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644A - 캐리어 테입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테입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644A
KR20000069644A KR1019997005659A KR19997005659A KR20000069644A KR 20000069644 A KR20000069644 A KR 20000069644A KR 1019997005659 A KR1019997005659 A KR 1019997005659A KR 19997005659 A KR19997005659 A KR 19997005659A KR 20000069644 A KR20000069644 A KR 20000069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arrier tape
thin plate
tape
replacement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3473B1 (ko
Inventor
세믈러게오르그
Original Assignee
베이체 도이취란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체 도이취란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filed Critical 베이체 도이취란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Publication of KR2000006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필름을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 전사시키기 위한 수동 기구를 제안하는데, 상기 수동 기구는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2)에 삽입되는 교체용 카셋(3)과, 각각이 상기 교체용 카셋(3)에 수용되는, 필름이 입혀진 캐리어 테입을 위한 공급 스풀(4) 및 상기 필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캐리어 테입을 감기 위한 감음 스풀(4)과, 상기 캐리어 테입(7)을 구부리게 하고 상기 케이싱(2) 밖으로 돌출 되고 필름이 입혀진 캐리어 테입(7)을 바탕재에 제공하는 부착 디바이스(6)와, 상기 공급 스풀(4) 및 감음 스풀(5) 사이에 미끄럼 커플링(9)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 스풀이 캐리어 테입(7)을 당겨 품으로써 구동될 때 상기 캐리어 테입(7)이 항상 긴장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회전 속도로 상기 감음 스풀을 구동시키는 구동 연결부(8)를 가진다. 상기 스풀(4, 5)의 용이한 교체와 동시에 용이하면서도 저렴한 생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동 기구는 상기 케이싱(2)에 설치되는 박판형 부착기(10)와 상기 교체용 카셋(3)에 설치되는 테입 안내 디바이스(1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상기 테입 안내 디바이스(11)는 루프로서 공급되는 캐리어 테입(7)의 일 부분을 보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루프로는 상기 박판형 부착기(10)가 상기 교체용 카셋(3)이 상기 케이싱(2)에 장착될 때 들어간다.

Description

캐리어 테입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장치{MANUAL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CARRIER TAPE TO A SUBSTRATE}
전술한 형식의 수동 기구는 주로 사무실에서 유색, 불투명 또는 접착성 필름을 캐리어 테입으로부터 예컨대 종이와 같은 바탕재에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형식의 수동 기구는 사용자가 필름을 깔끔하게 또한 국부적 위치에 부착할 수 있게 한다.
DE 36 44 946 C2에는 접착성 필름을 바탕재에 부착하기 위한 수동 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수동 기구는 접착성 필름이 입혀져 있는 캐리어 테입을 위한 공급 스풀(spool)과, 접착성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는 캐리어 테입을 감기 위한 감음 스풀과, 테입 안내 디바이스와, 캐리어 테입을 구부리게 하고 외측을 향하여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 되어 있고 바탕재에 접착성 필름이 입혀진 캐리어 테입의 측면을 제공하는 부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싱으로 이루어진다. 미끄럼 커플링이 설치되는 구동 연결부는 공급 스풀 및 감음 스풀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구동 연결부는, 캐리어 테입을 잡아 당겨 품으로써 공급 스풀이 구동될 때, 캐리어 테입이 항상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회전 속도로 감음 스풀을 구동시킨다. 사용자가 테입을 교체할 때 교체 처리 전 과정을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부착 디바이스 및 테입 안내 디바이스뿐 아니라 공급 스풀 및 감음 스풀이 교체용 카셋(cassette)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구동 연결부는 완전히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데, 상기 구동 연결부는 두 개의 스풀을 장착하기 위한 이른바 입력 및 출력 구동 핀을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교체용 카셋은 케이싱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DE 37 36 357 C2에는 더욱 단순해진 스풀 교체 작업을 보여주고 있다. 부착 디바이스 영역에서 케이싱의 또 다른 추가적인 지지-중심맞춤 핀 및 교체용 카셋의 대응 지지 고정부는 교체용 카셋이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보장하고 또한 홀더는 교체용 카셋이 지지-중심맞춤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극적 잠금 요소로서 설치된다.
