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554A - Smd 박막 콘덴서로서 사용하기 위한, 기계적 특성과 수축 특성이 향상된 이축 배향 pet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Smd 박막 콘덴서로서 사용하기 위한, 기계적 특성과 수축 특성이 향상된 이축 배향 pet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554A
KR20000048554A KR1019990702471A KR19997002471A KR20000048554A KR 20000048554 A KR20000048554 A KR 20000048554A KR 1019990702471 A KR1019990702471 A KR 1019990702471A KR 19997002471 A KR19997002471 A KR 19997002471A KR 20000048554 A KR20000048554 A KR 20000048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il
less
shrinkag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2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163B1 (ko
Inventor
쿠르츠라이너
클리쉬홀거
벤네트신티아
부르쉬안네그레테
호라프란쯔
쿠만보도
샬러울리히
Original Assignee
디츠 볼프강, 힐케르트 고트프리트
미쯔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6139056 external-priority patent/DE19639056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7136398 external-priority patent/DE19736398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7136394 external-priority patent/DE19736394A1/de
Application filed by 디츠 볼프강, 힐케르트 고트프리트, 미쯔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디츠 볼프강, 힐케르트 고트프리트
Publication of KR2000004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14Organic dielectrics
    • H01G4/18Organic dielectrics of synthetic material, e.g. derivatives of cellul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2Therm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of base or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층을 갖고 두께가 10㎛ 이하이며 기계적 압축 계수 MC가 수학식 1에 따르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수학식 1
위의 수학식 1에서,
MC는 -2 이상, 바람직하게는 0 초과, 특히 0.5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이고,
S200TD는 200℃에서 15분 후의 횡방향 수축율(%)이며,
S200MD는 200℃에서 15분 후의 종방향 수축율(%)이고,
T2%는 N/mm2의 일정한 장력하에 필름이 2% 신장되는 온도(℃)이며,
ETD는 실온(21℃)에서의 횡방향 탄성 모듈러스(인장 모듈러스)(N/mm2)이다.

Description

SMD 박막 콘덴서로서 사용하기 위한, 기계적 특성과 수축 특성이 향상된 이축 배향 PET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Biaxially oriented PET foil with enhanced mechanical and shrinking properties for use as SMD foil condenser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id foil}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특히 수축 특성이 향상되어 SMD 기술용 커패시터를 제조하는 데 특히 적합한 PET 필름에 관한 것이다. SMD 기술에 사용되는 커패시터에는 두께가 얇고 내열성이 있는 필름이 특히 필요하다. 이는 커패시터가 차지하는 공간과 땜납 공정에 있어서 유리하다.
현재, PEN 필름과 PPS 필름은 SMD 기술에서 필름 커패시터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PEN 필름(융점: 약 265℃)과 PPS 필름(융점: 약 285℃)은 PET 필름(융점: 약 255℃)에 비해 융점이 현저히 높기 때문에, 수축 특성이 다르다. 그러나, 결정적인 단점은 PEN 필름과 PPS 필름의 가격이 비싸다는 점이다. 현재 시판되는 PET 필름은 SMD 기술용 커패시터의 제조에 부적합하거나, 캡슐화시키거나 한정된 최대 납땜 온도를 약 200℃로 저하시키는 것과 같은 특히 제한적인 조건 내에서 단지 매우 한정적으로 적합하다.
PET 필름이 필요한 열 안정성을 갖기 위해서는, 다수의 특성들(그 중에서도 특히 수축율, 특히 고온에서의 횡방향 수축율)이 특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 커패시터가 땜납욕 안정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일본 특허공보 제63/004499호[도레이(Toray)]에 따라, 추가의 열처리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낮은 수축율 값이 수득된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 402 861호(DHC)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3/011326호(도레이)에는, 종방향 수축율이 매우 낮은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 402 861호에는, 1 내지 15%의 이완율로 225 내지 260℃에서 열처리하는 제1 단계와 0.01 내지 10%의 이완율로 180℃ 미만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제2 단계가 기재되어 있다. 기재되어 있는 종방향 수축율이 너무 낮아서 이로부터 생성된 커패시터가 충분히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필름은 불리하다. 그 결과, 절연 저항성이 불량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SMD 능력을 갖지만, 위에서 기술한 단점을 갖지 않는 PET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필름으로부터 생성된 커패시터는 열처리 후에 기계적으로 안정해야 하고 땜납욕 안정성도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하나 이상의 층을 갖고 두께가 10㎛ 이하이며 기계적 압축 계수(mechanical consolidation coefficient) MC가 수학식 1의 범위 내에 있는 이축 배향 필름으로 성취된다.
