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379B1 -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클린징패드 - Google Patents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클린징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379B1
KR102274379B1 KR1020200028850A KR20200028850A KR102274379B1 KR 102274379 B1 KR102274379 B1 KR 102274379B1 KR 1020200028850 A KR1020200028850 A KR 1020200028850A KR 20200028850 A KR20200028850 A KR 20200028850A KR 102274379 B1 KR102274379 B1 KR 102274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fiber
fabric sheet
sheet
fabric
cleans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원
Original Assignee
김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원 filed Critical 김대원
Priority to KR1020200028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63Removing cosmetic substances, e.g. make-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징패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일면에는 부드럽고, 자극이 거의 없으며, 피부 혹은 체모부와의 마찰에도 보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시트를 구성하고, 타측면에는 각질케어가 효과적인 시트로 구성하되, 이들의 접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극세섬유로 제조한 극세사 원사를 경위사로 제직한 극세사직물을 얻고, 상기 극세사직물을 감량가공하여 유연성과 촉감을 배가시킨 극세사 감량직물을 얻고, 상기 극세사 감량직물 일측면을 피치기모가공하여 기모면이 형성된 극세사 기모직물시트를 준비하고, 그 위에 융점이 낮은 합성섬유사로 제조한 융착부직포 시트를 안치하되, 안정을 위하여 열압착부를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융착부직포시트를 얻고, 그 위에 극세사로 제조되고, 표면에 돌부가 형성된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를 차례로 중첩시킨 다음 초음파 접합기로 접합하여, 초음파접합부와 개구부가 형성된 클린징패드 성형체를 얻고, 동시에 클린징패드 성형체를 재단하여, 극세사 기모직물시트와, 융착부직포시트와,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가 차례로 접합된 클린징패드를 제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클린징패드{Manufacturing method of cleansing pads and its cleansing pads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클린징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클린징패드를 제조하되, 일면에는 부드럽고 자극이 거의 없으며, 피부는 물론 체모부와의 접촉시 보풀이 발생하지 않는 극세사 기모직물시트가, 타측면에는 각질케어에 효과적인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를 접합시켜 제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린징패드는 클린징(cleansing)크림을 이용하여 화장을 지우거나, 화장재료를 적셔 화장할때 사용되는 화장도구로서, 부드러운 면섬유, 또는 부직포를 소재로 하며, 원형 또는 사각의 패드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클린징패드는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띠형태의 손잡이를 구비하거나, 화장용 패드 자체가 주머니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개방된 부분을 통해 손가락을 집어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래 클린징패드에서 부직포로 된 패드부분을 이용하여 피부와 마찰시키거나, 짧게 깎인 체모부와 마찰하게 될 경우 보풀이 일어나 피부에 잔여물형태로 남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클린징패드의 주머니부분에 손가락을 끼워넣을 경우, 주머니 입구 양측부분의 미흡한 접합력 때문에 분리되어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클린징패드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0467648호 "화장용 양면패드"(특허문헌 1)와, 특허 제10-1348300호 "필링패드와 필링패드를 이용한 필링키트"(특허문헌 2)와, 공개특허 제10-2019-0097608호 "화장용 패드 및 그 제조방법"(특허문헌 3) 등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일면에 메쉬(mesh) 구조의 거즈(gauze)를 배치하고 반대편 일면에는 부드러운 섬유재를 배치하여 각질제거 및 클렌징 효과와 피부결을 케어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용 양면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양면 패드는 제1섬유재와; 상기 제1섬유재와 포개어지는 제2섬유재와; 상기 제1섬유재의 외면에 포개어지는 메쉬(mesh) 구조의 거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섬유재와 