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228B1 -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228B1
KR100596228B1 KR1020040089580A KR20040089580A KR100596228B1 KR 100596228 B1 KR100596228 B1 KR 100596228B1 KR 1020040089580 A KR1020040089580 A KR 1020040089580A KR 20040089580 A KR20040089580 A KR 20040089580A KR 100596228 B1 KR100596228 B1 KR 100596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uction
vacuum cleaner
guide groove
cor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775A (ko
Inventor
김용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89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228B1/ko
Publication of KR2006004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 하부 양측으로는 롤러를 구비하고, 내측으로는 이물질의 흡입공간을 제공하는 흡입홈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흡입 파이프와 연통된 구조의 흡입구가 형성되고, 전방 하부에 결합된 상기 롤러의 내측에는 모서리와 같은 구석진 부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다수의 안내홈이 형성된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각 안내홈은, 전방부 간격이 후방부 간격 보다 좁게 형성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 하부의 롤러 사이에 형성된 안내홈의 전방부 간격을 후방부 간격보다 좁게 형성하여 청소과정에서 진공펌프의 부압에 따른 안내홈의 전방부 간격 흡입압력이 후방부 간격 흡입압력 보다 크게 발생되고, 이에 따라 안내홈의 전방을 통해 후방으로 갈수록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는, 청소과정에서 벽체의 모서리와 같은 구석진 곳의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브러쉬가 지나가지 않는 일정범위내에 있는 이물질까지 제거함으로써 청소가 보다 효율적으로 아루어지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진공청소기, 브러쉬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브러쉬{BRUSH FOR VACUUM CLEANER}
도 1은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의 일례를 도시한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러쉬 12,13,14,15 : 롤러
16 : 안내홈 16A : 전방부
16B : 후방부 17 : 흡입홈
18 : 흡입구 20 : 흡입 파이프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방 하부의 롤러 사이에 형성된 안내홈의 전방부의 간격을 후방부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모서리와 같은 구석진 장소의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펌프의 동작에 따른 부압에 의해 먼지나 오물 등을 흡입하여 포집함으로써 바닥면이나 틈새에 대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 진공청소기는 통상적으로 본체와 연결된 플랙시블 호스의 선단에 흡입 파이프가 연결되고, 상기한 흡입 파이프의 선단에 브러쉬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브러쉬는 흡입 가능면적을 증대시키는 한편, 하부에 구비한 솔 등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흡입 파이프의 선단에 결합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시키는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의 일례를 도시한 저면도로서,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브러쉬(100)의 배면으로는 흡입 파이프(120)가 연결되는 연결구(1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청소과정에서 전후방향에 대한 직진성을 부여하기 위해 고무재로 이루어진 롤러(112,113,114,115)가 전후방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진공청소기용 브러쉬(100)의 내측으로는 이물질의 흡입공간을 제공하는 흡입홈(117)이 측면 양측 및 배면으로 확장된 상태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흡입 파이프(120)와 연통된 구조의 흡입구(11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 하부에 결합된 롤러(112,113)의 내측에는 벽체의 모서리와 같은 구석진 장소의 이물질을 흡입구(118)로 안내도록 다수의 안내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각 안내홈(116)의 전방부 간격(116A)과 후방부 간격(116B)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브러쉬(100)는 흡입 파이프(120)의 선단을 통해 결합된 상 태에서 사용자가 브러쉬(100)를 전후방향으로 반복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흡입홈(117)을 통해 흡입된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 파이프(120)와 연통된 흡입구(118)로 포집시킨다.
그리고, 벽체의 모서리와 같은 구석진 곳의 청소시에는 이물질이 안내홈(116)을 통해 흡입되고, 안내홈(116)으로 흡입된 이물질은 흡입 파이프(120)와 연통된 흡입구(118)로 포집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브러쉬(100)는 벽체의 모서리나 기둥과 같은 장소의 먼지를 청소할 수 있도록 전방 하부의 롤러(112,113) 사이에 형성된 안내홈(116)의 전방부 간격(116A)과 후방부 간격(116B)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진공청소기 동작과정에서 진공펌프의 부압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압력이 안내홈(116)의 전방부 간격(116A)와 후방부 간격(116B)에 균일하게 작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먼지는 쉽게 제거가 가능한 반면, 벽체의 모서리와 같은 구석진 장소의 이물질은 쉽게 제거가 곤란하여 청소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방 하부의 롤러 사이에 형성된 안내홈의 전방부의 간격을 후방부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벽체의 모서리와 같은 구석진 장소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는,
전후방 하부 양측으로는 롤러(12,13,14,15)를 구비하고, 내측으로는 이물질의 흡입공간을 제공하는 흡입홈(17)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흡입 파이프(20)와 연통된 구조의 흡입구(18)가 형성되고, 전방 하부에 결합된 상기 롤러(12,13)의 내측에는 모서리와 같은 구석진 부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다수의 안내홈(16)이 형성된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각 안내홈(16)은, 전방부 간격(16A)이 후방부 간격(16B) 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의 저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브러쉬(10)는,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흡입 파이프(20)의 선단에 결합되어 바닥면 및 벽체의 모서리부와 같은 구석진 곳의 이물질을 흡입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후방 하부 양측에 롤러(12,13,14,15)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청소과정에서 본 발명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직진성을 부여하며, 내측으로는 이물질의 흡입공간을 제공하는 흡입홈(17)이 측면 양측 및 배면으로 확장된 상태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흡입 파이프(20)와 연통된 구조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을 흡입 파이프(20)를 통해 진공청소기 본체로 유입시키는 흡입구(18)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브러쉬(10)는, 상기와 같이 전방 하 부에 결합된 롤러(12,13)의 내측에 벽체의 모서리와 같은 구석진 장소의 이물질을 흡입구(18)로 안내도록 다수의 안내홈(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한 안내홈(16)의 전방부 간격(16A)은 좁고 흡입홈(17) 방향으로 갈수록 후방부 간격(16B)은 넓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진공청소기 동작과정에서 진공펌프의 부압에 의해 안내홈(16)으로 흡입압력이 발생될 경우 안내홈(16)의 전방 간격(16A)의 흡입압력이 후방부 간격(16B)의 흡입압력보다 크게 발생된다.
