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0449A - 고체음 및/또는 적취음의 방음을 위한 에어로겔의 용도 - Google Patents

고체음 및/또는 적취음의 방음을 위한 에어로겔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449A
KR20000070449A KR1019997006685A KR19997006685A KR20000070449A KR 20000070449 A KR20000070449 A KR 20000070449A KR 1019997006685 A KR1019997006685 A KR 1019997006685A KR 19997006685 A KR19997006685 A KR 19997006685A KR 20000070449 A KR20000070449 A KR 20000070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gel
binder
aerogels
particles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베르트페거프리츠
슈미트마르크
Original Assignee
마싸 앤 피네간
캐보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싸 앤 피네간, 캐보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싸 앤 피네간
Publication of KR2000007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44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에어로겔 입자, 특히 복합물 형태의 에어로겔 입자는 고체음 및 적취음의 방음에 사용된다.

Description

고체음 및/또는 적취음의 방음을 위한 에어로겔의 용도{Use of aerogels for deadening structure-borne and/or impact sounds}
본 발명은 에어로겔을 이용한 고체음 및/또는 적취음(이하 고적이라 한다)의 방음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고체음이라 함은 고체에 충격을 가했을 때 고체내에 퍼져나가는 음을 말하고 적취음이란 예를 들어 바닥을 밟거나 의자를 끌 경우 발생한 고체음이 부분적으로 공기 파동으로 변해 약화된 음을 말한다[참조: Firmenschrift der Rhinolith Dammstoffe GmbH; Technishe Informationen: In 150 Bauphysik 6/96; sowie Reichardt, W., Grundlagen der technischen Akustik; Akademische Verlagsgesellschaft, Leipzig; 1968].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한 기존의 고적 방음 물질은 프레온 가스, 이산화탄소, 펜탄과 같은 촉매를 사용하도록 만들어졌다. 이러한 촉매 사용에서 생기는 포말의 셀구조는 방음 성능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었으나 대기로 방출되는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켜 왔다.
여타 광물성 섬유나 광(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고적 방음 물질은 생산, 조립, 분해 또는 사용 기간 중 섬유의 일부가 외부로 방출될 위험이 있어 환경을 훼손했을 뿐 아니라 제품 사용자와 제품에 노출된 사람들까지도 해를 입을 수 있었다.
에어로겔, 특히 60%이상의 다공성(多孔性) 및 0.6 g/㎤이하의 밀도를 가진 에어로겔은 열 전도율이 매우 낮아 EP-A-0 171 722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방열 물질로 자주 사용된다. 그 이외에도 에어로겔에 잡힌 소리의 속도는 에어로겔도 고체라는 것을 감안해 볼 때 여타 고체와 비교해 현저히 낮으며 따라서 이 에어로겔은 방음 물질로서 이상적이다.
에어로겔을 광의로 해석하면 분산 촉진제로서의 기체를 포함한 겔이란 의미가 된다. 이러한 에어로겔은 이 물질 생산에 적합한 겔 성분을 건조시킴으로서 생산된다. 이러한 에어로겔은 다양한 물질들로 세분화될 수 있는데 건조겔(xrogel)이나 열성겔(kryogel)이 바로 그것이다. 여기서 건조겔은 협의의 에어로겔이라 하겠는데 이 물질은 기준 이상의 온도와 기준 이상의 압력을 통해 겔내 액체 성분이 가능한 수준까지 제거된 물질을 말한다. 하지만 겔내 액체 성분을 기준 이하, 예를 들면 액체가 기화될 정도 수준의 온도에서 제거되어 생성된 겔 역시도 건조겔이라 부르기도 한다.
에어로겔이라는 개념을 사용할 때 보통 위에서 설명한 광의의 에어로겔을 의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준 이상, 이하 온도에서의 겔 건조 방식은 다음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EP-A-O 396 076, WO 92/03378, WO 94/25149, WO 92/20623, EP-A-O 658 513.
기준 이상 온도에서 건조된 겔은 일시적으로 소수성을 보이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물을 잘 결합하는 반면, 기준 이하 온도에서 건조된 겔은 생산과정에서 건조전에 실릴화하는 관계로 지속적인 소수성을 띤다.
