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516A - 연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516A
KR20010005516A KR1019997008574A KR19997008574A KR20010005516A KR 20010005516 A KR20010005516 A KR 20010005516A KR 1019997008574 A KR1019997008574 A KR 1019997008574A KR 19997008574 A KR19997008574 A KR 19997008574A KR 20010005516 A KR20010005516 A KR 20010005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supply
conductive
supply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3269B1 (ko
Inventor
파우저에드빈
클레프너스테판
프랭크커트
브라운한스-피터
뷔저볼프강
후프나겔클라우스-디터
스트롤빌리
로제요헨
힐러볼프강
아일러에리히
뷰릭프란티젝
모욱카야로슬라브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0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05Arrangement of electrical wires and connections, e.g. wire harness, sockets, plugs; Arrangement of electronic control circuits in or on fuel injec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8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specially for low-pressure fuel-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462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462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 F02M69/465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of fuel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31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hydraulic pressure fluctuations damping elements
    • F02M2200/31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hydraulic pressure fluctuations damping elements for damping fuel pressure fluctu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54Closed circulating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6035Combined with fluid receiver
    • Y10T137/86043Reserve or surg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하우징(10)을 포함하는 절연상태의 집합체(압력 제어기(8))가 있는 내연 기관용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하우징(10)이 전기 연결선(40)을 통해 일정한 전위(41, 44)에 연결된다. 따라서 집합체의 잠재 장해가 고정 충전(stationary charge)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료 공급 장치는 특히 연료를 차량의 내연기관으로 이송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Description

연료 공급 장치{Fuel supply device}
내연 기관, 특히 차량의 연료 공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장치로 연결되어 있다. 연료 공급 장치의 경우 연료 펌프가 연료통으로부터 여러 장치를 거쳐 내연기관의 연소실로 연료를 운반한다. 예컨대 장치에는 압력제어기, 연료 저장통, 압력 완충기, 연료필터 또는 연료 분사 장치가 있다.
예컨대 압력제어기와 같은 장치는 그 자체 내지는 그 장치의 한 부품이 전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전도성 부품 내지는 장치는 예컨대 비전도성 합성수지로 구성된 바디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설치된다.
독일 공개문서 DE 44 02 224 A1에 이러한 종류의 장치가 연료펌프 흐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압력 제어기가 합성수지로 구성된 바디에 설치된다. 압력제어기는 박판으로 구성된 하우징부를 가진다. 이 하우징부는 전도성 부품이며, 이 부품은 일정한 전위를 갖는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전도성 부품이 있는 장치의 경우, 전하분리에 의해 전도성 부품의 정전기적인 충전이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전도성 부품이 충전될 지라도 아무런 문제, 특히 아무런 기능장해를 유발하지 않으므로 전도성 부품의 정전기 충전은 일반적으로 무시하거나 관심을 두지 않는다. 연료가 예컨대 압력제어기의 경우에서와 같이 좁은 공간을 빠른 속도로 흘러가는 장치가 있으므로 전도성 부품의 정전기 충전이 매우 높아질 수 있다.
드문 경우이기는 하지만 연료 공급 장치의 경우, 불분명한 이유로 화재 내지는 폭발이 발생한다. 본 특허 출원인은 원인 불명의 이러한 화재의 일정 부분은 연료 공급 장치 절연 부품의 정전기 충전에 기인한다는 견해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14는 다양한 실시예 내지는 다양한 세부 도면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 장치는 전도성 부품의 정전기 충전을 방지하여 그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는 위험 요소를 제거한다는 장점이 있다.
부 청구항의 조치를 통해 주 청구항의 연료 공급 장치를 유용하게 확장 및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실시예를 도면에 간단하게 나타냈으며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 장치는 내연기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내연기관으로써 예컨대 오토 기관을 들 수 있다. 연료의 예를 들자면 휘발유, 등유가 있으며 휘발유가 특히 가연성이 높기 때문에 휘발유의 경우 최소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특히 유용하게 선택된 제 1 실시예이다.
도 1에 연료통(2)을 도시하였다. 연료통(2)의 상부면에는 개구(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4)는 합성수지 뚜껑(6)으로 폐쇄된다. 뚜껑(6)은 연료통(2) 상부면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조여진다. 복잡한 뚜껑(6)을 경제적으로, 또한 가볍게 하기 위해, 합성수지 뚜껑(6)을 사용한다. 뚜껑(6)에 압력제어기(8)가 기능과 형상에 부합하도록 설치된다. 압력제어기(8)는 하우징(10)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10)은 제 1 하우징 부품(11)과 제 2 하우징 부품(12)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에 멤브란 유니트(14)가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멤브란 유니트(14)는 멤브란(15), 제 1 플레이트(16), 제 2 플레이트(17) 및 차단바디(18)를 가진다. 플레이트(16, 17)는 멤브란(15)의 중간 영역에서 멤브란(15)과 견고하게 연결된다. 그의 외부영역, 제 1 하우징 부품(11)과 제 2 하우징 부품(12) 사이에 멤브란(15)이 설치된다. 제 1 플레이트(16)에 차단바디(18)가 유지되며, 차단바디는 예컨대 연삭된 구 이다. 멤브란(15)은 하나 이상의 특히 유연한 합성수지판 층으로 구성된다.
