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819B1 - 클러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러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819B1
KR100582819B1 KR1020007011500A KR20007011500A KR100582819B1 KR 100582819 B1 KR100582819 B1 KR 100582819B1 KR 1020007011500 A KR1020007011500 A KR 1020007011500A KR 20007011500 A KR20007011500 A KR 20007011500A KR 100582819 B1 KR100582819 B1 KR 100582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ushing
cylinder
rim
annular
clutch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2766A (ko
Inventor
게르하아드 마이어
루드위그 윈켈만
디이터 아드레
Original Assignee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7054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828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filed Critical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Publication of KR2001004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3Actu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8Details or arrangements of seal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3/8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사용하는 분리형 기어시프트 클러치용 유압 클러치 시스템(1a)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러치 시스템(1a)은 구동 샤프트(5) 둘레에 동심으로 장착된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부싱(6a)은 상기 실린더 안에 반경 방향에서 센터되어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2)와 가이드 부싱(6a) 사이에 있는 환형 갭을 밀봉하는 씰(14a)은 그의 위치가 압축될 수 있는 압력 챔버(16)의 환형 콘투어 내에 있도록 배열된다.
가이드 부싱, 클러치 시스템, 씰, 압력 챔버, 실린더

Description

클러치 시스템 {CLUTCH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에 사용하는 분리형 기어시프트 클러치용 유압 클러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런 종류의 클러치 시스템은 자동차의 구동열(drive train) 안에 장착된, 분리형 기어시프트 클러치로서 이용되는 마찰 클러치를 가동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유압 클러치 시스템은 구동 샤프트에 동심으로 배열된, 슬레이브 실린더로도 불리는 피스톤-실린더 유니트(piston-cylinder unit)를 포함한다. 변속기 케이스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실린더 안에 있는 환형의 압력 챔버 안에 환형 피스톤(ring piston)이 가이드되며, 상기 압력 챔버는 상기 실린더의 내벽과 가이드 부싱에 의해 반경 방향에서 한정되어 있다. 압력 챔버 쪽에서 씰을 가지는 환형 피스톤의, 상기 압력 챔버에 이격된 단부는 릴리즈 베어링에 의해 상기 분리형 기어시프트 클러치의 릴리즈 엘리먼트(release element)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싱은 상기 실린더에 위치 고정 및/또는 회전 고정되고 밀봉되어 배열되어 있다.
DE 43 13 346 A1에는 앞서 언급한 종류의 클러치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커팅없는 디프드로잉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가이드 부싱은 상기 변속기 케이스와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인접 영역에서 환형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환형 플랜지는 가장자리 영역에서 실린더에, 즉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압력 하우징에 형상 결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환형 플랜지는 한 편으로는 유체(hydraulic fluid)를 공급받는 압력 챔버의 경계부로서 이용된다. 다른 한 편으로는 상기 환형 플랜지의 축방향으로 돌출한 영역은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리셉터클(receptacle) 안에 센터링하는데 이용된다.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환형 플랜지는 상기 클러치 시스템과 상기 변속기 케이스 사이에 클램핑되어 그 결과 상기 가이드 부싱의 위치 고정을 맡고 있다.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기 가이드 부싱의 밀봉을 위해 씰이 압력 챔버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열된다. 압축되는 경우에 유효 압력 표면이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되고, 상기 압력 표면은 상기 가이드 부싱의 표면으로부터 씰까지 연장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압력 챔버의 환형면을 확실히 초과한다. 상기 유효 압력 표면에 상응하게 상기 실린더에서 응력이 커지므로, 상기 실린더는 고압에서의 변형을 피하기 위해 적절하게 더 강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의 결함에서 출발하여 상기 가이드 부싱과 상기 실린더 사이에 있는 씰이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가동 시에 부가의 압력 하중을 야기하지 않는 구성을 가지는 클러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앞서 언급한 목적은 제 1 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 러치 시스템은 반경 방향에서 센터되고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는 가이드 부싱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부싱의 지지는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부싱의 종축에 대해 가능한 한 큰 반경 방향의 거리에서 직각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실린더에 대한 가이드 부싱의 밀봉을 위해 상기 씰은 상기 압력 챔버에 대해 이동되어 배열되어 있으며, 그의 설치 위치는 상기 압력 챔버에 일치하는, 즉 환형의 압력 챔버의 표면 내에 배열된다. 환형의 압력 챔버의 횡단면 윤곽에 국한되는 압력면은 그런 종류의 씰 위치를 위해 상기 압력 챔버의 압축을 야기시킨다.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실린더와 가이드 부싱 사이에 조정가능한 합성력은 종래 기술에 비해 확실히 떨어진다. 상기 환형 압력 챔버의 콘투어 내에 밀봉 지점은 50bar에 달할 때까지의 높은 가동 압력일지라도 상업용 플라스틱의 이용을 가능하게 만들며, 이 때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잔류 변형 또는 엄청나게 큰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밀봉은 클러치 시스템의 비용을 최적화하며,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무게는 동시에 최적으로 설계된다.
