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630A - 막형성 가능 고분자 입자 및 막형성 불가능입자로 이루어진막형성 혼합물을 케라틴섬유 코팅제로서 함유하는 화장용조성물 - Google Patents

막형성 가능 고분자 입자 및 막형성 불가능입자로 이루어진막형성 혼합물을 케라틴섬유 코팅제로서 함유하는 화장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630A
KR20000064630A KR1019980707337A KR19980707337A KR20000064630A KR 20000064630 A KR20000064630 A KR 20000064630A KR 1019980707337 A KR1019980707337 A KR 1019980707337A KR 19980707337 A KR19980707337 A KR 19980707337A KR 20000064630 A KR20000064630 A KR 2000006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ing
particles
polymer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6167B1 (ko
Inventor
나딸리 모우겡
Original Assignee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filed Critical 조지안느 플로
Publication of KR2000006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수성 매질에서 케라틴섬유 코팅제로서 하기로 이루어진 막형성 혼합물의 건조 추출물 15 내지 60 무게%를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스스로 막을 형성할 수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가소제 존재하에 막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 입자의 수성 분산액 하나 이상; 고분자 또는 고분자/가소제 혼합물의 유리전이온도 Tg가 25℃ 이하; 및 (B) 막형성 입자 및 임의로 가소제로부터 형성된 막의 매트릭스내 분산된 퍼콜레이션 망상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구형 또는 이방성의 막형성불가능 입자의 수성 분산액 하나 이상; 상기 막형성불가능 입자는 안료와 다르고 구형일 때 20 내지 90 부피% 및 이방성일 때 10 내지 80 부피% 범위의 농도로 상기 막형성 혼합물내에 존재한다. 이들 조성물은 속눈썹 또는 눈썹용 화장제품을 위한 기제(基劑) 또는 모발의 스타일링 및/또는 유지용 모발제품을 위한 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막형성 가능 고분자 입자 및 막형성 불가능 입자로 이루어진 막형성 혼합물을 케라틴섬유 코팅제로서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본 발명은,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수성 매질에서, 케라틴섬유 코팅제로서, 막형성(膜形成) 고분자 및 경질(硬質)의 무막형성(無膜形成) 입자로 이루어진 화장용 또는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뿐 아니라 화장 또는 피부약제 분야, 특히 눈썹 및 속눈썹 화장제품 및 헤어스타일링 및/또는 모발관리 제품에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두 유형의 종래 마스카라 제형, 즉 소위 수중(水中) 왁스의 에멀션형 "크림(cream)" 수성 마스카라, 및 소위 무수(無水) 또는 낮은 수함량(水含量)을 갖고, 유중(油中) 왁스분산의 "방수(waterproof)" 마스카라가 공지되어 있다.
종래 크림 마스카라는 일반적으로 속눈썹을 따라 도포하고 속눈썹을 따라 균일 침전(deposit)을 형성, 만족스럽게 속눈썹을 늘려준다. 그러나, 물 및 주위 습기(비, 눈물, 목욕 등)에 상대적으로 저항력이 없고 건조마찰(눈꺼풀위로 손의 통과)에 대한 저항력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빈약하다.
종래의 방수 마스카라는 물 및 주위 습기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가지나, 속눈썹 둘레에 제품의 침전 및 도포, 속눈썹의 착색 및 기계적 특성에 대해 빈약한 특성을 갖고, 더욱이, 물에 대한 그 잔류성으로 인해 특정 오일(oil)계 화장제거제품 사용을 필요로 한다.
이들 각종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종래 마스카라 제형내에 방수성을 개량하거나 화장제거를 용이하게 하거나 속눈썹 화장에 관한 특성을 개량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작용제로서 막형성 고분자의 분산액을 첨가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들 왁스 함유 제형의 기계적 특성은 여전히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속눈썹 코팅제로서 임의로 가소제 존재하에 막형성 고분자 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사용하여 상기 결점을 해결하는 신규 유형의 수성 마스카라 제형을 만드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안료의 수성 현탁을 함유하고, 속눈썹 코팅제로서 임의로 가소제 존재하에 막형성 고분자 입자의 현탁을 사용한 수성 마스카라 조성물이 속눈썹상에 불균질, 불연속, 바람직하기 못한 침전을 가져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표면장력을 속눈썹의 표면에너지 미만 값으로 낮추기 위해 마스카라 제형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은 이 현상을 제거하지 못한다.
따라서 현탁내 막형성 고분자 입자 및 안료에 기반하고, 이 현상을 약화시키거나 모두 제거할 수 있는 신규 마스카라 제형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발 코팅용 주(主) 또는 부(副) 작용제로서 임의로 가소제 존재하에 막형성 고분자 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사용한 선행기술의 헤어스타일링 조성물은 또한, 도포 및 건조 후, 모발의 불균질 및 불연속 코팅을 가져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주요 속눈썹 코팅제로서 임의로 가소제 존재하에 막형성 고분자 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함유하고 이 현상을 실질적으로 약화시키거나 또는 모두 제거하는 모발 스타일링 및/또는 유지용 모발 제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특정 유형의 막형성 고분자 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특정 유형의 무막형성 고분자 입자에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재된 특정 비율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기재된 마스카라에 특정된 모든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또한 균질 및 연속의 속눈썹 코팅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 막형성 재료를 함유하는 수성 마스카라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또한 이 특정의 조합이 특히 풀림(disentangle)의 느낌 및 용이성에 대하여 양호한 화장 특성, 양호한 막형성 특성 및 모발을 유지하는 만족스러운 기계적 특성을 가져, 더 우수한 모발의 코팅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모발 코팅제를 형성하는 신규 복합재료의 제형을 가져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또는 피부용 조성물은 이들이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수성 매질에서 케라틴섬유 코팅제로서 하기로 이루어진 막형성 혼합물의 고체 15 내지 60 무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스스로 막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소제 존재하에 막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 입자의 수성 분산액 하나 이상; 고분자 또는 고분자/가소제 혼합물의 유리전이온도 Tg가 25℃ 이하; 및
(B) 막형성 입자 및 임의의 가소제로부터 형성된 막의 매트릭스에 퍼콜레이션(percolation) 망상구조(網狀構造)를 형성할 수 있는 구형 또는 이방성 무막형성 입자의 수성 분산액 하나 이상;
상기 무막형성 입자는 안료와 다르고 구형일 때 20 내지 90 부피% 범위의 농도로 및 이방성일 때 10 내지 80 부피% 범위의 농도로 상기 막형성 혼합물내에 존재한다.
