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582A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582A
KR20000076582A KR1020000004867A KR20000004867A KR20000076582A KR 20000076582 A KR20000076582 A KR 20000076582A KR 1020000004867 A KR1020000004867 A KR 1020000004867A KR 20000004867 A KR20000004867 A KR 20000004867A KR 20000076582 A KR20000076582 A KR 20000076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rotary brush
suction hole
main body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7939B1 (ko
Inventor
오쿠다아스시
하마다아투오
사카다쇼지
요시미가즈요시
가마타니가즈마사
다카하시노부아키
우에야마슈조
수에투구나오키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76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44B1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마루용 흡입기구의 외관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회전브러시로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를 효율 좋게 본체로의 흡입구멍으로 흡입시킬 수 있는 전기청소기(직립형 청소기)를 제공한다.
하면에 가로로 긴 흡입구가 형성되며, 이 흡입구에 면해서 회전브러시를 수납하는 회전브러시 수납실(6)을 갖고, 그 후면벽(6a)에 일단측에 청소기본체로의 흡입구멍(9)가 형성된 마루용 흡입기구를 구비한 직립형(upright type)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 수납실(6)의 상부에 회전브러시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그 회전궤적에 근접하는 리브(12)를 설치하여, 회전브러시에 의해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를 상기 리브(12)로 둑 막음시켜 청소기본체로의 흡입구멍(9)에 흡입되는 공기유로(13)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 {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브러시 부착형의 마루용 흡입기구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청소기(마루 이동형 청소기)의 마루용 흡입기구는, 하면에 가로로 긴 흡입구가 형성되며, 이 흡입구에 면해서 회전브러시를 수납하는 회전브러시 수납실을 갖고, 그 후면벽 중앙부에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융단 등의 청소시에는, 회전브러시에 의해 융단면으로부터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塵埃)가 중앙부에 형성된 본체로의 흡인구멍에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른바 직립형 청소기에 있어서는, 흡입기구는, 상기 일반적인 전기청소기의 마루용 흡입기구 보다 대형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형성된 가로로 긴 흡입구도 청소 얼룩을 감소시키기 위해 될 수 있는대로 흡입기구의 폭 전체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립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미국, 영국 등의 지역에서는, 비교적 융단의 털길이가 길기 때문에, 융단의 털속에 들어있는 쓰레기·먼지 등을 효율 좋게 긁어 낼 수 있도록 직립형 청소기에 사용되는 회전브러시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흡입구의 전후방향의 폭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직립형 청소기의 마루용 흡입기구는, 흡입기구의 중앙부에 청소기본체가 위치하기 때문에, 회전브러시 수납실로부터 청소기본체로의 흡입구멍을 좌우 어느 한쪽으로 편위시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특히 직립형 청소기에 있어서는, 흡입구가 상술한 일반적인 전기청소기의 마루용 흡입기구의 흡입구 보다 크게 되기 때문에, 진공도가 올라가기 어렵고 흡입 풍속도 떨어지게 되어, 쓰레기·먼지가 흡인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회전브러시 수납실내에는 흡인구멍에 흡입되는 흡기류(吸氣流)가 발생함과 동시에 회전브러시의 회전에 의해 회전브러시 수납실 내벽과의 간격에 회전기류가 발생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직립형 청소기에 있어서는, 진공도가 올라가기 어려워 흡입속도도 늦어지기 때문에 회전브러시에 의해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가 흡인구멍으로 흡입되지 못하고 회전브러시에 의한 회전기류를 타고 재차 청소면(융단면)으로 되돌아 가게 되어, 흡입 잔류로 되어 흡진효율이 낮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회전브러시 수납실로부터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을 한쪽으로 편위시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측의 흡인력이 약화되어, 타단측에 있어서 상술한 흡입 잔류가 많이 발생한다는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미국 특허 제 4,178,653호에는, 회전브러시 수납실의 상부 내벽에 길이 방향에 걸쳐 오목홈을 형성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회전브러시와 회전브러시 수납실의 상부 내벽과의 사이에는 여전히 변하지 않는 간격이 있기 때문에, 흡인구멍으로부터 떨어진 곳에서는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가 회전브러시에 의한 회전기류를 타고 재차 청소면으로 되돌아 가기 쉬워 흡인 잔류(잔류 쓰레기 및 먼지)가 발생한다는 결점은 별로 해소되지 않는다.
