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922A -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 Google Patents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922A
KR20010002922A KR1019990022986A KR19990022986A KR20010002922A KR 20010002922 A KR20010002922 A KR 20010002922A KR 1019990022986 A KR1019990022986 A KR 1019990022986A KR 19990022986 A KR19990022986 A KR 19990022986A KR 20010002922 A KR20010002922 A KR 20010002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phase difference
clock sign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5812B1 (ko
Inventor
이영대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2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812B1/ko
Priority to US09/558,208 priority patent/US6392496B1/en
Priority to CNB001076175A priority patent/CN1158766C/zh
Publication of KR20010002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위상동기루프에 있어서, 입력신호와 궤환되는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회로를 하드웨어로 구현함으로써, CPU의 부하를 저감시키고, 고속으로 신호처리를 함으로써 빠른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레퍼런스 타이밍 시그널(SIGrt)을 수신하여 위상차의 기준이 되는 4KHz의 기준 클럭신호(Fr)로 분주하여 출력하는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0); 상기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클럭신호(Fr)를 입력받아, 입력되는 비교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트함으로써 위상차를 검출하여 양자화된 위상차신호를 출력하는 위상검출부(11); 상기 위상검출부(11)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인터럽트 방식으로 벗어난 위상차만큼 평균하고 16비트로 정규화하여 전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 상기 제어부(12)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해당하는 주파수의 시스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전압제어 발진기(14);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주파수 범위로 분주하여 25.92MHz의 비교 클럭신호(Fv)를 생성하여 상기 위상검출부(11)로 출력하는 분주기(15)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Digital Phase-Locked Loop Using High-speed Phase Comparator}
본 발명은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위상동기루프에 있어서, 입력신호와 궤환되는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회로를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함으로써, 고속으로 신호처리를 할 수 있는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위상동기루프는 원하는 주파수의 디지털 클럭신호를 위상을 정합하여 출력하는 장치로, 통신시스템의 각종 요소에 사용되는 시스템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디지털 위상동기루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의 구성은,
레퍼런스 타이밍 시그널(reference timing signal, SIGrt)을 수신하여 위상차의 기준이 되는 4킬로헤르츠(kilo-hertz, 이하 'KHz'로 표기함)의 기준 클럭신호(Fr)로 분주하여 출력하는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와,
상기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클럭신호(Fr)를 입력받아, 입력되는 비교 클럭신호(Fv)와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표본화하고 카운트(count)하며 양자화하여 그에 따른 위상차신호(PD)를 출력하는 위상차 검출기(2)와,
상기 위상차 검출기(2)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신호(PD)를 입력받아, 한 샘플당 2바이트(byte)씩의 위상차 데이터(Dt)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듀얼 포트 메모리(dual port memory, 3)와,
상기 듀얼 포트 메모리(3)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 데이터(Dt)를 폴링(polling) 방식에 의하여 입력받아 평균하고 16비트로 정규화하여 전압 제어신호(Ct)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 Unit, 이하 'CPU'로 표기함, 4)와,
상기 CPU(4)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제어신호(Ct)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er, 5)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해당하는 주파수의 시스템 클럭(SYSCK)을 발생하는 전압제어 발진기(6)와,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6)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주파수 범위로 분주하여 비교 클럭신호(Fv)를 생성하여 상기 위상차 검출기(2)로 출력하는 분주기(7)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기술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는 디에스1이(DS1E)신호 또는 에스티엠(STM)-1 광신호 등의 레퍼런스 타이밍 시그널(SIGrt)을 수신하여 위상차의 기준이 되는 4KHz의 기준 클럭신호(Fr)로 분주하여 출력하며, 도 2에서 (b)와 같은 신호이다.
그리고, 분주기(7)는 전압제어 발진기(6)로부터 출력되는 시스템 클럭신호(SYSCK)를 입력받아 8KHz 주파수대의 신호로 분주하여 비교 클럭신호(Fv)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도 2에서 (a)와 같은 신호가 된다.
