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304B1 - 클러치제어용유압리시버 - Google Patents

클러치제어용유압리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304B1
KR100505304B1 KR10-1998-0706568A KR19980706568A KR100505304B1 KR 100505304 B1 KR100505304 B1 KR 100505304B1 KR 19980706568 A KR19980706568 A KR 19980706568A KR 100505304 B1 KR100505304 B1 KR 100505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inner flange
outer body
flang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174A (ko
Inventor
카를로 로페즈
실뱅 토미르
프레데릭 레이
Original Assignee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616028A external-priority patent/FR2757460B1/fr
Priority claimed from FR9715834A external-priority patent/FR2772443B1/fr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filed Critical 발레오
Publication of KR1999008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3Actu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7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the clutch being actuated by the fluid-actuated member via a diaphragm spring or an equivalent array of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시버(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리시버(1)는 내측 플랜지(15)를 갖는 고정부(4)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플랜지는 상기 외부 몸체에 조립된 가이드 부싱(58)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리시버 캐비티(7)의 기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적용가능하다.

Description

클러치 제어용 유압 리시버{HYDRAULIC CONTROL RECEIVER WITH CLOSING PLATE}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의 클러치 제어용 유압 제어 리시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체가 공급되기에 적합한 막힌 환상 캐비티를 규정하는 내측 가이드 튜브와 동심의 외부 몸체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클러치의 클러치 해제 장치에 작용하기에 적합한 구동 요소를 갖는 피스톤이 상기 캐비티내에 장착된, 유압 제어 리시버에 관한 것이다.
유압 수용 실린더로도 지칭되는 리시버는 유럽 특허공보 제 EP-B-0 168 932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유럽 특허공보에는 내측 가이드 튜브가 금속이며 외부 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튜브는 그 후단부에, 사용시 외부 몸체 및 외부 몸체가 고정되는 고정 구조체상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대향 표면 사이에 트랩되는 횡단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특허공보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을 상기 몸체에 클램핑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정적인 밀봉 조인트가 상기 판과 외부 몸체의 등면(dorsal face)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사용시, 피스톤에 의해 가변 체적 제어 챔버의 경계가 정해지는 캐비티내의 압력이 변한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 상기 판을 고정 구조체와 외부 몸체 사이에 파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것이 고정 구조체상에 특정 표면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예컨대 알루미늄계의 주조성 재료로 제조된 금속 외부 몸체상으로의 판의 크림핑(crimping)에 의해 고정만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때, 사용시 캐비티내에 발생하는 압력 변화의 영향에 의해 이러한 고정의 강도의 문제가 제기되는데, 가이드 튜브 판이 캐비티의 기부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컨대 판의 외주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림에 의해 판의 내주부에 강성을 부여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가이드 튜브의 가격을 증가시킨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상기 결점을 경감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 튜브를 외부 몸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 튜브의 가격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튜브를 외부 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외부 몸체와 가이드 튜브 사이에 연결 수단이 작용하는 상술된 유형의 리시버에 있어서, 막힌 캐비티의 기부가 가이드 튜브의 축방향 대칭축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외부 몸체상의 내측 플랜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시 클러치의 분리 및 결합 작동중에 압력 변화를 겪는 것은 가이드 튜브상의 반경방향 판이 아니라 외부 몸체상의 내측 플랜지이다.
이러한 내측 플랜지는 보다 강하므로 연결 수단이 보존된다. 외부 몸체에 대한 가이드 튜브의 고정은 보다 강하고, 보다 신뢰성 있으며, 보다 내구적이다.
또한, 압력 변화를 겪는 것이 외부 몸체이기 때문에 가이드 튜브는 보존된다. 가이드 튜브는 응력을 덜 받으므로, 피스톤이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미끄럼운동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수단은 내측 플랜지와 가이드 튜브 사이에서 작용한다.
따라서, 내측 플랜지에 고정되는 가이드 튜브는, 외부 몸체로의 고정이 가이드 튜브의 축방향 대칭축에 보다 근접한 곳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재료가 보다 적게 소모된다. 또한 외부 몸체와 가이드 튜브 사이에 작용하는 정적인 밀봉 조인트가 보존되는데, 이는 압력 변화를 겪게되는 것이 내측 플랜지 및 고형의 외부 몸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인트는 종래의 것보다 작은 크기를 갖기 때문에 보다 경제적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튜브의 액체 밀봉성(fluidtightness) 및 고정은 내측 플랜지의 내주부와 가이드 튜브의 외주부 사이에서 달성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가이드 튜브가 횡단판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순수한 관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소비된 재료 및 제조 작업을 절감한다. 가이드 튜브는 저장 및 취급이 보다 용이하다. 정적인 밀봉 조인트는 가능한 최소의 크기를 가지며 보다 양호한 밀봉을 위하여 축방향으로의 타원형으로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인트는 내측 플랜지가 그 내주부에 갖는 밀봉 그루브내에 장착된다. 물론, 이 구조는 반대로 되어 프레싱에 의해 그루브가 금속 튜브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 수단은 내측 플랜지의 연결 그루브내의 가이드 튜브 재료의 국부적 업세팅 또는 크리핑(upsetting or creep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그루브는 내측 플랜지의 축방향 배향 내주부에 또는 내측 플랜지의 캐비티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횡단면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이 견고하고 신뢰성이 있으며, 내측 플랜지는 가이드 튜브보다 두껍다.
연결 그루브는 밀봉 그루브와 통합될 수 있으며, 조인트는 바람직하게 가이드 튜브를 향해 바깥쪽으로 벌어진 그루브의 바닥과 가이드 튜브의 국부적 업세팅 요소 사이에 개재된다. 이것은 외부 몸체의 기계가공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변형예로서, 연결 그루브는 밀봉 그루브와 별개이며 주름진 형태의 개방링을 반경방향으로 수용하도록 반경방향의 타원형을 갖는다. 상기 링은 수축가능하고 반경방향으로 변형가능하다.
가이드 튜브는 주름진 링의 부분적 수용을 위해 연결 그루브에 대향된 그루브를 갖는다. 가이드 튜브는 스냅핑에 의해 외부 몸체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이드 튜브는 대칭형으로 될 수 있으며, 그 타단부에 가이드 튜브에 대해 피스톤의 축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서클립(circlip) 또는 스프링 링을 수용하기 위한 동일한 그루브를 갖는다.
