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2271A - 변형 면역성 뉴멀리신 백신조성물 - Google Patents

변형 면역성 뉴멀리신 백신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271A
KR20010022271A KR1020007000844A KR20007000844A KR20010022271A KR 20010022271 A KR20010022271 A KR 20010022271A KR 1020007000844 A KR1020007000844 A KR 1020007000844A KR 20007000844 A KR20007000844 A KR 20007000844A KR 20010022271 A KR20010022271 A KR 20010022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ified
polypeptide
nucleic acid
numericin
acid molec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350B1 (ko
Inventor
콘체이카오 미네티
프랜시스 미숑
제프리케이. 풀렌
메리엘렌 폴비노-보드나르
슈-메이 리양
조제프 와이. 타이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노스 아메리칸 백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노스 아메리칸 백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2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3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Streptococcus (G), e.g. Enterococci
    • C07K14/315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Streptococcus (G), e.g. Enterococci from Streptococcus pneumoniae (Pneum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9Lactobacillales, e.g. aerococcus, enterococcus, lactobacillus, lactococcus, streptococcus
    • A61K39/092Stre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A61K2039/6037Bacterial toxins, e.g. diphteria toxoid [DT], tetanus toxoid [T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31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involving capsular polysaccharide of bacterium, e.g. polyribosyl ribitol phosph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30/00Chemistry: natural resins or derivatives; peptides or proteins; ligni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 Y10S530/82Proteins from microorganisms
    • Y10S530/825Bacter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뉴멀리신의 면역성질을 보유하는 한편 자연형 뉴멀리신과 비교하여 용혈작용성이 검출되지않을 정도로 작거나 감소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관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원하는 특성을 지닌 새로운 뉴멀리신 변형체를 생성하는 방법에도 관계한다. 그밖에 또한 본 발명은 무독성, 변형뉴멀리신이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대한 예방면역성을 자극하는 백신을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한 면역조성물을 제공한다. 백신은 박테리아성 다당류에 변형뉴멀리신이 결합된 조성물이거나 혹은 약화된 바이러스성 벡터에 포함된 것이다. 그밖에도, 본 발명은 또한 무독성, 변형뉴멀리신 유독소를 사용하여 치료대상자의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대한 항체를 자극시키고 그후 이것을 분리하여 2차대상자에게 전달하여 결국 2차대상자에게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 예방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관계한다.

Description

변형 면역성 뉴멀리신 백신조성물{MODIFIED IMMUNOGENIC PNEUMOLYSIN COMPOSITIONS AS VACCINES}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는 세균성폐렴, 균혈증, 뇌막염 및 이염 매질의 주요 원인균인 것으로 알려졌다 (Baltimore et al. in Bacterial infections of humans: Epidemiology and control Evans and Brachman eds., Plenum Press, New York, 1989 pp.525-546; Schuchat et al. N. Engl. J. Med. 1997, 337, 970-976). 적절한 항생제요법을 이용해도 폐렴성감염으로 미국에서 매년 40,000여명정도가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Fedson et al.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994, 154, 2531-2535; Fiebach et al.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994, 154, 2545-2557). 덧붙여서, 폐렴구균은 페니실린 및 기타 효과적인 백신의 개발로 공공보건에 중대한 문제인 폐렴감염을 예방할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계속 증가되었다. (Farr et al.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995, 155, 2336-2340). 현재 23가 페렴구균 캡슐형 다당류 백신은 2세미만 유아에게는 무효하다 (Douglas et al. J Infect Dis 1983, 148, 131-137; Leinonen et al.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Journal 1986, 5,39-44). 이 연령층에서 주로 나타나는 이염매질을 예방하기 위해 다수의 다가성 결합백신이 개발되고 있다.
뉴멀리신(PLY)은 술피드릴활성 세포용해독소로서 모든 종류의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로부터 생성되며 (Kanclerski et al., J Clin Microbiol 1987, 25, 222-225) 페렴의 주요 발병인자로 밝혀졌다 (Boulnois Journal of General Microbiology 1992, 138, 249-259). S. pneumoniae의 유전조작된 PLY-음성 돌연변이균주는 생쥐실험에서 발병력이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Berry et al. Microb Pathog 1992, 12, 87-93; Berry et al. Infection and Immunity 1989, 57, 2037-2042). 폐동맥 내피 및 외피세포의 세포독성은 체외실험으로 충분히 확인되었다 (Rubins et al. Infection and Immunity 1992, 60, 1740-1746). 또한 PLY 는 기니아픽을 모델로한 페렴구균이염에서 청각손실 및 와우관손상의 큰 원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Winter et al. Infection and Immunity 1997, 65, 4411-4418).
1985년부터 전세계적으로 매년 5세미만의 아동 중 5백만여명이 S. pneumoniae 로 인한 폐렴으로 사망했다 (1985, Sep 28 2(8457):699-701). S.pneumoniae 는 다수의 발병인자를 통해 초기감염을 일으키고 이것을 위험한 질병으로 발전시킨다. 다양한 혈청타입 S.pneumoniae로 인한 계통적감염을 예방하기위해 유아 및 성인은 적절한 교차반응성 백신 즉, 안전하고 약효가 우수하면 장기적인 면역성을 나타내는 백신을 이용하여 면역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아동의 폐렴증식 및 감염에 관한 연구에서, 폐렴 혈청타입 6, 14, 19 및 23이 가장 많이 또한 가장 빈번하게 유아의 감염 특히 이염매질의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Gray et al. J. Infect. Dis. 1988. 158. 948-955). 덧붙여서, 최근에는 이들 동일한 균주가 페니실린 내성의 임상분리물 중에 가장 자주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Nesin et al. J. Infect. Des., 1988, 177, 707-713). 상술한 혈청타입을 포함한 4가 폐렴결합백신을 맞은 영유아를 상대로한 임상연구에서 백신관련 균주의 운반체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Dagan et al. Infect. Dis. J. 1997, 16, 1060-1064).
거의 모든 S.pneumoniae의 분리물이 올리고당의 반복으로된 외부캡슐을 나타낸다. 다양한 당류순열로 인한 캡슐형 다당류내 항원차이는 다양한 S.pneumoniae 혈청타입을 표시하는 홀마크이다. 혈청특이 캡슐형 다당류는 폐렴구균의 발병에 대한 주요기여자이다. 기존의 항폐렴균 백신은 현재 확인된 84개의 혈청학적 유별형 중에서 선택된 23개의 캡슐형 다당류로 조제된다. 불행히도, 이들 백신은 모든 사람들 특히 아시아인들에게는 큰 효과가 없다. 기존백신의 두번째 단점은 다당류 자체가 특히 영유아 및 아동들에 있어서 면역원이 적다는 점이다.
S.pneumoniae에 의해 발현된 폴리펩티드는 특히 중요한 병원체 역할을 한다. 기관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폴리펩티드로는 뉴멀리신, 오토리신, 뉴라미니다제, 페렴구균 표면 폴리펩티드A(PspA), 37kDa 폴리펩티드, 접착분자, 히알우로니다제, 또한 IgAl프로테아제 등이 있다.
실제로, 모든 혈청타입 S.pneumoniae는 주요 발병인자중 하나인 뉴멀리신을 생성한다. 각종 S.pneumoniae 혈청타입에 의한 발현 때문에 독성변화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서 뉴멀리신은 폐렴 예방백신에 사용할 수 있는 기본대상이 된다.
뉴멀리신은 분자량 약 53kD의 세포내 세균성 폴리펩티드이다 (Kanclerski et al. 1987 J.Clin.Microbiol. 25:222-225). 이것은 티올활성 헤몰리신종의 하나이며 유핵세포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뉴멀리신은 유핵세포막의 콜레스테롤분자에 결합하여 올리고머를 형성하고, 또한 전달막공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호흡폭발, 화학주성 및 다핵백혈구의 식균기능 모두가 침입성 폐렴구균을 제거하는데 중요한 것이며 뉴멀리신의 존재하에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멀리신은 세포융해 및 세포독성 영향을 유발하며 부차적인 활성경로에 의해 염증반응을 자극할 수 있다. 비특이적활성은 부차의 폴리펩티드상실을 유발하고 또한 비특이적염증을 일으킨다. 실험동물의 폐속에 뉴멀리신을 접종하면 폐렴과 유사한 증세가 나타난다. 그러나, 뉴멀리신에 의한 사전-면역반응은 폐렴 검사에서 실험동물에 대해 예방성이 있다 (Paton et al.(1983) Infect. Immun. 40:548-552)
뉴멀리신에의해 면역된 개체의 예방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면역활성 및 능력 때문에, 백신의 한 성분으로서 뉴멀리신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PCT/AU89/00539). 그러나, 뉴멀리신이 인체용백신에 포함시키기전에 이 독소를 변형시켜 무독성 상태로 만들고 또한 이 능력을 지속 예방항체를 유도하는 능력을 유지해야한다.
독성작용이 없어진 변형 뉴멀리신은 뉴멀리신의 아미노산부위 확인에 기초하여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며 이는 관련 티올함유 폴리펩티드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WO 90/06951). 보고된 돌연변이는 폴리펩티드의 C-말단부에만 나타나며 목표한 돌연변이기술을 이용해서 생성하였다. N-말단부위의 특이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다른 돌연변이가 용혈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용혈작용의 다대한 감소는 위치156에서 히스티딘 변형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Hill et al. (1994), Infaction and Immunity, 62, 757-758). 치환된 뉴멀리신이 적절히 리폴드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데이터는 없다. 단일 돌연변이 Thr-172→Ile 가 용혈작용감소된 뉴멀리신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변칙적인 전기이동성 결과 단백질이 부적절하게 폴드되어있음이 나타났다 (Lock et al. Microb. Pathog. (1996)21, 71-83).
본 발명은 백신 더 구체적으로, 뉴멀리신 변형체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traptococcus pneumoniae)를 포함한 세균에 의해 유발된 감염에 대한 포유동물의 면역반응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도 1은 [서열 1]에 기재된 제14형 뉴멀리신의 와일드타입 핵산을 보여준다.
도 2는 [서열 2]에 기재된 제14형 뉴멀리신의 무제한적인 핵산변형체를 보여준다. 잔유기 위치에 용혈작용을 경감시키는 핵산치환체의 예시가 있다; 181,C; 443,A; 583,A 또는 G. 또한 용혈작용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지않은 핵산치환체의 예시도 잔유기 위치에 있다; 50,G; 54,T; 98,C; 122,G; 134,C; 137,C; 187,T; 196,T; 248,C; 276,C; 302,C; 305,G; 351,T; 380,A; 382,C; 459,C; 514,G; 558,C; 566,G; 717,A; 764,G; 770,G; 1038,T; 1138,A; 1212,A; 1296,T; 1386,G; 1395, A.
도 3은 [서열 3]에 기재된 제14형 뉴멀리신의 아미노산서열을 보여준다.
도 4는 [서열 4]에 기재된 제14형 뉴멀리신의 무제한적인 아미노산변형체를 보여준다. 잔유기 위치에 용혈작용을 경감시키는 아미노산치환체의 예시가 있다; 61,Pro; 148,Lys; 195,Ile 또는 Val; 243, Arg, Val, Glu 또는 Ser; 286,Asp; 446,Ser. 또한 용혈작용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지않은 아미노산치환체의 예시도 잔유기 위치에 있다; 17,Arg; 18,Asn; 33,Thr; 41,Gly; 45,Ala; 46,Thr; 63,Ser; 66,Tyr; 83,Ser; 101,Thr; 102,Gly; 127,Glu; 128,His; 153,Met; 172,Ala; 189,Arg; 239,Arg; 255,Gly; 257,Gly.
도 5는 와일드타입 뉴멀리신 핵산서열을 함유한 플라스미드pNV-19의 지도이다. pNV 플라스미드열은 변형뉴멀리신 핵산서열로 복제하여 pET-24a로부터 유도된 것이다.
도 6은 특이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pNVJ1, pNVJ45, pNVJ20, pNVJ22, pNVJ56, pNV103, pNV207, pNV111, pNV211에서 핵산 및 아미노산치환체의 위치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IPTG 유도에 따른 재조합 뉴멀리신의 발현을 보여주는 SDS-PAGE이다.
도 8은 생쥐에 대한 1가 혹은 4가 폐렴구균 뉴멀리소이드를 2회 주사한 후의 다당류-특이IgG의 다당류 약량반응의 비교결과를 보여준다.
도 9는 생쥐에 대한 뉴멀리소이드 혹은 파상풍유독소 담체에 각각 결합된 4가페렴백신을 2회 주사한 후의 다당류-특이IgG의 비교결과를 보여준다.
도 10은 생쥐에게 1가 및 4가 폐렴구균 다당류-뉴멀리신백신을 2회 주사한 후 유도된 뉴멀리소이드-특이IgG를 보여준다.
도 11은 생쥐에게 4가 폐렴구균 PS-뉴멀리소이드 및 PS-파상풍유독소 결합백신을 2회 주사한 후 유발된 다당류-특이옵소닌식세포활성을 보여준다.
도 12는 생쥐에게 1가 및 4가 페렴구균결합물을 3회 주사한 후 유발된 항용혈 뉴멀리소이드-특이활성을 보여준다.
도 13은 용혈억제작용을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해당 돌연변이체를 사전접종한 경우의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의 용혈역가를 나타낸다. 그래프의 막대는 해당 돌연변이체로 사전처리된 적혈구에 대해 검사했을 때 와일드타입에 대한 최종 용혈역가를 나타낸다.
도 14는 용해성 와일드타입 PLY, (A) PLYD 돌연변이체 pNV207, 또한 (B) PLYD 돌연변이체 pNV103 를 이용하여 와일드타입 PLY에 대한 토끼의 다클론항체와 또한 와일드타입 PLY 단백질 간의 억제력을 비교한 ELISA 연구결과를 보여준다.
도 15는 와일드타입 뉴멀리신 및 돌연변이체의 형광스펙트럼을 보여준다. 와일드타입 뉴멀리신 및 선별된 돌연변이체의 형광방출스펙트럼을 여기파장 290nm 및 단색측정기 슬릿 2nm을 갖는 10mM의 인산나트륨(pH 7.5)에서 기록하였다.는 pNV207,는 pNV111,는 pNV211, +는 pNV103, 또한는 와일드타입을 나타낸다.
도 16은 (A)가 돌연변이체 뉴멀리신 pNV207(상부표)과 제14형 CPS 결합돌연변이체 뉴멀리신 pNV207(하부표)의 먼거리UV CD 스펙트럼이고; (B)가 뉴멀리신 pNV(상부표)과 제14형 결합돌연변이체 뉴멀리신 pNV207(하부표)의 근거리UV CD 스펙트럼이다.
도 17은 (A)가 생쥐에 대한 4가 폐렴구균 뉴멀리소이드 pNV207 결합백신과 다당류-특이IgG반응의 시간에 따른 결과이고; (B)가 생쥐에 대한 4가 폐렴구균 뉴멀리소이드 TT 결합백신과 다당류-특이IgG반응의 시간에 따른 결과이며; (C)가 생쥐에 대한 1가 폐렴구균 뉴멀리소이드 pNV207 결합백신과 다당류-특이IgG반응의 시간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임의의 PCR 돌연변이를 이용한 안정한 유전변형의 비독성 면역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생성 및 확인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백신의 면역원으로 사용되거나 혹은 S. pneumoniae나 기타 세균감염에 대한 다당류 결합백신을 위한 면역담체 폴리펩티드로 사용될 수 있는 변형 뉴멀리신(뉴멀리소이드)도 역시 제공된다. 이 발명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독소의 독성작용이 거의 없거나 크게 감소되고 유도항체가 천연독소에 의해 유도된 물질과 교차반응하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또한 변형뉴멀리신 코딩핵산서열, 이들을 함유한 벡터 또한 본 발명의 핵산분자를 발현할 수 있는 변형숙주세포에도 관계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은 변형뉴멀리신이 세균다당류와 공유결합하여 결합체를 형성하는 다당류-폴리펩티드 결합분자이다. 이러한 결합분자는 변형뉴멀리신에 결합된 세균성 다당류에 대향할 T셀 의존성 면역반응을 유도할 면역원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은 다시또 면역반응을 유도할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계한다.
