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407A - 감압성 라벨을 디스크형 물체에 부착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감압성 라벨을 디스크형 물체에 부착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407A
KR20000062407A KR1019997006008A KR19997006008A KR20000062407A KR 20000062407 A KR20000062407 A KR 20000062407A KR 1019997006008 A KR1019997006008 A KR 1019997006008A KR 19997006008 A KR19997006008 A KR 19997006008A KR 20000062407 A KR20000062407 A KR 20000062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compact disc
adhesive
composit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발러에드윈
쉬발러엔드루
Original Assignee
다이노시스 에이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노시스 에이지이 filed Critical 다이노시스 에이지이
Publication of KR20000062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4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B65C9/262Devices for applying labels manually operable
    • B65C9/265Devices for applying labels manually operable specially adapted for compact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38Visual features other than those contained in record tracks or represented by sprocket holes the visual signals being auxiliary signals
    • G11B23/40Identifying or analogous means applied to or incorporated in the record carrier and not intended for visual display simultaneously with the playing-back of the record carrier, e.g. label, leader, photograp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44Means bringing discrete articles into assembled relationship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자가점착성 라벨(12e)을 디스크형 물체(11), 특히 콤팩트디스크(11a)에 정확하게 중심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라벨(12e)용 위치결정장치(4)가 구비된 제1하우징부(2)뿐만 아니라 디스크형 물체(11)용 위치결정장치(3b)가 구비된 제2하우징부(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2, 3)는 공동 회전축(C)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형 물체(11)를 라벨(12e)과 첩촉되게 하기 위하여 폐쇄위치에서는 위치결정장치(3b, 4)가 서로 면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폐쇄위치에서는 두개의 위치결정장치(3b, 4)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의 하우징부에 이동자재하게 배열되어 있어 반대쪽 위치결정장치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라벨(12e)은 장치(1)에 따라 적절히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감압성 라벨을 디스크형 물체에 부착시키는 장치{Device for Applying a Pressure-Sensitive Label on a Disk-shaped Article}
국제특허출원 공보 WO96/05057호에 콤팩트디스크에 자가점착성 라벨을 가능한 한 가운데에 배치할 수 있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CD로 알려진 콤팩트디스크의 중앙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것은 여러 기술적인 이유에 의해 매우 중요하다. CD는 리드과정시 매우 빠른 리드속도로 회전한다. 만약 CD가 균형이 잡혀있지 않으면 작용력이 편심되어 리드장치, 특히 기계부품 및 리딩헤드에 전해지게 되기 때문에 판독기가 조기에 마모되거나 심하면 손상 또는 파괴된다. 따라서 점착성 라벨은 가능한 한 콤팩트디스크의 중심부에 정확히 부착 또는 점착되어야 한다. 상기한 종래의 장치는 몇개의 단일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이들을 순서대로 손으로 조립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로 인해 라벨을 콤팩트디스크의 정확한 중심에 위치시키기(센터링) 어려우며, 단일의 구성요소들을 파지하는 경우에 점착성 라벨의 표면이 끈적끈적하여 라벨이 편심이동됨이 없이 손가락을 떼기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반송호일을 분리하여 장치에 배치하는 경우에 라벨이 구부러지고 사점(dead center)에서 말려 올라가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배치할 수 없다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손으로 인도한 CD가 점착성 라벨에 대해 약간 경사지거나 기울어져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CD와 라벨 사이의 갇힌 공기방울이 부풀어지거나, 또는 라벨이 CD에 대해 편심되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 디스크형 물체, 특히 콤팩트디스크에 자가점착성 라벨을 부착 또는 배치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제10항의 전제부에 따라 상기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된 라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자가점착성라벨을 CD에 배치시키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장치를 나타낸 반평면 하부사시도
도 2b는 도 1의 장치를 나타낸 반평면 상부사시도
도 3은 폐쇄위치, 보다 정확히 말하면 잠김위치에 있는 장치의 수직단면도
도 4a는 폐쇄위치에 있는 장치의 사시도
도 4b는 반개방위치에 있는 장치의 사시도
도 4c는 개방위치에 있는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반개방위치에 있는 장치의 측면 분해사시도
도 6a, 6b는 삽입구로 구성된 위치결정장치의 사시도
도 7a, 7b는 작동장치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a는 제2하우징부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제2하우징부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수직단면도
도 9a, 9b, 9c는 기재가능한 시이트로 구성된 복합라벨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9d, 9e는 떼어낸 점착성라벨의 평면도
도 10a, 10b, 10c는 기재가능한 시이트로 구성된 복합라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1a, 11b는 복합라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자가점착성라벨(12e)을 콤팩트디스크(11a)로 구성된 디스크형 물체(11)의 정 중앙에 배치 또는 부착시키기 위한 장치(1)의 각 구성요소들의 분해조립도이다. 제1하우징부(2)는 하우징 저면으로 구성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점착성라벨(12e)용 평평한 원형지지면(2b)을 포함한다. 이 지지면(2b) 중앙에 위치결정장치(4)를 수용하는 리세스(2d)가 구비되어 있다. 제1하우징부(2)에 마주보고 배열된 두개의 리세스(2c)가 있는데, 한편으로는 작업자가 장치(1)를 편리하게 다루기 위해 손가락으로 잡을 수있는 홀더로서의 역활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점착성라벨(12e)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역활을 한다. 라벨(12e)용 위치결정장치(4)는 삽입구(4f)로서 구성되어 있는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주위에 적어도 두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세개 이상의 스프링요소(4a)가 있다. 스프링요소(4a)는 자가점착성라베(12e), 보다 정확히 말하면 복합라벨(12)의 내부 원형부와 상호 작용을 한다.
삽입구(4f)는 디텐트노즈(4c; detent nose)에 의해 제1하우징부(2)의 안내개구(4e)에 수직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보류되고, 이에 따라 삽입구(4f)는 나선형스프링(4b)에 의해 위쪽으로 원응력을 가하면서 보류된다. 나선형스프링은 노즈(2a, 도 3)에 의해 리세스(2d)에 상응하여 중심에 보유되어 있다. 리세스(2d)의 직경은 삽입구(4f)의 외경보다 약간 큰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구는 제1하우징부(2)의 리세스(2d)에 유동적으로 위치된다. 이렇게 유동적으로 장착되는 것은 삽입구(4f)에 대해 축방향으로 연장될 뿐만 아니라 삽입구(4f)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스프링요소(4a)는 리세스(2d)의 벽에 가까이 있다. 라벨(12e)이 놓이고 스프링요소(4e) 위를 미끄러져 움직이면 스프링요소는 라벨(12e)의 내부원형부(12k)에 의해 안쪽으로 약간 압박된다.