제2섬유재 및 거즈는 제1섬유재와 제2섬유재 사이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부분을 제외하고 테두리 부분이 상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구조가 매우 단순해 제조가 상당히 용이하고, 피부자극은 최소화하면서 각질과 피지는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필링부재가 망사(그물)형태를 이루고 있어 요철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러한 요철을 매개로 피부의 각질 및 피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더군다나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중 요철이 탈락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자극 역시 최소화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은, 피부에 보다 부드럽게 접촉하여 피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양면을 이루며 양면 사이에 내부 공간을 구비한 시트재를 포함하고, 일측 선단은 상기 시트재가 접혀져 양면이 일체로 연결된 비접합부를 이루고, 상기 비접합부의 반대쪽 선단은 양면이 서로 분리되어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입구부를 형성하고, 측방향 양 측단은 양면을 이루는 시트재 간에 서로 접합되어 측접합부를 이루는 화장용 패드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의 경우에도 나름의 장점도 있다 하겠으나,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단점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이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67648호 "화장용 양면패드" 특허 제10-1348300호 "필링패드와 필링패드를 이용한 필링키트" 공개특허 제10-2019-0097608호 "화장용 패드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클린징패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일면에는 부드럽고, 자극이 거의 없으며, 피부 혹은 체모부와의 마찰에도 보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시트를 구성하고, 타측면에는 각질케어가 효과적인 시트로 구성하되, 이들의 접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극세섬유로 제조한 극세사 원사를 경위사로 제직한 극세사직물을 얻고, 상기 극세사직물을 감량가공하여 유연성과 촉감을 배가시킨 극세사 감량직물을 얻고, 상기 극세사 감량직물 일측면을 피치기모가공하여 기모면이 형성된 극세사 기모직물시트를 준비하고, 그 위에 융점이 낮은 합성섬유사로 제조한 융착부직포 시트를 안치하되, 안정을 위하여 열압착부를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융착부직포시트를 얻고, 그 위에 극세사로 제조되고, 표면에 돌부가 형성된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를 차례로 중첩시킨 다음 초음파 접합기로 접합하여, 초음파접합부와 개구부가 형성된 클린징패드 성형체를 얻고, 동시에 클린징패드 성형체를 재단하여, 극세사 기모직물시트와, 융착부직포시트와,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가 차례로 접합된 클린징패드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클린징패드를 제조하되, 극세사 기모직물시트와 융착부직포시트와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를 차례로 위치시킨 다음, 초음파 접합기로 가압하여 초음파 접합부를 통하여 이들이 일체형으로 접합성형되게 하고, 동시에 개구부 양측에는 보강접합부가 형성되게 한 클린징패드를 제공케 함으로서, 클린징패드 사용시 극세사 기모직물시트의 기모면을 통하여 피부에 부드럽게 접촉할 뿐 아니라 자극이 없고, 특히 보풀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얼굴에 잔여물이 부착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엠보형 스펀레이스시트를 통하여 각질케어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클린징패드의 단계별 제조공정도
도 2 : 본 발명의 클린징패드를 구성하는 시트를 차례로 중첩시킨 상태도
도 3 : 도 2의 상태에서 초음파 접합기로 가압하여 클린징패드형태로 접합한 상태도
도 4 : 도 3에서 클린징패드 형태로 접합된 부분을 재단하여 클린징패드가 분리된 상태도
도 5 : 본 발명의 클린징패드 견본사진
도 6 : 본 발명의 클린징패드 견본사진으로서, 극세사 기모직물시트 부분의 상태도
도 7 : 도 5의 부분절개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클린징패드 제조를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극세사 기모직물시트 준비단계(S1)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는, 극세사직물 일측면을 기모하여 얻게 되고, 극세사직물은, 극세사로 제조한 원사를 경사 및 위사로 하여 밀도가 대체로 높은 평직형태로 제직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극세사는 머리카락굵기의 1/100이하, 즉 직경이 약1micrometer정도의 매우 가는 섬유로서, 뛰어난 수분흡수력과 강력한 세정력, 그리고 빠른 건조성 등의 특성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촉감이 매우 부드러워 피부를 부드럽게 보호해 주기 때문에고기능성 제품에 널리 적용된다.