또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대한 반응성 항체의 생성을 유도하는 방법에도 관계한다. 이러한 항체는 능동 및 수동면역성을 모두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은 또한 반응성항체의 발견 및 분리에도 관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천연독소분자에 결합하는 항체의 생성요인이 되는 에피토프(항원결정기)를 구속하는 한편 독성이 크게 감소하거나 거의 없는 유전적으로 안정한 변형 S.pneumoniae 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은 유전변형 뉴멀리신(뉴멀리소이드)의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민감한 동물에 전달된 S. pneumoniae에 대한 예방면역을 유도하고 또한 항체를 유발할 수 있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백신조제물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다. 이러한 백신은 뉴멀리소이드 자체에 기초하거나 혹은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공유결합된 하나이상의 세균성 다당류를 포함하는 결합체에 기초한다.
뉴멀리신은 S.pneumoniae의 공지된 균주에서 발견된다. 이것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다양한 S.pneumoniae 혈청종류 중에서 사실상 교차예방효과를 얻는 능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독소 작용을 하고(뉴멀리소이드) 따라서 항체유도에 유용하여 S.pneumoniae 대항 백신에 사용할 수 있는 유전변형 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제공한다. 변형 뉴멀리신, 벡터 및 벡터에 의해 형질전환된 숙주세포를 코딩하고 또한 변형 뉴멀리신을 코딩할 핵산을 포함하는 핵산서열도 본 발명을 구현한 실시형태이다.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치환된 본 발명의 변형 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면역성있는 충분한 양의 에피토프를 보유하고 와일드타입 뉴멀리신과 교차반응할 항체를 유발한다. 그밖에도, 상술한 변형 폴리펩티드의 독성이 크게 감소하여 심각한 부작용없이 포유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당류에 공유결합하여 결합체를 형성할 특이변형 뉴멀리신 폴리펩티드가 제공된다.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다양한 다당류에 결합시키면 광범위한 혈청학적 병원균에 대한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한 세균에서 캡슐형 다당류를 선택하면 본 발명에 따라 수막염구균,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및 스트렙토코쿠스B군, 기타 다른 세균들에 대한 면역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뉴멀리신게놈의 유전변형은 임의의 돌연변이기술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A. 변형뉴멀리신의 생성 및 확인방법
본 발명의 유전변형된 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종래의 재조합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Sambrook et al., 1989,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and Ausubel et al. Eds., 1997,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Inc.). 뉴멀리신 폴리펩티드의 소수 변형물이 아미노산 및 핵산서열의 높은 보존율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Mitchell et al., 1990, Nucleic Acid Res. 18:4010) 이 기록에 따르면 뉴멀리신 제1형 S.pneumoniae의 위치153에 있는 이소로이신이 제2형에서는 메티오닌으로 치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시 위치153에 이소로이신을 갖춘 제14형의 경우 위치180에 아스파트산이 아닌 아스파라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변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에피토프가 보존된 변형뉴멀리신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핵산 및 아미노산 조성물내에서 다른 치환물 중에 포함되기도 한다.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본 발명에 있어서 와일드타입과 비교할 때 용혈반응이 크게 감소되거나 없고 또한 천연 혹은 와일드타입 뉴멀리신과 교차반응할 항체를 생성할 다수의 에피토프를 보유하는 것이다. 상기의 폴리펩티드는 1차로 임의의 돌연변이체를 뉴멀리신 코딩유전자에 삽입하고 그후 발현된 폴리펩티드 생성물을 독성작용의 감소나 상실에 대하여 스크리닝처리하여 확인한다.
1. 뉴멀리신 변형방법
S.pneumoniae 감염의 면역화작용에 유리한 사실상 면역성이 있고 독성은 거의 없거나 전혀없는 뉴멀리신을 제조 및 확인하는 새로운 스크리닝시스템도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다음 2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 (1) 임의 돌연변이화 단계 및 (2) 선별단계이다.
임의 돌연변이화는 뉴멀리신속에 돌연변이물을 공급하는 적절한 방법 중 하나이다. 표준 돌연변이방법이 여기에 적합하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임의PCR을 실행하여 무작위로 제14형 뉴멀리신유전체속에 뉴클레오티드변형물을 제공한다. 후속으로 선별단계를 통해 원하는 변형물을 확인한다. 이 방법은 개별 뉴멀리신 유전자로 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생성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핵산서열이 확인된다. 비제한적인 뉴멀리신 유전자의 예로서 제2형 및 제14형 뉴멀리신 코딩유전자를 들 수 있다. 제14형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도1에 나와있다.
PCR 혹은 핵산증폭방법에 대하여는 미국특허 4,183,195, 4,965,188 및 5,176,995 등의 내용을 참조한다. 일반적으로, PCR 은 하나이상의 특이핵산서열을 증폭하는 방법이며 각 서열은 2개의 보조사상체로 구성된다. PCR은 각 사상체를 보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와 교잡시켜야한다. 이 핵산은 하기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보조사상체를 합성하기위한 것이다. 각 프라이머의 연장물은 그후 각 핵산사상체에 대해 보조역할을 하도록 합성된다. 그후, 연장물을 이것이 합체된 제공물로부터 분리하여 단일사상체분자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단일사상체분자는 다시 두번째 단계에서 생성된 각 단일사상체분자에 대해 연장물이 합성되는 조건하에서 첫단계의 프라이머로 처리한다. 이들 단계는 최초 핵산을 최적으로 증폭하여 생성물을 합성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PCR 돌연변이반응은 "비정합" 뉴클레오티드를 성장중인 사상체속에 삽입하면 실패율이 큰 통상의 PCR 중합효소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임의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다른 공지방법으로서 화학적 돌연변이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Eichenleub, R. 1979, J. Bacteriol. 138:559-566). 별도로, 돌연변이단계는, 하나 혹은 양쪽 프라이머가 임의의 뉴클레오티드열을 포함하고 한편으로는 이들 프라이머의 일부가 보조역할을 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지된 뉴멀리신서열에 "연결"되는 "준-무작위" 단계를 이용하는 PCR에 의해 달성되기도 한다.
여기서의 "프라이머"는 정제된 제한소화물에서 자연발생되거나 합성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핵산사상체에 대한 보조역할을 하는 프라이머 연장물의 합성을 유발시키는 조건하에 있을 때, 즉 적절한 온도 및 pH에서 DNA중합효소 등의 유도제와 뉴클레오티드의 존재하에서 핵산합성이 개시될 때 작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는 바람직하게 최대의 증폭효율을 위해 단일사상체화되며 또는 별도로 2중사상체화되기도 한다. 2중사상체화될 경우 프라이머는 증폭물을 제조하는데 이용되기전 1차로 사상체 분리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머가 올리고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이며 유도제의 존재하에서 연장물의 합성을 개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어야한다. 프라이머의 정확한 길이는 온도, 프라이머 기원 및 이용방법 등의 다양한 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프라이머는 통상 10개 혹은 그이상의 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한다.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는 예컨대, 인산3에스테르 및 인산2에스테르법 (Narang, S.A. et al., 1979, Meth. Enzymol. 68:90; Brown E.L., et al., 1979, Meth. Enzymol. 68:109) 혹은 이의 자명한 실시형태 등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자명한 실시형태 중에서, 디에틸포스포라미디트를 출발물질로 사용하며 또한 공지방법 (Beaucauge et al., 1981, Tetrahedron Let. 22:1859-1962)대로 합성하기도 한다. 변형지지물 상에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는 한가지 방법은 미국특허 4,458,066의 내용을 참조한다.
또한 생물학적인 기원으로부터 분리된 프라이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한가지 예로서 뉴멀리신서열에 대한 교잡시 충분한 보조역할을 하는 대형의 뉴멀리신 코딩핵산분자의 제한 핵산분해효소 소화물이 있다. 뉴클레오티드 치환체를 화학합성중에 프라이머속에 삽입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뉴클레오티드서열은 특별히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분자내의 단일돌연변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자연형 뉴멀리신 폴리펩티드의 면역성을 유지할 경우(도2 참조), 다른 한편으로 하나이상의 독성특징을 경감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면 다중돌연변이 역시 가능하다. 다중변형은 따라서 단일 폴리펩티드분자에 속하게된다 (도4 참조). 다중변형은 독성 자연형서열로 역행하는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그러나,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단일 아미노산 치환물을 생성할 핵산서열내의 단일돌연변이이다.
변형 뉴멀리신을 코딩할 무작위 혹은 준-무작위 PCR 생성물은 공지된 표준클론화 기술에 의해 적절한 발현벡터속에서 증식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벡터는 적어도 하나의 가능한 복제위치, 최소 하나의 항체선별표시유전자, 전사촉진자 및 복제원을 포함한다. 벡터는 다양한 융합숙주세포에서 증식하여 고도로 발현된다. 바람직한 숙주는 E.coli, B.subtilis 같은 세균이나 혹은 S.cerevisiae 등의 이스트를 포함한다. 포유동물의 세포 같이 이스트를 제외한 다른 진핵세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복제 플라스미드벡터/숙주세포의 복합물은 융합벡터와 숙주세포이다. 변형뉴멀리신의 발현을 지원한다면 적절한 발현벡터와 숙주세포도 수용할 수 있다. 복제 및 발현을 위한 표준프로토콜을 공지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Ausubel, F.M. et al., eds., 1997,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Inc.)
2. 변형뉴멀리신의 스크리닝
변형뉴멀리신 뉴클레오티드서열을 적절한 판독프레임내의 벡터에 결합시키고 이것을 숙주세포로 형질전환한 뒤, 독성이 없거나 감소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세포복제물을 확인하기위해 스크리닝처리한다.
무작위 돌연변이된 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적절한 형질전환숙주를 확인하는 방법도 본 발명에서 제공한다. 바람직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천연뉴멀리신과 비교할 때 크기등 구조적성질이 유사하다. 따라서, SDS-PAGE 및 겔투과형 크로마토그래피 같이 폴리펩티드의 크기를 분석하는 선별방법을 이용한다. 뉴멀리신을 발현하는 형질전환숙주는 SDS-PAGE를 이용하는 숙주에 의해 발현되는 단백질을 분석하고 또한 동일한 벡터와 함께 형질전환되었으나 뉴멀리신 혹은 변형뉴멀리신을 코딩할 핵산서열은 함유하지않은 숙주 ("표준숙주")로부터 얻은 SDS-PAGE겔에 상기의 겔(크로마토그래피의 겔)을 비교하여 확인한다. 뉴멀리소이드 발현 형질전환숙주는 SDS-PAGE로 검사했을 때 새로운 띠를 형성하며 뉴멀리소이드에 상응하는 대형띠를 형성할 형질전환숙주가 대상체로 선별될 수 있다. 이들 클론으로부터 발현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다시 세포추출물내 용혈작용에 대하여 스크리닝처리되면 용혈작용이 감소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확인할 수 있다. 무변형 혹은 아직 독성이 있는 변형된 활성뉴멀리신을 생성할 형질전환숙주는 이 단순스크리닝 단계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별도로, 변형뉴멀리신은 특별히 국한되지는 않으나, SDS-PAGE 및 그뒤의 전기블롯팅(electroblotting) 혹은 웨스턴블롯팅 분석법을 이용하거나, 전체세포추출물의 점블롯팅 또는 용해성분의 제한된 단백분해법 등의 공지방법에 따라 확인될 수 있으며 다시 SDS-PAGE나 웨스턴블롯팅으로 소화물을 분석한다.
뉴멀리신 정제 및 분리방법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변수는 변형뉴멀리신이 용해단백질 상태로 존재하거나 혹은 봉입체에서 불용화하는 것의 여부를 포함한다. 비록 규정은 아니지만, 뉴멀리신의 폴드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돌연변이는 봉입체에 축적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세포추출물의 용해성분내 확인되는 변형뉴멀리신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핵산침전법, 염분별법 혹은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혹은 소수성 상호반응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포획절차를 포함한 종래의 정제방법으로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는 특히 상술한 크로마토그래피법 중 하나의 후속단계로서 사용하기도한다. 이와 별도로, 재조합 변형뉴멀리신은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혹은 티올함유 단백질 분리방법이나 당해분야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기타의 공지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다 (Current Protocols in Protein Science, 1995, John Wiley & Sons).
또한 별도로, 봉입체에서 유도된 변형뉴멀리신은 핵산 및 기타 세균성세포벽 오염물 제거를 위해 봉입체를 수회 세척하여 분리하기도한다. 이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규정완충액 혹은 규정완충액과 세제첨가물을 써서 펠릿을 세척하는 것도 포함한다. 단백질은 세척된 봉입체를 요소나 우레니딘 HCl 용해후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처리하여 변성조건하에서 정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단백질 재폴드처리전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재폴드 뒤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실행하면 재폴드처리 및 정제된 단백질을 최대수율로 수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형뉴멀리신은 기준으로 이용하며 상술한 절차에 따라 수득할 수 있다. 자연형 대응체의 용혈작용 및 이동이나 용출프로파일등은 용해성분이나 봉입물로부터 변형뉴멀리신의 분리를 위한 기준으로 사용할수 있다.
적절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발현할 클론의 바람직한 선택기준은 (1) 변형뉴멀리신 발현; (2) 총길이 발현(자연형뉴멀리신의 경우 약 53,000 분자량에 기초하여); (3) 용해성분의 뉴멀리소이드 존재; (4) 저용혈작용; 또한 (5) 고수율의 발현폴리펩티드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한다.
스크리닝 프로토콜에 상술한 기준 전체가 포함되어 유용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발현할 가장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클론을 확인할 수 있으나, 비록 덜 효율적인 클론이라도 총길이가 아닌 일부만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변형뉴멀리신을 생성할 수 있다. 단 이것의 길이가 자연형뉴멀리신과 교차반응하는 항체의 생성을 유도하고 또한/또는 다당류 폴리펩티드 결합분자내에서 담체폴리펩티드 기능을 하기에 충분한 길이이어야한다.
상술한 바람직한 클론을 확인하기에 적절한 방법은 크기 및 용혈작용도를 포함한 발현단백질의 특성을 직접분석하는 것이나, 그밖에도 자연형뉴멀리신에 대한 항체와의 교차반응성 혹은 핵산프로브에 대한 교잡반응도 등을 검출하는 기타의 방법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변형뉴멀리신 핵산서열을 함유한 플라스미드와 함께 형질전환된 숙주세포 클론의 초기확인은 공지의 표준교잡반응 분석을 통해 실행된다. 변형뉴멀리신 유전자의 프로브는 자연형뉴멀리신 핵산서열이나 증폭프라이머 혹은 증폭된 서열의 존재를 가리키는 다른 프라이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하이브리도마프로브는 30 내지 40개의 뉴클레오티드길이,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개의 뉴클레오티드길이를 갖는다. 프로브는 변경된 베이스를 함유하는 서열에 교잡되므로 정확성이 떨어진다.
바람직한 교잡방법은 블롯교잡법이다. (Sambrook et al., 1989,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프로브는 DNA 또는 RNA이며 쉽게 통용되는 다양한 라벨링기술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방사선라벨화, 디곡시게닌라벨화, 또한 비오틴라벨화 등이 있다. 널리 공지된 DNA라벨화 방법은 DNA중합효소, 클레노우효소 혹은 폴리뉴클레오티드 키나아제를 이용한32P이다. 또한, 이외에도 화학성분을 피리미딘과 퓨린고리에 부착하는 방법 (Dale, R.N.K. et al., 1973, Proc. Natl. Acad. Sci. USA 70:2238-42), 화학발광성에 의한 검출방법 (Barton, S.K. et al. 1992, J.Am. Chem. Soc. 114:8736-40) 또한 비오티닐화 핵산 프로브를 활용하는 방법 (Johnson, T.K. et al., 1983, Anal. Biochem. 133:125-131; Erickson, P.F. et al. 1982, J.Immunol. Methods 51:241-39; Matthaei, F.S. et al. 1986, Anal. Biochem. 157:123-28) 또한 시중제품을 이용한 형광성에 의한 검출방법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비방사성 신호증폭기술이 있다. 비방사성 라벨화기구 역시 시판하고 있다.