"막을 형성한 고분자의 매트릭스내 퍼콜레이션 망상구조"의 표현은 본 발명의 막형성 혼합물내 상기 입자의 어느 부피분 역치에서 및 역치 이상에서 고분자의 모든 매트릭스 내부에 분산된, 집합체의 형성 및 상호연결에 의하여 무막형성 입자에 의해 형성된 망상구조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역치 아래에서, 무막형성 입자는 퍼콜레이션하지 않고 고분자막의 매트릭스내에 무작위 분산된다. 이런 유형의 거동이 Nicole Alberola, Corinne Bas 및 Patrice Mele, C.R. Sci. Paris, t. 319, 2nd series, pp. 1129-1134, 1994 에 기재되어 있다.
신속한 막형성, 케라틴섬유에의 양호한 부착, 양호한 기계적 강도, 건조후 케라틴 담체에 적용된 복합재료의 건조마찰에의 양호한 저항성을 끈적한 효과없이 수득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무막형성 입자는 막형성 고분자 입자 및 무막형성 입자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존재하고, 이들이 구형일 때는 20 내지 90 부피%, 및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부피% 범위의 농도로, 이들이 이방성일 때는 10 내지 80 부피%, 및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부피% 범위의 농도로 존재한다.
막형성 혼합물내 무막형성 입자의 부피분이 상기 나타난 부피분 최소치 미만일 때, 막을 형성한 고분자의 매트릭스내 퍼콜레이션 망상구조가 더 이상 형성되지 않으며 케라틴섬유상 코팅의 기계적 특성이 더 이상 만족스럽지 않다. 이 경우 건조후 끈적한 침전이 또한 수득된다. 막형성 혼합물내 무막형성 입자의 부피분이 상기 나타난 부피분 최대치를 초과할 때, 섬유상에 복합재료의 빈약한 막형성이 관찰된다.
막형성 고분자 입자는 가소제 존재 또는 부재하에 25℃ 이하 및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 범위의 유리전이온도 Tg를 갖는 막형성 재료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든 공지된 유형의 화장품내 고분자로부터 선택된다.
더 빠른 막형성 및 본 발명의 조합으로부터 기인한 복합재료의 케라틴 담체 (속눈썹, 눈썹 또는 모발)에의 더 양호한 고착을 수득하기 위해, 고분자 또는 고분자/가소제 혼합물의 유리전이온도 Tg가 바람직하게는 10℃이하가 될 것이다.
막형성 입자를 구성하는 고분자중,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 폴리비닐, 폴리올레핀과 같은 에틸렌계 불포화 함유 고분자;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아와 같은 중축합물(polycondensates); 특정 셀룰로스 에테르, 예를 들어 SEPPIC제 Aquacoat 제품(에틸셀룰소스 수도라텍스) 또는 특정 셀룰로스 에스테르, 예를 들어 Eastman제 CAB-SU 160 제품(부분중화 셀룰로스 아세트부티레이트 숙시네이트 라텍스)와 같은 천연고분자 또는 개질된 천연고분자를 들 수 있다.
모발 조성물 환경에서 샴푸로의 한층 양호한 제거 또는 속눈썹 또는 눈썹용 화장품 환경에서 종래 계면활성제 용액에 의한 한층 양호한 제거를 위해, 물 및 주위 습기에 양호한 잔류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베타인 단량체와 같은 양성(兩性)기를 지니는 단량체를 함유한 양성 막형성 고분자 또는 이온화 또는 이온화가능 비온기, 특히 카르복실산기 및/또는 술폰산기 및/또는 인산기를 지니는 단량체를 함유한 음이온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양성 또는 음이온성 단량체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막형성 고분자를 구성하는 단량체 전체무게에 대해 2 내지 15 무게%에 범위할 것이다.
베타인 또는 산기는 바람직하게는, 막형성 입자의 수성 분산액 및 경화, 무막형성 입자의 수성 분산액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최종 pH가 4 내지 8 및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5 사이가 되도록, 부분 또는 전체 중화된다.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과 같은 무기염기 또는, 예를 들어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AMP),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TIPA), 모노에탄올아민, 트리[1-(2-히드록시)프로필]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AMPD) 및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 알콜로부터 선택된다.
입체배제(steric exclusion)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이들 막형성 고분자의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500,0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무막형성 입자는 임의의 성질의 것일 수 있다. 이들은 무기 또는 유기, 구형 또는 이방성 (예컨대 타원형, 원반형, 소판(小板)형, 단장(短杖)형 또는 근모(根毛)형)일 수 있다. 이들은 화장용 또는 피부용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안료와 다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안료(pigment)"는 이들의 작용 매질에 불용성인 미세 입자로 이루어지고 그 주요 기능이 케라틴 물질에 착색 또는 도포 특성을 주는 임의의 천연 또는 합성 물질 (또는 재료)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착색 안료중, 예를 들면, 산화지르코늄, 산화세륨, 산화아연 또는 산화크롬,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철과 같은 무기 안료, 및 카본블랙 또는 D & C 레드(red) 36과 같은 유기 안료를 들 수 있다. 도포 안료중, 카올린, 탈크, 산화티타늄, 산화지르코늄, 황산바륨 및 탄산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동등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이 구형일 때, 본 발명의 무막형성 입자의 평균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 μm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nm 이하이다. 이들이 이방성일 때, 최대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30 μm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μm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유기형 무막형성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및 더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유리전이온도 T'g 를 갖는 고분자 입자이다.
사용가능한 구형 무기계 무막형성 입자중, 예를 들면,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사용가능한 이방성 무기계 무막형성 입자중, 예를 들면, 몬트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s), 라포나이트(laponites), 벤토나이트(bentonites)와 같은 점토류 (소판), 특히 Sud Chemie제 상업제품 Optigel WA, 특정 티탄산염과 같은 무기계 미세근모, 예컨대 DuPont de Nemours제 상업제품 Fybex, 및 탄화규소(실리콘 카바이드) 입자를 들 수 있다.
사용가능한 구형 무기계 무막형성 입자중, 하기를 들 수 있다:
- 유리전이온도 50℃ 이상의 폴리아크릴 또는 폴리비닐과 같은, 에틸렌성 불포화 함유 고분자;
- 유리전이온도 50℃ 이상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와 같은 중축합물.
본 발명의 무막형성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가교고분자의 구형 입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입자를 구성하는 고분자중, 예를 들면, 메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직쇄, 시클릭 또는 분지 C1~ C10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톨루엔; 염화비닐, 벤조산비닐 또는 t-부틸벤조산 비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 또는 공중합에 의해 수득되고, 바람직하게는 가교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고분자는 적어도 하나의 직쇄, 시클릭 또는 분지쇄 C1~ C8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의 가교 공중합체이다.
