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512A - 실 가공 기계 - Google Patents

실 가공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512A
KR20010014512A KR1020000009487A KR20000009487A KR20010014512A KR 20010014512 A KR20010014512 A KR 20010014512A KR 1020000009487 A KR1020000009487 A KR 1020000009487A KR 20000009487 A KR20000009487 A KR 20000009487A KR 20010014512 A KR20010014512 A KR 20010014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thread
processing machine
roller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즈끼토루
오니시카쯔노리
모리모토신이찌로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51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02G1/026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false-twisting machines
    • D02G1/0273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false-twisting machines threading up and starting the false-twist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1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 B65H54/2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forming multiple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03Arrangements for threading or unthreading th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용이하게 실걸기조작이 가능한 실가공기계를 제공한다.
가공을 실시하는 실(4)의 경로(7)를 복수열 설치하고, 또한, 그 경로(7)에 부합하여 복수의 실보냄장치(8), (9), (10)를 설치한 실가공기계(1)에 있어서, 각 경로(7)마다 실보냄장치(8), (9), (10)를 분리함과 아울러 그 각 실보냄장치(8), (9), (10)를 독립하여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실 가공 기계{YARN PROCESSING MACHINE}
본 발명은, 에어 가공기나 연신 가연가공기 등의 실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실(도에서는 2개)에 가공을 실시하여 합사하거나, 혹은 합사한 실에 가공을 실시하는 실 가공 기계(30)는, 실(4)을 보내는 피드롤러(실 보냄장치)(31)와, 실(4)에 에어가공, 가연가공 등의 텍스쳐드 가공을 실시하는 실 가공 수단(32)을 구비한 실 가공 유닛을 복수열 병렬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드롤러(31), (34)는, 전체 추(전체 실 가공 유닛) 공통의 라인축(3 3a), (33b)에 설치되어 있고, 라인축(33a), (33b)은 구동수단인 모터(도시하지 않음)로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히 각 실의 보냄속도를 바꾸고, 연신비를 바꾸어서 합사하는 실 가공기계(30)의 경우, 회전속도의 어긋나는 피드롤러(31)와 피드롤러(34)는 각각 다른 라인축(33a), (33b)에 설치할 필요가 있고, 복수의 라인축을 동일 축상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보냄방향에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실 가공 기계(30)는, 실 가공 기계(30) 전체가 큰 것으로 되어 버리고, 공장의 부지를 여분으로 점유해 버리는 동시에, 피드롤러(31), (34)의 배치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실 가공 기계(30)의 배치 상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라는 과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실 가공 기계(30)의 실걸기 등 가공전의 처음조작은 번잡하여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피드롤러(31), (34)를 처음으로 하는 기계구성요소가 넓은 범위에 배치되어 있으면, 작업자의 이동량이 증가되고, 게다가 번잡하여 시간이 걸리는 작업으로 되어 버린다라는 과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실에 가공을 실시하고 합사하여 감기위해서 사용되는 실 가공 기계에 한정하지 않고, 1 개의 실을 가공하고 감기 위해서 사용되는 실 가공 기계에 있어서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실 가공 기계는, 실을 가공하고 감기 위한 실 가공 유닛(추)이 복수열로 병렬 설치되어서 구성되어 있지만, 각 실 가공 유닛에 설치된 실 보냄장치는, 전체 추가 공통의 라인축에 의해 구동되고 있다. 이 때문에, 어떤 추에 실끊김이 생기고, 그 추의 실걸기작업을 행하고자 할 경우, 그 추만 실보냄장치를 정지하거나 감속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실걸기작업이 곤란하던가, 경우에 따라서는 불가능하게 결추로 해야한다라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소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용이하게 초기조작이 가능한 실 가공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공을 실시하는 실의 경로를 복수열로 병렬 설치하고, 또한, 그 경로에 부합하여 복수의 실 보냄장치를 설치한 실 가공기계에 있어서, 각 경로마다 실 보냄장치를 분리함과 동시에 그 각 실 보냄장치를 독립하여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실에 가공을 실시하고 합사하여 감기 위한 실 가공유닛이 복수열로 병렬 설치되고, 또한 복수개의 실에 대응하여 실 보냄장치가 복수 설치된 실 가공 기계에 있어서, 복수개의 실에 대응하여 설치된 각 실 보냄장치를 각 가공유닛마다 분할하고 독립하여 구동하도록한 것이다. 이 경우, 복수개의 실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실 보냄장치를 동일 축상에 병렬 설치하면 좋다.
