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045A -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045A
KR20000020045A KR1019980038466A KR19980038466A KR20000020045A KR 20000020045 A KR20000020045 A KR 20000020045A KR 1019980038466 A KR1019980038466 A KR 1019980038466A KR 19980038466 A KR19980038466 A KR 19980038466A KR 20000020045 A KR20000020045 A KR 20000020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thread
shrinkable
yarns
shr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898B1 (ko
Inventor
임대우
백문수
이필상
조광신
Original Assignee
한형수
주식회사 새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형수, 주식회사 새한 filed Critical 한형수
Priority to KR1019980038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898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공정으로 수축율의 차이가 4등급으로 구분되는 폴리에스테르 다수축 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두 개의 방사팩에서 내측부분은 개질된 고수축 성분이 방사되고, 외측부분은 레귤러 칩이 방사됨으로서 동일 방사팩 내에서 이수축 원사가 제조되고 양쪽 방사팩에서 토출된 사조 (A)와 (B)를 각각 냉각, 고화, 오일링 한 다음에 사조 (A)는 연신을 하지 않고 자발신장사로 작용하도록 하고 사조 (B)는 1.1∼2.5배 연신하여 잠재 수축성 원사로 작용되도록 한 후 사조 (A)와 (B)를 유체 교락처리하고 권취함으로써 (A)(B)간의 수축율 차이를 발생시켜 단일공정에서 서로 다른 4등급의 수축율을 가지는 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는 원단 표면에서의 광택차가 발생하지 않고 은은한 색상을 발현하며 마이크로 루프의 발현으로 우수한 촉감을 지니게 된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단일공정으로 수축율의 차이가 4등급으로 구분되어지는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물에서 광택차가 나지않고 염색차로 인한 색상차가 없는 은은한 색상을 발현시킬 수 있으며 효과사 내에서 마이크로 루프(MICRO LOOP)가 발현되어 우수한 촉감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수축 교락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한국 공개특허 제97-62108호에서는 두 방사팩에서 토출된 사조(A) 및 (B)를 냉각 오일링 한 다음 사조(A)는 고뎃롤러 사이에서 연신을 하지 않고 자발신장사로 작용하도록 하고 사조(B)는 고뎃롤러 사이에서 연신을 하여 잠재수축성사로 작용하도록 한 후 교락 처리 하고 권취함으로써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된바 있고, 한국 공개특허 제97-74992호에서는 하나의 사속을 사도 열처리한 후 집속 급유하여 저수축성의 사속을 만들고, 다른 하나의 사속을 연신후에 집속 급유하여 고수축성 사속을 얻고, 사도 롤로 고,저수축성 사의 권취장력을 조정한 뒤에 병합적으로 혼섬을 진행시키고 권취하여 이수축성 혼섬사를 얻는것으로서, 이러한 두가지 방법 모두 종래의 방사·혼섬으로 이루어진 2단계의 공정을 단일공정으로 단순화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수축 혼섬사에서 문제가 되는, 가공시의 고수축사와 저수축사의 염색차이로 인한 직물상에서의 색상차, 고수축사와 저수축사의 분리로 인한 광택차 등을 개선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공정으로 혼섬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종래의 이수축 혼섬사의 수축율 차이를 둘 이상으로 늘림으로서 종래의 이수축 혼섬사에서의 색상차, 광택차등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 표면에 마이크로 루프를 발현시켜 소프트한 감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구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섬사를 열처리 했을 경우의 모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금의 내부 2 : 구금의 외부
3 : 방사팩 A 4 : 방사팩 B
5 : 오일링 장치 6 : 가이드롤러
7 : 제1고뎃롤러 8 : 제2고뎃롤러
9 : 유체교락장치 10 : 미연신사(A)의 레귤러사
11 : 미연신사(A)의 고수축사 12 : 연신사(B)의 레귤러사
13. 연신사(B)의 고수축사
본 발명은 양쪽 방사팩에서 토출된 사조(A)와 사조(B)를 각각 냉각 고화 오일링한 다음 사조(A)는 연신을 하지 않고 자발신장사로 작용되도록 하고, 사조(B)는 연신을 시켜 잠재 수축성 원사로 작용하도록 한 후 상기 사조(A)와 사조(B)를 유체교락 처리하되 사조(A)와 사조(B)의 각각의 구금 내부에는 고수축사를 외부에
는 레귤러사가 방사되도록 하여 단일공정에 의해 서로 다른 4등급의 수축율을 갖도록 함으로써 본발명 다수축 혼섬사를 제조하게 된다.