제2하우징부(3)는 공동 회전축 C를 이루는 힌지(10)에 의해 제1하우징부(2)에 견착되어 있다. 이 제2하우징부(3)는 위치결정장치(3b)를 포함하는데, 이 위치결정장치는 콤팩트디스크(11a)를 제1하우징부(2)의 축인 제1축 A까지 동심적이고 수직하게 연장된 위치에 유지하게 한다. 위치결정장치(3b)는 스냅연결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스냅연결구는 콤팩트디스크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8개의 스프링레그 또는 지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위치결정장치(3b)는 탄성막배열(3a)에 의해 제2하우징부 또는 커버(3)의 다른 나머지 부분과 연결된다. 또한 작동장치(5)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작동장치는 스프링탄성 텅(tongue; 5a), 죔쇠노스(5b), 및 실린더형 센터링플러그(5c)가 포함되어 있다. 두 하우징부(2, 3)는 회전축 C 옆에 구비된 인터록킹부(7a, 7b)가 있다. 7b는 리세스(7a)가 장치의 잠금위치에 체결되는 록킹노즈(7a)이다. 이러한 잠김위치는 두 하우징부(2, 3)가 폐쇄위치에 겹쳐 배열하는 경우, 록킹요소(7d)를 제1하우징부(2)의 바닥쪽으로 손으로 가볍게 누름에 따라 상기 로킹노즈(7b)가 리세스(7a)에 체결되게 된다. 다른 리세스(7c)는 제1하우징부(2)에 구비되기 때문에 로킹요소(7d)를 손가락을 사용하여 바깥쪽으로 당김에 따라 체결부위가 해제된다.
도 2a에 반평면 하부사시도가 되시되어 있는데, 디텐트노즈(4c) 중 하나가 리세스(2d)의 안내개구(2e) 속으로 체결됨에 따라 안내개구(2e)는 로킹구(4)가 안내개구(2e)의 신축방향으로 한정적으로 이동하게 한다. 작동장치(5)는 제2하우징부(3)의 외형을 따라 형성되어 배열된 푸시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반평면 상부사시도이다. 라벨(12e)을 제1하우징부(2)의 지지면(2b) 위에 놓고 가장자리를 밀착시킨다. 삽입구(4f)로 구성된 위치결정장치(4)는 스프링요소(4a)에 의해 점착성라벨(12e)의 내부원형부를 텐터를 침으로써 내부 원형부의 치수오차를 찾아낸다. 라벨(12e)은 삽입구(4f)에 의해 지지되어 제1하우징부(2)의 축 A에 대해 동심적이고 수직하게 연장된다. 삽입구(4f)는 축 A에 대해 방사상으로 약간 움직일 수 있도록 위치된다. 제2하우징부(3)에서 콤팩트디스크(11a)는 위치결정장치(3b)에 의해 제2하우징부(3)의 축인 제2축 B에 대해 동심적이고 수직하게 연장되는 위치에 지지된다. 제2하우징부(3), 실제 하우징커버가 회전축 C에 대해 서서히 움직이는 동안, 두 위치결정장치(3b, 4)는 서로 보다 가까이 다가서기 때문에 이 위치결정장치(3b, 4)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위치에서 폐쇄된 상기 하우징커버와 정렬된다. 이 위치를 폐쇄위치라고 할 수도 있다. 제2하우징부(3)가 거의 폐쇄될 때 실린더형 센터링플러그(5c)는 삽입구(4f; 도 6b)의 센터링리세스(4g)와 체결되도록 움직이며, 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 센터링리세스가 제1축 A에 대해 약간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축 A와 제2축 B가 적절히 연장되기 때문에 콤팩트디스크(11a)와 점착성라벨(12e)은 정확히 동심적이고 수직하게 연장된다.
도 3은 체결된 위치에 있는 장치(1)의 축단면도이다. 로킹수단(7)은 이 위치에서 폐쇄된다. 그러나 장치(1)의 폐쇄위치는 도 3과 관련해서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폐쇄 위치는 로킹수단(7)이 개방되는 폐쇄위치와 다르다. 통상의 폐쇄위치의 경우에, 이들 로킹수단(7)은 로킹수단이 자동적으로 체결되지 않는다. 이와는 반대로 이들이 개방상태로 있는 경우- 이어서 로킹수단이 작동하지 않고 폐쇄위치에 다다른다- 장치(1)를 개방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그러나 폐쇄위치로 이송된 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수단이 장치(1)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로킹수단(7)을 손으로 작동시킴으로써 폐쇄위치로 가져갈 수 있다. 로킹수단을 단순하게 나타내기 위해 콤팩트디스크(11a) 및 라벨(12e)을 도 3에 도시된 장치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삽입구(4f)로 구성된 위치결정장치(4)는 안내개구(2e)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최대 스트로크 s를 갖는다. 제2하우징부 또는 커버(3)의 중간부에 있는 탄성막배열(3a)은 내부에서 위치결정장치(3b)에 연결되며, 외부에서는 구부러진 제2하우징부(3)의 커버에 연결된다. 프레스버튼으로 구성된 작동구(5)는 제2축 B 방향으로 제2하우징부(3)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제2하우징부(3)가 완전히 폐쇄되기 바로 전에, 보다 정확히 말하면 폐쇄위치에서 실린더형 센터링플러그(5c)는 삽입구(4f)의 센터링리세스(4g)에 체결되어 움직이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센터링리세스의 방사상위치를 보정해서 제1축 A와 제2축 B가 적당한 코오스를 나타내게 한다. 라벨(12e)의 방사상위치는 위치결정장치(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삽입구(4f)를 관통하는 실린더형 센터링플러그(5c)는 부분적으로 원뿔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부(3)가 페쇄위치로 오면 콤팩트디스크(11a)와 점착성라벨(12e)은 축A와 B 방향으로 간격을 두게된다. 제2하우징부(3)를 상기 방향으로 가볍게 누르면 점착성라벨이 상기 방향에서 제1하우징부(2)로 미끄러짐에 따라 스프링장력이 증가한다. 프레스버튼(5)을 누르지 않으면 스프링장력은 점착성라벨이 초기의 위치로 되미끄러지게 된다. 작동장치(5)가 제1하우징부(2)쪽으로 퇴거됨에 따라 실린더형 센터링플러그(5c) 또한 삽입구(4f) 내로 관통됨으로써 콤팩트디스크(11a)의 내부모서리는 삽입구(4f)에 놓이게 되고, 프레스버튼(5)이 더 낮아지는 동안에 CD가 지지면(2b) 위에 놓여 있는 점착성라벨(12a) 위에 평평하게 놓일 때까지 삽입구(4f)를 내려 누른다. 따라서 점착성라벨(12e)은 CD의 중앙부에 부착된다. 이 과정에서, 두개의 스프링요소(4a)는 점착성라벨(12e)의 내부원형부에 가까이 놓이고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점착성라벨(12e)은 내부원형부에서 지지면(2b) 상에 평평하게 놓이게 되고, 이에 따라 접촉단계시 라벨(12e)은 CD에 대해 완전히 평평하게 놓이게 된다. 점착성라벨(12e)에 대해 동심적으로 연장되고 점착성라벨(12e)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콤팩트디스크(11a)는 점착성라벨에 놓이게 되기 때문에 점착성라벨(12e)은 바람직하고 명확히 한정되며 반복적으로 재부착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된다. 이어서 밀착단계에 있어서, 프레스버튼(5)을 누르지 않으면 점착성라벨은 상기의 스프링장력에 의해 처음 위치로 되돌아 간다. 이후 제2하우징부(3)는 개방위치로 백회전되기 때문에 위치결정장치(3b)에 보류된 콤팩트디스크(11a)를 꺼낼 수 있다.