게다가, 상기 실 보냄장치는, 구동모터를 보유하는 구동롤러를 구비하고, 구동모터를 구동롤러의 내부에 삽입한 구성으로 하면, 보다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실 가공기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동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 가공 기계의 개략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실 가공 기계의 개략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ㆍㆍㆍ 실 가공 기계 2 ㆍㆍㆍ 급사 팩키지
4 ㆍㆍㆍ 미가공실(실) 7 ㆍㆍㆍ 경로
8 ㆍㆍㆍ 피드 롤러 9 ㆍㆍㆍ 피드 롤러
10 ㆍㆍㆍ 피드 롤러
본 발명을 에어가공기계에 적용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술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가공기계(1)는, 동시에 다수개의 가공실을 제조하기 위하여 복수의 추(실가공유닛)(28)를 보유하여 구성되어 있다.
추(28)란, 1개의 가공실(29)을 제조하기 위한 실 가공 유닛을 가리키는 것이고, 본 실시예의 경우, 각각 크리일스탠드(3)에 수용된 2개의 급사팩키지(2a), (2b)에서 심사(4a)로 된 급사 및 견사(4b)로 된 급사를 해서하여 합사하여, 가공을 실시하고, 감도록 되어 있다.
추(28)는, 각각 급사팩키지(2a)에서 늘어나는 심사(4a)를 보내는 피드롤러(실 보냄장치)(8a), (9a), (10a)와, 급사팩키지(2b)에서 늘어나는 견사(4b)를 보내는 피드롤러(8b), (9b), (10b)와, 심사(4a) 및 견사(4b)에 공기ㆍ물에 의한 텍스쳐드 가공을 실시하는 가공수단(25)과, 가공을 실시한 가공실(29)을 감기위한 감기수단(26)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에어가공기계(1)는, 각 추(28)의 급사팩키지(2a), (2b)를 일괄하여 수용하는 그릴스탠드(3)와, 그 급사팩키지(2a), (2b)에서 늘어나는 각 추(28)의 미가공실(4) (심사(4a) 및 견사(4b))에 연신, 합사, 에어가공 등을 행하여 감는 감기스탠드(5)와, 크리일스탠드(3)와 감기스탠드(5)의 사이에 형성된 작업통로(6)을 보유한다.
작업통로(6)의 상부에는, 각 추(28)의 미가공실(4)을 통하기 위한 다수열의 경로(7)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각각의 경로(7)에 부합하여 각각 복수의 피드롤러(8) , (9), (1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통로(6) 상에 천정프레임(11)이 크리일스탠드(3)와 감기스탠드(5)에 건너지르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고, 천정프레임(11)에는 3개의 지지빔( 12), (13), (14)이 작업통로(6)에 부합하여, 또한, 서로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크리일스탠드(3)에 제일 가까운 제 1지지빔(12)에는 제 1피드롤러(8 )가 경로(7)마다 분리독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 1피드롤러(8)의 감기스탠드(5)측으로 떨어져서 서로 이웃하는 제 2지지빔(13)에는 제 2피드롤러 (9)가 경로(7)마다 분리독립하여 설치되어 있고, 감기스탠드(5)에 인접하는 제 3지지빔(14)에는 제 3피드롤러(10)가 경로마다 분리독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실 가공 수단(25) 상류측에 배치되는 모든 피드롤러(8), (9)는, 미가공실(4)의 보냄방향에 어긋나게 배치되지 않고, 미가공실(4)의 보냄방향에 정렬됨과 동시에 지지빔(12), (13) 연장방향에 정렬하여 배치되어 있다(동일 축상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피드롤러(8)와 제 2피드롤러(9)의 사이에는, 보내지는 미가공실(4)을 가열하기 위한 핀 히터(15)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크리일스탠드(3)에서 연출되는 각 추(28)의 심사(4a)와 비단실(4b)은, 각 경로(7)마다의 제 1피드롤러(8), 제 2피드롤러(9)를 경유하여, 가공수단(25 )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각 피드롤러(8), (9), (10)는, 전체 분리독립되어 있고, 각각 독립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각 피드롤러(8), (9), (10)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해서 경로(7)마다 구동, 정지 및 속도 조절되도록 되어 있고, 예컨대 실끊김 등이 생긴 추(28)만을 정지하거나 속도변화하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피드롤러(8), (9), (10)는, 전체 거의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 1피드롤러(8)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피드롤러(8)는, 제 1지지빔(12)에 설치된 내부에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를 보유하는 구동롤러(16)와, 제 1지지빔(12)에 레버(17)를 끼워서 설치된 구동롤러(16)와 접촉하도록 힘이 가해진 종동롤러(18)로 이루어진다.
