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463A - 금형 및 프레스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및 프레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463A
KR20010020463A KR1019997011493A KR19997011493A KR20010020463A KR 20010020463 A KR20010020463 A KR 20010020463A KR 1019997011493 A KR1019997011493 A KR 1019997011493A KR 19997011493 A KR19997011493 A KR 19997011493A KR 20010020463 A KR20010020463 A KR 20010020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lubricant
communication path
pr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키치 니이미
Original Assignee
유우겐 가이샤 니이미텍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112737A external-priority patent/JP29946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31397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17718A/ja
Priority claimed from JP37726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3394B2/ja
Application filed by 유우겐 가이샤 니이미텍코오 filed Critical 유우겐 가이샤 니이미텍코오
Publication of KR20010020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4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4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 B28B7/346Manufacture of mou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115Lubricator

Abstract

상형(10)과 하형(40)으로 구성되는 금형에는 프레스가공시에 서로 접합하는 접합면(A1-A4)과 프레스면(12)이 형성되어 있다. 측판(16)의 내주면(16a)에 형성된 접합면(A1)에는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상형(10)과 하형(40)이 접합하면 홈(20)이 하형(40)의 접합면에 의해서 막혀서 터널형상의 통로로 된다. 제1개구부(21a)로부터 도입된 윤활제는 홈(20)을 통해서 제2개구부(21b)에서 회수된다. 홈(20)을 통과하는 윤활제의 일부가 접합면(A1-A4)에 공급된다.

Description

금형 및 프레스장치{METAL MOLD AND PRESS DEVICE}
금형은 복수의 금형편으로 구성되어 프레스장치에 장착되어서 사용된다. 프레스장치는 금형편 사이에 삽입된 성형재료를 프레스하여 성형품을 얻는다. 이러한 금형의 일례로서 기와를 성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을 든다. 기와용 금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하형 내에 아라지(荒地:점토를 방형으로 절단한 기와성형품의 소재. 이하 "점토재"라 한다)를 세트하고 상형으로 프레스한다. 프레스된 점토재는 금형의 내부형상, 즉 상형과 하형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cavity)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해서 원하는 형상의 기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공동에서 프레스할 때에 변형한 점토가 밀려나오지 않도록 상형과 하형에는 서로 접합하는 접합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금형을 오래 사용하면 접합면끼리의 접촉저항을 원인으로 접합면이 마모하여 버린다. 특히 기와용의 금형으로서는, 점토가 접합면에 막히면 이 마모가 가속되어, 점토입자에 의해서 접합면이 흠이 나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점토는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접합면이 녹슬어 더욱 마모가 가속되는 것도 있었다.
그 때문에 이런 마모를 방지하는 장치로서 실개평(實開平) 5-540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장치는 타일소지성형장치의 상형과 하형의 접합면 부근에 윤활유를 분무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지 분무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히 윤활유가 접합면에 골고루 미치지 않고, 불필요한 부분에까지 급유하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윤활유 낭비가 된다. 한편 접합면에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었다고 해도 너무 대량으로, 또한 프레스동작마다 공급하는 것은 윤활유 낭비가 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접합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금형 및 프레스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성형재료를 프레스가공하기 위한 금형 및 그 금형을 장착한 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형의 상형의 사시도.
도 2는 같은 상형의 배면도.
도 3은 같은 상형의 정면도.
도 4는 같은 상형의 상형측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형의 하형의 사시도.
도 6a는 같은 하형에 있어서 제1하형측판의 단면도.
도 6b는 같은 하형에 있어서 절취부용 측판의 단면도.
도 6c는 같은 하형에 있어서 제2하형측판의 단면도.
도 6d는 같은 하형에 있어서 제3하형측판의 단면도.
도 7은 같은 상형 및 하형이 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도7에서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도7에서의 B-B선을 절단한 단면도.
도 10은 본발명의 실시형태의 프레스장치.
도 11은 기와성형품의 사시도.
도 12a는 포핏(poppet)장착통에 장착된 포핏이 연통공에 끼워 맞춰진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점토재에 맞닿아서 접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
도 12b는 포핏장착통에 장착된 포핏이 연통공에 끼워 맞춰진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점토재에 맞닿아서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것.
도 13은 윤활유공급 및 공기흡인·윤활유회수기구의 개략을 설명하는 설명도.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금형편을 가지는 금형으로서, 제1 및 제2금형편이 프레스가공할 때에 서로 접합하는 접합면과, 피가공재료를 프레스하는 프레스면을 각각 가지는 금형에 있어서, 윤활제를 제 1 및 제2금형편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접합면에 공급하기 위하여, 그 접합면에 형성한 윤활제공급부와, 제1 및 제2금형편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윤활제공급부에 연통한 제1연통로와, 제1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1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윤활제공급부에 공급하기 위한 도입구와, 제1 및 제2금형편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윤활제공급부에 연통한 윤활제공급부에 연통한 제2연통로와, 제2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2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금형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금형편을 가지는 금형으로서, 제1 및 제2금형편이 프레스가공할 때에 서로 접합면과, 피가공재료를 프레스하는 프레스면을 각각 가지는 금형에 있어서, 윤활제를 제1 또는 제2금형편의 접합면에 공급하기 위하여, 그 접합면에 형성한 윤활제공급홈과, 제1 또는 제2금형편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윤활제공급홈에 연통한 제1연통로와, 제1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1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홈에 공급하기 위한 도입구와, 제1 또는 제2금형편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홈에 연통한 제2연통로와, 제2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2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금형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금형편을 가지는 금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금형편이 프레스가공할 때 서로 접합하는 접합면과, 피가공재료를 프레스하는 프레스면을 각각 가지는 금형과, 금형의 제1 및 제2금형편을 각각 가지며, 그 제1 및 제2금형편을 상대적으로 접근시켜서 양 금형편 사이에 배치한 가공재료를 프레스하기 위한 프레스수단과, 프레스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수단을 가지는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윤활제를 제1 및 제2금형편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접합면에 공급하기 위하여 그 접합면에 형성한 윤활제공급부와, 제1 및 제2금형편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윤활제공급부에 연통한 제1연통로와, 제1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1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윤활제공급부에 공급하기 위한 도입구와, 윤활제를 도입구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와, 카운트수단에 의한 소정의 카운트수 및 소정의 타이밍에 따라서 공급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프레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금형편을 가지는 금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금형편이 프레스가공할 때 서로 접합하는 접합면과, 피가공재료를 프레스하는 프레스면을 각각 가지는 금형과, 금형의 제1 및 제2금형편을 각각 가지며, 그 제1 및 제2금형편을 상대적으로 접근시켜서 양 금형편 사이에 배치한 가공재료를 프레스하기 위한 프레스수단과, 프레스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수단을 가지는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윤활제를 제1 또는 제2금형편의 접합면에 공급하기 위하여 그 접합면에 형성한 윤활제공급홈과, 제1 또는 제2금형편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홈에 연통한 제1연통로와, 제1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1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홈에 공급하기 위한 도입구와, 제1 또는 제2금형편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홈에 연통한 제2연통로와, 제2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2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금형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윤활제를 상기 도입구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와, 카운트수단에 의한 소정의 카운트수 및 소정의 타이밍에 따라서 상기 공급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프레스장치를 제공한다.
