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074A - Mtp 활성 저하 조성물 - Google Patents

Mtp 활성 저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074A
KR20010025074A KR1020007013055A KR20007013055A KR20010025074A KR 20010025074 A KR20010025074 A KR 20010025074A KR 1020007013055 A KR1020007013055 A KR 1020007013055A KR 20007013055 A KR20007013055 A KR 20007013055A KR 20010025074 A KR20010025074 A KR 20010025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mino acid
sulfur
containing amino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나기타데루요시
안노다카히코
Original Assignee
니뽄 신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신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신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5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0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VLDL 등의 생체내 물질의 혈중에의 분비를 억제하는 데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시클로알리인이나 S-에틸-L-시스테인 등의 유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TP 활성 저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MTP 활성 저하 조성물{MTP ACTIVITY-LOWERING COMPOSITIONS}
시클로알리인 등의 천연 유황 함유 아미노산은 주로 양파, 마늘, 골파 등의 백합(Liliaceae)과 파(Allium)속의 식물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그 천연 유황 함유 아미노산 중에서도 시클로알리인은 섬유소 용해 작용, 혈당 저하 작용 및 혈중 지질 저하 작용이라는 약리 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 Atherosclerosis, 27, 347-351(1977); 일본 특허 공개 평05-194237호 공보 참조]. 그 밖의 천연 유황 함유 아미노산에 관해서도, 혈소판 응집 저해 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및 항암 작용 등의 약리 작용이 알려져 있다[India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34, 634-640(1996) 등].
한편, MTP(미크로좀 트리글리세리드 전송 단백: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는 간장 및 소장의 소포체 내강(內腔)에 존재하는, 58 KDa와 97 KDa와의 서브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헤테로다이머의 단백질이며, 소포체 내강에서의 중성 지질, 특히 트리글리세리드(TG)의 전송을 촉진하는 것으로서 알려져 있다[예컨대, 이시가미(石神)등 '동맥 경화' 24(10), 533-540(1997) 참조]. 그리고, MTP는 전송한 TG와 아포(apo) B를 집합시키고, 그 결과 초저 비중 리포 단백(VLDL) 입자가 형성되어 VLDL이 혈중에 분비된다.
혈중 VLDL이 과도하게 증가하면, 지질 대사에 관계하는 여러 가지 질병을 가져오는 것이 알려져 있다[후지오카(藤岡)등 '임상 영양의 진보' 제3집, 81-91(1993)]. 예컨대, 혈중 VLDL의 과도한 증가는 저HDL(고비중 리포 단백) 혈증을 통해 동맥 경화를 촉진하다고 한다.
따라서, VLDL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간장 등에 있어서의 소포체 내강에서의 MTP의 활성을 저하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VLDL의 혈중으로의 분비가 억제되어 혈중 VLDL의 과도한 증가에 따른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하여 유효하다.
본 발명은 시클로알리인(Cycloalliin:(1S, 3R, 5S)-5-메틸-1,4-티아잔-3-카르복실산 1-옥사이드) 등의 유황 함유 아미노산 및 그것을 함유하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VLDL의 혈중에의 분비를 억제하는 데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양파(Alliumcepa L) 등의 파속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시클로알리인 등의 유황 함유 아미노산이 MTP의 활성을 저하하는 작용 및 아포 B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는 하기 화학식 [I] 또는 [Ia]로 표시되는 유황 함유 아미노산(이하 '본 발명의 아미노산'이라 함),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TP 활성 저하 조성물이다.
