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206A - 유동 매질의 질량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유동 매질의 질량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206A
KR20000069206A KR1019997004781A KR19997004781A KR20000069206A KR 20000069206 A KR20000069206 A KR 20000069206A KR 1019997004781 A KR1019997004781 A KR 1019997004781A KR 19997004781 A KR19997004781 A KR 19997004781A KR 20000069206 A KR20000069206 A KR 20000069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lement
sensor
sensor support
hollow chamber
op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9429B1 (ko
Inventor
렌닝어에르하르트
헤흐트한스
휘프틀레게르하르트
콘첼만우베
칼라비스마트히아스
스타르크안드레아스
루드로프미카엘
마르베르크헨닝엔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0006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84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84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 G01F1/688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using a particular type of heating, cooling or sensing element
    • G01F1/69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using a particular type of heating, cooling or sensing element of resistive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84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 G01F1/6845Micromachined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2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using a driven wheel as impeller and one or more other wheels or moving elements which are angularly restrained by a resilient member, e.g. spring member as the measur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방향(9)을 따라 흐르는 매질의 질량을 측정하기 위한 질량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연기관의 흡입공기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질량측정장치는 센서 지지부(1)의 오목부(17)내에 배치된 플레이트형 센서소자(2)를 포함한다. 센서소자(2)는 측정부품(6)을 지지하는 멤브레인(4), 즉 센서 지지부(1)의 맞은편에 있는 센서소자(2) 내부에 구성된 중공실(5)을 폐쇄하는 멤브레인(4)을 구비한다. 센서소자(2)는 센서 지지부(1)쪽을 향한 센서소자(2)의 바닥면(29)과 오목부(7)내의 센서 지지부(1) 사이의 접착을 통해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접착부는 접속배선(27; 60)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접속배선은 센서소자(2)의 바닥면(29)으로부터 센서소자(2)의 중공실(5) 둘레의 센서 지지부(1)까지 연장하며, 중공실(5)을 환기시키기 위해서 일정방향(9)의 맞은편에서만 적어도 하나의 구멍(40)을 통해 개방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동 매질의 질량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the mass of a flowing medium}
DE 195 24 634 A1에 따르면, 이미 센서 지지부의 오목부안으로 삽입된 유전체 멤브레인이 달린 플레이트형 센서소자를 포함하는 측정장치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센서소자는 반도체물질로,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제조되어 있으며 정밀기계적 구성방식으로 생산된다. 멤브레인은 유전체 물질로, 예를 들어 질화실리콘이나 산화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전체 멤브레인 위에는 배율기(multiplier)와 가열저항이 있다. 이 저항들은 멤브레인이 얇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유전체 멤브레인의 열전도성이 낮기 때문에 멤브레인을 감싸고 있는 실리콘프레임으로부터 온도상으로 절연되어 있다. 유전체 멤브레인과 센서 지지부 사이에는 중공실이 플레이트형 센서소자내에 형성되어 있다. 중공실은 센서 지지부를 제한하는 바닥면에서부터 유전체 멤브레인에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에칭법으로 제조된다. 센서소자는 센서 지지부내의 오목부안에 접착법으로 고정된다. 급격한 초과압력으로부터 비교적 얇은 멤브레인을 보호해야만 하기 때문에 멤브레인 하부에 있는 중공실로의 환기동작을 생략할 수는 없다. 그러나 측정센서의 오목부나 멤브레인 후방의 환기는 후방측 흐름에 대한 측정신호가 함께 인가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매질의 흐름이 멤브레인 후방에서 멀리 떨어져 진행되도록 해야만 한다. 접착제가 멤브레인을 제한하는 중공실 안으로 흘러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 접착부분이 센서소자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센서소자를 센서 지지부의 오목부 안으로 단지 반쪽부분만 접착되도록 그리고 전기 멤브레인이 구성되어 있는 센서소자 영역이 상기 오목부 안으로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어 있다. 멤브레인의 하부유동을, 다시 말하여 매질이 멤브레인 하부에 형성된 중공실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또는 적어도 이러한 흐름에 대해 반대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채널 형태의 오목부로서 센서 지지부안에 형성되고 센서소자 둘레에 둘러싸인 유동채널을 구성한다. 