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887Y1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887Y1
KR970004887Y1 KR2019940011147U KR19940011147U KR970004887Y1 KR 970004887 Y1 KR970004887 Y1 KR 970004887Y1 KR 2019940011147 U KR2019940011147 U KR 2019940011147U KR 19940011147 U KR19940011147 U KR 19940011147U KR 970004887 Y1 KR970004887 Y1 KR 970004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switch device
terminal
contact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1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306U (ko
Inventor
오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이종수 filed Critical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1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887Y1/ko
Publication of KR9500343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3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8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01H21/40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 H01H21/42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produced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스위치장치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1도는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4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0a, 10b : 고정단자
12 : 가동단자 12a, 12b : 가동접점
16 : 조작레버 15b : 지지축
16c : 작동돌기
본 고안은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성력을 갖는 가동접편의 작동에 의해 조작이 용이하고 작동이 확실하며, 오작동의 발생을 최소화 하도록 된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고정단자(1a), (1b)가 부착됨과 동시에 일측에는 힌지구멍(1c)을 형성시킨 베이스(1)내에는 상기 고정단자(1a), (1b)와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가동접점(2a), (2b)을 형성시킨 가동접편(2)이 안착되어 있고, 상기 가동접편(2)의 상측에는 덮개부재(3)를 개재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조작부(4a)를 갖는 조작레버(4)가 상기 덮개부재(3) 및 가동접편(2)을 관통하여 힌지구멍(1c)내에 힌지결합되어진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작레버(4)가 대략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4)를 일측으로 회동시키면 고정단자(1a)와 가동점(2a) 및 고정단자(1b)와 가동접점(2b)가 서로 밀착되어 접촉됨으로서 전원의 인가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장치는 조작시에는 고정단자와 가동접편의 가동접점이 반복적으로 마찰이 이루어 짐으로써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모분에 의해 장시간 사용시에는 접촉불량으로 오작동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조작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동이 확실하고 조작이 용이하며 오작동의 발생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킨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장치는 베이스내에 세워설치된 한쌍의 고정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이탈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단자와, 상기 가동단자를 지지하는 지지축 및 상기 가동접점을 선택적으로 회동시키는 작동돌기를 갖는 조작레버로 이루어져 조작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증대되며 오작동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더욱 향상된 신뢰성을 갖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4도 내지 제6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부호(10)은 베이스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10)내에는 한쌍의 고정단자(10a), (10b)가 세워 설치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힌지구멍(1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한쌍의 가동접점(12a), (12b)을 가지고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단자(12)를 개재하여 덮개부재(14)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덮개부재(14)에는 다수의 관통공(14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측에는 상기 관통공(14a)내로 관통되어 힌지구멍(10c)내에 삽입설치되는 힌지축(16a)을 저면에 돌출형성시키고 조작레버(16)가 안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16a)의 일측에는 상기 가동단자(1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지하는 지지축(16b)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조작레버(16)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어 가동접점(12b)이 고정단자(10b)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이탈되도록 하는 작동돌기(16c)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8은 상기 조작레버(16)를 회동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16)가 대략 중앙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부(18)를 조작하여 조작레버(16)를 회동시킨다. 이때 작동돌기(16c)는 가동단자(12)의 가동접점(12b)을 고정단자(10b)에서 이탈시킨 상태가 되어 전원은 인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작레버(16)가 소정각도로 회동되면 가동접점(12b)이 탄성력에 의해 고정단자(10b)에 접촉됨으로서 고정단자(10a) 및 가동접점(12a)과 함께 접촉이 이루어져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이 인가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단자와 가동단자의 접촉이 마찰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고 선접촉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와 같이 마모분 등이 발생되지 않게되어 장시간 사용하여도 마모분에 의한 접촉불량등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조작성이 현저히 향상됨과 동시에 내구성이 증대되어 더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이점을 갖는다.

Claims (2)

  1. 베이스(10)내에 세워 설치된 한쌍의 고정단자(10a), (10b)와,
    상기 고정단자(12), (12b)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이탈되지 가동접점(12a), (12b)을 갖는 가동단자(12)와, 상기 가동단자(12)를 지지하는 지지축(16b) 및 상기 가동접점(12b)을 선택적으로 회동시키는 작동돌기(16c)를 갖는 조작레버(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12)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KR2019940011147U 1994-05-19 1994-05-19 스위치장치 KR970004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147U KR970004887Y1 (ko) 1994-05-19 1994-05-19 스위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147U KR970004887Y1 (ko) 1994-05-19 1994-05-19 스위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06U KR950034306U (ko) 1995-12-18
KR970004887Y1 true KR970004887Y1 (ko) 1997-05-21

Family

ID=1938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1147U KR970004887Y1 (ko) 1994-05-19 1994-05-19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8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45Y1 (ko) * 2010-04-08 2012-04-04 김형돈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45Y1 (ko) * 2010-04-08 2012-04-04 김형돈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06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25398A (ko) 플렉시블기판용 전기 커넥터
KR960009280A (ko)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4220835A (en) Electrical switch construction
KR960012070A (ko) 시소스위치
KR960037392A (ko) 차량용 레버스위치의 구조
KR970004887Y1 (ko) 스위치장치
KR950020827A (ko) 조종간식스위치
US4920238A (en) Self-centering switch
GB2305009A (en) Lever switch
JPH113628A (ja) キースイッチおよびキーボード
CA1073020A (en) Switch mechanism for an electronic timepiece
JPH0323625Y2 (ko)
KR930002783Y1 (ko) 음향기기의 녹음스위치 작동장치
JPS62295319A (ja) 押釦スイツチ装置
JP3721251B2 (ja) 多方向スイッチ
JPH0455395Y2 (ko)
JPH09259703A (ja) シーソースイッチ
KR970011867B1 (ko) 셔틀 스위치 장치
KR200192254Y1 (ko) 오락기에 사용하는 푸시버튼
KR970029941A (ko) 변환레버 스위치
JPH1050177A (ja) スイッチ機構
JPS634517A (ja) 電気スイッチ
KR19980049454U (ko) 힌지타입 버튼 스위치 장치
KR0131421Y1 (ko)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 이탈방지 구조
KR0146617B1 (ko) 전원공급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