스크리닝기술은 저용혈작용에 대하여 공지방법에 따른 뉴멀리소이드발현 세포의 검사도 포함한다 (Bernheimer, A. 1988, Meth. Enzymol. 165:213-217). 마이크로분석법은 96-웰 U형 저면의 마이크로적정판에서 실행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했을 때 뉴멀리신(자연형 혹은 변형) 발현이 양성으로 나타난 군집으로부터 증식된 배양분취물을 이용한다. 분취물은 추출하여 폴리펩티드함량에 대해 정규화한다. 추출물은 또한 원심분리하고 그 결과로 나온 펠릿세포편 및 상청액을 각각 따로 분석하였다. 또한 상청액내의 뉴멀리소이드 발현 확인은 용해된 성분에서 실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결합물의 분취액을 수득하여 원심분리로 펠릿화하고 상청액 혹은 펠릿의 작용효과를 분석한다. 작용효과에 대해 펠릿을 스크리닝할 때는 변성물 즉, 요소와 또한 용해종류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희석물과의 용해반응이 수반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단백질이 재폴드화되고 또한 작용효과를 검출할 수 있다.
작용효과가 음성이면 재폴드화된 비활성 폴리펩티드 혹은 부적절한 폴리펩티드가 나온다. 이러한 두가지 조건을 구별하려면 2차 스크리닝절차를 이용한다. 작용효과-음성 클론이 변성되어 재폴드화한 후에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상에 공급된다. 와일드타입 뉴멀리신과 유사한 용출패턴을 가진 돌연변이물을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고 또한 와일드타입 뉴멀리신과 유사한 스톡스반경을 가진 단량체형 종류를 선별한다.
선별된 클론의 변형뉴멀리신을 코딩하는 삽입된 핵산서열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순서화되며 이에 상응한 아미노산서열이 유도된다.
B.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1. 용혈작용의 감소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비용혈성 혹은 사실상 비용혈성인 폴리펩티드이며 아직까지 자연형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에 결합될 적어도 하나의 에피토프를 유지한다. 이러한 용혈작용은 뉴멀리신독성과 관계가 있으므로, 변형뉴멀리신은 자연형뉴멀리신보다 덜 독성을 가진 것으로 예측된다.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N-말단에서 시작되는 처음 257개 아미노산 중에 속한 S.pneumoniae 제14형 와일드타입 뉴멀리신(도 3)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돌연변이물을 함유한다. 1개 정도의 아미노산변형이 요구되며 이결과 용혈분석에서 측정했을 때 독성이 거의 없거나 적은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하나 혹은 그이상의 위치61, 148 및 195의 치환에 의해 용혈작용이 감소한 폴리펩티드를 얻게된다. 아미노산위치61, 148 및 195에서의 바람직한 치환물은 하기 표1에서 보는 바와 같다.
표 1
아미노산 위치
61 148 195
와일드타입 Ser Met Phe
치환물 Pro Lys Ile/Val
상기의 아미노산이 아닌 다른 아미노산이 이들 위치에 치환된 경우 즉, 중성pH에서 유사한 전하를 갖는 것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위치61의 세린은 히드록시프롤린; 148의 메티오닌은 아르기닌이나 히스티딘; 195의 페닐알라닌은 로이신, 글리신 혹은 알라닌으로 치환되는 것도 제한없이 가능한 치환의 예가된다.
단일치환물이 용혈작용 완화에 충분하기는 하나, 이러한 감소효과는 아미노산군에 대한 특이성이 있는 단일 폴리펩티드속에 치환되어도 달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위치33, 46, 83, 239 및 257의 아미노산을 하나의 단일폴리펩티드에 함께 치환하는 경우 용혈작용의 감소와 함께 뉴멀리신특성을 가진 폴리펩티드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치환물은 표2에서 보는 바와 같다.
표 2
아미노산 위치
33 46 83 239 257
와일드타입 Ile Ile Leu Ser Asp
치환물 Thr Thr Ser Arg Gly
단일치환에 있어서, 상기 치환물과 또다른 아미노산들도 상술한 바와 유사한 전하를 갖는 경우 역시 치환될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서, 세린 및 트레오닌은 서로치환가능하고 또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다른 중성의 아미노산이 위치257의 Asp 대신 치환되기도 한다.
용혈작용의 감소나 제거에 효과적인 상술한 치환물 이외에도, 자연형뉴멀리신을 구속할 항체와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피토프가 존재한다는 전제하에서 다른 치환물도 생성할 수 있다. 치환가능하나 단독으로는 용혈작용을 감소시킬 수 없는 비제한적인 아미노산 잔기의 예를들면, 위치17, 18, 33, 41, 45, 46, 63, 66, 83, 101, 102, 127, 128, 172, 189, 239, 255 및 257의 아미노산이 있다. 이들위치에 치환되는 물질은 역시 비제한적으로 표3에 나타낸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위치는 용혈작용 감소와 무관하므로 크기나 전하에 큰 관계없이 더 자유롭게 치환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표 3
아미노산 위치
17 18 33 41 45 46 63 66 83
와일드타입 Lys Lys Ile Asp Val Ile Thr Asn Leu
치환물 Arg Asn Thr Gly Ala Thr Ser Tyr Ser
아미노산 위치
101 102 127 128 172 189 239 255 257
와일드타입 Ile Asp Val Asn Thr Gln Ser Lys Asp
치환물 Thr Gly Glu His Ala Arg Arg Gly Gly
상술한 아미노산 치환물에 국한되지않고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확인된 다른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자연형뉴멀리신 서열의 단일위치 돌연변이는 이 뉴멀리신 폴리펩티드의 항원특성이 단일위치 변형에 의해 더욱 쉽게 유지되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별도로, 다중돌연변이의 복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중돌연변이는 가끔 예측불허인 경우도 있다. 즉 돌연변이는 공동상승적으로 작용하여 용혈작용을 없애거나 혹은 폴드시 보상메카니즘을 수반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단일위치 돌연변이가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스크리닝은 사실상 전체길이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확인하는 것에 기초하나, 뉴멀리신에 결합된 항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에피토프가 확인된다는 전제하에서 상기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의 단편 및 절단형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편 및 절단형이 충분한 크기로 되어 T셀 의존형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다당류-폴리펩티드 결합물을 생성한다.
뉴멀리소이드 단백질의 용혈작용은 뉴멀리소이드가 실제사용되는 방식에 따라 광범위하다. 예를들어, 용혈작용이 작은 뉴멀리소이드의 결합반응은 상기의 작용효과를 수용가능한 수준까지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서, 뉴멀리소이드를 결합되지않은 개별성분에 제공하거나 개열시킬 경우 가능한 최소검출레벨에 근접한 정도까지 용혈작용을 감소시켜야한다. 이 목적을 위해, 용혈율은 약 0.2% 내지 0.5%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 수준이 적당하다. 어느정도의 용혈작용을 허용하는 경우 혹은 이것이 예컨대, 다당류에 대한 결합 등에 의해 감소할 경우, 약 0.5% 내지 25% 혹은 바람직하게 약 1% 내지 10% 정도로 더 큰 용혈율도 수용가능하다.
2. 단백질 구조
과거의 연구결과에서 PLY 의 C-말단은 세포결합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Owen et al. 1994, FEMS Microbiol. Let. 121, 217-221). 본 발명의 돌연변이연구는 올리고머반응 영역을 포함하는 N-말단에 초점을 맞추었다. 농도의존방식으로 와일드타입 용혈작용을 없앤 특정 돌연변이물로 적혈구를 사전증식하면 이들 돌연변이물이 실제로 세포결합영역에 대하여 와일드타입 대응물에 필적할 수 있다. 돌연변이물은 와일드타입 효과를 저해하므로, 이들은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의 구조특성을 유지하기가 용이하다. 돌연변이물 특히 pNV103 및 pNV207의 경우에서 세포결합영역의 보존은 이들 돌연변이물이 ELISA 억제분석에서 알수 있듯이 와일드타입분자의 면역학적성질을 나타내므로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이들 돌연변이물에 대응되는 항체는 와일드타입 대응물의 용혈작용을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며 이것은 이들이 자연구조에 유사한 구조를 가졌음을 나타내는 증거이다.
와일드타입 뉴멀리신과 선별된 돌연변이물의 구조적 성질과 통합성은 원형이색성 및 형광분광학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러한 기술은 단백질의 2차 및 3차 구조에 대한 정량 및 정성분석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특별한 장점이 있다.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은 β-시이트 구조 함량이 크다는 특징이 있으며 현재의 연구에서 선별된 모든 돌연변이물의 원거리 UV CD 스펙트럼의 현저한 우수성이 확인되었다. 스펙트럼 형태와 탈경련현상의 분석이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자연형 폐렴구균 뉴멀리신과 동등한 대장균의 용해성분으로부터 정제된 재조합 뉴멀리신에 대한 과거의 연구와 일치하고 있다 (Mitchell et al. 1989, Biochem. Biophys. Acta 1007, 67-72). 마찬가지로, 근거리 UV CD 및 형광스펙트럼은 290nm에서 여자될 때 ~345nm에서 최대방출함에 따라 입증된 바와 같이, 측쇄가 일부 용매에 노출된 Trp 잔기를 함유하는 자연구조와 일치하고 있다 (Morgan et al., 1993 Biochem. J. 296, 671-674). ~280nm에서 최소타원 및 ~290nm에서 최대타원 형태로 나타나는 특수한 근거리 UV CD 스펙트럼은 이것과 (Morgan et al., 1993) 또한 다른 시토리신 즉 퍼프린고리신 (Nakamura et al., 1995, Biochemistry 34, 6513-6520)의 지문을 보여준다. 이와같이, 이들 특징적인 분광지문은 특히 백신대상물의 성분으로 선별된 돌연변이물에 대하여 뱃치-뱃치농도의 후속평가를 위한 바람직한 기본선 측정값을 표시한다.
C. 변형뉴멀리신 코딩 핵산분자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변형 폴리펩티드를 코딩할 핵산분자를 핵산분자에 의해 형질전환된 숙주세균내에서 발현시켜 합성한다. 따라서, 이 발명은 또한 상기한 변형뉴멀리신을 코딩할 DNA 및 RNA를 포함하여, 핵산분자를 포함한다.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DNA는 다양한 벡터를 이용하여 역시 다양한 숙주세포내에 재조합 폴리펩티드를 발현할 수 있다. 숙주세포는 원핵세포 혹은 진핵세포이다. 자연형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을 위한 DNA는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 등 자연기원에서 수득하거나 인공합성한다. 와일드타입 DNA는 그 뒤 상술한 바와 같이 변형될 출발물질로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코딩할 DNA를 수득할 수 있다. 목표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코딩한 것으로 확인되면, 이 폴리펩티드를 코딩한 DNA는 발현될 다양한 벡터속에서 복제된다. 이와 별도로, 상기의 폴리펩티드를 코딩할 유전자를 전체 혹은 일부 합성할 수도 있다.
구현된 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코딩할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에 의해 형질전환되는 세균속에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방법에 관계하며 이렇게 생성된 폴리펩티드는 형질전환세균내 발현된 총 단백질의 2% 이상을 포함하게된다. 또다른 한 실시형태에서, 발현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대장균내 발현된 총 단백질의 약 40% 이상을 포함한다.
복제벡터는 염색체, 비염색체 및 합성 DNA 서열의 분절을 포함한다. 원핵세포 벡터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대장균 즉 colE1, pCR1, pBR322, pMB9 및 RP5로부터 얻은 플라스미드를 포함한다. 원핵세포벡터는 또한 M13, fd 및 기타 다른 필라멘트형 단일사상체 DNA파지 등 파지DNA의 유도체도 포함한다.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직접 혹은 융해물 구조형태로 발현될 수 있다. 2가지 비제한적인 융해물 구조의 예를 들면, 종래의 방법대로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는 티오융해물과 His-Tag을 들 수 있다. 세균 특히, 대장균내 단백질을 발현하는 벡터도 공지되어있다. 이러한 벡터는 비제한적으로 pK233 (혹은 플라스미드의 tac종류), pT7, 또한 람다pSKF를 포함한다. 융해단백질을 발현하는 벡터의 예는 Dieckmann 및 Tzagoloff(1985, J. Biol. Chem. 260:1513-1520)이 발표한 PATH벡터를 포함한다. 이들 벡터는 안트라닐산염 합성물(TrpE) 및 카르복시말단에 있는 다연쇄자(polylinker)를 코딩하는 DNA서열을 함유한다. 2가지 비제한적인 융해구조물은 종래방법에 의해 분리 및 정제될수 있는 티오융해물 및 His-Tag 이다. 다른 발현벡터체계는 베타-갈락토시다제(pEX); 말토오스 결합단백질(pMAL); 또한 글루타티온 S-전달효소(pGST)를 기초한 것이다. (1988 Gene 67:31 및 1990 Peptide Research 3:167) (Ausubel et al., 하기참조).
이스트에 유용한 벡터도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예로서 YIp, YRp, YCP, YEp 및 YLp 플라스미드이다 (Ausubel, Id. 참조)
포유동물의 세포에 사용하는 적절한 벡터도 역시 공지되었다. 이러한 벡터는 SV-40, 아데노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유도 DNA서열의 공지 유도체 및 플라스미드와 파지DNA의 복합물로부터 유도된 벡터를 포함한다. 진핵세포 발현벡터의 또다른 벡터는 보고되었다 (P.J. Southern and P. Berg 1982, J. Mol. Appln. Genet. 1:327-341; S.Subramani et al. 1981, Mol. Cell. Biol. 1:854-864; R.J. Kaufmann and P.A. Sharp 1982, Mol. Cell. Biol. 159:601-664; S.I. Scahill et al. 1983, Proc. Natl. Acad. Sci. USA 80:4654-4659; G. Urlab and L.A. Chasin 1980, Proc. Natl. Acad. Sci. USA 77:4216-4220).
바람직한 벡터의 예로서 플라스미드를 들 수 있고, T7 유도형 촉진자를 함유한 것으로서 비제한적인 예를들면 발현 플라스미드 pET-17b, pET-11a, pET-24a-d(+) 및 pET-9a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노바겐사 제품이다 (565 Science Drive, Madison, Wis. 53711). 이들 플라스미드는 서열내 조작결합된 T7 촉진자, 선택적으로 lac 조작유전자, 리보좀 결합부위, 구조적 유전자 및 T7 종결유전자 서열이 삽입될 수 있는 제한부위 등을 포함한다. 노바겐사 카탈로그(1993) 36-43를 참조한다.
바람직한 발현숙주는 공지의 원핵세포 및 진핵세포를 포함한다. 적절한 원핵세포숙주는 대장균 BL21(DE 3), SG-936, HB101, W3110, X1776, X2282, DHI 또한 MRC1 등과 또한 셰도모나스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같은 바실러스류, 또한 스트렙토마이세스 등을 포함한다. 적절한 진핵세포숙주는 사카로마이세스 같은 이스트와 기타 균류, 벌레, COS 및 CHO세포같은 동물세포, 인간세포 또한 식물세포의 조직배양에서 얻은 것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대장균 균주 BL21(DE3)를 사용한다. 상술한 플라스미드는 이 균주로 형질전환된다.
적절한 벡터를 이용하여 형질전환한 대장균의 선별은 무형질전환세포에 대해 독성을 갖는 선별배지내에서 성장되는 표준선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대장균은 선별작용제 즉, 대장균이 암피실린 등에 대해 민감한 β-락탐을 포함한 배지내에서 성장한다. pET 발현벡터는 형질전환기관에 대한 항생성내성을 부여할 선별성 표시자를 제공한다.
고발현율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대장균에 독성이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은 대장균에서 발현되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총 세포단백질의 적어도 40% 수준으로 선별할 수 있게해준다.
