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383A -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 - Google Patents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383A
KR20190124383A KR1020180048271A KR20180048271A KR20190124383A KR 20190124383 A KR20190124383 A KR 20190124383A KR 1020180048271 A KR1020180048271 A KR 1020180048271A KR 20180048271 A KR20180048271 A KR 20180048271A KR 20190124383 A KR20190124383 A KR 20190124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foam
peeling
beauty pad
pad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선
Original Assignee
유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선 filed Critical 유창선
Priority to KR1020180048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4383A/ko
Publication of KR20190124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1Non-reactive adhesives, e.g. physically hardening adhesives
    • B29C65/4815Hot melt adhesives, e.g. thermoplastic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9Textile or other fibrous material made from plastics
    • B29C66/7294Non woven mats, e.g. fel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또는 겔상의 필링제, 클렌징 및 앰플 등과 함께 파우지 포장하여 유통이 되어도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 발포 부재와 상기 탄성 발포 부재에 망사(그물) 형상의 필링 부재가 부착된 뷰티 패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발포 부재가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A multi-functional beauty pad having strong erosion resistance property}
본 발명은 뷰티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 또는 겔상의 필링제, 클렌징, 앰플 등과 함께 포장하여 유통이 되어도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필링 방법은 각질을 제거하기 위한 살구씨 분말과 같이 작은 알갱이가 들어 있는 스크럽제(물리적 필링제) 화장품을 사용하여 피부에 일정량을 펴서 바른 후, 뷰티 패드를 사용하여 닦아내면서 피부 각질이 알갱이에 의해 연마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작은 알갱이 성분이 첨가된 스크럽제 화장품은 각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피부를 자극하여 민감한 피부를 가진 여성들에게는 피부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5140호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클렌징 물질이 함침(含浸)된 하측 패드의 상면으로 차단막이 형성되고, 하측 패드의 저면에는 스크럽 물질이 함유된 요철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비교적 크기가 작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저가로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해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였고, 특히 스크럽 물질이 함유된 요철부를 매개로 피부에 문질러 피부 각질을 제거할 경우 내구성이 약해 스크럽 물질이 함유된 요철부가 하측 패드로부터 쉽게 탈락하여 시술자의 피부에 달라붙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때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문지를 경우 피부를 심하게 자극하게 되거나 상처를 내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48300호를 통하여 구조가 매우 단순해 제조가 상당히 용이하고, 피부자극은 최소화하면서 각질과 피지는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필링부재가 망사(그물)형태를 이루고 있어 요철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러한 요철을 매개로 피부의 각질 및 피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더군다나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 중 요철이 탈락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자극 역시 최소화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는 필링 패드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48300호에는 상술한 필링 패드를 액상 또는 겔상의 필링제, 클렌징 및 앰플 등과 함께 파우치 포장을 하여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휴대할 필요 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필링 키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48300호에서 제공하고 있는 필링 키트는 액상 또는 겔상의 화학적 필링제와 필링 패드를 함께 포장하기 때문에 장기 보관 시에 액상 내지 겔상의 화학적 필링제 속에 필링 패드가 오래 시간 동안 담겨져 있어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필링 패드는 필링을 위한 용도뿐만 아니라 피부를 클렌징하고 액상의 앰플을 피부에 잘 흡수시키도록 하는 총괄적 의미로 뷰티 패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클렌징 이나 앰플이 액상이기 때문에 부식의 문제는 여전히 발생하게 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5140호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48300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액상 내지 겔상의 필링제, 클렌징, 앰플 등과 함께 포장을 유통이 되어도 부식성이 강하여 유통 기간 내에 뷰티 패드가 손상이 되지 않은 강 내부식성 다가능 뷰티 패드에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성 발포 부재와 상기 탄성 발포 부재에 망사(그물) 형상의 필링 부재가 부착된 뷰티 패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발포 부재가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에 있어서, 상기 필링 부재는 극세사이며, 상기 탄성 발포 부재에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에 있어서, 상기 필링 부재는 핫멜트를 이용한 열융착에 의해 부착되어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뷰티 패드는 탄성 발포 부재 부분이 부식이 되어 필링 부재가 탈락되거나 뷰티 패드가 손상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나 본 발명에 따른 뷰티 패드는 액상 또는 겔상의 필링제, 클렌징 및 앰플 등과 함께 포장이 되어 유통되어도 부식이 일어나지 않아 원형 그대로의 뷰티 패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뷰티 패드를 이용한 경우 액상 또는 겔상의 필링제, 클렌징 및 앰플 등과 함께 포장하여 유통시켰을 때 발생하는 부식에 의한 손상의 문제가 없어 제품의 소비자 신뢰도 향상과 반품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례에 따른 뷰티 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뷰티 패드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액상 또는 겔상의 필링제, 클렌징 및 앰플 등과 함께 포장이 되어도 유통기간 동안 부식이 일어나지 않은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는 탄성 발포 부재와 그 양면 또는 일면에 망사(그물) 형상의 필링 부재가 부착된 뷰티 패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발포 부재가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면 본 발명에 따른 뷰티 패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그 예를 도 1 내지 2로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뷰티 패드는, 탄성 발포 부재(10)와 필링 부재(20)로 구성되어 화학적 필링제를 매개로 피부의 각질 및 피지를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탄성 발포 부재(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형의 형상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사용할 때 탄성에 의해 피부접촉을 부드럽게 하며, 또한 액상 또는 겔상의 필링제, 클렌징 및 앰플 등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 발포 부재(10)는 원형 이외에도 각형과 같이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발포 부재(10)는 스펀지(sponge)와 같이 신축력(伸縮力)과 흡수력(吸水力)을 갖춘 재질로 액상 또는 겔상의 필링제, 클렌징, 앰플에 침지시켜 두어도 전혀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한다.