위의 수학식 1에서,
MC는 -2 이상, 바람직하게는 0 이상, 특히 0.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게다가, 계수 S200TD, (T2%-100), (S200MD-3.35) 및 (ETD-3000) 중의 최대 하나는 음(negative)일 수 있다.
S200TD는 200℃에서 15분 후의 횡방향 수축율(TD = 횡방향)(%)이다.
S200MD는 200℃에서 15분 후의 종방향 수축율(MD = 기계방향)(%)이다.
T2%는 5N/mm2의 일정한 장력하에 필름이 2% 신장되는 온도(℃)이다.
ETD는 실온(21℃)에서의 횡방향 탄성 모듈러스(인장 모듈러스)(N/mm2)이다.
신규한 필름의 두께는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8㎛ 이하, 특히 6㎛ 이하이다.
SMD 커패시터 제조용 필름의 적합성에 대해서는 두 단계가 특히 중요하다. 제1 단계는 권취 소재를 권취하고 열처리하여 커패시터를 강화시키는 단계이고, 제2 단계는 땜납 공정 동안 커패시터의 내열성을 강화시키는 단계이다. 필름의 MD 수축 특성과 TD 수축 특성은 내열성, 특히 최종 커패시터의 치수 안정성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이다. 여기서 이의 관계는 고온(200℃)에서의 MD 수축 특성과 TD 수축 특성이 낮을수록 내열성이 더 우수해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낮은 수축율 값은 위의 수학식 1에서 목적하는 작은 MC값을 제공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수축율은 열처리 단계 동안 권취 소재를 강화시키는 데 중요하다. 권취시키는 것으로 충분히 강화되지 못하는 경우, 생성된 커패시터는 절연 저항성이 불충분하고 유전 정접( dielectric dissipation factor) tanδ에 대해 허용될 수 없는 높은 값을 갖는다. 따라서, SMD 안정성은, 특히 낮지만 여전히 충분한 수축율의 균형이 필요하다. 횡방향 수축율과 종방향 수축율 둘 다는 언급한 강화에 기여한다. 그러나, 종방향 수축율의 기여는 휠씬 더 중요하다. 따라서, 낮은 횡방향 수축율은 매우 낮은 종방향 수축율보다 쉽게 허용될 수 있다. 3.35% 미만의 S200MD값은 매우 불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비교적 낮은 수축율 값에서, 수학식 1에서 계수는 음이 되고 이상적인 범위 밖의 MC를 갖는다.
1% 이하의 S200TD값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고, 0.8% 미만 값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층 어셈블리의 강화는 수축율 뿐만 아니라 기타 사항, 특히 필름의 기계적 특성의 함수이다. 권취 장력과 종방향 수축으로 생성된 층에서의 압력은 필름을 신장시켜서 강화시킨다. 기계적 강도가 큰 필름은 탄성 모듈러스가 낮은 필름보다 쉽게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신장은, 예를 들면, 특정 온도에서의 탄성 모듈러스에 좌우된다. 필름이 압력과 특정 온도하에서 횡방향으로 신장되는 경향은 압력을 가하고 필름에 장력을 전하기 위한 작고도 일정한 힘을 사용하여 가장 잘 측정할 수 있다. 필름이 5N/mm2의 장력하에 2%(T2%) 이상의 길이 증가를 나타내는 온도가 매우 낮은 경우, 필름의 특성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표준 커패시터 필름에 대해서는 이러한 온도는 150℃ 이상이고, 신규한 필름에 대해서는 100 내지 140℃가 이상적이고, 100 내지 130℃가 바람직하다.) 이는, 열처리 동안 발생하는 층의 압력이 초기 단계에서 층을 강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길이가 2% 증가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는 100℃ 미만의 매우 낮은 온도에서도 발생한다. 그 후, 열처리 온도는 저하되어야 하고, 이로써 땜납욕 안정성이 상당히 손상된다.
낮은 T2% 값은, 예를 들면, 낮은 횡방향 탄성 모듈러스를 통해 성취할 수 있다. 그러나, 현저히 4000N/mm2미만인 매우 낮은 값도 역시 불리하다. 이러한 형태의 탄성 모듈러스는 SMD 안정성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직접 미치지는 않지만, 이들은 일반적으로 필름의 전기적 특성을 손상시킨다. 위의 수학식 1에서 탄성 모듈러스를 포함하는 것은 이러한 사실을 고려한 것이다.
