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577A - 절삭 공구 조립체 및 그 절삭 삽입체 - Google Patents

절삭 공구 조립체 및 그 절삭 삽입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577A
KR20010020577A KR1019997012509A KR19997012509A KR20010020577A KR 20010020577 A KR20010020577 A KR 20010020577A KR 1019997012509 A KR1019997012509 A KR 1019997012509A KR 19997012509 A KR19997012509 A KR 19997012509A KR 20010020577 A KR20010020577 A KR 20010020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abutment
peripheral
axis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8442B1 (ko
Inventor
사트란아미르
웨버만요셉
Original Assignee
에란 마르쿠스 : 탈 샬모니
이스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란 마르쿠스 : 탈 샬모니, 이스카 엘티디. filed Critical 에란 마르쿠스 : 탈 샬모니
Publication of KR2001002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9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with removable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08Clamping mechanisms; Provisions for cla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2Face or end mil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24Specified tool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34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34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10T407/1938Wedge clamp element
    • Y10T407/194Resilient clamp ja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46Face or end mill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교체식 삽입체(3)가 장착 가능한 공구(2)를 갖는 절삭 공구 조립체(1)에 관한 것이다. 공구(2)는 삽입체 수납 슬롯(28)에 의해 이격되는 2개의 클램핑 조오(9, 10)를 갖는다. 삽입체(3)는 2개의 맞닿음면(43, 44)을 각각 갖는 상부면(34)과 저부면(35)을 갖는다. 맞닿음면(43, 44)은 후방 맞닿음부와 전방 맞닿음부를 가지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체는 그 전방 맞닿음부에서보다 후방 맞닿음부에서 두께가 더 두껍다. 이러한 삽입체 구조는 삽입체가 확고하게 축방향 로킹되게 하여, 기계 가공 중에 삽입체가 공구에 대하여 축방향 이동하지 않게 한다. 상부면의 맞닿음면들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다. 마찬가지로, 저부면의 맞닿음면들도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다. 이로써, 삽입체는 클램핑 조오에 의해 이중 더브테일 방식으로 유효하게 반경 방향으로 클램핑된다.

Description

절삭 공구 조립체 및 그 절삭 삽입체{CUTTING TOOL ASSEMBLY AND CUTTING INSERT THEREFOR}
인덱스 가능한 삽입체를 갖는 공지의 엔드 밀링 커터(endmilling cutter)에 있어서, 삽입체는 공구의 주연부 상에 설치되어 클램핑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단일 삽입체의 절삭날에 의해 제공되는 높이보다 높이가 높은 표면을 기계 가공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삽입체가 공구의 주연부를 따라 배열됨으로써 하나의 긴 절삭날을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연장된 플루트 홈(flute) 밀링 커터가 사용된다.
거친 엔드 밀링 작업에 효과적인 연장된 플루트 홈 밀링 커터는, 다듬질 작업을 수행할 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단점을 갖는다. (ⅰ) 동일한 플루트 홈에서 또는 상이한 플루트 홈들 사이에서의 삽입체들 사이의 반경 방향 불일치는 기계 가공된 표면의 불균일을 일으키고, (ⅱ) 삽입체들 사이의 각도 피치는 웨브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공구 강도를 감소시키고, (ⅲ) 전체 공구의 신뢰성은 다수의 구성 요소들에 의해 좌우되므로 파손 가능성이 높다.
교체식 삽입체를 갖는 공구를 갖고 다듬질 작업을 고속으로, 예를 들어, 10,000 내지 30,000 rpm의 범위에서 수행하는 경우에, 안정성 문제가 종래의 클램핑 시스템의 사용을 제한한다.
이상으로부터, 전술한 문제점 및 단점을 없애거나 허용 가능한 범위 내로 감소시키는 절삭 공구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회전식 기계 가공 작업, 특히 다듬질 작업에 사용되는 교체식 삽입체를 갖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이 실제로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절삭 공구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공구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공구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5는 도2에 도시된 공구의 정면도이다.
도6은 선 Ⅵ-Ⅵ을 따라 취한, 도3에 도시된 공구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체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에 도시된 삽입체의 측면도이다.
도8a는 방향 A-A에서 바라본, 도8에 도시된 삽입체의 배면도이다.
도8b는 선 B-B를 따라 취한, 도8에 도시된 삽입체의 단면도이다.
도9는 도7에 도시된 삽입체의 정면도이다.
도10은 도7에 도시된 삽입체의 평면도이다.
도10a는 선 A-A를 따라 취한, 도10에 도시된 삽입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0b는 선 B-B를 따라 취한, 도10에 도시된 삽입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삽입체의 개략 확대 정면도이다.
도12a는 고정 빔의 휨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12b는 클램핑 전의 평평한 삽입체를 도시하는 개략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12c는 클램핑 후의 평평한 삽입체를 도시하는 개략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12d는 본 발명에 따라 삽입체가 클램핑 고정되어 있는, 도12c에 도시된 공구의 개략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13a는 중간면은 선이며, 공구의 삽입체와 클램핑 조오들 사이의 인접 구역을 통한 축(A)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취한, 도1에 도시된 절삭 공구 조립체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13b는 중간면은 직선 단면을 가지며, 공구의 삽입체와 클램핑 조오들 사이의 인접 구역을 통한 축(A)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취한, 도1에 도시된 절삭 공구 조립체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13c는 중간면은 곡선 단면을 가지며, 공구의 삽입체와 클램핑 조오들 사이의 인접 구역을 통한 축(A)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취한, 도1에 도시된 절삭 공구 조립체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14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절삭날이 구비된 삽입체의 사시도이다.
도14b는 도14a에 도시된 삽입체의 정면도이다.
도14c는 도14a에 도시된 삽입체의 평면도이다.