또다른 뉴클레오티드 돌연변이물은 특히 번역된 아미노산이 선별클론의 서열에 기초하에 예측할 때 확인된 아미노산과 같은 종류일 경우 선별과정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덧붙여서, 뉴클레오티드 변화는 특히 확인된 폴리펩티드가 다른 아미노산 치환물을 표시할 경우에 보존형 아미노산을 코딩하도록 형성되기도 한다. 보존형 아미노산 치환물은 공지되었으며 "유사"아미노산의 치환물을 나타낸다.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극성, 소수성, 크기 및 측쇄구조 등을 고려한다.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무독성 혹은 사실상 무독성인 폴리펩티드이고 아직까지 자연형뉴멀리신에 대한 항체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피토프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은 특히 N-말단에 처음 257개 아미노산을 가진 것 중에서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돌연변이물을 함유한다. 변형뉴멀리신은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의 잔기위치 17, 18, 33, 41, 45, 46, 61, 63, 66, 83, 101, 102, 127, 128, 148, 172, 189, 195, 239, 243, 255, 257, 286 또는 446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서 존재하는 아미노산을 교체하거나, 제거하거나 혹은 블록화한 형태로 변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PCT WO 90/06951을 참조하면 잔기위치 367, 379, 384, 385, 397, 428, 433, 434 혹은 435에 있는 기존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도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발표된 본 발명의 아미노산 치환물 이외에도, 뉴멀리신에 관한 다른 아미노산 치환물이 이미 보고된 바 있으며 (Hill et al., 1994, Infection and Immunity 62, 757-758) 이들 역시 여기서 기술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뉴멀리신의 재폴드처리를 가능하게한다는 전제하에서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Hill et al.은 4가지의 N-말단부위 돌연변이물 즉, Arg-31→ Cys, Leu-75→ Phe, Val-127→ Gly 또한 His-156→ Tyr 을 발표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용혈율이 75%, 100%, 75% 및 2% 이었다. 또한 4개의 C-말단부위 돌연변이물 즉, Ala-432→ Val, Trp-433→ Arg, Trp-436→ Arg 또한 Val-468→ Leu 을 발표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용혈율이 100%, <1%, 50% 및 100% 이었다. 그러나, 이들중 어느 돌연변이물이 부적절하게 재폴드된 뉴멀리소이드가 된다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뉴멀리신의 바람직한 변형은 잔기위치 61, 148 혹은 195에 있는 것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위치195에 있는 것이다. 또한, 위치33, 46, 83, 239 및 257에 있는 변형복합물도 바람직하다.
위치지향 돌연변이방법을 이용하여 자연형 뉴멀리신서열속에 특별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바람직한 한 실시형태에서, PCR은 서열내 원하는 뉴클레오티드 치환물을 코딩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증폭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별도로, 변형뉴멀리소이드 폴리펩티드는 화학합성으로 형성하기도 한다 (Kent et al. Adv. Exp. Med. Biol., 1995, 362, 425-438). 이러한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뉴멀리소이드의 전체 혹은 일부를 제조할 수도 있다. 부분합성의 경우, 합성펩티드는 공지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절한 뉴멀리소이드 펩티드의 일부에 공유결합하여 반-합성 뉴멀리소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D. 백신 및 항체 조제물
본 발명은 또한 백신 및 항체조제물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현된 변형뉴멀리신이나 이들의 유도체 혹은 단편을 면역원으로 사용하여 뉴멀리신에 대해 작용하는 항체를 제조할 수 있다.
1. 항체
상술한 폴리펩티드 발현을 위한 재조합기술은 다량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의 제조측면에서, 본 발명의 핵산서열에 기초한 것이다. 이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의 생성을 촉진한다. 그러나, 폴리펩티드는 또한 화학합성법 혹은 이의 복합방법에 의해 인공적으로 합성할 수도 있다고 이해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는 공지방법에 따라 생성한다. 한가지 접근에 따르면, 항체는 분리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조제물이나 그의 유도체 혹은 단편을 숙주동물에 주입하여 생성할 수 있다. 숙주동물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쥐, 생쥐, 토끼, 인간이외의 대상물 혹은 인간 등이 있다. 면역학적 대응은 공지의 보조제를 사용하면 더 증가할 수 있다.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대한 모노클로날항체를 공지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한가지 방법에 따르면, 연속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의 배양이 있다 (Kohler and Milstein 1975, Nature 256:495-497).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대한 모노클로날항체는 역시 공지방법에 따라 제조된 인체 모노클로날항체 혹은 키메라 모노클로날항체 등이 있다. 한가지 접근에 따르면, 키메라 모노클로날항체는 인간의 한부위에 결합된 인간외(예, 생쥐) 항원결합영역을 가지도록 발생된다 (Takeda et al. 1985, Nature 314:452).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면역흡수 혹은 면역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혹은 기타의 크로마토그래피법 (예, HPLC, 겔여과형 또는 이온교환형)을 포함한 공지방법에 의해 정제된다. 항체는 또한 혈청, 플라스마 또는 세포배양배지로부터 나온 면역글로부린성분으로 정제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항체분자는 무상(intact) 면역글로부린분자, 사실상의 무상 면역글로부린분자 혹은 Fab 단편 등 항원결합부위를 함유하는 면역글로부린분자의 일부 등이다.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의 단편은 공지방법에 따라 생성된다 (Campbell 1985, Laboratory Techniques in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Vol. 13, Burdon, et al., (ed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Amsterdam).
2. 결합체분자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단독 혹은 또다른 면역원분자인 다당류 등에 결합된 상태인 S.pneumoniae 에 대한 항체반응을 유발한다. 다른 면역원분자는 S.pneumoniae 혹은 면역반응을 일으키기위해 필요한 다양한 감염작용제로부터 유도된다. 바람직하게, 변형뉴멀리신이 결합된 다른 변역원분자는 병원성세균으로부터 나온 캡슐형 혹은 비캡슐형 다당류이다. 이러한 세균으로는: 헤모필러스 인플루엔자b형; 수막염구균 A군, B군 혹은 C군; B형, Ia, Ib, II, III, V 및 VIII형군을 포함하는 각종 혈청타입의 B군 혹은 A군 스트렙토코쿠스; 또한 다양한 혈청타입 S.pneumoniae 제1형-23형 등을 포함한다. S.pneumoniae 제3, 4, 6b, 9v, 14, 18c, 19f 및 23형이 가장 바람직하다. 뉴멀리소이드 결합에 이용할 상기 다당류도 자체변형되어 고유에피토프에 대한 교차반응성을 감소시키거나 더욱 효율적이 될 수 있다. B군 수막염구균 다당류에 대한 변형에 관하여 Jennings et al. 미국특허 4,727,136 및 5,576,002 또한 국제출원공개 W096/40239에 대응하는 미국출원 08/484,569을 참조한다.
임의의 결합방식은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와 다당류성분을 결합시키는데 이용된다. 바람직한 방법은 말단 알데히드군을 (시스-비시널 히드록실기의 산화반응을 통해) 다당류속에 삽입하고 알데히드군을 환원아미노화반응으로 통해 폴리펩티드 아미노기에 결합시키는 것에 대해 발표한 미국특허 4,356,170을 참조한다. 다당류와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CH2-NH-폴리펩티드쇄를 통해 연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결합백신은 환원아미노화반응을 통해서 수득된 것에 특별히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백신은 아딥프산 디히드라지드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다당류와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결합시켜서 제조하기도 한다 (Schneerson, R. et al. 1980, J.Exp. Med. 1952:361-476, 미국특허 4,644,059). 혹은 Merck에서 개발한 2차스페이서 기술(Marburg, S. et al. 1986, J.Am. Chem. Soc. 108:5282-5287 참조)이나 가능할 경우 환원말단 방법학에 따라 제조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결합분자는 적어도 하나의 다당류성분에 결합된 본 발명의 하나이상의 변형뉴멀리신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펩티드가 적어도 2곳의 위치에서 다당류에 연결되어 교차연결 결합체를 생성하는 결합분자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백신은 능동 혹은 수동면역성을 제공한다. 능동면역성 제공백신은 정제된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백신의 폴리펩티드가 표1에서 나타낸 와일드타입 뉴멀리신 아미노산서열에 있는 아미노산치환물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를 치료 혹은 예방차원의 약제물로 사용하여 한 숙주개체에서 다른 개체로 면역성을 전달할 수 있다 (즉, S.pneumoniae에 대한 면역반응을 증가시켜 AIDS환자를 포함한 면역결핍환자에게 대응력을 제공한다). 수동적인 항체전달은 이미 공지되었으며 기존의 방법에 따라 달성된다. 한가지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나 이의 결합체에 대한 항체를 면역경쟁숙주("공여체") 동물에서 생성하여 수득하고 이것을 수여체에게 이입시키는 것이다. 예를들어 공여자인 인간에게서 상기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나 이의 결합체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고, 이것을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치료 및 예방효과적인 양만큼 수주하면 뉴멀리신 독소에 대한 내성 뿐만 아니라, S.pneumoniae와 또한 상기 공여자가 결합체로 면역화되어 있을 경우 다당류성분에 의해 생성될 항체와 결합하는 다른 세균에 대해서도 저항력을 갖게된다.
E.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이것을 포함하는 결합분자 혹은 상기 폴리펩티드 조성물 중 하나에 의해 유도될 항체를 포함한 조성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들 약제학적 조성물은 특히 백신으로 유용하다.
수동면역성의 유도를 위해, 이 약제학적 조성물은 폴리클로날항체나 모노클로날항체 혹은 이들의 유도체나 단편 등으로 구성된다. 항체, 단편 혹은 유도체의 양은 표준치료방법에서 정해진 치료 혹은 예방효과량이 된다.
본 발명의 약제물은 당해분야의 공지방법에 따라 투여한다. 피부내, 복강내, 정맥내, 피하, 근육내, 경구 혹은 비강경로를 통해 투여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표준담체, 완충액 혹은 보존제 등도 포함하며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생리학적 염수나 기타의 주사액 등 적절한 약제학적 수용가능한 담체를 들 수 있다. 백신용 첨가제도 존재하며 예를들면 락토오스나 솔비톨같은 안정화제, 또한 인산알루미늄, 수산화물 혹은 황산염 및 스테아릴티로신 등의 면역반응 증강보조제도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백신은 또한 다수의 감염작용제에 대한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다가 백신의 성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백신은 면역반응을 제공할 항체의 생성을 유도하기에 적절한 양만큼 투여한다. 투여량은 대상자의 신체크기, 무게 혹은 연령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항체반응은 항체역가 혹은 항생제의 약효를 분석하여 관찰하고 또한 필요시 면역반응을 개선하기 위해 더 자극시킬 수도 있다. 통상 1회 투약량은 0.1 내지 10㎍/kg 이다.
F. 진단기구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나 이의 유도체 혹은 단편을 사용하여 뉴멀리신 독소의 공급을 차단하고 S.pneumoniae에 대한 항체의 존재를 표시할 수 있는 안전진단기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항체의 존재는 병원균에 대한 사전노출을 표시하며 또한 대상체가 감염내성을 가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항체반응은 통상의 방법으로 확인가능하며 예를들면 ELISA분석법을 이용한다. 이 사전지식은 불필요한 백신투여를 피할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진단기구는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나 이의 유도체 혹은 단편 중 적어도 하나와 또한 변형 폴리펩티드나 이의 유도체 혹은 단편이 뉴멀리신에 대한 항체를 함유한 시료와 혼합되었을 때 항체반응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적절한 항체반응검출시약을 포함한다.
별도로, 진단기구는 또한 고형지지물 혹은 자기구슬이나 플라스틱매트릭스와 또한 본 발명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나 이의 유도체 혹은 단편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의 폴리펩티드나 이의 유도체 혹은 단편을 라벨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제는 통상의 것이다. 예를들어 표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방사성, 화학발광성, 생물학적발광성, 발광성 혹은 편리한 분석을 위한 기타의 확인가능한 "표식"을 제공하는 것이 있다. 체액이나 조직시료(혈액, 혈청, 타액 등)를 수거하여 정제한 후 진단키드에 넣는다. 뉴멀리신 폴리펩티드, 이의 유도체(뉴멀리소이드)나 단편은 정제되거나 정제되지않은 형태이며 또한 분자칵테일로 구성되기도 한다. 시료내 항체는 뉴멀리신과 반응하거나 하지않는다.
고형매트릭스는 공지의 것이며 비제한적인 예로서,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혹은 기타의 고형플라스틱재가 포함되고 이들을 시험관, 구슬형, 소형입자, 딥스틱형, 플레이트형 등으로 만들어 이용한다. 기타의 매트릭스로서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시험과 및 에펜도르프관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매트릭스는 리간드결합제를 부착할 수 있는 면 혹은 자체적으로 리간드 부착부위를 제공할 수 있는 면을 포함한다.
기타 본 발명에 관련한 특허 및 공지기술을 참조한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별히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당해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른변경도 가능함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
재료와 방법
세균균주 및 플라스미드.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 제14혈청타입 (ATCC, Rockville, MD)을 본 연구에서 유전체DNA 분리를 위해 사용하였다. 대장균 균주 DH5α(Life Technologies, Gaithersburg, MD)는 초기 클로닝 및 플라스미드 DNA의 제조에 사용되었다. 대장균 균주 BL21(DE3)ΔompA 는 단백질발현에 이용되며 BL21(BE3)으로부터 유도한 것이다 (Novagen)(미국특허 5,439,808 참조). S.pneumoniae 는 7.5% CO2하에서 흔들지않고 하룻밤동안 토드-히윗(TH) 브로스에 넣어 증식시켰다. 대장균 균주는 필요에따라 카르베니실린(50-100㎍/ml) 혹은 카나마이신(50㎍/ml)를 충전한 루리아-베르타니(LB)브로스에 넣어 증식시켰다. 플라스미드 벡터 pUC-19 및/또는 pBluescript II SK+ (스트라타겐)을 사용하여 서열화대상 단편을 클로닝했고 플라스미드 pET-17b 및 pET-24a (노바겐)을 사용하여 발현대상 단편을 클로닝했다.
SDS-PAGE.
단백질시료를 다음과 같이 제조했다: 배양물로부터 1.5ml을 수거하여 원심분리해서 세포를 수득했다. 세포는 150㎕의 단백질공급완충액에 넣어 재현탁한 후 5분간 끓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세포조각을 원심분리로 제거한 후 상청액의 10㎕을 저분자량표준(Bio-Rad)에 따라 8-16% 비율의 트리스-글리신 "람니"폴리아크릴아미드겔(Novex)를 통해 전기영동했다. 이와 별도로, 용혈작용분석을 위해 초기추출물을 제조하여 이것을 단백질공급완충액과 함께 1:1 비율로 희석하고 10-15㎕을 겔에 넣었다. 단백질띠를 쿠마씨블루 염색법으로 육안관찰했다.
[실시예1]
뉴멀리신의 발현
원하는 유전자를 함유한 pET-17b 혹은 pET-24a로 형질전환시킨 대장균 균주 BL21(DE3) Δompa 는 0.4% 글루코스 및 100㎍/ml의 카르베니실린(pET-17b 구조물) 혹은 50㎍/ml의 카나마이신(pET-24a 구조물)이 보충된 LB에서 30℃에서 약한호기상태로 증식하였다. OD600가 0.6에 도달하면, IPTG는 0.4mM(pET-17b 구조물) 및 1mM(pET-24a 구조물)의 최종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하고 세포는 스크리닝을 위해 다시 2시간동안 배양하거나 혹은 더 큰 크기로 성장하도록 5시간동안 배양했다. 뉴멀리신농도를 분석하기위해 1.5ml의 분취물을 유도전 및 유도후 각 시점에서 분리하여 SDS-PAGE로 검사했다.
[실시예2]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 제14혈청타입에 관한 뉴멀리신유전자의 클로닝
유전체DNA를 약 0.5g의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 제14혈청타입으로부터 상술한 방법에 따라 분리했다. 이 DNA는 표준PCR반응에서 2개의 뉴멀리신-특이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공자역할을 한다. 이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상기 S.pneumoniae 제2혈청타입으로부터 나온 뉴멀리신 유전자의 5' 및 3' 접촉부위에 보충되거나 또한 필요시 단편의 클로닝을 촉진하기 위한 XbaI제한부위를 포함하도록 설계되었다. 순행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서열은 [서열 5]에 기재된 바와 같고 또한 역행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서열은 [서열 6]에 기재된 바와 같다. PCR반응조건은 다음과 같다: 200ng S.pneumoniae 제14형 유전체 DNA, 각 1μM인 상술한 2개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200μM의 각 dNPT, PCR 반응완충액 (10mM 트리스HCl, 50mM KCl, pH8.3), 1.5mM MgCl3, 또한 2.5유닛의 Taq 중합효소, 또한 총 100㎕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QS의 dH2O.