상기 식 [I], [Ia]에서, R1은 H, 알킬 또는 알케닐을 나타내고. R2, R3는 동일하거나 다른 것으로 H, 알킬 또는 아실을 나타내며, R4, R5은 동일하거나 다른 것으로 H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R6은 H, 알킬 또는 아실을 나타내며, p는 0 또는 1을 나타내고 q는 0 또는 1을 나타내며, r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포 B 분비 억제 조성물과,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LDL 분비 억제 조성물도 본 발명으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킬'로서는, 예컨대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탄소수 1∼6의 알킬을 들 수 있고, 탄소수 1∼4의 직쇄형 알킬이 적당한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1-메틸부틸, 2-메틸부틸, 3-메틸부틸, 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3-메틸펜틸, 4-메틸펜틸, 1-에틸부틸, 2-에틸부틸 및 3-에틸부틸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케닐'로서는, 예컨대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탄소수 2∼6의 알케닐을 들 수 있고, 탄소수 2∼4의 직쇄형 알케닐이 적당한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예로는 비닐, 1-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알릴, 1-부테닐, 2-부테닐, 1-펜테닐, 2-펜테닐, 3-펜테닐, 1-헥세닐, 2-헥세닐, 3-헥세닐 및 4-헥세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실'로서는, 예컨대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탄소수 1∼6의 아실을 들 수 있고, 탄소수 2∼4의 직쇄형 아실이 적당한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예로는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이소발레릴, 피발로일 및 헥사노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는, 예컨대 R1이 탄소수 1∼4의 직쇄형 알킬 또는 탄소수 2∼4의 직쇄형 알케닐이고, R2, R3이 동일하거나 다른 것으로 H 또는 탄소수 2∼4의 직쇄형 아실이고, R4가 H 이며, R5가 탄소수 1∼4의 직쇄형 알킬이고, R6이 H 또는 탄소수 2∼4의 직쇄형 아실이며, p가 0 또는 1이고, q가 0 또는 1이며, r이 1 또는 2인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TP 활성 저하 조성물과, 상기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포 B 분비 억제 조성물과, 상기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LDL 분비 억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본 발명으로서는, 예컨대 R1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알릴 또는 1-프로페닐이며, R2가 H이고, R3이 H 또는 아세틸이며, R4가 H이고, R5가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이며, R6이 H 또는 아세틸이고, p가 0 또는 1이며, q가 0 또는 1이고, r이 1 또는 2인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TP 활성 저하 조성물과, 상기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포 B 분비 억제 조성물과,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LDL 분비 억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시클로알리인, S-메틸-L-시스테인, S-에틸-L-시스테인, S-프로필-L-시스테인, DL-메티오닌, DL-에티오닌, S-메틸-L-시스테인설폭사이드, S-에틸-L-시스테인설폭사이드, L-S-프로필-L-시스테인설폭사이드, 또는 DL-메티오닌설폭사이드라는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TP 활성 저하 조성물과,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포 B 분비 억제 조성물과,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LDL 분비 억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으로서는, 예컨대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등의 무기산의 염; 초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호박산, 말산, 말론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캄포술폰산 등의 유기산의 염;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 및 알루미늄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미노산의 대부분은 공지의 화합물이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것 외에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미노산의 하나인 시클로알리인에 관해서는 문헌[예컨대, Acta Chem. Scand., 13, 623(1959): J. Org. Chem., 31, 2862(1966); Chem. Pharm. Bull., 29(6) 1554-1560(1981); 일본 특허 공개 소55-40658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미노산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도, 본 발명의 아미노산으로부터 관용 수법에 의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아미노산을 염화수소의 알콜 용액 또는 초산에틸 용액에 용해함으로써 본 발명의 아미노산의 염산염을 얻을 수 있고, 본 발명의 아미노산을 수산화나트륨과 함께 교반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아미노산의 나트륨염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아미노산의 대부분은 양파 등의 백합과 파속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적당한 추출법에 의해 파속으로부터 추출 분리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정제할 수 있다. 예컨대, 양파, 마늘, 골파를 들 수 있다.
구체적인 해당 추출법으로서는, 예컨대 양파 추출물을 얻는 경우, 양파의 생인경(生鱗莖)을 적당한 압착기로 압착 처리하여 얻어진 착즙을 농축하는 방법, 또는 양파의 생인경을 열수(熱水) 또는 용매(예컨대, 에테르, n-부탄올)로 추출하여 물이나 용매를 증류 수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양파의 생인경은 박피, 살균,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것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압착 처리 또는 열수 등으로 추출 처리하기 전에, 양파를 가열하여 양파 중에 포함되어 있는 CS-리아제를 불활성화시켜 놓을 수도 있다. 열수 추출을 하는 경우에는, 착즙 효과를 올리기 위해서 미리 셀룰라아제, 펙티나아제 및 프로테아제 등의 효소로 처리해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식으로 얻어진 양파 추출물에는 본 발명의 아미노산이 총 0.1∼0.3 중량% 정도 포함되어 있고, 개개의 본 발명의 아미노산에 관해서는 시클로알리인이 양파 추출물 중에 0.02 중량% 정도, S-메틸-L-시스테인설폭사이드가 약 0.02∼0.05 중량% 정도, S-메틸-L-시스테인설폭사이드가 0.05∼0.08 중량% 정도 포함되어 있다.
