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027B1 - 비자성 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비자성 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027B1
KR0179027B1 KR1019910012797A KR910012797A KR0179027B1 KR 0179027 B1 KR0179027 B1 KR 0179027B1 KR 1019910012797 A KR1019910012797 A KR 1019910012797A KR 910012797 A KR910012797 A KR 910012797A KR 0179027 B1 KR0179027 B1 KR 0179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elt
waste
belt conveyor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993A (ko
Inventor
데루시 오오다
잇슈 히라기바
Original Assignee
스즈끼 아끼오
신꼬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끼 아끼오, 신꼬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끼 아끼오
Priority to KR101991001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027B1/ko
Publication of KR93000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3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d by oscillating fields;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e.g. generated by stationary magnetic coils; Eddy-current separators, e.g. sliding ramp
    • B03C1/24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d by oscillating fields;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e.g. generated by stationary magnetic coils; Eddy-current separators, e.g. sliding ramp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 B03C1/247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d by oscillating fields;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e.g. generated by stationary magnetic coils; Eddy-current separators, e.g. sliding ramp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obtained by a rotating magnetic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2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non-movable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0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are in solid form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 쓰레기에서 알루미늄 쓰레기를 분리 회수하기 위해서 가장 적합한 비자성 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동 롤러와 통체와의 사이에 벨트를 배치하고, 그 통체의 내부에 이 통체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회전제어를 받는 영구 자석체로서 되는 장치가 채용되고 있으나, 알루미늄 및 쓰레기 회수 후, 자성재만이 통체로부터 떨어질때까지 이행한다.
이때, 원형외주를 갖는 워셔등은 자전에 의해 통체에서 분리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어 후속하는 쇠 부스러기의 배출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는 워셔의 경우, 벨트가 찢어지는 일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병에서는 쇠 부스러기와 쓰레기를 함께 회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에 의하면, 통체로 부터 분리되는 곳에서 자성체가 자전하더라도, 자전방향은 후속의 쓰레기를 잡아서 들어가는 방향이기 때문에 곧바로 쓰레기와 함께 통체로 부터 떨어져서 이 통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자성(非磁性) 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알루미늄 분리 벨트 컨베이어의 측변도.
제2도는 실시예 2의 알루미늄 분리 벨트 컨베이어의 측변도.
제3도는 실시예 3의 알루미늄 분리 벨트 컨베이어의 측면도이고, 제4도는 종래예의 알루미늄 분리 벨트 컨베이어의 측변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2, 103 : 벨트 73, 102 : 종동(從動)롤러
본 발명은 예컨데 도시 쓰레기에서 알루미늄 부스러기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비자성 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제4도는 종래예의 알루미늄 분리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것인데, 이 벨트 컨베이어는 전체를 참고부호(1)로서 표시하는데, 이 벨트(10)는 한단부에서 구동롤러(11)에, 다른 단부에서 비금속성인(예컨데, 플라스틱으로 되는) 통체(60)에 권장(卷裝)되어 있다.
구동롤러(11)는 전동기(14)에 의해 벨트(15)를 통하여 소정의 회전속도로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종동(從動)롤러인 통체(60)는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통체(60)에는 여기에 동심적으로 희토류(希土類) 자석 회전자(7)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것은 그 외주연부에서 상호교차되어 S극(43), N극(43')으로 도시한 것 처럼 자화(磁化)되어 있으며, 이것은 회전축(46)의 둘레에 전동기(44)에 의해 벨트(45)를 통해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체(60)와 희토류 자석회전자(7)와는 같은 축이나, 축(46)과는 분리한 축의 둘레에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롤러(11), 즉 통체(60)의 회전속도보다는 회전자(7)의 회전속도쪽이 충분히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통체(60)의 아래쪽에는 분별되어서 배출되는 쓰레기 수용기 V가 배설되고, 이는 격벽(23), (24)을 갖추고 있는데, 이 쓰레기를 분별해서 회수하기 위한 격벽(25), (26)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부터 알루미늄 회수공간 C, 통상의 쓰레기 회수공간 D 및 쇠 부스러기 회수공간 E를 구획해서 만들고 있다.
종래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지금 벨트(10)의 한단부의 윗쪽에서 도시 쓰레기가 공급된다고 하자.
이들은 실제로는 높은 밀도로 존재하지만, 도면에서는 산재적으로 표시했다.
