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300B1 -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 - Google Patents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300B1
KR101348300B1 KR1020130033008A KR20130033008A KR101348300B1 KR 101348300 B1 KR101348300 B1 KR 101348300B1 KR 1020130033008 A KR1020130033008 A KR 1020130033008A KR 20130033008 A KR20130033008 A KR 20130033008A KR 101348300 B1 KR101348300 B1 KR 10134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elastic foam
skin
pad
foa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선
Original Assignee
유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1447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4830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창선 filed Critical 유창선
Priority to KR1020130033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47L13/18Gloves; Glove-like clo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6Hand percussion, i.e. Hand 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자극은 최소화하면서 각질과 피지는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구조가 매우 단순해 제조가 상당히 용이한 필링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발포부재와; 상기 탄성발포부재에 부착되는 망사형태로 직조된 필링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구조가 매우 단순해 제조가 상당히 용이하고, 피부자극은 최소화하면서 각질과 피지는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필링부재가 망사(그물)형태를 이루고 있어 요철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러한 요철을 매개로 피부의 각질 및 피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더군다나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중 요철이 탈락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자극 역시 최소화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Peeling pad and Peeling pad kit using them}
본 발명은 피부자극은 최소화하면서 각질과 피지는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피부 손질을 위한 방법으로는 기본적인 화장품 사용 외에 피부의 각질을 제거하여 피부를 깔끔하게 가꾸기 위한 필링 방법과 색조화장 및 피부에 사용된 화장품을 제거하기 위한 클렌징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종래의 필링 방법은 각질을 제거하기 위한 살구씨 분말과 같이 작은 알갱이가 들어 있는 스크럽제 화장품을 사용하여 피부에 일정량을 펴서 바른 후, 필링패드를 사용하여 닦아내면서 피부에 각질이 알갱이에 의해 연마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작은 알갱이 성분이 첨가된 스크럽제 화장품은 각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피부를 자극하여 민감한 피부를 가진 여성들에게는 피부 질환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035140호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클렌징물질이 함침(含浸)된 하측패드의 상면으로 차단막이 형성되고, 하측패드의 저면에는 스크럽물질이 함유된 요철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비교적 크기가 작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저가로 제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해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였고, 특히 스크럽물질이 함유된 요철부를 매개로 피부에 문질러 피부 각질을 제거할 경우 내구성이 약해 스크럽물질이 함유된 요철부가 하측패드로부터 쉽게 탈락하여 시술자의 피부에 달라붙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때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문지를 경우 피부를 심하게 자극하게 되거나 상처를 내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부자극은 최소화하면서 각질과 피지는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구조가 매우 단순해 제조가 상당히 용이한 필링 패드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링 패드와 필링제 및 파우치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개별적으로 휴대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링 패드는,
탄성발포부재와;
상기 탄성발포부재에 부착되는 망사형태로 직조된 필링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발포부재에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날개부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에는 밴드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발포부재와 필링부재는 열융착을 매개로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필링부재의 굵기는 1㎜이상 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발포부재의 재질은 폴리우레탄이고, 필링부재의 재질은 나일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링 키트는,
탄성발포부재와 필링부재 및 밴드부재로 구성된 필링패드와;
상기 필링패드가 수용되는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에 수용되어 필링패드에 함침되는 필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구조가 매우 단순해 제조가 상당히 용이하고, 피부자극은 최소화하면서 각질과 피지는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필링부재가 망사(그물)형태를 이루고 있어 요철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러한 요철을 매개로 피부의 각질 및 피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더군다나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중 요철이 탈락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자극 역시 최소화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링 패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링 패드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 발췌하여 보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링 패드에서 밴드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링 패드는, 탄성발포부재(10)와 필링부재(20)로 구성되어 필링제(peeling agent)를 매개로 피부의 각질 및 피지를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탄성발포부재(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필링제(peeling agent)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탄성발포부재(10)는 원형 이외에도 각형과 같이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발포부재(10)는 스펀지(sponge)와 같이 신축력(伸縮力)과 흡수력(吸水力)을 갖춘 재질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필링부재(20)는 탄성발포부재(10)의 외면에 부착되어 필링제(peeling agent)를 매개로 피부의 각질 및 피지를 제거하는 섬유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필링부재(20)를 망사(그물)형태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필링부재(20)가 망사(그물)형태를 이루고 있어 요철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러한 요철을 매개로 피부의 각질 및 피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더군다나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중 요철이 탈락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자극 역시 최소화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상기 필링부재(20)는 탄성발포부재(10)와 열융착되어 상호 고정된다.
