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008A -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및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및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008A
KR20010023008A KR1020007001616A KR20007001616A KR20010023008A KR 20010023008 A KR20010023008 A KR 20010023008A KR 1020007001616 A KR1020007001616 A KR 1020007001616A KR 20007001616 A KR20007001616 A KR 20007001616A KR 20010023008 A KR20010023008 A KR 20010023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uide tube
declutching device
punch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315B1 (ko
Inventor
토미레실배인
Original Assignee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filed Critical 레메이르 마르
Publication of KR2001002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7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the clutch being actuated by the fluid-actuated member via a diaphragm spring or an equivalent array of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08Making wire, bars,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20Making uncoated products by backward extrusion
    • B21C23/205Making products of generally elongated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154Making multi-wall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3Actu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8Details or arrangements of seal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3/8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229Prime mover or fluid pump making
    • Y10T29/4927Cylinder, cylinder head or engine valve sleev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3)이 가이드 튜브(4)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축방향으로 배향된 블라인드 링형 캐비티(40)상에 규정되는 가이드 튜브(4)와 일체형인 외측 본체(6)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이드 튜브(4)는 임팩트 사출성형에 의해 생성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이용가능하다.

Description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및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HYDRAULIC CONTROL CLUTCH DEVICE EQUIPPED WITH A GUIDE TUB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TUBE}
피스톤을 통하여 유압식 제어를 갖는 이러한 유형의 디클러칭 장치는 프랑스 특허 제 FR-A-2 730 532 호에 개시되어 있다.
후자에서, 블라인드 캐비티는 튜브 가이드 또는 가이드 튜브와 또 외부 몸체와 경계를 접한다.
이러한 튜브는 그 배면 단부에 판 부를 갖는다. 판 부는 외부 본체와 고정 부분 사이에 파지된다.
밀봉은 캐비티를 밀봉하기 위하여 튜브 가이드의 판 부와 외측 몸체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축방향 배향 환상 블라인드 캐비티는 표준화하기가 어렵다.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한 방식으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의지하는 것은 프랑스 특허 제 FR-A-2 531 16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유형의 해결책으로 고려될 수도 있고, 즉, 축방향으로 배향된 블라인드 환상 캐비티를 가이드 튜브에 의해 범위를 정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외측 튜브가 보다 긴 길이를 갖는 내측 튜브에 결합하는 베이스부를 갖는다.
이것은 시트 금속으로부터 가압 성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에서의 동축(coaxiality)이 소망하는 것만큼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만족스럽지 않다. 또한 내측 튜브 및 외측 튜브의 내측 면 및 외측 면이 소망하는 것만큼 매끄럽지 않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한 방식으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에 바람직한 동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스톤을 안내하기 위하여 내측 튜브 및 외측 튜브의 면내에서 우수한 품질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가이드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계 재료인 슬러그로부터 임팩트 인발(impact drawing)의 방법에 의해 얻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러그는 마그네슘계 재료 또는 마일드 강 또는 황동 또는 구리 또는 임의의 다른 전성이 있는 재료로 된다. 이러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펀치 및 슬러그를 성형하기 위한 다이를 요구하며, 그것은 고형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그것의 금속을 안내 방식으로 흐르도록 하는 중앙 구멍을 갖는다.
이러한 방법에서,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 사이의 바람직한 동축이 달성되고, 각기 이러한 튜브의 외측 면 및 내측 면은 피스톤의 밀봉이 보호될 수 있는 낮은 거칠기(roughness)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가이드 튜브는 우수한 정밀도를 얻고, 구성요소상에 임의의 반복되는 작동 없이 바람직한 기하학적인 품질을 얻게 된다.
펀치 및 다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에서 두께에 대한 상이함을 얻는 것이 쉽게 가능하다. 캐비티의 베이스는, 특히 펀치를 돕기 위하여 크거나 작은 넓이로 슬러그를 변형하고 또한 다이를 프로파일링(profiling)하는 것에 의해 소망하는 형상 및 소망하는 두께를 갖을 수도 있다.
그 다음 베이스부는 내측 및 외측 튜브보다 큰 두께를 갖을 수도 있다. 외측 몸체는 가이드 튜브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변형예에서, 몸체는 그것을 차량의 고정 부분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가이드 튜브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인발 작용은 원통형 컵을 생성하는 제 1 작동과, 동심의 외측 및 내측 튜브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상 블라인드 캐비티를 갖는 튜브 가이드를 얻기 위하여 컵의 베이스를 깊게 인발하는 제 2 작동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슬러그는 고형이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슬러그는 가이드 튜브가 단일의 작동을 얻을 수 있도록 중앙 구멍을 갖고, 다음에 다이는 제 1 펀치를 둘러싸는 제 2 펀치를 돕기 위하여 중공형 펀치내에 관통하도록 하고, 칼라부는 가이드 튜브상에 고정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디클러칭 장치는 가격이 저렴하게 된다. 가이드 튜브는 외측 튜브의 길이가 내측 튜브의 길이보다 작거나 그와 동일한 외측 튜브를 갖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블라인드 캐비티는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한 방법으로 표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 있어서, 각각의 이용에 따라서, 특히 외측 몸체가 고정되는 케이싱의 성형에 따라서 외측 몸체를 충분히 변경할 수 있다.
외측 몸체는 그것을 케이싱에 적합시키기 위한 단일판상에 강제 끼움(bayonet type fitting)에 의해 표준화 및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착은,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제 FR-A- 2 745 616 호에 개시되어 있고, 그 내용이 본 발명에 부가된 바와 같이 참조되어 있다. 따라서, 동시에 튜브 가이드 및 몸체 모두를 표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서, 튜브 가이드의 몸체와 판 요소 사이에 종래 기술의 개재된 보충하는 밀봉은 생략된다. 따라서 노출의 위험이 감소된다.
블라인드 캐비티는 상기 캐비티가 단일의 부재에 의해 규정된다는 사실로 인하여 클러치의 결합 및 분리 작동시에 발생하는 압력 변화의 영향하에서 적게 변형된다.
이러한 경우에 피스톤의 안내를 위한 튜브 가이드의 내측 튜브의 변형이 감소되기 때문에 피스톤의 개선된 안내가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클러칭 장치가 튼튼하게 된다.
또한, 배면 단부에서 피스톤내에 구비된 밀봉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가이드만, 즉 단일의 재료와 함께 협동함으로써 밀봉을 위한 재료의 선택이 용이하다. 이러한 밀봉은 보다 신뢰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의 유효 수명은 증가되고 누출의 위험이 감소된다.
예를 들면, 외측 몸체는 성형가능한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계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됨으로써 모든 경우에 가격이 저렴한 해결책은 무게의 경량화로 달성된다. 튜브 가이드상에 몸체의 장착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몸체는 튜브 가이드상에 몰딩함으로써 형성된 플라스틱 재료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는 플라스틱 재료이고 튜브 가이드상에 스냅 결합(snap-fitting)에 의해 장착된다.
튜브 가이드는 그것을 몸체에 대해 회전하는 형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세스 또는 돌출 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된 몰딩 작동시에, 몸체의 재료는 리세스내에 들어가거나 프레스 성형 요소와 같이 튜브의 돌출 요소를 코팅한다. 임팩트 인발 공정으로 인하여, 돌출 요소 또는 리세스, 예를 들면 노치의 형상이 용이하게 달성된다.
튜브 가이드의 축방향 구속이 용이하게 달성되고, 본체의 재료가 튜브 가이드의 베이스에 부착되고, 튜브 가이드의 외측 튜브의 전방 단부와 정합하게 된다.
클립핑(clipping) 또는 적용된 몰딩과 같은 모든 경우에, 몸체는 베이스부의 형상 및 튜브 가이드의 외측 튜브의 형상과 정합한다.
몸체는 종래 기술의 튜브 가이드보다 큰 튜브의 표면 영역과 접촉하기 때문에 튜브 가이드가 더욱 보강된다.
