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882A - 콤브 공정 - Google Patents

콤브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882A
KR20010024882A KR1020007008203A KR20007008203A KR20010024882A KR 20010024882 A KR20010024882 A KR 20010024882A KR 1020007008203 A KR1020007008203 A KR 1020007008203A KR 20007008203 A KR20007008203 A KR 20007008203A KR 20010024882 A KR20010024882 A KR 20010024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mbs
comb
longitudinal bar
process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회퍼레인하드
Original Assignee
삭소니아 움포름테케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삭소니아 움포름테케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삭소니아 움포름테케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2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88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4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2Warp-thread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Warping, Beaming, Or Leas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Loom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든 빗살들 위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세로바로 부터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빗살들과 빗살들을 갖는 콤브형 구조체와, 이와 같은 콤브형 구조체의 제작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브와 그 제작공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는 신속하고 저가의 제작공정을 이루며, 제작공정상의 불량율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다수의 작은 부품들을 이송부(a carrier part)의 표면에 연결하고, 특히 세로바로 부터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빗살들을 갖는 콤브형 구조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특히 직물기계의 스프링 콤브 혹은 콤브 바들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은, 상기 빗살들이 개별적으로 제작되고, 그리고 모든 빗살들을 따라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로바에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연결되어지는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콤브 공정{COMB METHOD}
이러한 종류의 콤브형 구조체들(이하 '콤브'라고 간략함)은 예를들면 직물기계(textile machine)에서 사용되고, 특히 직물(weaving) 및 편물(knitting)기계에서, 직물부품으로서 소위 스프링 콤브 또는 콤브 바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와 같은 종류의 콤브(comb)들은 매우 정교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고, 특히 빗살 또는 빗살들의 형상과 이들 서로 간의 간격들은 매우 높은 정확도로서 유지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그 제작은, 빗살들 사이에 절단부를 형성하여 콤브형 구조체를 제작하는 공정에 의해서 판재형 금속부품으로 부터 단일부품으로 제작되었으며, 상기절단부는 통상적으로 대부분 스프링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재형 금속으로 부터 불꽃 침식 공정(spark erosion procedure) 혹은 이와 유사한 수단에 의해서 제작되는 것이었다.
상기 작업공정은 시간이 과대하게 소요되고 고가의 작업공정이었으며, 그 이유는 통상적으로 상기 절단부들이 연속적으로, 혹은 단지 병렬의(parallel relationship) 동시작업으로 적은 수만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의 가공비용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작업방식은 크기 공차가 단지 하나의 절단부에서 초과되는 경우라도 전체 콤브를 무용(useless)하게 하기 때문에 작업불량품(reject waste)도 상당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지 또는 빗살들이 대량 생산품으로서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그 형상이 일치하는지 우선 검사되며, 그 다음 이러한 빗살들이 가로바에 연결되어지는 공정에 의해서 이러한 종류의 콤브형 구조체를 제작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경우에서 연결작업은 솔더링(soldering) 혹은 브레이징(brazing)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었으며, 이는 시간 소모적이고, 이러한 공정에서 요구되어지는 대략 230℃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인하여 상기 세로바 혹은 빗살들이 변형되는 것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공정은 액상의 솔더링 혹은 브레이징 재료들이 그 모세관 작용에 의해서 상기 세로바로 부터 2개의 빗살들 사이의 공간으로, 그 자유단부의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전체 콤브를 무용하게 하는 큰 결함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모든 빗살(teeth)들 위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세로바로 부터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다수개의 가지(tines) 또는 빗살(teeth)들을 갖는 콤브형 구조체와, 이러한 콤브형 구조체의 제작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 1세로바가 연결되기 전의 예비 위치된 빗살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제 2세로바가 연결되기 전, 하나의 세로바에 이미 연결된 빗살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최종의 콤브형 구조체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콤브에서 선 IV-IV를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및
도 5는 도 3의 콤브에서 선 V-V을 따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 참조부호 설명 *
1 콤브형 구조체
2a,2b,2c... 빗살
3a,3b 세로바
4 접착 스트립
5 측면
6a,6b 위치조정부재
7 접촉 측면
8 보호 포일
9 빗살의 두께
10 세로방향
11 횡 방향
12 작업 표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제작공정에서 불량율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콤브와 그 제작 공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특히 세로바들은 만곡되거나 혹은 절곡되어 특히 그들 접촉측에서 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빗살들은 직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측면들이 평편하며 특히 단일 평면에 배치되어 질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은 평편하지 않은 측면, 특히 원형단면들을 갖는 빗살 단면들을 처리하는 데에도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빗살들은 서로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또는 바로 인접하여 그리고 서로 접촉되는 위치에서 고착(glue)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클레임 1내지 19의 특징적인 특성에 의해서 얻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 클레임에 제시되어 있다.