구동롤러(1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19)를 끼워서 제 1지지빔(12)에 구동모터(20)를 설치함과 아울러 그 구동모터(20)의 구동축(21)에 동 축상에 제 1롤러부(22)를 설치하여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피드롤러(8), (9), (10)는, 독립하여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제 1롤러부(22)는, 단면⊃자형상으로 내부를 도려내어 구멍을 뚫어서 형성되어 있고, 구동모터(20)의 외주를 거의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구동롤러(16) 내에 구동모터(20)가 삽입되는 소형화가 도모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17)는, 거의 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지지빔(12)에 고정된 레버 지지부재(23)에 한 끝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레버(17)의 거의 중앙에는 종동롤러(18)를 구성하는 제 2롤러부(18a)가 수평축 둘레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동롤러(16)의 롤러면 하단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레버(17)와 레버지지부재(23)의 사이에는 스프링인 코일스프링(24)이 건너질러서 설치되어 있고, 구동롤러(16)에 종동롤러(18)를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종동롤러(18)를 구동롤러(16)에 꽉 누르도록 탄성적으로 힘을 가함과 아울러, 종동롤러(18)를 구동롤러(16)에서 일정 거리이상 떨어뜨리면 종동롤러(18)를 구동롤러( 16)에서 떼어 놓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기스탠드(5)에는, 가공수단(25)이 설치됨과 아울러, 감기수단(26)이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가공수단(25)을 통과한 가공실(29)을 가공수단(25)의 위쪽에 위치되는 제 3피드롤러(10)에 감아돌리고, 감기수단(26)에 가공실(29)을 보내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작용을 상술한다.
실가공전에 각 피드롤러(8), (9), (10)에 급사팩키지(2a), (2b)의 심사(4a)나 비단실(4b)을 괘하는 경우, 조작자(27)는, 각 경로(7)마다 실걸기작업을 행한다.
피드롤러(8), (9), (10)에 미가공실(4)를 거는 경우, 우선 경로(7) 안의 각 피드롤러(8), (9), (10)의 레버(17)를 끌어당기어, 구동롤러(16)에서 종동롤러(18)을 떼어 놓는다..
다음으로, 제 1피드롤러(8), 제 2피드롤러(9)의 순으로 미가공실(4)를 구동롤러(16)와 종동롤러(18)의 사이로 통과하고, 그 미가공실(4)을 또 가공수단(25), 제 3피드롤러(10), 감기수단(26)의 순으로 돌린다.
게다가, 이 작업을 각 경로(7)의 미가공실(4)에 관해서 행한다.
이 때, 제 1피드롤러(8)과 제 2피드롤러(9)는, 어떤 경로(7)도 서로 이웃하는 동일한 제 1지지빔(12), 제 2지지빔(13)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자(27)는 미가공실(4)의 보냄방향으로 거의 이동하지 않아도 그 경우에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신속 또는 용이하게 실걸기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피드롤러 (8), (9), (10)는 조작자의 손이 미치는 범위에 있기 때문에 실걸기를 편안하게 할 수 있다.
실가공기계(1)를 가동하면, 각 피드롤러(8), (9), (10)는 각각 개별적으로 독립하여 회전되고, 미가공실(4)을 보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사(4a)에 급사하는 비단실(4b)을 보내는 피드롤러(8b), (9b)는, 심사(4a)의 피드롤러(8a) , (9a)보다 고속으로 회전되고, 비단실(4b)을 심사(4a)보다 고속으로 계속 보낸다.
심사(4a)와 비단실(4b)은, 가공수단(25)에 급사, 가공되고, 제 3피드롤러(10 )를 경유하여 감기수단(26)으로 보내지고, 감아진다.
이와 같이, 각 피드롤러(8), (9), (10)를 각각 독립하여 구동하도록 했기 때문에, 피드롤러(8), (9), (10)을 자유롭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냄속도가 다른 피드롤러(8a)와 피드롤러(8b) 및 피드롤러(9a)와 피드롤러(9b)를 일렬(동축상)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 경로(7)마다 실보냄을 구동 내지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미가공실(4)의 연신비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각 피드롤러(8), (9), (10)를 분리독립하여 구동할 수 있기 위하여, 특히 복수의 추(28)를 병렬설치한 실가공기계(1)에 있어서는, 각 추(28)마다 피드롤러(8), (9), (10)를 독립하여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각 추(28)마다 독립하여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경로(7)마다의 보냄속도가 다른 피드롤러(8), (9), (10)를 일렬로 모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실가공기계(1) 전체를 소형인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실걸기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실의 길을 명료화할 수 있다.