따라서 블라인드 캐비티의 변형이 더욱 감소된다. 캐비티에 대한 이송 덕트는 몸체가 장착되기 전에, 예를 들면 튜브 가이드상에 가해진 몰딩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작용은 튜브 가이드의 관통에 이르게 됨으로써 캐비티가 블라인드 캐비티와 연통하게 된다.
몸체는 이송 덕트가 연장되는 입구를 수용한다. 입구는 몸체와 몰딩됨으로써 성형될 수도 있고, 또는 그것은 예를 들면 레이저형 용접과 같은 열의 간접적인 적용을 갖는 용접에 의해 또는 초음파 용접을 갖는 접착에 의해 몸체상에 밀봉식으로 접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발 작용으로 인하여, 특히 피스톤의 슬라이딩 및 피스톤의 밀봉에 유리한 튜브 가이드를 위한 바람직한 표면 상태가 달성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피스톤 실은 캐비티가 튜브 가이드내에 형성된다는 사실로 인하여 단일 유형의 재료와 단지 협동하는 립 때문에 보다 규칙적인 마모를 받는다.
본 발명은 클러치용 디클러칭 장치(declutch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의 기계적인 격막 클러치용 디클러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압식으로 제어되는 디클러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디클러칭 장치는 격막과 같은 클러치의 디클러칭 장치상에 작동하기에 적합하고 축방향 이동을 위해 장착되는 피스톤에 의해 지지되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과, 고정 부분으로 불려지고 외부 본체를 포함하는 부분과 동심으로 장착된 내부 튜브 가이드 사이에 규정된 축방향 배향 블라인드 캐비티를 포함하고, 피스톤은 튜브 가이드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미끄러지고, 블라인드 캐비티내로 통과하여 피스톤이 가동 용적 챔버를 규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 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의 축방향 단면도,
도 2는 디클러칭 장치의 입력 측면을 나타내는 도 1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디클러칭 장치의 가이드 튜브의 제조에서 간접적인 제 1 임팩트 인발 작용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가이드 튜브의 제조에서 깊은 인발 또는 직접적인 임팩트 인발 작용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동심의 가이드 튜브가 길이에 대한 크기를 갖는 제 2 작용을 도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회전가능한 스톱 노치를 갖춘 가이드 튜브의 축방향 단면도,
도 7은 도 6의 화살표(7)의 방향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스톱 노치를 갖는 도 6 및 도 7과 유사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동심의 가이드 튜브상에 부착된 디클러칭 장치의 외측 몸체를 갖는 도 6 및 도 7과 동일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동심의 가이드 튜브상에 부착된 디클러칭 장치의 외측 몸체를 갖는 도 8 및 도 9와 동일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밀봉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0 및 도 11과 유사한 축방향 단면도,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클러칭 장치의 축방향 단면도의 절반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블라인드 캐비티를 밀봉하는 밀봉 링을 갖춘 결합 편의 축방향 단면도,
도 18은 디클러칭 장치의 벨로우즈의 부분인 압력 부재를 갖춘 보호 벨로우즈의 축방향 단면도,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클러칭 장치의 피스톤의 축방향 단면도,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9와 유사한 도면,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가 없는 디클러칭 장치의 일부의 축방향 단면도,
도 22a 내지 도 22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a 내지 도 3c와 유사한 도면,
도 23a 내지 도 23c는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3a 내지 도 3c와 유사한 도면,
도 24는 도 23a 내지 도 23c의 가이드 튜브의 축방향 단면도.
다음의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나타낸다.
도 1은,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제 FR-A-2 730 532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에서 차량용 기계식 격막 클러치인 클러치용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클러치의 격막(100)은 클러치의 디클러칭 장치를 구성하고, 디클러칭 장치의 작동 요소(11)가 작동하도록 정렬된다.
작동 요소(11)는 볼 베어링의 회전 외측 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링은 그것이 격막(100)의 핑거의 내측 단부상에 추력 모드(thrust mode)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구름 베어링의 내측 링(12)은 회전에 대해 고정되고, 볼은 링(11, 12)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예에서 링(11, 12)은 금속 압착물이다.
구조를 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구름 베어링의 외측 링이 회전에 대해 고정되는 한편, 베어링의 내측이 회전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상술한 프랑스 특허 제 FR-A-2 730 532 호에서 참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회전 링은 구부러진 형태나 편평하게 됨으로써 격막 핑거(100)와 접촉하는 점을 만들 수 있다.
회전 링(11) 및 고정 링(12)으로 구성된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클러치 해제 베어링(1)으로 불려지고, 이러한 경우에 그것은 격막(100)상에 추력 모드로 작동하도록 정렬된다.
이러한 베어링(1)은 제어 부재에 의해 작동되고, 이러한 예에서 그것은 가이드 튜브로 불려지는 튜브 가이드(4)를 따라서 축방향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피스톤(3)이다. 베어링(1)은 클러치의 디클러칭 장치(100)상에 작동하도록 정렬되고 피스톤(3)에 의해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유압식 디클러칭 장치는 동심형의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이다.
이러한 유압식 디클러칭 장치는 유압식 클러치 제어 시스템의 유압식 리시버로 구성된다. 제어 유체는 본래 액체이거나 가압된 공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의 방법은 모든 경우에 유압식 제어로 불려진다.
따라서 유압식 디클러칭 장치는 이러한 예에서 관상 형태의 입구(5)와,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도시하지 않음)의 출력에 결합된 파이프(11)를 구비하되, 그것은 클러치 페달에 의해, 다른 예에서 디클러칭 작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 모터를 조정하는 컴퓨터에 결합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어된다. 마스터 실린더는 피스톤 및 가변 용적 유압식 제어 챔버를 포함한다. 리시버, 즉 본 발명에 따른 디클러칭 장치에 대해 마찬가지로 된다.
공지된 방법에 있어서, 예를 들면 드라이버가 클러치 페달상에 작동할 때,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은 축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제어 유체를 리시버를 향하여 방출하고 또 리시의 유압식 제어 챔버를 가압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 챔버의 용적은 증가하고, 피스톤(3)을 갖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1)은 도 1의 하측 부분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의 우측을 향하여 변위된다. 이러한 경우에, 격막은 선회하고 클러치의 압력 판상에 그 작동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클러치의 마찰 디스크를 해제한다.
드라이버(driver)가 클러치 페달상에 그 작동을 해제할 때,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은 그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도 1의 상측 부분에서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시버의 피스톤(3)에 대해 마찬가지로 된다.
그 다음 제어 챔버가 감압되고, 복귀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1) 및 피스톤(3)을 도 1의 좌측을 향하여 미는 격막(100)의 작동하에서 초래된다. 다음에 클러치가 결합된다.
사전 로딩 스프링(48)은 격막상에 영구적인 결합으로 회전 링(11)을 고정하도록 정렬된다.
스프링(48)은 몸체(2)와 피스톤(3) 사이에 축방향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스프링(48)은 클러치가 결합될 때 가압되고(도 1의 상측 부분), 클러치가 분리될 때 연장된다(도 1의 하측 부분). 클러치가 결합될 때, 토크는 차량의 엔진에서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101)로 전달된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클러치가 분리될 때, 토크는 전달되지 않고, 클러치의 마찰 디스크가 샤프트(101)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격막의 작동하에서 클러치의 압력판 및 반응판 사이에 파지되도록 정렬된다. 이러한 모든 것은 공지되고,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제 FR-A-2 730 532 호에 개시되어 있다. 클러치 장치는 물론 코일 스프링상에 작동하는 디클러칭 레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것은 접시형 링상에 작동하는 폴스 격막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 유체는 오일이나 변형예에서 그것은 가압 공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따라서 단순함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클러칭 장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로 불려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동심의 유형인데 그것은 장치를 통과하도록 샤프트가 정렬되기 때문이고, 이러한 예시에서 기어박스의 샤프트(101)는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는 입력 샤프트(101)를 둘러싸는 가이드 튜브(4)를 갖는 축방향 대칭 축(X-X)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피스톤(3)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튜브 가이드(4)를 따라 축방향으로 가변가능한 가변 용적 유압식 제어 챔버를 갖는다.