특히, 상기 필링부재(20)와 탄성발포부재(10)를 열융착하였을 때에 필링부재(20)의 망사(그물)형태는 그대로 유지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의 경우 필링부재(20)의 재질을 탄성발포부재(10)보다 용융온도가 높은 나일론(nylon)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참고로, 상기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의 용융온도는 200 ∼ 230℃이고, 나일론(nylon)의 용융온도는 265℃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장시간 동안 탄성발포부재(10)가 필링제(peeling agent)를 함침하고 있더라도 탄성발포부재(10)와 필링부재(20)가 열융착을 매개로 상호 고정되기 때문에 부착력(附着力)이 약해져 상호 간에 들뜨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링부재(20)의 섬유 즉, 나일론의 단면 직경은 1㎜이상 2㎜이하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나일론의 단면 직경이 1㎜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의 자극은 없으나 각질 및 피지 제거가 상당히 미미하고, 나일론의 단면 직경이 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각질 및 피지 제거는 우수하나 피부를 심하게 자극하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필링제(peeling agent)는 액상의 용액으로서, AHA, BHA가 사용되며, 이 밖에도 다양한 공지의 필링제(peeling agent)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AHA(Alpha Hydroxy Acid)와 BHA(Beta Hydroxy Acid)는 노출된 피부 표면에 작용하는 일반 화장품 스크럽과 달리 피부에 파고들어 더 나은 필링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AHA나 BHA는 죽은 외표피만 벗겨내고 건강한 피부는 남겨두게 된다.
상기 AHA와 BHA의 가장 큰 차이점은 상기 AHA는 수용성(水溶性)이고, BHA는 지용성(脂溶性)이다.
상기 BHA는 기름기를 뚫고 모공 안쪽까지 들어가 축적되어 있는 피부세포들을 벗겨내 줄 수 있게 해주며, 상기 AHA는 태양에 의한 손상, 두꺼워지거나 건조해진 피부에 더 적합하다.
한편, 상기 필링제(peeling agent) 이외에 식물추출물 및 발효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올리브잎발효추출물, 페페민트잎발효여과물, 붉은토끼풀꽃발효추출물, 샐러리추출물, 양배추잎추출물, 쌀추출물, 토마토열매/토마토잎/줄기추출물, 순무잎추출물, 당근추출물, 브로콜리추출물, 베르가모트열매오일, 알로에베라잎즙가루 등이 있으며, 이 밖에도 공지의 다양한 추출물 및 발효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링제(peeling agent) 이외에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를 더 포함하여 피부자극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필링 패드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밴드부재를 설치할 경우 종래에는 탄성발포부재와 필링부재 사이에 넣어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이 탄성발포부재와 필링부재 사이에 밴드부재를 넣어 함께 고정하더라도 결합력이 상당히 약해 작은 외력에도 쉽게 떨어지는 근본적인 문제 및 설치 자체가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탄성발포부재(1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으로 돌출되는 날개부(21)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날개부(21)에는 밴드부재(30)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탄성발포부재(10)에 날개부(21)를 형성시켜 주고, 날개부(21)에 밴드부재(30)를 부착시켜 줌으로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손쉽게 필링을 실시할 수 있게 되며, 설치 역시 상당히 용이해진다.
상기 날개부(21)에 밴드부재(30)를 부착하는 방식은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할 수도 있지만, 외력이 가해지거나 또는 탄성발포부재(10)가 장시간 필링제를 함침하고 있는 경우 날개부(21)와 밴드부재(30) 간에 부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지면서 종국에는 사용중 서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날개부(21)와 밴드부재(30)를 서로 박음질해 부착력을 강화시켜 주었으며, 이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거나 또는 탄성발포부재(10)가 장시간 필링제를 함침하고 있더라도 상호 간의 부착력이 약해짐으로 인한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날개부(21)와 밴드부재(30)를 서로 박음질시켜 줄 때에 필링부재(20)도 함께 박음질하여 부착력이 강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링패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단계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부착단계 → 펀칭단계 → 띠부착단계 → 뒤집기단계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상세하세 설명하면, 먼저 탄성발포부재(10)에 필링부재(20)를 안착시켜 준다.
그 다음 열판을 이용하여 탄성발포부재(10)와 필링부재(20)를 열을 가하면서 일정시간 동안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열판에 의해 탄성발포부재(10)와 필링부재(20)가 일정시간 동안 가압되면 탄성발포부재(10)의 외면이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필링부재(20)와 상호 융착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열판의 온도는 250℃이고, 이때 가압시간은 1 ∼ 2초이며, 탄성발포부재(10;폴리우레탄)의 용융온도는 200 ∼ 230℃이고, 필링부재(20;나일론)의 용융온도는 265℃이다.
상기와 같이 탄성발포부재(10)와 필링부재(20)를 서로 부착시킨 이후에는 펀칭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펀칭하며, 펀칭시 날개부(21)도 함께 형성시켜 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재(30)의 양단부를 탄성발포부재(10)의 날개부(21)에 배치시켜 준 상태에서 재봉틀을 이용하여 서로 박음질한다.
상기와 같이 날개부(21)에 밴드부재(30)를 박음질시켜 준 이후에는 밴드부재(30) 아래로 열융착된 탄성발포부재(10)와 필링부재(20)를 밀어 넣어 뒤집어 주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링 패드(도 1 참조)가 완성된다.
참고로, 상기 밴드부재(30)에는 회사의 로고 또는 제품명이 표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구조가 매우 단순해 제조가 상당히 편리하고, 재봉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제품이 상당히 미려하게 보이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필링 패드를 이용하여 필링 키트(peeling kit)를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필링 키트(peeling kit)는 필링패드와 파우치 및 필링제로 구성된다.
상기 필링패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탄성발포부재(10)와 필링부재(20) 및 밴드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파우치는 공지의 수지계열의 비닐로서 내부에는 필링패드와 필링제가 수용되어 보관된다.
상기 필링제(peeling agent)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액상의 용액으로서, AHA, BHA가 사용되며, 이 밖에도 다양한 공지의 필링제(peeling agent)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링제(peeling agent) 이외에 식물추출물 및 발효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올리브잎발효추출물, 페페민트잎발효여과물, 붉은토끼풀꽃발효추출물, 샐러리추출물, 양배추잎추출물, 쌀추출물, 토마토열매/토마토잎/줄기추출물, 순무잎추출물, 당근추출물, 브로콜리추출물, 베르가모트열매오일, 알로에베라잎즙가루 등이 있으며, 이 밖에도 공지의 다양한 추출물 및 발효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링제(peeling agent) 이외에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를 더 포함하여 피부자극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필링 패드와 필링제 및 파우치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휴대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탄성발포부재 11: 날개부 20: 필링부재
30: 밴드부재