필름 생성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의 밀도는 일반적으로 1.385 내지 1.410g/cm3이다. 밀도가 1.410 이상인 필름은 결정화되는 경향이 있고, 커패시터 생성 동안에 필름을 부서지게 하여 때때로 커패시터가 파괴된다. 밀도가 1.385 미만인 경우, 필름의 수축율이 너무 크거나 탄성 모듈러스가 너무 작거나 가수분해에 대해 너무 많이 민감할 수 있다.
신규한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원료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폴리에스테르 원료는 현저한 부분, 즉 8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1,4-디사이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비벤조에이트(PENBB) 또는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로 이루어진 제형이다. 폴리에스테르 원료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근본적으로 강화시키고/시키거나 50몰% 이하의 공단량체 단위를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공단량체 단위의 산 성분 및/또는 글리콜 성분은 변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Zn, Ca, Li 또는 Mn의 염과 같은 통상적인 촉매를 사용하여 에스테르화 교환 반응이나 직접적인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제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원료는 슬립 특성과 마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커패시터 필름의 생성에 유용한 첨가제 (입자), 예를 들면, 무기 안료(예: 카올린, 탈크, SiO2, MgCO3, CaCO3, BaCO3, CaSO4, BaSO4, LiPO4, Ca3(PO4)2, Mg3(PO4)2, TiO2, Al2O3, MgO, SiC, LiF) 또는 테레프탈산의 Ca, Ba 또는 Mn 염을 포함한다. 가교결합된 불용성 유기 중합체(예: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입자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자는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5 내지 5.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중량%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 크기는 0.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위에서 언급한 원료로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위에서 언급한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다른 원료 또는 0.1 내지 10중량% 미만의 양의 통상적인 첨가제와 혼합하여 모노 필름, 또는 하나 이상의 층을 갖고, 경우에 따라, 동시 압출될 수 있고 이의 표면이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되며, 예를 들면, 하나의 표면은 착색되어 있고 다른 표면은 착색되지 않은 필름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공지된 공정을 사용하여 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통상적인 관능성 피복물을 제공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압출 공정에 있어서, 용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슬롯 다이(slot die)를 통해 압출시키고, 실질적으로 무정형 예비 필름의 형태로 냉각 롤 위에서 급냉시킨다. 이 후, 이러한 필름을 재가열하고, 종방향으로 신장시키고 횡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횡방향으로 신장시키고 종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종방향으로 신장시키고 횡방향으로 신장시키고 다시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신장시킨다. 신장 온도는 일반적으로 Tg+ 10℃ 내지 Tg+ 60℃이고, 종방향 신장에 대한 신장비는 일반적으로 2 내지 6, 특히 3 내지 4.5이고, 횡방향 신장에 대한 신장비는 2 내지 5, 특히 3 내지 4.5이며, 수행되는 제2 종방향 신장에 대한 신장비는 1.1 내지 3이다. 경우에 따라, 제1 종방향 신장은 횡방향 신장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동시 신장). 사용되는 연신 기계가 구성되는 방법에 따라, 신장비, 신장 온도 및 신장율의 공지된 독립 변수는 탄성 모듈러스, 수축율 및 T2%의 측정 변수가 목적하는 범위 내에 있도록 서로 조화되어야 한다. 높은 종방향 신장비(〉3.6)로 조절되기 때문에, 낮은 횡방향 신장비(〈4)가 유리하다. 고정 온도와 아래에 주어진 이완율을 조합하여 바람직한 값, 예를 들면, 횡방향 신장비 3.6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3.9,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3.8과 종방향 신장비 3.6 내지 4.2,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0,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3.9를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필름을 200 내지 260℃, 특히 220 내지 250℃의 오븐 온도에서 열고정시킨다. 신규한 필름을 제조하는 결정적인 인자는 필름으로 실험한 실질적인 온도이고, 제조 공정에서의 주위 온도가 아니다. 예를 들면, 매우 고속인 제조 기계에서, 오븐 온도, 즉 주위 온도는 필름이 이러한 오븐을 통해 통과함에 따라 필름이 실제로 겪게 되는 온도보다 상당히 높을 수 있다. 이의 제조공정 동안, 필름이 실제로 부닥치는 최대 온도는 가공된 필름에 하여 DSC 분석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실험한 최대 온도 = 필름 고정 피크). 이러한 온도는 225 내지 245℃,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240℃이다.
