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267B1 -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267B1
KR100236267B1 KR1019930028694A KR930028694A KR100236267B1 KR 100236267 B1 KR100236267 B1 KR 100236267B1 KR 1019930028694 A KR1019930028694 A KR 1019930028694A KR 930028694 A KR930028694 A KR 930028694A KR 100236267 B1 KR100236267 B1 KR 100236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eatment
yarn
temperature
parts
wind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764A (ko
Inventor
백승천
주도홍
김근열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30028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267B1/ko
Publication of KR95001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사속도 5,000-6,000m/min으로 고속주행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사조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가열역과 비가열역으로 각각 구분되고 비접촉식으로 열처리를 할 수 있는 가열통을 통과시키는데 있어서, 한 부분은 제1식으로 나타낸 범위내의 온도 HT에서 일단계 열처리를 행한 후, 이어서 급유장치를 지나 제2식으로 나타낸 온도 HP로 가열판에서 2단계 열처리를 하여 저수축사로 만드는 한편, 나머지 한 부분은 열처리를 하지 않고 급유장치만을 지나도록 하여 고수축사로 만들어, 두 부분을 합사 가이드에서 합사시키고 제1 권취롤라와 제2 권취롤라를 지나 최종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생산성이 높아 원가면에서 유리하고 조업성이 극히 안정된 장점이 있으며 염가공시의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이수축효과 또한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공정조건의 제어로 여러가지 차별화 제품의 생산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공정 개략도이다.
제2도는 가열통의 상부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속방사 중 열처리를 하지 않은 고수축사와 2단 가열처리한 저수축사를 합사하여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80년대 이후 일본을 필두로 천연섬유의 질감과 감성을 모방하려는 의도로 분자제어기술, 특수이형단면, 극세화 등의 고도의 제사기술과 고차가공기술을 적용하는 신합섬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신합섬중에서도 피치-스킨조(PEACH-SKIN調)와 같은 유연한 촉감을 가지는 소재개발이 특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피치-스킨조와 같은 감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위사에 극세사를 적용하여 염가공 공정에서 버핑(Buffing)을 하여 극세사를 부출시켜 유연한 촉감을 내는 기모형 타입과 경사 또는 경위사에 수축을이 다른 2종의 실을 교락등으로 조합한 이수축 혼섬사를 적용하여 염가공 공정중 이수축효과를 발현시켜 부피감과 부드러운 촉감을 나타내는 루프형 타입이 있다.
종래에는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하는데 있어 별도의 칩을 동일조건에서 방사, 연신하는 합방사 방법과 고수축사와 저수축사를 별도로 방사 후 동일조건으로 연신하는 방법, 별도로 방사, 연신된 고수축사와 저수축사를 교락등의 방법으로 합사하는 방법 등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합연신 방법은 생산성은 높으나 이수축효과가 미흡하고 합방사 방법은 조업성이 불안하고 이수축효과 또한 미흡하다. 비교적 이수축 효과가 우수한 합사하는 방법은 원가가 높을 뿐 아니라 임가공시 품질관리가 까다로울 뿐 아니라 호부조건에 따라 품질도 상이하며 특히 별도 생산된 사를 합사함으로 인해 염색면에서도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등 여러가지 불리한 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생산성면에서 유리한 고속방사 방법을 취하고 있으면서도 이수축효과 또한 뛰어나고 후 공정에서의 별도의 관리가 필요없는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사속도 5,000-6,000m/min으로 고속주행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사조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가열력과 비가열역으로 각각 구분되고 비접촉식으로 열처리를 할 수 있는 가열통을 통과시키는데 있어서, 한 부분은 제1식으로 나타낸 범위내의 온도 [HT]에서 일단계 열처리를 행한 후, 이어서 급유장치를 지나 제2식으로 나타낸 온도 [HP]로 가열판에서 2단계 열처리를 하여 저수축사로 만드는 한편, 나머지 한 부분은 열처리를 하지 않고 급유장치만을 지나도록 하여 고수축사로 만들어, 두 부분을 합사 가이드에서 합사시키고 제1 권취롤라와 제2 권취롤라를 지나 최종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유리전이온도(Tg) + 5 ≤ HT ≤ 유리전이온도(Tg) + 35 (1)
HT + 15 ≤ HP ≤ HT + 50 (2)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방사속도 5,000m/min 이상의 고속방사에서는 방사블럭(1)중의 방사구금(2)을 통과한 사조(3)를 냉각장치(4)에서 냉각기류에 의해 고화할 경우, 배향결정화가 급속히 진전되어 7,000m/min의 고속에서는 비등수축율이 5%이하가 되고 결정화도도 30% 가까이 진전되어 일반 원사로서 사용가능한 수준이 된다.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방사속도 5,000-6,000m/min의 범위에서는 결정화도가 15%정도 진전되고 비등수축율도 20%이상이 된다.
