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113A - 1회용 세척 물품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1회용 세척 물품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113A
KR20000049113A KR1019990703194A KR19997003194A KR20000049113A KR 20000049113 A KR20000049113 A KR 20000049113A KR 1019990703194 A KR1019990703194 A KR 1019990703194A KR 19997003194 A KR19997003194 A KR 19997003194A KR 20000049113 A KR20000049113 A KR 20000049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article
cleaning
article
direction parallel
disposable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3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어캐서린루이스하이니케
말름바크마리안네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233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4911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00049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1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주축(L) 및 부축(C)과 꼬인 파이버(11)의 적어도 하나의 웨브를 갖는 기다란 형상의 1회용 부직 세척 물품(10)은 꼬인 파이버(11)가 주축(L)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되고, 세척 물품(10)의 크기 범위는 주축(L)의 방향으로는 3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5㎜이며, 부축(C)의 방향으로는 30㎜ 내지 65㎜이다. 또한, 주축(L) 및 부축(C)과 상기 주축(L)에 평행한 방향으로 꼬여있는 꼬인 파이버(11)의 웨브를 구비한 기다란 형상의 1회용 부직 세척 물품(10)의 사용 방법은, 1) 세척 물품(10)을 사용자의 손/손가락 끝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2) 세척 물품(10)의 주축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단계와; 3) 세척 물품(10)을 세척할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와; 4) 사용자의 손가락에 평행한 방향으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1회용 부직 세척 물품{DISPOSABLE NON-WOVEN CLEANING ARTICLES}
1회용 흡수 물품은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건조 상태 및 포화상태로 이용가능하다. 그러한 물품은 통상적으로 부직 파이버의 기재를 포함하는바, 이러한 기재는 건조 습윤되거나 또는 적절한 습윤 세척액으로 적셔져 있다. 건식 기재를 갖는 세척 물품은 표피에 대해 대체로 원운동으로 문질러 먼지, 때, 죽은 피부 세포, 케라틴 및 기타 조직편을 제거하여 흡수하도록 의도된다. 그러한 물품은 적용하기 직전에 사용자가 물품에 직접 붓는 오일, 세척 크림 및 세척 로션과 같은 세척 제품용 캐리어로서 자주 사용된다. 충만된 세척 물품은 닦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피부 세척액이 스며들어 있는 물품이며, 일반적으로 피부 조직편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해 강력한 문지르기 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높은 인장 강도와, 양호한 세척 성능 및 연성을 갖는 2가지 유형의 세척 물품이 설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척력이 개선되고, 사용자에게 친숙한 형상이며, 특히 눈과 같은 보다 예민한 부위 주변의 안면의 모든 부위 및 윤곽을 세척하고, 낮은 린팅(linting) 레벨을 가지며, 얼룩짐이 없고 유연하며 마찰이 없는 세척 물품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다란 형상이고 또 특수한 파이버 꼬임 방위로 되어 있는 세척 물품이 우수한 세척 반응을 위해 사용자가 직각적으로 개발하려는 부수적인 비등방성 이점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이점은 본명세서에 언급한 세척 물품에 특수한 치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특별히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발견하였다.
종래 기술의 미국 특허 제 5,062,418 호에는 권취 드레싱(wound dressing)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호한 흡수력을 갖는 유연하고 부피가 크며 경량인 패브릭이 개시되어 있다. 이 패브릭은 하이드로인탱클 기재(hydroentangled substrate)를 포함하며, 패브릭의 폭을 가로질러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평행한 이격 리브로 구성된다. 리브는 가공방향으로 연장된 느슨한 파이버 번들을 포함하는 골(valley)로 상호연결된다. 상기 특허는 주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파이버 꼬임을 갖는 세척 물품을 개시하지는 않았다. 또한, 상기 특허는 파이버 꼬임 방향에 평행한 형상 특성과, 사용자와 우수한 세척 성능을 추구하는 세척 물품과의 직각적인 상호작용을 개시하지도 않았다.
