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179A -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179A
KR20010015179A KR1020000038280A KR20000038280A KR20010015179A KR 20010015179 A KR20010015179 A KR 20010015179A KR 1020000038280 A KR1020000038280 A KR 1020000038280A KR 20000038280 A KR20000038280 A KR 20000038280A KR 20010015179 A KR20010015179 A KR 20010015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information
digital information
data
multi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221B1 (ko
Inventor
데라오교이치
이와무라히로시
Original Assignee
가네오 이토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오 이토,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오 이토
Publication of KR20010015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8Cross-fad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2)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1)는 복수의 창함수(window function)―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아웃 시간축 특성(fade-out time-axis characteristic)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유닛(multiplexing unit; 26);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유닛(4); 및 디지털 정보의 기록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창함수에 대응하여 승산 디지털 정보인 종료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zero information)로 변환하며, 정보 저장 매체에 종료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에 0 정보를 기록한 후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종료하는 종료 유닛(8, 2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저장 매체 상에 정보 기록 종료 및 정보 기록 재개 시점에 상기 기록 종료 제어 및 기록 재개 제어에 관한 것이다.
흔히 음성 및/또는 음악과 같은 오디오 정보는 압축된 후 광 디스크와 같은 정보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된다. 상기 기록이 일시적인 기록 중단 또는 인터럽트 인스트럭션에 응답하여 중단되거나 인터럽트되는 경우, 기록될 오디오 정보의 입력은 인스트럭션의 수신 이후에 중단된다. 기록 재개 인스트럭션이 수신되는 경우, 기록될 오디오 정보의 입력이 재개되어 정보 기록을 재개한다.
기록될 오디오 정보의 입력 상태를 제어하는 기록 중단 및 재개하는 종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중단 및 재개 시점에 기록될 데이터가 이들 시점 사이에 큰 차이가 있는 경우 및 상기 중단 부분을 포함하는 오디오 정보가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경우, 상기 중단 타이밍에서 갑작스런 잡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오디오 정보 기록을 단순히 중단하는 시점 및 높은 기록 레벨로 기록되는 기록 중단 부분을 포함하는 기록 정보를 재생하는 시점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신규 오디오 정보 기록을 단순히 개시하는 시점, 및 높은 기록 레벨로 기록될 기록 개시 부분을 포함하는 기록 정보를 재생하는 시점에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페이드-아웃 및 페이드-인 처리가 도입된다. 즉, 기록의 중단 또는 종료 시(이하 "기록 중단 시"라 불림)에, 기록될 상기 오디오 정보 상기 기록 중단 인스트럭션이 수신된 후 페이드-아웃된다. 기록의 재개 또는 개시 시(이하 "기록 재개 시"이라 불림)에, 기록될 상기 오디오 정보는 상기 기록 재개 인스트럭션이 수신된 후 페이드-인된다. 따라서, 기록 중단 시 및 기록 재개 시에 오디오 정보 기록 레벨은 거의 0 레벨로 된다. 여기서, "페이드-아웃(fade-out)"은 오디오 정보의 기록 레벨을 점차 감소시켜 결국 0 레벨로 떨어뜨리도록 처리하는 것이며, "페이드-인(fade-in)"은 처음에 오디오 정보의 기록 레벨을 0으로 설정하고 이후 상기 기록 레벨을 정상 레벨까지 점차 증가시키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하지만, 페이드-아웃 및 페이드-인 처리시에, 기록 중단의 인스트럭션 이후 기설정 시간 구간 내의 기록 레벨을 점차 감소시키고 상기 레벨을 다시 점차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오디오 정보가 압축 이후 기록되는 경우, 기록 처리는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페이드-인 및 페이드-아웃을 간단히 처리하며, 기록 중단 및 재개 지점을 포함하는 부분에서 기록 정보를 재생하는 경우 정보 기록을 인에이블시켜 원하지 않는 잡음 발생을 방지하는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window function)―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아웃 시간축 특성(fade-out time-axis characteristic)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유닛(multiplexing unit);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유닛; 및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인 종료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zero information)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저장 매체에 상기 종료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종료하는 종료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동일한 특징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window function)―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아웃 시간축 특성(fade-out time-axis characteristic)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단계;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인 종료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zero information)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저장 매체에 상기 종료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디지털 정보에 의해 승산되는 창함수가 시간축 특성을 갖는다. 디지털 정보의 기록이 종료되는 경우, 종료 승산된 디지털 정보가 0 정보로 변환되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은 종료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에 정보 저장 매체 상에 0 정보가 기록된 이후에 종료된다. 이에 의해, 기록 종료 직전 디지털 정보의 기록 레벨 변화는 창함수의 페이드-아웃 특성과 유사해진다. 따라서, 페이드-아웃은 디지털 정보의 기록 종료 시점에서 단순한 처리에 의해 달성되며, 디지털 정보 기록 레벨의 갑작스런 감소에 기인하여 재생 시점에서 잡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window function)―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인 시간축 특성(fade-in time-axis characteristic)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유닛(multiplexing unit);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유닛(recording unit); 및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개시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zero information)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에 상기 기록 개시 시점 이후에 기록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개시하는 개시 유닛(starting unit)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유사한 특징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window function)―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인 시간축 특성(fade-in time-axis characteristic)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단계;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개시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zero information)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에 상기 기록 개시 시점 이후에 기록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디지털 정보에 의해 승산되는 창함수는 시간축 특성을 갖는다. 디지털 정보의 기록이 개시되는 경우, 기록 개시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에 대응하는 승산 디지털 정보가 0 정보로 변환되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은 0 정보가 기록된 이후에 개시된다. 이에 의해, 기록의 개시 직후 디지털 정보의 기록 레벨 변화는 창함수의 페이드-인 특성과 유사해진다. 따라서, 페이드-인은 디지털 정보의 개시 시점에서 단순한 처리에 의해 달성되며, 디지털 정보 기록 레벨의 갑작스런 감소에 기인하여 재생 시점에서 잡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인 부분 및 페이드-아웃 부분을 포함하는 시간축 특성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유닛;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유닛;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중단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인 중단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저장 매체에 상기 중단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중단하는 중단 유닛(interruption unit); 및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재개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는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에 상기 기록 재개 시점 이후에 기록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재개하는 재개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유사한 특징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인 부분 및 페이드-아웃 부분을 포함하는 시간축 특성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단계;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중단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인 중단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저장 매체에 상기 중단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재개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는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에 상기 기록 재개 시점 이후에 기록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디지털 정보에 의해 승산되는 창함수는 시간축 특성을 갖는다. 디지털 정보 기록이 중단되는 경우, 중단 디지털 정보가 0 정보로 변환되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은 0 정보가 정보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이후 중단된다. 