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733Y1 - 복합 연사기 - Google Patents

복합 연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733Y1
KR200191733Y1 KR2020000005237U KR20000005237U KR200191733Y1 KR 200191733 Y1 KR200191733 Y1 KR 200191733Y1 KR 2020000005237 U KR2020000005237 U KR 2020000005237U KR 20000005237 U KR20000005237 U KR 20000005237U KR 200191733 Y1 KR200191733 Y1 KR 200191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roller
lower side
spindle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중규
Original Assignee
황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중규 filed Critical 황중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7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성을 갖는 스판사와 복합사 및 팬시사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합 연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합 연사기는 상측에 가로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전/후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스판덱스얀롤러와, 상기 스판덱스얀롤러의 사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축선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 스판덱스얀가이드와, 상기 스판덱스얀롤러의 하측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전/후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코어얀롤러와, 상기 코어얀롤러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롤러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코어얀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제 1고무롤러와, 상기 코어얀롤러의 하측에 설치되며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제 1브래킷에 설치되는 제 2고무롤러와, 상기 브래킷의 하측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사공급롤러와, 상기 부사공급롤러의 하측에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공급되는 실을 안내하는 얀가이드와, 상기 얀가이드의 하측에 설치되며 평판형의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한 상부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의 가로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하 관통된 축공이 형성된 스핀들축을 갖는 상부스핀들과, 상기 상부스핀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수용하여 실의 형태를 형성하는 메인스핀들과, 상기 메인스핀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하측에 형성된 하부 지지판의 가로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하 관통된 축공이 형성된 스핀들 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스핀들과, 상기 하부스핀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하측에 설치되며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제 2브래킷에 설치되는 제 3고무롤러와, 상기 제 3고무롤러의 하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오버피더롤러와, 상기 오버피더롤러의 하측에서 가로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실을 안내하는 텐션가이드와, 상기 텐션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실을 권취하며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드럼과, 상기 드럼과 마찰되며 상측으로부터 공급된 실을 권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취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스판덱스 사 또는 메탈릭사 등을 공급해 커버링사를 생산할 수 있으며, 특히 실의 종류와 굵기에 관계없이 2~3합 또는 그 이상의 합수로 다양한 종류의 복합사 및 팬시사를 생산할 수 있는 관계로 한 대의 연사기에서 다양한 종류의 실(絲)을 생산할 수 있는 연사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복합 연사기{COMPOUND TWISTING MACHINE}
본 고안은, 복합 연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판덱스사(SPANDEX YARN) 또는 메탈릭사(METALLIC YARN) 등을 공급해 커버링사(COVERING YARN)를 생산할 수 있으며, 특히 실의 종류와 굵기에 관계없이 2~3합 또는 그 이상의 합수로 다양한 종류의 복합사 및 실의 형태가 다양한 팬시사 등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복합 연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사기는 정방기에서 뽑아진 홑실을 두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으로 합쳐 꼬는 기계를 말하며, 이와 같은 일반적인 연사기로서는 신축성이 없는 실만을 생산할 뿐 신축성이 있는 실을 생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직물은 신축성이 있는 것과, 신축성이 없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이는 생산되는 실의 성질에 따라 구분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실을 얻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공공정을 거치게된다.