이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구금의 원사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고수축칩과 레귤러 칩을 각각 건조, 용융하여 동일 구금내에서 디스트리뷰터(DISTRIBUTER)에서 분배하여 최종적으로 구금 내측에서는 고수축사가, 구금 외측에서는 레귤러사가 방사되도록 한다. 이때 고수축사는 공중합 개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서 공중합 개질제로는 산 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 글리콜 성분으로서 네오펜틸 글리콜, 2-2' 비스[4-(2히드록시 에톡시)페닐] 프로판 등이 사용 가능하며 혼합 사용한다. 공중합 비율은 전 모노머 성분에 대하여 각각 3∼7몰% 첨가한다. 3.0몰% 미만의 경우에는 원사의 수축효과가 충분치 못하고 7몰% 이상의 경우에는 방사시 트러블 발생이 우려되며 원사 물성 저하가 심해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정 개략도로서 방사속도 2000∼4000으로 방사하며 양쪽 방사팩에서 토출된 사조 (A)와 (B)를 각각 냉각 고화, 오일링 한 다음에 사조 (A)는 가이드 롤러를 통해 제2 고뎃롤러를 거침으로서 연신을 하지 않아 자발신장사로 작용되도록 하고 사조(B)는 제1고뎃롤러와 제2고뎃롤러 사이에서 1.1∼2.5배 연신을 하여 분자 배향을 높임으로써 수축율을 높여 잠재 수축성 원사로 작용 되도록 한다. 이때 제1고뎃롤러의 온도는 50∼150℃로 한다. 이후 상기 사조 (A)와 (B)를 유체교락장치를 이용하여 교락수 30∼100 개/m를 가지도록한 후 권취함으로써 단일공정으로 혼섬사를 제조한다.
도 3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혼섬사가 열처리를 받았을 경우의 모델도로서 연신사가 심사로 작용하고 미연신사가 초사로 작용하게 되는데 각각의 심사, 초사는 또한 고수축사와 레귤러사로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수축률 차이로 인하여 미세한 마이크로 루프가 발현이 되게 된다. 따라서 직물로 만들어 졌을때 각 원사들의 염착율 차이에 의해 기존의 이수축 혼섬사가 표현하지 못하던 직물에서의 자연스럽고 고급스러운 표면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고수축사와 저수축사의 분리로 인한 광택차를 개선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루프의 발현으로 인한 우수한 촉감을 지니는 직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A, B 각 구금의 내부에서 방사되는 고수축사로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고 공중합 개질제로서 이소프탈산을 전 산성분의 5 몰%, 2-2'비스 [4-(2히드록시 에톡시)페닐] 프로판 을 전 글리콜 성분의 5 몰% 공중합한 고유점도 0.65 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칩을 사용하고 구금 외부에서는 레귤러 칩을 사용하여 동일구금내에서 12가닥은 고수축사로 다른 12가닥은 레귤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사로 방사되도록 한다.
방사온도는 285℃이고 제1고뎃롤러 온도는 90℃로 하여 사조 B의 경우는 제1고뎃롤러와 제2고뎃롤러 사이에서 2배 연신시키고 권취속도는 3000M/MIN으로 하고 A, B 각각의 원사를 유체교락장치를 이용해 3kg/㎠의 압축 공기로 교락하여 교락수 80 개/M의 혼섬사를 얻었다.