그 이외에도 에어로겔은 무기성과 유기성 에어로겔로 나눌 수 있는데 무기성 에어로겔을 1931년 이미 세상에 알려진 물질이고[참조: S,S, Kistler, Nature 1931,127,741] 다양한 성분을 지닌(예:멜라민포름알데히드(Melaminformaldehyd)) 유기성 에어로겔이 알려진 것은 불과 몇 년에 지나지 않는다[참조: R.W. Pekala, J. Mater. Sci. 1989, 24,3221].
에어로겔 함유 혼합물 역시도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 물질은 낮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방열 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혼합물의 예는 다음에 자세히 열거되어 있다: EP-A-O 340 707, EP-A-O 667 370, WO96/12683, WO96/15997, WO96/15998, DE-A-44 30 642, DE-A-44 30 669.
독일 특허 출원 195 33 564.3호, DE-A-44 30 642, DE-A-44 30 669, WO 96/19607에는 이 이외에도 에어로겔 함유 혼합물의 대기내 방음 효과에 대해서도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뛰어난 방열성과 고적 방음 효과를 동시에 갖춘 물질이 있다면 더할 나위없을 것이다.
특히 건물 축조에 있어 방음, 방열 구조를 사용해야 할 경우 더욱 그러할 것이다. 바닥을 밟을 때 나는 소음을 방지하려고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이런 경우 에어로겔을 이용한 방음 구조를 설치한다면 구조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보다 많을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뿐더러 다층 건물의 경우 건물 높이 자체를 낮추어 건축 자재를 절약할 수도 있다. 게다가 기존의 방음 장치에 비해 밀도도 낮으므로 건물 축조가 보다 쉬워진다. 에어로겔과 같은 방음 물질을 포함한 방음 장치는 외부 조건과 무관하게 조립, 설치, 변경할 수 있으며 부착 후 건조나 분리에 걸리는 시간도 매우 짧다. 따라서 건물 전체를 축조하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방열, 방음 물질은 기계 바닥 보호 차단이나 별도로 축조된 건물이나 건물의 일부의 벽을 차단하는 등 개개 물체 차단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과정에서 중점을 둔 사항은 고적 방음에 적합하고 손쉽게 원하는 형태로 생산 가능하며 사용시 자유자재로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해 나가는 것, 또 에어로겔이 기존 사용 분야 외에 또 어떤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는 에어로겔 소립자를 고적 방음에 사용함으로서 한꺼번에 해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어로겔에는 Si-Al 결합제와 같이 산화금속을 이용한 에어로겔과 농축 멜라민포름알데히드(US-A-5,086,085)나 농축 레소르신포름알데히드(US-A-4,873,218))와 같이 유기물을 이용한 에어로겔이 있는데 이 두 물질은 모두 Sol-Gel 기술에 매우 적합하다[참조: C.J. Brinker. G.W.Scherer, Sol-Gel-Science, 1990, Kap. 2 und 3]. 이 두 종류의 에어로겔을 섞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보통은 Si 결합제를 함유한 에어로겔, 특히 SiO2-에어로겔이 가장 많이 쓰인다.
최상의 실행 형태에서 에어로겔 소립자들은 장시간 소수성인 표면 그룹을 형성하게 된다. 장시간의 소수성화에 적합한 그룹은 화학식 -Si(R)n(여기서,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삼치환된 실릴 그룹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나머지 R은 일반적으로 수소 원자에 따라 서로 같거나 상이하다. 또한 반응하지 않고 유기적이며 직쇄 또는 측쇄이고 사이클릭 및 방향족이거나 헤테로방향족인 잔류물로 C1-C18-알킬 또는 C6-C14-아릴이 좋고, 특히 선호되는 것은 C1-C6-알킬, 사이클로헥실 또는 페닐, 특히 메틸과 에틸인 것 등이다. 에어로겔의 소수화를 위해 특히 바람직한 방법은 트리메틸실릴 그룹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그룹의 결합은 예를 들어 WO94/25149나 독일 특허원 P196 48 798.6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실시할 수 있고 클로르트리알킬실란 또는 헥사알킬디실라잔과 같은 트리알킬실란 유도체 또는 에어로겔 사이의 기체 상 반응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참조: R. Iler, The Chemistry of Silica, Wiley & Sons, 1979]. OH 그룹과 비교하여 이렇게 생산된 소수성 표면 그룹은 전매질의 손실 요인이나 유전율을 줄일 수 있다.