상기 두개의 그루브는 가이드 튜브의 축방향 대칭축의 방향으로 요소를 반경방향으로 업세팅함으로써 생성된다. 연결이 내측 플랜지의 횡단면에서 실행되는 경우, 가이드 튜브는 서클립 또는 너트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상기에서, 외부 몸체의 재료는 크림핑 작업을 겪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몸체는 보존될 수 있고 따라서 성형성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성형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플랜지는 예컨대 금속 삽입체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고정 구조체는 가이드 튜브에 대한 베어링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계가공될 필요가 없음이 인식될 것이다.
외부 몸체는 내측 플랜지의 후방에 외부 몸체와 가이드 튜브를 관통하는 기어박스의 입력축과 같은 회전축 사이에서 작용하는 회전 조인트용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하우징은 회전 조인트를 둘러쌀 수 있다.
내측 플랜지는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이드 튜브가 보존되기 때문에, 피스톤이 직접 가이드 튜브상에서 미끄럼운동할 수 있으며, 그 전방 단부에 프레싱에 의해 얻어진 금속 베어링편(bearing piece)을 구비할 수 있다.
피스톤은 섬유 보강 성형성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우수한 슬립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편은, 자동조심(self-centring) 와셔로 지칭되며, 베어링편의 지지부와 접촉하는 볼 베어링 레이스웨이(raceway)중 하나에 내측 반경방향 플랜지를 가압하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와셔용 지지체로서 작용한다. 베어링 편은 또한 밀봉 벨로우즈의 단부와 벨로우즈에 둘러싸인 예압 스프링(preloading spring)을 지지한다.
볼 베어링은 클러치 해제 장치와 협동하도록 의도되며 액체 밀봉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해제 장치는, 클러치 결합 수단과 별개로 클러치 또는 클러치 레버들을 결합시키는 수단을 형성하는 다이어프램 핑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때 커버와 클러치 해제 스러스트(thrust) 판 사이에서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 또는 접시 와셔(Belleville washer)로 구성된다. 이러한 클러치 메카니즘은 적어도, 클러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클러치 마찰 부재의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는 마모 보호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외부 몸체는 입력축이 관통하는 트랜스미션 박스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트랜스미션 박스의 케이싱에 부착된 대형 덮개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덮개판은 유압 클러치 제어의 동심 리시버의 외부 몸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내부 중공 돌출부를 구비한다.
돌출부는 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내측에 본 발명에 따른 내측 플랜지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수단은 그 뒤 정적인 조인트에 대해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튜브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지향되며 횡단 플랜지의 후면과 접촉상태로 클램프된 횡단판을 구비한다.
기타 장점이 첨부된 도면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반경방향 플랜지를 갖는 덮개판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리시버의 피스톤에 대한 클러치 해제 베어링의 비회전 링의 결합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가이드 튜브의 클램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리시버의 축방향 단면도,
도 7은 연결 그루브를 나타내는 도 6의 부분도,
도 8은 리시버의 후측 및 가이드 튜브를 동심 리시버의 외부 몸체에 연결시키는 다른 수단을 나타내는 리시버의 축방향 부분 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8과 유사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10-1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 내지 1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8과 유사한 도면.
도면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공통적인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면은, 공지된 형태의, 센더(sender)를 포함하는 유압 클러치 제어의 동심 리시버(1)가 도시되어 있는데, 센더의 출력이 파이프(2)를 통해 가변 체적 챔버를 구비한 리시버(1)의 공급 입력부(3)에 연결된다.
센더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되며 고정부(4, 5)내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톤(6)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이기 때문에, 센더는 클러치 페달을 통해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센더는 예컨대 공급 단자중 하나가 소정 프로그램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컴퓨터에 연결된 전기 모터에 의해 도움을 받는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엔진의 출력축은 탄성 조력 수단을 갖는 기계적 트랜스미션의 입력 요소를 형성하며, 상기 트랜스미션은 예컨대 센더의 피스톤에 대해 작용하는 푸셔의 형태인 출력 요소를 포함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피스톤은 센더의 고정체와 함께 가변 체적 챔버를 규정한다. 센더가 작동되는 경우, 그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센더 및 리시버의 가변 체적 챔버가 가압되며, 이 때 센더의 가변 체적 챔버의 체적이 감소되는 반면 리시버의 가변 체적 챔버의 체적은 증가된다.
센더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센더 및 리시버의 챔버는 감압되며, 이 때 리시버 챔버의 체적은 감소되는 반면 센더 챔버의 체적은 증가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동중에, 챔버간에 제어 유체의 이동이 발생된다. 클러치가 재결합되는 경우, 통상적인 형태의 마찰 클러치 부재를 갖는 다이어프램이 피스톤에 대해 복귀 작용을 가하게 되어 리시버의 챔버는 그 초기 체적으로 복귀하게 된다.
제어 유체는 사실상 가스상일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압축 공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유체는 사실상 유체이며 오일로 구성된다.
단순성을 위해 유체의 성질이 무엇이건간에 제어는 유압식 제어로 지칭될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리시버(1)의 챔버는 실린더/피스톤 관계에서 고정부(4, 5)와 가동부(6)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고정부(4, 5)는 환형의 캐비티(7)를 규정하며, 공급 입구부(3)가 상기 캐비티(7)내로 개방된다.
가동부는 환형의 피스톤(6)이며, 이러한 피스톤은 캐비티(7)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캐비티(7)와 함께 상술된 가변 체적 챔버를 규정한다.
따라서, 상기 챔버 및 캐비티(7)는 파이프(2)를 통해 입구부(3)로부터 가압 및 감압된다.
고정부(4, 5)와 가동부(피스톤)(6)는 동축이며 동심되게 배열된다. 따라서, 리시버는 동심형이며, 캐비티(7)는 축방향으로 배향되고 환형이며 막혀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부(4,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동심으로 이루어진 부분(4, 5)이다.
상기 고정부 중 하나 즉, 외부 몸체(4)는 대체로 환형이며 이하 외부 몸체로 지칭되고, 그 중심부에 가이드 튜브(5) 형태의 다른 부분을 둘러싸며 돌출부(20)의 일부를 형성하는 대략 관형의 전방 단부(8)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 튜브(5)는 금속이며, 반경방향 부피를 감소시키도록 얇으며 축방향 대칭축(X-X')을 갖는다.