동시에 센서 지지부 내부에 구성된 오목부는 센서소자의 크기에 맞추어져, 센서소자의 측면 경계선과 센서 지지부내에 있는 오목부의 측면 경계선 사이에 단지 매우 작은 틈새만이 생성되어서, 매질의 유전체 멤브레인 하부에 형성된 중공실로의 교축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목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우 좁은 틈새가 생기도록 구현하기 위해서 센서소자가 센서 지지부의 오목부와 조립될 때 고도의 정확도로 맞추어져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허용오차의 이유에서 그리고 제조상의 수율문제로 인해 경우에 따라서는 요구를 충족하지 못함으로 인해, 제조시에 큰 수율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
DE 42 19 454 A1에는 측정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 장치에서는 가열원의 구멍공간 안으로 센서소자의 유전체 멤브레인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열원에는 냉각리브들 사이에 있는 멤브레인의 후방측의 환기를 보장하는 환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유동 매질의 질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해당하는 측정장치를 도 2의 I-I선을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측정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독립항의 요지를 포함하는 측정장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제조시에 센서소자를 센서 지지부 오목부 맞은편에 배치함에 있어 비교적 적은 허용오차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제조정확도가 증가되고 제조단가가 낮다. 또한 제조속도도 증가한다. 유동 매질에서 이격된 쪽의 멤브레인 후방측의 환기는 구멍의 수평단면적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이로 인해 센서소자가 압력증가로 인해 파괴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접속배선은 센서소자와 센서 지지부 간의 허용오차 조정을 실시하며 아울러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조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종속항에서 실시된 방법들을 통하여 독립항에 개재된 측정장치의 바람직한 재구성과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접속배선이 연결배선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소자 하부 영역 안으로까지 연장되어 있고 또는 이 영역내에 추가 접속배선이 형성되어 있어서 센서소자를 연결소자 부분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연결배선의 장착시에 예를 들면 용접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므로서 파괴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센서소자의 중공실과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소자에 의해 완전히 뒤덮히지 않는 오목부를 센서 지지부 내부에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센서 지지부의 오목부는, 예를 들어 딥스탬핑으로 제조가능하다. 센서 지지부에 오목부가 있기 때문에 멤브레인의 후방측 환기가 원활히 수행된다.
센서소자의 바닥면에 맞대어진 덮개면 위에, 예를 들어 딥스탬핑으로 제조된 이격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이격홀더는 센서소자와 센서 지지부간의 거리가 정확한 소정값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센서 지지부에 적어도 접착제-진입공간이 구성되도록 하면 효과적이다. 이런한 방식으로 접착제가 적당치 않은 지점에, 특히 멤브레인 하부에 형성된 센서소자 중공실에 쌓이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탄성 실리콘접착제를 이용하여 센서소자 물질과 센서 지지부 물질간의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를 경우 센서소자가 기계적으로 인장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에 절취하여 도시한 센서 지지부(1)에는 플레이트형 센서소자(2)가 제공된다. 센서 지지부(1) 및 센서소자(2)들은 자세히 도시하지 않은, 내연기관의 유동 매질의 질량, 특히 흡입공기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의 일부이다.
센서 지지부(1)는 멤브레인형 센서영역, 예를 들면 유전체 멤브레인(4) 형태로 구성된 센서영역을 포함하는 센서소자(2)를 수납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멤브레인(4)과 관련하여 센서소자(2)는 반도체, 예를 들면 실리콘웨이퍼를 에칭하여 이른바 마이크로기계 설계방식으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멤브레인(4) 하부에는 중공실(5)이 형성된다. 멤브레인(4) 위에는 유동 매질의 질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온도에 따라 좌우되는 배율기(6)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비도시된 가열저항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저항들 역시 마찬가지로 에칭법으로 제조된다. 멤브레인(4) 이외에도 센서소자(2)의 상부에는 기준저항이 마련되어 있다. 배율기(6), 가열저항 및 기준저항은 예를 들어 도전성 라인을 통해 그리고 용접-패드로 구성된 연결소자(28) 위에 증착된 배선(10)을 이용하여 상세 도시하지 않은 전자 조절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조절회로는 종래 방식대로 저항들의 센서소자(2)로의 전류나 전압공급을 담당하며 저항들로부터 인가된 전기 신호들을 평가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회로는 예를 들면 측정장치의 케이싱 내부에 또는 케이싱 외부에 내장할 수 있다.