친수성의 에어로겔 표면 입자는 대기 중의 습도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수분을 흡수하는데 이 경우 물질의 유전율(誘電-Dielectricity constant) 및 전매성(Dieletric loss factor)은 습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이는 전기를 사용하려고 할 경우 큰 불편을 끼칠 수도 있다. 이 때 소수성 표면 입자를 지닌 에어로겔을 사용하면 물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이런 위험 변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에어로겔 종류를 선택하는데 있어 기준이 되는 것에는 사용 온도 등이 있다.
또 높은 다공성을 지닌 저밀도 에어로겔의 열전도율이 낮다는 것도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60%이상의 다공율과 0.6g/㎤이하 밀도의 에어로겔이 가장 선호되고 있다. 그중 특히 0.2g/㎤이하 밀도의 에어로겔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품이다.
널리 사용되는 생산 방식에서 에어로겔의 입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되는데 원칙적으로는 이 분야 숙련인에게 공지된 에어로겔 함유 혼합물이면 모두 사용에 적합하다고 보고 있다.
이 중 특히 5 내지 97용적%의 에어로겔 입자와 최소한 한 가지의 접합 성분 물질을 함유한 혼합물을 가장 선호하고 있다.
이 혼합 물질은 하나의 막을 형성하는데 이 막은 에어로겔 입자들을 상호 결합시키거나 완전히 둘러싸 혼합물 전체를 감싼다.
5용적% 미만의 에어로겔 입자 함유량을 가진 물질의 경우 에어로겔 함유량이 너무 낮은 관계로 에어로겔이 지닌 긍정적 효과를 얻지 못한다. 이런 성분의 제품은 고적 방음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결합제내 에어로겔 입자 함유량이 97용적%을 크게 넘어설 경우 에어로겔과 함께 결합제를 구성하는 또 다른 성분인 접합 물질의 성분이 3용적%이하로 낮아짐으로써 결합제가 제 구실을 못하게 된다. 즉 에어로겔 입자를 충분히 서로 결합시키지 못해 제품이 외부 압력에 쉽게 형태가 변질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정 수준의 에어로겔 입자 함유량은 10 내지 97용적% 정도이며 최적 함유량은 40 내지 95용적% 수준이다.
결합제 내에서 에어로겔 입자를 크기에 맞게 적절하게 분산시킬 경우 에어로겔 입자 함유량을 높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에어로겔 입자가 대수식 일반 분포의 형태를 보이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가능한 한 높은 밀도의 물질을 얻고 싶을 때에도 에어로겔 입자는 물질 전체의 두께와 비교했을 때 그 크기가 작아야 하는데 크기가 큰 입자는 제품에 손상이 올 경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50mm에서 10mm정도의 입자가 적절하며 최적의 크기는 200mm에서 5mm이다.
이미 세상에 알려진 모든 유기, 무기 결합제는 원칙적으로 결합제를 생산하는데 적합한 물질들이다. 이 결합제가 무형인지 반결정체형인지 혹은 결정체 형인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접합 물질은 흐르는 형태, 즉 액체, 용융체, 용매, 분사제의 형태이거나, 현탁액의 형태로 또는 분말 입자의 형태로 사용된다.
접합 물질은 물리적으로나 화학적으로나 경화성분을 지닌 1원소 결합체 혹은 2원소, 다원소 결합체, 경우에 따라서는 이 모든 것의 혼합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접합 물질은 포말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결합제가 액체, 용융체, 분사제, 현탁액 혹은 분말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아크릴레이트, 알루미늄포스페이트, 신나크릴레이트, 사이클로올레핀-공중합체, 에폭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농축 포름알데하이드, 요소수지,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 수지, 메타크릴레이트, 페놀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부티롤, 레소르신 수지, 실리콘, 실리콘 수지 등이 있다.