또한, 피드롤러(8), (9), (10)를, 지지빔(12), (13), (14)에 설치되는 내부에 구동모터(20)를 보유하는 구동롤러(16)와, 지지빔(12), (13), (14)에 레버(17)을 끼워서 설치되는 구동롤러(16)와 접촉하도록 힘이 가해지는 종동롤러(18)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기 때문에, 피드롤러(8), (9), (10)를 소형인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실걸기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피드롤러(8), (9), (10)의 구동모터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해서,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고속조절하면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에어가공기계뿐만 아니라, 실에 가연가공을 실시하는 가연가공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1) 실 가공 기계를 소형화할 수 있다.
(2) 초기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가공을 실시하는 실의 경로를 복수열로 설치하고, 또한, 그 경로에 부합하여 복수의 실 보냄장치를 설치한 실 가공 기계에 있어서, 각 경로마다 실 보냄장치를 분리함과 아울러 그 각 실 보냄장치를 독립하여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가공 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실 보냄장치가, 구동모터를 보유하는 구동롤러를 구비하고, 구동모터를 구동롤러의 내부에 삽입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가공 기계.
  3. 복수개의 실에 가공을 실시하여 합사하고 감기 위한 실 가공 유닛이 복수열로 병렬 설치되고, 또한 복수개의 실에 대응하여 실 보냄장치가 복수 설치된 실 가공기계에 있어서, 복수개의 실에 대응하여 설치된 각 실 보냄장치를 각 실 가공 유닛마다 분할하고 독립하여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가공 기계.
  4. 제 3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실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실 보냄장치를 동일한 축상에 병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가공 기계.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실 보냄장치가, 구동모터를 보유하는 구동롤러를 구비하고, 구동모터를 구동롤러의 내부에 삽입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가공 기계.
KR1020000009487A 1999-02-26 2000-02-25 실 가공 기계 KR200100145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50403 1999-02-26
JP11050403A JP2000247539A (ja) 1999-02-26 1999-02-26 糸加工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512A true KR20010014512A (ko) 2001-02-26

Family

ID=1285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487A KR20010014512A (ko) 1999-02-26 2000-02-25 실 가공 기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31651A2 (ko)
JP (1) JP2000247539A (ko)
KR (1) KR20010014512A (ko)
TW (1) TW4343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323B1 (ko) * 2016-03-04 2016-07-20 주식회사 지현텍스 실의 교체가 용이한 숫돌 가공 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5987B (zh) * 2020-12-22 2022-07-01 江苏腾飞纺织品有限公司 一种牛仔布高速喷气织机分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323B1 (ko) * 2016-03-04 2016-07-20 주식회사 지현텍스 실의 교체가 용이한 숫돌 가공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47539A (ja) 2000-09-12
EP1031651A2 (en) 2000-08-30
TW434335B (en) 200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0104B1 (en) Draw texturing machine
EP3540103B1 (en) Draw texturing machine
KR20020035843A (ko) 텍스쳐 가공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텍스쳐 가공기
KR20010014512A (ko) 실 가공 기계
JP3301391B2 (ja) 単錘駆動型繊維機械
KR100403172B1 (ko) 로프 제조장치
US7392648B2 (en) Rotor Spinning machine
EP3003939A1 (en) Machine for producing bobbins of yarn with superimposed winding positions with multiple motor drives
KR101875108B1 (ko) 연사기에서 제조된 원사의 와인딩장치
EP1158079B1 (en) Independent torsioning unit
JP3235564B2 (ja) 単錘駆動型多重撚糸機
KR200210208Y1 (ko) 빔정경기
JPH10244339A (ja) 撚線製造装置
EP3003938B1 (en) A module for a machine for producing bobbins of yarn
WO2022196185A1 (ja) 仮撚加工機
KR200293248Y1 (ko) 투포원 연사기의 전자구동 시스템 및 그 구동제어방법
GB2401118A (en) Apparatus for winding rope-dyed indigo yarn for knitting
JP7319090B2 (ja) 仮撚加工機
KR100316962B1 (ko) 심사용 실 및 부사용 실로 이루어진 실 제조장치
EP1367156B1 (en) Yarn processing apparatus
KR200191733Y1 (ko) 복합 연사기
CN113062044A (zh) 一种可快速更换不同尺寸纱管的绳纱预织设备及方法
JPS63282319A (ja) 二重撚糸機における撚数設定装置
KR20020072255A (ko) 투포원 연사기의 전자구동 시스템 및 그 구동제어방법
JPH07276217A (ja) ワイヤソ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