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601B1 -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601B1
KR101045601B1 KR1020070134762A KR20070134762A KR101045601B1 KR 101045601 B1 KR101045601 B1 KR 101045601B1 KR 1020070134762 A KR1020070134762 A KR 1020070134762A KR 20070134762 A KR20070134762 A KR 20070134762A KR 101045601 B1 KR101045601 B1 KR 10104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ulina
extract
activity
extraction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6995A (ko
Inventor
손민희
박근형
김소영
권수연
조경선
인만진
김동호
채희정
Original Assignee
인만진
비타민하우스에프앤비 주식회사
내추럴초이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만진, 비타민하우스에프앤비 주식회사, 내추럴초이스 (주) filed Critical 인만진
Priority to KR102007013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6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혈전 활성을 갖는 스피룰리나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룰리나의 기존의 알려졌던 생리활성과는 다른 새로운 생리활성으로,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가지고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다.
스피룰리나, 효소분해, 항혈전, 혈액응고 억제, 순환기질환

Description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Anti-Thrombotic Composition Including Spirulina Extracts}
본 발명은 항혈전 활성을 갖는 스피룰리나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효소 존재 하에서 열수추출한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상기 스피룰리나 추출물은 혈전 형성의 원인이 되는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등의 순환기계 질환의 치료에 유용함을 알 수 있다.
선진화 및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건강에 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천연물질은 합성물질에 비해 물에 대한 용해성과 세포 투과성, 생물학적 이용성 등의 장점들을 가지고 있어, 신약 개발의 유용한 자원으로 널리 탐구되고 있다. 특히, 미세조류처럼 연구개발이 잘 되어 있지 않은 생명체를 이용한 연구의 가장 큰 장점은,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된 생명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을 때보다 신물질 개발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최근 미세조류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의 보고로서 주목받고 있다. 미세조류의 산업적 이용은 대체 에너지 자원 및 건강보조식품. 수산 양식용 사료, 의약 품 분양의 원료물질, 생화학 물질 등으로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초기에는 단순 양식 어류의 먹이 사료로서 배양되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건강식품개발, 기능성 물질인 감마-리놀렌산 추출 등 그 연구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으로 그 이용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현대사회는 식생활 양식의 변화와 내외부적인 환경 스트레스로 인해 중장년층에서 소위 성인병이라 일컬어지는 순환기계 질환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1998년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동맥경화, 뇌출혈, 뇌졸중, 뇌경색 등의 뇌혈관 질환과 심장 질환은 사망원인 1, 2 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들 질환의 주요원인은 혈전(thrombus)으로서, 혈전증이란 과잉의 혈소판 응집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병리현상을 가리킨다 [김천규, 박화진, 홍정화. (2006) 시금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제 조성물. 특허등록번호 제 624035 호].
혈관이 손상되었을 때 혈소판은 콜라겐(collagen), 트롬빈(thrombin), ADP 등과 같은 각종 작용물질(agonists)의 자극에 응답해서 활성화되어 점착반응(adhesion), 방출반응(secretion) 및 응집반응(aggregation)을 일으킨다. 이 과정은 지혈(hemostasis) 뿐만 아니라 혈전증(thrombosis) 등을 포함하는 순환계 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지금까지 개발된 항혈소판제로는 데오필린(theopylline), 몰시도민(molsidomine), 베라파밀(verapamil), 니페디핀(nifedipine),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e) 등이 있으며, 이들은 cAMP와 cGMP의 생성을 촉진하여 Ca2 +의 동 원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스피린, 이미다졸, 인도메타신 등의 비스테로이드계 화합물들은 트롬북산 A2(TXA2)의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항혈소판 작용을 가지는 약물들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약물들은 의약품이긴 하지만 인체에 지혈과다억제, 불임, 소화기 장애 등의 여러 부작용을 야기하므로 생물 건강소재로 알려져 있는 천연물로부터 그 해결책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김천규, 박화진, 홍정화. (2006) 시금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제 조성물. 특허등록번호 제 624035 호].