상기와 같이 신축성이 뛰어난 실을 스판사(Spun Yarn)라 하고 이는 고무를 이용한 스판덱스사의 외주연에 연사된 커버링사를 감싸도록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링사로는 화학사 혹은 천연사를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스판사를 생산하기 위한 종래의 커버링기는 특정한 원사 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단순한 커버링사 만을 생산할 수밖에 없으므로 다양성을 가질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연사기는 단순히 연사만을 행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관계로 복합사를 생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연사작업과 커버링 작업을 복합적으로 행할 수 있는 연사기 겸용 커버링기가 제안된바 있으나, 단순히 부품의 형상과 재질의 개선으로 부품 수를 간소화시켰을 뿐 생산성과 다양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사종과 데니어(생사, 인조견사 나이론 등의 섬도(纖度)를 측정하는 국제단위)에 구분되지 않고 세사에서부터 태사에 까지 폭넓게 접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의 종류와 굵기에 관계없이 다양성을 바탕으로 다 종의 복합사 및 팬시사를 생산할 수 있는 복합 연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연사기의 일 측을 발췌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좌/우측에 동일하게 설치한 상태의 측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복합 연사기 11 : 중앙프레임
13 : 보빈걸이대 15 : 텐션가이드
17 : 스판덱스얀롤러 19 : 스판덱스얀가이드
21 : 코어얀롤러 23 : 제 1고무롤러
25 : 롤러가이드 27 : 제 1브래킷
29 : 제 2고무롤러 30 : 부사공급롤러
31 : 얀가이드 33 : 상부지지판
35 : 상부스핀들 37 : 축공
39 : 스핀들축 41 : 스핀들브레이크
43 : 핸들 45 : 단속롤러
50 : 메인스핀들 60 : 하부지지판
61 : 축공 63 : 스핀들축
65 : 하부스핀들 70 : 제 2브래킷
71 : 제 3고무롤러 73 : 오버피더롤러
80 : 텐션가이드 81 : 드럼
83 : 권취롤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신축성을 갖는 스판사와 복합사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합 연사기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사기는 상측에 가로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전/후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스판덱스얀롤러와, 상기 스판덱스 얀 롤러의 사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축선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 스판덱스얀가이드와, 상기 스판덱스얀롤러의 하측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전/후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코어얀롤러와, 상기 코어얀롤러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롤러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코어얀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제 1고무롤러와, 상기 코어얀롤러의 하측에 설치되며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제 1브래킷에 설치되는 제 2고무롤러와, 상기 브래킷의 하측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사공급롤러와, 상기 부사공급롤러의 하측에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공급되는 실을 안내하는 얀가이드와, 상기 얀가이드의 하측에 설치되며 평판형의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한 상부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지지판의 가로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하 관통된 축공이 형성된 스핀들축을 갖는 상부스핀들과, 상기 상부스핀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수용하여 실의 형태를 형성하는 메인스핀들과, 상기 메인스핀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하측에 형성된 하부 지지판의 가로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하 관통된 축공이 형성된 스핀들 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스핀들과, 상기 하부스핀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하측에 설치되며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제 2브래킷에 설치되는 제 3고무롤러와, 상기 제 3고무롤러의 하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오버피더롤러와, 상기 오버피더롤러의 하측에서 가로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실을 안내하는 텐션가이드와, 상기 텐션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실을 권취하며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드럼과, 상기 드럼과 마찰되며 상측으로부터 공급된 실을 권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취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스핀들은 상기 스핀들축에 접하여 상기 스핀들축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벨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축은 상기 스핀들축의 일 측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에 의한 스핀들축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핀들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벨트는 상기 벨트의 후면과 접하여 상기 벨트를 긴장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긴장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연사기의 일 측을 발췌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좌/우측에 동일하게 설치한 상태의 측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연사기(10)는, 연사기본체의 골격을 이루는 중앙프레임(11)을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동일한 구성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의 설명에 있어서는 일 측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복합 연사기(10)의 중앙프레임(11)의 상측에 보빈을 걸을 수 있는 보빈걸이대(13)가 수개 설치되며 이 보빈걸이대(13)의 전방 측에는 보빈측으로부터 이어지는 실을 안내할 수 있도록 텐션가이드(15)가 수 개 설치된다.
보빈걸이대(13)의 하측으로는 스판덱스얀의 비율을 결정하는 한 쌍의 스판덱스얀롤러(17)가 복합 연사기(10)의 가로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전/후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스판덱스얀롤러(17)의 사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축선 방향을 따라 스판덱스얀가이드(19)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하고 있다.
스판덱스얀롤러(17)의 하측에는 심사를 2~3가닥 또는 그 이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한 쌍의 코어얀롤러(21)를 가로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전/후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코어얀롤러(21)의 상면에는 코어얀롤러(21)와 접하여 회전하는 다수의 제 1고무롤러(23)가 설치되며 제 1고무롤러(23)는 롤러가이드(25)에 의해 안내된다.
코어얀롤러(21)의 하측에는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 1브래킷(27)을 설치하고 있으며, 제 1브래킷(27)에는 제 2고무롤러(2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되는 실을 안내한다.
