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483A - 클리이너 장치 - Google Patents

클리이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483A
KR20000076483A KR1020000002172A KR20000002172A KR20000076483A KR 20000076483 A KR20000076483 A KR 20000076483A KR 1020000002172 A KR1020000002172 A KR 1020000002172A KR 20000002172 A KR20000002172 A KR 20000002172A KR 20000076483 A KR20000076483 A KR 20000076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pper
closing member
chemic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0464B1 (ko
Inventor
다케다나카지
이나하라다카미쓰
Original Assignee
유야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야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유야마 쇼지
Publication of KR2000007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투입용 호퍼내에 잔류한 약제를 신속 또한 적확하게 제거한다.
개폐부재(4)는 약제투입용 호퍼(3)의 상방개구부를 개폐한다. 그리고, 개폐부재(4)에 의한 폐색시 약제투입용 호퍼(3)와 흡인장치(9)가 연통로에 의하여 연통된다. 제어수단은, 상기 개폐부재(4)에 의하여 약제투입용 호퍼(3)의 상방개구부를 폐색하여, 흡인장치(9)를 구동함과 동시에, 약제투입용 호퍼(3)의 바닥판(7)을 일정 치수 개방한다.

Description

클리이너 장치{CLEANER APPARATUS}
본 발명은, 약제투입용 호퍼의 클리이너(cleaner)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봉지 공급용의 약제투입용 호퍼(hopper)에서는, 내부에 약제가 잔류하였을 경우, 투입되는 종류의 상이한 약제와 혼합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은 클리이너 장치에 의하여 제거하도록 한다.
즉, 약제투입용 호퍼에 사용되는 클리이너 장치로서, 예컨대 가요성을 지닌 클리이너 호스를 사용하는 것(일본국 특개평 8-133201호 공보, 특개평 8-308906호 공보, 특개평 9-132201호 공보, 특개평 10-258111호 공보등 참조)이나, 진동을 이용하는 것(일본국 특개평 6-166412호 공보등 참조)이 있다.
그러나, 클리이너 호스를 사용하는 것에서는 세척할 때마다 인력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에는 소출(搔出) 장치 등이 있으며, 약제투입용 호퍼내에 클리이너 호스를 삽입하여 번거로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진동을 이용하는 것에서는 약제투입용 호퍼내에 부착한 약제가 진동에 의하여 박리하고, 그 자체무게에 의하여 낙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세척함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침강탄산칼슘, 유산칼슘 등의 약제는 고체화하기 쉽기 때문에, 이 문제는 명백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약제투입용 호퍼내에 잔류한 약제를 신속하며, 또한 적확하게 제거할 수 있는 약제투입용 호퍼의 클리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클리이너 장치를 채용한 약제포장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클리이너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개폐부재를 구동하여,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개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약제포장 장치에 의한 약제의 포장·청소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클리이너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제3실시형태에 관한 클리이너 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리이너 장치 2 : 밑판(base plate)
3, 16 : 약제투입용 호퍼(hopper) 4 : 개폐부재
5 : 직사각형 구멍 6 : 관통구멍
7 : 바닥판 8 : 초음파 진동부재
9 : 흡인장치 10 : 호스
11 : 제1연통구 12 : 제2연통구