Claims (6)

  1. 외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돌출된 날개부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재질의 탄성발포부재와;
    상기 날개부가 포함되게 탄성발포부재의 일면에 열융착되며 망사형태로 직조된 나일론재질의 필링부재와;
    상기 탄성발포부재를 뒤집으면 탄성발포부재의 타면으로 날개부가 접히도록 양단부가 각각 필링부재에 맞대어져 필링부재와 함께 날개부에 고정되는 밴드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링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의 단면 직경은 1㎜이상 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링패드.
  3. 외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돌출된 날개부를 구비하는 폴리우레탄재질의 탄성발포부재와, 상기 날개부가 포함되게 탄성발포부재의 일면에 열융착되며 망사형태로 직조된 나일론재질의 필링부재와, 상기 탄성발포부재를 뒤집으면 탄성발포부재의 타면으로 날개부가 접히도록 양단부가 각각 필링부재에 맞대어져 필링부재와 함께 날개부에 고정되는 밴드부재로 구성된 필링패드와;
    상기 필링패드가 수용되는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에 수용되어 필링패드에 흡수되는 필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033008A 2013-03-27 2013-03-27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 KR10134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008A KR101348300B1 (ko) 2013-03-27 2013-03-27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008A KR101348300B1 (ko) 2013-03-27 2013-03-27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300B1 true KR101348300B1 (ko) 2014-01-08