디지털 정보 기록이 재개되는 경우, 정보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에 대응하는 승산된 디지털 정보가 0 정보로 변환되고 디지털 정보 기록은 0 정보가 정보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이후 재개된다. 따라서, 중단 직전 또는 재개 이후 디지털 정보 기록 레벨은 창함수의 페이드-아웃 또는 페이드-인 특성과 유사해진다. 따라서, 페이드-아웃 및 페이드-인은 디지털 정보의 중단/재개 시점에서 단순한 처리에 의해 달성되며, 디지털 정보 기록 레벨의 갑작스런 변환에 기인하여 중단/재개 시점에서 잡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인 부분 및 페이드-아웃 부분을 포함하는 시간축 특성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유닛;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유닛;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중단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저장 매체에 상기 기록 중단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중단하는 중단 유닛(interruption unit); 및 기록 중단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기록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에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에 상기 기록 재개 타이밍 이후에 기록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재개하는 재개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유사한 특징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인 부분 및 페이드-아웃 부분을 포함하는 시간축 특성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단계;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중단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저장 매체에 상기 기록 중단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중단하는 단계; 및 기록 중단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기록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에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에 상기 기록 재개 타이밍 이후에 기록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디지털 정보에 의해 승산되는 창함수는 시간축 특성을 갖는다. 디지털 정보 기록이 중단되는 경우, 기록 중단 타이밍을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는 0 정보로 변환되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은 0 정보가 정보 중단 타이밍을 포함하는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에 정보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된 이후에 중단된다. 디지털 정보 기록이 재개되는 경우, 기록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는 0 정보로 변환되고 디지털 정보 기록은 0 정보가 기록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에 정보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된 이후 재개된다. 따라서, 중단 직전 또는 재개 직후 디지털 정보 기록 레벨은 창함수의 페이드-아웃 또는 페이드-인 특성과 유사해진다. 따라서, 페이드-아웃 및 페이드-인은 디지털 정보의 중단/재개 시점에서 단순한 처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디지털 정보 기록 레벨의 갑작스런 변화에 기인하여 중단/재개 시점에서 잡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창함수 각각이 시간축 상에 상기 창함수의 시간 구간의 절반에 대한 중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원래 정보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승산된 디지털 정보가 생성되고 기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정보가 오디오 정보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기록되는 오디오 정보의 기록 종료, 개시, 및 중단/재개 시점에서 잡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창함수가 수정된 이산 코사인 변환 코딩 시스템(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coding system) 내의 왜란(distortion)을 제거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따라서, 페이드-아웃 및 페이드-인은 MDCT 코딩 시스템을 사용하여 디지털 정보 기록의 종료, 개시 및 중단/재개 시점에서 단순한 처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잡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성, 실용성, 및 추가 특징이 간략히 기술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는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a는 오디오 압축 회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b는 해석 필터 유닛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통상적인 필터링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오디오 신장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되는 오디오 신장회로의 동작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기록을 종료하는 경우의 필터링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기록을 개시하는 경우의 필터링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기록을 종료하는 경우의 필터링 과정을 도시하는 동작 타이밍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기록을 개시하는 경우의 필터링 과정을 도시하는 동작 타이밍도.
도 7은 기록을 중단/재개하는 경우 필터링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8은 기록을 중단/재개하는 경우 필터링 과정을 도시하는 동작 타이밍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석 필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기록을 종료하는 경우 필터링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석 필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기록을 종료하는 경우 필터링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기술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상에 오디오 및 비디오(화상)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적용되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Ⅰ]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먼저, 제1 실시예의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구성 및 개략적인 동작이 기술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1)는 스핀들 모터(spindle motor; 3), 픽업(pickup; 4), 서보 회로(5), 기록 시스템(6), 재생 시스템(7), 중앙 제어 회로(8), 동작 유닛(9) 및 디스플레이 유닛(10)을 포함한다. 상기 스핀들 모터(3)는 정보 저장 매체(2)로 작용하는 광 디스크(2)를 회전식으로 구동시킨다. 픽업(4)은 광 방식으로 상기 광 디스크(2) 상에 기록 데이터(DWT)를 기록하고 상기 광 디스크(2)로부터 검출 데이터(DRD)를 검출한다. 서보 유닛(5)은 상기 스핀들 모터(3) 및 픽업(4)의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기록 시스템(6)은 상기 광 디스크(2) 상에 기록될 기록 데이터(DWT)를 생성한다. 재생 시스템(7)은 상기 광 디스크(2)로부터 검출된 검출 데이터 상에 재생 처리를 적용하고 비디오 신호(SVO) 및 오디오 신호(SAO)를 외부로 출력한다. 중앙 제어 회로(8)는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1)의 전체 제어를 수행한다. 동작 유닛(9)은 기록 중단 및 재개를 포함하는 원하는 인스트럭션을 상기 중앙 제어 회로(8)에 입력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기록 시스템(6)은 A/D 변환기(11, 12), 오디오 압축 회로(13), 비디오 압축 회로(14), 멀티플렉스 회로(15), 기록 버퍼 메모리(16), 인코더(17), 및 기록 회로(18)를 포함한다. 재생 시스템(7)은 D/A 변환기(39, 40), 비디오 신장(압축 해제) 회로(41), 오디오 신장(압축 해제) 회로(42), 디멀티플렉스 회로(43), 재생 버퍼 메모리(44), 디코더(45), 및 재생 회로(46)를 포함한다. 중앙 제어 회로(8)는 프리셋 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8a)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1)의 전체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CPU)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상기 기록 시스템(6)의 개략적인 동작이 기술된다. 먼저, 상기 A/D 변환기(11)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SAI)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DAI)로 변환하고 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DAI)를 상기 오디오 압축 회로(13)에 출력한다. 오디오 압축 회로(13)는 상기 중앙 제어 회로(8)로부터 제어 신호(C1)에 의해 지정되는 MDCT 압축 시스템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DAI)를 압축하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DPAI)를 생성하고 이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DPAI)를 상기 멀티플렉스 회로(15)에 출력한다. 동시에, 상기 A/D 변환기(12)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SVI)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VI)로 변환하고 이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VI)를 상기 비디오 압축 회로(14)로 출력한다. 비디오 압축 회로(14)는 상기 중앙 제어 회로(8)로부터 제어 신호(C1)에 의해 지정되는 데이터 압축 시스템(예를 들면, 엠펙(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DVI)를 압축하며,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DPVI)를 생성하고 이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DPVI)를 상기 멀티플렉스 회로(15)에 출력한다.
사용자가 동작 유닛(9)으로 기록 개시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멀티플렉스 회로(15)는 중앙 제어 회로(8)로부터 제어 신호(C2)로 지정되는 타이밍에 따라 상기 기록 버퍼 메모리(16)와 협조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DPAI) 및 압축 비디오 데이터(DPVI) 상에 시-분할 다중화를 수행하고, 상기 압축된 시-분할-다중화된 압축 데이터(DPW)를 상기 인코더(17)에 출력한다. 이 시점에, 기록 버퍼 메모리(16)는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DPAI) 및 압축 비디오 데이터(DPVI)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멀티플렉스 회로(15)와 협조하여 압축 데이터(DPW)를 생성한다. 동시에, 상기 기록 버퍼 메모리(16)는 상기 멀티플렉스 회로(15)에 의해 생성된 압축 데이터(DPW)의 데이터 크기(또는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크기 신호(Cmw)를 상기 중앙 제어 회로(8)에 전송한다. 중앙 제어 회로(8)는 상기 데이터 크기 신호(Cmw)에 기초하여 문자 등의 형식으로 상기 압축 데이터(DPW)의 데이터 크기를 디스플레이한다.