예컨대, 양파 추출물 중의 시클로알리인의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블랜치 처리한 양파의 착즙이나 열수 추출물 등을 90∼120℃에서 가열 처리하거나, 또는 pH 8∼12로 알칼리 처리할 수 있다. 두가지 처리를 병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가열 처리 및/또는 알칼리 처리에 앞서서, 양파 중에 포함되어 있는 시클로알리인의 전구체인 γ-글루타밀펩티드를 절단할 수 있는 효소(예컨대, γ-글루타밀펩티다아제, γ-글루타밀트랜스펩티다아제, 글루타미나아제)로 처리해 둘 수 있다. 양파 추출물을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여 시클로알리인을 단리 정제할 수도 있다.
추출물은 그대로 또는 적당히 가공하여, 예컨대 추출물에 덱스트린이나 젖당 등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건조 분말화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미노산을 갖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TP 활성 저하 조성물과,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포 B 분비 억제 조성물과,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LDL 분비 억제 조성물도 역시 본 발명으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미노산을 갖는 추출물로서는, 예컨대 파속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파속 추출물)를 들 수 있고, 파속 추출물로서는, 예컨대 양파 추출물, 마늘 추출물 및 골파 추출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이라 함)은 사람을 비롯한 동물에 대하여 의약 조성물 또는 건강 식품과 같은 식품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연령, 체중 등의 복용자의 상태, VLDL의 혈중 농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으로 환산하여 성인의 경우 1일에 통상 1∼5000 mg의 범위내에서 복용하는 것이 적당하며, 100∼2000 mg의 범위내가 바람직하고, 200∼1500 mg의 범위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 범위 이하라도 충분한 경우가 있고, 또한 반대로 그 범위 이상의 용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1일 복용 횟수는 2∼5회로 분할하여 복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전, 식간, 식후 언제라도 복용할 수 있으며, 식사와 함께 복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은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 또는 본 발명의 아미노산을 갖는 추출물을 그대로 또는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무독성 또는 불활성의 담체 중에 제제화된 형태로, 예컨대 0.01%∼99.5%의 범위내에서, 바람직하게는 0.5%∼90%의 범위내에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는 고형, 반고형, 또는 액상의 희석제, 충전제 및 기타 처방용의 조제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은 말제, 캡슐제, 정제, 당의제, 과립제, 산제, 현탁제, 액제, 시럽제, 드롭제 등 모든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주사제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하,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시험예 1 : MTP 활성의 저하 작용
체중 약 200 g의 SD 래트 1군 6마리에, 10 ml의 물에 용해한 본 발명의 아미노산의 염산염 20 mg 또는 60 mg을 하루 3회로 나눠 2주간 주었다. 그 후, 간장을 적출하고, 그 간장을 균질화(homogenizing)용 완충액(50 mM 트리스(pH 7.4), 50 mM 염화칼륨, 1.5 mM EDTA, 로이펩신(5 ㎍/mL)과 2 mM 불화페닐메틸설포닐)으로 균질화한 다음, 원심 분리하여 간장 균질화액으로 하였다. 그 간장 균질화액이 약 2 mg/mL의 단백 농도가 되도록 상기 균질화용 완충액으로 조정한 후, 10부의 균질화액에 1부의 데옥시콜레이트 용액(0.56%, PH 7.5)을 첨가하였다. 4℃에서 30분간 반응시켜서 미크로좀 분획으로부터 MTP를 유리시켰다. 그 후, 원심에 의해 막 분획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얻었다. 이 상청액을 트리스 완충액(15 mM 트리스(pH 7.4), 40 mM NaCl, 1 mM EDTA, 0.02% NaN3를 함유하는 완충액)으로 희석한 후, 동 완충액을 4℃에서 하룻밤 동안 투석하였다. 그리고, 이 투석액을 웨터로(J. R. Wetterau) 등의 방법[Science, 258, 999(1992)]에 따라서 분석하여 MTP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MTP 활성치
MTP 활성(%)
대조군 9.09±1.0
시클로알리인 HCl, 20 mg 6.12±0.7*
시클로알리인 HCl, 60 mg 4.92±1.0*
S-메틸-L-시스테인 HCl, 60 mg 5.68±0.6*
S-메틸-L-시스테인 설폭사이드 HCl, 60 mg 5.43±0.6*
*: p<0.05 (던칸 다중 비교 시험)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아미노산염은 MTP의 활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것이 분명하다.
