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4353A -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데이터 기록 동작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데이터 기록 동작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4353A
KR20010004353A KR1019990024983A KR19990024983A KR20010004353A KR 20010004353 A KR20010004353 A KR 20010004353A KR 1019990024983 A KR1019990024983 A KR 1019990024983A KR 19990024983 A KR19990024983 A KR 19990024983A KR 20010004353 A KR20010004353 A KR 20010004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unit
output
write
nand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6920B1 (ko
Inventor
배성호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2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920B1/ko
Priority to US09/604,686 priority patent/US6301189B1/en
Publication of KR20010004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6Out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록 주기당 2개의 데이터가 처리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기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하나의 클록 주기 동안 두 개의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기록 명령 신호에 따라, 보조 클록 신호 및 전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 대기 신호와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1 제어 유닛; 상기 제 1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기록 대기 신호, 상기 보조 클록 신호 및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칼럼 버스트 신호와 기록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경로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제어 유닛; 상기 제 1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 상기 보조 클록 신호, 독출 차단 신호 및 프리차지 차단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 카스 활성화 신호와 기록 차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3 제어 유닛; 상기 제 3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기록 차단 신호 및 상기 기록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3 제어 유닛으로 피드백되는 독출 차단 신호 및 프리차지 차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4 제어 유닛; 및 상기 제 3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기록 차단 신호, 상기 제 4 제어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독출 차단 신호, 상기 칼럼 버스트 신호 및 상기 보조 클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내부 카스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5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데이터 기록 동작 제어 장치{Circuit for controlling write mod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를 메모리 셀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의 입력 경로를 제어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제어 신호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그 집적도의 증가와 더불어 그 동작 속도의 향상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특히, 다이나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 이하, "DRAM") 중에는, 그 동작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부에서 주어지는 클록과 동기되어 동작할 수 있는 소위 싱크로너스(Synchronous) DRAM(이하, "SDRAM")이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통상적인 SDRAM 중의 하나는, 그에 입력되는 클록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 동기시켜 하나의 데이터 핀에서는 상기 클록의 한 주기에 걸쳐 하나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 클록 주기에 하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을 단일 데이터 레이트(single data rate ; 이하, "SDR")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SDR SDRAM의 기록 동작 모드에서의 클록과 입력되는 데이터의 타이밍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DR SDRAM에서는 클록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입력시키고, 하나의 클록 주기 동안에는 하나의 데이터만을 처리하면 충분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SDR 방식의 SDRAM에서는 그 동작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는 외부의 클록 속도를 증가시켜야만 하는데, 이렇게 외부의 클록 속도를 증가시키면, 메모리 장치뿐만 아니라 시스템에서 상기 클록을 사용하는 다른 모든 장치들의 동작 속도도 그에 따라 증가되어야 하므로, 많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그리하여, 하나의 클록 주기에 두 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 즉 더블 데이터 레이트(double data rate ; 이하, "DDR")이 제안되었다. 즉, 상기 DDR SDRAM의 각 데이터 핀에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클록의 상승 에지(rising edge)와 하강 에지(falling edge)에 동기되어 연속적으로 두 개의 데이터가 입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클록의 주파수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종래의 SDR SDRAM에 비하여 최소한 두 배 이상의 동작 속도와 대역폭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상기 DDR SDRAM의 외부 클록과 입력되는 데이터의 타이밍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DDR SDRAM에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외부 클록 clk에 동기시켜 입력하지 않고, 새로운 제어 신호인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ata strobe signal) DS의 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입력한다. 더욱이,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DS는 상기 외부 클록 clk와 동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기록 제어 신호 발생기로는 상기 데이터 입력 경로를 적절히 제어할 수 없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종래의 SDR SDRAM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SDR SDRAM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300)는, 데이터 입력 경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인 카스 활성화 신호(CAS active signal) icasatv6 및 외부에서의 인터럽트(interrupt)에 의하여 현재 진행되는 기록 동작을 중단하게 하기 위한 차단 신호 shieldb를 생성한다. 상기 카스 활성화 신호 icasatv6 및 상기 차단 신호 shieldb는 데이터 입력 경로의 버퍼, 래치 등과 같은 소정의 데이터 입력 경로상의 각 장치(302 내지 312)에 함께 공급되어 상기 각 장치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활성화 신호와 차단 신호가 데이터 입력 경로상의 모든 장치에 공급됨에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각 장치들이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클록 주기 동안 2개의 데이터가 처리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기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내부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단일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DRAM의 기록 동작 모드에서의 클록과 입력되는 데이터의 타이밍도.
