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024A - 일체형 접지 버스를 갖는 멀티-도체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일체형 접지 버스를 갖는 멀티-도체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024A
KR20000076024A KR1019997008110A KR19997008110A KR20000076024A KR 20000076024 A KR20000076024 A KR 20000076024A KR 1019997008110 A KR1019997008110 A KR 1019997008110A KR 19997008110 A KR19997008110 A KR 19997008110A KR 20000076024 A KR20000076024 A KR 20000076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bon cable
contacts
signal
connecto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헨아트
랑로저디.
맥알리스터존에이.씨.
Original Assignee
서키트 어셈블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키트 어셈블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서키트 어셈블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0007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0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7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with contacts having at least a slotted plate for penetration of cable insulation, e.g.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for round conductor flat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SFF-8049 사양에 해당하는 리본 케이블(122)에 접속시키는 커넥터(100). 커넥터(100)는 접지 버스를 형성하는 접지된 도체들을 구비하는 리본 케이블(122)의 하나 걸러 한개의 도체(124)를 둘러싸는 절연체를 접지 접촉부들(132)의 절연 변위단이 꿰뚫도록 리테이너 플레이트(106)내에 놓여지는 절연 변위단(134)을 구비하는 다수의 접지 접촉부들(132)을 포함한다. 절연 변위단(134) 및 결합단을 구비한 신호 접촉부들(130)은, 절연 변위단이 리본 케이블(122)내의 신호 도체들과 맞물릴 수 있도록 된 방향으로 리테이너 플레이트(106)를 통해 놓여질 수 있도록 커넥터의 몸체안에 놓여진다. 다수의 접지 접촉부들(132)은 리본 케이블(122)내의 접지된 신호 도체들이 커넥터(100)안의 접지 버스에 접속될 수 있도록 선택된 신호 접촉부(130)와 결합될 탭들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신호 접촉부(130)는 결합 커넥터의 핀들 또는 핀 어레이를 받아들이기 적합한 커넥터(100) 베이스(102)의 개구(142)안에 놓여지는 결합단(140)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접지 버스를 갖는 멀티-도체 케이블 커넥터{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grounding bus}
리본 케이블은 단일 평면에 서로 인접하여 놓여진 다수의 도체들을 갖는 케이블의 한 종류이다. 일반적으로 도체들은, 리본 케이블내에 병렬로 가깝게 놓여진 도체들의 윤곽을 따르는, 비닐과 같은 신축적인 절연 물질로 싸여 있다. 리본 케이블은 컴퓨터 구성품들을 상호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리본 케이블 사용에 대한 한 일반적 예는 퍼스널 컴퓨터의 마더보드(motherboards)를 디스크 드라이브들에 연결하는 것이다. 또, 리본 케이블은 컴퓨터들을 주변 기기들에 상호 연결하는 데에도 또한 자주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케이블을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상호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들 커넥터들은 리본 케이블내의 도체들을 접촉하고, 또한 매칭 커넥터나 핀 어레이에 핀 접속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접촉부를 갖는다. 보통, 커넥터는 리본 케이블의 도체를 둘러싼 절연체를 관통하여 내장된 도체를 접촉하는 절연 변위단(displacement end) 및 결합 커넥터나 핀 어레이의 핀들에 대해 접속점을 제공하는 결합단을 구비한 다수의 접촉부를 포함한다.
전형적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모양이 사각형이고 커넥터가 리본 케이블의 폭에 걸칠 수 있도록 리본 케이블을 수납하는 개구를 가진다. 다수의 접촉부의 절연 변위단은, 커넥터가 리본 케이블을 둘러쌀 때, 절연 변위단이 리본 케이블의 도체를 둘러싼 절연체를 관통하여 리본 케이블내의 각 도체들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도록 커넥터안에 놓여진다. 접촉부들이 리본 케이블의 해당 도체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커넥터안에 정확히 놓여진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종래에 사용된 한 전형적 리본 케이블 어셈블리 어플리케이션은 0.050" 중심들 상에 간격을 두고 놓여진 40개의 도체들을 가진다. 그 케이블의 40개의 도체 중, 7개의 도체들은 접지 도체로서 전용되고 나머지 33개는 데이터 라인 또는 신호 도체들로서 전용된다. 이런 유형의 리본 케이블은 ANSIx3.279-1996 사양을 따른다. 종래의 리본 케이블들의 구조는 이러한 리본 케이블들이 리본 케이블을 통해 약 16MB/Sec.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상향 한계를 가지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컴퓨터가 점차적으로 보다 성능이 강력해짐에 따라, 리본 케이블을 통한 데이터 전송의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위한 요구가 있어왔다. 이것은 새로운 리본 케이블 사양인, SFF-8049 사양의 탄생을 가져왔다. SFF-8049 사양에 해당하는 리본 케이블들은 현재 중심이 0.025" 떨어져 위치되는 80개의 도체들을 가진다. 그러므로, 새로운 사양 아래의 리본 케이블은 종래의 리본 케이블과 동일한, 다른 한편으로 형성 인자(form factor)으로 알려진 일반적인 규격을 가질 것이다. 새로운 사양의 리본 케이블은 종래의 리본 케이블에서의 33 데이터 도체 및 7 접지 도체인 40개의 오리지널 신호 도체를 보유한다. 이것은 리본 케이블에 접속된 입출력 장치의 변경을 필요로하지 않으면서 옛 사양 리본 케이블 대신 새 사양 케이블의 사용을 허용한다.
그러나, 새 사양 리본 케이블에 더해지는 40개의 추가 도체들은 모두 최초 40개의 도체들 각각의 사이에 위치되는 접지 도체들이다. 결국, 원래의 신호 도체들은 새로운 사양 케이블의 전용 접지 도체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40개의 추가 접지 도체들은 새사양 리본 케이블이 옛사양 리본 케이블보다 훨씬 더 높은 레이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오는 접지 버스를 형성한다.
그러나, 새사양 리본 케이블의 도입은 디바이스들을 새사양 리본 케이블로 접속시키는 작업을 복잡하게 하고 있다. 특히, 접지 버스를 형성하는 40개의 도체들은 리본 케이블의 각 절단면과, 어떠한 중간 길이 접속에서라도 가장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 접지 버스를 위한 리본 케이블로 접지되어야 한다. 현재, 이러한 접속을 만족시키기 위해, 40개의 최초 도체들에 부착되도록 최초에 형성된 제1의 종래의 커넥터가 리본 케이블에 장착될 때 접촉이 새 사양 케이블의 40개의 오리지널 신호 도체들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약간 변형된다. 제1커넥터의 구조와 유사한, 접지 버스를 포함하는 40개의 교번 접지 도체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제2커넥터가 그리고나서 리본 케이블에 장착된다.
두 커넥터들의 사용이 40개의 최초 신호 도체들 및 40개의 추가된 접지 도체들로의 적합한 접속의 결과를 가져오는 반면, 두 개의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은 좀 더 비싸고 또한 리본 케이블내 도체들로의 신통치않은 접속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각 절단면이나 리본 케이블로의 중간-길이 접속에서의 두 커넥터의 사용은 특히 리본 케이블을 둘러싼 공간이 제한되어 있는 환경에서 리본 케이블의 이용을 복잡하게 한다.
또한, 각 커넥터에서 7개의 최초 접지된 신호 도체들을 접지 버스로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이것은 제2커넥터상의 접지 접촉부로의 제1커넥터상의 7개의 접지 도체들의 핀 접속들 사이에 점퍼를 선연결함으로써 만족된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상호 접속은 케이블이 인스톨된 후 이러한 것이 보통 손으로 행해져야 하기 때문에 새 사양 리본 케이블로의 커넥터들의 인스톨을 복잡하게 한다. 그러므로, 40개의 최초 신호 도체들과 40개의 접지 버스 도체들 모두에 접속할 새사양 리본 케이블로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종래에 사용된 커넥터들의 형성 인자과 동일한 형성 인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커넥터는 40개의 접지 도체들과 7개의 최초 신호 접지 도체들 사이의 상호 접속이 단순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멀티-도체 리본 케이블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전도 케이블의 접지 버스를 규정하는 접지 도체 및 신호 도체 모두에 접속되도록 형성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인 커넥터의 부분적으로 잘라낸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중 바닥 플레이트의 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커넥터에 사용된 리테이너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리테이너의 하부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중 베이스 멤버의 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커넥터중 접지 버스 접촉부들의 등각도이다.
도 6a, 6b 및 6c는 도 1의 커넥터중 신호 도체 접촉부들의 등각도이다.
도 7은 접지 도체 접촉부들 및 신호 도체 접촉부들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 1의 커넥터의 베이스 멤버의 하부 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접지 도체 접촉부들 및 선택된 신호 도체 접촉부들 사이의 상호접속을 도시하는 도 7의 베이스 멤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커넥터의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 1의 커넥터의 부분적 분해도이다.
앞서 언급된 필요성은, 리본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형성된 수취면을 갖는 제1멤버 및 제1면을 제1멤버의 수취면에 인접하여 위치시키도록 제1멤버와 맞물리는 베이스 멤버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해 만족된다. 베이스 멤버는 베이스 멤버내에 위치되는 접촉부들을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소켓들 또는 개구들을 구비한다. 상세하게, 커넥터는, 제1의 다수의 접촉부들이 리본 케이블의 제1그룹의 도체들 및, 리본 케이블내 제2그룹의 도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제2의 다수의 접촉부들을 수납하도록 형성된 제2의 다수의 소켓들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소켓들 내에 놓여질 수 있게 구성된다.