15 : 제어장치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투입용 호퍼내에 잔류하는 약제를 제거하는 클리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이 개폐부재에 의한 폐색시, 약제투입용 호퍼와 흡입장치를 연통하는 연통로와, 상기한 개폐부재로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개구부를 폐색하고, 흡인장치를 구동함과 동시에, 약제투입용 호퍼의 밑판을 약간 개방하는 제어수단 등을 설치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흡인장치에 의한 흡인동작을 개시하면, 밑판에 의하여 약간 개방된 약제투입용 호퍼의 하방개구부를 통하여 약제투입용 호퍼내에 공기가 유입하고, 약제투입용 호퍼내에 잔류하는 약제는 개폐부재를 연통로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밑판에 의하여 약제투입용 호퍼의 하방개구부를 개폐 동작하도록 하면, 약제투입용 호퍼내가 부압으로된 다음 하방개구부에서 내부로 급속하게 공기가 유입함으로써, 약제투입용 호퍼내에서의 공기흐름이 급격하게 되므로, 잔류하는 약제가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한 개폐부재를 중공(속인 빈)으로 하여,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개구부에 개구하는 제1연통구와, 흡인장치에 접속되는 제2연통구를 구비하였음으서, 상기 연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개폐 부재에 의하여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개구부를 폐색하여, 상기 흡인장치로 약제투입용 호퍼내의 약제를 흡인하는 경우, 이 약제투입용 호퍼를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설치한다면, 약제투입용 호퍼에 부착한 약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를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 개구부로부터 일정한 틈새를 가지고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설치되었고, 상기 흡인장치에 의한 흡인시, 약제투입용 호퍼내가 부압으로 됨으로써 탄성 변형하여 상방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구성한다면, 개폐 부재를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보다 한층 적확하게 약제를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투입용 호퍼에 투입되는 약제의 종류가 변경될 때마다, 자동적으로 개폐부재가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개구부를 폐색하여, 흡인장치에 의한 약제의 제거작업을 개시하면, 인력을 개재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약제투입용 호퍼내에 잔류하는 약제를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클리이너 장치(1)를 채용한 약제포장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클리이너 장치(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판(2)의 하방에 배설한 약제투입용 호퍼(3)내에 잔류하는 약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개페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밑판(2)에는, 직사각형구멍(5) 및 관통구멍(6)이 각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약제투입용 호퍼(3)의 상방 개구부는 직사각형구멍(5)과 일치한다. 약제투입용 호퍼(3)의 하방 개구부는 바닥판(7)에 의하여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밑판(7)은, 스프링(도해 없음)에 의하여 상기 하방 개구부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약제투입용 호퍼(3)의 측벽바깥면에는 초음파 진동부재(예컨대, 특개평 6-166412호 공보등 참조)가 배설되어 있다. 이 초음파 진동부재(8)는 약제투입용 호퍼(3)의 안쪽면에 부착함을 방지하며, 또, 부착한 약제를 이탈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관통구멍(6)에는 흡인장치(도 1 참조)로부터 뻗은 호스(10)가 하면측으로부터 접속되어 있다. 흡인장치(9)는 도해 없는 필터 및 팬을 내장하는 종래부터 주지하는 구조이다.
상기한 개폐부재(4)는 속이 빈 대략 직방체 형상이고, 양단측 하면에 제1연통구멍(11) 및 제2연통구멍(12)이 각기 천설되어 있다. 개폐부재(4)는 도해 없는 구동기구에 의하여 밑판(2)의 상면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개폐부재(4)가 상기 직사각형구멍(5)을 폐색하고, 제1연통구멍(11)을 약제투입용 호퍼(3)내에 개구시킨 상태에서, 제2연통구멍(12)이 밑판(2)의 관통구멍(6)과 일치하여, 개폐부재(4)의 내부공간 및 호스(10)에 의하여 연통로가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약제포장 장치는 상기 클리이너 장치(1)의 외에, 밑판(2)의 상방측에 배설되는 약제공급장치(13)와, 하방측에 배설되는 약제포장 장치(14)와, 클리이너 장치(1), 약제공급장치(13) 및 약제포장 장치(14)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장치(15)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약제공급장치(13)는 약제공급용 호퍼(16), 분배접시(17) 및 소출(搔出)장치(18)를 구비하고 있다. 약제공급용 호퍼(16)에는 칭량(秤量)된 약제가 수용되어, 그 하단에 설치한 공급기(19)를 압전소자(진동모터등이라도 좋다.)에 의하여 진동시킴에 따라 분배접시(17)에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약제의 배출상황은 센서(21)에 의하여 검출된다. 