도 2는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DRAM의 외부 클록과 입력되는 데이터의 타이밍도.
도 3은 종래의 SDR SDRAM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의 개념적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와 데이터 입력 경로상의 각 장치의 개념적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의 한 실시예의 개념적 블록도.
도 6은 도 5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의 제 1 제어 유닛의 상세 회로도.
도 7은 도 5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의 제 2 제어 유닛의 상세 회로도.
도 8은 도 5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의 제 3 제어 유닛의 상세 회로도.
도 9는 도 5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의 제 4 제어 유닛의 상세 회로도.
도 10은 도 5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의 제 5 제어 유닛의 상세 회로도.
도 11은 도 5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의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400 :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 402 :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버퍼
404 : 입력 클록 발생기 406 : 데이터 버퍼
408 : 글로벌 입출력 버퍼 410 : 글로벌 버스
420 : 데이터 입력 경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클록 주기 동안 두 개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에 있어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기록 명령 신호에 따라, 보조 클록 신호 및 전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 대기 신호와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1 제어 유닛; 상기 제 1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기록 대기 신호, 상기 보조 클록 신호 및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칼럼 버스트 신호와 기록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경로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제어 유닛; 상기 제 1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 상기 보조 클록 신호, 독출 차단 신호 및 프리차지 차단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 카스 활성화 신호와 기록 차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3 제어 유닛; 상기 제 3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기록 차단 신호 및 상기 기록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3 제어 유닛으로 피드백되는 독출 차단 신호 및 프리차지 차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4 제어 유닛; 및 상기 제 3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기록 차단 신호, 상기 제 4 제어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독출 차단 신호, 상기 칼럼 버스트 신호 및 상기 보조 클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내부 카스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5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특정하고 명확히 청구하는 특허청구범위로 결론 지워지지만,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와 데이터 입력 경로상의 각 장치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40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기록 명령(write command)(후술함) 및 독출 명령(read command)(후술함)과 소정의 제어 신호(yburst, rb_w 및 clk_lw)를 수신하여, 데이터 입력 경로(420) 상의 각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내부 제어 신호인 입력 경로 활성화 신호(input path enable signal) en_dqds_b, 내부 카스 활성화 신호(internal CAS enable signal) icasatv 및 기록 카스 활성화 신호(write CAS enable signal) casatv_wt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 경로(420) 상의 각 장치들의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DS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버퍼(402),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DS를 수신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클록 발생기(404),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버퍼(406), 상기 데이터 버퍼(406)에 저장된 데이터를 메모리 셀로 연결된 글로벌 버스(global bus)(410)로 전달하기 위하여 일시 저장하는 글로벌 입출력 버퍼(408) 등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록 명령으로서 칩선택 신호 csb, 라스 신호(RAS ; Row Address Strobe) ras, 카스 신호(CAS ; Column Address Strobe) casb 및 기록 활성화 신호(write enable)의 반전 신호 web 등의 네 가지 신호가 모두 하이(high)인 경우를 기록 명령이 내려진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였고, 상기 독출 명령으로서 칩선택 신호 csb, 라스 신호 ras, 카스 신호 casb 및 기록 활성화 신호 we 등의 네 가지 신호가 모두 하이(high)인 경우를 독출 명령이 내려진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였다. 