가교제는 바람직하게는 라디칼중합에 통상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비닐벤젠 또는 펜타에리트리닐 디- 또는 트리메타크릴레이트의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디메타크릴레이트; 알킬렌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디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무막형성 고분자를 구성하는 단량체 무게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무게%의 양으로 사용된다.
물 또는 주위 습기에 양호한 잔류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모발 조성물 환경에서 샴푸(계면활성제 수용액)로의 한층 양호한 제거, 또는 속눈썹 또는 눈썹용 화장품 환경에서 계면활성제 표준 용액을 사용하여 화장의 한층 양호한 제거를 얻기 위하여, 베타인 단량체와 같이 양성기를 지닌 단량체를 함유한 양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무막형성 입자, 또는 이온화 또는 이온화가능 음이온기, 특히 카르복실산기 및/또는 황산기 및/또는 인산기를 지닌 단량체를 함유한 음이온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무막형성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양성 또는 음이온성 단량체의 비율은 무막형성 고분자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전체 무게에 대해 일반적으로 2 내지 15 무게% 범위이다.
베타인 또는 산기는 바람직하게는, 막형성 입자의 수성 분산액 및 무막형성 입자의 수성 분산액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최종 pH 가 4 내지 8 및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5 사이에 있도록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된다.
바람직하게는, 막형성 입자 및 경질, 무막형성 입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은, 고체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조성물 전체 무게에 대해 25 내지 60 무게% 범위의 농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 또는 무막형성 고분자 입자의 분산액은 하기로 이루어진 공정에 따른, 회분식 에멀션 중합으로 수득할 수 있다:
a) 물, 임의로 버퍼 및 유화제를 함유한 반응기내에서 공급원료의 제조;
b) 주위 온도에서 공급원료에 단량체 첨가;
c) 단량체의 유화;
d) 라디칼 개시제 존재하에 반응 매질의 중합 온도로 가열.
공정은 또한 수성부, 단량체 혼합물의 작은 부분 및 약간의 개시제를 함유한 공급원료를 사용한 반(半)연속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어 혼합물을 반응온도로 가열하고 다량의 물에 용해된 잔류 단량체 혼합물 및 잔류 개시제를 둘 다 동시에 첨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기계적 특성, 화장 특성 및 도포 및 건조후 침전된 복합재료의 케라틴섬유에 대한 고착성을 개량하기 위해 임의로 가소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가능한 가소제중에 하기를 들 수 있다:
- 유니온 카바이드(Union Carbide) 사제 카르비톨(Carbitols), 즉 카르비톨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메틸 카르비톨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부틸 카르비톨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또는 헥실 카르비톨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헥실 에테르,
- 유니온 카바이드(Union Carbide)사제 셀로솔브(Cellosolves), 즉 셀로솔브 또는 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부틸셀로솔브 또는 에틸렌 글리콜 부틸에테르 또는 헥실 셀로솔브 또는 에틸렌 글리콜 헥실 에테르,
- 다우 케미컬(Dow Chemical)사제 다와놀(Dowanol), 즉 다와놀 PM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다와놀 DPM 또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및 다와놀 TPM 또는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뿐 아니라 프로필렌 글리콜 유도체 및 특히 프로필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또한 하기를 들 수 있다:
- 다우 케미컬사제 다와놀 DM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 명칭 "Mulgofen LE-719"의 롱쁠랑(Rhone-Poulenc)사 제품과 같은, 산화에틸렌 40 몰로 옥시에틸렌화된 피마자유,
- 벤질 알콜,
- 명칭 "Citroflex-2"의 화이자(Pfizer)사제 시트르산 트리에틸,
- 1,3-부틸렌 글리콜,
- 프탈산 및 아디프산 디에틸, 디부틸 및 디이소프로필,
- 주석산 디에틸 및 디부틸,
- 인산 디에틸, 디부틸 및 2-디에틸헥실, 및
- 디아세트산 글리세릴 (디아세틴) 및 트리아세트산 글리세릴 (트리아세틴) 과 같은 글리세롤 에스테르.
가소제는 막형성 고분자 입자 및 무막형성 입자로 이루어진 혼합물 전체 무게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무게% 범위의 비율로 존재한다. 이 비율은 적용의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해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수성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단독 또는 혼합물 형태의 모노알콜, 폴리알콜, 글리콜 에테르, 아세톤 또는 에스테르와 같이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하고 무막형성 고분자 및 막형성 입자와 상용적인 용매 하나 이상 및 물의 혼합물 또는 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더 특히는 물 또는 물 및 C1~ C4저급 알콜, 예컨대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정의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헤어스타일 형성 및/또는 유지용 모발 제품, 특히 모발 고정용 에어로졸 락커 또는 펌프-디스펜서 병, 헤어세팅 또는 블로드라이(blow-dry) 로션 및 스타일링 무스 또는 젤용 기제(基劑)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조성물은 또한 방부제, 연화제, 금속이온봉쇄제(sequestering agent), 방향제, 염료, 점도개질제, 추진제, 진주(珍珠)성제, 보습제, 비듬방지제, 피지방지제, 일광차단제, 헤어컨디셔너, 산화방지제, 단백질 및 비타민과 같은 종래의 화장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eyeliner)와 같은 속눈썹 및 눈썹용 화장품용 기제로 사용될 수 있다.
속눈썹 및 눈썹용 화장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안료를 함유한다. 이들 안료는 유기계 또는 무기계일 수 있거나 또한 진주성(珍珠性) 안료일 수 있다. 이러한 안료는 공지되어 있고 특히 FR 83/09997 (2,528,699)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안료 페이스트 형태, 예를 들어 훼스트(Hoechst)사제 상업제품 Cosmenyl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속눈썹 및 눈썹용 화장 조성물은 또한 연화제, 방부제, 금속이온봉쇄제, 방향제, 농축제, 오일, 실리콘, 점착제, 염기화 및/또는 산성화제, 충전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종래의 첨가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용 또는 피부용 조성물 제조를 위한 및 제조에 있어서의 케라틴섬유 코팅제로서 하기로 이루어진 막형성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있다:
- 상기 정의된 막형성 고분자의 수성 분산액;
- 상기 정의된 경질, 무막형성 입자의 수성 분산액.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라틴섬유에 적용되어 상기 섬유상에 균질 및 연속적 코팅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화장용 또는 피부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및 제조에 있어서 상기 막형성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나 성질을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경질, 무막형성 아크릴계 고분자 입자의 분산액 제조
고분자의 조성: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91 무게%
- 메타크릴산 5 무게%
-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가교제) 4 무게%
과정:
탈이온수 100 g, 롱쁠랑사제 명칭 Abex JKB의 알킬 에톡시 설페이트 계면활성제의 활성 재료 16 g 및 과황산칼륨 2.5 g을 중앙기계교반기, 온도계 및 응축기가 장착된 반응기로 도입한다. 혼합물을 빠르게 교반하면서 80℃의 온도에 이르게 한다.