분배접시(17)는 외주부에 공급기(19)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링형상의 수용홈(22)을 구비한 것으로, 펄스모터(23)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9-77020호 공보등 참조). 소출장치(18)는 펄스 모터(24)에 의하여, 분배접시(17)의 수용홈(22)에 수용된 약제를 1포만큼씩 긁어낸다(예컨대, 특개평 9-77020호 공보등 참조). 상기 압전소자(20), 펄스모터(23, 24)는 센서(21)에서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제1순차기(sequencer)(25)로부터의 지령신호에 따라서 구동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약제포장 장치(14)는 로울러(26)에 감긴 포장시이트(27)를 되돌려 감은 다음, 인쇄부(28)에서 소정의 인쇄를 하고 나서 1포만큼씩 가열 밀봉하여, 약제투입용 호퍼(3)로부터 낙하한 약제를 포장한다(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9-77020호 공보등 참조). 가열 밀봉용 모터(29a, 29b)는 제2순차기(30), 인쇄부(28)는 제3순차기(31)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하여 각기 구동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클리이너 장치(1)는 제4순차기(32)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하여 구동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순차기(25, 30, 31, 32)는, 제어장치(1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장치(15)는, 키보드, 스위치 등의 입력수단(33)으로부터 일정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신하여 순차기(25, 30, 31, 32)를 통하여 상기 각 구성 부재를 구동 제어토록 되어 있다.
이하, 상기 제어장치(15)에 의한 약제포장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4의 순서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먼저, 입력수단(33)에 의하여, 분포(分包) 동작의 제조건이 입력되어, 시동스위치가 조작되면, 포장 준비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1). 이 포장 준비처리에서는, 펄스모터(23)를 구동하여, 분배접시(17)의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압전소자(20)를 구동하고, 공급기(19)를 개재하여 약제공급용 호퍼(16)로부터 약제를 배출한다. 이 동안, 센서(21)에 의한 약제의 배출상태를 검출하여, 약제공급용 호퍼(16)로부터 전체약제가 배출되었다고 판단하면, 펄스모터(23) 및 압전소자(20)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배출된 약제는 분배접시(17)의 수용홈(22)에 균등하게 수용되어, 포장준비 처리가 완료한다.
이어서, 포장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2). 이 포장처리에서는, 초음파 진동부재(8)를 구동하여 약제투입용 호퍼(3)의 진동을 개시한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7)을 구동하여 약제투입용 호퍼(3)의 하방개구부를 개방한다. 그리고, 클리이너 장치(1)의 개폐부재(4)를 이동시켜, 밑판(2)의 직사각형 구멍(5)을 개방한다. 또, 가열밀폐용 모터(29a, 29b) 및 인쇄부(28)를 구동하여, 포장시트(27)에 인쇄를 함과 동시에, 약제투입용 호퍼(3)의 하방에 대략 삼각형상의 봉지부분(27a)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소출장치(18)를 구동하여, 1포만큼의 약제를 긁어냄으로서, 약제투입용 호퍼(3)를 개재하여 포장시트(27)의 봉지부분(27a)에 수용한다. 그리고, 가열밀봉용 모터(29)를 구동하여 봉지부분(27a)을 밀봉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약제를 1포만큼씩 포장하여, 분배접시(17)에 공급한 전체 약제에 대한 포장이 완료하면 포장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포장하는 약제의 종류가 변경되면, 다음과 같이하여 약제투입용 호퍼(3)내의 청소처리를 개시한다. 약제의 종류의 변경은, 입력수단(33)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판단한다. 단, 분배접시(17)에 공급한 전체약제의 포장이 종료할 때마다, 자동적으로 청소처리를 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먼저, 개폐부재(4)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판(2)의 직사각형구멍(5), 즉 약제투입용 호퍼(3)의 상방 개구부를 폐색한다(스텝 S3). 이에 따라, 약제투입용 호퍼(3)안과 흡인장치(9)등이 제1연통구(11), 개폐부재(4)의 내부공간, 제2연통구(12) 및 호스(10)로 구성된 연통로를 개재하여 연통한다. 또, 약제투입용 호퍼(3)의 바닥판(7)을 구동함으로써, 하방개구부를 폐색하는 위치와, 도 2에 나타낸 하방개구부를 약간 개방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 동작시킨다(스텝 S4). 