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2072A -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2072A
KR20000042072A KR1019980058148A KR19980058148A KR20000042072A KR 20000042072 A KR20000042072 A KR 20000042072A KR 1019980058148 A KR1019980058148 A KR 1019980058148A KR 19980058148 A KR19980058148 A KR 19980058148A KR 20000042072 A KR20000042072 A KR 20000042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shrinkage
effected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승민
박중휘
박창경
Original Assignee
조민호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호,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민호
Priority to KR101998005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2072A/ko
Publication of KR2000004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07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20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ons or devices; After-treatments for fixing crimp or cur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4Yarns or threads having slubs, knops, spirals, loops, tufts, or other irregular or decorative effects, i.e. effect yar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4Selection or control of the temperature during stretching

Abstract

본 발명은 정장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저수축화 및 자발신장 특성이 부여된 효과사와 고수축 성분의 이소프탈산이 공중합된 스핀드로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인 심사가 복합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에 있어서, 상기 효과사의 단사섬도가 1.0∼4.0 dpf이고, 상기 심사의 단사섬도가 4.0∼8.0 dpf이며, 효과사의 총섬도(TDe)에 대한 심사의 총섬도(TDc)의 비(TDc/TDe)가 0.6∼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에 관한 것으로서, 본 이수축 혼섬사는 부피감 및 반발탄성이 우수하고 염착차이가 낮은 고품질의 이수축 혼섬사이다.