인코더(17)는 상기 중앙 제어 회로(8)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3)에 기초하여 압축 데이터(DPW)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DWE)를 출력하고, 이 인코딩된 데이터(DWE)를 상기 기록 회로(18)로 출력한다. 기록 회로(18)는 상기 중앙 제어 회로(8)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4)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DWE) 상의 증폭을 포함하는 소정의 처리를 적용하여 기록 데이터(DWT)를 출력하며, 이 기록 데이터(DWT) 상기 픽업(4)에 출력한다. 따라서, 반도체 레이저와 같은 상기 픽업(4) 내의 광원은 상기 기록 데이터(DWT)와 상호 응답하여 구동되며, 상기 기록 데이터(DWT)에 응답하는 광도를 갖는 광빔이 방출되며, 상기 기록 데이터(DWT)가 상기 광 디스크(2) 상에 광 방식으로 기록된다.
이후, 상기 재생 시스템(7)의 개략적인 동작이 기술된다. 먼저, 재생 회로(46)는 상기 중앙 제어 회로(8)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5)에 기초하여 상기 픽업(4)에 의해 광 디스크(2)로부터 검출되는 검출 데이터(DRD)(고주파(RF) 신호) 상에 파형-정형 처리를 하여 이진 재생 데이터(DPF)를 생성하고, 이 재생 데이터(DPF)를 상기 디코더(45)에 출력한다. 디코더(45)는 상기 인코더(17)의 인코딩 시스템에 대응하는 소정의 디코딩 시스템에 따라, 상기 중앙 제어 회로(8)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6)에 기초하여 재생 데이터(DPF)를 디코딩하고, 디코드 데이터(DPR)를 생성하여 상기 재생 버퍼 메모리(44)로 출력한다. 이후, 재생 버퍼 메모리(44)는 상기 디코드 데이터(DPR)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프리셋 타이밍으로 동기되는 디코드 데이터(DPAV)가 되도록 상기 저장된 디코드 데이터(DPR)를 재정렬한다.
동시에, 재생 버퍼 메모리(44)는 입력된 디코드 데이터(DPR)의 데이터 크기(또는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크기 신호(Cmr)를 상기 중앙 제어 회로(8)에 전송한다. 중앙 제어 회로(8)는 데이터 크기 신호(Cmr)에 기초하여 문자 등의 형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 상에 상기 디코드 데이터(DPR)의 데이터 크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의해, 상기 디멀티플렉스 회로(43)는 상기 중앙 제어 회로(8)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7)에 기초하여 상기 디코드 데이터(DPAV) 내에서 다중화되는 상기 압축 비디오 데이터(DPVO) 및 압축 오디오 데이터(DPAO)를 서로 분리한다. 이후, 디멀티플렉스 회로(43)는 압축 비디오 데이터(DPVO)를 비디오 신장회로(41)로 출력하고, 압축 오디오 데이터(DPAO)를 오디오 신장회로(42)로 출력한다. 압축 오디오 데이터(DPAO)는 FFT(고속 퓨리에 변환;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가 기록 시에 적용되는 주파수-영역 데이터이다. 비디오 신장회로(41)는 상기 중앙 제어 회로(8)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7)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 비디오 데이터(DPVO) 상에 상기 비디오 압축 회로(14)의 압축 시스템에 대응하는 소정의 신장 처리를 하여 신장된 비디오 데이터(DVO)를 생성하고, 이 신장된 비디오 데이터(DVO)를 D/A 변환기(39)에 출력한다. D/A 변환기(39)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DVO)를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SVO)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SVO)를 외부로 출력한다.
동시에, 오디오 신장회로(42)는 상기 중앙 제어 회로(8)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7)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DPAO) 상에 상기 오디오 압축 회로(13)의 압축 시스템에 대응하는 소정의 신장 처리를 하여 신장된 오디오 데이터(DAO)를 생성하고, 이 신장된 오디오 데이터(DAO)를 D/A 변환기(40)에 출력한다. D/A 변환기(40)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DAO)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SAO)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SAO)를 외부로 출력한다.
전술한 기록 및 재생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 중앙 제어 회로(8)는 서보 회로(5), 기록 시스템(6) 및 재생 시스템(7)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C1내지 C7)를 생성하고, 이들 제어 신호를 각각의 소자에 제공한다. 또한, 중앙 제어 회로(8)는 동작 유닛(9)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스트럭션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1)의 현재 동작 상태, 상기 기록된 정보에 관련된 여러 정보 및 상기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1)의 동작 방법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메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중앙 제어 회로(8)는 제어 신호(CCS)를 생성하고 이 제어 신호(CCS)를 상기 서보 회로(5)에 출력하여, 상기 서보 회로(5)가 광 디스크(2)의 정보 기록 표면 상에 광빔(B)의 내부-초점(in-focus) 위치를 정확하게 위치 지정하는 트래킹 서보 및 초점 서보 제어, 및 스핀들 모터(3)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스핀들 서보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서보 회로(5)는 상기 제어 신호(CCS)에 기초하여 트래킹 서보 제어 및 초점 서보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서보 제어 신호(CPC)를 생성하고, 상기 광빔(B)이 상기 광 디스크(2) 상에 수렴시키는데 사용되는 대물 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광 픽업(4) 내의 액추에이터(도시되지 않음)로 상기 서보 제어 신호(CPC)를 출력한다. 상기 서보 회로(5)는 스핀들 서보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CSC)를 또한 생성하고 이 제어 신호를 상기 스핀들 모터(3)에 출력한다.
이후, 본 발명의 기록 시스템(6)에서 오디오 압축 회로(13)의 상세한 구성이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2a는 오디오 압축 시스템(13)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2b는 해석 필터 유닛(2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압축 회로(13)는 해석 필터 유닛(20), 양자화 유닛(21), 팩 유닛(22) 및 비트 할당 유닛(23)을 포함한다.
이후, 동작이 기술된다. 먼저, 해석 필터 유닛(20)은 상기 중앙 제어 회로(8)로부터 제어 신호(C2)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DAI) 상에 필터 처리를 하여 필터링된 데이터(DF)를 출력하고, 이 필터링된 데이터(DF)를 상기 양자화 유닛(21)에 출력한다. 또한, 해석 필터 유닛(20)은 상기 비트 할당 유닛(23)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CB)를 생성하고, 이 제어 신호(CB)를 상기 비트 할당 유닛(23)에 출력한다. 상기 해석 필터 유닛(20)에 의해 수행되는 필터 처리는 먼저 기설정된 페이드-인 시간축 특성 및 페이드-아웃 시간축 특성을 구비하는 창함수와 상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DAI)를 승산한다. 이후 필터링 처리는 광 디스크(2) 상의 정보 기록이 중단되거나 재개되는 경우, 중단 타이밍 및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0 데이터로 대체하고 그 결과 데이터에 상기 FFT 처리를 적용한다. 창함수가 FFT 처리 및 양자화 유닛의 양자화 처리시에 발생되는 블록 왜란을 방지하도록 승산된다. 상기 블록 왜란은 오디오 신호(SAI)가 블록 유닛에서 압축된 이후 광 디스크(2) 상에 기록되는 경우 상기 블록화된 오디오 신호(SAI) 내의 인접 블록 연결의 불연속에 기인하며, 이후 기록된 상기 오디오 신호(SAI)는 블록 유닛에서 신장되어 오디오 신호(SAO)로 재생된다.