종래에는 사용하는 탄성 발포 부재는 부식성이 있는 액상 또는 겔상의 필링제, 클렌징 및 앰플 등과 함께 포장하여 유통시키는 경우 부식에 의하여 손상이 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으로 만든 탄성 발포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레탄 결합(Urethane Bond)은 활성 수산기 (-OH)를 갖고 있는 알콜과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갖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가 부가중합 반응 (Addition Polycmrization Reaction)에 의해 반응열을 발생시키면서 형성된다. 즉, 1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 Group)를 가지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류와 1개 이상의 수산기(-OH)를 갖는 알콜류를 다관능기 (Polyfunctional)라고 하며 관능기가 적정조건 하에서 고온의 열을 발산시키면서, (-NHCOO-)의 구조를 가진 화합물질을 생성시키는데 이것을 우레탄 결합(Uolyurethanc)이라고 하고, 1000이상의 분자가 결합된 것을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우레탄계 합성고무에는 스판덱스가 있으며, 우레탄계 합성고무에는 연질, 반경질, 경질 등의 폴리에스테르계와 폴리에테르계로 구분된다.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은 프로필렌글리콜과 에틸렌글리콜을 아디프산과 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로 만들고, 양단에 OH기를 가진 분자량 3,000까지의 것을 나프탈렌-1, 5-디이소시안산으로 우레탄화시킴과 동시에 고분자로 만든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은 연질경질의 차이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보다 저발포성 재질이다.
반면에,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은 폴리에테르계는 산화프로필렌에 얼마간의 산화에틸렌을 섞어서 먼저 폴리에테르로 하고, 그 양끝의 OH기를 톨루일렌디이소시안산과 반응시켜 고분자량의 폴리우레탄으로 만든 것으로서 고발포성 재질로서, 본 발명과 같은 뷰티 패드의 탄성 발포 부재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이어서, 필링 부재(20)는 탄성 발포 부재(10)의 외면에 부착되어 필링제를 매개로 피부의 각질 및 피지를 제거하거나 피부에 일정 정도 자극을 주어 앰플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는 섬유로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필링 부재(20)를 망사(그물)형태로 하였으며, 이에 따르면 상기 필링 부재(20)가 망사(그물)형태를 이루고 있어 요철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요철을 매개로 피부의 각질 및 피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더군다나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 중 요철이 탈락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자극 역시 최소화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앰플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는 피부 자극을 주기에도 용이하다.
상기 필링 부재(20)는 탄성 발포 부재(10)와 열융착되어 상호 고정된다. 특히, 상기 필링 부재(20)와 탄성 발포부재(10)를 열융착하였을 때에 필링 부재(20)의 망사(그물)형태는 그대로 유지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필링 부재(20)의 재질을 탄성 발포 부재(10)보다 용융온도가 높은 나일론(nylon)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도 있다. 참고로, 상기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의 용융온도는 200 ∼ 230℃이고, 나일론(nylon)의 용융온도는 265℃이다 한편, 상기 필링 부재(20)의 섬유 즉, 나일론의 단면 직경은 1㎜ 이상 2㎜ 이하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나일론의 단면 직경이 1㎜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의 자극은 없으나 각질 및 피지 제거가 상당히 미미하고, 나일론의 단면 직경이 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각질 및 피지 제거는 우수하나 피부를 심하게 자극하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필링 부재(20)의 다른 예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극세사 또는 초극세사일 수 있으며, 극세사 또는 초극세사의 재질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그리고 필링 부재(20)은 탄성 발포 부재(10)의 일면 형성된 것을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형성하는 것으로서 양면에 형성을 하게 되면 양쪽 모두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기능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열융착을 위해 사용되는 핫멜트는 물이나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상온에서 100% 고체인 불휘발성, 불연성, 열가소성수지(Thermoplastic-resin)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액상으로 피착제에 도포, 압착 후 수초내에 냉각 고화되면서 접착력을 발휘하는 열용융형 접착제를 말하는 것으로, 용제형 및 수용성 접착제에 비해 접착이 빠르고, 접착의 범위가 넓어 용도가 광범위합하며,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적은 도포량으로 인건비 및 생산성에 매우 경제이며 내수성이 있다.