이 반응혼합물을 1분간 95℃, 2분간 50℃, 또한 1.5분간 72℃에서 총 25회 순환시킨다. 회전이 끝나면, 반응혼합물을 1.0%의 아가로스겔에 붓고 재료를 1.7kb의 밴드가 분리된 후 2시간동안 전기영동시킨 후 DNA를 GeneCleanR(Bio 101)을 이용하여 회수했다. 이 DNA는 XbaI로 소화시키고, 다시 정제한 후 T4 DNA 리가제를 이용하여 XbaI-소화 pUC-19에 결찰시켰다. 결찰혼합물을 사용하여 경쟁 대장균 DH5α을 형질전환시켰다.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확인한 후 서열화했다; 대부분은 뉴멀리신 코딩유전자와 유사한 DNA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3]
대장균의 뉴멀리신유전자 발현
성숙 뉴멀리신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플라스미드는 전길이 뉴멀리신유전자(pST20, pST85, 혹은 제14형 유전체DNA)를 함유한 DNA를 뉴멀리신 코딩부위를 분리하는 형태의 네스트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증폭시켜 구성했다. 순행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NdeI 위치를 함유하는 형태로 되고 코딩부위의 5'말단에 출발코돈을 위치시킨다. 이 프라이머는 [서열 7]에 기재된 바와 같다. 역행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XhoI 위치를 함유하는 형태로 되고 [서열 8]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이 방법에 따르면 pET-17b 나 pET0-24a 중 어느 것의 NdeI 및 XhoI 위치에 성숙한 뉴멀리신을 코딩하는 단편의 클로닝이 가능하다. 표준 PCR은 전체 뉴멀리신 유전자(제1형, 2형 및 14형)와 상술한 2개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들어있는 템플릿을 이용하여 실행한다. 이 PCR 반응으로 1.0% 아가로스겔에서 분석했을 때 1.6kb 생성물을 수득했다. PCR반응으로 수득한 DNA는 제한효소 NdeI 및 XhoI로 정제 및 소화된 겔이었다. 1.6kb의 생성물을 다시 겔정제하고 T4 DNA리가아제를 이용하여 NdeI- 및 XhoI-소화된 pET-17b 혹은 pET-24a에 결찰시켰다. 이 결찰혼합물을 사용하여 다시 대장균 DH5α을 형질전환시켰다. 1.6kb 삽입물이 들어있는 군집을 다시 분석용으로 선택했다. DH5α클론으로부터 나온 DNA를 제한지도작성으로 분석한 결과 선택된 플라스미드의 클로닝접점이 서열이었다. 분석후, DH5α클론으로부터 수득한 DNA을 이용하여 대장균 BL21(DE3)ΔompA를 형질전환시켰다. 형질전환된 세균을 100㎍/ml의 카르베니실린 혹은 pET-24a 플라스미드를 이용할 경우 50㎍/ml의 카나마이신이 함유된 LB-아가에서 선별했다. 통상, 수개의 클론을 스크리닝하여 성숙뉴멀리신 단백질을 생성하는 이들의 능력을 확인한다.
[실시예4]
변형뉴멀리신의 생성을 위한 무작위 돌연변이
아미노산 잔기1-257를 함유하는 뉴멀리신을 코딩할 유전자의 일부를 상술한 기술의 변형방식을 통해 무작위 돌연변이에 이용한다. (Cadwell, R.C. 및 Joyce, G.F. 1994, PCR Methods Appl. 3:pS136-40; Cadwell, R.C. 및 Joyce, G.F. 1992, PCR Methods Appl. 2:28-33). [서열 9]에 기재된 서열을 갖고 한편 pET-24a 플라스미드의 T7 촉진자 부위(도1a 참조)에 보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또한 [서열 10]에 기재된 서열을 갖고 1250bp 주변에 있는 뉴멀리신유전자 부위(도1 참조)에 보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대상 유전자의 부위를 한정한다. 무작위 돌연변이 PCR 반응조건은 다음과 같다: 정제된 플라스미드 pNV-19.2(100ng), 0.2mM dGTP, 0.2mM dATP, 1mM dCTP, 또한 1mM dTTP의 각 불균형 dNTP 농축물 1μM에서의 상술한 2개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PCR 반응완충액(19mM 트리스-HCl, 50mM KCl, pH8,3), 8.0mM MgCl2, 0.5mM MnCl2, 6유닛 Taq 중합효소, 또한 총100㎕ 의 나머지인 QS의 dH2O.
이 반응혼합물을 1분간 95℃, 2분간 40℃, 또한 3분간 72℃에서 총 40회 순환시킨다. PCR반응이 끝나면, 단편들을 페놀/클로로포름로 추출하고 에탄올로 침전시켰다. 다시 이들 단편을 NdeI 와 HindIII로 소화시키고 겔정제한 후 pNV-19.2에 결찰시키고 동일한 효소로 소화시켰다. 단편을 결찰 및 대장균 BL21(DE3)속에 형질전환시켰다.
[실시예5]
독성효과가 없는 변형뉴멀리신을 발현할 변형뉴멀리신의 선택
실시예4에서 설명된 형질전환의 결과로 다수의 군집(약 104)이 나타났으며 400개를 무작위 선별평가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설명한 새로운 스크리닝법으로 다음 특성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발현한 군집을 확인했다: (1) 용혈작용 없음, (2) 사실상 전체길이, (3) 일부용해, 또한 (4) 봉입체로부터 분리된 때 모노머 혹은 재폴드된 형태. 이 스크리닝법은 다음단계로 구성된다:
(a) 저용혈작용의 여부를 검사한다;
마이크로-용혈분석으로 클론을 평가했다. 용혈작용-분석은 U-바닥형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서 TBS (트리스완충염수, pH7.4)를 배양액으로 사용하여 실시했다. 사전배양기간은 1mM DTT로 5분간 실시되며 2배로 희석한 시료를 양의 적혈구세포(Cappel)가 같은 완충액속에 재현탁된 동일량의 1% 현탁액으로 배양했다. 이 반응은 시간의 함수로서 실온에서 실행했고 (반응역학 연구), 또한 적혈구세포결찰량을 육안으로 관찰했다. 각 클론은 0-5로 평가치를 매겼다. 0은 용혈작용이 없는 것이고 4-5는 와일드타입의 수준이상으로 큰 용혈작용 정도를 나타낸다. 0,1,2로 평가된 200개의 클론을 선별하여 다른 특성을 대상으로 다시 스크리닝햇다.
(b) 전체길이의 뉴멀리신 폴리펩티드의 발현을 검사한다:
폴리펩티드 발현분석은 96-웰 포맷에서 실행했다. 저용혈작용의 군집을 분자량 약 53,000달톤의 강한띠 존재여부에 대해 SDS-PAGE로 평가했다. 전체길이 뉴멀리신의 분자량은 약 53kD 이었다. 200개 중 58개는 양성으로 나타났다. 이들 클론을 다음의 선별을 위해 수집했다.
(c) 용해성분 중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발현을 검사한다:
용해성분 및 봉입체 양측에서 발현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더 쉽게 재폴드될 수 있다. 용혈효과가 작거나 감소된 돌연변이 뉴멀리신서열을 가진 플라스미드를 수득할 수 있는 2h IPTG유발 대장균 세포로부터 얻은 10ml의 배양물을 1.5ml의 TEN완충액에 넣어 재현탁했다; 세포는 상청액이 브래드포드 단백질분석시 고함량 단백질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날 때까지 연속의 동결/해동/초음파처리 절차를 통해 용해시킨다. 상기의 단백질량은 용해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보여준다. 융해된 세포현탁물을 원심분리하고(14,000 rpm/10분) 펠릿과 상청액의 양쪽 분취물을 SDS-PAGE로 분석한다. 용해성분의 분취물은 용혈작용에 대해 검사하고 용혈역가를 측정하여 초기 스크리닝단계에서 실행된 반응역학적 정성분석연구에서 측정된 상기 작용효과의 감소를 확인한다. 클론은 용혈작용이 거의 없는 용해성, 번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가 함유된 것을 보여주었다.
(d) 고수율의 재폴드형 및 모노머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용해성 뉴멀리신을 함유한 클론을 스크리닝절차의 후속단계를 위해 선별하며, 이것은 상청액을 흡입배출하고,및 펠릿을 TEN완충액으로 2회 세척하고 또한 TEN완충액내에 제조된 8M 요소 5ml에 상기 펠릿을 용해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2분간 초음파처리한 후 요소액을 신속하게 원심분리하여 응집물을 제거하고 다시 45ml의 재폴드용액에 대해 4℃에서 교반하며 점적첨가했다. 재폴드용액은 다시 2ml DEAE-세파로스-FF 칼럼에 붓고 완충액A에서 사전평형화한다 (25mM 트리스.HCl, pH8.0). 칼럼을 완충액A로 세척하고 하층의 단백질을 0 내지 1M 농도구배의 NaCl로 용출시킨다. 적절히 재폴드된 뉴멀리신 돌연변이물을 와일드타입에 대해 관측된 것과 유사하게 13 내지 20% 완충액B (25mM 트리스.HCl, 1M NaCl, pH8.0)사이에서 단일정점을 갖는 용출물이 된다. 단백질정점은 다시 수퍼로스12 칼럼상에서 HPLC로 분석하며 용출시간, 응집물/모노머 비율, 또한 용혈작용 등을 평가한다 (표4 참조). 선별된 돌연변이는 와일드타입과 유사한 스톡스 반경의 단일 모노머종류를 나타낸다. 모노머 변형폴리펩티드 수율이 큰 5개의 클론(pNVJ1, pNVJ20, pNVJ22, pNVJ45, pNVJ56)를 핵산서열화를 포함한 추가분석을 위해 선별했다. 이들 클론의 아미노산 및 핵산 치환물은 표5A와 6에 표시한 바와 같다. 이들을 코딩하는 벡터의 이름이 단백질의 명칭이 된다.
표 4.
와일드타입(pHV19) 및 돌연변이 뉴멀리신 폴리펩티드의 비교
단백질 순수모노머(mg/L) HPLC(용출시간) 용혈작용도(U/mg) 용혈율(% 와일드타입)
pNV19 63 20.1 106 100
pNV111 92 19.3 2,555(9)1 0.25
pNVJ22 86 20.7 2,440(9) 0.24
pNVJ20 90 19.8 1,961(6) 0.20
pNVJ1 66 20.2 1,536(2) 0.15
pNVJ45 86 18.7 1,360(5) 0.14
pNVJ56 104 19.8 2,000(2) 0.20
pNV211 n.d. 20 1800(2) 0.18
pNV207 100 20.5 800(2) 0.08
pNV103 104.7 20 950(2) 0.10
1괄호안의 숫자는 실험횟수를 말함.
표 5A: 와일드타입(pNV19) 뉴멀리신 및 변형태의 아미노산서열
표 5B.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서열
단백질 돌연변이 용혈율
pNV19 와일드타입 100%
pNV21 446 P 에서 S 까지 25%
pNV46 286 E 에서 D 까지 12%
pNV22 243 G 에서 R 까지, 446 P 에서 S 까지 〈1%
pNV38 243 G 에서 V 까지 〈1%
pNV39 243 G 에서 E 까지 〈1%
pNV40 243 G 에서 S 까지 〈1%
pNV20 243 G 에서 R 까지 〈1%
표 6. 용혈율이 현저히 감소된 결과를 가져오는 와일드타입(pNV19)뉴멀리신 유전자에 대한 핵산치환물.
[실시예6]
단일 돌연변이물을 가진 뉴멀리신 유전자의 위치지향 돌연변이
특이펩티드에서 단일 혹은 다중 돌연변이물이 용혈작용손실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표4 참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지향 돌연변이법을 이용하여 각 돌연변이물을 와일드타입 대상물에 단일위치 돌연변이물로서 삽입하였다. 표7은 이들 특이돌연변이물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나타낸다. 원하는 돌연변이물을 가진 폴리펩티드와 이들의 핵산서열이 확인되었다. 이들 위치지향 폴리펩티드중에서 단일 염기변화로 용혈작용성이 감소한 다음의 폴리펩티드를 확인했다 (표5A 참조): 핵산서열 103은 위치583에서 와일드타입 T에서 변형 G로의 단일염기변화를 포함한다 (195-Phe →Val); 핵산서열 207은 위치583에서 와일드타입 T에서 변형 A로의 단일염기변화를 포함한다 (195-Phe →Ile); 핵산서열 111은 위치443에서 와일드타입 T에서 변형 A로의 단일염기변화를 포함한다 (148-Met →Lys); 핵산서열 211은 위치181에서 와일드타입 T에서 변형 C로의 단일염기변화를 포함한다 (61-Ser →Pro).
표5B의 폴리펩티드는 재폴드 수율이 좋지않으며 따라서, 용혈작용성이 감소하는 것을 설명해준다. 위치243, 286 및 446에서의 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삽입된 단일 돌연변이물과 또한 위치243 및 446에서 삽입된 복합치환물은 봉입체로서 불용성분에서만 발견되는 종류를 생성하였다. 이들 돌연변이물의 재폴드처리를 시도하면 대부분 응집된 형태의 종류가 수득된다.
표 7
변형뉴멀리신 서열
돌연변이 AA# 프라이머 서열
위치
443 148 (순행)
[서열 11] 에 기재된 서열
Met-Lys (역행)
[서열 12] 에 기재된 서열
583 195 (순행)
[서열 13] 에 기재된 서열
Phe-Ile (역행)
[서열 14] 에 기재된 서열
583 195 (순행)
[서열 15] 에 기재된 서열
Phe-Val (역행)
[서열 16] 에 기재된 서열
181 61 (순행)
[서열 17] 에 기재된 서열
Ser-Pro (역행)
[서열 18] 에 기재된 서열
[실시예7]
변형 폴리펩티드의 발현과 정제
이들 단일돌연변이 유전자는 개별적으로 발현벡터속에 클로닝되어 대장균속에서 변형폴리펩티드를 과잉발현하였다. 발현율은 ~40%이다. 재조합 변형뉴멀리신을 정제하기 위해 새로운 정제 및 재폴드방법을 개발하였다.
발현벡터 pNV19를 제공할 대장균에서 발현된 뉴멀리신은 세포를 TEN 완충액 (50mM 트리스-HCl, 100mM NaCl, 10mM EDTA pH 8.0)내에 재현탁 및 융해시키고8,000psi의 압력하에서 공기식 세포파괴기를 이용하여(Stansted Fluid Power Ltd.) 봉입체로부터 분리하였다. 세포융해물은 13,000rpm에서 4℃의 온도로 20분간 원심분리하였고; 펠릿과 상청액을 각각 용해성 및 응집성 뉴멀리신의 분리에 사용하였다. 봉입체는 TEN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한 후 -70℃에서 저장했다. 정제 및 후속 재폴드처리는 봉입체를 8M 요소액 (TEN완충액에서 새로 제조된)에 용해하고 그 뒤 PEG의 도움으로 재폴드처리하여 달성했다. 8M 요소(200㎍/ml)내의 폴리펩티드액은 20μM의 PEG8,000과 25mM 트리스-HCl, pH8.0을 혼합하여된 재폴드처리액에 4℃에서 일정교반하면서 점적첨가하여 10배로 희석하였다. 시료는 나누어 25mM 트리스-HCl, pH8.0에서 평형화시킨 DEAE-세파로스 고속유동 이온교환컬럼(Pharmacia)에 넣었다. 0-1M 농도구배의 NaCl을 붓고 하기와 같이 또한 SDS-PAGE에 의해 용혈작용성을 측정하여 뉴멀리신 함유성분을 확인했다. 정제된 성분은 아미콘 농축기와 PM30막을 이용하여 농축시켰다. 정제된 폴리펩티드 분취물의 용혈작용성을 검사하고 SDS-PAGE와 또한 수퍼로스 12컬럼을 이용한 크기분리 크로마토그래피법에 따라 분석했다.
용혈작용성 분석은 TBS(트리스완충염수, pH 7.4)를 배양완충액으로 사용하는 U-바닥형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서 실행했다. 1mM DTT로 5분간 사전배양한 후 정규화한 단백질의 2배 희석물로 만들고 시료는 동일완충액에 양의 적혈구세포를 재현탁한 1% 현탁물(총부피 200㎕) (Cappel)로 배양했다. 반응은 37℃에서 30분간 실행했고 적혈구세포융해량은 U-형 플레이트를 하향회전시켜 상청액을 편평바닥형 플레이트에 전달하고 헤모글로빈방출량을 450nm에서 측정하여 분광광도학적으로 관측하였다. 종말점은 50%의 융해가 일어날 때의 농도로 설정하였으며 저압융해된 0.5% 세포현탁물과 비교한 값에 기초하였다 (표4 및 5B를 참조).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의 또다른 분석법은 변형폴리펩티드의 용혈억제력 분석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 분석법은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로 적혈구세포를 사전배양하고 사전처리된 적혈구에 대한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의 용혈역가를 평가하여 돌연변이 단백질이 와일드타입 단백질의 용혈작용성을 감소시키거나 없애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분석법에 따른 결과를 4가지 변형폴리펩티드에 대하여 표8에서 나타냈으며 이에관한 상세설명은 실시예11에서 보는 바와 같다.