위상차 검출기(2)는 상기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로부터 출력되는 4KHz의 기준 클럭신호(Fr)를 입력받아, 상기 분주기(7)로부터 비교 클럭신호(Fv)와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그 값을 표본화하고, 카운트한 후, 양자화함으로써, 디지털의 위상차신호(PD)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도 2에서 (c)와 같은 신호가 된다.
듀얼 포트 메모리(3)는 상기 위상차 검출기(2)로부터 출력되는 양자화된 위상차신호(PD)를 입력받아, 한 샘플당 2바이트(byte)씩의 위상차 데이터(Dt)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며, 도 2에서 (d)와 같은 신호가 된다.
CPU(4)는 상기 듀얼 포트 메모리(3)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 데이터(Dt)를 폴링 방식(순차 순행)에 의하여 입력받아 평균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에서 처리할 수 있는 16비트의 신호로 정규화하여, 64밀리초(milli-second)마다 전압 제어신호(Ct)를 출력하며, 도 2에서 (e)와 같은 신호가 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는 상기 CPU(4)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제어신호(Ct)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출력한다.
전압제어 발진기(6)는 전압의 강약(0∼10볼트)으로 제어되는 오실레이터(Oscillator)로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51.84MHz를 기준으로 해당하는 주파수의 시스템 클럭신호(SYSCK)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6)로부터 출력되는 시스템 클럭신호(SYSCK)는 다시 분주기(7)로 입력되어, 다음 신호 처리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원하는 주파수의 시스템 클럭신호(SYSCK)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의 디지털 위상동기루프는 상기 CPU(4)에서 폴링 방식에 의한 실수(floating point) 연산 처리를 통하여 전압 제어신호(Ct)를 생성하므로, CPU(4)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를 64밀리초 이내에 제어가 불가능하며, 그에 따라 일정한 시간의 제어속도를 규정하고 있는 국제 규격(ITU-T G.813)의 원더(wander)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위상동기루프에 있어서, 입력신호와 궤환되는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회로를 하드웨어로 구현함으로써, CPU의 부하를 저감시키고, 고속으로 신호처리를 하고 빠른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국제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를 적용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서 각 부분의 신호파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를 적용한 블럭도,
도 4는 도 3에서 위상검출기를 적용한 상세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 11 : 위상검출부
12 : 제어부 13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14 : 전압제어 발진기 15 : 분주기
50 : 계수부 51 : 리셋신호 생성부
60 : 위상차 출력부 61 : 출력신호 생성부
70 : 제어값 생성부 71 : 가산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위상동기루프에 있어서,
기준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되는 비교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트함으로써 위상차를 검출하여 양자화된 위상차신호를 출력하는 위상차 검출수단;
상기 위상차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인터럽트 방식으로 벗어난 위상차만큼 평균하고 16비트로 정규화하여 전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해당하는 주파수의 시스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전압제어 발진수단;
상기 전압제어 발진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주파수 범위로 분주하여 비교 클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위상차 검출수단으로 출력하는 분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레퍼런스 타이밍 시그널(SIGrt)을 수신하여 위상차의 기준이 되는 4KHz의 기준 클럭신호(Fr)로 분주하여 출력하는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0);
상기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클럭신호(Fr)를 입력받아, 입력되는 비교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트함으로써 위상차를 검출하여 양자화된 위상차신호를 출력하는 위상검출부(11);
상기 위상검출부(11)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인터럽트 방식으로 벗어난 위상차만큼 평균하고 16비트로 정규화하여 전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
상기 제어부(12)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해당하는 주파수의 시스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전압제어 발진기(14);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주파수 범위로 분주하여 25.92MHz의 비교 클럭신호(Fv)를 생성하여 상기 위상검출부(11)로 출력하는 분주기(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상검출부(11)의 구성은,
상기 분주기(15)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Fv)를 일정한 범위 이내에서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값(P[0:7])을 출력하는 계수부(50);