도15는 클램핑 나사를 조이는 제1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이한 클램핑 배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 조립체의 개략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16은 클램핑 나사를 조이는 제2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이한 클램핑 배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 조립체의 개략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17은 클램핑 나사를 조이는 제3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이한 클램핑 배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 조립체의 개략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구, 공구 내부에 장착 가능한 교체식 삽입체 및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나사를 포함하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절삭 공구 조립체가 제공되며, 상기 공구는 삽입체 수납 슬롯에 의해 이격되는 2개의 대체로 동일한 클램핑 조오를 포함하고, 각각의 클램핑 조오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보어를 구비하며 주연면, 주연 맞닿음면 및 중심 맞닿음면을 포함하고, 상기 주연 맞닿음면과 중심 맞닿음면은 회전축과 대체로 평행하고,
상기 삽입체는 회전축(B)을 가지며 중심부, 전방면, 후방면, 적어도 하나의 나사 보어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보어를 갖는 상부면 및 하부면, 및 상기 회전축의 대향한 측면들 상의 측부면을 포함하는 대체로 각주체 형태(prismatic shape)로 되고, 상기 측부면들은 모서리에서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과 만나고, 상기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절삭날이며,
각각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제1 및 제2 맞닿음면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맞닿음면 각각은 중심 및 주연 전방 모서리선을 각각 갖는 전방 맞닿음부와, 중심 및 주연 후방 모서리선을 각각 갖는 후방 맞닿음부로 이어지며, 상기 주연 전방 모서리선은 주연 후방 모서리선과 평행하고 중심 전방 모서리선은 중심 후방 모서리선과 평행하고,
상기 상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며 하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핑 조오들 사이에서 클램핑 공구 내에 클램핑되는 삽입체가 제공되며, 상기 삽입체는 회전축(B)을 가지며 중심부, 전방면, 후방면, 상부면 및 저부면, 및 회전축의 대향한 측면들 상의 측부면을 포함하는 대체로 각주체 형태로 되고, 상기 측부면들은 모서리에서 상기 상부면 및 저부면과 만나고,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절삭날이며,
상부면 및 저부면은 각각 제1 및 제2 맞닿음면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맞닿음면 각각은 중심 및 주연 전방 모서리선을 각각 갖는 전방 맞닿음부와, 중심 및 주연 후방 모서리선을 각각 갖는 후방 맞닿음부로 이어지며,
상기 상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며 상기 저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다.
양호하게는, 상기 삽입체는 전방 맞닿음부보다 후방 맞닿음부에서 두께가 더 두껍다.
통상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상기 클램핑 조오의 탄성 만곡 곡선을 따른다.
필요하다면, 상기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평평하다.
양호하게는, 상기 절삭날은 회전축(B) 주위의 나선 경로를 따른다.
더욱 양호하게는, 상기 삽입체는 2개의 관통 보어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상기 상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제1 중간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저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제2 중간면에 의해 연결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중간면은, 삽입체가 수평하게 배향된 때, 삽입체의 회전축을 통과하는 수직면(V)의 양 측면 상에 위치된다.
보다 양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중간면은 상기 수직면으로부터 등간격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중간면은 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중간면은 회전축(B)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직선 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중간면은 회전축(B)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곡선 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연 및 중심 맞닿음면은 그들 사이에 각도(α)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삽입체 상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그들 사이에 각도(α')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체 저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그들 사이에 각도(α')를 형성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각도(α')는 상기 각도(α)보다 작다.
필요하다면, 상기 삽입체 수납 슬롯은 중간 슬롯으로 이어진다.
또한 필요하다면, 상기 중간 슬롯은 응력 평형 가요화 보어(stress equalizing flexibilizing bore)로 이어진다.
양호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보어는 상기 상부면 및 저부면 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구, 공구 내부에 장착 가능한 교체식 삽입체 및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나사를 포함하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절삭 공구 조립체가 제공되며, 상기 공구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맞닿음면을 갖는 삽입체 수납 슬롯에 의해 이격되는 2개의 대체로 동일한 클램핑 조오를 포함하고, 각각의 클램핑 조오에는 절삭 공구 조립체의 회전축에 수직인 선에 대하여 각도(δ)로 경사지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 보어 테이퍼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보어가 구비되고, 각각의 클램핑 조오는 주연면, 주연 맞닿음면 및 중심 맞닿음면을 포함하고, 상기 주연 맞닿음면과 중심 맞닿음면은 상기 회전축과 대체로 평행하고,
상기 삽입체는 회전축(B)을 가지며 중심부, 전방면, 후방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 보어와 대체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보어를 갖는 상부면 및 저부면, 및 상기 회전축의 대향한 측면 상의 측부면을 포함하는 각주체 형상으로 되고, 상기 측부면들은 모서리에서 상기 상부면 및 저부면과 만나고, 상기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절삭날이며,
각각의 상부면과 저부면은 제1 및 제2 맞닿음면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중심 및 주연 전방 모서리선을 각각 갖는 전방 맞닿음부와, 중심 및 주연 후방 모서리선을 각각 갖는 후방 맞닿음부로 이어지며, 상기 주연 전방 모서리선은 주연 후방 모서리선과 평행하고 중심 전방 모서리선은 중심 후방 모서리선과 평행하며,
상기 상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며 상기 저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며,
상기 클램핑 나사(307)는 축(E), 나사 헤드 테이퍼부(325), 축(E)에 대하여 각도(δ)로 경사진 나사 원통부(326) 및 나사산부(327)를 갖고,
조립된 상태에서, 삽입체 후방 맞닿음면(33)은 적어도 하나의 후방 맞닿음면(14, 15)과 맞닿고, 나사 원통부(326)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 관통 보어(38, 39)와 맞닿고, 나사 헤드 테이퍼부(325)는 나사 보어 테이퍼부(331) 및 주연 맞닿음면(12)과 맞닿고, 클램핑 조오(9, 10)의 중심 맞닿음면(13)은 삽입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3', 44, 44')과 맞닿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체 수납 슬롯에 의해 이격되는 2개의 대체로 동일하며 평행한 클램핑 조오를 포함하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공구가 제공되며, 상기 각 클램핑 조오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보어를 구비하고 주연면, 주연 맞닿음면 및 중심 맞닿음면을 포함하고, 상기 주연 맞닿음면과 중심 맞닿음면은 상기 회전축과 대체로 평행하다.