시험예 2 : 아포 B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1)
HepG2 세포(100x104개/디쉬)를 3.5 cm 디쉬에 뿌리고, 1 디쉬당 1 ml DME(10% FCS 함유) 배지에서 전배양하였다. 전배양 후, 세포는 DME 배지로 2회 세정하고, 시험 배지를 첨가하여 37℃, 95% 공기, 5% 이산화탄소의 조건하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시험 배지를 시클로알리인을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하고, 시클로알리인의 최종 농도가 10-6M 또는 10-4M이 되도록 1% BSA 및 0.5 mM 올레인산을 포함하는 DME 배지로 희석하여 조제하였다.
24 시간 배양 후, 배지를 회수하여 배지 중에 분비된 아포 B의 양을 ELISA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항인간 아포 B 항체(100배 희석액)를 ELISA용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 μL 씩 넣어, 37℃에서 2 시간 항온 처리하였다. 그 후, 각 웰에 Block Ace 100 μL을 첨가하여, 37℃에서 2 시간 항온 처리하였다. 각 웰을 PBS-Tween으로 3회 세정하고, 아포 B 표준액과 HePG2 배양액 100 μL 씩 첨가하여 4℃에서 16 시간 항온 처리하였다. 그 후, 각 웰을 PBS-Tween으로 3회 세정하고, 항인간 아포 B 표지 항체(200배 희석액)를 100 μL씩 넣어 37℃에서 2 시간 항온 처리하였다. 각 웰을 PBS-Tween으로 3회 세정한 후, 기질액 100 μL씩 넣어 25℃에서 30분간 항온 처리하였다. 그 후, 4.5M H2SO450 μL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82 nm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아포 B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아포 B의 분비량
아포 B 분비량(㎍/웰)
대조군 9.92±0.80
시클로알리인, 10-6M 7.54±1.13*
시클로알리인, 10-4M 7.67±1.31*
*: p<0.01 (던칸 다중 비교 시험)
표 2로부터, 시클로알리인은 아포 B의 분비를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이 분명하다.
시험예 3 : 아포 B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2)
1% BSA, 0.5 mM 올레인산을 포함하는 DME 배지에서 HepG2 세포를 24 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10 μM의 본 발명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1% BSA-DME 배지로 교환하고 동시에 0.5 μci의 〔14C〕초산을 첨가하였다. 세포 및 배지는 24 시간 내지는 48 시간 배양한 후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는 초음파로 균질화하여 단백 정량한 후, 아포 B 분비량을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아포 B 분비량(ng/mg 단백질)
배양 24 시간 후(%) 배양 48 시간 후(%)
대조군 2544±425(100) 2080±110(100)
S-메틸-L-시스테인 2511±173(98.7) 1906±122(91.6)
S-에틸-L-시스테인 2390±615(93.9) 994±111(47.8)
S-n-프로필-L-시스테인 2157±86(84.8) 555±23(26.7)
시험예 4 : TG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
1% BSA, 0.5 mM 올레인산을 포함하는 DME 배지에서 HepG2 세포를 24 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10 μM의 본 발명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1% BSA-DME 배지로 교환하고 동시에 0.5 μci의 〔14C〕초산을 첨가하였다. 세포 및 배지는 24 시간 배양한 후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는 초음파로 균질화하여 단백 정량한 후, 트리글리세리드(TG)의 분비량을 배지 중의 라벨 지질량으로부터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TG 분비량
TG 분비량([14C]dpm ×10-2/mg 단백질)
대조군 161.2±2.2
S-메틸-L-시스테인 128.2±14.6
S-에틸-L-시스테인 102.2±7.1
S-n-프로필-L-시스테인 99.0±9.3
S-n-프로필-L-시스테인 설폭사이드 105.8±18.9
DL-메티오닌 설폭사이드 72.1±8.5
본 발명의 조성물은 VLDL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MTP의 활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아포 B의 분비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VLDL의 혈중에의 분비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21)

  1. 하기 화학식 [I] 또는 [Ia]로 표시되는 유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TP 활성 저하 조성물:
    [화학식 I]
    [화학식 Ia]
    상기 식 [I], [Ia]에서, R1은 H, 알킬 또는 알케닐을 나타내고, R2, R3은 동일하거나 다른 것으로 H, 알킬 또는 아실을 나타내며, R4, R5는 동일하거나 다른 것으로 H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R6은 H, 알킬 또는 아실을 나타내며, p는 0 또는 1을 나타내고, q는 0 또는 1을 나타내며, r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2. R1이 탄소수 1∼4의 직쇄형 알킬 또는 탄소수 2∼4의 직쇄형 알케닐이고, R2, R3이 동일하거나 다른 것으로 H 또는 탄소수 2∼4의 직쇄형 아실이며, R4가 H이고, R5가 탄소수 1∼4의 직쇄형 알킬이며, R6이 H 또는 탄소수 2∼4의 직쇄형 아실이고, p가 0 또는 1이며, q가 0 또는 1이고, r이 1 또는 2인 제1항에 기재한 화학식 [I] 또는 [Ia]로 표시되는 유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TP 활성 저하 조성물.