제1의 다수의 접촉부는 접지 버스를 집약적으로 구비한 리본 케이블내의 제1그룹의 전기적 도체들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의 다수의 접지 접촉은 접지 버스의 일체성을 유지하도록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다. 또한, 제2다수의 접촉부는 리본 케이블내의 신호 도체들인 리본 케이블내 제2그룹의 전기적 도체들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다수의 접촉부는 커넥터를 통해 리본 케이블안의 신호 도체들로 외부의 접속을 허용하는 핀 접속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절연 변위단과 결합단을 구비한 신호 접촉부들을 일체화한다. 절연 변위단은 리본 케이블의 절연을 변위시켜 그안에 내장된 와이어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결합단은 결합 커넥터 또는 핀 어레이로의 접속을 위해 탄성적인 핀 접촉이 이뤄지도록 구성된다. 결합 커넥터 또는 핀 어레이로의 억세스를 허용하기 위해 접촉부들의 결합단이 몸체의 개구부들내에 놓여지도록, 접촉부들은 커넥터의 몸체내에 위치된다. 절연 변위단은 사이에 갭을 갖는 두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내장된 도체가 두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되어서 그에따라 전기적 접촉이 이뤄질 수 있도록, 두 블레이드는 리본 케이블내에 내장된 도체를 둘러싼 절연을 변위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 규겨화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있어, 커넥터는 다수의 신호 도체와 다수의 접지 도체를 통합하는 리본 케이블과 연관되어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접지 버스를 형성하는 접지 도체들은 리본 케이블의 각 신호 도체들 사이에 바람직하게 놓여진다. 커넥터는, 리본 케이블이 커넥터의 케이블 수취 영역안에 위치될 때 접촉부의 제1열이 접지 도체들을 구비한 리본 케이블의 교번 도체들에 접속되도록, 커넥터내에 제1열이 위치된 다수의 접촉부 열들이 있도록 배열된다. 접촉부들의 제2열은 리본 케이블내 신호 도체들에 접속되도록 커넥터내에 위치된다. 접촉부들의 제3열이 추가 신호 도체들에 접촉하도록 추가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케이블안에 위치된 40개의 신호 도체들과 40개의 접지 도체들을 가진 SFF-8049 리본 케이블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커넥터는 케이블 수취 영역의 폭을 가로질러 제1방향으로 배열된 3개 이상의 접촉부들의 열들을 가진다. 접촉부들의 중심 열은 접지 버스를 구비한 40개의 도체들 각각에 접속되도록 위치된다. 특히, 접촉부들은 커넥터가 리본 케이블에 부착될 때, 접지 버스를 형성하는 리본 케이블내의 교번 도체들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도록 커넥터내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커넥터에서 접촉부들의 두 개의 외부 열이 각각 리본 케이블내 나머지 40개의 신호 와이어중 20개에 접속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있어, 커넥터는 리본 케이블내의 신호 도체에 접속하는 제1다수의 접촉부 및 리본 케이블내의 접지 도체에 접속하는 제2다수의 접촉부들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접지된 신호 도체들인 신호 도체들에 인접한, 접지 버스에 접속된 접촉들이 커넥터안에서 상호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지 도체들에 접속되는 접촉부들은 접지된 신호 도체들에 접속된 접촉부들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뤄지게 휘어질 수 있는 탭들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것으로부터, 바람직한 실시예의 커넥터는 종래의 커넥터와 유사한 형성 인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베이스내에 장착되는 접촉부들을 포함하고, 리본 케이블내 신호 도체들 및 접지 도체들 모두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단일 커넥터의 사용은 리본 케이블을 추가 디바이스들에 접속하는 공정을 단순화시킨다. 또한, 리본 케이블내 접지 버스와 접지된 신호 도체들 사이의 상호 접속은, 인접한 신호 도체 접촉부들로 쉽게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내의 접지 버스 접촉부들의 사용에 의해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또 다른 목적들 및 장점들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충분히 명확해질 것이다.
전도면을 통해 유사한 부분을 참조하는 유사한 번호가 있는 도면에의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터(100)는 이하에서 설명될 방식으로 커버(104)에 부착된 베이스(102) 및, 베이스(102)와 커버(104) 사이에 끼워 넣어진 리테이너(106)를 통합한다. 커버(104)는 리본 케이블(122)안의 각 개개의 도체(124)를 둘러싼 절연체의 마루(ridges)(121)를 수납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인덴테이션(indentation)(112)을 가진 내부면(110)을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리테이너(106)도 리본 케이블(122)의 개개의 도체들을 둘러싼 절연체의 마루(121)를 수납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인덴테이션(116)을 가진 내부면(114)을 또한 포함한다. 뭉뚱그려서, 커버(104)의 내부면(110) 및 리테이너(106)의 내부면(114)은 리본 케이블(122)의 수취 영역(120)을 규정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본 케이블(122)은 수취 영역(120)내에 위치되고, 인덴테이션(112 및 116)은 리본 케이블(122)을 커버(104)의 내부면(110)과 리테이너(106)의 내부면(114)에 대해 고정된 방향이 되게 강제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인덴테이션(112 및 116)은 각 도체(124)가 인덴테이션(112) 및 인덴테이션(116) 사이의 공간(126)내의 중심에 있도록 형성된다. 결국, 리본 케이블(122)이 커버(104)와 리테이너(106) 사이에서 포획되어 있을 때, 리본 케이블내의 도체들 각각은 커버(104) 및 리테이너(106)에 대해 정밀한 위치에 고정된다.
일반적인 리본 케이블은 각각으로부터 병렬로 놓여지고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도체들 또는 와이어들(124)을 포함한다. 절연체는 보통 각 도체(124) 주변을 따라 만들어져 도 1에 도시된 마루(121)를 형성하는 비닐 절연체이다. 절연체는 또한 각각의 도체들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넥터(100)는 SFF-8049 사양에 상응하는 리본 케이블, 즉, 약 0.025" 중심들위에 놓여지는 80개의 도체들을 통합한 리본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형성된다.
도 1의 부분적 절단 영역에 도시된 바와도 같이, 다수의 신호 접촉부(130)와 다수의 접지 접촉부(132)는 그 접촉부들(130, 132)이 리본 케이블(122)의 도체들(124)과 전기적 접촉이 이뤄지도록 한 방향으로 베이스(102)내에 장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커넥터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뻗어있고 그에따라 케이블 수취 영역(120)에 놓여진 리본 케이블(122)의 전체 폭에 걸쳐지는 접촉부들(130, 132)의 4개의 병렬 열이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접촉부들의 두 열(130a, 130b)이 그 사이에 끼워놓여진 접지 접촉부들(132a 및 132b)의 두 열과 함께 존재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접지 접촉부들의 두 열(132a 및 132b)은 공통의 장착부(mounting section)를 공유하고 그럼으로써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커넥터(100)가 SFF-8049 사양에 해당하는 리본 케이블과 관련하여 사용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접지 접촉부들(132)은 접지 도체들인 리본 케이블(122)안의 도체들(124)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특히, 리본 케이블에서, 접지 버스를 형성하는 접지 도체들은 리본 케이블(122)내의 하나 걸러 한개의 도체가 접지 도체이도록 놓여진다. 리본 케이블(122)의 도체들(124)은 0.025" 중심들 위에 놓이기 때문에, 접지 접촉부들(132)은 커버(110)의 내부면과 리테이너(114)의 내부면 각각의 인덴테이션들(112 및 116)에 의해 규정된 하나 걸러 한개의 공간(126)으로 뻗치도록 서로로부터 0.050" 떨어져 놓이게 커넥터(100)에 장착된다.
신호 접촉부들(130)은 20개씩 두 개의 열안으로 정렬된다. 이들 신호 접촉부들(130) 각각은, 커버(110) 및 리테이너(114) 각각의 내부면상의 인덴테이션(112)에 의해 규정된 모든 4번째 공간(126)으로 뻗치도록 베이스(102)내에 장착된다. 신호 접촉부들(130)의 열들은 리본 케이블(122)내의 하나 걸러 한개의 신호 도체가 신호 접촉부들의 각 열(130a 및 130b)에 의해 접촉되도록 바람직하게 놓여진다.
