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421Y1 -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 이탈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 이탈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421Y1
KR0131421Y1 KR2019960004497U KR19960004497U KR0131421Y1 KR 0131421 Y1 KR0131421 Y1 KR 0131421Y1 KR 2019960004497 U KR2019960004497 U KR 2019960004497U KR 19960004497 U KR19960004497 U KR 19960004497U KR 0131421 Y1 KR0131421 Y1 KR 0131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hook switch
hinge
protrusion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255U (ko
Inventor
변두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04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421Y1/ko
Publication of KR970056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2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4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04M1/08Hooks; Cradles associated with switche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receiver or hand-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 힌지용 플런저의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1)에 부착.고정되어 있는 플런저 고정리브(12)와, 이 플런저 고정리브(12)의 일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3)과, 이 삽입홈(13)에 끼워지는 힌지용 돌기(14)와, 이 힌지용 돌기(14)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눌려지는 플런저 몸체(15)와, 이 플런저 몸체(15)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후크스위치 작동돌기(16)와, 이 후크스위치 작동돌기(16)에 접촉되는 후크스위치(17)와, 이 후크스위치(17)의 일측에 형성되어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재(18)와, 상기 후크스위치(17) 하단에 형성된 회로기판(19)으로 구성된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에 만곡면(21a)이 구비된 이탈 방지돌기(21)를 형성하여 플런저(20)가 힌지용 돌기(14)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면서 회로기판(19)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플런저(20)를 눌렀을 때 본래 위치에서 플런저(20)가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의 이탈방지 구조
제1도는 종래의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 구조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의 이탈방지 구조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런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12 : 플런저 고정리브
13 : 삽입홈 14 : 힌지용 돌기
15 : 플런저 몸체 16 : 후크스위치 작동돌기
17 : 후크스위치 18 : 탄성재
19 : 회로기판 20 : 플런저
21 : 이탈 방지돌기 21a : 만곡면
본 고안은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의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런저를 눌렀을 때 본래 위치에서 플런저가 이탈되어 플런저의 역할을 못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의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의 이탈방지 구조는 첨부된 예시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 힌지용 플런저의 작동부를 살펴보면, 본체(11)에 부착.고정되어 있는 플런저 고정리브(12)와, 이 플런저 고정리브(12)의 일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3)와, 이 삽입홈(13)에 양측으로 끼워지는 힌지용 돌기(14)와, 이 힌지용 돌기(14)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눌려지는 플런저 몸체(15)와, 이 플런저 몸체(15)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후크스위치 작동돌기(16)와, 이 후크스위치 작동돌기(16)가 접촉되는 후크스위치(17)와, 이 후크스위치(17)의 일측에 형성되어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재(18)과, 상기 후크스위치(17) 하단으로 넓게 형성된 회로기판(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작동방법은 플런저 몸체(15)를 상측에서 누르면 힌지용 돌기(14)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플런저 몸체(15)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스위치 작동돌기(16)에 의해 후크스위치(17)를 작동시킬 시 플런저 고정리브(12)의 삽입홈(13) 양측으로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는 힌지용 돌기(14)가 탄성재(18)에 의한 진동이나 상기 삽입홈(13)에 형성되는 소정의 마모레 의해 본래의 위치에서 이탈되어 후크스위치(17)를 작동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플런저 몸체의 회전운동 중심점 하단부에 동심호 모양의 돌기를 형성하여 플런저 몸체가 회로기판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힌지용 돌기를 잡아주는 플런저 고정리브에서 플런저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 이탈방지를 위한 것으로, 본체에 부착.고정되어 있는 플런저 고정리브와, 이 플런저 고정리브 일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과, 이 삽입홈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힌지용 돌기와, 이 힌지용 돌기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눌려주는 플런저 몸체와, 이 플런저 몸체 하단부에 형성되는 후크스위치 작동돌기와, 이 후크스위치 작동돌기가 접촉되는 후크스위치와, 이 후크스위치의 일측에 형성되어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와, 상기 후크스위치 하단에 넓게 형성된 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전화기 힌지용 플런저에 힌지용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만곡면이 구비된 이탈 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의 이탈방지 구조 단면도인 바, 제1도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1도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구조는 본체(11)에 부착.