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095A -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095A
KR20000048095A KR1019990057006A KR19990057006A KR20000048095A KR 20000048095 A KR20000048095 A KR 20000048095A KR 1019990057006 A KR1019990057006 A KR 1019990057006A KR 19990057006 A KR19990057006 A KR 19990057006A KR 20000048095 A KR20000048095 A KR 20000048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earing
main bearing
scroll
scroll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9045B1 (ko
Inventor
데라이도시유끼
하야세이사오
다께바야시마사히로
쯔보노이사무
고야마마사끼
세끼구찌고이찌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00048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에 다량의 윤활유를 공급해도 압축실로의 윤활유의 유입량을 제한하여 유입 과잉에 따른 성능 저하를 억제하고, 또 베어링의 윤활을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용기 내에 압축 기구부와 오일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 기구부는 각각 다이 판 형태에 소용돌이형의 랩을 지닌 선회 스크롤과 비선회 스크롤 및 상기 선회 스크롤의 자전 방지 수단인 올덤 링을 조합하여 구성하고, 작동 유체의 압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크랭크 축과 상기 크랭크 축을 지지하는 주 베어링을 설치한 프레임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축에, 선회 베어링의 윤활유를 선회 베어링 근방과 주 베어링 근방을 연통하는 급유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급유 구멍의 선회 베어링 근방 및 주 베어링 근방에서의 개구 위치를 압축기의 운전중에 발생하는 상기 선회 베어링 개구부의 오일막 압력이 주 베어링 개구부의 오일막 압력보다 고압이 되도록 배치한다.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본 발명은 냉동 장치, 공기 조절 장치 및 공기, 질소 등의 기체 압축용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공기 조절 등에 사용되는 전동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종래, 스크롤 압축기는 용기 내의 냉동기 오일을 저장하는 저장부의 압력을 토출 압력과 동일하게 하고, 선회 스크롤과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는 중간 압력실의 압력을 흡입 압력 내지 토출 압력의 중간 압력이 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또, 냉동기 오일 저장부와 중간 압력실 및 중간 압력실과 압축실 외주부(흡입 압력과 동일)의 각각에는 압력차가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크랭크 축에 냉동기 오일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고, 이 유로의 일단부를 밀폐 용기 내의 냉동기 오일 저장부에 개구시키고, 타단부를 선회 베어링 상부에 개구시켜서 선회 베어링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냉동기 오일을 흘려 보내고, 또 다시 중간 압력실로 흐르도록 구성하여 윤활하고 있다.
또, 중간 압력실 내에서는 냉동기 오일의 일부가 올덤 링의 미끄럼 이동부를 윤활한 후, 선회 스크롤의 다이 판 외주부로부터 비선회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의 미끄럼 이동면을 윤활하고 중간 압력보다 저압인 압축실의 흡입 압력 영역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 운전중에 있어서의 베어링(주 베어링 및 선회 베어링)의 윤활에는 윤활 작용이 있는 냉동기 오일의 공급이 중요하다. 베어링에 냉동기 오일이 공급되면 쐐기 효과에 의해 유압이 발생하여, 베어링이 크랭크 축으로부터 부상하여 유체 윤활이라는 윤활 형태로 된다. 또한, 운전 조건에 따라서는 베어링에의 하중이 증대하고 오일막이 얇아져서 베어링과 회전축이 접촉하기 쉬워져 경계 윤활이라는 윤활 형태로 된다.
윤활 상태가 유체 윤활로부터 경계 윤활이 되면 마찰 계수가 대폭 증가하여 베어링과 크랭크 축 사이에 마찰열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냉동기 오일의 점도가 저하하여 점점 오일막이 형성되기 어려워져서 베어링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베어링의 윤활성을 확보하려면, 단지 쐐기형의 오일막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냉동기 오일을 공급하는 일 뿐만 아니라, 베어링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동기 오일에 의해서 빼앗는 데 필요한 오일량을 공급하는 일도 필요하다.
한편, 스크롤 압축기 내의 압력 분포로서 압축실의 외주부는 저압 영역이므로, 다른 영역보다 고압인 영역의 오일 및 가스가 유입되기 쉬워지는 것은 명백하다.
그에 따라, 선회 베어링에 급유된 냉동기 오일은 전체량이 중간 압력실을 경유하여 압축실로 유입되는데, 중간 압력실 내에서 올덤 링을 윤활하고, 선회 스크롤과 비선회 스크롤의 미끄럼 이동면을 윤활하고, 또한 압축실의 밀봉성 향상에 기여한다.