극세사직물 제직을 위한 경사 및 위사는 나일론극세사와 폴리에스테르극세사를 20~30 : 70~80중량%의 비율로 하여 원하는 굵기의 극세사 원사를 제조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일론 극세사와 폴리에스테르 극세사의 비율을 25 : 75중량%의 비율로 하였고, 극세사 원사는 100데니어와 150데니어로 준비하였다.
상기에서 준비된 극세사 원사 중 경사를 100데니어, 위사를 150데니어로 하여 평직으로 제직하여 극세사직물을 얻는다.
상기 극세사직물을 수산화나트륨(NaOH)이 희석된 감량용액, 즉 알카리용액으로 처리하여 극세사직물 중량대비 3~5%정도 감량되게 함으로서, 촉감과 광택성이 증진된 극세사 감량직물을 얻는다.
상기 극세사 감량직물 일측면을 피치기모하여 일측면을 기모한 다음 샤링하여 기모된 잔털을 일정하게 절단함으로서, 촉감이 부드러운 극세사 기모직물시트(10)를 얻는다.
상기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 준비과정에서, 제직에 사용된 나일론 극세사나 폴리에스테르 극세사의 혼입비율이나, 경위사로 사용된 극세사 원사의 굵기나, 감량용액으로 감량하는 극세사직물의 감량정도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융착부직포시트 준비단계(S2)
융착부직포시트(30)는 클린징패드(10)를 구성하는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와, 엠보형 스펀레이스시트(40)를 유해성의 접착제 사용없이 이들을 견고히 열접합하는 기능과, 클린징패드(10)의 형태안정성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융점이 낮으면서 열가소성이고, 적절한 강도 및 유연성을 유지하는 합성섬유사이면 만족한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여러 종류의 합성섬유사가 제시될 수 있겠으나,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폴리프로필렌(PP)섬유를 이용하였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섬유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부직포 제조과정을 통하여 박형의 부직포시트를 얻는다.
상기 부직포는 매우 얇기 때문에 형태안정성 및 엉켜진 섬유끼리 접착제의 사용없이 접합시키기 위하여, 등간격으로 열접합부(31)를 형성시켜 융착부직포시트(30)를 준비한다.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 준비단계(S3)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40)는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로 구성되며,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는 레이온 극세사와 폴리에스테르 극세사가 70~80 : 20~30중량%의 비율로 구성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레이온 극세사와 폴리에스테르 극세사를 25~75중량%의 비율로 하였다.
상기에서 준비된 레이온 극세사와 폴리에스테르 극세사를 제트수와 혼합하고, 극세사가 혼합된 제트수류를 웹에 분사하여 섬유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40)를 제조하게 되며, 이때 웹 밑에 설치된 패턴판을 이용하여 일측면에 엠보형의 돌기(41)를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40)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드레프성, 흡수성, 벌키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클린징패드 소재중첩단계(S4)
클린징패드 소재중첩단계(S4)는, 클린징패드(10) 성형을 위하여 각 단계에서 얻어진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와, 융착부직포시트(30)와, 엠보형 스펀레이스부직포시트(40)를 차례로 중첩되게 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에서, 엠보형 스펀레이스부직포시트(40)의 일측 단부는 도 2에서와 같이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 및 융착부직포시트(30)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되게하여 클린징패드(10) 성형시 자연스럽게 개구부가 형성되게 한다.
클린징패드 소재중첩단계(S4)에서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 융착부직포시트(30) 및 엠보형 스펀레이스부직포시트(40)는, 각각 롤상태로 권취하여 두었다가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가지런히 적층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아랫쪽에 위치하는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의 경우, 기모면(21)이 외측방향에 위치되게 하고, 엠보형 스펀레이스부직포시트(40)의 돌부(41) 역시 외측방향에 위치되게 한다.