출원인의 독일 특허 출원 DE 42 20 712 C2는 특히 단순하면서도 소형인 수동 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필름을 캐리어 테입으로부터 바탕재로 이송하는 수동 기구는 케이싱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에는 캐리어 테입을 위한 공급 스풀 및 감음 스풀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부착 디바이스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수동 기구는 스풀 사이에 특별한 타입의 구동 연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끄럼 커플링을 가지는 상기 구동 연결부는 두 개의 스풀 사이의 직접적인 마찰 구동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전제부에 따라 필름을 캐리어 테입으로부터 바탕재로 전사하기 위한 수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두 번째 반 케이싱이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수동 기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기 수동 기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기 수동 기구의 교체용 카셋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기 수동 기구의 첫 번째 케이싱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상기 수동 기구의 두 번째 반 케이싱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 방향에서 도시한 첫 번째 반 케이싱을 보여준다.
도 7은 첫 번째 위치의 교체용 카셋과 함께 도 6의 첫 번째 반 케이싱을 보여준다.
도 8은 두 번째 위치의 교체용 카셋과 함께 도 6의 첫 번째 반 케이싱을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는 사용 가능한, 즉 교체용 카셋이 끼워져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반면에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기구의 각 구성 요소를 보여주고 있다. 케이싱에 상기 교체용 카셋을 장착하는 과정은 도 7 및 8을 기초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처음에 설명한 바 있는 타입의 수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 수동 기구는 스풀이 용이하면서 저렴하게 생산되는 동시에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교체용 카셋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고, 캐리어 테입은 부착 디바이스의 두 부분의 구조물에 의하여 긴장되고, 박판형 부착기는 상기 케이싱 상에 위치하고 테입 안내 디바이스는 교체용 카셋 상에 위치하고 루프로서 공급되는 캐리어 테입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교체용 카셋이 케이싱에 장착될 때 상기 루프로 박판형 부착기가 들어간다. 교체용 카셋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따라서 상기 교체용 카셋은 용이하면서도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량에 있어서는 좌부를 가진 잠금 수단이 수동 기구의 케이싱에 설치되는데, 상기 수동 기구는 교체용 카셋이 장착될 때 테입 안내 디바이스가 박판형 부착기에 대하여 돌출 되는 첫 번째 위치에 교체용 카셋이 위치하도록 하고 따라서 박판형 부착기는 캐리어 테입의 루프로 들어가고, 또한 상기 수동 기구는 교체용 카셋이 뒤로 밀려질 때 테입 안내 디바이스가 박판형 부착기에 대하여 뒤로 밀려져 있는 마지막 위치에 상기 교체용 카셋이 위치하도록 하고 따라서 루프를 이루는 상기 캐리어 테입은 박판형 부착기 위에 뻗어 있다.
또 다른 구성 및 개량은 후속 하는 청구항의 주제가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수동 기구(1)의 주요 구성 요소는 사용이 용이한 크기의 케이싱(2)과, 교체용 카셋(3)과, 상기 교체용 카셋(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공급 스풀(4)과, 상기 교체용 카셋(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감음 스풀(5)과, 상기 케이싱(2) 밖으로 돌출 되어 있고 박판형 부착기(10) 및 테입 안내 디바이스(11)로 이루어지는 부착 디바이스(6)와, 캐리어 테입(7)과 상기 스풀(4, 5) 사이에 설치되고 통합된 미끄럼 커플링(9)을 가지고 있는 구동 연결부(8)이다. 상기 캐리어 테입(7)을 제외하고 전술하거나 아직 설명되지 아니한 상기 수동 기구(1)의 모든 구성부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고 사출성형에 의하여 생산될 수 있다.
도 1의 측면도에서, 케이싱(2)은 물방울 모양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둥글거나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2)의 수평 폭은 상대적으로 작은데, 대략 20에서 25mm이다.
케이싱(2)은 첫 번째 반 케이싱(2a) 및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은 두 번째 반 케이싱(2b)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두 번째 반 케이싱(2b)은 클램프 및/또는 인터록(interlock)에 의하여 상기 첫 번째 반 케이싱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의 테두리 벽(2c)은 상기 첫 번째 반 케이싱 (2a) 및 상기 두 번째 반 케이싱(2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테두리 벽(2c)이 두 번째 반 케이싱(2c)에 존재한다. 상기 케이싱(2)의 하측 전면 구석에는 관통 개구부(12)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수동 기구(1)를 끼워 맞춤 할 때 상기 관통 개구부(12)를 통하여 부착 디바이스(6)가 상기 케이싱(2) 밖으로 돌출 된다. 상기 관통 개구부(12)는 캐리어 테입(7)의 운반 또는 공급 개구부를 형성하는 틈새가 상기 부착 디바이스(6)의 하측 및 상측과 상기 케이싱(2)의 테두리 벽(2c) 사이에 제공될 수 있을 정도의 치수를 가진다.