Description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부피감 및 반발탄성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다.
종래 이수축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다음의 두가지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그 한 방법은 일반 폴리에스테르 냉연신사와 열연신사를 복합하는 방법이고, 다른 한 방법은 저방속사를 연신하면서 고방속사를 복합하는 방법이다. 상기 두 방법은 모두 후공정인 연지(sizing)공정을 진행시 효과사의 물성의 편차가 크고 특히 연사물의 경우 내, 외층간의 수축차로 인한 양변색차 발생 및 연지물 전개시 장력편차에 의한 경사줄 발생가능성이 높고 또한 후공정의 축소과정에서 축소과정중 심사, 효과사의 이수축효과가 적어진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6-79737호에서는 풍부한 부피감 및 안정된 소재의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를 얻을 수 있었으나 효과사와 심사의 염착차가 발생하여 직물편의 바닥이 지저분하게 되거나 특히 반발탄성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여 여성용 슈트(suit), 스커트로 한정되어 전개하여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우수한 부피감과 반발탄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이수축 혼섬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특허출원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장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저수축화 및 자발신장 특성이 부여된 효과사와 고수축성분의 이소프탈산이 공중합된 스핀드로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인 심사가 복합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에 있어서, 상기 효과사의 단사섬도(De)가 1.0∼4.0 dpf(denier per filament)이고, 상기 심사의 단사섬도(Dc)가 4.0∼8.0 dpf이며, 효과사의 총섬도(TDe)에 대한 심사의 총섬도(TDc)의 비(TDc/TDe)가 0.6∼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는 상기 효과사의 비수수축율이 -5∼0%이고, 건열수축율이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는 소재사인 상기 심사가 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단위의 공중합 비율이 8∼15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장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저수축화 및 자발신장 특성이 부여된 효과사와 고수축성분의 이소프탈산이 공중합된 스핀드로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인 심사가 복합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기 효과사로 복굴절율(Δn)이 20×10-3∼110×10-3인 미연신사를 연신기상에서 하기 수학식 1의 가열롤러 온도(T1), 하기 수학식 2의 가열판 온도(T2) 및 하기 수학식 3의 정장열처리 연신비(DR)로 정장열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Tg+ 25℃ ≤ T1 ≤ Tg+ 60℃
여기서, Tg는 효과사의 유리전이온도임
Tc+ 25℃ ≤ T2 ≤ Tc+ 60℃
여기서 Tc는 효과사의 결정화온도임.
여기서 NDR은 효과사의 자연연신비임.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기술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장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저수축화 및 자발신장 특성이 부여된 효과사와 고수축성분의 이소프탈산이 공중합된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인 심사가 혼섬됨으로써 부피감이 향상된 이수축 혼섬사가 항상 충분한 반발탄성과 양호한 염색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소재사의 적정한 단사섬도와 총섬도비를 상기한 비율로 한정한다. 심사의 단사섬도를 상기한 범위로 증가시키는 것이 직편물의 반발탄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일뿐 아니라 효과사 대비 겉보기 염착차를 줄이는 데 큰 역할을 차지한다. 심사의 단사섬도가 4.0 미만이면 반발탄성이 부족하고 효과사와 염착차가 크게 발생하며, 8.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사공정상의 고화불량으로 인한 공정성 불량 및 생산성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총섬도비(TDc/TDe)가 상기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균일한 혼섬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직,편물 제조시 우수한 부피감 및 유연도(softness)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효과사는 복굴절율(Δn)이 20×10-3∼110×10-3인 미연신사를 연신기상에서 가열롤러 및 가열판을 지나면서 정장열처리를 거치게 함으로써 심사와 혼섬되기 전의 효과사에 저수축화 및 자발신장특성이 부여된다. 바람직하기로는 효과사가 무장력하 100℃ 끓는 물에서 30분간 침지후 수축율(측정시 초하중 2g/de)인 비수수축율 -5∼0%, 무장력하 180℃ 오븐에서 30분간 건열후 수축율(측정시 초하중 2g/de)인 건열수축율 -10∼0%를 만족하도록 정장열처리하는 것이다.
미연신사가 상기한 바와 같은 높은 배향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1,900∼4,500m/분의 방사속도로 방사하면 되고, 이러한 미연신사가 상기한 저수축화 및 자발신장특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수학식 1의 연신롤러 온도(T1), 수학식 2의 가열판 온도(T2) 및 하기 수학식 3의 연신비(DR)로 정장열처리하면 된다. 정장열처리공정중 연신기 상에서 효과사에 부여되는 장력은 15∼45g 정도가 적당하다.
이와 같이 준비한 효과사는 스핀드로 고수축사인 심사와 예를 들어 유제처리장치로 교락을 부여하여 복합하여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 ]
단사섬도 및 TDc/TDe가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심사와 효과사를 유제처리장치로 교락을 부여하여 복합함으로써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효과사는 폴리에스테르를 3,500 m/분의 방사속도로 용융방사하고 연신기에서 연신롤러 온도(T1) 110℃, 가열판 온도(T2) 200℃ 및 연신비(DR) 1.06으로 정장열처리하여 효과사이었고, 효과사는 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단위의 공중합 비율이 10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스핀드로한 고수축사이었다.
각 예에서 얻어진 이수축 혼섬사에 대하여 부피감, 반발탄성, 염착차 및 후공정 직편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효과사제사조건 방사속도(m/분) 3,500 3,500 3,500 3,500
연신비(배) 1.06 1.06 1.06 1.06
T1/T2 110/200 110/200 110/200 110/200
소재사구성조건 Dc (dpf) 5.0 5.0 3.5 3.5
De (dpf) 3.0 1.5 3.0 1.5
TDc/TDe 0.7 0.8 0.6 0.6
평가* 부피감 ◎∼○ ◎∼○
반발탄성 ◎∼○ △∼×
염착차 Δ3.0 Δ3.0 Δ3.0 Δ3.0
후공정 직,편성
*평가기준 : ◎… 극히 우수, ○… 우수, △… 중간, ×… 불량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피감 및 반발탄성이 우수하고 염착차이가 낮은 고품질의 이수축 혼섬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정장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저수축화 및 자발신장 특성이 부여된 효과사와 고수축성분의 이소프탈산이 공중합된 스핀드로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인 심사가 복합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에 있어서, 상기 효과사의 단사섬도가 1.0∼4.0 dpf이고, 상기 심사의 단사섬도가 4.0∼8.0 dpf이며, 효과사의 총섬도(TDe)에 대한 심사의 총섬도(TDc)의 비(TDc/TDe)가 0.6∼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사의 비수수축율이 -5∼0%이고, 건열수축율이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3. 정장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저수축화 및 자발신장 특성이 부여된 효과사와 고수축성분의 이소프탈산이 공중합된 스핀드로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인 심사가 복합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기 효과사로 복굴절율(Δn)이 20×10-3∼110×10-3인 미연신사를 연신기상에서 하기 식(1)의 가열롤러 온도(T1), 하기 식(2)의 가열판 온도(T2) 및 하기 식(3)의 정장열처리 연신비(DR)로 정장열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Tg+ 25℃ ≤ T1 ≤ Tg+ 60℃ (1)
    Tc+ 25℃ ≤ T2 ≤ Tc+ 60℃ (2)
    (3)
    여기서, Tg는 효과사의 유리전이온도, Tc는 효과사의 결정화온도,
    NDR은 효과사의 자연연신비임.
KR1019980058148A 1998-12-24 1998-12-24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42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148A KR20000042072A (ko) 1998-12-24 1998-12-24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148A KR20000042072A (ko) 1998-12-24 1998-12-24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072A true KR20000042072A (ko) 2000-07-15