상기 압력 챔버의 환형 표면의 돌출면에 일치하는 설치 위치가 모든 씰에 공동적이다.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동작 모드에서, 즉 동작 압력의 제공 시에 그 때문에 합성력이 발생하지는 않으며, 이 힘은 상기 압력 챔버의 환형 표면에 의해 조정되는 축방향 동작력보다 크다. 축방향의 낮은 힘 성분 때문에, 압력 챔버 표면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바깥을 향해 이동되어 배열된 씰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부싱 장치는 실린더에의 또는 변속기 케이스에의 특별한 지지를 필요로 하 지 않으므로, 상기 실린더에 변형을 초래할 수도 있는 허용되지 않은 높은 응력을 보상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가이드 부싱 또는 실린더의 림(rim)은 증대된 중첩된 압력 하중을 받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에서 커팅없이 금속 시트로 디프드로잉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가이드 부싱은 단부쪽에서 반경 방향의 외향의 림을 이용해 상기 실린더에 고정된다. 환형의 또는 그 대신에 부분적으로 배열된,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종축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정렬된 림은 상기 가이드 부싱의 자동 장치에 적합한 장착을 가능하게 만들며 상기 가이드 부싱을 정확하게 실린더에 또는 그 안에 배치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림의 치수에 일치하는 정면쪽의 환형 리세스를 상기 실린더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림은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리세스에 결합한다. 이 때 상기 정면쪽 환형 홈의 깊이는 상기 림의 벽 두께에 일치하게 선택되므로, 평평한 정면이 실린더에서 조정된다. 그 대안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림의 벽 두께를 초과하는 환형 홈 깊이를 포함하여 상기 환형 홈 안에 있는 가이드 부싱의 림을 위한 지지 또는 고정 수단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싱의 또 다른 유리한 구성으로는 반경 방향으로 단이 형성된 영역이 상기 림에 연속되며,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부싱의 축방향 지지는 상기 림 또는 반경 방향으로 단이 형성된 상기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부싱의 규정된 정확한 설치 위치를 얻기 위해, 그의 지지면은 상기 가이드 부싱의 종축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된다.
그 외에도 상기 림은 본 발명에 의거하여 상기 실린더로부터 축방향으로 돌 출하는 환형 챔버를 반경 방향으로 에워싸며, 상기 환형 챔버는 직각 방향의 에지에 의해 외측에서 에워싸이며, 상기 에지는 그와 동시에 실린더에서의 상기 가이드 부싱을 위한 지지면을 나타낸다. 그런 종류의 림은 예를 들어 상기 변속기 케이스 안에 상기 실린더를 센터링하는데 적합하며, 그 안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한 환형 챔버는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리셉터클 보어 안에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 부싱의 또 다른 구성에 따라 그의 림은 충분한 지지면(supporting surface)을 얻기 위해 상기 가이드 부싱의 직경보다 분명하게 더 크다. 상기 림의 외경과 상기 가이드 부싱의 표면 사이의 직경비는 1 내지 1.2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부싱이 상기 실린더에 또는 그 안에서 다르게 센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압력 챔버를 반경 방향으로 제한하는 상기 가이드 부싱의 표면이 상기 실린더의 리셉터클 안에 센터링하는데 적합하다. 그 변형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림에 연속되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상기 가이드 부싱의 표면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어 연장된 영역이 상기 실린더에 지지되는 가이드 부싱의 센터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단을 제공하며, 이것은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부싱의 환형 챔버에 결합한다. 센터링하기 위해 상기 환형 챔버의 원통형 벽이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단에 접한다.
상기 가이드 부싱의 축방향 지지가 본 발명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상기 가이드 부싱의 표면에 이어지는 림에 의해 이루어진다. 변속기 쪽에서 축방 향으로 돌출하는 환형 챔버를 가지는 가이드 부싱을 위해 상기 환형 챔버를 외부에서 에워싸는,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단부 영역에 의한 지지가 축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기 가이드 부싱을 밀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씰 또는 씰 어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효과적인 패킹으로서, 상기 실린더의, 압력 챔버에 이격된 정면에 상기 리셉터클의 리세스 안에 밀봉 링이 삽입된다. 설치 위치에서 그런 종류의 패킹이 내측에서 그리고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부싱 또는 그의 림에 의해 에워싸인다.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단을 가지는 실린더를 위해, 패킹이 본 발명에 따라 정면쪽 리세스 안에 또는 상기 단의 내측의 환형 홈 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패킹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환형 챔버의 원통형 벽에 기밀하게 인접하게 된다. 또 다른 밀봉으로서 상기 가이드 부싱의 림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열된, 반경 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있는 환형 융기부 안에 씰을 끼울 수 있다. 상기 씰 어레이를 위해,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씰이 리셉터클 또는 상기 실린더의 리셉터클 보어가 내측에서 기밀하게 인접하게 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실린더 안에 상기 슬리이브의 다양한 위치 고정이 제공되며, 이것으로 상기 가이드 부싱이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미리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에 고정된다. 조치를 통해 상기 압력 챔버의 영역에서 상기 가이드 부싱의,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있는 부분적으로 또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융기부가 제공되며, 그의 외경은 상기 실린더의 리셉터클 보어의 내경을 반경 방향으로 커버한다.
그 외에도 상기 가이드 부싱의 고정부로서 지지링 또는 고정링이 적합하며, 이것은 상기 가이드 부싱의 표면의 환형 홈 안에 삽입되고 설치된 위치에서 정면쪽에서 상기 실린더의 인접부에 정면쪽에서 지지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싱의 고정이 스냅 연결을 이용해 제공되며, 상기 고정은 예를 들어 상기 실린더에서 하나 이상의 탄성 스냅 노즈(snap nose)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스냅 노즈가 상기 가이드 부싱의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림에 결합되거나 상기 림에 연결된 영역, 예를 들어 단부 영역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을 통해 상기 표면의 단부 영역을 가지는 가이드 부싱을 상기 실린더에 일체로 연결된 리셉터클 안에 하우징 시트에 의해 프레스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상기 압력 챔버의 방향으로 정렬된 인접부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싱이 상기 리셉터클을 억지 끼워 맞춤을 이용해 에워싸거나 상기 리셉터클이 상기 가이드 부싱을 외부에서 에워싼다. 상기 구성을 통해 가이드 부싱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게 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가이드 부싱은 상기 실린더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가이드 부싱은 이 때 상기 환형 피스톤의 안내를 위해서 그리고 상기 압력 챔버의 제한을 위해서만 제공되고 그 때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표면의 단부 영역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내에 연결된다.