도 1은 또한 신호 접촉부들(130) 및 접지 접촉부들(132)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다. 이들 접촉부들의 구성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도 1은 신호 접촉부들(130) 및 접지 접촉부들(132)이 모두 절연 변위단(134)을 구비한다는 것을 도시한다. 절연 변위단(134)은 필수적으로 두 개의 블레이드(136)로 구성된다. 두 블레이드(136)는 두 블레이드(136)의 내부면들이 도 1에 도시된 방식으로 이 공간(126)에 포획된 도체(124)와 접촉하도록 리본 케이블의 도체(124)를 둘러싼 절연체를 변위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신호 접촉부들(130)은 커넥터(100)의 베이스(102)로 뻗어나온 결합단(140)을 포함하고, 외부 결합 커넥터나 핀 어레이상의 핀에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단(140)은 핀들이나 핀 접촉 멤버들이 신호 접촉부들(130)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기 위해 개구(142)안에 놓여질 수 있도록 개구(142)를 통해 노출된다. 도 1은 또한 접지 접촉부들(132)이 외부를 향해 뻗어나온 다수의 절연 변위단(134)로 단일 몸체를 형성하도록 서로 서로 연결된다는 것을 보인다. 신호 접촉부들(130) 및 접지 접촉부들(132)의 정확한 구성이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커버 멤버(104)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특히, 커버 멤버(104)는 약 2.18인치 길이 x 0.240인치 너비인 주조된 플라스틱 멤버임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본 케이블(122)은 커버 멤버(114)의 길이를 따라, 리본 케이블내 도체들(124)이 커버(104)의 내부면(110)상의 인덴테이션들(114)안에서 바람직하게 중심에 놓여지게끔 놓여진다.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다수의 개구들(144)이 컵 멤버(104)를 통해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개구들(144)은 신호 접촉부들(130) 및 접지 접촉부들(132) 모두의 절연 변위단(134)의 블레이드들(136)을 받을 수 있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들(136)이 리본 케이블(122)내 도체들(124)을 둘러싸는 절연체를 관통한 후에, 블레이드들(136)은 도 1에 도시된 방식으로 개구들(144)로 바람직하게 뻗어나온다. 그러므로, 개구(144)는 인접한 접촉부들상의 블레이드들(136)이, 인접한 신호 접촉부들(130)이나 접지 접촉부들(132)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들의 삽입이나 커넥터의 취급 도중 인접한 신호 접촉부들(130) 또는 접지 접촉부들(232)로 휘어질 수 없도록, 개구부(144)에 의해 규정된 공간에 블레이드들(136)을 바람직하게 포획한다.
결국,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접촉부들(130)의 절연 변위단(134)의 블레이드들(136)를 수납하도록 형성된 커버(104)의 바깥 가장자리를 향해 놓여진 개구들(144)의 두 열이 존재한다. 이와 유사하게, 접지 접촉부들(132)의 블레이드들(136)을 수납하도록 형성된 커버 멤버(104)에는, 가깝게 놓여진 개구들(144)의 두 열이 존재한다.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접지 접촉부들(132)의 블레이드들(136)을 수납하도록 형성된 개구들(144)은 접지 접촉부들(132)의 구성을 수용하도록 서로로부터 약간 공차(offset)를 갖는다. 접지 접촉부들(132)의 정확한 구성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커버(104)의 양단(147a 및 147b)에, 커버 멤버(104)의 베이스 멤버(146)로부터 바깥으로 뻗어나온 두 개의 블록들(148a 및 148b)이 있다. 그 두 블록들(148a 및 148b)은, 커버(104)의 너비를 통해 뻗어나오고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방식으로 커버(104) 내지 리테이너(106) 및 베이스 멤버(102)를 고착시키는데 사용되는 개구(150)를 규정한다.
도 3a 및 도 3b는 리테이너(106)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리테이너(106)는 약 2.18인치 길이 x 0.240 인치 너비의 크기를 가지며, 또한 주조된 플라스틱으로 이뤄짐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인덴테이션(116)을 갖는 리테이너(106)의 내부면(114)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106)의 내부면(114)상에 80개의 인덴테이션(116)이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는 도 1에 도시된 방식으로 커버(104)의 내부면(114)에 인접하여 놓이도록 규격화된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인덴테이션(116)이 그 안에 형성된 한 개의 개구(154)를 가지도록 리테이너(106)를 통해 뻗어나온 다수의 개구들(154)이 있다. 리테이너(106)의 개구(154)는 커버 멤버(104)의 개구(144)와 동일한 패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개구(154)는 신호 접촉부(130) 및 접지 접촉부(132)의 절연 변위단(134)을 받고 그럼으로써 리본 케이블(122)의 적합한 도체(124)에 전기적 접속이 이뤄지도록 형성된다.
리테이너(106)의 기능은 블레이드들(136)이 도 1에 도시된 방식으로 커버(104)와 리테이너(106) 각각의 인덴테이션에 의해 규정된 공간(126)에 놓여지도록 접촉부들(130 및 132)의 절연 변위단들(134)이 그들의 원하는 방향으로 보유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리본 케이블(122)내 80개의 도체들 각각을 접촉하도록 블레이드(136)를 절연체를 통해 강제한다는 것은 베이스(102)와 커버(104) 사이에 가해지는 상당한 량의 힘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강제력은 접촉부들(130 및 132)의 절연 변위단들(134)이 공간(126)내 도체들과 전기적인 접촉을 반드시 이루지 않아도 될 수 있게 접촉부(130)를 휘게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그러나, 리테이너(106)는 적합한 도체(124)로 블레이드(136)를 이끌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의 개구들(154)은 신호 접촉부들(130) 및 접지 접촉부들(132) 모두의 절연 변위단들(134)의 목 부분(156)(도 1)이 리테이너(106)의 개구들(154)안에 포획되도록 바람직하게 규격화된다. 접촉부(130 및 132)의 절연 변위단(134)의 목 부분(156)은 베이스 또는 장착부로부터 접촉부들(130 및 132)의 블레이드들(136)로 뻗어나간다. 접촉부들(130 및 132)이 커넥터(100)에 장착될 때, 각 접촉부의 목 부분(156)은 오직 블레이드 영역(136)이 도체(124)를 포함하는 공간(126)으로 뻗어나가도록 리테이너(106)의 개구(154)내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리테이너(106)는, 블레이드들(136)이 절연 마루(121)를 변위시키고 커넥터(100)의 케이블 수취 영역(120)내에 포획된 리본 케이블(122)의 도체들(124)과 전기적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공간들(126)내에 적합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블레이드(162a 및 162b)는 일반적으로 T-모양의 개구를 규정하도록 리테이너(106)의 끝단들(161a 및 161b)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있다. T-모양의 개구(164)는, 커버(104) 및 리테이너(106)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방법으로 함께 고착될 수 있도록 커버(104)상의 T-모양 개구(150)와 바람직하게 결합된다.
커넥터(100)의 베이스(102)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다. 도 4를 상세하게 언급하면서, 커넥터(100)의 베이스(102)의 바깥면(166)이 도시된다. 개구들(142)은 베이스(102)의 바깥면을 따라 두 개의 병렬 라인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개구들(142)은 일반적으로 모양이 사각형이고, 결합 커넥터 또는 핀 어레이들로부터 핀들 또는 접촉부들을 받아서 신호 접촉부들(130)을 통해 리본 케이블(122)의 신호 도체로 전기적인 결합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 신호 접촉부(1300의 결합단(140)은 개구(142)쪽으로 위를 향해 뻗어나오고 개구(142)는 결합 커넥터, 결합 핀 어레이 또는 리본 케이블 커넥터에 상호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어떤 장치로부터 핀 접촉부를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개의 신호 접촉부들(130)의 결합단들(140)에 억세스를 제공하는 20개의 개구들로 된 두 개의 열이 있다. 그러나, 개구들(142)의 정확한 구성은 커넥터의 구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의 베이스 멤버(102)의 양단(168a 및 168b)은 결합 홈(170) 및 베이스 멤버(102)의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두 개의 바깥쪽으로 뻗어나간 멤버(172a 및 172b)를 포함한다. 바깥쪽으로 뻗어나간 멤버(172)의 윗면(174)은 베이스 멤버(102)의 끝단(168a 및 168b)에 대해 모두 위를 향해 각이진다. 결합 홈들(170)및 멤버들(172)은 리테이너(106) 및 커버 부분(104)으로 베이스 멤버(102)를 고착시키는데 사용된다. 베이스 멤버의 끝단(168)에 장착된 구성성분들과 커버(104) 및 리테이너(106)의 끝단에 장착된 구성요소들 사이의 결합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보다 상세하게 접지 접촉부들(132)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접지 접촉부(132)는 초기에 한 개 이상의 캐리어(180)위에 놓여지는, 단일 연결된 접지 접촉부(132)의 스트립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캐리어(180)는 절연 변위단(134)을 건드리지 않고 다수의 접지 접촉부들(132)을 다룰 수 있게 함으로써 절연 변위단들(134)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커넥터(100)의 베이스(102)로 접지 접촉부들(132)을 삽입하기 전에, 절연 변위단(134)이 정확하게 놓여지고 정확하게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커넥터(100)가 도 1에 도시된 방식으로 완전회 조립될 때 절연 변위단(134)이 리본 케이블(122)의 적합한 도체(124)로 삽입되도록 적합하게 방향이 잡히는 것을 보장하는데 필요하다.
또한 도 5a에 보여진 바와 같이, 다수의 접지 접촉부들(132)은 필수적으로 장착부(182)와, 장착부(182)에 연결되고 장착부(182)의 첫 번째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으로 뻗은 다수의 절연 변위단(134)으로 구성된다. 장착부(182)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방식으로 커넥터(100)내 다수의 접지 접촉부들(132)을 고착시키기 위해, 커넥터(100)의 베이스(102)안의 슬롯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장착 탭(184)을 포함한다. 또, 도 5a 및 5b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장착부(182)는 선택된 장착 탭들(184)에 인접하여 놓여진 접지 접촉 탭들(186)을 포함한다.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접촉 탭(186)은 장착 탭(184)에 의해 규정된 평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휘어질 수 있다. 이것은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방식으로, 접지 접촉 탭(186)이 선택된 신호 접촉부(180)와 전기적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도 5b를 보다 상세히 참조하면, 다수의 접지 접촉부들(132)의 절연 변위단들(134)은, 인접한 절연 변위단(134)이 다수의 접지 접촉부(132)의 장착부(182)와 장착 탭(184)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접지 접촉부들의 절연 변위단(134)은 절연 변위단(134)이 장착부(182) 및 장착 탭(184)에 의해 규정된 평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놓이도록 굽어진 영역(190)에 의해 교대로 변위되거나 비틀리게 놓여진다.