미국 특허 제 4,932,095 호에는, 작업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기에 적합한 백 형태로 되어 있는 코튼 파일 패브픽의 안면 세척용 퍼프(puff)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백은 방향적 사용을 제공하지만,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으로 인해 길이 방향으로 보다 효율적이고도 효과적인 세척 성능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또한, 이 백은 다양한 손 크기를 포함하지 못하고(백 크기는 통상적으로는 길이가 11cm이고, 폭이 8cm이다), 세척 작용의 효율성이 세손가락만의 사용에 좌우되므로 사용하기가 번거롭고 불편하며, 백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바느질자리는 자극을 유발할 수도 있고 또 눈에 가까운 부위와 같은 피부 및 민감한 부위에 약간 마찰을 일으킬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보풀이 발생되고, 이 백은 원료의 이용 정도가 높아 환경적으로 매우 우호적이지 않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시도를 강조한 결과, 본 발명의 이점은 파이버 꼬임 방위에 관련된 우수한 세척 성능을 확보하는 기다란 형상의 세척 물품과, 손/손가락 끝 보호를 최적화할 수 있는 형상의 세척 물품과, 세척할 활성 표면적이 증가된 세척 물품과, 특히 눈 주위의 안면의 전체 영역을 보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 물품과, 보다 사용자에게 우호적인 제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우수하고 효과적인 사용자/제품 상호작용과, 보풀 발생 레벨이 낮으며 마찰이 없는 세척 물품과, 원료의 우수한 이용 결과를 가져오는 세척 물품과, 고단계의 사용자의 만족과 안심을 가져오는 세척 물품에 미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주축 및 부축을 갖는 기다란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 주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꼬인 파이버의 적어도 하나의 웨브를 갖는 1회용 부직 세척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세척 물품의 크기 범위는 30㎜ 내지 200㎜이고, 바람직하게는 주축 방향으로 30㎜ 내지 85㎜이며, 부축방향으로는 30㎜ 내지 65㎜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세척 물품은 타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 안면 세척에 특히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세척 물품은 주축의 방향으로는 40㎜ 내지 80㎜의 크기를 가지며, 부축방향으로는 30㎜ 내지 60㎜의 크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주축 및 부축을 갖는 기다란 형상의 세척 물품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꼬인 파이버의 웨브는 주축에 평행하게 꼬여있고, 상기 방법은,
1) 사용자의 손/손가락상에 세척 물품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2) 세척 물픔의 주축을 사용자 손가락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단계와;
3) 세척 물품을 세척할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와;
4) 사용자의 손가락에 평행한 방향으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손가락 끝에 정확히 배향될 때 우수한 세척 성능을 제공하는 1회용 부직 세척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인체 부위를 세척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세척 물품, 예를 들면 화장 및 치료 목적의 스킨 케어 패드, 건식 닦이, 습식 닦이 및 습윤 화장실용 티슈와; 부?? 및 욕실 표면과 같은 기타 표면과 기계류 또는 차량 표면과 같은 산업분야에서 세척을 필요로 하는 표면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세척 물품에 적용된다. 간략함을 위해서, 하기의 설명은 인체 피부용 세척 물품, 특히 안면 세척 물품에 초점을 맞추지만, 본 발명의 폭넓은 적용성에 대한 상기 설명에 비추어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다란 형상의 1회용 부직 세척 물품의 사시도로서, 주축(L)의 크기는 64㎜ 이고, 부축(C)의 크기는 50㎜임.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1회용"은 세척하거나 복구하거나 또는 흡수품으로서 재사용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즉, 한번 사용한 후에 폐기하도록 의도된), 또 바람직하게는 재생되거나 합성되거나 환경에 적합한 방식으로 폐기되도록 의도되지 않는 흡수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물품"은 셀룰로스 재료 및/또는 합성 재료로 제조된 파이버를 포함하는 종래의 손에 쥐고 사용하는 용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웨브"는 파이버 재료의 단일 층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물품은 다수의 층중 하나가 본 발명에 따른 웨브인 한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한 웨브에 대해서 세척 표면을 규정할 수 있다. 세척용 표면은 세척될 소망의 표면과 긴밀하게 접촉하게 되는 웨브의 표면이다. 존재하는 경우, 추가의 층은 본 발명에 따른 꼬인 파이버의 웨브일 수도 있거나, 카드식 또는 공기 저장 파이버의 층일 수도 있다.
