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855A - 용기, 단열 용기, 및 이들 용기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용기, 단열 용기, 및 이들 용기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855A
KR20000054855A KR1020007005370A KR20007005370A KR20000054855A KR 20000054855 A KR20000054855 A KR 20000054855A KR 1020007005370 A KR1020007005370 A KR 1020007005370A KR 20007005370 A KR20007005370 A KR 20007005370A KR 20000054855 A KR20000054855 A KR 20000054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leeve
side wall
curl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6360B1 (ko
Inventor
모치즈키요이치
히라이유이치
야마다가즈키
엔도겐이치
오쿠시타마사타카
야마시타다카노리
Original Assignee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2641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858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37453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17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7453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13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373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90944A/ja
Priority claimed from JP37329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624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7366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44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7329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12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06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60708B2/ja
Application filed by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지마 요시토시
Publication of KR20000054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1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cross section of varying size or shape, e.g. conical or pyrami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5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vered or externally reinforced
    • B31B2120/501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vered or externally reinforced by applying wrapping material only on the side wall part of a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단열 용기(10)는 상부가 개구되는 통형의 몸통부(11)와, 몸통부(11)의 하부를 막는 저부(底部)(12)로 이루어지고, 최소한 내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 형성된 컵 본체(10A)와, 이 컵 본체(10A)의 상기 몸통부(11)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끼워 붙여진 슬리브(10B)를 구비하고 있다. 컵 본체(10A)의 몸통부(11)를 주회(周回)하는 방향으로 리브(13, 13')를 형성하고, 컵 본체(10A)를 상기 몸통부(11) 상단의 개구부 외경이, 상기 컵 본체(10A)의 높이보다 커지도록 형성한다. 이에 따라, 사발이나 밥공기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면서, 형상 및 단열성에 관한 안정성이 있어 쥐기 쉽고, 의장성이 뛰어나며, 인쇄 표현의 자유도가 높고, 더욱이 위생적이고, 환경 부하가 적은 종이제의 단열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 단열 용기, 및 이들 용기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CONTAINER, INSULATING CONTAINER, AND DEVICES AND METHOD USED FOR MANUFACTURING THESE CONTAINERS}
인스턴트 라면 등의 식품에 사용되는 종이제의 단열 용기로서, 종이제 컵 본체의 몸통부 외주에 종이제의 단열재를 장착하여 단열성을 부여한 용기가 알려져 있다. 단열재로서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형과 오목형이 컵 본체의 주위 방향으로 교대로 나란히 된 파판형(波板形)의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국 특개평 8(1996)-113274호 공보에는, 단열재의 오목형 폭을 볼록형의 그것보다 감소시켜 용기 측면의 평면 부분을 증가시킨 단열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실개평 4(1992)-45216호 공보, 또는 일본국 특개평 8(1996)-104372호 공보에는, 파형(波形) 가공, 또는 엠보싱 가공된 단열재의 위에 라이너 또는 박지(薄紙)를 감아 표면의 요철(凹凸)을 없앤 단열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실개평 4(1992)-45212호 공보에는, 파판형의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고, 2중 컵 사이에 형성한 공간에 의해 단열성을 부여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의 단열 용기는 용기의 물리적 강도의 제약에 의해, 개구부의 외경(外徑)이 높이보다 작은 컵형의 형상으로 한정되고, 그 용량은 750cc 정도가 상한이었다. 그 이유는, 단열 용기의 소재로서의 판지를 변경하지 않고 개구부의 외경을 증가시켜 내용량을 크게 하면, 비틀림, 옆으로부터의 압축, 절곡(切曲) 등의 응력에 의해 용기 전체의 변형이 일어나기 쉽게 되어, 뜨거운 물을 공급 후, 손으로 쥘 때 위험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또, 종래의 종이제의 단열 용기는 뜨거운 물 공급 조리가 용이하고, 한 손으로 쥐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는 반면, 사용자가 사발, 밥공기, 보울(bowl) 등 식기의 감각을 맛볼 수 없다. 먹기 쉬운 것도 컵형의 것과 비교하여 떨어진다. 버라이어티(variety)가 풍부한 기구(器具)를 시각적으로 즐기면서 식사를 하는 용도에도 적합하지 않다.
또한, 요철 형상의 단열재가 용기의 측면에 노출되어 있으면, 그 측면에 고급감이 있는 의장을 형성하기 어렵고, 측면에 인쇄된 문자, 도안 등이 매우 보기 어렵게 된다.
조리를 끝낸 식품의 단열 용기로서는, 전술한 컵형의 종이제 단열 용기 외에, 개구부의 외경이 높이보다 크고, 넓은 개구부를 가지는 사발 모양, 밥공기 모양의 플라스틱제 단열 용기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제의 용기는 뜨거운 물 공급 조리 또는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 시, 플라스틱 소재로부터 유해 성분이 뜨거운 물에 용출(溶出)되거나, 폐기, 소각이 종이제 용기와 비교하여 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위생적, 환경적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뜨거운 물을 부어 조리하는 인스턴트 식품, 전자 레인지를 사용하여 가열 조리하는 식품 등에 사용되는 종이제(紙製)의 단열 용기 및 그 단열 용기 등의 제조에 바람직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단열 용기에 형성된 컵 본체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단열 용기의 제1 실시예 샘플의 치수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 형태의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단열 용기에 사용되는 슬리브(sleeve)의 블랭크(blank) 전개도.
도 7은 도 6의 블랭크 상에 형성된 손잡이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5의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5의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의 실시예 샘플의 치수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4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단열 용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0의 슬리브의 내향 컬(curl)부의 확대 단면도.
도 13 (A)~(C)는 도 10의 슬리브에 형성된 내향 컬부의 여러 가지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14 (A)~(C)는 도 10의 슬리브에 형성된 내향 컬부의 또한 여러 가지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0의 컵 본체에 형성된 실굽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6은 컵 본체와 슬리브와의 접착부 부근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7은 슬리브의 하단이 실굽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슬리브의 내향 컬부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슬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제5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도 20의 단열 용기의 제조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도 20의 단열 용기를 구성하는 컵 본체의 컬부의 확대 단면도.
도 23은 도 20의 슬리브를 제조하는 장치의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제조 장치의 화살표 XXIV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
도 25는 도 23의 XXV부의 확대도.
도 26은 도 23의 제조 장치에 설치된 맨드릴(mandrel)과 주(主)실(seal)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도 23의 제조 장치에 설치되는 블랭크 공급 장치의 전반부(前半部)의 측면도.
도 28은 블랭크 공급 장치의 전반부의 평면도.
도 29는 도 27의 XXIX-XXIX선에 따른 단면도.
도 30은 블랭크 공급 장치의 후반부(後半部)의 측면도.
도 31은 블랭크 공급 장치의 후반부의 평면도.
도 32는 도 23의 제조 장치에 설치된 감기 장치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
도 33은 도 23의 제조 장치에 설치된 보조 실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34는 도 23의 제조 장치에 설치된 컬가공 장치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
도 35는 도 34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36은 도 23의 제조 장치에 설치된 슬리브 배출 장치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
도 37은 슬리브 배출 장치의 평면도.
도 38은 슬리브의 컬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9는 도 20의 종이컵 제조 장치의 평면도.
도 40은 도 39의 화살표 XXXX 방향으로부터의 장치의 측면도.
도 41은 도 40의 화살표 XXXXI 방향으로부터의 장치의 측면도.
도 42는 도 39의 장치에 설치된 컵 공급 장치의 단면도.
도 43은 도 42의 컵 공급 장치의 평면도.
도 44는 도 39의 장치에 설치된 가공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45는 도 44의 화살표 XXXXV 방향으로부터의 배면도.
도 46은 도 44의 장치에 의해 컵 본체의 측벽에 리브(rib)를 가공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47은 도 44의 가공 장치에 의해 컵 본체의 컬부를 가공하고 있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48은 복수의 프레스 롤러를 사용하여 컵 본체의 컬부를 가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9는 도 39의 장치에 설치된 풀붙임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50은 도 39의 장치에 설치된 슬리브 공급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51은 도 39의 장치에 설치된 슬리브 맞춤 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도면.
도 52는 도 51의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53은 도 39의 장치에 설치된 검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4는 도 39의 장치에 설치된 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5는 도 54의 화살표 XXXXXV 방향으로부터의 배출 장치의 측면도.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높이보다 상방 개구부의 외경 쪽이 큰 사발이나 밥공기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면서, 형상 및 단열성에 관한 안정성이 있어 쥐기 쉽고, 의장성이 우수하고, 인쇄 표현의 자유도가 높고, 더욱이 위생적이고, 환경 부하가 적은 종이제의 단열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발명의 단열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는 통형(筒形)의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하부를 막는 저부(底部)를 가지고, 최소한 내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 형성된 종이컵 본체와, 상기 종이컵 본체의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장착된 종이 슬리브(sleeve)를 구비하고, 상기 종이컵 본체는 상기 몸통부 상단의 개구부 외경이, 상기 종이컵 본체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종이컵 본체에는, 상기 몸통부를 주회(周回)하는 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리브는 상기 몸통부를 연속하여 주회하도록 형성되어도 되고, 상기 몸통부를 단속(斷續)하여 주회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종이 슬리브의 하단부는 내향 컬(curl)부가 형성되어도 되고, 이 내향 컬부는 상기 몸통부 하부의 외주면에 맞닿아도 된다. 상기 간극에는 단열 부재가 삽입되어도 된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는 단열 용기의 용기 본체로서 기능하고, 그 몸통부는 용기 본체의 측벽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고온에 가열된 대형 용기라도, 그다지 열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또한 청결하게 손으로 쥘 수 있는 제조 코스트가 싼 단열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2 발명의 단열 용기는, 내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코트되고, 상방 개구 에지에 외향 컬부가 형성된 바닥이 있는 종이컵 본체와, 역원추 사다리꼴형의 종이 슬리브가 조합되어, 상기 종이컵 본체의 몸통부 외면과 상기 종이 슬리브의 내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종이 슬리브의 측벽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절곡선과 이 절곡선의 양단부를 잇는 절삭선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절곡선에 의해 외측으로 되접어 꺾기 가능한 최소한 한 쌍의 손잡이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절곡선은 상기 측벽 주위 방향의 2점을 잇는 최단 거리의 직선이라고 되며, 그 직선보다 하방으로 만곡(彎曲)되어도 된다. 상기 절삭선의 도중에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연결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손잡이 부분 주변의 일부에 절결(切缺)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손잡이 부분의 선단부가 작은 절곡선에 의해 되접어 꺾기 가능해도 된다. 상기 절삭선의 양단부가 아르(R)를 그리고 종결되어도 된다. 그리고, 종이컵 본체는 단열 용기의 용기 본체로서 기능하고, 그 몸통부는 용기 본체의 측벽을 구성한다.
전술한 단열 용기에서는, 소정의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해 종이컵 본체와 슬리브와의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용기를 손으로 쥘 경우에는, 슬리브 또는 그 손잡이 부분을 파지(把持)하여 용기 전체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종이컵 본체와 슬리브를 충분한 강도로 접착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이컵 본체와 슬리브와의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확보하면서, 양자를 충분한 강도로 접착하기 위해서는, 종이컵 본체 및 슬리브 사이의 상대적인 형상이나 치수 관계 등에 대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이들의 관계는 양자를 조립하는 공정을 원활하게 하고,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한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종이컵 본체 등의 용기 본체와 슬리브를 충분한 강도로 접착할 수 있는 동시에, 양자의 조립 적성이 뛰어난 단열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3 발명은 이하 설명하는 한 그룹의 단열 용기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제3 발명에 관한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에서는,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단면(斷面)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재의 선단 방향이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에 따르는 상향 방향을 넘을 때까지, 상기 슬리브재가 말려 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또, 제3 발명의 다른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로 말려 들어가는 상기 슬리브재의 선단은 상기 내향 컬부에서의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에 가장 접근한 부위보다 용기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3 발명의 또 다른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그 하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실굽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로 말려 들어가는 상기 슬리브재의 선단과, 상기 슬리브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간극이 1mm 이하로 되어 있다.
이들 단열 용기에 의하면, 용기 본체와 슬리브를 서로 조립할 때, 실굽이 내향 컬부에 걸리기 어려워, 양자를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그 하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실굽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로 말려 들어가는 상기 슬리브재의 선단과, 상기 슬리브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간극이 상기 실굽의 두께보다 작게 된 것이라도 된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용기 본체와 슬리브를 상호 조립할 때, 실굽이 내향 컬부로 들어와 내향 컬부를 밀고 열 우려가 없어진다. 따라서, 양자를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그 하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실굽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단면(斷面)에 대하여, 상기 실굽이 상기 측벽의 외면을 연장한 직선보다 용기 내측에 위치하게 되도록 상기 실굽이 쓰러져 넣어진 것이라도 된다.
제3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그 하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실굽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실굽의 버르(burr)가 용기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라도 된다.
제3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그 하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실굽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실굽 하단의 외주 위치는 상기 내향 컬부에서의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에 가장 접근한 부위보다 상기 용기 본체 중심선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라도 된다. 그리고, 상기 실굽 하단의 외주 위치와, 상기 내향 컬부에서의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에 가장 접근한 부위와의 사이의 변위량은, 상기 용기 본체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0.01~1mm의 범위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들 단열 용기에 의하면, 용기 본체와 슬리브를 상호 조립할 때, 실굽이 내향 컬부에 걸리기 어려워, 양자를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와, 상기 부위로 마주 향하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내향 컬부와, 이 부위로 마주 향하는 용기 본체의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 본체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간극은 0.01~1mm의 범위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본체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또 단열 용기의 변형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제3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은 상기 슬리브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것이라도 된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하단이 직접 테이블 등에 접촉하고, 슬리브의 하단이 접촉하는 경우에 생기는 용기의 일그러짐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단열 용기를 안정되게 놓을 수 있다.
상기 슬리브의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어도 된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하단이 직접 테이블 등에 접촉하고, 내향 컬부의 하단이 접촉하는 경우에 생기는 용기의 일그러짐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단열 용기를 안정되게 놓을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그 하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실굽이 형성되고, 상기 실굽의 하단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을 구성해도 된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단단하고 평면성이 양호한 실굽의 하단이 테이블 등에 접촉하므로, 단열 용기를 안정되게 놓을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은, 상기 슬리브의 하단에 대하여 0.01~5mm의 돌출량으로 돌출되어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본체의 돌출을 외관상 판별할 수 없어 용기의 디자인을 손상하지 않는다.
제3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에 대하여, 상기 측벽은 상기 접착부에 대향하는 부위가 상기 부위의 하방 부위의 연장선에 대하여 용기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접착부의 부위에 있어서 측벽과 슬리브가 양호하게 밀착되고, 따라서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접착부 부위의 측벽을 기울어지도록 했으므로, 측벽과 밀착시키기 위해 슬리브를 만곡(彎曲)시킬 필요가 없어, 용기의 외관에 영향을 주는 일도 없다.
제3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에 대하여, 상기 측벽은 상기 접착부에 대향하는 부위가 상기 슬리브재에 따르도록 만곡되어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접착부의 부위에 있어서 측벽과 슬리브가 양호하게 밀착되고, 따라서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측벽을 만곡시키고 있으므로, 측벽과 밀착시키기 위해 슬리브를 만곡시킬 필요가 없어, 용기의 외관에 영향을 주는 일도 없다.
제3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접착부가 상기 측벽에 따르도록 만곡되어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접착부의 부위에 있어서 측벽과 슬리브가 양호하게 밀착되고, 따라서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외향 컬부 바로 아래에서의 외경(外徑)과, 상기 외향 컬부 바로 아래로 대향하는 부위에서의 상기 슬리브의 내경(內徑)과의 차가 -1.0~+0.5mm의 범위로 되도록 형성된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슬리브를 상기 접착부를 통해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된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접착부에서의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용기 본체의 측벽에 주름을 발생시킬 우려도 없다.
제3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의 상단은 상기 외향 컬부의 하단으로부터 용기 본체의 중심선 방향에 따라 1mm 이상 하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설정된 것이라도 된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접착부의 접착제가 외향 컬부에 부착될 우려가 없다.
제3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는 용기 본체의 중심선 방향에 대하여 3mm 이상의 폭에 걸쳐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접착부에서의 충분한 접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3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의 상단은 상기 슬리브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접착부의 접착제가 슬리브의 상단으로부터 비어져 나올 우려가 없다.
전술한 단열 용기에서는, 슬리브에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게 할 필요에서, 그 소재에 상당히 두께가 있는 판지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두께가 있는 판지를 가공하여 상기와 같은 내향의 컬부를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아, 종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컬의 형성이 일그러지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 슬리브는 소정 형상으로 컷된 블랭크의 양단부를 접착함으로써, 원통형이나 원추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블랭크의 양단부가 서로 겹쳐지는 접착부에서는, 두께가 배증(倍增)되어 컬의 형성이 특히 곤란하게 되어, 양호한 형상의 컬을 형성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슬리브의 내향 컬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양호한 컬 형상을 얻을 수 있는 단열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4 발명에 관한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에서의 상기 슬리브재의 곡률 반경이 0.6~2.0mm의 범위로 설정된 것이다. 상기 곡률 반경은 1.1~1.5mm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재로서 종이를 사용해도 되며, 그 종이의 평량(坪量)은 150~400g/㎡의 범위로 설정하면 된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슬리브재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용기 본체와 슬리브를 상호 조립할 때 용기 본체가 내향 컬부에 걸리기 어렵게 되어, 원활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제4 발명의 다른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상기 슬리브재 표면에는 마찰 저감층이 형성된 것이다.
이 단열 용기에 의하면, 내향 컬부를 형성할 때 슬리브재의 미끄럼이 양호하게 되어, 내향 컬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슬리브재에 균열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마찰 저감층으로서는 셀룰로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해도 되고,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마찰 저감층으로서, 인쇄면을 보호하기 위한 오버프린트 니스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조 공정을 삭감할 수 있다.
상기 마찰 저감층은 상기 슬리브재의 용기 외측으로 향한 표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슬리브재의 용기 외측에 인쇄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오버프린트 니스를 마찰 저감층으로서 겸용할 수 있다.
제4 발명의 또 다른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용기 본체의 주위에 감긴 띠형 슬리브재의 양단부를 서로 중합(重合)하여 접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재에는 그 중합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컷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부는 상기 내향 컬부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그 이외의 영역에 걸쳐 상기 슬리브재를 컷하여 형성된 것이다.
제4 발명의 또 다른 단열 용기는, 측벽(몸통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용기 본체의 주위에 감긴 띠형 슬리브재의 양단부를 서로 중합하여 접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재에는 그 중합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컷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부는 상기 내향 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중합 면적을 50% 이상 감소시키도록 상기 슬리브재를 컷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들 단열 용기에 의하면, 용이하게 내향 컬부를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내향 컬부의 형상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컷부는 상기 슬리브재의 상기 양단부 중, 용기 내측에 배치되는 측의 단부(端部)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컷부의 컷 단부가 슬리브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의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컷부는 상기 슬리브재의 코너를 상기 양단부 중의 하나의 단변(端邊)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잘라 놓아 형성해도 된다.
전술한 단열 용기와 같은 종이제의 용기에 있어서는, 그 개구단의 외향 컬부에 대하여, 금속이나 수지를 적층하여 구성된 필름형의 덮개재가 접착되어 용기 내가 밀봉되는 것이 있다. 그런데, 덮개재가 접착되는 컬부는 용기의 개구단을 형 부재로 밀어 넣어 둥글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 성형 후의 단면 형상은 거의 아주 동그란 원에 가깝다. 따라서, 덮개재와 컬부의 접착 부분은 선(線) 접촉에 가깝고, 접착제에 의한 접착 면적이 부족하여 그 접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또, 종래의 용기 충전 라인에서는, 대면적의 압판(壓坂)을 이용하여, 다수 용기의 각각에 덮개재를 동시에 눌러 접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각 용기에 대한 압판의 위치 정밀도는 양호하지 않지만, 각 용기에 가해지는 압력이 용기의 탄성 변형에 의해 균일화되고, 이에 따라 비교적 균일한 상태로 덮개재가 접착된다. 그러나, 종이제의 용기와 같은 탄성이 부족한 용기에 대하여 종래의 제조 라인을 사용하면, 용기가 충분히 변형되지 않으므로 덮개재를 균일하게 접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덮개재의 접착에 적합한 컬부를 가지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5 발명에 관한 용기는, 개구부의 주변에 컬부가 형성된 측벽(몸통부)과,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저부를 구비하고, 상기 컬부의 용기 축선 방향의 폭을 「A」, 상기 컬부의 용기 반경 방향의 폭을 「B」, 상기 측벽의 두께를 「t」라고 할 때,
2t < A < B
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또, 제5 발명의 다른 단열 용기는, 개구부의 주변에 컬부가 형성된 측벽과(몸통부)과,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저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일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컬부의 용기 축선 방향의 폭을 「A」, 상기 컬부의 용기 반경 방향의 폭을 「B」, 상기 측벽의 두께를 「t」라고 할 때,
2t < A < B
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이들 용기에 의하면, 덮개재를 컬부에 접착했을 때,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는 폭을 확대하여 덮개재를 소정의 강도로 확실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 덮개재를 눌렀을 때 컬부가 용기 축선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되므로, 용기의 소재로서 종이 등 탄성 변형되기 어려운 재질을 사용한 경우라도, 발포 스티롤 등을 소재로 하는 용기에 덮개재를 접착하기 위한 종래의 라인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상기 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막는 필름형의 덮개재가 접착되고, 상기 덮개재는 상기 컬부에 대하여 박리력이 400~900gf/15mm 폭의 범위로 되는 접착력으로 접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는 덮개재 및 컬부의 접합폭은 확대되어 덮개재를 소정의 강도로 확실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 덮개재를 일부 벗긴 상태에서 컵 본체 내에 뜨거운 물을 붓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덮개재를 제거하는 경우 등에 바람직한 박리가 실현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은 종이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단열 용기에 사용하는 슬리브는, 예를 들면, 부채꼴의 블랭크(blank)를 소정 맨드릴의 외주에 감으면서 그 양단부를 접합하여 제조된다. 이 제조에서는, 블랭크를 그 접합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맨드릴의 바로 아래에 공급하거나, 맨드릴 상에서 슬리브의 축단에 컬부를 가공할 필요가 있어, 그와 같은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나아가, 슬리브는 얇고 강도도 낮기 때문에, 컬부의 가공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컬부의 가공 등에 의해, 슬리브가 맨드릴 상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일이 있어, 그와 같은 상태라도 슬리브를 상하게 하지 않고 장치로부터 꺼내도록 배려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제6 목적은, 단열 용기의 슬리브 제조에 따르는 각종 처리를 합리적 또한 효율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6 발명은 다음에 설명하는 슬리브 제조 장치, 블랭크 공급 장치, 및 슬리브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즉, 제6 발명에 관한 슬리브 제조 장치는, 부채꼴의 블랭크로부터, 단열 용기의 외장(外裝)으로서 사용되는 테이퍼(taper)통형의 슬리브를 성형하는 단열 용기의 슬리브 제조 장치로서, 상기 슬리브의 내주(內周)에 끼워맞추기 가능한 테이퍼축형의 몸통부를 가지는 맨드릴(mandrel)과, 상기 맨드릴을 소정의 주회 경로에 따라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주회 경로 상의 소정 위치로 풀려나오는 상기 맨드릴의 바로 아래에, 상기 블랭크를 그 일단부(一端部)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여 공급하는 블랭크 공급 장치와, 상기 블랭크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블랭크를 상기 일단부에 도포된 접착제가 타단부와 겹치도록 하여 상기 맨드릴에 감는 감기 장치와, 상기 맨드릴 상에서 형성된 상기 슬리브의 이음매부를 서로 누르는 실(seal)장치와, 상기 주회 경로에 따라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맨드릴로부터의 상기 슬리브 돌출부에 가공 지그를 눌러 컬부를 가공하는 복수의 컬가공 장치와, 상기 컬부가 가공된 상기 슬리브를 상기 맨드릴로부터 분리하는 슬리브 배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컬가공 장치의 최소한 하나는, 상기 가공 지그를 가열하여 상기 슬리브의 상기 돌출부에 강하게 누르는 것이다.