먼저,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절삭 공구 조립체(1)를 도시하는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절삭 공구 조립체는 공구(2), 교체식 삽입체(3) 및 클램핑 나사(7, 8)를 포함한다. 각각의 클램핑 나사는 나사 헤드 테이퍼부(25), 나사 원통부(26) 및 나사산부(27)로 구성된다. 공구(2)는 본체부(4), 클램핑부(5) 및 그 사이의 중간부(6)로 구성된다. 클램핑부(5)는 2개의 이격되고 대체로 동일하며 평행한 클램핑 조오(9, 10)에 의해 형성된다.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클램핑 조오는 주연면(11), 양호하게는 모두 회전축(A)과 평행한 원통형 주연 맞닿음면(12) 및 중심 맞닿음면(13)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클램핑 조오 상에서, 주연 맞닿음면(12)과 중심 맞닿음면(13)은 연결면(29)에 의해 이어진다. 연결면(29)은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맞닿음면을 구성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2개의 연결면(29)은 모두 양호하게는 서로에 대해 그리고 축(A)과 평행하다. 극단의 경우, 연결면(29)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주연 맞닿음면(12)과 중심 맞닿음면(13)이 만나는 선으로 한정될 수 있다. 클램핑 조오(9, 10)에는 모두 전방 및 후방 나사 보어가 형성된다. 클램핑 조오(9)에는 클램핑 조오(10)의 전방 단부(24') 부근에 구비된 전방 나사 보어(21)와 동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전방 나사 보어(20)가 전방 단부(24) 부근에 구비되고, 클램핑 조오(10)에 구비된 후방 나사 보어(22)와 동축방향으로 정렬되는 후방 나사 보어(23)가 구비된다. 클램핑 나사(7, 8)는 반대 방향에서 클램핑부에 나사 체결되어, 클램핑된 때 클램핑 조오의 주연면 상에 대체로 동일한 응력을 제공한다.
클램핑 조오(9, 10)에는 그 사이에 회전축(A)과 평행하게 배향되는 삽입체 수납 슬롯(28)이 구비된다. 클램핑 조오(10)에는 제1 후방 맞닿음면(14)과 만나는 응력 경감 채널(16)이 구비된다. 클램핑 조오(9)에는 제2 후방 맞닿음면(15)과 만나는 응력 경감 채널(17)이 구비된다. 삽입체 수납 슬롯(28)의 후방 단부 부근에는 회전축(A)과 평행하게 배향된 중간 슬롯(18)이 있다. 중간 슬롯(18)의 후방 단부는 클램핑 조오의 기부(30)에 위치된 응력 평형 가요화 보어(19)로 이어진다. 응력 평형 가요화 보어(19)는 공구(2)의 중간부(6)로 이어지며 축(A)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향되어 중간부를 관통하고, 클램핑 조오로부터 이격되어 있어서 클램핑 조오의 파지력에 가요성을 부가한다.
도5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 클램핑 조오 상의 주연 맞닿음면(12)은 평행하지만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고 축(A)을 가로지르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양 클램핑 조오 상의 중심 맞닿음면(13)은 평행하지만 동일한 평면 상에 있지 않고 축(A)을 가로지르지 않는다. 각 클램핑 조오 상에서, 주연 맞닿음면(12)과 중심 맞닿음면(13)은 그들 사이에 각도(α)를 형성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나사 보어(20)는 도2에 도시된 클램핑 나사(7)의 나사 헤드 테이퍼부(25)의 맞닿음면의 역할을 하는 테이퍼부(31)를 갖는다. 후방 나사 보어(22) 및 클램핑 나사(8)에서도 마찬가지의 구조가 적용된다.
도7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3)는 회전축(B)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 대칭적이며 전방면(32), 후방면(33), 동일한 상부면(34) 및 저부면(35), 및 릴리프면(63, 63')을 각각 포함하는 동일한 측부면(36, 37)으로 각각 구성되는 대체로 각주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전방 및 후방 관통 보어(38, 39)는, 삽입체가 공구 내에 장착된 때, 클램핑 조오의 전방 및 후방 나사 보어와 정렬되어 그를 통해 클램핑 나사(7, 8)를 각각 자유로이 수용하도록 설치된다. 삽입체의 나사와 관통 보어 사이의 다른 배열에 있어서, 관통 보어는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클램핑 나사를 관통 보어를 통해 자유로이 수용하지 않는다. 삽입체가 공구 내에 클램핑된 때, 그 회전축(B)은 공구의 회전축(A)과 일치한다.
상부면(34)은, 전방 단부에서 와이퍼(61)로 이어지는 절삭 코너(41)에서 종결되는 절삭날(40)에서 측부면(36)과 만난다. 마찬가지로, 저부면(35)은, 전방 단부에서 와이퍼(61')로 이어지는 절삭 코너(41')에서 종결되는 절삭날(40')에서 측부면(37)과 만난다. 상부면(34)은, 본 실시예에서는 선으로 한정된 중간면(45)에 의해 연결된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4)과, 절삭날(40)로부터 삽입체 상부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제1 맞닿음면(43)과 만나는 레이크면(rake surface, 42)을 각각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저부면(35)은,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선으로 한정된 중간면(45')에 의해 연결된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4')과, 절삭날(40')로부터 삽입체 저부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제1 맞닿음면(43')과 만나는 레이크면(42')을 각각 포함한다.
삽입체 상부면(34)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4)은 그들 사이에 각도(α')를 형성하고 중간면(45)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다. 마찬가지로, 삽입체 저부면(35)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4')은 그들 사이에 각도(α')를 형성하고 중간면(45')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다. 각도(α')는 양호하게는 클램핑 조오의 각 주연 및 중심 맞닿음면(12, 13) 사이의 각도(α)보다 작다. 삽입체 및 클램핑 조오의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삽입체는, 클램핑 조오(9)의 주연 맞닿음면(12) 및 중심 맞닿음면(13)이 각각 삽입체의 제2 맞닿음면(44) 및 제1 맞닿음면(43)과 맞닿고 클램핑 조오(10)의 주연 맞닿음면(12) 및 중심 맞닿음면(13)이 각각 삽입체의 제2 맞닿음면(44') 및 제1 맞닿음면(43')과 맞닿도록 이중 더브테일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반경 방향 클램핑된다.
도9 및 도8a의 정면도 및 배면도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34)에 있어서,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4)은 그 전방부에서 대응하는 중심 및 주연 전방 모서리선(46, 47)으로 이어지고, 그 후방부에서는 대응하는 중심 및 주연 후방 모서리선(48, 49)으로 이어진다. 마찬가지로, 저부면(35)에 있어서,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4')은 그 전방부에서 대응하는 중심 및 주연 전방 모서리선(46', 47')으로 이어지고, 그 후방부에서 대응하는 중심 및 주연 후방 모서리선(48', 49')으로 이어진다. 중심 전방 모서리선(46, 46')들은, 주연 전방 모서리선(47, 47')들과 같이 서로 평행하다. 마찬가지로, 중심 후방 모서리선(48, 48')들은 주연 후방 모서리선(49, 49')들과 같이 서로 평행하다.