또한, 제 1브래킷(27)의 하측에는 실의 당김 비율 및 공급사의 종류 또는 합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팬시사(FANCY YARN)를 형성할 수 있도록 부사공급롤러(30)를 가로 방향으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부사공급롤러(30)의 하측 가로 방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얀가이드(31)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실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얀가이드(31)의 하측에는 평판형의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한 상부지지판(33)을 설치하고 있고, 상부지지판(33)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부스핀들(35)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상부스핀들(35)은 상하 관통된 축공(37)이 형성된 스핀들축(39)을 갖고 있다. 스핀들축(39)은 이 스핀들축(39)의 후면에 접하여 지나는 벨트(40)와 접하여지며 스핀들축(39)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도시치 않음)와 이에 권취된 벨트(40)에 의해 최대 15,000RPM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부스핀들(35)은 부사공급롤러(30)의 비율에 의하여 공급되어진 부사의 형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스핀들(35)의 일 측 영역에는 스핀들축(39)의 회전을 단속하는 다시 말해서 회전하는 벨트(V)가 스핀들축(39)으로부터 접촉 및 분리되는 것을 단속하는 스핀들브레이크(41)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스핀들브레이크(41)는 핸들(43)과 이 핸들(43)에 의해 동심 축선 상에서 편심 운동하는 단속롤러(45)에 의해 행하여진다.
상부스핀들(35)의 하부 즉 상부지지판(33)의 하측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스핀들(50)을 설치한다. 이 메인스핀들(50)에는 보빈이 장착되며 회전하는 벨트(V)에 의해 회전한다. 따라서 메인스핀들(50)에 압사를 장착하면 상부스핀들(35)을 거치면서 형성된 부사의 형태가 변형이 되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역할과 타이머 결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스핀들(50)의 하측에는 상기 상부지지판(33)에 설치된 상부스핀들(35)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부지지판(60)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하부지지판(60)에는 하부지지판(60)의 가로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하 관통된 축공(61)을 갖는 스핀들축(63)을 갖는 하부스핀들(65)을 설치하여 팬시사의 터치를 형성하여 준다. 그리고, 하부스핀들(65)은 상부스핀들(35)과 메인스핀들(50)을 거치면서 만들어진 실의 기본적인 터치를 제직물의 종류에 따라서 터치를 부드럽게 또는 딱딱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행한다.
하부스핀들(65)의 하측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브래킷(70)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제 2브래킷(70)의 하측에는 제 3고무롤러(71)를 설치하고 있다.
또, 제 3고무롤러(71)의 하측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오버피더롤러(73)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오버피더롤러(73)의 하측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텐션가이드(80)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실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텐션가이드(80)에 의해 안내된 실을 권취할 수 있도록 복합 연사기(10)의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드럼(81)을 설치하고 있으며, 드럼(81)의 전면에는 드럼(81)과 마찰되며 상측으로부터 공급된 실을 권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취롤러(83)를 설치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커버링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스판덱스얀롤러(17)에서 스판덱스얀의 당김 비율이 결정되면 메인스핀들(50)에 삽입된 보빈의 회전에 의해 스판덱스얀에 커버링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복합연사의 생산은 보빈걸이대(13)에서 다양한 종류의 원사가 공급되면 보빈걸이대(13)에서 합쳐진 원사가 메인스핀들(50)을 거치면서 복합연사가 이루어지며 복합연사된 실은 권취로울러(83)에 의해 권취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연사기(10)는 팬시연사기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보빈걸이대(13)에 다양한 종류의 원사가 공급되면 원사가 코어얀롤러(21)를 거치면서 부사의 비율이 주어지고, 이어서 코오얀과 부사가 상부스핀들(35)에서 만나게 되고 따라서 상부스핀들(35)의 스핀들축(39)회전에 의하여 팬시얀의 형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스핀들(35)에서 형성된 팬시사의 형태가 변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메인스핀들(50)을 거치면서 꼬이는 실에 의하여 팬시얀의 형태가 고정이 된다. 이어서 하부스핀들(65)을 거치면서 스핀들축(63)의 회전에 의하여 팬시얀의 터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하부스핀들(35)(65) 및 메인스핀들(50)은 모터(도시치 않음)에 의하여 연결된 벨트(V)에 의해 회동되며 벨트는 벨트의 후면과 접하여 벨트(V)를 긴장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긴장롤러(R)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연사기(10)는 자동제어 수단에 의해 모든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판덱스 사 또는 메탈릭사 등을 공급해 커버링사를 생산할 수 있으며, 특히 실의 종류와 굵기에 관계없이 2~3합 또는 그 이상의 합수로 다양한 종류의 복합사 및 실의 형태가 다양한 팬시사를 생산할 수 있는 관계로 한 대의 연사기에서 3종류의 다양한 실의 생산이 가능한 연사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신축성을 갖는 스판사와 복합사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사기에 있어서,
    상기 연사기는 상측에 가로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전/후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스판덱스얀롤러와;