이 슬리브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가공 지그의 열에 의해 슬리브가 연화(軟化)되기 때문에, 가열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작은 힘으로 컬부를 가공할 수 있다. 가공에 필요한 힘이 작아지면, 맨드릴 상의 슬리브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소된다. 제조 후에 맨드릴로부터 슬리브를 꺼낼 때도 그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장치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컬가공 장치의 최소한 2개는 상기 가공 지그를 가열하여 상기 슬리브의 상기 돌출부에 누르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이들 가열되는 가공 지그 중, 상기 반송 경로의 상류측 가공 지그보다 하류측 가공 지그 쪽이 온도가 낮게 설정되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슬리브에 대한 컬부의 가공을 복수의 공정으로 나누어 행하는 경우, 후공정에서는 슬리브에 절곡 버릇이 붙어 전공정보다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후공정에서의 가공 지그의 가열 온도를 내림으로써, 컬부의 가공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슬리브의 인쇄 등에 대한 열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멈추게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컬가공 장치 중, 상기 반송 경로의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는 컬가공 장치는, 상기 가공 지그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슬리브의 상기 돌출부에 누르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컬부의 가공에 대한 저항이 가장 큰 최초의 공정으로 가공 지그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가공 지그를 가열할 필요가 없어지거나, 또는 있어도 그 가열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에 대한 열의 부담을 저하시킬 수 있다. 컬가공의 준비로서 실리콘액과 같은 하처리재(下處理材)를 슬리브에 도포할 경우에는, 가공 지그의 회전에 의해 그 하처리재를 슬리브의 전 주위에 균일하게 넓힐 수 있다.
제6 발명의 블랭크 공급 장치는, 단열 용기의 슬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부채꼴의 블랭크를, 테이퍼축형의 몸통부를 가지는 맨드릴의 바로 아래까지 반송하는 블랭크 공급 장치로서, 상기 블랭크를 그 접합되어야 할 일단부가 상기 맨드릴의 중심선 방향에 설정된 반송 방향과 평행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반송하는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1 반송 장치에서 반송되는 상기 블랭크의 상기 일단부의 하면측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장치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블랭크를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선의 주위로 회전시켜 상하로 반전시키는 반전 장치와, 상기 반전된 블랭크를 상기 맨드릴의 상기 중심선에 관해 좌우 대칭의 자세로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블랭크 공급 장치에 의하면, 접착제의 도포 후에서의 블랭크의 동작에 상하 방향의 반전이 가해지기 때문에, 블랭크가 맨드릴 아래까지 달하는 데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블랭크에 도포된 접착제의 여분의 수분이 증발하여 최적의 접착 강도가 얻어지게 된다. 그 결과, 접착 강도의 부족에 의한 제품 불량의 발생률이 감소된다. 접착제를 블랭크의 하면측에 도포하므로, 상면측으로부터 도포하는 경우보다 롤러열(列) 등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제1 반송 장치 및 제2 반송 장치의 반송 방향이 맨드릴의 중심선과 평행으로 되기 때문에, 맨드릴의 중심선에 대하여 블랭크 공급 장치를 똑바로 레이 아웃할 수 있다.
상기 반전 장치는 상기 회전축선의 주위로 선회 가능한 한 쌍의 휠을 구비해도 되고, 상기 한 쌍의 휠의 각각에는 상기 제1 반송 장치에서 보내지는 상기 블랭크를 수용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반송 장치는 상기 슬릿으로부터 상기 블랭크를 꺼내 상기 맨드릴의 바로 아래까지 반송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휠의 회전을 이용하여 블랭크를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다. 슬릿의 안에서 블랭크를 움직일 수 있으므로, 중력(重力)을 이용하여 블랭크의 자세를 수정하는 기회를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휠은 상기 맨드릴의 상기 중심선에 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도 되며, 이 경우,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각 휠의 상기 슬릿 내주측 단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슬릿에 수용된 블랭크를 휠의 회전에 따라 건져 올리면, 그 블랭크가 슬릿의 내주측 단부에서 휠의 반경 방향으로 일치된다. 이에 따라, 블랭크를 맨드릴의 중심선에 관해 대칭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휠의 각각에는 상기 슬릿이 상기 휠의 주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따라, 접착제가 도포된 다수의 블랭크를 차례차례 휠에 수용하여 적당한 정도로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반송 장치로부터 상기 휠의 상기 슬릿에 수용된 상기 블랭크가,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면으로부터도 들어 올려지게 하여 상기 제2 반송 장치측으로 보내지도록 상기 휠의 회전 방향이 설정되어도 된다. 이에 따라, 슬릿에 수용된 블랭크를 휠로부터 떨어뜨리지 않고 거의 180°회전시켜 상하로 반전시킬 수 있다.
제6 발명의 다른 블랭크 공급 장치는, 단열 용기의 슬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부채꼴의 블랭크를, 테이퍼축형의 몸통부를 가지는 맨드릴의 바로 아래까지 반송하는 블랭크 공급 장치로서, 상기 블랭크를 그 접합되어야 할 일단부가 상기 맨드릴의 중심선 방향에 설정된 반송 방향과 평행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반송하는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1 반송 장치에서 반송되는 상기 블랭크의 상기 일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장치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블랭크를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방향에 대하여 우회시키는 우회 장치와, 상기 우회 장치로부터 상기 블랭크를 수취하여 상기 맨드릴의 바로 아래까지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블랭크 공급 장치에 의하면, 블랭크가 우회 장치에서 우회하는 동안에 접착제의 여분의 수분이 증발한다.
상기 블랭크 공급 장치에서도, 상기 우회 장치는 상기 제1 반송 장치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선의 주위로 선회 가능한 한 쌍의 휠을 구비해도 되고, 상기 한 쌍의 휠 각각에는 상기 제1 반송 장치에서 보내지는 상기 블랭크를 수용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반송 장치는 상기 슬릿으로부터 상기 블랭크를 꺼내 상기 맨드릴의 바로 아래까지 반송해도 된다.
제6 발명의 슬리브 배출 장치는, 맨드릴의 테이퍼축형 몸통부에 감겨진 상기 슬리브를 상기 맨드릴로부터 분리하는 슬리브 배출 장치로서, 상기 몸통부 상의 상기 슬리브에 회전 중의 롤러를 눌러 상기 몸통부의 소경측 단부로부터 상기 슬리브를 탈출시키는 롤러 기구와, 상기 롤러 기구에 의해 꺼내진 상기 슬리브를 그 내주측으로부터 받아 내는 슬리브받이부를 구비한 슬리브 지지체를 구비한 것이다.
이 슬리브 배출 장치에 의하면, 맨드릴 위로부터 배출된 슬리브의 외주를 받아낼 필요가 없어, 슬리브 외주의 인쇄를 손상할 우려가 없다. 슬리부받이부가 슬리브의 내주에 느슨하게 삽입되어 있는 상태라도 슬리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므로, 롤러의 회전 속도를 떨어뜨려 슬리브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 점에서도 슬리브를 손상할 우려가 저하된다.
상기 슬리브 지지체는 소정의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해도 되며, 그 회전축선의 주위에 상기 슬리브받이부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슬리브 지지체를 회전시켜 슬리브를 차례차례 받아냄으로써, 슬리브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전술한 단열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 뜨거운 물 등 주입물의 적량 위치를 나타내는 피터선이나 용기 본체를 보강하는 리브의 가공, 또는 용기 본체의 컬부를 필름형 덮개재의 접착에 적합한 형상으로 가공하는 등의 여러 가지 처리가 필요하며, 그들 일련의 작업을 효율 양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7 목적은, 전술한 단열 용기를 효율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조 장치에 적합한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7 발명은 다음에 설명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장치 및 검사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제7 발명의 단열 용기의 제조 장치는, 용기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조합하여 단열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단(端) 에지에 형성된 컬부를 받아들이는 컬받이 부재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몸통부)을 그 내측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측벽받이 부재를 구비한 용기 지지구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컬부를 상기 컬받이 부재에 눌러 변형시키는 컬가공 장치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을 상기 측벽받이 부재에 눌러 변형시키는 리브(rib) 가공 장치와, 상기 컬가공 장치 및 상기 리브 가공 장치에 의한 가공을 각각 받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장치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에 상기 슬리브를 덮는 슬리브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조 장치에 의하면, 용기 본체 컬부의 가공이나 측벽에 대한 리브 등의 가공과, 그들의 가공을 받아들인 용기 본체와 슬리브의 접합이 동일한 장치 내에서 계속하여 행해지므로, 단열 용기를 효율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 장치에는, 상기 슬리브 공급 장치에서 공급된 슬리브를 상기 용기 지지구 상에 지지된 상기 용기 본체로 향해 밀어 넣는 슬리브 맞춤 장치가 설치되어 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슬리브를 바른 위치에 장착하여 양자를 확실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조 장치에는, 상기 슬리브 맞춤 장치에 의한 처리 후에,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슬리브와의 조합 양부(良否)를 검사하는 조합 검사 장치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슬리브의 조합 불량을 검출하여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상기 제조 장치에는, 상기 슬리브 맞춤 장치에 의한 처리 후에, 상기 슬리브의 성형 양부를 검사하는 슬리브 검사 장치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슬리브의 성형 불량을 검출하여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상기 제조 장치는, 상기 용기 지지구를 소정의 반송 경로에 따라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해도 되고, 상기 컬가공 장치, 상기 리브 가공 장치, 상기 접착제 도포 장치 및 상기 슬리브 공급 장치는 상기 반송 경로에 따라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컬가공 장치, 리브 가공 장치, 접착제 도포 장치 및 슬리브 공급 장치를 반송 경우에 따라 서로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배치하여 각 장치에 의한 처리를 효율 양호하게 제휴시킬 수 있다.
제7 발명의 다른 제조 장치는, 용기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조합하여 단열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용기 본체를 상하로 반전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용기 지지구와, 상기 용기 지지구에 지지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에, 당해 용기 본체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슬리브를 덮는 슬리브 공급 장치와, 상기 용기 본체에 덮힌 상기 슬리브를 상기 용기 본체로 향해 밀어 넣는 슬리브 맞춤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 맞춤 장치는 상기 용기 본체에 덮힌 슬리브의 상단부와 대향하는 맞춤 지그와, 상기 맞춤 지그를 상기 용기 지지구로 향해 구동하는 지그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맞춤 지그에는 상기 슬리브의 상단부에 접촉 가능한 압입부(押入部)를 가지는 지그 본체와, 상기 압입부에 의한 상기 슬리브의 압입에 선행하여 상기 슬리브와 맞물리고, 당해 슬리브를 상기 용기 본체와 중심이 맞도록 반경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중심 맞추기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중심 맞추기 부재는 상기 지그 본체에 대하여 동축 또한 상기 슬리브의 압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중심 맞추기 부재의 상기 슬리브와 대향하는 단부의 외주에는, 상기 슬리브측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중심 내기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조 장치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외주에 덮힌 슬리브를, 중심 맞추기 부재의 중심 내기면에 의해 용기 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변위시켜 용기 본체와 중심 맞추기한 후에, 용기 본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와 용기 본체의 중심이 엇갈린 채 슬리브가 밀어 넣어져 제조 불량이 생길 우려가 감소된다. 중심 맞추기 지그의 지그 본체에 대하여 중심 맞추기 부재가 동축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 맞추기 부재를 지그 본체에 대하여 원활하게 안내하여 그 중심 맞추기 작용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제7 발명의 또 다른 제조 장치는, 용기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조합하여 단열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하면서 당해 용기 본체의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를 가지는 용기 지지구와, 상기 용기 지지구 상에 지지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로 향해 접착제를 내뿜는 노즐 수단을 구비한 접착제 도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 도포 장치에는 상기 노즐 수단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의 접착 범위와의 사이에 설정된 촬영 범위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영 범위의 화상 내에서의 상기 접착제에 대응한 계조(階調)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상기 접착제의 내뿜기 상태의 양부를 판단하는 판정 수단이 부설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조 장치에 의하면, 회전체 상에 지지된 용기 본체를 회전시키면서 그 외주에 접착제를 뿜어 칠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외주에 그 주위 방향에 따라 모조리 접착제를 공급할 수 있다. 노즐 수단으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제의 양이 과잉 또는 과소이거나, 양은 적절해도 그 토출 방향이 부적절하게 된 경우에는, 촬영 범위의 화상 내에서 접착제에 대응한 계조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이상(異常)을 나타내기 때문에, 접착제의 공급 불량을 확실하게 검출하여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제7 발명의 검사 장치는, 용기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가 조합된 단열 용기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로서, 상기 단열 용기를 상하로 반전시킨 상태에서 그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를 구비한 용기 지지구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용기 지지구 주위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단열 용기의 상단부 높이의 변화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높이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높이 정보 검출 수단이 출력한 정보에 따라 상기 조합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 검사 장치에 의하면, 슬리브가 용기 본체에 대하여 부적절하게 덮여 있으면, 용기 본체의 일부에 슬리브가 얹히고, 그 얹힌 부분에서 용기 본체의 높이가 정상치로부터 변화된다. 이 변화를 회전 중 높이 정보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검출함으로써, 용기 본체와 슬리브의 조합 불량을 확실하게 검출하여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정보 검출 수단은, 상기 용기 지지구 상에 지지된 상기 단열 용기의 상단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가지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수광부로 향해 소정 폭의 검사광을 조사하는 동시에 상기 수광부로부터 상기 검사광의 수광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단열 용기의 높이가 변화되면, 그에 따라 단열 용기의 상단부에서 검사광이 차단되는 양이 증가 또는 감소되어 수광부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상기 검사 장치에는, 상기 회전체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용기 지지구 주위의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차단 용기의 슬리브 외주까지의 거리 변화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거리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거리 정보 검출 수단이 출력한 정보에 따라 상기 슬리브 형성의 양부를 판정하는 성형 판정 수단이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슬리브가 그 접합 부분의 불량 등에 의해 일그러져 있으면, 거리 정보 검출 수단에서 그 일그러짐에 따른 거리의 변화가 검출된다. 따라서, 슬리브의 성형 불량을 확실하게 검출하여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열 용기 개구단의 컬부에 덮개재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컬부의 전 주위를 동시에 눌러 찌부러뜨리는 처리가 행해지지만, 그 처리는 구경이 비교적 작은 용기에 한해 실용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석면(卽席麵) 등에 사용하는 구경이 큰 용기(직경으로 140mm 정도)의 컬부를 동일한 방법으로 납작하게 눌러 찌부러뜨리려고 하면, 매우 큰 프레스력이 필요하게 되어, 실용화가 곤란하다. 나아가, 프레스력이 크면, 프레스 장치의 각 부도 강화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장치의 코스트가 상승한다.
본 발명의 제8 목적은, 비교적 작은 힘으로 용기의 컬부를 덮개재의 접착에 적합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가공 장치 및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8 발명에 관한 용기의 가공 장치는, 용기의 단 에지에 형성된 컬부의 일부에 대하여 접촉 가능한 프레스 부재와, 상기 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스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컬받이 부재와, 상기 프레스 부재와 상기 컬받이 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컬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프레스 부재 또는 상기 컬받이 부재를 상기 컬부로 향해 구동하는 프레스 구동 수단과, 상기 프레스 부재와 상기 컬받이 부재에 의해 상기 컬부가 끼워지는 위치가 상기 용기의 주위 방향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프레스 부재 또는 상기 용기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가공 장치에 의하면, 프레스 부재와 컬받이 부재로 컬부의 일부를 끼울 뿐이므로, 컬부의 전체를 동시에 눌러 찌부러뜨리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은 힘으로 컬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프레스 부재 또는 용기의 회전에 의해, 컬부에 대한 가공 위치가 주위 방향으로 변화되어, 컬부가 그 전 주위에 걸쳐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된다.
상기 컬받이 부재는 상기 컬부를 그 전 주위에 걸쳐 받아 들이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컬받이 부재로 용기의 컬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공 장치는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구를 구비해도 되고, 그 용기 지지구에는 상기 용기를 지지하면서 당해 용기의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컬받이 부재는 상기 회전체 상에 배치되어도 되고,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용기 지지구로 용기를 일정한 자세로 지지하면서, 용기 지지구의 회전체에 회전을 가해 용기를 그 축선의 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회전을 이용하여 컬부 이외의 가공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외주에 접촉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에는, 구동휠을 회전체에 접촉시는 것만으로 용기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 구동휠을 회전체로부터 떼어 놓는 것만으로 용기에의 회전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 부재는, 상기 용기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의 주위로 회전 가능한 롤러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프레스 부재와 용기의 컬부가 상대적으로 회전될 때의 마찰 저항이 작아져, 컬부를 원활하게 가공할 수 있다.
상기 가공 장치에서는, 상기 프레스 부재와 상기 컬받이 부재에 의해 상기 컬부가 밀려 넣어지고 있을 때, 상기 프레스 구동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누름력에 저항하여 상기 프레스 부재 또는 컬받이 부재를 상기 컬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용기의 접합 등에 의해 컬부에 단차가 생기고 있어도, 그 단차에 맞추어 프레스 부재 또는 컬받이 부재가 도피함으로써, 단차 부분이 과잉으로 눌려 찌부러지는 일이 없어진다.
상기 프레스 구동 수단으로서, 에어 실린더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에어 실린더 내에 가두어진 공기가 쿠션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에어 실린더에서 구동되는 프레스 부재 또는 컬받이 부재가 컬부의 단차에 따라 변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체 상에는, 상기 용기의 측벽(몸통부)을 그 내면측으로부처 전 주위에 걸쳐 받아들이는 측벽받이 부재가 배치되어도 되고, 상기 용기 지지구의 측방에는, 상기 측벽받이 부재와 대향하고 또한 상기 측벽의 주위 방향의 일부와 접촉 가능한 형(型)누름 부재와, 그 형누름 부재를 상기 측벽으로 향해 구동하는 형구동 수단이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컬부의 가공에 연동하여 형누름 부재와 측벽받이 부재로 용기의 측벽을 끼워 넣음으로써, 용기의 측벽을 그 주위 방향에 따라 가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 부재와 상기 컬부와의 접촉 위치는, 상기 형누름 부재와 상기 측벽과의 접촉 위치에 대하여 상기 용기의 반경 방향 반대측에 설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프레스 부재나 형누름 부재에 의한 가공 작용에 따라 용기가 그 지지구로부터 떠올라 가공 불량이 생길 우려가 없어진다.
상기 가공 장치에서는, 상기 용기의 저측(底側)을 상기 용기 지지구로 향해 누르는 이탈 방지 수단을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프레스 부재나 형누름 부재에 의한 가공 작용에 따라 용기가 그 지지구로부터 떠올라 가공 불량이 생길 우려가 없어진다.
상기 가공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의 저측을 상기 용기 지지구로 향해 누르는 이탈 방지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프레스 부재나 형누름 부재에 의한 가공 작용에 따라 용기가 그 지지구로부터 떠올라 가공 불량이 생길 우려가 없어진다.
상기 용기는 상기 컬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그 외주에 덮히는 슬리브를 가지는 단열 용기라도 되며, 상기 프레스 부재와 상기 컬받이 부재에 의한 상기 컬부의 가공은 상기 슬리브의 장착 전의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행해지는 것이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슬리브에 방해되지 않고 컬부를 가공할 수 있다.
제8 발명의 가공 방법은, 용기의 단 에지에 형성된 컬부의 일부를 프레스 부재와 받이 부재로 끼워 넣고, 그 끼워 넣는 위치를 상기 컬부의 주위 방향에 따라 점차 변화시켜 당해 컬부의 전 주위를 소정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다.
이 가공 방법에 의하면, 상기 가공 장치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컬부의 전체를 동시에 눌러 찌부러뜨리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은 힘으로 컬부를 그 전 주위에 걸쳐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한층의 목적, 특징, 작용 효과는 다음에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 형태를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를 나타내고, 각 도 (A)~(C)의 중심선보다 우측이 측면을, 좌측이 단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 (A)~(C)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1의 단열 용기(10)는 도 1 (A)에 나타낸 종이컵 본체(10A)와, 도 1 (B)에 나타낸 종이 슬리브(종이 통형체)(10B)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컵 본체(10A)는 상부가 개구된 통형의 몸통부(측벽)(11)와, 몸통부(11)의 하부를 막는 저부(底部)(저판)(12)를 가지고 있다. 컵 본체(10A)의 최소한 내면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10B)는 몸통부(1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하여 컵 본체(10A)에 장착된다. 단열 용기(10)는 도 1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11) 상단의 개구부 외경이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사발, 밥공기, 보울 등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컵 본체(10A)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도 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 본체(10A)의 몸통부(11)에는, 외향으로 돌출하는 수평 리브(13) 또는 내향으로 돌출하는 수평 리브(13')가 최소한 1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수평 리브(13) 또는 수평 리브(13')가 형성되어도 된다. 동일한 컵 본체(10A)에 수평 리브(13)와 수평 리브(13')가 공존해도 된다.
컵 본체(10A)의 상단에는 외향의 톱 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컵 본체(10A)의 하단에서는, 저부(12)와 몸통부(11)가 서로 감겨 조여져서 접합되어 있다.
톱 컬부(14)는 컵 본체(10A)의 강도 보강 외에, 덮개재(도시하지 않음)를 접합할 때의 히트 실면을 제공한다. 톱 컬부(14)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눌러 찌부러뜨러진 형상이라도 된다.
도 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10B)는 역원추 사다리꼴형의 측벽(15)을 가지고 있다. 슬리브(10B)의 하단부에는 내향 컬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컵 본체(10A)에 슬리브(10B)가 장착됨으로써, 양자의 사이에 단열 공간(A)이 형성된다.
컵 본체(10A)에 장착된 슬리브(10B)의 내향 컬부(16)의 내주는 컵 본체(10A)의 몸통부(11) 하단부에 맞닿는다. 슬리브(10B)의 상단부는 컵 본체(10A)의 몸통부(11) 상단부와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 부재(17)를 통해 접촉한다. 도 2의 실시 형태의 상세는 후술한다. 슬리브(10B)가 누락하지 않도록, 컵 본체(10A)와 슬리브(10B)는 그들 상하단의 접촉 부분 중 어느 하나에서 접착 고정된다.
이상의 단열 용기(10)에 있어서, 외향으로 돌출하는 수평 리브(13) 또는 내향으로 돌출하는 수평 리브(13')는, 몸통부(11)의 외향 컬부(14), 저부(12) 주변의 감아조이기부와 함께, 컵 본체(10A)의 강도 보강에 중요한 역할을 완수하고 있다.
리브(13)의 개수와, 이것이 형성되는 위치, 높이 또는 깊이, 폭, 단면 형상 등은 컵 본체(10A)의 크기, 판지 소재의 강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1개의 리브(13 또는 13')는 컵 본체(10A)에 대한 뜨거운 물 공급량의 적정 레벨을 지시하는 선, 즉 뜨거운 물의 입목선(入目線)(피터선)으로서 기능하는 위치에 형성하면 된다.
도 1의 단열 용기(10)에서는, 외향으로 돌출하는 수평 리브(13)가 단열 공간(A)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완수한다. 용기(10)의 측벽(몸통부(11))을 손으로 쥐었을 때, 수평 리브(13)가 슬리브(10B)의 측벽(15)을 지지하여 측벽(15) 내측으로의 휨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슬리브(10B)를 컵 본체(10A)와 조합한 상태에서, 슬리브(10B)와 외향으로 돌출하는 리브(13)는 접촉해도 되고, 떨어져 있어도 된다. 접촉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열 공간(A)이 넓어져, 단열 공간(A) 내에서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대류되어 열이 분산되기 쉽게 된다. 그러므로, 뜨거운 물 공급 후에 손으로 몸통부(11)를 쥐었을 때, 슬리브(10B)의 측벽(15)이 내측으로 약간 휘지만, 용기(10)를 손으로 쥐기 전부터 슬리브(10B)와 리브(13)가 접촉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측벽(15)의 표면 온도가 저하되어 쥐기 쉽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2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뜨거운 물 공급 후, 또는 전자 레인지 가열 후의 사발형의 그릇을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경우, 용기 몸통부의 상반분을 양측으로부터 양손의 손가락으로 좌우로부터 지지하도록 쥐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의 단열 용기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는 부분의 단열성의 효과와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즉, 도 2의 단열 용기(10)에서는, 미리 컵 본체(10A)의 몸통부(11) 상부에 단열 부재(17)가 감겨 접착되고, 그 위로부터 슬리브(10B)가 장착되어 있다.