이는 접지 접촉부(132)의 절연 변위단(134)이 서로 보다 근접하여 놓여지도록 허용하고 그에따라 40개의 접지 접촉부(132)가 실질적으로 종래의 커넥터들과 동일한 형성 인자를 가진 단일한 커넥터(100)내에 위치되도록 허용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 40개의 접지 접촉부(132)의 단일 열은 리본 케이블(22)의 40개의 접지 접촉부에 의해 규정된 접지 버스에 연결되는 하나의 균일한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00)의 리테이너(106) 및 베이스 멤버(102)로의 접지 접촉부(132)의 위치정하기는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신호 접촉부(130)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신호 접촉부가 초기에 두 개의 캐리어(192 및 194)안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캐리어(192 및 194)의 기능은, 캐리어(192 및 194)가 커넥터(100)에 설치전에 원하는 방향으로 신호 도체(130)를 보유하고 신호 도체(130)를 설치전 취급 결과로서 해체되지 않도록 보호한다는 점에서, 접지 접촉부(132)를 참조하여 설명된 캐리어(180)와 유사하다. 신호 접촉부(130)는 절연 변위단(134) 및 결합단(140)을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장착부(196)와 함께 포함한다.
캐리어(192)는 두 개의 인접한 신호 접촉부(130)의 두 인접한 장착부(196)의 구석에 부착되는 아암(200)을 통해 신호 접촉부(130)의 장착부(196)에 부착된다. 이와 유사하게 캐리어(194)는 실질적으로 신호 접촉부(130)의 결합단(140)에 근접한 위치에서 장착부(196)에 연결되는 아암(202)을 통해 두 개의 인접한 신호 접촉부(130)의 장착부(196)에 부착된다. 캐리어 아암들(200 및 202) 및 장착부(196)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캐리어에 놓여진 다수의 신호 접촉부(130)로부터 캐리어(192 및 194)의 쉬운 제거를 돕도록 바람직하게 눈금이 매겨지거나 구멍이 뚫려져 있다.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신호 접촉부(130)는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기능 및 구성의 절연 변위단(134)를 포함한다. 절연 변위단(134)은 장착부(196)와 동일 평면이 되도록 장착부(196)에 바람직하게 부착된다. 결합단(140)은장착부(196)의 제1면(204)으로부터 첫 번째 방향으로 초기에 바깥쪽을 향해 뻗어나가고 그리고나서 일반적으로 장착부(196)에 의해 규정된 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져서 핀 접촉부(206)에서 중단되는 아암(206)을 포함한다.
핀 접촉부(206)의 아암(205)은 신호 접촉부(130)의 제1면(204)에 의해 규정된 평면의 내부를 향해 놓여진 곡선의 접촉면(210)에 바람직하게 부착된다. 곡선의 접촉면(210)은 그리고나서 도 6c에 도시된 곡선 모양을 형성하도록 외부를 향해 휘어진다. 또한, 접촉면(210)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206)보다 더 큰 단면 면적을 가진다.
도 8a 및 도 8b는 베이스 멤버(102)내 신호 접촉부(130)의 위치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신호 접촉부(130)는 접촉면(210)이 베이스 멤버(102)의 외면(166)상에 형성된 개구(142)내에 위치되도록 커넥터(100)의 베이스 멤버(102)내에 바람직하게 장착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205)의 곡선은 접촉면(210)이 개구(142)의 중심으로 안쪽을 향해 뻗어지도록 바이어스되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결국,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외부 핀 접촉부(271) 및 결합 커넥터를 개구(142)로 삽입하는 것은 외부 핀 접촉부(271)가 접촉면(210)과 접촉하게 하고 접촉면(210)을 개구의 중심(144)으로부터 멀리 옮기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아암(205) 및 접촉면(210)의 곡선은 따라서 접촉면(210)이 개구(142)내에 놓여지고 그에따라 접촉부(130) 및 외부 접촉부(271)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촉진하는 외부 접촉부(271)에 지속적으로 반하도록 작용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42)는 개구(142)의 외부 핀 접촉부(271)의 놓여짐을 돕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멤버(102)의 외면(166)에 인접한, 후퇴 영역(145)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외부 핀 접촉부(271)는 신호 접촉부(130)의 장착부(196)의 앞면(204)과 또한 접촉한다. 신호 접촉부(130)의 결합단(140)은 개구(144)에 삽입되는 외부 접촉부의 구성에 따라 변화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다수의 접지 접촉부(132) 및 다수의 신호 접촉부(130)가 베이스(102)내에 놓여진 후의 베이스(102)의 바닥측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2)는 신호 접촉부(130)를 수납하도록 형성된 바닥면(222)위에 다수의 개구(220)를 통합한다. 다수의 개구들(220)은 각각 20개의 개구들로 된 두 개의 나란한 줄에 바람직하게 배열된다. 각 개구(220)는, 개구(220)의 측벽 및 장착부(196) 사이의 마찰이 개구(220)내에서 신호 접촉부(130)를 보유하도록, 신호 접촉부(130)(도 6b)의 장착부(196)가 개구(220)의 측벽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게 바람직하게 규격화된다. 그럼으로써 절연 변위단(134)은 상술한 방식으로 리테이너(106)의 개구(154)안에 위치되도록 베이스(102)의 바닥표면 또는 바닥면(102)으로부터 바깥을 향해 뻗어나간다.
또한, 도 7은 베이스(102)의 바닥면(222)이 실질적으로 베이스(102)의 바닥면(222)의 전체 길이를 확장시키는 개구(230)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개구(230)는 다수의 접지 접촉부(132)중 장착부(182), 특히 장착 탭(184)을 수납하도록 형성된다. 개구(230)의 너비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방식으로 다수의 접지 접촉부(132)의 장착부(182)의 두께에 근접하도록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따라서 다수의 접지 접촉부(132)는 다수의 접지 접촉부(132)의 장착부(182)와 베이스 멤버(102)의 개구(230)의 내벽 사이의 마찰 결합의 결과로서 커넥터(100)의 베이스(102)내에 보유된다. 따라서 접지 접촉부(132)의 절연 변위단(134)은 절연 변위단(134)이 개구(154) 및 리테이너(106)로 삽입될 때 커넥터(100)의 베이스(102) 바닥면(222)으로부터 밖으로 확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본 케이블(122)내의 몇몇 신호 도체들(124)이 접지된다. 이렇게 접지된 신호 도체들을 리본 케이블로의 각 접속점에서 리본 케이블(122)안의 40개의 접지된 도체로 구성된 접지 버스에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만족시키도록, 한 개 이상의 홈 또는 채널(240)이 커넥터(100)의 베이스 바닥면(222)의 선택된 위치에서 형성된다.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홈(240)은 접지 접촉부(132)의 휘어질 수 있는 접지 접촉 탭(186)(도 5a 및 도 5b)에 인접하여 놓여지는 위치에서 신호 접촉부(130)의 장착부(196)와 접지 접촉부(132)의 장착부(182) 사이에서 확장된다. 홈들(240)은 탭(186)이 선택된 신호 접촉부(1300의 뒷면(242)에 접촉할 수 있도록 홈들(240)쪽으로 굽어질 수 있게 다수의 접지 접촉부(132)들 상의 탭들(186)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선택된 신호 접촉부(130)는 커넥터(100)가 리본 케이블(122)에 접속될 때 리본 케이블(122)안의 접지된 신호 도체(124)에 연결되도록 놓여진 신호 접촉부(130)들이다.
도 8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탭(186)은 다수의 접지된 접촉부(132)가 개구(230)(도 7)로 삽입되기 전에 홈(240)내에 바람직하게 위치되도록 휘어진다. 결국, 신호 접촉부(130)는 개구(220) 및 홈들(240)에 인접한 개구(220)로 삽입되는 선택된 신호 접촉부(130)로 삽입된다. 결국, 선택된 신호 접촉부(130)는 홈들(240)안에 위치하는 접지 도체 탭들(186)과 물리적인 접촉을 이룬다. 결국, 접지 도체 탭(186)에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각 신호 접촉부(130)는 접지 접촉부(132)가 리본 케이블(122)안의 접지 도체에 접속될 때 리본 케이블의 40개의 접지된 도체들로 구성된 접지 버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므로, 커넥터(100)에서 리본 케이블의 접지된 신호 도체를 접지 버스로 상호 연결하는 것은, 커넥터(100)의 어셈블러가 단순히 다수의 접지 접촉부(132)상의 탭들(186)을 홈들(240)안에 위치되고나서 신호 접촉부(130)를 인스톨하도록 휘게 해야 하는 것과 같이 단순화된다.
도 9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커넥터(100)를 구비하는 구성성분의 해체된 등각도이다. 커넥터(100)의 조립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커넥터(100)의 여러 유리한 특성에 의해 단순화된다. 특히, 도 5a를 처음에 참조하면, 접지 접촉부(132)는 초기에 리테이너(106)의 개구(154)에 놓여진다. 구체적으로, 캐리어(180)는 어셈블러 또는 어셈블러 및 절연 변위단(134)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 모두에 의해 붙잡혀지고 다수의 절연 변위단이 적합한 개구(154)에 인접하여 위치될 때까지 개구(154)의 두 중심 열에 인접하여 놓여진다. 다수의 접지 접촉부(132)의 절연 변위단(134)은 그리고나서 리테이너(106)의 개구(154)를 통해 밀려지고 리테이너(106)의 개구(154)는 다수의 접지 접촉부(132)가 리테이너(106)의 마찰력에 의해 유지되도록 접지 접촉부(132)의 절연 변위단(134)보다 다만 약간 더 크도록 바람직하게 규격화된다.