그 반면, 윤활 오일량이 과잉인 경우, 선회 스크롤의 랩 측면과 비선회 스크롤의 랩 측면이 운전중에 접근하면 양자 사이에 설정된 간극 이상의 냉동기 오일이 존재하게 되어, 압축 과정에 있어서 이 냉동기 오일을 밀어낼 동력이 필요하여 압축기의 압력이 증가한다.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 압축실에 공급된 냉동기 오일속에는 냉매가 융합되어 있다. 냉동기 오일이 중간 압력실 내에서 평형추에 의해 교반되면, 냉동기 오일로부터 냉매 가스가 방출된다. 그로 인해, 중간 압력실의 압력을 흡입 압력보다도 높고 토출 압력보다도 낮은 압력으로 제어하여, 보다 저압인 흡입 압력의 압축실측으로 냉매 가스를 도피시키고 있다.
또한, 압축실에 유입된 냉동기 오일로부터도 냉매 가스가 방출되고, 이 냉매 가스는 압축실로부터 용기 내로 토출되어 냉동기 오일에 다시 융합되어 재차 중간 압력실로부터 흡입된다. 즉, 냉매는 압축기 내를 순환하여 흡입 파이프로부터 흡입된 냉매 가스와 합류하고, 압축실이 흡입 파이프로부터 흡입할 수 있는 냉매 가스량도 저감되므로, 냉동 사이클로서의 냉매 순환량은 감소한다.
그리고, 냉동기 오일은 냉매 가스와 함께 압축실로부터 토출되어 미스트 형태가 되어 압축기로부터 토출된다. 이 결과, 냉동기 오일이 실외 또는 실내 열교환기의 내벽에 부착되어 그 전열성을 저하시킨다. 특히, 열교환기가 증발기인 경우는 냉동기 오일속의 냉매가 완전히 방출되는 데 시간이 필요하고,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 액화된 냉매의 증발량이 감소하여 냉동 능력의 저하를 일으킨다.
또, 중간 압력실 내에서는 평형추가 회전하고 있어서 냉동기 오일이 충만하면 교반에 의한 저항이 증가하여 전력이 증가한다.
베어링을 윤활하고 고부하시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오일량에 비해 압축실의 윤활 및 밀봉에 필요한 오일량이 대폭 적어서 일반적으로 베어링의 윤활과 고부하시의 신뢰성이 우선되어 오일량이 공급되는데, 신뢰성과 전력의 절약화는 상반되는 관계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에 다량의 윤활유를 공급해도 압축실로의 윤활유의 유입량을 제한하여 유입 과잉에 따른 성능 저하를 억제하고, 또 베어링의 윤활을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용기 내에 압축 기구부와 오일 저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 기구부는 각각 다이 판 형태에 소용돌이형의 랩을 지닌 선회 스크롤과 비선회 스크롤 및 상기 선회 스크롤의 자전 방지 수단인 올덤 링을 조합하여 구성하고, 작동 유체의 압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크랭크 축과 상기 크랭크 축을 지지하는 주 베어링을 설치한 프레임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축에, 선회 베어링의 윤활유를 선회 베어링 근방과 주 베어링 근방을 연통하는 급유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급유 구멍의 선회 베어링 근방 및 주 베어링 근방에서의 개구 위치를 압축기의 운전중에 발생하는 상기 선회 베어링 개구부의 오일막 압력이 주 베어링 개구부의 오일막 압력보다 고압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양 베어링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선회 베어링, 주 베어링으로부터 중간 압력실을 경유하여 압축실로 유입되는 윤활유를 오일 저장부로 배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실시예의 선회 베어링부의 확대도.
도3은 선회 베어링부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
도4는 선회 베어링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
도5는 선회 베어링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8은 주 베어링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
도9는 주 베어링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
도10은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압축 기구부
3a : 비선회 스크롤
3b : 선회 스크롤
4 : 압축실
5 : 올덤 링
6 : 크랭크 축
7 : 선회 베어링
8 : 주 베어링
9 : 프레임
10 : 냉동기 오일 저장부
13 : 평형추
14 : 중간 압력실
29 : 볼 밸브
34 : 배출관
공기 조절용의 전동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를 예로 들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2는 선회 베어링부의 확대도이다.