단열 부재(17)에는, 예를 들면, 골판지의 중심 종이와 같이 파형 가공되어 세로 방향으로 볼록형과 오목형이 교대로 배열된 판지 부분, 또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요철 형상이 형성된 소정 폭의 판지 부분을 사용할 수 있다.
단열 부재(17)를 컵 본체(10A)와 슬리브(10B)와의 사이에 배치하면, 단열 공간(A)이 좁게 되어 있는 몸통부 상부의 단열성의 향상, 및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뜨거운 물 공급 또는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 후, 안심하고 단열 용기(10)를 손으로 쥘 수 있다. 도 2의 단열 용기(10)는 단열 용기의 톱부까지 뜨거운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그리고, 컵 본체(10A)에 장착된 슬리브(10B)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내향 컬부(16)의 내주와 컵 본체(10A)를 접착시키거나, 단열 부재(17)의 내외면을 컵 본체(10A) 및 슬리브(10B)와 각각 접착시킨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단열 용기에 사용되는 컵 본체(10A)의 저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컵 본체(10A)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11)의 소정 위치에서 몸통부(11)를 주회하도록 수평 리브(13 또는 13')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 리브(13, 13')는 도 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11)를 연속적으로 주회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切缺部)(19)에 의해 단속(斷續)되면서 몸통부(11)를 주회하도록 수평 리브(13, 13')를 형성해도 된다.
도 1의 단열 용기(10)의 경우, 수평 리브(13)의 개수가 일정하면, 리브(13)를 단속적으로 주회시킨 경우에는, 연속적인 리브(13)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슬리브(10B) 측벽(15)의 휨 방지의 점에서 약간 떨어진다. 그러나, 단열 공간이 넓어지고, 단열 공간이 상하로 연통되어 단열 공간 전체에서의 가열 공기의 이동이 행해지기 쉽게 된다. 그러므로, 온도 상승이 균질화되고, 결과로서 단열성이 양호하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리브(13)를 단속시키는 경우에는, 하나의 리브(13)를 몸통부(11)의 전 주위에 대하여 4~8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부(19)가 몸통부(11)의 전 주위에 대하여 차지하는 비율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실굽부(18)가 나타나 있다. 내향 컬부(16)는 실굽부(18)의 공간(단열 공간(A)의 하단측 개구)을 메우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실굽부(18)로부터 먼지가 들어오거나, 물이 침입하거나 할 걱정이 없어, 위생적인 단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단열 용기(10)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종이제 단열 용기와 동일한 판지 소재를 사용하여, 120~200mm 범위의 개구부 외경을 가지는 사발형의 종이제 단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내용적(內容積)은 가득 부어 600~1500cc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단열 용기(10)의 성형에 사용되는 판지 소재는, 내용적이 커짐에도 불구하고 종래와 대략 동일 평량(坪量)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컵 본체(10A)의 성형에는, 평량 190~450g/㎡의 컵 원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슬리브(10B)의 성형에는, 평량 230~450g/㎡의 카드계, 코트 볼계 등의 판지를 사용할 수 있다. 슬리브(10B)의 원지 평량이 이 한도 미만이면, 슬리브(10B)의 강성이 저하되어, 고열 시에 휨이 너무 커져 필요한 단열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슬리브(10B)의 원지 평량이 상기 한도를 초과하면, 강성은 높아지지만, 내향 컬부(16)의 가공 적정이 악화되고, 재료 코스트도 높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슬리브(10B)의 소재에는, 수지 코트 또는 수지 함침(含浸) 처리 등을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단열 용기(10) 전체의 강성, 내압축성, 내압궤성(耐壓潰性) 등을 높혀, 물류 시에 가해지는 외적인 힘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단열 용기(10)를 기능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컵 원지의 내면에는, 20~80㎛의 범위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중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 압출(壓出) 코트되어 형성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은, 판지(컵 본체(10A)의 소재)로의 내용물의 침투 방지, 내용물의 보호 적성의 향상 외에, 저부, 컬부, 몸통 접착부에서의 컵 성형성을 개선하고, 덮개재(도시하지 않음)의 톱 컬부에서의 히트 실에 의한 봉함성(封緘性)도 양호하게 한다.
이상의 단열 용기(10)에서는, 측벽(외주벽)에 요철이 없고, 또한 슬리브(10B)의 내향 컬부(16)가 용기의 저부에서 적당한 정도의 아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외관, 의장성이 향상된다.
단열 용기(10)의 측벽 표면은 평탄하고, 슬리브(10B)에의 인쇄의 자유도는 높다. 오프셋, 그라비아, 플렉소 등 공지의 인쇄뿐만 아니라, 각종 오버코팅, 금은박 입힘, 엠보싱 등의 인쇄 후 가공도 슬리브(10B)에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우수한 의장성과 함께, 우수한 미장(美粧)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슬리브(10B)의 측벽면이나 내향 컬부(16)의 표면에 OP 니스 등의 오버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그들의 면을 적시기 어렵고, 또한 더러워지기 어렵게 개질(改質)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기 내면의 플라스틱면 또는 플라스틱층에 뜨거운 물이 접촉하는 경우에 충분히 배려해야 하는 것은, 플라스틱 내에 잔류하고 있는 모노머, 중합 촉매에 사용되는 중금속류, 기타 첨가물 등의 용출이 일어나기 쉽게 되고, 그들에 의해 식품 오염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이다. 이들 용출량이 식품위생법이 정하는 기준치를 넘지 않도록 용기를 구성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 수치 이하의 극미량이라도, 예를 들면, 포유병(哺乳甁)이나 학교 급식용 식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부터 용출되는 비스페놀 A, 또, 발포 폴리스티렌 용기로부터 용출되는 스티렌올리고머와 같이 생물의 내분비를 어지럽히는 위구(危懼)가 있다고 지적되고 있는 환경 홀몬(외인성 내분비 교란 화학 물질)류를 용출하는 수지의 사용은, 예방 원측에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단열 용기(10)에서는, 이와 같은 리스크가 적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더욱 무첨가의 수지를 선택하여 내면의 코트에 사용하고 있으므로, 안심감이 있다.
다음에, 도 1 또는 도 2의 단열 용기(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종이컵 성형기에 의해 부채꼴의 블랭크로부터 원추 사다리꼴형의 몸통부(11)를 성형하고, 몸통부(11)의 하부를 저판으로 감아 조여 저부(12)를 성형한다. 또, 몸통부(11)의 상단부에 외향의 톱 컬부(14)를 성형한다. 이어서, 몸통부(11)의 소정 위치에, 외 또는 내방향으로 돌출하는 수평 리브(13, 13')를 성형하여 컵 본체(10A)를 제조한다.
외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13)의 가공 방법은, 컵 성형기에 대하여 인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행할 수 있다. 즉, 미리 수평 리브(13)에 상당하는 부분이 홈형으로 절삭되어 있는 금형의 캐비티에 성형이 끝난 컵 본체(10A)를 끼워 넣고, 컵 본체(10A)를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컵 본체(10A)의 내측으로부터 전술한 홈형 부분으로 향해 회전 롤러를 익스팬더로 강하게 누른다. 이에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는 리브(13)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컵 본체(10A)의 전 주위에 걸쳐 회전 롤러를 누르면, 도 3 (A)에 나타낸 연속적으로 주회하는 리브(13)가 얻어진다. 회전 롤러를 단속적으로 컵 본체(10A)에 누르면, 도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속적으로 주회하는 리브(1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성형 방법에서는, 리브(13)의 가공 후에 컵 본체(10A)를 금형의 캐비티로부터 뽑아낼 필요가 있다. 도 1 또는 도 2에서 수평 리브(13)의 정점으로부터도 상측의 사면(斜面)을 하측의 사면보다 완만하게 형성한 경우에는, 컵 본체(10A)를 캐비티로부터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리브(13)의 형성은 자웅형(雌雄型)을 사용한 드로잉 가공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도 2의 단열 용기(10)에서의 리브(13')는 다음의 순서로 형성된다. 성형을 끝낸 컵 본체(10A)를 미리 리브(13')에 상당하는 부분이 홈형으로 절삭되어 있는 맨드릴의 외주에 끼워 넣는다. 다음에, 컵 본체(10A)를 맨드릴과 함께 회전시키면서, 컵 외측으로부터 회전 롤러를 전술한 홈형 부분으로 향해 강하게 누른다. 이에 따라, 내측으로 돌출하는 리브(13')를 형성할 수 있다. 부채꼴의 블랭크로부터 원추 사다리꼴형의 슬리브(10B)를 성형하고, 그 하부에 내향 컬부(16)를 성형한다. 이 슬리브(10B)와, 성형된 컵 본체(10A)를 양자가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서 접착시키면서 조합하면 단열 용기(10)가 얻어진다. 완성한 본 발명에 의한 단열 용기(10)는 스태킹(stacking)하여 사용자에게 공급이 가능하다.
도 1의 단열 용기(10)의 실시예 샘플로서, 도 4에 나타낸 2 종류의 샘플 A, 샘플 B를 다음의 사양(仕樣)에 따라 작성했다. 또, 수평 리브(13, 13')가 생략되어 있는 외는 실시예 샘플 A, B와 동일한 사양의 비교예 샘플 A', B'(도시하지 않음)를 준비했다.
샘플 A
컵 본체(10A)의 사양
내용량 ; 804.2 cc(가득 부었을 때)
499.7 cc(상부로부터 22.5mm 충전 시)
개구부 외경 ; 143.5 mmφ
개구부 내경 ; 135.0 mmφ
저판경 ; 115.2 mmφ
높이 ; 72.1 mm
수평 리브의 개수 ; 2
수평 리브의 상단폭 ; 2 mm
하단폭 ; 6 mm
소재 구성 ; 폴리에틸렌 25㎛/컵 원지 280g/㎡
슬리브(10B)의 사양
내향 컬부 외경 ; 119.4 mm
내향 컬부 두께 ; 2.6 mm
상단부 외경 ; 135.0 mm
소재 구성 ; OP 니스층/인쇄층/코트 볼 310g/㎡
샘플 B
컵 본체(10A)의 사양
내용량 ; 1045.1 cc(가득 부었을 때)
659.5 cc(상부로부터 30.9mm 충전 시)
개구부 외경 ; 139.5 mmφ
개구부 내경 ; 131.0 mmφ
저판경 ; 101.2 mmφ
높이 ; 105.0 mm
수평 리브의 개수 ; 2
수평 리브의 상단폭 ; 2 mm
하단폭 ; 6 mm
소재 구성 ; 폴리에틸렌 25㎛/컵 원지 280g/㎡
슬리브(10B)의 사양
내향 컬부 외경 ; 105.6 mm
내향 컬부 두께 ; 2.6 mm
상단부 외경 ; 131.0 mm
소재 구성 ; OP 니스층/인쇄층/코트 볼 310g/㎡
이상의 컵 본체(10A)의 외주에 이상의 슬리브(10B)를 장착하고, 저부(12)의 접촉 개소를 아크릴계 이멀션(emulsion) 타입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여, 도 4 (A), (B)에 나타낸 측면과 단면을 가지는 실시예 샘플 A, 샘플 B를 작성했다. 또, 수평 리브(13, 13')를 생략한 비교예 샘플 A', B'를 준비하고, 실시예 샘플 A와 비교예 샘플 A'를, 또 실시예 샘플 B와 비교예 샘플 B'를 각각 다음과 같이 비교했다.
95℃의 뜨거운 물을, 샘플 A, A'에는 500cc, 샘플 B, B'에는 660cc 각각 주입하고, 3분 후에 각 샘플의 몸통부 상단을 양손으로 양측에서 쥐도록 하고, 관능적으로 외부 표면 온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실시예 샘플 A, B 쪽이 비교예 샘플 A', B'보다 변형이 적고, 단열성이 우수하여, 쥐기 쉬운 것을 알았다. 또, 몸통부를 단단하게 쥘 수록 비교예 샘플 쪽이 뜨거움을 강하게 느꼈다.
이상의 단열 용기(10)에 의하면, 종래와 대략 동일 사양의 판지 소재를 사용하여 성형된 개구부의 외경이 높이보다 큰 사발형의 형상이며, 나아가 종래의 컵형의 경우보다 내용량이 크게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득 차게 뜨거운 물을 공급해도, 용기의 변형을 적게 멈추게 하여, 양호한 단열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마다 뜨거운 물 조리, 또는 전자 레인지 가열 조리하여, 사발 또는 보울에 대신하는 아가리가 넓은 테이블웨어로서 식사 자리에 여러 가지의 식품을 제공하여, 즐겁고, 먹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 일반 소비자, 특히 고령자나, 신체 장해자, 어린이 등에 대한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상품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단열 용기(10)는 몸통부 외벽에 요철이 없어, 양호한 의장성과 인쇄의 자유도가 있고, 아가리가 넓은 덮개재에의 인쇄 효과도 어울려, 점두(店頭)에서의 우수한 판촉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단열 용기(10) 내면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으로부터는, 이제까지의 단열 용기에 사용되고 있는 발포성 폴리스티렌에 보이는 환경 홀몬 등 의혹 물질의 용출이 없다. 내향 컬부(16)는 컵 본체(10A)와 슬리브(10B)와의 간극을 저면의 실굽부(8)에서 메워, 먼지나 이물의 몸통부에의 침입, 또는 판지 단면으로부터의 액의 흡수를 방지하여, 저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생면에 관한 안전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용량이 늘어나도 종래와 대략 동일 사양의 판지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료 코스트면, 제조면에서 코스트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합리적인 경제 코스트로 단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단열 용기(10)는 사용 후에는 종이 제품으로서 폐기되고, 또 감용화(減容化)가 용이하므로 폐기 처리성이 양호하고, 또한, 리사이클도 가능하므로, 환경 부하의 저감에 공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를 나타내고, 각 도 (A)~(C)의 중심선보다 우측이 측면을, 좌측이 단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단열 용기(20)는 역원추 사다리꼴형의 종이제 슬리브(20A)와 종이컵 본체(20B)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컵 본체(20B)는 통형의 몸통부(31)와, 그 몸통부(31) 하부에 감아 조여 고정되는 저부(32)를 가지고 있다. 몸통부(31)의 상방 개구 에지에는 외향 컬부(33)가 형성되고, 몸통부(31)에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는 수평 리브(34)와 안 방향으로 돌출하는 수평 리브(35)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20A)의 측벽(21) 내면과 컵 본체(20B)의 몸통부(31) 외면과의 사이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컵 본체(20A)의 내면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코트된다. 슬리브(20A)의 측벽(21)에는, 한 쌍의 손잡이 부분(23, 23)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한쪽의 손잡이 부분(23)만 나타나 있다. 컵 본체(20B)의 상단 개구부의 외경은, 용기(20)의 높이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단열 용기(20)의 단열 공간의 형성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 본체(20B)의 몸통부(31)에 형성된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는 수평 리브(34)와, 슬리브(20A)의 하부에 형성된 내향 컬(22)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단, 방치 상태(용기를 손으로 쥐지 않고, 테이블 등의 위에 놓인 상태)에서는, 슬리브(20A)의 측벽(21)과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는 수평 리브(34)가 접촉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수평 리브(34)의 주된 역할은 컵 본체(20)의 몸통부(31)의 보강에 있다. 또, 수평 리브(35)는 몸통부(31)를 보강하는 동시에, 컵 본체(20)에 주입되는 뜨거운 물의 적정량 목표를 부여하는 기능도 완수한다.
도 6은 슬리브(20A)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의 전개도이다.
슬리브(20A)의 블랭크(20A')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지를 부채 모양으로 블랭킹(blanking)한 것이다. 블랭크(20A')의 좌우 양단부는 몸통 접착부(N), 하단부는 내향 컬부(22)의 컬 성형부(C)로 되어 있다. 컬 성형부(C) 이외의 부분은 슬리브(20A)의 측벽(21)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블랭크(20A')의 몸통 접착부(N)끼리 접착되어 역원추 사다리꼴형의 슬리브(20A)가 형성된다. 블랭크(20A')에는 절곡선(25)과 절삭선(24)에 의해 구획되는 한 쌍의 손잡이 부분(23, 23)이 블랭킹되고, 그들은 슬리브(20A)에 성형되었을 때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 절곡선(25)은 블랭크(20A')의 원호(圓弧)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블랭크(20A') 상에서의 손잡이 부분(23)의 확대도이다.
도 7 (A)는 손잡이 부분(23)의 한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손잡이 부분(23)은 블랭크(20A')의 외주와 평행의 원호, 바꿔 말하면 블랭크(20A')의 외주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연장되는 원호 상의 2점(p1, p2)을 잇는 직선형, 또는 그 직선보다 하측으로 만곡되는 곡선형의 절곡선(25)과, 그 절곡선(25)의 양단(p1, p2)을 잇고 또한 절곡선(25)보다 하부로 만곡되는 절삭선(24)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 부분(23)은 절곡선(25)에 의해 외측으로 되접어 꺾기가 가능하다.
또, 절삭선(24)의 도중에는, 연결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6)는 블랭크(20A')가 슬리브(20A)에 성형되어 컵 본체(20B)에 조립되고, 그 후 손잡이 부분(23)이 사용될 때까지, 손잡이 부분(23)을 측벽(21)에 연결하여 고정해 두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6)는 손잡이 부분(23)의 사용 시에 약간의 손가락 끝의 힘으로 파괴할 수 있도록, 0.3~1.0mm(판지의 두께가 0.2~0.5mm인 경우) 정도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종이를 잡아 당겨 잘게 절단하는 경우에, 종이결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하는 것보다, 종이결 방향으로 절단하는 쪽이 힘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연결부(26)가 절삭선(24)의 한쪽에서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 연결부(26)의 폭 방향이 도면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종이결의 방향과 평행의 방향으로 근접할 수록 연결부(26)의 폭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연결부(26)의 절단력을 균일화할 수 있다.
손잡이 부분(23)의 하부 주변에는 절결(切缺)(27)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27)은 손잡이 부분(23)의 형성 시, 손잡이 부분(23)을 일으키기 위해 사용된다. 절결(27)은 사용자의 손가락 끝 또는 손톱이 들어갈 정도의 크기면 된다. 또, 절결(27)은 손잡이 부분(23)의 최하부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B)는 손잡이 부분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양태에서는, 절결(27)에 대신하여 손잡이 부분(23)의 하부 주변에 소(小)절곡선(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절곡선(25')에 따라 손잡이 부분(23)의 하부를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고, 그 절곡한 부분을 손잡이 부분으로 하여, 손잡이 부분(23) 전체를 꺼낼 수 있다.
절삭선(24)의 단부에는, 도 7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부분(23)의 하부로 향해 되돌아오도록 활 모양을 그리는 아르부(24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삭선(24)의 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종이결과 평행의 방향으로 근접하므로, 손잡이 부분(23)을 꺼낼 때 절삭선(24)의 최종단(p1, p2)으로부터 상방으로 블랭크(20A')가 찢어질 우려가 있어, 이 우려를 아르부(24a)의 추가에 의해 해소할 수 있다.
이상의 절곡선(25), 소절곡선(25'), 절삭선(24), 연결선(26), 절결(27)의 모두는 블랭크(20A')의 블랭킹과 동시에 형성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요소의 가공은 단열 용기(20)의 제조 코스트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는 되지 않는다.
또, 블랭크(20A')의 대부분의 영역은, 블랭크(20A')의 가공 전에 인쇄되어 있고, 정보 매체로서 기능하는 부분이지만, 이상의 손잡이 부분(23)의 가공에 의해 인쇄 효과, 또는 의장 효과가 크게 방해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상기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2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A)는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20)의 손잡이 부분(23)이 일으켜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손잡이 부분(23)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원추 곡면에 절곡선(25)을 상측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슬리브(20A)의 측벽(21)과 종이컵 본체(20B)의 몸통부(31)와의 사이에 공간이 없는 2중 용기를 상정(想定)하면, 손잡이 부분(23)을 최하부로부터 일으켜 세울 때, 힘을 필요로 해, 일으켜진 손잡이 부분(23)에는 주름이 생긴다. 잡아 찢는 강도가 약한 판지가 슬리브(20A)에 사용되고 있으면, 절곡선(25)의 양단에서 판지에 잡아 찢기가 일어나기 쉽다.
그러나, 도 5의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20)의 경우에는, 슬리브(20A)의 측벽(21)과, 컵 본체(20B)의 몸통부(31)와의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므로, 손잡이 부분(23)을 꺼낼 때, 절곡선(25) 중앙 부분의 측벽(21)이 도 8 (A)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변형되어, 손잡이 부분(23)을 약한 힘으로 용이하게 일으킬 수 있다. 절곡선(25)은 역원추면의 수평 방향 2점(p1, p2)의 최단 거리를 잇는 선보다 약간 아래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쪽이 열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길이가 50mm인 절곡선의 경우, 그 중앙부에서 0.5~2.0mm 정도 하방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절곡선(25)에 따라 손잡이 부분(23)을 일으킨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측벽(21)이 변형되는 동시에, 손잡이 부분(23)의 좌우가 약간 들어 올려져 젖혀지도록 변형되고, 그 결과, 손잡이 부분(23)은 도 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21)과 대략 직각의 위치에 지지된다. 손잡이 부분(23)을 밀어 내리면, 원래의 상태(슬리브(20A)의 측벽(21)과 대략 일면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할 수 있다.
도 8 (B)는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20)의 가열 조리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단열 용기(20)는 뜨거운 물 조리 가열, 및 전자 레인지 가열 모두 바람직하게 사용 가능하다., 도 7 (A)에 나타낸 손잡이 부분(23)의 경우에는, 가열 조리에 앞서, 절결(27)에 손가락 끝 또는 손톱을 끼워 넣고 손잡이 부분(23)을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도 7 (B)에 나타낸 손잡이 부분(23)의 경우에는 가열 조리에 앞서, 손잡이 부분(23)의 선단부를 소절선(25')에서 되접어 꺾어 손잡이 부분을 형성하고, 이 손잡이 부분을 손가락으로 끼워 손잡이 부분(23)을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이와 같이 하여 들어 올린 손잡이 부분(23)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수평으로 지지하고, 이 상태에서 가열 조리를 행하면 된다.
그리고, 뜨거운 물 조리 가공의 경우에는, 덮개재(L)를 일단 열고 뜨거운 물을 공급한 후, 덮개재(L)를 다시 닫고 3~4분간 방치한다. 전자 레인지 조리의 경우에는, 덮개재(L)를 약간 연 상태에서 가열 조리하면 된다.
조리 후에는, 손잡이 부분(23)을 양손으로 쥠으로써, 열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소정의 위치까지 가열 조리를 끝낸 식품을 용기마다 운반할 수 있다.
통상의 사발형의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용기를 그 에지에 손가락을 걸어 운반할 필요가 있고, 그 때 손가락이 식품에 접촉한다고 하는 위생 상의 문제가 있다. 손잡이 부분(23)을 이용하여 쥐고 운반하는 경우에는 이 문제도 해소된다.
그리고, 손잡이 부분(23)에 미리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거나, 슬립 방지제를 미리 부분 코트하는 등의 방법으로, 손잡이 부분(23)의 슬립 방지를 행하여 두어도 된다.
이상의 단열 용기(20)에서는, 종래의 종이제 단열 용기에 사용되고 있는 판지 소재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120~200mmφ범위의 개구부 외경을 가지는 사발형의 종이제 단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내용적은 가득 부어서 600~1500cc 범위의 단열 용기에 적용 가능하다.
단열 용기(20)의 성형에 사용되는 판지 소재는, 내용적이 커짐에도 불구하고 종래와 대략 동일한 평량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컵 원지의 내면에는 20~80㎛의 범위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중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 압출 코트되어 형성된다.
