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240A - 홀을 동시에 드릴링하고 라이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홀을 동시에 드릴링하고 라이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3240A
KR20000053240A KR1019990704217A KR19997004217A KR20000053240A KR 20000053240 A KR20000053240 A KR 20000053240A KR 1019990704217 A KR1019990704217 A KR 1019990704217A KR 19997004217 A KR19997004217 A KR 19997004217A KR 20000053240 A KR20000053240 A KR 20000053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tube
drill
drill bit
jacket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8308B1 (ko
Inventor
요제프 모치프니크
칼 뵘
Original Assignee
요제프 모치브니크
테크모 엔트비클룽스-운트 페어트립스 게엠베하
칼 뵘
"알바크" 투넬아우스바우 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T197896A external-priority patent/AT407895B/de
Priority claimed from AT106597A external-priority patent/AT408472B/de
Application filed by 요제프 모치브니크, 테크모 엔트비클룽스-운트 페어트립스 게엠베하, 칼 뵘, "알바크" 투넬아우스바우 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요제프 모치브니크
Publication of KR2000005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36Percussion drill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4Drill bits characterised by the whole or part thereof being insertable into or removable from the borehole without withdrawing the drilling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20Driving or forcing casings or pipes into boreholes, e.g. sinking; Simultaneously drilling and casing bore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03Machines for drilling anchor holes and setting anchor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21D21/0033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having a jacket or outer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토양 또는 암석 재료를 드릴링, 특히 충격식 드릴링 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하고 토양 또는 암석 재료 내부로 홀을 라이닝하는 방법으로서, 홀(13)이 보링 로드(9)상에 설치된 절삭기(1, 2, 3)에의해 충격식 및/또는 회전식으로 드릴링되고 라이닝이 자켓 튜브(5)에 의해 형성된다. 드릴링하는 동안, 상기 절삭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자켓 튜브(5, 5')는 축방향으로 절삭기에 의해 보오 홀로 유도되고, 드릴링이 완결될때, 절삭기(3)는 보링 로드(9)와 함께 자켓 튜브(5, 5')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토양 또는 암석 재료를 드릴링, 특히 충격식 드릴링 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하고 토양 또는 암석 재료 내부로 홀을 라이닝하는 장치로서, 보링 로드(9)상에 설치된 절삭기(1, 2, 3)가 충격식 및/또는 회전식 드릴링에 의해 보어 홀을 드릴링한다. 절삭기(1, 2, 3)는 반경 방향으로 나누어진다. 보링 로드(9)를 에워싸는 적어도 하나의 자켓 튜브(5, 5')는 상기 절삭기(3)의 외측 원주 주변에서 드릴링 표면으로부터 벗어나서 절삭기(3)의 한단부에 위치되고, 보어 홀(13)의 길이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6)에 의해 절삭기(1)에 형태가 맞추어지게 결합된다.

Description

홀을 동시에 드릴링하고 라이닝하는 방법 및 장치 {PROCESS AND DEVICE FOR SIMULTANEOUSLY DRILLING AND LINING A HOLE}
본 발명은 토양 또는 암석 재료를 드릴링, 특히 충격식 드릴링 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하고 토양 또는 암석 재료의 홀을 라이닝하는 방법에 관한것으로서, 상기 드릴 홀은 드릴 로드 조립체상에 설치된 드릴 비트의 수단이 충격 및/또는 회전 운동함에 의해 형성되고 라이닝은 자켓 튜브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토양 또는 암석 재료를 드릴링, 특히 충격식 드릴링 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하고 토양 또는 암석 재료의 홀을 라이닝하는 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드릴 로드 조립체상에 설치된 드릴 비트는 충격 및/또는 회전 운동에 의해 드릴 홀을 생성한다.
토양 또는 암석 재료를 드릴링, 특히 충격식 드릴링 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하고 토양 또는 암석 재료의 홀을 연속해서 라이닝하는 방법 및 이러한 타입의 장치는 다양한 배치로 공지되어 있다. 이에의해, 드릴 로드 조립체상에 설치된 드릴 비트를 사용함에 의해 전체 길이에 걸쳐 임의로 뻗어있는 홀 또는 보어가 형성되고, 이 드릴 홀은 충격 및/또는 회전 운동에 의해 형성된다. 회전 충격식 드릴링에 있어서, 각각의 충격 응력이 동일하게 가해진후 드릴 비트는 통상적으로 한정된 각만큼 회전되고 퍼쿠션 수단에 의해 다시한번 작용되며, 회전 및 간헐적 충격 방향으로 드릴 비트를 교번적으로 변위시킴에 의해, 회전 운동을 하는 동안 드릴 비트에 의해 덮혀진 표면상에서 규칙적으로 재료가 분해 및 붕괴된다. 전체 길이에 걸쳐 임의로 뻗어있는 드릴 홀안으로 재료가 깨어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보어를 완성한후 본질적으로 매끄럽고 평평한 라이닝을 제공하기 위해서, 예를들어 견고하게 디자인된 자켓 튜브를 사용하면서 예를들어 자켓 튜브에 의해 드릴 비트상의 충격 운동을 자켓 튜브에 가함에 의해 드릴링 또는 전진 작동 장치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필요한 큰 충격 힘을 도입하기 위해 자켓 튜브가 견고하고 두꺼운 벽으로 되어 있어야 하며, 이것에서 부터 자켓 튜브의 벽 두께를 고려함에따라 단면 영역이 증가되어 드릴링 되어져야만 한다. 자켓 벽 두께 만큼 증가된 작업 단면 영역은 특히 경질 암석으로된 보어를 제조하기 위해 연장된 시간을 확보해야 하고 동시에 이에따라 더 크고 견고하게 디자인된 드릴 비트를 필요로 한다.
충격 힘을 도입하는 자켓 튜브를 사용하는 대신에, 그밖에도 다수의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또한 다수의 시간 소요 조작 단계가 드릴 홀을 완성한후 드릴 홀로 부터 드릴 비트를 제거하고 이후에 드릴 홀안으로 라이닝 또는 자켓 튜브를 삽입하는데 소요된다. 이러한 방식의 방법들은 완성된 드릴 홀안으로 재료가 붕괴되는 것을 확실히 배제하는 경우에만 적용될수있으며, 또한, 이에따라 물론 라이닝 또는 자켓 튜브의 연속적인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증가된 단면 영역이 드릴링되어져야만 한다. 큰 길이를 갖는 라이닝 또는 자켓 튜브를 삽입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러한 튜브는 그것의 안전한 도입을 가능하게 하기위해 상대적으로 큰 벽 두께를 갖추어야만 한다. 자켓 튜브의 크기에 맞추어지고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갖는 드릴 비트가 또한 이러한 경우에 사용되어져야만 한다.