고정되어 있는 플런저 고정리브(12)와, 이 플런저 고정리브(12)의 일단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홈(13)와, 이 삽입홈(13)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힌지용 돌기(14)와, 이 힌지용 돌기(14)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눌려지는 플런저 몸체(15)와, 이 플런저 몸체(15)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후크스위치 작동돌기(16)와, 이 후크스위치 작동돌기(16)에 접촉되는 후크스위치(17)와, 이 후크스위치(17)의 일측에 형성되어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재(18)와, 상기 후크스위치(17) 하단에 넓게 형성된 회로기판(19)과, 이 회로기판(19)에 접촉하게 되는 이탈 방지돌기(2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첨부된 예시도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몸체(15)를 하방으로 눌렀을 때 힌지용 돌기(14)를 중심으로 플런저(20)가 회전하여 후크스위치 작동돌기(16)가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스위치(17)를 눌러주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힌지용 돌기(14)의 양측을 플런저 고정리브(12)의 삽입홈(13)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는 플런저(20)가 후크스위치(17)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체(18)의 탄발력과, 상기 삽입홈(13)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마모로 인해서 힌지용 돌기(14)와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플런저(20) 자체가 아래측으로 이탈되려고 하는 바, 여기서 본 고안은 방지돌기(21)가 플런저(20)의 일측에 하방향으로 형성되면서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회로기판(19)과 미끄럼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힌지용 돌기(14)가 플런저 고정리브(12)의 삽입홈(13)으로 부터 이탈되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준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돌기(21)의 일측 단부는 둥글게 형성된 만곡면(21a)으로 되어 있어, 상기 플런저(20)의 상.하회동이 회로기판(19)으로 부터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이탈 방지돌기를 설치하여 플런저가 힌지용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면서 회로기판과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플런저를 눌렀을 때 본래 위치에서 플런저가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11)에 부착.고정되어 있는 플런저 고정리브(12)와, 이 플런저 고정리브(12)의 일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3)과, 이 삽입홈(13)에 끼워지는 힌지용 돌기(14)와, 이 힌지용 돌기(14)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눌려지는 플런저 몸체(15)와, 이 플런저 몸체(15)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후크스위치 작동돌기(16)와, 이 후크스위치 작동돌기(16)가 접촉되는 후크스위치(17)와, 이 후크스위치(17)의 일측에 형성되어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재(18)와, 상기 후크스위치(17) 하단에 넓게 형성된 회로기판(19)으로 구성된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 이탈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0) 일측 단부에 만곡면(21a)이 형성된 이탈 방지돌기(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의 이탈방지 구조.
KR2019960004497U 1996-03-11 1996-03-11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 이탈방지 구조 KR0131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497U KR0131421Y1 (ko) 1996-03-11 1996-03-11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 이탈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497U KR0131421Y1 (ko) 1996-03-11 1996-03-11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 이탈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255U KR970056255U (ko) 1997-10-13
KR0131421Y1 true KR0131421Y1 (ko) 1998-12-01

Family

ID=1945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497U KR0131421Y1 (ko) 1996-03-11 1996-03-11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 이탈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4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255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9280A (ko)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EP1026713A4 (en) PRESSURE AND ROTATION TYPE ELECTRONIC PARTS AND NETWORK TERMINAL MATERIAL COMPRISING SUCH ELECTRONIC PARTS
KR940025398A (ko) 플렉시블기판용 전기 커넥터
KR920006107Y1 (ko) Vcr용 이중 보턴장치
KR0131421Y1 (ko)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 이탈방지 구조
KR19980024051A (ko)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
KR0145879B1 (ko) 전화기의 버튼 커버 개폐장치
KR100801147B1 (ko) 휴대폰용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폴더 타입의 휴대폰
JPS62295319A (ja) 押釦スイツチ装置
KR100227332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플립 연결구조
JPS6222980Y2 (ko)
KR19980049454U (ko) 힌지타입 버튼 스위치 장치
JPH07211195A (ja) シーソー釦装置
KR0126177Y1 (ko) Tv 전원 버튼의 스프링 장착구조
US5752596A (en) Side operated key actuator
KR930004895Y1 (ko) 퍼스널 컴퓨터의 엘씨디 조립체 자동 개방장치
KR200316532Y1 (ko) 인쇄회로기판의착탈및전원온오프스위치겸용인/이젝터
KR0122859Y1 (ko) 액정표시 회전판 고정장치
KR910000914Y1 (ko) 3단 스위치 동작구분장치
KR100681680B1 (ko) 휴대폰의 플립스위치
KR200360198Y1 (ko) 푸쉬버튼키(pushbottonkey)의부주의한누름을방지하는장치
KR920008661Y1 (ko) 택트 스위치용 놉
KR200199758Y1 (ko) 이동성 이어피스부를 갖는 플립타입 휴대폰
KR860003675Y1 (ko) 전화기의 송수화갑 착탈장치
KR960010915B1 (ko)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 자동 오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