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은 내용물의 판지에의 침투 방지, 내용물 보호 적성의 향상 외에, 저부, 컬부, 몸통 접착부에서의 컵 성형성을 양호하게 하고, 덮개재(도시하지 않음)의 톱 컬부에서의 히트 실에 의한 봉함성도 양호하게 하는 효과를 초래하고 있다.
컵 본체(20B)의 원지 평량은 190~450g/㎡ 정도이다.
한편, 슬리브(20A)의 성형에는, 평량 230~450g/㎡의 카드계, 코트 볼계 등의 판지를 사용할 수 있다. 평량이 이 한도 미만이면 슬리브(20A)의 강성이 부족하고, 고열 시에 휨이 너무 커지게 되어 필요한 단열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평량이 상기 한도를 초과하면, 강성은 높아지지만, 내향 컬(22)의 가공 적정이 악화되고, 재료 코스트도 높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슬리브(20A)의 표면 가공은 종래의 단열 용기의 경우, OP 니스 가공으로 충분했지만, 손잡이 부분 단열 용기(20)의 경우에는, 손잡이 부분(23)을 부착하기 때문에, 표면 가공에 의해 내(耐)파열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 부착 단열 용기에 들어간 식품이 칠드(chilled), 냉동 상태로 유통되는 경우에는, 내수성(耐水性)을 갖게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표면으로부터 차례로 다음과 같은 적층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PE 30㎛/종이 270g/㎡
PE 20㎛/종이 270g/㎡/PE 20㎛
OPP 30㎛/PE 15㎛/종이 270g/㎡
PET 12㎛/PE 15㎛/종이 270g/㎡
OPP 30㎛/PE 15㎛/종이 270g/㎡/PE 15㎛
PET 12㎛/PE 15㎛/종이 270g/㎡/PE 15㎛
또, 제지 단계에서 내수성을 부여한 내수(耐水) 양면 코트 볼을 사용해도 된다.
블랭크(20A')를 블랭킹하기 전의 플랫(flat)한 판지에 프리프린트(preprint)가 가능하기 때문에, 슬리브(20A)의 표면에 대한 인쇄의 자유도는 높아, 오프셋, 그라비아, 플렉소 등 공지의 인쇄뿐만 아니라, 각종 오버코팅, 금은박 입힘, 엠보싱 등의 인쇄 후 가공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후, 전술한 바와 같은 손잡이 부분(23)의 가공이 실시되지만, 이 가공은 평면성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어서, 인쇄에 의한 미장 효과, 정보 매채 기능은 그대로 유지된다.
도 5의 단열 용기(20)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더욱 무첨가의 수지를 골라 내면의 코트에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1, 제2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와 마찬가지로 안심감이 있다.
도 5의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20)는 전술한 제1, 제2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10)와 동일한 순서로 제조할 수 있다. 단, 슬리브(20A)의 원료로서의 판지를 부채 모양으로 블랭킹할 때, 손잡이 부분(23)의 가공도 동시에 행하여 블랭크(20A')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도 9는 도 5의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20)의 실시예 샘플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세부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또, 손잡이 부분(23)이 형성되지 않는 이외는 아주 동일 사양의 비교예 샘플을 준비했다.
실시예 샘플
컵 본체(20B)의 사양
내용량 ; 804.2 cc(가득 부었을 때)
500.0 cc(상부로부터 22.5mm 충전 시)
개구부 외경 ; 143.5 mmφ
개구부 내경 ; 135.0 mmφ
저외경 ; 113.8 mmφ
높이 ; 72.1 mm
수평 리브의 개수 ; 2
수평 리브의 상단폭 ; 2 mm
하단폭 ; 6 mm
소재 구성 ; PE 25㎛/컵 원지 280g/㎡
슬리브(20A)의 사양
내향 컬부 외경 ; 119.4 mm
내향 컬부 두께 ; 2.6 mm
상단부 내경 ; 135.0 mm
소재 구성 ; PE 20㎛/코트 볼 270g/㎡/PE 20㎛
손잡이 부분의 사양
절곡선의 길이 ; 50 mm
절곡선의 만곡도 ; 절곡선의 양단을 잇는 최단 직선과 절곡선 중앙부와
의 거리 1 mm
손잡이 부분(23)을 미리 일으킨 실시예 샘플과, 비교예 샘플의 각각에 95℃의 뜨거운 물을 500cc 주입했다. 3분 후 실시예 샘플의 손잡이 부분(23)을 양손으로 양측으로부터 잡은 경우와, 비교예 샘플의 몸통부 상부를 양손으로 잡은 경우를 관능적으로 비교한 바, 실시예 샘플 쪽이 비교예 샘플보다 훨씬 잡기 쉬어,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손잡이 부착 단열 용기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컵 본체(20B)와 슬리브(20A)와의 사이의 단열 공간은, 슬리브(20A)의 내향 컬부(22)와 컵 본체(20B)의 수평 리브(34)에 의해 규정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컵 본체(20B)의 몸통부(31)와 슬리브(20A)의 측벽(21)과의 사이에 단열 부재를 개재(介在)시켜도 된다. 단, 손잡이 부분(23)의 상부에는 자유 공간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20)에 의하면, 용기의 외장이 되는 슬리브(20A)의 측벽(21)이 대향하는 위치에 2매의 손잡이 부분(23)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내용량이 커, 형상이 예를 들면 사발형, 냄비형이라도, 뜨거운 물 조리, 또는 전자 레인지 가열 조리 후, 열을 그다리 느끼지 않고 용이하게 쥘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하게, 위생적으로 식사 자리에 여러 가지의 조리 식품을 제공하여, 즐겁고 먹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효과는, 특히 고령자나, 신체 장해자, 어린이 등에 대한 배리어 프리 상품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열 용기(20)는, 몸통부 외벽에 요철이 없어, 인쇄의 자유도가 높고, 아름다운 정세(精細)한 인쇄가 가능해, 우수한 인쇄 매체가 되며, 아가리가 넓은 용기의 경우에는 덮개재에의 인쇄 효과도 어울려, 점두에서의 우수한 판촉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20) 내면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으로부터는, 이제까지의 단열 용기에 사용되고 있는 발포성 폴리스티렌에 보이는 환경 홀몬 등 의혹 물질의 용출이 없어, 위생면에서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손잡이 부분(23)을 형성함에 따른 코스트 상승은 거의 없어, 합리적인 경제 코스트로 단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열 용기는, 사용 후에는 종이 제품으로서 폐기되고, 또 감용화가 용이하므로 폐기 처리성이 양호하고, 또한, 리사이클도 가능하므로, 환경 부하의 저감에 공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4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로서의 종이컵을, 도 11은 그 종이컵의 제조 순서의 개략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컵(41)은 용기 본체로서의 종이컵 본체(42)와, 그 외주를 덮는 슬리브(43)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컵 본체(42)는 몸통부(측벽)(42a)과 저부(42b)를 가지는 대략 원추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다. 저부(42b)는 그 외주단을 도 10에서 하방으로 절곡하도록 드로잉 가공되며, 이에 따라 저부(42b)는 도 10에서 그 단면 형상이 하방으로 향해 개구되는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이 저부(42b)의 외주부의 절곡 부분에는, 몸통부(42a)가 외측으로부터 에워싸도록 접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컵 본체(42)의 실굽(42f)이 형성된다.
컵 본체(42)의 아가리부에는 외측으로 향해 컬된 컬부(42c)가 형성된다. 컵 본체(42)의 몸통부(42a)에는, 리브(42d, 42e)가 몸통부(42a)를 각각 일주하도록 형성된다. 리브(42d)는 몸통부(42a)의 내측으로 돌출하고, 리브(42e)는 몸통부(42a)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이들 리브(42d, 42e)에 의해 컵 본체(42)가 보강된다. 상측의 리브(42d)는 컵 본체(42)로의 주입물(예를 들면 뜨거운 물)의 적량 위치를 나타낸 피터선으로서도 기능한다. 하측의 리브(42e)는 리브(42d)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리브(42d, 42e)는 슬리브(43)의 내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각각의 돌출량이 정해진다.
그리고, 리브(42d)는 컵 본체(42)의 외측으로 돌출시켜도 되고, 리브(42e)는 컵 본체(42)의 내측으로 돌출시켜도 된다.
컵 본체(42)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평량 150~400g/㎡의 종이(예를 들면, 두께 0.3~0.34mm) 정도의 종이)가 사용된다. 컵 본체(42)의 최소한 내면은 내열성이나 내수성을 높이기 위한 피복층(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층)으로 덮여진다. 그리고, 전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더욱 무첨가의 수지를 골라 컵 본체(42)의 피복층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43)는 종이컵(41)의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 형성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43)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향해 컬된 컬부(43a)가 형성된다. 슬리브(43)의 상단부(43b)는 컵 본체(42)의 몸통부(42a)에 접착되는 동시에, 컬부(43a)는 컵 본체(42)의 실굽(42f) 측면에 대향한다. 컬부(43a)가 스페이서로서 기능하여 슬리브(43)가 컵 본체(42)로부터 떨어지고, 이에 따라 컵 본체(42)의 몸통부(42a)와 슬리브(43) 사이에 단열층으로서 기능하는 공간이 확보된다. 슬리브(43)의 소재에는, 예를 들면 평량 150~400g/㎡의 종이가 사용된다. 그리고, 슬리브(43)는 특히 뜨거운 물이나 물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컵 본체(42)와 같은 피복층은 생략해도 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42a)와 저부(42b)를 접착한 후, 리브(42d) 및 리브(42e)를 형성하여 컵 본체(42)가 형성된다. 또, 부채꼴의 블랭크(43') 양단부(43c, 43c)를 접합하고, 하단에 내향의 컬부(43a)를 형성하여 슬리브(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컵 본체(42)의 컬부(42c) 하방에 형성된 소정의 접착 범위(도 11의 해칭 영역)(BD)에 접착제를 스프레이 도포하여 컵 본체(42)와 슬리브(43)를 조합하고, 슬리브(43)의 상단부(43b)와 컵 본체(42)의 몸통부(42a)를 상호 접착하여 종이컵(41)이 형성된다(접착 범위(BD)에 대하여 도 16 참조).
그리고, 리브(42d)가 컵 본체(4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경우에는, 접착 범위(BD)가 리브(42d)에 걸리지 않도록 설정된다.
도 12는 슬리브(43)의 컬부(43a) 주변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컬부(43a)의 형상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도 14는 컵 본체(42)의 중심선(CL)을 연직(鉛直) 방향으로 설정한 경우에서의 연직 단면을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굽(42f)의 하단, 즉 컵 본체(42)의 하단은, 컬부(43a)의 하단, 즉 슬리브(43)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종이컵(41)을 테이블 등에 놓은 경우에는, 내용물이 넣어진 컵 본체(42)가 테이블 등과 직접 접촉한다. 컵 본체(42)의 실굽(42f)은 단단하며, 그 하단의 평면성(높이가 일치되어 있는 것)은 비교적 양호하다. 그러므로, 종이컵(41)이 안정된다. 그리고, 도 12에서의 「A」는 컬부(43a)로부터의 컵 본체(42)의 돌출량을 나타낸다.
이에 대하여, 만일 컬부(43a)의 하단이 테이블 등과 접촉하는 경우에는, 컬부(43a) 하단의 평면성이 실굽(42f)과 비교하여 떨어지는 데다, 컵 본체(42)가 슬리브(43)를 통해 지지되게 되어 슬리브(43)의 변형을 초래하기 때문에, 종이컵(41)의 안정성이 나빠진다.
실굽(42f)의 하단은 컬부(43a)의 하단에 대하여 0.01~5mm의 돌출량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컵 본체(42)의 돌출이 시각적(視覺的)으로 걱정되지 않으며, 나아가 확실하게 실굽(42f)이 테이블 등에 접촉하여 종이컵(41)이 안정된다.
그리고, 용기 본체의 하단을 슬리브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은, 슬리브에 내향 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컵 본체에 실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단열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굽(42f) 하단의 외주 위치는 컬부(43a)에서의 컵 본체(42)의 중심선(CL)에 가장 접근한 부위(컬부(43a)의 내주측 단부)보다 컵 본체(42)의 중심선(CL)측에 위치한다. 도 12의 「B」는 실굽(42f)의 외주 하단과, 컬부(43a)와의 사이의, 컵 본체(42)의 반경 방향에서의 변위량을 나타낸다. 이 변위량을 0.01~1mm의 범위에 설정함으로써, 조립의 원활성을 확보하면서, 종이컵(4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컬부(43a)에서의 컵 본체(42)의 중심선(CL)에 가장 접근한 부위와, 이 부위로 마주 향하는 실굽(42f)의 측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도 12의 「D」)을 0.01~1mm의 범위에 설정함으로써, 조립의 원활성을 확보하면서 종이컵(4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X」는 연직축의 방향(컵 본체(42)의 중심선 방향과 동일함)을, 「Y」는 컬부(43a)에 말려 들어간 종이의 선단이 지시하는 방향(컬부(43a)의 선단을 연장한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부(43a)에서는 말려 들어간 종이의 선단 방향이 연직 상향 방향을 초월하여 시계 주위로 회전하는 상태로 될 때까지 종이의 선단이 말려 들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컵 본체(42)와 슬리브(43)를 조립하는 데 있어서, 실굽(42f)이 컬부(43a)의 종이 선단에 걸리기 어렵게 되어, 양자를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3 (A)에서는 종이의 선단 방향이 연직 상향 방향에 도달할 까지 종이의 선단이 말려 들어가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종이의 선단이 연직 상향으로 이르지 않고 컬부(43a)가 상향으로 열린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컵 본체(42)와 슬리브(43)를 조립하는 데 있어서, 컬부(43a)에 컵 본체(42)의 실굽(42f)이 걸려 컬부(43a)를 밀어 열기 쉽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도 13 (B)에서는 종이의 선단이 연직 상향 방향을 초월하여 회전할 때까지 말려 들어간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컬부(43a)에 실굽(42f)이 걸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도 12에서는 컬부(43)의 종이 선단이 도 13 (B)의 상태로부터 더욱 시계 회전 방향으로 말려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어, 더욱 실굽(42f)이 걸리기 어렵다.
또, 도 13 (C)에서는 컬부(43a)에서의 종이 선단 방향이 연직 상향 방향에 도달하지 않지만, 컬부(43a)에서의 컵 본체(42)의 중심선(CL)에 가장 접근한 부위보다, 이 종이의 선단이 용기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13 (C)의 「P」는 컬부(43a)의 내주면에 접하는 연직선, 즉 컬부(43a)가 컵 본체(42)의 중심선(CL)에 가장 접근한 수평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컬부(43a)에서의 컵 본체(42)의 중심선(CL)에 가장 접근한 부위보다, 이 종이의 선단이 용기의 외측 방향에 위치한다고 하는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컬부(43a)에 실굽(42f)이 걸리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 (B)는 쌍방 모두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3 (A)에서는 종이의 선단부에서 가장 컵 본체(42)의 중심선(CL)에 접근하고 있어,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 이 경우에는, 실굽(42f)이 컬부(43a)의 종이 선단에 걸리기 쉽다.
또한, 컬부(43a)에 말려 들어가는 종이의 선단과, 슬리브(43)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간극을 1mm 이하로 함으로써, 컵 본체(42)와 슬리브(43)을 조립하는 데 있어서 실굽(42f)이 컬부(43a)에 걸리기 어렵게 된다. 또, 이 간극을 실굽(42f)의 두께보다 좁게 설정함으로써, 조립 시에 실굽(42f)이 이 간극으로부터 컬부(43a)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컬부(43a)를 밀고 열 우려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도 14 (A), 도 14 (B) 및 도 14 (C)는 각각의 간극이 C1, C2 및 C3 (C1>C2>C3)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4 (B)의 C2는 실굽(42f)의 두께와 일치하고 있다. 또, 도 14 (C)는 도 12의 컬부(43a)에 상당한다.
도 15 (A)는 실굽(42f)의 부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굽(42f)은 실굽(42f)보다 상방의 몸통부(42a) 외벽면을 연장하여 얻어지는 연장선(R)보다 용기 내측에 위치하게 되도록, 용기 내측으로 향해 쓰러져 넣어 있다. 이와 같이 실굽(42f)을 용기 내측으로 기울게 함으로써, 컵 본체(42)와 슬리브(43)를 조립할 때 실굽(42f)이 컬부(43a)에 걸리기 어렵게 된다.
또, 도 1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굽(42f)의 선단에는 용기 내측으로 향해 버르(42g)가 돌출되어 있다. 컵 본체(42)의 제조 공정에서, 실굽(42f)을 형성한 후 컬부(42c)를 형성하지만, 컬부(42c)의 형성 공정에서는 컵 본체(42)를 고정시키기 위해 실굽(42f)을 접촉 부재에 강하게 누르기 때문에, 실굽(42f)의 선단부에는 필연적으로 버르가 생긴다. 그러나, 버르를 도 1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내측으로 향해 돌출시키고, 용기 외측으로 돌출하는 버르를 생기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더욱 실굽(42f)이 컬부(43a)에 걸리기 어렵게 된다.
도 15 (B)에서는, 실굽이 몸통부(측벽)의 연장선(R)에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용기 외측에 버르(42h)가 돌출되어 있다. 이 형상은 통상의 종이컵에 상당하는 것이지만, 이와 같은 형상으로 컵 본체(42)를 형성한 경우에는 버르(42h)가 연장선(R)의 외측으로까지 돌출하기 때문에, 실굽이 컬부(43a)에 걸리기 쉽게 된다.
실굽(42f)을 용기 내측으로 향해 쓰러뜨려 넣도록 형성하기 위해서는, 저부(42b)와 몸통부(42a)를 중합(重合)하여 실굽(42f)을 형성할 때, 실굽(42f)을 용기 내측으로 밀어 쓰러뜨리는 압력을 가하면서, 저부(42b)와 몸통부(42a)를 서로 접착하면 된다. 예를 들면, 널링 롤(knurling roll)에 의해 접착하는 경우에는, 실굽(42f)을 외측으로부터 받아들이는 받이 부재의 받이면을 용기 내측으로 기울게 하는 동시에, 실굽(42f)을 내측으로부터 누르는 회전체의 측면을, 받이 부재에 맞춘 테이퍼면으로 하면 된다. 실굽(42f)이 미리 내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그 후의 공정, 예를 들면 컬부(42c)의 형성 공정에서 실굽(42f)의 선두에 생기는 버르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도 15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의 실굽(42f)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실굽을 형성한 후, 컬부(42c)를 형성하기 전에, 실굽에 압력을 가해 실굽을 도 15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 가공해도 되고, 컬부(42c)의 형성 시에 실굽의 선단을 내측으로 조여 넣는 형상의 접촉 부재를 사용하여, 컵 본체(42)를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컬부(42c)의 형성과 동시에 실굽 전체 또는 실굽의 선단부를 내측으로 쓰러뜨려 넣을 수 있다.
도 16 (A)는 컵 본체(42)의 중심선(CL)을 연직 방향으로 놓은 경우에서의, 컵 본체(42)와 슬리브(43)와의 접착 부분을 나타낸 연직 단면도이다. 도 16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42a)는 만곡하여 형성되고, 접착 범위(BD)에 대향하는 부위가 이 부위보다 하방 부위의 연장선(도 16의 직선 「S」)에 대하여 용기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에 따라, 접착 범위(BD)에서의 몸통부(42a)의 방향과 슬리브(43)의 방향이 일치되어 양자가 양호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6의 직선 「T」는 접착 범위(BD)에서의 몸통부(42a)의 방향을 나타낸다. 몸통부(42a)를 만곡시키는 대신에, 도 16 (B)의 연직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43)를 만곡시켜 몸통부(42a)와 밀착시켜도 된다.
도 16 (A)에서 직선 「U」는 컬부(42c)의 하단을 통하는 수평면을, 직선 「V」는 접착 범위(BD)의 상단을 통하는 수평면을, 직선 「W」는 접착 범위(BD)의 하단을 통하는 수평면을 각각 나타낸다. 여기에서 접착 범위(BD)의 연직 방향의 폭, 즉 도 16 (A)에서의 직선 「V」와 직선 「W」의 거리는 3mm 이상으로 되고, 이에 따라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도록 하고 있다. 또, 접착 범위(BD)의 상단과 컬부(42c)의 하단과의 사이의 거리, 즉 도 16 (A)에서의 직선 「V」와 직선 「U」와의 거리는 1mm 이상으로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아가리를 붙이는 부위인 컬부(42c)에 접착제가 부착되지 않도록 고려되어 있다. 또한, 직선 「V」로 나타내는 접착 범위(BD)의 상단은 슬리브의 상단(43c)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슬리브(43)의 상단(43c)측으로부터 접착제가 비어져 나올 우려가 없어진다.
도 11에 나타낸 공정에 따라 종이컵(41)을 제조할 때, 컵 본체(42)의 컬부(42c) 바로 아래의 외경(도 10에서 「E」로 나타낸 부분)과, 그 부위에서의 슬리브(43)의 내경과의 차가 -1.0~+0.5mm의 범위로 되도록 컵 본체(42) 및 슬리브(43)를 미리 형성하고, 접착 범위(BD)를 통해 양자를 접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치수 관계를 채용함으로써, 접착 범위(BD)에서의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컵 본체(42)의 몸통부(42a)에 주름을 발생시킬 우려도 없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43)의 컬부(43a)를 실굽(42f)보다 상방의 몸통부(42a)에 대향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컬부(43a)와 몸통부(42a)와의 간극(D')을 0.01~1mm의 범위에 설정함으로써, 종이컵(4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몸통부(42a)에 주름을 발생시키는 일도 없다.
본 실시 형태의 종이컵(41)에서, 컬부(43a)를 형성하는 종이의 곡률 반경(도 12의 단면에서의 곡률 반경)은 0.6~2.0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종이가 찢어지지 않고, 나아가 컵 본체(42)와 슬리브(43)를 조립할 때, 컵 본체(42)의 실굽(42f)이 컬부(43a)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어, 원활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곡률 반경의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1~1.5mm이다. 도 18 (A)~(D)에서는, 각각 이 곡률 반경이 차례로 작아진 컬부(43a) 형상의 예가 나타나 있다. 즉, R1>R2>R3>R4이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컬부(43a)의 형상은 도 18 (D)에 대응하고 있다.
도 19 (A) 및 도 19 (B)는, 부채꼴의 블랭크(43')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9 (A)의 부호(51)는 블랭크(43')의 타단과 중합되어 접착되는 중합 영역을, 부호(52)는 컬부(43a)가 형성되는 영역을 각각 나타낸다(도 11 참조). 도 19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51) 및 영역(52)은 블랭크(43')의 각부(角部)에서 서로 겹쳐 있다. 그 중복 부분에는, 블랭크(43')의 코너를 직선으로 잘라 놓은 컷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외관 상 눈에 띠지 않도록, 컷부(53)는 접착되는 블랭크(43')의 양단부 중 용기 내측에 배치되는 측의 단부에 형성된다.
도 19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컷부(53)에 의해 잘라 놓여진 영역은, 컬부(43a)에 대응하는 영역(52)을 넘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도 19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컷부(53)에 의해, 컬부(43a)에 대응하는 영역(52)에서의 중합 면적이 50% 이상 감소되어 있다. 즉, 도 19 (B)에서, 부호(54)는 컷 전의 영역(52) 및 영역(51)이 서로 겹친 중복 영역 중, 컷부(53)의 형성에 의해 컷된 영역을 나타내고 있으며, 영역(54)은 중복 영역 전체의 50%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컷부(53)를 형성함으로써, 블랭크(43')가 서로 겹친 부분에 대해서도 연속적인 컬 형상을 형성할 수 있어, 컬부(43a)의 전체에 걸쳐 양호한 형상을 얻을 수 있다.