이러한 원사를 도2와 같이 가열되는 부분(가열역[A])과 가열되지 않는 부분(비가열역[B])의 2개의 쟈킷으로 구성된 가열통(5)을 각각 통과시킨 다음 오/젯트(O/JET)(6)에서 급유처리한다. 가열역을 지난 사조를 다시 가열판(7)을 통과시켜 비등수축율 5% 이하의 저수축사가 되도록 한다. 분리가이드(8)를 각각 통과한 열처리를 하지 않은 고수축사와 2단 가열처리한 저수축사를 합사가이드(9)에서 합사시킨 다음 인터레이서(12)로 혼섬시켜 사의 교락을 부여하고 제1 권취롤라(10)와 제2 권취롤라(11)를 거쳐 사권취기(13)에 최종 권취한다.
이 때 저수축사의 가열통에서의 제1단 열처리온도 [HT]와 가열판에서의 제2단 열처리 온도 [HT]는 아래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Tg) + 5 ≤ HT ≤ Tg + 35 (1)
HT + 15 ≤ HP ≤ HT + 50 (2)
위 범위에 속한 온도보다 낮을 때에는 이수축효과가 미흡하고 높을 경우에는 사의 장력이 증가 할 뿐 아니라 사의 결정화가 과도하게 진전되어 후가공시 염색 불균일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열처리 온도를 상기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비등수축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열수축율이 다른 사조로 구성된 이수축혼섬사를 고수축사와 저수축사로 분할하여 무게(W) =데니어/3g의 하중에서 초장(lo)를 측정한다. 그 다음 무하중에서 비수(沸水)중에 30분간 침지시켜 수축시킨 후 건조하여 재차 W의 하중에서 수축후의 길이(11)를 측정하여 비등수축율(Sr)을 아래식에 의하여 구한다.
비등수축율 :
본 발명에 따른 이수축 혼섬사 제조의 경우는 생산성이 높아 원가면에서 유리하고 조업성이 극히 안정도니 장점이 있으며 종래의 방법보다 임가공시의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이수축효과 또한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공정조건의 제어로 여러가지 차별화 제품 생산도 가능하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2]
고유점도가 0.645인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를 제1도에 나타난 방식으로 모세공의 수가 24개이고 모세공의 지름이 0.2mm인 2개의 방사구금(2)을 가진 방사블럭(1)을 통해 방사하였다. 방사된 사조(3)를 냉각장치(4)에서 유속 0.4m/min의 냉각기류에 의해 75℃이하로 고화시킨 후 고화점 아래에 제2도와 같은 가열역 [A]와 비가열역 [B]로 구성된 가열통(5)을 각각 통과시켜 1단계 열처리 온도(HT)로 열처리한다. 가열통(5)을 통과한 사조를 오일급유장치(O/JET)(6)에서 급유처리 한 다음 가열역(A)을 통과한 사조만 또 다시 20Cm의 가열판(7)에서 접촉식으로 2단계 열처리온도(HP)로 열처리하였다. 그 후 합사가이드(9)에서 분리가이드(8)을 통한 비가열사조와 합사시키고 인터레이서(12)에서 혼섬시켜 교락을 부여하고 제1권취롤라(10)와 제2권취롤라(11)를 거쳐 사권취기(13)에 최종 권취하였다. 이때 최종 권취된 사조는 75De/48f가 되게끔 토출량을 조절하여 295℃에서 방사하였다.
제1단계 열처리온도 [HT]는 100℃, 2단계 열처리온도 [HP]는 130℃로 고정시키고 방사속도를 변화시키며 권취하여 비등수축율의 차이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6]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방사속도를 본 발명의 범위 외로하여 권취하고 이때의 비등수축율의 차이를 평가하여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2는 이수축효과는 비교적 양호하나 저수축부가 17%이상의 수축율을 갖고 있으므로 후공정통과성이 극히 불량하다.