도 4a, 4b 및 4c에 다른 위치의 두개의 하우징부(2, 3)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폐쇄된 위치에 있는 장치(1)를 나타내며, 도 4b는 반개방된 장치(1)를 나태내고, 도 4c는 완전 개방된 위치에 있는 장치(1)를 나타낸 것이다. 이 위치에서 콤팩트디스크(11a)는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고, 새로운 콤팩트디스크(11a)를 제2하우징부(3)에 삽입하고 새로운 라벨(12e)을 제1하우징부(2)에 놓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폐쇄위치를 잠김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는데, 여기에서 로킹수단(7)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시켜 로킹요소(7d)를 로킹노즈(7b)와 체결되게 이동시킨다. 이어서 라벨링 작업이 종료된 후, 장치(1)가 체결되는데, 이는 장치가 콤팩트하게 보관되고 내부공간이 먼지가 없는 상태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장치를 보관 또는 스택시키기 위하여, 제1하우징부(2)는 제2하우징부(3)와 완전히 체결되야 한다. 인터로킹없이 실린더형 센터링플러그(5c)는 나선형 스프링(4b)의 장력때문에 제2하우징부(3)를 위쪽으로 영속적으로 누르게 됨으로써 제2하우징부(3)를 약간 개방된 위치로 유지하게 하여 장치(1)를 콤팩트하게 보관할 수 없게 되고 그 내부공간을 먼지가 없는 상태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장치를 풀기 위해서는 로킹수단(7)을 다시 해방시켜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손가락이나 손톱으로 로킹요소(7d)를 당김으로써, 즉 로킹노즈(7b)에의 연결을 해방함으로써 분리가 된다.
도 5에 장치(1)의 측면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위치결정장치(4)와 나선형 스프링(4b)은 제1축 A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하우징부(2)와 제2하우징부(3)는 공동 회전축 C에 대해 회전하며, 이 경우의 회전각α은 90。이다.
도 6a 및 6b는 삽입구(4f)로 구성된 위치결정장치(4)의 사시도이다. 도 6a에 따른 위치결정장치(4)의 바닥쪽에 4개의 스프링인장립(4h)을 포함하는 센터링요소(4d)가 구비되어 있는데, 스프링인장립은 제1축 A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각각의 립(4h)은 나선형 스프링(4b)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삽입구(4f)의 중앙에 제1축 A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안내요소(4e)를 포함하는 센터링리세스(4g)구비되어 있고 리세스 주위를 따라 일률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안내요소(4e)는 실린더형 센터링플러그(5c)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도 8a는 힌지(10)와 로킹수단(7)을 포함하는 제2하우징부(3)의 또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제2하우징부(3)는 견고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 4개의 플랜지를 갖는 원형 리세스(3c)가 있다. 플랜지는 주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각각의 자유단쪽으로 테이퍼져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부(3)에는 적절하게 구성된 작동 프레스버튼(5)이 있는데, 도 7a 및 7b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 프레스버튼(5)은 다수의 스프링레그 또는 지주(5d)가 일정하고 균일하게 주변방향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스프링레그 또는 지주(5d)는 프레스버튼(5)이 제2하우징부 또는 커버(3)에 삽입되는 경우 플래그(3d)에 가까이 놓이게 된다. 프레스버튼(5)이 제2축 B방향으로 눌려지면 탄성 스프링레그 또는 지주(5d)는 견고하게 구성된 플래그(3d)를 따라 당겨져 변형되는데, 이것은 작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푸시버튼(5)을 풀면 스프링레그 또는 지주(5d)는 해방되고 푸시버튼은 처음 위치로 되돌아 간다. 푸시버튼(5)은 4개의 홀더요소(5e)에 의해 제2하우징부(3)와 연결되는데, 이 홀더는 주변에 일정하게 분포된 리테이너노즈(5h)를 포함함에 따라 이들 홀더(5e)는 플랜지(3d)에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푸시버튼(5)은 콤팩트디스크(11a)용 위치결정장치를 포함하는데, 여기에 각각 리테이너노즈(5h)을 포함하는 6개의 유연성 스프링텅(5g)이 구비되고, 이에 따라 푸시버튼(5)은 별도의 지지요소(5f)를 포함하며 한편으로는 푸시버튼(5)을 고정시키는 역활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콤팩트디스크(11a)용 지지면을 형성함에 따라 리테이너노즈(5h)에 연결된 CD는 확실히 착탈자재하게 보류된다. 또한 푸시버튼(5)은 실린더형 센터링플러그(5c)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성라벨(12e)과 콤팩트디스크(11a)를 상호 중심에 두는 역활을 한다. 스프링 레그 또는 지주(5d)를 택일함에 따라 푸시버튼(5)에 위치한 나선형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2하우징부(3)와 협력하여 복구력을 얻는다. 하우징부(2, 3)와 푸시버튼(5)은 플라스틱재, 예를 들어 열가소성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b는 제2하우징부(3)를 통과하는 수직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로킹수단(7) 이외에 도 8a에 도시된 제2하우징부(3)와 동일하다. 도 8b에 도시된 로킹수단(7)은 로킹노즈(7b)를 포함하는데, 이 로킹노즈는 하우징부(3)가 하우징부(2)와 체결되는 경우에 제1하우징부(2)에 있는 개구에 체결될 수 있다.
로킹수단(7)은 조작레버(7c)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로킹노즈(7b)와 특별히 도시하지 않은 리세스와를 체결하고 이로 인해 제2하우징부(3)와 제1하우징(2)를 체결하거나 또는 제1하우징부(2)로부터 제2하우징부(3)를 풀기위한 것이다.
제1하우징부(2) 또는 제2하우징부(3)에는 카운터장치를 배치할 수 있는데, 배터리없이 솔라셀이나 압전기수단(piezoelectronic means)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카운터장치는 하우징부(2, 3)를 가까이 하면 펄스가 발생하고 이러한 펄스를 증가시켜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펄스, 특히 숫자표시를 하기 때문에 언제라도 리딩하여 라벨이 구비된 상당히 많은 콤팩트디스크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기장치는 온-오프 스위치뿐만 아니라 레세트키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시그널송신기는 한계 허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 한계에 다다르면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라벨이 구비되어 있는 한정된 수량의 콤팩트디스크를 지시하게 된다.