멤브란 유니트(14)의 멤브란(15)에 의해 제 1 공간(21)과 제 2 공간(22)이 분리된다. 제 1 공간(21)은 실질적으로 제 1 하우징 부품(11)에, 제 2 공간(22)은 제 2 하우징부(12)에 있다.
뚜껑(6)의 내부에 하나의 통로(24)와 하나의 리턴통로(26)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로(24)는 유입측(24a)과 진행측(24b)을 가진다. 제 1 하우징 부품(11)은 그의 전면으로 중앙리세스(27)가 있는 바닥부를 가진다. 측면으로 치우쳐서 하우징 부품(11)의 바닥부에 관통로(28)가 있다. 뚜껑(6)에 중앙 리세스(27)을 통해 돌출하는 지지대가 구성된다. 멤브란 유니트(14)의 차단 바디(18)를 향하는 합성수지 뚜껑(6)을 통해 밸브시트(29)로부터 연료통(2)으로 진행한다.
비전도성 뚜껑(6)으로 인해 압력제어기(8)의 전도성 하우징(10)은 일정한 전위를 가지는 전도성 바디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하지만 뚜껑(6)을 전도성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비전도성 중간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뚜껑(6)을 차량의 기타 전도성 부품과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경우 뚜껑(6)의 형태로 생성되는 절연 바디(30)가 구성된다.
연료통(2) 내부에 설치된 연료 펌프(32)는 연료통(2)에 있는 연료저장실(34)로부터 연료를 흡입하여 리턴 배관(36), 유입측(24a)을 통해 통로(24)로 운송한다. 통로(24)를 통해 연료는 진행측(24b)에 도달한 다음 예컨대 도 1에 나타내지 않은 분사밸브에 도달한다. 통로(24)를 통해 연료는 관통로(28)를 통해 제 1 공간(21)에 도달한다. 제 1 공간(21)의 압력이 일정한 개구 압력보다 작은 경우 차단 바디(18)가 밸브시트(29)에 접하게 되며 제 1 공간(21)은 리턴 통로(26)에 대해 폐쇄된다. 제 1 공간(21)의 압력이 일정한 개구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멤브란 유니트(14)의 차단 바디(18)가 밸브 시트(29)로부터 분리되며 과잉연료는 통로(24)로부터 제 1 공간(21) 및 밸브시트(29)와 차단바디(18) 사이의 틈을 통과한 다음 리턴 통로(26)를 통해 연료통(2)에 밸브시트(29)로 차단바디(18)가 이동한다. 폐쇄스프링(38) 대신 또는 폐쇄스프링(38)에 추가로, 제 2 공간(22)에 작용하는 압력은 밸브시트(29)에 차단바디(18)를 움직이는 폐쇄력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압력보정을 목적으로 하우징 부품(12) 전면에 하나의 개구가 있다.
합성수지 뚜껑(6) 내지는 절연 바디(30)를 통해 연료가 흐르면, 전하가 분리되며 그로 인해 예컨대 하우징(10)에 전하충전이 발생한다. 연료가 밸브 시트(29)와 밸브 바디(18) 사이의 좁은 공간을 제 1 공간(21)으로부터 리턴통로(26)로 고속으로 통과하므로 전하 분리의 위험 및 그로 인한 정전기 충전이 증가된다. 하우징(10)의 정전기 충전이 임계값, 예컨대 수천 볼트에 이르면, 전기적 플래시 오버가 발생되며, 이 때 정전기 전하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제거된다. 하우징(10)이 금속으로 구성되어 전기적으로 양호한 전도성을 가지는 부품이므로 전체 하우징(10)에 생성된 전하는, 전체 하우징(10)의 전하가 플래시 오버 지점에 흐르기 때문에, 집중적으로 가장 짧은 시간에 방전된다.
따라서, 전기적 플래시 오버가 연료-공기-혼합기가 점화되는 크기값에 도달할 위험이 있다. 연료 공급 장치 영역의 연료통(12) 내부 또는 외부에서 일정량의 가연성 혼합기가 항상 완벽하게 제거되지는 않는다.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설치된 하우징(10)의 위험한 정전기 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0)을 전기적 연결선(40)을 통해, 규정된 전위(41)와 연결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예컨대 전도체(44)가 일정한 전위(41)를 나타낸다.