캐리어(18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접지 접촉부(132)의 장착부(182)로의 부착점에서 뚫어지거나 눈금이 새겨진다. 따라서 캐리어(180)는 한번 절연 변위단(134)이 개구(1540 및 리테이너(106)안에 적합하게 놓여지고 나서, 다수의 접지 접촉부(232)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결국, 어셈블러는 다수의 접지 접촉부(132)들이 베이스 멤버(102)의 개구(230)(도 7)안에 놓여져야 할 때 베이스 멤버(102)의 홈들(240)안에 탭들이 놓여질 수 있도록 탭들을 굽힐 수 있다.
어셈블러는 초기에 신호 접촉부(130)를 다음의 방식으로 베이스(102)쪽으로 인스톨한다. 캐리어(194)는 결합단(140)이 노출되도록 신호 접촉부(130)로부터 제거된다. 결합단(140)은 그리고나서 장착부(196)가 개구(220)내에 놓여지도록 커넥터(100)의 베이스(102)내에 있는 개구(220)로 삽입된다. 어셈블러는 나머지 캐리어(192)를 붙잡는 것을 통한 결합단(140)의 취급에 의해 결합단(140)을 개구(220)쪽으로 강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개의 신호 접촉부(130)의 단일 열을 형성하는 신호 접촉부(130)를 기동 및 처리하기 위해 나머지 캐리어(192)를 사용하는 것은 인스톨하는 동안 신호 접촉부(130)의 절연 변위단(134)을 우연하게 변위 또는 이동시키는 경향을 최소화한다.
신호 접촉부(130)는 캐리어(192 및 194)의 20개의 접촉 열내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어셈블러는 상술한 방식으로 베이스(102)안에 두 개의 열을 단순히 위치시켜야한다. 결국, 그리고나서 어셈블러는 신호 접촉부(130)의 절연 변위단(134)이 리테이너(106)의 개구(154)안에 위치될 수 있게 신호 접촉부9130)의 절연 변위단(134)을 노출시키도록 캐리어(192)를 제거한다.
일단 신호 접촉부(130)의 양 열이 베이스(102)내에 놓여지면, 인스톨된 접지 접촉부(132)를 포함하는 리테이너(106)는 그리고나서 베이스(102)의 바닥면(222)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것은 접지 접촉부(132)(도 8a)의 장착 탭들(184)이 커넥터(100)의 베이스(102)에 있는 개구부(230)에 인접하여 놓여지도록 허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신호 접촉부(130)의 절연 변위단(134)은 리테이너(106)의 개구(154)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리테이너는 그리고나서, 접지 접촉부(132)의 장착 탭들(184)이 개구부내에 위치하고 신호 접촉부(130)의 절연 변위단들(134)이 리테이너(106)의 상응하는 개구(154)로 삽입되도록 베이스(102)의 안쪽면(22)에 인접하여 놓여진다. 접지 접촉부(132)의 장착부(182)를 개구(230)로 삽입하는 것은, 리본 케이블(122)내 접지된 신호 접촉부에 상응하는 신호 접촉부(130)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도록 접지 도체 탭들(186)이 홈(240)(도 7)안에 놓여지게 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리본 케이블(122)은 리본 케이블의 마루(121)가 해당 커버(104)의 인덴테이션(112) 및 리테이너(106)의 인덴테이션 안에 위치되도록 케이블 수취 영역(120)(도 1)에 위치될 수 있다. 커버(104)가 리테이너(106)의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될 대, 도체들(124)은 도체 공간(126)의 안쪽 중심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154) 및 리테이너(106)가 특히 적합한 접촉부(130, 132)의 절연 변위단(134)이 도체 수취 공간(126) 주변의 한가운데에 있도록 놓여지기 때문에, 리본 케이블(122)을 그 사이에 위치시킨 채 커버(104)를 리테이너(106)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것은, 접촉부(130, 132)의 절연 변위단(134)이 리본 케이블(122)내에 위치하는 적합한 도체들(124)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도체를 감싸는 절연체를 뚫게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커버(104)와 리테이너(106) 사이의 압력이 도체들(124)을 도체 공간(126)내 리본 케이블안에서 정확히 중심에 있도록 도울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리본 케이블(120)에서, 각 도체(124)는 보통 0.006인치의 공차와 함께 0.025인치 떨어져 있다. 커버(104)와 리테이너(106) 사이의 압력은 각 도체를 둘러싸 윤곽을 그리는 비닐 표면이 도체 공간(126)의 중심에 있도록 인접한 도체들(124)사이의 비닐 물질을 수축하거나 신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것은 절연 변위단이 적합한 도체들(124)과 접촉할 수 있도록 도체들(124)을 공간(126)의 중심에 놓도록 만든다.
도 9는 커버(104)상의 개구(150)에 장착되고 리테이너(106)상의 개구(164)를 통해 베이스(102)상의 홈(170)으로 뻗어나가는 두 개의 클립 디바이스(250)가 존재함을 도시하고 있다. 클립 디바이스(250)는 커넥터(100)의 리테이너(106) 및 베이스(102)에 가지런히 근접하는 커버(104)를 안전하게 보유하도록 베이스(102)의 각진 표면(174)에 접촉하는 이면을 향해 배치된 블레이드(251)를 구비한다. 어느 개수의 접속 장치라도 커넥터(100)를 함께 결합시키고 리본 케이블에 커넥터를 보유하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신호 및 접지 접촉부들은 리본 케이블(122)상에 커넥터(100)를 인스톨하기 전에 베이스(102) 및 리테이너(106)에 먼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결국, 인스톨하는 자는 단순히 인덴테이션(112)에 케이블(122)을 위치시키고 그리고나서 리테이너(106)에 인접한 커버(104)를 위치시켜야 하며, 인덴테이션(112 및 116)은 도체들(124)을 공간(126)내의 중심에 놓을 것이다. 절연 변위단(134)은 그리고나서 리테이너(106)의 개구(154)를 통해 리본 케이블(122)의 바른 도체(124)로 인도된다. 그러므로 커넥터(100)를 리본 케이블위에 인스톨하는 것은 종래의 리본 케이블 커넥터들에 비해 매우 단순화된다.
앞의 설명으로부터, 바람직한 실시예의 커넥터(100)가 리본 케이블내에서 접지 버스를 구비한 접지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다수의 접지 접촉체들을 구비하도록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접지 접촉체들은 80개의 도체 리본 케이블내의 하나 걸러 한개의 도체를 접촉할 수 있도록 놓여진다. 접지 접촉체들은 리본 케이블내의 신호 접촉체들과 접촉하도록 놓여진 40개의 신호 접촉부들을 또한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동일한 커넥터 몸체안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실시예의 커넥터는 동일한 커넥터안에서 리본 케이블의 양 신호 도체들 및 접지 도체들 모두로의 접속을 허용하고 그에따라 리본 케이블에 접지 버스를 구비하는 도체들에 대해 별개의 커넥터를 가질 필요성을 배제시킨다.
또한, 커넥터(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접지 버스를 갖지 않는 리본 케이블에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의 크기 및 형성 인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형성 인자를 갖는 한편 접지 버스를 구비한 다수의 접지 도체들을 구비한 리본 케이블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ANSIx3.279-1996 사양에 해당하는 리본 케이블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종래의 커넥터들에 대한 형태 용인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성 인자를 가지도록 규격화되는 한편 SFF-8049 사양에 해당하는 리본 케이블에 접속될 수 있는 도체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커넥터는 커넥터에서 접지된 신호 도체들과 접지 도체들 사이의 단순한 상호 접속을 허용한다. 특히, 접지 접촉부들은 접지된 신호 도체들을 접촉해야할 신호 접촉부들과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각 커넥터에서 접지된 신호 도체들을 접지 버스로 상호 접속하는 것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커넥터를 사용할 때 단순화된다.
그리고 또한, 커넥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립은, 접지 접촉부들이 바람직하게는 한 개의 연속적인 조각들이기 때문에 각 접지 접촉부들이 한번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접지 접촉부들이 여느때같으면 하나의 열에 연결되지 않을 다수의 절연 변위단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단순화되었다. 신호 접촉부는, 다수의 인접한 신호 접촉부들을 한번에 커넥터의 베이스안에 위치시키고 그럼으로써 커넥터나 커넥터 하우징안에 개별적으로 신호 접촉부를 위치시킬 필요를 배제하도록 허용하는 캐리어들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은 유사한 종래의 커넥터들의 조립에 비해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들 실시예들에 적용되어 설명되고 가리켜진 본 발명의 기본적 신규한 특성들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된 장치의 세부사항에 대한 형식에 있어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이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들어, 장치(100)의 베이스(102)는 다수의 개구를 통해 다수의 핀 접촉부를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것과 같이 설명된다. 베이스(102)는 잘 알려진 소켓이나 플러그 유형의 접속을 수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중심이 서로 0.025 인치 떨어져 위치한 80개의 도체들을 가진 SFF-8049 사양에 해당하는 리본 케이블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커넥터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 다른 리본 케이블들에 적용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범주는 앞서의 설명에 국한되어서는 안되며 다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 정의될 것이다.