가지들과 빗살들이 개별적으로 제작됨으로서, 상기 목적을 위하여 저가의 제작공정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빗살들이 콤브형 구조체에 장착되어지기 전에, 상기 빗살들은 그 크기의 정확도 측면및 형상의 정확도측면에서 검사가능하고, 불량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연결작업이 최소 하나의 세로바를 통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한 가지 또는 빗살들이 다른 길이및 다른 형상의, 예를들면 직선형 혹은 만곡 빗살형 구조체를 제작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모세 공간에서 발생되는 어떠한 크립이동(creep movement)도 포함하지 않는 접착제(adhesive)에 의한 고착연결을 활용하여 세로바로 부터 자유롭게 돌출하는 빗살 단부들을 향하여 접착제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빗살 단부들은 콤브형 구조체의 기능을 발휘하는 단부들이고, 서로 결착되어서는 안되는 것들이다.
특별히 사용되어지는 접착제는 폴리머(polymer)이며, 이는 대기온도이상의 높은 온도, 100℃ 내지 2000℃에서, 그리고/또는 적어도 0.1N/mm2, 특히 적어도 1.0N/mm2의 상승된 압력에서만 그 접착능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접착제가 세로바의 접촉면에 먼저 가해짐으로서, 빗살들이 서로에 대하여 상기 도포된 접착제 혹은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해서 악영향을 받음이 없이 정확한 방식으로 위치되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적절한 위치조정부재(positioning members)를 갖는 보조장치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 빗살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관계로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빗살들이 상기 방식을 통하여 정확한 수와 정확한 위치에서 예비 위치되면, 그 접촉면에 접착제가 제공된 세로바가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빗살들에 가압되고, 바람직하게는 견고한 고정결합을 갖는 위치조정부재들을 활용하여, 특히 세로바가 상기 빗살들에 가압되어 세로바의 하나의 길이방향 모서리가 빗살들의 후방단부들에 정렬되는 방식으로 재차 가압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접착제는 세로바의 접촉표면의 전체 영역상에 특별히 넓게 도포된다.
이러한 콤브의 특별히 안정된 대체구조가 얻어질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세로바가 유사한 방식으로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빗살 열의 2 측면 각각 상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연속으로, 대향 배치된 제 2 세로바에 고착시키는 것에 대하여 개별적인 빗살들 사이의 위치조정부재를 갖는 보조장치를 재차 필요로 하지 않고 제 1세로바의 고착시 얻어지는 고정효과를 유지하도록 하는 경우이다.
도 1은 다수의 정해진 가지 또는 빗살 2을 도시한 것으로, 이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모두 동일 구조를 갖추고, 보조장치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정확한 방식으로 작업면 12상에 위치되어 있다.