한편 스피룰리나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조류의 하나로서 약 30~40 억 년 전 지구 표면에 처음 나타난 청록색의 남조류이며, 현미경으로 보면 나선형(spiral)으로 꼬여있어 스피룰리나로 명명되었고, 나선형 사상체의 폭은 0.06~0.08 mm, 길이는 0.35~0.5 mm로 왕성한 광합성 능력으로 자생하며 다량의 유기물과 산소를 공급, 오늘날 각종 호기성 동식물 및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멕시코, 아프리카 등 아열대지역의 높은 염분과 강알칼리성 (pH 9~11) 호수나 바다에서 자생하며, 원주민들의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던 중 1960 년대 과학적인 연구결과 영양소 조성이 우수한 자연식품으로 평가되어 인류의 건강식품 미래식량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 전세계에 걸쳐 건강영양식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피룰리나에는 탄수화물이 15~20 %, 단백질이 55~70 %, 지방이 6~9 % 함유되어 있으며 다량의 무기질, 비타민, 섬유질 및 색소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람노스, 만노스, 자일로스 등의 함유되어 있고, 지방은 유리지방 산이 70~80 %에 달하고 리놀레산 (linoleic acid), γ-리놀레산 등의 지방산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단백질은 필수아미노산이 모두 함유되어 있다 [Kim, S. S., M. K. Park, et al. (2003).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Chlorella Soybean Curd " J. Korean Soc . Agric . Chem . Biotechnol . 46(1): 12-15]. 또한 색소 성분으로는 등황색의 카로티노이드, 녹색의 클로로필, 청색의 피코시아닌 등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건강기능식품법에는 스피룰리나 제품이 필수아미노산 공급, 단백질 공급, 영양공급, 생리활성성분 함유, 건강증진 및 유지의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2005 년 4 월 '개별인정형 원료성분인정'에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기능이 있음을 인정받았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스피룰리나 추출물은 항산화 [Kim, W. Y. and J. Y. Park (2003). "The Effect of Spirulina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nt Capacity and Immune Function in Korean Elderlies." Korean J. Nutr . 36(3): 297-307.], 항암, 항체생성 촉진, 미생물 증식억제, 면역 활성화, 항바이러스 등의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는데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항혈전능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조류로부터 유래되는 천연물을 이용하여 여러 생리활성을 탐색하던 중 스피룰리나 추출물이 높은 항혈전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고 스피룰리나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개선과 더불어 천연물 약리물질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개선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혈전용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피룰리나 추출물은 추출용매에 스피룰리나를 첨가하고 분해효소를 추가로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해효소는 세포벽 분해효소, 단백질 분해효소, 또는 세포벽 분해효소 및 단백질 분해효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해효소는 상기 스피룰리나 100 중량부 당 0.1 내지 10 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해효소는 세포벽 분해효소를 먼저 첨가한 후, 단백질 분해효소 를 나중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혈전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피룰리나 추출물이 혈액응고 체계에서 공통경로, 더 자세하게는 내인성 경로에 관여함으로써 항혈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또는 약제는 혈전생성을 억제하여 뇌출혈, 뇌경색, 심근경색, 동맥경화 및 관상동맥증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윤선주, 변유량, 파바오. (2003) 우렁쉥이로부터 추출한 항혈전성 추출물 및 이것의 추출방법. 특허출원번호 제 2002-0012546 호]. 또한,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세포벽 분해효소, 단백질 분해효소, 또는 이 두가지 효소를 첨가하여 추출함으로써 기존의 추출방법보다 최고 3 배까지 수율을 높였다.
본 발명의 항혈전용 조성물은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하기와 같다.
건조된 스피룰리나를 물과 함께 추출기에 넣고, 온도를 35 내지 60 ℃로 맞춘 후 pH 7.0 내지 9.0으로 맞춰준다. 이러한 온도 및 pH는 이후 첨가될 효소가 최적의 효소활성을 보이는 조건에 해당하므로, 사용하는 효소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스피룰리나와 물 혼합물에 세포벽 분해효소를 넣고, 3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추출한다. 다시 pH를 조정한 후 단백질 분해효소를 넣고, 30 분 내지 2 시간 동안 2 차 추출한다. 2 차 추출 후 온도를 100 ℃로 올려 10 내지 30 분간 끓여 줌으로 3 차 추출과 동시에 효소를 실활시키고, 상기 추출액을 식힌 후에 여과 혹은 원심분리를 통하여 찌꺼기를 거른 다음 동결건조하여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수득한다.