즉, 벨트(10)의 상방주행부에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깡통 m, 쇠 부스러기 f, 종이 부스러기 g가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이송되어 이것을 통체(60)의 최상방에 이르면, 여기에 내장된 회전자석(7)의 고속회전에 의해, 그 외주연부에 설치된 N극, S극이 벨트(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N극, S극의 위치를 고속으로 변화시키므로 교류 자계가 발생하여, 이것이 알루미늄 쓰레기 m에 과전류를 유기(誘起)하고, 이 과전류에 의한 자속(磁束)과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자(7)의 자극 N, S의 자속에 의해 알루미늄 쓰레기 m는 반발력을 받아서 통체(60)의 거의 최상단부로 부터 궤적 c를 그리면서, 알루미늄 쓰레기 수용공간 C로 포물선 c를 그리면서 배출된다.
또, 종이 부스러기 g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체(7)의 자 속의 영향을 전혀 받는일 없이 통체(60)에 감겨져 도는 벨트(10)로 부터 자유낙하하여, d의 궤적을 지나서 통상의 쓰레기 수용공간 D로 배출된다.
다음에, 쇠 부스러기 f는 회전자석(7)의 자극(43) 또는 (43')에 강하게 흡인되면서 벨트(10)에 흡착되어 가장 벨트(10) 위에서의 체류시간이 길며, e로 표시한 궤적을 지나서 쇠 부스러기 회수공간 E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도시 쓰레기에서 알루미늄 부스러기, 비금속성의 쓰레기 부스러기, 예컨데 종이 부스러기, 플라스틱 부스러기등 및 쇠 부스러기가 회수되게 된다.
그런데, 도시 쓰레기속에는 잡다한 쓰레기 부스러기가 존재하는데, 예를 들면 쇠로서 된 워셔 w가 포함되어 있다고 하면, 이것이 통체(60)의 최하점에서 벨트로 부터 이탈함이 없이, 도시하는 위치에서 회전운동을 행하여, 언제까지나 벨트(10)에서 이탈함이 없어서, 이렇게 되면 후속되는 쇠 부스러기의 배출을 방해할 뿐아니라, 이와 같은 형상의 쓰레기가 예컨데,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는 물건이라면, 이로 인해 벨트가 찢어지게 된다.
또, 이 찢어진 벨트(10)가 회전하므로서 전장(全長)이 찢어져서 이 벨트는 사용 불능하게 될 우려가 있다.
혹은, 워셔 w와 같이 원판상이고 일정위치에서 회전하지 않더라도 쇠 부스러기에 따라서는 정위치에서 자극에 달라붙은 상태에서 벨트(10)를 문질러 닳아서 헤지는 일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들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도시 쓰레기 중에 어떠한 형상의 쇠 부스러기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이로 인해 벨트를 전혀 손상시키는 일없는 비자성 금속분리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목적은 한단부에서 구동 롤러에, 다른 단부에서 비금속성의 통체에 감겨서 회전하는 벨트와, 상기 통체내에 내장되고, 주연부가 상호 교차하여 N극과 S극으로 자화되어 있는 회전자석으로 되며, 상기 회전자석을 상기 통체의 회전속도보다 큰 회전속도로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벨트의 다른 단부로부터 비자성 금속의 쓰레기 성분을 다른 성분의 쓰레기 성분과는 다른 궤적으로 배출되도록 해서 분리하는 비자성 금속분리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아랫쪽에서 상기 다른 단부보다 더욱 바깥쪽으로 편위(偏位)해서 종동 롤러를 배설하고, 여기에도 상기 벨트를 감겨서 회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자성 금속분리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서 달성된다.
통체의 아래쪽에서 벨트의 다른 단부보다 다시 바깥쪽으로 편위시켜서 종동 롤러를 배설하고, 여기에도 벨트를 감아 회전시키고 있으므로 벨트는 통체내에 내장되는 회전자석의 영향을 이 바로 아래쪽까지 받는 일없이 최상점에서, 예컨데, 회전각 90。의 위치에서 회전자석의 자속의 영향으로 부터 이탈하므로서 자성금속으로서의 예컨데, 쇠 부스러기는 종이 부스러기등과 같은 궤적을 그려서 통상의 쓰레기 수용 공간에 회수된다.