이후, 비트 할당 유닛(23)은 제어 신호(CB)에 기초하여 양자화 유닛(21)에 의한 양자화를 위해 비트 할당을 설정하고, 상기 양자화 유닛(21)에 설정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CBA)를 생성 및 출력한다. 양자화 유닛(21)은 상기 제어 신호(CBA)에 의해 지시되는 비트 할당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링된 신호(DF) 내에 포함되는 오디오 정보를 양자화 및 압축하여, 상기 팩 유닛(22)에 출력되는 양자화된 오디오 데이터(DQ)를 생성 및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팩 유닛(22)은 양자화된 오디오 데이터(DQ)를 기설정된 데이터 크기의 유닛으로 모아서 상기 팩 유닛에 의해 분할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DPAI)를 생성하며, 이 압축 오디오 데이터(DPAI)를 상기 멀티플렉스 회로(15)에 출력한다.
다음에, 해석 필터 유닛(20)의 상세한 구성이 도 2b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석 필터 유닛(20)은 버퍼 메모리(25, 27), 승산 유닛(26), 치환 유닛(28), CPU(30) 및 FFT 유닛(31)을 포함한다.
다음에, 해석 필터 유닛(20)의 상세한 동작이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3은 해석 필터 유닛(20)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도면으로서, 수직축은 각각의 신호들의 레벨을 나타낸다.
먼저, 버퍼 메모리(25)는 상기 CPU(30)로부터의 제어 신호(CBM1)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데이터 크기를 단위로 하여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DAI)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메모리 데이터(DB1)로서 기설정된 데이터 크기를 단위로 하여 상기 승산 유닛(26)에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승산 유닛(26)은 도 3에 도시된 창함수와 상기 입력된 메모리 데이터(DB1)를 승산하여 각각의 승산된 창함수에 대해 승산 데이터(DWW)(도 3의 하부를 참조)를 발생하며, 이들 승산 데이터(DWW)를 버퍼 메모리(27)에 출력한다. 메모리 데이터(DB1)가 승산되는 각각의 창함수는 시간적으로 대칭인 파형이며, 0 레벨부터 페이드-인되는 시간(TIN)은 0 레벨부터 페이드-아웃되는 시간(TOUT)과 연속적이며, 인접하는 창함수의 반주기가 상기 시간축 상에서 서로 중첩한다. 상기 승산 유닛(26)의 중첩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각각의 창함수와 유사한 파형을 가지며 각각 반주기에 대해 중첩되는 승산 데이터(DWW)가 출력된다. 창함수 각각에 대한 승산 처리는 블록 왜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상기 버퍼 메모리(27)는 제어 신호(CBM2)에 기초하여 입력된 승산 데이터(DWW)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버퍼 메모리(25)에 저장된 모든 유닛 메모리 데이터에 대한 창함수 승산 처리가 종료되는 경우, 버퍼 메모리(27)는 상기 승산 데이터(DWW)를 메모리 데이터(DB2)로서 상기 치환 유닛(28)에 출력한다. 광 디스크(2) 상에 기록되는 정보가 중단 및 재개되는 경우, 상기 치환 유닛(28)은 중단 타이밍 및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의 승산에 의해 구해지는 메모리 데이터(DB2)를 CPU(30)로부터의 제어 신호(CC)에 따라 0 데이터로 치환하며, 이들을 치환 데이터(DC)로서 상기 FFT 유닛(31)에 출력한다. 이 시점에, 중단 타이밍 및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의 승산에 의해 구해지는 것 이외의 데이터 메모리(DB2)가 더 이상의 처리 없이 데이터(DC)로서 상기 FFT 유닛(31)에 출력된다. 상기 FFT 유닛(31)은 상기 데이터(DC)에 FFT 처리를 하여 상기 데이터(DC)를 주파수-영역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주파수-영역 데이터를 필터링된 데이터(DF)로 상기 양자화 유닛(21)에 출력한다.
전술한 처리에서, CPU(30)는 제어 신호(C1)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CBM1, CBM2, CC)를 생성하고, 이들 제어 신호(CBM1, CBM2, CC)를 각각의 연관된 구성 요소에 출력하여 적합한 처리가 이들 구성 요소에서 수행된다. 이 시점에, 치환 유닛(28)에 의해 치환 처리에 사용되는 중단 타이밍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제어 신호(C1)로서 상기 CPU(30)에 제공된다.
다음에, 재생 시스템(7)의 오디오 신장회로(22)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4a는 오디오 신장회로(22)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4b는 오디오 신장회로(22)의 동작을 예시하는 파형을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신장회로(22)는 역-FFT 유닛(35), 승산 유닛(36), 버퍼 메모리(37), 가산기(38), 및 역-양자화 유닛(47)을 포함한다.
다음에, 그 동작이 기술된다. 먼저, 역-양자화 유닛(47)은 양자화 유닛(21)에 의한 압축 처리에 대응하여, 주파수-영역 데이터로서 입력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DPAO) 상에 신장 처리를 하여 신장된 데이터(DPEX)를 생성하며, 이 신장된 데이터(DPEX)를 상기 역-FFT 유닛(35)에 출력한다. 이후, 역-양자화 유닛(35)은 상기 신장된 데이터(DPEX) 상에 역-FFT 변환을 적용하여 역-변환 데이터(DIF)를 생성하고, 이 역-변환 데이터(DIF)를 상기 승산 유닛(36)에 출력한다. 승산 유닛(36)은 시간-영역 데이터인 상기 역-변환 데이터(DIF)에 상기 승산 유닛(26)과 유사한 전술한 창함수와 승산하여 승산 데이터(DA)(도 4b의 상부에 도시된 파형을 구비함)를 생성하며, 이 승산 데이터(DA)를 버퍼 메모리(37) 및 상기 가산기(38)의 일측 입력 단자에 출력한다. 상기 버퍼 메모리(37)는 상기 입력된 승산 데이터(DA)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승산 데이터(DA)를 전술한 창함수의 반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이 경과된 후 상기 가산기(38)의 타측 입력 단자에 출력한다. 가산기(38)는 시간축 상에서 승산 유닛(36)으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승산 데이터(DA)를 버퍼 메모리(37)에 의해 지연되는 승산 데이터(DA)와 가산하여 도 4b의 하부에 도시된 오디오 데이터(DAO)를 생성하고, 이 오디오 데이터(DAO)를 상기 D/A 변환기(40)에 출력한다. 