상기 기록 및 독출 명령 신호들과 외부에서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yburst, rb_w, clk_lw) 등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별히 제시된 한 실시예일 뿐이며, 상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장치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400)의 구조와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400)의 한 실시예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40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기록 명령(write command), 보조 클록 신호 clk_lw 및 전원 감지 신호 pwrup를 수신하여 기록 대기 신호 wt_stdby와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 casatv_wt_pre를 생성하기 위한 제 1 제어 유닛(500)과, 상기 제 1 제어 유닛(500)으로부터 생성된 기록 대기 신호 wt_stdby,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 및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칼럼 버스트 신호 yburst와 기록 신호 rb_w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 경로 활성화 신호 en_dqds_b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제어 유닛(502)과, 상기 제 1 제어 유닛(500)으로부터 생성된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 casatv_wt_pre,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 4 제어 유닛(506)에 의하여 생성된 독출 차단 신호 rdshield_b 및 프리차지 차단 신호 pcg_shld_b를 수신하여 상기 기록 카스 활성화 신호 casatv_wt와 기록 차단 신호 wtshield_b를 생성하기 위한 제 3 제어 유닛(504)과, 상기 제 3 제어 유닛(504)에 의한 기록 차단 신호 wtshield_b와 상기 프리차지 차단 신호 pcg_shld_b 신호 및 상기 독출 명령(read command)를 수신하여 상기 제 3 제어 유닛(504)으로 피드백되는 독출 차단 신호 rdshield_b 및 프리차지 차단 신호 pcg_shld_b를 생성하기 위한 제 4 제어 유닛(506)과, 상기 제 3 제어 유닛(504)에 의하여 생성된 기록 차단 신호 wtshield_b, 상기 제 4 제어 유닛(506)에 의하여 생성된 독출 차단 신호 rdshield_b, 상기 칼럼 버스트 신호 yburst 및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를 수신하여 상기 내부 카스 활성화 신호 icasatv를 생성하기 위한 제 5 제어 유닛(508)을 포함한다.
이제, 첨부된 도면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5 제어 유닛(500 내지 508)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제어 유닛(500)의 상세 회로도가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어 유닛(500)은, 상기 전원 감지 신호 pwrup를 일측 입력으로 수신하며 전원 전위가 타측 입력으로 공급되는 낸드 게이트(NAND601)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기록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명령이 활성화되는 동안 하이를 출력하기 위한 기록 명령 수신기(610)와,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를 일측 입력으로 수신하는 낸드 게이트(NAND602)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602)의 출력을 그 게이트에 수신하며 전원에 그 소오스가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p603)와, 상기 기록 명령 수신기(610)의 출력을 그 게이트에 수신하며 상기 PMOS 트랜지스터(p603)의 드레인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604) 및 NMOS 트랜지스터(n605)와, 상기 전원 감지 신호 pwrup를 게이트에 수신하며, 상기 PMOS 트랜지스터(p603)의 소오스에 소오스가 접속되고 상기 NMOS 트랜지스터(n605)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p60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 유닛(500)은, 상기 PMOS 트랜지스터(p605)의 드레인에 입력단이 접속되어 그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고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에 응답하여 래치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달 유닛(T601)과, 상기 전달 유닛(T601)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고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에 응답하여 래치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달 유닛(T602)과, 상기 낸드 게이트(NAND601)의 출력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며 상기 전달 유닛(T602)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고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에 