자가점착성 라벨(12e)을 배치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적절히 구성된 복합라벨(12)이 필요하며, 한편으로 손이나 레이저프린터 또는 잉크젯프린터 등의 상용 프린터수단으로 손쉽게 기재가능하고,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인쇄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에 용이하게 배치 또는 삽입할 수 있으며, 특히 점착성라벨의 끈전끈적한 면과 조작자의 손가락이 어떤 경우에도 접촉되지 않는다.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에 적합하며 기재가능한 시이트(12n)로 구성된 복합라벨(12)의 평면도이다. 콤팩트디스크용 라벨(12e)은 복합라벨(12)에 펀칭한 것이다. 이러한 복합라벨(12)은 반송호일로 구성된 반송재(12a; 도 9a), 도 9b에 도시된 기재가능한 라벨재(12i) 및 특별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반송호일(12a)과 라벨재(12i) 사이에 균일하게 이차원적으로 분포된 접착재를 포함한다. 이 라벨재(12i)는 펀칭되지 않은 라벨(12e), 내부원형부(12k)가 있는 펀칭되지 않은 내면(12g)뿐만 아니라 대향하고 있는 두개의 펀칭되지 않은 그립탭(12h)을 포함하는데, 그립탭은 라벨(12e)에 인접하고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적어도 라벨(12e)의 표면(12f)은 프린팅수단으로 기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벨재(12i)뿐만 아니라 반송재(12a)는 평평하고 유연성이 있기때문에 라벨(12e)의 전체 표면(12f)을 기재하고 또 기재할 수없는 부분이 전혀 없게 하기 위해 라벨(12e)의 외측 원형부(120)를 넘는 면에도 기재할 수 있다. 유연성있는 구조는 복합라벨(12)을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레이저프린터에서 휘어지게 할 수 있다. 반송호일(12e)은 라벨재(12i)와 같은 구조이고, 두개의 펀칭된 반송호일부(12b)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경우 두개의 홀딩브릿지를 제외하고는 펀칭되어 있지 않다. 완전히 펀칭되지 않은 커트(12m)는 소정의 또는 정격 파단선(12m)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파단선에는 절취선이 포함된다. 커트(12m), 보다 명확히 말하면 정격 파단선(12m)이 라벨(12e)의 외주쪽에서 단면쪽을 연장함에 따라 주변모서리(120)를 넘어 돌출된다. 도 9C에 복합라벨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반송호일(12a)에 대응하는 라벨재(12i)가 상호배열되어 있다.
파단선 또는 도트선으로 그려진 커트, 보다 명확히 말하면 정격 파단선(12m)은 반송탭(12b)의 한계를 이룸에 따라 라벨재(12i)와 반송탭(12b)으로 구성된 그립탭(12h)이 상호 배열되기 때문에 반송탭(12b)은 그립탭(12h)과 라벨(12e) 위에 부분적으로 놓이게 된다. 파단선으로 보이는 반송호일부(12b)는 라벨(12e)과 그립탭(12h)을 연결함으로써 그립탭(12h) 아래에 있는 반송호일부(12b)의 외곽부는 그립탭의 외곽부보다 약간 작기 때문에 그립탭(12h)의 바깥모서리 또는 가장자리는 주위의 반송호일(12a)을 고착시킨다. 이러한 구조때문에 라벨(12e)을 프린트하는 경우, 특히 시이트(12n)를 프린터에서 편향풀리에 대해 안내하는 경우 그립탭(12h)은 헐거워지지 않고 선채로 있게 된다. 기재 또는 인쇄가능한 라벨(12e)은 시이트(12n)로부터 쉽게 떼어지고, 그립탭(12h)은 도 9C에 도시되어 있는 것에 비해 아래에서 위쪽으로 눌려져 그위에 홀딩브릿지(12c)가 차단되고 라벨(12e)을 시이트(12n)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반송호일부(12b)를 제외하고는 라벨(12e)의 자가점착성면은 반송호일(12a)로부터 떨어져 분리된다. 두개의 그립탭에 표면과 이면이 있고 위에 끈적끈적한 면을 갖는 점착성라벨(12e)은 장치(1)의 제1하우징부(2)의 삽입구(4f) 위를 지나 지지면(2b) 상에 평평하게 놓인다. 라벨(12e)이 위치됨에 따라 그립탭(12h)은 각 리세스(2c) 지역에 돌출되어 쉽게 어세스할 수 있게 된다. 그립탭(12h)은 잔여 반송호일부(12b)와 함께 사선으로 움직여 라벨(12e)로부터 떨어져 쉽게 벗겨지기 때문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12e)은 하부에 기재가능한 면과 상부에 끈적끈적한 면을 갖는 장치(1)에 놓인다. 따라서 조작자의 손가락은 라벨(12e)의 근적끈적한 면 또는 점착면과 전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라벨(12e)은 깨끗하고 지문자국없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콤팩트디스크를 꺼집어 낼때 기재가능한 콤팩트디스크를 더럽힐 수 있는 다소 끈적끈적한 손가락이 없기 때문에 특히 레이저가 판독하는 CD면은 이러한 오염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복합라벨(12)을 갖는 적절히 구성된 시이트(12h)와 함께 정확하게 중심잡힌 다수의 콤팩트디스크 및 깨끗한 라벨(12e)에 기재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9a, 9b, 9c에 도시된 복합라벨(12)은 홀딩브릿지(12c)가 없고 반송호일(12a)에 관계되는 완전히 펀칭되지 않은 반송호일부(12b)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반송호일부는 연속 또는 이송커트(12m)를 포함한다. 라벨(12e)은 반송재(12a)로부터 쉽게 떼어질 수 있으며, 두개의 그립탭(12h) 중 하나를 집어 위로 당긴다. 반송호일부(12b)를 그립탭(12h)에 부착하고 나서 끌어올리는 동작이 이어지며 후속 동작으로 라벨(12e)을 확 잡아 당김으로써 필오프과정이 끝날 무렵에 반대쪽 반송호일부(12b)가 떼어지고, 그위의 끈적끈적한 그립탭(12h)이 벗겨지기 때문에 반송호일(12a)로부터 떨어진 라벨(12e)은- 도 9d 및 9e에 도시된 것과 유사-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에 놓일 수 있게 된다.