열접합 및 클린징패드 제조단계(S5)
열접합 및 클린징패드 제조단계(S5)는 클린징패드 소재중첩단계(S4)에서 적층된 소재를 초음파접합기(도시안됨)를 통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제작하고자 하는 클린징패드(10) 형태로 융착시킨 접합부(11)를 형성시킨다.
이때 융착부직포시트(40)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한 엠보형 스펀레이스부직포시트(40)의 일측에는 자연스럽게 개구부(12)가 형성되고, 개구부(12) 양측 단부에는 보강접합부(13)를 구성하여 융착부직포시트(30)와 엠보형 스펀레이스부직포시트(40)의 접합을 견고히 한다.
초음파접합시 융착부직포시트(30)를 구성하는 소재가 폴리프로필렌(PP)섬유와 같이 융점이 대체로 낮으면서, 열가소성인 합성섬유로 구성되어 있어, 접합의 용이성과, 접합후에도 경화되는 현상없이 굴곡이 자유로운 부드러운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적층된 클린징패드소재를 초음파 접합기로 융착시켜 접합부(11)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접합부(11) 외측테두리를 재단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재단된 클린징패드(10)의 제조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클린징패드(10) 역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클린징패드와 같이 클린징크림을 이용하여 화장을 지우거나 화장재료를 적셔 화장할때 사용한다는 것은 종래와 다를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클린징패드(10)를 구성하는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의 경우, 나일론 극세사와 폴리에스테르 극세사를 25 : 75 중량%의 비율로 구성한 극세사 원사를 제조하고, 상기에서 제조된 극세사 원사를 경사 및 위사로 하여 평직으로 제직하여 극세사직물을 얻고, 상기 극세사직물을 알카리용액으로 감량처리하여 3~5%정도 감량하여 촉감과 광택성이 증진된 극세사 감량직물을 얻고, 상기 극세사 감량직물의 일면을 기모하고, 기모된 잔털을 일정하게 절단하는 샤링을 통하여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를 얻는다.
따라서 클린징패드(10)를 구성하는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의 기모면(21)은 극세사섬유로 제직한 원단을 감량하여 촉감과 광택을 증진시키고, 특히 극세사 기모직물 표면을 인위적으로 마찰을 주어 기모시킨 다음 샤링하여 기모된 잔털을 일정하게 절단한 것이기 때문에 부드러운 촉감과 유연성이 우수하며, 특히 인위적인 기모과정을 통하여 사용중 보풀이 형성되는 원인을 제거함으로서, 사용중 체모부분에 사용하여도 종래와 같이 섬유잔여물이 피부에 묻어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클린징패드(10)의 경우, 최근 피부미용에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남성의 얼굴면도부위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40)의 경우, 레이온과 폴리에스테르 극세사로 구성되면서, 표면에 엠보형의 돌부(41)가 형성되어 있어 각질케어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중앙부에 위치하는 융착부직포시트(30)는 폴리프로필렌(PP) 섬유와 같이 융점이 낮은 합성섬유로 구성되어 있어, 초음파접합을 통한 접합부(11) 형성시 견고한 융착성을 담보하게 되며, 특히 개구부(12) 양측부에는 별도의 보강접합부(13)를 부가하여 사용시 개구부(12)를 통하여 손가락을 끼우는 과정에서 미흡한 접합력때문에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융착부직포시트(30)는 등간격으로 형태안정을 위한 열접합부(31)가 형성되어 있어, 엠보형 스펀레이스부직포시트(40)와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의 접합력을 높이는 기능과 함께, 형태를 안정하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린징패드의 기능을 충족하는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S1)--극세사 기모직물시트 준비단계
(S2)--융착부직포시트 준비단계
(S3)--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 준비단계
(S4)--클린징패드 소재중첩단계
(S5)--열접합 및 클린징패드 제조단계
(10)--클린징패드 (11)--접합부
(12)--개구부 (13)--보강접합부
(20)--극세사 기모직물시트 (21)--기모면
(30)--융착부직포시트 (31)--열접합부
(40)--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