라이닝 또는 자켓 튜브를 삽입한후, 예를들어 루우프(roof) 볼트가 자켓 튜브 및 또한 보조적 또는 선택적으로 주변 재료를 고체화시키는 급속 셋팅 재료에 삽입될수도 있다. 선택적으로는, 이러한 라이닝은 도관등을 수용하는데 사용될수도 있거나 또는 구멍을 제공할때, 액체를 수득하여 배출시키는데 사용된다.
토양 또는 암석 재료를 드릴링, 특히 충격식 드릴링 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하고 토양 또는 암석 재료의 홀을 라이닝하는 방법이외에도, 본 발명은 신속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드릴 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자켓 튜브를 삽입할수 있도록 더 개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드릴링하는 동안 자켓 튜브에 필요한 추가의 지출을 최소화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지된 설비와 비교하여 감소된 크기 및 특히 감소된 벽 두께를 갖는 자켓 튜브를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본질적으로 드릴링하는 동안 전진 운동을 하여 드릴 비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자켓 튜브가 응력 작용에 의해 드릴 비트의 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드릴 홀안에 도입되고 드릴링 공정이 완결된후 드릴 비트가 드릴 로드 조립체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켓 튜브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드릴링하는 동안 전진 운동을 하여 단지 축방향으로 응력 작용에 의해 드릴 비트에 연결되어있는 자켓 튜브를 드릴 홀안으로 도입함에 의해, 가능한한 느슨한 암석이 붕괴되어 드릴 홀이 막히는 것을 안전하게 피할수 있도록 동일한 홀을 만들때 드릴 홀의 라이닝이 이미 작용될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보장한다. 드릴 홀안으로 단지 축방향으로 작용하여 드릴 비트 수단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자켓 튜브를 직접 도입함에 의해, 매우 얇은 벽으로된 자켓 튜브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것은 자켓 튜브가 다음과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임의의 힘을 흡수하여 전달하지 않기 때문이며, 예를들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충격 힘은 견고한 자켓 튜브에 의해 드릴 비트상에 가해지며, 가능한한 느슨한 암석에 의해 야기된 만곡 또는 단면 감소를 안전하게 피하게 하기 위해 단지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어야만 한다. 보어를 완성시킨후 드릴 홀내의 자켓 튜브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고서 드릴 로드 조립체와 함께 드릴 비트를 간단하게 제거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또한 본 발명은 드릴 로드 조립체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켓 튜브로부터 드릴 비트를 제거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예를들어 드릴 비트는 중앙 부분 및 실질적으로 원형 방식으로 중앙 부분을 에워싸는 외부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중앙 부분이 탈착될때, 이 드릴 비트의 주요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자켓 튜브의 내부를 통해 드릴 로드 조립체와 함께 드릴 홀로부터 제거될수 있도록 한다.
드릴 비트가 회전 운동을 하는 동안, 드릴링하는 동안 드릴 비트와 연결되어 있는 자켓 튜브가 단지 전진 운동이 감지될때, 장력 작용에 의해 드릴 홀의 축방향으로 도입되는 것을 보장함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한 방법으로 자켓 튜브와 관련하여 회전될수 있도록 드릴 비트가 정렬되도록 하는 바람직한 방식이 더 제안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드릴 로드 조립체 및 드릴 비트의 중앙 부분을 제거한후, 루우프 볼트가 자켓 튜브안으로 도입되고 및/또는 고체화 재료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더 개선된다.
드릴 비트 수단에 의해 작업된 재료를 간단하게 끌어내기 위해서는, 또한 드릴 비트에 이어지는 영역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 의해 자켓 튜브의 내부로 작업 재료가 도입되고 자켓 튜브와 드릴 로드 조립체사이에 제공된 자유 공간내에 드릴 홀로부터 끌어내어지는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자켓 튜브와 드릴 로드 조립체사이에 제공된 자유 공간내의 드릴 홀로부터 작업 재료를 끌어냄에 의해, 필수 드릴 홀 단면 영역이 더 감소되어 단지 간단한 측정으로도 동일한 것을 바람직하게 진행시키도록 외측 자켓 튜브의 외부 지름에 맞추어질수도 있다.
상기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은 토양 또는 암석 재료를 드릴링, 특히 충격식 드릴링 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하고 토양 또는 암석 재료의 홀을 라이닝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서, 드릴 로드 조립체상에 설치된 드릴 비트가 충격 및/또는 회전 운동에 의해 드릴 홀을 제조하며, 드릴 비트가 반경 방향으로 나누어지도록 디자인되고, 작업 면으로부터 벗어나서 면하는 한단부상의 드릴 비트의 외부 원주상에서, 드릴 로드 조립체를 에워싸는 적어도 하나의 자켓 튜브가 드릴 홀의 길이 방향에서 장력 동반을 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에 의해 드릴 비트가 포지티브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드릴 비트를 반경 방향으로 나누어서 디자인함에 의해, 드릴 홀을 간단한 방법으로 완성하는 것을 보장할수 있는데, 예를들어, 드릴 비트의 중앙의 주요 부분은 자켓 튜브를 통해 드릴 로드 조립체와 함께 드릴 홀로부터 제거될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켓 튜브는 드릴 홀의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장력 동반에 의해 드릴 홀을 제조할때 적어도 하나의 자켓 튜브가 드릴 홀에 직접적으로 도입되어지며 드릴의 홀을 완성한후 드릴 홀내에 남아있도록 한다. 드릴 비트의 외주부상에 설치된 자켓 튜브가 드릴 비트가 회전 운동 될때라도 단지 홀의 축방향으로만 작용되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또한 드릴 비트가 커플링 요소에 의해 자켓 튜브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지도록하는 바람직한 방법이 제공된다.
드릴 비트와 전진 운동시 드릴 비트에 의해 축방향으로 동반된 자켓 튜브사이에서 특히 간단한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을 비추어 볼때, 선택적으로 외형이 있는 환형 중간 부재를 삽입함에 의해 맞춤식 보족 외형을 갖춘 자켓 튜브와 드릴 비트의 오프셋 원주 영역에 의해 커플링 요소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안된다. 예를들어, 계단식 상승 및 보족식 감퇴 방식으로 디자인될수도 있는 오프셋 원주 영역으로 인해, 자켓 튜브가 상대적으로 얇은 벽 두께를 가질때라도 드릴 비트가 전진 운동을 하는 동안 자켓의 안전한 동반이 보장될것이다.