"주축(major axis)"이라는 용어는 종방향, y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세척 물품의 종방향 중앙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정의된다. "부축(minor axis)" 이라는 용어는 측방향, x방향 또는 폭을 의미하는 것으로, 세척 물품의 종방향 중앙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은 1회용 부직 세척 물품(10)에 관한 것이다. 세척 물품(10)은 주축(L) 및 부축(C)에 의해 규정될 수 있는 기다란 형상을 갖는다. 세척 물품(10)은 꼬인 파이버(11)의 적어도 하나의 웨브를 포함하며, 꼬인 파이버(11)는 주축(L)에 평행한 방향으로 꼬여있다. 특히 세척 물품 단부의 치수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최적의 접촉을 제공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세척 물품의 치수 범위는 주축(L)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30㎜ 내지 200㎜이고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5㎜이어야 하며, 부축(C)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30㎜ 내지 65㎜이어야 한다. 특히, 도 1은 기다란 세척 물품(10)을 도시한 것이다. 이 세척 물품은 아치 형상을 갖는다. 세척 물품(10)은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예로는, 한정적이지는 않지만, 반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과 그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세척 물품(10)은 인체 피부와 접촉하기에 특히 적합하고, 안면 세척용으로 보다 적합한 타원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세척 물품(10)은 주축(L)에 평행한 방향으로 40㎜ 내지 80㎜의 치수를 가지며, 부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30㎜ 내지 60㎜의 치수를 가지고, 그러한 치수는 통상적으로는 사용자의 손가락 면적에 일치하고, 또 전술한 꼬임 및 형상 특성과 조합하여 최선의 세척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흡수 물품(10)은 꼬임 파이버(11)의 적어도 하나의 웨브를 포함한다. 꼬인 파이버는 세척 물품(10)의 주축(L)에 평행한 방향으로 꼬여있다. 꼬인 파이버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하이드로인탱글링(hydroentangling)의 과정을 이용하는 것이다. 강하고 내구성 있는 하이드로인탱글링 웨브는 파이버를 상호결합시키기 위해 재료 파이버에 물의 고에너지 분사 스트림을 횡단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다른 고압 유체를 물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하이드로인탱글링 과정에 관련된 추가의 정보는 미국 특허 제 2,862,551 호와, 미국 특허 제 3,025,585 호와, 미국 특허 제 3,485,706 호와, 미국 특허 제 5,320,900 호와 유럽 특허 공개 제 0 418 49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척 물품(10)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하이드로인탱글링 설비는 프랑스 38330 몽 보느 쁘레 밀 소재의 ICBT Perfojet, Z. A.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하이드로인탱글링이 웨브의 제조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기술분야의 다른 방법을 변형예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니들펀칭(needlepunching)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의 일예이다. 이러한 가시달린 바늘은 웨브를 통해 천공되어 파이버를 가로질러 파이버의 타래를 고정시킴으로써 파이버를 바늘구멍 영역에 결합시킨다. 사용할 수도 있는 다른 방법은 열 본딩으로, 파이버는 열가소성 재료이거나 열가소성 재료의 외부층을 가지며, 열에 의해 개별 스폿에 함께 접합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조되는 웨브는 하이드로인탱글링 또는 니들펀칭에 의해 제조되는 것과 같이 유연하며, 또 상당한 비율의 완전히 느슨한 파이버를 가질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은 파이버와 화학적 고착제의 혼합물을 예를 들면, 제지작업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웨트 레잉(wet-lay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방법은 스테이플 파이버가 개방되고, 세척되며, 정렬되고, 또 연속의 비접한 웨브로 형성되는 카딩(carding)이다. 하이드로인탱글링되고 화학적, 열적 및 기계적으로 접합된 재료 및 카드 재료가 본 발명에 통합될 수 있는 기술의 대표이다. 이러한 재료들은 전체의 가능성을 결코 고갈시키지 않는다. 엠보싱(embossing), 크레이핑(creping) 및 구멍뚫기(aperturing)과 같은 다른 기법을 세척 물품(10)의 제조에 통합시킬 수 있다. 