버퍼 메모리(37)의 지연 및 가산기(38)의 가산에 의해, 각각의 창함수에 대해 시간적으로 분리된 승산 데이터(DA)는 균일한 레벨을 갖는 오디오 데이터(DAO)(기록 시스템(6)의 오디오 데이터(DAI)에 대응함)로 변환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해석 필터(20)의 처리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5a 및 도 5b는 정보 기록 종료 시간 및 정보 기록 개시 시간에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정보 기록 종료 시간 및 정보 기록 개시 시간에서 데이터 상태를 도시하는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7은 정보 기록 중단/재개 시간에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며, 도 8은 정보 기록 중단/재개 시간에서의 데이터 상태를 도시하는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7에 도시된 순서도에서, 동일한 단계는 동일한 단계 번호로 표시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먼저, 정보 기록 종료 시간에서의 처리가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정보 기록을 종료하는 시점에서, 해석 필터(20)는 승산 유닛(26) 내의 창함수의 승산 처리를 오디오 데이터(DAI) 상에 적용한다(단계 S1). 이후, 정보 기록의 종료를 나타내는 인스트럭션이 동작 유닛(9)에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C1)에 기초하여 정보 기록의 종료를 CPU(30)가 인식하는지 여부가 조사된다(단계 S2). 상기 종료가 지시되지 않는 경우(단계 S2에서 아니오인 경우), 버퍼 메모리(27) 내에 저장된 메모리 데이터(DB2)는 더 이상의 처리 없이 상기 치환 유닛(28)을 통해 지나치고, 이후 FFT 유닛(31)은 전술한 FFT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단계 S5). 이후, 기록될 모든 오디오 데이터(DAI)에 대해 필터 처리가 수행되는지 여부가 조사된다(단계 S6). 모든 데이터가 처리되는 경우(단계 S6에서 예인 경우), 처리가 종료된다. 모든 데이터가 처리되지 않은 경우(단계 S6에서 아니오인 경우), 처리는 후속 오디오 데이터(DAI) 상에 필터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기록 종료 인스트럭션이 생성된 승산 데이터(DWW)(도 6a의 세 번째 단계 참조) 중에서 단계 S2에서 검출되는 경우(단계 S2에서 예인 경우), 정보 종료 시간을 포함하는 창함수를 승산함으로써 구해지는 승산 데이터(DWW)가 도 6a의 네 번째 단계에 도시된 치환 데이터(DC)를 생성하도록 0 데이터로 치환된다. 이후, 단계 S5 및 S6의 처리가 상기 치환 데이터(DC)에 대해 수행된다. 결국, 기록 종료 시간에서 기록 데이터(DWT)의 레벨은 종료 시간 바로 직전에 생성된 치환 데이터(DC)의 페이드-아웃 특성과 동일한 페이드-아웃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기록 데이터(DWT)의 신호 강도 레벨이 치환 데이터(DC)의 페이드-아웃 특성과 동일한 페이드-아웃 특성에 따라 감소된 이후에 기록이 중단된다. 상기 기록 데이터(DWT)를 재생하는 시점에 상기 가산기(38)에 의한 가산 이후에 구해지는 오디오 데이터(DAO)의 재생된 파형은 도 6a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환 데이터(DC)의 페이드-아웃 특성과 동일한 페이드-아웃 특성을 보여주며, 따라서 재생이 종료된다.
다음, 정보 기록 개시 시간에서의 처리가 도 5b 및 도 6b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정보 기록을 개시하는 시점에, 해석 필터(20)는 정보 기록의 개시를 나타내는 인스트럭션이 동작 유닛(9)에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C1)에 기초하여 정보 기록의 개시를 CPU(30)가 인식하는지 여부가 조사된다(단계 S7). 상기 개시가 지시되지 않는 경우(단계 S7에서 아니오인 경우), 처리가 인스트럭션을 대기한다. 기록 개시가 지시된 경우(단계 S7에서 예인 경우), 상기 창함수의 승산은 승산 유닛(26)에서 상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DAI)에 적용된다(단계 S1). 이후, 생성된 승산 데이터(DWW)(도 6b의 세 번째 단계 참조) 중에서, 기록 개시 시간을 포함하는 창함수의 승산에 의해 구해지는 승산 데이터(DWW)는 0 데이터로 치환되어 도 6b의 네 번째 단계에 도시된 치환 데이터(DC)가 생성된다(단계 S3). 이후, 단계 S5 및 S6에서의 처리가 상기 치환 데이터(DC)에 대해 수행된다(도 5b 참조). 단계 S6에서, 모든 데이터가 처리되지 않은 경우(단계 S6에서 아니오인 경우), 처리는 후속적으로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DAI) 상에 단계 S1, S5 및 S6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에, 처리는 기록 개시 시간 이후 오디오 데이터(DAI)에 적용되므로, 치환 처리(단계 S3)는 항상 건너뛰게 된다.
결국, 기록 개시 시간에서 기록 데이터(DWT)의 레벨은 개시 타이밍 이후 즉시 생성되는 치환 데이터(DC)의 페이드-인 특성과 동일한 페이드-인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기록 데이터(DWT)의 신호 강도 레벨이 치환 데이터(DC)의 페이드-인 특성과 동일한 페이드-인 특성에 따라 증가된 이후에 기록이 개시된다. 상기 기록 데이터(DWT)를 재생하는 시점에 가산기(38)의 가산 이후에 구해지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DAO)의 재생 파형은 도 6b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환 데이터(DC)의 페이드-인 특성과 동일한 특성을 보여주며, 재생이 이러한 방식으로 개시된다.
다음,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정보 기록이 중단되고 이후 중단 위치로부터 개시되는 경우의 처리가 이하 기술된다. 먼저, 정보 기록 중에, 상기 창함수의 승산 처리가 승산 유닛(26)에서 수행된다(단계 S1). 이후, 정보 기록의 중단을 나타내는 인스트럭션이 동작 유닛(9)에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C1)에 기초하여 정보 기록의 중단을 상기 CPU(30)가 인식하는지 여부가 조사된다(단계 S10). 중단이 지시되지 않은 경우(단계 S10에서 아니오인 경우), 전술한 정상적인 필터링 처리가 수행된다(단계 S5 및 S6). 기록 중단이 단계 S10에서 지시된 경우, 오디오 데이터(DAI)의 입력이 중지된다(단계 S11). 이후, 생성된 승산 데이터(DWW)(도 8의 세 번째 단계 참조) 중에서, 중단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를 승산하여 구해지는 승산 데이터(DWW)는 0 데이터로 치환되어 도 8의 네 번째 단계에 도시되는 치환 데이터(DC)를 생성한다(단계 S3). 이후, FFT 처리가 치환 데이터(DC)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따라서 처리가 중단된다.
이에 의해, 중단 직전의 기록 데이터(DWT) 레벨은 중단 직전에 생성된 치환 데이터(DC)의 페이드-아웃 특성과 동일한 페이드-아웃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치환 데이터(DC)의 페이드-아웃 특성과 동일한 페이드-아웃 특성에 따라 상기 기록 데이터(DWT)의 신호 레벨이 감소된 이후에 기록이 중단된다. 기록 데이터(DWT)를 재생하는 시점에 가산기(38)의 가산 이후 구해지는 오디오 데이터(DAO)의 재생 파형은 도 8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환 데이터(DC)의 페이드-아웃 특성과 동일한 페이드-아웃 특성을 보여주며, 따라서 재생이 중단된다.