표 8.
뉴멀리신 돌연변이체에 의한 뉴멀리신의 용혈억제력 분석.
종류 돌연변이물 종말점(*)
pNV19 와일드타입 512
pNV103 Phe195Val 64
pNV111 Met148Lys 128
pNV207 Phe195Ile 32
pNV211 Ser61Pro 512
(*) 해당 돌연변이체의 존재하에서 와일드타입 뉴멀리시 조제물의 용혈역가
선별된 단일위치 뉴멀리신 돌연변이체의 항원형 교차반응성은 토끼(n=2)에 대해 표9의 돌연변이체 단백질을 각각 종래의 면역방법으로 면역시켜 측정했다; 뉴질랜드산 화이트래빗(Covance, Denvers, PA)는 2-3kg의 무게로서 각각 Freund's 완전보조제에 유화처리한(부피/부피) 100㎍의 와일드타입 혹은 돌연변이체 뉴멀리신을 피하주사했다. Freund's 불완전보조제와 혼합된 추가량의 백신을 동일한 경로로 초기투여후 21일째 및 42일째에 투여했다. 0일, 21일, 42일 및 52일에 혈청을 수거했다. 혈청에 대해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에 대한 항체의 존재여부를 검사했다. 제14형 뉴멀리신에 대한 혈청(n=2)의 항원역가는 ELISA로 측정했다. 간단히,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을 플레이트에 코팅하고 항돌연변이성 뉴멀리신 혈청 각각의 희석액을 배양했다.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의해 유발된 항체에 대하여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이 다량 결합한 것을 표9에서 볼 수 있다.
표 9.
제14형 뉴멀리신에 대한 돌연변이 뉴멀리신 래빗항혈청의 반응성 및 용혈중화역가.
종류 돌연변이물 역가 항체중화역가
pNV19 와일드타입 892,647 256
pNV211 Ser61Pro 432,100 128
pNV111 Met148Lys 296.113 128
pNV103 Phe195Val 2,505,208 512
pNV207 Phe195Ile 402,426 128
PBS - - 8
표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폴리펩티드 각각의 항혈청은 ELISA로 측정했을 때 이들이 와일드타입 뉴멀리신과 항간 교차반응성을 나타내는 것 이외에도, 용혈억제분석시 측정했을 때 상당히 큰 용혈중화역가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8]
다당류의 뉴멀리소이드 결합체 제조방법
PnC 제14형 다당류 (ATCC Lot #2016107) (390mg)을 16ml의 0.5N NaOH 에 용해하고 이 용액을 70℃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용액냉각후, 1.93ml의 빙초산을 첨가하여 pH4로 만들었다. 3ml의 5%(w/w) NaNO2를 첨가한후, 반응혼합물을 4℃에서 2시간동안 지속교반했다. 시료는 그후 탈염수로 50ml가 되도록 희석하고 이 pH값은 다시 0.5N NaOH을 넣어 7로 조정했다. 과량의 시약은 탈염수로 투석여과하여 스펙트럼/Por 분자다공막관(MWCOL:3,500)을 통과시켜 제거하고 나머지는 동결건조하였다. 탈아미노화된 제14형 다당류는 PBS를 용출제로 이용하는 수퍼덱스G-200(Pharmacia)컬럼상에서 분자체에 의해 걸러진다. 칼럼에서 용출된 성분의 분자량은 수퍼로스 12컬럼(Pharmacia)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다각형 레이저광분산법을 통해 측정했을 때 약 5000 내지 15,000 이었으며 탈염수로 투석여과하는 스펙트럼/Por 분자다공막관(MWCOL 3,500)을 통과시켜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결합체 제조방법.
PnCPS 각각은 1차로 먼저 탈중합처리되고 관능성 알데히드는 메타주기산나트륨으로 산화반응시켜 단편화된 CPS속에 공급하였다. 산화처리후, 과량의 주기산염은 에틸렌글리콜로 제거하고 산화된 다당류는 탈염수로 투석처리한 뒤 동결건조했다.
0.2M 인산염완충액(pH8)에 혼합된 5mg/ml의 농도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2.5당량(중량)의 PnC 14 다당류단편 및 2당량(중량)의 재결정화된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와 함게 혼합하였다. 반응혼합물은 37℃에서 24시간동안 배양했다. 0.01% 티메로살 함유 PBS액을 용출물로 사용한 수퍼덱스G200 (Pharmacia)컬럼을 통과시켜 유리성분으로부터 결합체를 정제하였다. 칼럼에서 용출하는 성분을 대상으로 워터즈 R403 미분굴절측정계상에서 또한 UV 분광계를 이용하여 280nm에서 관찰하였다. 결합체가 함유된 성분을 0.22㎛ 마이크로포어막에 통과시켜 멸균여과한 후 4℃에서 저장했다. 폴리펩티드와 탄수화물 함량은 브래드포드 및 듀보이스방법으로 각각 측정했다. 그결과로 나온 결합체내 다당류함량은 약 30% 이었다.
파상풍 유독소 결합체를 대조군으로 사용하며 이것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또한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파상풍 유독소(Serum Statens Institute)를 1차로 분자체컬럼(수퍼덱스 G-200, Pharmacia)에 통과시켜 모노머형의 유독소를 수득했다. 결합시키기 위해, 12mg의 모노머와 36mg의 PnC 14 다당류성분을 pH7.2의 0.2M 인산염완충액 600㎕에 용해했다. 재결정처리된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24mg)을 이 용액에 첨가한 후 다시 37℃에서 3일간 배양했다. 결합체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제했다. 결합체의 다당류 함량은 25-30% 정도의 범위이다. (표10 참조).
표 10.
파상풍-유독소 및 변형뉴멀리신 제14형 결합체의 조성물
담체폴리펩티드 근사값PS 분자량(MW) 폴리펩티드(mg/ml) PS(mg/ml) 결합체내 PS(%)
pNV103#195 Phe-Val 9,000 0.170 0.079 32%
pNV207#195 Phe-Ile 9,000 0.117 0.048 29%
pNV111#148 Met-Lys 9,000 0,145 0.062 30%
pNV19와일드타입 9,000 0.115 0.049 30%
파상풍Tm 9,000 0.245 0.098 28%
[실시예9]
변형뉴멀리신 결합체의 면역작용
Charles River Laboratories에서 구한 20 CD1 암컷생쥐군(생후 6-8주)를 0.01% 티메로살이 함유된 PBS 1ml 당 1mg 알루미늄원소의 농도로서 알루미늄(수산화알루미늄, Superfos, Denmark)에 흡착된 실시예8의 결합체 다당류 2㎍를 피하주사하여 (S.C.) 면역시켰다. 0일, 28일 및 49일에 각각 백신을 투여하였다. 0일, 42일 및 59일에 각각 혈청을 수거하여 -70℃에서 저장했다.
ELISA.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Nunc Polysorb ELISA 플레이트)는 100㎕의 제14형 다당류단편(MW ca: 10,000)/HSA결합체(2.5㎍/ml)를 PBS에 용해한 물질을 첨가하여 감작시켰다. 플레이트를 밀봉하고 37℃에서 1시간동안 배양했다. 플레이트를 0.05% 트윈20(PBS-T)플레이트가 함유된 PBS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1시간동안 PBS 에 혼합된 0.5%(w/v) BSA 으로 블록처리햇다. 웰에는 PBS-T플레이트의 100㎕의 2배희석액, 100㎕의 페록시다제 라벨화 염소항-마우스 IgG(H+L)을 충전하였고 (Kirkegaard and Perry Laboratories), 다시 PBS-T로 5회 세척했다. 마지막으로, 5㎕의 TMB 페록시다제기질(Kirkegaard and Perry Laboratories)를 각 웰에 첨가하고 그 뒤 실온에서 10분간 플레이트를 배양한 후 1M H3PO450㎕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켰다. 플레이트는 650nm이 기준파장인 몰레큘러 디바이스 아멕스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판독하였다.
억제 ELISA 분석.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NUNC Polysorp)을 PBS (50mM인산나트륨, 150mM NaCl, pH7.4)에 혼합된 PLY(각 웰당 20ng/100㎕)로 1시간동안 37℃에서 피복하였다. 플레이트를 PBS + 0.05% 트윈20(PBST)로 세척한 후, 플레이트를 다시 150㎕의 PBS + 0.1% BSA로 후피복하고 재세척한 후 사용전까지 4℃에서 보관했다.
하이퍼이뮨 래빗 항-PLY는 PBST으로 희석되고 PLY피복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동안 배양했다. 세척후, 제품사의 사양에 따라 PBS 트윈에 희석된 100㎕의 염소 항-래빗 Ig-HRP 결합체 (KPL)를 각 웰에 첨가했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동안 배양한 후 다시 세척했다. 100㎕의 TMB 마이크로웰 기질(KPL)을 각 웰에 첨가했다. 반응은 TMB 1-성분 중단액(KPL)을 첨가하여 10분후 중단시키고 OD456를 즉시 읽었다. 최대신호의 1/2로 희석하여 억제력을 연구했다. PLYD 돌연변이체와 대조군인 PLY는 최종혼합물이 최대작용도의 1/2을 갖는 희석액을 함유하고 또한 피복된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2중으로 도포하도록 희석시킨 토끼 항혈청을 함유하는 PBST내 3배희석된 성분으로 희석되었다. 플레이트는 실온으로 1시간동안 배양한 후 처리했다. 억제제가 없는 상태에서 희석 항혈청을 이용하여 최대신호 백분율로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결합체 항혈청의 옵소닌작용성
PnC 제14형 결합체에 대한 생쥐 항혈청의 옵소닌작용성은 인체 프로골수세포 백혈병 HL-60세포주(ATCC #CCL240)을 이용하는 체외 옵소닌식세포 사멸분석에서 검사했다. (표11 참조). 요약하면, 200cfu의 PnC 제14형(12-8-95 CB) 세포는 동일부피로 희석항체와 혼합한 후 5% CO2배양기내에서 흔들면서 37℃의 온도로 15분간 배양했다. 90mM 디메틸포름아미드의 존재하에서 5일동안 배양한 어린토끼 조세포 및 HL-60세포(5 x 105)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그 뒤 흔들면서 1시간동안 37℃로 배양했다. 분취물은 정량적배양물에서 분리하여 초컬릿한천에 편다. 50%의 생박테리아에 대응하는 항체희석치를 외삽법으로 계산하여 역가를 측정하였다.
표 11.
PnC 제14형 다당류결합체의 면역성
담체폴리펩티드 일별 ELISA 역가 Op+ 일별역가 와일드타입뉴멀리신에 대한 일별 ELISA 역가
0 42 59 59 59
파상풍 유독소 <50 287,000 170,000 28,000 〈50
pNV103#195 Phe-Val 〈50 209,000 178,000 18,000 124,000
pNV207#195 Phe-Ile 〈50 175,000 149,000 31,000 111,000
pNV111#148 Met-Lys 〈50 137,000 127,000 10,500 84,000
pNV19와일드타입 〈50 275,000 241,000 29,000 124,000
PBS 〈50 〈50 〈50 〈100
* PnC 제14형 다당류-특이항체 역가
+ 옵소닌 식세포 역가
상기 표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형뉴멀리신 결합체는 모두 보조체하에서 옵소닌식세포 작용을 할 수 있는 항체를 발생하였다. 강한 IgG 항-PS반응성과 함께 상술한 결합체에 의해 면역화된 생쥐는 뉴멀리소이드담체에 대하여 IgG 반응성 이 결합체화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에 대해 상승된 정도의 크기로 강화되었다.
[실시예10]
4가 6B/14/19F/23F 뉴멀리소이드 백신의 제조
결합체의 제조.
다당류 가수분해를 다음처럼 실시했다. 제6B형 PS는 60℃에서 3시간45분간 0.1N HCl로 탈중합시켰다; 제14형은 60℃에서 7시간동안 0.1N HCl로 탈중합시켰다; 제19F형은 70℃에서 2시간20분간 pH4.1의 10mM NaOAc 완충액으로 탈중합시켰다; 또한 제23F형은 100℃에서 30분간 0.2M 아세트산용액에서 탈중합시켰다.
산화된 제6B형 PS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부분 탈중합된 PS(35mg)를 1750ml의 탈염수에 용해한 후 실온에서 2시간동안 어두운 곳에서 10mM NaIO4250ml로 처리했다. 과량의 NaIO4는 에틸렌글리콜로 제거하며 투석후 산화된 PS를 동결건조했다. 산화된 제14형 PS는 제6B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조했다. 산화된제19F형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탈중합된 PS(50mg)를 pH7.5의 0.2M 인산나트륨완충액(5ml)에 용해한 후 4℃에서 하룻밤동안 어두운 곳에서 100mM NaIO441ml로 처리했다. 과량의 NaIO4는 에틸렌글리콜로 제거하며 투석후 산화된 제19F형 PS를 동결건조했다. 제23F형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부분 탈중합된 PS(68mg)를 3.4ml의 3mM NaIO4용액으로 어두운곳에서 1시간동안 실온으로 용해시켰다. 과량의 NaIO4는 에틸렌글리콜로 제거하며 투석후 산화된 PS를 동결건조했다.
산화된 PS는 각각 개별적으로 위치195의 아미노산 Phe 잔기가 Ile로 교체되는 재조합 뉴멀리소이드 돌연변이체 207에 결합되었다. 요약하면, 산화된 PS와 단백질 (5mg/ml)을 0.2M 인산염나트륨 완충액에 용해한 용액을 중량비로 PS/단백질비 2.5:1 로서 실온하에 혼합하고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2당량)을 여기에 첨가했다. 결합혼합물을 37℃에서 2일간 배양했다. 결합체화 PS의 잔유 알데히드를 과량의 NaBH4로 환원시킨 후, 결합체는 보존제로서 0.01% 티메로살을 함유한 PBS로 용출되는 수퍼덱스200PG (Pharmacia)컬럼을 통과시켜 반응혼합물로부터 정제분리되며 단, 결합체를 Q 세파로스 고속컬럼상에 공급하고 0.5M NaCl을 이용하여 pH7.5의 10mM 트리스-HCl로 용출되는 제23형 결합체의 경우는 제외된다. 결합ㅂ체에 대응하는 성분을 모아 단백질과 탄수화물 함량에 대해 실시예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석하였다. (표12 참조).
표 12.
뉴멀리소이드 결합체의 조성물
폐렴구균 혈청형 근사치PS의 MW 폴리펩티드(mg/ml) PS(mg/ml) 결합체내 PS(%)
6B 41,000 0.24 0.14 37
14 41,000 0.13 0.08 38
19F 10,000 0.46 0.14 23
23F 90,000 0.44 0.06 12
[실시예11]
뉴멀리소이드 4가백신의 면역작용
생쥐의 면역.
생후6주 내지 8주의 암컷 아웃브레드 CD-1생쥐 (Charles River, Raleigh)를 1가 혹은 4가 백신으로 면역처리했다.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 다당류 제6B형, 14형, 19형 및 제23형은 1mg/ml 1 알럼내에 함유된 파상풍 유독소 혹은 뉴멀리신 돌연변이체에 결합되었다 (0.5㎍ PS/0.2ml 내지 2㎍/0.2ml). 백신을 0일, 28일 및 49일에 각각 피하주사하고 혈액시료를 0일, 14일, 28일, 38일 및 59일에 각각 취하였다. 다당류와 담체단백질에 대한 ELISA 역가는 HSA-PS 결합체 및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을 사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도 8, 9 및 10 참조). 혈청의 옵소닌 작용성은 실시예9에서와 같이 HL-60 세포주를 이용하여 식세포분석에서 측정하였다 (도11 참조).
용혈분석.