유전체 멤브레인(4)은 예를 들면 질화실리콘 및/또는 산화실리콘으로 구성된다. 가열저항은 전류가 흐를 때 가열되고 멤브레인(4)을 측정할 매질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전기 저항막 형태로 구성가능하다. 가열저항은 예를 들면 금속 또는 그에 맞게 코팅된 실리콘으로 구성가능하다. 배율기와 기준저항들은 예를 들면 전기적 저항막들로 구성가능하며 그 전도성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저항막들로 적합한 물질들은 금속 또는 그에 따라 코팅되는 실리콘이다.
센서소자(2)는 플레이트형 예를 들면 직사각형이며 유동 매질을 향한 쪽 표면(8)이 도 1의 표시면 안으로 흘러들어가는 매질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이때 예를 들어 직사각형인 센서소자(2)의 짧은 쪽은 일정방향(9)으로 연장되어 있다. 매질의 일정방향(9)은 도 2에서는 해당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으며 거기서는 위에서부터 아래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멤브레인(4) 위에 증착된 가열저항을 통하여 상기 멤브레인(4)은 흘러 지나가는 매질의 온도보다 더 높은 소정온도로 가열된다. 경과하는 매질에서 발생하는 사실상, 대류로 인해 방출되는 가열저항의 열량은 흐르는 매질의 질량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멤브레인(4)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유동 매질의 질량을 결정할 수 있다. 멤브레인 온도의 측정은 배율기(6)를 이용해서 또는 가열저항의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수행한다. 기준저항은 흐르는 매질의 온도가 주는 영향을 보상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센서 지지부(1)는 특히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얇은 금속테이프를 폴딩하여 제조한다. 이에는 펀칭, 벤딩, 폴딩, 딥드로잉 및 스탬핑법 등이 적당하다. 벤딩된 금속테이프가 인장되면 크기가 동일한 두 개의 소자(14, 15)들이 인접 배치된다. 이하에서, 센서소자(2)를 감싸는 벤딩되지 않은 소자(14)는 프레임소자(14)로서, 그리고 그 아래의 벤딩된 소자(15)는 고정소자(15)로서 표시한다. 프레임소자(14)와 더불어 공통적으로 센서소자(2)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17)를 제한하기 위해서, 고정소자(15)는 약 180o로 완전히 벤딩된 상태에서 벤딩되지 않은 프레임소자(14)의 개구(16)를 덮게 된다. 상기 오목부(17)와 관련하여 프레임소자(14)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인 센서소자(2)에 상응하는 수평단면을 갖는다. 센서소자(2)는 이 때 오목부(17) 내에서 그 표면이 상기 프레임소자(18)의 표면쪽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내장된다.
금속테이프를 폴딩하기 전에 고정소자(15)는 고정소자(15)의 외측면(22)에 맞물리는 공구를 이용해, 예를 들어 스탬핑공구에 의해 변형되어, 이 실시예에서는 그 수평단면상에 두개의 범퍼(20, 21)들이 형성된다. 상기 범퍼(20, 21)들은 도 1에 도시된 수평단면상에서 각각 설명되는 접착-진입공간(23, 24, 25)에 가깝게 경계를 이룬다. 센서 지지부(1)는 유동비를 향상시키고 먼지입자가 안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일정방향(9)을 향한 쪽 전방측 위에 평편부(49)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플레이트형 센서소자(2)는 센서 지지부(1)의 오목부(17) 안으로 접속배선들(26, 27)을 따라 접착제 캐터필러 형태로 증착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 단면도의 평면도인 도 2를 통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접착제 배선(26, 27)들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접착제 배선(2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십자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센서소자(2)를 평반형 범퍼(20)위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평반형 범퍼(20) 영역내에서는 센서 지지부(1)의 고정소자(15)에서 떨어진 건너편 표면(8)위에 용접-패드로서 구성된 연결소자(28)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소자들은 센서소자(2)의 도전성 라인들을 연결도선(2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 접속배선(26)은 이때 확실한 