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0183A - 전원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0183A
KR20000040183A KR1019980055745A KR19980055745A KR20000040183A KR 20000040183 A KR20000040183 A KR 20000040183A KR 1019980055745 A KR1019980055745 A KR 1019980055745A KR 19980055745 A KR19980055745 A KR 19980055745A KR 20000040183 A KR20000040183 A KR 20000040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eciprocating
bracket
power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7243B1 (ko
Inventor
박근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243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61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or l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8Level sensing or limit switch

Abstract

서로 마주보고 오픈될 수 있도록 된 두 개의 여닫이 도어를 구비하는 기기의 전원 차단장치에 관하여 개시된다. 개시된 전원 차단장치는: 상기 기기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두 개의 왕복이동부재; 상기 도어 각각의 오픈/클로즈에 따라 상기 왕복이동부재 각각을 상호 독립적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부재 이동수단;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전원과 연결되는 하나의 스위치; 및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왕복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의 제1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스위치 작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가 오픈되더라도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전원을 차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하나의 스위치만으로 두 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오픈될 경우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원 차단장치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고 오픈될 수 있도록 된 두 개의 여닫이 도어를 구비하는 기기의 전원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스위치로서 두 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오픈되더라도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전원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인쇄기 및 기타 기기에 있어서는, 그 내부의 보수나 부품의 교체를 위하여 서로 마주보고 오픈될 수 있도록 된 두 개의 여닫이 도어를 구비하는 것이 많다.
도 1은 종래의 인쇄기에 마련된 여닫이 도어와 전원 차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인쇄기(100)는 그 내부에 감광벨트나 감광드럼과 같은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를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기와, 현상 장치 및 가열, 건조 장치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기(100)의 상부에는 그 내부 장치들의 보수나 교체를 위하여 또는 오작동으로 인해 장치내에 끼워진 기록지 등을 분리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보고 오픈될 수 있도록 된 두 개의 여닫이 도어(111, 1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쇄기(100)에는 급지장치(120)와 배지장치(130) 등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인쇄기(100)는 그 내부에 고전압이 인가되므로, 상기 도어(111, 112)를 오픈할 때에는 안전을 위하여 전원을 차단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전원 차단장치가 마련된다. 종래의 전원 차단장치는 상기 두 개의 도어(111, 112) 각각의 오픈 동작에 의해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두 개의 스위치(141, 142)를 구비하고 있으며, 어느 하나의 도어(111, 112)가 오픈되더라도 전원을 차단시키고, 두 개의 도어(111, 112) 모두가 클로즈되어야 전원을 연결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원 차단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도어(111, 112)에 대응하여 두 개의 스위치(141, 142)를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스위치(141, 142)와 전원을 연결하는 고압용 전선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전압의 강하 및 노이즈가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상술한 인쇄기(100)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기타 기기에도 동일하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스위치만으로 두 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오픈될 경우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전원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쇄기에 마련된 여닫이 도어와 전원 차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원 차단장치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를 인쇄기에 채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핀 간섭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은 두 개의 도어가 모두 클로즈 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어느 하나의 도어를 오픈할 때, 도 9는 두 개의 도어를 모두 오픈할 때, 도 10은 어느 하나의 도어를 클로즈시킬 때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112...도어 200...전원 차단장치
210...브라켓 211...가이드 핀
212...핀 이동 슬롯 214...힌지결합 핀
217...스위치결합 핀 220...제1 왕복이동부재
230...제2 왕복이동부재 221,231...가이드 슬롯
222...제1 링크핀삽입 슬롯 232...제2 링크핀삽입 슬롯
241...제1 이동 핀 242...제1 스프링
251...제2 이동 핀 252...제2 스프링
260...제1 회동부재 270...제2 회동부재
261,271...힌지결합 홀 262...제1 링크 핀
272...제2 링크 핀 280...스위치작동부재
282...제3 스프링 290...스위치
291...스위치 몸체 292...스위칭 버턴