도10a 및 도10b는 도10의 선 A-A 및 선 B-B를 따라 취한 절삭날(40)의 단면도이다. 절삭날(40)은 축(B) 주위의 나선 경로를 따르며 레이크각(β)은 절삭날의 길이를 따라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βA βB이게 되는데, 여기서 βA와 βB는 각각 단면 A-A 및 B-B에서 측정한 레이크각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삽입체(3)는 전방 맞닿음부보다 후방 맞닿음부가 더 두껍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삽입체(3)는 전방 맞닿음부에서와 마찬가지로 후방 맞닿음부에서도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그러므로, 제1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체의 후방 모서리선은 도9에 도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1 양호한 실시예의 삽입체의 정면도에서, 각각의 중심 및 주연 후방 모서리선(48, 49)은 대응하는 중심 및 주연 전방 모서리선(46, 47)과 각각 거의 겹치기 때문에 도시될 수가 없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중심 및 주연 후방 모서리선(48', 49')은 대응하는 중심 및 주연 전방 모서리선(46', 47')과 각각 거의 겹치기 때문에 도시될 수 없다. 제1 양호한 실시예의 삽입체의 정면도에서 이들 모서리선이 겹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1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논의하기로 한다.
도11은 각각의 중심 및 주연 후방 모서리선(48, 48'; 49, 49')에 대응하는 중심 및 주연 전방 모서리선(46, 46'; 47, 47')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과장되게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전방 모서리선(46, 46')은 중심 후방 모서리선(48, 48')과 평행하고, 주연 전방 모서리선(47, 47')은 주연 후방 모서리선(49, 49')과 평행하다. 삽입체 상부면(34)에 있어서, 중심 및 주연 전방 모서리선(46, 47)은 각각 전방 교차점(50)에서 만난다. 마찬가지로, 중심 및 주연 후방 모서리선(48, 49)은 각각 후방 교차점(51)에서 만난다. 삽입체 저부면(35)에 있어서, 중심 및 주연 전방 모서리선(46', 47')은 각각 전방 교차점(50')에서 만난다. 마찬가지로, 중심 및 주연 후방 모서리선(48', 49')은 각각 후방 교차점(51')에서 만난다. 2개의 전방 교차점(50, 50')을 통과하는 제1 원(72)의 직경은 도면 부호 d1로 표시되고 2개의 후방 교차점(51, 51')을 통과하는 제2 원(73)의 직경은 도면 부호 d2로 표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삽입체 상부면(34) 및 삽입체 저부면(35)은 전방면(32)으로부터 후방면(33)을 향해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어서, 삽입체의 후방 맞닿음부(57)에서의 직경(d2)은 삽입체의 전방 맞닿음부(58)에서의 직경(d1)보다 크다(도10 참조). 따라서, 삽입체(3)는 그 전방 맞닿음부에서보다 후방 맞닿음부에서 더 두껍게 된다.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삽입체의 이러한 특징은 삽입체가 공구 내에 확고하게 축방향 로킹되게 한다. 제1 및 제2 원은 내부에서 삽입체의 중심부(74)를 형성하는 원추면 상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도 설명된 바와 같이, 삽입체 상부면(34)에 있어서,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4)은 각각 그들이 만나는 중간면(45)을 향해 내측으로 서로를 향해 경사진다. 마찬가지로, 삽입체 저부면(35)에 있어서,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4') 각각은 그들이 만나는 중간면(45')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다. 이러한 특징은 다음과 같이 편리하게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삽입체 상부면(34)에 있어서,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4)은 각각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74)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다. 마찬가지로, 삽입체 저부면(35)에 있어서,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4')은 각각 서로를 향해 삽입체의 중심부(74)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다.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징은 삽입체가 공구 내에 효과적으로 반경 방향 클램핑될 수 있게 한다.
중간면(45, 45')은 대체로 삽입체의 회전축을 통과하는 수직면(V) 상에 위치될 수 있지만, 중간면은 삽입체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배향된 때 수직면의 양 측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면들 사이가 소정 거리로 이격되는 경우, 수직면의 양 측면 상에 중간면을 갖는 삽입체가 대체로 수직면 상에 위치된 중간면을 갖는 삽입체보다 견고하게 된다. 보다 양호하게는 중간면(45, 45')이 수직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12a 내지 도12d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L)의 빔(52)은 강성 지지부(53)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빔의 자유 단부(54) 상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F)은, 빔의 고정 단부(55)에서의 영(zero)의 휨으로부터 빔의 자유 단부(54)에서의 최대 휨(Δmax)으로 증가하는 양으로 빔이 휘게 한다. 빔의 휨은, 휘어짐이 작은 경우에는 대략 포물선 경로(56)인 탄성 만곡 곡선을 따른다.
클램핑 조오(9, 10)의 휨은 이상 설명한 빔의 휨과 전반적으로 유사하다. 도12b와 도12c는 하나의 클램핑 나사만을 사용한 평평한 삽입체(103)의 클램핑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은 도2에 도시된 공구(2)와 구조가 유사하지만 하나의 클램핑 나사만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공구(102)를 도시한다. 공구(102)는 클램핑 조오(109, 110) 및 응력 평형 가요화 보어(119)를 갖는다. 삽입체(103)는 본 발명의 삽입체(3)와 유사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및 전방 맞닿음부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도12b는 삽입체(103)를 클램핑시키기 전 상태를 도시한다. 클램핑 조오의 기부(130)는 휨의 기초로서의 역할을 한다. 삽입체를 삽입체 수납 슬롯(128) 내로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임의의 주 여유(Δ0)가 삽입체 맞닿음면과 클램핑 조오의 맞닿음면 사이에 제공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주 여유(Δ0)는 도시를 목적으로 매우 과장되어 있다. 도12c는 공구 내에 클램핑된 삽입체를 도시한다. 나사(107)는 클램핑 조오(109, 110) 상에 클램핑력을 가하여, 클램핑 조오를 삽입체(103)에 대하여 가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는 나사와 인접한 작은 면적에서만 클램핑되고 대부분의 맞닿음면은 맞닿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휘어진 클램핑 조오들 사이의 간극 전체를 채우는 형상을 갖는 삽입체를 사용함으로써, 최대의 클램핑 접촉 면적을 제공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응력 집중도를 낮춘다. 요구되는 삽입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전방 맞닿음부에서보다 후방 맞닿음부에서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이다. 도12d는 이상의 설명에 따라 클램핑된 때 본 발명에 따른 삽입체(203)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삽입체(203)는 삽입체(3)와 구조가 유사하나, 하나의 관통 보어만을 갖는다. 클램핑 조오는 삽입체 맞닿음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삽입체와 맞닿는다.