추출 수율은 고형분 회수율 (solid recovery)로 나타내었으며, 원료로 사용한 스피룰리나 분말과 동결건조하여 얻은 추출물의 중량비로 계산하였다 [Kim, H. S., Kim C. H., Kim, J. H., Kwon, M. C., Cho, J. H., Gwak, H. G., Hwang, B. Y., Kim, J. C., Lee, H. Y. (2006). "Comparison of anticancer activities from the culture and extraction conditions of the spirulina." Kor . J. Microbiol . Biotechnol. 34(2): 143~149].
또한, 항혈전 활성은 혈액응고시간의 측정방법인 TT (thrombin time) 및 aPT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를 각각 측정하여 결정하였으며, 스피룰리나 추출물이 상기 TT 및 aPTT를 얼마나 연장시키는가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TT (thrombin time)는 피브리노겐(fibrinogen)이 트롬빈(thrombin)과 반응하여 피브린(fibrin)을 형성하고 혈전 (fibrin clot)을 형성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하며, aPT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는 혈관이 손상되었을 때 일어나는 내인성 혈액응고계로서 트롬보플라스틴(thromboplastin)이 혈액응고인자 Xa, Va, Ca2 +과 더불어 혈전 (fibrin clot)을 형성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제조 (무효소)
본 발명에 사용된 스피룰리나는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Spirulina platensis) 건조 분말로 Vodan biotechnology Corp. (Taiwan)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스피룰리나 분말 100 g을 증류수 10 ℓ에 현탁하고 20 분간 끓여 추출했다. 상기 추출액을 1000 xg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제조 (세포벽 분해효소)
실시예 1의 스피룰리나 분말 100 g을 증류수 10 ℓ에 현탁하고, 0.1 N HCl 혹은 NaOH를 사용하여 pH 8.0으로 맞춘 후, 여기에 세포벽 분해효소 (TUNICASE, Daiwa Kase, Japan)를 2 g 첨가하고, 40 ℃에서 1 시간 동안 추출했다. 상기 추출 액을 20 분간 끓여서 추가적인 추출과 함께 효소반응을 정지시켰다. 상기 추출액을 1000 xg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제조 (단백질 분해효소)
실시예 1의 스피룰리나 분말 100 g을 증류수 10 ℓ에 현탁하고, 0.1 N HCl 혹은 NaOH를 사용하여 pH 8.0으로 맞춘 후, 여기에 단백질 분해효소 (ALCALASE, Novozymes, Denmark)를 2 g 첨가하고, 50 ℃에서 1 시간 동안 추출했다. 상기 추출액을 20 분간 끓여서 추가적인 추출과 함께 효소반응을 정지시켰다. 상기 추출액을 1000 xg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제조 (세포벽 분해효소 후 단백질 분해효소)
실시예 1의 스피룰리나 분말 100 g을 증류수 10 ℓ에 현탁하고, 0.1 N HCl 혹은 NaOH를 사용하여 pH 8.0으로 맞춘 후, 여기에 세포벽 분해효소 (TUNICASE, Daiwa Kase, Japan)를 2 g 첨가하고, 40 ℃에서 1 시간 동안 추출했다. 다시 pH 8.0으로 맞춘 후, 여기에 단백질 분해효소 (ALCALASE, Novozymes, Denmark)를 2 g 첨가하고, 50 ℃에서 1 시간 동안 2 차 추출했다. 상기 추출액을 20 분간 끓여서 추가적인 추출과 함께 효소반응을 정지시켰다. 상기 추출액을 1000 xg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제조 (세포벽 분해효소와 동시에 단백질 분해효소)
실시예 1의 스피룰리나 분말 100 g을 증류수 10 ℓ에 현탁하고, 0.1 N HCl 혹은 NaOH를 사용하여 pH 8.0으로 맞춘 후, 여기에 세포벽 분해효소 (TUNICASE, Daiwa Kase, Japan) 2 g 및 단백질 분해효소 (ALCALASE, Novozymes, Denmark) 2 g을 첨가하고, 50 ℃에서 1 시간 동안 추출했다. 상기 추출액을 20 분간 끓여서 추가적인 추출과 함께 효소반응을 정지시켰다. 상기 추출액을 1000 xg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종래 스피룰리나의 추출은 열수 혹은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단순한 추출법으로 제조되었다. 이 중 온수를 사용하는 추출법은 제조 방법은 간단하나 추출물의 수율이 20 % 미만으로 낮으며 [Kim, S. S., M. K. Park, et al. (2003).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Chlorella Soybean Curd " J. Korean Soc . Agric . Chem . Biotechnol . 