전도체(44)는 연료펌프(32)에 전류를 공급한다. 연료펌프(32)는 전도체(44)와 제 2 전도체(44')를 통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전원과 연결된다. 전도체(44)는 예컨대 음극, 제 2 전도체(44')는 예컨대 양극이다. 전도체(44) 및 그에 따른 음극은 예컨대 연료 공급 장치가 설치된 예컨대 차량에 접지된다. 전도체(44)가 양극, 제 2 전도체(44')가 양극일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양극 또는 음극을 차량에 접지할 수 있다. 전도체 하우징(10)의 정전기 충전을 다른 곳으로 유도하기 위해 음극(44) 또는 양극(44')에 연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전기 충전 유도에 있어 전도체(44) 또는 제 2 전도체(44')가 차량에 연결되어 있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하지만 하우징(10)을 전기 연결선(40)을 통해 특히 두 전도체(44)의 음극과 연결할 것을 제안하며 이 경우 일반적으로 음극이 차량에 접지되므로 차량 접지는 일정한 전위(41)를 나타내며 여기에 금속 하우징(10)이 연결된다.
전기 연결선(40)은 예컨대 단순하며, 비교적 가는 절연 와이어 로프 내지는 절연재로 입혀진 유연하고 가는 금속철사(42)이다. 전도체(44 및 44')는 플러그(46)로 이어지며, 플러그는 연료펌프(32) 하우징에 설치된 대응 플러그에 삽입된다. 플러그(46) 내부에 전기 연결선(40)의 철사(42)가 전도체(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연결선(40) 철사(42)는 플러그(46)의 도체(44, 44')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두 개의 전도체(44, 44')는 예컨대 2심 케이블로 대체 할 수도 있다.
전기 연결선(40)은 하우징(10)의 접점연결(50)을 통해 접점지점에 연결된다. 접점연결(50)은 예컨대 전기 연결선(40) 철사 종단의 절연체가 제거된 부분을 하우징(10) 또는 하우징(10)에 돌출한 접합판에 용접 또는 납땜하여 구성 할 수 있다. 연료 공급 장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접점 연결선(50)을 전기 연결선(40)이 압력제어기(8)의 하우징(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다음 도에 다양한 접점연결(50)의 개별적인 것들을 나타냈다.
도 2는 접점연결(50) 영역을 개별적으로 나타냈다.
동일하거나 동일 기능의 부품은 모든 도면에서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별도로 언급 내지는 도면에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경우, 어느 한 도에서 설명하고 나타낸 사항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된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여러가지 실시예의 개별사항을 상호 조합할 수 있다.
도 2는 압력제어기(8) 하우징(10)의 제 2 하우징 부품(12)이다. 펀치로 구멍을 뚫어 하우징 부품(12)에 접합판(52)을 구성한다. 하우징(10) 방향의 철사(42) 종단에 플러그(54)가 설치된다. 플러그(54)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제조에 사용되는 플러그와 같은,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접합판(52)은 플러그(54)가 접합판(5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접합판(52)은 하우징(10)의 하우징 부품(12) 원통형 표면에 있다.
도 3은 하우징(10)의 하우징 부품(12) 전면에 접합판(52)이 있는 실시예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접합판(52)에 하나의 구멍(56)이 있다. 구멍(56)은 플러그(54)의 블록부와 연동하여 플러그(54)가 하우징(1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도 4a와 4b는 전기적 연결(40)과 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하우징(10) 사이의 접속연결(50)의 변형 형태이다.
도 4b는 절연바디(30)의 부분 영역이다. 이 절연바디(30)에 전면 쪽으로 향하는 오목부(58)에 압력제어기(8)가 설치된다.
절연바디(30)에 긴 홈이 있으며, 그 홈에 압력 제어기(80)를 절연바디(30)에 고정시키는 클램프(60)가 설치된다. 클램프(60)는 용수철 강, 따라서 전도성 소재로 구성되며 두 개의 다리와 두 개의 다리를 연결하는 활 형상의 부분이 있다. 도 4a와 4b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 절연판(52)은 단순한 판 띠로 구성된다. 접합판(52)은 클램프(60)의 활형상부에 용접 또는 납땜된다. 그림 4b는 플러그(54)에 조립하기 이전의 접합판(52)이며 도 4a는 플러그(54)를 접합판(52)에 삽입한 후의 도 4b의 IVa 단면이다. 철사(42)는 하우징(10)과의 전기 접점에 있는 클램프(60) 위에 있다.