드릴 비트와 드릴 비트가 전진 운동될 때 동반되어지는 자켓 튜브사의 간단한 연결을 제공하는 것을 비추어볼 때, 다른 예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는 드릴 비트상에 제공되고 실질적으로 반구형 단면을 갖는 리세스내에 정렬되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드릴 비트에 이어지는 자켓 튜브의 연결 부분상에 제공된 보족적 리세스에 정렬된 다수의 볼에 의해 형성된다. 드릴 비트와 자켓 튜브의 연결 부품 양쪽에 대해 대응 리세스내에 정렬되어지는 볼을 사용함에 의해, 드릴 비트와 자켓 튜브사이의 간단한 접속 및 연결은 볼 베어링 방식으로 가능하여, 드릴 홀을 제조하는 동안 드릴 비트의 회전 및/또는 회전 충격식 운동이 일어날때 드릴 비트와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켓 튜브가 용이하게 회전할수 있도록 한다.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이 점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켓 튜브 및/또는 드릴 비트의 연결 영역의 연결 부분이 금속, 합성 재료 또는 피복 재료로 만들어지고, 예를들어 금속 또는 합성 재료로 된 볼을 사용할때 커플링 요소 및 자켓 튜브와 드릴 비트의 단부 부분의 리세스 접속 부분 양쪽의 개별적 재료가 맞추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볼에 의해 형성된 커플링 요소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리세스안으로 볼을 용이하게 변위시키는 것은 물론 윤활제, 예를들어 오일을 도입함에 의해 수득될수도 있다.
전진 운동할때, 드릴 비트상에서 작용하도록 시동되는 힘이 선택적으로 작은 벽 두께 또는 작은 단면 영역을 갖는 자켓 영역안으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따라 동일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드릴 비트와 자켓 튜브사이의 커플링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댐핑 재료로 제조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응되어 댐핑 재료로 피복되는 것을 제안한다.
내측 자켓 튜브와 드릴 로드 조립체사이에 제공된 자유 공간내의 작업 재료를 간단한 방법으로 제거할수 있어서, 외측 자켓 튜브의 외부 크기와 맞추어지는 작은 드릴 홀 단면이 안전하게 보호되는 것을 고려해볼때, 드릴 비트에 면하는 단부 영역내의 자켓 튜브가 자켓 튜브의 원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된 적어도 하나의 통로 개구, 특히 수개의 보어 또는 통로 슬릿을 포함한다.
이미 상술하였지만, 자켓 튜브는 루우프 볼트를 삽입하고 대상물을 고정하는데 사용될수도 있을뿐 만아니라 예를들어 생성된 드릴 홀 및 내부에 삽입된 자켓 튜브에 의해 배출 작용을 하도록 제공될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전체 길이에 걸쳐 자켓 튜브가 상기 원주부에 균일하게 분포된 구멍을 갖도록 디자인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드릴 홀을 완성한후 드릴 비트의 중앙 부분을 간단한 방법으로 제거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또한 드릴 비트는 적어도 중앙 내부 부분 및 공통의 전진 운동을 위해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된 외부 부분으로 구성되며, 드릴 비트의 중앙 부분은 내측 자켓 튜브의 내부 지름과 비교하여 약간 작은 이부 지름을 갖추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안하고 있다. 다중 부품 드릴 비트의 개별적인 요소를 특히 단순하고 신뢰성있는 연결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 또한 회전 동반을 고려하여, 드릴 비트의 중앙 부분이 원형 형태에서 벗어난 단면을 갖추고 드릴 비트의 외부 부분의 적절한 개구를 통해 유도되어 나오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안하고 있다.
수회에 걸쳐 이미 언급하였지만, 전진 또는 드릴링 운동을 하는 동안 축방향으로 작용함에 의해 드릴 비트를 통해 직접 자켓 튜브를 도입한다는 사실로 인해 특히 자켓 튜브를 연속적으로 도입하는 종래 기술에 따라 필수적인 라이닝 튜브 또는 외측 자켓의 외부 지름과 관련하여 크기가 크게 확대된 드릴 홀 지름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지는 않다. 이에따라 외측 자켓 튜브의 외부 지름이 반경 방향으로 드릴 비트의 외부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게 될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자켓 튜브는 단지 가능한한 붕괴되어있는 재료에 저항해야 하고 예를들어 회전 충격식 드릴링을 위한 충격 힘과 같은 임의의 힘을 취하거나 또는 전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얇은 벽으로된 자켓 튜브라도 충분할것이다. 이러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자켓 튜브는 1 내지 3mm의 벽두께와 특히 2mm의 벽 두께를 갖추어서 자켓 튜브를 제공함에 의해, 작업하거나 또는 드릴링하고자하는 전체 표면이 단지 약간만 증가할 필요가 있고 또한 감소된 양의 재료 및 중량이 자켓 튜브에 제공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자켓 튜브가 금속 또는 합성 재료로 제조되어 주변 조건 특히 드릴 홀이 형성되는 토양 또는 암석 재료에 간단하게 적응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금속으로 제조된 자켓 튜브는 고도한 기계적 강도를 갖지만, 그러나 느슨하거나 또는 헐거운 토양 또는 암석 층이 만곡되거나 또는 단면이 수축됨에 의해 통상적으로 매우 얇은 벽으로된 자켓 튜브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수 있도록된 배치에 있어서는 단점이 있을수도 있어서, 드릴 비트를 연속적으로 제거하여 예를들어 루우프 볼트를 연속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곤란하게 하거나 또는 방해한다. 특히, 느슨한 토양 또는 암석 재료에 있어서, 합성 재료로 된 자켓 튜브를 사용하고 특정한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자켓 튜브가 일시적으로 단면이 변경되는 경우에 있을지라도, 자켓 튜브는 동일한 것을 얻기위해드릴 비트를 전진시키는 동안 그들의 고유한 단면 영역의 형태를 가지며, 드릴 비트를 문제 없이 제거하고 선택적으로 루우프 볼트를 연속적으로 선택적으로 삽입하는것은 드릴 홀을 완성한후 용이하게 할수 있을것이다. 