상기 계수부(50)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Fv)의 카운트값(P[0:7])을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클럭신호(Fr)의 한 주기마다 검출하여 위상차값(ADDINA)을 출력하는 위상차 출력부(60);
상기 위상차 출력부(60)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값(ADDINA)을 입력받아 일정횟수 덧셈하여 출력하는 제어값 생성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계수부(50)의 구성은,
카운트값(P[0:7])이 2진수 '01010001'(16진수 '51')이 되면 그에 따른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리셋신호 생성부(51)와,
상기 분주기(15)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Fv)를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의 하위비트 4비트를 생성하며, 상기 리셋신호 생성부(51)로부터 출력되는 리셋신호에 따라 계수 초기화되어 2진수 '0000'부터 다시 카운트하는 제1카운터(CNT55)와,
상기 분주기(15)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Fv)를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의 상위비트 4비트를 생성하며, 상기 리셋신호 생성부(51)로부터 출력되는 리셋신호에 따라 계수 초기화되어 2진수 '1101'부터 다시 카운트하는 제2카운터(CNT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셋신호 생성부(51)의 구성은,
카운트값 상위비트(P7∼P4)의 값이 2진수 '0101'일 때 하이의 논리값을 출력하는 제1앤드게이트(AND52)와, 카운트값 하위비트(P3∼P0)의 값이 2진수 '0001'일 때 하이의 논리값을 출력하는 제2앤드게이트(AND53)와, 상기 제1앤드게이트(AND52)와 제2앤드게이트(AND53)의 출력신호가 입력단자로 연결되고 출력단자가 상기 제1카운터(CNT55) 및 제2카운터(CNT56)의 로드단자(LD)로 연결되는 난드게이트(NAND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상차 출력부(60)의 구성은,
상기 분주기(15)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Fv)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클럭신호(Fr)의 1주기마다 해당하는 이벤트신호(EVENT1)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출력신호 생성부(61)와, 상기 비교 클럭신호(Fv)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출력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신호(EVENT1)가 하이로 인가될 때의 상기 계수부(50)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트값(P[7:0]을 검출하여 위상차값(ADDINA)으로 하여 상기 제어값 생성부(70)로 출력하는 제3디플립플롭(D-flipflop, DF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출력신호 생성부(61)의 구성은,
비교 클럭신호(Fv)가 클럭단자로 입력되고 기준 클럭신호(Fr)가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1디플립플롭(DF62)과, 비교 클럭신호(Fv)가 클럭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제1디플립플롭(DF63)의 출력단자가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2디플립플롭(DF63)과, 상기 제1디플립플롭(DF62)의 출력신호가 제1입력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제2디플립플롭(DF63)의 출력신호가 반전되어 제2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4앤드게이트(AND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값 생성부(70)의 구성은,
상기 위상차 출력부(60)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값(ADDINA)을 입력받아 궤환 입력되는 직전의 가산 위상차값(ADDINB)과 더하여 출력하는 가산기(71)와, 상기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클럭신호(Fr)를 십진수 '0'부터 '16'까지 순환 카운트하여 그 값이 십진수 '16'이 될 때마다 논리값 하이의 출력제어신호(D4K)를 출력하는 제3카운터(CNT72)와, 상기 가산기(7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리셋신호(D4K_RST)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5앤드게이트(AND73)와, 비교 클럭신호(Fv)가 클럭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제5앤드게이트(AND73)의 출력신호가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4디플롭플롭(DF74)과, 비교 클럭신호(Fv)가 클럭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제4플립플롭(DF74)의 출력신호가 입력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제3카운터(CNT7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제어신호(D4K)에 따라 기동하는 제5디플롭플롭(DF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0)는 레퍼런스 타이밍 시그널(SIGrt)을 수신하여 위상차의 기준이 되는 4KHz의 기준 클럭신호(Fr)로 분주하여 출력한다.
분주기(15)는 전압제어 발진기(14)로부터 출력되는 51.84MHz의 주파수를 가진 시스템 클럭신호(SYSCK)를 입력받아 2분주하여, 25.92MHz의 주파수를 가진 비교 클럭신호(Fv)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위상검출부(11)는 상기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클럭신호(Fr)를 입력받아, 상기 분주기(15)로부터 출력되는 25.92MHz의 주파수를 가진 비교 클럭신호(Fv)를 이용하여 카운트함으로써 위상차를 검출하여 양자화된 위상차 검출신호(REF[15:0])를 출력한다.