293...탄성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는: 서로 마주보고 오픈될 수 있도록 된 두 개의 여닫이 도어를 구비하는 기기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의 오픈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두 개의 왕복이동부재; 상기 도어 각각의 오픈/클로즈에 따라 상기 왕복이동부재 각각을 상호 독립적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부재 이동수단;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전원과 연결되는 하나의 스위치; 및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왕복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의 제1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스위치 작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가 오픈되더라도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전원을 차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왕복이동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왕복이동부재 각각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오픈될 때 상기 왕복이동부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과, 상기 왕복이동부재 각각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동 핀과, 상기 도어 각각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가 클로즈될 때 상기 이동 핀을 간섭하여 상기 왕복이동부재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핀 간섭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작동수단은, 상기 브라켓에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간섭하여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작동부재와, 상기 스위치작동부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작동부재를 제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3 스프링과, 상기 브라켓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중간부가 힌지 결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왕복이동부재 각각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왕복이동부재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그 회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작동부재를 간섭하여 제4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두 개의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스위치만으로 두 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오픈될 경우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원 차단장치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를 기준으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200)는 서로 마주보고 오픈될 수 있도록 된 두 개의 여닫이 도어를 구비하는 인쇄기 등 기타 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가 오픈되더라도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브라켓(210)과, 왕복이동부재(220, 230)와, 왕복이동부재 이동수단과, 스위치(290)와, 스위치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210)은 인쇄기 등 기타 기기의 도어 설치부에 고정 설치되며, 이를 위해 그 양단부에는 고정 스크루(미도시)가 체결되는 스크루체결 홀(218)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10)에는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200)의 각 구성품들이 설치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2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왕복이동부재(220, 23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두 개의 가이드 핀(211)과, 상기 스위치(290)가 결합되는 두 개의 스위치결합 핀(217)이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10)의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회동부재(260, 27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 핀(214)과, 후술하는 스위치작동부재(280)가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재(215)가 돌출 설치된다.
상기 왕복이동부재(220, 230)는 상기 브라켓(210)에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호 독립적으로 왕복이동하는 제1 왕복이동부재(220)와 제2 왕복이동부재(230)의 두 개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와 제2 왕복이동부재(230)에는 상기 가이드 핀(211)이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221, 231)이 각각 두 개씩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와 제2 왕복이동부재(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10)의 일측면 상에 적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왕복이동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도어 각각의 오픈/클로즈에 따라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와 제2 왕복이동부재(230)를 상호 독립적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두 개의 스프링(242, 252)과 두 개의 이동 핀(241, 251)과 핀 간섭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242, 252)은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와 상기 브라켓(210)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프링(242)과, 상기 제2 왕복이동부재(230)와 상기 브라켓(210)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프링(252)의 두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프링(242)은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의 일측에 돌출된 제1 스프링결합 돌기(243)와 상기 브라켓(210)의 일측 모서리 부위에 마련된 제1 스프링결합 홀(244)에 그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를 제1 방향(도 2에 표시된 A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프링(242)은 상기 제2 왕복이동부재(230)의 일측에 돌출된 제2 스프링결합 돌기(253)와 상기 브라켓(210)의 일측 모서리 부위에 마련된 제2 스프링결합 홀(254)에 그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2 왕복이동부재(230)를 제1 방향(A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이동 핀(241, 251)은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이동 핀(241)과 상기 제2 왕복이동부재(23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 이동 핀(251)의 두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이동 핀(241)과 제2 이동핀(251)은 상호 소정 거리 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10)에는 상기 제1 이동 핀(241)과 제2 이동 핀(251)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핀 이동 슬롯(212)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동 핀(241)과 제2 이동 핀(251)은 상기 핀 이동 슬롯(212)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210)의 배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핀 간섭수단은 상기 도어 각각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가 클로즈될 때 상기 제1 이동 핀(241)과 제2 이동 핀(251)을 각각 간섭하여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와 제2 왕복이동부재(230)를 제2 방향(A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를 인쇄기에 채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핀 간섭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차단장치(200)는 인쇄기(100)의 도어(111, 112)가 설치되는 부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 이동 핀(241)과 제2 이동 핀(251)만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핀 간섭수단으로서 상기 도어(111, 112)의 내측면에는 간섭 홈(245, 255)이 각각 마련된다. 