특히,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자켓 튜브를 사용할때, 상기에 지적한 바와 같은 볼 베어링 타입의 커플링 요소를 사용하는 것은 드릴 비트의 회전 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 운동을 하는 동안 드릴 비트와 자켓 튜브사이의 자유롭고 크게 방해되지 않은 회전을 할수있도록 하는데 특히 유리하며, 드릴 비트에 의한 자켓 튜브의 회전 동반은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자켓 튜브를 사용할때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용이하게 붕괴되어지는 재료를 포함하고 이에따라 튜브상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크게 되어지는 특히 토양 또는 암석 층내에서 가능한 주요한 범위에 대한 상기 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자켓 튜브가 서로 동심으로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면하는 자켓 튜브 표면중 하나에서, 상기 자켓 튜브사이의 내부 공간내에 제공된 간극기 요소 또는 정지 요소에 의해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2개의 자켓 튜브가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이격되어 있는 방식으로 정렬되어 있다는 사실로 인해, 한편으로는, 드릴 로드 조립체에 대한 손상은 붕괴 재료에 의해 외측 자켓 튜브의 과잉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안전하게 피할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드릴 홀 라이닝 외부 지름이 전체 길이에 대해 일정하지 않은 드릴 홀 라이닝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드릴 홀 라이닝의 외부 크기를 변경시키는 것은 특히 감소된 드릴 홀 라이닝 지름의 영역에서 자켓 튜브상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2개의 동심으로 정렬된 자켓 튜브의 각각의 끼워넣음식(telescopability) 또는 분리 동반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적어도 외측에 정렬되어 있는 자켓 튜브는 수개의 부분들로 구성되고, 인접 자켓 튜브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의 영역에서 인접 요소, 특히 베이오닛 케치(bayonet catch)의 상대회전에 의해 연결이 풀릴수 있는 고정부에 의해 내부 튜브와 탈착할수 있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측에 정렬된 자켓 튜브의 다중 부분으로된 디자인 및 인접 자켓 튜브의 탈착가능한 연결은 2개의 인접 자켓 튜브 부분의 고정부를 풀어낸후 하나의 자켓 튜브 부분이 동반되어 질수 있도록 하고 다른 튜브 자켓 부분이 정치식으로 유지되어, 가변 지름을 갖춘 드릴 홀 라이닝을 수득하도록 한다.
드릴 홀을 완전하게 라이닝하고 내측으로 위치되거나 또는 외측으로 위치된 자켓 튜브 부분의 조화된 동반을 보장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 영역에서 동심으로 정렬된 자켓 튜브가 각각 자켓 튜브들사이에 제공된 환형 공간으로 뻗어있는 정지 요소를 포함하고 외측에 위치된 자켓 튜브 부분을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안내 및 탈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하나의 단부 영역에서 자켓 튜브사이에 제공된 환형 공간으로 뻗어있는 정지 요소를 포함하는 동심으로 정렬된 자켓 튜브에 의해, 내측 및 외측에 위치된 자켓 튜브의 완전한 해체는 안전하게 피할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안내 및 해체 수단을 포함하는 내부 튜브 슬리브 요소를 제공함에의해 내측 및/또는 외측 튜브의 조화된 동반을 보장할수도 있다.
자켓 튜브에 의해 형성된 환형 공간을 통해 드릴 비트의 내측에 위치된 영역을 제거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동심으로 정렬된 자켓 튜브가 드릴 비트의 내측 영역에 연결될수 있다. 이 경우에, 특히 적어도 하나의 외측으로 정렬된 자켓 튜브가 드릴 비트에 고정되어 적어도 하나의 외측 튜브의 안전한 동반이 드릴 비트의 영역에서 보장되도록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드릴 비트를 도 1의 화살표 Ⅱ의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드릴 비트의 중앙 부분과 드릴 로드 조립체를 제거한후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의 확대된 길이 방향에 대해 도 1과 비교하여 확대하여 측면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설정 셋트 루우프 볼트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생성된 드릴 홀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과 유사하게 예시된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Ⅵ의 방향으로 제 2 실시예의 드릴 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 1과 유사하게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내측 및 외측으로 위치된 자켓 튜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a는 끼어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드릴 비트를 향해있는 방향에서 제 1 자켓 튜브 부분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8b는 드릴 비트로 부터 볼때 제 1 및 제 2 내측 및 외측으로 위치된 자켓 튜브 부분을 끼워넣어져 있는 상태로 나타낸 것이며, 도 8c는 부분적으로 전개된 상태로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자켓 튜브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d는 완전하게 전개된 상태로 자켓 튜브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드릴 비트는 일반적으로 1로 표시되며, 중앙 부분, 소위 파일럿 비트(2) 및 상기 파일럿 비트(2)를 에워싸는 환형 비트(3)로 구성된다. 파일럿 비트(2) 및 환형 비트(3)의 전방 단부면상에 자체가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작업 도구, 예를들어 재료에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질적인 반구형 경질 재료 삽입물(4)이 제공된다.
드릴 비트(1)의 작업 표면으로 부터 벗어나서 면하는 단부상에서, 예를들어 2mm의 상대적으로 작은 벽 두께를 갖는 자켓 튜브가 드릴 비트(1)와 연결되며, 환형 비트(3) 및 외측 자켓 튜브(5)의 맨앞 부분의 영역내에 제공된 대응되는 리세스에서 계단식 또는 노즈식 돌출부(7)에 의해 결합되는 외형을 갖춘 환형의 중간 부분(6)의 수단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부 단부 영역상에서 동반된 내부 튜브(5')는 외측 자켓 튜브(5)상에 긴밀하게 맞추어져 있는 정지 요소(29)를 포함한다. 화살표(8)에 의해 지시된 드릴링 또는 전진 방향으로 외측 자켓 튜브(5)를 동반하는 것은 축방향으로의 응력 작용에 의해 커플링(6)에 의해 수행되며, 드릴 비트(1)는 드릴 비트(1)가 드릴링하는 동안 회전 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자켓 튜브(5, 5')와 관련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따라, 얇은 벽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디자인될수도 있는 자켓 튜브(5, 5')가 드릴 비트(1), (9)로 개략적으로 지시된 드릴 로드 조립체를 에워싸서 자유 공간(10)을 형성하는 자켓 튜브(5, 5')에 의해 동반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도 1로부터 맨앞 부분의 자켓 튜브(5) 및 자켓 튜브(5')는 끼워넣어져 있는 상태로 서로 겹쳐져 있는 다수의 원주상에 분포되어있는 통로 개구(11)를 포함하며, 이것을 통해 작업된 재료는 화살표(12)에 따라 드릴 로드 조립체(9)와 튜브(5 및 5')사이의 자유 공간으로 도입될수 있으며 연속해서 외향 방향으로 운반될수 있다. 드릴 로드 조립체(9)는 튜브로서 디자인될수도 있거나 다른 도관이 제공될수도 있으며, 이것에 의해 가스상 또는 액체 세척 제제는 드릴 비트(1)와 통로 개구(11)사이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 자유 공간(10)으로 공급될수도 있으며 가압될수 있다.