제어부(12)는 상기 위상검출부(11)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 검출신호(REF[15:0])를 입력받아 인터럽트 방식으로 벗어난 위상차만큼 평균하고 16비트로 정규화하여 전압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는 상기 제어부(12)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출력하고, 전압제어 발진기(14)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해당하는 주파수의 시스템 클럭신호(SYSCK)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위상검출부(11)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계수부(50)는 상기 분주기(15)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Fv)를 일정한 범위 이내에서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값(P[0:7])을 출력한다.
계수부(50)의 제1카운터(CNT55)는 상기 분주기(15)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Fv)를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의 하위비트 4비트(P0∼P3)를 생성하고, 제2카운터(CNT56)는 상기 제1카운터(CNT55)의 캐리(carry)를 입력받고 상기 분주기(15)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Fv)를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의 상위비트 4비트(P4∼P7)를 생성하여 출력하는데, 카운트하는 값의 범위는 리셋신호 생성부(51)로부터 출력되는 리셋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즉, 리셋신호 생성부(51)의 제1앤드게이트(AND52)와 제2앤드게이트(AND53)는 카운트값(P[0:7])이 2진수 '01010001'(16진수 '51')이 되면 그에 따른 각각 논리적 하이의 신호를 출력하고, 난드게이트(NAND54) 또한 그에 따라 로우의 리셋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카운트값(P[0:7])이 2진수 '01010001'(16진수 '51')이 되면 상기 제1카운터(CNT55)와 제2카운터(CNT56)의 출력신호는 2진수 '01010001'을 넘지 못하고, 이때 각각의 제1카운터(CNT55)와 제2카운터(CNT56)의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로드되는 값부터 카운트를 계속한다.
상기 리셋신호 생성부(51)로부터 제1카운터(CNT55)와 제2카운터(CNT56)의 로드단자(LD)로 로우의 리셋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카운터(CNT55)와 제2카운터(CNT56)는 각각 이진수 '0000'(16진수 '0')과 이진수 '1011'(16진수 'B')의 값이 로드되어 이 값부터 카운트를 계속한다.
따라서, 상기 제1카운터(CNT55)와 제2카운터(CNT56)의 카운트 범위는 16진수 'B0'부터 16진수 '51'까지이며, 이 값은 위상검출부(11)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위상차 검출신호(REF[15:0])의 최대 위상차 값인 10진수 '6480'의 공약수인 10진수 '162'를 설정한 것으로, 최대값을 상기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8비트의 신호로서 최대값을 표현할 수 있고, 또 위상차는 주기성을 나타내므로, 상기의 값으로도 정확한 위상차의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계수부(50)는 25.92MHz의 주파수로 입력되는 비교 클럭신호(Fv)를 16진수 'B0'부터 16진수 '51'까지 계속 카운트하는데, 4KHz동안 160바퀴를 돌면서 연속적으로 카운트한다.
한편, 위상차 출력부(60)는 상기 계수부(50)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Fv)의 카운트값(P[0:7])을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클럭신호(Fr)의 한 주기마다 검출하여 위상차값(ADDINA)을 출력한다.
즉, 위상차 출력부(60)의 출력신호 생성부(61)는 제1디플립플롭(DF62)과 제2디플립플롭(DF63) 및 제4앤드게이트(AND64)를 이용하여 기준 클럭신호(Fr)의 상승모서리마다 해당하는 짧은 클럭의 이벤트신호(EVENT1)를 생성하며, 상기 이벤트신호(EVENT1)가 제3디플립플롭(DF65)의 기동신호로 작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3디플립플롭(DF65)은 상기 출력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신호(EVENT1)에 따라 기동하여, 클럭단자로 입력되는 비교 클럭신호(Fv)에 맞추어 그 때의 카운터값(P[7:0])을 출력하며, 이 값이 위상차값(ADDINA)이 된다.