결합제 내의 접합 물질은 일반적으로 3 내지 95용적% 정도의 양으로 사용된다. 3 내지 90용적% 정도가 적정 분량이며 5 내지 60용적% 수준이 최적량이다. 완성된 결합제가 원하는 구조적, 열적 성격을 갖도록 그에 맞추어 접합 물질을 선택한다.
그 이외에도 결합제를 선택할 때 에어로겔 입자내 포말 기포 내로 스며들지 않는 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포내 물질 투입 여부는 접합 물질 선택 뿐 아니라 압력, 온도, 구성 성분 처리 시간 등을 결정하는데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또 결합제는 85용적%까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 결합제의 구성성분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섬유 성분이 필요한데 이 때 사용되는 것이 양모나 편직물, 펠트이다. 이들 직물은 반드시 새 것이 필요가 없고 헌 것이나 조각이어도 무관하다. 호일류(쿠킹 호일) 조각 역시도 같은 용도로 사용되곤 한다.
결합제를 만들 때 염색이나 장식 효과를 내기 위해 혹은 표면의 접착제를 고정시키기 위해 기타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주성분인 에어로겔과 접합 물질을 제외한 이런 물질들의 함유량은 70% 이하가 적당하나 0 내지 50용적%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소수성 에어로겔 표면 입자가 소수성 접합 물질과 함께 사용될 경우 소수성 결합제가 생성된다.
결합제가 사용된 접합 물질이나 친수성 에어로겔 입자로 인해 호수성분을 띨 경우, 경우에 따라 이 결합제에 소수성을 부여하는 후속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사용하기 좋은 물질로는 에나멜, 호일, 또는 실릴화제, 실리콘 수지, 유기, 무기성 접합 물질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이 분야 전문가들이 같은 용도로 자주 사용하는 물질들이다.
이제 구성 물질을 접합시킬 차례이다. 이때에는 '커플링제'라는 물질이 사용되는데 이 물질은 결합제가 에어로겔 입자 표면에 더 잘 달라붙도록 도와주며 개개의 에어로겔 입자, 혹은 여타 접합 물질, 기타 구성 성분과의 밀착도도 높여준다.
이 애초에 계획에 했던 대로 에어로겔 입질물로 만든 결합제는 0.6g/㎤이하의 밀도를 보였으며 12dB이상의 고적 방음 효과를 보임으로써 기존 제품에 비해 그 성능이 크게 좋아 졌다. 실험에 따라서는 14dB이상의 고적 방음 효과를 내기도 했다.
결합제의 방화(防火)율은 사용된 에어로겔이나 결합제의 방화율에 의해 결정된다. 결합제의 방화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리콘 수지 접착제 등 방화율이 높은 물질을 입혀야 한다. 그 이외에도 전문가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타 방화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더러움 방지, 소수성 물질을 덧입힐 수도 있다.
에어로겔을 함유한 결합제는 에어로겔과 결합제를 섞어 원하는 형태를 만들고 완전히 굳혀서 만든다.
이러한 결합제를 만들 때 최소한 한가지의 결합제를 이용해 개개의 에어로겔 입자를 연결한다. 이 경우 개개 입자의 결합은 점 형태를 이루며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결합제(용매, 용융체, 현탁물, 분산제로서 사용되어지는 것이다.)과 섞인 에어로겔을 스프레이처럼 연결 물질 표면에 뿌려준다. 이렇게 덧씌워진 입자층은 딱딱하게 굳어 결합제의 외부층을 이룬다.
널리 사용되는 결합제에서는 개개 입자사이에 또다른 층을 만들어 넣기도 하는데 이 때 이 층의 구성 성분은 부분 혹은 전부가 결합제가다. 이 경우 에어로겔 입자를 가루형태의 결합제과 섞어 원하는 형태를 만든 후 굳혀서 이 새로운 층을 만든다.
이 때 에어로겔과 분말형 결합제의 혼합은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가지 성분을 동시에 넣을 수도 있고, 한 성분을 먼저 넣고 다른 성분을 첨가해도 좋다.