용접-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센서소자(2)를 연결소자(28) 영역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2 접속배선(27)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U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접속배선(27)은 센서소자(2)를 평반형 범퍼(21) 영역내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두 접속배선(26, 27)들은 센서소자(2)의 바닥면(29)과 상기 고정소자(15)의 범퍼(20, 21)들의 표면(31, 30)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 2 접속배선(27)은 이 접속배선이 센서소자(2)의 바닥면(29)과 센서 지지부(1)와의 사이에서 중공실(5) 둘레에 연장되며 단지 일정방향(9)에서 떨어진 반대측 위에서만 구멍을 통해 열려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속배선은 U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방향(9)을 향한 단부(41) 하나와 아울러 두 개의 일정방향(9)으로 연장된 단부(42, 45)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일정방향(9)으로 연장된 단부(42, 45)들은 상기 U자형으로 구성된 제 2 접속배선(27)의 두 다리를 이룬다. 구멍(40)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일정방향(9)으로 연장된 두 단부(42, 45)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접속배선(27)은 일정방향(9)의 맞은편 영역 전체에 걸쳐 열려 있다. 구멍(40)은 센서소자(2)의 중공실(5)의 환기를 담당한다. 이러한 환기는 측정할 유동 매질내에서 일반적으로 지속되는 압력강하가, 특히 초과압력정점이 유전체 멤브레인(4)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그러나 유동 매질이 멤브레인(4)의 후방측(44)을 따라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왜냐하면 이는 측정신호에 원하지 않는 동반현상을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인데, 이러한 동반현상은 명확하지 않고 재생도 불가능한 측정결과를 낳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접속배선(27)이 센서소자(2)의 중공실 둘레에 둘러싸여 연장되도록 그리고 단지 일정방향(9)에서 반대쪽 윗부분만 해당 구멍(40)을 통해 열리도록 구성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구멍(40)의 개구 수평 단면적은 스로틀지점을 결정한다. 이러한 개구 수평 단면적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 매질을 향한 멤브레인(4)의 앞쪽과 유동 매질 건너편, 즉 중공실(5)을 향한 멤브레인(4) 후방측간에 충분히 빠른, 그리고 멤브레인(4)의 파괴를 막는 압력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정한다. 한편, 구멍(40)의 개구 수평 단면적은 매질이 중공실(5)내에 흐르지 못하도록 막거나 또는 적어도 충분히 억제시킬 수 있는 정도로 작은 것으로 한다. 구멍(40)의 개구 수평 단면적은 한쪽에서 도 2에 도시된 구멍(40)의 폭(b)으로 그리고 다른쪽에서 도 1에 도시된 접속배선(27)의 두께(d)로 결정한다. 접속배선의 두께(d)는 예를 들면 간격홀더(43a 내지 43i)로 조절된다. 간격홀더(43a 내지 43i)는 예를 들어 스탬핑법을 통해 예를 들어 바늘모양으로 구성된 스탬핑공구, 즉 외측면(11)의 고정소자(15)에 맞물리게 되는 스탬핑공구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서 간격홀더를 적절한 에칭방법을 써서 센서소자(2)에 구성하든지 또는 간격홀더를 예를 들어 직경이 일정한 세밀한 구슬입자로서 접속배선(26, 27)들을 이루는 접착제내에 확산시키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접속배선(26, 27)들은 세밀한 접착제 캐터필러로서 통상적인 코팅방법으로 증착된다. 이러한 접착제로서는 무엇보다도 경화후에도 탄성이 남아있는 접착제, 특히 탄성 실리콘접착제가 적당하다. 이로써 센서소자(2)와 센서 지지부(1)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계적인 인장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계적 인장력은, 특히 금속박판으로 제조된 센서 지지부(1)와 특히 반도체물질로 제조된 센서소자(2)의 열팽창계수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내연기관의 흡입공기량을 측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정장치를 이용하면 측정할 흡입공기는 자동차마다의 외부온도에 따라 두드러지는 온도감소를 겪을 수 있다.