컬부(43a)에 대응하는 영역(52)에서는, 슬리브(43)의 외주면에 OP 니스(오버프린트 니스)가 도포되어 있다. 이 OP 니스는 슬리브(43)의 외주면에 형성된 인쇄면의 보호층으로서, 인쇄면의 위로부터 인쇄 등에 의해 도포된다. 예를 들면, 그라비아 인쇄의 경우에는 셀룰로스계 수지를, 오프셋 인쇄의 경우에는 아크릴 수지를 각각 주성분으로 하는 OP 니스 등이 사용된다. 그 두께로서는, 그라비아 인쇄의 경우에는 2~3㎛ 정도, 오프셋 인쇄의 경우에는 1㎛ 정도이다.
이와 같은 OP 니스에 의한 보호층은, 컬부(43a)의 형성 시에 블랭크(43')의 미끄럼을 양호하게 하는 마찰 저감층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컬부(43a)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면을 보호하기 위한 OP 니스를 마찰 저감층으로서 겸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영역(52)에 인쇄층의 보호층과는 다른 마찰 저감층을 형성해도 된다. 또, 인쇄층의 보호층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영역(52)에 마찰 저감층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마찰 저감층을 슬리브(43)의 내면(용기 중심으로 향한 면)에 형성해도 되고, 내면 및 외면에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도 10에서는, 종이컵(41)을 개구부의 외경이 높이보다 작은 컵형으로서 나타냈지만, 전술한 제1~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종이컵(41)은 개구부의 외경이 높이보다 큰 사발 또는 보울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슬리브(43)에 손잡이 부분을 형성해도 된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제5 실시 형태의 단열 용기로서의 종이컵을, 도 21은 그 종이컵의 제조 순서의 개략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컵(61)은 용기 본체로서의 종이컵 본체(62)와 그 외주를 덮는 슬리브(63)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컵 본체(62)는 몸통부(측벽)(62a)와 저부(62b)를 가지는 대략 원추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컵 본체(62)의 아가리부에는 외측으로 향해 컬부(62c)가 형성된다. 컬부(62c)의 형성 후, 몸통부(62a)에 리브(62d, 62e)가 각각 컵 본체(62)의 반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불룩해지도록 형성된다. 리브(62d)는 컵 본체(62)에의 주입물(예를 들면, 뜨거운 물)의 적량 위치를 나타내는 피터선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리브(62e)는 컵 본체(62)를 보강하기 위해 형성된다. 리브(62e)는 리브(62d)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리브(62d, 62e)는 슬리브(63)의 내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각각의 돌출량이 정해진다. 컵 본체(62)의 소재에는, 예를 들면 평량 150~400g/㎡의 종이가 사용되고, 최소한 그 내면은 내열성이나 내수성을 높이기 위한 피복층(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층)으로 덮힌다. 그리고, 리브(62d)는 컵 본체(62)의 외측으로 돌출시켜도 되고, 리브(62e)는 컵 본체(62)의 내측으로 돌출시켜도 된다.
슬리브(63)는 종이컵(61)의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 형성된다. 도 2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부채꼴의 블랭크(63') 양단부(63c, 63c)를 접합하고, 하단에 내향 컬부(63a)를 형성하여 슬리브(63)가 형성된다. 그리고, 컵 본체(62)의 컬부(62c)의 바로 아래에 설정된 소정의 접착 범위(도 21의 해칭 영역)(BD)에 접착제(64)를 도포하여 컵 본체(62)와 슬리브(63)를 조합하고, 슬리브(63)의 상단부(3b)와 컵 본체(62)의 몸통부(62a)를 상호 접착하여 종이컵(61)이 형성된다. 그리고, 리브(62d)가 컵 본체(6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경우에는, 접착 범위(BD)가 리브(62d)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슬리브(63)의 소재에는, 예를 들면 150~400g/㎡의 종이가 사용된다. 슬리브(63)가 뜨거운 물이나 물에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 컵 본체(62)와 같은 피복층을 슬리브(63)에 형성할 필요는 없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부(62c)의 단면 형상은 동그란 원을 컵 본체(62)의 축선 방향(도 22의 상하 방향)으로 눌러 찌부러뜨린 듯한 형상, 바꿔 말하면 컵 본체(62)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이며, 그 외주단에는 괘선(罫線)(62f)이 얇게 발생되어 있다. 그리고, 컵 본체(62)의 두께를 t로 했을 때, 컬부(62c)의 축선 방향의 높이(A)와, 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폭(B)과의 사이에는 다음의 수학식 1의 관계가 있다.
2t<A<B
즉, 컬부(62c)의 높이(A)는 컵 본체(62)의 두께(t)의 2배보다 크고 컬부(62c)의 폭(B)보다 작다. 이와 같이, 컬부(62c)를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하면, 컬부(62c)에 필름형의 덮개재(66)를 접착할 때, 컬부(62c)와 덮개재(66)가 접착제(65)를 통해 접합되는 폭(C)을 확대하여 덮개재(66)를 소정의 강도로 확실하게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접합 강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컵 본체(62)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변화한다. 일예로서, 즉석면과 같이 덮개재(66)를 일부 벗긴 상태에서 컵 본체(62) 내에 뜨거운 물을 붓고, 일정 시간 경과 후 덮개재(66)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덮개재(66)를 박리하는 힘이 400~900gf/15mm 폭으로 되도록 접합 강도를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도 20에서는, 종이컵(61)을 개구부의 외경이 높이보다 큰 사발형으로 묘사하고 있지만, 종이컵(61)은 개구부의 외경이 높이보다 작은 컵형의 단열 용기로서 구성해도 된다. 슬리브(63)의 외주면에는 상표 등의 인쇄가 실시되지만, 그 인쇄는 블랭크(63')의 단계에서 행해진다. 이하에서는, 인쇄가 실시되는 면을 블랭크(63')의 표면이라고 하며, 그 반대측의 면을 이면(裏面)이라고 한다.
도 23~도 25는 전술한 슬리브(63)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23은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XXIV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 도 25는 도 23의 XXV부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 장치(1010)는 공장의 바닥면 상에 설치되는 프레임(1011)과, 구동 장치(1012)를 가지고 있다. 구동 장치(1012)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1120)의 회전을 체인, 기어 등 주지의 전달 요소를 통해 제조 장치(1010)의 각 부에 분배한다. 프레임(1011)의 상부에는, 턴테이블(1013)이 연직 방향의 회전축(11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1013)의 외주에는, 블랭크(63')를 감기 위한 8개의 맨드릴(1014 …1014)이 턴테이블(1013)의 회전 방향으로 등간격(45℃)으로 장착되어 있다.
도 26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맨드릴(1014)은 선단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축형의 외주면을 구비한 몸통부(1140)를 가지고 있다. 몸통부(1140)의 중심선은 턴테이블(1013)의 반경 방향으로 향해지고 있다. 몸통부(1140)는 슬리브(63)의 치수에 따라 변경되지만, 그 전장은 슬리브(63)의 축선 방향의 높이보다 짧다. 턴테이블(1013)의 중심축(1130)은 간헐 구동 기구(1015)를 통해 구동 기구(1012)와 연결된다. 간헐 구동 기구(1015)는 구동 장치(1012)로부터 인도되는 연속적인 회전 운동을 턴테이블(1013)의 간헐적인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간헐 구동 기구(1015)로서는, 예를 들면 제네바(Geneva) 기구 등 주지의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간헐 구동 기구(1015)에 의해, 턴테이블(1013)은 1회에 대하여 45℃의 비율로 도 25의 화살표 F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에 따라, 턴테이블(1013)의 주위에는 맨드릴(1014)의 정지 위치로서, 맨드릴(1014)과 동수의 스테이션(ST …ST)이 규정된다. 그리고, 턴테이블(1013)의 주위에는, 슬리브(63)의 제조에 필요한 장치로서, 감기 장치(1030), 보조 실 장치(1050), 컬 준비 장치(1060), 컬가공 장치(1070A, 1070B, 1070C) 및 슬리브 배출 장치(1080)가 각 스테이션(ST)에 분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감기 장치(1030)의 측방에는 블랭크 공급 장치(1020)가 설치되어 있다(도 23 및 도 24 참조). 또한, 턴테이블(1013)의 상방에는 주(主) 실 장치(1040)가 설치되어 있다. 각 장치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블랭크 공급 장치(1020)는 블랭크(63')의 일단부(63c)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감기 장치(1030)로 1매씩 공급한다. 감기 장치(1030)는 공급된 블랭크(63')를 맨드릴(1014)에 감는다. 주 실 장치(1040)는 맨드릴(1014) 상에 감긴 슬리브(63)의 이음매부(63d)(도 21 참조)를 구속하여 그 접착을 촉진한다. 보조 실 장치(1050)는 이음매부(63d) 중, 맨드릴(1014)의 선단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을 눌러 그 접착을 촉진한다. 컬 준비 장치(1060)는 컬부(63a)의 가공에 대비하여 슬리브(63)의 단부에 컬을 촉진하는 재료(예를 들면, 실리콘액)를 도포한다. 컬가공 장치(1070A, 1070B, 1070C)는 슬리브(63)의 축단에 컬부(63a)를 가공한다. 그리고, 슬리브 배출 장치(1080)는 완성된 슬리브(63)를 맨드릴(1014)로부터 꺼내 장치(1010)의 밖으로 반출한다.
도 27~도 31은 블랭크 공급 장치(1020)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랭크 공급 장치(1020)의 전반부에는, 블랭크 홀더(1021)와, 블랭크 취출(取出) 장치(1022)와, 컨베이어(제1 반송 장치)(1023)와, 접착제 도포 장치(1024)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랭크 공급 장치(1020)의 후반부에는, 휠장치(반전 장치, 우회 장치)(1025)와, 블랭크 이송 장치(제2 반송 장치)(1026)가 설치되어 있다.
도 27~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랭크 홀더(1021)는 프레임(1011)에 지지된 베이스(1210)와, 그 베이스(1210)의 취출구(1210a) 주위에 장착된 다수의 로드(rod)(1211)를 가지고 있다. 로드(1211)의 하단에는 확대부(1211a)가 형성되고, 이들의 상방에 다수의 블랭크(63')가 그 표면(인쇄가 실시된 면)을 위로 하여 적층된다.
블랭크 취출 장치(1022)는 블랭크 홀더(1021)의 취출구(1210a) 하방에 배치된 흡인 유닛(1220)과, 그 흡인 유닛(1220)을 상하로 구동하는 에어 실린더(1221)를 가지고 있다. 흡인 유닛(1220)은 그 상단에 복수의 흡반(吸盤)(1222 …1222)을 구비하고 있다. 장치(1010)의 가동 중, 에어 실린더(1221)는 일정한 주기로 흡인 유닛(1220)을 상하로 왕복 운동한다. 흡인 유닛(1220)이 상승하면 흡반(1222)이 블랭크 홀더(1021) 하단의 블랭크(63') 하면으로 눌려지고, 이와 동기하여 도시하지 않은 흡인 수단에 의해 흡반(1222)의 흡착면으로부터 에어가 흡인되어 블랭크(63')가 흡반(1222)에 흡착된다. 흡착된 블랭크(63')는 흡인 유닛(1220)의 하강에 따라 로드(1211)의 확대부(1211a)를 타고 넘어, 컨베이어(1023)의 가이드 레일(1230, 1231) 상으로 옮겨진다. 블랭크(63')가 레일(1230, 1231) 상으로 꺼내지면, 흡반(1222)으로부터의 에어 흡인이 정지되어 흡반(1222)이 블랭크(63')의 하방으로 이간(離間)된다. 이 동작의 반복에 의해, 블랭크(63')가 1매씩 컨베이어(1023)로 꺼내진다. 그리고, 흡반(1222)이 블랭크(63')의 이면에 흡착하기 때문에, 인쇄를 손상할 우려가 없다.
컨베어(1023)는 전술한 가이드 레일(1230, 1231)과, 스프로킷(sprocket)(1232a, 1232b) 사이에 감기기 시작하여 가이드 레일(1230)과 평행으로 주행하는 한 쌍의 체인(1233, 1233)을 가지고 있다. 각 체인(1233)에는 블랭크(63')와 맞물리는 복수의 클릭(1234 …1234)이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구동 장치(1012)의 체인(1121) 등을 통해 구동부(1235)에 전달되는 회전 운동에 의해, 각 체인(1233)은 도 27의 화살표 F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1230, 1231) 상에 꺼내진 블랭크(63')가 휠장치(1025)로 향해 일정 속도로 보내진다. 그리고, 도 28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블랭크(63')는 그 일단부(63c)가 컨베이어(1023)의 반송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하여 반송된다. 도 2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23)의 반송 방향은 감기 장치(1030)의 바로 위로 풀려 나오는 맨드릴(1014)의 중심선(CL)과 평행이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도포 장치(1024)는 접착제를 비축하는 풀접시(1240)와, 하부가 풀접시(1240) 내의 접착제에 잠기는 도포 롤러(1241)와, 이 도포 롤러(1241)의 상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누름 롤러(1242)와, 그 롤러(1242)를 상하로 구동하는 에어 실린더(1243)를 가지고 있다. 도포 롤러(1241)는 컨베이어(1023)의 구동부(1235)로부터 체인(1244), 축(1245), 체인(1246) 등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컨베이어(1023)에 의한 블랭크(63')의 반송과 동기하여 일정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체인(1233)에 의해 반송되는 블랭크(63)의 일단부(63c)가 가이드 레일(1230)의 반송면(1230a)으로부터 롤러(1241)의 상단으로 이동하면, 에어 실린더(1243)에 의해 롤러(1242)가 롤러(1241)측으로 밀어 넣어져 롤러(1241, 1242) 사이에 블랭크(63')의 일단부(63c)가 끼워진다. 이에 따라, 풀접시(1240)에 비축된 접착제가 도포 롤러(1241)의 외주를 통해 블랭크(63')의 일단부(63c) 이면측에 도포된다. 접착제 도포 후의 블랭크(63')는 컨베이어(1023)에 의해 휠장치(1025)까지 보내진다.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장치(1025)는 프레임(1011)에 의해, 컨베이어(1023)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축선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휠축(1250)과, 그 휠축(1250)에 일체(一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휠(1251, 1251)을 가지고 있다. 휠축(1250)은 컨베이어(1023)에 의한 블랭크(63')의 반송면(1230a)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지지되고 있다. 또, 각 휠(1251)에는 블랭크(63')를 받아 들이는 슬릿(1252 …1252)이 주위 방향에 일정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휠(1251)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고, 슬릿(1252)의 수 및 반경 방향의 깊이도 서로 동일하다. 바꿔 말하면, 휠축(1250)의 중심으로부터 각 슬릿(1252)의 내주측 단부까지의 거리는 모두 동일하다. 또, 각 휠(1251, 1251)은 장치(1010)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감기 장치(1030)의 바로 위로 풀려 나온 맨드릴(1014)의 중심선(CL)에 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3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휠축(1250)의 일단에는, 간헐 구동 기구(1015)로부터 꺼내진 간헐적인 회전 운동이 체인(1253, 1254) 및 웜(worm) 기구(1255)를 통해 입력된다. 턴테이블(1013)의 회전과, 휠(1252)의 회전과의 관계는, 턴테이블(1013)이 45°회전하면 이와 동기하여 휠(1251)이 슬릿(1252)의 피치각만큼 도 30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1023)의 종단(終端)(도 30의 우단)에는, 턴테이블(1013)이 소정 각도 회전할 때마다, 빈 슬릿(1252)이 거의 수평으로 되도록 분할된다. 이 분할된 슬릿(1252)의 내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블랭크(63')가 반입된다. 슬릿(1252)에 반입된 블랭크(63')는 휠(1251)의 다른 회전에 의해 블랭크 공급 장치(1023)의 후단측으로 서서히 반송된다.
휠(1251)에 의해 휠축(1250)의 주위로 거의 180°반송된 블랭크(63')는 블랭크 이송 장치(1026)에 의해 슬릿(1252)으로부터 꺼내져 감기 장치(1030)로 보내진다. 이 단계에서, 블랭크(63')는 그 표면(인쇄면)이 아래가 되도록 반전되고 있다. 나아가, 그 블랭크(63')와, 감기 장치(1030) 상의 맨드릴(1014)의 중심선(CL)과의 관계는, 휠(1251)에의 수용 전과 비교하여, 블랭크(63')가 중심선(CL)에 관해 좌우 대칭으로 되도록 변화되고 있다. 그 이유는, 블랭크(63')가 휠(1251)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는 과정에서 블랭크(63')가 슬릿(1252) 내를 미끄러져 떨어지고, 블랭크(63')의 소경측 단에지(63f)(도 21 참조)가 각 휠(1251)과 슬릿(1252)의 내주측 단부에서 접촉하여 지지되기 때문이다. 휠(1251)에 의해 180°반송되는 동안에 블랭크(63')의 단부(63c)에 도포된 접착제는 적당한 정도로 건조된다. 그러므로, 감기 장치(1030)로 맨드릴(1014)에 감긴 블랭크(63') 이음매부(63d)의 접속 강도가 높아진다.
이송 장치(1026)는 휠(1251)에 의해 반송되어 온 블랭크(63')를 받아내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260, 1260)과, 이들 가이드 레일(1260)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캐리어(1261, 1261)와, 이들 캐리어(1261)를 상하로 구동하는 에어 실린더(1262)와, 에어 실린더(1262)를 지지하는 슬라이더(1263)와, 그 슬라이더(1263)를 가이드 레일(1260)과 평행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직선 안내 장치(1264)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1263)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캠홈(1263a)이 형성되고, 그 캠홈(1263a)은 캠휠(1265)에 장착된 캠 폴로워(cam follower)(1265a)와 끼워 맞춘다.
캠휠(1265)은 구동 장치(1012)로부터 체인(1122) 등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 운동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이 캠휠(1265)의 회전이 캠 폴로워(1265a)와 캠홈(1263a)에 의해 슬라이더(1263)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캐리어(1261)가 가이드 레일(1260)과 평행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캐리어(1261)가 감기 장치(1030)로 향해 전진할 때에는, 에어 실린더(1262)에 의해 캐리어(1261)가 들어 올려지고, 캐리어(1261) 후단(도 30의 좌단)의 클릭(1261a)이 가이드 레일(1260)에 받아 들여진 블랭크(63')와 맞물린다. 그러므로, 캐리어(1261)의 전진에 따라 블랭크(63')가 휠(1251)로부터 송출된다. 캐리어(1261)가 휠(1251)측으로 되돌아갈 때는 캐리어(1261)가 하강한다. 이에 따라, 클릭(1261a)은 휠(1251)의 다음 회전에 의해 가이드 레일(1260) 상으로 떨어져 오는 다음의 블랭크(63')와 간섭하지 않고 그 블랭크(63')의 내주측으로 되돌아간다.
클릭(1261a)에 의해 휠(1251)로부터 꺼내진 블랭크(63')는, 다음에 캐리어(1261)가 전진할 때 그 선단의 클릭(1261b)과 맞물려 감기 장치(1030)의 바로 위까지 보내진다. 이 때, 블랭크(63')는 소정의 위치 결정 기준면(도시 하지 않음)에 맞부딪혀 중심선(CL) 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캐리어(1261)의 왕복 운동 주기는 턴테이블(1013)의 간헐적인 회전 운동 주기와 동일하다. 턴테이블(1013)이 회전하여 슬리브(63)가 감겨있지 않은 맨드릴(1014)이 감기 장치(1030)의 바로 위로 풀려 나올 때, 캐리어(1261)가 전진하여 감기 장치(1030)에 블랭크(63')가 공급된다.
도 32는 감기 장치(1030)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감기 장치(1030)는 프레임(1011)에 고정된 베이스(1031)와, 그 베이스(1031)에 축(1310)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암(1032, 1032)과, 이들 암(1032, 1032)을 축(1310)의 주위로 구동하는 구동 기구(1033)와, 축(1310)에 서로 겹치도록 하여 베이스(1031)에 장착된 센터 누름 장치(1034)를 가지고 있다. 암(1032)에는, 맨드릴(1014)의 축부(1140) 외주면에 따라 만곡된 내주면(1320a)을 가지는 감기 기구(器具)(1320)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 기구(1033)는 수평의 구동축(1033)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1330)의 축단에는 스프로킷(1330a)이 설치되고, 그 스프로킷(1330a)에는 체인(1126)(도 24 참조)을 통해 구동 장치(1012)의 연속적인 회전 운동이 입력된다. 구동축(1330)으로 인도된 회전은 크랭크 기구(1331, 1331)에 의해 푸시 로드(push rod)(1332, 1332)의 왕복 상하 운동으로 변환된다. 각 푸시 로드(1332)는 베이스(1031)의 가이드(1311)에 의해 상하 방향에만 안내된다.
푸시 로드(1332)의 상단은 핀(1333), 링크(1334), 및 핀(1335)을 통해 암(1032)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푸시 로드(1332)의 상하 운동에 연계되어 암(1032)이 축(1310)을 중심으로 일정한 주기로 요동한다. 암(1032)의 요동 운동 주기는 턴테이블(1013)의 간헐적인 회전 운동의 주기와 동일하다. 센터 누름 장치(1034)는 맨드릴(1014)의 하단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누름 기구(器具)(1340)와, 그 누름 기구(1340)를 맨드릴(1014)의 하단으로 누르는 에어 실린더(1341)를 가지고 있다.
감기 장치(1030)의 상방에 블랭크(63') 및 맨드릴(1014)이 공급될 때, 암(1032)은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블랭크(63')보다 하방으로 후퇴한다. 블랭크(63')가 공급되면, 에어 실린더(1341)에 의해 누름 기구(1340)가 밀어 올려져 블랭크(63')의 중심이 맨드릴(1014)의 하단으로 눌려진다. 계속해서, 암(1032)이 맨드릴(1014)로 향해 회동하여, 블랭크(63')가 서서히 맨드릴(1014)의 몸통부(1140)에 감겨진다. 푸시 로드(1332)가 그 이동 범위의 상단까지 이동하면, 도 32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암(1032)의 감기 기구(1320)가 맨드릴(1014)의 외주를 그 상단을 제외하고 거의 완전히 포위한다. 이에 따라, 블랭크(63')가 몸통부(1140)의 외주에 거의 완전히 감겨진다. 이 때, 블랭크(63')의 단부(63c, 63c)가 맨드릴(1014)의 상단에서 서로 겹쳐져 이음매부(63d)(도 21 참조)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면에 접촉제가 도포된 단부(63c)가, 반대측의 단부(63c)보다 이음매부(63d)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암(1032, 1032)의 동작 타이밍은 약간 어긋난다.
그 후, 푸시 로드(1332)가 하강으로 바뀌어 암(1032)이 맨드릴(1014)로부터 멀어지는 동시에, 에어 실린더(1341)에 의해 누름 기구(1340)가 하방으로 끌어들여진다. 이에 맞춰 턴테이블(1013)이 회전하여 다음의 맨드릴(1014) 및 블랭크(63')가 감기 장치(1030)로 반입된다. 그리고, 푸시 로드(1332)가 재차 상승을 개시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블랭크(63')의 감기가 행해진다.
감기 장치(1030)에서 맨드릴(1014) 상에 형성된 슬리브(63)의 이음매부(63d)는 주 실 장치(1040)에서 맨드릴(1014) 상으로 눌려진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실 장치(1040)는 맨드릴(1014)의 상방에 배치된 에어 실린더(1041)와, 그 에어 실린더(1041)의 가동부(可動部)(1410)에 매달린 인두(1042)를 가지고 있다. 에어 실린더(1041) 및 인두(1042)는 각 맨드릴(1014)에 대하여 하나씩 설치되어 있고, 에어 실린더(1041)는 서포트(1043)를 통해 턴테이블(1013)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 실린더(1041) 및 그곳에 매달린 인두(1042)는 턴테이블(1030)의 구동에 따라 맨드릴(1014)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에어 실린더(1041)의 가동부(1410)는 연직 방향으로 동작 가능하다. 인두(1042)는 맨드릴(1014)의 외주면에 따라 기울어져 있으며, 그 길이는 맨드릴(1014)의 전장과 거의 동일하다. 인두(1042)는 내장하는 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음매부(63d)의 접착을 촉진하기 위해 적절한 온도(예를 들면, 100℃)로 가열된다.