또, 비자성 금속으로의 알루미늄 부스러기는 종래와 거의 같은 궤적을 지나서 알루미늄 부스러기 회수실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 때 쇠 부스러기와 종이 부스러기 등의 통상의 쓰레기 부스러기는 같은 위치에서 회수되게 되는데, 통상, 쇠 부스러기는 이를 나누어서 회수할 필요가 있을만큼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혀 불편함은 없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자성 금속분리 벨트 컨베이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종래예의 제4도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참고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에서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분리 벨트 컨베이어는 전체를 참고부호(71)로 표시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72)는 종래의 구동롤러(11) 및 통체(60)의 밖에 다시 종동 롤러(73)에 권장되어 있다.
이 종동 롤러(73)는 도면에 있어서 통체(60)의 오른쪽 하방에 배설되어 있으며, 따라서 벨트(72)는 도시하는 것과 같은 형태로서, 구동 롤러(11), 통체(60) 및 종동 롤러(73)에 감겨서 회전한다.
또, 벨트(72)는 이상과 같은 감겨서 회전하는 형상에 의해 각도α의 영역에서 회전자석(7)의 자극(43), (43')에 근접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 각도α 밖에서는 크게 격리되어 있다. 하방에는 격벽(80), (81), (82)이 실 H, J를 구획해서 만든 쓰레기 수용기 V'가 배설되어 있다.
실시예 1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데,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동기(14) 및 (44)는 종래와 같은 회전속도로서 회전구동된다.
이로인해 벨트(72)는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주행하는데, 알루미늄 부스러기 m는 각도α 의 범위내에서 회전자석(7)의 외주 연부의 자극(43), (43')의 교류자속에 의해 과전류가 생기며, 이 자기 반력에 의해 도시한 것 같은 궤적 c'로 수평방향의 속도성분를 얻어서 쓰레기 수용기 V'의 알루미늄 부스러기 회수공간 H로 유도된다.
또, 쇠부스러기 f나 종이 부스러기 g등은 도시한 바와같이 같이 벨트(72)에서 통체(60)와 종동 롤러(73)와의 사이의 주행영역에서, 함께 이 위를 이송되어 쇠 부스러기 및 기타의 쓰레기의 수용실 J로 배출된다.
실시예 1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것인데, 쇠 부스러기 f는 통상의 쓰레기 부스러기 g와 같은 반송과정을 지나서, 같은 쓰레기 수용실 J로 유도되나, 통체(60)의 바로 아랫쪽은 물론, 최상점에서 α각도의 영역이외의 영역에서는 벨트(72)는 회전자석(7)으로 부터 서로 격리되는 위치에 있으므로 회전자석(7)의 주연부 자석(43), (43')의 자속을 전혀 받는일 없고, 따라서 같은 궤적을 지나서 같은 수용실 J로 배출되게 된다.
종래예의 제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예컨데, 워셔 w가 혼재해 있다해도, 이것도 통상의 쓰레기 g와 마찬가지로 J로 배출되어 종래와 같이 통체(60)의 최하점에 대응하는 벨트 위의 일정위치에서 흡인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진행하지 못하는 일이 없고, 또 이와같은 형상의 쇠 부스러기로서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는 것이라도 이것에 의해 벨트(10)가 찢어지는 일은 없으며, 이로서 벨트(72)의 수명을 대폭으로 장기화하게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낸 것인데, 알루미늄 분리 벨트 컨베이어는 전체가 참고부호(91)로 표시되며, 제1도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발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자석(92)의 구조는 제1도와 같으나, 통체(60)와는 편심(偏心)이 되어 배설되어 있으며, 따라서 통체(60)의 최하점에 대응하는 벨트부분은 회전자석(92)의 자극으로 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는 것인데, 이와같은 경우에서도 종동 롤러(73)를 도시한 것 처럼 배설하므로서, 쇠 부스러기에 의해서 thstdehl는 우려는 미연에 방지될 수가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낸 것인데, 알루미늄 분리 벨트 컨베이어는 전체를 참고부호(101)로서 표시했는데, 본 실시에서는 종동 롤러(102)는 통체(60)의 거의 직하방에 배설되며, 따라서 벨트(103)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는 다른 형태로 종동롤러(102)에 권장(卷裝)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도 알루미늄 부스러기 m 및 쇠 부스러기 f 또는 통상의 쓰레기 부스러기 g의 궤적은 다르나,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통체(60)의 둘레에서는 b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자석(7)의 주연부의 자극과 근접하게 되므로 알루미늄 분리 효율은 상기 실시에보다 더욱 상승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물론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됨이 없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데,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 