응답하여 래치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달 유닛(T603)과, 상기 낸드 게이트(NAND601)의 출력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며 상기 전달 유닛(T603)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L604)와, 상기 래치(L604)로부터의 출력을 소정 기간 지연시켜 상기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 casatv_wt_pre를 출력하기 위한 지연기(D601)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제 1 제어 유닛(500)은, 상기 PMOS 트랜지스터(p605)의 드레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소정 기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기(D602)와, 상기 PMOS 트랜지스터(p605)의 드레인에 입력단이 접속되고 상기 지연기(D602)의 출력에 입력단이 접속되고 상기 전달 유닛(T602)의 출력에 입력단이 접속된 낸드 게이트(NAND603)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603)의 출력과 상기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 casatv_wt_pre를 입력으로 하는 노아 게이트(NOR603)와, 상기 노아 게이트(NOR603)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켜 기록 대기 신호 wt_stdby를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I62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록 명령 수신기(610)는, 상기 기록 명령 신호(ras, casb, web 및 csb)를 각각 그 게이트에 수신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들(n601 내지 n604)과, 상기 NMOS 트랜지스터(n601)의 드레인과 전원 사이에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p601 및 p602)와, 상기 NMOS 트랜지스터(n601)의 드레인과 상기 PMOS 트랜지스터(p602)의 게이트 사이에 접속된 인버터(I60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달 유닛(T601)은 상기 PMOS 트랜지스터(p605)의 드레인에 입력단이 접속된 래치(L601)와, 상기 래치(L601)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I605)와,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에 의하여 온/오프가 제어되는 전달 게이트(G601)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전달 유닛(T602)은, 상기 전달 유닛(T601)로부터의 출력에 입력단이 접속된 래치(L602)와, 상기 래치(L602)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I608)와,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에 의하여 온/오프가 제어되는 전달 게이트(G60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달 유닛(T603)은, 상기 낸드 게이트(NAND601)의 출력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며 상기 전달 게이트(G602)로부터의 출력에 입력단이 접속된 래치(L603)와, 상기 래치(L602)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I608)와,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에 의하여 온/오프가 제어되는 전달 게이트(G603)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어 유닛(500)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기록 명령(write command), 보조 클록 신호 clk_lw 및 전원 감지 신호 pwrup를 수신한다. 상기 기록 명령(ras, casb, web 및 csb)은 각각 상기 NMOS 트랜지스터(n601 내지 n604)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상기 기록 명령이 활성화되면, 상기 NMOS 트랜지스터(n601 내지 n604)가 모두 턴 온 되어, 상기 NMOS 트랜지스터(n601)의 드레인이 로우가 되고 그에 접속된 상기 인버터(I601)가 하이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NMOS 트랜지스터(n605)가 턴온되어 그 드레인이 로우가 되고, 이 신호는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가 로우로 될 때마다 상기 전달 유닛(T601, T602 및 T603)을 차례로 통과하여, 마지막으로 상기 래치(L604)에서 래치된 다음, 상기 지연기(D601)를 거쳐 상기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 casatv_wt_pre로 출력된다.
그 다음에, 상기 기록 명령 신호들 csb가 로우로 되면, 상기 낸드 게이트(NAND602)에 입력되는 보조 클록 신호 clk_lw에 의하여 상기 NMOS 트랜지스터(n605)의 드레인이 하이로 되고,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가 로우로 될 때마다 상기와 동일한 경로를 거쳐 상기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 casatv_wt_pre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전달 유닛(T601)의 입력은 또한 상기 낸드 게이트(NAND603) 및 상기 지연기(D602)로도 제공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달 유닛(T602)의 출력과 상기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 casatv_wt_pre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대기 신호 wt_stdby로서 출력된다.