또한, 초음파 진동부재(8)에 의하여 약제투입용 호퍼(3)를 진동시킨다(스텝 S5). 그리고, 흡인장치(9)의 구동을 개시하여, 약제투입용 호퍼(3)내의 공기를 잔류하는 약제와 함께 흡인한다(스텝 S6). 약제투입용 호퍼(3)의 내면에 부착한 약제는, 초음파 진동부재(8)에 의한 진동에 의하여 이탈한다. 또, 약제투입용 호퍼(3)의 바닥판(7)을 하방 개구부를 폐색하는 위치와 약간 개방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 동작시키므로, 약제투입용 호퍼(3)안이, 일단 부압으로 된 다음, 외부로부터 공기가 고속으로 유입하여, 난류(亂流) 상태로 되어서 효과적으로 잔류하는 약제를 연통로에 배출한다. 그리고, 약제투입용 호퍼(3)안의 약제가 문제가 없는 수준까지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는 설정시간(본 실시예에서는 3초)이 경과하면(스탭 S7), 초음파 진동부재(8), 흡인장치(9)의 구동을 정지하여(스텝 S8, S9), 바닥판(7)으로 약제투입용 호퍼(3)의 하방개구부를 폐색한다(스텝 S10). 또, 개폐부재(4)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제투입용 호퍼(3)의 상방 개구부를 개방하므로서(스텝 S11), 다음의 포장 장치에 대비한다.
그 위에, 상기 청소처리에 있어서의 흡인장치(9)의 정지는, 설정시간에 기초하여 실시하도록 하였으나, 예컨대 흡입장치(9)에 의한 흡인공기량에 기초하여 실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개폐부재(4)를 가요성을 갖도록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구성하였음에 따라, 이 개폐부재(4)를 밑판(2)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배설하여, 청소처리에서의 흡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시켜서 밑판(2)에 밀착시키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개폐부재(4)를, 청소처리 이외에서는, 밑판(2)과의 마찰이 없어, 개폐부재(4)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청소처리에서는 밑판(2)에 밀착하여 잔류약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클리이너 장치(40)를 보여주고 있다.
이 클리이너 장치(40)에서는 밑판(41)에 형성한 직사각형 구멍(42)에는 그 옆 가장자리의 일부에 나중에 설명하는 케이싱(49)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노치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밑판(41)의 하방에는 약제투입용 호퍼(44)와, 그 옆편에 위치하는 배출관(45)이 각기 배설되어 있다. 또, 밑판(41)과 약제투입용 호퍼(44) 및 배출관(45)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치수가 형성되었고, 거기에는 개페부재(46)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개폐부재(46)는 합성수지 재료 등의 가요성을 지닌 재료로 된 평판 형상체이고, 그 살 두께는 상기 틈새치수보다도 작은 값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46)의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개폐부재(46)에는 약제투입용 호퍼(44)의 상방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에서, 약제투입용 호퍼(44)의 상방 개구부에 연통하는 제1연통구(47)와, 배출관(45)의 흡인구(45a)에 연통하는 제2연통구(48)가 각기 천설되어 있다. 양 연통구(47, 48)는 개폐부재(46)의 상면에 설치한 케이싱(49)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또, 개폐부재(46)는 양측부를 밑판(41)의 하면에 설치한 베어링(50)에 의하여 안내되어 있다. 또한, 개폐부재(46)는 옆가장자리에 일체화된 랙(도해 없음), 및 모터(51)의 회전축에 설치한 피니언(도해 없음)을 개재하여 도면속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실시형태에 관한 클리이너 장치(40)는 상기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약제투입용 호퍼(44)내의 청소처리에 사용된다. 이 청소처리의 방법에서는 도해 없는 흡인장치(9)에 의한 흡입을 개시하면, 개폐부재(46)가 하방측으로 향하여 탄성 변형하여 약제투입용 호퍼(44)의 상방 개구부를 밀폐함과 동시에, 제2연통구(48)와 배출관(45)의 흡인구(45a)를 밀봉상태에서 연통한다. 이에 따라, 약제투입용 호퍼(44)에서 흡인장치(9)에 이르는 연통로에서의 밀봉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약제투입용 호퍼(44)내의 잔류약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 흡인장치(9)에 의한 흡인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밑판(41)과 약제투입용 호퍼(44) 및 배출관(45)과의 틈새에 의하여, 개폐부재(46)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제3실시형태에 관한 클리이너 장치(60)를 나타내고 있다.