제조하고자 하는 드릴 홀의 외부 윤곽은 도 1 및 2에서 (13)으로 개략적으로 지시되어 있다. 명백한 것은 작업 단계가 진행되어지는 동안 드릴 비트(1)에 의해 야기된 드릴 홀의 축방향으로 단지 응력 작용에 노출되어지는 얇은 벽으로된 자켓 튜브(5 및 5')를 사용할때, 드릴 홀(13)의 지름은 크기가 함께 작아질수도 있다는 것이다. 드릴 홀(13)이 완성된후,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형태로 부터 벗어나 있는 파일럿 비트(2)는 환형 비트(3)로부터 해체되고 드릴 로드 조립체와 함께 자켓 튜브(5')를 통해 뽑아내어져서 자켓 튜브(5')에 의해 형성된 전체 내부 공간이 예를들어 루우프 볼트 또는 충진 매스를 도입하도록 남겨져있을 것이다.
도 3에 따라 더 큰 길이방향의 부분으로 예시하였지만, 명백한 것은 드릴 비트의 파일럿 비트 또는 중앙 부분(2)은 드릴 로드 조립체와 함께 이미 제거되어 단지 자켓 튜브 또는 라이닝 튜브(5 및 5') 뿐만아니라 환형 비트(3)가 드릴 홀(13)내에 남아있게 된다는 것이다. 도 3으로부터 더욱 명백한 것은 대응 커플링 요소(14)가 드릴 비트 또는 나머지 환형 비트(3)와 자켓 튜브사이에서 커플링(6) 옆에서 맨앞 부분에서의 드릴 비트에 연결된다는 것이다. 전방 부분내에 제공된 통로(11)에 의해, 예를들어 충진 매스는 드릴 홀(13)의 경계부와 외측에 위치된 자켓 튜브(5)사이의 자유 공간으로 고정되도록 드릴 홀(13)의 정면 영역으로 도입될수도 있다. 또한 외측에 위치된 자켓 튜브(5)의 길이 방향 부분은 그들의 단부 부분에 돌출부(31 및 32)를 포함하고, 이 돌출부는 슬리브(30)와 연결되어 내측에 위치된 자켓 튜브(5')의 2개의 부분을 단단하게 연결하도록 한다.
도 4에서는 드릴 로드 조립체는 개략적으로 완전하게 전개된 상태로 예시된 자켓 튜브(5 및 5')로 제거된후에, (15)로 개략적으로 지시된 루우프 볼트는 특히 나사식으로 삽입가능한 배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루우프 볼트(15)는 노출된 영역에서의 스크류 조립체(16)의 수단에 의해 토양상에 보조적으로 지지되거나 또는 조여진다. 이러한 경우에, 적절한 충진 매스는 토양에 남아있는 환형 비트(3)와 맨앞 부분의 고정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루우프 볼트(15)를 삽입하여 직접적으로 자켓 튜브(5 및 5')로 추가로 도입되어져 있을수도 있다.
도 5 및 6에 따르면, 변형된 실시예는 도 1 및 2와 유사하게 예시되어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5)로 지시된 자켓 튜브는 환형 비트(17)의 외부 원주에 직접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절삭 에지(18)이 장착된 파일럿 비트는 (19)로 나타내었다. 환형 비트(17) 및 상기 드릴 비트(1)에 면하는 자켓 튜브(5)의 단부상의 적절한 오프셋 또는 계단식 부분 영역에 의해 이 실시예에서의 환형 비트(17)의 외부 원주부에 고정이 이루어지며, 대응되는 외형의 영역은 (20 및 21)로 나타내어진다. 내측으로 위치된 자켓 튜브 뿐만아니라 이것의 정지 요소는 각각 다시 (5') 및 (29)로 나타내었다. 드릴 비트(1)와 연결된 드릴 로드 조립체는 (22)로 나타내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드릴 비트(1)의 중앙 부분 또는 파일럿 비트(19)는 드릴 홀을 완성한후 자켓 튜브(5, 5')의 내부를 통해 드릴 로드 조립체(22)와 함께 당겨지며, 예를들어 루우프 볼트는 다시 삽입될수도 있거나 또는 충진물에는 고체 재료 및 특히 그라우트가 추가로 제공될수도 있다.
루우프 볼트 또는 앵커를 자켓 튜브(5 및 5')가 라이닝된 드릴 홀(13)안으로 삽입시키는 대신에, 예를들어 배출을 위해서는 드릴 홀(13)이 사용될수도 있으며, 원주 뿐만아니라 자켓 튜브(5 및 5')의 길이에 걸쳐 다수의 구멍 또는 틈이 제공될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경질 재료 삽입물(4)을 포함하는 선택성 다중 부품 드릴 비트는 (1)로 지시되며, 드릴 비트(1)에 의해 동반된 자켓 튜브는 (5 및 5')로 나타내었다. 전술한 실시예의 자켓 튜브(5, 5')는 예를들어 금속 재료로 제조될수도 있으며, 도 7로 나타내어진 실시예의 자켓 튜브(5 및 5')는 정지 요소(29)와 같이 합성 재료로 제조된다.
볼(23) 형태의 다수의 커플링 요소에 의해 드릴 비트(1)에 대한 고정이 구현되고, 이 볼은 드릴 비트(1)의 뒷측면에 제공된 반구형 단면의 대응 리세스(24)와 연결 부재(26)의 보족적 반구형 리세스(25)내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 부재(26)는 합성 재료로 된 자켓 튜브(5)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에따라 드릴 비트(1)와 자켓 튜브(5)사이에 커플링 요소를 형성하는 볼(23)은 볼 베어링 방식으로 커플링을 구성하여서 회전 또는 회전 충격식 운동을 하는 동안 자켓 튜브(5)와 드릴 비트(1)사이의 회전을 단순화하도록 한다. 합성 재료로 된 자켓 튜브(5)는 고도한 유연성을 나타낼것이며, 자켓 튜브(5)를 겹치도록 드릴 비트(1)에 이어지는 영역내에, 내부 측면상의 지지 튜브(27) 뿐만아니라 외부 측면상의 지지 튜브(28)가 추가로 제공되며, 이들사이에는 합성 재료로 된 자켓 튜브(5)가 연결 부재(26)에 계속해서 적절하게 체결되거나 또는 클램핑되고, 상기 보조 지지 수단(27 및 28)은 예를들어 금속으로 제조될수도 있다.