또한 챔버는 관상 입구(5)로부터 압력하에서 유체가 공급되도록 정렬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상 블라인드 캐비티(40)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그것은 후자의 베이스부(41)의 영역에서 캐비티(40)내에 개방된다. 따라서 캐비티(40)는 제어 유체 및 피스톤(3), 특히 피스톤의 밀봉부(31)를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로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피스톤(3)은 캐비티(40)내로 관통한다.
캐비티(40)는 파이프(111) 및 입구(5)내에 형성된 내부 덕트(43)내로 개방된 포트(42)를 구비한다. 이러한 캐비티(40)는 베이스부(41)에 의해 배면에서 경계를 이루고, 피스톤(3)에 의해 전방에서 밀봉식으로 밀폐된다.
캐비티(40)는 저렴한 비용을 위하여 튜브(4)에 의해 규정된다. 튜브 가이드(4)는 고정 부분과 같이 공지된 유압식 디클러칭 장치의 부분과 함께 형성된 대체로 관상 몸체(2)에 고정된다.
몸체(2)는 고정 벽상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고정 벽은 이러한 예에서 차량의 클러치 케이싱 또는 기어박스 케이싱의 전방 벽이다.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제 FR-A-5 753 505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단일판(soleplate)은 차량의 고정 벽에 부착되고, 배요넷(bayonet) 유형의 장착 수단은 몸체(2)와 단일판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예에서, 몸체(2)는 상술한 프랑스 특허 제 FR-A-2 730 532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고정 벽상에 나사에 의해 고정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이어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몸체는 차량의 고정 부분상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된다.
몸체는 몰딩가능한 재료로서, 예를 들면 알루미늄계로 제조된다.
이러한 예에서, 몸체(2)는 몰딩가능한 플라스틱 재료이고, 입구(5)는 몸체(2)와 함께 일체형으로 몰딩됨으로써 형성된다.
몸체(2)는 그것의 내부에 장착된 튜브 가이드(4)를 둘러싸고 있다. 따라서 몸체(2)는 내부 튜브로 구성된 튜브 가이드(4)에 대한 외측 몸체이다. 몸체(2)와 튜브는 대칭 축(X-X)을 갖으며 동심으로 장착된다.
튜브 가이드(4)는 몸체(2)보다 축방향으로 더 길고, 따라서 몸체(2)에 대해 축방향으로 돌출하며, 이러한 예에서 그것은 사전 로딩 스프링(48)의 배면 축방향 단부에 대해 어버트먼트 쇼울더(44)를 규정하도록 스텝 외측 직경을 갖고, 그것의 다른 단부(즉, 전방 단부)는 자유 전방 단부에서 피스톤(3)의 두께에 대해 증가하도록 구성된 대체로 가로질러 배향된 칼라부(210)의 배면을 지지한다.
칼라부의 전방면은 내부 링(12)에 대해, 특히 내주부에 형성된 링(12)의 내측 반경방향 플랜지에 대해 어버트먼트로서 작동한다. 축방향 작동 스프링(110)은 칼라부(210)와 접촉하는 내부 반경방향 플랜지를 고정한다. 이러한 스프링(110)은 피스톤의 전방에서 피스톤(3)의 쇼울더(참조부호로 도시하지 않음)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링(12)과 베어링(1)은 이러한 예에서 접시형 링인 스프링(110)의 제어하에서 칼라부(210)와 반경방향으로 접촉하여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 해제 베어링(1)은 자동 중심정렬 기능(self-centring capability)을 갖는다. 변형예에서, 베어링은 피스톤(3)상에 강제 결합(force-fitted)된다. 모든 경우에, 베어링(1)은 피스톤(3)에 축방향으로 부착된다.
사전 로딩 스프링(48)은 가장 작은 직경을 갖는 몸체(2)의 전방 단부(204)를 둘러싸고, 가장 큰 직경을 갖는 몸체(2)의 배면 단부(205)는 차량의 고정 벽에 그것을 고정하기 위한 이어를 갖는다. 입구(5)는 배면 단부(205)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보호 벨로우즈가 제공된다. 이러한 벨로우즈(14)는 고무와 같은 탄성중합체 재료이고, 그것은 사전 로딩 스프링(48)을 둘러싸고, 그 단부의 각각에서 비드를 갖는다. 벨로우즈(15)의 전방 단부와 사전 로딩 스프링(48)은 격막(100)상에 작은 힘을 가하고, 칼라부(210)의 외주부 양쪽 측면상에 배치되며, 칼라부(210)는 벨로우즈(15)상에 스프링(48)의 결합을 방지하고 벨로우즈의 전방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베어링(1)을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스프링(48)이 보유 구성요소를 통하여 벨로우즈(14)의 전방 단부상에 지지하기 때문에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킨다.
도 12의 내부 반경방향 플랜지가 서로에 대해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된 2개의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각기 칼라부(210)의 외주부의 전방면과 접촉하는 벨로우즈(15)의 전방 단부를 파지하고 또한 칼라부(210)의 전방면과 접촉하게 된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몰딩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관상 형태의 피스톤(3)은 이러한 예에서 금속인 튜브 가이드(4)의 외주부를 따라서, 특히 튜브 가이드(4)의 내측 튜브(407)를 따라서 축방향 슬라이딩 이동으로 안내된다.
피스톤(3)은 내주부에 슬리브(30)를 갖는다. 슬리브(30)는 피스톤(3)에 고정되고, 튜브(407)의 외주부를 갖는 내주부상에 밀접하게 접촉한다.
슬리브(30)의 재료는, 이러한 예에서 플라스틱 재료는 바람직한 슬라이딩 특성을 갖도록 선택된다.
피스톤(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유 전방 단부에서 작동 요소(11)를 지지한다.
그 배면 단부에서 피스톤(3)은 블라인드 캐비티(40)를 밀봉식으로 밀폐되는 다이나믹 밀봉부(31)를 지지하고, 따라서 가변 용적 챔버는 피스톤(3) 및 캐비티(40)에 의해 규정된다. 이러한 밀봉부(31)는 립을 갖고 플라스틱 재료의 결합 편(32)의 배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편(32)은 피스톤의 배면과 협동하기 위하여 구형 부분의 형태로 전방면을 갖고, 그것은 편(32)의 것에 대해 보상하는 구형 부분의 형태이다.
편(32)은 외주부에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상 플랜지(132)를 갖고, 이 플랜지(132)는 피스톤(3)의 배면 단부 위에 반경방향 유격으로 연장된다.
플랜지(132)는 피스톤(3)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3)를 축방향 유격으로 관통하는 직사각형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축방향 및 구름 이동은 밀봉부(31)의 보호를 제공하는 피스톤(3)과 결합 편(32)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서, 격막(100)의 핑거는 동일한 평면이 아니므로, 클러치 해제 베어링이 진동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로 인하여, 클러치 결합 위치에서, 피스톤(3)은 밀봉부(31)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편(32)이 고정된 밀봉부(31)와 피스톤(3) 사이에 변위를 촉진하게 된다. 변형예에서, 도 21은 구조가 역으로 된 것으로, 돌출부(133)는 피스톤내에 흠(233)내로 축방향 및 반경방향 유격으로 관통하도록 편(32)의 부분이 된다.
가이딩 내측 튜브(407)는 그 전방 단부에 서클립(circlip)(45)을 수용하기 위한 홈을 갖고, 서클립은 피스톤(3)의 축방향 어버트먼트를 구비하고 캐비티(40)로부터의 밀봉부(31)의 벗어남을 방지한다. 또한, 그것은 처리되거나 전달될 수 있는 조립체가 차량에 결합되기 전에 발생될 수 있고, 피스톤(3)은 사전 로딩 스프링(48)의 작동하에서 탈출할 수 없게 된다.
벨로우즈(14)는 오염물질에 의한 블라인드 캐비티(40)의 오염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제어 장치는 가격이 저렴하고 무게가 경량이다. 블라인드 캐비티(40)는 표준화될 수 있고, 몸체(2)는 다양한 차량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밀봉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블라인드 캐비티(40)가 가이드 튜브 또는 튜브 가이드(4)로 제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이드 튜브(4)는 전성이 있는 재료의 고형 또는 중공형 슬러그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펀치 및 다이에 대해 임팩트 인발(impact drawing)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다.