도 1-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와가공용 금형은 제1금형으로서의 상형(10)과 제2금형으로서의 하형(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형(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형(10)에는 제1대좌(11)가 형성되어 있다. 그 대좌(11)는 두께부(11a)와, 그 두께부(11a)의 양쪽에 형성된 제1및 제2연설부(延設部)(11b)(11c)(이하, "제1 및 제2수평면부"라고 한다)로 구성되어 있다. 대좌(11)는 전체로서 평면 거의 정방형으로 되어 있다. 그 대좌(11)의 한 각에는 절취형성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절취형성부(11d)에 의해서 도 11에 도시한 기와성형품(1)의 절취부(2)가 형성된다. 그 두께부(11a)의 도 1에 있어서 상면(금형의 내부쪽)은 점토재와 접하는 프레스면(12)으로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면(12)은 파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프레스된 점토재는 이 형상에 맞춰 변형하여 기와성형품(1)으로 된다. 프레스면(12)의 외곽형상은 성형되는 기와성형품(1)의 외곽형상과 일치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면(12)의 3방면 벽면을 둘러싸도록 벨트부재(14)가 장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좌(11)의 후방(도 1에서 속쪽)에는 상형측판(16)이 장착되어 있다. 그 측판(16)은 육각볼트(19)에 의해서 그 대좌(11)에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측판(16)의 내부에는 한 쌍의 연통로(18)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측판(16)의 내표면(16a) 위에는 윤활제공급부로서의 가이드홈(20)이 형성되어 있다. 그 가이드홈(20)은 그 상형측판(16)의 상단 가까이에 수평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가이드홈(20)은 단면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가이드홈(20)의 양단에는 윤활제공급부로서의 제1 및 제2개구부(21a)(21b)가 형성되어 있다. 그 상형측판(16)의 외표면(16b) 위이고 그 제1개구부(21a)의 배면에는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도입구(17a)가 형성되어 있다. 제1개구부(21a)와 도입구(17a)는 상기 연통로(18)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다. 그 제2개구부(21b)의 배면에는 윤활유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구(17b)가 형성되어 있다. 제2개구부(21b)와 회수구(17b)는 상기 연통로(18)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다.
그 내표면(16a)의 측방(도1에서 왼쪽)에는 기와성형품의 도 11에 도시하는 만쥬(3){기와성형품(1)의 선단에 부여된 원형부분. 이하 "구면부"라고 한다)을 성형하기 위한 요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수평면부(11b)에 인접해서 가이드(24)가 상기 내표면(16a)에 장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표면(16a)을 제1접합면(A1)으로 한다. 제1수평면부(11b)에 인접하는 벨트부재(14)의 표면과 상형대좌(11)의 두께부(11a)의 벽면으로 구성되는 평면부를 제2접합면(A2)으로 한다. 제2수평면부(11c)에 인접하는 벨트부재(14)의 표면에 의해서 구성되는 평면부를 제3접합면(A3)으로 한다. 도 1에서 앞쪽의 벨트부재(14) 표면 및 그 앞쪽의 상형대좌(11)의 두께부(11a) 벽면으로 구성되는 평면부를 제4접합면(A4)으로 한다. 또한 대좌절취부(11d)의 절취면을 제5접합면(A5)으로 한다.
도 1,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부(11a)에는 프레스면(12)쪽에서 이면쪽으로 연통한 연통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공(26)에는 원통형상의 포핏장착통(27)이 끼워 맞춰지고, 그 통(27)에는 포핏(28)이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핏(28)은 몸통부(29)와 두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29)이 두부(30)의 세경부(30a)에 장착되어 있다. 코일스프링(29)은 포핏장착통 선단의 플랜지(27a)와 두부(30)의 확경부(30b) 사이에 끼워 맞춰지고, 그 결과 포핏(28)은 프레스면(12) 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진다. 그리고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경부(30b) 선단은 프레스면(12)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포핏장착통(27)의 후단에는 커넥터(31)가 나사체결되어 있다.
하형(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형(40)에는 제2대좌(41)가 형성되어 있다. 그 대좌(41)는 전체로서 평면 거의 정방형으로 되어 있다. 그 대좌(41)의 상면에는 그 대좌(41)의 평면형상과 일치하는 프레스면(42)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스면(42)은 파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프레스된 점토재는 이 형상에 맞춰 변형해서 기와성형품으로 된다. 그 프레스면(42)의 일부(도5에 있어서 앞쪽)가 도 11에 도시하는 기와성형품의 구면부(3) 및 처마끝쪽(4)을 성형하기 위한 분할블럭(42a)(42b)으로 되어 있다.
그 대좌(41)의 3방향의 측부(도5에 있어서 앞쪽을 제외한 3방향)에는 각각 하형측판(44-46)이 장착되어 있다. 측판(44-46)은 육각볼트(48)에 의해서 그 대좌(41)에 고정되어 있다.