도 9e에 시이트(12n), 보다 명확히 말하면 복합라벨(12)로부터 분리된 라벨(12e)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점착측(12ℓ)과 두개의 반송호일부(12b)의 평면도로 그립탭(12h)이 포함되어 있다. 도 9d는 도 9e에 도시된 복합라벨(12)의 라벨(12e)의 평면도로 기재가능한 면(12f)과 그립탭(12h)을 가지고 있다. 점착성 라벨(12e)은 다수의 기재가능한 재질, 특히 종이나 호일과 같은 플라스틱, 예를 들어 투명호일이나 적층된 금속호일로 만들 수 있다. 라벨(12e) 위에는 예를 들어 적외선 만으로 볼여질 수 있는 기재수단으로 안전코드나 여분코드를 적용할 수 있다. 이것은 제작자의 등급이나 품질표시로 라벨(12e)을 확인할 수 있게 하며, 특정 수요자를 위해 원본임을 증명할 수 있게 한다. 안전코드는 공지의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라벨(12e)은 시그널로 기재할 수 있으나, 삽화나 그래픽으로도 인쇄할 수 있으며, 또 예를 들어 바코드와 같은 기계판독 식별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라벨(12e)과 디스크형 물체(11), 특히 콤팩트디스크(11a) 사이에 다른 물체를 배열할 수 있다. 점착성 라벨(12e)을 지지면(2b) 위에 배치시킨 후, 또다른 물체, 예를 들어 마그네틱스트립을 점착면(12l)에 놓을 수 있으며, 그 후 콤팩트디스크(11a)를 라벨과 함께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마그네틱스트립은 라벨과 CD 사이에 견착시킨다. 이 마그네틱스트립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콤팩트디스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마그네틱스트립 상에 다른 악세사리나 추가 정보, 예를 들어 안전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0a, 10b 및 10c는 기재가능한 시이트(12n)로 구성된 복합라벨(12)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는 반송호일로 구성된 반송재(12a)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반송재는 커트(12m)나 정격 파단선(12m)으로 실현된 펀칭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된 그립탭(12b)을 각각 가지고 있는 두개의 반송호일부(12d)가 펀칭된다. 도 10b는 라벨재(12i)를 도시한 것으로, 그로부터 라벨(12e)가 펀칭된다. 도 10c는 시이트(12n)로 구성되고 인쇄용으로 제공되는 복합라벨(12)의 평면도이다. 커트(12m), 보다 명확히 말하면 반송호일(12d, 12a)의 정격 파단선(12m)은- 이러한 커트 또는 파단선은 숨어있으며 주로 원형 파단선으로 표시된다- 라벨(12e)의 주변모서리를 넘어 돌출된 약간 큰 반경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시이트(12n)는 라벨(12e), 반송호일(12a) 뿐만 아니라 반송호일부(12d)과 함께 지지된다. 라벨(12e)을 프린트한 후, 내면(12g)을 바깥쪽으로 누르게 되는데, 보다 쉽게 떼어지도록 반송호일부(12d)의 내부원형부 뿐만 아니라 라벨(12e)의 내부 원형부(12k)에 커트(12m), 보다 명확히 말하면 미세한 절취선으로 구성된 소정의 파단선(12m)이 포함된다. 반송호일부(12d)의 내부원형부 뿐만 아니라 라벨(12e)의 내부원형부(12k)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될 수 있으며 다른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라벨(12e)을 반송호일부(12d)와 함께 시이트(12n)로부터 떼어낼 수 있으며, 그후 장치(1)의 위치결정장치(4) 위로 당겨 지지면(2b) 위에 놓는다. 그후, 반송호일부(12d) 중 하나인 돌출 반송호일부(12b)를 잡아 빼낸 후, 다른 반송호일부(12d)의 돌출 반송호일부(12b)를 잡아 빼냄으로써 끈적끈적한 면이 드러나고 두개의 하우징부(2, 3)가 그 폐쇄위치 내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시이트(12n)는 표준사이즈, 예를 들어 A4 또는 A5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1a는 복합라벨(12)의 또다른 일예의 점착성 라벨(12e)의 평면도이다. 반송호일부(12d)로 구성된 반송재는 라벨(12e)보다 약간 큰 반경을 가지고 있으며 라벨(12e)에 대해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트 또는 트림라인(12m)은 라벨(12e)에 대해 동심적으로 연장된다. 반송호일(12d)은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커트(12m), 보다 명확히 말하면 정격 파단선(12m)을 포함한다. 도 11a에 커트 또는 파단선이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라벨 밑에 있으며 파단선으로 묘사되어 있다.
도 11b에 반송호일(12d)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도 11a에 도시된 점착성 라벨(12e)의 반송호일이다. 도 11b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복합라벨(12)을 장치(1)의 위치결정장치(4) 위로 당겨 지지면(2b) 위에 놓는다. 그 후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반송호일부(12d)를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커트 또는 파단선(12m) 지역으로 들어올린 후, 손을 둥글게 흔들어 라벨(12e)로부터 완전히 떼어내어 끈끈한 면 또는 점착성 면을 드러낸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복합라벨(12)은 내부면(12g)이 없기 때문에 그 중심부는 제조단계에서 이미 완전히 펀칭된다. 도 11a 및 11b에 따른 복합라벨(12)은 간단한 방식의 콤팩트디스크용 제명, 예를 들어 컴퓨터 디스켓용 라벨에 필적하는 제명을 제공하는데 특히 손으로 기재하기 적합하다.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복합라벨(12)도 내부면(12g)을 가질 수 있는데, 이 내부면은 절취선에 의해 반송호일(12d)과 연결되거나 라벨(12e)의 일부에 의해 반송호일부에 지지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복합라벨(12; 도 9a, 9b 및 9c)은 커트(12m) 또는 정격 파단선(12m)이 없는 반송재(12a)로 구성될 수 있다. 라벨재(12i)의 그립탭(12h)은 특별히 구멍뚫린 파단선에 의해 라벨(12e)에 연결된다. 라벨(12e)을 장치(1)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그립탭(12h)이 있는 라벨을 반송재(12a)로부터 떼어내어 장치(1)에 놓은 후 각각의 구멍뚫린 정격 파단선(12m)을 따라 그립탭(12h)을 분리하거나 떼어낸다.
도 9 및 10에 복합라벨(12)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복합라벨에는 두개의 그립탭(12b, 12h)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립탭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그립탭은 점착성 라벨(12e)에 대해 서로 반대 위치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11a 및 11b에 따른 실시예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립탭(12h)을 포함하는데, 이 그립탭은 반송재(12d)에 견착되어 있으며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형 물체, 특히 콤팩트디스크에 자가점착성 라벨을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점착성 라벨을 간단히 중앙에 정확하게 반복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신규의 개량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항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 장치에 의해 충족된다. 종속항 제2항 내지 제9항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콤팩트디스크에 사용되는 신규의 개량된 점착성 라벨을 제공하는 것으로, 라벨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사용되고 콤팩트디스크에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10항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 기재가능한 복합라벨 또는 인쇄가능한 복합라벨에 의해 실행된다. 종속항 제11항 내지 제17항은 기재가능한 복합라벨의 다른 바람직한 일예에 관한 것으로, 자가점착성 라벨을 포함하는 시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가점착성 라벨을 부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방법은 제18항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자가점착성 라벨을 디스크형 물체, 특히 콤팩트디스크의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점착성 라벨의 위치결정장치가 있는 제1하우징부와 디스크형 물체의 위치결정장치가 있는 제2하우징부와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부들은 서로 이동자재하게 연결되어 있고, 특히 회전 또는 병진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디스크형 물체를 점착성 라벨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위치결정장치들은 폐쇄위치에서 서로 면접해 있고, 위치결정장치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폐쇄위치에서 각 하우징부에 이동자재하게 배치되어 각 상대 위치결정장치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디스크형 물체가 점착성 라벨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개방부가 폐쇄부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콤팩트디스크가 개방부에서 제2하우징부에 의해 종지되는 위치에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끼워질 수 있으며, 자가점착성 라벨은 반송호일 및/또는 그 그립탭과 함께 제1하우징부에 의해 종지되는 위치에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끼워져 위치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1하우징부에 끼워진 후, 점착성 라벨의 반송호일을 떼어내거나 벗겨냄(필오프)으로써 라벨이 상기 제1하우징부에 고착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점착성 라벨의 벗겨진 끈적끈적한 면에 접촉하게 될 위험성이 거의 없어진다. 두개의 하우징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 공동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기 때문에 간단한 방식으로 하우징부는 폐쇄위치 속으로 접혀 들어갈 수 있게 되고, 그후 콤팩트디스크와 점착성 라벨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하우징부의 중앙부, 보다 정확히 말하면 거기에 배열되어 있는 중앙버튼 부위에, 가벼운 힘이 제1하우징부 쪽으로 향하여 가해지기 때문에 두 하우징부, 보다 정확히 말하면 두개의 위치결정장치는 서로 가까이 끌어 당기게 됨으로써 콤팩트디스크는 점착성라벨에 놓이게 되고 이어서 점착성 라벨이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다른 이점은 폐쇄위치에서 점착성라벨과 콤팩트디스크는 정확하게 서로 중심에 맞춰진다는 것이다. 폐쇄위치에로의 폐쇄이동시 자동적으로 상호간에 중심이 잡혀지기 때문에 폐쇄위치에서 점착성라벨과 콤팩트디스크는 서로 포개지고 살짝 눌러도 서로 접촉되기 위해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자가점착성라벨은 콤팩트디스크 또는 디스크형 물체의 정가운데에 부착할 수 있다.