일부 변형된 Paton et al.(1993) Infect. Immun. 40:548의 방법에 따라 뉴멀리신 작용성을 분석했다. 요약하면, 표준 U-바닥형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서 와일드타입 및 돌연변이체 뉴멀리신 단백질을 TBS(15mM트리스, 0.15M NaCl, pH7.5)와 보조인자인 1mM DTT에 넣어 2배희석하여 최종 100㎕의 부피로 만들었다. 100㎕ TBS에 혼합된 1% 양 적혈구현탁액 100㎕을 첨가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을 실행하였다. 융해되지않은 세포를 흔들어 내린 후,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상청액의 적혈구융해량을 측정하였다. 저압융해된 0.5% 셀현탁액을 기초하여 분석의 종말점은 적혈구의 50%가 융해된 웰에서 취하였다.
뮤린 항혈청의 용혈억제력 분석.
일부 변형된 Paton et al.(1993) Infect. Immun. 40:548의 방법에 따라 용혈효과억제력을 분석했다. 희석전, 생쥐의 항혈청을 클로로포름으로 2회 처리하여 콜레스테롤을 제거했다. 50㎕의 생쥐 항혈청을 2배로 희석하고 4HU(용혈유닛)의 유독소원료액을 50㎕ 첨가했다. 독소의 용혈작용을 중화반응 분석직전에 평가했다. 37℃에서 15분간 배양하여 혈청항체를 뉴멀리신에 결합시킨 후, 100㎕의 양적혈세포(1% TBS)를 각 웰에 첨가했다 (ICN, Costa Mesa, CA). 플레이트는 37℃에서 30분간 배양하고 융해되지않은 세포는 원심분리로 펠릿화했다. 상청액에 방출된 적혈세포 융해량을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nm에서 관찰했다. 용혈 완전억제를 가져온 최고의 혈청희석상태에서 항체역가를 취했다 (도12).
변형뉴멀리신에 의한 용혈억제력 분석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는 적혈구로 사전배양된 때의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의 용혈작용성을 억제하는 능력에 대해 시험할 수 있다. 적혈세포 현탁액(3ml)을 10분간 1㎕(1mg/ml)의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각각으로 배양하고 현탁액을 와일드타입 뉴멀리신 희석물을 함유한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의 웰에 첨가했다. 플레이트는 37℃에서 30분간 배양하고 용혈역가를 정상 적혈세포로 실행한 대조배양과 비교하였다. 선별된 돌연변이체는 적혈세포로 사전배양시 와일드타입 용혈작용성의 다양한 억제율을 보여준다 (도13). 여기에서 이들 돌연변이체는 결합위치에서 와일드타입에 필적할 수 있으나 막속에 삽입되어 융해채널을 형성하기는 불가능하다고 제기하였다. 돌연변이체 pNV103 및 pNV207은 가장 효과적인 억제자를 나타내며 pNV111가 그 다음이다. 돌연변이체 pNV211은 억제활성을 그다지 나타내지않는다. PLYD 돌연변이체의 구조통합성 및 동일성은 또한 이들의 항원특성 대부분이 자연형PLY과 비교할 때 도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대로 유지된다는 사실에서 확증할 수 있다.
원형이색성(CD) 분광학
자유 와일드타입 및 돌연변이체 뉴멀리신과 각각의 결합체의 2차 및 3차 구조를 원거리UV(180 내지 250nm) 및 근거리UV(250 내지 350nm) 영역에서 각각 원형이색성(CD) 분광학법으로 평가했다. 단백질 농축원액을 10mM NaPO4(pH8.0)으로된 완충액체계에 대해 투석처리로 제거하였다. 1.0mg/ml 단백질을 함유하는 시료의 스펙트럼은 스캔속도 5nm/분 및 평균 반응시간 1초의 JASCO 모델710 원형이색성 분광극성계(JASCO, Easton, MD)에서 0.1nm파장간격으로 기록했다. 최소 4연속스캔을 축적하고 그 평균스펙트럼을 취했다. 시료의 온도는 원거리 및 근거리 UV내의 워터재킷을 씌운 0.01cm 및 1.0cm 의 경로길이세포를 사용하여 25℃로 유지하였다.
형광 분광학
형광측정은 SLM AMINCO-Bowman 8100 시리즈 2 분광형광계에서 실행되었다. 100㎍/ml 단백질을 10mM NaPO4(pH7.5)에 혼합하여 포함시킨 시료의 형광스펙트럼은 290nm에서의 여기파장 및 2nm의 슬릿폭을 포함한 300 내지 500nm 범위에서 기록했다. 온도안정성은 25℃로 온도를 맞춘 워터재킷을 씌운 1.0cm 석영커벳을 사용하여 유지했다.
와일드타입 뉴멀리신과 선별된 돌연변이체의 형광스펙트럼은 이들 단백질이 자연형폴드형태를 취하는 실험조건하에서 비교했다. 도15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 전체 단백질의 형광스펙트럼은 -345nm에서 최대방출강도를 갖고 와일드타입과 비교할 때 돌연변이 단백질에 대해 관찰된 것보다 다소 높은 증가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전체적으로, 이 결과는 단백질 전체가 자연구조로 되고 대다수의 T게 잔기가 용매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러한 결과에서, 페르프린골리신의 존재를 확인했으며 Trp-풍부한 세포결합영역이 사이토리신의 C-말단에 존재하는 것이다.
원형이색성으로 분석된 뉴멀리신(PLY), 뉴멀리소이드(PLYD) 또한 CPS-PLYD 결합체의 기본 구조 및 면역성.
대장균에 과다발현되고 또한 봉입체로부터 재폴드된 PLY는 고함량 β-시이트의 전형적인 원거리 UV CD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또한 단일점 돌연변이 PLYD의 현저한 변화가 없는 ~215nm (Minetti et al. Bilphys. J., 1998, 74, A233)에서는 거의 관찰되지않았다. 마찬가지로, PnCPS와 PLY나 PLYD의 화학적결합은 단백질의 전체 2차구조에 영향을 미치지않는다 (도 16A). 티로실 및 트립토파닐 잔유믈의 단백질내 상대적 비대칭성으로 인해 유발된 근거리 UV CD 스펙트럼 역시 자유형 대 결합체 단백질를 평가하였으며 와일드타입 자유단백질을 구성하는 고차원구조를 보여준다. 그러나 결합체는 이들 착염의 표면에 다당류가 존재하는 결과에 따른 근거리 UV CD 프로파일의 부수적인 변화를 나타내며 특히 각 결합체에서 특이Tyr신호 (280nm에 최소중심을 가진 타원형)와의 간섭이 감소한다. PLYD 돌연변이체의 구조통합성 및 동일성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연형 PLY와 비교할 때 이들의 항원성을 대부분 유지하는 것에서 확증할 수 있다.
분광학법은 단백질의 통합성을 평가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담체인 단백질을 사용하는 결합체백신의 경우, 이 방법은 기능적 및 면역학적 기술과 더불어 뱃치-뱃치 변화 및 백신효과의 분자기초를 확실히 관찰할 수 있게해준다 (Crane et al. Eur. J. Biochem. 1997. 246, 320-327; Jones et al. Dev. Biol. Stand. 1996, 87. 143-151). 돌연번이물은 단백질에 독성을 제공하나, 모계분자와 유사하게 아직 자연형 구조를 재폴드하는 능력은 유지하고 있다. 이 거대분자착염 내에서 진폭과 교차점 측면에서 거의 중복되는 자유 돌연변이체 단백질 (pNV207)와 이에 상응하는 Pn 제14형 결합체의 원거리 UV CD 스펙트럼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한다. 이결과는 2차구조내 변형이 현저한 다른 다당류 단백질 결합체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는 크게 대조적인 것이다 (Crane et al., Eur. J. Biochem. 1887, 246, 320-327).
결합위치에 근접한 티로실잔기는 280nm 근처의 근거리 UV CD 스펙트럼내에서 발견되는 차이로 알 수 있듯이 다당류의 존재 때문에 교란된다. 그러나, 트립토파닐 정점은 290nm에서 나타나며 결합반응에 의해 영향받지않은 상태로서 Tyr 함유부위가 환원형 아미노화반응절차에서 아무런 영향도 받지않음을 가리킨다.
혈청학적 결과와 함께 분광학적으로도 PLYD-CPS 결합체가 폐렴구균형 질환의 예방을 위한 적절한 백신대상체를 표시하는 탁월한 증거를 제공해준다.
면역성과 시간의 연구.
4가 PLYD-PnCPS에 대한 면역성과 시간의 관계를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17a와 같다. 0일, 28일 및 49일에 각각 주사한 동물로부터 0일, 14일, 28일, 38일 및 59일에 혈액시료를 얻었다. 각 종류에 0.5㎍의 PnCPS가 함유되었다. 이에 대한 PnCPS-특이 IgG 반응은 2차주사후 정점까지 시간에 따라 증가했으며 (역가범위는 20,000 내지 50,000) 또한 그 뒤 높은상태로 유지되었다. 2차주사후 현저히 큰 추가자극효과가 나타났다.
도17b에서는 4가 TT 결합체의 PnCPS-특이 IgG 반응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보여준다. PLYD 복합백신과 유사하게 동물에 대해 동일한 절차와 약량의 백신을 사용하여 유사한 면역처리를 했다. 다시 제23F형 의 경우만 역가를 현저히 낮춘것(ca: 5,000)을 제외하고, 각 다당류에 대한 IgG 반응은 주사후 유사한 역가크기(최종역가 50,000 내지 200,000)로 증가하였다. 역시 2차주사후 각 종류에 대해 추가자극효과도 관찰되었으며 제23형만 훨씬 작은 효과를 나타낸 것만 예외였다.
상술한 PLYD-PnCPS 복합백신과 비교하여, 1가 PLYD-PnCPS 결합체의 면역성 대 시간결과를 도17c에서 보여준다. 동일한 0.5㎍의 PnCPS 약량을 투여한 동물은 상술한 것과 유사한 면역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1가 결합체 내에서 PnCPS 에 대한 IgG 반응의 시간변화는, 시간변화곡선이 완만하게 나타나고 또한 다른 3가지 종류보다 항체역가의 크기차수가 낮은 제23형 PnCPS의 경우를 제외하고, 복합물 모두 거의 동일하였다.
사전실험결과에서 4개의 폐렴구균 균주로부터 유도된 다당류(6, 14, 19 및 23)와 또한 PLYD로 구성된 결합체가 동물의 고면역성을 제공하고 또한 TT 4가 결합체에 의해 크게 상승된 역가에 상당하는 PnCPS-특이항체역가를 보여준다. 또한, PLYD 4가 결합체는 와일드타입 PLY의 용혈작용을 중화하는 고레벨 PLY-특이 IgG 항체를 생성할 수 있었다. 폐렴구균성 실험 수막염 모델에서 청각상실 및 와우각손상에 있어서 PLY의 병원성역할에 대해 최근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PLYD 백신유도항체는 이염매체에 관련된 합병증을 완화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캡슐형 항체에 바람직한 보조물이다 (Winter et al. Infection and Immunity 1997, 65, 4411-4418).
[서열목록]
서열번호: 1
서열의 길이: 1413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2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c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1]
서열번호: 2
서열의 길이: 1413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2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c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2]
서열번호: 3
서열의 길이: 471
서열의 타입: 아미노산
쇄의 수: 불명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아미노산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3]
서열번호: 4
서열의 길이: 471
서열의 타입: 아미노산
쇄의 수: 불명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아미노산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4]
서열번호: 5
서열의 길이: 35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5]
서열번호: 6
서열의 길이: 33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6]
서열번호: 7
서열의 길이: 37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7]
서열번호: 8
서열의 길이: 37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8]
서열번호: 9
서열의 길이: 21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9]
서열번호: 10
서열의 길이: 1413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10]
서열번호: 11
서열의 길이: 37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11]
서열번호: 12
서열의 길이: 38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12]
서열번호: 13
서열의 길이: 38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13]
서열번호: 14
서열의 길이: 38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14]
서열번호: 15
서열의 길이: 39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15]
서열번호: 16
서열의 길이: 39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16]
서열번호: 17
서열의 길이: 39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17]
서열번호: 18
서열의 길이: 39
서열의 타입: 핵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선형
분자의 타입: DNA
기원:
생물명: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S. pneumoniae)
[서열 18]

Claims (34)

  1. 약화된 용혈작용성을 갖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a)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을 코딩할 핵산분자를 무작위 돌연변이시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코딩하여 돌연변이된 핵산분자를 생성하고 또한 돌연변이된 핵산분자를 숙주세포속에서 발현시키는 단계와;
    (b) 용혈작용을 위해 숙주세포속에서 발현된 변형폴리펩티드를 분석하는 단계와;
    (c) 자연형 와일드타입 뉴멀리신과 사실상 유사한 분자량을 갖고 또한 재폴드화될 수 있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확인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2. 제14형 아미노산서열을 포함하고 약화된 용혈작용성을 갖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에 있어서,
    아미노산 잔기 1 내지 257의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치환되고 또한 상기의 하나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에 따라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의 용혈작용성이 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혈작용성은 와일드타입 뉴멀리신과 비교하여 2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4. 제2항에 있어서,
    잔기위치 61, 148 또는 195에 [서열 3]에 기재된 아미노산서열의 적어도 하나이상의 아미노산치환물이나 혹은 잔기위치 33, 46, 83, 239 및 257에 복합치환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된 아미노산이 위치61에서는 프롤린이나 히드록시프롤린 중에서 선택되고; 위치148에서는 라이신, 아르기닌 혹은 히스티딘 중에서 선택되고; 또한 위치195에서는 로이신, 글리신, 알라닌, 이소로이신 혹은 발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된 아미노산이 위치33, 46 및 83에서는 세린,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티로신 혹은 시스틴 중에서 선택되고; 위치239에서는 라이신, 아르기닌 혹은 히스티딘 중에서 선택되고; 또한 위치255에서는 로이신, 글리신, 알라닌, 이소로이신 혹은 발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7.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pNVJ1.
  8.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pNVJ20.
  9.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pNVJ22.
  10.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pNVJ45.
  11.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pNVJ56.
  12.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pNVJ103.
  13.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pNVJ207.
  14.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pNVJ111.
  15.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pNVJ211.
  16. 제1항 내지 15항 중 어느한 항에 따른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핵산분자.
  17. [서열 1]에 기재된 뉴멀리신 핵산서열을 포함하고,
    상기의 핵산서열은
    A-50→G, G-54→T, T-181→C, A-196→T 및 T-302→C;
    A-122→G, A-514→G, T-583→A 및 A-764→G;
    A-187→T, T-380→A, A-382→C 및 T-443→A;
    T-98→C, T-137→C, T-248→C, T-717→A 및 A-770→G; 또는
    T-134→C, A-305→G, A-566→G 및 T-583→C 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뉴클레오티드 치환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조합 핵산분자.
  18. [서열 1]에 기재되고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핵산분자에 있어서, T-583→G 의 핵산치환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조합 핵산분자.
  19. [서열 1]에 기재되고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핵산분자에 있어서, T-583→A 의 핵산치환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조합 핵산분자.
  20. [서열 1]에 기재되고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핵산분자에 있어서, T-443→A 의 핵산치환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조합 핵산분자.
  21. [서열 1]에 기재되고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핵산분자에 있어서, T-181→C 의 핵산치환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조합 핵산분자.
  22. 제16항 내지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박테리오파지 혹은 이스트 인공염색체 등의 벡터에 함유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조합 핵산분자.
  23. 제16항 내지 22항 중 어느 한 항의 재조합 핵산분자를 포함하는 미생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박테리아, 이스트, 포유동물 혹은 벌레의 세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미생물.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이 대장균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미생물.
  26. 제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가 박테리아성 다당류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성 다당류는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수막염구균 A군, B군 혹은 C군; B군 스트렙토코쿠스 제Ia형, Ib형, II형, III형, V형 혹은 VIII형 및 폐렴구균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박테리아로부터 나온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28. 제1항 내지 15항에 따른 하나이상의 폴리펩티드와 약제학적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백신.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가 박테리아성 다당류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백신.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성 다당류는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수막염구균 A군, B군 혹은 C군; A군 스트렙토코쿠스 혹은 B군 스트렙토코쿠스 혈청타입 제Ia형, Ib형, II형, III형, V형 혹은 VIII형; 또는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의 혈청타입 1-23 중의 하나이상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백신.
  31. 보조체의 존재하에서 제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변형뉴멀리신을 포함하는 면역분자에 대한 항체에 상기 박테리아를 접촉시키켜 박테리아를 죽이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박테리아 제거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면역분자는 다당류가 박테리아성 캡슐형 다당류인 것으로된 다당류-폴리펩티드 결합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박테리아 제거방법.