도 5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하형측판(44)(도5에 있어서 속쪽)의 내표면(44a)에는 가이드홈(49)이 형성되어 있다. 그 가이드홈(49)은 하형측판(44)의 상단 가까이에 가로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가이드홈(49)은 단면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가이드홈(49)의 양단에는 윤활제공급부로서의 제1및 제2개구부(50a)(50b)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6c 및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및 제3하형측판(45)(46)의 내표면(45a)(46a)에도 윤활제공급부로서의 가이드홈(49)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홈(49)의 양단에는 제1및 제2개구부(50a)(5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및 제3하형측판(45)(46)의 외표면(45b)(46b)에는 양 개구부(50a)(50b)에 대응하는 도입구(51a) 및 회수구(5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부용 측판(47)이 육각볼트(48)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절취부용 측판(47)에 의해서 도 11에 도시한 기와성형품(1)의 절취부(2)가 형성된다. 절취부용 측판(47)의 내표면(47a)에는 윤활제공급부로서의 가이드홈(49)이 형성되어 있다. 그 가이드홈(49)은 그 측판(47)의 상단 가까이에 수평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취부용 측판(47)은 절취부(2)를 형성하기 위해서 90도 굴곡된 내표면(47a)을 가지고, 그 가이드홈(49)은 그 내표면(47a)의 각도에 따라서 90도 굴곡되어 있다. 그 가이드홈(49)은 단면 U자 형상이고, 그 가이드홈(49)의 양단에 제1 및 제2개구부(50a)(50b)가 형성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형측판(44)의 가이드홈(49)의 제1개구부(50a)는 인접하는 제3하형측판(46)의 가이드홈(49)의 제2개구부(50b)와 연통로(52)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형측판(44)의 가이드홈(49)의 제2개구부(50b)는 인접하는 절취부용 측판(47)의 가이드홈(49)의 제1개구부(50a)와 연통로(52)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도 6b 및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부용 측판(47)의 가이드홈(49)의 제2개구부(50b)는 인접하는 제2하형측판(45)의 가이드홈(49)의 제1개구부(50a)와 연통로(52)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하형(40)의 3개의 하형측판(44-46) 및 절취부용 측판(47)에 형성된 각 가이드홈(49)은 도중에 연통로(52)를 통해서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하형측판(46)의 단부 가까이 외표면(46b)에는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도입구(51a)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구(51a)는 제3하형측판(46)의 제1개구부(50a)와 연통로(52)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다.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하형측판(45)의 단부 가까이 외표면(45b)에는 윤활유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구(51b)가 형성되어 있다. 회수구(51b)는 제2하형측판(45)의 제2개구부(50b)와 연통로(52)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스면(42)의 분할블럭(42a)(42b) 앞면벽이 형성하는 평면을 제1접합면(B1)으로 한다. 상기 제2하형측판(45)의 내벽면이 형성하는 평면을 제2접합면(B2)으로 한다. 상기 제2하형측판(45)의 내벽면이 형성하는 평면을 제3접합면(B3)으로 한다. 상기 제1하형측판(44)의 내벽면이 형성하는 평면을 제4접합면(B4)으로 한다. 또한 절취부용 측판(47)의 내표면(47a)이 형성하는 평면을 제5접합면(B5)으로 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금형을 장착한 프레스장치(71)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제로는 복수의 프레스장치(71)가 설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형태로서는 그 속의 하나를 골라내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장치(71)의 본체(75)는 프레임(72)과 그 프레임(72)이 지지되는 본체테이블(73)로 구성되어 있다. 그 프레임(72) 내에는 슬라이드(76)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76)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에 안내되어 상방의 대기위치로부터 하방의 프레스위치에 이동한다. 슬라이드(76)는 크랭크장치(78)에 의해서 구동된다.
크랭크장치(78)는 프레임(72) 상부에 배치된 모터(79)에 의해 구동된다. 크랭크장치(78) 및 모터(79)에 의해 프레스수단이 구성된다. 본체테이블(73) 위에는 유지수단으로서의 홀스터(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금형의 상형(10)은 그 슬라이드(76) 하면에 고착되고, 하형(40)은 그 홀스터(80) 상면에 고착되어 있다. 이 상태로 각각의 프레스면(12)(42)이 대향하고 있다. 상기 상형(10)의 이동경로 내에, 상기 프레임(72)에는 검출수단으로서의 광센서(81)가 장착되어 있다. 광센서(81)는 투광부(81a)와 수광부(81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76), 크랭크장치(78), 모터(79) 및 제어장치(84)에 의해 프레스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장치(71)에는 흡인수단 및 윤활제공급수단으로서의 압유공급장치(82), 윤활유탱크(83) 및 제어장치(84)가 병설되어 있다. 도 13에 의거해서 압유공급장치(82)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유공급장치(82) 내에는 상형(10) 및 하형(40)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2대의 공급실린더(85)와, 공동(C) 내의 공기를 흡인하며 상형(10) 및 하형(40)으로부터 윤활유를 회수하는 2대의 흡인실린더(8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먼저 상형(10) 및 하형(40)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양 공급실린더(85)의 피스톤 로드(88)의 기단은 연결판(89)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양 피스톤 로드(88) 사이에는 회전크랭크판(91)이 설치되어 있다. 모터(90)가 회전크랭크판(91)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모터(90)의 출력축(90a)의 선단은 회전크랭크판(91)의 중심에 고착되어 있다. 회전크랭크판(91)에는 연결레버(92)의 기단이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달려 있다. 연결레버(92)의 선단은 상기 연결판(89)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달려 있다. 그 결과 모터(90)의 출력축(90a)의 회전에 따라 회전크랭크판(91)이 회전해서 연결레버(92)가 연결판(89)을 누르면, 양 피스톤 로드(88)는 후퇴한다. 다시 회전하면 연결레버(92)가 연결판(89)을 끌어당겨서, 양 피스톤 로드(88)는 진출한다.
회전크랭크판(91)의 측방에는 리밋 스위치(97)가 설치되어 있다. 리밋 스위치(97)는 그 회전크랭크판(91) 외주에 돌출된 돌기(91a)와 간섭해서 회전크랭크판(91)의 회전위치를 검출한다.
각 공급실린더(85)와 상기 상형(10) 및 하형(40)의 각 도입구(17a)(51a)는 각각 주유호스(95)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양 피스톤 로드(88)의 후퇴에 의해서 공급호스(93)를 통하여 각 윤활유탱크(83)로부터 각 공급실린더(85) 내로 윤활유가 들어간다. 각 공급실린더(85) 내의 윤활유는 양 피스톤 로드(88)의 진출에 의해서 각 주유호스(95)에 공급된다. 각 공급호스(93)의 도중에는 실린더(85)로부터의 윤활유의 역류를 저지하는 제1체크밸브(96)가 설치되어 있다.