이점에서, 상기 보조장치는 빗살 2의 후방단부에 대한 인접물로서 작용하는 위치조정부재 6a, 및 위치조정부재 6b를 갖추며, 상기 위치조정부재 6b는 각각의 빗살 2a,2b,....들이 각각의 2개의 위치조정부재 6b사이에서 정확하게 삽입되어질 수 있는 간격으로 서로에 대해서 배치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위치조정부재(미도시)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위치조정부재 6a로 부터 멀어지는 빗살 2a,2b... 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가적인 위치조정부재는 빗살 2a,2b,2c...의 전방단부를 따라서 상기 위치조정부재 6a에 평행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빗살 2a,2b,2c... 와 같은 금속을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제 1세로바 3a가 동일 두께로 이루어진 빗살에 의해서, 단일 높이로 배치된 빗살 2a,2b,2c...의 상방향 측면상에 빗살 2a,2b,2c...의 후방영역에서 고착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빗살 2a,2b,2c...의 후방단부는 상기 세로바의 일측 길이방향 모서리를 따라서 대략적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경우, 빗살 2a,2b,2c...를 향하여 마주한 그 접촉측면 7상에서, 상기 세로바 3a는 접착제 스트립 4a로써 피복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세로바 3a상에 접착되기 전, 그 일치하는 측면상의 보호 포일(protective foil)로 부터 벗겨지게 된다. 상기 빗살 2a,2b,2c...로 향한 접착 스트립 4a의 측면상에서, 상기 보호 포일 8이 빗살 2a,2b,2c...에 부착되기 바로 전에 벗겨져서 상기 접착 스트립 4a이 먼지등의 이물질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로바 3a는 빗살 2상의 위치에서 적어도 0.2N/mm2의 압력과 적어도 120℃의 온도에서, 적어도 수초동안, 바람직하게는 수분동안, 특히 30분 동안 가압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특정온도는 접착 스트립 4에서 특히 얻어져야 한다.
상기 첫번째 작업단계에서, 빗살 2a,2b,2c...들이 상기 세로바 3a에 관련하여 이미 충분히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서 이와 같은 합성조립체는 위치조정부재 6a,6b를 포함하는 보조장치로 부터 이탈될 수 있고, 뒤집혀져서 상기 세로바 3a가 하부측에 그리고 빗살 2a,2b,2c...가 상부측에 위치되어질 수 있으며, 이는 예를들면, 다른 보조장치내에서 차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제 2세로바 3b가 반대측으로 부터 예비위치된 빗살 2a,2b,2c...의 타측 표면 5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세로바 3b는 특별히 제 1세로바 3a에 정렬된다. 상기 제 2세로바 3b도 접착 스트립 4b를 미리 장착하고 있으며, 보호 포일이 제거된 후, 상기 제 1세로바 3a에 유사한 압력과 온도로 정위치 배치된다. 상기 가압힘은 적어도 30초동안 유지된다.
이는 도 3에서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은 콤브형 구조체를 제공하며, 상기 빗살들은 복층(double-layer)의 세로바 3사이의 중간 공간으로 부터 그 일측으로 연장한다. 상기 빗살 2a,2b,2c...들은 한점(a point)으로 수렴(converge)하는 바늘형 부재, 그리고 직사각형의 긴 스트립 부재 및, 다른 형상 예를들면 눈형 구조(eye-shaped configuration)의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바로 부터 자유로이 돌출하는 빗살들의 단부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얼마나 큰 부하가 걸리는가에 따라서, 가로지르는 방향 11의 상기 접착제 결합 폭이 충분히 크게 선택되어야만 한다.
상기 빗살들은 갈퀴(rake)형 구조체내에서 특히 상기 세로바 3a,3b사이의 영역에서 간격(spacing)없이 서로 직접 지지될 수 있지만, 보다 빈번하게는 상기 빗살들이 서로에 대하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다.