  3. R1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알릴 또는 1-프로페닐이며, R2가 H이고, R3이 H 또는 아세틸이며, R4가 H이고, R5가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이며, R6이 H 또는 아세틸이고, p가 0 또는 1이며, q가 0 또는 1이고, r이 1 또는 2인 제1항에 기재한 화학식 [I] 또는 [Ia]로 표시되는 유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TP 활성 저하 조성물.
  4. 화학식 [I] 또는 [Ia]로 표시되는 유황 함유 아미노산이, 시클로알리인, S-메틸-L-시스테인, S-에틸-L-시스테인, S-프로필-L-시스테인, DL-메티오닌, DL-에티오닌, S-메틸-L-시스테인설폭사이드, S-에틸-L-시스테인설폭사이드, S-프로필-L-시스테인설폭사이드 또는 DL-메티오닌설폭사이드인 제1항에 기재한 화학식 [I] 또는 [Ia]로 표시되는 유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TP 활성 저하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을 갖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TP 활성 저하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을 갖는 추출물이 파속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TP 활성 저하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파속 추출물이 양파 추출물, 마늘 추출물 또는 골파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TP 활성 저하 조성물.
  8. 제1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포 B 분비 억제 조성물.
  9. 제2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포 B 분비 억제 조성물.
  10. 제3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포 B 분비 억제 조성물.
  11. 제4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포 B 분비 억제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을 갖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포 B 분비 억제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을 갖는 추출물이 파속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포 B 분비 억제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파속 추출물이 양파 추출물, 마늘 추출물 또는 골파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포 B 분비 억제 조성물.
  15. 제1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LDL 분비 억제 조성물.
  16. 제2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LDL 분비 억제 조성물.
  17. 제3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LDL 분비 억제 조성물.
  18. 제4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것의 생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LDL 분비 억제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을 갖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LDL 분비 억제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한 유황 함유 아미노산을 갖는 추출물이 파속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LDL 분비 억제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파속 추출물이 양파 추출물, 마늘 추출물 또는 골파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LDL 분비 억제 조성물.
KR1020007013055A 1998-05-22 1999-04-16 Mtp 활성 저하 조성물 KR200100250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117698 1998-05-22
JP98-141176 1998-05-22
PCT/JP1999/002023 WO1999061015A1 (fr) 1998-05-22 1999-04-16 Compositions destinees a diminuer l'activite mt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074A true KR20010025074A (ko) 2001-03-26

Family

ID=1528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055A KR20010025074A (ko) 1998-05-22 1999-04-16 Mtp 활성 저하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80724A4 (ko)
KR (1) KR20010025074A (ko)
AU (1) AU3170699A (ko)
CA (1) CA2332511A1 (ko)
WO (1) WO19990610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365A (ko) * 2014-09-15 2016-03-24 한국식품연구원 모나스커스 필로서스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210616A (pt) 2001-06-28 2004-09-28 Pfizer Prod Inc Indóis, benzofuranos e benzotiofenos substituìdos com triamida, composição farmacêutica, uso dos referidos compostos, bem como processo para preparação dos mesmos
JP4954523B2 (ja) * 2005-09-26 2012-06-20 長谷川香料株式会社 高濃度のs−アルケニル(またはアルキル)システインスルフォキサイド類を含有する抽出物の製造方法
JP2008271983A (ja) * 2008-06-06 2008-11-13 Sunstar Inc ヒト血清コレステロール値低下作用を有する食品及びヒト高コレステロール血症予防又は治療剤
JP5834307B2 (ja) * 2010-03-11 2015-12-16 地方独立行政法人青森県産業技術センター アリウム属植物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44833A (ja) * 2011-09-02 2011-12-08 Sunstar Inc ヒト血清コレステロール値低下作用を有する食品及びヒト高コレステロール血症予防又は治療剤