그 외에도 그런 종류의 가이드 부싱을 통해 레이디얼 패킹 링이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것을 이용해 변속기 케이스의 개구가 상기 구동 샤프트와 클러치 시스템에 대해 밀봉된다. 그 대신에 상기 패킹 링은 상기 실린더의 정면쪽 환형 홈 안에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리셉터클 안에 삽입될 수도 있다. 림없는 원통형의 가이드 부싱을 통해, 재료 비용의 감소로 인한 최적 비용 제조 및 제조 단계의 감소가 가능해진다. 멀티플 다이 프레스(multiple die press)에서 림을 또는 환형 플랜지를 가지는 가이드 부싱의 여러 단계의 제조 대신에, 원통형 가이드 부싱이 더 작은 툴 필요 및 감소된 툴 마모와 관련된 분명하게 단순화된 드로잉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그와 동시에 더 많은 양정 수로 동작되는 더 작은 프레스가 리젝트 레이트(reject rate)가 작은 경우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전반적으로 비용상의 장점을 분명하게 야기한다. 상기 실린더의 리셉터클에서 확실한 설치 위치를 얻기 위해 상기 가이드 부싱이 억지로 상기 리셉터클의 보어 안에 프레스되거나 억지로 상기 리셉터클에 프레스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상기 리셉터클의 정면쪽 환형 홈 안에 고정되는 원통형 단부를 가지는 가이드 부싱을 포함한다. 그런 종류의 리셉터클을 통해 상기 가이드 부싱의 단부쪽 림없이도 규정된 정확한 위치 배치가 가능해진다. 상기 압력 끼워 맞춤을 지지하는, 상기 가이드 부싱의 고정을 얻기 위해, 상기 가이드 부싱의 방향으로 상기 리셉터클의 벽 영역을 코킹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를 위해 가열 코킹 또는 초음파 코킹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실린더에 적합하다.
상기 환형 피스톤의 밀봉을 위해 씰 운동로로서 이용되는 가이드 부싱-표면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억지 끼워 맞춤으로 인한 응축 정도에 상응하게 상기 압력 끼워 맞춤의 영역에서 상기 표면을 더 크게 형성할 수 있 다. 따라서 상기 표면의 직경이 상기 씰 운동로의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 시트의 영역에 있는 직경에 비해 더 작게 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부싱의 표면-직경과 상기 실린더-리셉터클 사이의 치수비가 제공된다. 정확한 안내를 위해 상기 실린더 안에 상기 가이드 부싱의 기울어짐을 피하기 위해 그의 직경이 상기 리셉터클의 길이 또는 폭 치수의 3배 값과 같거나 더 크다.
그 외에도 상기 가이드 부싱은 직각 걸이 고정부로도 불리는 스러스트-회전 연결부를 이용해 상기 실린더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부싱의 반경 방향 림 또는 상기 가이드 부싱의,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영역이 로킹 시에 상기 실린더의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프레스되고 원주 방향으로 즉, 상기 클러치 장치를 통해 안내되는 구동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대해 고정된다. 직각 걸이 고정부인 스러스트-회전 연결부의 형성을 위해, 상기 클러치 장치의 실린더 안에 환형 홈을 제공하며, 그의 깊이는 상기 가이드 부싱 림의 벽두께보다 크다. 이 때 반경 방향의 내향 돌출부가 상기 환형 홈의 벽에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는 원주 방향으로 볼 때 테이퍼되는 언더컷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부싱의 그에 적합한 림은 상기 돌출부의 치수에 일치하는 리세스를 가지므로, 축방향으로 제공되는 가이드 부싱이 회전을 제한한 후 위치 고정 및 회전 고정되게 상기 실린더에 배치된다.
상기 실린더에서의 가이드 부싱의 고정부의 변형예로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환형 홈의 반경 방향 돌기가 제공되고, 그 안에 상기 가이드 부싱의 림이 형상 결합식으로 결합된다. 이 때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 부싱-림의 외측 콘투어에 대 한 반경 방향의 커버를 보장한다. 그 대신에 돌기에 상기 환형 홈의 가장자리 영역의 가열 또는 초음파 코킹 또는 초음파 용접이 적합하며, 상기 환형 홈을 이용해 상기 가이드 부싱-림 또는 상기 가이드 부싱의 단부 영역의 외측 콘투어에 대한 반경 방향의 커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에 상기 가이드 부싱을 위치 고정하기 위한 조치로서 접착이 적합하다. 내가열성의 그리고 유체에 대해 특히 브레이크액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재료 쌍인 강 또는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에 적합한 접착 수단의 이용을 통해 고정도 밀봉도 개선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또 다른 구성에 따라 트리보 부식(tribo corrosion) 또는 콘택트 부식(contact corrosion)을 피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시트의 영역에서 또는 상기 가이드 부싱-림의 지지 영역에 상기 실린더 또는 하우징 및/또는 가이드 부싱의 코팅을 포함한다. 적절한 코팅으로서 상기 가이드 부싱은 부분적으로 즉, 상기 지지 영역에 및/또는 상기 리셉터클의 영역에 양극 처리, 하드 양극 처리를 통해 또는 플라스틱 코팅을 통해 보호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싱은 상기 변속기 케이스에 이격된 단부에서 반경 방향의 내향의 짧은 림을 갖는다. 그러한 림은 지지링의 스냅 연결의 형상 결합식 고정에 이용되며, 상기 지지링은 상기 환형 피스톤 및 그것과 연결된 릴리즈 베어링의 장착 후에 미리 장착된 상태에서 단부 정지부 및 그 결과 상기 환형 피스톤의 분실을 방지한다.