도 1에서, 이러한 인발 공정은 2개의 작동, 즉 간접적인 임팩트 인발의 제 1 작동(도 3a 및 도 3c)과, 깊은 인발 또는 직접적인 임팩트 인발의 제 2 작동(도 4a 내지 도 4c)으로 실시된다.
튜브(4)는 이러한 예에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고형의 슬러그(402)로 형성된다.
이러한 작동은 프레스(press)로 실시되고,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단부를 갖는 가동 펀치 및 고정 다이에 의해 냉각되어 실시된다.
제 1 작동시에, 원형의 슬러그(402)는 원통형 컵(403)으로 전환된다.
특히, 슬러그(402)는 중심이 중공형인 제 1 다이(401)이 배치되고(도 3a), 다이(401)의 리세스보다 작은 크기의 제 1 펀치(401)가 하측으로 피동되어 슬러그(402)를 변형함으로써 컵을 형성한다.
펀치(400)와 컵(403)은 상승하게 되고, 컵은 펀치(400)의 원통형 외주부와 다이(401)내의 블라인드 리세스(404)의 원통형 측방향 윤곽부 사이에 존재하는 환상 공간으로 인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 1 작동의 단부에서, 컵(403)은 외측 튜브(405) 및 튜브(405)보다 두꺼운 베이스부(406)를 포함한다. 컵(403)은 연속해서 선회된다.
제 2 작동시에, 선회되어 있는 컵은 2개의 동심의 관상 부분(501, 502)을 포함하는 고정된 제 2 다이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2개의 부분(501, 502)은 그들 사이에 외측 튜브(405)가 박혀 있는 환상 공간을 규정한다(도 4a).
공구(503)는 다이(501, 502)의 베이스에 위치하고, 다이(501, 502)의 내측 관상 부분(502)의 내측 보어(504)에서 보상의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중앙이 중공형으로 된다.
또한 제 2 펀치(500)는 다이(501, 502)상에 제공되고, 이러한 다이는 보어(504)내에 변위될 수 있다. 환상 유격은 펀치(500)의 외주부와 보어(504)의 형상부 사이에 정렬된다.
따라서 펀치는 강하시에 컵의 베이스부(406)와 접촉하게 되고, 그것은 베이스부(406)의 재료를 변위시킴으로써 내측 튜브(407)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디클러칭 장치의 축방향 대칭축(X-X)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환상 베이스부(401)를 통하여 외측 튜브(405)에 결합된다.
그 다음 펀치(500)가 상승된 후, 튜브 가이드(4)를 추출하기 위한 이젝터를 구비한 공구(503)가 상승되며, 튜브 가이드(4)는 내측 튜브(407)보다 축방향 길이가 짧은 외측 튜브(405)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튜브(407)를 포함하고, 환상 베이스부(41)는 튜브(405, 407)와 함께 결합한다.
베이스부(41)는 각각 원형부(408, 409)를 통하여 튜브(407, 405)에 결합된다.
이러한 원형부(408, 409)는 다이(501, 502)의 내측 부분(502)의 상측 단부의 형상으로 인하여 얻게 되고, 그들은 몸체(2)가 충분히 튜브 가이드(4)를 고정할 수 있다.
상측 단부에 다른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형상, 예를 들면 경사진 형상은 베이스부를 위하여 대체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달성될 것이다. 베이스부(406)의 재료의 흐름 및 재료의 변위를 일으키는 슬러그(402)의 변형은 슬러그(402)가 알루미늄일 때 용이하게 실시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내측 튜브(407)는 피스톤을 안내하고 튜브 가이드를 구성하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외측 튜브(405)는 피스톤(3)의 밀봉부(31) 및 편(32)을 안내한다. 임팩트 인발 방법으로 인하여 튜브(405, 407)의 면들은 매우 정밀하고 바람직한 기하학적인 품질이라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특히, 고도의 동축성은 반복되는 작동을 위한 어떤 필요도 없이 튜브(405, 407)내에서 얻게 된다.
따라서 블라인드 캐비티(40)는 금속이고 두께가 얇고 강한 형상을 갖는 튜브 가이드(4)에 의해서만 규정된다. 그 결과, 구멍(42)은 상측 튜브(405)내에 형성됨으로써 피스톤(3)을 수용하기 위한 덕트(43)와 캐비티(40) 사이에 연통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밀봉부(31)의 립은 각기 내측 튜브(407)의 외주부 및 더 짧은 외측 튜브(405)의 내주부와 협동한다. 밀봉부(31)는 하나의 재료만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균일하게 마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인발 작용으로 인하여, 튜브(405, 407)의 각각의 내주부와 외주부는 거칠지 않고 밀봉부(31)를 마모시키지 않는다.
밀봉부(31)와 결합 편(32)을 갖는 피스톤(3)은, 압력하에서 포트(42)를 통하여 이송되고 또 클러치가 결합될 때 베이스부(41)와 밀봉부(31)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캐비티(40)내에 밀봉부(31)로 인하여 밀봉식으로 변위된다(도 1).
튜브(405)내에 형성된 포트(42)는 블라인드 캐비티(40)내에 형성된 가변 용적 챔버의 최소의 예비 용적내로 개방되고, 몸체(2) 및 고정 가이드 튜브에 대해 축방향으로 가동하는 피스톤(3)에 의해 제한된다.
상술한 작용 후에, 물론 작용(도 5)은 길이에 대한 가이드 튜브(4)의 크기를 정하도록 실시되고, 이러한 튜브는 서로 평행하고 축(X-X)에 대해 동심을 이루는 튜브(405, 407)의 존재로 인하여 동심이 된다.
이것은 도 5에서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변위되는 공구(700, 701)에 의해 실시되고, 그들은 튜브(405)보다 긴 외측 튜브(405) 및 내측 튜브(407)의 각각의 길이에 대해 정돈한다. 공구(702)에 의해서, 홈은 피스톤(3)의 전방 단부에 대해 단부 스톱을 구비하는 서클립(45)을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라스틱 몸체(2)는 튜브 가이드(4)상에 몰딩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튜브(4)는 몸체(2)에 대해 튜브(4)의 소정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과 함께 몸체(2)에 대해 튜브(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외측 튜브(405)는 그 전방 단부에 노치(46)를 갖는다. 몸체(2)가 적소에 몰딩될 후에, 몸체(2)의 재료(47)(도 10 및 도 11)은 노치(46)내에 국부적으로 관통함으로써 몸체(2)에 대해 튜브(4)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한다.
몸체의 재료(147)는 베이스부(41)의 형태를 허용하고 외측 튜브(405)의 전방면과 접촉함으로써, 튜브(4)가 몸체(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은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된다.
외측 몸체(2)에 대한 회전에 대해 내측 튜브(4)의 상대적인 차단은 돌출 요소, 이러한 예에서 베이스부내에 있는 프레스 성형 요소(146)에 의해 달성된다(도 8 및 도 9).
적용된 몰딩 작용 후에(도 12 및 도 13), 몸체(2)의 재료(147)는 프레스 성형 요소(146)를 덮음으로써 회전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몸체(2)는 외측 튜브(405) 및 가이드 튜브(4)를 둘러싼다. 몸체(2)는 튜브(405, 407)에 대해 동심으로 장착되고, 샤프트(101)를 통과하는 베이스부를 갖고 베이스부(41)에 대해 어버트먼트의 역할을 한다. 노치(46)와 프레스 성형 요소(146)는 상술한 임팩트 인발 작용시에 용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제 1 펀치(400)는 노치(46)의 형상으로 동심으로 형성된 돌출 요소를 갖는다. 펀치(400)상의 돌출 요소의 위치는 적용, 특히 외측 튜브(405)의 길이에 따르게 된다. 도 3b에 있어서, 노치(46)는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다이 부분(502)을 사용하는 프레스 성형 요소(146)를 성형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 2 펀치(500)에 의해 이러한 예에서 원통형 피프(pips)의 형상인 요소(146)를 성형하기 위하여 부분(502)의 상측 단부에 돌출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치(46)와 프레스 성형 요소(146)는 제 1 펀치(400)를 제공함으로써 소망하는 형상을 갖을 수도 있고, 부분(502)은 적합한 형태로 돌출한다.