제조된 혼섬사를 경사로하여 싸이징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실크라이크 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A, B 각각의 구금에서 레귤러사를 방사하여 50데니어 24필라멘트의 원사를 각각 제조한후 혼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고, 완성된 직물은 직물표면의 소프트성, 염색줄 발생, 무광택, 벌키성 등을 관능검사로 평가하였다. 관능검사의 경우 10명에게 직물을 항목별로 평가시킨 것으로 개개인의 주관적인 평가결과를 양호 : 8명이상, 보통 : 4∼7명, 불량 : 3명이하의 3등급으로 표기하였다. 이상과 같은 조건으로 제조된 실시예와 비교예의 제품을 비교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구분 소프트성 염색줄 발생 무광택 벌키성
실시예 1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비교예 1 우수 불량 불량 보통
위의 결과에서 보면 단일공정으로 제조된 일반 이수축 혼섬사에서 문제가 되는 염색줄 발생, 광택차 등이 본 발명에 의한 다수축성 혼섬사의 경우에는 개선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수축사와 저수축사의 분리로 인한 원단 표면에서의 광택차가 나지 않고, 염색 차이에 의한 색상차를 각각의 다수축 성분들이 상쇄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은은한 색상을 발현시킬수 있고 효과사 내에서도 마이크로 루프가 발현되어 우수한 촉감을 가지게 된다.

Claims (2)

  1. 양쪽 방사팩에서 토출된 사조 (A)와 (B)를 각각 냉각 고화, 오일링 한 다음에 사조 (A)는 연신을 하지 않고 자발신장사로 작용되도록 하고 사조 (B)는 1.1∼ 2.5배 연신을 하여 잠재 수축성 원사로 작용 되도록 한 후 상기 사조 (A)와 (B)를 유체 교락 처리하고 권취하되, 사조 (A)와 (B) 각각의 구금의 내부에는 고수축사를 외부는 레귤러사가 방사되도록 하여 단일 공정에 의해 서로 다른 4등급의 수축율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고수축사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고 공중합 개질제로서 이소프탈산을 전 산성분의 3∼7 몰%, 2-2'비스 [4-(2히드록시 에톡시)페닐] 프로판 을 전 글리콜 성분의 3∼7 몰% 공중합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19980038466A 1998-09-17 1998-09-17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522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466A KR100522898B1 (ko) 1998-09-17 1998-09-17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466A KR100522898B1 (ko) 1998-09-17 1998-09-17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045A true KR20000020045A (ko) 2000-04-15
KR100522898B1 KR100522898B1 (ko) 2006-01-12

Family

ID=1955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466A KR100522898B1 (ko) 1998-09-17 1998-09-17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351B1 (ko) * 1999-05-19 2006-01-23 주식회사 효성 이수축 혼섬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557B1 (ko) 2012-01-13 2012-12-11 오승아 이수축 혼섬사 및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306A (ko) * 1992-11-27 1994-06-20 에릭 뢴레브 시일 밀폐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용기의 제조방법
KR950004071A (ko) * 1993-07-31 1995-02-17 김광호 자동판매기용 물품자동배출장치
KR100192096B1 (ko) * 1994-06-09 1999-06-15 구광시 초고속방사법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970062108A (ko) * 1995-12-12 1997-09-12 이웅열 이수축교락사의 제조방법
KR970074992A (ko) * 1996-05-14 1997-12-10 쑨 쩐 이수축성(異收縮性) 혼섬사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351B1 (ko) * 1999-05-19 2006-01-23 주식회사 효성 이수축 혼섬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2898B1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87820A1 (en) Eccentric core-sheath composite fiber and combined filament yarn
KR100531617B1 (ko)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22898B1 (ko)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JP3736298B2 (ja) 混繊糸
KR101866688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83577A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36267B1 (ko)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KR101314340B1 (ko) 핫 튜브 시스템 방식으로 심색성이 향상된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1187734B1 (ko) 고속방사를 이용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RU2344213C2 (ru) Полиэфирная разноусадочна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филаментная нить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S5994613A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の製造方法
KR19990076043A (ko)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2591715B2 (ja) 異収縮混繊ポリエステル糸の製造方法
JP3464385B2 (ja) ポリエステル多様性混繊糸
JP2009074188A (ja) 丸編地および繊維製品
KR930000248B1 (ko) 폴리에스테르계 이수축 혼섬사
US3677880A (en) Synthetic conjugate filament fibers and 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the same
KR0122434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JP3332118B2 (ja) 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ィラメント複合糸
JPH07316940A (ja) 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ィラメント交絡複合糸条
JP3666135B2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および加工糸の製造方法
KR20050034265A (ko)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성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3570171B2 (ja) 芯鞘複合繊維の製造法およびそれからなる仮撚加工 糸の製造法
JPH0748746A (ja) ポリエステル杢調太細糸の製造方法
KR100193907B1 (ko)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