금속 또는 합성 재료로 제조될수도 있는 볼(23)의 재료 특성을 리세스(24 및 25)의 영역내의 베어링 표면 또는 베어링 요소에 적용시키는 점을 고려해볼때, 연결 부재(26) 뿐만아니라 연장된 드릴 비트(1)는 또한 금속 또는 합성 재료로 제조될수도 있거나 또는 적절한 피복물이 제공될수도 있다.
도 8은 각각 내측 및 외측에 위치된 자켓 튜브(5' 및 5)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들은 서로 관련되어 변위될수도 있거나 또는 드릴 비트가 암석 또는 흙(earth)으로 된 재료로 전진하는 동안 서로를 따라 활주가능하게 당겨질수도 있다. 도 8a는 끼워넣어진 위치로, 예컨데 드릴 비트(1)를 향한 방향으로 보았을때 드릴을 시작할때의 위치에서의 제 1 자켓 튜브 부분(5 및 5')을 도시하고 있다. 외측에 위치된 자켓 튜브 영역(5)은 개략적으로 그것의 선두 단부상에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이 중간 부재는 도 8에는 예시되어 있지 않은 드릴 비트에 외측 자켓 튜브 부분(5)을 고정시키고, 드릴 비트(1)의 전진 방향은 도 8에서 화살표(33)로 지시된다. 드릴 비트로부터 벗어나서 면하는 단부상에, 외측 자켓 튜브(5)는 내측 자켓 튜브(5')상에 활주되게 설치된 돌출부(34)를 포함한다. 돌출부(29)가 드릴 비트(1)에 면하는 내측 자켓 튜브(5')의 단부상에 제공되며, 이 돌출부는 연장된 상태에서 외측 자켓 튜브(5)의 돌출부(34)와 상호 작용을 할수도 있다.
도 8b에 있어서, 외측 및 내측 자켓 튜브(5 및 5')의 제 1의 2개의 자켓 튜브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드릴 비트(1)를 향한 방향으로 보았을때, 제 1 자켓 튜브 부분(5)은 드릴 비트(1)로부터 벗어나서 면하는 단부상에 돌출부(34)를 포함하며, 돌출부는 연장된 상태에서 내측 자켓 튜브(5')의 돌출부(29)와 상호작용한다. 예시된 2개의 외측 자켓 튜브(5)가 직접적으로 상호연결되어 있지는 않지만, 단지 슬리브(30)에 의해 연결되어 2개의 내측에 위치된 자켓 튜브(5')를 단단하게 연결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을 위해서, 서로 면하는 단부 영역상에 2개의 외측 자켓 튜브 부분(5)상에 돌출부(31, 32)가 제공되며, 이 돌출부는 슬리브 요소(30)의 각 리세스에 결합될수도 있다. 이에따라, 끼워넣어진 상태로, 외측 자켓 튜브(5) 및 내측 자켓 튜브 부분(5')은 슬리브(30)에 의해 단단하게 서로 연결된다.
드릴 홀을 위한 라이닝으로서, 암석 또는 토양 재료로 더 전진하는 동안 내측 자켓 튜브 부분의 길이를 유용하게 하기 위해서,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은 내측 자켓 튜브(5')의 슬리브(30)와 관련해서, 드릴 비트(1)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때, 돌출부(31)는 제 2 자켓 튜브 부분(5)의 회전 운동에 의해 슬리브(30)의 각 리세스와 결합되어지고, 화살표(31)의 방향으로 드릴 비트(1)가 더 전진함에 의해 외측 자켓 튜브(5)는 상기 자켓 튜브(5 및 5')상에 제공된 정지부(29 및 34)가 서로 맞추어질때까지 내측 자켓 튜브(5')상에 활주되어 안내된다.
드릴 비트(1)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때, 또한 제 1 자켓 튜브 부분(5')의 길이가 드릴 홀을 라이닝하는데 사용할수 있도록 하기위해, 전진 운동의 방향에 대응되는 장력이 외측 자켓 튜브(5)를 신속하게 보유함에 의해 드릴 비트(1)로부터 벗어나서 면하는 단부상에서 유도되어, 제 1 외측 자켓 튜브 부분(5)의 돌출부(32)가 내측 자켓 튜브(5') 및 외측 자켓 튜브의 자켓 튜브 부분(5)의 슬리브(30)의 각각의 리세스로부터 떨어지며, 드릴 비트(1)를 향해있는 방향에서 보았을때, 전진 운동의 방향으로 제 1 자켓 튜브 부분(5')상에서 활주되게 동반되어 진다.
도 8d에서와 같이 완전하게 연장된 상태에서, 드릴 홀의 라이닝은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어, 특히 자켓 튜브상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명확하게 감소시킬수 있도록 한다.