상기 도면에서, 튜브(405, 407)와 베이스부(41)는 동일한 두께를 갖지만, 이것은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펀치(500)의 외경을 조절함으로써, 외측 튜브(405)보다 두꺼운 내측 튜브(407)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다이(501, 502)의 부분(502)에 의해, 또한 컵(403)의 베이스부(406)의 두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도 20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튜브(405, 407)의 두께보다 두꺼운 베이스부(41)를 갖는 튜브 가이드(4)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펀치(400, 500)의 축방향 변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튜브(405, 407)의 축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임팩트 인발 작용은 다수의 가능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 튜브(405)는 그 전방 단부에 몸체(2)의 전방 면과 협동하기 위하여 분배된 형상이고 축(X-X)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연장된 반경방향 환상 플랜지(48)를 갖는다.
튜브(4)는 몸체(2)의 전방 단부(204)의 내주부로부터 돌출한 러그(207)에 의해 몸체(2)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러한 러그(207)는 외측 튜브(405)의 전방 단부내에 형성된 리세스(208)내로 관통한다. 따라서, 외측 튜브는 그것을 몸체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세스를 갖는다. 변형예에서, 이러한 리세스는 돌출 요소에 의해 대체된다.
튜브(4)는 몸체의 전방 단부(204)가 얇은 두께를 갖는다는 사실로 인하여 몸체(2)에 스냅 결합(snap-fitted)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4)는 러그(207)가 리세스(208)내로 떨어질 때까지 몸체내에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그 다음 튜브(4)는 튜브(405)의 플랜지(48)에 의해 또 튜브(4)의 베이스와 협동하는 몸체(2)의 베이스에 의해 차단된다. 장치는 도 21에 도시될 수 있으며, 몸체(2)의 전방 단부(204)는 축방향 슬롯내에 러그(207)를 갖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의 변형가능한 핑거를 갖는다.
도 1에 있어서, 입구(5)는 몸체(2)와 일체로 된다.
도 10 내지 도 15에 있어서, 입구(50)는 도면부호(52)에서 클립핑에 의해 몸체(2)상에 부착되고, 또는 변형예에서 접착제 접착에 의해, 마찰, 배요넷 장착(bayonet mounting), 나사 고정, 클립핑 또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또는 레이저 용접과 같이 열의 간접적인 적용에 의해 부착된다.
도 10, 도 12 및 도 15에서, 몸체(2)를 차량의 고정 부분에 고정하기 위하여 이어중 하나가 도면부호(58)로 도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단일의 밀봉부(51)는 입구(50)가 외측 튜브(405)와 접촉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입구(50)가 몸체(2)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입구(50)와 몸체(2) 사이의 제 1 밀봉부(56)와 몸체(2)와 외측 튜브(405) 사이의 제 2 밀봉부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제 1 밀봉부(56)는 예를 들면 O링 밀봉부로 구성된다.
도 14에 있어서, 제 2 밀봉부는 환상 블라인드 캐비티(40)의 이송 포트(42)의 양쪽 측면상에 배치된 2개의 O링 밀봉부(57)로 구성된다.
도 15에 있어서, 밀봉부는 포트의 영역에서 관통된 고무의 밴드로 구성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튜브(4)는 표준화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튜브(407)에 평행하게 연장된 외측 튜브(405)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 16에 있어서, 튜브는 도 8 및 도 9 또는 도 6 및 도 7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몸체(2)는 적용의 기능이 있고, 피스톤(3) 및 클러치 해제 베어링(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6에 있어서, 피스톤(3)은 칼라 편(1210)을 지지한다.
이러한 칼라 편은 사용된 몰딩 또는 스냅 결합에 의해 피스톤(3)의 전방 단부상에 부착된다.
칼라 편(1210)은 칼라 편(1210)이 축방향 작동 탄성 링(110)(본 발명의 경우에 접시형 링) 및 벨로우즈(15)의 전방 단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벤드를 갖는 시트 금속이다. 칼라 편(1210)은 사전 로딩 스프링의 전방 단부 및 벨로우즈(15)의 전방 단부에서 어버트먼트의 역할을 하고, 스프링(48)은 칼라 편(1210)의 횡방향 쇼울더의 양쪽 측면상에 배치되고, 그것은 스프링(48)의 전방 단부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48)의 배면 단부는 몸체(2)의 편(148)과 쇼울더(44) 사이에 벨로우즈의 배면 비드를 트랩핑(trapping)하기 위하여 중간 압력 편(148)에 대해 결합된다.
립 밀봉부(49)는 칼라 편(1210)의 관상 부분에 의해 또 피스톤(3)의 전방 단부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캐비티내에 박혀 있다. 밀봉부(49)는 특히 소정의 잉크 누출이 클러치의 마찰 라이너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단부 스톱은 도 1의 밀봉부(45) 대신에 스플릿 링(145)으로 구성된다.
밀봉부(31)는 결합 편(32)에 대해 사출 몰딩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편(32)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편(32)의 다른 측면상에 헤드를 갖는 스피곳(spigots)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32)의 외주부(132)와 피스톤(3)의 외주부 사이에 반경방향 유격이 있어 피스톤(3)이 편(32)에 대해 3차원으로 회전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칼라 편(1210)에 대해서는, 이러한 장치 모두를 설명하는 1997년 11월 12자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출원 제 FR 97/15834 호에서 참조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16의 결합 편(32)은 밀봉부(31)가 사출 몰딩 스피곳에 의해 편(32)에 고정되기 때문에 비교적 두꺼워진다.
결합 편(32)과 밀봉부(31)로 구성된 조립체의 축방향 크기를 감소하기 위하여, 공동 몰딩(co-moulding)으로 불리는 유형의 2개의 재료를 사용하는 사출 몰딩 작용에 의해 밀봉부(31)를 플라스틱 재료의 결합 편(32)에 결합하는 것이 제안된다(도 17).
도 17에 있어서, 밀봉부(31)와 결합 편(32) 사이의 결합 표면(232)은 편(32)의 배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편(32)의 두께는 립 밀봉부(31)의 스피곳이 편(32)을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그 내주부에서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피스톤 가이드 표면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제어 디클러치 장치의 축방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변형예에서, 벨로우즈(15)는 2개의 재료와 함께 공동 몰딩 또는 사출 몰딩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의 몸체(2)에 고정된다.
도 18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 표면(115)은 벨로우즈(15)의 배면 단부로 구성된 두꺼운 부분(215)의 내측면으로 구성된다. 부재(148)는 그것이 편평하기 때문에 도 16의 것과 대조할 때 단순화된다.
축방향 크기는 감소되고, 벨로우즈의 단부에서의 비드의 형성이 방지됨으로써, 벨로우즈의 결합이 단순화된다. 물론 배면 단부에 대해 단순한 방식으로 벨로우즈(15)의 전방 단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스프링(48)의 전방 단부가 압력 편상에 지지한다.
도 19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3)의 슬리브(30)상에 2개의 재료를 공동 몰딩에 의해 또는 사출 몰딩에 의해 립 밀봉부(49)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라스틱 재료의 슬리브(30)는 피스톤에 고정된다. 따라서, 립 밀봉부(49)가 단순화되고, 보다 적은 재료를 사용하고 축방향으로 더 작아지기 때문에 가격이 더 저렴해진다. 이것은 축방향 크기가 감소되고 및/또는 피스톤이 안내되는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물론 피스톤은 플라스틱 슬리브(30)에 대해 축방향 이동을 위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30)는 그 배면 단부에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상 판 요소(234)(도 20)를 갖는다.