도 5a와 5b는 특히 유용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5a와 5b 실시예와 도 4a와 4b에 나타난 실시예의 차이는 도 5a와 5b 실시예의 경우 클램프(60)의 접합판(52)을 생략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5a와 5b 실시예에서 플러그(54)가 클램프(60)를 탄성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플러그(54)는 제 1 다리와 제 2다리를 가진다. 플러그(54)의 다리는 클램프(60)의 두 다리 사이 활 형상 위로 삽입할 수 있다. 플러그(54)의 두 다리 사이에 클램프(60)가 탄성적으로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압력제어기(8) 내지는 클램프(60) 영역에 전기 연결(40)을 삽입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특히 유용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6 실시예의 경우 개구(39)는 하우징 부품(12)을 만드는 판을 구부림으로써 공간(22) 내부 방향으로 생성된다. 개구(39)에 플러그(54)를 눌러 삽입한다. 제 2 하우징 부품(12)의 판을 구부림으로써 개구(30)에 하나의 형상이 생성되며, 지지고리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플러그(54)를 개구(39)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는 있으나 개구(39)로부터 플러그(54)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플러그(54)에 방사상으로 외부로 팽창하는 접합판(55)에 의해 플러그(54)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러그(54)를 개구 삽입할 때 탄성 수축한 뒤 다시 원 상태를 회복하여 연결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한다.
도 7은 특히 유용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의 실시에의 경우 오목부(58)에 주위를 빙 도는 홈(62)이 설치된다. 홈(62)에 확장링(64)이 설치된다. 확장링(64)은 두 하우징 부품(11, 12)의 가장자리를 구부림으로써 하우징(10)에 방사상으로 돌출하여 빙 둘러 나있는 절연바디(30)의 오목부(58) 돌기에 대해 지지시켜준다.
혹(65)과 돌기(66) 사이에 축 방향의 탄성링(68)이 설치된다. 링(68)은 조립 이전에는 구형상의 판 스프링이다.
확장링(64)과 돌기(66) 사이의 조립공간은 탄성링(68)을 조립한 후에 대략 편평하게 눌릴 정도의 크기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압력제어기(8)가 바디(30)에 흔들림 없이 조립되며 따라서 하우징(10)과 탄성링(68) 사이에 양호한 전기 연결이 이루어진다. 압력 제어기(80)를 향하는 철사(42)의 종단은 링(68)과 예컨대 용접 또는 점용접으로 연결된다. 도 7의 실시예의 경우 전기적 연결선(40)은 압력제어기(8)를 변형시키지 않고서 압력제어기(8)에 연결된다.
도 8은 특히 유용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의 실시예의 경우 압력제어기(8)를 향하는 철사(42) 종단에 조임 스프링(70)이 설치된다. 조임 스프링(70)은 끝에 철사(42)가 삽입된다. 철사(42)는 일반적인 차량 구조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프링 끝에 조여진다. 전도성 탄성 평탄재로 가공된 조임 스프링(70)은 고리 형상이며 바디(30)의 오목부(58) 벽면과 하우징 부품(12) 사이에 설치된다. 오목부(58) 벽면에 홀(72)이 있다. 조임 스프링(70)은 홀(72)에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진다. 따라서 조임 스프링(70)을 하우징(10)과 바디(30)사이 주변공간에 삽입할 때 고정장치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조임 스프링(70)이 빠져나가지 않는다. 이로써 전기적인 연결선(40)으로 인해 압력제어기(8)를 변경시키지 않고서도 전기적 연결선(40)과 압력제어기(8) 사이에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9는 유용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8과 비교하여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조임 스프링(70) (도 8)이 조임 스프링(74) (도 9)으로 대체된다. 조임 스프링(74)은 조임 스프링(7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적 연결선(40)의 철사(42)와 연결될 수 있다. 조임 스프링(74)은 얇고, 탄성의 판재로 가공된다. 조임 스프링(74)은 링(74a)을 구성하는 영역을 가진다. 링(74a)에 접합판(74b)이 구성된다. 조임 스프링(74)을 하우징 부품(12)에 조립하기 전에 접합판(74b)은 방사상으로 내부로 돌출한다. 접합판(74b)은 조임 스프링(74)을 하우징 부품(12)에 설치한 후 접합판이 약 10°∼180°까지 굽혀질 수 있을 정도로 내부로 돌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임 스프링(74)이 하우징(10)과 고착되며 따라서 조임(74) 스프링을 가볍게 설치할 수는 있지만 조임 스프링(74)이 하우징 부품(12)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유용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은 조임 스프링(74')이 있는 실시예이며, 조임 스프링(74') (도10)은 조임 스프링(74) (도9)과 거의 동일하다. 조임 스프링(74')의 접합판(74b)은 철사(42)에 설치된 플러그(54)에 맞을 정도의 너비와 두께를 가진다. 조임 스프링(74')의 접합판(74b) 중 하나는 외부로 상당히 굽어지며 플러그(54)는 이렇게 많이 굽어진 접합판(74b)에 설치된다.