여기서, 안내홈(16)의 전방부 간격(16A)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안내홈(16)의 외측으로부터 안내홈(16)의 후방부까지 연장되는 유로 중에 안내홈(16)의 전방부에서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조를 이루므로 안내홈(16)의 외측이나 안내홈(16)의 후방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좁은 안내홈의 전방부를 지날 때는 유속이 증가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브러쉬(10)는 흡입 파이프(20)의 선단에 결합되어 진공청소기의 동작과정에서 진공펌프의 부압에 의해 먼지나 오물등을 흡입시키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하부에 형성한 흡입홈(17)에 의해 흡입 가능면적을 증대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청소과정에서 전후면에 결합된 롤러(12,13,14,15)에 의해 직진성을 갖는 한편,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후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진공청소기의 부압에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는 흡입홈(17)을 통해 흡입구(18)로 유입시켜 포집시키게 되고, 흡입구(18)에 포집된 이물질은 흡입 파이프(20)를 통해 진공청소기 본체로 유입된다.
그리고, 진공청소기로 벽체의 모서리와 같은 구석진 곳의 청소시에는 이물질 이 브러쉬(10)의 안내홈(16)을 통해 흡입되고, 이 안내홈(16)으로 흡입된 이물질은 흡입 파이프(20)와 연통된 흡입구(18)로 포집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도 3과 같이 안내홈(16)의 전방부 간격(16A)은 좁고 흡입홈(17) 방향으로 갈수록 안내홈(16)의 후방부 간격(16B)은 넓게 형성되어 있어 진공펌프의 부압에 의해 안내홈(16)으로 흡입압력이 발생될 경우 안내홈(16)의 전방부 간격(16A) 흡입압력이 후방부 간격(16B) 흡입압력보다 크게 발생되고, 이에 따라 안내홈(16)의 전방을 통해 후방으로 갈수록 유속이 빨라지게 되어 모서리와 같은 구석진 곳의 이물질이나 브러쉬가 지나가지 않는 일정범위내에 있는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에 따르면, 전방 하부의 롤러 사이에 형성된 안내홈의 전방부 간격을 후방부 간격보다 좁게 형성하여 청소과정에서 진공펌프의 부압에 따른 안내홈의 전방부 간격 흡입압력이 후방부 간격 흡입압력 보다 크게 발생되고, 이에 따라 안내홈의 전방을 통해 후방으로 갈수록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는, 청소과정에서 벽체의 모서리와 같은 구석진 곳의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브러쉬가 지나가지 않는 일정범위내에 있는 이물질까지 제거함으로써 청소가 보다 효율적으로 아루어지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전후방 하부 양측으로는 롤러(12,13,14,15)를 구비하고, 내측으로는 이물질의 흡입공간을 제공하는 흡입홈(17)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흡입 파이프(20)와 연통된 구조의 흡입구(18)가 형성되고, 전방 하부에 결합된 상기 롤러(12,13)의 내측에는 모서리와 같은 구석진 부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다수의 안내홈(16)이 형성된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각 안내홈(16)은, 전방부 간격(16A)이 후방부 간격(16B) 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KR1020040089580A 2004-11-05 2004-11-05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KR100596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580A KR100596228B1 (ko) 2004-11-05 2004-11-05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580A KR100596228B1 (ko) 2004-11-05 2004-11-05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775A KR20060040775A (ko) 2006-05-10
KR100596228B1 true KR100596228B1 (ko) 2006-07-03

Family

ID=3714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580A KR100596228B1 (ko) 2004-11-05 2004-11-05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2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775A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7939B1 (ko) 전기청소기
JP2005323999A (ja) ロボット掃除機
JP3955615B2 (ja) 空気調和機
KR101457162B1 (ko) 진공청소기
CN209808210U (zh) 用于湿式地面清洁设备的地面吸嘴
KR100688616B1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
KR100596228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TWI657784B (zh) 吸嘴
KR101192465B1 (ko) 로봇 청소기
KR101290990B1 (ko) 로봇 청소기
KR100504919B1 (ko) 청소기의 흡입노즐 구조
KR100549989B1 (ko)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KR20050099416A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CN219720569U (zh) 清洁设备及清洁头
KR100677514B1 (ko) 흡입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헤드
KR20070005430A (ko) 무배기 로봇청소기
CN209951157U (zh) 用于湿式清洁设备的地面吸嘴
KR101572436B1 (ko) 구석 청소 기능이 있는 진공청소기
KR100400567B1 (ko) 진공청소기
CN108553020B (zh) 刷体、地刷及吸尘器
CN111743454B (zh) 用于湿式地面清洁设备的地面吸嘴
KR101097131B1 (ko) 진공청소기
KR200358816Y1 (ko) 진공청소기의 플렉시블 흡입관
KR200332382Y1 (ko) 진공청소기
CN116138652A (zh) 清洁设备及清洁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