분리 벨트 컨베이어만을 제시했는데, 이 공급단부의 위쪽에 풍선기를 배설하여 미리 알루미늄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쪽의 무거운 성분의 쓰레기 부스러기와 이것 이외의 가벼운 성분의 쓰레기 부스러기를 분리하여 다시 회수효율을 올리도록 해도 좋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종동 롤러(73), (102)를 통체(60)의 경사진 하방 및 직하방에 배설하는 경우를 나타냈으나, 아래쪽에서, 또한 통체(60)측에 편위한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에 배설해도 좋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도시 쓰레기에서 큰 성분비를 점하는 알루미늄 부스러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비자성 금속이라면 같은 원리로 회수는 가능하다. 예를 들면, 놋쇠나 구리 부스러기를 회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것 처럼 본 발명의 비자성 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에 의하면 쇠 부스러기로서 워셔와 같은 쓰레기 또는 유사형상으로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고 있는 쇠 부스러기가 존재하더라도 벨트를 손상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한 단부에서 구동 롤러에, 다른 단부에서 비금속성의 통체에 감겨서 회전하는 벨트와 상기 통체내에 내장되고, 주연부가 서로 교차해서 N극과 S극으로 자화되고 있는 회전자석으로서 되며, 상기 회전자석을 상기 통체의 회전속도보다 큰 회전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벨트의 다른 단부보다 비자성 금속의 쓰레기 성분을 다른 성분의 쓰레기 성분과는 상이한 궤적으로 배출되도록 해서 분리하는 비자성 금속분리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하방에서 상기 다른 단부보다 더욱 바깥쪽으로 편위해서 종동 롤러를 배설하고, 여기에도 상기 벨트를 감겨서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자성 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
KR1019910012797A 1991-07-25 1991-07-25 비자성 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 KR0179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797A KR0179027B1 (ko) 1991-07-25 1991-07-25 비자성 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797A KR0179027B1 (ko) 1991-07-25 1991-07-25 비자성 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993A KR930001993A (ko) 1993-02-22
KR0179027B1 true KR0179027B1 (ko) 1999-03-20

Family

ID=1931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797A KR0179027B1 (ko) 1991-07-25 1991-07-25 비자성 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344B1 (ko) * 1999-09-21 2002-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JP5773089B2 (ja) * 2012-10-16 2015-09-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磁力選別装置、磁力選別方法および鉄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993A (ko) 199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5061A (en) Centrifugal separator with field effect separation
US4051023A (en) Combination electromagnet and permanent magnet separator
KR0179027B1 (ko) 비자성 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
KR101162392B1 (ko) 제어-슬립 롤러 회전을 갖는 강자성 재료용 자성 분리기 및그 작동 방법
JPH06246183A (ja) 非磁性金属分離ベルトコンベヤ
JP2827441B2 (ja) 非磁性金属分離ベルトコンベヤ
JP3230268B2 (ja) 非磁性金属分離ベルトコンベヤ装置
KR100208862B1 (ko) 비자성금속 분리 벨트 컨베이어장치
JP3230253B2 (ja) 非磁性金属分離ベルトコンベヤ
JPH06254431A (ja) 非磁性金属分離ベルトコンベヤ
JP2966263B2 (ja) 回転ドラム型非磁性金属選別回収装置
JP3230254B2 (ja) 非磁性金属分離装置
JPH0753717Y2 (ja) 非磁性金属分離ベルトコンベヤ装置
JP4057076B2 (ja) 回転ドラム型非磁性金属選別回収装置
JP4057073B2 (ja) 回転ドラム型非磁性金属選別回収装置
JP4057077B2 (ja) 回転ドラム型非磁性金属選別回収装置
JP4012584B2 (ja) 回転ドラム型非磁性金属選別回収装置
JPH03224643A (ja) 非磁性金属回収装置
JPH047047A (ja) 非磁性金属分離ベルトコンベヤ
JP3252269B2 (ja) 回転ドラム型非磁性金属選別回収装置
JPH05200322A (ja) 非磁性金属分離ベルトコンベヤ装置
JPH11347442A (ja) 回転ドラム型非磁性金属選別回収装置
KR960006806Y1 (ko) 폐기물 3종 분리장치
JPH081007Y2 (ja) 非磁性金属分離ベルトコンベヤ装置
JPH0549966A (ja) 非磁性金属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