도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밀폐된 용기로서, 이 용기(1) 내에는 전동기(2)와 전동기(2)에 연결된 압축 기구부(3)가 수납되어 있다. 압축 기구부(3)는 각각의 다이 판 상에 소용돌이형의 랩을 지니고, 각각의 랩을 맞물리게 하여 압축실(4)을 형성하는 비선회 스크롤(3a)과 선회 스크롤(3b)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전동기(2)는 회전자(2a)와 고정자(2b)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5는 올덤 링으로서, 후술하는 크랭크 축이 회전한 경우에 상기 선회 스크롤(3b)의 자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 부호 6은 상기 크랭크 축으로서, 상기 전동기(2)의 회전 동력을 선회 스크롤(3b)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 부호 7은 선회 베어링으로서, 상기 크랭크 축(6)과 선회 스크롤(3b)을 그 보스부(3c)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도면 부호 8은 주 베어링으로서, 상기 크랭크 축(6)과 프레임(9)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프레임(9)에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3a)이 나사(3d)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도면 부호 10은 냉동기 오일 저장부로서, 용기(1)의 바닥부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4)의 토출측과 연통하여 냉동기 오일 저장부(10)와 토출측이 동일한 압력의 고압이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 부호 11은 급유 구멍으로서, 상기 크랭크 축(6)의 축 내부에 형성되고, 도시되어 있는 하단부 개구는 상기 냉동기 오일 저장부(10)의 냉동기 오일속에 매몰되고, 상단부는 상기 선회 베어링(7)의 측면 하부에 개구하여 상기 선회 스크롤(3b)의 보스부(3c)의 측면 하부에 면하고 있다. 도면 부호 11a는 급유 구멍으로서, 상기 급유 구멍(11)으로부터 주 베어링(8)에 직접 냉동기 오일을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 부호 12는 급유 구멍으로서, 상기 크랭크 축(6)의 축 내부에 형성되고, 도시되어 있는 상단부는 상기 선회 베어링(7)의 상면에 개구하여 상기 선회 스크롤(3b)의 보스부(3c)의 상면에 면하고 있다. 또, 급유 구멍(12)의 하단부는 상기 주 베어링(8)의 측면에 개구하고 있다. 도면 부호 13은 평형추로서, 상기 선회 스크롤(3b)과 프레임(9)으로 형성되는 중간 압력실(14) 내에 있어서 크랭크 축(6)에 부착되어 있다.
도면 부호 15는 드로틀로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축(6)에 오목부(16)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16)의 상하 돌기와 선회 베어링(7) 사이에 상부 간극(17a) 및 하부 간극(17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 간극(17a)은 하부 간극(17b)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부 간극(17a)으로부터 보다 많은 냉동기 오일이 흐르게 되어 있다. 도면 부호 18은 부 베어링으로서, 상기 크랭크 축(6)을 하부에 있어서 지지하고 있다. 도면 부호 19 및 20은 각각 냉매 가스의 흡입관 또는 토출관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냉동 사이클에 접속되어 있다. 도면 부호 21은 전원 입력용 단자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롤 압축기의 운전중에는 크랭크 축(6)이 선회 베어링(7) 및 주 베어링(8) 내에서 하중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하여, 선회 베어링(7) 및 주 베어링(8)과 크랭크 축(6) 사이의 간극에 부분적으로 작게 구성되는 쐐기형 공간이 발생한다. 이 쐐기형 공간으로 냉동기 오일이 점성에 의해서 끌려 들어가면, 서서히 쐐기형 공간의 작은 간극 부분으로 냉동기 오일이 압입되어 압력이 발생한다. 반대로, 선회 베어링(7) 및 주 베어링(8)과 크랭크 축(6) 사이의 간극이 확대되는 쪽은 상대적으로 저압이 된다.
따라서, 크랭크 축(6) 내의 급유 구멍(11)은 선회 베어링(7)의 하부 위치에 형성한다. 또, 주 베어링(8)측의 급유 구멍(12)의 개구는 주 베어링(8)과 크랭크 축(6)의 간극이 상대적으로 확대되는 쪽에 형성하고, 선회 베어링(7) 내의 오일막 압력이 주 베어링(8) 내의 압력보다도 높아지는 위치에 설정한다.