두개의 하우징부, 보다 명확히 말하면 두개의 위치결정장치의 상호 또는 독자 센터링은 또다른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를 들어 공정 또는 작업오차에 기초한 구성요소들이 약간 다르게 형성된 경우라 하더라도 콤팩트디스크에 대해 점착성 라벨의 정확한 센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호 센터링은 오차보정 기능을 행한다. 오차가 작아야 되는 구성요소들을 효과적인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비교적 오차가 낮기 때문에 몇개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비교적 단순하며 조립하기가 간편하다.
두개의 하우징부를 이송작동 및/또는 회전작동에 의해 라벨 및 디스크형 물체의 상호 센터링 위치로 가져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두개의 하우징부는 공동의 회전축에 대해 작동을 시작할 수 있게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하우징부는 라벨, 보다 명확히 말하면 복합라벨용 평평한 지지면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1단계에서 라벨을 평평한 지지면에 놓은 후에 반송호일 및/또는 그립탭을 필오프함으로써 반송호일 및/또는 그립탭을 필오프하는 동안에 자가 점착면에 손가락 자국과 같은 것이 발생하지 않고 라벨의 자가 점착성 면을 상부에 올려 놓을 수 있게 된다. 조작자의 손가락이 끈적거리지 않기 때문에 제2하우징부로부터 CD를 확실히 제거할 수 있으며, 끈적거리는 지문이 레이저에 의해 읽혀지는 CD표면에 전사되지 않을 것이다. 지문위에 레이저가 조사되면 저장된 데이타나 정보가 손상되어 읽힐 것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일예에 있어서, 제1하우징부는 그 외주에 지정 배열된 스프링요소를 갖춘 삽입구(spigot)가 있으며, 이 요소는 내부원형부를 따라 라벨을 보류하기 때문에 라벨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더구나 라벨이나 삽입구의 내부 원형부의 치수오차를 정확히 보정할 수 있다. 본 장치의 또다른 바림직한 일예에 있어서, 삽입구는 제1하우징부에 유동적으로 보류 또는 장착되며 두 하우징부가 제2하우징부에 배열된 안내요소에 의해 접혀질 때 중심에 맞춰지기 때문에 라벨은 정확히 중심에 맞춰지고, 두개의 하우징 부 및 삽입구에 있을 수 있는 다른 치수오차에 무관하게 콤팩트디스크 반대쪽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콤팩트디스크를 증명하는 점착성라벨은 평평한 신축성 반송재와 거기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착자재의 CD라벨을 갖는 복합라벨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원형리세스를 포함함에 따라 반송재는 정격 커트(rated cuts)나 소정의 파단선을 가지게 되는데, 이것은 라벨의 주변방향에서 점착성라벨의 주위 가장자리나 모서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벗어나 연장되어 있다.
점착성라벨은 기재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종이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 라벨은 특히 잉크젯프린터나 레이저프린터에 의해 인쇄되거나 보다 정확히 말하면 기재될 수 있다. 콤팩트디스크의 표면에도 잉크젯프린터로 직접 인쇄할 수 있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칼라는 통상 수용성이다. 본 발명의 복합라벨에서의 "라벨"에 의해 콤팩트디스크 표면을 덮는 투명한 적층시이트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 투명한 적층은 콤팩트디스크 상에 놓인 수용성 칼라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투명한 적층라벨은 매우 얇게 또는 마무리나 광택이 우수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라벨에 있어서, 조작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지 않고 점착성라벨을 콤팩트디스크에 배치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복합라벨구조에 의해 조작자의 손가락은 거의 접촉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라벨의 이점은, 라벨의 주변모서리나 가장자리를 넘어 약간 돌출되어 있는 반송재가 복합라벨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내로 간단히 삽입시킬 수 있다는 점이며, 삽입후 반송재를 간단히 파지할 수 있어 라벨로부터 필오프할 수 있기 때문에 라벨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고 필오프시 라벨의 끈적끈적한 면과 조작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지 않게 된다는 점이다.

Claims (18)

  1. 자가점착성 라벨(12e)을 디스크형 물체(11), 특히 콤팩트디스크(11a)에 배치하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라벨(12e)용 위치결정장치(4)가 구비된 제1하우징부(2)뿐만 아니라 디스크형 물체(11)용 위치결정장치(3b)가 구비된 제2하우징부(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2, 3)는 특히 회전 또는 병진운동을 위해 서로 이동자재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형 물체(11)를 점착성 라벨(12e)과 첩촉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폐쇄위치에서는 위치결정장치(3b, 4)가 서로 면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폐쇄위치에서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위치결정장치(3b, 4)가 각각의 하우징부(2, 3)에 이동자재하게 배열되어 있어 반대쪽 위치결정장치(3b, 4)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점착성 라벨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하우징부(2, 3)는 공동 회전축(C)에 대해 회전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점착성 라벨 부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라벨(12e)용 위치결정장치(4)는 라벨(12e)을 제1축(A)에 대해 중심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실린더형 삽입구(4f)를 포함하며, 디스크형 물체(11)용 위치결정장치(3b)는 특히 콤팩트디스크(11a)를 제2축(B)에 대해 동심적이고 수직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스냅온(snap-on)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점착성 라벨 부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실린더형 삽입구(4f)는 제1축(A)의 직선방향뿐만 아니라 상기 제1축(A)의 직각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실린더형 삽입구(4f)는 제2하우징부(3) 쪽으로 압축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점착성 라벨 부착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삽입구(4f)는 제1축(A)에 동심으로 연장되어 있는 센터링 리세스(4g)를 포함하고, 제2하우징부(3)는 제2축(B)에 동심으로 연장되어 있는 실린더형 센터링 플러그(5c)를 갖는 작동장치(5)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센터링플러그(5c)와 상기 센터링 리세스(4g)는 제1축(A)과 제2축(B)이 상기 폐쇄위치에서 적절히 연장되는 방식으로 상호 적합하고 상호정합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점착성 라벨 부착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구(4f)는 그 주위에 배열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프링요소(4a)를 포함하며, 이러한 스프링요소(4a)는 라벨(12e)을 보류하는 역활뿐만 아니라 치수오차를 잡아내는 역활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점착성 라벨 부착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하우징부(2)는 라벨(12e)용 지지면(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점착성 라벨 부착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하우징부(3)의 작동장치(5)는 디스크형 물체를 보류하기 위해 상기 위치결정장치(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점착성 라벨 부착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부(2, 3)는 공동 회전축(C)의 반대쪽에 로킹부(7,a, 7b)를 갖는 로킹장치(7)를 포함함으로써 한 로킹부(7a, 7b)가 레버(7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점착성 라벨 부착장치.