그러한 기법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소망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세척 물품(10)은 꼬인 파이버(11)의 2개의 웨브를 포함하며, 꼬인 파이버(11)는 세척 물품(10)의 주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꼬인다. 웨브의 외면은 세척면으로 언급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척면은 세척 물품(10)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꼬인 부직 웨브(11)는 엠보싱 패턴으로 엠보싱가공된다. 엠보싱 패턴은 통상적으로 융기 및 골을 포함하며, 임의의 형상 및 임의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엠보싱 패턴은 패턴의 적어도 일부분이 세척 물품(10)의 종축(L)에 직교하도록 정렬되어야 하며, 따라서 안면으로부터의 먼지, 때, 안면 조직편이 융기 사이에 효과적인 방식으로 포착되어 오염물이 존재하지 않게된다. 엠보싱 가공은 그 외면상의 각각의 엠보싱 패턴에 따라 정렬된 엠보싱 마운드(mound)를 갖는 한쌍의 엠보싱 롤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엠보싱 롤러는 엠보싱 마운드가 각각의 경우에 머리가 정확히 마주한 방식으로 정렬되지만, 서로간에 접촉하지는 않는 방식으로 정렬되고 조절된다. 본 발명은 그러한 기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기법을 사용하여 소망의 엠보싱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웨브는 꼬인 파이버(11)이다. 세척 물품(10)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파이버 조성물의 예는 순수한 친수성 재료 또는 순수한 소수성 재료 또는 임의의 소망의 비율로 존재할 수 있는 순수한 친수성 파이버 재료와 순수한 소수성 파이버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친수성 재료는, 예를 들면 면, 비스코스 또는 아마(flax)를 포함하며, 소수성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100% 면과, 100% 비스코스와, 최소 25%의 비스코스 및 잔여 면과, 최소 25%의 면 및 잔여 비스코스와, 50% 비스코스 및 5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50% 비스코스 및 50%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든 퍼센티지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세척 물품(10)은 건조되거나 또는 건조 형태로 화학적으로 충만된 웨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로, 웨브는 습윤 세척액으로 충만될 수 있다. 습윤 세척액은 연속상이 액상인 액체 용액 또는 유액이거나, 예를 들면 연속상이 오일인 오일계 용액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축 및 부축을 갖는 기다란 형상의 1회용 부직 세척 물품(10)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척 물품(10)은 주축(L)에 평행한 방향으로 꼬여있는 꼬인 파이버(11)의 웨브를 포함한다. 세척 물품(10)의 크기는 본 명세서에서 지정한 크기가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어떠한 치수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세척 물품(10)을 사용자의 손/손가락 끝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세척 물품(10)의 주축(L)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단계와; 세척 물품을 세척할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손가락에 평행한 방향으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세척 물품(10)은 안면 세척에 적용된다.
세척 물품(10)의 주축(L)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시키는 것에 의해, 세척 반응은 극적으로 개선된다. 그 이유는 세척 성능은 강도의 함수이고 강도는 그러한 방향에서 최대이기 때문이다. 또한, 최적화된 압력 인가(손가락/손으로부터 안면으로)를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손위의 세척 물품(10)의 보호 면적이 최대화됨으로 인해 세척 과정의 효율이 커진다. 이와 관련하여, 주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40㎜ 내지 80㎜의 치수와, 부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30㎜ 내지 60㎜의 치수가 특히 바람직하다. 눈에 근접한 부위를 세척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세척 물품(10)을 이전과 같이 쥐고 손목을 90°로 간단히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보다 자연적이고 보다 편안한 세척에 접근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라이닝(lining)의 레벨이 낮아진다. 또한, 세척 물품을 90°회전시킬 수도 있으며[이 경우에, 주축(L)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직교한다], 세척 물품이 여전히 사용자의 손가락에 평행하다면, 우수한 세척 성능이 유지된다.