도 11은 유용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 경우 조임 스프링(74″)을 통해 전기적 연결선(40) (도 1)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조임 스프링(74″)은 탄성 평탄재로 구성되며 장력이 없는 상태에서 내경이 하우징 부품(12)의 외경보다 작은 원을 구성한다. 조임 스프링(74″)은 기울기가 작은 나사형상이며 두 개의 다리(74c 및 74d)를 가진다. 두 개의 다리(74c, 74d)로 눌러 줌으로써 조임 스프링(74″)의 내경은 탄성적으로 팽창하며 따라서 조임 스프링(74″)은 하우징 부품(12)의 원통형 부위 위로 씌울 수 있다.
두 다리(74c, 74d)를 놓아주면 조임 스프링(74″)은 방사상으로 내부로 움직이며 하우징 부품(12)의 원통 영역에 고착된다.
다리(74c)는 플러그(54) (도10)와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유용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10)에 설치된 관 띠고리를 통해 전지 연결선(40)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관 띠고리는 평탄소재로 구성되며, 이 평탄 소재의 한 끝은, 이 끝이 플러그(54)(도 10)와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가공된다. 관 띠고리는 압력 제어기(8)의 하우징 부품(12)에 아무런 문제없이 고정된다.
도 13은 유용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 실시예의 경우 전도 부품을 감싸는 장치가 압력제어기(8)를 구성한다. 도 13 실시예의 경우 전기 절연 바디(30), 하우징(10), 멤브란 유니트(14) 및 바디(30)에 설치된 리미트(29')가 저장실(8')의 실질적 부품이다. 저장실(8')이 통로(24)의 압력이 변할 때 연료를 다소간 수용 내지는 방출하는 정도에 따라, 저장실(8')은 통로(24)에 미치는 압력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거나, 또는 저장실(8')은 압력이 증가하면 다량의 연료를 수용한 다음 압력이 내려가면 다시 방출함으로써 저장실(8')이 마치 연료 저장실과 같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도 13의 실시예의 경우 밸브시트(29) (도1)가 없다. 그 대신 멤브란 유니트(14)가 바디(30)에 설치된 리미트(29')에 접하며, 도 1의 리턴 통로(26)가 없다.
도 13 실시예의 경우 전기 연결선(40)이 접지(76)에 직접, 예컨대 차량 차체에 떨어진다. 이 경우 차량접지(76)는 일정한 전위(41)를 가지며, 거기에 저장실(8')의 전도성 하우징이 연결된다.
도 13의 저장실(8') 역시 도 1의 압력 제어기(8)와 마찬가지로 연료 펌프(32)로 유입되는 전도체(44 또는 44')(도 1)와 연결할 수 있다.
도 14는 유용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압력제어기(8)가 뚜껑(6)(도1)에 존재하지 않으며, 압력 제어기(8)는 합성수지 연료 분배관(78)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료 분배관(78)을 통해 진행하는 통로(24)의 진행측(24b)에 분사 밸브(80)가 연결된다. 내연기관 실린더 숫자에 따라 연료 분배관(78)은 통로(24)로부터 분기하는 다수의 진행측(24b)을 가지며, 여기에 각 분사 밸브가 연결되고, 도면에는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도록 하나의 분사 밸브(80)만 도시하였다. 모든 분사 밸브는 동일한 형태로 동일하게 연결된다.
분사 밸브(80)는 전도성 소재, 특히 금속재질의 하우징 부품(82)을 가진다. 하우징 부품(82)에 개구(84)가 있으며 연료 분배관(78) 통로(24) 연료가 밸브 바디(86)로 조절되어 예컨대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내연기관의 합성수지 관으로부터 고속으로 흘러간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합성수지 연료 분배관(78)이 전기 절연바디(30)를 구성한다. 흡입관이 일반적으로 그러하듯이 비 전도성 소재, 예컨대 합성수지인 경우 흡입관을 통해서도 역시 분사밸브(80)의 정전기 충전을 차단할 수 없다.
하우징 부품(82)과 밸브 바디(86) 사이에 연료가 고속으로 흐르므로 만약 하우징 부품(82)이 일정한 전위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하우징 부품(82)에 정전기 충전을 발생하는 전하분리가 발생한다. 하우징 부품(82)의 접전기 충전을 막기 위해 하우징 부품(82)을 전기 연결선(40')을 통해 일정한 전위(41)와 연결한다. 전기 연결선(40')의 철사(42')는 예컨대 케이블(88)의 철사와 연결되며, 이 철사를 통해 분사밸브(80)는 도에 나타내지 않는 조절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블(88) 철사의 하나가 일정한 전위(41)를 구성한다. 전기 연결선(40')의 철사(42')가 연결된, 케이블(88)의 동일한 전도성 철사에 전기 연결선(40)의 철사(42)를 연결할 수도 있다. 케이블(88)의 어느 철사가 일정한 전위(41)로 사용되는지는 이론적으로 무관하다. 케이블(88)은 플러그(90)를 통해 분사 밸브(80)에 연결된다. 낭비없이 케이블(88)과 함께 철사(42 및 42')를 플러그(90)에 연결할 수 있다. 추가적인 장점으로 플러그(90)가 정전기 충전으로부터 보호되는 부품영역에 존재하므로 철사(42, 42')에 대해 짧은 거리로서도 충분하다는 것이다.