상기한 제 1 제어 유닛(500)의 각 입출력 신호의 타이밍은 도 11의 동작 파형도에 도시하였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제어 유닛(502)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제어 유닛(502)은, 상기 칼럼 버스트 신호 yburst와 상기 기록 신호 rb_w를 수신하는 낸드 게이트(NAND701)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701)의 출력 및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를 수신하는 낸드 게이트(NAND702)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702)의 출력을 그 게이트에 수신하며 전원에 소오스가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p701)와, 상기 제 1 제어 유닛(500)으로부터 생성된 기록 대기 신호 wt_stdby를 공통으로 게이트에 수신하며 상기 PMOS 트랜지스터(p701)의 드레인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702) 및 NMOS 트랜지스터(n70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제어 유닛(502)은, 상기 NMOS 트랜지스터(n701)의 드레인에 입력단이 접속된 래치(L701)와, 상기 래치(L701)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키고 소정 기간 지연시켜 상기 입력 경로 활성화 신호 en_dqds_b를 출력하기 위한 지연기(D701)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제어 유닛(502)은, 상기 기록 대기 신호 wt_stdby가 하이일 때에 상기 입력 경로 활성화 신호 en_dqds_b를 로우로 만들고, 상기 기록 대기 신호 wt_stdby가 로우가 되면,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칼럼 버스트 신호 yburst와 기록 신호 rb_w 중의 어느 하나가 로우인 동안에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가 하이로 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경로 활성화 신호 en_dqds_b를 하이로 만드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제 2 제어 유닛(502)의 각 입출력 신호의 타이밍은 도 11의 동작 파형도에 도시하였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상기 제 3 제어 유닛(504)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제어 유닛(504)은, 상기 제 1 제어 유닛(500)으로부터 생성된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 casatv_wt_pre를 일측 입력으로 수신하고,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wt를 타측 입력으로 수신하는 낸드 게이트(NAND801)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801)의 출력을 소정 기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기(D801)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801)의 출력과 상기 지연기(D801)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낸드 게이트(NAND80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3 제어 유닛(50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 4 제어 유닛(506)에 의하여 출력되어 피드백되는 상기 프리차지 차단 신호 pcg_shld_b 신호를 그 게이트에 수신하고 그 소오스가 전원에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p801)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802)의 출력을 공통으로 게이트에 수신하며 상기 PMOS 트랜지스터(p801)의 드레인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802) 및 NMOS 트랜지스터(n801)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제 3 제어 유닛(504)은, 상기 낸드 게이트(NAND802)의 출력을 소정 기간 지연시키는 지연기(D802)와, 상기 지연기(D802)로부터의 출력과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 4 제어 유닛(506)에 의하여 출력되어 피드백되는 상기 독출 차단 신호 rdshield_b를 입력으로 하는 낸드 게이트(NAND803)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803)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I8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3 제어 유닛(504)은, 상기 제 1 제어 유닛(500)으로부터 생성된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 casatv_wt_pre와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wt에 응답하여, 상기 프리차지 차단 신호 pcg_shld_b가 하이인 동안에 상기 기록 차단 신호 wtshield_b를 생성하며, 상기 독출 차단 신호 rdshield_b가 하이인 동안에 상기 기록 카스 활성화 신호 casatv_wt를 생성한다.
상기한 제 3 제어 유닛(504)의 각 입출력 신호의 타이밍은 도 11의 동작 파형도에 도시하였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상기 제 4 제어 유닛(506)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4 제어 유닛(506)은, 독출 차단 신호(rdshield_b) 생성기(910)와 프리차지 차단 신호(pcg_shld_b) 생성기(9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독출 차단 신호(rdshield_b) 생성기(910)는, 그 게이트에 상기 프리차지 차단 신호 pcg_shld_b를 그 게이트에 수신하며 전원에 그 소오스가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p901)와, 독출 명령 신호(ras, casb 및 we)를 각각 수신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n901, n902 및 n903)와, 상기 기록 명령 신호 중의 한 신호인 칩 선택 신호 csb를 수신하여 반전시키는 인버터(I901)를 포함한다. 상기 독출 차단 신호 rdshield_b는 상기 PMOS 트랜지스터(p901)의 드레인에서 출력된다.