  10. 콤팩트디스크(11a) 확인용 복합라벨(12), 특히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용 복합라벨(12)에 있어서, 평평한 유연성 반송재(12a, 12d)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콤팩트디스크용 라벨(12e)을 포함하며, 상기 라벨(12e)은 반송재(12a, 12d)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특히 원형 리세스(12k)를 포함함으로써 반송재(12a, 12d)는 라벨(12e)의 주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라벨(12e)의 주변 가장자리(120)를 넘어 적어도 단면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커트 또는 정격 파단선(12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확인용 복합라벨.
  11. 제10항에 있어서, 라벨(12e)은 원형 주변가장자리(120)뿐만 아니라 그것과 동심을 이루는 원형 리세스(12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확인용 복합라벨.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복합라벨은 직사각형의 단일 시이트 또는 무한롤(endless roll)로 구성되고, 적어도 반송재(12a, 12d), 바람직하게는 라벨(12e)을 포함하는 재질이 무늬가 전면에 걸쳐 있는 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확인용 복합라벨.
  13. 제10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송재(12a, 12d)는 완전히 둥글게 연장되고 라벨(12e)의 주변 가장자리(120)를 넘어 돌출되어 있는 원형 커트(12m)를 포함하며, 제2커트 또는 정격 파단선(12m)은 원형 리세스(12k)와 일치하거나 또는 약간 큰 직경을 갖을 뿐만 아니라, 이들 두 커트 또는 정격파단선 사이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커트 또는 정격 파단선(12m)을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확인용 복합라벨.
  14. 제10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벨재(12i)로 구성되어 있는 그립탭(12h)은 라벨(12e)의 주변 가장자리(120)를 넘어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고, 반송재(12a, 12d)는 커트 또는 파단선(12m)으로 한정되어 있는 반송탭(12b)을 포함하며, 반송탭은 그립탭(12h)과 라벨(12e)에 부분적으로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확인용 복합라벨.
  15. 제14항에 있어서, 반송탭(12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릿지(12c)에 의해 반송재(12a, 12d)에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확인용 복합라벨.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두개의 그립탭(12h)과 거기에 결합된 반송탭(12b)은 라벨(12e)에 대해 방사상으로 서로 반대쪽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확인용 복합라벨.
  17. 제10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벨(12e)은 투명 호일 및/또는 기재가능한 재질, 특히 종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확인용 복합라벨.
  1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벨(12e)은 제1하우징부(2) 및 디스크형 물체(11), 특히 콤팩트디스크(11a)에 삽입되고, 제2하우징부(3)에 삽입되며, 디스크형 물체(11) 및 라벨(12e)은 하우징부(2, 3)의 작동에 의해 겹쳐서 상호 동심을 이루는 위치에로 들어간 후 디스크형 물체(11)와 라벨(12e)은 서로 접촉되어 라벨(12e)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방법.
KR1019997006008A 1996-12-31 1997-12-30 감압성 라벨을 디스크형 물체에 부착시키는 장치 KR200000624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205/96 1996-12-31
CH320596 1996-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407A true KR20000062407A (ko) 2000-10-25

Family

ID=425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008A KR20000062407A (ko) 1996-12-31 1997-12-30 감압성 라벨을 디스크형 물체에 부착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508914B1 (ko)
EP (2) EP1081050A1 (ko)
JP (1) JP2001521469A (ko)
KR (1) KR20000062407A (ko)
CN (1) CN1247513A (ko)
AU (1) AU737381B2 (ko)
CA (1) CA2276359A1 (ko)
DE (1) DE59703370D1 (ko)
WO (1) WO1998029313A1 (ko)
ZA (1) ZA98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6290B1 (en) * 1998-08-27 2001-03-06 Neato, Llc Disk labeling device
GB2354627A (en) * 1999-08-02 2001-03-28 First Elements Ltd Protective cover for disc eg optical disc
DE19960801A1 (de) * 1999-12-16 2001-06-28 Laserware Gmbh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Klebeetiketten auf maschinenlesbare Datenträger
GB2360756B (en) * 2000-03-30 2004-07-21 John Richard Barnet Labelling system
CA2377986C (en) * 2000-05-04 2005-11-15 Fellowes, Inc. Cd labeler fixture
US6670015B1 (en) * 2000-05-11 2003-12-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stickable and removable label technology labels
US6803084B1 (en) * 2000-05-22 2004-10-12 Avery Dennison Corporation Label Applicator Construction
EP1292443B1 (en) * 2000-05-22 2007-05-02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mpact disc label construction
EP1184286A1 (de) * 2000-08-30 2002-03-06 Monika Gipman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ositionsgenauen Aufbringen eines Etiketts auf ein Trägerelement wie eine Compact Disc
JP2002092952A (ja) * 2000-09-14 2002-03-29 Orient Sokki Computer Kk 光ディスク
US6484777B1 (en) * 2000-09-29 2002-11-26 Belkin Corporation Compact disc labeler
US6561420B1 (en) * 2000-10-18 2003-05-13 Erica Tsai Information card system
US20040101646A1 (en) * 2001-05-22 2004-05-27 Hodsdon Jerry G. Compact disc label construction
WO2002038371A1 (en) * 2000-11-13 2002-05-16 Avery Dennison Corporation Optical disc label construction
US6640862B1 (en) * 2000-11-22 2003-11-04 Jack Lee Multi-functional sticker device for a compact disk
GB2371141A (en) * 2001-01-11 2002-07-17 Yun-Ming Kwang A CD cleaning and labelling device
US6748994B2 (en) * 2001-04-11 2004-06-15 Avery Dennison Corporation Label applicator, method and label therefor
DE10127256C2 (de) * 2001-06-05 2003-04-24 Slc Seidl Lichthardt Consult & System zum Aufbringen eines flexiblen Materialbogens
JP4745553B2 (ja) * 2001-08-06 2011-08-10 サンワサプライ株式会社 ラベル貼付治具
EP1319601B1 (de) * 2001-12-13 2005-08-03 Data Becker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tikettieren einer CD
DE20202437U1 (de) * 2002-02-18 2002-05-23 Slc Seidl Lichthardt Consult & System zum Aufbringen eines 1. Elements auf ein 2. Element
US6955843B2 (en) 2003-01-10 2005-10-18 Flynn Timothy J Label assembly
US6805180B2 (en) * 2003-01-10 2004-10-19 Timothy J. Flynn Label assembly and apparatus
US6776867B2 (en) * 2003-01-10 2004-08-17 Timothy J. Flynn Method for placing an aligned label on an object
US6776866B2 (en) * 2003-01-10 2004-08-17 Timothy J. Flynn Method for applying a label
US6881461B2 (en) 2003-01-10 2005-04-19 Timothy J. Flynn Indexable label assembly
US6776208B1 (en) * 2003-02-19 2004-08-17 Timothy J. Flynn Label assembly and apparatus
US7124796B2 (en) * 2003-11-14 2006-10-24 Flynn Timothy J Label assembly and apparatus