가이드 튜브(5)의 두께는 관형부(8)의 두께보다 얇으며, 관형부(8)의 축방향 길이는 가이드 튜브(5)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다.
본 실시예에서 금속인 가이드 튜브(5)는 관형부(8)에 대해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가이드 튜브(5)의 주된 부분를 둘러싸는 피스톤(6)에 대한 가이드로서 작용하며, 관형부(8)에 의해 둘러싸인다.
피스톤(6)은 그 후방 단부에 립(lips)을 갖는 다이나믹 조인트(80)를 지지한다. 이러한 조인트는 캐비티(7)내로 들어가서 캐비티를 액체 밀봉적으로 만든다. 피스톤(6)의 전방 단부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9)에 대해 작용하는데, 클러치 해제 베어링(9)은 구동 요소를 형성하며 클러치의 다이어프램에 대해 작용하기 적합한 회전 레이스(race)와 피스톤(6)에 결합된 비회전 레이스를 갖는 볼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피스톤(6)은 그 전방 단부를 통해 볼에 의해 회전 레이스로부터 이격된 비회전 레이스에 대해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클러치 해제 베어링(9)의 레이스는 동심이며 동축이다. 이러한 스러스트 베어링은 가이드 튜브(5)를 따라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는 피스톤(6)에 의해 지지된다.
클러치 해제 베어링(9)은 반경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비회전 레이스를 통해 피스톤(6)상에 압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베어링은 피스톤(6) 및 클러치의 다이어프램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다이어프램의 축방향 대칭축은 리시버(1)의 대칭축과 합쳐지지 않는다.
다이어프램에 대한 클러치 해제 베어링(9)의 중심조정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중합체와 같은 탄성 물질로 제조된 요소가 피스톤(6)과 베어링의 비회전 레이스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는 또한 베어링을 피스톤에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톤(6)의 전방 단부와 클러치 해제 베어링(9) 사이에 반경방향 간극이 존재하며, 축방향 작용 탄성 와셔(10)가 베어링과 피스톤(6)을 결합시킨다. 클러치 해제 베어링(9)은 다이어프램에 대한 중심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피스톤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크리핑(creeping)할 수 있다. 이러한 중심 조정은 그 뒤 탄성 와셔(10)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클러치 해제 베어링(9)은 자동조심이 유지되는 유형이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 레이스인 회전 레이스는 다이어프램과 국부적으로 접촉되도록,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어프램 핑거의 내측 단부와 국부적으로 접촉되도록 윤곽을 갖는다.
따라서, 중앙이 개방된 다이어프램 핑거의 내측 단부가 만곡된 형태인 경우, 상기 단부와 협동하도록 의도된 회전 레이스의 전방면은 대략 편평한 형태를 갖는다.
다이어프램 핑거의 내측 단부가 편평한 경우, 회전 레이스의 외측면은 만곡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치 해제 베어링(9)은 다이어프램 핑거의 내측 단부(102)(도 6 참조)에 대해 스러스트 작용할 수 있으며, 다이어프램의 주변부는 접시 와셔 형태로 스러스트 판을 반응판을 형성하는 자동차 엔진 플라이휠 방향으로 통상적으로 가압하도록 클러치의 스러스트 판에 대해 작용하여, 클러치 마찰 부재의 마찰 라이닝을 자동차 엔진 크랭크축에 회전에 대해 고정된 상기 반응판과 스러스트판 사이에 클램핑한다.
마찰 디스크로도 지칭되는 마찰 부재는 그 중앙부에, 마찰 라이닝을 지지하는 디스크에 견고하게 탄성적으로 결합된 허브를 갖는다. 허브는 종동축,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어박스의 입력축(100)에 회전에 대해 결합되도록 내측에 홈을 갖는다. 이러한 축(100)은 가이드 튜브(5)에 의해 둘러싸이면서 가이드 튜브(5)를 관통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 때 리시버(1)의 가변 챔버의 체적은 최소로 된다. 복귀 스프링(11)이 관형부(8)와 볼 베어링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어 공지된 방식으로 클러치 해제 베어링(9)의 회전 레이스가 다이어프램과 상시 접촉되도록 유지하여 마모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구동축의 토오크가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전달된다.
클러치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리시버의 캐비티(7)가 가압되어 챔버 체적을 증가시키고 피스톤(6) 및 클러치 해제 베어링(9)이 도 2의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엔진 플라이휠에 고정된 커버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다이어프램은 스러스트판에 대한 그것의 작용이 없어질 때까지 기운다. 이 때 클러치 마찰 부재의 마찰 라이닝이 분리되기 때문에 클러치가 해제된다.
이 때 엔진 토오크는 더 이상 케이싱(12)을 갖는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전달되지 않는다. 본질적으로, 클러치는 마찰 라이닝에 대한 마모를 보호하는 장치를 구비한다.
캐비티(7)가 감압되는 경우, 다이어프램이 클러치 해제 베어링 및 피스톤을 도 2의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리시버(1)의 챔버의 체적이 최소로 되며 피스톤(6)이 그 최초 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캐비티(7)내에 잔류 압력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4, 5)는 기어박스의 고정 케이싱의 전방벽(12)에 고정되도록 의도된다. 벽(12)은 기어박스의 입력축(100)이 그것을 관통하도록 하며, 회전 조인트로 지칭되는 조인트(101)(도 6에 보다 상세히 도시됨)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벽(12)과 입력축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이러한 벽(12)은 입력축의 통로를 위한 개구를 갖는다. 이러한 개구는 크며 도 1 내지 도 4에서 외부 몸체(4)에 의해서 폐쇄되는데, 외부 몸체(4)는 스크류에 의해 외부 몸체(4)를 벽(12)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멍(13)을 가지며, 스크류의 나사부는 구멍(13)을 통과하여 벽(12)의 암나사부와 결합된다.