감기 장치(1030)에 의해 맨드릴(1014)에 블랭크(63')가 감겨질 때, 인두(1042)는 에어 실린더(1041)에 의해 맨드릴(1014)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된다. 감기 장치(1030)의 감기 기구(1320)에 의해 블랭크(63')가 맨드릴(1014)에 감겨지면, 그들 감기 기구(1320)가 맨드릴(1014)로부터 떨어지기도 전에 에어 실린더(1041)에 의해 인두(1042)가 이음매부(63d)에 눌려진다. 이에 따라, 이음매부(63d)가 가열되고 또한 눌려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 촉진된다. 인두(1042)에 의한 이음매부(63d)의 가열 및 누름은, 맨드릴(1014)이 슬리브 배출 장치(1080)(도 25 참조)에 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행해진다. 그리고, 맨드릴(1014)이 배출 장치(1080)에 반입되면, 에어 실린더(1041)에 의해 인두(1042)가 맨드릴(1014)의 상방으로 떨어진다.
서포트(1043)의 상부에는, 에어 실린더(1041)에의 압축 에어의 공급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 밸브(1044)가 각 에어 실린더(1041)에 대하여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1044)는 디텐트(detent) 타입의 스풀(도시하지 않음)을 내장한다. 그 스풀의 위치는 방향 전환 밸브(1044)의 양단으로 돌출한 누름 단추(1440, 1441)를 택일적으로 압입(押入) 조작함으로써 전환된다. 누름 단추(1440)가 밀려 넣어졌을 때에는, 에어 실린더(1041)를 하방으로 구동하도록 방향 전환 밸브(1044)의 위치가 변화된다. 누름 단추(1441)가 밀려 넣어졌을 때에는 에어 실린더(1041)를 상방으로 구동하도록 방향 전환 밸브(1044)의 위치가 변화된다. 감기 장치(1030)의 근방에는, 이 방향 전환 밸브(1044)를 압입 조작하기 위한 가동부(1450)를 가지는 에어 실린더(1045)가 설치되어 있다(도 25 참조). 감기 장치(1030)가 맨드릴(1014)에 블랭크(63')를 감는 타이밍에 맞춰 에어 실린더(1045)가 구동되어 그 가동부(1450)가 누름 단추(1440)를 압입 조작한다. 이에 응답하여, 에어 실린더(1041)가 하방으로 구동되어 인두(1042)가 슬리브(63)의 이음매부(63d)에 눌려진다. 또, 도 26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장치(1080)의 근방에는 누름 단추(1441)를 압입 조작하기 위한 로드(1046)가 설치되어 있다. 로드(1046)는 그 선단에 베어링(1460)을 가지고 있다. 맨드릴(1014)이 배출 장치(1080)로 반입될 때, 누름 단추(1441)가 베어링(1460)에 접촉하여 밀려 들어감으로써, 배출 장치(1080)에 의한 슬리브(63)의 배출 조작에 앞서 인두(1042)가 맨드릴(1014)로부터 떨어진다.
도 33은 보조 실 장치(1050)의 요부를 나타내고 있다. 보조 실 장치(1050)는 상하로 나란히 된 한 쌍의 삽입구(揷入具)(1051, 1051)와 이들 삽입구(1051, 1051)를 서로 접리(接離)하도록 구동하는 에어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1052)를 가지고 있다. 액추에이터(1052) 및 이에 지지된 삽입구(1051)는 전술한 구동 장치(1012)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다음과 같이 구동된다.
먼저, 텐테이블(1013)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액추에이터(1052)가 도 33 (B)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때, 액추에이터(1052)에 의해 삽입구(1051, 1051)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 슬리브(63)의 이음매부(63d) 중, 맨드릴(1014)로부터의 돌출부(63e)에 포함되는 부분이 삽입구(1051, 1051)에서 서로 끼워진다. 삽입구(1051)는 내장하는 도시하지 않은 히터에 의해 적당한 온도(주 실 장치(1040)의 가열 온도보다 고온)로 가열된다. 삽입구(1051)에 의한 가열과 가압에 의해 이음매부(63d)의 맨드릴(1014)로부터의 돌출 부분 접착이 촉진된다.
턴테이블(1013)이 회전할 때에는, 도 3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052)에 의해 삽입구(1051)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구동 장치(1012)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액추에이터(1052)는 턴테이블(1013)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일단 후퇴하여 다음의 맨드릴(1014) 반입이 허용된다. 턴테이블(1013)의 회전이 절반을 지나면, 액추에이터(1052)의 동작 방향이 반전되어 삽입구(1051)가 맨드릴(1014)측으로 전진한다. 턴테이블(1013)의 회전이 정지하면 액추에이터(1052)가 도 33 (B)의 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동기하여 액추에이터(1052)가 구동되어 삽입구(1051)에 의한 이음매부(63d)의 끼워넣기가 개시된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 준비 장치(1060)는 맨드릴(1014)과 대향하는 패드(1061)를 가지고 있다. 패드(1061)에는, 전술한 컬을 촉진하는 재료로서, 실리콘액이 함침(含浸)되어 있다. 패드(1061)는 구동 장치(1012)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턴테이블(1013)의 반경 방향으로 구동된다. 텐테이블(1013)이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패드(1061)가 맨드릴(1014) 상의 슬리브(63)로부터 떨어진다. 턴테이블(1013)이 정지하면, 패드(1061)가 슬리브(63)의 돌출부(63e)에 눌려 실리콘액이 도포된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가공 장치(1070A)는 턴테이블(1013)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1071)와, 그 슬라이더(1071)의 턴테이블(1013)과 대향하는 측에 복수의 스프링(1072 …1072)을 통해 장착된 가공 지그(1073)를 가지고 있다. 가공 지그(1073)는 내장하는 도시하지 않은 히터에 의해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170~190℃)로 가열된다. 슬라이더(1071)는 구동 장치(1012)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턴테이블(1013)의 회전에 연계하여 반경 방향으로 반복 구동된다. 턴테이블(1013)이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가공 지그(1073)가 맨드릴(1014) 상의 슬리브(63)로부터 떨어져 있다. 턴테이블(1013)이 정지하면, 가공 지그(1073)가 슬리브(63)의 돌출부(63e)에 눌려진다. 가공 지그(1073)에 의한 가열과 가압에 의해 슬리브(63)의 돌출부(63e)는 서서히 내측으로 컬된다. 그리고, 가공 지그(1073)의 맨드릴(1014)과의 대향면에는, 돌출부(63e)의 컬 방향을 설정하는 홈(1730)이 형성된다.
컬가공 장치(1070B, 1070C)도 컬가공 장치(1070A)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단, 슬리브(63)를 가공 장치(1070A, 1070B, 1070C)에 차례로 반송하는 데 따라 컬부(67a)를 서서히 형성하기 때문에, 각 장치(1070A, 1070B, 1070C)의 가공 지그(1073)의 홈(1730)은 서로 상이하다. 또, 최초의 가공 장치(1070A)의 가공 지그(1073)의 온도는, 다른 가공 장치(1070B, 1070C)의 가공 지그(1073)의 온도보다 높게 설정하면 된다. 가공 장치(1070A)에서는, 슬리브(63)의 돌출부(63e)가 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장치(1070B, 1070C)와 비교하여 저항이 크므로, 가열량을 늘려 가공하기 쉽게 할 필요가 있으며, 그 한편, 가공의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가공 장치(1070B, 1070C)에서는 가열 온도를 저하시켜 슬리브(63)의 인쇄 등에 부여하는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가공 장치(1070A, 1070B, 1070C) 중 최소한 하나에서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공 지그(1073)를 모터(1074)의 출력축(1740)에 장착하여 맨드릴(1014)의 축선 주위로 회전시켜도 된다. 이 경우, 가공 지그(1073)의 가열은 생략해도 된다. 가공 장치(1070A)의 가공 지그(1073)를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슬리브(63)의 돌출부(63e)를 가열하지 않고 컬부(63a)가 발생하도록 절곡 버릇이 생기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최초의 가공 장치(1070A)에서 가공 지그(1073)를 회전시키면, 준비 장치(1060)에서 슬리브(63)의 돌출부(63e)에 도포된 실리콘액이 가공 지그(1073)의 회전에 의해 돌출부(63e)의 전 주위에 균일하게 분배된다.
컬가공 장치(1070C)의 처리에 의해 슬리브(63)가 완성된다. 완성된 슬리브(63)는 슬리브 배출 장치(1080)에 의해 제조 장치(1010)로부터 반출된다.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 배출 장치(1080)는 맨드릴(1014) 상의 슬리브(63)에 그 하방으로부터 롤러(1810)를 눌러 슬리브(63)를 맨드릴(1014)의 측방으로 꺼내는 롤러 기구(1081)와, 롤러 기구(1081)에 의해 꺼내진 슬리브(63)를 받아 내 배출 컨베이어(1082)에 상하로 반전된 상태에서 수도(受渡)하는 수도 기구(1083)를 가지고 있다.
롤러(1810)는 모터(1811)에 의해 일정 속도로 도 36의 시계 반대 방향(화살표 CCW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모터(1811)는 승강대(1812)에 장착되어 있다. 승강대(1812)는 구동 장치(1012)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턴테이블(1013)의 회전에 연계하여 상하 방향으로 반복 구동된다. 턴테이블(1013)이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승강대(1812)가 도 36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하고, 롤러(1810)가 맨드릴(1014)의 하방으로 떨어져 있다. 턴테이블(1013)이 정지하면 롤러(1810)가 맨드릴(1014) 상의 슬리브(63)에 눌리고(도 36의 상상선 참조), 이에 따라 슬리브(63)가 맨드릴(1014)로부터 스크레이프(scrape)되도록 하여 수도 기구(1083)로 보내진다.
수도 기구(1083)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1084)과, 그 구동축(1084)의 축단부(軸端部)(1840)에 장착된 슬리브 지지체(1085)를 가지고 있다. 슬리브 지지체(1085)는 4매의 판재(1850 …1850)를 2매씩 십자형으로 조합하여 2조의 크로스 프레임(1851 …1851)을 형성하고, 각 크로스 프레임(1851)을 중공(中空)의 스페이서(1852 …1852)에 의해 구동축(1084)의 축선 방향에 적당한 간격으로 중합하면서, 스페이서(1852)의 내부를 통과하는 볼트(1853)에 의해 구동축(1084) 상에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크로스 프레임(1851, 1851)에 의해, 슬리브 지지체(1085)에는 4개의 슬리브 받이부(1086 …1086)가 구동축(1084)의 주위 방향으로 90°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1084)은 간헐 구동 기구(1015)로부터 꺼내지는 간헐적인 회전 운동에 의해, 턴테이블(1013)의 회전에 동기하여 도 36의 화살표 R 방향으로 90°씩 회전 구동된다. 턴테이블(1013)이 정지하면, 하나의 슬리브 받이부(1086)가 맨드릴(1014)과 대향하는 위치로 풀려 나오고, 그 슬리브 받이부(1086)의 외주에는 롤러 기구(1081)에 의해 꺼내진 슬리브(63)가 넣어진다. 넣어진 슬리브(63)는 슬리브 받이부(1086)에 의해 내주측으로부터 지지되면서, 슬리브 지지체(1085)의 회전에 따라 구동축(1084)의 주위를 회전한다.
슬리브 지지체(1085) 주위의 일부에는, 슬리브 받이부(1086)에 지지된 슬리브(63)의 낙하를 방지하는 가이드(108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부 받이부(1086)가 바로 아래를 향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가이드(1087)로부터 슬리브(63)가 벗어나 컨베이어(1082) 상으로 낙하한다. 낙하한 슬리브(63)는 컨베이어(1082)에 의해 제조 장치(1010)로부터 반출된다.
전술한 슬리브 제조 장치에서는, 구동 장치(1012)가 제6 발명에 관한 슬리브 제조 장치에서의 반송 장치로서, 컨베이어(1023)가 제1 반송 장치로서, 휠장치(1025)가 반전 장치 및 우회 장치로서, 블랭크 이송 장치(1026)가 제2 반송 장치로서 각각 기능한다.
본 발명의 슬리브 제조 장치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슬리브 제조 장치는, 도 20의 종이컵(61) 슬리브(63)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용기의 외장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가열된 가공 지그에 의한 컬부의 가공은, 도 38에 나타낸 어느 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38 (A)는 슬리브(63)의 소경측 단부에 내향 컬부(63a)를 가공하는 예를, (B)는 슬리브(63)의 소경측 단부에 외향 컬부(63g)를 가공하는 예를, (C)는 슬리브(63)의 대경측 단부에 내향 컬부(63h)를 가공하는 예를, (D)는 슬리브(63)의 대경측 단부에 외향 컬부(63i)를 가공하는 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컵 본체(62)의 컬부도 가열된 가공 지그를 눌러 가공하면 된다.
이상의 슬리브 제조 장치에 의하면, 가열된 가공 지그에 의해 슬리브를 연화시켜 작은 힘으로 컬부를 가공할 수 있으므로, 맨드릴 상의 슬리브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의 제조 불량이 감소하여 수율이 향상된다. 제조 후에 맨드릴로부터 슬리브를 꺼낼 때에도 그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장치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또, 상기 블랭크 공급 장치에 의하면, 블랭크에 도포된 접착제의 여분의 수분을 블랭크 공급 장치 내에서 증발시켜 최적의 접착 강도가 얻어지게 된다. 그 결과, 접착 강도에 부족에 의한 제품 불량의 발생률이 감소된다. 접착제를 블랭크의 하면측에 도포하므로, 상면측으로부터 칠하는 경우보다 롤러열 등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맨드릴의 중심선에 대하여 블랭크 공급 장치를 똑바로 레이아웃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배출 장치에 의하면, 맨드릴 상으로부터 배출된 슬리브의 외주를 받아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슬리브 외주의 인쇄를 손상할 우려가 없고, 슬리브 제조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롤러의 회전 속도를 떨어뜨려 슬리브의 부담을 경감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슬리브를 손상할 우려가 더욱 저하된다.
도 39~도 41은, 도 21에 나타낸 종이컵(61)의 제조 공정 중, 컵 본체(62)에 대한 리브(62d, 62e)의 형성과, 컵 본체(62)에 대한 슬리브(63)의 조립을 행하는 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9는 평면도, 도 40은 도 39의 XXXX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 도 41은 도 40의 XXXXI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이다.
장치(2010)는 공장의 바닥면 상에 설치되는 프레임(2011)과, 프레임(2011) 상에 지지된 턴테이블(2012)과, 턴테이블(2012)을 그 중심선의 주위에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2013)를 가지고 있다. 구동 기구(2013)는, 예를 들면 원동기(2014)의 회전 운동을 체인이나 기어 등의 전달 수단을 사용하여 감속하면서 턴테이블(2012)까지 전달한다. 턴테이블(2012)의 외주에는, 용기 지지구로서 12개의 컵 지지구(2100 …2100)가 주위 방향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컵 지지구(2100)는 컵 본체(62)를 그 내측으로부터 상하로 반전시킨 상태로 지지된다. 상세는 후술한다.
구동 기구(2013)는 1회에 대하여 30°의 비율로 턴테이블(2012)을 도 39의 화살표 F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구동한다. 이에 따라, 턴테이블(2012)의 주위에는 컵 지지구(2100)와 동수의 스테이션(지지구(2100)의 정지 위치)(ST …ST)가 규정된다. 그리고, 몇개인가의 스테이션(ST)에는 컵(61)의 제조에 필요한 장치로서, 컵 공급 장치(2020), 가공 장치(2030A, 2030B), 풀 부착 장치(2040), 슬리브 공급 장치(2050), 슬리브 맞춤 장치(2060), 검사 장치(2070) 및 배출 장치(2080)가 설치되어 있다. 각 장치(2020~2080)는 턴테이블(2012)의 회전 구동에 동기하여 각각의 장치에 할당된 작업을 실행한다. 각 장치의 개략은 다음과 같다.
컵 공급 장치(2020)는 턴테이블(2012)이 정지하여 그 하방으로 빈컵 지지구(2100)가 풀려 나오면, 이에 동기하여 매거진(2021)(도 41 참조)의 하단으로부터 1개의 컵 본체(62)를 꺼내 컵 지지구(2100)에 공급한다. 그리고, 매거진(2021)에 장착되는 컵 본체(62)는 리브(62d, 62e)가 없고, 또한 컬부(62c)가 거의 아주 둥근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가공 장치(2030A, 2030B)는 턴테이블(2012)이 정지하면, 그 전방으로 공급된 지지구(2100) 상의 컵 본체(62)에 대하여 리브(62d 또는 62e)를 형성한다. 또, 가공 장치(2030A)는 컬부(62c)의 가공도 행한다. 풀 부착 장치(2040)는 컵 본체(62)와 슬리브(63)를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64)(도 21 참조)를 컵 본체(62) 외주의 소정 위치에 뿜어 칠한다. 슬리브 공급 장치(2050)는 풀이 붙은 컵 본체(62)의 외주에 슬리브(63)를 공급한다. 슬리브 맞춤 장치(2060)는 컵 본체(62)에 덮힌 슬리브(63)를 컵 본체(62)에 대하여 중심 맞추기하면서 컵 본체(62)의 개구단측으로 밀어넣는다. 검사 장치(2070)는 컵 본체(62)와 슬리브(63)가 바르게 조합되어 있는지 여부, 및 슬리브(63)가 바르게 성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그리고, 배출 장치(2080)는 컵 지지구(2100)로부터 종이컵(61)을 분리하여 장치 밖으로 송출한다.
도 42 및 도 43은 컵 공급 장치(2020)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컵 공급 장치(2020)는 컵 본체(62)를 축적하는 전술한 매거진(2021)과, 매거진(2021)의 하단에 배치된 3개의 취출 롤러(2022 …2022)와, 각 롤러(2022)를 각각의 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 기구(2023)를 가지고 있다. 매거진(2021)은 베이스(2210)의 관통공(2210a) 주위에 6개의 로드(2211 …2211)를 장착하여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컵 본체(62)가 상하 방향으로 반전시킨 상태로 중합하여 수용된다(도 41 참조). 롤러(2022)는 관통공(2210a)으로부터 일부를 돌출시킨 상태로 베이스(2210)에 장착되어 있다(도 43 참조). 매거진(2021)의 하단에 수용된 컵 본체(62)의 컬부(62c)가 롤러(2022)의 상면에 얹혀 매거진(2021) 내의 컵 본체(62)가 상하 방향으로 지지된다.
구동 기구(2023)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2230)와, 그 모터(2230)의 출력축(2230a)에 장착된 1차 풀리(2231)와, 베이스(2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2차 풀리(2232) 및 아이들러(idler)(2233)를 가지고 있다. 풀리(2231, 2232) 및 아이들러(2233) 사이에는 벨트(2234)가 걸려 감기고, 2차 풀리(2232)는 베이스(2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연결축(2235)을 통해 롤러(2022)와 동축에 연결된다.
턴테이블(2012)이 회전하여 빈컵 지지구(2100)가 공급 장치(2020)의 하방으로 풀려 나오면, 모터(2230)의 출력축(2230a)이 소정량 회전 구동된다. 이 회전에 연동하여 각 롤러(2022)는 동일 방향에 동일 속도로 일정량 회전한다. 롤러(2022)가 회전하면, 이들 롤러(2022) 상에 지지되어 있던 컵 본체(62)의 컬부(62c)가 각 롤러(2022)의 외주에 형성된 나선홈(2220)에 맞물리고, 이에 따라 컵 본체(62)가 매거진(2021)으로부터 꺼내져, 관통공(2210a)으로부터 그 하방의 컵 지지구(2100)로 공급된다.
도 44는 가공 장치(2030A) 및 컵 지지구(2100)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컵 지지구(2100)는 턴테이블(2012)의 외주에 장착되어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2101)과, 그 지지축(2101)의 외주에 장착된 회전통(회전체)(2102)과, 그 회전통(2102)의 외주에 장착된 스페이서(2103) 및 칼라(collar)(2104, 2105)를 가지고 있다. 회전통(2102)은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해 지지축(2101)에 장착되어 지지축(2101)의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칼라(2104, 2105)는 회전통(2102)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회전통(2102)의 하단에는 컬받이 부재로서 기능하는 원반형의 휠(2106)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휠(2106)의 상면에 컵 본체(62)의 컬부(62c)가 접촉하여 컵 본체(62)가 상하 방향으로 지지된다. 칼라(2104, 2105)의 외주에는 플랜지(2104a, 2105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2104a, 2105a)의 외주는 리브(62d), 리브(62e)의 형성 위치에서 컵 본체(62)의 몸통부(62a)에 거의 접촉하고, 이에 따라, 컵 본체(62)가 반경 방향으로 지지된다. 즉, 플랜지(2104a, 2105a)는 각각 측벽받이 부재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지지축(2101)의 상단은 회전통(2102)의 상방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지지축(2101)의 중심에는 지지축(2101)을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에어 유로(流路)(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도 44 및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공 장치(2030A)에는 컵 지지구(2100)에 장착된 컵 본체(6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 기구(2031)와, 그 회전 중의 컵 본체(62)를 플랜지(2105a)에 눌러 리브(62e)를 가공하기 위한 리브 가공 기구(2032)와, 가공 중의 컵 본체(6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기구(2033)와, 컬부(62c)를 휠(2106)에 눌러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시키는 컬부 가공 기구(2034)가 설치된다.
회전 구동 기구(2031)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2310)와, 이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구동 휠(2311)을 구비하고 있다. 턴테이블(2012)이 회전하여 컵 지지구(2100)가 가공 장치(2030A)의 전면으로 풀려 나오면, 구동휠(2311)이 컵 지지구(2100)의 휠(2106)에 접촉하여 컵 지지구(2100)의 회전통(2102)이 지지축(2101)의 주위로 회전 구동된다.
리브 가공 기구(2032)는 형구동 수단으로서의 에어 실린더(2320)와, 그 에어 실린더(2320)에 의해 컵 지지구(2100)의 반경 방향으로 구동되는 형 누름 롤러(형누름 부재)(2321)를 구비하고 있다. 형 누름 롤러(2321)는 에어 실린더(2320)의 피스톤 로드(2320a)에 장착된 홀더(2322)에 의해 연직 방향의 축(2323)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6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 누름 롤러(2321)의 외주에는 플랜지(2105a)의 외주와 상보적(相補的)인 단면 형상을 가지는 오목(凹)홈(2321a)이 형성되어 있다.
컵 지지구(2100)의 회전통(2102)이 회전 구동 기구(2031)에 의해 회전 구동 되면, 이에 동기하여 에어 실린더(2320)에 의해 형 누름 롤러(2321)가 구동되어 컵 본체(62)의 몸통부(62a)에 눌려진다. 이에 따라, 도 46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62a)의 일부가 플랜지(2105a)와 형 누름 롤러(2321)와의 사이에 끼워져 몸통부(62a)에 리브(62e)가 서서히 형성된다. 형 누름 롤러(2321)가 몸통부(62a)를 최소한 일주하면 형 누름 롤러(2321)가 컵 본체(62)로부터 떨어져 리브(62e)의 가공이 종료된다.
이탈 방지 기구(2033)는 에어 실린더(2330)와, 그 에어 실린더(233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는 이탈 방지 플레이트(2331)를 구비하고 있다. 이탈 방지 플레이트(2331)는 에어 실린더(2330)의 피스톤 로드(2330a)에 베어링(2332)을 통해 장착되며, 피스톤 로드(2330a)의 중심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리브 가공 기구(2032)의 형 누름 롤러(2321)가 컵 본체(62)로 향해 구동되면, 이에 동기하여 이탈 방지 플레이트(2331)가 하방으로 구동되어 컵 본체(62)의 실굽(62g)(도 20 참조)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리브 가공 기구(2032)에 의한 리브(62e)의 형성 중, 컵 지지구(2100)에 대한 컵 본체(62)의 부상(浮上)이 방지된다. 리브(62e)의 형성이 종료되면 이탈 방지 플레이트(2331)가 상방으로 구동된다.