이러한 판 요소(234)의 배면 표면(235)에서는 밀봉부(31)가 2개의 재료의 사출 몰딩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예에서 고무와 같은 탄성중합체인 탄성 재료(231)의 블록은 판 요소(234)의 전방면(236)상에 또한 피스톤(3)의 배면(233)상에 트윈 재료(twin-material) 사출 성형에 의해 고정되고, 그것은 클러치가 격막(100)의 회전에 대한 영향하에서 결합될 때 슬리브(30) 및 밀봉부(31)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그 핑거는 동일 평면에서 모두는 아니므로, 작동 요소(11), 해제 베어링(1) 및 피스톤(3)은 축방향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방향 진동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그 다음 블록(231)은 진동을 감쇠시킨다.
이러한 장치는 도 1 또는 도 19의 결합 편(32)을 생략할 수 있고, 보다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한 판 요소에 의해 후자의 대체를 허용한다. 밀봉부(31)에 대한 진동의 전달이 보다 제한적으로 된다.
도 2에 있어서, 입구(5)상에 장착된 플라스틱 재료의 쇼울더형 튜브(12)상에 2개의 재료를 사출 몰딩함으로써 밀봉부(51)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입구는 내측 직경에서 스텝화되어 쇼울더(10) 및 상기 쇼울더(10)가 있는 튜브(12)의 큰 직경의 헤드(9)를 형성한다.
튜브(12)는 튜브(12)내에 더 작은 직경의 축방향 홈내에 결합되는 축방향 돌출부 또는 키를 갖는다. 따라서, 회전 스톱 수단(8)은 밀봉부(51)에 고정된 튜브(12)와 입구(5) 사이에 정렬된다.
튜브(12)는 파이프(111)로 연장되고, 덕트(43)는 파이프(111) 및 튜브(12)의 내측 보어내에 형성된다.
O링 밀봉부(13)는 파이프(111)의 단부와 튜브(12)의 헤드(10) 사이에 제공되고, 그것은 파이프의 외주부내에 형성된 홈에 또한 홈과 향하는 관계에 있는 입구(5)의 내주부내에 형성된 2개의 통로에 결합되는 탄성 스프링 클립(16)에 의해 적소에 고정된다.
상기(도 17 내지 도 20)에 있어서, 밀봉부(51, 31, 49), 벨로우즈(15) 또는 블록(231)는 탄성 재료(본 발명의 경우에 고무와 같은 탄성 중합체임)이고, 그것은 밀봉부, 벨로우즈 또는 블록이 고정되는 구성요소(12, 32, 30, 2, 148, 3)의 플라스틱 재료와 호환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20에 있어서, 슬리브(30)의 플라스틱 재료는 밀봉부(31, 49) 및 블록(231)과 호환되는 한편, 피스톤(3)의 플라스틱 재료는 댐퍼로서 작동하는 블록(231)의 것과 호환되어야 한다.
2개의 재료를 갖는 사출 몰딩 공정은, 예를 들면 2개의 단계에서 고온 몰딩에 의해 실시된다.
제 1 단계에서, 관련된 구성요소의 플라스틱 재료는 몰딩으로 사출되고, 그 다음 냉각되며, 관련된 탄성 구성요소의 탄성중합체는 동일한 몰드내로, 특히 플라스틱 재료상에 탄성 재료의 접착제를 갖는 결합 표면의 영역내에서 사출된다.
예를 들면, 도 17에 있어서, 결합 편(32)의 재료는 몰드로 사출된 후, 편(32)이 냉각되기 전에, 밀봉부(31)의 단성중합체는 결합 표면(232)와 접촉하는 몰드내로 사출된다.
유압식 디클러칭 장치를 위해 2개의 재료를 사용하는 사출 몰딩의 이점은, 특히 구성요소의 단순화 및 축방향 크기의 감소이고, 피스톤이 안내되는 길이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탄성 재료의 구성요소(12, 30, 32, 3, 149, 2)상에 플라스틱 재료의 구성요소(51, 49, 31, 231, 15)의 탄성중합체의 접착을 제공하기 위하여 임의의 추가의 첨가제가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한 점착이 달성된다. 파열의 위험이 감소된다.
또한, 제어 유체에 대한 개선된 혼환성이 달성된다.
예를 들면, 통상의 접착제는 아교(glue)이다.
아교는 2개의 재료에서 사출 몰딩의 사용으로 인하여 생략되고, 이것은 크기를 감소시킨다.
또한, 아교의 두께를 조절할 필요가 없는데, 그것은 결합을 위해 중요하며, 너무 두꺼운 두께의 아교는 조인트의 파손을 초래한다. 탄성 재료, 탄성중합체는 밀봉제(sealant)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밀봉부(31)와 재료(231)는 밀봉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변형예에서 몰드내에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하는 것 대신, 플라스틱 재료는 몰드내에 이미 사출될 때에 배치되고, 그 다음 관련된 탄성 재료의 탄성중합체는 플라스틱 재료가 냉각되기 전에 몰드로 사출된다. 변형예에서, 몰드내에 관련된 플라스틱 구성요소의 탄성중합체를 산출하는 것 대신에, 탄성중합체의 슬랩(slab)은 플라스틱 구성요소 위로 관련된 구성요소의 몰딩내에 배치됨으로써, 슬랩이 몰딩내에서 가압에 의해 가황된다.
트윈 재료 사출 몰딩을 사용하는 것 대신에, 접착제 부착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 내지 도 17 및 도 19 및 도 20에서 실시예는 캐비티(40)의 임의의 유형,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A-2 730 532 호에 설명되어 있는 것에 적용가능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팩트 인발에 의해 달성되는 캐비티(40)의 의해, 매우 바람직한 결과가 달성되고, 도 19 및 도 20의 피스톤(3)은, 특히 튜브(405, 407)가 동축으로 되는 것이 정확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상태하에서 변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클러칭 장치는 몸체(2)가 바람직하게는 프라스틱 재료이기 때문에 무게가 경량이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또한, 캐비티(40)는 클러치 결합 및 디클러칭 작동시에 발생되는 압력에 대한 변화가 거의 감지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임팩트 인발 공정은 중공형 다이내에 통공하는 고형의 펀치(400, 500)에 의해 2개의 작용으로 실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2a 내지 도 22c에서, 슬러그(1402)는 중앙에 구멍을 갖는 한편, 펀치(1400)는 중앙에서 중공형이고, T자형 단면을 갖는 중앙 원통형 부분(1500)을 구비한 다이(1401)내로 관통한다. 원통형 부분은 펀치(1400)내로 통공하게 된다. 따라서 다이는 내측 보어(1404)를 갖는 동심의 외측부(1501) 및 외측부(1501)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부(1500)를 구비한다. 슬러그(1402)내의 중앙 구멍은 중앙부의 직경에 따른다. 따라서, 슬러그(1402)는 그것이 중앙부(1500)의 베이스상에 결합될 때까지 중심부(1500)의 실린더상에 결합된다. 그 다음 슬러그는 원통형 외측부(1501)와 중앙부 사이에 개재된다. 펀치(1400)는 하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슬러그(1402)를 변형시키고 또 펀치로부터 임팩트하에서 다른 방법으로 다이를 따라서 재료를 인발함으로써 캐비티(40)를 형성한다(도 22b). 그 다음 튜브(1400)는 가이드 튜브(4)와 함께 상승된다(도 22c).
이러한 툴링(tooling)을 사용하며, 임팩트 인발이 선회되는 가이드 튜브 없이 단일의 작동이 실시된다. 그 다음 외측 튜브(405)는 절단됨으로써 그것을 소망하는 길이로 제공한다. 펀치(1400)의 크기, 특히 내측 보어의 직경에 대해 조절함으로써, 외측 튜브보다 더 두꺼운 내측 튜브(407) 또는 그 역도 달성될 수 있다. 중앙부(1500)의 베이스의 형상은 베이스부(41)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두 원추형 베이스로 인하여, 경사진 베이스부(41)가 달성된다.