동시에, 하기 두 개의 소위 "부가용액(addition solution)" S1및 S2를 제조한다:
부가용액 S1(단량체 용액):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820 g
- 메타크릴산 100 g
-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가교제) 80 g
부가용액 S2:
- 탈이온수 5000 g
- Abex JKB 160 g
- 과황산칼륨 7.5 g
반응기내 수용액이 80℃에 도달할 때, 10% 용액 S1을 가하고 혼합물을 15분간 반응하도록 방치한다. 이어 동시에 용액 S1및 S2의 잔류물을 4 시간에 걸쳐 일정 유속으로 가한다. 두 동시 첨가의 종료에서, 반응 매질의 온도를 85℃로 올리고 이 온도를 30 분간 유지한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한다. 나일론 거즈(Nylon gauze)를 통해 여과시킨다.
하기 특성을 갖는 고분자 분산액이 수득된다:
- 평균 입자 크기: 92 nm
- Coulter N4 SD와 같은 장비로 준탄성(quasi-elastic) 광산란에 의해 측정한 입자 크기 다중분산도: < 0.1
- 80℃ 환기 오븐(ventilated oven)내 일정 중량 고체 함량: 26.6%
실시예 2: 막형성 아크릴계 고분자 입자의 분산액 제조
고분자의 조성:
- 아크릴산 10%
-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70%
- t-부틸 아크릴레이트 20%
탈이온수 62.5 g, 롱쁠랑사제 명칭 Abex JKB의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계면활성제 30.4% 수용액 1.24 g, 황산칼륨 0.19 g을 중앙기계교반기, 온도계 및 응축기가 장착된 반응기에 도입한다. 혼합물을 빠르게 교반하면서 80℃온도에 이르게 한다.
동시에, 두 개의 소위 "부가용액" 하기 S1및 S2를 제조한다:
부가용액 S1(단량체 용액):
- 아크릴산 12.5 g
-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87.5 g
- t-부틸 아크릴레이트 25 g
- 도데칸티올 1.25 g
부가용액 S2:
- 탈이온수 312.5 g
- Abex JKB 30.24% 수용액 11.16 g
- 과황산칼륨 0.55 g
반응기내 수용액이 80℃에 도달할 때, 10% 용액 S1을 가하고 혼합물을 15 분간 반응하도록 방치한다. 이어 동시에 용액 S1및 용액 S2의 잔류물을 4 시간에 걸쳐 일정 유속으로 가한다. 두 개의 동시 첨가 종료에서, 반응 매질의 온도를 85℃로 올리고 이 온도를 30 분간 유지한다. 혼합물을 교반하에 실온으로 냉각한다. 나일론 거즈로 여과한다.
하기 특성을 갖는 고분자 입자 분산액을 수득한다:
- 평균 입자 크기: 230 nm
- Coulter N4 SD와 같은 장비로 준탄성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입자 크기 다중분산도: < 0.1
- 80℃ 환기오븐내 일정중량 고체 함량: 25%
- 입체배제 크로마토그래피의 피크 높이에서의 분자량: 70,000
- DSC로 측정한 유리전이온도: -7℃.
실시예 3: 마스카라
하기 조성물 A를 제조한다:
- 실시예 2의 막형성 고분자 입자 분산액 (고체함량 26.6%로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 50 무게%
- 실시예 1의 무막형성 고분자 입자 분산액 (고체 26.6%) 50 무게%
-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qs pH 7
수득한 조성물 A를 40 무게%의 고체함량이 수득될 때 까지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한다.
자석교반하에 하기 성분을 혼합하여 마스카라 제제를 제조한다:
- 조성물 A 93.3 무게%
- 활성 재료 30% 함유, 훼스트사제 명칭 Cosmenyl의 안료 페이스트 6.7 무게%
모발 섬유 또는 천연색 폴리아미드 섬유상의 마스카라 코팅 외양:
직경 100 μm 천연색 폴리아미드 섬유 (속눈썹의 합성 모형) 또는 금발 네덜란드인 모발로부터 수득한 섬유 (속눈썹의 천연 모형)를 본 발명의 마스카라로 코팅한 외양을 관찰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모발 섬유를 로레알(L'Oreal) 그룹제 상업제품 Effacil과 같은 표준 화장제거 용액으로 미리 씻고, 삼투수로 헹구고 이어 옥외에서 건조한다.
유리판 또는 갈라진 원뿔형 플라스틱 주걱에 위치한 소량의 마스카라를 통해 섬유를 세 번 연속 통과시켜 각 유형의 섬유에 마스카라를 도포한다.
섬유의 성질에 관계없이, 일정 두께 (건조시 10 내지 20 μm 사이)의 균질적, 연속적 코팅을 수득한다.
방수성:
이어 마스카라가 코팅된 섬유를 상기 섬유를 덮기 충분한 다량의 물에 담그고 이어 3 시간 건조시켜 마스카라로 수득된 막의 방수성을 평가한다. 교반하지 않고, 막은 약간 팽창하나 이렇게 처리된 섬유로부터 떨어지지는 않는다.
화장제거:
마스카라가 코팅된 섬유를 상기 섬유를 덮기 충분한 다량의 표준 화장제거 용액, 예컨대 상업제품 Effacil에 담그고 이어 24 시간 건조시켜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 제거 경향을 평가한다. 상이한 액침시간으로 액침된 막상에 손가락을 통과시켜 부드러운 마찰을 수행한다. 막은 모발 섬유로부터 1 분후 및 폴리아미드 섬유로부터 2 분후 완전히 분리된다.
실시예 4: 마스카라
하기 조성물 B를 제조한다:
- 실시예 2의 막형성 고분자 입자 분산액 (고체 26.6%) 30 무게%
- 실시예 1의 무막형성 고분자 입자 분산액 (고체 26.6%) 70 무게%
-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qs pH 8
수득된 조성물 B를 40 무게%의 고체함량이 수득될 때 까지 회전증발기상에서 농축한다.