컬부 가공 기구(2034)는 플레스 구동 수단으로서의 에어 실린더(2340)와, 그 에어 실린더(234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는 프레스 부재로서의 프레스 롤러(2341)를 가지고 있다. 에어 실린더(2340)의 피스톤 로드(2340a)에는 롤러 홀더(2342)가 장착되어 있다. 이 롤러 홀더(2342)에 의해, 프레스 롤러(2341)는 지지구(2100) 상의 컵 본체(6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프레스 롤러(2341)와 컬부(62c)와의 접촉 위치는, 형 누름 롤러(2321)와 몸통부(62a)와의 접촉 위치에 대하여 컵 본체(62)의 주위 방향으로 거의 180°어긋나 있다. 바꿔 말하면, 프레스 롤러(2341)와 컬부(62c)와의 접촉 위치는, 형 누름 롤러(2321)와 몸통부(62a)와의 접촉 위치에 대하여 컵 본체(62)의 반경 방향 반대측에 설정되어 있다.
리브 가공 기구(2032)의 형 누름 롤러(2321)가 컵 본체(62)의 몸통부(62a)에 눌릴 때, 이에 동기하여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스 롤러(2341)가 에어 실린더(2340)에 의해 하방으로 구동되어 컬부(62c)에 눌려진다. 이에 따라, 컬부(62c)가 프레스 롤러(2341)와 휠(2106) 사이에 끼워진다. 이 상태로 컵 본체(62)가 회전됨으로써, 컬부(62c)가 도 22에 나타낸 단면 형상으로 서서히 변형된다. 프레스 롤러(2341)가 컬부(62c)를 일주(一周) 이상 하면, 에어 실린더(2340)에 의해 프레스 롤러(2341)가 상방으로 구동되어 컬부(62c)의 가공이 종료된다.
그리고, 프레스 롤러(2341)는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설치해도 된다. 프레스 롤러(2341)를 모터 등의 구동 수단으로 회전 구동해도 된다. 프레스 롤러(2341)를 에어 실린더(3440) 이외의 형구동 수단으로 구동해도 된다. 단, 에어 실린더(2340)를 프레스 구동 수단으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컵 본체(62)의 몸통부(62a) 접합 부분으로 연결되는 컬부(62c)의 단차를 프레스 롤러(2341)가 타고 넘을 때, 에어 실린더(2340)의 내부에 비축된 공기가 피스톤 로드(2340a)에 대하여 쿠션으로서 작용하여 프레스 롤러(2341)를 컬부(62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소량 변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컬부(62c)의 단차 부분에 과잉의 누름력이 작용하지 않아, 컬부(62c)가 필요 이상으로 찌부러질 우려가 없다. 따라서, 에어 실린더(2340) 이외의 수단으로 프레스 롤러(2341)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스프링 등을 그 구동력의 전달 경로에 개재시킴으로써, 프레스 롤러(2341)가 컬부(62c)의 단차를 타고 넘을 때의 변위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 장치(2030B)는 리브 가공 기구(2032)의 형 누름 롤러(2321)가 컵 본체(62)를 플랜지(2104a)에 눌러 리브(62d)를 형성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점, 및 컬부 가공 기구(2034)가 생략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가공 장치(2030A)와 동일하다. 그리고, 리브(62d)는 컵 본체(62)의 내측으로 불룩해지기 때문에, 도 4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공 장치(2030B)의 형 누름 롤러(2321)의 외주에는 리브(62d)를 형성하기 위한 돌부(2321b)가, 플랜지(2104a)의 외주에는 그 돌부(2321b)와 상보적인 단면 형상을 가지는 오목홈(2104b)이 각각 형성된다.
도 49는 풀 부착 장치(2040)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풀 부착 장치(2040)는 컵 본체(62)의 몸통부(62a) 접착 범위(BD)로 향해 접착제(64)(도 21 참조)를 뿜어 칠하는 스프레이 건(spray gun)(2041)과, 그 스프레이 건(2041)의 노즐(2410)로부터 접찹제(64)가 정상적으로 스프레이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204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49에서는 컵 본체(62)의 컬부(62c)를 진원형(眞圓形)으로 간략화하여 묘사하고 있다.
검사 장치(2042)는 노즐(2410)과 컵 본체(62)의 몸통부(62a)와의 사이에 설정된 촬영 범위(2420)에서의 스프레이 패턴을 촬영하는 카메라(2421)와, 그 카메라(242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2422)와, AD 변환기(2422)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소정의 연산을 행하는 연산 회로(2423)와, 그 연산 회로(2423)의 연산 결과에 따라 스프레이 패턴의 양부(良否)를 판정하는 판정 회로(2424)와, 그 판정 회로(2424)의 판정 결과를 표시하는 모니터(2425)를 가지고 있다.
스프레이 건(2041)으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제(64)가 백색이기 때문에, 촬영 범위(2420)의 배후에는 흑색의 배경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AD 변환기(2422)에서, 카메라(2421)로부터 출력되는 촬영 범위(2420)의 화상 데이터가 적당한 임계값으로 2치화(値化)됨으로써, 배경판의 상(像)이 흑, 접착제(64)의 상이 백으로서 구별되어 연산 회로(2423)에 입력된다. 연산 회로(2423)는 카메라(2421)가 촬영한 촬영 범위(2420)의 화상 내에 차지하는 백색 부분의 비율을 연산한다.
여기에서, 노즐(2410)로부터 불적절한 방향으로 접착제(64)가 토출된 경우를 불량으로서 검출하기 위해, 촬영 범위(2420)는 접착제(6420)가 옳바른 토출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어긋났을 때 백색 부분의 면적이 줄도록 스프레이 폭보다 약간 큰 정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노즐(2410)로부터 적정량의 접착제(64)가 적정한 방향으로 토출된 경우에는 연산 회로(2423)에서 연산되는 백색 부분의 비율이 적정 범위로 되고, 그 이외인 때에는 백색 부분의 비율이 부족하거나 또는 과잉이 된다. 그리고, 판정 회로(2424)는 백색 부분의 비율이 소정의 허용 범위에 있으면 스프레이 패턴이 양호하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프레이 패턴이 불량이라고 판정한다. 스프레이 패턴이 불량이라고 판정된 경우, 그 시점에서 풀 부착 장치(2040)에 공급되어 있는 컵 본체(62)는 후방의 NG품 배제 장치에 의해 컵(61)의 생산 라인으로부터 배제된다.
그리고, 노즐(2410)에 부착한 접착제(64)나 컵 본체(62)가 촬영 범위(2420)에 포함되면 검출 오차로 되기 때문에, 촬영 범위(2420)는 양자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 부착 장치(2040)에는 컵 지지구(2100)의 회전통(2102)을 회전시키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가공 장치(2030B)로부터 풀 부착 장치(2040)로 컵 지지구(2100)가 반송된 후, 잠시 동안은 타성에 의해 회전통(2102)이 회전되고 있어, 그 타성 회전을 이용하여 접착 범위(BD) 전 주위에 균등하게 접착제(64)를 뿜어 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 공급 장치(2050)는 슬리브(63)를 상하로 반전시킨 상태로 반송하는 컨베이어(2051)와, 그 컨베이어(2051)의 종단에 설치된 한 쌍의 셔터 기구(2052, 2052)와, 압출 기구(2053)를 가지고 있다. 셔터 기구(2052)는 컨베이어(2051)의 종단 배출구(2510) 상에 돌출하도록 지지된 한 쌍의 셔터(2520, 2520)를 에어 실린더(2521, 2521)에 의해 컨베이어(2051)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작시켜 배출구(2510)를 개폐한다. 압출 기구(2053)는 에어 실린더(2530)와, 그 피스톤 로드(2530a)에 장착된 원반형의 압출 부재(253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50 (A)는 단면도이고, (B)는 컨베이어(2051)의 종단 부근의 평면도이다.
풀 부착 장치(2040)로 접착제(64)가 도포된 컵 본체(62)가 턴테이블(2012)의 회전에 의해 배출구(2510)의 바로 아래까지 반송되면, 에어 실린더(2521, 2521)에 의해 셔터(2520, 2520)가 열리는 동시에, 에어 실린더(2530)가 기동(起動)되어 압출 부재(2531)가 하방으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2051)의 종단까지 반송된 슬리브(63)가 하방으로 압출되어, 컵 지지구(2100)에 지지된 컵 본체(62)의 외주에 덮이도록 낙하된다. 슬리브(63)의 공급 후, 셔터(2520, 2520)는 순식간에 닫힌다. 압출 부재(2531)는 셔터(2520)보다 아래까지는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압출 부재(2531)와 셔터(2520)가 간섭할 우려는 없다.
도 51은 슬리브 맞춤 장치(2060)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슬리브 맞춤 장치(2060)는 컵 지지구(2100) 상에 지지된 컵 본체(62)의 실굽(62g)과 대향하여 배치된 맞춤 지그(2061)와, 그 맞춤 지그(2061)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에어 실린더(2062)를 가지고 있다.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춤 지그(2061)는 하단이 개구되는 원통형의 지그 본체(2610)와, 그 지그 본체(2610)의 중심에 장착되는 안내축(2611)과, 지그 본체(2610)의 중공부(2610a)에 수용되고, 안내축(2611)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원반형의 중심 맞추기 부재(2612)와, 안내축(2611)의 외주에 장착되어 중심 맞추기 부재(2612)를 안내축(2611) 하단의 스토퍼(2611a)에 누르는 코일 스프링(2613)을 가지고 있다. 지그 본체(2610)의 하단에는 플랜지(2610b)가 형성되어 있다. 중심 맞추기 부재(2612)의 하단 외주에는, 테이퍼면형의 중심 내기면(2612a)과, 그 중심 내기면(2612a)의 기단(基端)(도면에서는 상단)을 에워싸도록 형성된 단부(段部)(2612b)가 배치되어 있다. 안내축(2611)의 상단에는 확대부(2611b)가 형성되고, 그 확대부(2611b) 및 지그 본체(2610)가 에어 실린더(2062)의 가동부(2620)(도 51 참조)에 고정된다.
턴 테이블(2012)의 회전에 의해, 슬리브 맞춤 장치(2060)의 하방에 컵 본체(62) 및 슬리브(63)가 풀려나오면, 에어 실린더(2062)가 기동되어 맞춤 지그(2061)가 하방으로 구동된다. 이 단계에서, 중심 맞추기 부재(2612)는 중심선(CL)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2611a)에 눌려, 그 외주의 중심 내기면(2612a) 및 단부(2612b)가 지그 본체(2610)의 플랜지(2610b) 하방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도 52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63)가 컵 본체(62)에 대하여 중심이 어굿난 상태로 덮여 컬부(63a)가 컵 본체(62)의 실굽(62g)에 얹혀 있어도, 먼저, 중심 맞추기 부재(2612)의 중심 내기면(2612a)이 컬부(63a)에 접촉하여 슬리브(63)가 컵 본체(62)와 중심 맞추기된다.
그 후, 맞춤 지그(2061)가 더욱 하강함으로써, 단부(2612b)가 컵 본체(62)의 실굽(62g)에 충돌하여 중심 맞추기 부재(2612)가 지그 본체(2610) 내로 밀려 들어온다. 그리고, 지그 본체(2610)의 플랜지(2610b)가 슬리브(63)의 컬부(63a)와 접촉하여, 슬리브(63)가 컵 본체(62)의 컬부(62c)측으로 적정량만큼 밀려 들어온다. 이에 따라, 컵 본체(62)와 슬리브(63)가 접착 범위(BD)에서 확실하게 접촉하여 양자가 옳바르게 접합된다. 중심 맞추기 지그(2061)가 소정 위치까지 강하하면, 다음의 컵 본체(62)와 슬리브(63)와의 조합에 대비하여 중심 맞추기 지그(2061)가 원래의 위치까지 끌어 올려진다. 그리고, 슬리브(63)의 컬부(63a)를 컵 본체(62)의 실굽(62g)보다 상방(컬부(62c)측)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중심 맞추기 부재(2612)를 지그 본체(2610) 내로 최대한으로 밀어 넣었을 때 단부(2612b)는 플랜지(2610b)보다 상방으로 후퇴한다.
도 53은 검사 장치(2070)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검사 장치(2070)는 회전 구동 기구(2071)와, 슬리브(63)가 컵 본체(62)에 대하여 옳바르게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투과형의 포토센서(2072)와, 슬리브(63)가 옳바르게 조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레이저 측거(測距) 센서(2073)를 가지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2071)는 전술한 가공 장치(2030A)와 동일하며, 모터(2710)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휠(2711)을 컵 지지구(2100)의 휠(2106)에 접촉시켜 컵 지지구(2100)의 회전통(2102)을 회전시킨다.
포토센서(2072)는 컵 본체(62)의 반경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발광부(2720)와, 수광부(2721)를 가지고 있다. 발광부(2720)는 컵 본체(62)의 실굽(62g)으로 향해 소정 폭의 띠형 검사광(도면 중의 해칭 부분)을 사출한다. 수광부(2721)는 그 검사광의 수광량에 따른 신호를 판정 장치(2074)에 출력한다. 전술한 맞춤 장치(2060)에 의한 슬리브(63)의 중심 맞추기가 실패하면, 슬리브(63)가 실굽(62g)으로부터도 돌출하여 발광부(2720)로부터의 검사광이 정상의 경우보다 크게 차단된다. 그래서, 판정 장치(2074)는 수광부(2721)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검사광의 수광량 변화를 감시하여, 그 변화가 소정의 허용 범위보다 크면 슬리브(63)의 조립 불량이라고 판정하여 모니터(2075)에 그 결과를 표시한다.
또, 레이저 측거 센서(2073)는 슬리브(63)의 외주로 향해 가늘게 조여진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이 검출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슬리브(63)가 플랜지(3')의 접합 실패 등에 의해, 소정의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외주에 왜곡이 생기기 때문에, 레이저광이 되튀어오를 때까지의 시간이 슬리브(63)의 회전에 따라 크게 변동하게 된다. 그래서, 판정 장치(2074)는 레이저광의 반사가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 변화를 감시하고, 그 변화가 소정의 허용 범위보다 크면 슬리브(63)의 성형 불량이라고 판단하여 모니터(2075)에 그 결과를 표시한다.
검사 장치(2070)에서 슬리브(63)의 조립 또는 성형이 불량하다고 판단된 경우, 그 시점에서 검사 장치(2070)에 공급되어 있는 컵(61)은 후방의 NG품 배제 장치에 의해 컵(61)의 생산 라인으로부터 배제된다.
도 54 및 도 55는 배출 장치(2080)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배출 장치(2080)는 기어 박스(2081)와, 이 기어 박스(2081)의 출력축(281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매거진(2082)을 가지고 있다. 매거진(2082)에는 컵(61)이 끼워맞추기 가능한 테이퍼공(2080a)을 가지는 포트(2820)가, 매거진(2082)의 회전 방향에 90°씩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기어 박스(2081)의 입력축(2811)에는 스프로킷(2812)이 장착되어 있다. 스프로킷(2812)은 체인(2840) 등을 조합한 전달 기구(2084)를 통해 턴테이블(2012)의 구동 기구(2013)와 연결되어 있다(도 40 및 도 41 참조). 턴테이블(2012)이 30°회전 구동되면, 매거진(2082)이 도 54의 화살표 R 방향으로 90°회전하여 빈 포트(2820)가 컵 지지구(2100)의 바로 위로 풀려 나오도록 턴테이블(2012)의 회전과 매거진(2082)의 회전이 관련되어 있다.
포트(2820)의 바로 아래에는, 컵 지지구(2100)의 지지축(2101) 중심선 상에 형성된 에어 유로의 하단 개구부와 접속되어 그 에어 유로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2101) 내에 공급된 압축 공기는 지지축(2101)의 상단으로부터 불기 시작하여 컵(61)을 그 상방으로 풀려 나온 포트(2820)의 테이퍼공(2820a)으로 이송한다. 이에 따라, 컵 지지구(2100)로부터 포트(2820)로 컵(61)이 옮겨진다.
포트(2820)에 지지된 컵(61)은 매거진(2082)이 90°씩 3회전 함으로써 컵 집적 장치(2085)로 보내진다. 컵 집적 장치(2085)는 컵(61)의 컬부(62c)와 맞물리는 클릭(2850)을 액추에이터(2851)에서 수평 방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컵(61)을 포트(2820)로부터 꺼내 매거진(2853) 내에 집적시킨다.
그리고,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거진(2082)의 컵 집적 장치(2085)에 대하여 매거진(2082)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 위치에는 컵(61)의 내면 검사 장치(2090)가 설치된다. 내면 검사 장치(2090)는 포트(2820)에 지지된 컵(61)의 내면을 링형의 조명등(2091)으로 조사하면서 그 화상을 카메라(2092)로 촬영하고, 카메라(209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 장치(2093)로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컵(61) 내면의 오염이나 형상 불량의 유무를 검사한다.
전술한 단열 용기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턴테이블(2012) 및 구동 기구(2013)가 제7 발명의 제조 장치에서의 반송 장치로서, 회전 구동 기구(2031)가 회전 구동 수단으로서, 리브 가공 기구(2032)가 리브 가공 장치로서, 컬부 가공 기구(2034)가 컬가공 장치로서, 에어 실린더(2062)가 지그 구동 수단으로서, 검사 장치(2070)가 조합 검사 장치 및 슬리브 검사 장치로서, 포토센서(2072)가 높이 정보 검출 수단으로서, 레이저 측거 센서(2073)가 거리 정보 검출 수단으로서, 판정 장치(2074)가 판정 수단 및 성형 판정 수단으로서, 컵 지지구(2100)가 용기 지지구로서, 회전통(2102)이 회전체로서, 플랜지(2610b)가 압입부(押入部)로서 각각 기능한다. 또, 제8 발명과의 대비에 있어서, 회전 구동 기구(2031)가 회전 구동 수단으로서, 컵 지지구(2100)가 용기 지지구로서, 회전통(2102)이 회전체로서, 플랜지(2105a)가 측벽받이 부재로서, 휠(2106)이 컬받이 부재로서, 에어 실린더(2320)가 형구동 수단으로서, 형 누름 롤러(2321)가 형누름 부재로서, 에어 실린더(2340)가 프레스 구동 수단으로서, 프레스 롤러(2341)가 프레스 부재로서 각각 기능한다.
본 발명의 용기 제조 장치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리브 가공 기구(2032)와 컬부 가공 기구(2034)는 따로따로의 스테이션에 설치해도 된다. 검사 장치(2042나 70)는 생략해도 된다.
이상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컬부 가공이나 측벽에 대한 리브 등의 가공과, 이들의 가공을 받은 용기 본체와 슬리브의 접합이 동일 장치 내에서 계속하여 행해지므로, 단열 용기를 효율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슬리브 맞춤 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슬리브와 용기 본체와의 중심 어긋남에 의한 조합 불량을 해소하여 단열 용기를 제조할 때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리브와 용기 본체와의 조합 양부나, 슬리브의 성형 양부, 접착제의 뿜어 칠하기 상태에 대한 양부를 검사하는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85)

  1. 상부가 개구되는 통형(筒形)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부를 막는 저부(底部)를 가지고, 최소한 내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 형성된 종이컵 본체와,
    상기 종이컵 본체의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장착된 종이 슬리브(sleeve)를 구비한 단열 용기로서,
    상기 종이컵 본체는 상기 몸통부 상단의 개구부 외경(外徑)이, 상기 종이컵 본체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 본체에는, 상기 몸통부를 주회(周回)하는 방향으로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상기 몸통부를 연속하여 주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상기 몸통부를 단속(斷續)하여 주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슬리브는 하단부에 내향 컬(curl)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가 상기 몸통부 하부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는 단열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에 단열 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단열 용기.
  7. 내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코트되고, 상방 개구 에지에 외향 컬(curl)부가 형성된 바닥이 있는 종이컵 본체와, 역원추 사다리꼴형의 종이 슬리브가 조합되어, 상기 종이컵 본체의 몸통부 외면과 상기 종이 슬리브의 내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로서,
    상기 종이 슬리브의 측벽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대략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절곡선과 상기 절곡선의 양단부를 잇는 절삭선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절곡선에 의해 외측으로 되접어 꺾기 가능한 최소한 한 쌍의 손잡이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선이 상기 측벽 주위 방향의 2점을 잇는 최단 거리의 직선인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선이 하방으로 만곡(彎曲)되어 있는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선의 도중에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분 주변의 일부에 절결(切缺)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
  12.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분의 선단부가 작은 절곡선에 의해 되접어 꺾기 가능한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
  13. 제7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선의 양단부가 아르(R)를 그리고 종결되어 있는 손잡이 부분 부착 단열 용기.
  14.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sheet)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에서는,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단면(斷面)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재의 선단 방향이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에 따르는 상향 방향을 넘을 때까지, 상기 슬리브재가 말려 들어가고 있는 단열 용기.
  15.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로 말려 들어가는 상기 슬리브재의 선단은 상기 내향 컬부에서의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에 가장 접근한 부위보다 용기 외측에 위치하는 단열 용기.
  16. 측벽,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그 하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실굽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로 말려 들어가는 상기 슬리브재의 선단과, 상기 슬리브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간극을 1mm 이하로 하는 단열 용기.
  17. 측벽,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그 하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실굽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로 말려 들어가는 상기 슬리브재의 선단과, 상기 슬리브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간극을 상기 실굽의 두께보다 작게 하는 단열 용기.
  18. 측벽,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그 하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실굽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단면(斷面)에 대하여, 상기 실굽이 상기 측벽의 외면을 연장한 직선보다 용기 내측에 위치하게 되도록 상기 실굽이 쓰러져 넣어 있는 단열 용기.
  19. 측벽,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그 하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실굽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실굽의 버르(burr)를 용기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단열 용기.
  20. 측벽,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그 하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실굽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실굽 하단의 외주 위치는 상기 내향 컬부에서의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에 가장 접근한 부위보다 상기 용기 본체 중심선 근처에 위치하는 단열 용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실굽 하단의 외주 위치와, 상기 내향 컬부에서의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에 가장 접근한 부위와의 사이의 변위량은, 상기 용기 본체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0.01~1mm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단열 용기.
  22. 측벽,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와, 상기 부위로 마주 향하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0.01~1mm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단열 용기.
  24.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은 상기 슬리브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열 용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단열 용기.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그 하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실굽이 형성되고,
    상기 실굽의 하단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을 구성하는 단열 용기.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은, 상기 슬리브의 하단에 대하여 0.01~5mm의 돌출량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열 용기.
  28.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에 대하여, 상기 측벽은 상기 접착부에 대향하는 부위가 상기 부위의 하방 부위의 연장선에 대하여 용기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29.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에 대하여, 상기 측벽은 상기 접착부에 대향하는 부위가 상기 슬리브재에 따르도록 만곡(彎曲)되어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30.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접착부가 상기 측벽에 따르도록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31.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외향 컬부 바로 아래에서의 외경(外徑)과, 상기 외향 컬부 바로 아래로 대향하는 부위에서의 상기 슬리브의 내경(內徑)과의 차가 -1.0~+0.5mm의 범위로 되도록 형성된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슬리브를 상기 접착부를 통해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단열 용기.
  32.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의 상단은 상기 외향 컬부의 하단으로부터 용기 본체의 중심선 방향에 따라 1mm 이상 하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는 단열 용기.
  33.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는 용기 본체의 중심선 방향에 대하여 3mm 이상의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34.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측에는 용기의 외측으로 향해 컬되어 이루어지는 외향 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의 상단은 상기 슬리브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단열 용기.
  35. 측벽,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에서의 상기 슬리브재의 곡률 반경이 0.6~2.0mm의 범위로 설정되는 단열 용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반경이 1.1~1.5mm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단열 용기.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재로서 종이가 사용되고 있는 단열 용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의 평량(坪量)이 150~400g/㎡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단열 용기.
  39.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향 컬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상기 슬리브재 표면에는 마찰 저감층이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저감층으로서 셀룰로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는 단열 용기.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저감층으로서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는 단열 용기.
  42.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저감층으로서 인쇄면을 보호하기 위한 오버프린트 니스가 사용되고 있는 단열 용기.