스크류의 헤드는 캐비티(7)의 전방면을 가압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략 알형(ovoid in shape)이다. 이러한 캐비티(7)는 상술된 바와 같이 벽(12)의 개구에 대한 덮개판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이러한 캐비티(7)는, 판을 유압식 리시버(1)내에 통합하여 가이드 튜브(5)를 둘러싸는 전술된 외부 몸체(4)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배향된 관형부(8)를 갖는 돌출부(20)가 판에 고정된다. 이러한 돌출부(20)는 기어박스의 입력축의 통로를 위한 구멍을 갖는 외부 몸체(4)에 용접함으로써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20)는 환형이며 주조성 재료로 제조된 외부 몸체(4)와 단일 부품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외부 몸체(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알루미늄계이다. 이것은 외부 몸체(4)의 강도를 고려하여 내측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지향되며 막힌 캐비티(7)의 기부를 구성하는 횡단 플랜지(15)에 의해 외부 몸체(4)를 벽(8) 뒤로 연장하는데 장점적이다. 이러한 플랜지(15)는 내측 플랜지로 지칭되며 가이드 튜브(5)보다 두껍다. 이것은 축(X-X')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지향된다.
이러한 구성은 클러치의 해제 및 재결합 작동중에 겪는 압력 변화의 영향에 의한 캐비티(7)의 변형을 제한할 수 있게 한다. 피스톤(6)의 운동은 따라서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다.
또한, 가이드 튜브(5) 및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튜브를 외부 몸체(4)에 연결시키는 수단(16)과, 정적인 밀봉 조인트(17)는 보존된다. 조인트(17)는 원환체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수단(16)은 가이드 튜브(5)의 후측 단부에 형성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지향된 횡단방향 배향 칼라(51)의 크림핑(crimp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크림핑 수단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지향된 내측 플랜지(15)의 내주부와 가이드 튜브(5)의 외주부 사이에서 작용하는 밀봉 조인트(17)에 대해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인트(17)는 내측 플랜지(15)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플랜지의 내주부에 제공된 밀봉 그루브(참조부호 부여안됨)내에 장착된다. 이러한 플랜지(15)는 높이가 낮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몸체(4)와 일체인 전술된 돌출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크림핑 수단(16)은 밀봉 조인트에 대해 후측을 향해 오프셋된다.
관형부(8)는 돌출부(20)의 전방부를 구성하며, 그 외주부에 외측을 향해 거의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두개의 돌기(18, 19)를 갖는다.
돌기(18, 1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힌 제어 캐비티(7)의 기부를 개방하도록 돌출부의 매스(mass)내로 연장된 천공부를 갖는다. 따라서, 천공부는 플랜지(15)의 전방면의 레벨에서 개방되며, 돌기(18, 19)는 각각 공급 입구부(3)와 배출 회로에 속한다. 복귀 스프링(11)은 관형부(8)를 둘러싸며 그것에 의해 중심조정된다. 숄더는 관형부(8)의 접합부에 형성되며, 돌출부(20)의 주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어박스의 입력축(100)이 그것을 관통하도록 한다.
이러한 숄더는 코일 스프링 형태인 스프링(11)을 들러싸는 보호 벨로우즈(21)의 엔드 림(end rim)에 대한 지지체로서 작용한다. 스프링(11)은 일단부가 상기 림을 가압한다. 벨로우즈(21)의 타단부는 피스톤(6)의 전방 단부에 제공된 횡단 디스크(22)에 부착된다. 디스크(22)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지향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치 해제 베어링(9)의 비회전 레이스에 대한 지지체로서 작용하며 그 후측면을 통해 스프링(11)의 타단부상에 작용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피스톤(6)과 비회전 레이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레이스 사이에 반경방향 간극이 존재한다. 자동조심 스프링(10)(도 3 참조)이 비회전 레이스의 전방 단부와 금속 시트로 제조된 연결편(23)을 가압하는 접시 와셔로 구성되며, 연결편(23)은 피스톤(6)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리세스(참조 부호 부여안됨)의 내주부상에 결합된다. 이러한 리세스는 스크레이퍼 조인트(scraper joint)(150)용 하우징으로 작용하는데, 상기 스크레이퍼 조인트(150)는 연결편(23)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연결편(23)의 단부에 제공된 내측으로 지향된 반경방향 플랜지를 가압한다. 연결편(23)은 그 전방 단부에 와셔(10)에 의해 가압되는 외측으로 지향된 반경방향 플랜지를 갖는다.
따라서, 내부가 중공인 돌출부(20)는 그 내측에 전방을 향해 축방향으로 개방된 캐비티(7)를 부분적으로 규정하는 전방부와 내측 플랜지(15)에 의해 전방부로부터 이격된 계단식 후방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후방부는 계단식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측이 제 1 축방향 배향 원통형 부분(24)과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축방향 배향 부분(25)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다.
제 1 부분(24)은 전방부가 플랜지(15)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며 후방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향된 횡방향 배향 플랜지(26)(도 4)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다. 외측 플랜지로 지칭되는 플랜지(26)는 가이드 튜브(5)의 후방 칼라(51)에 대한 지지체로 작용한다. 따라서, 플랜지(26)는 칼라(51)에 대한 접촉 숄더로서 작용한다. 가이드 튜브(5)는 그 외면이 제 1 부분(24)의 형상과 플랜지(15)의 후방면의 형상과 결합되며, 상기 후방면과 밀접한 접촉을 이룬다.
따라서, 가이드 튜브(5)의 주된 부분의 직경은 그 후방 원통형 부분(52)의 직경보다 작다. 제 1 부분(24)은 따라서 가이드 튜브(5)의 후방부(52)에 대한 베어링면을 형성한다.
외부 몸체(4)의 후방 단부에서, 돌출부(20)의 제 2 부분(25)으로부터 발생되는 재료는 공지된 방식으로 크림핑 공구에 의해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크림핑 수단(16)을 형성하며, 돌출부(20)의 숄더(26)와 환형 섹터 형태의 크림핑 수단(16) 사이에서 칼라(51)가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작동중 재료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크리핑한다. 칼라(51)는 또한 크림핑에 의해 야기된 클램핑력의 영향에 의해 회전에 대해 고정된다. 물론, 변형예에 있어서, 크림핑 수단(16)은 연속적인 링을 형성할 수 있다.
베어링면을 형성하는 제 1 부분(24)의 직경은 대략 관형부(8)의 외경과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그것보다 약간 크다.