상기 계수부(50)의 카운트 구간을 16진수 'B0'부터 16진수 '51'까지로 설정한 것은, 그 중심값을 16진수 '0'으로 함으로써, 위상차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카운터값(P)이 '0'일 때에 이벤트신호(EVENT1)가 하이의 클럭신호로 생성되고, 그에 따라 위상차값(ADDINA)이 16진수 '0'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위상차값의 변동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위상차 출력부(60)는 상기 기준 클럭신호(Fr)의 매주기마다, 즉 250마이크로초(micro-second)마다 해당하는 위상차값(ADDINA)을 출력한다.
제어값 생성부(70)는 상기 위상차 출력부(60)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값(ADDINA)을 입력받아 일정횟수 덧셈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값 생성부(70)의 가산기(71)는 상기 위상차 출력부(60)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값(ADDINA)을 입력받아 16비트의 신호로 변환하여, 궤환 입력되는 직전의 가산 위상차값(ADDINB)과 더하여 출력한다.
상기 가산기(7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리셋신호(D4K_RST)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5앤드게이트(AND73)와,
그리고, 제5앤드케이트(AND73)는 상기 가산기(7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리셋신호(D4K_RST)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하여 출력함으로써, 유사시에 가산값을 리셋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3카운터(CNT72)는 상기 레퍼런스 타이밍 수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클럭신호(Fr)를 십진수 '0'부터 '16'까지 순환 카운트하여 그 값이 십진수 '16'이 될 때마다 논리값 하이의 출력제어신호(D4K)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4디플립플롭(DF74)은 출력기동신호(ADDEN)에 따라 상기 제5앤드게이트(AND7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데, 그 신호는 상기 가산기(71)로도 입력되어 다음 신호와 더해질 때에 사용된다.
제5디플립플롭(DF75)은 상기 제4디플립플롭(DF74)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3카운터(CNT7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제어신호(D4K)에 따라 기동하여 그 때의 값을 위상차 검출신호(REF[15:0])로 출력한다.
상기 제3카운터(CNT72)에서 출력되는 출력제어신호(D4K)는 기준 클럭신호(Fr)가 16개 입력될 때마다 하이의 신호를 출력하므로, 상기 위상차 검출신호(REF[15:0])도 마찬가지로, 기준 클럭신호(Fr)가 16개 입력될 때마다 출력되며, 그 주기는 4밀리초가 된다.
따라서, 도 3에서 보면, 상기 위상검출부(11)에서 출력되는 위상차 검출신호(REF[15:0])는 4밀리초마다 위상차의 값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그 값은 16회에 걸쳐 가산된 값이므로, 제어부(12)는 그 값을 16으로 나누어 전압제어 발진기(14)의 제어값으로 사용하며, 종래에 비하여 제어부(12)의 기능 부담이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고, 듀얼 포트 메모리와 같은 구성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값을 신속하게 생성함으로써, 제어의 정확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위상동기루프에 있어서, 입력신호와 궤환되는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회로를 하드웨어로 구현함으로써, CPU의 부하를 저감시키고, 고속으로 신호처리를 함으로써 빠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국제 표준 규격에서 원하는 원더 특성의 기준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위상동기루프에 있어서,
    기준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되는 비교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트함으로써 위상차를 검출하여 양자화된 위상차신호를 출력하는 위상차 검출수단;
    상기 위상차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인터럽트 방식으로 벗어난 위상차만큼 평균하고 16비트로 정규화하여 전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해당하는 주파수의 시스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전압제어 발진수단;
    상기 전압제어 발진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주파수 범위로 분주하여 비교 클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위상차 검출수단으로 출력하는 분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검출수단의 구성은,
    상기 분주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를 일정한 범위 이내에서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값을 출력하는 계수수단;
    상기 계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의 카운트값을 상기 기준 클럭신호의 한 주기마다 검출하여 위상차값을 출력하는 위상차 출력수단;
    상기 위상차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값을 입력받아 일정횟수 덧셈하여 출력하는 제어값 생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수단은,
    상기 카운트값이 2진수 '01010001'이 되면 그에 따른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리셋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분주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의 하위비트 4비트를 생성하며, 상기 리셋신호 생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리셋신호에 따라 계수 초기화되어 2진수 '0000'부터 다시 카운트하는 제1카운터와,
    상기 분주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의 상위비트 4비트를 생성하며, 상기 리셋신호 생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리셋신호에 따라 계수 초기화되어 2진수 '1101'부터 다시 카운트하는 제2카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신호 생성수단은,