그 대신에 분리형 지지링을 위해 본 발명은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한 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 피스톤을 위한 엔드 스토퍼로서 이용된다. 상기 단부는 상기 환형 피스톤과 상기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의 장착 후에 텀블링 또는 프레스 보더링(bordering)을 통해 상기 가이드 부싱에 성형된다.
상기 실린더의 리셉터클에 상기 가이드 부싱을 고정하기 위한 조치로서 상기 가이드 부싱의 리셉터클에 할당된 영역이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있는 돌기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상기 설치 위치에서 상기 리셉터클의 보어 벽에 마찰 결합식으로 지지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가이드 부싱을 그의 전체 길이 연장부에 의해 지지하는 원통형 슬리이브에 일체로 연결된 플라스틱 실린더를 가지는 클러치 시스템을 포함한다. 원통형 파이프로서 구성된 가이드 부싱은 이 때 압력 챔버 쪽에 밀봉되고 마주하는 단부에서 고정링을 통해 상기 슬리이브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시스템은 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싱과 결합된 플라스틱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다수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을 이용해 상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부싱이 내장되어 있는 유압 클러치 시스템의 종단면도;
도 1a는 도 1의 "X"영역의 확대도;
도 1b는 상기 가이드 부싱에 대한 도 1a에 도시된 고정 예의 변형예;
도 2는 상기 실린더의 리셉터클에 고정되는 가이드 부싱을 가지는 클러치 시스템;
도 2a는 도 2의 "Z" 영역의 확대도;
도 3은 반경 방향으로 단이 있는 단부 영역을 가지는 가이드 부싱을 구비한 유압 클러치 시스템;
도 3a는 상기 가이드 부싱-씰의 도 3에 대한 변형예;
도 4는 환형의 단부 영역에 인접하며 한쪽이 개방된 환형 챔버를 반경 방향으로 형성하는 가이드 부싱의, 변속기 케이스를 향해 정렬된 단부 영역의 확대도;
도 5는 상기 실린더의 슬리이브 형상의 단을 에워싸며 변속기 쪽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한 환형 챔버를 가지는, 실린더 안에 내장된 가이드 부싱;
도 6은 스냅 결합에 의해 실린더에 배치된 가이드 부싱의 림의 확대도;
도 7은 슬리이브에 상기 가이드 부싱이 밀봉되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이브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실린더의 종단면도.
도 1에는 유압 클러치 시스템(1a)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 구성은 슬레이브 실린더를 포함하는, 즉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실린더(2)와 섭동할 수 있게 안내되는 환형 피스톤(3)을 가지는 피스톤-실린더 유니트를 포함한다. 장착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2)는 변속기 케이스(4)에 탈착될 수 있게 고정되며 그 때 내연기관과 변속기를 연결시키는 구동 샤프트(5)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된다. 상기 환형 피스톤(3)은 가이드 부싱(6a) 상에서 안내받으며, 상기 가이드 부싱은 상기 구동 샤프트(5)에 대해 그리고 상기 실린더(2)의 보어(7)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에 배열되어 있다. 디프드로잉 방법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커팅없이 강으로 제조되는 가이드 부싱(6a)의 끝 영역(end zone)(8)은 압력 끼워 맞춤에 의해, 보어(7)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어(radially displaced) 배열된 상기 실린더(2)의 리셉터클(9)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부싱(6a)은 단부 쪽에서 반경 방향의 외향 림(10a)을 가지며, 상기 림은 상기 가이드 부싱(6a)의 설치 위치에서 변속기 케이스(4)를 향해 있는, 상기 실린더(2)의 정면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싱(6a)의 표면(12)과 상기 실린더(2)의 리셉터클 보어(13) 사이에 환형 갭(11)을 밀봉하는데 씰(14a)이 이용되며, 상기 씰은 상기 림(10a)을 향해 있는 상기 실린더(2)의 정면에서 상기 실린더(2)의 리세스(15)에, 밀봉링 삽입부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 부싱(6a)의 밀봉, 형상, 및 설치 때문에 상기 가이드 부싱(6a)에서 압축되는 환형 영역이 감소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즉, 상기 클러치 시스템(1a)의 가동 시에 리세스(15)의 홈 높이를 통해 정해지는 환형 챔버의 압축만이 씰 쪽에서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상기 압력 챔버(16)의 환형 콘투어 내에 리세스(15)가 배열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부싱(6a)과 상기 실린더(2) 사이에 합성력이 조정되지 않는다.
동작 모드에서 축방향의 동작력을 제공받는 영역은 상기 압력 챔버(16)의 환 형 표면에 국한된다. 그 결과, 상기 리세스(15)의 홈 높이는 힘의 중첩 유입을 야기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동작 시에 상기 압력 챔버(16) 안에서 압력이 상승하기 때문에, 단점이 되는 축방향의 힘 성분이 상기 가이드 부싱(6a)의 림(10a)의 방향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실린더(2) 안에서 상기 가이드 부싱(6a)의 정확한 설치 위치를 얻기 위해, 즉 기울어짐을 피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9)의 길이 "L"과 상기 리셉터클 보어(13)의 내경 "D" 또는 상기 표면(12)의 외경 사이에 크기 비율이 제공된다. 충분한 안내를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크기 비율로서 "D"는 "L"의 3배값에 일치하거나 초과하도록 정해진다.