캐리어 테입(7)에는 응용 목적에 따라 유색, 불투명 또는 접착성 필름이 입혀져 있다. 상기 캐리어 테입(7)은 공급 스풀(4)에서 풀려나올 수 있고, 부착 디바이스(6) 주위로 안내되고 다시 케이싱(2) 내부의 감음 스풀(5)로 이동된다. 종이와 같은 바탕재에 상기 필름을 부착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부착 디바이스(6)의 박판형 부착기(10)는 상기 바탕재에 대하여 눌려지고, 따라서 상기 바탕재에 제공된 필름은 상기 바탕재에 부착된다.
공급 스풀(4) 및 감음 스풀(5)은 교체용 카셋(3)에 설치된다. 상기 교체용 카셋(3)은 실질적으로 케이싱(2)과 같은 물방울 윤곽을 가지고 첫 번째 반 케이싱(2a)에 장착 또는 삽입될 수 있는 판으로 되어 있다. 정확한 위치 선정 및 상기 교체용 카셋의 장착을 보조하기 위하여, 핀 또는 스터드(stud) 형태의 다수의 고정 수단(14)이 첫 번째 반 케이싱(2a) 상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판(3)의 오목부 또는 개구부의 형태의 대응 고정 수단(15)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고정 수단(14, 15)은 상기 판(3) 내부 또는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수단(14, 15)의 장착 작업 및 특별한 형태는 도 6 내지 8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공급 스풀(4)의 지지 슬리브(17) 및 감음 스풀(5)의 지지 슬리브(18)는 대략 케이싱(2)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케이싱(2)의 하측 모서리에 평행한 선분(16)을 따라서 판(3)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슬리브(17, 18)의 외경은 상기 경우에 두 개의 대응 스풀(4, 5) 각각의 허브부(4a, 5a)에 비하여 약간 작고, 따라서 상기 스풀(4, 5)은 고정 지지 슬리브(17, 18)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 스풀(4)은 부착 디바이스(6)에 대하여 상기 감음 스풀(5)의 앞에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스풀(4, 5) 사이의 구동 연결부(8) 및 미끄럼 커플링(9)은 출원인의 공보 DE 42 20 712 C2에 나타나 있는 구동 연결부 및 미끄럼 커플링과 일치한다. 스풀의 측면 벽(4b, 5b) 사이에는 캐리어 테입(7)이 감기는데, 상기 스풀의 측면 벽(4b, 5b)은 상기 스풀(4, 5)의 허브부(4a, 5a)로부터 뻗어 있다. 상기 구동 연결부(8) 및 미끄럼 커플링(9)은 최소 한 쌍의 마찰면(19, 20)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마찰면(19, 20)은 상호 직접적으로 맞물려 있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풀 벽(4b, 5b) 맞은편 내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스풀(4, 5) 회전축으로부터의 마찰면(19, 20)의 총 거리(d1/2, d2/2)는 상기 스풀(4, 5) 사이의 중심 거리 a보다 크고, 따라서 상기 스풀 벽(4b, 5b)의 마찰면(19, 20)은 겹치게 된다. 상기 구성에서 감음 스풀(5)의 스풀 벽(5b) 외측부는 공급 스풀(4)의 스풀 벽(4b)의 내측부에 맞추어지고, 따라서 상기 감음 스풀(5)의 스풀 벽(5b)은 도 2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 스풀(4)의 스풀 벽(4b) 사이에 끼워 맞추어 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공급 스풀(4) 상에서 캐리어 테입(7) 측면 안내를 위하여, 상기 공급 스풀 벽(4b)은 감음 영역의 안내 폭 안쪽으로 두꺼워 질 수 있다.
상기 스풀(4, 5) 사이의 회전 구동이 바람직하게는 평면인 마찰면(19, 20) 사이의 마찰에 전적으로 의존할 때, 마찰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마찰면(19, 20) 사이의 압축력이 요구된다. 상기 압축력은 감음 스풀 벽(5b) 사이의 외측 공간 및 상기 공급 스풀 사이의 내측 공간의 치수를 다소 크게 하거나 작게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데, 여기서 초기 압축력은 상호 압박되는 스풀 벽의 탄성에 의존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스풀 벽(4b, 5b)에 전술한 마찰면(19, 20)이 제공되고, 따라서 두 개의 마찰면 쌍이 존재한다.