고정 영역에 있어서, 필름은 총 5 내지 15%로 횡방향으로 이완된다. 5 내지 15%의 총 이완율과 별개로 결정적인 인자는 본 발명에 따르는 20%/s 미만의 이완 속도이다. 이것은 횡방향 수축율을 조절하는 데 중요하다. 이완 속도는 이완이 발생하는 동안 이완율(%)과 시간(s)으로 측정한 몫이다.
이완은 2단계 이상의 개별적인 단계로 발생할 수 있거나 1단계로 발생할 수 있다. 1단계 이상의 이완, 특히 비교적 긴 거리에 걸쳐 이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리한 이완 속도는 5%/s 미만이고, 대부분의 이완은 233℃ 미만, 바람직하게는 210℃ 미만의 온도에 수행해야 한다. 0.7% 이상의 이완율은 210℃ 미만의 온도에서 발생할 수 있다. 높은 이완 속도와 높은 이완 온도는 종방향 수축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동시에 횡방향 수축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위에서 언급한 이유 때문에, 이것은 불리하다. 총 이완의 정도는 측정한 변수가 청구한 범위 내에 들도록 각각의 제조 기계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해야만 한다. 230℃의 고정 온도와 조합시킨 총 이완율 8%로는 3%/s의 이완 속도가 목적하는 MC값을 성취하는 데 적합하다.
이어서, 필름을 냉각시키고 권취시킨다. 횡방향 수축율이 감소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재한 공정을 폴리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기타의 열가소성 중합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를 사용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다음의 측정 기술을 사용하여 필름을 특성화한다.
수축율
열 수축율은 10cm2에 대하여 측정한다. 샘플을 정확하게 측정하고(L0), 각각의 경우에서 언급한 온도에서 순환형 공기 건조 캐비넷 속에서 열 처리한다. 샘플을 실온에서 정확하게 측정한다(L).
길이를 2% 증가시키기 위한 온도(T2%)
필름의 길이 증가가 2% 이상인 온도 T2%는 메틀러(Mettler)사의 장치(TMA40)를 사용하여 TMA로 측정한다. 크기가 10×6mm인 샘플의 길이 증가(%)는 4k/min의 가열 속도와 5N/mm2의 일정한 힘으로 측정한다. 시험 개시 온도는 30℃이다.
밀도
밀도는 밀도 구배 칼럼에 샘플을 침지시켜 ASTM D 1505-68에 따라 측정한다. 밀도 구배 칼럼은 CCl4와 헵탄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탄성 모듈러스
탄성 모듈러스는 즈빅(Zwick) Z010 장력 변형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탄성 모듈러스는 횡단면적 단위당 힘과 최초 길이 단위당 변형에 따른 길이 변화로부터 측정한 후크(Hooke) 범위 내의 몫이다. 시험 스트립의 너비는 15mm이고 길이는 100mm이다. 시험은 1mm/분의 인상비(pull rate)로 21℃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실시예 1
PET 칩(chip)을 160℃에서 건조시키고, 280 내지 310℃에서 압출시킨다. 용융된 중합체를 편평 필름 다이로부터 압출시키고 롤 위에서 정전처리한다. 필름을 3.8의 인자로 115℃에서 기계 방향으로 신장시킨다. 3.8의 인자에 의한 횡방향 신장은 120℃에서 프레임(frame)에서 발생한다. 이어서, 필름을 열고정시킨다. 필름을 실험하는 최대 온도는 231℃이다. 필름을 2.5%/s의 이완 속도로 모든 단계에서 8%로 횡방향 이완시킨다.
실시예 2
필름을 실시예 1의 공정으로 제조한다. 그러나, 필름 고정 피크는 237℃에서 존재하고, 횡방향 신장비는 3.7이다.
비교실시예 1
필름을 210℃에서 열고정(= 필름 고정 피크)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축 배향 필름을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조한다.
비교실시예 2
필름을 횡방향 이완시키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축 배향 필름을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조한다.
비교실시예 3
필름을 2.0%로 황방향 이완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축 배향 필름을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조한다.