전술한 도면에서, 외측 몸체는 가이드 튜브와는 별개로 되나, 도 24에서 가이드 튜브(4)는 외측 몸체와 일체형으로 되고, 차량의 고정 부분에 그것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단(158)을 구비한다. 이러한 수단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칼라부로 구성된다. 칼라부(158)는 베이스부(4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베이스부보다 두꺼우며, 그것은 외측 튜브(405) 및 내측 튜브(407)보다 더 두껍다.
칼라부(158)는 그것을 차량의 고정 부분에 고정하기 위하여 부재의 그것들을 통하는 경로를 위한 축방향 구멍(159)을 갖고, 차량의 고정 부분은 예를 들면 기어박스의 케이싱(2000)이다(도 24).
일반적으로 고정 부재는 나사의 형태이고, 구멍(159)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칼라부(158)는 튜브(4)를 케이싱(2000)상에 직접 고정할 수 있다.
칼라부(158)는 그것을 고정하기 위하여 캐비티(40)의 베이스내에 개방된 반경방향 구멍(143)을 갖는다. 이러한 구멍(143)은 도 1의 덕트(43)와 대체됨으로써 밀봉부(51)가 도면에서 생략된다.
단부 편은 도 1의 파이프(111)를 장착하기 위하여 칼라부상에 결합될 수 있다. 구멍(143)은 파이프의 나사 고정을 위하여 나사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멍은 경사질 수도 있다. 그것은 적용에 따른다. 칼라부는 펀치(1400)를 둘러싸는 중공형 제 2 펀치(1600)에 의해 도 23a 내지 도 23c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달성될 수 있고, 펀치(1400)는 중앙부(1500)를 둘러싸도록 정렬되며, 외측 부분의 내부 보어(404)는 제 2 펀치(1600)의 외주부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법은 도 22a 및 도 22b에서와 같이 연속되고, 2개의 펀치(1400, 1600)는 슬러그(1402)의 재료를 변형시키고, 그것은 2개의 펀치(1400, 1600) 사이에 유동함으로써 외측 튜브(405)를 형성한다.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는 중앙부(1500)와 제 1 펀치(1400) 사이로 유동함으로써 내측 튜브(1405)를 형성한다. 작동의 끝에서, 2개의 펀치가 상승하게 된다. 모든 경우에, 제 1 펀치(1400)의 내부 보어는 중앙부(1500)의 외측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도 22a 및 도 22b에 있어서, 재료는 펀치(1400)와 외측 부분 사이로 유동함으로써 외측 튜브를 형성한다.
도 22a 내지 도 23c에 있어서, 외측 튜브(405)와 내측 튜브는 동일한 길이이고, 따라서 도 5에 소망하는 길이로 외측 튜브(405)를 절단하기 위하여 반복 작동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펀치(1600)의 단부는 칼라부(158)의 두께를 변경하기 위하여 노치될 수 있다.
중앙부(1500)의 베이스는 돌출부를 제공함으로써 칼라부는 기어박스의 형상부에 적합할 수 있도록 가변 두께를 갖을 수 있다.
물론, 칼라부(158)상에 외측 몸체를 몰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외측 몸체는 외측 튜브(405)의 형태를 대체로 허용하지 않는다.
칼라부(158)는 반복 작동을 받을 수도 있고, 슬롯에 의해 분리되는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프랑스 특허 제 FR-A-2 753 505 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단일판상에 칼라부를 결합하기 위한 배요넷 형상의 장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Claims (20)

  1. 디클러칭 장치(100)를 갖는 클러치, 특히 차량용 기계식 클러치용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로서, 상기 디클러칭 장치를 고정 부분상에 고정하기 위한 몸체(2)와, 상기 몸체(2)에 고정되고 그것을 통과하도록 샤프트(101)에 대해 정렬된 금속 가이드 튜브(4)와, 상기 몸체(2) 및 제어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가이드 튜브(4)로 구성된 조립체내에 형성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상 블라인드 캐비티(40)와, 먼저 가변 용적 제어 챔버를 규정하도록 상기 블라인드 캐비티(40)내에 관통되고, 그 다음 상기 가이드 튜브(4)를 따라 축방향 미끄럼 이동을 위해 장착되는 피스톤(3)과, 및 상기 클러치의 디클러칭 장치(100)상에 작동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3)에 의해 지지되는 작동 요소(11)를 포함하고, 상기 블라인드 캐비티(40)는 상기 가이드 튜브(4)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3)을 안내하기 위하여 내측 튜브(407)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튜브는 동심의 외측 튜브(405)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내측 튜브(407) 및 상기 외측 튜브(405)와 함께 결합하는 베이스부(41)를 함께 갖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튜브(4)는 금속 슬러그(402, 1402)로부터 임팩트 인발(impact drawing)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그(402, 1402)는 알루미늄계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405)는 베이스부(41)에 근접하여 유체 이송 포트(4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41)는 횡방향으로 배향되고, 각각의 원형 부분(408, 409)에 의해 상기 내측 튜브(407) 및 상기 외측 튜브(405)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41)는 상기 내측 튜브(407) 및 상기 외측 튜브(405)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몸체는 상기 가이드 튜브(4)와 일체형이고, 상기 가이드 튜브는 그것을 상기 고정 부분에 고정하기 위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몸체는 분리되고 상기 가이드 튜브의 베이스부(41)의 형상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몸체(6)는 상기 가이드 튜브(4)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외측 튜브(405)의 형상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몸체(6)는 상기 가이드 튜브상에 몰딩(moulding)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몸체(6)는 상기 가이드 튜브(4)상에 스냅 결합(snap-fitt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튜브(4)는 상기 몸체(2)에 대해 상기 가이드 튜브(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2)와 협동하는 리세스 또는 돌출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프레스 성형 요소(146)로 구성된 상기 돌출 요소는 상기 가이드 튜브(4)의 상기 베이스부(41)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외측 튜브(405)내에 형성된 노치(notches)(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14. 제 1 항에 따른 가이드 튜브(4)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형의 금속 슬러그(402)와 함께 시작하는 단계로서, 상기 고형의 금속 슬러그는 제 1 다이(401)내에서 리세스(404)내에 배치되는 상기 단계와, 제 1 펀치(400)에 의해서 상기 슬러그(402)는 외측 튜브(405)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원통형 컵(403)을 성형하기 위하여 변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컵(403)을 성형한 후에, 상기 펀치(400)가 상승되고, 상기 컵은 중앙이 중공형이고 상기 컵(403)의 외측 튜브(405)를 수용하기 위하여 환상 공간을 규정하는 제 2 다이(501, 502)가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제 2 펀치(500)의 의해서 상기 컵(403)의 베이스부는 프레스 성형되고, 상기 펀치는 외측 튜브(407)를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의 내부를 관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펀치(500)가 상승되고, 상기 가이드 튜브(4)는 상기 제 2 다이(501, 502)의 중앙 보어내로 관통하는 이젝터에 의해 분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
  18. 제 1 항에 따른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앙 구멍을 갖는 슬러그(1402)와 함께 시작하는 단계로서, 상기 슬러그는 다이의 외측부(1501)의 리세스(1404)내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는 상기 슬러그(1402)가 결합되는 중앙 부분(1500)을 갖는 상기 단계와, 중공형 펀치(1400)에 의해서 상기 중앙 부분(15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내측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슬러그(1402)는 상기 가이드 튜브(4)를 성형하도록 변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튜브94)의 성형 후에, 상기 펀치(1400)이 상승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 2 펀치(1600)에 의해서 상기 다이의 외측 부분(1501)의 외측부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제 1 펀치(1400)를 둘러싸며, 상기 슬러그는 상기 가이드 튜브(4)상에 칼라부를 성형하도록 국부적으로 변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
KR1020007001616A 1998-06-19 1999-06-21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및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 KR100582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7970 1998-06-19
FR9807970A FR2780121B1 (fr) 1998-06-19 1998-06-19 Dispositif de debrayage a commande hydraulique dotee d'un tube de guidage et procede d'obtention d'un tel tube
PCT/FR1999/001483 WO1999066226A1 (fr) 1998-06-19 1999-06-21 Dispositif de debrayage a commande hydraulique dotee d'un tube de guidage et procede d'obtention d'un tel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008A true KR20010023008A (ko) 2001-03-26
KR100582315B1 KR100582315B1 (ko) 2006-05-23

Family

ID=952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616A KR100582315B1 (ko) 1998-06-19 1999-06-21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및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25194B1 (ko)
EP (1) EP1003981B1 (ko)
JP (1) JP2002518645A (ko)
KR (1) KR100582315B1 (ko)
DE (1) DE19981349B4 (ko)
ES (1) ES2229791T3 (ko)