Claims (23)

  1. 토양 또는 암석 재료를 드릴링, 특히 충격식 드릴링 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하고 토양 또는 암석 재료 내부로 홀을 라이닝하는 방법으로서,
    드릴링 홀(13)이 충격 및/또는 진동 운동에 의해 드릴 로드 조립체(19)상에 설치된 드릴 비트(1, 2, 3, 17, 19)의 수단에 의해 형성되고 라이닝이 자켓 튜브(5)의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방법에 있어서,
    전진 작동으로 드릴링하는 동안 드릴 비트(1, 2, 3, 17, 19)와 연결된 하나이상의 자켓 튜브가 장력 작용에 의해 드릴 비트(1, 2, 3, 17, 19)의 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드릴 홀(13)안으로 도입되고 드릴링 과정이 종결된 후 드릴 비트가 드릴 로드 조립체(19)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켓 튜브(5)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비트(1, 2, 3, 17, 19)가 상기 자켓(5)과 관련하여 회전될수 있도록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릴 로드 조립체와 드릴 비트가 제거된후 루우프 볼트(15)가 자켓 튜브(5)로 도입되고 및/또는 충진물이 고체화 재료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작업되어진 상기 재료가 상기 드릴 비트(1, 2, 3, 17, 19)에 이어지는 영역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11)에 의해 상기 자켓 튜브(5)의 내부로 도입되어 지고 상기 재료가 상기 자켓 튜브(5)와 드릴 로드 조립체(9)사이에 제공된 자유 공간내의 상기 드릴 홀(13)로부터 뽑아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토양 또는 암석 재료를 드릴링, 특히 충격식 드릴링 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하고 토양 또는 암석 재료 내부로 홀을 라이닝하는 장치로서,
    드릴 로드 조립체(9)상에 설치된 드릴 비트(1, 2, 3, 17, 19)가 충격 및/또는 회전 운동에 의해 드릴 홀(13)을 만드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릴 비트(1, 2, 3, 17, 19)가 반경 방향으로 나누어지도록 디자인되어 있고, 작업면으로부터 벗어나서 면하는 단부상의 드릴 비트(1)의 외주부상에서, 상기 드릴 로드 조립체(9, 22)를 에워싸는 적어도 하나의 자켓 튜브(5)가 상기 드릴 홀(13)의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동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6, 20, 21, 23)에 의해 상기 드릴 비트(1)에 선회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비트(1, 13, 17)가 상기 커플링 요소(6, 20, 21, 23)에 의해 자켓 튜브(5)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커플링 요소(6, 20, 21)가 외형을 갖춘 환형 중간 부재(6)를 삽입함에 의해, 맞춤식 보족 외형을 갖는 자켓 튜브(5)와 드릴 비트(2, 17)의 오프셋 외주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요소가 상기 드릴 비트(1)상에 제공되고 실질적으로 반구형의 단면을 갖는 리세스(24) 및 상기 드릴 비트(1)에 이어지는 자켓 튜브(5)의 연결 부분(26)에 제공된 보족 리세스(25)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볼(23)에 의해 형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켓 튜브(5) 및/또는 상기 드릴 비트(1)의 연소 영역의 연결 부품(26)이 금속, 합성 재료 또는 피복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비트(2, 17)와 상기 자켓 튜브(5)사이의 상기 연결 수단(6, 20, 21, 2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댐핑 재료로 제조되거나 또는 댐핑 재료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비트(1)에 면하는 단부 영역내의 자켓 튜브(5)가 적어도 하나의 통로 개구(11), 특히 수개의 보어 또는 상기 자켓 튜브(5)의 원주 위로 균일하게 분포된 통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5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그것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자켓 튜브(5)가 실질적으로 원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된 구멍을 갖추도록 디자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5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비트(1)가 적어도 중앙 내부 부분(2, 19) 및 통상적인 전진 운동을 하도록 탈착가능하게 서로 열결되어있는 외부 부분(3)을 포함하고, 드릴 비트(1)의 중앙 내부 부분(2, 19)이 상기 내측 자켓 튜브(5)의 내부 지름과 관련하여 약간 작은 외부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회전 동반과 관련하여, 상기 드릴 비트(1)의 중앙 내부 부분(12)이 원형 형태로부터 벗어나있는 단면을 갖추고 상기 드릴 비트(1)의 외부 부분(3)의 적절한 개구를 통해 상기 드릴 비트(1)로부터 유도되어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5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외측 자켓 튜브(5)의 외부 지름이 상기 드릴 비트(1, 2, 3, 17, 19)의 외부 지름과 반경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5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 튜브(5)가 1 내지 3 mm 특히 2mm의 벽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5 항 내지 제 16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5)이 금속 또는 합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5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비트(3, 19) 및 드릴 로드 조립체(9, 22)를 제거한후, 예를들어, 토양(1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내에서 죄여질수 있는 루우프 볼트(15)가 삽입될수 있고 특히 상기 자켓 튜브(5)에 나사식으로 고정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5 항 내지 제 18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2개의 자켓 튜브가 서로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자켓사이의 내부 공간에 바람직하게는 서로 면하는 자켓 튜브의 한면상에 제공된 간극기 요소 또는 정지 요소의 수단에 의해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적어도 외부에 정렬되어 있는 자켓 튜브는 수개의 부분들로 구성되며, 인접 자켓 튜브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의 영역에서는 인접 요소 특히, 베이오닛 케치의 상대 회전에 의해 탈착되게 연결될수 있는 고정부에 의해 내부 튜브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 영역내의 동심으로 정렬된 상기 자켓 튜브는 각각 상기 자켓 튜브사이에 제공된 환형 공간으로 뻗어있는 정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외부에 위치된 자켓 튜브 부분에 인접해 있는 수단을 위한 안내 및 탈착 수단이 연결 요소, 특히 내부 튜브 슬리브 요소의 영역에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9 항, 제 20 항, 제 21 항에 있어서, 동심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기 자켓 튜브가 상기 드릴 비트의 외부 영역에 연결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9 항 내지 제 22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에 위치된 상기 자켓 튜브가 상기 드릴 비트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7004217A 1996-11-12 1997-11-12 홀을 동시에 드릴링하고 라이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338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197896A AT407895B (de) 1996-11-12 1996-11-12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ohren und auskleiden von bohrlöchern
ATA1978/96 1996-11-12
ATA1065/97 1997-06-18
AT106597A AT408472B (de) 1997-06-18 1997-06-18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ohren und auskleiden von löch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240A true KR20000053240A (ko) 2000-08-25
KR100338308B1 KR100338308B1 (ko) 2002-05-27

Family

ID=2559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217A KR100338308B1 (ko) 1996-11-12 1997-11-12 홀을 동시에 드릴링하고 라이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0948701B1 (ko)
JP (1) JP3813177B2 (ko)
KR (1) KR100338308B1 (ko)
CN (1) CN1079880C (ko)
AT (1) ATE217681T1 (ko)
AU (1) AU726332B2 (ko)
CA (1) CA2271655C (ko)
CZ (1) CZ296814B6 (ko)
DE (1) DE59707305D1 (ko)
ES (1) ES2176709T3 (ko)
HK (1) HK1023611A1 (ko)
HR (1) HRP970600B1 (ko)