구동 스풀(4) 및 감음 스풀(5) 사이의 구동 연결부(8) 설계에 있어서는, 당해 시점에서의 감음 직경을 고려하여, 감겨지는 캐리어 테입이 항상 작은 장력만을 받도록 감음 스풀의 구동 속도를 설계한다. 미끄럼 커플링(9)은 상기 구동 연결부(8)에 작용하는 것보다 큰 구동 토오크로 작동되고, 따라서 비록 감음 스풀(5)이 더 빠르게 구동되더라도 상기 감음 스풀(5)은 상기 캐리어 테입(7)이 찢어지지 않도록 상기 캐리어 테입(7)의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만 회전한다.
구동 연결부(8)는 스풀 최소 사이즈에 따라 감음 스풀(5)을 더 빠르게 구동시키기 위한 전송률을 가져야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이는 공급 스풀(4)의 환상 마찰면(19) 평균 직경 d1을 감음 스풀(5)의 환상 마찰면(20)의 평균 직경 d2보다 더 크게 만듦으로써 달성된다.
마찬가지로, 관련 이빨 공간을 가진 이빨의 형태로 상승 및 하강에 의하여 스풀 벽(4a, 5a) 사이의 마찰을 생성 또는 교체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빨 맞물림은 미끄럼 커플링(9)을 형성하기 위하여 브릿지 될 수 있다. 공보 DE 42 20 712 C2에 나타난 본 출원인의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구동 연결부(8)의 대체예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설명을 언급하고 있다.
구동 연결부(8) 및 미끄럼 커플링(9)이 스풀(4, 5)의 일 구성 부분을 이룰 때, 어떠한 추가적인 구성 부분도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작고 간단한 구성 요소는 간단하고 저렴한 생산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교체용 카셋(3)에서의 두 개의 스풀(4, 5)의 배열은 사용자가 상기 스풀을 교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전술한 구동 연결부(8) 및 미끄럼 커플링(9)의 설치에 기인하여 사용자는 스풀 교체시에 스풀(4, 5)이 적절히 배열되는지를 확인 할 필요는 없는데, 이는 상기 스풀(4, 5)이 구동 연결부(8) 및 미끄럼 커플링(9)과 함께 교체용 카셋(3)의 상호간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을 바탕재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캐리어 테입(7)이 부착 디바이스(6)를 따라 안내되어야 하는데, 상기 부착 디바이스는 케이싱(2) 밖으로 돌출 되어 있고 바탕재에 대하여 눌려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착 디바이스(6)는 두 부분의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 디바이스(6)는 교체용 카셋(3)에 위치하는 테입 안내 디바이스(11) 및 첫 번째 반 케이싱(2a)에 위치하는 박판형 부착기(10)로 이루어진다.
교체용 카셋(3)의 테입 안내 디바이스(11)는 실질적으로 두 개의 웹(11a)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웹은 케이싱(2)의 밖으로 돌출 되어 있고 대략적으로 상호 평행하게 뻗어 있고 적어도 앞 쪽 구역에서는 캐리어 테입(7)과 평행하다. 상기 앞 쪽 구역에서, 상기 웹(11a)은 각각 두 개의 측면 바닥벽(11b)을 가지고, 상기 측면 바닥벽 사이로 캐리어 테입(7)이 통과된다. 상기 웹(11a)의 측면 바닥벽(11b) 사이의 공간은 상기 캐리어 테입(7) 폭보다 다소 크다. 틈새부(11c)는 두 개의 웹(11a) 사이에 위치하는데, 상기 틈새부(11c)는 판(3) 쪽으로는 접촉 모서리(11d)에 의하여 막혀 있고 앞쪽으로는 개방되어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입(7)은 루프 형태로 두 개의 웹(11a)의 앞 쪽 끝부를 따라 안내된다.