46(1): 12-15], 따라서 스피룰리나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의 손실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추출법도 수율이 15 % 이하로 낮을 뿐만 아니라, 추출물을 식품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유기용매의 잔류도 문제가 될 수 있다 [Kim, W. Y. and J. Y. Park (2003). "The Effect of Spirulina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nt Capacity and Immune Function in Korean Elderlies." Korean J. Nutr . 36(3): 297-307].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세포벽 분해효소와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하는 방법으로 추출 수율을 제고하였다. 수율은 고형분 회수율 (solid recovery)로 나타내었으며, 원료로 사용한 스피룰리나 분말과 동결건조하여 얻은 추출물의 중량비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Kim, H. S., Kim C. H., Kim, J. H., Kwon, M. C., Cho, J. H., Gwak, H. G., Hwang, B. Y., Kim, J. C., Lee, H. Y. (2006). "Comparison of anticancer activities from the culture and extraction conditions of the spirulina." Kor . J. Microbiol . Biotechnol . 34(2): 143~149].
효소처리 방법이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수율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반응 조건 수율(%)
실시예 1 20분 끓여서 추출 45.20±4.95
실시예 2 가수분해(pH8.0, 40℃, 1시간) → 20분 끓여서 추출 55.25±2.12
실시예 3 가수분해(pH8.0, 50℃, 1시간) → 20분 끓여서 추출 60.50±0.71
실시예 4 가수분해[pH8.0, (40℃, 1시간 → 50℃, 1시간)]
→ 20분 끓여서 추출
66.33±0.00
실시예 5 가수분해(pH8.0, 50℃, 1시간) → 20분 끓여서 추출 65.33±4.9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피룰리나의 추출 수율은 세포벽 분해효소인 투니케이즈와 단백질 분해효소인 알칼레이즈를 2 단계에 걸쳐 사용한 실시예 4가 가장 수율이 높았고, 투니케이즈와 알칼레이즈를 같이 넣어 추출한 실시예 5가 근소한 차이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효소 중 한가지만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두 가지를 같이 첨가하여 추출한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1: TT ( thrombin time )를 이용한 항혈전 활성의 측정
혈액응고시간의 측정은 혈액 응고반응 분석기 (blood coagulation analyzer)인 Coagulometer (Coatron M1, TECO, Germany)를 이용하여 혈전응고시간 (fibrin clotting time)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혈액응고 저해활성 분석의 양성 대조구로는 천연 혈액응고 저해물질인 헤파린 (heparin, Sigma, USA)과 아스피린 (aspirin, Sigma, USA)을 이용하였다. 모든 분석은 3 회 반복실험의 결과를 평균±표준오차(mean±standard error)로 표시하였다.
먼저,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TT(thrombin time) 분석을 이용하여 혈액응고시간 연장효과를 측정하였다.
혈전응고시간이 큰 값을 보이는 경우는 피브리노겐(fibrinogen)이 트롬빈(thrombin)에 의해 피브린(fibrin)으로 전환되는 시간이 지연됨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항혈전 활성 (anticoagulant activity)을 혈액응고 저해 활성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혈전응고시간를 정략적인 수치로 바꾸어 환산하기 위하여 TT(thrombin time) 시약 (thrombin, Diagostica Stago, France)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표준곡선의 기울기와 절편을 이용하여 수학식 1과 같이 TU (thrombin unit) 값을 계산하였다. 또한 혈전응고활성 저해율 (fibrin clotting inhibition, FCI)을 수학식 2와 같이 환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Jang, I. H., M. J. In, et al. (2004). "Manufacturing Method for Traditional Doenjang and Screening of High Fibrin Clotting Inhibitory Samples." J. Korean Soc. Appl . Biol . Chem . 47(1): 149-153].