    상기 스판덱스 얀 롤러의 사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축선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 스판덱스얀가이드와;
    상기 스판덱스얀롤러의 하측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전/후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코어얀롤러와;
    상기 코어얀롤러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롤러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코어얀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제 1고무롤러와;
    상기 코어얀롤러의 하측에 설치되며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제 1브래킷에 설치되는 제 2고무롤러와;
    상기 브래킷의 하측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사공급롤러와;
    상기 부사공급롤러의 하측에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공급되는 실을 안내하는 얀가이드와;
    상기 얀가이드의 하측에 설치되며 평판형의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한 상부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의 가로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하 관통된 축공이 형성된 스핀들축을 갖는 상부스핀들과;
    상기 상부스핀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수용하여 실의 형태를 형성하는 메인스핀들과;
    상기 메인스핀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하측에 형성된 하부 지지판의 가로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하 관통된 축공이 형성된 스핀들 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스핀들과;
    상기 하부스핀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하측에 설치되며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제 2브래킷에 설치되는 제 3고무롤러와;
    상기 제 3고무롤러의 하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오버피더롤러와;
    상기 오버피더롤러의 하측에서 가로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실을 안내하는 텐션가이드와;
    상기 텐션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실을 권취하며 가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드럼과;
    상기 드럼과 마찰되며 상측으로부터 공급된 실을 권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취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스핀들은 상기 스핀들축에 접하여 상기 스핀들축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벨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축은 상기 스핀들축의 일 측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에 의한 스핀들축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핀들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벨트의 후면과 접하여 상기 벨트를 긴장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긴장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기.
KR2020000005237U 2000-02-25 2000-02-25 복합 연사기 KR20019173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303A KR20010084340A (ko) 2000-02-25 2000-02-25 복합 연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303A Division KR20010084340A (ko) 2000-02-25 2000-02-25 복합 연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733Y1 true KR200191733Y1 (ko) 2000-08-16

Family

ID=196499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303A KR20010084340A (ko) 2000-02-25 2000-02-25 복합 연사기
KR2020000005237U KR200191733Y1 (ko) 2000-02-25 2000-02-25 복합 연사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303A KR20010084340A (ko) 2000-02-25 2000-02-25 복합 연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8434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340A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7583C (en) Creel with twisting units
CN211338283U (zh) 一种纺织用捻线机
JPS6028936B2 (ja) 糸の製造方法
JPH09105031A (ja) 合撚システム
CN201031098Y (zh) 新型摇绞纱机导纱装置
KR20010020096A (ko) 기모사의 가공방법 및 그 장치
KR200191733Y1 (ko) 복합 연사기
JP2000199134A (ja) 複数糸混合紡出装置
CN214458553U (zh) 一种三罗拉细支花式捻线机
CN215328531U (zh) 用于捻线机中的具有导纱槽的罗拉轴
CN114808215A (zh) 一种捻线机的导辊装置
IE52995B1 (en) Spinning-twisting machine
US4112667A (en) Apparatus and process suitable for twist-drawing a yarn
TW461926B (en) Strand guide device for braiding machine, particularly rotational braiding machine
CN2061179U (zh) 包芯带编织机
KR101213182B1 (ko) 양말 편직기의 합연장치 및 양말 편직 시스템
CN210945898U (zh) 玻璃纤维原丝并捻机超喂机构
KR200198604Y1 (ko) 실(絲) 공급장치
KR100515953B1 (ko) 스판특성을 가지는 팬시사 및 그 제조방법
CN112981649B (zh) 一种改进型三罗拉细支花式捻线机
CN214458521U (zh) 用于捻线机中的改进型纱管制动装置
CN112725990B (zh) 一种用于扁丝纬线织造聚酯网的取纬退捻系统
CN215404731U (zh) 多根纺织纱线合股加捻一体化设备
KR100345908B1 (ko) 실(絲) 트위스팅 방지기
CN214458540U (zh) 用于捻线机中的改进型导纱钩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