이미 설명한 접착제-진입공간(23, 24, 25)들은 일정방향(9)을 향한 쪽 위에 다른 접착제-진입공간(46, 47)들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접착제-진입공간(23, 24)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일정방향(9)의 맞은편의 다른 하나의 접착제-진입공간(48)과 연결되어 있다. 센서소자(2)와 센서 지지부(1)가 접합될 때 넘쳐흐르게 증착된 접착제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진입공간(23, 24, 25, 46, 47, 48)들 안으로 흘러들어간다. 이로써 센서소자(2)와 센서 지지부(1)가 접합될 때 중공실(5) 안에서 밀리거나 멤브레인(4)의 후방측까지 밀려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배선(27)은 접착제가 중공실(5) 안으로 침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왜냐하면 만약 접착제가 침투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기능을 침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이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평면도인 반면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부품들은 동일 도면부호를 할당하였으며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미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의 차이점 중 하나는 일체형으로 구성된 접속배선(60)이 센서소자(2)의 중공실(5) 둘레에 G자형으로 연장되어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접속배선(60)은 일정방향(9)을 향한 쪽 단부(61)와, 두 개의 일정방향(9)으로 연장된 단부들(62, 63)과, 아울러 일정방향(9)의 맞은편의 단부(64)들 중 하나를 구비하게 된다. 일정방향의 반대쪽 단부(64)는 일정방향(9)으로 연장된 단부(62, 63)들을 완벽하게 연결해주지 못한다. 따라서 일정방향(9)의 반대쪽 위에는 구멍(40)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멍(40)은 일정방향(9)으로 연장된 제 1 단부(62)에서부터 일정방향(9)의 맞은편의 접속배선(60)의 단부(64)의 자유단부(65)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구멍(40)이 다른 위치에서 일정방향(9)의 맞은편 단부(64)로 이어지도록 하는 구성들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 또한 복수의 구멍들을 일정방향(9)의 맞은편 단부(64)에 형성해 놓는 방법도 있다. 일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 2 단부(63)를 확장해서 이 단부가 용접-패드로서 구성된 연결소자(28) 하부영역에까지 닿도록 함으로써 연결소자(28) 영역 내에서 연결소자에 접착제가 발라지도록 제 2 단부를 확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용접-연결부를 증착할 시에 센서소자(2)의 내구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센서소자(2)는 접속배선(60)에 의해 연결소자(28) 영역내에 매우 탁월하게 록킹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 접착제, 예를 들어 실리콘접착제를 사용하면 우수한 용접-연결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접속배선(6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소자(14) 안에 구성된 오목부(17)의 테두리영역에까지 닿는다. 센서소자(2)가 센서 지지부(1)와 접합될 때 접착제가 센서소자(2)의 중공실(5) 안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또는 오히려 멤브레인(4)에까지 밀려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센서 지지부(1)의 고정소자(15)에는 디프닝부(66: deepening)가 예를 들어 딥스탬핑법으로 장착되어 있다. 디프닝부(66)는 접착제-진입공간 역할을 하고 넘쳐흐르는 접착제를 수납한다. 동시에 디프닝부(66)는 센서소자(2)의 중공실(5)의 환기를 담당한다.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프닝부(66)는 이를 위해 사실상 L자형으로 구성되며, 접속배선(60)의 구멍(40)을 통과하여 길이가 확장된 단부(67)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확장 단부(67)는 따라서 센서소자(2)에 의해 덮히지 않으며, 고정소자(15) 내에서,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보어들에 의해 압력조정을 위해 측정될 유동 매질과 연결된다.

Claims (10)

  1. 센서 지지부(1)의 오목부(17)내에 배치되며 측정부품(6)을 지지하는 멤브레인(4), 즉 센서 지지부(1) 맞은편에 있는 센서소자(2) 내부에 구성된 중공실(5)을 폐쇄하는 멤브레인(4)을 구비한 플레이트형 센서소자(2)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소자(2)는 센서 지지부(1)를 향한 센서소자(2)의 바닥면(29)과 센서 지지부(1) 사이의 접착을 통해 오목부(17)내에 고정되며, 일정방향(9)을 따라 흐르는 유동 매질의 질량, 특히 내연기관의 흡입공기량을 측정하기 위한 질량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접속배선(27; 60)을 구비하며, 이 접속배선은 센서소자(2)의 바닥면(29)과 센서 지지부(1)와의 사이에서 센서소자(2)의 중공실(5) 둘레에 연장되고, 상기 중공실(5)을 환기시키기 위해서 일정방향(9)의 맞은편에서만 하나 이상의 구멍(40)를 통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배선(27)은 중공실(5) 둘레에 U자형으로 둘러싸여 연장되며, 일정방향(9)을 향한 하나의 단부(41)와 두개의 일정방향(9)으로 연장된 단부(42, 45)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배선(60)은 중공실(5) 둘레에 G자형으로 둘러싸이며, 일정방향(9)을 향하는 하나의 단부(61)와 일정방향(9)으로 연장된 두개의 단부(62, 63)들과 함께 일정방향(9)의 맞은편에 하나의 단부(64)를 구비하며, 상기 일정방향(9)의 맞은편 단부(64)는 일정방향(9)으로 진행하는 단부(62, 63)들을 완전하게 연결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측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센서소자(2)는 센서 지지부(1)의 