각 주유호스(95)의 도중에는 제2체크밸브(98)가 설치되어 있다. 제2체크밸브(98)는 전자솔레노이드를 여자(勵磁)시킴으로써 상형(10) 및 하형(40) 방향으로의 윤활유의 통과를 허용하며, 소자시킴으로써 상형(10) 및 하형(40) 방향으로의 윤활유의 통과를 정지시킨다. 주유호스(95)의 도중에서 제2체크밸브(98)의 하류쪽에는 벤추리관(99)이 설치되어 있다. 그 벤추리관(99)과 에어펌프장치(100)가 에어호스(101)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벤추리관(99)에 의해서 주유호스(95) 내의 윤활유(및 도입된 공기)의 속도가 가속된다. 양 에어호스(101)와 에어펌프장치(100)의 도중에는 하나의 제3체크밸브(102)가 설치되어 있다. 제3체크밸브(102)는 전자솔레노이드를 여자시킴으로써 에어펌프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주유호스(95)로의 공급을 허용하고, 소자시킴으로써 공급을 정지시킨다. 제3체크밸브(102)의 전자솔레노이드는 제2체크밸브(98)의 전자솔레노이드의 여자 또는 소자에 동기하여 여자 또는 소자된다. 따라서 상형(10) 및 하형(40)에 윤활유가 공급될 때 동시에 에어가 도입되어 윤활유의 빠른 공급을 보조한다.
다음에 공동(C)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기구, 상형(10)및 하형(40)에 공급한 윤활유를 회수하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양 흡인실린더(87)는 상기 공급실린더(85)보다도 내경 및 스트로크가 크게 구성되어 있다. 2대의 흡인실린더(87)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105)의 기단은 연결판(106)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양 피스톤 로드(105) 사이에는 회전크랭크판(108)이 설치되어 있다. 모터(107)가 회전크랭크판(108)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모터(107)의 출력축(107a)의 선단은 회전크랭크판(108)의 중심에 고착된다. 회전크랭크판(108)에는 연결레버(109)의 기단이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달려있다. 연결레버(109)의 선단은 상기 연결판(106)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달려있다.
그 결과, 모터(107)의 출력축(107a)의 회전에 따라 회전크랭크판(108)이 회전해서 연결레버(109)가 연결판(106)을 누르면, 양 피스톤 로드(105)는 후퇴한다. 다시 회전하면 연결레버(109)가 연결판(106)을 당겨서, 양 피스톤 로드(105)는 진출한다.
회전크랭크판(108)의 측방에는 리밋 스위치(114)가 설치되어 있다. 리밋 스위치(114)는 그 회전크랭크판(108) 외주에 돌출된 돌기(108a)와 간섭하여 회전크랭크판(108)의 회전위치를 검출한다.
각 흡인실린더(87)와 상기 상형(10) 및 하형(40)의 각 회수구(17b)(51b)는 각각 흡인호스(110)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흡인호스(110)의 도중에는 스트레이너(120)가 배치되어 있다. 스트레이너(120)는 상형(10) 및 하형(40)으로부터 회수되는 윤활유 내에 혼합된 점토 침전물을 제거한다. 또한 상형(10)의 이면에 장착된 커넥터(31)로부터 연장된 바이패스 흡인호스(115)가 상형(10) 쪽의 흡인호스(110)의 도중에 연결되어 있다.
각 흡인실린더(87)와 각 윤활유탱크(83)는 각각 기름회수용 호스(111)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105)의 후퇴에 의해서 흡인호스(110)를 통하여 상형(10) 및 하형(40)으로부터 흡인실린더(87) 내로 들어온 윤활유는 피스톤 로드(105)의 진출에 의해서 기름회수용 호스(111)에 공급되어 윤활유탱크(83)로 되돌아간다.
각 흡인호스(110)의 도중에는 제4체크밸브(112)가 설치되어 있다. 제4체크밸브(112)는 전자솔레노이드를 여자시킴으로써 상형(10) 및 하형(40) 방향으로부터의 윤활유의 통과를 허용하고, 소자시킴으로써 상형(10) 및 하형(40) 방향으로부터의 윤활유의 통과를 정지시킨다. 각 기름회수용 호스(111)의 도중에는 실린더(86)로부터의 윤활유의 역류를 저지하는 제5체크밸브(113)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84)는 상기 프레스장치(71) 전체의 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압유공급장치(82)의 각 모터(90)(107), 제1-제3체크밸브(99)(102)(112) 및 에어펌프장치(100)와 접속되어 각 장치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장치(84)는 상기 광센서(81)의 수광부(81b)와 접속되어 그 수광부(81b)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따라서 그 회수를 카운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84)는 이 검출신호를 5회 카운트(즉 5회의 프레스)할 때마다 각 모터(90)(107)를 구동시키도록 제어를 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장치(84)는 리밋 스위치(97)(114)와 접속되어서, 그 리밋 스위치(97)(114)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각 모터(90)(107)의 구동시간 및 타이밍을 제어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장치(71)의 전방에는 점토재를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116)와 점토재를 하형(40) 내에 반입하는 반입로보트(11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프레스장치(71)의 후방에는 프레스가공된 기와성형품을 반출하는 반출로보트(118)와 기와성형품를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119)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스장치(7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초기상태에서는 공급실린더(85) 및 흡인실린더(87)의 피스톤 로드(88)(105)는 도 13에서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전원을 투입해서 모터(79), 압유공급장치(82), 제어장치(84), 에어펌프장치(100) 및 제2체크밸브(98) 등을 가동상태로 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동작을 개시시킨다. 모터(79)를 구동시켜 프레스장치(71)의 슬라이드(76)를 초기위치로부터 크랭크장치(78)에 의해서 일단 상승시킨다. 벨트 컨베이어(116) 상의 가장 앞열의 점토재를 반입로보트(117)에 의해서 하형(40)의 프레스면(42) 위에 세트시킨다. 점토재의 세트에 동기하여 다시 모터(79)를 구동시켜 크랭크장치(78)에 의해서 슬라이드(76)를 하강시킨다. 슬라이드(76)가 하강하여 투광부(81a)로부터 수광부(81b)로의 투광을 차단하면 광센서(81)는 이것을 검출한다. 광센서(81)는 검출한 것의 출력신호를 제어장치(84)로 출력한다. 제어장치(84)는 광센서(81)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제4체크밸브(112)를 구동시킨다.