  43. 제3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저감층은 상기 슬리브재의 용기 외측으로 향한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44.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용기 본체의 주위에 감긴 띠형 슬리브재의 양단부를 서로 중합(重合)하여 접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재에는 그 중합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컷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부는 상기 내향 컬부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그 이외의 영역에 걸쳐 상기 슬리브재를 컷하여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45.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측에 배치된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시트형의 슬리브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는 상기 슬리브재를 용기의 중심측으로 향해 컬시켜 이루어지는 내향 컬부가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향 컬부 및 상기 접착부 사이의 최소한 일부에서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용기 본체의 주위에 감긴 띠형 슬리브재의 양단부를 서로 중합하여 접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재에는 그 중합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컷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부는 상기 내향 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중합 면적을 50% 이상 감소시키도록 상기 슬리브재를 컷하여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컷부는 상기 슬리브재의 상기 양단부 중, 용기 내측에 배치되는 측의 단부(端部)에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47. 제4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컷부는 상기 슬리브재의 코너를 상기 양단부 중의 하나의 단변(端邊)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잘라 놓아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
  48. 개구부의 주변에 컬부가 형성된 측벽과,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저부를 구비하고,
    상기 컬부의 용기 축선 방향의 폭을 「A」, 상기 컬부의 용기 반경 방향의 폭을 「B」, 상기 측벽의 두께를 「t」라고 할 때,
    2t < A < B
    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용기.
  49. 개구부의 주변에 컬부가 형성된 측벽과,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저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일단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컬부의 용기 축선 방향의 폭을 「A」, 상기 컬부의 용기 반경 방향의 폭을 「B」, 상기 측벽의 두께를 「t」라고 할 때,
    2t < A < B
    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용기.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막는 필름형의 덮개재가 접착되고, 상기 덮개재는 상기 컬부에 대하여 박리력이 400~900gf/15mm 폭의 범위로 되는 접착력으로 접착되어 있는 용기.
  51. 제48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종이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
  52. 부채꼴의 블랭크(blank)로부터 단열 용기의 외장(外裝)으로서 사용되는 테이퍼(taper)통형의 슬리브를 성형하는 단열 용기의 슬리브 제조 장치로서,
    상기 슬리브의 내주(內周)에 끼워맞추기 가능한 테이퍼축형의 몸통부를 가지는 맨드릴(mandrel)과,
    상기 맨드릴을 소정의 주회 경로에 따라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주회 경로 상의 소정 위치로 풀려나오는 상기 맨드릴의 바로 아래에, 상기 블랭크를 그 일단부(一端部)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여 공급하는 블랭크 공급 장치와,
    상기 블랭크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블랭크를 상기 일단부에 도포된 접착제가 타단부와 겹치도록 하여 상기 맨드릴에 감는 감기 장치와,
    상기 맨드릴 상에서 형성된 상기 슬리브의 이음매부를 상호 누르는 실(seal)장치와,
    상기 주회 경로에 따라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맨드릴로부터의 상기 슬리브 돌출부에 가공 지그를 눌러 컬부를 가공하는 복수의 컬가공 장치와,
    상기 컬부가 가공된 상기 슬리브를 상기 맨드릴로부터 분리하는 슬리브 배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컬가공 장치의 최소한 하나는, 상기 가공 지그를 가열하여 상기 슬리브의 상기 돌출부에 누르는 슬리브 제조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컬가공 장치의 최소한 2개가 상기 가공 지그를 가열하여 상기 슬리브의 상기 돌출부에 누르도록 구성되고, 이들 가열되는 가공 지그 중, 상기 반송 경로의 상류측 가공 지그보다 하류측 가공 지그 쪽이 온도가 낮게 설정되는 슬리브 제조 장치.
  54.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컬가공 장치 중, 상기 반송 경로의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는 컬가공 장치는, 상기 가공 지그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슬리브의 상기 돌출부에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슬리브 제조 장치.
  55. 단열 용기의 슬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부채꼴의 블랭크를, 테이퍼축형의 몸통부를 가지는 맨드릴의 바로 아래까지 반송하는 블랭크 공급 장치로서,
    상기 블랭크를 그 접합되어야 할 일단부가 상기 맨드릴의 중심선 방향에 설정된 반송 방향과 평행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반송하는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1 반송 장치에서 반송되는 상기 블랭크의 상기 일단부의 하면측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장치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블랭크를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선의 주위로 회전시켜 상하로 반전시키는 반전 장치와,
    상기 반전된 블랭크를 상기 맨드릴의 상기 중심선에 관해 좌우 대칭의 자세로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
    를 구비하는 블랭크 공급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장치는 상기 회전축선의 주위로 선회 가능한 한 쌍의 휠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휠의 각각에는 상기 제1 반송 장치에서 보내지는 상기 블랭크를 수용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송 장치는 상기 슬릿으로부터 상기 블랭크를 꺼내 상기 맨드릴의 바로 아래까지 반송하는 블랭크 공급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휠이 상기 맨드릴의 상기 중심선에 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각 휠의 상기 슬릿의 내주측 단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블랭크 공급 장치.
  58. 제56항 또는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휠의 각각에는 상기 슬릿이 상기 휠의 주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블랭크 공급 장치.
  59. 제56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장치로부터 상기 휠의 상기 슬릿에 수용된 상기 블랭크가,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면으로부터도 들어 올려지게 하여 상기 제2 반송 장치측으로 보내지도록 상기 휠의 회전 방향이 설정되어 있는 블랭크 공급 장치.
  60. 단열 용기의 슬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부채꼴의 블랭크를, 테이퍼축형의 몸통부를 가지는 맨드릴의 바로 아래까지 반송하는 블랭크 공급 장치로서,
    상기 블랭크를 그 접합되어야 할 일단부가 상기 맨드릴의 중심선 방향에 설정된 반송 방향과 평행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반송하는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1 반송 장치에서 반송되는 상기 블랭크의 상기 일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장치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블랭크를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방향에 대하여 우회시키는 우회 장치와,
    상기 우회 장치로부터 상기 블랭크를 수취하여 상기 맨드릴의 바로 아래까지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
    를 구비하는 블랭크 공급 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장치가 상기 제1 반송 장치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선의 주위로 선회 가능한 한 쌍의 휠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휠의 각각에는 상기 제1 반송 장치에서 보내지는 상기 블랭크를 수용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송 장치는 상기 슬릿으로부터 상기 블랭크를 꺼내 상기 맨드릴의 바로 아래까지 반송하는 블랭크 공급 장치.
  62. 맨드릴의 테이퍼축형 몸통부에 감겨진 상기 슬리브를 상기 맨드릴로부터 분리하는 슬리브 배출 장치로서,
    상기 몸통부 상의 상기 슬리브에 회전 중인 롤러를 눌러 상기 몸통부의 소경측 단부로부터 상기 슬리브를 탈출시키는 롤러 기구와,
    상기 롤러 기구에 의해 꺼내진 상기 슬리브를 그 내주측으로부터 받아 내는 슬리브받이부를 구비한 슬리브 지지체를 구비하는 슬리브 배출 장치.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지지체는 소정의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며, 그 회전축선의 주위에 상기 슬리브받이부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 배출 장치.
  64. 용기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조합하여 단열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단(端) 에지에 형성된 컬부를 받아들이는 컬받이 부재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을 그 내측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측벽받이 부재를 구비한 용기 지지구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컬부를 상기 컬받이 부재에 눌러 변형시키는 컬가공 장치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을 상기 측벽받이 부재에 눌러 변형시키는 리브 가공 장치와,
    상기 컬가공 장치 및 상기 리브 가공 장치에 의한 가공을 각각 받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장치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에 상기 슬리브를 덮는 슬리브 공급 장치
    를 구비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공급 장치에서 공급된 슬리브를 상기 용기 지지구 상에 지지된 상기 용기 본체로 향해 밀어 넣는 슬리브 맞춤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단열 용기의 제조 장치.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맞춤 장치에 의한 처리 후에,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슬리브와의 조합 양부(良否)를 검사하는 조합 검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단열 용기의 제조 장치.
  67. 제65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맞춤 장치에 의한 처리 후에, 상기 슬리브의 성형 양부를 검사하는 슬리브 검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단열 용기의 제조 장치.
  68.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구를 소정의 반송 경로에 따라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컬가공 장치, 상기 리브 가공 장치, 상기 접착제 도포 장치 및 상기 슬리브 공급 장치가 상기 반송 경로에 따라 설치되어 있는 단열 용기의 제조 장치.
  69. 용기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조합하여 단열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용기 본체를 상하로 반전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용기 지지구와,
    상기 용기 지지구에 지지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에, 당해 용기 본체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슬리브를 덮는 슬리브 공급 장치와,
    상기 용기 본체에 덮힌 상기 슬리브를 상기 용기 본체로 향해 밀어 넣는 슬리브 맞춤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 맞춤 장치는 상기 용기 본체에 덮힌 슬리브의 상단부와 대향하는 맞춤 지그와, 상기 맞춤 지그를 상기 용기 지지구로 향해 구동하는 지그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맞춤 지그에는 상기 슬리브의 상단부에 접촉 가능한 압입부(押入部)를 가지는 지그 본체와, 상기 압입부에 의한 상기 슬리브의 압입에 선행하여 상기 슬리브와 맞물리고, 당해 슬리브를 상기 용기 본체와 중심이 맞도록 반경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중심 맞추기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중심 맞추기 부재는 상기 지그 본체에 대하여 동축 또한 상기 슬리브의 압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중심 맞추기 부재의 상기 슬리브와 대향하는 단부의 외주에는, 상기 슬리브측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중심 내기면이 형성되어 있는 단열 용기의 제조 장치.
  70. 용기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조합하여 단열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하면서 당해 용기 본체의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를 가지는 용기 지지구와,
    상기 용기 지지구 상에 지지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로 향해 접착제를 내뿜는 노즐 수단을 구비한 접착제 도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 도포 장치에는 상기 노즐 수단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벽의 접착 범위와의 사이에 설정된 촬영 범위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영 범위의 화상 내에서의 상기 접착제에 대응한 계조(階調)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상기 접착제의 내뿜기 상태의 양부를 판단하는 판정 수단이 부설되어 있는 단열 용기의 제조 장치.
  71. 용기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가 조합된 단열 용기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로서,
    상기 단열 용기를 상하로 반전시킨 상태에서 그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를 구비한 용기 지지구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용기 지지구 주위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단열 용기의 상단부 높이의 변화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높이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높이 정보 검출 수단이 출력한 정보에 따라 상기 조합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검사 장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정보 검출 수단은 상기 용기 지지구 상에 지지된 상기 단열 용기의 상단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가지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수광부로 향해 소정 폭의 검사광을 조사하는 동시에 상기 수광부로부터 상기 검사광의 수광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검사 장치.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용기 지지구 주위의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단열 용기 슬리브의 외주까지의 거리 변화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거리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거리 정보 검출 수단이 출력한 정보에 따라 상기 슬리브의 성형 양부를 판정하는 성형 판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검사 장치.
  74. 용기의 단 에지에 형성된 컬부의 일부에 대하여 접촉 가능한 프레스 부재와,
    상기 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스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컬받이 부재와,
    상기 프레스 부재와 상기 컬받이 부재 사이에서 상기 컬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프레스 부재 또는 상기 컬받이 부재를 상기 컬부로 향해 구동하는 프레스 구동 수단과,
    상기 프레스 부재와 상기 컬받이 부재에 의해 상기 컬부가 끼워지는 위치가 상기 용기의 주위 방향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프레스 부재 또는 상기 용기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용기의 가공 장치.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컬받이 부재가 상기 컬부를 그 전 주위에 걸쳐 받아들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용기의 가공 장치.
  7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지지구에는 상기 용기를 지지하면서 당해 용기의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컬받이 부재가 상기 회전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하는 용기의 가공 장치.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외주에 접촉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을 가지고 있는 용기의 가공 장치.
  78.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부재가 상기 용기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롤러인 용기의 가공 장치.
  79.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부재와 상기 컬받이 부재에 의해 상기 컬부가 압입(押入)되고 있을 때, 상기 프레스 구동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누름력에 저항하여 상기 프레스 부재 또는 상기 컬받이 부재를 상기 컬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는 용기의 가공 장치.
  80.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구동 수단으로서 에어 실린더를 설치하는 용기의 가공 장치.
  81.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상에는, 상기 용기의 측벽을 그 내면측으로부처 전 주위에 걸쳐 받아들이는 측벽받이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용기 지지구의 측방에는, 상기 측벽받이 부재와 대향하고 또한 상기 측벽의 주위 방향의 일부와 접촉 가능한 형(型)누름 부재와, 그 형누름 부재를 상기 측벽으로 향해 구동하는 형구동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용기의 가공 장치.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부재와 상기 컬부와의 접촉 위치가 상기 형누름 부재와 상기 측벽과의 접촉 위치에 대하여 상기 용기의 반경 방향 반대측에 설정되어 있는 용기의 가공 장치.
  83. 제76항 또는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저측(底側)을 상기 용기 지지구로 향해 누르는 이탈 방지 수단을 형성하는 용기의 가공 장치.
  84.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상기 컬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그 외주에 덮히는 슬리브를 가지는 단열 용기이며, 상기 프레스 부재와 상기 컬받이 부재에 의한 상기 컬부의 가공이 상기 슬리브의 장착 전의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행해지는 용기의 가공 장치.
  85. 용기의 단 에지에 형성된 컬부의 일부를 프레스 부재와 받이 부재로 끼워 넣고, 그 끼워 넣는 위치를 상기 컬부의 주위 방향에 따라 점차 변화시켜 당해 컬부의 전 주위를 소정 형상으로 가공하는 용기의 가공 방법.
KR1020007005370A 1998-09-18 2000-05-17 단열 용기 KR100306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64187 1998-09-18
JP10264187A JP2000085852A (ja) 1998-09-18 1998-09-18 断熱容器
JP98-330303 1998-11-20
JP33030398 1998-11-20
JP98-374531 1998-12-28
JP37453298A JP3311702B2 (ja) 1998-12-28 1998-12-28 容器の加工装置
JP37453198A JP3281324B2 (ja) 1998-12-28 1998-12-28 断熱容器の検査装置
JP98-373662 1998-12-28
JP10373298A JP2000190944A (ja) 1998-12-28 1998-12-28 断熱容器
JP37329998A JP3462411B2 (ja) 1998-12-28 1998-12-28 カール部を有する容器
JP37366298A JP3274425B2 (ja) 1998-12-28 1998-12-28 断熱容器のスリーブ製造装置
JP98-373297 1998-12-28
JP98-373298 1998-12-28
JP98-374532 1998-12-28
JP37329798A JP3291262B2 (ja) 1998-12-28 1998-12-28 断熱容器
JP98-373299 1998-12-28
JP10206799A JP4360708B2 (ja) 1998-11-20 1999-04-09 つかみ片付き断熱容器
JP99-102067 1999-04-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838A Division KR20010034903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40A Division KR100867779B1 (ko) 1998-09-18 1999-09-17 용기들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007013836A Division KR20010034902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34A Division KR20010034900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35A Division KR20010034901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39A Division KR20010034904A (ko) 1998-09-18 1999-09-17 용기
KR1020007013832A Division KR20010034898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33A Division KR100730682B1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37A Division KR100324646B1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855A true KR20000054855A (ko) 2000-09-05
KR100306360B1 KR100306360B1 (ko) 2001-09-24

Family

ID=27577316

Famil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839A KR20010034904A (ko) 1998-09-18 1999-09-17 용기
KR1020007013835A KR20010034901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38A KR20010034903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34A KR20010034900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77016022A KR100891582B1 (ko) 1998-09-18 1999-09-17 용기
KR1020007013833A KR100730682B1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77016027A KR20070087653A (ko) 1998-09-18 1999-09-17 용기
KR1020007013837A KR100324646B1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32A KR20010034898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40A KR100867779B1 (ko) 1998-09-18 1999-09-17 용기들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007013836A KR20010034902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97016544A KR100932327B1 (ko) 1998-09-18 1999-09-17 종이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077005384A KR20070032831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05370A KR100306360B1 (ko) 1998-09-18 2000-05-17 단열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839A KR20010034904A (ko) 1998-09-18 1999-09-17 용기
KR1020007013835A KR20010034901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38A KR20010034903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34A KR20010034900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77016022A KR100891582B1 (ko) 1998-09-18 1999-09-17 용기
KR1020007013833A KR100730682B1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77016027A KR20070087653A (ko) 1998-09-18 1999-09-17 용기
KR1020007013837A KR100324646B1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32A KR20010034898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07013840A KR100867779B1 (ko) 1998-09-18 1999-09-17 용기들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007013836A KR20010034902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KR1020097016544A KR100932327B1 (ko) 1998-09-18 1999-09-17 종이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077005384A KR20070032831A (ko) 1998-09-18 1999-09-17 단열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4) KR20010034904A (ko)
CN (1) CN1128744C (ko)
HK (3) HK1034700A1 (ko)
SG (2) SG117419A1 (ko)
WO (1) WO2000017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18361T3 (es) 2001-01-30 2004-11-16 Seda S.P.A. Envase de carton para bebidas y su procedimiento.
BRPI0601188B1 (pt) 2005-04-15 2018-06-26 Seda S.P.A. Recipiente isolado; método de fabricar o mesmo e aparelho para a fabricação
DE202005014177U1 (de) 2005-09-08 2005-11-17 Seda S.P.A., Arzano Doppelwandiger Becher
EP1785370B2 (en) 2005-11-11 2014-03-12 SEDA S.p.A. Insulated cup
EP1785265A1 (en) 2005-11-14 2007-05-16 SEDA S.p.A. Device for producing a stacking projection on a container wall and container with same
DE202006018406U1 (de) 2006-12-05 2008-04-10 Seda S.P.A. Verpackung
US20100196610A1 (en) * 2007-05-29 2010-08-05 Sheng-Shu Chang Method of container with heat insulating surface layer
DE102008026984A1 (de) * 2008-05-28 2009-12-03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Ltd. Außenmantel für einen doppelwandigen Bech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102008064505B4 (de) * 2008-12-22 2017-02-02 Michael Hörauf Maschinenfabrik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eklebten Hülsen
AU2010268797A1 (en) * 2009-07-06 2012-02-02 Huhtamaki Oyj Cardboard container
US8715449B2 (en) 2011-06-17 2014-05-06 Berry Plastics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n insulated container having artwork
GB2506796B (en) 2011-06-17 2017-03-22 Berry Plastics Corp Insulated container
WO2012174422A2 (en) 2011-06-17 2012-12-20 Berry Plastics Corporation Insulated container with molded brim
BR112013032423A2 (pt) 2011-06-17 2017-01-17 Berry Plastics Corp luva isolante para um copo
SG2014013825A (en) 2011-08-31 2014-07-30 Berry Plastics Corp Polymeric material for an insulated container
KR101113953B1 (ko) * 2011-09-06 2012-03-05 마지훈 안전 컵 홀더
KR20150040344A (ko) 2012-08-07 2015-04-14 베리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컵 성형 공정 및 장치
WO2014066761A1 (en) 2012-10-26 2014-05-01 Berry Plastics Corporation Polymeric material for an insulated container
AR093943A1 (es) 2012-12-14 2015-07-01 Berry Plastics Corp Reborde de un envase termico
AR093944A1 (es) 2012-12-14 2015-07-01 Berry Plastics Corp Troquelado para envase
US9840049B2 (en) 2012-12-14 2017-12-12 Berry Plastics Corporation Cellular polymeric material
US9957365B2 (en) 2013-03-13 2018-05-01 Berry Plastics Corporation Cellular polymeric material
AU2014239318A1 (en) 2013-03-14 2015-10-15 Berry Plastics Corporation Container
US9758655B2 (en) 2014-09-18 2017-09-12 Berry Plastics Corporation Cellular polymeric material
WO2016118838A1 (en) 2015-01-23 2016-07-28 Berry Plastics Corporation Polymeric material for an insulated container
TWI614498B (zh) * 2015-02-02 2018-02-11 國立清華大學 以試劑進行檢測之裝置及其製造方法
KR101905415B1 (ko) * 2016-11-30 2018-11-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컵용기 성형제조용 컬링장치
CN107140275A (zh) * 2017-06-29 2017-09-08 北塘区军之印纸品加工厂 一种纸品杯装置
US11091311B2 (en) 2017-08-08 2021-08-17 Berry Global, Inc. Insulated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9018593A (zh) * 2018-07-20 2018-12-18 浙江森盟包装有限公司 纸容器
WO2021002113A1 (ja) * 2019-07-02 2021-01-07 東罐興業株式会社 紙容器
CN112429411A (zh) * 2019-10-22 2021-03-02 周东海 一种可拆卸折叠式铠袋包装
KR102464799B1 (ko) * 2020-02-25 2022-11-09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음료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6838A (en) * 1938-02-28 1941-12-23 Winn Walter Drive for glass forming machines
JPS5624168Y2 (ko) * 1975-03-12 1981-06-06
JPS5237985A (en) * 1975-09-19 1977-03-24 Jingo Seto Process for making composite moldings of plastic sheets
JPS5894416A (ja) * 1981-12-01 1983-06-04 Mitsubishi Rayon Co Ltd 耐衝撃性に優れた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製熱成形容器
JPS58151236A (ja) * 1982-03-05 1983-09-08 味の素株式会社 複合容器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35853Y2 (ko) * 1985-03-25 1988-02-18
JP2566969B2 (ja) * 1987-07-28 1996-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画像処理装置
JP2571797Y2 (ja) * 1990-08-17 1998-05-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断熱紙カップ
JPH04106217U (ja) * 1991-02-22 1992-09-14 東罐興業株式会社 カツプ状簡易容器
JP2997325B2 (ja) * 1991-03-12 2000-0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容器のカール成形装置
JPH0872850A (ja) * 1994-09-01 1996-03-19 Sigma Shigyo Kk 面子の脱落防止装置
JPH08207969A (ja) * 1994-11-30 1996-08-13 Sanyo Packs Kk 即席食品用断熱容器
US5524817A (en) * 1995-04-04 1996-06-11 Paper Machinery Corporation Dual walled container
JP3671463B2 (ja) * 1995-08-14 2005-07-13 凸版印刷株式会社 断熱カ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902A (ko) 2001-04-25
KR20010034898A (ko) 2001-04-25
KR100867779B1 (ko) 2008-11-10
KR100730682B1 (ko) 2007-06-22
HK1103288A1 (en) 2007-12-14
WO2000017058A1 (fr) 2000-03-30
KR20090095679A (ko) 2009-09-09
KR20010034901A (ko) 2001-04-25
KR20010034904A (ko) 2001-04-25
SG117419A1 (en) 2005-12-29
KR20010034903A (ko) 2001-04-25
KR20070087653A (ko) 2007-08-28
KR100324646B1 (ko) 2002-02-27
KR20010034905A (ko) 2001-04-25
KR20010034900A (ko) 2001-04-25
KR20010025517A (ko) 2001-04-06
KR100891582B1 (ko) 2009-04-03
CN1288427A (zh) 2001-03-21
KR20070032831A (ko) 2007-03-22
HK1096643A1 (en) 2007-06-08
HK1034700A1 (en) 2001-11-02
KR100932327B1 (ko) 2009-12-16
CN1128744C (zh) 2003-11-26
KR100306360B1 (ko) 2001-09-24
KR20010034899A (ko) 2001-04-25
KR20070087652A (ko) 2007-08-28
SG152919A1 (en)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779B1 (ko) 용기들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76190B1 (ko) 단열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9527620B2 (en) Paper wrapped foam cup and method of assembly
CN100551783C (zh) 纸制的隔热容器
US6870145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a microwavable container for food products
WO2007110897A1 (ja) 紙製容器用の紙製蓋
KR200435942Y1 (ko) 단열 용기
KR200422821Y1 (ko) 단열 용기
US10023348B2 (en) Stackable container
CA2792445C (en)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H08310569A (ja) 断熱カップ
TW501996B (en) Container, heat insulating container, heat insulating container with grippers, heat insulating container sleeve preparing apparatus, blank supplying apparatus and sleeve ejecting apparatus for sleeve prepar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container
JP2007302008A (ja) 断熱容器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821

Effective date: 2005032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300013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821

Effective date: 200503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G171 Publication of modified document after post-grant opposition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513

Effective date: 200601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000108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513

Effective date: 200601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513

Effective date: 200601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000108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513

Effective date: 200601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