후자의 경우, 특히 상기 빗살 2a,2b,2c...들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 9로 이루어지는 때에는, 상기 최초 상태에서 상기 접착 스트립 4a 혹은 4b의 각각의 두께 D들은 빗살 2a,2b,2c...의 두께 9에 적합하도록 선택되어 상기 부품들이 서로에 대하여 가압되면, 상기 빗살들의 영역에서 상기 접착 스트립의 두께가 감소되어 접착제가 상기 빗살들 사이의 영역으로 흘러들어가고, 상기 2개의 접착 스트립 4a및 4b들이 빗살사이의 영역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접 접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부가적으로 상기 세로바 3a및 3b들 사이의 접착제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빗살 2a,2b,2c...사이의 중간 공간을 추가로 충진하여, 그들 위치가 부가적으로 안정화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접착 스트립은 오로지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스트립이고, 특히 지지용 섬유나 그에 유사한 것과 같은 어떠한 고정을 위한 삽입물도 갖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빠르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제작공정에서 불량율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콤브와 그 제작 공정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20)

  1. 다수의 작은 부품들을 이송부(a carrier part)의 표면에 연결하고, 특히 세로바(3)로 부터 가로지르는 방향(11)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빗살(2a,2b,2c)를 갖는 콤브형 구조체(1)를 제작하기 위하여, 특히 직물기계의 스프링 콤브 혹은 콤브 바들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에 있어서,
    상기 빗살(2a,2b,2c...)들이 개별적으로 제작되고, 그리고
    상기 빗살(2a,2b,2c...)들이 접착제 수단에 의해서 모든 빗살(2a,2b,2c...)들을 따라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로바(3)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바(3)에 연결되기 전의 빗살(2a,2b,2c...)들은 위치조정부재(6a,6b)에 의해서 서로에 대하여 필요한 상대위치에서 견고한 고정결합으로 위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3.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바(3)는 빗살(2)들의 측면(5)들 상에 접착제로써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4.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빗살(2a,2b,2c...)들에 접착되기 전에 상기 세로바(3)의 접촉측면(7)상의 일정 영역위에 도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5.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접착 스트립(4)의 형태로써 상기 세로바(3)의 접촉측면(7)에 도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6. 제 1항 내지 제 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액체상태로, 그리고 특히 일정영역위로, 또한 상기 세로바(3)의 접촉측면(7)상에서 선정된 층두께로 도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7.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특히 상온 온도(room temperature) 및/또는 통상압력(normal pressure)에서는 접착하지 않는 고온 용해성 접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8.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스트립(4)은 보호 포일(8)로써 양측면이 덮여지며, 이는 상기 접착 스트립(4)을 접착 표면에 부착하기 바로 전에만 제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9.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2a,2b,2c...)들은 세로바(3a,3b)에 의해서 양측면(5a,5b)상에서 고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0.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2a,2b,2c...)들의 고착은 하나의 세로바(3a)에 대하여 먼저 이루어지고, 그 다음에 나머지 세로바(3b)에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1.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작업은 높은 온도, 특히 적어도 100℃,특히 적어도 120℃, 특히 적어도 180℃에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2.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작업은 적어도 0.2N/mm2, 특히 적어도 0.6N/mm2, 특히 적어도 1.0N/mm2의 높은 압력에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3.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초기상태에서, 상기 접착 스트립(4)은 상기 빗살(2a,2b,2c...)들의 1/2두께(9) 보다 큰 두께(D)를 가지고, 특히 상기 빗살(2a,2b,2c...)들의 두께(9)보다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4.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스트립의 두께는 0.04mm 내지 0.40mm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5.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니트릴 고무(nitrile rubber)/ 페놀 수지(phenolic resin)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6.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2a,2b,2c...)들 및/또는 세로바(3a,3b,3c)들은 금속, 특히 스프링 금속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7.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초기상태에서 상기 접착 스트립(4)의 두께(D)는 상기 2개의 세로바(3a,3b)에 결합하는 접착 스트립(4a,4b)들이 상기 빗살(2a,2b,2c...)들 사이의 영역에서 서로서로 직접 접착되어지도록 선택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8.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영역에서 상기 빗살(2a,2b,2c...)들 사이에 배치된 것은 그 두께가 특히 상기 빗살(2a,2b,2c...)들의 두께(9)에 일치하는 스페이서(spacer)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9. 선행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높은 공정 온도 및/또는 높은 공정압력에서도 낮은 모세관 크립작용(a low capillary creep action)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20. 세로바(3)로 부터 가로지르는 방향(11)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빗살(2a,2b,2c...)들을 갖는 콤브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빗살(2a,2b,2c...)들은 그들 측면(5)의 적어도 하나에서, 모든 빗살(2a,2b,2c...)들 위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세로바(3)의 접촉면상에 접착제에 의하여 고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콤브형 구조체.
