인계 난연제 1 내지 15 중량%;
    c) 질소계 난연 상승제 2 내지 15 중량%;
    d) 무기 금속화합물계 복합 난연 상승 작용제 2 내지 15 중량%; 및
    e) 충전재 5 내지 50 중량%
    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70 중량% 이상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이거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7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수지 배합물인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적인계 난연제의 전체 조성물 내 함량이 2 내지 10 중량%인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적인계 난연제는 표면이 피복처리된 분말이거나 열가소성 수지에 고농도로 혼합된 마스터 배치인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질소계 난연 상승제가 멜라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트리페닐 아이소시아누레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알킬 아민 포스페이트, 및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의 무기 금속화합물계 복합 난연 상승 작용제가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황화아연, 산화아연, 산화티탄, 마그네슘 칼슘 카보네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붕산아연, 붕산아연 수화물, 및 황산마그네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의 충전재가 유리섬유, 탄소섬유, 유리 플레이크, 탈크, 마이카, 카올린, 탄산칼슘, 유리비드, 및 전도성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산화방지제, 윤활제, 광안정제, 가수분해 안정제, 실리콘 조제, 이형제, 안료, 대전 방지제, 포스핀 가스 억제제, 항균제, 가공조제, 적하 방지제, 억연제, 내마찰 마모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9. 제 1 항 기재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전기, 전자, 또는 자동차용 성형 제품.
KR19990040577A 1999-09-21 1999-09-21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362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40577A KR100362344B1 (ko) 1999-09-21 1999-09-21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40577A KR100362344B1 (ko) 1999-09-21 1999-09-21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371A true KR20010028371A (ko) 2001-04-06
KR100362344B1 KR100362344B1 (ko) 2002-11-23

Family

ID=19612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0040577A KR100362344B1 (ko) 1999-09-21 1999-09-21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3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625B1 (ko) * 2000-10-26 2003-12-06 엘지전선 주식회사 고강도 열가소성 난할로겐 난연 고분자 조성물
KR100452797B1 (ko) * 2001-07-02 2004-10-14 주식회사 코오롱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469920B1 (ko) * 2002-05-24 2005-02-02 주식회사 두본 비할로겐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13078B1 (ko) * 2005-12-29 2008-03-14 제일모직주식회사 이형성과 내열성이 향상된 금속의 직접 증착이 가능한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623B1 (ko) * 2007-12-24 2009-09-02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KR100885521B1 (ko) 2007-12-31 2009-02-26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993B1 (ko) * 1989-10-07 1993-03-20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0179027B1 (ko) * 1991-07-25 1999-03-20 스즈끼 아끼오 비자성 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
DE19651471A1 (de) * 1996-12-11 1998-06-18 Clariant Gmbh Flammwidrige ungesättigte Polyesterharze
DE19651470C2 (de) * 1996-12-11 2000-08-10 Clariant Gmbh Flammwidrige ungesättigte Polyesterharz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H11140290A (ja) * 1997-11-04 1999-05-2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0329903B1 (ko) * 1999-06-15 2002-03-22 구광시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625B1 (ko) * 2000-10-26 2003-12-06 엘지전선 주식회사 고강도 열가소성 난할로겐 난연 고분자 조성물
KR100452797B1 (ko) * 2001-07-02 2004-10-14 주식회사 코오롱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469920B1 (ko) * 2002-05-24 2005-02-02 주식회사 두본 비할로겐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13078B1 (ko) * 2005-12-29 2008-03-14 제일모직주식회사 이형성과 내열성이 향상된 금속의 직접 증착이 가능한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2344B1 (ko)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3375B2 (en) Anticorrosive flame retardant formulations for thermoplastic polymers
JP4334221B2 (ja) 難燃性強化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3115934B2 (ja) 難燃助剤、難燃剤および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00118374A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090068520A (ko)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KR100383097B1 (ko) 난연 열가소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207183B1 (ko)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0362344B1 (ko)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JP4307882B2 (ja) 難燃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CN115322488B (zh) 一种阻燃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688201B2 (ja) 電気安全性に優れた難燃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2001279092A (ja) 難燃性強化ポリアミド樹脂系組成物
JP3951451B2 (ja) 耐トラッキング特性に優れた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1279091A (ja) 難燃性強化ポリアミド組成物
JP4278779B2 (ja) 難燃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100481681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스티렌계 공중합체 얼로이 조성물
KR100200034B1 (ko) 난연 고충격 폴리스티렌 수지 조성물
KR20130130320A (ko) 할로겐―안티몬 프리 친환경 폴리에스테르 난연수지 조성물
KR20130021502A (ko) 재생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난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865612B1 (ko) 대전방지성을 가지는 비할로겐 난연성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얼로이수지 조성물
KR100204263B1 (ko) 난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JP4574043B2 (ja) 強化難燃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2000063619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H10251528A (ja) 耐トラッキング性に優れる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776640A (ja) 熱安定性に優れた難燃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