상기 독출 차단 신호 생성기(910)는 독출 명령 신호(ras, casb, web 및 csb)가 모두 하이인 경우에 상기 독출 차단 신호 rdshield_b를 로우로 초기화한 다음, 상기 독출 명령 신호(ras, casb, web 및 csb)가 로우로 된 경우에 상기 프리차지 차단 신호 pcg_shld_b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차단 신호 rdshield_b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프리차지 차단 신호 생성기(920)는, 상기 독출 차단 신호 rdshield_b를 반전시키고 래치하는 래치(L901) 및 상기 기록 차단 신호 wtshield_b를 반전시키고 래치하는 래치(L902)와, 래치(L901 및 L902)의 출력을 모두 입력으로 하는 노아 게이트(NOR901)와, 상기 노아 게이트(NOR901)의 출력을 소정 기간 지연시키는 지연기(D901)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차지 차단 신호 생성기(920)는 상기 독출 차단 신호 rdshield_b와 상기 기록 차단 신호 wtshield_b를 수신하여 노아링(noring)하여 상기 프리차지 차단 신호 pcg_shld_b를 출력한다.
상기한 제 4 제어 유닛(506)의 각 입출력 신호의 타이밍은 도 11의 동작 파형도에 도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상기 제 5 제어 유닛(508)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5 제어 유닛(508)은, 상기 칼럼 버스트 신호 yburst 및 상기 보조 클록 신호 clk_lw를 입력으로 수신하는 낸드 게이트(NAND1001)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1001)의 출력을 소정 기간 지연시키는 지연기(D1001)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1001)의 출력 및 상기 지연기(D1001)의 출력을 입력으로 수신하는 낸드 게이트(NAND1002)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1002)의 출력을 소정 기간 지연시키는 지연기(D100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5 제어 유닛(508)은, 상기 기록 차단 신호 wtshield_b, 상기 독출 차단 신호 rdshield_b 및 상기 지연기(D1002)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낸드 게이트(NAND1003)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1003)의 출력을 반전시켜 상기 내부 카스 활성화 신호(icasatv)를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I1001)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5 제어 유닛(508)은 단순한 낸드 게이트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입출력 신호의 타이밍은 도 11의 동작 파형도에 도시하였므로, 그 상세한 동작의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클록 주기 동안 두 개의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경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변형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는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형과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하나의 클록 주기 동안 두 개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에 있어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기록 명령 신호에 따라, 보조 클록 신호 및 전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 대기 신호와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1 제어 유닛;
    상기 제 1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기록 대기 신호, 상기 보조 클록 신호 및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칼럼 버스트 신호와 기록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경로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제어 유닛;
    상기 제 1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 상기 보조 클록 신호, 독출 차단 신호 및 프리차지 차단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 카스 활성화 신호와 기록 차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3 제어 유닛;
    상기 제 3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기록 차단 신호 및 상기 기록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3 제어 유닛으로 피드백되는 독출 차단 신호 및 프리차지 차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4 제어 유닛; 및
    상기 제 3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기록 차단 신호, 상기 제 4 제어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독출 차단 신호, 상기 칼럼 버스트 신호 및 상기 보조 클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내부 카스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5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유닛은,
    상기 전원 감지 신호를 일측 입력으로 수신하며 전원 전위가 타측 입력으로 공급되는 제 1 낸드 게이트;
    외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기록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명령이 활성화되는 동안 하이를 출력하기 위한 기록 명령 수신기;
    상기 보조 클록 신호를 일측 입력으로 수신하는 제 2 낸드 게이트;
    상기 제 2 낸드 게이트의 출력을 그 게이트에 수신하며 전원에 그 소오스가 접속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
    상기 기록 명령 수신기의 출력을 그 게이트에 수신하며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 2 PMOS 트랜지스터 및 제 1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전원 감지 신호를 게이트에 수신하며,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소오스가 접속되고 상기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접속된 제 3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3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입력단이 접속되어 그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고 상기 보조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래치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 1 전달 유닛;