Family

ID=1956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148A KR20000042072A (ko) 1998-12-24 1998-12-24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20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839B1 (ko) * 2000-04-17 2006-08-11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폴리에스테르 직물
KR100972626B1 (ko) * 2005-12-30 2010-07-28 주식회사 효성 자발신장성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태,세사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581A (ko) * 1992-01-22 1993-08-26 이승동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JPH09143826A (ja) * 1995-11-24 1997-06-03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エステル異収縮混繊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60379A (ko) * 1996-12-31 1998-10-07 김준웅 부피감이 우수한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19980066989A (ko) * 1997-01-30 1998-10-15 구광시 극세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76045A (ko) * 1998-03-27 1999-10-15 구광시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581A (ko) * 1992-01-22 1993-08-26 이승동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JPH09143826A (ja) * 1995-11-24 1997-06-03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エステル異収縮混繊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60379A (ko) * 1996-12-31 1998-10-07 김준웅 부피감이 우수한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19980066989A (ko) * 1997-01-30 1998-10-15 구광시 극세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76045A (ko) * 1998-03-27 1999-10-15 구광시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839B1 (ko) * 2000-04-17 2006-08-11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폴리에스테르 직물
KR100972626B1 (ko) * 2005-12-30 2010-07-28 주식회사 효성 자발신장성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태,세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31114A (ja) 強撚用ポリエステル原糸の製造方法
JP3736298B2 (ja) 混繊糸
JP2001288621A (ja) ポリエステル系複合繊維
KR20000042072A (ko)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JPH0411006A (ja) 耐摩擦溶融性複合繊維及びその仮撚加工糸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スポーツ衣料
KR101866688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4562907B2 (ja) ストレッチ性織編物用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28359A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の製造方法
JP2844680B2 (ja) 異繊度異収縮混繊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132620A (ja) 編物用ポリエステルステ−プル繊維
JPH0219528A (ja) ポリエステル収縮差混繊糸
JP3418265B2 (ja) カチオンミックス調太細繊維の製造方法
JPS6160179B2 (ko)
JPH11217730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法および仮撚加工糸
KR860002172B1 (ko) 플리에스테르 이수축(異收縮) 혼섬사 및 그 직, 편물의 제조방법
JP3796522B2 (ja) ポリエステル異収縮混繊糸
JPS61215730A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ラメント縫糸の製造方法
JPH0219539A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織物
JPS591719A (ja) ミシン糸用原糸
JPS58109642A (ja) 抗ピルバルキ−スパン糸
JPS6017114A (ja) 低伸度抗ピル性ポリエステル繊維
JPH03124839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と羊毛繊維との混紡糸織物
JPS5936722A (ja) 複合紡糸法
KR20000020045A (ko)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JPH031073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