이렇게 하여, 유럽 특허 공개공보 제 EP-A-0 618 932 호에 개시된 것보다 매우 강한 크림핑이 얻어지는데, 이는 환형 캐비티(7)내의 유압식 공급 압력이 플랜지(15)에 대해 가해져서 칼라(51)가 보존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가이드 튜브(5)의 조립체를 보다 신뢰성 있고 보다 강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리시버의 사용 수명이 길어지고, 단순하고 경제적인 형태로 금속 가이드 튜브(5)가 재료의 체이싱(chasing)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얻어지며, 주조성 재료로 제조된 판(8)은 주조에 의해 용이하게 얻어진다. 유럽 특허 공개공보 제 EP-A-0 618 932 호에 개시된 장치와는 달리, 크림핑이 조인트의 레벨에서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조인트(17)가 또한 보존된다. 조인트(17)는 축방향으로 붕괴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시버(1)의 액체 밀봉성이 향상되며, 보다 신뢰성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튜브(5)의 후방부(52)는 기어박스의 입력축과 접촉하는, 참조부호(101)로 도식적으로 도시된 조인트에 대한 중심조정면으로 작용한다. 가이드 튜브(5)의 후방부와 외부 몸체(4)의 내부 단차부(stepping)는 이것을 돕는다.
외부 몸체(4)는 견고하며 리시버가 러그에 의해 기어박스 케이싱에 고정된 해결책에 비해 초기 파열이 매우 감소된다.
이것은 다수의 고정 구멍(13)에 기인한다. 본질적으로, 밀봉 조인트(도시안됨)가 케이싱과 외부 몸체(4) 사이에 개재되며, 외부 몸체(4)는 기어박스의 케이싱(12)의 개구의 에지에 고정되어 상기 개구를 덮는다.
본질적으로, 변형예로서, 기어박스는 예컨대 가변 풀리를 갖는 다른 트랜스미션 박스로 대체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연결 수단은 스크류에 의해 인접 숄더(26)에 칼라(51)를 고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른 조립 수단이 예견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외측 플랜지(26)의 전방부는 칼라(51)에 대한 중심조정면으로 작용하는 제 2 원통형 부분(25)의 경계를 지으며 칼라(51)의 외주부에 밀접되어 있다.
도 2에서, 제 2 부분(25)의 확장을 초래하는 재료 체이싱의 윤곽이 보여질 수 있다.
변형예로서, 이러한 고정은 리벳팅에 의해 또한 볼트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대형 덮개판의 존재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외부 몸체(4)는 보다 작은 외부 몸체로 대체될 수 있으며 크림핑은 플랜지(15)의 부근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서, 상술된 케이싱의 개구 레벨에서 기어박스의 케이싱에 고정되는 것은 고정부(4, 5)의 외측 부분(4)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외부 몸체(4)가 가이드 튜브(5)를 둘러싸는 대체로 환형의 외부 몸체를 형성한다. 외부 몸체(4)는 두 개의 러그(130)(하나만 도시됨)를 갖는데, 이러한 러그는 통상 각 러그의 개구를 각각 관통하는 스크류에 의해 몸체를 기어박스 케이싱의 벽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외부 몸체(4)의 후방은 대략 도 1의 외부 몸체(4)보다 작은 크기의 판(120)의 형태를 가지며, 이것으로부터 전방 관형부(8)가 주조에 의해 형성된다. 주조성 재료로 제조된 외부 몸체(4)는 예컨대 알루미늄계이다.
러그(130)는 3개의 고정점을 갖는 판(10)의 일부를 형성하며 주된 부분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이것은 막힌 캐비티(7)의 기부를 구성하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지향된 횡단 플랜지(15)에 의해 외부 몸체(4)를 벽(8) 및 판(120)의 후측까지 연장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내측 플랜지로 지칭되는 플랜지(15)는 판(120)의 후측까지 연장하는 후방 관형 섹션(121)에 속한다. 축(X-X')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플랜지(15)는 가이드 튜브(5)보다 두껍다.
플랜지(15)는 클러치의 해제 및 재결합의 작동중에 겪는 압력 변화의 영향에 의한 캐비티(7)의 변형을 제한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피스톤(6)의 운동은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다.
또한, 가이드 튜브(5)는 보존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튜브(5)를 외부 몸체(4)에 연결시키는 수단 및 캐비티(7)에 대한 정적인 밀봉 조인트(17)가 보존된다. 이러한 조인트(17)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환체 형상이며 가이드 튜브(5)와의 양호한 접촉 및 양호한 밀봉을 위하여 축방향으로 타원형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수단(16)은 크림핑에 의한 고정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섹션(121)이 조인트(121)를 수용하고 플랜지(15)의 경계를 정하기 위해 노치(notched)된다. 연결 그루브(32)가 플랜지(15)의 후측에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양호한 고정에 적합한 그루브(32)의 내측으로 가이드 튜브(5)가 크리핑된다. 가이드 튜브(5)의 두께는 이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튜브(101)가 캐비티(7)에 대해 반대 방향을 향하는 플랜지(15)의 면을 직접 가압함을 주목해야 한다. 플랜지의 결합에서 이러한 연결 방법에 의해, 튜브는 형상이 단순해지며 크림핑에 의해 튜브를 외부 몸체(4)에 고정하기 위한 횡단 칼라를 그 후방에 갖지 않는다. 재료가 절약되며, 가이드 튜브(5)는 순수한 관형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 튜브(5)는 캐비티(7)내의 압력 변화의 영향에 의해 매우 미세한 변형을 겪는다. 피스톤(6)은 양호한 상태하에서 이동한다.
이들 크림핑 수단(16)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지향된 플랜지(15)의 내주부와 가이드 튜브(5)의 외주부 사이에서 작용하는 밀봉 조인트(17)에 대해 축방향 후측으로 오프셋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인트(17)는 내측 플랜지(15)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된 바깥쪽으로 벌어진 밀봉 그루브(참조부호 부여안됨)내에 장착된다. 밀봉 그루브는 축(X-X') 방향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벌어지며 연결 그루브보다 축방향으로 넓다. 플랜지(15)는 낮은 높이를 가지며 외부 몸체(4)의 후부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몸체의 판(120)은 캐비티(7)의 기부내로 개방된 공급 입구부(3)를 형성하도록 천공된다. 파이프(2)는 그 플랜지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입구부(3)에 일치되게 판(120)의 상단 에지에 부착된다. 크림핑 수단(16)[그루브(32)내로의 가이드 튜브(5)의 국부적 크리프]은 축방향으로 조인트(17, 101)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해결책은 가이드 튜브(5)가 판(120)의 두께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에서의 해결책보다 간단하다.