도 4 및 도 6은 첫 번째 반 케이싱(2a)의 측면도 및 도 4의 A 방향 도시도이다. 박판형 부착기(10)는 바람직하게는 앞 쪽 영역에 가장자리부(10a)를 가지고 첫 번째 반 케이싱(2a)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상기 가장자리부(10a)의 끝부는 둥글게 처리되어 있다. 박판형 부착기(10)의 후부는 상기 가장자리부(10a)의 수평 폭에 대하여 계단을 이루며 좌부(seat)(10c)를 형성한다. 상기 박판형 부착기(10)는 상기 좌부(10c)의 끝단에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부(10d)를 거쳐 판(3)으로 이어진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개구부(10b)는 뒤 쪽 영역(10c)에서 박판형 부착기(10, 10d)에서 박판형 부착기(10)에 위치하고, 두 번째 반 케이싱에 위치하는 중심맞춤 디바이스(23)에 끼워진다(도 5).
첫 번째 반 케이싱의 잠금 수단(14)도 또한 상기 박판형 부착기(10)의 잠금 수단(14)과 유사하게 계단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수단(14)은 좌부(14a)를 포함하는데, 상기 좌부(14a)는 뒤 쪽 영역에서 상기 박판형 부착기(10)로부터 떨어져서 뻗어 있고 대략적으로 상기 박판형 부착기(10)의 좌부(10c)와 마찬가지로 판(3)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경사부(14b)도 마찬가지로 좌부(14a)에 인접한 뒤 쪽 끝단에 존재한다.
이하, 도 7 및 도 8에 근거하여 교체용 카셋(3)의 장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교체용 카셋(3)은 먼저 박판형 부착기(10) 및 잠금 수단(14)의 좌부(10c, 14a)에 놓여진다. 테입 안내 디바이스(11)의 접촉 모서리(11d) 및 개구부의 접촉 모서리(15a)는 박판형 부착기(10) 및 잠금 수단(14)의 앞 쪽 영역의 뒤 쪽 가장자리부(10e, 14c)에 설치된다. 상기 뒤 쪽 가장자리부(10e, 14c)는 바람직하게는 교체용 카셋(3)의 첫 번째 위치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체용 카셋(3)의 첫 번째 위치에서 상기 박판형 부착기의 가장자리부(10a)가 캐리어 테입(7)의 루프로 들어가는데, 상기 루프는 상기 테입 안내 디바이스(11)의 주위를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안내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교체용 카셋(3)을 밀어 넣어 상기 접촉 가장자리(11d, 15a)가 경사부(10d, 14b) 위로 미끄러져 장착되고 반 케이싱(2a) 상에 판(3)이 위치하도록 한다.
도 8에는 마지막 위치를 보여준다. 상기 위치에서는, 박판형 부착기(10)의 쐐기(10a)가 테입 안내 디바이스(11)의 두 개의 웹(11a)을 통하여 케이싱(2)의 밖으로 돌출 되어 있고, 반면에 캐리어 테입(7)은 상기 쐐기(10a) 끝부의 주위를 팽팽히 긴장된 상태로 안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입 안내 디바이스(11)의 웹(11a)의 측면 바닥벽(11b)은 캐리어 테입(7)의 측면이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두 부분의 부착 디바이스(6)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교체용 카셋(3)이 케이싱(2)에 장착될 때, 첫 번째 반 케이싱(2a)에 형성된 박판형 부착기(10)는 교체용 카셋(3)에 형성된 테입 안내 디바이스(11)를 위한 고정 및 위치설정 디바이스로 기능하고 또한 캐리어 테입(7)의 장력을 주도록 작용한다. 이는 정확한 위치를 위하여 교체용 카셋(3) 및 캐리어 테입(7)은 케이싱(2)에 여전히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또한 부착 디바이스(6)와 별도로 필요한 모든 것은 케이싱(2)에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형성되는 잠금 수단(14)임을 의미한다. 종래의 수동 디바이스(6)의 복잡한 부착 디바이스(6)를 대신하여 매우 단순한 테입 안내 디바이스(11)가 실제로 교체용 카셋(3)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교체용 카셋(3)은 재료를 절약하면서도 용이하고 값싸게 생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에 두 개의 스풀(4, 5)을 확실히 고정할 목적으로 두 번째 반 케이싱(2b)은 교체용 카셋(3)의 지지 슬리브(17, 18)를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지지 슬리브 또는 핀(24, 25)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슬리브 또는 핀(24, 25)의 외경은 지지 슬리브 17, 18의 내경과 일치하고 바람직하게는 다소의 고정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슬리브(24)보다 큰 직경을 가진 지지 링(26)은 두 번째 반 케이싱(2b) 상에서 상기 지지 슬리브와 동일한 중심을 가지고 있다. 상기 지지 링(26)의 직경 및 높이는 공급 스풀(4)의 스풀 벽(4b)이 (마찰면(19) 내에서) 상기 지지 링(26)의 내측 영역에서 지지 링(26) 상에 위치하도록 결정된다.