Claims (53)

  1. 다수의 도체를 가진 멀티-도체 리본 케이블에 대한 커넥터에 있어서,
    리본 케이블내의 접지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제1단을 구비한 다수의 접지 접촉부;
    리본 케이블내의 신호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이때 다수의 신호 접촉부를 통해 리본 케이블내 다수의 신호 도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외부 접촉을 위한 접촉점을 제공하는 제2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신호 접촉부;
    제1표면을 구비하고, 이때 제1표면에 최소한 한 개의 개구(opening)가 다수의 접지 접촉부를 수납하도록 형성되고 제2의 다수의 개구가 제1표면위에 다수의 신호 접촉부를 수납하도록 형성되며 이때 최소한 한 개의 개구 및 제2다수의 개구들은 다수의 접지 접촉부 및 다수의 신호 접촉부를 제1표면으로부터 바깥으로 뻗어나간 다수의 접지 접촉부의 제1단 및 다수의 신호 접촉부의 제1단 및 다수의 접지 접촉부의 제1단과 함께 서로에 대해 고정된 관계로 보유하도록 제1표면에 위치되는 베이스 멤버; 및
    리본 케이블 수취 영역을 규정하며, 베이스 멤버와 맞물리고 리본 케이블이 리본 케이블 수취 영역에 위치될 때, 리본 케이블의 도체들이 다수의 접지 접촉부의 제1단을 리본 케이블내 접지 도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하고 다수의 신호 접촉부의 제1단을 리본 케이블내 다수의 신호 도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하도록 베이스 멤버의 제1표면에 있는 개구들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멤버와 탈착가능하게 맞물리는 커버 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접지 접촉부는 단일 장착부의 제1의 가장자리로부터 밖을 향해 뻗어나가는 다수의 절연 변위단을 갖는 단일 장착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베이스 멤버의 제1표면에 있는 최소한 한 개의 개구는 베이스 멤버의 제1표면을 가로질러 제1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단일 개구로 구성되고, 이때 제1방향은 리본 케이블이 리본 케이블 수취 영역안에 위치될 때 리본 케이블을 횡단하는 방향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다수의 절연 변위단들은 교번의 절연 변위단들이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놓이도록 단일한 장착부의 제1가장자리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다수의 절연 변위단들은 제1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약 0.050인치 떨어져 중심이 놓여지고 SFF-8049 사양에 해당하는 리본 케이블안의 하나 걸러 한개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베이스 멤버에 놓여지는, 40개의 절연 변위단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리본 케이블내 신호 도체들중 최소한 한 개는 접지된 신호 도체이고, 이때 최소한 한 개의 홈이 접지 접촉 개구 및 접지된 신호 접촉부에 해당하는 신호 접촉 개구 사이의 베이스 멤버의 제1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지 접촉부의 장착부는 접지된 신호 도체에 해당하는 신호 접촉부와 다수의 접지 접촉부 사이에 전기적인 접촉이 이뤄지도록 홈안에 위치될 수 있는 휘어질 수 있는 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멤버는 베이스 멤버내에 놓여진 다수의 신호 접촉부의 제2단들로의 억세스를 제공하는 베이스 멤버의 제2표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 멤버의 제1표면에 있는 다수의 개구는 신호 접촉부의 두 열(row)을 수납하도록 제1표면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베이스 멤버의 다수의 개구들은, 각각이 각 열에 신호 접촉부들을 보유하도록 떨어져 놓이고 서로로부터 약 0.10인치에 중심이 놓여지는 각각 20개의 개구로 된 두 열이 있도록 제1표면에 놓여지고, 각 열은 다수의 신호 접촉부들의 제1단들이 사양 SFF-8049 리본 케이블 안의 하나 걸러 한개의 신호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비틀려짐(staggered)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접지 도체들의 제1단들 및 다수의 신호 도체들의 제1단들은 리본 케이블내의 도체들을 둘러싸는 절연체를 변위시키고 그 도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연 변위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다수의 접지 접촉부들과 다수의 신호 접촉부들의 절연 변위단들은 다수의 접지 접촉부 또는 다수의 신호 접촉부들의 장착부에 장착되는 넥 영역(neck portion) 및 사이에 공간을 규정하는 두 개의 블레이드로 이뤄지고 이때 리본 케이블내의 도체가, 절연 변위단이 커넥터의 접촉부들 및 리본 케이블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이뤄지도록 리본 케이블안에 놓여질 때 상기 공간안에 바람직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베이스 멤버 및 베이스 멤버의 제1표면에 인접한 커버 사이에 위치되어야 하는 리테이너를 더 구비하고, 이때 리테이너는 개구내에 놓이는 다수의 접지 접촉부 및 다수의 신호 접촉부 모두의 절연 변위단을 수취하도록 리테이너를 통해 확장하는 다수의 개구들을 포함하고, 리테이너의 제2표면은, 커넥터에 놓여질 때 리테이너의 제2표면 및 커버의 내부면 사이에 리본 케이블이 위치되도록 케이블 수취 영역을 규정하는 커버의 내부면에 인접하여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면 및 리테이너의 제2표면 모두는 리본 케이블내의 도체를 감싸는 절연체의 윤곽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그안에 형성된 다수의 톱니모양의 들어간 모양(이하 인덴테이션;indentation)을 구비하고, 상기 인덴테이션은 커버가 리테이너에 인접하여 위치됨으로써 다수의 접지 접촉부 및 다수의 신호 접촉부의 절연 변위단과 리본 케이블내 도체들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을 조장할 때 커버 및 리테이너상의 두 인덴테이션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내에서 도체가 중심에 놓여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개구는, 커버의 내부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신호 접촉부 및 다수의 접지 접촉부의 절연 변위단들의 블레이드들의 외부 가장자리를 받아들이고 이 블레이드들의 외부 가장자리들을 인접한 블레이들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놓여져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신호 도체들중 최소한 한 개가 접지된 신호 도체인 다수의 도체들 및 다수의 신호 도체들을 구비한 멀티-도체 리본 케이블을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리본 케이블의 접지 도체들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단을 가지는 다수의 접지 접촉부;
    리본 케이블 내 신호 도체들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단을 가지고, 외부 접촉을 위해 다수의 신호 도체들을 통해 리본 케이블내의 다수의 신호 도체들과 전기적 접촉이 이뤄지도록 접촉점을 제공하는 제2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신호 접촉부;
    제1표면을 구비하고, 최소한 한 개의 개구가 다수의 접지 접촉부를 받아 들이도록 제1표면에 형성되고 제2의 다수의 개구들이 다수의 신호 접촉부를 받아들이도록 제1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한 개의 개구 및 제2의 다수의 개구들은 다수의 접지 접촉부 및 다수의 신호 접촉부를 제1표면으로부터 바깥을 향해 뻗어나간 다수의 신호 접촉부의 제1단들 및 다수의 접지 접촉부의 제1단들과 함께 서로에 대해 고정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제1표면에 위치되고, 상기 다수의 접지 접촉부 및 다수의 신호 접촉부와 함께 리본 케이블의 한 개 이상의 접지된 신호 도체들에 상응하는 한 개 이상의 신호 접촉부 사이에 선택적인 전기적 접속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멤버; 및
    리본 케이블 수취 영역을 규정하고, 베이스 멤버와 결합하고 리본 케이블이 리본 케이블 수취 영역에 위치될 때 다수의 접지 접촉부의 제1단들이 리본 케이블내의 접지 도체들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고 다수의 신호 접촉부의 제1단들이 리본 케이블내의 다수의 신호 도체들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도록 리본 케이블의 도체들이 베이스 멤버의 제1표면의 개구들에 인접하여 놓여지도록 커버 멤버가 형성되는, 베이스 멤버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지 접촉부는 단일한 장착부의 제1의 가장자리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다수의 절연 변위단과 함께 단일한 장착부로 이뤄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제 17항에 있어서,