ID (1) ID21554A (ko)
PL (1) PL185256B1 (ko)
SK (1) SK283483B6 (ko)
TR (1) TR199900983T2 (ko)
WO (1) WO1998021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57213T1 (de) * 1998-08-21 2004-01-15 Techmo Entw & Vertriebs Gmbh Vorrichtung zum bohren und drainagieren von löchern in boden- oder gesteinsmaterial
CZ299258B6 (cs) 1998-10-05 2008-05-28 ,,Alwag" Tunnelausbau Gesellschaft Mbh Obalová trubka pro zarízení k vrtání der a vytvárení ukotvení
AT408473B (de) * 1998-10-20 2001-12-27 Vorspann Technik Gmbh Anker sowie bohrloch mit gesetztem anker
SK286787B6 (sk) 2000-02-24 2009-05-07 "Alwag" Tunnelausbau Gessellschaft M.B.H. Zariadenie na vŕtanie, predovšetkým nárazové alebo rotačne nárazové vŕtanie
AUPQ639900A0 (en) * 2000-03-21 2000-04-15 Dht Technologies Limited Segment for a core drill bit and method of manufacture
AT5482U1 (de) 2001-01-25 2002-07-25 Techmo Entw & Vertrieb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ohren von löchern in boden- oder gesteinsmaterial
ATE332436T1 (de) * 2001-04-26 2006-07-15 Salwags Tunnelausbau Ges M B 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ohren eines loches und zum festlegen einer verankerung in einem bohrloch
AT412739B (de) 2002-01-22 2005-06-27 Techmo Entw & Vertrieb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ohren eines loches in boden- oder gesteinsmaterial und zum ausbilden einer verankerung
AT412802B (de) * 2003-10-01 2005-07-25 Techmo Entw & Vertrieb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ohren von löchern in boden- oder gesteinsmaterial
AT509159B1 (de) * 2004-03-23 2011-09-15 Alwag Tunnelaus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ohren, insbesondere schlag- oder drehschlagbohren, eines lochs in boden- oder gesteinsmaterial und zum ausbilden einer verankerung in dem loch
AT501875B1 (de) 2005-06-07 2008-05-15 Alwag Tunnelaus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ohren, insbesondere schlag- oder drehschlagbohren eines lochs in boden- oder gesteinsmaterial
EP1818499B1 (de) 2006-02-09 2011-08-17 Gonar Sp. Zo.o. Einrichtung zum gleichzeitigen Bohren und Auskleiden von Bohrlöchern
DE202006003409U1 (de) * 2006-03-04 2006-08-10 Maschinenbau Kolk Gmbh Rohrschirm mit gesteckten Hüllrohren
AT504560B1 (de) 2006-11-29 2009-06-15 Techmo Entw & Vertriebs Gmbh Vorrichtung zum schlag- bzw. drehschlagbohren in gesteinsmaterial
AT10289U1 (de) 2007-06-19 2008-12-15 Alwag Tunnelaus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ohren eines loches in boden- oder gesteinsmaterial und ausbilden einer verankerung
FI20105983A0 (fi) * 2010-09-23 2010-09-23 Atlas Copco Rotex Ab Oy Menetelmä ja laitteisto uppoporaukseen
DE102011120572A1 (de) 2011-01-27 2012-08-02 Minova International Ltd. Bohrvorrichtung zum Schlag- oder Drehschlagbohren mit Verbindungsmuffe
DE102012000983A1 (de) 2012-01-20 2013-07-25 Minova International Ltd. Vorrichtung für ein Drainage-Bohr-System
JP5883192B1 (ja) * 2015-09-18 2016-03-09 株式会社オーク 掘削ビット
CN106437522A (zh) * 2016-11-30 2017-02-22 淮南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 深水平、高地应力揭煤钻孔施工装置及方法
CN107012865A (zh) * 2017-03-31 2017-08-04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锚杆防塌孔的施工方法
CN109667542B (zh) * 2018-12-28 2020-06-05 至永建设集团有限公司 破碎地层中多级分段非连续跟管钻进锚索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0378A (en) * 1962-09-18 1965-06-22 Sr Paul H Davey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drilling and casing a well hole
GB1257429A (ko) * 1969-05-30 1971-12-15
GB1249440A (en) * 1970-06-17 1971-10-13 Shell Int Research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drilling offshore wells
FR2209038B1 (ko) * 1972-12-06 1977-07-22 Petroles Cie Francaise
FI95618C (fi) * 1992-12-03 1998-09-03 Jorma Jaervelae Porauslaitteisto
DE4432710C1 (de) * 1994-09-14 1996-04-11 Klemm Bohrtech Zielbohreinrichtung zum horizontalen Richtbo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33244A1 (en) 1999-11-22
AU4856297A (en) 1998-06-03
PL185256B1 (pl) 2003-04-30
TR199900983T2 (xx) 2000-07-21
HRP970600B1 (en) 2002-06-30
JP2001503486A (ja) 2001-03-13
HK1023611A1 (en) 2000-09-15
CZ296814B6 (cs) 2006-06-14
CN1237222A (zh) 1999-12-01
CA2271655C (en) 2006-04-18
EP0948701B1 (de) 2002-05-15
WO1998021439A1 (de) 1998-05-22
KR100338308B1 (ko) 2002-05-27
HRP970600A2 (en) 1999-08-31
SK283483B6 (sk) 2003-08-05
ATE217681T1 (de) 2002-06-15
ES2176709T3 (es) 2002-12-01
ID21554A (id) 1999-06-24
SK59399A3 (en) 2000-03-13
CA2271655A1 (en) 1998-05-22
AU726332B2 (en) 2000-11-02
JP3813177B2 (ja) 2006-08-23
DE59707305D1 (de) 2002-06-20
CZ162399A3 (cs) 2000-06-14
EP0948701A1 (de) 1999-10-13
CN1079880C (zh) 200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3240A (ko) 홀을 동시에 드릴링하고 라이닝하는 방법 및 장치
US6106200A (en) Process and device for simultaneously drilling and lining a hole
US5839519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casing to a drill bit in overburden drilling equipment
FI96356B (fi) Porausmenetelmä ja teräasetelma menetelmän toteuttamiseksi
CA25594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rilling a hole in soil or rock material and for forming an anchoring
US6145601A (en) Method and device for boring holes
JP6288895B1 (ja) パイプ打ち込み方法
JP2006283546A (ja) シールド掘進機
US5813484A (en) Casing tube with casing shoe
JPH11510231A (ja) 穿孔方法及びケーシングシュー
JP6470601B2 (ja) ロックボルト及びその施工方法
JP7026562B2 (ja) トンネル施工方法
AT408472B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ohren und auskleiden von löchern
JP2005054486A (ja) 穿孔機および引張材挿入工法
SU1416686A1 (ru) Проходческий комбайн
SU1344930A1 (ru) Смен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к одноковшовому экскаватору дл образовани горизонтальных скважин
HRP20030591A2 (en) Method and device for boring holes in the floor or in rock
JPH05295730A (ja) アースアンカーの打設工法
JPH06294281A (ja) パイプルーフ用パイプの打設方法
JP2000008366A (ja) 地盤改良工法
JPH0860974A (ja) 長尺先受工法の削孔装置
JP2005273251A (ja) 地盤補強構造および地盤補強工法
JPH03119222A (ja) アンカーの施工方法と装置
JPS635335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