비교실시예 4
필름 고정 피크가 241℃에서 존재하고 필름이 10%로 횡방향 이완되는 것을 것을 제외하고는, 이축 배향 필름을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조한다.
필름을 사용하여 필름 커패시터를 제조한다. 열처리 후의 커패시터의 품질을 평가한다. 여기에 사용하는 품질 기준은 절연 저향성,C, 유전 정접 및 유전 강도에 대한 거절율이다.
이러한 평가 후, 커패시터를 역흐름 땜납에 적합한 온도 패턴으로 노출시킨다. 이어서, 커패시터의 땜납욕 안정성을 사용한 바와 같은 동일한 기준으로 열처리 후에 평가한다.
표 1은 실시예의 필름 특성을 나타낸다.
필름형태 탄성 모듈러스(TD)(N/mm2) T2%(℃) S 200(TD)% S 200(MD)% 음의 계수의 수 ℃에서 MC(mm2N-1) 열처리 후의 커패시터의 품질 커패시터의 땜납욕저항성
실시예 1 4900 117 0.6 3.7 0 2 + +
실시예 2 4500 116 0.4 3.6 0 1.1 + +
비교실시예 1 5250 150 1.7 6.2 0 110 + -
비교실시예 2 5650 167 7.4 3.9 0 104 + -
비교실시예 3 5300 153 4.1 5.5 0 207 + -
비교실시예 4 4500 115 -0.1 3.0 2 0.4 - +

Claims (11)

  1. 기계적 강화 계수 MC가 다음 수학식 1로부터 측정되는, 하나 이상의 층을 갖고 두께가 10㎛ 이하인 이축 배향 PET 필름.
    수학식 1
    위의 수학식 1에서,
    MC는 -2 이상 50 이하이고,
    S200TD는 200℃에서 15분 후의 횡방향 수축율(%)이며,
    S200MD는 200℃에서 15분 후의 종방향 수축율(%)이고,
    T2%는 5N/mm2의 일정한 장력하에 필름이 2% 신장되는 온도(℃)이며,
    ETD는 횡방향 탄성 모듈러스(인장 모듈러스)(N/mm2)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계수 S200TD, (T2%-100℃), (S200MD-3.35%) 및 (ETD-3000N/mm2) 중의 최대 하나가 음(negative)인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00℃에서의 횡방향 수축율(S200TD)이 1% 이하인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이 관능성 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필름.
  6. 중합체 용융물을 냉각 롤 위로 압출시키고, 이어서 종방향으로 신장시킨 다음, 횡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횡방향으로 신장시키고, 이어서 종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동시에 신장시키고, 경우에 따라, 다시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신장시킨 다음, 열고정[여기서, 필름은 열고정 동안 20%/s 미만의 이완 속도로 이완되고, 제조 공정 동안 필름을 실험한 최대 온도는 (가공된 필름에 대하여 DSC 분석법으로 측정하여) 210℃를 초과한다]시키는, 열가소성 중합체 필름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필름이 열고정 동안 5 내지 15%로 이완되는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이완 속도가 10%/s 미만인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이완 속도가 5%/s 미만인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에스테르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가 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방법.
KR1019997002471A 1996-09-24 1997-09-23 Smd 박막 콘덴서로서 사용하기 위한, 기계적 특성과 수축 특성이 향상된 이축 연신 pet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55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6139056 DE19639056A1 (de) 1996-09-24 1996-09-24 Biaxial orientierte PET-Folie zur Verwendung für SMD-fähige Folienkondensatoren,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Folie und Verwendung derselben für Folienkondensatoren in der SMD-Technik
DE19639056.7 1996-09-24
DE1997136398 DE19736398A1 (de) 1997-08-21 1997-08-21 Biaxial orientierte PET-Folie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und Schrumpfeigenschaften zur Verwendung für SMD-fähige Folienkondensator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Folie
DE19736398.9 1997-08-21
DE1997136394 DE19736394A1 (de) 1997-08-21 1997-08-21 Biaxial orientierte PET-Folie zur Verwendung für SMD-fähige Folienkondensatoren,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Folie und Verwendung derselben für Folienkondensatoren in der SMD-Technik
DE19736394.6 1997-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554A true KR20000048554A (ko) 2000-07-25
KR100555163B1 KR100555163B1 (ko) 2006-03-03

Family

ID=272166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471A KR100555163B1 (ko) 1996-09-24 1997-09-23 Smd 박막 콘덴서로서 사용하기 위한, 기계적 특성과 수축 특성이 향상된 이축 연신 pet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9-7002470A KR100482613B1 (ko) 1996-09-24 1997-09-23 단층 또는 다층의 이축 연신 pet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470A KR100482613B1 (ko) 1996-09-24 1997-09-23 단층 또는 다층의 이축 연신 pet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130311A (ko)
EP (2) EP0929599B1 (ko)
KR (2) KR100555163B1 (ko)
DE (2) DE59705699D1 (ko)
WO (2) WO19980134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239A (ko) 2014-12-11 2016-06-2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60079474A (ko) 2014-12-26 2016-07-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1877A1 (de) 1997-09-23 1999-03-25 Hoechst Diafoil Gmbh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741878A1 (de) 1997-09-23 1999-03-25 Hoechst Diafoil Gmbh Mehrschichtig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13270A1 (de) 1998-03-25 1999-09-30 Hoechst Diafoil Gmbh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und verbesserter Haftung zu Metallschich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13264A1 (de) 1998-03-25 1999-09-30 Hoechst Diafoil Gmbh Polyesterfolie mit an den Anwendungszweck angepaßter Oberflächentopograph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13269A1 (de) 1998-03-25 1999-09-30 Hoechst Diafoil Gmbh Siegelfähig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13267A1 (de) 1998-03-25 1999-09-30 Hoechst Diafoil Gmbh Transparen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und zusätzlicher Funktionalitä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13266A1 (de) 1998-03-25 1999-09-30 Hoechst Diafoil Gmbh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13268A1 (de) 1998-03-25 1999-09-30 Hoechst Diafoil Gmbh Verwendung einer transparenten Polyesterfolie als Gas/Aromabarrierefolie
DE19813271A1 (de) * 1998-03-25 1999-09-30 Hoechst Diafoil Gmbh Transparen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14710A1 (de) 1998-04-01 1999-10-07 Hoechst Diafoil Gmbh Mehrschichtig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Magnetbandfolie
DE19817841A1 (de) 1998-04-22 1999-10-28 Hoechst Diafoil Gmbh Mehrschichtig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17842A1 (de) 1998-04-22 1999-10-28 Hoechst Diafoil Gmbh Einschichtig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34603A1 (de) 1998-07-31 2000-02-03 Hoechst Diafoil Gmbh Matte, koextrud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34602A1 (de) 1998-07-31 2000-02-03 Hoechst Diafoil Gmbh Mehrschichtige,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39007A1 (de) 1998-08-29 2000-03-02 Hoechst Diafoi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iaxial orientierten PET-Folie und Verwendung derselben für Folienkondensatoren in der SMD-Technik
DE19839848A1 (de) 1998-09-02 2000-04-13 Hoechst Diafoil Gmbh Mehrschichtig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Magnetbandfolie mit optimierten elektromagnetischen Eigenschaften
DE19842376A1 (de) 1998-09-16 2000-03-23 Hoechst Diafoil Gmbh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49661A1 (de) 1998-10-29 2000-05-04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Koextrudiert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für die Metallisier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0999041A3 (de) 1998-11-03 2001-01-3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Folienlaminat, enthaltend ein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9932384A1 (de) 1999-07-14 2001-01-18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mit Cycloolefincopolymer (COC),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02163A1 (de) * 2000-01-20 2001-07-2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4785282B2 (ja) * 2000-10-11 2011-10-0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リフローはんだ付け実装可能な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
EP1347477A3 (de) * 2002-03-06 2006-02-0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flammhemmend ausgerüstet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1342746A1 (de) * 2002-03-06 2003-09-1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hydrolysebeständige Kondensator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8355809B2 (en) * 2006-06-30 2013-0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a die to yield a desired coating uniformity
US20090227735A1 (en) * 2008-03-07 2009-09-10 Eastman Chemical Company Miscible polyester blends and shrinkable films prepared therefrom
KR101468937B1 (ko) * 2008-09-05 2014-12-1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20008251A1 (en) * 2010-07-12 2012-01-12 Wei-Ching Yu Film capacitors comprising melt-stretched films as dielectrics
KR101395469B1 (ko) 2011-11-25 2014-05-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et 필름을 카커스로서 포함하는 승용차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CN104321372B (zh) * 2012-05-14 2018-07-06 东洋纺株式会社 聚酯薄膜及其制造方法
US10329393B2 (en) 2012-12-12 2019-06-25 Eastman Chemical Company Copolysters plasticized with polymeric plasticizer for shrink film applications
KR102267596B1 (ko) * 2015-09-23 2021-06-1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80003624U (ko) 2017-06-15 2018-12-26 최승창 낚시용 집어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9541B1 (ko) 1969-06-13 1973-09-11
US4042569A (en) 1974-08-05 1977-08-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at-setting process for polyester film
US4311741A (en) * 1978-03-30 1982-01-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ester films with improved processability and tear resistance