상형(10)이 하강해서 하형(40)과의 접합이 시작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형(10)이 하강해가면 상형(10)의 접합면(A1)은 하형(40)의 접합면(B1)과 접합하며,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형(40)의 접합면(B2)은 상형(10)의 접합면(A2)과, 접합면(B3)은 접합면(A3)과, 접합면(B4)은 접합면(A4)과, 접합면(B5)은 접합면(A5)과 각각 접합한다. 이 단계에서 상형(10)과 하형(40)에 의해서 밀폐된 공동(C)이 형성된다.
같은 타이밍으로, 제어장치(84)는 모터(108)를 구동시켜 양 흡인실린더(87)의 피스톤 로드(105)를 후퇴시킨다. 동시에 제4체크밸브(112)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양 흡인호스(110)는 부압(負壓)상태로 되어 공기는 포핏(28)과 포핏장착통의 틈을 통과하여 커넥터(31)를 통하여 바이패스 흡인호스(115)로부터 흡인되어 간다.
상형(10)이 다시 하강해 가면, 상형측판(16)에 형성된 가이드홈(20)은 접합면(B1)에 의해서 막힌다. 가이드홈(20)은 접합면(B1)에 의해서 완전히 막힌 상태로 제1 및 제2개구부(21a)(21b) 이외에 외부와의 연통구가 없어져 터널형상이 된다. 같이 각 하형측판(44-46) 및 절취부용 측판(47)에 형성된 가이드홈(49)도 접합면(A2-A5)에 의해서 막힌다.
가이드홈(49)은 접합면(B1)에 의해서 완전히 막힌 상태에서 각 하형측판(44-46) 및 절취부용 측판(47)의 모든 가이드홈(49)이 연결된 하나의 터널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도입구(51a)에 직결된 제3하형측판(46)에 형성된 제1개구부(50a)와, 회수구(51b)에 직결된 제2하형측판(45)에 형성된 제2개구부(50b) 이외에 외부와의 연통구가 없어진다. 이러한 상태로 공동(C) 내의 공기가 커넥터(31)를 통해서 상기 바이패스 흡인호스(115)로부터 흡인된다. 그리고 각 접합면(A1-A5)(B1-B5)의 미소한 틈으로부터 양 흡인호스(110)로부터 흡인된다.
가이드홈(20)(49)이 터널형상으로 된 상태로, 제어장치(84)는 모터(90)를 구동시켜 양 공급실린더(85)의 피스톤 로드(88)를 진출시킨다. 동시에 제1 및 제2체크밸브(98)(102)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압유(윤활유)는 상형(10) 및 하형(40)의 각 도입구(17a)(51a)로부터 각 제1개구부(21a)(50a)를 통해서 각 가이드홈(20)(49)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 때 에어펌프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벤추리관(99)에 의해서 가속되기 때문에 윤활유는 신속히 각 도입구(17a)(51a)에 유입된다. 이 윤활유가 유입되는 사이에서도 상형(10)은 하강을 계속하기 때문에, 윤활유는 각 가이드홈(20)(49) 내에서 상형(10)과 하형(40)의 접합면(A1-A5)(B1-B5) 사이에서 연장되어 (또한, 모관현상에 의한 침투에서의 윤활도 있을 수 있다) 접합면(A1-A5)(B1-B5)을 윤활한다. 여기서 제어장치(84)는 리밋 스위치(97)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피스톤 로드(88)가 가장 진출한 상태(도 13에서 오른쪽)로 일단 모터(90)를 정지시킨다.
각 가이드구(20)(49)에 도입된 윤활유는 그대로 각 가이드홈(20)(49) 내에 정체하는 일없이 양 흡인실린더(87)의 작용에 의해서 실린더(87) 내에 들어간다. 그리고, 흡인으로부터 배출로 바뀐 양 흡인실린더(87)에 의해서 기름회수용 호스(111)에 보내져서 회수된다. 여기서 제어장치(84)는 리밋 스위치(114)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피스톤 로드(105)가 가장 진출한 상태로(도13에서 오른쪽) 일단 모터(107)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접합면(A1-A5)(B1-B5) 사이에 윤활유가 공급된 상태로 도 7-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76) 하면에 고착된 상기 상형(10)이 하강하여 하형(40)과 합쳐져서 점토재를 프레스한다. 각 가이드홈(20)(49)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기 때문에 접합된 접합면(A1-A5)(B1-B5) 사이에 폭넓게 윤활유가 침투한다. 그 윤활유에 의해서 양자간의 접촉저항이 경감된다. 또한 각 가이드홈(20)(49)에 도입된 윤활유는 기름회수용 호스(96)에서 회수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윤활유가 흘러 내려 낭비가 되는 일도 없다. 또한 공동(C) 내에 남는 공기에 의하여 점토재가 눌려지지 않아, 점토재의 변형이라는 문제이 생기지 않는다.
프레스된 점토재는 공동(C)의 내부형상에 따라서 변형해서 성형된다. 이 때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형(10)이 하강함에 따라 포핏(28)은 프레스면(12)에 눌려져서 포핏장착통방향으로 후퇴하고, 두부(30) 앞면은 프레스면(12)과 같은 면레벨로 된다. 따라서 점토재에 포핏(28)에 의한 자국이 붙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크랭크장치(78)가 구동되어 슬라이드(76)는 다시 상승한다. 그러면 성형된 기와성형품(1)이 하형(40)의 프레스면(42) 위에 출현한다. 반출로보트(118)에 의해서 이 기와성형품(1)를 반출시켜, 벨트 컨베이어(119) 위에 올려 놓는다. 한편 다음 점토재가 반입로보트(117)에 의해서 하형(40)의 프레스면(42) 위에 세트되어 상기 프레스가공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반복되는 프레스가공에 있어서 슬라이드(76)의 승강회수는 상기 광센서(81)에 의해서 검출된다. 제어장치(84)는 광센서(81)의 수광부(81b)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따라서 그 회수를 카운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76)가 5회 승강해서 5개의 기와성형품(1)을 가공할 때마다 모터(90)(107)가 구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해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상형(10)의 각 접합면(A1-A5)과 하형(40)의 각 접합면(B1-B5)이 프레스가공시에 접합하지만, 이 때 양자 사이에 윤활유가 개재하기 때문에 접촉저항이 경감되어 원활한 프레스가공이 가능하게 되어서 마모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점토가 접합면 사이에 낀다 해도 윤활유의 윤활기능에 의해서 접합면에 흠이 나기 어렵게 된다.