    베이스 멤버의 제1표면에 있는 최소한 한 개의 개구는 베이스 멤버의 제1표면을 가로지르는 제1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단일 개구로 이뤄지고, 이때 상기 제1방향은 리본 케이블이 리본 케이블 수취 영역내에 놓여질 때 리본 케이블을 횡단하는 방향과 일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절연 변위단들은 교번 절연 변위단들이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에 서로로부터 떨어져 놓여지도록 단일 장착부의 제1단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절연 변위단들은, 제1방향에 서로로부터 약 0.050인치 떨어져 중심이 놓여지고 SFF-8049 사양에 해당하는 리본 케이블내의 하나 걸러 한개의 도체와 전기적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베이스 멤버에 놓여지는, 40개의 변위단들로 이뤄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지 접촉부는 한 개 이상의 휘어질 수 있는 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멤버는, 휘어질 수 있는 탭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접지된 신호 도체들에 상응하는 한 개 이상의 신호 접촉부들로 뻗어나가는 한 개 이상의 홈들을 포함하여 한 개 이상의 휘어질 수 있는 탭들이 한 개 이상의 홈들안에 놓여지도록 허용하여 한 개 이상의 접지된 신호 도체들에 상응하는 한 개 이상의 신호 접촉부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멤버는 베이스 멤버에 놓여진 다수의 신호 접촉부들의 제2단으로의 억세스를 제공하는 베이스 멤버의 제2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3. 제 16항에 있어서,
    베이스 멤버의 상기 개구들은, 다수의 접지 접촉부가 SFF-8049 사양 리본 케이블의 접지 도체들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게 하고 다수의 신호 접촉부가 SFF-8049 사양 리본 케이블의 신호 도체들과 전기적인 접촉을 이루게하는 결과를 가져올 구성으로 다수의 접지 접촉부 및 다수의 신호 접촉부를 받을 수 있게 놓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지 도체들의 제1단 및 상기 다수의 신호 도체들의 제1단은 리본 케이블내의 도체들을 감싸는 절연체를 변위시키고 전기적 접촉이 이뤄지도록 형성된 절연 변위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5. 제 24항에 있어서,
    다수의 접지 접촉부 및 다수의 신호 접촉부의 상기 절연 변위 단들은 다수의 접지 접촉부 또는 다수의 신호 접촉부들의 장착부로 장착되는 넥 영역(neck portion)과 사이의 공간을 규정하는 두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이때 절연 변위단이 커넥터와 리본 케이블의 접촉부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이뤄지게 리본 케이블 내에 위치될 때 리본 케이블내의 도체는 상기 공간 사이에 바람직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6. 제 25항에 있어서,
    베이스 멤버와 베이스 멤버의 제1표면에 인접한 커버 사이에 위치되어야 하는 리테이너를 더 구비하고, 이때 상기 리테이너는, 개구내에 놓여진 다수의 접지 접촉부 및 다수의 신호 접촉부들 모두의 절연 변위단을 수납하도록 그를 통해 확장하는 다수의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의 제2표면은 리본 케이블이 커넥터에 놓일 때 커버의 내부면 및 리테이너의 제2표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케이블 수취 영역을 규정하는 커버의 내부면에 인접하여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면 및 리테이너의 제2표면은 모두 리본 케이블내의 각 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의 윤곽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그 안에 형성된 다수의 인덴테이션을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인덴테이션은, 커버가 리테이너에 인접하여 놓여지고 그에따라 다수의 접지 접촉부 및 다수의 신호 접촉부의 절연 변위단들과 리본 케이블내의 도체들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조장할 때 커버 및 리테이너상의 두 인덴테이션들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내에 도체를 중심에 놓여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8. 멀티-도체 리본 케이블을 커넥터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단을 구비하고, 이때 단일 장착부의 제1단으로부터 바깥을 향해 뻗어나가는 다수의 제1단과 함께 단일 장착부로 이뤄지는 다수의 접지 접촉부를 제공하는 단계;
    리본 케이블내의 신호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형성되는 제1단 및 다수의 신호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외부 접촉부들을 위해 접촉점을 제공하는 제2단을 구비하고, 이때 신호 접촉부의 제1단에 인접한 측에 있는 다수의 신호 접촉부들에 부착되는 단일 캐리어내에 위치되는 다수의 신호 접촉부들을 제공하는 단계;
    다수의 접지 접촉부의 다수의 제1단이 베이스의 제1표면으로부터 바깥으로 뻗어나가도록 접지 접촉부의 단일 장착부를 커넥터의 베이스의 제1표면에 형성된 개구안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신호 접촉부들의 다수의 제1단이 베이스의 제1표면으로부터 밖을 향해 뻗어나가도록 다수의 신호 접촉부들의 제2단들을 베이스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안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다수의 신호 접촉부를 베이스내에 위치시키는데 연이어서 다수의 신호 접촉부로부터 캐리어를 제거하는 단계;
    리본 케이블이 다수의 접지 접촉부 및 다수의 신호 접촉부의 제1단들에 인접하여 위치되게 리본 케이블을 커넥터의 리본 케이블 수취 영역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접지 접촉부들이 리본 케이블내의 접지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신호 접촉부들이 리본 케이블내의 신호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리본 케이블을 리본 케이블 수취 영역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도체 리본 케이블을 커넥터에 접속하는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접지된 신호 접촉부에 연결되어야 하는 한 개 이상의 신호 접촉부들을 베이스내의 접지 접촉부에 상호 접속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도체 리본 케이블을 커넥터에 접속하는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신호 접촉부를 상호 접속하는 단계는,
    다수의 접지된 도체의 단일 장착부상에 형성된 탭을, 접지된 신호 도체에 접속된 신호 접촉부와 상기 탭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휘게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도체 리본 케이블을 커넥터에 접속하는 방법.
  31. 제 28항에 있어서,
    다수의 접지 접촉부의 제1단들을 리테이너에 형성된 개구들 안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다수의 신호 접촉부의 제1단을 리테이너에 형성된 개구들 안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및
    리테이너 및 커버 멤버가 리본 케이블 수취 영역을 형성하고 리테이너의 개구들이 다수의 접지 접촉부 및 신호 접촉부의 제1단들을 리본 케이블내의 선택된 개별 도체들쪽으로 인도하도록 베이스 멤버와 커버 사이에 리테이너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도체 리본 케이블을 커넥터에 접속시키는 방법.
  32.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케이블을 리본 케이블 수취 영역에 고착시키는 단계는,
    접지 접촉부가 접지 버스를 형성하는 리본 케이블내의 교번 도체들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고 신호 접촉부가 리본 케이블내의 교번 신호 도체들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도록 사양 SFF-8049 리본 케이블에 상응하는 리본 케이블을 리본 케이블 수취 영역에 고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도체 리본 케이블을 커넥터에 접속시키는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시키는 단계는,
    각 개별적인 도체가 다수의 접지 도체들 또는 다수의 신호 도체들의 제1단을 수취하도록 놓여지게, 도체들을 리본 케이블 수취 영역내에서 중심에 놓도록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도체 리본 케이블을 커넥터에 접속시키는 방법.
  34. 제 32항에 있어서,
    커버를 커넥터의 베이스에 고착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도체 리본 케이블을 커넥터에 접속시키는 방법.
  35. 외부 디비이스들을 리본 케이블로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놓여진 리본 케이블의 신호 도체들 및 접지 도체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커넥터안에 놓여지는 다수의 신호 접촉부 및 다수의 접지 접촉부를 구비하고, 이때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내의 상기 접촉부들의 상호접속에 의해 상기 접지 도체들과 선택되어진 접지된 신호 도체들 사이의 전기적인 상호 접속을 허용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6. 제 35항에 있어서,
    안에 놓여진 다수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제1표면을 규정하고, 이때 상기 다수의 개구들이 상기 다수의 신호 접촉부 및 상기 다수의 접지 접촉부를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지 접촉부는 상기 제1표면으로부터 밖을향해 뻗어나오는 다수의 절연 변위단 및 상기 제1표면의 개구안에 놓여지는 단일 장착부로 이뤄짐을 특징으로 커넥터.