또한, 두 번째 케이싱부(2b)는 보호 캡(미도시)을 위하여 측벽(2c)의 외측면 상에서 관통-개구부(12) 위에 고정 디바이스(27)를 포함한다. 보호 캡은 관통-개구부(12) 밖으로 돌출 된 부착 디바이스(6) 위에 접혀질 수 있고, 수동 기구(1) 미 사용시 부착 디바이스(6) 및 상기 부착 디바이스 주위로 안내되는 캐리어 테입(7)은 보호된다.
또한, 홈(28)은 관통-개구부(12) 위의 영역에서 측벽(2c) 외측면 상에 설치된다. 상기 홈(28)은 사용자의 집게손가락을 위한 좌부로서 작용하고, 이로 인하여 수동 기구(1)는 사용자의 손에서 신뢰성 있게 제어될 수 있다.
수동 기구(1)가 부정확하게 사용되는 경우에 캐리어 테입(7)의 순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되감음 제동부(미도시)가 감음 스풀(5)과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되감음 제동부는 이빨이 나있는 링으로 이루어지는 제동 폴 기어(pawl gear)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이빨이 나있는 링은 감음 스풀 벽(5b) 어느 한쪽 주변 가장자리에 배열되고 폴 아암과 상호 보조한다. 폴 아암은 대략적으로 상기의 이빨이 나있는 링의 접선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의 이빨이 나있는 링으로 스프링 힘에 의하여 작동되고 따라서 상기 폴 아암은 감음 방향으로 상기의 이빨이 나있는 링 위에 뻗어 있고 상기 이빨이 나있는 링과 맞물림으로써 회전의 반대 방향에서는 상기 감음 스풀(5)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Claims (12)

  1. - 케이싱(2)과,
    - 상기 케이싱(2)에 삽입될 수 있는 교체용 카셋(3)과,
    - 각각이 상기 교체용 카셋(3)에 설치되는, 필름이 입혀진 캐리어 테입(7)을 위한 공급 스풀(4) 및 필름으로부터 분리된 캐리어 테입을 감기 위한 감음 스풀(5)과,
    - 상기 캐리어 테입(7)을 구부리게 하고 상기 케이싱(2) 밖으로 돌출 되고 바탕재로 필름이 입혀진 캐리어 테입(7)의 측면을 제공하는 부착 디바이스(6)와,
    - 상기 공급 스풀(4) 및 감음 스풀(5) 사이에 미끄럼 커플링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 스풀(4)이 캐리어 테입(7)을 당겨 품으로써 구동될 때 캐리어 테입(7)이 항상 긴장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회전 속도로 감음 스풀을 구동시키는 구동 연결부(8)를 가지는,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기구(1)에 있어서,
    상기 부착 디바이스(6)는 상기 케이싱(2) 상에 설치되는 박판형 부착기(10)와, 캐리어 테입(7)을 위한 교체용 카셋(3) 상에 설치되는 테입 안내 디바이스(11)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테입 안내 디바이스(11)는 루프로서 공급되는 캐리어 테입(7)의 일 부분을 보유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교체용 카셋(3)이 상기 케이싱(2)에 장착될 때 상기 박판형 부착기(10)가 상기 루프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기구(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용 카셋을 위한 잠금 수단(14)은 상기 케이싱(2)에 설치되고, 상기 수단은 교체용 카셋이 다음과 같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데, 상기 위치에서는 상기 루프의 캐리어 테입(7)이 상기 박판형 부착기 위에 지나도록 상기 테입 안내 디바이스(11)가 상기 박판형 부착기에 대하여 뒤로 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기구(1).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14)은 좌부(14a)를 포함하고, 상기 좌부는 상기 교체용 카셋(3)이 상기 케이싱(2)에 장착될 때 다음과 같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데, 상기 위치에서는 상기 박판형 부착기(10)가 상기 캐리어 테입(7)의 루프로 들어가도록 상기 테입 안내 디바이스(11)가 상기 박판형 부착기(10)에 대하여 돌출 되어 있고 상기 테입 안내 디바이스(11)를 가지는 교체용 카셋(3)은 상기 박판형 부착기(10)에 대하여 뒤로 밀려질 수 있고 상기 케이싱(2)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기구(1).