    상기 제 1 전달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고 상기 보조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래치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 2 전달 유닛;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의 출력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며 상기 제 2 전달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고 상기 보조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래치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 3 전달 유닛;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의 출력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며 상기 제 3 전달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
    상기 제 4 래치로부터의 출력을 소정 기간 지연시켜 상기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지연기;
    상기 제 3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소정 기간 지연시키기 위한 제 2 지연기;
    상기 제 3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입력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 2 지연기의 출력에 입력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달 유닛의 출력에 입력단이 접속된 제 3 낸드 게이트;
    상기 제 3 낸드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노아 게이트; 및
    상기 노아 게이트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켜 기록 대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유닛은,
    상기 칼럼 버스트 신호와 상기 기록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낸드 게이트;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의 출력 및 상기 보조 클록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낸드 게이트;
    상기 제 2 낸드 게이트의 출력을 그 게이트에 수신하며 전원에 소오스가 접속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기록 대기 신호를 공통으로 게이트에 수신하며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 2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
    상기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입력단이 접속된 래치; 및
    상기 래치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키고 소정 기간 지연시켜 상기 입력 경로 활성화 신호 en_dqds_b를 출력하기 위한 지연기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어 유닛은,
    상기 제 1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초기 카스 활성화 신호를 일측 입력으로 수신하고, 상기 보조 클록 신호를 타측 입력으로 수신하는 제 1 낸드 게이트;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의 출력을 소정 기간 지연시키기 위한 제 1 지연기;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제 1 지연기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제 2 낸드 게이트;
    상기 제 4 제어 유닛에 의하여 출력되어 피드백되는 상기 프리차지 차단 신호를 그 게이트에 수신하고 그 소오스가 전원에 접속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낸드 게이트의 출력을 공통으로 게이트에 수신하며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낸드 게이트의 출력을 소정 기간 지연시키는 제 2 지연기;
    상기 제 2 지연기로부터의 출력과 상기 제 4 제어 유닛에 의하여 출력되어 피드백되는 상기 독출 차단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 3 낸드 게이트; 및
    상기 제 3 낸드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
  5. 상기 제 4 제어 유닛은,
    독출 차단 신호 생성기와 프리차지 차단 신호 생성기를 포함하되,
    상기 독출 차단 신호 생성기는,
    그 게이트에 상기 프리차지 차단 신호를 수신하며 전원에 그 소오스가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
    독출 명령 신호를 각각 수신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
    상기 기록 명령 신호 중의 한 신호인 칩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반전시키는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차지 차단 신호 생성기는,
    상기 독출 차단 신호를 반전시키고 래치하는 제 1 래치;
    상기 기록 차단 신호를 반전시키고 래치하는 제 2 래치;
    상기 제 1 및 제 2 래치의 출력을 모두 입력으로 하는 노아 게이트; 및
    상기 노아 게이트의 출력을 소정 기간 지연시키는 지연기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제어 유닛은,
    상기 칼럼 버스트 신호 및 상기 보조 클록 신호를 입력으로 수신하는 제 1 낸드 게이트;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의 출력을 소정 기간 지연시키는 제 1 지연기;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의 출력 및 상기 제 1 지연기의 출력을 입력으로 수신하는 제 2 낸드 게이트;
    상기 제 2 낸드 게이트의 출력을 소정 기간 지연시키는 제 2 지연기;
    상기 기록 차단 신호, 상기 독출 차단 신호 및 상기 제 2 지연기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제 3 낸드 게이트; 및
    상기 제 3 낸드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켜 상기 내부 카스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모드 제어 신호 발생기.