이 두 성분을 혼합할 기기 역시도 제한이 없다. 전문가들이 같은 용도로 사용하는 기기라면 뭐든 사용가능하다. 에어로겔 입자가 혼합물내에 골고루 퍼졌을 때가 혼합물이 완성된 것이다. 혼합에 필요한 시간이나 혼합용 기기의 작동속도에 따라 혼합 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
이제 혼합물을 굳힐 차례이다. 사용된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 열을 가하기도하고 사용된 용매나 분산물을 증발시켜 굳힐수도 있다. 단, 용융체를 사용할 경우 접합 물질의 녹는점 아래의 온도에서 혼합물을 냉각시킴으로써 혹은 결합제의 화학반응을 통해서 혼합물을 굳힐 수 있다.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이 혼합물을 압축하는 방법이다. 전문가의 경우 용도에 맞게 원하는 가압기를 사용하거나 그 밖에 압축 도구를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다. 에어로겔 함유 혼합물은 공기 함유량이 높으므로 진공 가압기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혼합물을 접시모양으로 납작하게 압축하기도 한다. 이 압축물이 압축 도구에 달라붙지 않게 하기 위해서 끈적이는 에어로겔 함유물과 용구 사이에 종이나 호일을 사용해 분리할 수 있다. 이 납작한 혼합물 형태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직물이나 호일, 특수 호일, 고체 섬유판 등을 덧입혀 혼합물의 표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 직물, 호일, 특수 호일, 고체 섬유판 등은 나중에 별도로 부착하기도 하고 혼합물 생산 과정에서 덧씌우기도 한다. 후자의 방식이 더욱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생산단계 중 상기 물질을 혼합물과 함께 압착기에 넣고 압축하거나 이미 압축된 혼합물 위에 덧입혀져 적절한 압력과 온도하에 압축되어 에어로겔 합성판으로 완성된다.
압축할 때 사용한 결합제가 무엇이냐에 따라 1에서 1000bar의 압력을 사용해 원하는 형태를 만든다. 혼합물을 굳히는 단계에서는 0에서 300℃정도의 온도에서 압축한다. 하지만 이 온도보다 현저히 낮은 온도에서 혼합물을 굳힐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일차 압축하고 다음에는 아무런 압력없이 혼합물이 굳도록 내버려 둔다.
특별히 에어로겔 함유량이 높아 그만큼 열전도율이 떨어지는 결합제는 별도의 적절한 열원을 이용해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폴리비닐부티르알렌의 경우 사용된 접합 물질을 전자 레인지와 연결해 열을 전달 받는데 전자 레인지는 이런 경우 자주 사용되는 열원이다. 이제 몇가지 예를 들어 본 발명 화합물을 좀더 자세히 설명해 보기로 하자.
에어로겔은 DE-A-43 42 548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생산되었다.
이번 실험에서 에어로겔 입질물의 열 전도율은 열선방식으로 측정하고[참조: Siehe Z.B.O, Nielsen, G, Ruschenpohler, J, GroB, J, Fricke, High Temperatures High Pressure, Vol, 21, 267-274(1989)] 결합제 전체의 열전도율은 DIN(독일 표준) 52612에 의해 측정했다. 고적 방음 성능 개선 정도를 측정하는 잣대로는 DIN 52210 표준의 적취음 측정대를 이용했다.
실시예 1
에어로겔 50용적%와 폴리비닐부티랄 50용적%로 구성된 결합제
이 결합제에는 소수성 에어로겔 입질물 50용적%(고체상태에서의 밀도 130kg/㎥) 와 폴리비닐부티랄 분말 50용적%(고체 상태에서의 밀도 1100kg/㎥)이 골고루 섞여 있었다. 이들 성분의 혼합 비율은 결합제의 질량 목표치에 맞추어 결정되었다. 소수성 에어로겔 입질물의 입자 크기는 650mm를 조금 상회했고 BET-표면 부피는 640㎡/g, 열 전도율은 11mW/mK이었다. 폴리비닐부티랄 분말은 MowitalR(Polymer F)(Hoechst 주식회사 약품)을 사용했다.
압축기 바닥은 분리용 종이를 깔았고 그 위에 에어로겔 함유 혼합물을 평평하게 편 후, 그 위를 다시 종이로 덮었다. 220℃의 온도에서 30분동안 18mm두께로 압축했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결합제는 280 kg/㎥의 밀도에 40mW/mK의 열 전도율을 지녔다. 적취 방음 개선도는 19dB이었다.