  4.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 부착기(10)는 좌부(10c)를 포함하고, 상기 좌부는 상기 교체용 카셋(3)이 상기 케이싱(2)에 장착될 때 다음과 같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데, 상기 위치에서는 상기 박판형 부착기(10)가 상기 캐리어 테입(7)의 루프로 들어가도록 상기 테입 안내 디바이스(11)가 상기 박판형 부착기(10)에 대하여 돌출 되어 있고 상기 테입 안내 디바이스(11)를 가지는 교체용 카셋(3)은 상기 박판형 부착기(10)에 대하여 뒤로 밀려질 수 있고 상기 케이싱(2)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기구(1).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14)은 상기 케이싱(2)에 상기 교체용 카셋(3)을 장착하는 작업을 단순하게 하기 위한 경사부(1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기구(1).
  6.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 부착기(10)는 상기 케이싱(2)에 상기 교체용 카셋(3)을 장착하는 작업을 단순하게 하기 위한 경사부(10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기구(1).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용 카셋(3)은 상기 케이싱(2)의 잠금 수단(14)이 맞물리는 개구부 또는 오목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기구(1).
  8.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입 안내 디바이스(11)는 상기 박판형 부착기(10)를 수용하기 위한 틈새부(1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기구(1).
  9.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은 첫 번째 반 케이싱(2a) 및 두 번째 반 케이싱(2b)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상기 케이싱(2)의 측면벽(2c)은 두 개의 반 케이싱(2a, 2b)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박판형 부착기(10) 및 상기 잠금 수단(14)은 상기 첫 번째 반 케이싱(2a)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기구(1).
  10.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 부착기(10)는 고정 구성요소로서 상기 케이싱(2)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기구(1).
  11.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용 카셋(3)은 상기 스풀을 위한 두 개의 지지 슬리브(17, 18)가 형성되어 있는 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기구(1).
  12.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연결부(8) 및 미끄럼 커플링(9)은 상기 스풀 동체(4b, 5b) 사이의 직접 마찰 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입(7)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기구(1).
KR10-1999-7005659A 1997-01-23 1997-11-25 캐리어 테입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이전용 수동 장치 KR100493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2345A DE19702345A1 (de) 1997-01-23 1997-01-23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19702345.2 1997-01-23
PCT/EP1997/006576 WO1998032682A1 (de) 1997-01-23 1997-11-25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644A true KR20000069644A (ko) 2000-11-25
KR100493473B1 KR100493473B1 (ko) 2005-06-07

Family

ID=781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659A KR100493473B1 (ko) 1997-01-23 1997-11-25 캐리어 테입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이전용 수동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273982B1 (ko)
EP (1) EP0956255B1 (ko)
JP (1) JP4259618B2 (ko)
KR (1) KR100493473B1 (ko)
CN (1) CN1080694C (ko)
AR (1) AR009857A1 (ko)
AT (1) ATE218498T1 (ko)
AU (1) AU724258B2 (ko)
BR (1) BR9714530A (ko)
CA (1) CA2276595C (ko)
DE (2) DE19702345A1 (ko)
ES (1) ES2174325T3 (ko)
WO (1) WO1998032682A1 (ko)
ZA (1) ZA983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410494S (en) 1997-09-26 1999-06-01 Bic Corporation Correction-tape dispenser
DE19816925B4 (de) * 1998-04-16 2009-12-10 SOCIéTé BI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USD410955S (en) 1998-12-11 1999-06-15 Bic Corporation Correction-tape dispenser
DE19936445B4 (de) * 1999-08-03 2004-03-04 SOCIéTé BI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US6453968B1 (en) * 2000-09-28 2002-09-24 Tsang-Hung Hsu Dispensing device for double-face adhesive tape
JP4677626B2 (ja) * 2001-06-21 2011-04-27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4690607B2 (ja) * 2001-09-11 2011-06-01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及び塗布膜転写テープの交換方法
JP4603738B2 (ja) * 2001-09-28 2010-12-22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US7204287B2 (en) * 2003-01-23 2007-04-17 Xyron, Inc. Transfer devices
US6997229B2 (en) * 2003-09-16 2006-02-14 Sanford, L.P. Rotatable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US20050056375A1 (en) * 2003-09-16 2005-03-17 Sanford, L.P.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DE102007053448B3 (de) * 2007-11-07 2008-11-27 Henkel Ag & Co. Kgaa System bestehend aus einem Griffelement und einer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auf ein Substrat
DE102007058031A1 (de) * 2007-11-30 2009-06-04 Henkel Ag & Co. Kgaa 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5103201B2 (ja) * 2008-01-18 2012-12-19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KR100977628B1 (ko) * 2008-05-09 2010-08-23 서정열 슬립 기능을 갖는 케이블 릴 장치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CN102358529B (zh) * 2011-08-31 2014-05-07 莱州市山普管件制造有限公司 自动缠四氟带设备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JP1563766S (ko) * 2016-04-25 2016-11-21
CN106178190A (zh) * 2016-08-10 2016-12-07 湖南医药学院 一种易撕取输液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6357C2 (de) 1987-10-27 1995-11-09 Pelikan Ag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r Trägerfolie auf ein Substrat
EP0606477A4 (en) * 1991-10-02 1994-11-09 Fuji Kagaku Shikogyo TRANSFER DEVICE FOR COATING FILMS.