KR1020007008203A 1998-01-29 1999-01-28 콤브 공정 KR200100248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03474.1 1998-01-29
DE19803474A DE19803474C1 (de) 1998-01-29 1998-01-29 Verfahren zum Herstellen kammartiger Gebilde
PCT/EP1999/000550 WO1999039035A1 (de) 1998-01-29 1999-01-28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mm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882A true KR20010024882A (ko) 2001-03-26

Family

ID=785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203A KR20010024882A (ko) 1998-01-29 1999-01-28 콤브 공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53363B1 (ko)
JP (1) JP2002501867A (ko)
KR (1) KR20010024882A (ko)
AT (1) ATE238439T1 (ko)
DE (2) DE19803474C1 (ko)
ES (1) ES2195542T3 (ko)
WO (1) WO1999039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7532B4 (de) 2002-06-20 2006-02-23 Groz-Beckert Kg Modul für Textilmaschinen, insbesondere Maschen bildende Maschinen
EP2570540B1 (de) * 2011-09-16 2014-03-05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fassung
CN107572313B (zh) * 2017-08-21 2020-07-14 北京空间机电研究所 一种具有自锁紧功能的伞绳梳理夹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32809A (fr) * 1965-02-11 1966-03-25 Trigallez Ets Procédé de garnissage des peignes utilisés en préparation de filature
GB2084054B (en) * 1980-09-26 1984-01-11 Plastex Bradford Ltd Faller bars
DD159184A1 (de) * 1981-05-29 1983-02-23 Andreas Hering Fassung zur halterung der wirknadeln an kettenwirkmaschinen
DE4438061C1 (de) * 1994-10-25 1995-12-14 Heguplast V Gutwald Kg Kunstst Herstellungsverfahren und Herstellungswerkzeug für ein Barresegment mit Grundkörper
DE19618368B4 (de) * 1996-05-08 2005-11-24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Anordnung aus Fadenführungselementen einer Kettenwirk- oder Strickmaschine und einem Trä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53363B1 (de) 2003-04-23
DE19803474C1 (de) 1999-09-23
JP2002501867A (ja) 2002-01-22
WO1999039035A1 (de) 1999-08-05
ES2195542T3 (es) 2003-12-01
DE59905184D1 (de) 2003-05-28
ATE238439T1 (de) 2003-05-15
EP1053363A1 (de) 200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52629A (zh) 破断装置以及分断方法
JP5374732B2 (ja) シャント抵抗器の製造方法
WO2018110677A1 (ja)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切断刃
KR20010024882A (ko) 콤브 공정
JP2005251960A (ja) 太陽電池パネルの修理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US7104434B2 (en) Screen printing squeegee for applying solder paste
JP5609452B2 (ja) 複合基板の製造方法
JPH0216000A (ja) 組立定尺プリント基板の切断装置
JP2680556B2 (ja) プローブユニット
US6659334B2 (en) Method for forming end-face electrode
JP3315155B2 (ja) 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JPH0526742Y2 (ko)
EP1678756B1 (de) Halbleiterbauteil mit gehäusekunststoffmasse, halbleiterchip und schaltungsträge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7037888B2 (ja) ワーク片の製造方法
JP3145190B2 (ja) ブラケット付きセンサ素子の製造方法
JP3998780B2 (ja) ベニヤ単板の接合乾燥方法
KR0169448B1 (ko) 목재 상감 무늬목 제조방법
JPH0216015B2 (ko)
JPS61152376A (ja) ダイヤモンドチツプソ−の製法
CN114845477A (zh) 一种超长挠性电路板的制作方法
GB2326982A (en) Repair of a printed circuit motherboard
JPH06204627A (ja) プリント基板
JP2506453B2 (ja) 気密封止型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4810886B2 (ja) 立体回路基板の分割方法および装置
JP4028401B2 (ja) 素子類取付用スペー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