FR (1) FR2780121B1 (ko)
WO (1) WO19990662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611A (ko) * 2016-07-06 2018-01-16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유압 제어 시스템용 리시버 유압 실린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9140B1 (fr) * 1999-01-29 2001-03-02 Valeo Dispositif de debrayage a commande hydraulique
DE10039242A1 (de) * 1999-08-24 2001-03-08 Luk Lamellen & Kupplungsbau Ausrücksystem
FR2803346B1 (fr) * 1999-12-30 2002-04-26 Valeo Embrayage doubl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0466066B1 (ko) 2000-04-25 2005-01-13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열간 확장 성형용 금속 빌렛
DE10021175A1 (de) * 2000-04-29 2001-08-23 Daimler Chrysler Ag Zentralausrücker aus Blech
JP4734758B2 (ja) * 2001-05-21 2011-07-2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油圧式クラッチ遮断装置
FR2830305B1 (fr) 2001-09-28 2003-11-28 Valeo Ensemble de transmission pour vehicule automobile muni d'un embrayage commande par une butee
JP4295468B2 (ja) * 2001-12-21 2009-07-15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FR2842266B1 (fr) * 2002-06-28 2006-01-20 Renault Sa Dispositif de commande hydraulique d'embrayage
DE10307864A1 (de) * 2003-02-25 2004-09-02 Zf Sachs Ag Betätig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Fahrzeugkupplung
GB2410778A (en) * 2004-02-04 2005-08-10 Automotive Prod France Annular clutch actuator with deep drawn single piece cylinder
FR2912193B1 (fr) * 2007-02-07 2009-10-16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e debrayage a commande hydraulique
DE102010010137B4 (de) 2009-03-23 2019-08-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ehmerzylinder
EP2554868B2 (de) * 2011-08-05 2024-01-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usrücksystem
JP6113162B2 (ja) * 2011-08-05 2017-04-12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ー・ゲ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レリーズシステム
DE112013004714B4 (de) * 2012-09-26 2019-10-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ehmerzylinder eines Ausrücksystems für Kupplungs- oder Bremssysteme
DE102013221840A1 (de) * 2012-11-22 2014-05-2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Nehmerzylinder
FR3012191B1 (fr) * 2013-10-23 2017-01-06 Valeo Embrayages Butee d'embrayage a commande hydraulique
US9360052B2 (en) 2014-02-04 2016-06-07 Innovation First, Inc. Shaft collar
US10731713B1 (en) * 2019-01-18 2020-08-04 Bettcher Industries, Inc. Power operated trimming tool with clutch drive
DE102020108189B4 (de) * 2020-03-25 2022-08-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Zentralausrückeranordnung
DE102020111380B3 (de) * 2020-04-27 2021-10-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Zentralausrücker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72694A (en) * 1926-01-09 1928-06-05 Colona Mfg Company Method of making thread protectors
US3029507A (en) * 1957-11-20 1962-04-17 Coors Porcelain Co One piece thin walled metal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395811A (en) * 1980-05-09 1983-08-02 Frye Richard D Hose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applying same
DE8221436U1 (de) * 1982-07-28 1982-10-21 Skf Kugellagerfabriken Gmbh, 8720 Schweinfurt Hydraulisch betaetigte ausrueckeinheit, insbesondere fuer fahrzeugkupplungen
JPS5926629A (ja) * 1982-08-06 1984-02-10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ロ−タの成形方法
JPS63158330A (ja) * 1986-08-06 1988-07-01 Koyo Seiko Co Ltd 油圧式クラツチレリ−ズ装置
US4938332A (en) * 1988-08-30 1990-07-03 Federal-Mogul Corporation Hydraulically actuated clutch release mechanism
DE3936106A1 (de) * 1989-10-30 1991-05-02 Taisei Kako Co Aluminiumrohr-herstellungsvorrichtung
FR2697879B1 (fr) * 1992-11-10 1994-12-23 Automotive Prod France Cylindre asservi d'embrayage hydraulique dont le piston comporte une partie extensible télescopiquement.
DE4412928A1 (de) * 1994-04-15 1995-10-19 Schaeffler Waelzlager Kg Hydraulisch betätigbare Vorrichtung zum Ausrücken einer Schalttrennkupplung eines Kraftfahrzeugs
DE4434594A1 (de) * 1994-09-28 1996-04-04 Schaeffler Waelzlager Kg Kupplungsausrücksystem
FR2730532B1 (fr) * 1995-02-09 1997-04-04 Valeo Butee de debrayage a commande hydraulique pour embrayage a diaphragm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manchon de guidage
DE19523011A1 (de) * 1995-06-24 1997-01-02 Schaeffler Waelzlager Kg Hydraulische Ausrückvorricht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FR2745616B1 (fr) * 1996-02-29 1998-04-10 Valeo Dispositif de maintie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29608918U1 (de) * 1996-05-17 1996-08-14 Schaeffler Waelzlager Kg Führungshülse eines Nehmerzylinders, deren Ringflansch außenseitig durch eine Verstemmung am Druckgehäuse befestigt ist
US5944157A (en) 1996-09-17 1999-08-31 Valeo Friction clutch,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including a wear compensating device
FR2772443B1 (fr) 1997-12-11 2001-09-28 Valeo Recepteur hydraulique de command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5761949A (en) * 1997-02-19 1998-06-09 Trans-Matic Manufacturing Company Deep-drawn stamping process including side pierc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611A (ko) * 2016-07-06 2018-01-16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유압 제어 시스템용 리시버 유압 실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25194B1 (en) 2001-12-04
EP1003981B1 (fr) 2004-09-29
WO1999066226A1 (fr) 1999-12-23
KR100582315B1 (ko) 2006-05-23
JP2002518645A (ja) 2002-06-25
ES2229791T3 (es) 2005-04-16
FR2780121A1 (fr) 1999-12-24
DE19981349T1 (de) 2000-10-12
DE19981349B4 (de) 2011-09-29
FR2780121B1 (fr) 2000-08-18
EP1003981A1 (fr) 200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315B1 (ko) 유압식 제어 디클러칭 장치 및 가이드 튜브의 제조 방법
KR100389753B1 (ko) 유압제어식클러치해제베어링
US6659252B2 (en) Clutch actuating apparatus
US5735188A (en) External slave cylinder for hydraulic clutch release system
US6422370B1 (en) Hydraulically controlled clutch release device
JPH09511821A (ja) ガイドスリーブを有する、特に自動車用のダイヤフラム式クラッチのための流体制御式クラッチ解除ベアリング
EP0612380B1 (en) A clutch release apparatus
CA2503062A1 (en) Apply piston seal for a clutch
US4941323A (en) Hydraulic cylinder provided with a seal-less piston
US5163720A (en) Pipe joint
KR100927502B1 (ko) 밀봉장치
US7647864B2 (en) Piston for hydraulic clutch
JP2008128392A (ja) キャンセルプレート
EP1816367A1 (en) Clutch piston
US6354188B1 (en) Hydraulic actuator, in particular for engaging, a tube guide integral with an external body
KR100470621B1 (ko) 클러치용유압식제어리시버
KR100505304B1 (ko) 클러치제어용유압리시버
JP2005265073A (ja) ピストン装置
JP2005172094A (ja) 密封装置
US3970177A (en) Hydraulic release mechanism for clutches
AU653297B2 (en) Brake booster
JP2009058053A (ja) 自動変速機用ピストン
KR100320103B1 (ko)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실링장치
JP5057058B2 (ja) 自動変速機用ピストン
KR100466658B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부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