또, 회전브러시 수납실의 상부 내벽에 오목홈을 형성한다는 것은, 그 외면에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회전브러시 수납실의 상벽을 2중 구조로 하지 않는한, 마루용 흡입기구의 외관성을 손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마루용 흡입기구의 외관성을 손상되게 하는 일 없이 회전브러시로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를 효율 좋게 본체로의 흡인구멍에 흡입시킬 수가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체로 흡입하는 흡인구멍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도 흡입하기 쉽게 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직립형 청소기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동 저면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루용 흡입기구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부분의 이면도.
도 4는, 마루용 흡입기구의 세로 단면도로서,
(a)는 A-A 단면도, (b)는 B-B 단면도, (c)는 C-C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직립형 청소기의 외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마루용 흡입기구의 상부케이스부분의 이면도.
도 7은, 동 상기 마루용 흡입기구의 B-B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직립형 청소기의 저면도.
도 9는, 동 마루용 흡입기구의 세로 단면도로서,
(a)는 A-A 단면도, (b)는 B-B 단면도, (c)는 C-C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청소기본체 2. 마루용 흡입기구
2a. 상부케이스 2b. 하부케이스
4. 흡입구 5. 회전브러시
6. 회전브러시 수납실 6a. 후면벽
9. 흡입구멍 12, 12a∼12d. 리브
13. 공기유로 14. 개구
15. 가요성 호스 16. 유입로
17. 가는 홈 18. 연통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면에 가로로 긴 흡입구가 형성되며, 이 흡입구에 면하여 회전브러시를 수납하는 회전브러시 수납실을 갖고, 그 후면벽에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이 형성된 마루용 흡입기구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 수납실에 회전브러시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그 회전궤적에 근접하는 리브를 설치하여, 회전브러시에 의해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를 상기 리브에 의해 둑막음하여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에 흡입시키는 공기유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하면에 가로로 긴 흡입구가 형성되며, 이 흡입구에 면 회전브러시를 수납하는 회전브러시 수납실을 갖고, 그 후면벽의 일단측에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이 형성된 마루용 흡입기구를 구비한 직립형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 수납실에 회전브러시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그 회전궤적에 근접하는 리브를 설치하고, 회전브러시에 의해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를 상기 리브에 의해 둑막음하여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에 흡입시키는 공기유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브를 해당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로의 단면적이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에 근접할수록 크고 멀어질수록 작게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에서 떨어진 단부측에, 상기 공기유로에 외기를 도입하는 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에서 떨어진 단부측에, 상기 공기유로에 청소기본체로부터의 배기(排氣)를 도입하는 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리브를 복수로 분할하여, 상기 공기유로로의 유입로를 형성하도록 인접하는 리브의 일부를 중복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실시의 형태)
이하,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원 발명을 직립형 청소기에 적용한 것으로서, 직립형 청소기에는, 세로형의 청소기본체(1)의 하부에 마루용 흡입기구(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본체 조작용 핸들(3)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청소기본체(1)은 마루용 흡입기구(2)에 대하여 후방으로 기울여 눕혀지는 것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청소기본체(1)을 후방으로 경사지게 누인 상태로 본체 조작용 핸들(3)을 잡고 전후로 이동시키므로서 융단이나 마루면을 청소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마루용 흡입기구(2)는 외곽이 상부케이스(2a)와 하부케이스(2b)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저면측 전면부에 가로로 긴 흡입구(4)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4)에 면해서 회전브러시(5)를 수납하는 회전 브러시 수납실(6)을 갖고 있다.