[표1]
[실시예4-7]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가열통온도 [HT]와 가열판온도
[HP]를 하기 표2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5500 m/mm의 방사속도로 권취하고 염색을 하여 원단감촉 및 원단의 농염효과를 평가하여 표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7-10]
실시예4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가열통온도와 가열판온도를 하기표2 같이 달리하여 원사를 제직하고 염색을 한 후에 원단 감촉 및 원단의 농염효과를 평가하여 표2에 나타내었다.
[표 2]

Claims (1)

  1. (정정) 방사속도 5,000-6,000m/min으로 고속주행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사조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가열력과 비가열역으로 각각 구분되고 비접촉식으로 열처리를 할 수 있는 가열통을 통과시키는데 있어서, 한 부분은 제1식으로 나타낸 범위내의 온도 [HT]에서 일단계 열처리를 행한 후, 이어서 급유장치를 지나 제2식으로 나타낸 온도 [HP]로 가열판에서 2단계 열처리를 하여 저수축사로 만드는 한편, 나머지 한 부분은 열처리를 하지 않고 급유장치만을 지나도록 하여 고수축사로 만들어, 두 부분을 합사 가이드에서 합사시키고 제1 권취롤라와 제2 권취롤라를 지나 최종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Tg + 5 ≤ HT ≤ Tg + 35 (1)
    HT + 15 ≤ HP ≤ HT + 50 (2)
KR1019930028694A 1993-12-21 1993-12-21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KR100236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694A KR100236267B1 (ko) 1993-12-21 1993-12-21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694A KR100236267B1 (ko) 1993-12-21 1993-12-21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764A KR950018764A (ko) 1995-07-22
KR100236267B1 true KR100236267B1 (ko) 1999-12-15

Family

ID=1937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694A KR100236267B1 (ko) 1993-12-21 1993-12-21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2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967A (ko) * 2001-09-10 2003-03-15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이색조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0038877A (ko) * 2001-11-07 2003-05-17 박희섭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643174B1 (ko) 2005-09-05 2006-11-1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농염성 폴리에스테르 인터레이스 얀의 제조방법
CN102704090A (zh) * 2011-03-28 2012-10-03 徐州斯尔克纤维科技股份公司 一步法异收缩混纤丝生产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508B1 (ko) * 1995-11-22 2002-02-19 구광시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476658B1 (ko) * 1997-12-30 2005-08-04 주식회사 효성생활산업 폴리에스터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9442A (ja) * 1989-12-27 1991-08-30 Teijin Ltd ポリアミドシックアンドシンヤー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異色染めされたポリアミド布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9442A (ja) * 1989-12-27 1991-08-30 Teijin Ltd ポリアミドシックアンドシンヤー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異色染めされたポリアミド布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967A (ko) * 2001-09-10 2003-03-15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이색조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0038877A (ko) * 2001-11-07 2003-05-17 박희섭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643174B1 (ko) 2005-09-05 2006-11-1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농염성 폴리에스테르 인터레이스 얀의 제조방법
CN102704090A (zh) * 2011-03-28 2012-10-03 徐州斯尔克纤维科技股份公司 一步法异收缩混纤丝生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764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0685A (en) Polyester fi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5093061A (en) Deep dyeing conjugate yarn processes
KR100236267B1 (ko)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JPS59223314A (ja) 異染性複合ポリエステル繊維
JPS6127484B2 (ko)
KR101314340B1 (ko) 핫 튜브 시스템 방식으로 심색성이 향상된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JP2591715B2 (ja) 異収縮混繊ポリエステル糸の製造方法
JP3103023B2 (ja) 複合ミシン糸の製造方法
KR100227161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339998B1 (ko) 폴리에스터 극세사의 제조방법
KR100522898B1 (ko) 폴리에스테르 다수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KR930000239B1 (ko) 이수축 혼섬 폴리에스터사의 제조방법
KR100216966B1 (ko) 부분연신공정에서 열처리에 의한 중공사의 제조방법
KR100232726B1 (ko) 폴리에스터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940005489B1 (ko) 이수축 혼섬사 직접 연신 제조법
JPS62141118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JPS58191211A (ja) 混繊糸の製造方法
KR910007618B1 (ko)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JP3531216B2 (ja) 紡糸直接延伸法によるポリエステル系繊維の製造方法
KR0134677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JPS61152815A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の製造方法
JPH07189058A (ja) 異染混繊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47803B2 (ko)
JPH0748746A (ja) ポリエステル杢調太細糸の製造方法
KR930000248B1 (ko) 폴리에스테르계 이수축 혼섬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