실시예 2
에어로겔 80용적%와 폴리비닐부티랄 18용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2용적%로 구성된 결합제
이 결합제에는 소수성 에어로겔 입질물 80용적%(고체상태에서의 밀도 130kg/㎥) 와 폴리비닐부티랄 분말 18용적%(고체 상태에서의 밀도 1100kg/㎥),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2용적%이 골고루 섞여있었다. 이들 성분의 혼합 비율은 결합제의 질량 목표치에 맞추어 결정되었다. 소수성 에어로겔 입질물의 입자 크기는 650mm를 조금 상회하고 BET-표면 부피는 640㎡/g, 열 전도율은 11mW/mK이었다. 폴리비닐부티랄 분말은 MowitalR(1정-50mm) (Polymer F)(Hoechst 주식회사 약품)을, 섬유질은 TreviraR특강 섬유질(Hoechst 주식회사)을 이용했다.
압축기 바닥은 분리용 종이를 깔았고 그 위에 에어로겔 함유 혼합물을 편편하게 편 후, 그 위를 다시 종이로 덮었다. 220℃의 온도에서 30분동안 18mm두께로 압축했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결합제는 250 kg/㎥의 밀도에 25mW/mK의 열 전도율을 지녔다. 적취 방음 개선도는 22dB이었다.
실시예 3
에어로겔 90용적%, 분사 접착제 10용적%로 구성된 결합제
이 결합제에는 소수성 에어로겔 입질물 90용적%(고체상태에서의 밀도 130kg/㎥)에 MowilithR분사제 VDM 1340 10용적%을 용기에 담아 뿌려 덧입혔다. 이들 성분의 혼합 비율은 결합제의 질량 목표치에 맞추어 결정되었다. 소수성 에어로겔 입질물의 입자 크기는 650mm를 조금 상회하고 BET-표면 부피는 640㎡/g, 열 전도율은 11mW/mK이었다. 분사 접착물로는 MowilithRVDM 1340 (Hoechst 주식회사 약품)을 사용했다.
압축기 바닥은 분리용 종이를 깔았고 그 위에 에어로겔 함유 혼합물을 평평하게 편 후, 그 위를 다시 종이로 덮었다. 190℃의 온도에서 15분동안 18mm두께로 압축했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결합제는 200 kg/㎥의 밀도에 29mW/mK의 열 전도율을 지녔다. 적취 방음 개선도는 24dB이었다.

Claims (7)

  1. 고체음 및 적취음 방음용으로서의 에어로겔 입자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고적 방음용으로 사용되는 에어로겔이 Si 결합물을 함유한 물질, 바람직하게는 SiO2에어로겔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된 에어로겔 입자 표면이 영구 소수성인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에어로겔 입자가 60%이상의 다공성 및 0.6g/㎤ 이하의 밀도를 갖는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에어로겔 입자의 크기가 50㎛ 내지 10mm인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에어로겔 입자가 결합제의 형태로 사용되는 용도.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결합제내의 에어로겔의 비율이 5 내지 97용적%인 용도.