상기 가이드 부싱(6a)의 표면(12)은 상기 리셉터클(9)에 상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표면(12)에서의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압력 끼워 맞춤 직경(press fit diameter)을 갖는다. 상기 직경 차 때문에, 상기 가이드 부싱(6a)을 리셉터클(9)에 삽입할 때 피스톤 씰(17)을 위한 씰 운동로로서 이용되는 표면(12)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도 1a에는 상기 가이드 부싱(6a) 및 그에 귀속되는 림(10a)의 영역 "X"의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2) 안에 상기 가이드 부싱(6a)을 압력 끼워 맞추기 위한 조치로서, 상기 림(10a)의 끝 영역을 반경 방향에서 덮기 위해, 상기 실린더(2)의 소재를 반경 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코킹한 코킹부(18)가 이용된다. 그 결과, 상기 코킹부(18)는 규정된 배치를 보장하며 그 외에도 부분적으로 캐버티(cavity;24)를 가지는 림(10a)과 연결되어 비회전 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도 1a에는 상기 리세스(15)의 홈 높이를 통해 정해지는, 압축되는 환형 영역의 감소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싱(6a)의 씰은 상기 압력 챔버(16)의 환형 콘투어 내에 위치한다.
도 1b에서는 상기 림(10a)이 실린더(2) 내의 직각 걸이 고정부(19)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그 외에도 상기 실린더(2)가 정면쪽 리세스(20)의 영역에서 반경 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있는 돌출부(21)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와 인접부(23) 사이의 간격(22)은 개구로부터 연속적으로 테이퍼되어 있다. 상기 림(10a)의 캐버티(cavity;24)의 적절한 정렬을 통해, 상기 림(10a)이 상기 인접부(23)에 지지되게 한다. 테이퍼되는 상기 간격(22)의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부싱(6a)을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림(10a)의 코킹이 상기 돌출부(21)와 상기 인접부(23)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리셉터클(9)에 상기 가이드 부싱(6a)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부싱(6a)은 반경 방향의 외향 돌기(56)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 부싱(6a)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리셉터클 보어(13)에 마찰 결합식으로 지지되거나 상기 보어 벽에 클로(claw)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시스템(1b)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개별 부재들은 도 1에 도시된 클러치 시스템(1a)과 일치하며,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상기 클러치 시스템(1b) 안에 상기 가이드 부싱(6b)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싱이 압력 끼워 맞춤에 의해 리셉터클(9)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리셉터클(9)은 반경 방향의 단 형상을 가지며 환형 홈(25)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부싱(6b)의 단부 영역(28)이 상기 환형 홈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리셉터클(9)에 상기 가이드 부싱(6b)을 고정하기 위한 조치로서 상기 환형 홈(25)의 벽(27)이 상기 가이드 부싱(6b)의 방향으로 코킹된다. 상기 가이드 부싱(6b)의 표면(12)과 상기 리셉터클 보어(13) 사이에 환형 갭(11)을 밀봉하기 위해 반경 방향 홈(29) 안에 씰(14b)이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 부싱(6b)의, 상기 리셉터클(9)에 이격된 단부는 분리형 제한 링(30)을 가지며, 상기 제한 링은 상기 가이드 부싱(6b)의 단부(31)에 스냅된다. 그러므로 상기 환형 피스톤(6b)을 위한 가이드 부싱(6b)은 엔드 스토퍼(end stopper)를 형성하므로, 상기 클러치 시스템(1b)이 미리 조립된 유니트로서 미리 완성될 수 있다. 상기 유니트가 상기 환형 피스톤(3)에 고정된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32)도 포함한다.
도 2a에는 도 2의 영역 "Z"의 단부(31)가 확대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 안에는 상기 단부(31)의 내경이 가이드 부싱의 다른 영역에서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가이드 부싱(6c)을 가지는 클러치 시스템(1c)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시스템(1c)의 나머지 모든 부재는 도 1에 도시된 클러치 시스템(1a)에 일치하며, 그 결과 이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그에 대한 설명과 관련하여, 제 1 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참고가 될 수 있다. 도 3에 따른 가이드 부싱(6c)은 변속기 쪽에서 반경 방향의 단을 형성하는, 즉 원주 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영역(26)이 상기 림(10b)에서 연속되며, 상기 실린더(2)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 부속 장치(33)가 상기 영역을 외측에서 에워싸고 있다. 그 외에도 상기 가이드 부싱(6c)의 반경 방향의 단에 수납되는 레이 디얼 패킹 링(34)이 내연기관과 변속기를 연결시키는 구동 샤프트(5)의 밀봉에 이용되고 상기 림(10b)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2)에 대해 상기 가이드 부싱(6c)을 밀봉하기 위해 씰(14c)이 이용되고, 상기 씰은 씰 삽입부로서 형성되는 리세스(15) 안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부싱(6c)의, 상기 표면(12)과 림(10b)을 통해 형성된 직각 영역에 기밀하게 접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부싱(6c)은 상기 림(10b)이 축방향으로 실린더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싱(6c)의 센터링은, 반경 방향으로 예비 응력을 받아서 상기 실린더(2)의 부속 장치(33)에 접하는 영역(26)에 의해 이루어진다. 설치 고정 요소로서 또는 분실되지 않는 유니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부싱(6c)은 융기부(55)를 통해 위치 고정된다. 상기 융기부(55)의 배열을 통해 상기 가이드 부싱은 상기 실린더(2)의 숄더(37)에 지지된다.