상기 간섭 홈(245, 255)은 상기 이동 핀(241, 251)과 접촉하는 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도어(111, 112)가 클로즈 될 때, 상기 경사면이 상기 이동 핀(241, 251)을 간섭하여 제2 방향(A2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와 제2 왕복이동부재(230)도 제2 방향(A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은 상기 핀 간섭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어(111, 112)의 내측면 각각에 상술한 간섭 홈(245, 255) 대신에 상기 이동 핀(241, 251)과 접촉하는 면이 경사면으로 된 간섭 돌기(246, 256)가 마련된다. 상기 간섭 돌기(246, 256)의 역할은 상술한 간섭 홈(245, 255)과 동일하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290)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210)에 하나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290)는 전원을 연결하는 접점부가 내장된 스위치 몸체(291)와, 스위칭 버턴(292)과, 탄성부재(293)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 몸체(291)에는 결합핀 삽입홀(294)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핀 삽입홀(294)에 상기 브라켓(210)에 설치된 스위치결합 핀(217)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위치 몸체(291)는 상기 브라켓(210)의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스위칭 버턴(292)은 상기 스위치 몸체(291)의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293)는 판 형상을 가지며, 그 일단부는 상기 스위치 몸체(291)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중간부는 상기 스위칭 버턴(292)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 작동수단은 상기 브라켓(210)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왕복이동부재(220, 230)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290)를 온/오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두 개의 왕복이동부재(220, 230) 중 어느 하나의 제1 방향(A1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290)를 오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스위치 작동수단은 스위치작동부재(280)와 제3 스프링(도 4의 282)과 두 개의 회동부재(260, 270)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작동부재(280)는 상기 브라켓(210)에 설치된 결합부재(215)에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290)의 탄성부재(293)를 간섭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작동부재(280)의 저면에는 제3 스프링결합 돌기(281)가 마련되고, 상기 제3 스프링결합 돌기(281)는 상기 브라켓(210)에 마련된 돌기삽입 홈(216)에 삽입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10)의 배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3 스프링(282)은 상기 스위치작동부재(280)의 저면에 마련된 제3 스프링결합 돌기(281)와 상기 브라켓(210)의 저면에 마련된 제4 스프링결합 돌기(219)에 그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작동부재(280)를 제3 방향(B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스프링(282)의 탄성력은 상기 스위치(290)에 설치된 탄성부재(293)의 탄성력보다는 크고, 상기 왕복이동부재(220, 230)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스프링(242)과 제2 스프링(252)의 탄성력보다는 작아야 한다.
상기 회동부재(260, 270)는 상기 브라켓(210)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1 회동부재(260)와 상기 제2 왕복이동부재(230)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2 회동부재(270)의 두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회동부재(260)와 제2 회동부재(270)는 그 중간 부위에 힌지결합 홀(261, 271)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결합 홀(261, 271)에는 상기 브라켓(210)에 설치된 상기 힌지결합 핀(214)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동부재(260)와 제2 회동부재(2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10)의 일측면 상에 적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회동부재(260)의 일단부에는 제1 링크 핀(262)이 설치되며, 상기 제1 링크 핀(262)은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 링크핀삽입 슬롯(22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회동부재(270)의 일단부에는 제2 링크 핀(272)이 설치되며, 상기 제2 링크 핀(272)는 상기 제2 왕복이동부재(230)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2 링크핀삽입 슬롯(23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회동부재(260)와 제2 회동부재(270)는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와 제2 왕복이동부재(230) 각각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회동부재(260)와 제2 회동부재(270)의 타단부는 그 회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작동부재(280)를 간섭하여 제4 방향(B2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11, 112) 중 어느 하나가 오픈되어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와 제2 왕복이동부재(230) 중 어느 하나가 제1 방향(A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 회동부재(260)와 제2 회동부재(270) 중 어느 하나가 회동하게 되므로, 그 타단부가 상기 스위치작동부재(280)를 간섭하여 제4 방향(B2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은 두 개의 도어가 모두 클로즈 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어느 하나의 도어를 오픈할 때, 도 9는 두 개의 도어를 모두 오픈할 때, 도 10은 어느 하나의 도어를 클로즈시킬 때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며 두 개의 도어(111, 112)가 모두 클로즈 된 상태를 설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간섭 돌기(246, 256)가 상기 제1 이동 핀(241)과 제2 이동 핀(251)을 간섭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와 제2 왕복이동부재(230)는 제2 방향(A2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제1 회동부재(260)와 제2 회동부재(27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작동부재(280)는 상기 제3 스프링(도4의 282 참조)의 탄성력에 의해 제3 방향(B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위치(290)의 탄성부재(293)를 간섭하게 되므로, 상기 스위칭 버턴(293)이 눌려지게 되어 상기 스위치(290)는 온(ON) 상태로 된다.