상기 회전브러시(5)는 파워-브러시라고 칭하는 것으로서, 청소기본체(1)의 아래쪽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전동송풍기의 회전축에 벨트 등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브러시 수납실(6)내의 후면벽(6a)측으로 쓰레기·먼지를 긁어올리는 방향(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마루용 흡입기구(2)의 저면측 전방에는 좌우 한쌍의 전륜(7, 7)이 설치되어 있으며, 청소기본체(1)의 하부 후방에는 좌우 한쌍의 후륜(8, 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루용 흡입기구(2)의 배면 일단측에는, 회전브러시 수납실(6)의 후면벽(6a) 일단측에 형성된 본체(1)로의 흡인구멍(9)에 연통하는 파이프(10)이 접속되며, 이 파이프(10)에 호스(11)의 선단부가 착탈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이 호스(11)은, 청소기본체(1)내의 집진실로의 흡입통[청소기본체(1)의 배면측]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2a)에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브러시 수납실(6)의 상부에 위치하여 회전브러시(5)의 길이 방향에 걸쳐 그 회전궤적에 근접하는 리브(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12)에 의해 회전브러시(5)에 의해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를 막아 청소기본체(1)로의 흡인구멍(9)에 흡입시키는 공기유로(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리브(12)는, 해당 리브(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로(13)의 단면적이 청소기본체(1)로의 흡인구멍(9)에 가까울수로 크고, 멀어질수록 작게 되도록 회전브러시(5)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3 및 도4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12)는 청소기본체(1)로의 흡인구멍(9)로부터 멀어질수록 회전브러시 수납실(6)의 후면벽(6a)와의 간격이 좁게 되며, 흡인구멍(9)에 가까울수록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것에 의해 회전브러시(5)와의 위치관계가 변화되기 때문에, 회전브러시(5)의 회전궤적과의 간격이 회전브러시(5)의 길이방향의 어느 지점에서도 근접한 미소한 간격(S)로 되도록, 상부 케이스(2a)로부터의 달아 내린 길이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청소기본체(1)로의 흡인구멍(9)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타단측에는, 상부케이스(2a)의 상면에 관통하여 상기 공기유로(13)에 외기를 도입하는 개구(작은 구멍)(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직립형 청소기를 사용하여, 융단 등을 청소하는 때에는, 청소기본체(1)의 아래쪽에 내장된 전동송풍기가 구동되는 것에 의해 본체(1)내의 집진실로부터 호스(11), 파이프(10)을 통하여 회전브러시 수납실(6)의 후면벽(6a) 일단측에 형성된 흡인구멍(9)로부터 회전브러시 수납실(6)내가 흡인됨과 동시에, 회전브러시(5)가 도 4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브러시(5)의 회전에 의해 융모면으로부터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는 흡인구멍(9)의 가까이에서는 흡인력이 강하기 때문에 그대로 흡인구멍(9)에 흡입되지만, 흡인구멍(9)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흡인력이 약화되기 때문에 회전브러시(5)에 의한 회전기류에 끌려 회전브러시 수납실(6)의 위쪽을 통하여 전방측으로 돌아 들어가려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회전브러시 수납실(6)의 위쪽에는, 상부케이스(2a)로부터 회전브러시(5)의 회전궤적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수직으로 설치된 리브(12)가 있기 때문에, 이 리브(12)가 둑의 역할을 하여 쓰레기·먼지를 막아주어 먼지가 회전브러시 수납실(6)의 후면벽(6a)와 리브(12)간에 형성된 공기유로(13)에 집중된다.
이들 쓰레기·먼지는, 공기유로(13)을 흐르는 공기류에 편승하여 본체(1)로의 흡인구멍(9)로 흡입되어 가기 때문에, 회전브러시(5)에서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를 효율좋게 본체(1)로의 흡인구멍(9)에 흡입시킬수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직립형 청소기에서는, 구조상, 본체(1)로의 흡인구멍(9)를 중앙부에 설치하기 어려워 일단측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타단측으로 갈수록 흡인력의 저하가 커져 회전브러시(5)에 의한 회전기류에 편승하여 흘러들기 쉽게 되지만, 이와 같은 곳에서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라도 리브(12)가 둑의 역할을 하여 공기유로(13)에 의해 흡인구멍(9)로 유도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이다.
또, 상기 리브(12)는, 해당 리브(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로(13)의 단면적이 본체(1)로의 흡인구멍(9)에 근접할수록 크고 멀어질수록 작게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구멍(9)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약화되는 흡인력의 저하를 공기유로(13)의 단면적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본체(1)로의 흡인구멍(9)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라도 흡인하기 쉽게 된다.
더욱이, 청소기본체(1)로의 흡인구멍(9)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단부측에는, 상기 공기유로(13)에 외기를 도입하는 개구(1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구멍(9)로부터 떨어진 단부측에 있어서 공기류가 얻어지기 어려운 곳에 외기의 유입에 의한 공기류가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먼지의 흡입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이들도, 본체(1)로의 흡인구멍(9)를 중앙부에 설치하기 어려워 일단측에 설치한 직립형 청소기에서는 타단측에서의 흡인력의 저하가 커지기 쉽고, 공기류도 얻기 어려워 약화되기 쉽게 되므로 특히 유효하다.