    카운트값 상위비트(P7∼P4)의 값이 2진수 '0101'일 때 하이의 논리값을 출력하는 제1앤드게이트와,
    카운트값 하위비트(P3∼P0)의 값이 2진수 '0001'일 때 하이의 논리값을 출력하는 제2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앤드게이트와 제2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가 모두 하이일 때에 로우의 로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카운터와 제2카운터로 출력하는 난드게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출력수단은,
    상기 분주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클럭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기준 클럭신호의 1주기마다 해당하는 이벤트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출력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비교 클럭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출력신호 생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신호가 하이로 인가될 때의 상기 계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트값을 검출하여 위상차값으로 하여 상기 제어값 생성수단으로 출력하는 제3디플립플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신호 생성수단의 구성은,
    비교 클럭신호가 클럭단자로 입력되고 기준 클럭신호가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1디플립플롭과,
    비교 클럭신호가 클럭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제1디플립플롭의 출력단자가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2디플립플롭과,
    상기 제1디플립플롭의 출력신호가 제1입력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제2디플립플롭의 출력신호가 반전되어 제2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4앤드게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값 생성수단의 구성은,
    상기 위상차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값을 입력받아 궤환 입력되는 직전의 가산 위상차값과 더하여 출력하는 가산기와,
    상기 기준 클럭신호를 십진수 '0'부터 '16'까지 순환 카운트하여 그 값이 십진수 '16'이 될 때마다 논리값 하이의 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3카운터와,
    상기 가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리셋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5앤드게이트와,
    비교 클럭신호가 클럭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제5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가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4디플롭플롭과,
    비교 클럭신호가 클럭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제4플립플롭의 출력신호가 입력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제3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기동하는 제5디플롭플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KR1019990022986A 1999-06-18 1999-06-18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KR100295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986A KR100295812B1 (ko) 1999-06-18 1999-06-18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US09/558,208 US6392496B1 (en) 1999-06-18 2000-04-26 Digital PLL circuit having a look-up table and method thereof
CNB001076175A CN1158766C (zh) 1999-06-18 2000-05-15 数字锁相环电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986A KR100295812B1 (ko) 1999-06-18 1999-06-18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922A true KR20010002922A (ko) 2001-01-15
KR100295812B1 KR100295812B1 (ko) 2001-07-12

Family

ID=1959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986A KR100295812B1 (ko) 1999-06-18 1999-06-18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92496B1 (ko)
KR (1) KR100295812B1 (ko)
CN (1) CN1158766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754B1 (ko) * 2001-01-29 2003-01-10 (주)텔레필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의 위상 검출기
KR20160128465A (ko) 2013-08-28 2016-11-07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이의 경화물, 및 광반도체 장치
KR20190044995A (ko) * 2017-10-23 2019-05-02 주식회사 유진로봇 이동성 거울을 이용한 광 송수신기, 3차원 거리 측정 장치, 및 이동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4674B1 (en) * 1999-09-24 2005-08-23 Mentor Graphics Corporation Clock generation and distribution in an emulation system
JP2002077125A (ja) * 2000-09-01 2002-03-15 Fujitsu Ltd クロック同期方法及びクロック同期回路並びにその回路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2002280897A (ja) * 2001-03-15 2002-09-27 Nec Corp フルディジタルpll回路
TWI245491B (en) * 2001-10-24 2005-12-11 Macronix Int Co Ltd Digital phase-locked loop compiler