전기 연결선(40')의 철사(42')는 접촉연결선(50')을 통해 분사 밸브(80)의 전도성 하우징 부품(82)과 연결된다. 접촉 연결선(50')은 다수의 도에 나타낸 접촉 연결선(50)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압력 제어기(도1, 14), 저장실(8')(도 13), 분사밸브(80)(도 14) 및 상황에 따라서 예컨대 연료 필터와 같은 연료 공급 장치의 기타 구성 요소는 연료 공급 장치의 연결장치이며, 이 장치는 하나의 전도성 부품 또는 예컨대 하우징 부품(도1, 13, 14) 또는 하우징 부품(82)(도 14)과 같은 다수의 전도성 부품을 가지며, 이러한 전도성 부품은 예컨대 뚜껑(6)(도1, 13) 내지는 연료 분배관(78)(도 14) 또는 비 전도성 소재로 구성되는 기타 절연체와 높은 절연체(30)로 인해, 일정한 전위(41)를 가질 수 있는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압력 제어기(8)와 저장실(8')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연결 장치이며 전기적 접촉점이 필요하지 않다. 전기 연결선(40)은 전도성 소재로 구성되는 압력 제어기98) 내지는 저장실(8')의 부품을 일정 전위(41)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압력 제어기(8) 내지는 저장실(8') 내지는 분사 밸브(80)의 전도성 부품을 일정한 전위(41)와 연결하기 위해 전기 연결선(40)을 예컨대 절연체(30)에, 절연체(30)를 전도성으로 만들 수 있는 특수 소재를 첨가하여 만들 수 있다. 또한 전도성 하우징(10) 내지는 전도성 하우징 부품(82) 및 일정한 전위(41)를 나타내는 전기도체 사이에, 절연체(30) 위의 전도성 표면을 통해 전기적 연결(40)이 구성되도록 절연체(30)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전도성 재질로 입힐 수 있다.

Claims (12)

  1. 집합체(8, 8', 80)가 전기 절연 구조(6, 30, 78)에 포함된 전도성 부품(10, 11, 12, 82)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절연 구조(6, 30, 78)는 전도성 부품(10, 11, 12, 82)을 전도체의 전위로부터 분리하며, 연료통으로부터 집합체(8, 8', 80)를 통해 연료를 운반하는 연료 펌프를 갖는 연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전도성 부품(10, 11, 12, 82)이 전기 연결선(40, 40', 42, 42')을 통해 전도체(44, 44', 76, 88)의 전위(4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품(10, 11, 12, 82)이 집합체(8, 8', 80)의 하우징 부품(11, 12, 82)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가 압력 제어기(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가 저장실(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5. 제 1 항 내지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8, 8', 80)가 연료 저장실(34)을 수용하는 연료통(2)의 비전도성 소재로 된 벽면부(6)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6)가 연료통(2)의 합성수지 뚜껑(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7. 제 1 항 내지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8, 8', 80)가 비전도성 소재로 된 연료분배관(78)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8.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 공급 장치가 차량의 하체에 조립되며, 차체는 전도성 부품(10, 11, 12, 82)이 전기 연결선(40, 40')을 통해 연결된 전도체(7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9.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 펌프(32)가 전기 접점(44, 44')을 가지며, 이때 전기 접점(44, 44')은 전기 연결선(40, 40')을 통해 전도성 부품(10, 11, 12, 82)이 연결된 전도체(44, 44')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10.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 공급 장치가 하나 이상의 분사 밸브(80, 82)를 포함하며, 이 때 분사 밸브(80, 82)는, 전기 연결선(40, 40')을 통해 전도성 부품(10, 11, 12, 82)이 연결된 전도체를 구성하는 전기 접점(9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11.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 연결 장치(52, 54) 및 전기 연결선(40, 40', 42, 42')에 플러그 연결장치(52, 54)와 연결되는 대응 플러그 연결경치(54)가 전도성 부품(10, 11, 12, 82)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12.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8, 8', 80)가 연료 펌프(32) 흐름 방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KR1019997008574A 1997-03-22 1998-01-09 연료 공급 장치 KR100633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12155.1 1997-03-22
DE1997112155 DE19712155A1 (de) 1997-03-22 1997-03-22 Kraftstoffversorgungsanlage
PCT/DE1998/000056 WO1998042973A1 (de) 1997-03-22 1998-01-09 Kraftstoffversorgungs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516A true KR20010005516A (ko) 2001-01-15
KR100633269B1 KR100633269B1 (ko) 2006-10-13

Family

ID=782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574A KR100633269B1 (ko) 1997-03-22 1998-01-09 연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435163B1 (ko)
EP (2) EP1260698B1 (ko)
JP (1) JP4108764B2 (ko)
KR (1) KR100633269B1 (ko)
BR (1) BR9808623A (ko)
DE (3) DE19712155A1 (ko)
ES (2) ES2274937T3 (ko)
WO (1) WO19980429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2155A1 (de) * 1997-03-22 1998-09-24 Bosch Gmbh Robert Kraftstoffversorgungsanlage
DE19724165A1 (de) * 1997-06-07 1998-12-10 Bosch Gmbh Robert Befestigungsanordnung zum Halten eines Aggregats an einem Körper einer Kraftstoffversorgungsanlage
DE19838555A1 (de) 1997-08-30 1999-03-04 Mannesmann Vdo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n Kraftstoffbehälter
ES2198624T3 (es) * 1997-08-30 2004-0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un deposito de combustible.