자석교반하에, 하기 성분을 함께 혼합하여 마스카라 제제를 제조한다:
- 조성물 B 93.3 무게%
- 30% 활성재료 함유, 훼스트사제 명칭 Cosmenyl black의 안료 페이스트 6.7 무게%
실시예 3의 마스카라에 대해 수행한 것과 동일한 실험을 행한다. 이 마스카라는 모발 섬유 또는 천연색 폴리아미드 섬유상에 균질적, 연속적 코팅을 가져온다. 이는 우수한 방수성을 갖고 표준 화장제거제로 용이하게 제거된다 (막은 모발 섬유로부터 1 분후 및 폴리아미드 섬유로부터 2 분후 완전히 분리된다).
실시예 5: 마스카라
자석교반하에, 하기 성분을 함께 혼합하여 마스카라 제제를 제조한다:
- 조성물 C 50 무게%
- 실시예 1의 무막형성 고분자 입자 분산액 (고체 40%) 50 무게%
-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qs pH 7
실시예 5의 마스카라에 대해 수행한 것과 동일한 실험을 행한다. 이 마스카라는 모발 섬유 또는 천연색 폴리아미드 섬유상에 균질하고 연속적인 코팅을 만든다. 이것은 양호한 방수성을 갖고 표준 화장제거제로 쉽게 제거된다 (막은 모발 섬유로부터 1 분후 및 폴리아미드 섬유로부터 2 분후 완전히 분리된다).
실시예 6: 헤어스타일링 제품 기제
자석교반하에, 하기 성분을 함께 혼합하여 헤어스타일링 제품 기제를 제조한다:
- Sud Chimie사제 명칭 *Optigel WA의, 무막형성 이방성 무기계 입자 분산액 (고체 0.85%) 20 무게%
- 실시예 2의 막형성 고분자 입자 분산액 (고체 40%) 80 무게%
-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qs pH 8
* 최대 입자 크기 1 내지 5 μm의 스멕틱 벤토나이트.
실시예 3의 마스카라에 사용된 동일 조건하에 이 조성물로 부터 이루어진 금발 네덜란드인 모발로부터 수득한 섬유상의 코팅의 외양을 관찰한다. 이 조성물은 모발 섬유의 균질하고 연속적 코팅을 만든다.
실시예 2의 막형성 고분자 분산액만을 함유한 조성물에 의한 코팅의 외양을 또한 관찰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모발 섬유상에 불균질하고 비연속적인 코팅을 만든다.
실시예 7: 막형성 아크릴계 고분자 입자의 수성 분산액 제조
고분자의 조성 (무게 퍼센트):
-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97%
- 아크릴산 3%
탈이온수 50 g, Abex JKB 계면활성제 0.3 g 및 황산칼륨 0.154 g을 중앙기계식 교반기, 응축기, 온도계 및 질소 기포형성용 관을 장착한 반응기내에 도입한다. 혼합물을 빠른 교반하에 80℃에 이르게한다.
동시에, 두 개의 소위 "부가용액" 하기 S1및 S2를 제조한다:
부가용액 S1(단량체 용액):
·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97 g
· 아크릴산 3 g
· 도데칸티올 1 g
부가용액 S2:
· 탈이온수 250 g
· Abex JKB (100% 활성재료) 2.7 g
· 과황산칼륨 0.446 g
공급원료의 온도가 80℃에 도달할 때, "부가용액 제 1 호"의 10% 단량체 혼합물을 가하고 혼합물을 15 분간 반응하도록 방치한다.
이어 "부가용액 제 1 호" 및 "부가용액 제 2 호"의 잔류물의 4 시간동안의 동시 균일첨가를 시작한다.
이들 4 시간 첨가후, 온도를 85℃로 높이고 이들 조건을 30 분간 유지한다. 이어 반응 매질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을 첨가하여 pH 7로 조절한다. 이어 혼합물을 나일론 거즈로 여과한다. 다음 회전증발기로 농축하여 유액(乳液)의 농도를 고체 25 내지 40%로 만든다.
유리전이 Tg의 측정 = -20℃.
실시예 8: 막형성 아크릴계 고분자 입자의 수성 분산액 제조
고분자의 조성 (무게 퍼센트)
-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80%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
pH 조절 단계 없이, 하기 "부가용액" S1및 S2를 사용하여, 실시예 8에 기재된 것과 동일 조건하에 고분자 분산액을 제조한다:
부가용액 S1(단량체 용액):
·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80 g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 g
· 도데칸티올 1 g
부가용액 S2:
· 탈이온수 250 g
· Abex JKB (100% 활성재료) 2.7 g
· 과황산칼륨 0.446 g
40% 고체 함유 유액을 이렇게 수득한다.
유리전이 Tg의 측정 = -3℃.
실시예 9: 마스카라
실시예 1의 분산액의 고체 함량을 회전증발기상에서 농도 40%로 만들었다.
다음 하기 비율에서 실시예 1 (무막형성 고분자 입자), 실시예 8 및 실시예 9 (막형성 고분자 입자)의 세 유액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 실시예 1의 유액 (고체 40%) 30 g
· 실시예 8의 유액 (고체 40%) 35 g
· 실시예 9의 유액 (고체 40%) 35 g
혼합물의 혼합물의 최종 pH를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을 첨가하여 6.5로 조절한다. 이 세 조합을 실시예 3에서 이미 사용된, 훼스트제 안료 페이스트 Cosmenyl black와 하기 비율로 혼합하여 마스카라 제제를 제조한다:
· 세 유액의 혼합물 93.3 무게%
· 30% 활성재료 함유 안료 페이스트 Cosmenyl black 6.7 무게%
이 마스카라에 의해 주어진 코팅 특성을 실시예 3에 지시된 조건에 따라 관찰한다. 균일하고 연속적인 일정 두께의 코팅이 발견되었다.