Claims (12)

  1. 주축(L)과 부축(C) 및 꼬인 파이버(11)의 적어도 하나의 웨브를 갖는 기다란 형상으로 된 1회용 부직 세척 물품(10)에 있어서,
    상기 꼬인 파이버(11)는 상기 주축(L)에 평행한 방향으로 꼬여있고, 상기 세척 물품(10)의 크기 범위는 상기 주축(L)의 방향으로는 30㎜ 내지 200㎜이고 또 상기 부축(C)의 방향으로는 30㎜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부직 세척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꼬인 파이버(11)는 하이드로인탱글된
    1회용 부직 세척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물품(10)은 2개의 상기 웨브를 포함하는
    1회용 부직 세척 물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엠보싱 패턴으로 엠보싱가공된
    1회용 부직 세척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물품(10)은 타원 형상을 갖는
    1회용 부직 세척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세척 물품(10)은 안면 세척에 적합한
    1회용 부직 세척 물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물품(10)의 크기 범위는 상기 주축(L)의 방향으로 30㎜ 내지 85㎜인
    1회용 부직 세척 물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물품(10)은 상기 주축(L)에 평행한 방향으로 40㎜ 내지 80㎜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부축(C)에 평행한 방향으로 30㎜ 내지 60㎜의 크기를 갖는
    1회용 부직 세척 물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건조한
    1회용 부직 세척 물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습윤 세척액으로 충만된
    1회용 부직 세척 물품.
  11. 주축(L) 및 부축(C)을 가지며, 상기 주축(L)에 평행한 방향으로 꼬여 있는 꼬인 파이버(11)의 웨브를 포함하는 기다란 형상의 1회용 부직 세척 물품(10)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1) 사용자의 손/손가락 위에 상기 세척 물품(10)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2) 상기 세척 물품(10)의 주축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단계와;
    3) 상기 세척 물품(10)을 세척할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와;
    4) 사용자의 손가락에 평행한 방향으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회용 부직 세척 물품의 사용 방법.
  12. 안면 세척에 적용되는 제 11 항에 따른 1회용 부직 세척 물품(10)의 사용 방법.
KR1019990703194A 1996-10-16 1997-09-22 1회용 세척 물품 및 그 사용방법 KR200000491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116588A EP0836842B1 (en) 1996-10-16 1996-10-16 Disposable non-woven cleaning articles
EP96116588.3 1996-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113A true KR20000049113A (ko) 2000-07-25

Family

ID=822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3194A KR20000049113A (ko) 1996-10-16 1997-09-22 1회용 세척 물품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836842B1 (ko)
JP (1) JP2000503577A (ko)
KR (1) KR20000049113A (ko)
CN (1) CN1233993A (ko)
AT (1) ATE200215T1 (ko)
AU (1) AU4488497A (ko)
BR (1) BR9712356A (ko)
CA (1) CA2268632A1 (ko)
DE (1) DE69612382T2 (ko)
ES (1) ES2155560T3 (ko)
WO (1) WO1998016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08790T3 (de) 1997-09-12 2009-07-16 The Procter & Gamble Co., Cincinnati Hautreinigungs- und konditionierungsartikel für haut und haar
US6491928B1 (en) 1999-01-21 2002-1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flux limiting cleansing articles
US6267975B1 (en) 1999-08-02 2001-07-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articles
US6322801B1 (en) 1999-08-02 2001-1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articles
US6217889B1 (en) 1999-08-02 2001-04-17 The Procto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articles
US7115535B1 (en) 1999-08-02 2006-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articles comprising batting
US6807702B2 (en) 1999-11-12 2004-10-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eaning system and apparatus
DK1310226T3 (da) * 2001-11-08 2006-02-13 Pelz Gmbh & Co Kg W Kosmetisk vatrondel
US6919089B2 (en) * 2002-02-19 2005-07-19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A Division Of Conopco, Inc. Pucker resistant cosmetic sachet
ITBS20020068A1 (it) * 2002-07-31 2004-02-01 Sanitars S R L Tessuto non tessuto in cotone idrofilizzato e suo processo produttivo.