DE19813204A1 (de) * 1998-03-25 1999-09-30 Bosch Gmbh Robert Flansch eines Kraftstoff-Fördermoduls und Kraftstoff-Fördermodul
DE19915258C1 (de) * 1999-04-03 2000-12-07 Bosch Gmbh Robert Gehäuse für eine mit einem Elektromotor angetriebene Förderpumpe
DE10009592A1 (de) 2000-02-29 2001-08-30 Bosch Gmbh Robert Druckventil
FR2816890B1 (fr) * 2000-11-20 2003-05-16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rvoir a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US6679227B2 (en) 2001-11-08 2004-01-20 Delphi Technologies, Inc. Grounded fuel delivery module for fuel system
DE10213696C1 (de) * 2002-03-27 2003-10-30 Pierburg Gmbh Elektromagnetische Stellvorrichtung
US6877373B2 (en) * 2002-05-31 2005-04-12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Electrostatic charge control for in-tank modules
US7591178B2 (en) * 2002-06-05 2009-09-22 Delphi Technologies, Inc. Grounded wiper assembly for fuel sensor
ITBO20020358A1 (it) * 2002-06-07 2003-12-09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Valvola a farfalla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con dissipatore di cariche elettrostatiche e relativo attuatore
US6776185B2 (en) 2002-07-03 2004-08-17 Delphi Technologies, Inc. Grounded jet pump assembly for fuel system
US6886541B2 (en) * 2003-02-25 2005-05-0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Fuel pump module and method of assembly
JP3822864B2 (ja) * 2003-03-24 2006-09-20 八千代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アース構造
JP2005214122A (ja) * 2004-01-30 2005-08-11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US20060042379A1 (en) * 2004-08-30 2006-03-02 Ireland Hugh W Sealed fuel level sensor
US7555946B2 (en) * 2004-08-30 2009-07-07 Delphi Technologies, Inc. Sealed fuel level sensors
US7421978B2 (en) * 2004-10-18 2008-09-09 Price Roger W Portable washing apparatus for animals
US7124748B2 (en) * 2004-12-16 2006-10-2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uel delivery assembly for dual lobe fuel tank
US7527042B2 (en) * 2005-04-05 2009-05-05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Electrostatic charge control for in-tank fuel module components
US7467549B2 (en) * 2005-04-05 2008-12-2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Electrostatic charge control for in-tank fuel module components
US7140247B2 (en) * 2005-04-05 2006-11-28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Electrostatic charge control for in-tank fuel module components
JP2007205316A (ja) * 2006-02-06 2007-08-16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JP4875398B2 (ja) * 2006-04-21 2012-02-15 株式会社ケーヒン 燃料供給モジュール
DE102006056886A1 (de) * 2006-12-01 2008-06-05 Siemens Ag Einrichtung zur Ableitung von elektrostatischer Aufladung
DE102007045178A1 (de) * 2007-09-21 2009-04-02 Robert Bosch Gmbh Kraftstofffördermodul
DE102007054857A1 (de) * 2007-11-16 2009-05-2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Kraftstofffördereinheit
US7677225B2 (en) * 2008-02-04 2010-03-16 Kohler Co. Fuel delivery system for engine
US9261062B2 (en) * 2012-05-03 2016-02-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queeze clip ground strap
WO2013175307A2 (en) * 2012-05-22 2013-11-28 Robert Bosch Gmbh Fuel supply system
US9206777B2 (en) 2012-10-26 2015-12-08 Edelbrock, Llc Fuel system conversions for carburetor to electronic fuel injection systems,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US10851719B2 (en) 2014-05-29 2020-12-01 Cummins Power Generation Ip, Inc. Systems for supplying fuel to fuel-injected engines in gensets
US10336184B2 (en) * 2017-08-14 2019-07-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uel storage assembly
US10920722B2 (en) * 2018-03-15 2021-02-16 Walbro Llc Wire with electrostatically conductive insulator
US11485221B2 (en) * 2021-03-01 2022-11-01 Hyster-Yale Group, Inc. Fuel-supply assembly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2022176520A (ja) * 2021-05-17 2022-11-30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US20230068333A1 (en) * 2021-09-02 2023-03-02 Richard Mellick Zock Modified gas tank with built-in fuel pump with internal regulator adapted for utility, off-road, and all-terrain vehicles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9934A (en) * 1939-08-23 1943-05-25 Carter Carburetor Corp Electric fuel pump