TU (thrombin unit) = a (1 / CT) + b
혈전 응고활성 저해율 (fibrin clotting inhibition, %)
= (1 - TUsample / TUblank) X 100
TT(Thrombin time)시약 앰플에 10 mM 트리스 완충용액 (tris-buffer, pH 7.5) 2 ㎖를 넣어 용해시킨 후, 상기 완충용액 6 ㎖로 추가 희석시켜 트롬빈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해 수득한 시료를 10 mM 트리스 완충용액 (tris-buffer, pH 7.5)에 25, 50, 100 ㎍/㎖의 농도로 용해하여 측정시료를 제조, 사용하였다. 또한, 10 mM 트리스 완충용액 (tris-buffer, pH 7.5)에 피브리노겐을 0.125 %(w/v)로 녹여 피브리노겐 용액을 제조, 사용하였다. 상기 측정시료 용액 12 ㎕와 피브리노겐 용액(0.125 %,w/v) 228 ㎕을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용액 25 ㎕와 트롬빈 용액을 각각 큐벳(cuvettes)에 넣어 37 ℃에서 3 분간 예열한 후 혼합용액 25 ㎕에 트롬빈 용액 50 ㎕를 첨가, 혼합하고 이 혼합액이 응고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혈액 응고반응 분석(blood coagulation analyzer)을 실시하였다.
정확한 응고시간 (clot time) 환산을 위하여 트롬빈 용액을 10 mM 트리스 완충용액 (tris-buffer, pH 7.5)으로 희석하여 트롬빈 농도별 (0.75, 0.375, 0.1875 unit/㎖) 트롬빈 표준곡선(thrombin standard curve)을 도 1과 같이 작성하였다.
비교를 위해 양성 대조구인 헤파린 (heparin, Sigma, USA)과 아스피린 (aspirin, Sigma, USA)에 대해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TT를 측정한 결과를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헤파린, 아스피린 및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항혈전활성 (TT)
최종 농도
(㎍/㎖)
트롬빈 타임(%)
헤파린 아스피린 스피룰리나 추출물
0 0 0 0
25 28.5 38.7 25.8
50 49.7 45.2 38.1
100 56.4 54.8
TT 항응고 활성을 측정한 결과 양성 대조군인 헤파린, 아스피린과 활성이 유사하게 나와 항혈전 활성의 공통경로에 관여하는 인자인 트롬빈의 활성을 저해시키는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aPTT (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를 이용한 항혈전 활성의 측정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분석을 이용하여 혈액응고시간 연장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실시예에서 제조한 스피룰리나 추출물과 비교를 위한 양성 대조구인 헤파린 (heparin, Sigma, USA)과 아스피린 (aspirin, Sigma, USA)을 혈장(plasma)에 1:9 비율로 섞어 사용하였고, 공시험군으로는 시료를 섞지 않은 혈장(plasma)을 사용하였다. aPTT (TECO, Germany) 시약과 25 mM 염화칼슘(CaCl2) 시약은 37 ℃에서 5분 이상 예열한 다음 혈장(plasma) 25 ㎕를 큐벳에 분주하고, 예열되어 있던 aPTT 시약 25 ㎕를 첨가한 후 37 ℃에서 정확하게 5 분간 반응시켰고, 여기에 25 mM 염화칼슘(CaCl2) 25 ㎕를 첨가하고 이 혼합액이 응고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도 3 및 도 4에 나타냈다. 측정 단위는 초(sec) 단위로 나타내었다.
aPTT 항응고 활성을 측정한 결과로부터 스피룰리나의 항혈전성 추출물이 내인성 경로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불활성화시켜 피브린 형성을 방해함으로써 응고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트롬빈 표준 곡선(thrombin standard curve) 그래프이다.