상기 구성의 스크롤 압축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스크롤 압축기의 운전에 따라 전동기(2)에 의해서 선회 스크롤(3b)이 회전하면, 냉매 가스의 흡입관(19)으로부터 냉동 사이클 속의 냉매 가스가 흡입되어 비선회 스크롤(3a)과 선회 스크롤(3b)로 구성되는 압축 기구부(3)의 압축실(4)에 의해서 상기 냉매 가스가 압축되어 흡입 압력으로부터 고온, 고압의 압축 냉매 가스로 되어 토출관(20)으로부터 토출된다. 이 때, 냉동기 오일 저장부(10) 내의 압력도 압축실(4)의 토출측과 동일한 압력의 고압으로 되어 있다.
한편, 중간 압력실(14)의 내부는 흡입 압력과 토출 압력의 대략 중간 압력(이하, 중간 압력이라고 함)으로 되어 있고, 토출 압력, 즉 냉동기 오일 저장부(10)의 압력과 중간 압력실(14)의 압력, 즉 중간 압력과의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한다(토출 압력>중간 압력). 이에 따라, 선회 베어링부(7)에는 냉동기 오일 저장부(10)와 중간 압력실(14)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크랭크 축(6)의 급유 구멍(11)으로부터 냉동기 오일이 흡상되어 급유된다. 동시에, 크랭크 축(6)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서도 선회 베어링(7)으로의 급유가 행해진다.
선회 베어링(7)에 급유된 냉동기 오일은 선회 베어링(7)에의 강제적인 급유에 의해 다시 급유 구멍(12)을 경유하여 주 베어링(8)으로 흐르고, 주 베어링(8)으로 흐른 냉동기 오일은 또 다시 냉동기 오일 저장부(10)로 복귀하는 순환류를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간극(17a)을 하부 간극(17b)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부 간극(17a)으로부터 주 베어링(8)으로 흐르는 냉동기 오일을 다량으로 유출할 수 있다. 한편, 하부 간극(17b)을 좁힘으로써 하부 간극(17b)으로부터 중간 압력실(14)을 경유하여 압축실(4)로 흐르는 냉동기 오일의 양을 소량으로 하고 있으므로, 선회 베어링(7) 및 주 베어링(8)으로의 냉동기 오일의 공급이 증가하여 윤활이 양호하게 행해져서 신뢰성이 향상되고, 또 중간 압력실(14)로의 유량이 적어짐으로써 평형추(13)가 냉동기 오일을 교반하는 데 소비되는 동력이 경감되어 소비 전력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또, 평형추(13)가 냉동기 오일을 교반함으로써 중간 압력실(14)에서 발생하는 냉매 가스량 및 압축실(4)로 유입된 냉동기 오일로부터 발생하는 냉매 가스량 등이 감소한다. 따라서, 압축실(4)이 흡입 파이프(19)로부터 흡입하는 냉매 가스량도 증가하므로, 냉동 사이클로서의 냉매 순환량이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압력실로의 유량이 적어짐으로써 평형추가 냉동기 오일을 교반하는 데 소비되는 동력이 경감되어 소비 전력의 저감을 꾀할 수 있고, 또 압축실이 흡입 파이프로부터 흡입하는 냉매 가스량도 증가하므로, 냉동 사이클로서의 냉매 순환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선회 베어링 및 주 베어링의 윤활이 양호하게 행해져서 베어링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3에 드로틀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선회 베어링(7)에 오목부(18)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1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간극(17a)은 간극(17b)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1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있다.
도4에 드로틀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크랭크 축(6) 및 선회 베어링(7)에 오목부(16, 18)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1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간극(17a)은 간극(17b)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1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있다.
도5에 드로틀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크랭크 축(6)의 플랜지(6a)의 상단부면과 선회 스크롤(3b) 및 선회 베어링(7)의 하단부면 사이에 시일(23)을 개재시켜 이 부분의 간극을 크랭크 축(6)과 선회 베어링(7)의 간극보다 작게 하고, 냉동기 오일을 도시한 상방으로 한층 더 흐르도록 제어하여 급유 구멍(12)으로 안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간극은 목적으로 하는 오일 유량의 제어를 행할 수 있기만 하면 되므로 대소 관계를 제한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상부 간극≥하부 간극이 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1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있다.