KR1019997006685A 1997-01-24 1998-01-22 고체음 및/또는 적취음의 방음을 위한 에어로겔의 용도 KR20000070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2238A DE19702238A1 (de) 1997-01-24 1997-01-24 Verwendung von Aerogelen zur Körper- und/oder Trittschalldämmung
DE19702238.3 1997-0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449A true KR20000070449A (ko) 2000-11-25

Family

ID=781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685A KR20000070449A (ko) 1997-01-24 1998-01-22 고체음 및/또는 적취음의 방음을 위한 에어로겔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98358B1 (ko)
EP (1) EP0966411B1 (ko)
JP (2) JP4776744B2 (ko)
KR (1) KR20000070449A (ko)
CN (1) CN1200904C (ko)
DE (2) DE19702238A1 (ko)
ES (1) ES2193513T3 (ko)
WO (1) WO19980327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891B1 (ko) 2008-03-19 2008-06-24 주식회사 에스공사 소음 차단이 가능한 페인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03524A3 (en) * 1999-11-29 2002-07-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drying wet silica gel
DE10057368A1 (de) * 2000-11-18 2002-05-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Isolationsschicht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Karosserieteile
US7641954B2 (en) * 2003-10-03 2010-01-05 Cabot Corporation Insulated panel and glaz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7621299B2 (en) * 2003-10-03 2009-11-24 Cabo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 vessel with particulate matter
US7770693B2 (en) * 2004-09-15 2010-08-10 Kazuo Uejima Mat for acoustic apparatus
DE102004047552B4 (de) * 2004-09-30 2006-12-21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Herstellung von Aerogel-Verbundwerkstoffen
US7270851B2 (en) 2004-11-04 2007-09-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ethod for nanoencapsulation of aerogels and nanoencapsulated aerogels produced by such method
US7635411B2 (en) * 2004-12-15 2009-12-22 Cabot Corporation Aerogel containing blanket
US7444687B2 (en) * 2005-08-29 2008-1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ring protective device that includes cellular earmuffs
US20070044206A1 (en) * 2005-08-29 2007-03-01 Sato Luciana M Hearing protective earmuff device having frictionally engageable ear cups
US7754791B2 (en) * 2005-12-29 2010-07-13 Sereflex Group LLC Energy absorbing composition and impact and sound absorbing applications thereof
US8541496B2 (en) 2005-12-29 2013-09-24 Joel Sereboff Energy absorbing composition and impact and sound absorbing applications thereof
US8987367B2 (en) 2005-12-29 2015-03-24 Joel L. Sereboff Energy absorbing composition and impact and sound absorbing applications thereof
US7790787B2 (en) * 2006-05-03 2010-09-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Aerogel/polymer composite materials
US20080029336A1 (en) * 2006-06-10 2008-02-07 Patrick Sigler Acoustic panel
US20090189111A1 (en) * 2006-08-16 2009-07-30 Hitachi Chemical Co., Ltd. Composites for sound control applications
US8505857B2 (en) 2006-08-18 2013-08-13 Kellogg Brown & Roo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 pipe
US7997541B2 (en) * 2006-08-18 2011-08-16 Kellogg Brown & Roo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 pipe
WO2009099621A1 (en) * 2008-02-05 2009-08-13 Guy Leath Gettle Blast effect mitigating assembly using aerogels
WO2012078272A2 (en) 2010-11-09 2012-06-1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Acoustic suppress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RU2687997C2 (ru) 2014-01-31 2019-05-17 Секисуй Кемикал Ко., Лтд. Ламинированное стекло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ламинированного стекла
KR101566743B1 (ko) * 2014-04-18 2015-11-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엔진용 배기 밸브
KR101684504B1 (ko) * 2014-09-22 2016-12-2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엔진 방사 소음 저감유닛
CN105089234A (zh) * 2015-08-26 2015-11-25 桂林威迈壁纸有限公司 隔热隔音夜光壁纸
US10839784B1 (en) * 2016-11-03 2020-11-17 LJ Avalon LLC Sound reducing panel
CN107016988B (zh) * 2017-03-03 2021-02-05 中南大学 一种轻质反声材料及其制备方法
DE102017119096A1 (de) 2017-08-21 2019-02-21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Holz-Beton-Verbunddecke
CN112795048B (zh) * 2021-02-03 2023-04-11 峰特(浙江)新材料有限公司 一种混合气凝胶改性的密胺泡绵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4968A1 (de) 1988-05-03 1989-11-16 Basf Ag Daemmstoff der dichte 0,1 bis 0,4 g/cm(pfeil hoch)3(pfeil hoch)
JPH02141194U (ko) * 1989-04-27 1990-11-27
CH684206A5 (de) * 1990-11-12 1994-07-29 Matec Holding Entsorgbarer Hitzeschild.