도 2a에는 상기 가이드 부싱(6c)의 밀봉에 대한 대안이 도시되어 있다. 그 외에도 상기 가이드 부싱은 반경 방향으로 상기 클러치 시스템(1c)의 종축(39)의 방향으로 정렬된 환형 융기부를 가지며, 상기 환형 융기부는 상기 씰(14d)의 수납을 위해 환형 홈(38)을 형성한다. 상기 림(10b)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열된 씰(14d)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실린더(2)의 리셉터클 보어(13)에 기밀하게 인접한다. 상기 가이드 부싱(6c)을 위치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부싱(6c)의 표면(12)에 환형 홈(36)이 제공되고, 설치된 위치에서는 상기 실린더(2)의 숄더(37)에 지지되는 고정링(35)이 상기 환형 홈(36) 안에 삽입되어 있다.
도 4에 따른 클러치 시스템(1d)이 확대도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싱(6d)의, 변속기 케이스의 방향으로 정렬된 단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싱(6d)은 환형 챔버(40)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 챔버는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상기 림(10c)에 연속되며 상기 실린더(2)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배열되고 상기 실린더(2)의 방향으로 개방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환형 챔버(40)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단부 영역(41)이 제공되며, 상기 단부 영역은 상기 환형 챔버(40)를 외부에서 에워싸며 상기 가이드 부싱(6d)은 상기 단부 영역에 의해 축방향으로 상기 실린더(2)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싱(6d)의 센터링은, 상기 실린더(2)의 리셉터클 보어(13)의 벽에 지지되는 표면(12)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부싱(6d)과 상기 실린더(2) 사이의 환형 갭(11)의 밀봉은 씰(14e)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의 설치 위치는 도 3에 따른 씰(14c)에 일치한다.
도 5에는 상기 클러치 시스템(1e) 중에서 상기 실린더(2) 및 가이드 부싱(6e)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가이드 부싱(6d)에 유사하게, 상기 가이드 부싱(6e)은 상기 림(10d) 쪽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동된 환형 챔버(40)를 형성하며, 상기 환형 챔버는 상기 실린더(2)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단(42)을 에워싸고 있다. 상기 가이드 부싱(6e)의 센터링은, 상기 단(42)의 표면에 지지되는, 상기 환형 챔버(40)에 귀속하는 외벽(43)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단부 영역(41)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싱(6e)이 상기 실린더(2)에 면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실린더(2)에 대해 상기 가이드 부싱(6e)의 밀봉을 위해 씰(14f)이 이용된다. 상기 씰은 상기 단(42)의 정면쪽 리세스(44) 안에 삽입되고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환형 챔버(40)의 내벽(45)에 접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리세스(44)의 외측 콘투어는 상 기 보어(7)의 내벽에 일치한다. 그러므로 상기 압력 챔버(16)를 압축하면, 그와 동시에 압축되는, 상기 씰(14f)을 위한 상기 리세스(44)의 환형 챔버가 상기 압력 챔버(16)의 환형 콘투어 내에 배열되고 그 결과 부가적으로 합성력이 조정되지 않는다. 그 외에도 도 5에는 상기 가이드 부싱(6e)의 고정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배열되는 스냅 노즈(46)를 이용하며, 상기 가이드 부싱(6e)의 단부 영역(41)이 설치 위치에서 반경 방향에서 결합하게 된다.
도 6에는 클러치 시스템(1f)의 실린더(2)에 상기 가이드 부싱(6f)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에 대한 대안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부싱(6f)은 실린더(2)에서 탄성적으로 스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2) 안에 하나 이상의 축방향 영역(47)이 제공되어 스냅 노즈(48)를 형성하며, 상기 림(10f)의 에지(49)가 상기 가이드 부싱(6f)의 설치 위치에 스냅된다.
도 7에 도시된 클러치 시스템(1g)에는 상기 종축(39)을 동심으로 에워싸는 슬리이브(50)에 일체로 연결되는 플라스틱 실린더(2)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가이드 부싱(6g)의 지지를 위해 상기 슬리이브(50)가 이용된다. 상기 슬리이브(50)와 가이드 부싱(6g)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 갭(51)의 밀봉을 위해, 상기 가이드 부싱(6g)은 압력 챔버쪽에서 상기 씰(14g)을 수납하기 위한 환형의 융기부(52)를 가지며, 상기 씰은 상기 가이드 부싱(6g)의 설치 위치에서 실린더(2)에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 부싱(6g)의 위치 고정은 상기 슬리이브(50)의 환형 홈(54) 안에 삽입된 고정링(53)을 통해 이루어진다.