Claims (26)

  1.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수성 매질내, 케라틴섬유 코팅제로서, 하기로 이루어진 막형성 혼합물의 고체 15 내지 60 무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용 조성물:
    (A) 스스로 막을 형성할 수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가소제 존재하에 막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 입자의 수성 분산액 하나 이상; 고분자 또는 고분자/가소제 혼합물의 유리전이온도 Tg가 25℃ 이하; 및
    (B) 막형성 입자 및 임의로 가소제로부터 형성된 막의 매트릭스내 퍼콜레이션 망상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구형 또는 이방성 무막형성 입자의 수성 분산액 하나 이상;
    상기 무막형성 입자는 안료와 다르고 상기 막형성 혼합물내에서 구형일 때 20 내지 90 부피% 범위의 농도 및 이방성일 때 10 내지 80 부피% 범위의 농도로 존재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유리전이온도 Tg의 범위가 -50℃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리전이온도 Tg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막형성 입자를 구성하는 고분자가 폴리아크릴, 폴리비닐, 폴리올레핀과 같은 에틸렌계 불포화 함유 고분자;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아와 같은 중축합물; 천연고분자 또는 개질된 천연고분자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막형성 입자를 구성하는 고분자가 양성기를 지니는 단량체를 함유한 양성 막형성 고분자 또는 이온화 또는 이온화가능 음이온기를 지니는 단량체를 함유한 음이온성 고분자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양성 단량체 또는 음이온성 단량체의 비율이 막형성 고분자를 구성하는 단량체 전체 무게에 대해 2 내지 15 무게%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양성 단량체가 베타인 단량체이고 음이온성 단량체가 카르복실산기 및/또는 술폰산기 및/또는 인산기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막형성 입자의 수성 분산액 및 경질, 무막형성 입자의 수성 분산액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최종 pH가 4 내지 8 사이 및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5 사이가 되도록 막형성 고분자의 베타인 또는 산기가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막형성 입자를 구성하는 고분자가 입체배제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시 분자량 50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형 무막형성 입자가 평균크기 1 μm 이하 및 더 바람직하게는 600 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방성 무막형성 입자가 최대크기 30 μm 이하 및 더 바람직하게는 10 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막형성 입자가 무기형태이고 실리카, 점토, 티탄산염 미세근모 및 탄화규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막형성 입자가 50℃ 이상 및 더 특히는 70℃ 초과의 유리전이온도 T'g를 갖는 고분자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경질, 무막형성 입자가 가교고분자의 구형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무막형성 고분자 무게에 대해 0.1 내지 50 무게% 범위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1 항 내지 제 11 항 및 제 13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막형성 입자가 하기로부터 선택된 고분자의 구형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폴리아크릴 또는 폴리비닐과 같은, 에틸렌계 불포화 함유 고분자;
    -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와 같은 중축합물.
  17. 제 1 항 내지 제 11 항 및 제 13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막형성 입자를 구성하는 고분자가 양성기를 지닌 단량체를 함유한 양성 무막형성 고분자 및 이온화 또는 이온화가능 음이온기를 지닌 단량체를 함유한 음이온성 무막형성 고분자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양성 단량체 또는 음이온성 단량체의 비율이 무막형성 고분자를 구성하는 단량체 전체 무게에 대해 2 내지 15 무게%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양성 단량체가 베타인 단량체이고 음이온성 단량체가 카르복실산기 및/또는 황산기 및/또는 인산기를 지닌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막형성 입자의 수성 분산액 및 경질, 무막형성 입자의 수성 분산액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최종 pH가 4 내지 8 사이 및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5 사이가 되도록 막형성 고분자의 베타인 또는 산기가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막형성 고분자 입자 및 무막형성 입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전체 무게에 대해 20 무게% 이하의 비율로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스타일링 및/또는 유지를 위한 모발 제품.
  23.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또는 눈썹용 화장 제품.
  24.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25. 화장용 또는 피부용 조성물의 제조에서 및 제조를 위한 케라틴섬유 코팅제로서 하기로 이루어진 막형성 혼합물의 용도:
    -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정의된 막형성 고분자 입자의 수성 분산액; 및
    -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정의된 무막형성 입자의 수성 분산액.
  26. 케라틴섬유에 도포 및 상기 섬유상에 균일하고 연속적인 코팅 형성을 의도한 화장용 또는 피부용 조성물의 제조에서 및 제조를 위한 하기로 이루어진 막형성 혼합물의 용도:
    -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정의된 막형성 고분자 입자의 수성 분산액; 및
    -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정의된 경질, 무막형성 입자의 수성 분산액.
KR1019980707337A 1997-01-20 1998-01-16 막형성가능고분자입자및막형성불가능입자로이루어진막형성혼합물을케라틴섬유코팅제로서함유하는화장용조성물 KR100296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0545 1997-01-20
FR9700545 1997-01-20
PCT/FR1998/000080 WO1998031329A1 (fr) 1997-01-20 1998-01-16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comme agent de reve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un melange filmogene constitue de particules de polymere filmifiables et de particules non-filmifiab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630A true KR20000064630A (ko) 2000-11-06
KR100296167B1 KR100296167B1 (ko) 2001-08-07

Family

ID=950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337A KR100296167B1 (ko) 1997-01-20 1998-01-16 막형성가능고분자입자및막형성불가능입자로이루어진막형성혼합물을케라틴섬유코팅제로서함유하는화장용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26929A (ko)
EP (1) EP0909157A1 (ko)
JP (1) JP2002501481A (ko)
KR (1) KR100296167B1 (ko)
CN (1) CN1224343A (ko)
CA (1) CA2249478A1 (ko)
WO (1) WO19980313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472B1 (ko) * 2009-03-20 2011-08-08 한국콜마 주식회사 무알콜 미스트타입 헤어스타일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4014822A1 (ko) * 2022-07-11 2024-01-18 한국과학기술원 퍼콜레이션 가능한 자극 감응성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섬유형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근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5532B1 (fr) * 1998-11-06 2000-12-15 Oreal Procede de maquillage des matieres keratiniques
FR2795636B1 (fr) * 1999-06-29 2001-09-14 Oreal Compositions capillaires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adhesif et des particules solides
JP4104790B2 (ja) * 1999-08-10 2008-06-18 日本エヌエスシー株式会社 化粧料
FR2798061A1 (fr) * 1999-09-07 2001-03-09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s dispersions de particules de polymeres dans une phase grasse liquide
FR2803743B1 (fr) * 2000-01-14 2005-04-15 Atofina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des dispersions aqueuses de polymeres, filmogenes en l'absence de solvant organique
US6613314B1 (en) * 2000-07-27 2003-09-02 L'oreal Reshapable hair styling composition comprising polyurethane dispersions
US6689346B1 (en) * 2000-10-25 2004-02-10 L'oreal Reshapable hair styling composition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N1535133B (zh) * 2000-10-25 2012-05-09 3M创新有限公司 用于化妆和个人护理的丙烯酸基共聚物组合物
US8080257B2 (en) 2000-12-12 2011-12-20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 polymer and at least one film-forming silicone resin and methods of using
JP2002226328A (ja) * 2001-01-31 2002-08-14 Sanyo Chem Ind Ltd 毛髪処理剤および毛髪処理方法
US6726900B2 (en) * 2001-05-18 2004-04-27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Long wearing composition for making up eyes, skin, and lips
FR2825271B1 (fr) * 2001-05-31 2003-08-08 Oreal Composition en aerosol comprenant des particules de silicate et des polymeres
US6645478B2 (en) * 2001-06-22 2003-11-11 L'oreal S.A. Reshapable hair styling composition comprising (meth)acrylic copolymers of four or more monomers
US6667378B2 (en) * 2001-06-22 2003-12-23 L'oreal, S.A. Reshapable hair styling composition comprising heterogeneous (meth)acrylic copolymer particles
US6458390B1 (en) 2001-07-27 2002-10-01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Long wearing makeup compositions
US20030091521A1 (en) * 2001-10-03 2003-05-15 Sanjeev Midha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volume
US20030086886A1 (en) * 2001-10-03 2003-05-08 Sanjeev Midha Hair styling composition containing particles
MXPA04003009A (es) * 2001-10-03 2004-07-15 Procter & Gamble Champu que contiene un polimero cationico y particulas.