도 2는 스피룰리나 추출물과 양성 대조구인 아스피린과 헤파린의 TT (thrombin time) 측정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헤파린의 aPT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aPTT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5)

  1.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스피룰리나 추출물은 추출용매에 스피룰리나를 첨가하고 세포벽 분해효소를 추가로 첨가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추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포벽 분해효소는 상기 스피룰리나 100 중량부 당 0.1 내지 10 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상기 추출용매에 상기 세포벽 분해효소가 첨가된 상태에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KR1020070134762A 2007-12-20 2007-12-20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KR101045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762A KR101045601B1 (ko) 2007-12-20 2007-12-20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762A KR101045601B1 (ko) 2007-12-20 2007-12-20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995A KR20090066995A (ko) 2009-06-24
KR101045601B1 true KR101045601B1 (ko) 2011-07-01

Family

ID=4099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762A KR101045601B1 (ko) 2007-12-20 2007-12-20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8255A (zh) * 2015-09-08 2015-12-23 浙江海洋学院 酶解金枪鱼血抗栓溶栓口服液及其制备方法
WO2023145785A1 (ja) * 2022-01-28 2023-08-03 SoPros株式会社 血栓予防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698A (ja) 1999-10-05 2001-04-17 Suetsuna Yoko 新規なテトラペプチドおよび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剤
KR20070111874A (ko) * 2006-05-19 2007-11-22 김동호 클로렐라 추출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698A (ja) 1999-10-05 2001-04-17 Suetsuna Yoko 新規なテトラペプチドおよび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剤
KR20070111874A (ko) * 2006-05-19 2007-11-22 김동호 클로렐라 추출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Biol. Pharm. Bull.*
논문2:Phytomedic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995A (ko)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0685B2 (en) Method for preparing active peptides from corn germ proteins
US10548933B2 (en) Method for preparing broccoli protein peptide mixture
JP5213332B2 (ja) 卵由来の骨強化組成物
CN109293740A (zh) 一种牡蛎来源的ace抑制及抗肿瘤活性肽
JP2008056645A (ja) 酵素処理されたローヤルゼリー中の蛋白質とポリペプチドとの反応により得られた抗酸化ペプチ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74058B1 (ko) 중성지방 흡수 저해율이 높은 신규 교잡 신품종 버섯 균주 gbn2wp0970 및 그 자실체
KR101045601B1 (ko)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KR101539820B1 (ko) 혈전성 질환 예방 식품
KR101418968B1 (ko) CHP(cyclo(His-Pro))를 고농도로 함유한 대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혈당 조절용 조성물
CN101503727B (zh) 三角帆蚌酶解多肽及其制备和应用
JP4912720B2 (ja) 茸由来破骨細胞形成阻害剤
CN102987408B (zh) 从蛹虫草废茧中提取游离氨基酸等营养成分的方法
KR101672098B1 (ko) 발효 쌀뜨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217713B1 (ko) 목이버섯 유래 혈전분해효소의 발효 생산방법 및 그의 용도
JP7002212B2 (ja) 疲労回復用組成物及び疲労回復用加圧酵素分解物を製造する方法
JP2001000175A (ja) 枯草菌(Bacillussubtilis)の培養方法、該方法によって培養される微生物の培養物、該培養物由来の水溶性ビタミンK誘導体ならびに該微生物の培養物またはビタミンK誘導体を含む食品、飲料または飼料
CN113087773A (zh) 一种具有降血糖和抗氧化功能的牦牛骨肽及其制备方法
KR20120063766A (ko) 미세조류 나비쿨라 인세르타의 가수분해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TW201043239A (en) An isolated peptide and the preparation processes and applications thereof
KR20140002493A (ko)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KR102150121B1 (ko) 서양종꿀벌의 수번데기를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CN110241159A (zh) 一种酶解蝇蛹制备抗氧化活性多肽的工艺
KR20100096442A (ko) 목이버섯 유래 혈전분해효소의 발효 생산방법 및 그의 용도
JP6380840B2 (ja) 脂肪前駆細胞増殖抑制作用を呈するカロチノイド誘導体
GB2233666A (en) Microbacterium 851R, and a process for producing 851 nutrient 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