Claims (30)

  1. 변속기 케이스에 탈착되는 실린더를 가지는, 구동 샤프트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되고, 슬레이브 실린더로도 불리는 피스톤-실린더 유니트와;
    상기 실린더의 보어의 벽과 가이드 부싱의 표면에 의해 반경 방향에서 한정되는 환형의 압력 챔버 안에서 안내받는 환형 피스톤과;
    상기 가이드 부싱의 상기 압력 챔버에 이격된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분리형 기어시프트 클러치의 릴리즈 엘리먼트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과;
    상기 실린더에 위치하고 기밀하게 고정된 가이드 부싱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분리형 기어시프트 클러치를 위한 유압 클러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은 반경 방향에서 센터링되고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실린더에 림을 이용하여 고정되고 씰이 상기 가이드 부싱과 상기 실린더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씰이 상기 압력 챔버의 환형 표면 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환형 표면의 돌출부 쪽으로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에서 안쪽으로 이동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커팅없이 제조되는 가이드 부싱이 상기 변속기 케이스를 향해 있는 단부에서 외부를 향해 정렬된 림에 의해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고, 상기 림이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종축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림이 상기 실린더의 정면쪽 캐버티(cavity)에 형상 결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이 상기 림에 이어지면서 반경 방향으로 단의 형상을 가지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으로 실린더 쪽으로 한쪽에서 개방되고 상기 실린더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한 환형 챔버가 상기 가이드 부싱의, 반경 방향의 외향의 림에 연속되고, 상기 환형 챔버는 바깥쪽에서 단부 영역에 의해 에워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림의 외경과 상기 가이드 부싱의 표면 사이의 직경비는 1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은 상기 표면을 이용해 리셉터클 안에 또는 상기 실린더의 리셉터클 보어의 벽에 센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이 상기 영역을 이용해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돌출한 부속 장치에 센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이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상기 가이드 부싱의 환형 챔버에 결합하는, 상기 실린더의 단에 센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이 상기 림에 연속되어 돌출된 환형 챔버를 에워싸는 반경 방향의 단부 영역에 의해 상기 실린더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은 상기 실린더의, 상기 압력 챔버에 이격된 정면에 있는 리세스 안에 삽입되고 설치 위치에서 내부에 그리고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부싱에 의해 에워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이 실린더의 단의 정면쪽 리세스 안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부싱의 환형 챔버의 벽에 기밀하게 접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이 상기 가이드 부싱의 림 쪽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반경 방향의 내향의 환형 홈 안에 삽입되며 설치 위치에서 외측에서 상기 실린더의 리셉터클 보어의 벽에 기밀하게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안에서 가이드 부싱의 위치 고정을 위해 부분적으로 또는 환형인 반경 방향의 외향의 융기부가 상기 실린더의 리셉터클 보어를 반경 방향에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의 표면의 환형 홈 안에 삽입되는 고정링이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기 가이드 부싱의 위치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림 또는 상기 가이드 부싱의, 에지로서 형성된 단부 영역이 상기 실린더의 하나 이상의 스냅 노즈에 형상 결합식으로 스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이 상기 표면의 단부 영역을 이용해 상기 실린더의 리셉터클 보어 안에 프레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이 원통형 단부를 이용해 실린더의 리셉터클의 정면쪽 환형 홈 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의 표면이 상기 압력 끼워 맞춤의 영역에서 그 나머지 표면에 비해 확대된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20. 삭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의 림이 직각 걸이 고정부로도 불리는 스러스트-회전 연결부를 이용해 상기 실린더에 회전 고정 및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의 위치 고정을 위해 상기 림이 상기 실린더의 캐버티(cavity) 안에 삽입되고 반경 방향으로 안을 향해 있는, 상기 림의 단부 영역과 반경 방향으로 결합하는 코킹부 또는 돌기를 이용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의 림이 가열 또는 초음파 코킹을 통해 상기 실린더에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리셉터클에 가이드 부싱이 부분적으로 또는 환형으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의 표면이 상기 실린더의 인접 영역에서 양극 처리되거나 하드 양극 처리되거나 플라스틱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이 상기 압력 챔버에 이격된 단부에서 반경 방향의 내향 단부를 가지며, 지지링이 상기 단부에 형상 결합식으로 스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27. 제 1 항에 있어서,
    환형 피스톤을 위한 엔드 스토퍼를 형성하는, 외부를 향해 있는 환형인 또는 부분적으로 배열된 단부를 상기 가이드 부싱이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이 상기 환형 갭의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으로 안을 향해 있는 돌기를 가지며, 이것은 상기 가이드 부싱의 설치 위치에서는 형상 결합식으로 및/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상기 리셉터클 보어의 벽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29. 제 1 항에 있어서,
    실린더의 가이드 부싱이 상기 실린더에 일부재로 연결된 원통형 슬리이브에 밀봉되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실린더가 알루미늄 또는 강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싱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KR1020007011500A 1998-06-10 1999-05-22 클러치 시스템 KR100582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5965 1998-06-10
DE19825965.4 1998-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766A KR20010042766A (ko) 2001-05-25
KR100582819B1 true KR100582819B1 (ko) 2006-05-23

Family

ID=787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500A KR100582819B1 (ko) 1998-06-10 1999-05-22 클러치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94253B2 (ko)
EP (1) EP1088175B2 (ko)
KR (1) KR100582819B1 (ko)
BR (1) BR9911133A (ko)
DE (3) DE59908312D1 (ko)
WO (1) WO19990647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5670A2 (en) * 2009-07-10 2011-01-13 Borgwarner Inc. Fluid accumulator cha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8148A1 (de) * 1999-02-25 2000-08-31 Schaeffler Waelzlager Ohg Ausrücklager für Kupplungen
AU7641300A (en) * 1999-08-24 2001-03-1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elease system
DE10314864B3 (de) * 2003-04-02 2004-10-28 Fte Automotive Gmbh & Co. Kg Zentralausrücker für eine hydraulische Kupplungsbetätigung
DE10356236A1 (de) * 2003-12-02 2005-06-30 Ina-Schaeffler Kg Gehäuse für ein Ausrücklager