Family

ID=5014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008A KR101348300B1 (ko) 2013-03-27 2013-03-27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3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405A (ko) 2015-04-07 2016-10-18 (주)코떼랑 필링 패드와 고상의 화학적 필링제를 포함하는 필링 키트
KR20190124383A (ko) 2018-04-26 2019-11-05 유창선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
KR102112552B1 (ko) 2019-09-23 2020-05-20 유창선 피부 클렌징 패드
KR102274379B1 (ko) 2020-03-09 2021-07-07 김대원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클린징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2633A (ja) * 1994-12-29 1996-07-16 Shimoda Shokai:Kk 人体用清浄具
JP2007260136A (ja) * 2006-03-28 2007-10-11 Tbc Group Kk 皮膚洗浄用パフ
KR101164220B1 (ko) * 2011-10-12 2012-07-10 유창선 피부 각질제거용 필링패드 및 필링패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2633A (ja) * 1994-12-29 1996-07-16 Shimoda Shokai:Kk 人体用清浄具
JP2007260136A (ja) * 2006-03-28 2007-10-11 Tbc Group Kk 皮膚洗浄用パフ
KR101164220B1 (ko) * 2011-10-12 2012-07-10 유창선 피부 각질제거용 필링패드 및 필링패드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405A (ko) 2015-04-07 2016-10-18 (주)코떼랑 필링 패드와 고상의 화학적 필링제를 포함하는 필링 키트
KR101673381B1 (ko) * 2015-04-07 2016-11-08 (주)코떼랑 필링 패드와 고상의 화학적 필링제를 포함하는 필링 키트
KR20190124383A (ko) 2018-04-26 2019-11-05 유창선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
KR102112552B1 (ko) 2019-09-23 2020-05-20 유창선 피부 클렌징 패드
KR102274379B1 (ko) 2020-03-09 2021-07-07 김대원 클린징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클린징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300B1 (ko)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
KR101452400B1 (ko) 돌기가 부착된 마스크팩
US10477907B2 (en) Skin care mask glove and mask sock
JP6524212B2 (ja) 多機能を有する自己温度調節型フィルム並びに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フェイスマスク及びアイシート
KR200478460Y1 (ko) 손발 및 팔다리용 팩 세트
US20070074426A1 (en) Digital absorbent pad
KR101113196B1 (ko) 발팩
CN204133689U (zh) 一种阴部冷敷冰垫
ES2234671T3 (es) Un tampon para la limpieza de maquillaje.
KR101264058B1 (ko) 고기능성 네일 팩
JP2016523967A5 (ko)
CN211512735U (zh) 一种超细绢丝面膜
JP3164452U (ja) 足うらの美容用パックセット
KR101433892B1 (ko) 화장품 도포장치
KR101583449B1 (ko) 목 화장용구
KR101673381B1 (ko) 필링 패드와 고상의 화학적 필링제를 포함하는 필링 키트
CN108635239A (zh) 一种上下分离式片状面膜及使用方法
CN209847551U (zh) 一种医用冷敷贴
CN202751684U (zh) 保健眼贴
CN201596249U (zh) 远红外肢体外敷药物装置
KR102127328B1 (ko) 발팩
KR20160057895A (ko) 헤어크리닉 팩
KR102587425B1 (ko) 팔꿈치 또는 무릎의 피부 케어에 적합한 미용 패드
CN208658118U (zh) 一种方便使用的粉扑
CN211724071U (zh) 一种便于贴合的眼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194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617

Effective date: 2019121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8989; INVALID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8989;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224

Effective date: 2020052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3000009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611

Effective date: 2020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