특히 내수성이 있어서 본 발명의 뷰티 패드에 사용하는 경우 액상 또는 겔상의 필링제, 클렌징, 앰플 등이 흡수되어 접착력이 떨어져 필링 부재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핫멜트의 종류에는 EVA 계열, 폴리아마이드 계열, 폴리에스테르 계열, Rubber 계열, 폴리우레탄 계열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탄성 발포 부재와 접착성을 고려하면 폴리우레탄 계열의 핫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밴드 부재(30)은 손을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손을 쥐고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밴드 부재를 형성하지 않을 수 도 있다.
부식성 실험을 위하여 뷰티 패드를 제작하였는데, 그 재질은 탄성 발포 부재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이며, 핫멜트는 폴리우레탄계열이었으며, 필링 부재로는 폴리에스테르계 극세사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뷰티 패드를 계면활성제와 살리실산을 포함하는 통상의 액상 필링제에 침시시킨 후 30일 단위로 300일까지 10회에 걸쳐 탄성 발포 부재의 부식 여부 및 필링 부재의 타락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300일까지도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또한, 다른 시험예에서는 액상의 필링제를 가온하여 온도를 60℃ 정도 유지한 상태에서 위에서와 같은 동일한 시험을 하였으며 이 경우에도 300일까지도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반면 시중에 구입한 뷰티 패드를 이용하여 동일한 시험을 한 경우에는 실온의 경우에는 40일 정도에서 부식이 보였으며 90일 경과 후에는 부식이 심하여 만지면 형상이 허물어지고 필링 부재가 탈락되어 사용이 불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60℃ 가온 실험에서는 부식이 보인 것은 30일 정도이며, 65일 경과 후에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부식이 이루어져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뷰티 패드를 이용한 경우 액상 또는 겔상의 필링제, 클렌징 및 앰플 등과 함께 포장하여 유통시켰을 때 발생하는 부식에 의한 손상의 문제가 없어 제품의 소비자 신뢰도 향상과 반품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탄성 발포 부재 20: 필링 부재 30: 밴드 부재

Claims (3)

  1. 탄성 발포 부재와 상기 탄성 발포 부재에 망사(그물) 형상의 필링 부재가 부착된 뷰티 패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발포 부재가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 부재가 극세사이며, 상기 탄성 발포 부재에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
  3. 제 1항 또는 제 2에 있어서, 상기 필링 부재가 핫멜트를 이용한 열융착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
KR1020180048271A 2018-04-26 2018-04-26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 KR20190124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271A KR20190124383A (ko) 2018-04-26 2018-04-26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271A KR20190124383A (ko) 2018-04-26 2018-04-26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383A true KR20190124383A (ko) 2019-11-05

Family

ID=6857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271A KR20190124383A (ko) 2018-04-26 2018-04-26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438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140B1 (ko) 2010-07-12 2011-05-17 유승연 클렌징 패드
KR101348300B1 (ko) 2013-03-27 2014-01-08 유창선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140B1 (ko) 2010-07-12 2011-05-17 유승연 클렌징 패드
KR101348300B1 (ko) 2013-03-27 2014-01-08 유창선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8564A (en) Hydrogel materials for hot and cold therapy and method for forming same
US7850882B2 (en) Process for making integrated layered urethane products
US7767303B2 (en) Cleaning article containing hydrophilic polymers
US4856541A (en) Brush incorporating a hydrophilic foam pad for hair cleaning and conditioning
US20210000703A1 (en) Multiple durometer cosmetic pad
US4188447A (en) Polymeric foam cleaning product
JPS6045522B2 (ja) 化粧用具
US20020087167A1 (en) Skin exfoliator
MXPA02003567A (es) Un aplicador semi-encerrado para distirbuir una substancia en una superficie objetivo.
US3487916A (en) Method and means for removal of radioactive contaminants
WO2012084649A1 (en) Cleaning implement
KR20190124383A (ko) 강 내부식성 다기능 뷰티 패드
US20020087168A1 (en) Skin exfoliator
KR101348300B1 (ko) 필링 패드와 필링 패드를 이용한 필링 키트
US7060119B1 (en) Therapeutic abrasive sponge
KR101673381B1 (ko) 필링 패드와 고상의 화학적 필링제를 포함하는 필링 키트
JP2005314427A (ja) 唇処置用パッチ
KR101514184B1 (ko) 자가발포 스크럽클렌징폼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휴대용 클렌징 패드.
WO2014095378A1 (en) Shaving foam wipe unit
JP5388207B2 (ja) 洗浄用具
KR102230455B1 (ko) 그라데이션 네일아트용 양면 스펀지
JPH11221117A (ja) 化粧用ゲルシートの収納構造
KR102361121B1 (ko) 화장용 퍼프
JP4390998B2 (ja) 皮膚または頭髪洗浄用シート
KR102112552B1 (ko) 피부 클렌징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