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208Y1 - 빔정경기 - Google Patents

빔정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208Y1
KR200210208Y1 KR2020000018595U KR20000018595U KR200210208Y1 KR 200210208 Y1 KR200210208 Y1 KR 200210208Y1 KR 2020000018595 U KR2020000018595 U KR 2020000018595U KR 20000018595 U KR20000018595 U KR 20000018595U KR 200210208 Y1 KR200210208 Y1 KR 200210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air
rotating shaft
wound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철
Original Assignee
신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인철 filed Critical 신인철
Priority to KR2020000018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208Y1/ko

Links

Landscapes

  • Warping, Beaming, Or Lea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빔정경기에 관한 것으로, 원사가 권취되는 한쌍의 빔(3)과, 상기 각각의 빔(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쌍의 회전축(4)과, 상기 회전축(4)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별개의 구동모터(5)와, 상기 회전축(4)을 지지하는 빔행거(6) 및, 상기 빔행거(6)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회전축(4)을 지지하는 한쌍의 브라켓(6a), 상기 각 구동모터(5)를 제어하는 제어부(8), 원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정로울러(11)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하나의 빔(3)에 권취되는 원사가 절사되어 해당 빔(3)이 정지하더라도 다른 빔(3)의 작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직물설계에 기초하여 각각의 빔(3)에 원사의 감는수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빔정경기{ Beam warping machine }
본 고안은 정경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사를 정경용 빔에 감는 빔정경기에 관한 것이다.
정경공정은 제직준비의 한 공정으로 설계된 직물의 길이에 따라 원사를 배열정리하여 권취하는 것이고, 원사종류 및 공장규모 등에 따라서 빔정경, 부분정경, 볼정경등으로 구분된다.
빔정경공정에 이용되는 빔정경기는 직물설계에 기초하여 원사를 빔에 권취하는 것으로 빔을 드럼과의 마찰에 의하여 구동시키는 방식과 빔을 직접 구동시키는 방식이 있다.
최근 고속화와 대형패키지화의 경향으로 드럼식은 용도면에서 한계에 달해 직접구동식이 주류를 이루어 빔정경기라하면 직접정경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빔정경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빔정경기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복수개의 원사보빈(101)이 설치된 크릴부(102)가 구비되고, 상기 크릴부(102)의 원사보빈(101)으로부터 원사를 권취하는 한쌍의 빔(103)과, 상기 빔(103)의 중앙에 관통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04) 및, 회전축(104)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05), 상기 회전축(104)을 지지하는 빔행거(106), 상기 , 원사의 절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07), 상기 구동모터(105)를 제어하는 제어부(108), 상기 크릴부(102)와 빔(103)의 사이에 설치되며 원사의 가닥을 배열하는 분사리드(109), 상기 분사리드(109)를 통과한 원사를 일직선상에 나열하는 가이드로울러(110)가 설치되며, 원사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로울러(111)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의 빔정경기는 하나의 회전축(104)에 두개의 빔(103)이 삽입고정되어 일체로 작동되므로 두개의 빔(103)을 사용하더라도 똑같은 제품을 동시에 두개 생산할 수는 있으나, 서로 다른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나의 빔(103)에 권취되는 원사가 절사될 경우 상기 감지부(107)가 작동되고, 제어부(108)에서 구동모터(105)를 정지시키게 되므로 원사가 절사되지 않은 빔(103)도 함께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절사된 원사를 다시 잇는 동안에 절사되지 않은 빔(103)까지 정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품의 종류에 따라 감는수가 다른 두개의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고, 각 빔에 권취되는 원사의 절사가 다른 빔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빔정경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사가 권취되는 한쌍의 빔과, 상기 별개의 구동모터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한쌍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빔행거 및, 상기 빔행거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한쌍의 브라켓, 상기 빔에 권취되는 원사의 절사여부를 감지하는 한쌍의 감지부, 원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정로울러, 상기 각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 회전축에 삽입고정된 각각의 빔이 각각의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서로 다른 권취작업을 할 수 있고, 원사가 절사될 경우 감지부가 절사된 원사를 권취하던 해당 구동모터만을 정지시키게 되며, 상기 빔에 권취되는 원사의 장력을 각각 조절하여 원사가 절사되어 작업이 정지하는 횟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크릴부를 포함한 종래의 빔정경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빔정경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빔정경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빔정경기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빔 4 : 회전축
5 : 구동모터 6 : 빔행거
6a : 브라켓 8 : 제어부
11 : 장력조정로울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빔정경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빔정경기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한 본 고안은, 복수개의 원사보빈(101)이 설치된 크릴부(102)로부터 원사가 권취되는 한쌍의 빔(3)과, 상기 각각의 빔(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쌍의 회전축(4)과, 상기 회전축(4)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별개의 구동모터(5)와, 상기 회전축(4)을 지지하는 빔행거(6) 및, 상기 빔행거(6)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회전축(4)이 회전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브라켓(6a), 상기 빔(3)에 권취되는 원사의 절사여부를 감지하는 한쌍의 감지부(107), 상기 각 구동모터(5)를 제어하는 제어부(8), 상기 빔(3)에 권취되는 원사의 장력상태를 조절하는 장력조정로울러(11)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 구동모터(5)가 개별적으로 각각의 빔(3)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크릴부(102)에서 원사가 각각의 빔(3)에 권취되고, 상기 하나의 빔(3)에 권취되는 원사가 절사될 경우 해당 구동모터(5)만 정지되어 권취동작을 멈추고, 다른 빔(3)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빔(3)은 원통형상으로 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크릴부(102)로부터 원사가 권취될 수 있고, 각각의 빔(3)에 권취작업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각 빔(3)의 크기가 상이한 것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축(4)은 브라켓(6a)의 베어링에 삽입되고, 구동모터(5)에 의해 구동되어 외측에 고정삽입된 빔(3)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5)는 직접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DC모터로 각 회전축(4)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각의 회전축(4)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빔행거(6)는 회전축(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회전축(4)에 제동력을 가해 구동모터(5)와 함께 회전축(4)을 정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브라켓(6a)은 상기 빔행거(6)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4)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8)는 각각의 감지부(107)에서 전달된 신호를 통해 한쌍의 구동모터(5)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장력조정로울러(11)는 한쌍의 빔(3)에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빔에 권취되는 원사의 장력을 조절하게 되어 원사의 절사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빔(3)의 충격적인 회전은 잦은 원사의 절사를 초래하고 원사의 장력이 변하게 되어 권취의 상태가 불량해지므로 기동시에는 점진적으로 회전이 되어야 하며, 정지시에는 상기 제어부(8)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급격하게 정지하여 절사된 원사를 즉시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마찰클러치와 같은 제동장치를 상기 브라켓(6a)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4)의 양측에서 제어가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회전축(4)에 크기가 서로 다른 두개의 빔(3)을 삽입고정하여 각각의 구동모터(5)로 회전시키게 되면 각각의 장력조정 장치(8)에 각 빔(3)에 권취되는 원사의 장력이 독립적으로 조절되고, 각기 다른 원사의 권취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빔정경기에 의하면, 하나의 빔에 권취되는 원사가 절사되어 해당 빔이 정지하더라도 다른 빔의 작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직물설계에 기초하여 각각의 빔에 원사의 감는수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복수개의 원사보빈(101)이 설치된 크릴부(102)로부터 원사를 권취하는 빔(3)과, 상기 빔(3)의 중앙에 관통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과, 상기 회전축(4)을 구동하는 구동모터(5) 및, 상기 회전축(4)을 지지하는 빔행거(6), 원사의 절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07), 상기 구동모터(5)를 제어하는 제어부(8)로 이루어진 빔정경기에 있어서,
    한쌍의 회전축(4)이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회전축(4)에 그 회전축(4)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별개의 구동모터(5)가 설치되며, 상기 빔행거(6)의 양측에 각각의 회전축(4)이 회전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브라켓(6a)이 설치되며, 상기 한쌍의 회전축(4)에 빔(3)이 각각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정경기.
KR2020000018595U 2000-06-29 2000-06-29 빔정경기 KR200210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95U KR200210208Y1 (ko) 2000-06-29 2000-06-29 빔정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95U KR200210208Y1 (ko) 2000-06-29 2000-06-29 빔정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208Y1 true KR200210208Y1 (ko) 2001-01-15