도시를 목적으로 도12b 내지 도12d에는 하나의 나사만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2개의 나사 보어가 사용된다(예를 들어, 도1 참조). 삽입체의 종방향 프로파일은 양호하게는 공구의 클램핑 조오의 탄성 만곡 곡선을 따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삽입체의 확고한 축방향 로킹이 달성되고, 기계 가공 중에 삽입체가 공구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한다. 확고한 축방향 로킹이란 삽입체 맞닿음면을 따라 그에 가해지는 클램핑력의 축방향 성분 또는 적어도 그 일부가 삽입체의 후방 맞닿음부를 향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도13a는 클램핑 조오(9a, 10a) 사이에 클램핑되는, 이상 설명한 삽입체(3)와 유사한 삽입체(3a)를 도시한다. 삽입체의 상부면의 맞닿음면(43a, 44a)은, 이 경우 선으로 된 중간면(45a)에서 만난다. 삽입체의 저부면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중간면은 그러나 선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도13b와 도13c는 중간면의 가능한 다른 2가지 형태를 도시한다. 도13b에서 삽입체(3b)의 중간면(45b)은 직선 단면을 갖는다. 삽입체의 두께는 도11을 참조하여 삽입체(3)에 대하여 설정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본 경우에 삽입체의 상부면의 맞닿음면이나 저부면의 맞닿음면은 모두 선으로 만나지 않으므로, 삽입체 두께의 일반적인 정의가 사용되어야 한다. 삽입체(3)에 대한 정의에 기초한, 다음의 삽입체 두께의 일반적인 정의가 사용된다. 삽입체의 상부면에 있어서, 맞닿음면(43b, 44b)을 통해 그와 평행한 가상면이 그려진다. 가상면의 교차는 도11의 선(45)과 유사한 가상선을 형성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삽입체의 저부면의 맞닿음면에 대해서도 가상의 교차선이 구성된다. 삽입체의 축을 따른 임의의 지점에서의 삽입체의 두께는 2개의 가상선에 접하는 원의 직경으로 주어지며, 여기서 원의 평면은 삽입체의 축에 수직이고 두께가 결정되는 축을 따른 지점을 포함한다. 원의 직경은 두께가 결정된 축을 따른 지점에서의 2개의 가상선 사이의 거리 미만이다. 축을 따른 소정 지점에서의 삽입체의 실제 두께는 소정 지점에서 취한 삽입체의 단면을 가로질러 변하므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는 단지, 도12d의 삽입체(203)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의 후방부가 삽입체의 전방부에 비해 어느 정도 두껍다는 사실을 전달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13c는 중간면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삽입체(3c)는 곡선 단면을 갖는 중간면(45c)을 갖는다. 이 경우 삽입체의 두께는 삽입체(3b)를 참조하여 이상에서 제시한 정의와 유사한 방식으로 설정된다.
도7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삽입체의 구성, 특히 제1 맞닿음면(43, 43')과 제2 맞닿음면(44, 44')의 상대적인 배치는, 측부면(36, 37)들이 비교적 두꺼워서 긴 주연 나선 절삭날(40, 40')의 구성을 허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삽입체는 특히 엔드 밀링 다듬질 작업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어느 정도의 특수성을 갖고 설명되었으나, 이후의 특허 청구 범위에 청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하거나 변형시킬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특히, 도14a 내지 도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는 단 하나의 절삭날(40)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특히 절삭날이 복잡한 윤곽을 갖는 경우에 동일한 윤곽을 정확하게 2개의 절삭날 상에 재생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삽입체의 상부면(34)은 저부면(35)과 동일하지 않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34)은 절삭날(40)에서 측부면(36)과 만나고, 반면에 저부면(35)은 절삭날을 구성하지 않는 모서리(40")를 따라 측부면(37)과 만난다. 모서리(40")가 반드시 선일 필요는 없으며 저부면(35)을 측부면(37)과 연결시키는 임의의 편리한 단면으로 된 구역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삽입체의 전방면(32)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소정 형태일 수 있고 절삭날을 포함할 수 있다.
맞닿음면(43, 43'; 44, 44')의 일반적인 형태 및 방향이 설명되고 도시된 형태로 되어 있다는 전제 하에서 전술한 임의의 변형은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체는 공구 내에 확고하게 축방향 로킹될 것이며 이중 더브테일 방식으로 유효하게 반경 방향 클램핑될 것이다.
다음은, 나사가 삽입체의 확고한 축방향 로킹을 일으키게 하는 클램핑 나사와 삽입체의 관통 보어 사이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15 내지 도17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15는 회전축(A)을 갖는 공구(2)의 삽입체 수납 슬롯(28) 내로 장착되는, 회전축(B)을 갖는 삽입체(3)를 도시한다. 삽입체(3)가 공구(2) 내에 장착되면, 삽입체의 회전축(B)은 공구(2)의 회전축(A)과 일치하게 된다. 삽입체 수납 슬롯(28)은 각각의 제1 및 제2 후방 맞닿음면(14, 15), 중간 슬롯(18) 및 응력 평형 가요화 보어(19)를 갖는다. 삽입체(3)는 관통 보어(39)와 후방면(33)을 갖는다. 클램핑 나사(307)는 축(E), 나사 헤드 테이퍼부(325), 나사 원추부(326) 및 나사산부(327)를 갖는다. 공구(2)는 클램핑 조오(9, 10)를 갖는다. 클램핑 조오(9) 내의 나사 보어(322)는 테이퍼부(331)를 가지며 클램핑 조오(10) 내의 나사 형성된 나사 보어(323)와 정렬된다.
나사 원추부(326)는 축(E)에 대하여 약 2.5도의 각도(δ)로 경사진다. 축(E)은 축(A)에 수직인 반경 방향(P)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δ)로 경사진다. 나사 원추부(326)는 전방 대면부(326A)와 후방 대면부(326B)를 갖는다. 용어 후방은 삽입체 수납 슬롯(28)의 개방 측면으로부터 후방 맞닿음면(14, 15)을 향한 방향을 가리킨다. 후방 대면부(326B)는 축(A)에 수직이며 삽입체(3)의 관통 보어(39)와 평행하다.