US6747521B1 (en) * 2002-07-26 2004-06-08 Zeevo, Inc. Analog memory cell in a low power oscillator
US7221727B2 (en) * 2003-04-01 2007-05-22 Kingston Technology Corp. All-digital phase modulator/demodulator using multi-phase clocks and digital PLL
CN1741389B (zh) * 2004-08-26 2014-06-11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具有非线性相位误差反应特性的锁相环
US7142062B2 (en) * 2004-12-30 2006-11-28 Nokia Corporation VCO center frequency tuning and limiting gain variation
CN100459433C (zh) * 2005-10-10 2009-02-0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字逻辑锁相环的实现装置
US8487707B2 (en) 2006-08-08 2013-07-16 Mstar Semiconductor, Inc. Frequency synthesizer
US7272078B1 (en) * 2006-10-12 2007-09-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fficient clock calibration in electronic equipment
JP2008275407A (ja) * 2007-04-27 2008-11-13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集積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の検査方法
CN101174940B (zh) * 2007-10-22 2010-09-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非线性参数调节锁相环的方法和装置
CN101699769B (zh) * 2009-10-27 2012-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锁相环环路带宽校准方法、系统及电子设备
US9077375B2 (en) * 2011-12-21 2015-07-07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DTC system with high resolution phase alignment
DE102012212397B4 (de) 2011-12-21 2024-02-29 Apple Inc. Schaltung und Verfahren
KR20160006501A (ko) * 2014-07-09 2016-01-19 삼성전기주식회사 주파수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방법
CN107109925A (zh) * 2014-12-31 2017-08-29 哈利伯顿能源服务公司 使井下接头同步
KR102375949B1 (ko) * 2015-01-02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합성기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9039572A (zh) * 2018-06-19 2018-12-18 上海卫星工程研究所 一种实现突发模式下星上信息接收单机时钟同步的电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6294A (en) * 1990-12-03 1991-07-30 Motorola Inc. Phase locked loop having low-frequency jitter compensation
US5373255A (en) * 1993-07-28 1994-12-13 Motorola, Inc. Low-power, jitter-compensated phase locked loop and method therefor
US5576664A (en) * 1995-11-02 1996-11-19 Motorola, Inc. Discrete time digital phase locked loo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754B1 (ko) * 2001-01-29 2003-01-10 (주)텔레필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의 위상 검출기
KR20160128465A (ko) 2013-08-28 2016-11-07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이의 경화물, 및 광반도체 장치
KR20190044995A (ko) * 2017-10-23 2019-05-02 주식회사 유진로봇 이동성 거울을 이용한 광 송수신기, 3차원 거리 측정 장치, 및 이동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8675A (zh) 2001-01-03
KR100295812B1 (ko) 2001-07-12
CN1158766C (zh) 2004-07-21
US6392496B1 (en) 200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5812B1 (ko) 고속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US9002488B2 (en) Clock synthesis systems, circuits and methods
EP1816741B1 (en) Phase detector
US6331999B1 (en) Serial data transceiver architecture and test metho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jitter within a serial data stream
US6125158A (en) Phase locked loop and multi-stage phase comparator
US5550878A (en) Phase comparator
CA2087516C (en) High precision digital phase comparator
JP2924765B2 (ja) ディジタルサンプリング型位相同期回路
US10394191B1 (en) Time-to-digital converter
US5436628A (en) Programmable frequency timing generator with phase adjust
US6970525B1 (en) High-speed, high granularity baud clock generation
JP2531269B2 (ja) 同期検出方式
KR920010379B1 (ko) 동기식 다중장치에서의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장치
JP2882385B2 (ja) クロック位相同期回路
KR960015938B1 (ko) 디지탈위상고정루프를이용한주파수합성회로
JPH01122211A (ja) デイジタル・アナログ変換装置のオフセツト補正回路
JP2996266B2 (ja) デジタルpll回路
KR0184186B1 (ko) 디지탈처리 위상동기루프의 위상 검출장치
JPH05243980A (ja) クロックホールドオーバ回路
JP2765417B2 (ja) クロック抽出回路
JP3204175B2 (ja) クロック位相同期回路
JPH1155111A (ja) 同期発振回路
JP2921461B2 (ja) 位相同期クロック信号生成装置
JPH04368020A (ja) 周波数シンセサイザ
KR20020063368A (ko) 디지털 위상동기루프의 위상 검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