KR1019990024983A 1999-06-28 1999-06-28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데이터 기록 동작 제어 장치 KR100296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983A KR100296920B1 (ko) 1999-06-28 1999-06-28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데이터 기록 동작 제어 장치
US09/604,686 US6301189B1 (en) 1999-06-28 2000-06-27 Apparatus for generating write control signals applicable to double data rate SD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983A KR100296920B1 (ko) 1999-06-28 1999-06-28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데이터 기록 동작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353A true KR20010004353A (ko) 2001-01-15
KR100296920B1 KR100296920B1 (ko) 2001-07-12

Family

ID=1959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983A KR100296920B1 (ko) 1999-06-28 1999-06-28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데이터 기록 동작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01189B1 (ko)
KR (1) KR1002969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410B1 (ko) * 2006-01-20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상태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의 블록 회수를 수행하는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9188B2 (en) * 2000-12-18 2003-02-11 Hynix Semiconductor Inc.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ffers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30018846A1 (en) * 2001-07-18 2003-01-23 Blaise Fanning Method and system for fast memory initialization or diagnostics
KR100548563B1 (ko) * 2003-06-30 2006-0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dr sdram 에서의 라이트 링잉 현상을 마스크하기위한 데이타 패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81134B1 (ko) * 2007-06-27 2009-0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컬럼 엑세스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3891A (ja) 1989-09-27 1991-05-15 Hitachi Ltd メモリ装置のタイミング信号生成方式
JPH0476886A (ja) 1990-07-19 1992-03-11 Nec Corp メモリ
JP3225533B2 (ja) 1991-04-11 2001-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ダイナミック型半導体メモリ装置
JPH05234370A (ja) 1992-02-20 1993-09-10 Ricoh Co Ltd 画像メモリのデータ転送方法
JPH05242670A (ja) 1992-02-28 1993-09-21 Nec Corp Dram回路
JPH06215559A (ja) 1993-01-14 1994-08-05 Fuji Xerox Co Ltd ページメモリアクセス方式
JPH0778468A (ja) 1993-09-08 1995-03-20 Nec Ic Microcomput Syst Ltd 半導体メモリ回路
KR970008412B1 (ko) 1993-10-15 1997-05-23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디지탈 영상신호 처리용 메모리 시스템
US5737748A (en) 1995-03-15 1998-04-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icroprocessor unit having a first level write-through cache memory and a smaller second-level write-back cache memory
US5732024A (en) 1995-04-19 1998-03-24 Cirrus Logic, Inc.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data stored in a memory using logic operations
US5715208A (en) 1995-09-29 1998-02-03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reading data therefrom
JPH09320261A (ja) * 1996-05-30 1997-12-1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制御信号発生回路
US5903916A (en) 1996-12-16 1999-05-11 Intel Corporation Computer memory sub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opportunistic write data transfers during an access latency period within a read or refresh operation
JP3032887B2 (ja) 1997-03-31 2000-04-17 株式会社シーケーディー ダイナミック・メモリーの製造後の簡易検査法
JPH1116349A (ja) * 1997-06-26 199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410B1 (ko) * 2006-01-20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상태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의 블록 회수를 수행하는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01189B1 (en) 2001-10-09
KR100296920B1 (ko)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904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
KR10025204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칼럼 선택 신호 제어기 및 칼럼 선택제어 방법
US668716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providing address access time and data access time at a high speed
US20190189168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tive and inactive clock signals
KR100566765B1 (ko) 집적 회로용 클록 신호 발생기
KR100377840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100573534B1 (ko) 메모리 디바이스
CN112041925B (zh) 用于在读取操作期间控制数据选通信号的系统及方法
KR100638748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
JP3951202B2 (ja) 同期式半導体メモリ装置
JP3846764B2 (ja) 同期式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データ入出力線のプリチャージ方法
US6166993A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30407B1 (ko) 반도체장치의 클럭 발생회로 및 클럭발생방법
JP3689229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カラム選択ラインイネーブル回路
US6256260B1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nput buffers and latch circuits
US602604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188639B1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KR100296920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데이터 기록 동작 제어 장치
KR20050031679A (ko) 칼럼 선택 신호 제어 방법 및 칼럼 선택 신호 제어 회로
JP4112754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541161B1 (ko) 고속 동작에 적합한 x 주소 추출기, x 주소 추출 방법및 메모리
KR100219491B1 (ko) 자동 프리차지 뱅크 선택 회로
US613084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ata bus amplifier activation method for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26302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stably controlling power mode at high frequency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mode thereof
KR100668750B1 (ko)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입력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