나사(307)의 조임은 3개의 단계 과정으로 설명된다. 제1 단계에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부(327)가 나사 형성된 나사 보어(323) 내에 결합된다. 이 단계에서, 후방 대면부(326B)는 관통 보어(39)의 후방 측면과 닿고, 삽입체(3)의 후방면(33)은 삽입체 수납 슬롯(28)의 후방 맞닿음면(14, 15)과 아직 맞닿지 않는다. 제2 단계에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307)는 더욱 조여진다. 나사(307)가 반경 방향(P)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각도(δ)에 기인하여, 후방 대면부(326B)는 삽입체의 후방면(33)이 후방 맞닿음면(14, 15)에 대하여 확고하게 맞닿을 때까지 삽입체(3)를 가압한다. 제3 단계에서,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307)는 나사 헤드 테이퍼부(325)가 나사 보어(322)의 테이퍼부(331)에 대하여 확고하게 맞닿을 때까지 더욱 조여진다. 이 상태에서, 클램핑 조오(9, 10)는 서로 접근하고, 결국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삽입체(3)와 맞닿게 된다.
이상의 설명을 통해 삽입체(3)는 나사에 의해 확고하게 축방향으로 로킹된다. 도2에 도시된 절삭 공구에 적용된다면 확고한 축방향 로킹은 나사(7) 또는 나사(8)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됨을 알 수 있다.

Claims (37)

  1. 공구(2)와 공구 내부에 장착 가능한 교체식 삽입체(3)를 포함하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절삭 공구 조립체(1)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삽입체 수납 슬롯(28)에 의해 이격되는 2개의 대체로 동일한 클램핑 조오(9, 10)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클램핑 조오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보어(20, 21, 22, 23)를 구비하고 주연면(11), 주연 맞닿음면(12) 및 중심 맞닿음면(13)을 포함하고, 상기 주연 맞닿음면 및 중심 맞닿음면은 회전축과 대체로 평행하고,
    상기 삽입체는 회전축(B)을 가지며 중심부(74), 전방면(32), 후방면(33),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 보어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보어(38, 39)를 갖는 상부면 및 저부면, 및 상기 회전축의 대향한 측면에 구비되는 측부면(36, 37)을 포함하는 대체로 각주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측부면들은 모서리(40, 40')에서 상부면 및 저부면과 만나고,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절삭날이며,
    각각의 상부면 및 저부면은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3'; 44, 44')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중심 전방 모서리선(46, 46') 및 주연 전방 모서리선(47, 47')을 각각 갖는 전방 맞닿음부(58)와, 중심 후방 모서리선(48, 48') 및 주연 후방 모서리선(49, 49')을 각각 갖는 후방 맞닿음부(57)로 이어지며, 상기 주연 전방 모서리선은 상기 주연 후방 모서리선과 평행하고, 상기 중심 전방 모서리선은 상기 중심 후방 모서리선과 평행하고,
    상기 상부면(34)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4)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74)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저부면(35)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4')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74)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3)는 그 전방 맞닿음부에서보다 후방 맞닿음부에서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클램핑 조오의 탄성 만곡 곡선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은 회전축(B) 주위의 나선 경로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2개의 관통 보어(38, 3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제1 중간면(45)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저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제2 중간면(45')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중간면은 삽입체가 수평하게 배향된 때 삽입체의 회전축을 통과하는 수직면(V)의 양 측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중간면은 상기 수직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중간면은 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중간면은 회전축(B)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직선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중간면은 회전축(B)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곡선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 맞닿음면과 중심 맞닿음면은 그들 사이에 각도(α)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삽입체 상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그들 사이에 각도(α')를 형성하고, 삽입체 저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그들 사이에 각도(α')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는 양호하게는 각도(α)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 수납 슬롯은 중간 슬롯(18)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슬롯은 응력 평형 가요화 보어(19)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18. 클램핑 조오들 사이에서 클램핑 공구 내에 클램핑되는 삽입체(3)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회전축(B)을 가지며 중심부(74), 전방면(32), 후방면(33), 상부면 및 저부면(34, 35), 및 상기 회전축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측부면(36, 37)을 포함하는 대체로 각주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측부면들은 모서리(40, 40')에서 상부면 및 저부면과 만나고, 상기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절삭날이며,
    각각의 상부면 및 저부면은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3'; 44, 44')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중심 전방 모서리선(46, 46')과 주연 전방 모서리선(47, 47')을 각각 갖는 전방 맞닿음부(58)와, 중심 후방 모서리선(48, 48')과 주연 후방 모서리선(49, 49')을 각각 갖는 후방 맞닿음부(57)로 이어지고,
    상기 상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며, 저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삽입체(3)는 그 전방 맞닿음부보다 후방 맞닿음부에서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주연 전방 모서리선은 주연 후방 모서리선과 평행하고, 중심 전방 모서리선은 중심 후방 모서리선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상기 클램핑 조오의 탄성 만곡 곡선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22.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23.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은 회전축(B) 주위의 나선 경로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24.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제1 중간면(45)에 의해 연결되고, 저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제2 중간면(45')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중간면은 삽입체가 수평하게 배향된 때 삽입체의 회전축을 통과하는 수직면(V)의 양 측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중간면은 상기 수직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27. 제2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중간면은 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28. 제2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중간면은 회전축(B)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직선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29. 제2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중간면은 회전축(B)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곡선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3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삽입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보어(38, 3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통 보어는 상기 상부면 및 저부면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체.