JP5808243B2 (ja) * 2011-12-27 2015-11-10 ハウス食品グループ本社株式会社 褐変反応が抑制されたタマネギエキスの製造方法
US9340808B2 (en) * 2012-03-14 2016-05-17 Nisshin Pharma Inc. Sulfur amino acid-containing composition
JP6046451B2 (ja) * 2012-11-08 2016-12-14 日清ファルマ株式会社 ストレス改善用組成物
JP6298388B2 (ja) * 2013-09-04 2018-03-20 日清ファルマ株式会社 含硫アミノ酸含有組成物
JP2014183849A (ja) * 2014-06-25 2014-10-02 Sunstar Inc ヒト血清コレステロール値低下作用を有する食品及びヒト高コレステロール血症予防又は治療剤
JP2016189785A (ja) * 2016-06-16 2016-11-10 サンスター株式会社 ヒト血清コレステロール値低下作用を有する食品及びヒト高コレステロール血症予防又は治療剤
JP6976515B2 (ja) * 2017-07-21 2021-12-08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睡眠改善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87326B1 (ko) * 1972-06-15 1975-10-17 Rech Pharm Scientifiques
JPS5522648A (en) * 1978-08-07 1980-02-18 Tanabe Seiyaku Co Ltd Preparatin of 5-methyl-1,4-thiazan-3-carboxylic acid
JPS62423A (ja) * 1985-06-25 1987-01-06 Wakunaga Pharmaceut Co Ltd 肝疾患治療剤
US5084482A (en) * 1990-04-10 1992-01-28 The Lithox Corporation Methods for inhibiting inflammatory ischemic, thrombotic and cholesterolemic disease response with methionine compounds
JPH05194237A (ja) * 1992-01-21 1993-08-03 M S C:Kk 血糖・血中脂質低下剤
WO1999008548A1 (fr) * 1997-08-13 1999-02-25 Nippon Shinyaku Co., Ltd. Extrait d'oignon riche en acide amine cyclique sulfur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365A (ko) * 2014-09-15 2016-03-24 한국식품연구원 모나스커스 필로서스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61015A1 (fr) 1999-12-02
AU3170699A (en) 1999-12-13
CA2332511A1 (en) 1999-12-02
EP1080724A1 (en) 2001-03-07
EP1080724A4 (en)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5074A (ko) Mtp 활성 저하 조성물
US20100093780A1 (en) Insulin resistance improving agent
US9827232B2 (en)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inhibitor,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CN110536686A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靛玉红衍生物的药物组合物
US20160067209A1 (en) Pterocarpan compound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 or complication thereof, or for antioxidant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US20110189107A1 (en) Alpha-amylase inhibitors: the montbretins and uses thereof
CN107151236A (zh) 一种2,3-环氧丁二酰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620815B1 (ko) 해양 진균에서 분리한 페니실리놀라이드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5728576B2 (ja) 新規なフサリセチン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KR101052594B1 (ko) 디아실 코에이: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저해활성을 갖는감초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US20030105093A1 (en) MTP activity-lowering compositions
KR19990071183A (ko) 순환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갖는 홍경천 추출물
EP1416927B1 (en) Sesquiterpenoid derivatives hav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KR102338415B1 (ko) 3,4-디카페오일퀴닉산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H07252151A (ja) カスタノスペルミンの単離法
KR101462463B1 (ko) 수련뿌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14084319A (ja) カンカニクジュヨウから得られる抗糖尿病剤、ヒト又は動物用医薬および機能性食品
KR20030024111A (ko) 감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중 지질농도 저하용 조성물
KR101634615B1 (ko) 세드렐라 휘실리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45601B1 (ko)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PT98785A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composicoes farmaceuticas com accao reguladora de lipidos contendo lactonas de nucleo decagonal
KR20080110587A (ko) 신규한 치환 5-원 아자사이클 염 및 단백질 노화 관련 질환의 치료에서의 그의 용도
KR100577320B1 (ko) 아실 코에이: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활성 저해제인 퀴놀론 알칼로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성지방 강하제
KR101512486B1 (ko) 피리피로펜 s 및 그의 제조방법
JP7242042B2 (ja) 破骨細胞分化抑制剤並びに骨吸収性疾患の予防・治療・改善用の内服剤又は飲食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