이 클리이너 장치(70)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것과는 개폐부재(62)에 형성한 연통구(61)에 흡인장치(도해 없음)로부터 뻗은 호스(63)를 직접 접속한 점이 상위하며, 밑판(64), 약제투입용 호퍼(65)등에 대하여는 제2실시형태의 밑판(41), 약봉지투입용 호퍼(44)등과 같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약제투입용 호퍼의 클리이너 장치에 의하면,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 개구부를 개폐부재로 폐색한 상태에서, 약제투입용 호퍼내에 잔류하는 약제를 흡인장치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약제투입용 호퍼내에 적절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어, 잔류하는 약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바닥판에 의하여 약제투입용 호퍼의 하방 개구부를 개폐 동작하도록 하였으므로, 약제투입용 호퍼내의 공기흐름을 보다 급격한 것으로 할 수 있어, 잔류하는 약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 약제투입용 호퍼에서 흡인장치에 이르는 연통로의 일부를 개폐부재의 희망하는 위치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어서,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진동장치에 의하여 약제투입용 호퍼를 진동하도록 하였으므로, 잔류하는 약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또, 개폐부재를 흡인장치에 의한 흡인시, 약제투입용 호퍼내가 부압으로 됨으로써, 탄성 변형하여 상방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약제투입용 호퍼내의 공기흐름을 하방 개구부에서 상방 개구부로 헛됨이 없이 발생시킬 수 있어, 잔류하는 약제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 위에 흡인시 이외에서는 개폐부재는 약제투입용 호퍼로부터 이간하고 있으므로, 그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약제투입용 호퍼에 투입되는 약제의 종류가 변경되기 전에, 자동적으로 잔류하는 약제를 제거하도록 하였으므로, 인력이 들지 않아서 불결 때문에 종류가 다른 약제의 혼합이라고 하는 중대한 과실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6)

  1. 약제투입용 호퍼내에 잔류하는 약제를 제거하는 클리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이 개폐부재에 의한 폐색시, 약제투입용 호퍼와 흡인장치를 연통하는 연통로와, 상기 개폐부재에 의하여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개구부를 폐색하고, 흡인장치를 구동함과 동시에, 약제투입용 호퍼의 바닥핀을 약간 개방하는 제어수단등을 설치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이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또한 상기 바닥판에 의하여 약제투입용 호퍼의 하방개구부를 개폐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이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를 속이 빈 것으로 하고,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 개구부에 개구하는 제1연통구와, 흡인장치에 접속되는 제2연통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이너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로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개구부를 폐색하고, 상기 흡인장치에 의하여 약제투입용 호퍼를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설치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이너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 개구부에서 일정한 틈새를 지니고, 수평 방향으로 슬리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었고, 상기 흡인장치에 의한 흡인시, 약제투입용 호퍼내가 부압으로 됨에 따라서 탄성 변형하여 상방개구부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이너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투입용 호퍼에 투입되는 약제의 종류가 변경될 때마다 자동적으로, 개폐부재가 약제투입용 호퍼의 상방개구부를 폐색하고, 흡인장치에 의한 약제의 제거작업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이너 장치.