  32.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공구(2)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삽입체 수납 슬롯(28)에 의해 이격되는 2개의 대체로 동일하고 평행한 클램핑 조오(9, 10)를 포함하며,
    각각의 클램핑 조오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보어(20, 21, 22, 23)를 구비하고 주연면(11), 주연 맞닿음면(12) 및 중심 맞닿음면(13)을 포함하고, 상기 주연 맞닿음면 및 중심 맞닿음면은 회전축과 대체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 및 중심 맞닿음면은 그들 사이에 각도(α)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 수납 슬롯은 중간 슬롯(18)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슬롯은 응력 평형 가요화 보어(19)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36. 공구(2), 공구 내부에 장착 가능한 교체식 삽입체(3) 및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나사(307)를 포함하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절삭 공구 조립체(1)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맞닿음면(14, 15)을 갖는 삽입체 수납 슬롯(28)에 의해 이격되는 2개의 대체로 동일한 클램핑 조오(9, 10)를 포함하고, 각각의 클램핑 조오에는 절삭 공구 조립체의 회전축에 수직인 선(P)에 대하여 각도(δ)로 경사지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 보어 테이퍼부(331)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보어(20, 21, 22, 23)가 구비되고, 각각의 클램핑 조오는 주연면(11), 주연 맞닿음면(12) 및 중심 맞닿음면(13)을 포함하고, 주연 맞닿음면 및 중심 맞닿음면은 상기 회전축과 대체로 평행하고,
    삽입체는 회전축(B)을 가지며 중심부(74), 전방면(32), 후방면(33),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 보어와 대체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보어(38, 39)를 갖는 상부면 및 저부면(34, 35), 및 상기 회전축의 대향한 측면 상에 구비되는 측부면(36, 37)을 포함하는 대체로 각주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측부면들은 모서리(40, 40')에서 상부면 및 저부면과 만나고,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절삭날이며,
    각각의 상부면 및 저부면은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3'; 44, 44')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중심 전방 모서리선(46, 46')과 주연 전방 모서리선(47, 47')을 각각 갖는 전방 맞닿음부(58)와, 중심 후방 모서리선(48, 48')과 주연 후방 모서리선(49, 49')을 각각 갖는 후방 맞닿음부(57)로 이어지며, 상기 중심 전방 모서리선은 중심 후방 모서리선과 평행하고,
    상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고, 저부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삽입체의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며,
    클램핑 나사(307)는 축(E), 나사 헤드 테이퍼부(325), 축(E)에 대하여 각도(δ)로 경사진 나사 원통부(326), 및 나사산부(327)를 갖고,
    조립된 상태에서 삽입체 후방 맞닿음면(33)은 적어도 하나의 후방 맞닿음면(14, 15)과 맞닿고, 나사 원통부(326)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 관통 보어(38, 39)와 맞닿고, 나사 헤드 테이퍼부(325)는 나사 보어 테이퍼부(331) 및 주연 맞닿음면(12)과 맞닿고, 클램핑 조오(9, 10)의 중심 맞닿음면(13)은 삽입체의 제1 및 제2 맞닿음면(43, 43'; 44, 44')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그 전방 맞닿음부에서보다 후방 맞닿음부에서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KR1019997012509A 1998-05-05 1999-04-19 절삭 공구 조립체 및 그 절삭 인서트 KR100578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124328 1998-05-05
IL12432898A IL124328A (en) 1998-05-05 1998-05-05 Cutting tool assembly and cutting insert therefor
PCT/IL1999/000207 WO1999056902A1 (en) 1998-05-05 1999-04-19 Cutting tool assembly and cutting insert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577A true KR20010020577A (ko) 2001-03-15
KR100578442B1 KR100578442B1 (ko) 2006-05-11

Family

ID=1107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2509A KR100578442B1 (ko) 1998-05-05 1999-04-19 절삭 공구 조립체 및 그 절삭 인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96769B1 (ko)
JP (2) JP4068668B2 (ko)
KR (1) KR100578442B1 (ko)
AU (1) AU3440799A (ko)
DE (2) DE19980707B4 (ko)
IL (1) IL124328A (ko)
WO (1) WO199905690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292B1 (ko) * 2005-09-16 2007-07-10 김춘자 맞춤고정식 인덱서블형 절삭공구 및 이에 사용되는 인서트팁
KR100854081B1 (ko) * 2006-07-26 2008-08-25 한국야금 주식회사 선삭 및 밀링 가공이 가능한 절삭 인서트
KR200447595Y1 (ko) * 2008-12-31 2010-02-11 메탈릭스 주식회사 인서트 드릴
KR101011053B1 (ko) * 2008-10-20 2011-01-25 대구텍 유한회사 엔드밀 및 엔드밀용 절삭 삽입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4635C2 (de) * 1998-07-31 2001-07-26 Guehring Joerg Bohrwerkzeug mit einem gegen Lösen gesicherten, austauschbaren Schneideinsatz
TW480198B (en) * 1999-02-22 2002-03-21 Iscar Ltd Cutting tool assembly and cutting insert therefor
IL132261A (en) 1999-10-07 2003-09-17 Iscar Ltd Cutting tool assembly and cutting insert therefor
SE516052C2 (sv) * 2000-03-17 2001-11-12 Sandvik Ab Borrverktyg
MXPA03005423A (es) 2000-12-18 2005-07-01 Cardemon Inc Metodo y aparato de ajuste para una herramienta de perforacion.
US6488450B2 (en) * 2001-01-22 2002-12-03 Ingersoll Cutting Tool Company T-slot milling cutter and insert therefor
JP3711255B2 (ja) * 2001-09-21 2005-11-02 日立ツール株式会社 テーパ部を有するエンドミル
JP2005523171A (ja) * 2002-04-25 2005-08-04 カーデモ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ディー/ビー/エイ カー−テック・カンパニー 細密調整付きの摺動可能な穿孔工具
EP2343145A1 (en) * 2003-03-05 2011-07-13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Throw-away tipped drill, throw-away tip, and drill main body
DE10353514A1 (de) * 2003-11-14 2005-06-23 Heule, Ulf Bohrplatte mit klemmender Befestigung in einem Grundkörper
US20050175422A1 (en) * 2004-02-06 2005-08-11 Sin Tian Jhang Milling cutter having close holding effect
KR100656265B1 (ko) * 2004-08-18 2006-12-11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덱서블 절삭공구
WO2006036041A1 (en) * 2004-08-18 2006-04-06 Korloy Inc. Indexable type cutting tool
SE528770C2 (sv) * 2004-08-25 2007-02-13 Seco Tools Ab Skärverktyg för vässning av elektrodspetsar med utbytbara skär
SE529067C2 (sv) 2004-08-25 2007-04-24 Seco Tools Ab Vändskär med skärhålsarrangemang med två axlar
SE529065C2 (sv) * 2004-10-20 2007-04-24 Seco Tools Ab Skärverktyg där skäret har en spånkanal som skär släppningsytan
JP4747282B2 (ja) 2005-03-29 2011-08-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インサート着脱式ドリル
IL188502A (en) * 2007-12-30 2012-05-31 Iscar Ltd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therefor
JP5309866B2 (ja) * 2008-10-10 2013-10-09 株式会社タンガロイ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切削工具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JP5287120B2 (ja) * 2008-10-10 2013-09-11 株式会社タンガロイ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用の工具本体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EP2471618A1 (en) * 2010-12-28 2012-07-04 VARGUS Ltd. Milling cutter with a pocket at the front face and insert therefore
US9475131B2 (en) * 2013-06-13 2016-10-25 Kennametal Inc. Milling cutter with stress reliefs
DE102015106082A1 (de) * 2014-04-24 2015-10-29 Kennametal India Ltd. Schneidwerkzeug mit auswechselbarem Schneideinsatz und geneigten Befestigungselementen
MX2017016459A (es) * 2015-06-29 2019-05-30 Kanefusa Knife & Saw Metodo de procesamiento de indentaciones por medio de fresado de extremos.