맞은편 표면위에 연결배선(10)들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소자(28)들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소자(28)들의 맞은편 영역내에는 센서소자(2)의 바닥면(29)과 센서 지지부(1)와의 사이에 다른 하나의 접속배선(26)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나의 접속배선(26)은 십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측정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센서소자(2)는 센서 지지부(1)의 맞은편 표면(8)에 연결배선(10)들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소자(28)들을 구비하며, 상기 중공실(5) 둘레에 둘러싸인 접속배선(27)은 센서소자(2)의 바닥면(29)과 센서 지지부(1)와의 사이에서 연결소자(28)들의 맞은편 영역까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측정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1)의 내부에는 센서소자(2)의 중공실(5)과 연결상태에 있으며 센서소자(2)에 의해 완벽하게 덮히지 않는 디프닝부(66)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측정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1)는 센서소자(2)의 바닥면(29)의 맞은편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접착제-진입공간(23, 24, 25, 46, 47, 48)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배선(26, 27, 60)을 구성하는 역할을 하는 접착제는 센서소자(2)를 삽입할 때 센서 지지부(1)의 오목부(17) 내부로 흘러들어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측정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배선(60)이나 접속배선(26, 27)들은 하나의 탄성 실리콘접착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측정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1)의 바닥면(29)의 맞은편에 배치된 증착면(30, 31)들 중 어느 한 부분 위에는 돌출한 간격홀더(43a 내지 43i)들이 구성되며, 이 간격홀더들은 센서소자(2)의 바닥면(29)과 센서 지지부(1)간의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측정장치.
KR1019997004781A 1997-10-01 1998-08-21 유동 매질의 질량측정장치 KR100579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3409.6 1997-10-01
DE19743409A DE19743409A1 (de) 1997-10-01 1997-10-01 Meßvorrichtung zur Messung der Masse eines strömenden Mediums
PCT/DE1998/002441 WO1999018415A1 (de) 1997-10-01 1998-08-21 Messvorrichtung zur messung der masse eines strömenden mediu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206A true KR20000069206A (ko) 2000-11-25
KR100579429B1 KR100579429B1 (ko) 2006-05-15

Family

ID=784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781A KR100579429B1 (ko) 1997-10-01 1998-08-21 유동 매질의 질량측정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18170B1 (ko)
EP (1) EP0941456A1 (ko)
JP (1) JP3784420B2 (ko)
KR (1) KR100579429B1 (ko)
CN (1) CN1109879C (ko)
DE (1) DE19743409A1 (ko)
RU (1) RU2196965C2 (ko)
WO (1) WO1999018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4666B2 (ja) * 1999-06-30 2004-03-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式空気流量センサ
JP3555017B2 (ja) * 1999-09-22 2004-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感熱式流量センサ
DE19952055A1 (de) * 1999-10-28 2001-05-17 Bosch Gmbh Robert Massenflußsensor mit verbesserter Membranstabilität
US6325886B1 (en) * 2000-02-14 2001-12-04 Redwood Microsystems, Inc. Method for attaching a micromechanical device to a manifold, and fluid control system produced thereby
JP3712907B2 (ja) * 2000-03-06 2005-11-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流量計測装置
JP2001349759A (ja) * 2000-06-08 2001-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熱式流量センサ
DE10035538A1 (de) * 2000-07-21 2002-02-07 Bosch Gmbh Robert Sensor
DE10036290A1 (de) 2000-07-26 2002-02-0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Bestimmung zumindest eines Parameters eines strömenden Mediums
JP2002139360A (ja) * 2000-10-31 2002-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感熱式流量センサ
DE10210734B4 (de) * 2002-03-12 2004-01-29 J. Eberspächer GmbH & Co. KG Wärmetauscher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heizgerät
JP2004028631A (ja) * 2002-06-21 2004-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流量センサ
DE10343793A1 (de) * 2003-09-22 2005-04-14 Robert Bosch Gmbh Heissfilmluftmassensensor mit Kontaktierung mittels anisotropem Leitkleber