US8914936B2 (en) 2012-02-08 2014-1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ke-up removal wipe
PL3536291T3 (pl) * 2018-03-05 2021-05-31 Essity Operations France Wacik do pielęgnacji skóry oraz sposób jego wytwarzania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2551A (en) 1955-03-21 1958-12-02 Artcraft Venetian Blind Mfg Co Roll-up blind
US3025585A (en) 1959-11-19 1962-03-20 Chicopec Mfg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nonwoven fabric
US3485706A (en) 1968-01-18 1969-12-23 Du Pont Textile-like patterned nonwoven fabrics and their production
US4379799A (en) * 1981-02-20 1983-04-12 Chicopee Nonwoven fabric having the appearance of apertured, ribbed terry cloth
JPS58132155A (ja) * 1982-01-31 1983-08-06 ユニ・チヤ−ム株式会社 模様を有する不織布の製造方法
JPH0433806Y2 (ko) 1986-06-26 1992-08-12
US5062418A (en) 1989-01-31 1991-11-05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Napped nonwoven fabric having high bulk and absorbency
EP0418493A1 (en) 1989-07-28 1991-03-27 Fiberweb North America, Inc. A nonwoven composite fabric combined by hydroentangl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4126858A (ja) * 1990-09-17 1992-04-27 Daisan Kk 拭き取り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32322B2 (ja) * 1991-05-02 2000-04-17 旭化成工業株式会社 ワイパー
JP2561475Y2 (ja) * 1991-12-06 1998-01-28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フェースマスク
US5302446A (en) * 1992-03-30 1994-04-12 International Paper Company Two-sided skin care wipe material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5363604A (en) * 1992-08-21 1994-11-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ntangled continuous filament nonwoven scouring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3163802B2 (ja) * 1992-10-23 2001-05-08 王子製紙株式会社 凹凸模様を有する不織シートの製造方法
US5320900A (en) 1993-08-10 1994-06-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 absorbency cleanroom wipes having low particles
FR2752247B1 (fr) * 1996-08-09 1998-09-25 Lystil Sa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une nappe textile non tissee et nouveau type de materiau obtenu par sa mise en oeuv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03577A (ja) 2000-03-28
EP0836842A2 (en) 1998-04-22
DE69612382D1 (de) 2001-05-10
DE69612382T2 (de) 2001-09-20
ATE200215T1 (de) 2001-04-15
EP0836842B1 (en) 2001-04-04
BR9712356A (pt) 1999-08-31
CN1233993A (zh) 1999-11-03
AU4488497A (en) 1998-05-11
ES2155560T3 (es) 2001-05-16
WO1998016349A1 (en) 1998-04-23
CA2268632A1 (en) 1998-04-23
EP0836842A3 (en) 1998-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4882B2 (ja) 積層シート
KR101434927B1 (ko) 하나 이상의 흡수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과용 퍼스널 케어 및/또는 클렌징 흡수 제품
JP6429664B2 (ja) 拭き取りシート
US20060182928A1 (en) Cleaning article exhibiting reduced surface occlusion
KR20000049113A (ko) 1회용 세척 물품 및 그 사용방법
JPH11318791A (ja) 起毛させた拭き取り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拭き取りシートを用いた清掃用物品
JPH10262883A (ja) 拭き取りシート
JP3668184B2 (ja) 皮膚湿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170756A (ja) 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用不織布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EP0849387A1 (en) Disposable fibrous cleaning article
JP2004236996A (ja) 洗浄シート
JP3967848B2 (ja) 清掃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38897Y1 (ko) 화장솜
KR102274379B1 (ko)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클린징패드
EP3536291B1 (en) A skin care pad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200190259Y1 (ko) 세안용 패드
JP3875769B2 (ja) 使い捨て用吸水性タオル
JP4579398B2 (ja) ドライタオル
JP2000106936A (ja) 不織布ブラシ
JP2023051889A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ならびにフェイスマスク
JP2000354513A (ja) 化粧綿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93553A (ja) 開孔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051885A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液体含浸シート、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ならびにフェイスマスク
KR20180001594U (ko) 스펀레이스 부직포의 화장포지
KR20170003256U (ko) 스펀레이스 부직포의 화장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