  33. 제28항 내지 30항 중 어느 한 항의 백신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포유동물의 면역방법.
  34. 약화된 용혈작용성을 갖고 또한 와일드타입 뉴멀리신과 교차반응하는 면역반응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수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와일드타입 뉴멀리신을 코딩할 핵산분자를 무작위 돌연변이시켜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코딩하여 돌연변이된 핵산분자를 생성하고 또한 돌연변이된 핵산분자를 숙주세포속에서 발현시키는 단계와;
    (b) 용혈작용을 위해 숙주세포속에서 발현된 변형폴리펩티드를 분석하는 단계와;
    (c) 자연형 와일드타입 뉴멀리신과 사실상 유사한 분자량을 갖고 또한 재폴드화될 수 있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를 확인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변형뉴멀리신 폴리펩티드 수득방법.
KR1020007000844A 1997-07-21 1998-07-21 변형 면역성 뉴멀리신 백신조성물 KR100619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330697P 1997-07-21 1997-07-21
US7345698P 1998-02-02 1998-02-02
US60/073,456 1998-02-02
US60/053,306 1998-02-02
PCT/US1998/014716 WO1999003884A2 (en) 1997-07-21 1998-07-21 Modified immunogenic pneumolysin, compositions and their use as vacc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271A true KR20010022271A (ko) 2001-03-15
KR100619350B1 KR100619350B1 (ko) 2006-09-05

Family

ID=2673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844A KR100619350B1 (ko) 1997-07-21 1998-07-21 변형 면역성 뉴멀리신 백신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764686B2 (ko)
EP (1) EP0998557A2 (ko)
JP (1) JP2001510031A (ko)
KR (1) KR100619350B1 (ko)
AU (1) AU740956B2 (ko)
CA (1) CA2297374A1 (ko)
HU (1) HUP0002475A3 (ko)
NO (1) NO20000257L (ko)
WO (1) WO19990038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1237B2 (en) 1994-11-08 2014-07-29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non-hodgkins lymphoma
AR022963A1 (es) 1999-03-19 2002-09-04 Smithkline Beecham Biolog Vacuna
GB9906437D0 (en) * 1999-03-19 1999-05-12 Smithkline Beecham Biolog Vaccine
GB9918319D0 (en) 1999-08-03 1999-10-06 Smithkline Beecham Biolog Vaccine composition
GB0022742D0 (en) 2000-09-15 2000-11-01 Smithkline Beecham Biolog Vaccine
US8771702B2 (en) * 2001-03-26 2014-07-08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Non-hemolytic LLO fusion proteins and methods of utilizing same
GB0109297D0 (en) 2001-04-12 2001-05-30 Glaxosmithkline Biolog Sa Vaccine
PT1524993E (pt) 2002-08-02 2013-06-12 Glaxosmithkline Biolog Sa Composições de vacina de neisseria compreendendo uma combinação de antigénios
DE60311526T2 (de) 2002-11-01 2007-10-31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Immunogene zusammensetzung
JP2006506989A (ja) * 2002-11-07 2006-03-02 シナジー 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肺炎球菌感染を治療または予防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CA2518669C (en) * 2003-03-13 2014-07-29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Purification process
EP1667712B1 (en) 2003-10-02 2010-07-21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B. pertussis antigens and use thereof in vaccination
US20060257421A1 (en) * 2004-02-13 2006-11-16 Martina Ochs Pneumolysin derivatives
GB0410220D0 (en) * 2004-05-07 2004-06-09 Kirkham Lea Ann Mutant pneumolysin proteins
WO2005108419A1 (en) * 2004-05-07 2005-11-17 Lea-Ann Kirkham Mutant cholesterol-binding cytolysin proteins
WO2006021210A2 (en) * 2004-08-23 2006-03-02 Genesto A/S Binding member towards pneumolysin
GB0421083D0 (en) * 2004-09-22 2004-10-27 Glaxosmithkline Biolog Sa Purification process
GB0505996D0 (en) 2005-03-23 2005-04-27 Glaxosmithkline Biolog Sa Fermentation process
TWI457133B (zh) 2005-12-13 2014-10-21 Glaxosmithkline Biolog Sa 新穎組合物
GB0607088D0 (en) 2006-04-07 2006-05-17 Glaxosmithkline Biolog Sa Vaccine
EP3470080A1 (en) 2005-12-22 2019-04-17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Vaccine comprising streptococcus pneumoniae capsular polysaccharide conjugates
AU2007206114B2 (en) 2006-01-17 2013-01-24 Arne Forsgren A novel surface exposed Haemophilus influenzae protein (protein E; pE)
US9370557B2 (en) * 2006-06-15 2016-06-21 The University Court Of The University Of Glasgow Adjuvant compounds
US20090181078A1 (en) 2006-09-26 2009-07-16 Infectious Disease Research Institute Vaccine composition containing synthetic adjuvant
ES2673046T3 (es) 2006-09-26 2018-06-19 Infectious Disease Research Institute Composición de vacuna que contiene un adyuvante sintético
EP2086582B1 (en) 2006-10-12 2012-11-14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Vaccine comprising an oil in water emulsion adjuvant
CN101522218B (zh) 2006-10-12 2012-09-26 葛兰素史密丝克莱恩生物有限公司 包含水包油乳液佐剂的疫苗
EA021391B1 (ru) 2007-03-02 2015-06-30 Глаксосмитклайн Байолоджикалс С.А. Способ индукции иммунного ответа, вакцинная композиция, ее применение и набор
US9717788B2 (en) 2007-03-02 2017-08-01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Method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HIV employing HIV immunogens, adenoviral vectors encoding said immunogens, and adjuvant
WO2009023300A2 (en) 2007-04-13 2009-02-19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Mutants of cholesterol-dependent cytolysins and uses thereof
CN101784282B (zh) 2007-06-26 2015-07-08 葛兰素史密丝克莱恩生物有限公司 包含肺炎链球菌荚膜多糖缀合物的疫苗
GB0714963D0 (en) 2007-08-01 2007-09-12 Novartis Ag Compositions comprising antigens
CA2720961A1 (en) 2008-04-16 2009-10-22 William Ripley Ballou, Jr. Streptococcus pneumonia vaccine
US9125863B2 (en) * 2008-05-22 2015-09-08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Synergistic immunogenic fusion protein-polysaccharide conjugate
GB0815872D0 (en) 2008-09-01 2008-10-08 Pasteur Institut Novel method and compositions
CA2748149C (en) 2008-12-24 2018-03-06 Netherlands Vaccine Institute Modified steptococcus pneumonia pneumolysin (ply) polypeptides
RU2555757C2 (ru) 2009-03-24 2015-07-10 Новартис Аг Комбинации менингококкового фактор н-связывающего белка и пневмококковых сахаридных конъюгатов
CA2764374C (en) 2009-06-05 2019-11-19 Infectious Disease Research Institute Synthetic glucopyranosyl lipid adjuvants
US20120237536A1 (en) 2009-09-10 2012-09-20 Novartis Combination vaccines against respiratory tract diseases
ES2651005T3 (es) 2010-03-09 2018-01-23 Biomedical Research Models, Inc. Una nueva estrategia de vacunación mucosa para el virus del herpes simple tipo-2
GB201003924D0 (en) 2010-03-09 2010-04-21 Glaxosmithkline Biolog Sa Immunogenic composition
CN102869378A (zh) 2010-03-10 2013-01-09 葛兰素史密丝克莱恩生物有限公司 免疫原性组合物
US20130039947A1 (en) 2010-03-12 2013-02-14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Novel immunogens and methods for discovery and screening thereof
KR101958753B1 (ko) 2010-04-13 2019-03-15 셀덱스 쎄라퓨틱스, 인크. 인간 cd27에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용도
GB201015132D0 (en) 2010-09-10 2010-10-27 Univ Bristol Vaccine composition
WO2012072769A1 (en) 2010-12-01 2012-06-07 Novartis Ag Pneumococcal rrgb epitopes and clade combinations
AU2011336366B2 (en) 2010-12-03 2016-05-12 Sanofi Pasteur Limited Composition for immunization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GB201022007D0 (en) 2010-12-24 2011-02-02 Imp Innovations Ltd DNA-sensor
CN103596586A (zh) 2011-04-08 2014-02-19 免疫设计公司 免疫原性组合物及使用所述组合物诱导体液和细胞免疫反应的方法
SG194733A1 (en) 2011-05-17 2013-12-30 Glaxosmithkline Biolog Sa Vaccine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WO2013020090A2 (en) * 2011-08-04 2013-02-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TREPTOCOCCAL GLcNAc-LACKING GLYCOPOLYPEPTIDES, CELL WALL CARBOHYDRATES, STREPTOCOCCUS VACCIN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PT2811981T (pt) 2012-02-07 2019-06-12 Infectious Disease Res Inst Formulações adjuvantes melhoradas que compreendem os agonistas de tlr4 e os seus métodos de utilização
JP2015510872A (ja) 2012-03-07 2015-04-13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Streptococcuspneumoniae抗原の増強された製剤
CN107540730B (zh) 2012-05-16 2021-07-16 免疫设计公司 用于hsv-2的疫苗
US20140193451A1 (en) * 2012-10-17 2014-07-10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Immunogenic composition
JP6469585B2 (ja) 2013-01-07 2019-02-13 バイオメディカル リサーチ モデ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単純ヘルペスウイルス2型感染を処置するための治療用ワクチン
ES2959258T3 (es) 2013-02-07 2024-02-22 Childrens Medical Center Antígenos proteicos que proporcionan protección contra la colonización y/o la enfermedad neumocócicas
EA032326B1 (ru) 2013-04-18 2019-05-31 Иммьюн Дизайн Корп. Монотерапия gla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лечении рака
US9463198B2 (en) 2013-06-04 2016-10-11 Infectious Disease Research Institut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or preventing metastasis
KR102411781B1 (ko) 2013-12-31 2022-06-22 인펙셔스 디지즈 리서치 인스티튜트 (아이디알아이) 단일 바이알 백신 제형
US9107906B1 (en) 2014-10-28 2015-08-18 Adma Biolog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immunodeficiency
EP3220937A4 (en) 2014-11-21 2018-05-30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Pneumolysin mutan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268037B1 (en) 2015-03-09 2022-08-31 Celldex Therapeutics, Inc. Cd27 agonists
GB201518684D0 (en) 2015-10-21 2015-12-02 Glaxosmithkline Biolog Sa Vaccine
WO2017176076A1 (en) 2016-04-06 2017-10-12 Ewha University -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A peptide with ability to penetrate cell membrane
CA3021328A1 (en) 2016-04-18 2017-10-26 Celldex Therapeutics, Inc. Agonistic antibodies that bind human cd40 and uses thereof
KR102483033B1 (ko) 2016-05-16 2022-12-30 액세스 투 어드밴스드 헬스 인스티튜트 페길화된 리포솜 및 이의 용도
MX2018014086A (es) 2016-05-16 2019-09-18 Infectious Disease Res Inst Formulacion que contiene agonista tlr y metodos de uso.
KR20220165789A (ko) 2016-06-01 2022-12-15 액세스 투 어드밴스드 헬스 인스티튜트 사이징제를 함유하는 나노명반 입자
GB201610599D0 (en) 2016-06-17 2016-08-03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Immunogenic Composition
US10259865B2 (en) 2017-03-15 2019-04-16 Adma Biologics, Inc. Anti-pneumococcal hyperimmune globulin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pneumococcal infection
WO2018175783A1 (en) * 2017-03-22 2018-09-27 Modernatx, Inc. Rna bacterial vaccines
AU2018285694A1 (en) 2017-06-15 2020-01-16 Access To Advanced Health Institute Nanostructured lipid carriers and stable emulsions and uses thereof
AU2018330165A1 (en) 2017-09-08 2020-04-02 Access To Advanced Health Institute Liposomal formulations comprising saponin and methods of use
KR20210011919A (ko) 2018-04-17 2021-02-02 셀덱스 쎄라퓨틱스, 인크. 항-cd27 항체 및 항-pd-l1 항체 및 이중특이적 작제물
CN112969474A (zh) 2018-09-12 2021-06-15 艾芬尼维克斯公司 多价肺炎球菌疫苗
WO2020123444A1 (en) 2018-12-11 2020-06-18 Celldex Therapeutics, Inc. Methods of using cd27 antibodies as conditioning treatment for adoptive cell therapy
WO2020120569A2 (en) 2018-12-12 2020-06-18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Modified carrier proteins for o-linked glycosylation
KR20220125149A (ko) 2019-05-25 2022-09-14 액세스 투 어드밴스드 헬스 인스티튜트 애주번트 백신 에멀션을 분무 건조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US20230310323A1 (en) 2020-09-04 2023-10-05 Access To Advanced Health Institute Co-lyophilized rna and nanostructured lipid carrier
AU2022253269A1 (en) 2021-04-09 2023-11-23 Celldex Therapeutics, Inc. Antibodies against ilt4, bispecific anti-ilt4/pd-l1 antibody and uses thereof
WO2023077521A1 (en) 2021-11-08 2023-05-11 Celldex Therapeutics, Inc Anti-ilt4 and anti-pd-1 bispecific constructs
WO2024052882A1 (en) 2022-09-09 2024-03-14 Access To Advanced Health Institute Immunogenic vaccine composition incorporating a saponi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T58804A (en) 1988-12-16 1992-03-30 James Cleland Paton Process for producing pneumolysine mutants and pneumococcus vaccines
CA2059692C (en) 1991-01-28 2004-11-16 Peter J. Kniskern Pneumoccoccal polysaccharide conjugate vaccine
WO1995016711A1 (es) * 1993-12-17 1995-06-22 Universidad De Oviedo Anticuerpos contra la neumolisina y sus aplicaciones
US5565204A (en) 1994-08-24 1996-10-15 American Cyanamid Company Pneumococcal polysaccharide-recombinant pneumolysin conjugate vaccines for immunization against pneumococcal infections
US6019982A (en) * 1994-08-26 2000-02-01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Mutant enterotoxin effective as a non-toxic oral adjuvant
WO1998006851A2 (en) * 1996-08-12 1998-02-1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EFINING EPITOPES OF THE OUTER MEMBRANE PROTEIN CopB OF $i(MORAXELLA CATARRHAL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64686B2 (en) 2004-07-20
KR100619350B1 (ko) 2006-09-05
WO1999003884A2 (en) 1999-01-28
NO20000257D0 (no) 2000-01-19
CA2297374A1 (en) 1999-01-28
HUP0002475A2 (hu) 2000-10-28
WO1999003884A3 (en) 1999-04-08
JP2001510031A (ja) 2001-07-31
HUP0002475A3 (en) 2002-01-28
US20010014332A1 (en) 2001-08-16
NO20000257L (no) 2000-03-21
EP0998557A2 (en) 2000-05-10
AU8407898A (en) 1999-02-10
AU740956B2 (en) 2001-11-15
US20050070695A1 (en) 200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350B1 (ko) 변형 면역성 뉴멀리신 백신조성물
US7262024B2 (en) Streptococcus antigens
US6426074B1 (en) Group B Streptococcus vaccine
EP2281891A2 (en) Streptococcus antigens
AU2001270381A1 (en) Streptococcus antigens
US8642048B2 (en) Multiple antigenic peptides immunogenic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
JP2009525047A (ja) 肺炎レンサ球菌表面タンパク質pspaおよびpspcの非−コイル保護領域
US20060177465A1 (en) Streptococcus antigens
US8795690B2 (en) Protective proteins of S. agalactiae, combinations thereof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A2319404C (en) Recombinant lipidated psaa protein,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AU758764B2 (en) Epitope peptides immunogenic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CA2416224C (en) Multiple antigenic peptides immunogenic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JP2008289480A (ja) モラクセラ(ブランハメラ)カタラーリス抗原
AU2001271935A1 (en) Multiple antigenic peptides immunogenic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JP4397233B2 (ja) モラクセラ(ブランハメラ)カタラーリスポリペプチド及び対応するdna断片
JP4184430B2 (ja) プロテアーゼ活性低下型のHaemophilus Hin47の類似体
CZ2000106A3 (cs) Modifikovaný pneumolysinový polypeptid mající zeslabenou hemolytickou aktivitu a způsob jeho přípravy
AU2007207883A1 (en) Streptococcus antig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