KR1020000002172A 1999-01-20 2000-01-18 클리너 장치 KR100570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162799A JP4060970B2 (ja) 1999-01-20 1999-01-20 クリーナー装置
JP1999-11627 1999-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483A true KR20000076483A (ko) 2000-12-26
KR100570464B1 KR100570464B1 (ko) 2006-04-12

Family

ID=1178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172A KR100570464B1 (ko) 1999-01-20 2000-01-18 클리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60970B2 (ko)
KR (1) KR100570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289B1 (ko) * 2001-09-30 2008-10-13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포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0981B2 (ja) * 2002-12-20 2008-02-2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JP4537671B2 (ja) * 2003-07-24 2010-09-01 高園産業株式会社 薬剤ホッパーの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薬剤分包装置
JP3905096B2 (ja) * 2004-03-18 2007-04-18 ジェイヴィエ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薬剤自動包装装置
JP5025393B2 (ja) * 2007-09-12 2012-09-12 高園産業株式会社 薬剤分包機のホッパーの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KR101006014B1 (ko) * 2008-08-21 2011-01-06 (주)제이브이엠 호퍼 청소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4852114B2 (ja) * 2009-02-13 2012-01-11 株式会社エルクエスト 散薬分配装置および分包機
JP4910013B2 (ja) * 2009-04-27 2012-04-04 高園産業株式会社 薬剤ホッパーの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薬剤分包装置
WO2011108448A1 (ja) * 2010-03-01 2011-09-09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機の粉除去装置
JP5386617B2 (ja) * 2012-07-19 2014-01-15 高園産業株式会社 薬剤分包装置
WO2015076266A1 (ja) * 2013-11-22 2015-05-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し装置
NL2016663B1 (en) * 2016-04-22 2017-11-16 Vmi Holland Bv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solid substances.
CN106335658A (zh) * 2016-10-13 2017-01-18 天津恺丰义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机自动除尘装置
IT201700098832A1 (it) * 2017-09-04 2019-03-04 Gd Spa Unità di riempimento per macchina confezionatrice per la produzione di cartucce monouso per sigarette elettroniche
JP7274236B2 (ja) * 2017-11-22 2023-05-16 株式会社タカゾノ 散剤払出装置、散剤払出装置と分包装置との組み合わせ
JP7291372B2 (ja) * 2019-01-24 2023-06-15 不双産業株式会社 包装装置
CN114392186A (zh) * 2021-12-27 2022-04-26 路锋 一种中药煎制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289B1 (ko) * 2001-09-30 2008-10-13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03501A (ja) 2000-07-25
JP4060970B2 (ja) 2008-03-12
KR100570464B1 (ko)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6483A (ko) 클리이너 장치
JP5808233B2 (ja)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1707380B1 (e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filling method
EP0627317B1 (en) Packing case and opening method therefor
KR100852235B1 (ko) 주입구를 가진 자루들에 액체를 채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932491B2 (ja)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130199053A1 (en)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from a container
EP1886820A2 (en) Liquid injecting method and liquid container
CN105307556B (zh) 内窥镜清洗消毒装置
KR101115960B1 (ko) 액상물질 도포장치
JP2002002832A (ja) 粉体収納容器、該容器の組み立て方法、該容器への粉体充填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容器の分解方法
KR100584863B1 (ko) 노즐장치 삽입형 진공포장 시스템 및 챔버삽입형 노즐장치
JP2002264363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3200901A (ja) 粉体袋詰管
JP2735823B2 (ja) 水剤分包機
CN101683307A (zh) 液体药物容器和用于被吸入的液体药物的排出装置
JPH1199084A (ja) 液体洗剤の吐出装置
JPH0223576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2001076A (ja) 溶液調製装置
JPH0718594Y2 (ja) 取出口を閉塞する蓋片付き包装袋
KR200378307Y1 (ko) 진공포장기용 에어포켓 및 에어포켓을 이용한 진공포장기
KR100584858B1 (ko) 진공챔버용기
JPH0624492A (ja) 給液装置
JP2009067436A (ja) 薬剤分包機のホッパーへの蓋取付構造
JP2004344738A (ja) 静電塗装方法、静電塗装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式塗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