중단 동안에, 정보 기록의 재개를 나타내는 인스트럭션이 동작 유닛(9)에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C1)에 기초하여 정보 기록의 재개를 CPU(30)가 인식하는지 여부가 반복적으로 조사된다(단계 S12). 재개가 지시되지 않은 경우(단계 S12에서 아니오인 경우), 중단이 계속된다. 재개가 지시된 경우(단계 S12에서 예인 경우), 생성된 승산 데이터(DWW)(도 8의 세 번째 단계 참조) 중에서,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를 승산하여 구해지는 승산 데이터(DWW)가 0 데이터로 치환되어 도 8의 네 번째 단계에 도시된 치환 데이터(DC)를 생성한다(단계 S3). 이후, 단계 S5 및 S6의 처리가 상기 치환 데이터(DC)에 대해 수행된다.
결국, 기록 재개 타이밍 이후 즉시 기록 데이터(DWT)의 레벨은 재개 타이밍 이후 즉시 생성되는 치환 데이터(DC)의 페이드-인 특성과 동일한 페이드-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치환 데이터(DC)의 페이드-인 특성과 동일한 페이드-인 특성에 따라 상기 기록 데이터(DWT)의 신호 강도 레벨이 증가된 이후 기록이 재개된다. 기록 데이터(DWT)의 재개 시점에서 가산기(38)에 의한 가산 이후 구해지는 오디오 데이터(DAO)의 재생 파형이 도 8의 하부에 도시된 치환 데이터(DC)의 페이드-인 특성과 동일한 페이드-인 특성을 보여주며, 따라서 재생이 재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해석 필터 유닛(20)의 처리에 따르면, 정보 기록이 종료되는 경우, 종료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에 대응하는 승산 데이터(DWW)가 0 데이터로 바뀌는 경우, 상기 0 데이터는 광 디스크(2)에 기록되고, 기록이 종료된다. 기록 종료 타이밍 직전 기록 데이터(DWT)의 레벨 변화는 창함수 레벨의 페이드-아웃에서의 변화와 유사해진다. 따라서, 페이드-아웃이 기록 종료 타이밍에서 단순 처리에 의해 처리될 수 있고, 기록 종료 타이밍 시점에서 기록 레벨의 갑작스런 감소에 기인하는 가청 잡음(audible noise)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정보 기록을 개시하는 경우, 기록 개시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에 대응하는 승산 데이터(DWW)가 0 데이터로 바뀌기 때문에, 상기 0 데이터가 개시 타이밍을 포함하는 승산 데이터(DWW) 대신에 광 디스크(2) 상에 기록되며, 이후 기록이 종료된다. 기록 종료 타이밍 직전의 기록 데이터(DWT)의 레벨 변화는 창함수 레벨의 페이드-아웃에서의 변화와 유사해진다. 따라서, 페이드-아웃은 기록 종료 타이밍에서 단순한 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기록 종료 타이밍 시점에서 기록 레벨의 갑작스런 감소에 기인하는 가청 잡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정보 기록을 개시하는 경우, 기록 개시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에 대응하는 승산 데이터(DWW)가 0 데이터로 바뀌기 때문에, 0 데이터가 개시 타이밍을 포함하는 승산 데이터(DWW) 대신에 광 디스크(2) 상에 기록되고, 이후 기록이 개시된다. 기록 개시 타이밍 직후 기록 데이터(DWT)의 레벨 변화는 창함수 레벨의 페이드-인 변화와 유사해진다. 따라서, 페이드-인은 기록 개시 타이밍에서 단순한 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기록 개시 타이밍에서 기록 레벨의 갑작스런 증가에 기인하는 가청 잡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정보 기록이 중단되는 경우, 중단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에 대응하는 승산 데이터(DWW)가 0 데이터로 바뀌고, 0 데이터는 중단 타이밍을 포함하는 승산 데이터(DWW) 대신에 광 디스크(2) 상에 기록되고, 이후 기록이 중단된다. 정보 기록을 재개하는 경우,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에 대응하는 승산 데이터(DWW)가 0 데이터로 바뀌고, 0 데이터는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승산 데이터(DWW) 대신에 광 디스크(2) 상에 기록되고, 이후 기록이 재개된다. 중단 직전 또는 재개 직후 기록 데이터(DWT)의 레벨 변화는 창함수 레벨의 페이드-아웃 또는 페이드-인의 변화와 유사해진다. 따라서, 페이드-인 또는 페이드-아웃은 기록 중단 또는 재개 타이밍에서 단순한 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기록 중단 또는 재개 타이밍에서 기록 레벨의 갑작스런 연속 변화에 기인하는 가청 잡음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이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되는 반주기를 갖기 때문에, 원래 오디오 데이터(DAI)에 대해 정확한 기록 데이터(DWT)를 생성 및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MDCT 코딩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록 오디오 데이터(DAI)의 종료 또는 개시 또는 중단/재개 시점에서, 복수의 창함수가 MDCT 코딩 시스템에서 블록 왜란을 제거하는데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페이드-인 또는 페이드-아웃이 단순한 처리로 수행될 수 있고 가청 잡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1)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DAI)를 기록하는 경우의 시간 경과가 기록 중단과 동시에 중지되고 기록 재개와 동시에 재개된다. 따라서, 비디오 데이터(DVI) 및 오디오 데이터(DAI)가 함께 연관되어 광 디스크(2) 상에 기록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DVI) 및 오디오 데이터(DAI) 사이의 시간 베이스 시프트를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 시간 베이스 시프트는 오디오 데이터(DAI)가 중단 시점에 비디오 데이터(DVI)의 기록을 즉시 중단시키면서 페이드-아웃되는 경우에 발생된다(즉, 오디오 데이터(DAI)의 시간이 페이드-아웃 동안 계속 진행되고 비디오 데이터(DVI)의 시간은 기록 중단과 동시에 중단되며, 따라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DVI) 및 오디오 데이터(DAI)의 시간 베이스가 시프트될 수 있음).
[Ⅱ]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9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석 필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9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석 필터의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 요소 및 단계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단계 번호로 표시되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상기 해석 필터는 승산 처리, 치환 처리, 가산 및 이후의 FFT 처리를 나열된 순서로 수행한다. 제2 실시예에서, 이들 처리 순서는 제1 실시예의 순서와 상이하다. 제2 실시예에서, 해석 필터 유닛 이외의 구성 요소의 구성 및 동작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해석 필터 유닛(20')으로 기록을 종료하는 시점에서, 먼저 버퍼 메모리(25), 승산 유닛(26) 및 버퍼 메모리(27)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버퍼 메모리(27)에 승산 처리 및 축적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 이후, FFT 유닛(31)은 버퍼 메모리(27)에 저장된 각각의 창함수에 대해 각각의 메모리 데이터(DB2) 상에 FFT 처리를 한다(단계 S5). 이후, 치환 유닛(28)은 기록 종료 타이밍에서, FFT 처리 이후 각각의 창함수에 대해 주파수-영역 데이터를 0 데이터로 치환하는 치환 처리를 수행하고, 이후 창함수 각각에 대한 치환 데이터(주파수-영역 데이터)가 필터링된 데이터(DF)로 생성된다(단계 S3).