(41)--돌부

Claims (3)

  1. 클린징패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나일론 극세사와 폴리에스테르 극세사를 20:30 ~ 70~80중량%의 비율로 하여 극세사원사를 얻고, 상기 극세사원사를 경사 및 위사로 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극세사직물을 얻고, 상기 극세사직물을 알카리용액으로 감량처리하여 극세사 감량직물을 얻고, 상기 극세사 감량직물 일측면을 피치기모한 다음 샤링하여, 일측면에 기모면(21)이 형성된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를 제조하는 극세사 기모직물시트 준비단계(S1)와, 융점이 낮으면서 열가소성인 폴리프로필렌섬유를 이용하여 박형의 부직포시트를 얻고, 상기 부직포시트에 열접합부(31)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융착부직포시트(30)를 제조하는 융착부직포시트준비단계(S2)와, 레이온 극세사와 폴리에스테르 극세사가 70~80 : 20~3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제트수류를 웹에 분사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되, 웹밑에 설치된 패턴판을 이용하여 일면에 엠보형의 돌기(41)가 형성된 엠보형 스펀레이스부직포시트(40)를 제조하는 엠보형 스펀레이스부직포시트 준비단계(S3)와, 상기 각 단계에서 제조된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와, 융착부직포시트(30)와, 엠보형 스펀레이스부직포시트(40)를 차례로 중첩하되,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의 기모면(21)과, 엠보형 스펀레이스부직포시트(40)의 돌기(41)가 외측방향으로 위치되게 하는 클린징패드 소재중첩단계(S4)와, 중첩된 클린징패드소재를 초음파 접합기를 통하여 클린징패드(10) 형태로 융착시킨 접합부(11)를 통하여, 이들이 접합되게 함과 동시에, 재단하여 클린징패드를 제조하는 열접합 및 클린징패드 제조단계(S5)를 통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나일론 극세사와 폴리에스테르 극세사의 혼입비율을 25:75 중량%로 극세사원사를 제조하되, 100데니어 및 150데니어 극세사 원사로 제조하고, 경사를 100데니어, 위사를 150데니어로 제직하여 극세사직물을 얻고, 감량은 극세사직물 중량대비 3~5%로 하여 극세사 감량직물을 얻고, 레이온 극세사와 폴리에스테르 극세사를 75 : 25중량%의 비율로 제트수류를 통하여 웹에 분사시켜 엠보형 스펀레이스부직포시트(40)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3. 클린징패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나일론 극세사와 폴리에스테르 극세사를 20:30 ~ 70~80중량%의 비율로 하여 극세사원사를 얻고, 상기 극세사원사를 경사 및 위사로 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극세사직물을 얻고, 상기 극세사직물을 알카리용액으로 감량처리하여 극세사 감량직물을 얻고, 상기 극세사 감량직물 일측면을 피치기모한 다음 샤링하여 일측면에 기모면(21)이 형성된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를 얻고, 융점이 낮으면서 열가소성인 폴리프로필렌섬유를 이용하여 박형의 부직포시트를 얻고, 상기 부직포시트에 열접합부(31)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융착부직포시트(30)를 얻고, 레이온 극세사와 폴리에스테르 극세사가 70~80 : 20~30중량%의 비율로 혼입된 제트수류를 웹에 분사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되, 웹밑에 설치된 패턴판을 이용하여 일면에 엠보형의 돌기(41)가 형성된 엠보형 스펀레이스부직포시트(40)를 얻고, 상기에서 얻어진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와, 융착부직포시트(30)와,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40)를 차례로 중첩하되,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의 기모면(21)과,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40)의 돌기(41)가 외측방향으로 위치되게 클린징패드소재를 중첩하고, 중첩된 클린징패드소재를 초음파 접합기로 접합, 클린징패드(10) 형태로 융착시킨 접합부(11)를 통하여, 이들이 접합되게 함과 동시에, 재단하여 클린징패드를 제조하되, 극세사 기모직물시트(20)에 구성된 기모면(21)과, 엠보형 스펀레이스 부직포시트(40)에 구성된 돌부(41)가 클린징패드(10) 외측방향에 위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패드.