도6에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급유 구멍(11)의 하단부의 개구는 냉동기 오일 저장부(10)의 냉동기 오일속에 배치되고, 상단부는 상기 선회 베어링(7)의 상단부면에 개구하고 있다. 또, 주 베어링(8)에 연통하는 급유 구멍(24)의 상단부는 선회 베어링(7)의 측면에 개구하고, 하단부가 주 베어링(8)에 개구하도록 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1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주 베어링(8)으로부터 냉동기 오일의 배출은 주 베어링(8)과 크랭크 축(6) 사이의 오일막 압력에 의해서 주 베어링(8)의 하단부로부터 적극적으로 배출하려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가 도1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크랭크 축(6)에 오목형의 나선홈(25)을 형성한 점에 있다. 이 나선홈(25)에 의해, 냉동기 오일이 주 베어링(8)의 하단부로부터 한층 더 고압인 냉동기 오일 저장부(10)로 배출된다. 그리고, 나선홈(25)은 주 베어링(8)측에 형성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기 오일의 점성과 나선홈의 펌프 작용에 의해 냉동기 오일을 보다 양호하게 주 베어링부(8)로부터 냉동기 오일 저장부로 배출할 수 있어 베어링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도8은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도 냉동기 오일을 적극적으로 배출하는 경우의 실시예로서, 도7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주 베어링(8) 및 프레임(9)에 각각 냉동기 오일의 배출 구멍(26, 27)을 형성하고, 또 냉매 가스의 역류 방지를 위해 판형 밸브(28) 및 이 밸브(28)의 개방을 제한하는 리테이너(28a)를 설치한 데 있다. 본 실시예는 크랭크 축(6)의 회전에 의해 주 베어링(8) 내의 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배출 구멍(26, 27)으로부터 냉동기 오일을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배출 구멍(26, 27)의 개구부는 냉동기 오일 저장부(10)의 냉매 가스속에 있으므로, 주 베어링(8) 내의 압력 상승이 불충분한 경우라도 냉매 가스의 역류가 방지된다.
또, 역류 방지 수단으로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밸브(29) 및 이 볼 밸브(29)를 가압하는 스프링(30)으로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효과적으로 냉동기 오일을 주 베어링부로부터 냉동기 오일 저장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도 냉동기 오일을 적극적으로 배출하려는 경우의 실시예로서, 도7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크랭크 축(6)에 펌프 작용을 행하는 나선홈 펌프(31)를 설치하고, 주 베어링(8)의 하부로 급유된 냉동기 오일을 나선홈 펌프(31)에 의해서 도면중 상방의 급유 구멍(12) 위치까지 반송하여 주 베어링(8)의 하단부로부터 배출되는 냉동기 오일량을 저감하는 것이다. 또, 급유 구멍(12)이 개구되는 프레임(9) 부분에 냉매 가스의 역류 방지를 위한 판형 밸브(32)와, 이 밸브(32)의 하방에 오일 덮개(33)를 설치하여 급유 구멍(12)으로부터 배출된 냉동기 오일이 회전자(2a)로 직접 비산하여 미스트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8 또는 도9에 도시한 실시예의 효과에 부가하여 회전자(2a)에 냉동기 오일이 부착되지 않으므로, 냉동기 오일의 미스트화가 없어 냉동 사이클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도 냉동기 오일을 적극적으로 배출하는 경우의 실시예로서, 도10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프레임(9)으로부터 냉동기 오일 저장부(10)로 냉동기 오일을 배출하기 위해 배출관(34)을 설치한 점이다.