(2) 윤활유는 필요 이상으로는 접합면(A1-A5)(B1-B5)으로 공급되지 않고, 회수구(51b)에서 회수되고 말기 때문에 프레스면(42)이나 하형(40)의 주변이 윤활유에 잠기고 마는 것은 아니고, 또한 프레스장치(71)의 프레스유와 섞이는 것도 아니다. 또한 회수되어 윤활유탱크(83)로 되돌아간 윤활유는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윤활유의 절약이 되며 자원 낭비가 되지 않아서 환경을 고려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3) 하형(40)의 하형측판(44-46) 및 절취부용 측판(47)에 형성된 가이드홈(49)은 내부에 뚫린 연통공(52)에 의해서 전부 연결되고 있고, 상형(10)이 하강하여 접합면(A2-A5)에 의해서 그들 가이드홈(49)이 막함으로써 하나의 터널형상의 통로가 된다. 윤활유의 도입구(51a)와 회수구(51b)는 각각 하나씩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지고, 배관이 적어지는 결과 코스트다운이 되며, 더욱 구조가 간단히 되는 결과, 고장 등의 문제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4) 밀폐상태가 되는 공동(C)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하나의 코스로서 각 접합면(A1-A5)(B1-B5)의 미소한 틈으로부터 양 흡인호스(110)로 흡인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코스로서 연통공(26)을 통과하여 커넥터(31)를 통해서 바이패스 흡인호스(115)에 흡인된다. 이와 같이 상형(10)의 하강에 따라 신속히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프레스속도를 떨어뜨리는 일이 없고 또한 성형되는 점토재의 변형도 극력 방지할 수 있다.
(5) 상형(10)이 하강하여 하형(40)과 접합한 직후에는 아직 터널형상에 가이드홈(20)(49)이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공동(C) 내의 공기가 나갈 수 없다. 그러나 커넥터(31)를 형성하여 공동(C) 내의 공기를 흡인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점토재가 변형하는 것은 아니다.
(6) 포핏(28)의 두부(30)가 돌출해 있기 때문에 공기는 포핏(28)과 포핏장착통의 틈을 통하여 배출되지만, 프레스에 따라 포핏(28)은 포핏장착통방향으로 후퇴하여 두부(30) 전단면은 프레스면(12)과 같은 면레벨로 되기 때문에 점토재에 포핏(28)에 의한 자국이 붙는 것은 아니어서, 깨끗한 기와성형품(1)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7) 윤활제는 가이드홈(20)(49)이 접합면에 도달하여 터널형상으로 되지 않으면 공급할 수 없다. 그러나 공동(C) 내의 공기는 상형(10)이 하강하여 하형(40)과 접합한 직후부터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동(C) 내의 압력이 높아져 점토재가 변형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윤활제의 공급개시 타이밍보다도 흡인개시 타이밍을 빠르게 해서 보다 효율적인 배기를 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타이밍의 어긋남을, 모터(90)(107)의 온/오프를 위한 리밋 스위치(97)(114)와 간섭하는 돌기(91a)(108a)에 의해서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8) 상형(10)의 5번의 왕복으로 한 번의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적절한 윤활유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9) 가이드홈(20)(49)에 의해서 윤활유가 안내되어 가로방향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접합면(A1-A5)(B1-B5)에 남김없이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기와의 유약이 도포되는 면에는 윤활유가 부착되면 유약을 안 받기 때문에, 윤활유는 될 수 있으면 유약이 도포되는 면에 흐르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10에 있어서 기와성형품(1)의 구면부(3), 처마끝쪽(4) 및 상면(5) 등은 윤활유가 부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면부(3), 처마끝쪽(4)에 대해서는 상형(10)의 제1접합면(A1) 쪽에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게다가 제1접합면(A1) 위의 가이드홈(20)은 금형장착시에 항상 구면부(3), 처마끝쪽(4)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이드홈(20)으로부터 흐른 윤활유가 구면부(3), 처마끝쪽(4)에 부착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면(5)에 대해서는 하형(40)의 제2-제5접합면(B2-B5) 쪽에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게다가 이들 접합면(B2-B5)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가이드홈(49)은 상면(5)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이드홈(49)에서 흐른 윤활유가 상면(5)에 부착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변경해서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통공(26)은 형성하지 않고, 접합면(A1-A5)(B1-B5)만으로 흡인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가이드홈(20)(49)을 형성하지 않고 직접 접합면(A1-A5)(B1-B5)에 윤활·흡인용의 구멍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윤활유의 공급호스(93)로의 공급은 모터(90) 및 회전크랭크판(91) 등에 의해 행하고 있지만,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통공(26)에 설치된 밸브부재로서의 포핏(28)은 프레스를 따라 포핏장착통방향으로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후퇴하도록 하지 않아도 공기가 흡인할 수만 있으면 상관없다.
연통공(26)의 위치·크기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복수 형성하도록 하여도 물론 상관없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윤활유공급측의 기구 및 공기흡인·윤활유회수측의 기구는 일례이고 설계의 변경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홈(49) 쪽에 제1 및 제2개구부(21a)(21b)(50a)(50b)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가이드홈(49)과 대향하는 쪽의 접합면(A2-A5)(B1)에 제1 및 제2개구부(21a)(21b)(50a)(50b)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가이드홈(49)이 터널형상으로 되어서 제1 및 제2개구부(21a)(21b)(50a)(50b)로부터 윤활유가 가이드홈(49) 내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의 하형(40)의 제1측판(44)의 내면(44a)에 형성된 윤활유를 공급하는 가이드홈(49)은 가로로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었다. 이것을 측판(120)의 내표면의 이차원적으로 넓어지는 홈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윤활유가 신속히 넓어지고 또한 남김없이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형(40)의 3장의 측판(44-46)의 가이드홈(49)은 연통로(52)에 연통하고 있지만 물론 독립시켜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개구부(21a)(50a) 및 제2개구부(21b)(50b)는 각각 가이드홈(20)(49)의 양단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가능한 한 가이드홈(20)(49)에 윤활유를 광범위하게 남김없이 채우기 위해서 유효하지만, 양단 가까이 이외의 위치에 형성하여도 물론 상관없다.