DE4220712C3 (de) * 1992-06-24 2002-01-24 Tipp Ex Gmbh & Co Kg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4220843C1 (ko) * 1992-06-25 1993-08-05 Citius Buerotechnik Gmbh, 8906 Gersthofen, De
DE4322120C1 (de) * 1993-07-02 1995-01-19 Pelikan Ag Wechselkassette für ein Handgerät zur Übertragung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3420345B2 (ja) * 1994-08-12 2003-06-23 ゼネラル株式会社 転写具
JP3420364B2 (ja) * 1994-12-21 2003-06-23 ゼネラル株式会社 転写具の連動機構
DE19635586B4 (de) * 1996-09-02 2005-10-20 Bic Clichy So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aus z. B. klebendem oder deckendem oder farbigem Material von einem auf einer Vorratsspule aufgewickelten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8331B (en) 1998-07-17
DE19702345A1 (de) 1998-07-30
CN1080694C (zh) 2002-03-13
AU5556198A (en) 1998-08-18
BR9714530A (pt) 2000-05-02
WO1998032682A1 (de) 1998-07-30
JP2001508385A (ja) 2001-06-26
AR009857A1 (es) 2000-05-03
EP0956255A1 (de) 1999-11-17
KR100493473B1 (ko) 2005-06-07
JP4259618B2 (ja) 2009-04-30
CA2276595A1 (en) 1998-07-30
DE59707451D1 (de) 2002-07-11
CA2276595C (en) 2006-09-12
ATE218498T1 (de) 2002-06-15
EP0956255B1 (de) 2002-06-05
ES2174325T3 (es) 2002-11-01
US6273982B1 (en) 2001-08-14
CN1242754A (zh) 2000-01-26
AU724258B2 (en) 200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9644A (ko) 캐리어 테입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전사용 수동 장치
JP3296265B2 (ja)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US4891090A (en) Two-reel dispenser for a transfer adhesive
US5772840A (en) Tape applicator for applying a transferring material to a sheet
KR950017200A (ko) 도막전사기구(coating film transfer tool)
US6321816B1 (en) Reel arrangement
JPH02228383A (ja) 粘着フィルムの貼着装置
CA2091996C (en) Device for transferring film
JP3618586B2 (ja) 塗膜転写具
CA2164757A1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JP4221295B2 (ja) 被着体に、接着、被覆、着色物質のフィルムを付着するための携帯型装置
CA2389838C (en) Manual device with a return stop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backing strip onto a substrate
CA2328333C (en) Hand-hel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carrier tape onto a substrate
EP1293352B1 (en) Ink film holding device and ink film reel
JPH0718677Y2 (ja) 塗膜転写具
CA2008820A1 (en) Device for transferring film from a backing tape to a substrate
EP0755889A1 (en) Film transfer roller and film transfer apparatus having the film transfer roller
JP3576643B2 (ja) 塗布膜転写具における詰替え用転写テープ
KR200225292Y1 (ko) 릴의 변위를 방지하는 수정 테이프용 디스펜서
JP3400030B2 (ja) 塗膜転写具
JPH0538342Y2 (ko)
JPH09104563A (ja) 塗膜転写具のテープ巻戻し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JP2002059691A (ja) 塗膜転写具
JPH11342699A (ja) 塗膜転写具
MXPA00010102A (en) Hand-hel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carrier tape onto a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