다음에는 도 8을 참조하며 어느 하나의 도어, 예컨데 좌측의 도어(112)를 오픈할 때의 작동을 설명한다. 좌측의 도어(112)를 오픈하면, 상기 제2 이동 핀(251)은 상기 간섭 돌기(256)의 간섭으로부터 해제되므로 상기 제2 왕복이동부재(230)는 상기 제2 스프링(252)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방향(A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왕복이동부재(230)의 일단부와 연결된 제2 회동부재(270)는 상기 힌지결합 핀(214)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회동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스위치작동부재(280)를 간섭하여 제4 방향(B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290)의 탄성부재(293)는 상기 스위치작동부재(280)의 간섭으로부터 해제되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상기 스위칭 버턴(292)이 돌출되어 스위치(290)는 오프(OFF)된다. 한편, 우측 도어(111)는 클로즈된 상태이므로, 제1 왕복이동부재(220)의 이동은 일어나지 않고, 제1 회동부재(260)의 회동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작동은 좌측 도어(112)가 클로즈 상태이고 우측 도어(111)가 오픈될 때에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도어(111, 112) 중 어느 하나만 오픈되어도 상기 스위치(290)는 오프(OFF)되므로 전원이 차단된다.
다음에는 도 9를 참조하며 두 개의 도어(111, 112)를 모두 오픈할 때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측 및 좌측의 도어(111, 112)를 모두 오픈하면, 상기 제1 이동 핀(241)과 제2 이동핀(251) 모두 상기 간섭 돌기(246, 256)의 간섭으로부터 해제되므로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과 제2 왕복이동부재(230)는 각각 상기 제1 스프링(242)과 제2 스프링(252)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방향(A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회동부재(260)와 제2 회동부재(270) 모두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스위치작동부재(280)를 간섭하여 제4 방향(B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290)의 탄성부재(293)는 상기 스위치작동부재(280)의 간섭으로부터 해제되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상기 스위칭 버턴(292)이 돌출되어 스위치(290)는 오프(OFF)되므로 전원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도어(111, 112) 모두 오픈되어도 앞서 설명한 하나의 도어가 오픈될 때와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0을 참조하며 어느 하나의 도어, 예컨데 좌측의 도어(112)를 클로즈시킬 때의 작동을 설명한다. 두 개의 도어(111, 112)가 모두 오픈된 상태에서 좌측의 도어(112)만 클로즈시키면, 상기 제2 이동 핀(251)은 상기 간섭 돌기(256)에 의해 간섭되므로 상기 제2 왕복이동부재(230)는 상기 제2 스프링(25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제2 방향(A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회동부재(27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그 타단부는 상기 스위치작동부재(280)를 더 이상 간섭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이때에는 상기 제1 왕복이동부재(220)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제1 회동부재(26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작동부재(280)는 여전히 상기 제1 회동부재(260)에 의해 간섭되어 제4 방향(B2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도어(111, 112) 중 어느 하나만 클로즈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290)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앞서 설명한 도 7에서와 같이 두 개의 도어가 모두 클로즈되어야 상기 스위치(290)는 전원을 연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는 하나의 스위치만으로 두 개의 도어의 오픈/클로즈에 따른 전원의 연결 및 차단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두 개의 스위치를 사용함으로 인한 전원 전압의 강하 및 노이즈 발생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는 서로 마주보고 오픈될 수 있도록 된 두 개의 여닫이 도어를 구비하는 인쇄기 등 기타 기기에 사용된다. 상기 전원 차단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스위치만으로 두 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오픈될 경우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두 개의 도어가 모두 클로즈 된 때에 전원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스위치를 사용함으로 인한 전원 전압의 강하 및 노이즈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서로 마주보고 오픈될 수 있도록 된 두 개의 여닫이 도어를 구비하는 기기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의 오픈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두 개의 왕복이동부재;
    상기 도어 각각의 오픈/클로즈에 따라 상기 왕복이동부재 각각을 상호 독립적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부재 이동수단;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전원과 연결되는 하나의 스위치; 및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왕복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의 제1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스위치 작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가 오픈되더라도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전원을 차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왕복이동부재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 하는 두 개의 가이드 핀이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되고, 상기 왕복이동부재 각각에는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이 마련되며, 상기 왕복이동부재는 두 개가 상기 브라켓 상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왕복이동부재 각각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오픈될 때 상기 왕복이동부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