WO2006047981A1 (de) * 2004-11-05 2006-05-1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Nehmerzylinder
DE102007018969A1 (de) * 2007-04-21 2008-10-30 Zf Friedrichshafen Ag Anordnung einer Tellerfeder bei einem Kolben eines Schaltelementes
DE102008047837A1 (de) 2007-10-11 2009-04-1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upplungsnehmerzylinder
DE102010022236B4 (de) 2009-06-12 2019-08-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indung einer Führungshülse mit dem Gehäuse eines mit Druckmittel beaufschlagbaren, als Zentralausrücker ausgebildeten Nehmerzylinders
DE112013004051A5 (de) * 2012-08-16 2015-05-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bridmodul mit Trennkupplung für einen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4202012A1 (de) * 2014-02-05 2015-08-06 Zf Friedrichshafen Ag Fahrzeuggetriebe
DE102014224950A1 (de) 2014-12-05 2016-06-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nehmerzylindereinrichtung
FR3047055B1 (fr) * 2016-01-25 2019-07-12 Valeo Embrayages Bute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16124444A1 (de) 2016-12-15 2018-06-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ehmerzylinder
DE102017209567A1 (de) * 2017-06-07 2018-12-13 Mahle International Gmbh Kraftmaschinenanordnung
DE102018102449A1 (de) * 2018-02-05 2019-08-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ehmerzylinder mit Kolben ausgebildet zur Verschleißreduzierung; Betätigungseinrichtung; sowie Kupplungssystem
US10619680B2 (en) * 2018-03-08 2020-04-14 Aktiebolaget Skf Clutch thrust bearing device including a ball bearing, and driveline system including such a device
US20230304540A1 (en) * 2020-09-03 2023-09-28 Zf Cv Systems Europe Bv Pneumatic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1531A (en) * 1981-12-15 1985-12-31 Automotive Products Plc Hydraulic slave cylinder with latch means for use with clutch release bearing
GB8415051D0 (en) * 1984-06-13 1984-07-18 Lucas Ind Plc Hydraulic slave cylinder
DE3427791A1 (de) * 1984-07-27 1986-01-30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Hydraulisch betaetigbarer kupplungsausruecker
DE4130525C2 (de) * 1991-09-13 2000-05-18 Mannesmann Sachs Ag Fluidbetätigbares Ausrücksystem
SE512438C2 (sv) 1991-11-26 2000-03-20 Luk Lamellen & Kupplungsbau Friktionskoppling
DE4313346A1 (de) * 1993-04-23 1994-10-27 Fichtel & Sachs Ag Hydraulisch betätigbares Ausrücksystem
FR2708530B1 (fr) 1993-08-03 1997-01-24 Luk Getriebe Systeme Gmbh Véhicule équipé d'un embrayage automatique.
DE4407665B4 (de) * 1994-03-09 2005-09-22 Zf Sachs Ag Hydraulisch betätigbares Ausrücksystem
FR2730534B1 (fr) * 1995-02-09 1997-04-04 Valeo Butee de debrayage a commande hydraulique pour un embrayage a diaphragme de vehicule automobile
DE19614385A1 (de) * 1996-03-04 1997-09-11 Schaeffler Waelzlager Kg Dichtung für einen Ringkolben einer hydraulischen Kupplungs-Ausrückvorrichtung
FR2772443B1 (fr) 1997-12-11 2001-09-28 Valeo Recepteur hydraulique de command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57590B1 (fr) * 1996-12-23 1999-09-10 Valeo Recepteur de commande hydraulique d'embrayage
KR100505304B1 (ko) 1996-12-23 2005-09-27 발레오 클러치제어용유압리시버
DE19716218C2 (de) * 1997-04-18 2001-08-30 Schaeffler Waelzlager Ohg Kupplungsausrücklag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5670A2 (en) * 2009-07-10 2011-01-13 Borgwarner Inc. Fluid accumulator chamber
WO2011005670A3 (en) * 2009-07-10 2011-04-21 Borgwarner Inc. Fluid accumulator chamber
CN102472333A (zh) * 2009-07-10 2012-05-23 博格华纳公司 流体储存室
US8851257B2 (en) 2009-07-10 2014-10-07 Borgwarner Inc. Fluid accumulator chamber
CN102472333B (zh) * 2009-07-10 2016-03-09 博格华纳公司 流体储存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64757A1 (de) 1999-12-16
EP1088175B2 (de) 2010-11-10
EP1088175A1 (de) 2001-04-04
KR20010042766A (ko) 2001-05-25
EP1088175B1 (de) 2004-01-14
DE19981050B4 (de) 2009-04-09
US6394253B2 (en) 2002-05-28
DE19981050D2 (de) 2002-03-14
US20010011626A1 (en) 2001-08-09
DE59908312D1 (de) 2004-02-19
BR9911133A (pt) 2001-03-06
DE19923853A1 (de) 199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819B1 (ko) 클러치 시스템
US7121396B2 (en) Hydraulic operating arrangement for clutches and the like
KR100389753B1 (ko) 유압제어식클러치해제베어링
US6336329B1 (en) Hydraulic cylinder
US4747805A (en) Protective boot assembly for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6328148B2 (en) Hydraulic clutch release mechanism
US7287376B2 (en) Hydraulic cylinder, in particular slave cylinder for a hydraulic clutch actua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JP3795921B2 (ja) ガイドスリーブを有する、特に自動車用のダイヤフラム式クラッチのための流体制御式クラッチ解除ベアリング
US6659252B2 (en) Clutch actuating apparatus
KR20010030674A (ko) 강철로 만들어진 안내 슬리브를 포함하고 플라스틱으로만들어진 종실린더 하우징
US5052279A (en) Hydraulic cylinder for a hydraulic actuation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friction clutch
US4406213A (en) Mechanically controlled brake power booster
US6584771B2 (en) Piston for a hydraulic cylinder, in particular a clutch master cylinder for motor vehicles
CN113874619A (zh) 用于高压燃料泵的滚子挺杆
US20020129603A1 (en) Device to reduce vibrations in a hydraulic force transfer system
KR100767331B1 (ko) 유체동력학 커플링 장치
US4409885A (en) Brake booster
JPH01280606A (ja) 自動液圧調節式弁タペット
US7493849B2 (en) Hydraulic cylinder, in particular slave cylinder for a hydraulic clutch actua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CN114286898A (zh) 具有深拉凸缘的飞轮组件
US20020169050A1 (en) Torque transmitting device with backlas-compensation
KR20010079545A (ko)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릴리즈 시스템용 실
US5428960A (en) Master cylinder
KR100505304B1 (ko) 클러치제어용유압리시버
KR19990077989A (ko) 차량유압계통의작동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