DE3501017A1 (de) * 1985-01-15 1986-07-17 Hoechst Ag, 6230 Frankfurt Orientierte kunststoffolie
JPS62136013A (ja) * 1985-12-09 1987-06-19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トフイルム
JPH064276B2 (ja) * 1985-12-10 1994-01-19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メンブレンスイツチ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311326A (ja) * 1986-07-02 1988-01-18 Toray Ind Inc 光学記録体用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4806398A (en) * 1987-05-29 1989-02-21 Potlatch Corporation Paper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laminate and paperboard containers
US4900594A (en) * 1987-09-17 1990-02-13 International Paper Company Pressure formed paperboard tray with oriented polyester film interior
JPH07119055B2 (ja) * 1988-04-19 1995-12-20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5093064A (en) * 1989-06-13 1992-03-03 Diafoil Company, Ltd. Low-shrinkage polyester film and preparation thereof
KR960013068B1 (ko) * 1989-10-16 1996-09-30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열가소성 수지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US5156904A (en) * 1990-05-18 1992-10-20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Polymeric film coated in-line with polyethyleneimine
GB9204972D0 (en) * 1992-03-06 1992-04-22 Cmb Foodcan Plc Laminated metal sheet
US5545364A (en) * 1994-10-06 1996-08-13 Skc, Limit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eat resistant polyester fil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239A (ko) 2014-12-11 2016-06-2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60079474A (ko) 2014-12-26 2016-07-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163B1 (ko) 2006-03-03
KR100482613B1 (ko) 2005-04-28
DE59710735D1 (de) 2003-10-16
US6130311A (en) 2000-10-10
KR20000048553A (ko) 2000-07-25
WO1998013414A1 (de) 1998-04-02
EP0929599A1 (de) 1999-07-21
EP0929598B1 (de) 2003-09-10
DE59705699D1 (de) 2002-01-17
WO1998013415A1 (de) 1998-04-02
EP0929598A1 (de) 1999-07-21
US6268052B1 (en) 2001-07-31
EP0929599B1 (de) 200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163B1 (ko) Smd 박막 콘덴서로서 사용하기 위한, 기계적 특성과 수축 특성이 향상된 이축 연신 pet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960014546B1 (ko) 저수축 폴리에스테르 필름
EP0279611B1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 modulus film
US6409862B1 (en) Process for producing biaxially oriented PET films and use of the same for SMD-technology film capacitors
KR20060071357A (ko) 이산화규소와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이축 연신된폴리에스테르 필름
JPH0832499B2 (ja) 転写フィルム用耐熱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537099B1 (ko)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JP2001504047A (ja) 機械的特性および収縮特性が改良されたsmdフィルムコンデンサー用2軸延伸pet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2498B2 (ja) 転写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21003808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43183B2 (ja) 積層成形体
JP2692273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692269B2 (ja) 低収縮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DE19736398A1 (de) Biaxial orientierte PET-Folie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und Schrumpfeigenschaften zur Verwendung für SMD-fähige Folienkondensator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Folie
EP0960718A1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2002508782A (ja) Smdフィルムコンデンサー用2軸延伸pet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フィルムのsmdフィルムコンデンサーへの使用
JPS6082351A (ja) ポリエステル積層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75340A (ja) ポリエステル二軸延伸フィルム
DE19736394A1 (de) Biaxial orientierte PET-Folie zur Verwendung für SMD-fähige Folienkondensatoren,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Folie und Verwendung derselben für Folienkondensatoren in der SMD-Technik
KR102201215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1239A (ko)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611413B2 (ja) 高強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DE19639056A1 (de) Biaxial orientierte PET-Folie zur Verwendung für SMD-fähige Folienkondensatoren,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Folie und Verwendung derselben für Folienkondensatoren in der SMD-Technik
KR19990065052A (ko) 공압출된 열접착성 고분자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3411724B2 (ja) 感熱記録受容体用積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