    상기 왕복이동부재 각각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동 핀;
    상기 도어 각각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가 클로즈될 때 상기 이동 핀을 간섭하여 상기 왕복이동부재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핀 간섭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 간섭수단은,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이동 핀과 접촉하는 면이 경사면으로 된 돌기나 홈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전원을 연결하는 접점부가 내장된 스위치 몸체와, 상기 스위치 몸체의 일측면에 돌출된 스위칭 버턴과, 상기 스위치 몸체의 일측면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고 중간부는 상기 스위칭 버턴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된 판 형상의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위치 작동수단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가 간섭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스위칭 버턴을 가압하여 상기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스위치 작동수단의 간섭이 없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 됨으로써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작동수단은,
    상기 브라켓에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간섭하여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작동부재;
    상기 스위치작동부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작동부재를 제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3 스프링; 및
    상기 브라켓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중간부가 힌지 결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왕복이동부재 각각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왕복이동부재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그 회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작동부재를 간섭하여 제4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두 개의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장치는 인쇄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장치.
KR1019980055745A 1998-12-17 1998-12-17 전원 차단장치 KR100327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745A KR100327243B1 (ko) 1998-12-17 1998-12-17 전원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745A KR100327243B1 (ko) 1998-12-17 1998-12-17 전원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183A true KR20000040183A (ko) 2000-07-05
KR100327243B1 KR100327243B1 (ko) 2002-04-17

Family

ID=1956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745A KR100327243B1 (ko) 1998-12-17 1998-12-17 전원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2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736B1 (ko) * 2002-08-24 200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 전원차단장치
KR100766304B1 (ko) * 2006-04-11 2007-10-11 김주일 도어 오픈시 전원공급 차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2221U (ja) * 1983-08-30 1985-03-25 スズキ株式会社 電源遮断装置
KR910009567Y1 (ko) * 1989-06-23 1991-12-13 광건진흥 주식회사 조립식 천정판넬 고정장치
JPH0613347U (ja) * 1992-07-13 1994-02-18 東芝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源遮断装置
JPH0660770A (ja) * 1992-08-10 1994-03-04 Nec Corp 電源切断装置
KR950002685Y1 (ko) * 1992-09-05 1995-04-13 이용규 개폐기의 전원차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736B1 (ko) * 2002-08-24 200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 전원차단장치
KR100766304B1 (ko) * 2006-04-11 2007-10-11 김주일 도어 오픈시 전원공급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7243B1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1099Y1 (ko) 휴대용 전화기의 버튼커버 개페장치
KR100346893B1 (ko) 힌지 장치
KR19990088051A (ko) 전기절환장치
JP2001184988A (ja) 安全スイ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
KR100327243B1 (ko) 전원 차단장치
US4712079A (en) Motor controller auxiliary contact unit with flexure member
CA1229243A (en) Timer drive mechanism
KR200266868Y1 (ko) 전원 차단장치
KR920020552A (ko) 부가모듀울이 앞면에 장착된 전기기계 스위치장치
US5296663A (en) Electric switch
US3489874A (en) Control switch for an electric dry razor
JP3081541B2 (ja) 安全スイッチ
JP3249920B2 (ja) 安全スイッチ
WO2020008640A1 (ja) 遮断器
US2761030A (en) Snap action switch
JPH09167536A (ja) 電子機器のインターロックスイッチ
KR93000731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100791522B1 (ko) 멀티 토오크 힌지장치
KR970004675B1 (ko) 전자렌지의 업/다운식 도어개폐 감지장치
KR0170836B1 (ko) 헤드폰 카세트의 도어 개폐장치
KR200182293Y1 (ko)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
KR910000628Y1 (ko)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 스위치 개폐장치
KR970004887Y1 (ko) 스위치장치
EP0961304B1 (en) Disconnector with electrical contact having twin-knife insertion coupling with reduced wear of the electrical contact
KR19990018746U (ko) 전자레인지의 도어스위치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