CN1655753A (zh) * 2001-10-03 2005-08-17 宝洁公司 包含颗粒和沉积助剂的洗发剂
CN1561194A (zh) * 2001-10-03 2005-01-05 宝洁公司 包含颗粒的调理剂
US20040005285A1 (en) * 2001-10-03 2004-0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ditioner containing particles
US20030147833A1 (en) * 2001-12-20 2003-08-07 L'oreal Reshapable hair styling non-rinse composition comprising (meth)acrylic copolymers
US20040057923A9 (en) * 2001-12-20 2004-03-25 Isabelle Rollat Reshapable hair styling rinse composition comprising (meth)acrylic copolymers
US20050008598A1 (en) * 2003-07-11 2005-01-13 Shaoxiang Lu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structuring agent, silicone powder and swelling agent
FR2844184B1 (fr) * 2002-09-06 2006-05-26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maquillage ou de soin des fibres keratiniques sans cire
DE10243038A1 (de) * 2002-09-17 2004-03-25 Henkel Kgaa Haarbehandlungsmittel mit konditionierenden Eigenschaften
BR0303890A (pt) 2002-09-26 2004-09-08 Oreal Composição de esmalte de unhas, proceso cosmético de maquilagem ou de cuidado não-teraupêutico das unhas, uso de uma composição de esmalte de unhas e produto cosmético
MXPA03008714A (es) 2002-09-26 2004-09-10 Oreal Polimeros secuenciados y composiciones cosmeticas que comprenden tales polimeros.
DE10302190A1 (de) * 2003-01-20 2004-07-29 Hans Schwarzkopf & Henkel Gmbh & Co. Kg 3-Phasen-Stylingmittel
FR2860143B1 (fr) 2003-09-26 2008-06-2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polymere sequence et une huile siliconee non volatile
US8728451B2 (en) 2004-03-25 2014-05-20 L'oreal Styling composition comprising, in a predominantly aqueous medium, a pseudo-block polymer, processes employing same and uses thereof
US9308397B2 (en) * 2004-04-30 2016-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US8318187B2 (en) * 2004-04-30 2012-1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shine
FR2870454B1 (fr) * 2004-05-19 2006-08-25 Oreal Film de vernis a ongles aqueux
US8211415B2 (en) * 2004-10-13 2012-07-03 L'oreal Easily removable waterproof cosmetic care and/or makeup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latex or pseudolatex
FR2879441B1 (fr) * 2004-12-21 2010-10-08 Oreal Composition de reve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notamment des cils
FR2891734A1 (fr) * 2005-10-06 2007-04-13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au moins un tensioactif et au moins une dispersion non aqueuse de polymere
FR2891735A1 (fr) * 2005-10-06 2007-04-13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au moins un agent conditionneur cationique et au moins une dispersion non aqueuse de polymere
FR2904320B1 (fr) 2006-07-27 2008-09-05 Oreal Polymeres sequences,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JP4968889B2 (ja) * 2006-08-22 2012-07-04 株式会社 資生堂 皮膚外用組成物
US8562960B2 (en) 2007-07-30 2013-10-22 Elc Management, Llc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lend
US20090035335A1 (en) * 2007-07-30 2009-02-05 Marotta Paul H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lend
US20090036548A1 (en) * 2007-07-30 2009-02-05 Julie Wardleigh Mascara and liquid eyeliner enhancer
EP2033618A1 (en) * 2007-08-30 2009-03-11 Wella Aktiengesellschaft Leave-in hair styling product with particles for improving hair volume
US9278060B2 (en) * 2007-12-28 2016-03-08 L'oreal Composition containing a polar modified polymer
US20100028284A1 (en) 2008-06-18 2010-02-04 L'oreal Mascara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two acrylate film formers
EP2355785A4 (en) 2008-12-09 2014-08-13 Oréal Sa L TRANSFER SOLID EMULSION WITH A TENSID
WO2010077940A2 (en) 2008-12-16 2010-07-08 Hy Si Bui Water-insoluble reaction product of a polyamine and an oil-soluble high carbon polar modified polymer
WO2010077887A2 (en) 2008-12-16 2010-07-08 L'oreal S.A Transfer-resistant and long wear foundation in emulsion form containing oil absorbing powders
EP2269571A3 (en) * 2009-06-29 2014-05-07 L'oreal S.A. Long wear, waterproof mascara composition with water washability
EP2322247A2 (en) * 2009-06-29 2011-05-18 L'oreal S.A.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ol, a sugar silicone surfactant and an oil-soluble polar modified polymer
US8551465B2 (en) 2009-06-29 2013-10-08 L' Oréal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ol and a oil-soluble polar modified polymer
US8652451B2 (en) * 2009-06-29 2014-02-18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a sugar silicone surfactant and a oil-soluble polar modified polymer
BRPI1002588A2 (pt) * 2009-06-29 2012-03-13 L'oreal S.A. Composição e método de maquilagem de um substrato queratínico
WO2011008540A2 (en) 2009-06-29 2011-01-20 L'oreal S.A Refreshing cream foundation in gel form
US8647611B2 (en) 2009-06-29 2014-02-11 L'oréal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ol and a reaction product
US8747868B2 (en) 2010-12-30 2014-06-10 L'oreal Reaction product of a polar modified polymer and an alkoxysilane and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reaction product
US9144671B2 (en) 2011-12-21 2015-09-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ansdermal adhesive patch assembly with removable microneedle array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626294B2 (en) 2012-10-15 2020-04-21 L'oreal Aqueous wax dispersions containing volatile solvents
US10413496B2 (en) 2012-10-15 2019-09-17 L'oreal Aqueous wax dispersions
US9408785B2 (en) 2012-10-15 2016-08-09 L'oreal Hair sty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queous wax dispersions
US9839600B2 (en) 2013-06-28 2017-12-12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ES2675926T3 (es) * 2013-06-28 2018-07-13 L'oreal Composiciones y procedimientos para tratar el cabello