Family

ID=7305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595U KR200210208Y1 (ko) 2000-06-29 2000-06-29 빔정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2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81B1 (ko) 2007-05-14 2008-05-16 주식회사 코오롱 필라멘트의 태섬도화 방법
KR102021582B1 (ko) 2018-11-27 2019-09-16 홍정섭 정경기 및 정경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81B1 (ko) 2007-05-14 2008-05-16 주식회사 코오롱 필라멘트의 태섬도화 방법
KR102021582B1 (ko) 2018-11-27 2019-09-16 홍정섭 정경기 및 정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7182B1 (en) Yarn slack eliminating device in textile machine
EP3540104B1 (en) Draw texturing machine
KR20010020707A (ko) 플라이어장치 및 플라이어 구동방법
US1001192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pindle of a two-for-one twisting or cabling machine and associated two-for-one twisting or cabling machine
KR200210208Y1 (ko) 빔정경기
JPH05331742A (ja) 走行中の糸、ワイヤなどの差動制動装置
WO2010094656A1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strands from wires
CN101078147A (zh) 利用步进马达的分丝卷绕机驱动装置
KR19990078203A (ko) 단추 구동형 다중 연사기
JPH02289127A (ja) リング精紡機及びその作動方法
CN105274662A (zh) 纱线蓄留装置、纱线卷绕单元以及纱线卷绕机
JPH01192835A (ja) 紡績装置
CN214692630U (zh) 一种收线缓冲器及收线装置
KR19980032925A (ko) 실의 가연장치
JP3235564B2 (ja) 単錘駆動型多重撚糸機
JPS63160977A (ja) 糸条巻取機のコンタクトロ−ラ
JPS6290328A (ja) 粗紡機におけるフライヤの定位置停止方法
JPH0197226A (ja) 粗紡機における玉揚げ時の粗糸巻尻の切断方法
JPS59150123A (ja) 紡機におけるドラフトロ−ラ駆動機構
KR200305698Y1 (ko) 정경기
EP0286591B1 (en) Device for production of fancy effect yarns
JPS6158385B2 (ko)
JPH11256435A (ja) 単錘駆動型多重撚糸機
JPH11293529A (ja) 単錘駆動型繊維機械
KR20010014512A (ko) 실 가공 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