이러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필터링된 데이터(DF)를 사용함으로써, 기록 이후의 재생 시점에 오디오 데이터(DAO)의 재생 레벨은 창함수 레벨의 페이드-아웃 특성과 유사해진다(도 6a의 하부 참조). 또한, 기록 개시 또는 기록 중단/재개 타이밍에서, 전술한 기록 종료 타이밍과 같이 승산 처리, FFT 처리, 치환 처리 및 가산 순서로 필터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기록 개시 또는 기록 중단/재개 시점에서와 유사한 오디오 데이터(DAO)의 재생 레벨 변화가 구해질 수 있다(도 6b 및 도 8의 하부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해석 필터 유닛(20')의 동작에 의해 제1 실시예의 해석 필터 유닛(20)에 의한 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구해질 수 있다.
[Ⅲ]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10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석 필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10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석 필터의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 요소 및 단계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단계 번호로 표시되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3 실시예에서, 해석 필터 유닛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필터링 처리와 상이한 필터링 처리를 수행한다. 제3 실시예에서, 해석 필터 유닛 이외의 구성 요소의 구성 및 동작이 제1 실시예의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1)와 동일하며,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해석 필터 유닛(20")은 버퍼 메모리(25, 27), 승산 유닛(26), 치환 유닛(28) 및 FFT 유닛(31)을 포함하며, 이들은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또한, 해석 필터 유닛(20")은 CPU(32) 및 스위치(33, 34)를 포함한다.
다음에, 기록을 종료하는 시점에서, 해석 필터 유닛(20")의 동작은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제3 실시예에서, 스위치(33)는 연속적인 정보 기록 동안 CPU(32)로부터 제어 신호(CSW)에 기초하여 버퍼 메모리(25) 측에 연결되며(단계 S2에서 아니오인 경우), 스위치(34)는 제어 신호(CSW)에 기초하여 FFT 유닛(31) 측에 연결된다. 정보 기록 중에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DAI)는 스위치 신호(DSW2)로서 스위치(33)로부터 출력되고 버퍼 메모리(25)에 입력된다. 이후, 버퍼 메모리(25, 27), 및 승산 유닛(26)은 오디오 데이터(DAI) 상에 창함수 승산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 FFT 유닛(31)은 주파수-영역 데이터(DFF)를 생성하도록 상기 창함수 승산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버퍼 데이터(DB2) 상에 FFT 처리를 하며(단계 S5), 주파수-영역 데이터(DFF)는 FFT 유닛(31) 측에 연결된 스위치(34)를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DF)로서 양자화 유닛(21)에 출력된다.
한편, 기록 종료 타이밍에서, 정보 기록의 종료를 나타내는 인스트럭션이 동작 유닛(9)에 입력되고 CPU(32)가 제어 신호(C1)에 의해 이 인스트럭션을 인식하는지 여부가 조사된다(단계 S2). 기록 종료가 지시되지 않은 경우(단계 S2에서 아니오인 경우), 정보 기록 동안 처리가 계속된다. 기록 종료가 단계 S2에서 지시된 경우(단계 S2에서 예인 경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DAI) 중에서, 기록 종료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에 대응하는 시간의 오디오 데이터(DAI)만이 0 데이터로 치환된다(단계 S10). 이 시점에서, 스위치(33, 34)가 제어 신호(CSW)에 기초하여 치환 유닛(28) 측에 턴온되고, 스위치 데이터(DSW2)로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DAI)(기록 종료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에 대응하는 시간의 오디오 데이터(DAI))가 치환 유닛(28)에 입력된다. 따라서,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DAI)는 0 데이터로 치환된다.
스위치(33)는 기록 종료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에 대응하는 시단의 오디오 데이터(DAI)가 치환 유닛(28)에 입력된 이후 버퍼 메모리(25) 측에 턴온되고, 버퍼 메모리(25)에 상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DAI)를 출력한다. 또한, 스위치(34)는 기록 종료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에 대응하는 시간의 0 데이터가 필터링된 데이터(DF)로서 양자화 유닛(21)에 출력된 이후 상기 FFT 유닛(31) 측에 다시 턴온되고,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주파수-영역 데이터(DFF)를 상기 양자화 유닛(21)에 출력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단계 S6에서의 처리가 수행된다. 모든 오디오 데이터(DAI)가 처리되는 경우(단계 S6에서 예인 경우), 처리가 종료된다. 미처리된 오디오 데이터(DAI)가 있는 경우(단계 S6에서 아니오인 경우), 프로세스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DAI) 상에 단계 S1, S5 및 S6 처리를 수행하도록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필터링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필터링된 데이터(DF)를 사용함으로써, 재생시 오디오 데이터(DAI)의 재생 레벨이 창함수의 페이드-아웃 특성과 유사해진다(도 6a의 하부 참조). 또한, 기록 개시 또는 기록 중단/재개 시점에서, 기록 개시 타이밍 또는 기록 중단/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창함수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DAI)를 0 데이터로 치환함으로써 다른 타이밍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필터링된 데이터(DF)를 생성하도록 창함수 승산 및 FFT 처리되고, 제1 실시예의 기록 개시 또는 기록 중단/재개와 유사한 오디오 데이터(DAO)의 재생 레벨 변화가 구해질 수 있다(도 6b 및 도 8 하부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해석 필터 유닛(20")의 동작에 의해, 제1 실시예의 해석 필터 유닛(20)에 의한 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구해질 수 있다.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필터링 처리가 오디오 데이터(DAI)에 적용되는 구성을 보여준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비디오 데이터(DVI)의 기록 종료 처리, 기록 개시 처리 및 기록 중단/재개 처리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MDCT 시스템에 대응하는 창함수를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정보가 페이드-인 및 페이드-아웃 특성을 갖는 창함수를 사용하여 처리되는 경우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이드-인 및 페이드-아웃을 간단히 처리하며, 기록 중단 및 재개 지점을 포함하는 부분에서 기록 정보를 재생하는 경우 정보 기록을 인에이블시켜 원하지 않는 잡음 발생을 방지하는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2)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1)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window function)―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아웃 시간축 특성(fade-out time-axis characteristic)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유닛(multiplexing unit; 26);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유닛(4); 및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인 종료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zero information)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저장 매체에 상기 종료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종료하는 종료 유닛(28, 8)
    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2.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2)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1)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window function)―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인 시간축 특성(fade-in time-axis characteristic)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유닛(multiplexing unit; 26);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유닛(recording unit; 4); 및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개시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zero information)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에 상기 기록 개시 시점 이후에 기록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개시하는 개시 유닛(starting unit; 28, 8)
    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3.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2)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1)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인 부분 및 페이드-아웃 부분을 포함하는 시간축 특성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유닛(26);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유닛(4);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중단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인 중단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저장 매체에 상기 중단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중단하는 중단 유닛(interruption unit; 28, 8); 및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재개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는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에 상기 기록 재개 시점 이후에 기록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재개하는 재개 유닛(28, 8)
    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4.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2)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1)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인 부분 및 페이드-아웃 부분을 포함하는 시간축 특성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유닛(26);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유닛(4);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중단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저장 매체에 상기 기록 중단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중단하는 중단 유닛(interruption unit; 28, 8); 및
    기록 중단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기록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에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에 상기 기록 재개 타이밍 이후에 기록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재개하는 재개 유닛(28, 8)
    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함수 각각이 시간축 상에 상기 창함수의 시간 구간의 절반에 대한 중첩부를 구비하는 정보 기록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가 오디오 정보인 정보 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창함수가 수정된 이산 코사인 변환 코딩 시스템(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coding system) 내의 왜란(distortion)을 제거하도록 적응되는 정보 기록 장치.