  38.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신호 도체는 각각, 상기 제1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나오는 절연 변위단 및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2표면에 있는 상기 개구내에 각각 놓여지는 탄성적 결합단으로 이뤄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내에 놓여진 상기 다수의 탄성적 결합단들로의 억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2표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들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0.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케이블내의 접지된 신호 도체들에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접지 접촉부 및 선택된 신호 접촉부들 사이에서 뻗어나가도록 상기 제1표면에 한 개 이상의 홈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된 신호 접촉부는,
    상기 홈들에 위치되어 상기 선택된 신호 접촉부들을 상기 다수의 접지 접촉부에 상호 접속시키도록 형성된 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2. 제 36항에 있어서,
    리본 케이블을 포획하고 상기 접촉부들이 상기 리본 케이블내의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1표면에 가깝게 상기 리본 케이블을 두도록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3. 제 36항에 있어서,
    SFF-8049 사양에 해당하는 리본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4. 외부 디바이스들을 리본 케이블에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놓여진 리본 케이블의 신호 도체들 및 접지 도체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커넥터안에 놓여진 다수의 신호 접촉부 및 다수의 접지 접촉부를 구비하고, 이때 상기 다수의 접지 접촉부는 접지 버스를 구비한 상기 리본 케이블내의 다수의 접지 도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커넥터내에 놓여지고 상기 다수의 신호 접촉부는 리본 케이블내의 다수의 신호 도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커넥터내에 놓여지고, 접지 버스를 통합하지 않는 리본 케이블에 접속되도록 형성된 커넥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성 인자(form factor)을 가지도록 규격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5. 제 44항에 있어서,
    ANSIx3.279-1996 사양을 따르는 리본 케이블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커넥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성 인자를 가지는 한편 사양 SFF-8049 리본 케이블에 접속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6.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내의 상기 접촉부의 상호 접속에 의해 상기 접지 도체 및 선택되어진 접지된 신호 도체들 사이의 전기적 상호 접속을 허용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7. 제 44항에 있어서,
    안에 놓여진 다수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제1표면을 규정하고, 이때 상기 다수의 개구들은 상기 다수의 신호 접촉부 및 상기 다수의 접지 접촉부를 수납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지 접촉부는,
    상기 제1표면으로부터 바깥을 향해 확장하는 다수의 절연 변위단 및 상기 제1표면의 개구안에 놓여진 단일 장착부로 이뤄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9.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신호 도체들은,
    각각 상기 제1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하는 절연 변위단을 가진 접촉부 및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1표면의 상기 개구내에 각각 놓여진 탄성적 결합단으로 이뤄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0.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내에 놓여진 상기 다수의 탄성적 결합단들로의 억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2표면내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들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케이블내의 접지된 신호 도체들에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다수의 접지 접촉부 및 선택되어진 신호 접촉부들 사이에서 뻗어나가도록 상기 제1표면에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신호 접촉부들은,
    상기 홈에 놓여져서 상기 선택되어진 신호 접촉부들을 상기 다수의 접지 접촉부들에 상호 접속시키게 하도록 형성되는 탭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3.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케이블을 포획하고 상기 접촉부들이 상기 리본 케이블안의 도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1표면에 근접시켜 상기 리본 케이블을 두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19997008110A 1997-03-07 1998-03-05 일체형 접지 버스를 갖는 멀티-도체 케이블 커넥터 KR200000760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13,543 US5902147A (en) 1997-03-07 1997-03-07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grounding bus
US8/813,543 1997-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024A true KR20000076024A (ko) 2000-12-26

Family

ID=2521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110A KR20000076024A (ko) 1997-03-07 1998-03-05 일체형 접지 버스를 갖는 멀티-도체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5) US5902147A (ko)
EP (1) EP0965153A4 (ko)
JP (1) JP2001513942A (ko)
KR (1) KR20000076024A (ko)
CN (1) CN1249855A (ko)
AU (1) AU741301B2 (ko)
CA (1) CA2283096A1 (ko)
WO (1) WO19980398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8028A (en) * 1997-03-26 1999-07-27 Quantum Corporation Interspersed ground ribbon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therefor
US6033238A (en) * 1997-05-30 2000-03-07 The Whitaker Corporation Ribbon cable connector with ground bus
TW359422U (en) * 1998-01-24 1999-05-21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ing apparatus
US5967832A (en) * 1998-02-23 1999-10-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speed connector assembly
CN1308783A (zh) * 1998-06-29 2001-08-15 惠特克公司 带有接地总线的高密度电连接器
TW404580U (en) * 1998-10-01 2000-09-01 Advanced Connectek Inc Multiline wire connector
DE19853837C1 (de) * 1998-11-23 2000-02-24 Krone Ag Abschirmeinrichtung für Anschlußleisten der Tele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US6582247B2 (en) * 1999-09-30 2003-06-24 The Siemon Company Connecting block with staggered IDCs
US6309243B1 (en) * 1999-10-14 2001-10-30 Starlink Electronics Corp. High density cable assembly and grounding pieces of connectors of the same and method for grounding
US6398580B2 (en) 2000-01-11 2002-06-04 Visteon Global Tech., Inc. Electrical terminal member
US6386901B1 (en) * 2000-06-16 2002-05-14 Lsi Logic Corporation Piercing pin structure and attachment for higher density ribbon cable
US6811429B2 (en) * 2001-08-31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noise IDC terminal/pin arrangement for flat ribbon cable connectors
US6645002B1 (en) * 2002-05-31 2003-11-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IDC connector assembly
US6817887B2 (en) * 2002-12-24 2004-11-1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connector having improved latch member
JP2004273173A (ja) * 2003-03-05 2004-09-30 Pioneer Electronic Corp 接点構造、電子機器及び接点構造の製造方法
DE10319728A1 (de) * 2003-04-30 2004-11-1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bzweig-Steckverbinder
JP3948526B2 (ja) * 2003-05-06 2007-07-25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US6840792B1 (en) * 2004-02-20 2005-01-11 L & K Precision Technology Co., Ltd. Thin connector
US6994583B1 (en) * 2004-07-21 2006-02-07 L&K Precision Technology Co., Ltd. Connector
US7207829B2 (en) * 2004-11-30 2007-04-24 Yokowo Co., Ltd. Electric connector
JP4551868B2 (ja) * 2005-12-28 2010-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204261Y (zh) * 2008-04-01 2009-03-04 王风良 一种夹刺式电子连接器
JP4565031B2 (ja) * 2008-09-17 2010-10-20 山一電機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高速伝送コネクタ用プラグ、および、高速伝送コネクタ用ソケット
US7833068B2 (en) * 2009-01-14 2010-11-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connector for a transceiver assembly
CA2832707C (en) 2011-04-26 2017-10-03 Communications Systems, Inc. Telecommunications wiring termination block
CN103247908A (zh) * 2012-02-06 2013-08-14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6039487B2 (ja) * 2013-04-05 2016-12-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02634B2 (ja) * 2013-06-14 2016-10-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6050196B2 (ja) * 2013-08-09 2016-12-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
CN105659441B (zh) * 2013-11-26 2018-01-23 申泰公司 直接附着的连接器
US9287663B1 (en) * 2014-08-26 2016-03-15 Lg Chem,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electrically coupl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terminals of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to one another
JP7232129B2 (ja) * 2019-06-13 2023-03-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139623B2 (en) * 2020-01-14 2021-10-05 Lear Corporation Splice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8912A (en) * 1977-02-25 1978-01-17 Amp Incorporated Cable clamping insulation displacing electrical connector for multi-conductor flat flexible cable
US4095862A (en) * 1976-10-19 1978-06-20 Pin 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flat cable
US4027941A (en) * 1976-11-01 1977-06-07 Thomas & Betts Corporation 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lat flexible cable
US4094564A (en) * 1977-03-17 1978-06-13 A P Products Incorporated Multiple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bus
US4194803A (en) * 1978-05-15 1980-03-25 Pintek, Inc. Connector for flat ribbon cable
US4260209A (en) * 1978-09-05 1981-04-07 Amp Incorporated Transmission cable connector
JPS5556379A (en) * 1978-10-19 1980-04-25 Yamaichi Electric Mfg Presssfitting connector terminal for coated conductor
JPS5954659U (ja) * 1982-10-01 1984-04-10 松下冷機株式会社 扉体
US4641904A (en) * 1983-06-18 1987-02-10 Yamaichi Electric Mfg. Co., Ltd. Flat cable connecting system
US4596428A (en) * 1984-03-12 1986-06-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conductor cable/contact connection assembly and method
US4601527A (en) * 1985-01-18 1986-07-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hielded header and cable assembly
US4681382A (en) * 1985-12-20 1987-07-21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transmission cable
US4701139A (en) * 1986-04-25 1987-10-20 Amp Incorporated Shielded cable assembly
US4762500A (en) * 1986-12-04 1988-08-09 Amp Incorporated Impedance matched electrical connector
US4781620A (en) * 1987-02-18 1988-11-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at ribbon coaxial cable connector system
US4747787A (en) * 1987-03-09 1988-05-31 Amp Incorporated Ribbon cable connector
US4824384A (en) * 1987-03-09 1989-04-2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use
JPH0237678A (ja) * 1988-07-28 1990-02-07 Honda Tsushin Kogyo Kk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4902243A (en) * 1989-01-30 1990-02-20 Amp Incorporated High density ribbon cable connector and dual transition contact therefor
US4938711A (en) * 1989-01-30 1990-07-03 Amp Incorporated Strain relief for ribbon cable connectors
US5041011A (en) * 1989-04-06 1991-08-20 Peter Chiang Round computer cable assemblies of D-type connector
JP2993644B2 (ja) * 1989-10-27 1999-12-20 ケル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US5060372A (en) * 1990-11-20 1991-10-29 Capp Randolph E Connector assembly and contacts with severed webs
US5161987A (en) * 1992-02-14 1992-11-10 Amp Incorporated Connector with one piece ground bus
US5338221A (en) * 1993-06-09 1994-08-1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 density ribbon cable
US5536179A (en) * 1994-07-25 1996-07-1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bus inse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02147A (en) 1999-05-11
AU6683898A (en) 1998-09-22
CA2283096A1 (en) 1998-09-11
EP0965153A4 (en) 2002-03-20
EP0965153A1 (en) 1999-12-22
JP2001513942A (ja) 2001-09-04
CN1249855A (zh) 2000-04-05
US6280242B1 (en) 2001-08-28
US20020004332A1 (en) 2002-01-10
US6533607B2 (en) 2003-03-18
US20030124901A1 (en) 2003-07-03
US6077105A (en) 2000-06-20
AU741301B2 (en) 2001-11-29
WO1998039819A1 (en) 199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6024A (ko) 일체형 접지 버스를 갖는 멀티-도체 케이블 커넥터
EP0317925B1 (en) Retention and ground plane connector clip
CA2234536C (en) Improvements in multi-pin electrical connectors
US4639054A (en) Cable terminal connector
RU2216079C2 (ru) Штепсельные розетка (варианты), колодка и вилка
US7530827B2 (en) Raceway IDC connector
US6270358B1 (en) Low-voltage male connector
EP0214830A2 (en) FPC connector
EP0713268B1 (en) Small pitch dual row leaf connector
KR920007270A (ko) 차폐된 전기 커넥터
US5618202A (en) Connector having strip line structure
JPH11513190A (ja) 小型カード・ドッキング・コネクタ
JP2002504742A (ja) 高速コネクタ組立品
JPS6222232B2 (ko)
JP2001515651A (ja) 性能が向上した電気通信コネクタ
JPH0955243A (ja) コネクタ
US6120319A (en) IDC connector
US6309243B1 (en) High density cable assembly and grounding pieces of connectors of the same and method for grounding
US5971793A (en)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JPH07169525A (ja) 電気コネクタ
US2001000036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 contacts
AU1675401A (en)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grounding bus
US4685755A (en) Terminal assembly
MXPA99008182A (en)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grounding bus
EP4325669A1 (en) Connecting assembly, cable plug and cab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