윤활유탱크(83)에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수구(17b)(51b)에서 배출할 뿐으로, 반드시 윤활유탱크(83)에 회수하여 재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프레스유와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상기 실시형태로서는 상형(10)은 한 장의 측판(16)을 구비하고, 하형(40)은 3장의 측판(44-46)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떨어져 온 윤활유가 구면부(3) 등에 부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채용한 구성이고, 반드시 이러한 측판의 배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하형(40)에 4장의 측판을 형성하고 이 4장의 측판 내표면에 가이드홈(49)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실시형태와 같이 모든 홈을 연통로(52)에 의해서 연결하여도 좋고, 또한 독립시켜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의 기와와 다른 형태의 기와성형품에 응용하는 것도 자유롭다. 또한, 기와성형품 이외의 프레스가공에 사용하는 것도 접합면 부분이 있는 한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압유공급장치(82)의 구동타이밍은 적절히 변경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프레스장치에서는 비접촉형의 광센서(81)를 검출수단으로 사용하였지만,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기와성형품의 금형 이외에도 접합부가 있는 금형이면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타 윤활제로서는 윤활유 이외에 이형유(離型油)나 물을 사용하여도 좋은 등 본 발명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형태로 실시하는 것은 자유롭다.

Claims (15)

  1. 제1 및 제2금형편을 가지는 금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금형편이 프레스가공할 때에 서로 접합하는 접합면과, 피가공재료를 프레스하는 프레스면을 각각 가지는 금형에 있어서,
    윤활제를 제1 및 제2금형편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접합면에 공급하기 위하여, 그 접합면에 형성한 윤활제공급부와,
    상기 제1 및 제2금형편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윤활제공급부에 연통한 윤활제공급부에 연통한 제1연통로와,
    상기 제1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1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상기 윤활제공급부에 공급하기 위한 도입구와,
    상기 제1 및 제2금형편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윤활제공급부에 연통한 제2연통로와,
    상기 제2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2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금형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2. 제1 및 제2금형편을 가지는 금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금형편이 프레스가공할 때에 서로 접합하는 접합면과, 피가공재료를 프레스하는 프레스면을 각각 가지는 금형에 있어서,
    윤활제를 제1 또는 제2금형편의 접합면에 공급하기 위하여, 그 접합면에 형성한 윤활제공급홈과,
    상기 제1 또는 제2금형편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윤활제공급홈에 연통한 제1연통로와,
    상기 제1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1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상기 홈에 공급하기 위한 도입구와,
    상기 제1 또는 제2금형편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홈에 연통한 제2연통로와,
    상기 제2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2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금형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로는 홈을 형성한 쪽의 금형편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통로는 홈을 형성한 쪽의 금형편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5. 제1 및 제2금형편을 가지는 금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금형편이 프레스가공할 때 서로 접합하는 접합면과, 피가공재료를 프레스하는 프레스면을 각각 가지는 금형과,
    상기 금형의 제1 및 제2금형편을 각각 가지고, 그 제1 및 제2금형편을 상대적으로 접근시켜서 양 금형편 사이에 배치한 가공재료를 프레스하기 위한 프레스수단과,
    프레스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수단을 가지는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윤활제를 제1 및 제2금형편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접합면에 공급하기 위하여 그 접합면에 형성한 윤활제공급부와,
    상기 제1 및 제2금형편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윤활제공급부에 연통한 제1연통로와,
    상기 제1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1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상기 윤활제공급부에 공급하기 위한 도입구와,
    윤활제를 상기 도입구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와,
    상기 카운트수단에 의한 소정의 카운트수 및 소정의 타이밍에 따라서 상기 공급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금형편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윤활제공급부에 연통한 제2연통로와,
    상기 제2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2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금형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공급부는 윤활제공급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
  8. 제1 및 제2금형편을 가지는 금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금형편이 프레스가공할 때 서로 접합하는 접합면과, 피가공재료를 프레스하는 프레스면을 각각 가지는 금형과,
    상기 금형의 제1 및 제2금형편을 각각 가지며, 그 제1 및 제2금형편을 상대적으로 접근시켜서 양 금형편 사이에 배치한 가공재료를 프레스하기 위한 프레스수단과,
    프레스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수단을 가지는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윤활제를 제1 또는 제2금형편의 접합면에 공급하기 위하여 그 접합면에 형성한 윤활제공급홈과,
    상기 제1 또는 제2금형편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홈에 연통한 제1연통로와,
    상기 제1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1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상기 홈에 공급하기 위한 도입구와,
    상기 제1 또는 제2금형편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홈에 연통한 제2연통로와,
    상기 제2연통로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2연통로를 통해서 윤활제를 금형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윤활제를 상기 도입구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와,
    상기 카운트수단에 의한 소정의 카운트수 및 소정의 타이밍에 따라서 상기 공급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로는 홈을 형성한 쪽의 금형편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통로는 홈을 형성한 쪽의 금형편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와, 제1 및 제2금형편을 서로 접합시킬 때 양 금형편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 내의 공기를 금형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구에 접속된 배출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어수단은 카운트수단에 의한 소정의 카운트수 및 소정의 타이밍에 따라서 상기 배출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로 공급하는 윤활제를 저장하는 윤활제공급탱크를 가지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윤활제는 윤활제공급탱크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배출장치를 상기 공급장치의 구동보다도 먼저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스트레이너를 가지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윤활제는 스트레이너를 통해서 윤활제공급탱크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금형편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프레스면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가지는 금형편의 외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배출장치에 접속된 제2배출구와,
    상기 공급된 윤활제를 금형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개구 및 제2배출구를 연통하는 제3연통로와,