예압 스프링(11)은 관형부(8)를 둘러싸며 관형부에 의해 중심조정된다. 숄더(105)는 관형부(8)의 접합부에 형성되며, 판(120)은 축(100)이 그것을 관통하기에 적합하다.
외부 몸체(4)는 파이프(2)의 외주부에 형성된 배출 덕트(119)를 구비하지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2)는 기어박스 케이싱의 외측으로 연장하며 상기 케이싱을 관통한다. 이러한 파이프는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배출을 실행하도록 작용하는 관형 돌출부(119)를 구비한다. 이러한 돌출부는 통상적으로 보호 캡(118)에 의해 덮여있다. 파이프는 센더로부터 나오는 도관의 숫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플러그-인 암 커넥터(plug-in female connector)의 형상을 갖는 외측 단부(117)를 구비하며 핀(116)이 상기 단부(117)의 슬롯에 결합되어 있다.
파이프(2)는 판(120)에 고정된 수직부와 기어박스의 외측으로 연장하여 배출구(119) 및 단부 커플링을 갖는 대략 수평부로 구성된 직각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파이프(2)는 플랜지를 가지며, 플랜지는 측면에 플랜지를 판(120)의 외측 에지에 고정시키기 위해 스크류가 관통하는 두 개의 구멍을 갖는다(도 5). 본질적으로, 파이프(2)는 브로칭(broaching)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외부 몸체(4)에 부착될 수 있다. 숄더(10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11)을 둘러싸는 보호 벨로우즈(21)상에 있는 엔드 림에 대한 지지체로서 작용한다. 스프링(11)은 일단부가 스프링과 림 사이에 개재된 금속 지지편(123)에 의해 상기 림을 가압한다. 지지편(123)은 대략 수평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횡단부를 갖는다. 한 횡단부는 전방 관형부(8)의 후측 단부상의 보다 두꺼운 부분에 의해 중심조정된 스프링(11)과 접촉하고 있는 다른 횡단부의 반경방향 위에서 엔드 림과 접촉하고 있다.
벨로우즈(21)의 타단부는 환형의 지지편(122)으로 지칭되는 금속 베어링 및 지지편(122)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편(122)은 금속으로 제조되며 통상 자동조심 와셔로 지칭되는 탄성 와셔(10)와 벨로우즈(21)상의 전방 엔드 림을 지지한다.
지지편(122)은 합성 재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섬유보강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피스톤(6)내에 부분적으로 함몰(고정)된다. 피스톤(6)은 예컨대 "Delrin"계일 수 있으며 우수한 슬립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마찰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스톤(6)의 전방에 스크레이퍼 조인트(150)가 제공된다.
이것을 행하기 위하여, 지지편(122)은 성형 기술에 의한 피스톤(6)내로의 확고한 고정을 위해 구멍을 갖는다. 지지편(122)은 따라서 성형에 의해 합성 재료로 제조된 피스톤(6)상에 고정된다. 지지편(122)은 와셔(10), 조인트(150), 및 그 외측 레이스가 다이어프램 핑거의 단부(102)와 벨로우즈(21) 및 예압 스프링(11)의 단부와 협동하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9)을 지지한다. 지지편은 플래그 및 액체 밀봉의 형태인 클러치 해제 베어링(9)의 내측 에지에 대한 접촉부로서 작용한다.
도 6에 있어서, 다이나믹 밀봉 조인트가 참조부호(80)로 도시되어 있다. 본질적으로, 지지편(122)은 스냅핑에 의해 피스톤(6)상에 부착될 수 있다. 클러치 해제 베어링(9)은 주된 부분이 지지편(122) 위로 연장하며 축방향 치수를 줄이기 위해 판(120)을 향해 축방향으로 지향된다.
변형예로서, 가이드 튜브(5)를 외부 몸체(4)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16)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서, 조인트(17)는 사다리꼴형 연결 및 밀봉 그루브(132) 섹션의 바닥에 장착된다. 가이드 튜브(5)의 요소(116)의 국부적 업세팅은 상기 그루브(132)내에서 직접 실행된다.
조인트(17)는 축(X-X')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지향된 업세팅(116)과 그루브(132)의 바닥부 사이에 압착된다. 이 경우, 플랜지(15)의 기계가공이 감소된다.
변형예로서, 도 9 및 도 10에서, 조인트(17)가 도 6과 같이 밀봉 그루브보다 축방향으로 넓지 않은 특정 연결 그루브(332)내에 설치된다. 연결은 플랜지(15)내에 형성된 타원형의 반경방향 연결 그루브(332)와 가이드 튜브(5)의 후측 단부에 대응하게 형성된 그루브(333)내에 장착된, 반경방향으로 주름지고 개방된 서클립(226)에 의해 실행된다. 그루브(333)는 유사한 방식으로 내측을 향해 가이드 튜브(5)의 국부적 업세팅을 초래하여 그루브(153)를 형성한다. 따라서, 가이드 튜브(5)와 서클립(226)의 연결은 스냅 결합에 의해서 실행되며, 서클립(226)은 폐쇄 및 해제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여 가이드 튜브(5)가 외부 몸체(4)에 연결되는 경우 그루브(333)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튜브(5)는 대칭형이며, 이러한 가이드 튜브는 일단부에 서클립을 장착하기 위한 그루브(도 6에서 참조부호가 부여안됨)를 갖는다. 이러한 그루브는 그루브(333)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본질적으로, 조인트(80)는 외부 몸체(4)의 관형부(8)의 내주부와 접촉하기 위한 외부 립과 가이드 튜브(5)의 외주부와 접촉하기 위한 내부 립을 갖는다.