US6932133B1 (en) * 2004-02-03 2005-08-23 Timothy J. Flyn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label portion from a label assembly onto an object
US7001476B2 (en) * 2004-02-03 2006-02-21 Flynn Timothy J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label portion from a label assembly onto an object
US7443411B2 (en) * 2004-07-24 2008-10-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nsitioning between consecutive tracks when writing a label to a disc
JP2009535404A (ja) * 2006-05-01 2009-10-01 アノックサ コーポレイション 運動により誘発されるウマの肺出血の治療における5型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の使用
WO2007130128A1 (en) 2006-05-09 2007-11-15 Avery Dennison Label sheet assembly, application k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159250B2 (en) * 2006-05-09 2015-10-13 Ccl Label, Inc. Label shee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2131361A1 (en) * 2008-06-02 2009-12-09 Deutsche Thomson OHG Method for providing an optical recording medium with an identification mark
US20100109195A1 (en) * 2008-11-05 2010-05-06 Molecular Imprints, Inc. Release agent partition control in imprint lithography
US8590349B2 (en) * 2012-03-20 2013-11-26 Braebum Asset Holdings, LLC. Security tag assembly
CN104409016B (zh) * 2014-11-28 2016-11-23 国家电网公司 一种gis设备母线位置标贴的找正方法
KR101623905B1 (ko) * 2016-01-21 2016-05-24 주식회사 크레용인터네셔널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
USD862601S1 (en) 2016-07-07 2019-10-08 Ccl Label, Inc. Carrier assembly
CN107985712B (zh) * 2016-10-26 2021-03-19 高准有限公司 标签贴附装置
CA3035388A1 (en) 2018-03-01 2019-09-01 Ccl Label, Inc. Sheet with feeding perforation
USD914085S1 (en) 2018-08-29 2021-03-23 Ccl Label, Inc. Label sheet layout assemblies
US11090811B2 (en) * 2018-11-13 2021-08-17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abeling of support structures
CN110374407B (zh) * 2019-08-20 2024-04-26 广州维琼兰科技有限公司 一种防盗标签
CN112478358B (zh) * 2020-12-01 2022-08-26 深圳市联新移动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标签粘贴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7343A (en) * 1935-04-26 1936-04-14 William M Scholl Card for corn pads and the like
US4385460A (en) * 1981-02-20 1983-05-31 Hanna Richard D Phonorecord label
GB2179910A (en) * 1985-09-03 1987-03-18 Henry Booth Hull Limited Self adhesive labels
JPH0650876Y2 (ja) 1987-03-31 1994-12-21 三洋電機株式会社 光学式オーディオディスク
FR2634931B1 (fr) * 1988-07-28 1992-06-19 Boiron Sa Etiquette a vignette-timbre pelable
ES2047222T3 (es) * 1989-09-16 1994-02-16 Lohmann Therapie Syst Lts Ayuda para la aplicacion y utilizacion de la misma.
US5242381A (en) * 1989-09-16 1993-09-07 Lts Lohmann Therapie- Systeme Gmbh & Co. Kg. Application aid and the use thereof
JPH046032A (ja) 1990-04-13 1992-01-10 Gurafuiko:Kk 磁気ディスク用ラベル自動貼付装置
US5238107A (en) * 1992-01-07 1993-08-24 Kownacki Charles D Disc storage container having a securing means central aperture
US5316464A (en) 1992-12-16 1994-05-31 Lexell Jason R Compact disc labeling system
US5320219A (en) * 1993-07-02 1994-06-14 David Ward Compact disc identification kit
US5543001A (en) 1994-08-08 1996-08-06 Micropatent Method for the placement of self-adhesive labels on compact disks
US5715934A (en) * 1995-06-07 1998-02-10 Avery Dennison CD-ROM label with positioning means
DE29617424U1 (de) * 1996-06-05 1996-12-05 Clausnitzer Werner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s Etiketts auf eine Compactdisc o.dgl.
DE29610120U1 (de) 1996-06-08 1996-11-28 Rothenpieler Heinz Jochen Vorrichtung zum Etikettieren von Datenträgerscheiben
WO1998010934A1 (en) * 1996-09-16 1998-03-19 Stomp, Inc. Optical disc adhesive label applicator
DE19702546C1 (de) * 1997-01-24 1998-07-09 Boeder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bringen von Etiketten auf Compact-Discs
AT2389U1 (de) * 1997-11-18 1998-09-25 Schwaiger Johannes Dipl Ing Vorrichtung zum aufkleben von schildern auf compact disks
JP2001010623A (ja) * 1999-06-29 2001-01-16 Elecom Co Ltd 記録ディスクのラベル貼付け用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37381B2 (en) 2001-08-16
DE59703370D1 (de) 2001-05-17
EP0950009A1 (de) 1999-10-20
AU7889998A (en) 1998-07-31
CA2276359A1 (en) 1998-07-09
US20030070764A1 (en) 2003-04-17
EP0950009B1 (de) 2001-04-11
ZA9810B (en) 1998-07-08
US6508914B1 (en) 2003-01-21
CN1247513A (zh) 2000-03-15
WO1998029313A1 (de) 1998-07-09
JP2001521469A (ja) 2001-11-06
EP1081050A1 (de) 200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2407A (ko) 감압성 라벨을 디스크형 물체에 부착시키는 장치
CA2393944C (en) Cd labeler
US5715934A (en) CD-ROM label with positioning means
US6689238B2 (en) Labelling system
JP3076376B2 (ja) ラベリング装置及びラベル
US6403191B1 (en) Laminate with integrated compact disk label and methods
US6347654B1 (en) Compact disk labeling system
AU755172B2 (en) Holding device for at least one compact disc
US20130185972A1 (en) Tab assembly for a card
WO2001089821A1 (en) Compact disc label construction
US4287989A (en) Storage container for magnetic tape cassettes
US6435243B2 (en) Compact disk labeling systems
US20070289886A1 (en) Tray and a Case for Storing at Least One Pair of Compact Disks
US200700847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personal data
US6450229B1 (en) Compact disk labeling systems
US6495232B2 (en) Compact disk with removable center plug
ES2223971T3 (es) Sistema para la aplicacion de un arco de material flexible.
US5448950A (en) Compact disc identification stamp
JP3056350U (ja) オプチカル・ディスクのラベル
US6347702B1 (en) Support for a disc-like information holder and board-like holder with such a support
AU5786901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pplying a self-adhesive label on a disk-shaped object
US20090109006A1 (en) Media Case Date Indicator
JP2812260B2 (ja) 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ホルダー
US20070128400A1 (en) Disk divider
JPH0536683U (ja) フロツピイデイスク用ラ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