JP2756366B2 (ja) * 1990-11-27 1998-05-25 松下電工株式会社 疎水性エアロゲルの製造方法
DE69232053T2 (de) * 1991-04-15 2002-06-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challabsorbierendes Material
US5306555A (en) * 1991-09-18 1994-04-26 Battelle Memorial Institute Aerogel matrix composites
JPH05146670A (ja) * 1991-12-02 1993-06-15 Ngk Spark Plug Co Ltd カプセル化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プセル化材からなる成形体
JP2659155B2 (ja) * 1992-02-03 1997-09-30 松下電工株式会社 疎水性エアロゲルの製造方法
JPH06158840A (ja) * 1992-11-24 1994-06-07 Konekuteito:Kk 床構造及び床工法並びに床板
DE4316540A1 (de) * 1993-05-18 1994-11-24 Hoechst Ag Verfahren zur unterkritischen Trocknung von Aerogelen
DE4430642A1 (de) * 1994-08-29 1996-03-07 Hoechst Ag Aerogel- und Xerogelverbundstoff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DE4430669A1 (de) * 1994-08-29 1996-03-07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Xerogelen, sowie ihre Verwendung
JPH08109363A (ja) * 1994-10-13 1996-04-30 Fujikura Ltd 電気感応型音波吸収制御用流体組成物
DE4437424A1 (de) 1994-10-20 1996-04-25 Hoechst Ag Aerogelhaltige Zusammensetz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WO1996015998A1 (de) * 1994-11-23 1996-05-30 Hoechst Aktiengesellschaft Aerogelhaltiges verbundmateria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seine verwendung
DE4441567A1 (de) * 1994-11-23 1996-05-30 Hoechst Ag Aerogelhaltiges Verbundmateria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seine Verwendung
AU4388996A (en) * 1994-12-21 1996-07-10 Hoechst Aktiengesellschaft Nonwoven fabric-aerogel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two-component fibres, a method of producing said material and the use thereof
DE19507732A1 (de) * 1995-03-07 1996-09-12 Hoechst Ag Transparentes Bauelement, enthaltend mindestens eine faserverstärkte Aerogelplatte und/oder -mat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891B1 (ko) 2008-03-19 2008-06-24 주식회사 에스공사 소음 차단이 가능한 페인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80064A (ja) 2011-04-21
WO1998032708A1 (de) 1998-07-30
CN1249729A (zh) 2000-04-05
EP0966411A1 (de) 1999-12-29
JP5547028B2 (ja) 2014-07-09
CN1200904C (zh) 2005-05-11
US6598358B1 (en) 2003-07-29
JP2001509767A (ja) 2001-07-24
JP4776744B2 (ja) 2011-09-21
DE59807740D1 (de) 2003-05-08
EP0966411B1 (de) 2003-04-02
DE19702238A1 (de) 1998-08-06
ES2193513T3 (es)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0449A (ko) 고체음 및/또는 적취음의 방음을 위한 에어로겔의 용도
JP4562210B2 (ja) 少なくとも1個のエーロゲル含有層および少なくとも1個の別の層を有する多層複合材料、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使用
JP4237253B2 (ja) 二成分繊維を含む繊維ウエブ/エーロゲル複合材料、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使用
JP4338788B2 (ja) 少なくとも1個のエーロゲル含有層および少なくとも1個の、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含有層を有する多層複合材料、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使用
CN1104393C (zh) 含有纤维的气凝胶复合材料,其制法和应用以及得到的成型体
US6143400A (en) Aerogel and adhesive-containing composit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JP3859705B2 (ja) エーロゲルを含む組成物、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使用
US6887563B2 (en) Composite aerogel material that contains fibres
US20060257639A1 (en) Insulation having a thermal enhancement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AU2003241488A1 (en) Aerogel and hollow particle binder composition, insulation composi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3261293B (zh) 包含纳米多孔颗粒的复合材料
US6251476B1 (en) Methods for spray-on insulation for walls and floor
JP2003260705A (ja) 蓄熱性繊維ボード及びその利用方法
JPH11133980A (ja) 吸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17783B2 (ko)
JPH11315595A (ja) 耐火性複合建築材料および耐火性複合床材
JP2566858B2 (ja) 無機質土木建築構造材料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成形材料
JPH05204385A (ja) 吸音材
JPH09144158A (ja) 無機建築板
JP2003048789A (ja) 吸音板及び吸音体
MXPA98001908A (en) Aerogel mixed material that contains fib
JP2000160713A (ja) ロックウール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