특히, 압축기의 기동시 등의 주 베어링(8) 내의 압력이 냉동기 오일 저장부(10)보다도 낮아진 경우에 있어서도, 배출관의 냉동기 오일 저장부(10)측의 일단부를 항상 오일속에 존재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주 베어링(8) 내로 냉동기 오일을 선회 베어링(7)으로부터 압력차에 의해 도입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는 스크롤 압축기를 냉동 사이클에 적용한 것이지만, 냉매 이외에도 공기, 헬륨 등의 오일과의 상용성이 낮은 기체를 압축하는 용도의 압축기, 또는 자동차 에어콘으로 대표되는 반밀폐 용기를 채용한 압축기에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 압력실로의 유량이 적어짐으로써 평형추가 냉동기 오일을 교반하는 데 소비되는 동력이 감소하여 소비 전력의 저감을 꾀할 수 있고, 또 압축실이 흡입 파이프로부터 흡입하는 냉매 가스량도 증가하므로, 냉동 사이클의 냉매 순환량이 증가하여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선회 베어링 및 주 베어링의 윤활이 양호하게 행해져서 베어링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Claims (5)

  1. 용기 내에 압축 기구부와 오일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 기구부는 각각 다이 판 형태에 소용돌이형의 랩을 지닌 선회 스크롤과 비선회 스크롤 및 상기 선회 스크롤의 자전 방지 수단인 올덤 링을 조합하여 구성하고, 작동 유체의 압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크랭크 축과 상기 크랭크 축을 지지하는 주 베어링을 설치한 프레임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축에, 선회 베어링의 윤활유를 선회 베어링 근방과 주 베어링 근방을 연통하는 급유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급유 구멍의 선회 베어링 근방 및 주 베어링 근방에서의 개구 위치를 압축기의 운전중에 발생하는 상기 선회 베어링 개구부의 오일막 압력이 주 베어링 개구부의 오일막 압력보다 고압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베어링부로부터 윤활유를 용기 내의 오일 저장부로 배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베어링 및 프레임으로부터 윤활유 저장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연통하는 용기 내로의 윤활유 유로에 있어서 역류 방지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베어링 및 프레임에 배출 구멍을 형성하고, 이 배출 구멍에 배출관의 일단부를 접속하고, 타단부를 상기 윤활유 저장부에 개구시키는 동시에 상기 윤활유 저장부측의 개구는 윤활유 속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베어링 및 프레임으로부터 배출된 윤활유를 회전자에 부착시키지 않고 윤활유 저장부로 도입할 수 있는 유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KR1019990057006A 1998-12-14 1999-12-13 스크롤 압축기 KR100359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54909A JP2000179481A (ja) 1998-12-14 1998-12-14 スクロール圧縮機
JP98-354909 1998-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095A true KR20000048095A (ko) 2000-07-25
KR100359045B1 KR100359045B1 (ko) 2002-11-04

Family

ID=1844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006A KR100359045B1 (ko) 1998-12-14 1999-12-13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94696B2 (ko)
JP (1) JP2000179481A (ko)
KR (1) KR100359045B1 (ko)
CN (1) CN1112517C (ko)
TW (1) TW4941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3252B4 (de) * 2001-03-26 2013-11-28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Elektrisch angetriebene Kompressoren und Verfahren zum Umlaufenlassen von Schmieröl durch diese Kompressoren
US6742491B1 (en) * 2002-12-17 2004-06-01 Tecumseh Products Company Engine lubrication system
JP4448314B2 (ja) * 2003-11-10 2010-04-0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4219262B2 (ja) * 2003-12-10 2009-02-04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
FR2885966B1 (fr) * 2005-05-23 2011-01-14 Danfoss Commercial Compressors Compresseur frigorifique a spirales
CN101469712B (zh) * 2007-12-27 2011-10-05 上海日立电器有限公司 一种滚动转子式压缩机的装配方法
CN101943156B (zh) * 2010-09-27 2013-05-01 加西贝拉压缩机有限公司 应用于全封闭制冷压缩机的泵油结构
JP5548586B2 (ja) * 2010-10-28 2014-07-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US9217434B2 (en) * 2011-04-15 2015-12-2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drive shaft with fluid passages
KR101357203B1 (ko) 2011-12-23 2014-02-03 주식회사 네오너지 자동차의 열원을 이용한 스크롤 팽창기 발전 시스템
US9689386B2 (en) 2012-07-31 2017-06-27 Bitzer Kuehlmaschinenbau Gmbh Method of active oil management for multiple scroll compressors
US10634137B2 (en) 2012-07-31 2020-04-28 Bitzer Kuehlmaschinenbau Gmbh Suction header arrangement for oil management in multiple-compressor systems
US10495089B2 (en) 2012-07-31 2019-12-03 Bitzer Kuehlmashinenbau GmbH Oil equalization configuration for multiple compressor systems containing three or more compressors
US9051934B2 (en) 2013-02-28 2015-06-09 Bitzer Kuehlmaschinenbau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oil equalization in multiple-compressor systems
JP2015036525A (ja) * 2013-08-12 2015-02-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US20170002816A1 (en) * 2013-11-29 2017-01-05 Daikin Industries, Ltd. Scroll compressor
CN105899808B (zh) * 2014-01-08 2017-12-12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式压缩机