또, 회전브러시 수납실(6)내에 리브(12)가 형성되므로, 외부에 볼록부 등이 나타나지 않아 마루흡입구(2)의 외관성도 손상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직립형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이며,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청소기본체(1)로의 흡인구멍(9)로부터 가장 떨어진 단부측에 형성한 개구(작은 구멍)(14)와 청소기본체(1)내의 배기실을 주름형상의 가요성 호스(15)로 접속하여, 상기 실시형태에서 회전브러시 수납실(6)에 형성한 공기유로(13)에 배기를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기를 그대로 도입하도록 하였지만, 그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더욱 배기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공기류가 얻어지기 어려운 단부측에 충분한 공기류를 확보시킬 수가 있어 쓰레기·먼지의 흡입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또, 상기 가요성 호스(15)는, 청소기본체(1)을 마루용 흡입기구(2)에 대하여 후방으로 최대한으로 눕혀도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이다.
도 6, 도 7은,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마루용 흡입기구의 상부 케이스 부분의 이면도와 그 B-B 단면도이고,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던 리브(12)를 복수[여기에서는 4편의 리브(12a∼12d)]로 분할하고, 공기유로(13)으로의 유입로(16)을 형성하도록, 인접하는 리브(12a와 12b, 12b와 12c, 12c와 12d)의 일부가 유입로(16)폭의 간격을 갖고 중첩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 각 리브(12a∼12d)의 흡인구멍(9)측 단부는, 공기유로(13)측으로 향하고 있으며, 좁은 유입로(16)으로부터 유입하는 공기가 공기유로(13) 전체폭으로 퍼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저면측 흡입구(4)의 전방으로부터 회전브러시(5)의 앞측을 통하여 흡인된 공기도 유입로(16)으로부터 흡기유로(13)에 흡입되기 때문에, 공기유로(13)의 공기류가 증대하여, 쓰레기·먼지의 흡입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도 8, 도 9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와 그 A-A, B-B, C-C 단면도이며, 일예로서, 상기 도1∼도5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것에 새로운 개량을 부가한 것으로, 그들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입구(4)가 형성된 마루용 흡입기구(2)의 저면측의 전면 가장자리로부터 코너부에 걸쳐 단면이 대략 3각 형상의 가는 홈(17)을 형성하고, 양측에 흡입구(4)와 가는 홈(17)간의 저면부분을 오목하게한 연통부(18, 18)을 형성한 것이다.
직립형 청소기는 구조상, 흡입구(4)의 개구도 크고, 진공도가 올라가기 어려우며, 흡입 풍속도 그다지 커지지 않기 때문에, 모래 등의 무거운 쓰레기·먼지는 흡인하기 어렵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가는 홈(17)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가는 홈(17)내를 통하는 흡입풍속이 증대되어 모래 등의 무거운 쓰레기라도 흡입하기 쉽게 된다.
또, 상기 가는 홈(17)은 마루용 흡입기구(2)의 저면측 전면 가장자리로부터 코너부분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루용 흡입기구(2)의 구조상, 회전브러시(5)가 미치지 못하는 벽끝이나 코너부분의 쓰레기·먼지도 상기 가는 홈(17)로서 흡인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는 홈(17)을 마루용 흡입기구(2)의 저면측의 전면 가장자리로부터 코너부분에 걸쳐 형성하였지만, 흡입구(4)의 후측에도 설치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또, 상기 가는 홈(17)의 단면적이 연통부(18)에 근접할수록 크고, 멀어질수록 작게 되도록 형성하면, 상기 리브(12)에 의해 형성한 공기유로(13)과 동일한 작용으로, 모래 등과 같은 무거운 쓰레기·먼지의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통부(18)을 양측의 2개소에 형성하였지만, 또한 중앙부에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직립형 청소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일반적인 마루 이동형 청소기에 적용하여도 일정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브러시 수납실에 회전브러시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그 회전궤적에 근접하는 리브를 설치하여, 회전브러시에 의해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를 상기 리브에 의해 둑 막음하고 청소기 본체로의 흡입구멍에 흡입시키는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회전브러시에 의해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가 리브에 의해 둑 막음되어 흡인구멍으로의 공기유로에 집중되게 되어 쓰레기·먼지의 흡입 효율이 향상된다.
또, 회전브러시 수납실내에 리브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에 볼록부 등이 형성되지 않아, 마루용 흡입기구의 외관성도 손상되지 않는다.