KR1020200028850A 2020-03-09 2020-03-09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클린징패드 KR102274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850A KR102274379B1 (ko) 2020-03-09 2020-03-09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클린징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850A KR102274379B1 (ko) 2020-03-09 2020-03-09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클린징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379B1 true KR102274379B1 (ko) 2021-07-07

Family

ID=7686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850A KR102274379B1 (ko) 2020-03-09 2020-03-09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클린징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37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226A (ko) * 2003-10-17 2005-04-2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극세사로 이루어진 화장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67648Y1 (ko) 2012-07-04 2013-07-01 (주)아우딘퓨쳐스 화장용 양면 패드
KR101348300B1 (ko) 2013-03-27 2014-01-08 유창선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
KR101862099B1 (ko) * 2017-01-03 2018-05-29 쓰리업화장품 주식회사 클렌징/각질제거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1824U (ko) * 2016-12-09 2018-06-19 김주원 고마쥬 클렌징 에센스가 함침된 화장용 패드
KR20180111198A (ko) * 2017-03-31 2018-10-11 (주)케이엔피코리아 클렌징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일회용 골무형 클렌징 패드
KR20190097608A (ko) 2018-02-12 2019-08-21 엄성길 화장용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226A (ko) * 2003-10-17 2005-04-2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극세사로 이루어진 화장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67648Y1 (ko) 2012-07-04 2013-07-01 (주)아우딘퓨쳐스 화장용 양면 패드
KR101348300B1 (ko) 2013-03-27 2014-01-08 유창선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
KR20180001824U (ko) * 2016-12-09 2018-06-19 김주원 고마쥬 클렌징 에센스가 함침된 화장용 패드
KR101862099B1 (ko) * 2017-01-03 2018-05-29 쓰리업화장품 주식회사 클렌징/각질제거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1198A (ko) * 2017-03-31 2018-10-11 (주)케이엔피코리아 클렌징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일회용 골무형 클렌징 패드
KR20190097608A (ko) 2018-02-12 2019-08-21 엄성길 화장용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4882B2 (ja) 積層シート
TWI230600B (en)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
TWI231269B (en) Tufted laminate web
KR101975360B1 (ko) 화장용 마스크
JP4738483B2 (ja) タフト化した繊維ウェブ
RU2603611C1 (ru) Подвергнутые струйному скреплению слоистые полотна, имеющие полые выступы, и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JP3630117B2 (ja) 清掃用物品
US7838099B2 (en) Looped nonwoven web
JP6423578B2 (ja) 積層不織布、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製品
JP2002187228A (ja) 立体シート材料
BRPI0514686B1 (pt) artigo tendo um prendedor mecânico e configurado para ser usado por um usuário e sistema prendedor liberável para unir uma primeira superfície a uma segunda superfície
KR20070048213A (ko) 확장가능한 흡수 코어 및 흡수 물품
BRPI0512071B1 (pt) manta de não-tecido com laços
KR101949754B1 (ko) 적층 부직포와 그 제품
JP3668184B2 (ja) 皮膚湿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836842B1 (en) Disposable non-woven cleaning articles
JPH0446146B2 (ko)
KR102274379B1 (ko)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클린징패드
CN219010626U (zh) 水刺无纺布、复合无纺布及卫生吸收制品
JP4274809B2 (ja) 洗浄シート
CN114481444A (zh) 水刺无纺布、复合无纺布及卫生吸收制品
JP2004202890A (ja) 立体シート材料
JP2003164488A (ja) 生理用ショーツ
KR200190859Y1 (ko) 레이욘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부착된 화장솜
JP7254690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