  8.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2)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window function)―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아웃 시간축 특성(fade-out time-axis characteristic)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단계;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인 종료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zero information)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저장 매체에 상기 종료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방법.
  9.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2)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window function)―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인 시간축 특성(fade-in time-axis characteristic)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단계;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개시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zero information)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에 상기 기록 개시 시점 이후에 기록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방법.
  10.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2)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인 부분 및 페이드-아웃 부분을 포함하는 시간축 특성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단계;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중단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인 중단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저장 매체에 상기 중단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재개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는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에 상기 기록 재개 시점 이후에 기록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재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방법.
  1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를 정보 저장 매체(2)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창함수―여기서 복수의 창함수 각각은 페이드-인 부분 및 페이드-아웃 부분을 포함하는 시간축 특성을 구비하며 시간축 상에서 인접 창함수와 중첩부를 구비함―로 상기 디지털 정보를 승산하여 복수의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승산 단계;
    상기 창함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승산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중단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창함수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정보 저장 매체에 상기 기록 중단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중단하는 단계; 및
    기록 중단 후 상기 디지털 정보의 기록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를 0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기록 재개 타이밍을 포함하는 상기 승산된 디지털 정보 대신에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0 정보를 기록한 후에 상기 기록 재개 타이밍 이후에 기록될 디지털 정보의 기록을 재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함수 각각이 시간축 상에 상기 창함수의 시간 구간의 절반에 대한 중첩부를 구비하는 정보 기록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가 오디오 정보인 정보 기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창함수가 수정된 이산 코사인 변환 코딩 시스템(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coding system) 내의 왜란(distortion)을 제거하도록 적응되는 정보 기록 방법.
KR10-2000-0038280A 1999-07-05 2000-07-05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0434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90720 1999-07-05
JP19072099A JP3805929B2 (ja) 1999-07-05 1999-07-05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179A true KR20010015179A (ko) 2001-02-26
KR100434221B1 KR100434221B1 (ko) 2004-06-04

Family

ID=1626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280A KR100434221B1 (ko) 1999-07-05 2000-07-05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19641B1 (ko)
EP (1) EP1067551A3 (ko)
JP (1) JP3805929B2 (ko)
KR (1) KR100434221B1 (ko)
CN (1) CN1184630C (ko)
TW (1) TW4996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3298B2 (ja) * 2001-07-03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DE10237624B4 (de) * 2002-08-16 2008-01-17 Grundig Multimedia B.V. Gerät für die Aufzeichnung von digitalen Signalen
DE10334064B3 (de) * 2003-07-25 2005-04-1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Kalibrieren eines den Abtastzeitpunkt eines Empfangssignals beeinflussenden Abtastungssteuersignales eines Abtastphasenauswahlelements
US7292902B2 (en) 2003-11-12 2007-11-0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Frame-based audio transmission/storage with overlap to facilitate smooth crossfading
ATE479987T1 (de) 2004-03-26 2010-09-15 Lg Electronics Inc Speichermedium,verfahren, und gerät zum wiedergeben von untertiteldatenströmen
KR101067778B1 (ko) 2004-03-26 201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및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재생 방법과 장치
US8185815B1 (en) * 2007-06-29 2012-05-22 Ambrosia Software, Inc. Live preview
JP4519934B2 (ja) * 2008-12-26 2010-08-04 株式会社東芝 音声再生装置
JP6451336B2 (ja) * 2014-01-30 2019-01-16 ヤマハ株式会社 録音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4214143B4 (de) * 2014-03-14 2015-12-3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arbeiten eines Signals im Frequenzbereich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4040A (ja) * 1983-11-25 1985-06-20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イジタルオ−デイオシステム
JPS63127469A (ja) 1986-11-18 1988-05-31 Sony Corp 記録可能型光デイスク記録再生装置
JP2672849B2 (ja) * 1988-12-29 1997-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EP0386418B1 (de) * 1989-03-06 1994-12-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Datenreduktion bei digitalen Tonsignalen und zur genäherten Rückgewinnung der digitalen Tonsignale
JPH0583055A (ja) * 1991-09-25 1993-04-02 Hitachi Ltd 信号再処理装置
WO1995010886A1 (fr) * 1993-10-08 1995-04-20 Sony Corporation Processeur de signaux numeriques, procede de traitement de signaux numeriques et support d'enregistrement de donnees
FR2721662A1 (fr) * 1994-06-28 1995-12-29 Sedepro Pompe volumétrique à boisseau.
US5867819A (en) * 1995-09-29 1999-02-02 Nippon Steel Corporation Audio decoder
US5848391A (en) * 1996-07-11 1998-12-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subband of 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s using variable length windows
US5859788A (en) * 1997-08-15 1999-01-12 The Aerospace Corporation Modulated lapped transform method
JP4045651B2 (ja) * 1997-11-19 2008-02-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0021137A (ja) * 1998-06-30 2000-01-21 Sony Corp 編集装置
JP2000102088A (ja) * 1998-09-25 2000-04-07 Pioneer Electronic Corp 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2000113647A (ja) * 1998-10-05 2000-04-21 Nippon Columbia Co Ltd 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4630C (zh) 2005-01-12
KR100434221B1 (ko) 2004-06-04
EP1067551A2 (en) 2001-01-10
CN1290935A (zh) 2001-04-11
US6819641B1 (en) 2004-11-16
EP1067551A3 (en) 2002-09-11
JP3805929B2 (ja) 2006-08-09
JP2001023303A (ja) 2001-01-26
TW499654B (en)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3574B2 (ja) 番組符号化装置及び記録装置
JP3254924B2 (ja) 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
KR100434221B1 (ko)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US5990977A (en) Picture switching apparatus for executing a fade-out/fade-in processing
US6795640B1 (en) Data recording device, data reproducing device and data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encoded data over a plurality of recording media
US20060002261A1 (en) Data reproduction apparatus having resume reproduction function, and program product for implementing resume reproduction function
JP2002334517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1569228A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JPH11202900A (ja) 音声データ圧縮方法及びそれを適用した音声データ圧縮システム
JP2000032400A (ja) トリック再生特徴を有するデジタルビデオ再生
JP2000078531A (ja) オ―ディオデ―タ編集方法、編集システム
JP2000030370A (ja) 情報記録装置
KR20010075092A (ko) Av 디코더 제어 방법 및 장치
JP3916029B2 (ja) 情報記録装置
KR19990023773A (ko) 음성 압축 해제 장치
JP3259543B2 (ja) ディスク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再生装置
JP2006179069A (ja)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4582683B2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324686A (ja)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JP2001211420A (ja) ディスク記録媒体における圧縮符号化ストリームの編集方法および編集装置
JPH10150636A (ja) 映像信号再生装置及び映像信号の再生方法
US5311370A (en) Recording apparatus having continual and single-memory-portion recording modes
JP2004206771A (ja) 簡易再生方法とこの方法に利用可能な簡易再生装置、復号方法、復号装置
JP2007243414A (ja) 記録装置
KR100239788B1 (ko) 압축기록된 음성데이타 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