특히, 구조상, 본체로의 흡인구멍을 중앙부에 설치하기 어려워 일단측에 설치한 직립형 청소기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흡인구멍과는 반대측에서의 흡인력의 저하기 커 회전브러시에 의한 회전기류에 편승하기 쉬운곳에서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라도 리브로서 둑 막음하여 흡인구멍으로의 공기유로에 유도될 수가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리브를, 해당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로의 단면적이 청소기 본체로의 흡인구멍에 가까울수록 크고, 멀어질수록 작게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흡인구멍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약하게 되는 흡인력의 저하를 공기유로의 단면적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본체로의 흡인구멍으로부터 먼 위치에서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라도 흡인하기 쉽게 된다.
또,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측에 상기 공기유로에 외기를 도입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흡인구멍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측의 공기류가 얻어지기 어려운 곳에 외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공기류를 확보할 수가 있어 흡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측에, 상기 공기유로에 청소기본체로부터의 배기를 도입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배기압이 더욱 상승되어 외기류가 얻어지기 어려운 단부측에 충분한 공기류를 확보할 수가 있어 흡입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또, 상기 리브를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공기유로로의 유입로를 형성하도록 인접하는 리브의 일부를 중복시켜 설치하는 것에 의해, 공기유로를 흐르는 공기류가 증대하기 때문에, 흡입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이들도, 본체로의 흡인구멍을 중앙부에 설치하기 어려워 일단측에 설치한 직립형 청소기에서는, 타단측에서의 흡인력의 저하가 크게 되기 쉽고 공기류도 얻기 어려워 흡입압이 약화되기 쉬우므로 특히 유효하다.

Claims (6)

  1. 하면에 가로로 긴 흡입구가 형성되며, 이 흡입구에 면하여 회전브러시를 수납하는 회전브러시 수납실을 갖고, 그 후면벽에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이 형성된 마루용 흡입기구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 수납실에 회전브러시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그 회전궤적에 근접하는 리브를 설치하고, 회전브러시에 의해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를 상기 리브에 의해 둑 막음하여 청소기본체로의 흡입구멍에 흡입시키는 공기유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하면에 가로로 긴 흡입구가 형성되며, 이 흡입구에 면하여 회전브러시를 수납하는 회전브러시 수납실을 갖고, 그 후면벽의 일단측에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이 형성된 마루용 흡입기구를 구비한 직립형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 수납실에 회전브러시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그 회전궤적에 근접하는 리브를 설치하고, 회전브러시에 의해 긁어올려진 쓰레기·먼지를 상기 리브에 의해 둑 막음하여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에 흡입시키는 공기유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를, 해당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로의 단면적이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에 근접할수록 크고 멀어질수록 작게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측에, 상기 공기유로에 외기를 도입하는 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본체로의 흡인구멍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측에, 상기 공기유로에 청소기본체로부터의 배기를 도입하는 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를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공기유로로의 유입로를 형성하도록 인접하는 리브의 일부를 중복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20000004867A 1999-04-05 2000-02-01 전기청소기 KR100357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9738799A JP3574000B2 (ja) 1999-04-05 1999-04-05 電気掃除機
JP11-97387 1999-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582A true KR20000076582A (ko) 2000-12-26
KR100357939B1 KR100357939B1 (ko) 2002-10-25

Family

ID=1419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867A KR100357939B1 (ko) 1999-04-05 2000-02-01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39577B1 (ko)
JP (1) JP3574000B2 (ko)
KR (1) KR100357939B1 (ko)
CN (1) CN1155325C (ko)
GB (1) GB23485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1297B2 (en) * 2003-04-30 2007-10-16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Floor cleaning apparatus equipped with multiple agitators and an agitator hood with baffle
US7246409B2 (en) * 2003-09-26 2007-07-24 Oreck Holdings, Llc Manually-powered floor sweeper with vacuum port
KR101084122B1 (ko) * 2004-07-30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60019740A (ko) * 2004-08-30 2006-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구조
DE102007036156B4 (de) * 2007-08-02 2013-06-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augbürstenvorrichtung für ein Staubsammelgerät, insbesondere für einen Staubsammelroboter, sowie ein eine solche Saugbürstenvorrichtung enthaltendes Staubsammelgerät, insbesondere Staubsammelroboter
DE102007036155B4 (de) * 2007-08-02 2012-04-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augbürstenvorrichtung für ein Staubsammelgerät, insbesondere für einen Staubsammelroboter, sowie ein eine solche Saugbürstenvorrichtung enthaltendes Staubsammelgerät, insbesondere Staubsammelroboter