본질적으로, 외부 몸체는 프랑스 특허 공개공보 제 FR-A-2 745 616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어댑터 바닥판(adapter sole plate)에 의해 기어박스 케이싱을 통해 고정 구조체상에 간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부 몸체는 표준형이며 바닥판은 바닥판과 외부 몸체 사이에서 작용하는 베이어넷형(bayonet type) 연결 수단을 위한 고정 러그를 지지한다. 클러치 해제 베어링은 구조를 거꾸로하여 회전 내측 레이스와 내측 플랜지를 구비하는 비회전 외측 레이스를 갖는데, 내측 플랜지는 탄성 자동조심 와셔의 작용에 의해 지지편(122)상의 횡단 지지 섹션에 대해 가압하도록 의도된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조에 의해 얻어지는 내측 플랜지(15)는 가이드 튜브보다 두껍다. 크림핑 수단은 크림핑 또는 스냅핑-온(snapping-on)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내측 플랜지(15)에 가이드 튜브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내측 플랜지에 대한 연결 그루브(32, 132, 332)는 플랜지(15)의 내주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외부 몸체(4)는 섬유보강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성형성 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의 서클립은 피스톤에 대한 정지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정지부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어 유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오일이 매우 양호한 상태하에서 캐비티(7)내로 유입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모든 도면에 있어서, 덕트 형태의 입구부(3)가 내측 플랜지(15)의 정면의 상부에서 개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부는 형상이 라운드되며 경사면에 의해 연장된 리세스(노치)를 형성한다.
관형부(8)의 내부 보어는 또한 입구부(3)에 있는 그 후방부가 노치되어 있다. 이것은 랩핑(lapping)을 수행하여 조인트(80)의 상부 립이 플랜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캐비티(7)의 경계를 정하는 플랜지(18)의 정면의 리세스는 또한 전방부(8)의 내주부의 후측 단부에 영향을 준다.
본질적으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튜브(5)는 축(X-X')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지향되며 캐비티(7)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반전된 플랜지(15)의 후측 횡단면(115)과 접촉하는 참조부호(216)에서 크림프된 단부판(215)을 갖는다. 튜브는 단부 칼라를 갖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크림핑은 축방향 형태를 가지며, 후측 섹션(121)의 요소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연결수단을 양호하게 형성하도록 축방향으로 붕괴된다. 크리프되는 것은 튜브의 요소가 아니므로 도 2의 실시예에 비해 재료가 절약된다.
본질적으로, 도 12에서, 정적인 조인트(117)는 횡단면(115)내에 형성된 그루브(참조부호 부여안됨)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 플랜지(215)가 도 11에서와 같이 크림프된 가이드 튜브(5)와 플랜지(15)의 내주부 사이에 반경방향 간극이 존재한다.
변형예(도 13)에 있어서, 플랜지(15)는 그 내주부에 횡단면(115)이 연장하는 칼라(315)를 갖는다.
가이드 튜브(5)는, 두께 감소에 의해 형성되어 캐비티(7)를 향하는 칼라(315)의 정면과 협동하는 숄더를 형성하도록, 칼라(315)에 인접한 단부에 두께 감소부를 갖는다. 그 뒤, 칼라(315)의 후면과 접촉하는 가이드 튜브(5)의 자유 단부의 요소가 접혀져서 크림핑에 의해 가이드 튜브(5)를 칼라(315)에 고정시키며, 조인트(17)는 도 1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밀봉 링내에 장착된다.
본질적으로, 상이한 실시예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회전 조인트가 외부 몸체에 의해 반드시 지지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10에서의 연결 모드는 내측 플랜지(15)의 후측면(115)에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면은 밀봉 그루브가 아닌 별개의 연결 그루브를 가지며, 플랜지(215)의 요소는 캐비티(7)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양호하게 벌어진 연결 그루브내에서 업셋된다.
이렇게 하여, 밀봉 링을 또한 형성할 수 있는 연결 그루브의 벌어짐에 의해 회전에 대한 가이드 튜브(5)의 양호한 고정이 얻어진다.
판(215)이 캐비티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축방향으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면(215)과 서클립 사이에 판(215)을 파지하도록 몸체의 그루브내에 결합된 서클립에 의해 판(215)이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그루브는 밀봉 그루브의 반경방향 위에 위치된다. 변형예로서, 수나사 와셔를 장착하기 위해 후측이 암나사 가공된다. 이러한 와셔는 너트를 형성하여 판을 면(115)과 상기 너트 사이에 파지한다.
변형예로서, 축방향 고정을 실행하기 위해 1996년 11월 30일자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출원 제 FR-96 11888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크림프된 중간편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질적으로, 외부 몸체(4)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판(215)은 면(115)에 명료하게 고정될 수 있다.

Claims (8)

  1. 고정부(4, 5)를 갖는 클러치 제어용 유압 리시버(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 5)는 막힌 환형 캐비티(7)를 규정하는 축방향 대칭축(X-X')을 갖는 금속 내측 가이드 튜브(5)와 동심의 외부 몸체(4)를 구비하며, 상기 환형 캐비티(7)는 유체가 공급될 수 있으며 그 내측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피스톤(6)은 클러치를 작용시키는 구동 요소(9)를 지탱하며, 상기 막힌 캐비티(7)의 기부는 상기 가이드 튜브(5)의 상기 축방향 대칭축(X-X')쪽으로 지향된, 상기 외부 몸체(4)상의 내측 플랜지(15)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플랜지(15)는 상기 가이드 튜브(5)보다 두꺼우며, 정적인 밀봉 조인트는 밀봉 그루브내에 장착되는 동안 상기 내측 플랜지(15)와 상기 가이드 튜브(5) 사이에서 작용하며, 연결 수단(16, 116)은 상기 가이드 튜브(5)를 상기 외부 몸체(4)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내측 플랜지(15)와 상기 가이드 튜브(5) 사이에서 작용하며, 상기 연결 수단(16)은 상기 내측 플랜지(15)내에 형성된 연결 그루브(32, 132, 332)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 그루브(132)는 상기 내측 플랜지(15)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그루브(132)와 통합되는
    유압 리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16)은 크림핑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튜브(5)의 요소는 상기 연결 그루브(32, 132)내에서 국부적으로 업셋되는
    유압 리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조인트(17)는 상기 연결 그루브의 기부와 상기 가이드 튜브(5)의 국부적 업세팅 요소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리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16)은 상기 가이드 튜브(5)의 외주부와 상기 내측 플랜지(15)의 내주부 사이에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리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정적인 밀봉 조인트(17)가 상기 내측 플랜지(15)의 내주부와 상기 가이드 튜브(5)의 외주부 사이에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리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합성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가이드 튜브(5)상에서 직접 미끄럼 운동하는
    유압 리시버.