DE102016117972A1 (de) 2016-09-23 2018-03-29 LMT Kieninger GmbH & Co. KG Fräswerkzeug, Schneidplattenhalter und Schneidplatte
US11235397B2 (en) 2016-12-16 2022-02-01 Kennametal Inc. Side-activated modular drill
US10207337B2 (en) * 2017-04-04 2019-02-19 Kennametal Inc. Front-loaded, side-activated modular drill
DE102017107249A1 (de) 2017-04-04 2018-10-04 Botek Präzisionsbohrtechnik Gmbh Bohrwerkzeug mit Wechselschneidplatte
EP3427875A1 (en) * 2017-07-10 2019-01-16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Rotary drill tool with insert centring surfaces
DE102019116160A1 (de) 2018-06-20 2019-12-24 Kennametal Inc. Seitlich geschlossener modularer Bohrer mit federunterstütztem Auswurf
US11090736B2 (en) 2018-12-10 2021-08-17 Kennametal Inc. Side-activated modular drill
CN111761111B (zh) * 2019-04-01 2023-03-21 京瓷株式会社 立铣刀
US11471952B2 (en) 2020-03-19 2022-10-18 Kennametal Inc. Cutting tool having replaceable cutting head and method of securing a replaceable cutting head
US11883888B2 (en) 2021-06-28 2024-01-30 Kennametal Inc. Modular drill with enhanced bump-off cap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72820A (en) * 1920-10-19 1921-12-22 Petrus Adrianus Van Den Raadt Improvements in flat drills
US2188743A (en) * 1939-04-07 1940-01-30 Apex Tool & Cutter Company Inc Milling cutter
US2392216A (en) * 1943-10-11 1946-01-01 James A Anania Cutter tool assembly
US2870523A (en) * 1956-08-10 1959-01-27 Theophile J La Lime Cutting tools
US3380137A (en) * 1966-05-12 1968-04-30 Valeron Corp Cylindrical insert cutting tool
US3827119A (en) * 1972-08-31 1974-08-06 J Bennett Tool holder with provisions for accurately positioning cutting inserts and an improved chip breaking indexible insert
DE2941179B1 (de) 1979-10-11 1981-05-21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Kress KG, 7080 Aalen Zer?kzeug
IT1145995B (it) * 1981-01-08 1986-11-12 Iscar Ltd Utensile per il taglio di metalli provvisto di inserto sostituibile
DE3119189A1 (de) * 1981-05-14 1982-12-02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Kress KG, 7080 Aalen Zerspanungswerkzeug mit stirnseitig einsetzbarer messerplatte
DE3204210C2 (de) * 1982-02-08 1986-04-03 Stellram GmbH, 6056 Heusenstamm Bohrwerkzeug für metallische Werkstoffe
DE3529620A1 (de) 1985-08-19 1987-02-19 Kieninger Walter Gmbh Schneidplatte
US5071291A (en) * 1988-12-02 1991-12-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ternal disk milling cutter with improved cutter insert
SE470093B (sv) * 1992-04-02 1993-11-08 Sandvik Ab Skär för skiv- eller planfräsar, samt fräsverktyg för sådana skär
DE4239311C2 (de) 1992-11-23 1996-04-18 Guehring Joerg Dr Bohrer, insbesondere Spitzbohrwerkzeug mit austauschbarem Schneideinsatz
IL106999A (en) 1993-09-13 1997-02-18 Iscar Ltd Cutting tool
IT1288262B1 (it) * 1996-12-13 1998-09-11 Livio Mina Fresa bitagliente monoinserto ad elevata robustezza e precisio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292B1 (ko) * 2005-09-16 2007-07-10 김춘자 맞춤고정식 인덱서블형 절삭공구 및 이에 사용되는 인서트팁
KR100854081B1 (ko) * 2006-07-26 2008-08-25 한국야금 주식회사 선삭 및 밀링 가공이 가능한 절삭 인서트
KR101011053B1 (ko) * 2008-10-20 2011-01-25 대구텍 유한회사 엔드밀 및 엔드밀용 절삭 삽입체
KR200447595Y1 (ko) * 2008-12-31 2010-02-11 메탈릭스 주식회사 인서트 드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63574U (ja) 1999-11-09
KR100578442B1 (ko) 2006-05-11
DE19980707B4 (de) 2009-08-20
DE19980707T1 (de) 2000-09-07
JP2002511028A (ja) 2002-04-09
JP4068668B2 (ja) 2008-03-26
AU3440799A (en) 1999-11-23
US6196769B1 (en) 2001-03-06
IL124328A0 (en) 1998-12-06
IL124328A (en) 2003-12-10
WO1999056902A1 (en) 1999-11-11
DE29908039U1 (de) 199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442B1 (ko) 절삭 공구 조립체 및 그 절삭 인서트
US8905683B2 (en)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having clamping bore with spaced apart clamping portions therefor
KR100670862B1 (ko) 밀링 커터 및 밀링 커터용 절삭 삽입체
US8202026B2 (en) Cutting insert
US6203251B1 (en) Indexable milling insert
CN1092551C (zh) 刀具连接和连接两刀具部件的方法
US5395186A (en) Milling cutter having insert-carrying cartridges
US4594034A (en) Multigroove drill bit with angled frontal ridges
EP0942799B1 (en) Milling tool
KR20110050648A (ko) 절삭 공구 및 이를 위한 둥근 양면형 절삭 인서트
US4938638A (en) Milling cutter
EP0747156B1 (en) Cutting insert and cutter for milling
AU601079B2 (en) Ball end mill with throw away insert
JP2002542053A (ja) 切削インサートを保持するための工具ホルダおよび締付け板
EP0298061B1 (en) Drill and cutting insert therefore
US4932813A (en) Milling tool and a cassette
EP0088505B1 (en) Drill and disposable inserts therefor
KR920006554Y1 (ko) 드로우어웨이팁
CA1260689A (en) On-edge end-milling insert
JP3369197B2 (ja) 回転切削工具
WO1992003243A1 (en) Drill
JPH10151604A (ja) 木工用ボーリング錐
JP2526102Y2 (ja) スローアウェイ式転削工具
JPH0144261Y2 (ko)
JPH07237024A (ja) 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