US3289200A (en) * 1965-03-02 1966-11-29 Amp Inc Housing for indicating lamp or other electrical components
US4620512A (en) * 1982-09-30 1986-11-04 Allied Corporation Glow plug having a conductive film heater
US5076242A (en) * 1990-07-18 1991-12-31 Illinois Tool Works Inc. Integral fuel line
US5076920B2 (en) * 1990-08-30 1998-05-05 Allied Signal Inc Electrostatically dissipative fuel filter
US5865218A (en) * 1992-04-14 1999-02-02 Itt Corporation Multi-layer fuel and vapor tube
DE4242242C2 (de) * 1992-12-15 2003-04-30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Versorgen d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mit in einem Vorratstank vorhandenem Kraftstoff
JPH07192791A (ja) * 1993-12-28 1995-07-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線接続端子
DE4402224A1 (de) 1994-01-26 1995-07-2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Versorgen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Kraftstoff aus einem Vorratsbehälter
JP3834797B2 (ja) * 1994-12-28 2006-10-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KR100300739B1 (ko) * 1995-02-03 2002-07-03 오카메 히로무 연료공급장치
JP2839861B2 (ja) * 1995-07-18 1998-12-16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DE19530526C2 (de) * 1995-08-19 1997-12-18 Knecht Filterwerke Gmbh Kraftstoffilter mit einem elektrisch leitfähigen Gehäuse für insbesondere Kraftfahrzeuge
US5598824A (en) * 1996-04-15 1997-02-04 Ford Motor Company Fuel delivery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9709780A1 (de) * 1997-03-10 1998-09-1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Kraftstofftank
DE19712155A1 (de) * 1997-03-22 1998-09-24 Bosch Gmbh Robert Kraftstoffversorgungsanlage
DE19838555A1 (de) * 1997-08-30 1999-03-04 Mannesmann Vdo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n Kraftstoff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8364A1 (de) 2000-01-05
JP2001517283A (ja) 2001-10-02
BR9808623A (pt) 2000-05-16
ES2209114T3 (es) 2004-06-16
US6435163B1 (en) 2002-08-20
US6802301B2 (en) 2004-10-12
JP4108764B2 (ja) 2008-06-25
EP0968364B1 (de) 2003-09-17
WO1998042973A1 (de) 1998-10-01
ES2274937T3 (es) 2007-06-01
EP1260698B1 (de) 2006-10-18
DE19712155A1 (de) 1998-09-24
KR100633269B1 (ko) 2006-10-13
US20020124833A1 (en) 2002-09-12
DE59809647D1 (de) 2003-10-23
DE59813776D1 (de) 2006-11-30
EP1260698A2 (de) 2002-11-27
EP1260698A3 (de)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5516A (ko) 연료 공급 장치
US5433147A (en) Ignition device
US5785032A (en) Fuel supply system
US20090066469A1 (en) Battery fuse assembly
FR2910730A1 (fr) Systeme d'allumage a plasma
US5679012A (en) Electric connection member, igni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443137B1 (en) Method of producing spark ignition assembly with integral spark plug and ignition coil
US7243643B2 (en)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561790B1 (ko)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US6171121B1 (en) Battery cable clamp for a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for
US8172556B2 (en) Device for supplying fuel
US7467627B2 (en) Ignition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584945B1 (ko) 전기 회로 차단 장치
US4082976A (en) Spark plug design having two electrically isolated center electrodes
JP2001271718A (ja)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US7124725B2 (en) Engine spark plug grounding structure, grounding wiring apparatus, and grounding wiring method
US4983882A (en) Ignition amplifier device
US20030183218A1 (en)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569743B2 (ja) 点火コイルのプラグキャップ
EP0222336A2 (en) Piezoelectric gas igniter
JPH0347475A (ja) 点火コイル
US20190131774A1 (en) Car ignition device and ignition accelerator
US3041503A (en) Electrical connections to igniters or electrical supply units
US4399779A (en) Distributor with sliding contacts
US1299035A (en) Non-grounded spark-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