WO2014210449A1 (en) * 2013-06-28 2014-12-31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884003B2 (en) 2013-06-28 2018-02-06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795555B2 (en) 2013-06-28 2017-10-24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20150004120A1 (en) * 2013-06-28 2015-01-01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884004B2 (en) 2013-06-28 2018-02-06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789051B2 (en) 2013-06-28 2017-10-17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789050B2 (en) 2013-06-28 2017-10-17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801804B2 (en) 2013-06-28 2017-10-31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884002B2 (en) 2013-06-28 2018-02-06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795556B2 (en) 2013-06-28 2017-10-24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9788627B2 (en) 2013-06-28 2017-10-17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10561596B2 (en) 2014-04-11 2020-02-18 L'oreal Compositions and dispersions containing particles comprising a polymer
US9295632B1 (en) 2014-12-17 2016-03-29 L'oreal Compositions comprising latex polymers and methods for altering the color of hair
US9814668B2 (en) 2014-12-19 2017-11-14 L'oreal Hair styling compositions comprising latex polymers
US9750678B2 (en) 2014-12-19 2017-09-05 L'oreal Hair coloring compositions comprising latex polymers
US10195122B2 (en) 2014-12-19 2019-02-05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air
US9801808B2 (en) 2014-12-19 2017-10-31 Loreal Hair styling compositions comprising latex polymers and wax dispersions
US9814669B2 (en) 2014-12-19 2017-11-14 L'oreal Hai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latex polymers and a silicone-organic polymer compound
US10813853B2 (en) 2014-12-30 2020-10-27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ai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84210A1 (fr) * 1982-06-17 1984-03-07 Oreal Composition a base de polymeres cationiques,de polymeres anioniques et de cires destinee a etre utilisee en cosmetique
JPS6112606A (ja) * 1984-06-27 1986-01-21 Kobayashi Kooc:Kk アイメ−クアツプ化粧料
US4957992A (en) * 1987-04-21 1990-09-18 Kao Corporation Hair cosmetic composition
US5053221A (en) * 1989-11-20 1991-10-01 Maybe Holding Co. Novel mascara composition having very small particles
FR2659011B1 (fr) * 1990-03-01 1994-09-30 Oreal Composition resistante a l'eau pour le revetement des cils,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US5925337A (en) * 1990-03-01 1999-07-20 L'oreal Waterproof composition for covering the eyelash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FR2676923B1 (fr) * 1991-06-03 1995-04-21 Oreal Composition d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a base de silicone et de latex.
FR2739024B1 (fr) * 1995-09-21 1997-11-1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aqueuse comprenant un oligomere filmogene et des particules nanometriques rigides et non-filmifiables ; utilisations
JPH09253618A (ja) * 1996-03-19 1997-09-30 Kankyo Project Kk 動植物性有機固形物の処理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472B1 (ko) * 2009-03-20 2011-08-08 한국콜마 주식회사 무알콜 미스트타입 헤어스타일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4014822A1 (ko) * 2022-07-11 2024-01-18 한국과학기술원 퍼콜레이션 가능한 자극 감응성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섬유형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근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31329A1 (fr) 1998-07-23
US6126929A (en) 2000-10-03
CA2249478A1 (fr) 1998-07-23
JP2002501481A (ja) 2002-01-15
CN1224343A (zh) 1999-07-28
EP0909157A1 (fr) 1999-04-21
KR100296167B1 (ko) 200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167B1 (ko) 막형성가능고분자입자및막형성불가능입자로이루어진막형성혼합물을케라틴섬유코팅제로서함유하는화장용조성물
JP3004209B2 (ja) 膜形成オリゴマーおよび堅い非膜形成ナノメトリック粒子を含む水性の化粧用もしくは皮膚科学用組成物並びにその使用
US5534247A (en) Mascara composition
DE60105246T2 (de) Filmbilden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JP3040176B2 (ja) 皮膜形成ポリマー分散体と非メラニン顔料をベースとする組成物のヘアもしくは動物の体毛の一時的染色への使用
US6001338A (en) Cosmetic use of natural microfibrils and a film-forming polymer as a composite coating agent for hair, eyelashes, eyebrows and nails
DE69825333T2 (de) Verwendung von Polymeren, die eine kritische Temperatur vom Typ LCST oder vom Typ UCST aufweisen,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Formulierungen und zu deren Herstellung sowie Zusammensetzungen, die sie enthalten
JP2993934B2 (ja) フィルム形成ポリマーを含む新規な化粧品組成物
JPH0748231A (ja) 残留性を有する擬ラテックスを含有する化粧用組成物
CS97291A3 (en) Hair fixing preparation
JP2000355532A (ja) 皮膜形成ポリマー及び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の水性分散物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2001163722A (ja) 特徴的性質を有するポリマー及び増粘ポリマーを含む化粧品組成物
EP1878423A2 (de) Haarstylingzubereitungen mit besonderen Proteinhydrolysaten
JP2018506556A (ja) イタコン酸のポリマーおよび化粧料またはパーソナルケア製品における皮膜形成剤としてのその使用
JP2003508472A (ja) 特定のポリサッカライド樹脂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3669888B2 (ja) 皮膜形成ポリマーを含む化粧品又は皮膚科学的組成物
JPS609692B2 (ja) メイクアツプ化粧料
DE19939326A1 (de) Wässrig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US20050008666A1 (en) Extracts of nonfruiting nonphotosynthetic filamentous bacteria for strengthening keratin materials
US20040156814A1 (en) Cosmetic eye-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low molecular weight cationic copolymer
JPH10273431A (ja) カラー毛髪化粧料
DE602004008393T2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auf der Basis einer kosmetisch wirksamen Verbindung und eines Gels, das mindestens ein vernetztes Netzwerk von Partikeln eines vernetzten Polymers enthält.
JP2003502355A (ja) 親水性ゲル化剤と特定のフィラーとを含む固形水性ゲル、それを含む組成物及び使用
JP2001342117A (ja) 整髪用化粧料及びそれを用いた整髪方法
JP2003137732A (ja) フィルム形成性化粧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