    상기 제3통로 내에 장착된 밸브부재를 더 가지며,
    배출장치가 공동 내의 공기를 제2배출구를 통해서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밸브부재는 상기 개구에서 떨어져서 공동 내부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지고, 또한 상기 밸브부재가 피가공재료에 의해 눌려서 상기 프레스면과 같은 면레벨로 되었을 때, 그 밸브부재는 제3연통로를 봉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
KR1019997011493A 1998-04-07 1999-04-05 금형 및 프레스장치 KR200100204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12737 1998-04-07
JP10112737A JP2994621B2 (ja) 1998-04-07 1998-04-07 金型及びプレス装置
JP10-313970 1998-10-16
JP10313970A JP2000117718A (ja) 1998-10-16 1998-10-16 金型及びプレス装置
JP10-377266 1998-12-29
JP37726698A JP3363394B2 (ja) 1998-12-29 1998-12-29 金型及びプレス装置
PCT/JP1999/001805 WO1999051409A1 (fr) 1998-04-07 1999-04-05 Moule metallique et pres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463A true KR20010020463A (ko) 2001-03-15

Family

ID=2731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493A KR20010020463A (ko) 1998-04-07 1999-04-05 금형 및 프레스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58029B1 (ko)
EP (1) EP1027969A1 (ko)
KR (1) KR20010020463A (ko)
TW (1) TW429207B (ko)
WO (1) WO1999051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9187B1 (fr) * 1998-11-19 2001-11-30 Cirtes Ct D Ingenierie De Rech Procede de realisation de pieces mecaniques, en particulier de prototypes, par decomposition en strates, strates elementaires obtenues selon le procede et pieces mecaniques ainsi obtenues
FR2809040B1 (fr) 2000-05-15 2002-10-18 Cirtes Ct D Ingenierie De Rech Structure d'etau pour le positionnement et le maintien de pieces en vue de leur usinage
FR2808896B1 (fr) * 2000-05-15 2003-05-09 Cirtes Ct D Ingenierie De Rech Dispositif pour la realisation de plaques destinees a un procede de prototypage rapide, procede d'usinage et d'assemblage desdites plaques et pieces prototypes ainsi obtenues
FR2845492B1 (fr) * 2002-10-07 2004-11-26 Cirtes Src Piece mecanique avec au moins un circuit de transport de fluide et son procede de conception par strates
WO2004079463A1 (fr) * 2003-02-06 2004-09-16 Cirtes Src Procede pour l'opitimisation des joints de strates dans une modelisation ou prototypage par decomposition en strates et pieces ainsi obtenues
US7755869B2 (en) * 2007-08-22 2010-07-13 Northlake Engineering, Inc. Ground protection device for electronic stability and personal safety
CN103552273B (zh) * 2013-10-11 2016-01-20 广东东睦新材料有限公司 一种粉末冶金模具的防磨损润滑冲头结构
CN103551472B (zh) * 2013-10-25 2015-09-09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空心叶片推弯成形工艺
US11642819B2 (en) * 2020-01-27 2023-05-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mposite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composite components using magnetic forces at fiber preform seams
CN112743662A (zh) * 2020-12-16 2021-05-04 佛山市恒力泰机械有限公司 一种承烧匣钵的压制成型方法、设备及承烧匣钵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8308A (en) * 1918-09-14 1920-01-20 Dutchess Tool Co Oiling hoppers
US1780629A (en) * 1926-04-22 1930-11-04 Charles D Otto Lubricating device
US3709012A (en) * 1971-01-04 1973-01-09 Nalco Chemical Co Hot rolling mill lubrication apparatus and process
BE779971R (fr) * 1971-04-10 1972-06-16 Krauss Maffei Ag Appareil pour l'amorcage et la preparation d'un melange de deuxou de plusieurs constituants synthetiques dans la cavite de moulage d'un
JPS5230679B2 (ko) * 1971-10-08 1977-08-09
JPS4884074A (ko) * 1972-02-14 1973-11-08
JPS5392826A (en) 1977-01-26 1978-08-15 Fuji Sureeto Kk Metal mold for slate roof tile
DE2838798B2 (de) * 1978-09-06 1980-07-10 Elastogran Maschinenbau Gmbh & Co, 8021 Strasslach Mischvorrichtung für miteinander chemisch reagierende, flüssige Komponenten, vorzugsweise Polyurethan bildende
JPS6032528B2 (ja) 1980-09-19 1985-07-2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チエ−ン牽引型抽伸方法及び装置
JPS6164409A (ja) 1984-09-06 1986-04-02 株式会社 石川時鉄工所 屋根瓦、タイル、煉瓦、碍子等の窯業製品の成型方法および装置
JPH01320121A (ja) * 1988-06-22 1989-12-26 Sankyo Eng Kk 射出成形用無給油金型
EP0491972B1 (de) * 1990-12-21 1994-10-26 Bison-Werke Bähre & Greten GmbH & Co. KG Kontinuierlich arbeitende Bandpresse
JPH086573B2 (ja) 1991-10-04 1996-0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H0726094A (ja) 1993-07-15 1995-01-27 Nippon Oil & Fats Co Ltd 塩素含有樹脂組成物
JPH0726094U (ja) * 1993-10-18 1995-05-16 川崎製鉄株式会社 粉末成形装置
US5746676A (en) * 1994-05-31 1998-05-05 Ntn Corporation Friction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H08118967A (ja) * 1994-10-27 1996-05-14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車載構造
US5624693A (en) * 1996-01-16 1997-04-29 Outboard Marine Corporation Molding apparatus with combined venting and flushing valve
JP3845706B2 (ja) 1996-02-19 2006-11-15 エーザイ・アール・アンド・ディー・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打錠機の自動給油装置
JPH11268093A (ja) * 1998-01-22 1999-10-05 Fanuc Ltd 射出成形機の自動給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27969A1 (en) 2000-08-16
TW429207B (en) 2001-04-11
US6358029B1 (en) 2002-03-19
WO1999051409A1 (fr) 199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7142B (zh) 用于从自动润滑系统清除空气的方法和设备
KR20010020463A (ko) 금형 및 프레스장치
US5322103A (en) Continuous chain saw lubricating system for use in a tree delimbing and topping machine
FI75214B (fi) Pneumatiskt styrd tryckomvandlare foer drift av ett hydrauliskt arbetsorgan.
CN215697410U (zh) 一种用于冲压中雾化上油的联动系统
JP2000190316A (ja) 金型及びプレス装置
JP4749552B2 (ja) 金型及びプレス装置
CN210049996U (zh) 糊状物料输送装置和工程车辆
JP3773469B2 (ja) 移送駆動装置
CN1019567B (zh) 自动吸送料装置
JPH11319973A (ja) プレス装置
CN210359184U (zh) 冲头粉末润滑设备
JP2001179721A (ja) 金型及びプレス装置
JP2000117718A (ja) 金型及びプレス装置
CN2196723Y (zh) 压铸机床冲头润滑装置
CN206810549U (zh) 一种可伸缩的脱模剂喷射装置
KR100682029B1 (ko) 용탕충전 가시화 장치
KR950004832B1 (ko) 콘크리트 펌핑 방법
JP3632808B2 (ja) 可動体が組み込まれた製品の異物除去装置
CN211226153U (zh) 一种万向千斤顶
JP2006316814A (ja) オイル回収装置
JPH08196826A (ja) 切削油の回収装置
CN102606469A (zh) 滑片式单向阀及泥浆泵
KR200272412Y1 (ko) 자동 그리스 주입기
CN216176106U (zh) 一种具有防护机构的轴承保持架冲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