US9820626B2 (en) 2008-03-17 2017-11-21 Aktiebolaget Electrolux Actuator mechanism for a brushroll cleaner
US10117553B2 (en) 2008-03-17 2018-11-06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nozzle for a vacuum cleaner
CN103549921B (zh) 2008-03-17 2017-01-11 伊莱克斯家用产品有限公司 具有清洁部件的搅拌器
US9295362B2 (en) 2008-03-17 2016-03-29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agitator cleaner with power control
KR101556965B1 (ko) * 2009-04-23 2015-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노즐 조립체
US9314140B2 (en) 2011-10-26 2016-04-19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nozzle for a vacuum cleaner
US9993847B2 (en) 2012-02-02 2018-06-12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arrangement for a nozzle of a vacuum cleaner
US10045672B2 (en) 2012-12-21 2018-08-14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arrangement for a rotatable member of a vacuum cleaner, cleaner nozzle, vacuum cleaner and cleaning unit
US9072416B2 (en) 2013-03-15 2015-07-07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agitator cleaner with brushroll lifting mechanism
EP3289946B1 (en) 2013-05-02 2021-03-31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nozzle for vacuum cleaner
GB2516839B (en) * 2013-07-31 2015-12-02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GB201313707D0 (en) * 2013-07-31 2013-09-11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JP6357645B2 (ja) * 2014-06-11 2018-07-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GB2529819B (en) * 2014-09-02 2017-06-14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KR101903238B1 (ko) * 2016-08-25 201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JP7160524B2 (ja) * 2017-08-02 2022-10-2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CN113384220B (zh) * 2021-06-10 2022-07-01 四川大学 一种便携式多功能型等离子体杀菌除尘除螨仪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76004A (en) * 1912-04-19 1923-12-04 William V Orr Vacuum cleaning device
GB877778A (en) 1959-07-01 1961-09-20 Cimex Ltd Improvements in vacuum floor-cleaning machines
DE1918565A1 (de) 1969-04-11 1970-10-15 Staehle Kg G Teppichreinigungs- und Kehrmaschine
US4178653A (en) * 1978-01-26 1979-12-18 The Hoover Company Improved agitator chamber
US4426751A (en) * 1982-01-21 1984-01-24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cleaner nozzle with double brush
IT8423851V0 (it) 1984-11-21 1984-11-21 Cavalli Alfredo Apparecchio elettrodomestico polifunzionale particolarmente per la pulitura di pavimenti, tappeti e moquettes in opera e simili.
US5513418A (en) * 1994-06-27 1996-05-07 The Hoover Company Suction nozzle with ducting
JP3276894B2 (ja) * 1997-08-29 2002-04-2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回転ブラシ
US6115880A (en) * 1998-10-05 2000-09-12 Castex Incorporated Vacuum cleaner configu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48598A (en) 2000-10-11
GB2348598B (en) 2003-09-03
JP2000287894A (ja) 2000-10-17
JP3574000B2 (ja) 2004-10-06
KR100357939B1 (ko) 2002-10-25
GB0008294D0 (en) 2000-05-24
CN1269194A (zh) 2000-10-11
US6539577B1 (en) 2003-04-01
CN1155325C (zh)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7939B1 (ko) 전기청소기
KR101018971B1 (ko) 에지-청소 덕트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노즐 조립체
JP5165027B2 (ja) 表面処理電気器具のためのツール
KR100361876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진공 청소기
JP2006312066A (ja) 電気掃除機
KR101457162B1 (ko) 진공청소기
JP2007282768A (ja) 電気掃除機
JP2000166826A (ja) 電気掃除機
KR100439007B1 (ko) 전기청소기의 마루용 흡입구
KR100504919B1 (ko) 청소기의 흡입노즐 구조
TW201622631A (zh) 吸嘴
KR100603207B1 (ko) 공기분출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JP2003093283A (ja) 電気掃除機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0400567B1 (ko) 진공청소기
CN218074851U (zh) 用于清洁机的清洁模块及清洁机
CN218852579U (zh) 一种用于清洁机的清洁模块及清洁机
JP3749056B2 (ja) 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4347538B2 (ja) 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00001454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불기겸용 흡입구의 구조
KR20010055314A (ko)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환류공기 유로구조
KR100205687B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구조
KR100596228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JP2002085303A (ja) 電気掃除機
EP4236747A1 (en) Sealing member for a vacuum cleaner nozzle
KR200245233Y1 (ko) 진공청소기용 측면 흡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