US9939179B2 (en) 2015-12-08 2018-04-10 Bitzer Kuehlmaschinenbau Gmbh Cascading oil distribution system
US10760831B2 (en) 2016-01-22 2020-09-01 Bitzer Kuehlmaschinenbau Gmbh Oil distribution in multiple-compressor systems utilizing variable speed
JP6715722B2 (ja) * 2016-07-29 2020-07-01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6920641B2 (ja) * 2016-11-18 2021-08-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媒圧縮機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装置
CN111133197B (zh) * 2017-08-31 2022-05-13 法雷奥日本株式会社 涡旋式压缩机
KR102087141B1 (ko) * 2018-09-06 202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WO2021157332A1 (ja) * 2020-02-05 2021-08-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5986A (ja) 1981-10-14 1983-04-19 Hitachi Ltd スクロ−ル圧縮機
JPS58214692A (ja) 1982-06-07 1983-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ロ−ル圧縮機
JPS5918287A (ja) 1982-07-21 1984-0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ロ−ル圧縮機
JPS59224494A (ja) 1983-06-03 1984-12-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ロ−ル圧縮機
JPS60101296A (ja) 1983-10-21 1985-06-05 Hitachi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S60206989A (ja) * 1984-03-30 1985-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ロ−ル形流体機械
JPH0617676B2 (ja) 1985-02-15 1994-03-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ヘリウム用スクロ−ル圧縮機
JPS6287692A (ja) 1985-10-14 1987-04-22 Hitachi Ltd 密閉形スクロ−ル圧縮機
JPS62142883A (ja) 1985-12-16 1987-06-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ロ−ル圧縮機
KR920003593B1 (ko) * 1988-02-19 1992-05-04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스크롤 유체기계
US4877381A (en) * 1988-05-12 1989-10-31 Tecumseh Products Company Compressor shaft collar through port for pressure equalization between fluid pockets
US4875840A (en) * 1988-05-12 1989-10-24 Tecumseh Products Company Compressor lubrication system with vent
JP2616094B2 (ja) 1990-02-14 1997-06-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形圧縮機
JP2928593B2 (ja) 1990-06-22 1999-08-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ロール圧縮機
JP2522459B2 (ja) 1990-10-04 1996-08-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ル形流体機械
US5306126A (en) * 1991-03-27 1994-04-26 Tecumseh Products Company Scroll compressor lubrication control
US5336060A (en) * 1992-07-30 1994-08-09 Tecumseh Products Company Integrally formed counterweight for rotor end ring
JPH0719187A (ja) 1993-07-01 1995-01-20 Hitachi Ltd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H07317682A (ja) 1994-03-28 1995-12-05 Hitachi Ltd 横形圧縮機
JP3632223B2 (ja) 1994-09-16 2005-03-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横形密閉電動圧縮機
MY126636A (en) * 1994-10-24 2006-10-31 Hitachi Ltd Scroll compressor
JP3509299B2 (ja) 1995-06-20 2004-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ロール圧縮機
JP3196589B2 (ja) * 1995-09-08 2001-08-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高圧ドーム形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79481A (ja) 2000-06-27
CN1257163A (zh) 2000-06-21
CN1112517C (zh) 2003-06-25
US6494696B2 (en) 2002-12-17
TW494183B (en) 2002-07-11
US20010026766A1 (en) 2001-10-04
KR100359045B1 (ko) 200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045B1 (ko) 스크롤 압축기
KR900003716B1 (ko) 다기통 회전식 압축기
US8689581B2 (en) Rotary-type fluid machin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KR970000342B1 (ko) 횡형 다실린더 로타리 압축기
EP1471258B1 (en) Electric compressor
KR100538061B1 (ko) 회전식압축기
US4640669A (en) Rotary compressor lubrication arrangement
JP2005180320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EP3418569B1 (en) Open-type refrigerant compressor
US9435337B2 (en) Scroll compressor
JP2008309078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2197769A (ja) 密閉型圧縮機
JP2000179472A (ja) ロータリ圧縮機
JPH0559278B2 (ko)
US11933306B2 (en) Scroll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JP4301985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6214335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3585661B2 (ja) ロータリー圧縮機およびその圧縮機を備えた冷凍装置
JP3747528B2 (ja) 冷凍機用圧縮機
JPS63129177A (ja) 気体圧縮機の潤滑油戻し装置
JP2024048814A (ja) 密閉型ロータリ圧縮機及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JP2009264306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4486224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20050021572A (ko) 횡형 로터리식 압축기
JP2007032294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