  7. 고정부(4, 5)를 갖는 클러치 제어용 유압 리시버(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 5)는 막힌 환형 캐비티(7)를 규정하는 축방향 대칭축(X-X')을 갖는 금속 내측 가이드 튜브(5)와 동심의 외부 몸체(4)를 구비하며, 상기 환형 캐비티(7)는 유체가 공급될 수 있으며 그 내측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피스톤(6)은 클러치를 작용시키는 구동 요소(9)를 지탱하며, 상기 막힌 캐비티(7)의 기부는 상기 가이드 튜브(5)의 상기 대칭축(X-X')쪽으로 지향된, 상기 외부 몸체(4)상의 내측 플랜지(15)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플랜지(15)는 상기 가이드 튜브(5)보다 두꺼우며, 정적인 밀봉 조인트는 상기 내측 플랜지(15)와 상기 가이드 튜브(5) 사이에서 작용하며, 연결 수단(16, 116)은 상기 가이드 튜브(5)를 상기 외부 몸체(4)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내측 플랜지(15)와 상기 가이드 튜브(5) 사이에서 작용하며, 상기 연결 수단(16)은 탄성변형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유압 리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내측 플랜지에 형성된 타원형 연결 그루브(332)와 그 축방향 일단부 중 하나에 상기 가이드 튜브(5)에 형성된 대향 그루브내에 반경방으로 결합되는 주름진 형태의 개방된 환형체를 포함하는
    유압 리시버.
KR10-1998-0706568A 1996-12-23 1997-12-22 클러치제어용유압리시버 KR100505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16028 1996-12-23
FR9616028A FR2757460B1 (fr) 1996-12-23 1996-12-23 Recepteur de commande hydraulique a plaque de fermeture
FR97/15834 1997-12-11
FR9715834A FR2772443B1 (fr) 1997-12-11 1997-12-11 Recepteur hydraulique de command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174A KR19990087174A (ko) 1999-12-15
KR100505304B1 true KR100505304B1 (ko) 2005-09-27

Family

ID=2623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568A KR100505304B1 (ko) 1996-12-23 1997-12-22 클러치제어용유압리시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83756B1 (ko)
KR (1) KR100505304B1 (ko)
DE (1) DE69706529T2 (ko)
ES (1) ES2160982T3 (ko)
WO (1) WO1998028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908312D1 (de) 1998-06-10 2004-02-19 Luk Lamellen & Kupplungsbau Führungshülse für einen nehmerzylinder
DE19957573A1 (de) * 1998-12-11 2000-06-15 Luk Lamellen & Kupplungsbau Dichtungsträger der zwischen der hydraulischen Ausrückvorrichtung und einem Getriebegehäuse angeordnet ist
US6374724B1 (en) 2000-03-21 2002-04-23 Automotive Products (Usa) Inc. Concentrically mounted hydraulic clutch slave cylinder
US6389956B1 (en) * 2000-03-21 2002-05-21 Automotive Products, Inc. Concentrically mounted hydraulic clutch slave cylinder
FR2893686B1 (fr) 2005-11-22 2009-05-08 Renault Sas Dispositif de commande hydraulique d'un embrayage et procede de determination de la course morte du piston d'un cylindre emetteur d'un tel dispositif de commande
DE102010010137B4 (de) 2009-03-23 2019-08-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ehmerzylinder
DE102018111760B4 (de) * 2018-05-16 2020-01-1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ehmerzylinder mit geteiltem Dichtringträg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915A (en) * 1991-09-13 1994-05-03 Fichtel & Sachs Ag Fluid-actuable releaser for a friction clutch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1937A (en) * 1973-04-09 1977-10-04 Skf Industrial Trading And Development Company B.V. Hydraulic clutch release mechanism for motor vehicles
DE3043861A1 (de) * 1980-11-21 1982-08-19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Hydraulisch oder pneumatisch betaetigter kupplungs-ausruecker
DE3136548A1 (de) * 1981-09-15 1983-03-3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7580 Bühl Druckmittelbetaetigte ausrueckvorrichtung fuer kupplungen,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kupplungen
DE3206873A1 (de) * 1982-02-26 1983-09-15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Hydraulisch betaetigbarer waelzlagerausruecker
GB8415051D0 (en) 1984-06-13 1984-07-18 Lucas Ind Plc Hydraulic slave cylinder
FR2745616B1 (fr) 1996-02-29 1998-04-10 Valeo Dispositif de maintie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915A (en) * 1991-09-13 1994-05-03 Fichtel & Sachs Ag Fluid-actuable releaser for a friction clu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28552A1 (fr) 1998-07-02
EP0883756A1 (fr) 1998-12-16
ES2160982T3 (es) 2001-11-16
EP0883756B1 (fr) 2001-09-05
DE69706529D1 (de) 2001-10-11
DE69706529T2 (de) 2002-04-18
KR19990087174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5288A (en) Hydraulically controlled clutch release bearing for a motor-vehicle diaphragm clutch
US6415900B1 (en) Hydraulic control receiver with closing plate
KR100566866B1 (ko) 클러치 제어용 유압 리시버
JP4012589B2 (ja) 流体制御式係合解除装置
KR100389752B1 (ko) 유압제어식클러치해제베어링
US5458224A (en) Clutch release-actuating hydraulic cylinder fluid chamber construction
JPH09112579A (ja) 流体圧力作動式クラッチ解除ベアリング
US6325194B1 (en) Hydraulic control clutch device equipped with a guide tub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tube
US4051937A (en) Hydraulic clutch release mechanism for motor vehicles
KR100505304B1 (ko) 클러치제어용유압리시버
US5052279A (en) Hydraulic cylinder for a hydraulic actuation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friction clutch
KR100582819B1 (ko) 클러치 시스템
US4708228A (en) Bearing support for motor vehicle clutch control apparatus
KR100613236B1 (ko) 클러치용 유압 조절식 디클러칭 장치
US4955786A (en) Drive device for pumps
US5161651A (en) Dust cover for a mounting pin
US4069904A (en) Hydraulic clutch release mechanism for motor vehicles
US6923297B1 (en) Disc brake seal assembly
US5641049A (en) Annular clutch release cylinder assembly and clutch device
KR20020059742A (ko) 유체동력학 커플링 장치
US5428960A (en) Master cylinder
US4688661A (en) Adjustable brake actuator, especially for vehicle drum brakes
KR100470621B1 (ko) 클러치용유압식제어리시버
AU637280B2 (en) Hydraulic clutch operating apparatus
US4189160A (en) Sealing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