JP4428023B2 (ja) * 2003-11-04 2010-03-10 株式会社デンソー 流量測定装置
JP4609019B2 (ja) * 2004-09-24 2011-01-12 株式会社デンソー 熱式流量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5016449A1 (de) * 2005-04-11 2006-10-12 Robert Bosch Gmbh Beheizter Heißfilmluftmassenmesser
JP2007024589A (ja) * 2005-07-13 2007-02-01 Hitachi Ltd 気体流量計測装置
JP4317556B2 (ja) * 2006-07-21 2009-08-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式流量センサ
JP2008058131A (ja) 2006-08-31 2008-03-13 Hitachi Ltd 熱式ガス流量計
JP5243348B2 (ja) * 2009-06-12 2013-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流量検出装置
JP5256264B2 (ja) * 2010-09-03 2013-08-0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熱式空気流量センサ
JP5197714B2 (ja) * 2010-10-29 2013-05-15 三菱電機株式会社 流量検出装置
DE102011076170A1 (de) * 2011-05-20 2012-11-2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Erfassung mindestens einer Eigenschaft eines strömenden fluiden Mediums
DE102012220098A1 (de) * 2012-11-05 2014-05-08 Robert Bosch Gmbh Sensorvorrichtung zur Erfassung mindestens einer Strömungseigenschaft eines fluiden Mediums
JP6361523B2 (ja) * 2014-04-01 2018-07-25 株式会社デンソー 流量センサの製造方法
JP6181900B2 (ja) * 2015-03-05 2017-08-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流量検出装置
DE102021203219B3 (de) 2021-03-30 2022-06-23 Vitesco Technologies GmbH Luftmassensensor und Kraftfahrzeug
WO2023217637A1 (en) * 2022-05-09 2023-11-16 X-Celeprint Limited High-precision printed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9042A (en) * 1977-11-18 1978-12-12 Signetics Corporation Semiconductor transducer packaged assembly
US4220852A (en) * 1978-09-13 1980-09-02 Westinghouse Electric Corp. Radiation dosimeter assembly
DE4219454C2 (de) * 1992-06-13 1995-09-28 Bosch Gmbh Robert Massenflußsensor
DE4426102C2 (de) * 1994-07-22 1997-07-10 Bosch Gmbh Robert Sensorträger für eine Vorrichtung zur Messung der Masse eines strömenden Medium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ensorträgers
DE4443767A1 (de) * 1994-12-08 1996-06-13 Giesecke & Devrient Gmbh Elektronisches Modul und Datenträger mit elektrischem Modul
DE19524634B4 (de) * 1995-07-06 2006-03-3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Messung der Masse eines strömenden Mediu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9429B1 (ko) 2006-05-15
JP2001508879A (ja) 2001-07-03
EP0941456A1 (de) 1999-09-15
US6318170B1 (en) 2001-11-20
JP3784420B2 (ja) 2006-06-14
CN1109879C (zh) 2003-05-28
CN1241256A (zh) 2000-01-12
WO1999018415A1 (de) 1999-04-15
RU2196965C2 (ru) 2003-01-20
DE19743409A1 (de) 199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9206A (ko) 유동 매질의 질량측정장치
KR100437297B1 (ko) 유동매체의질량측정장치
JP3560616B2 (ja) 流過する媒体の量を測定するためのセンサ支持体及びセンサ支持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11629988B2 (en) Flow sensor, method for manufacturing flow sensor and flow sensor module
JP3302444B2 (ja) 質量流量センサ
US7293457B2 (en)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flow rate of a fluid
US7034395B2 (en) Power semiconductor module with cooling element and pressing apparatus
US7219544B2 (en) Thermal-type flow rat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328547B2 (ja) 熱式空気流量センサ
KR100390712B1 (ko) 유동매체의질량측정장치
US6752015B2 (en) Fluid flow device having reduced fluid ingress
JP4281630B2 (ja) センサ装置の製造方法
JP5791759B1 (ja) 流量測定装置
RU21536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массового расхода текучей среды
JP2014098621A (ja) 流量センサ
JP3387003B2 (ja) 発熱抵抗式空気流量測定装置及びモジュール
JP2003507729A (ja) 流動する媒体の質量を測定する装置
JP6970862B1 (ja) 半導体力センサ
JP4435374B2 (ja) 流量測定装置
RU21719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массового расхода потока текучей среды
JP7162961B2 (ja) 流量測定装置
JP3070046B2 (ja) 流量計
JPH0611373A (ja) 熱式空気流量計
JP2020041817A (ja) 物理量計測装置
JP2000162011A (ja) 発熱抵抗式空気流量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