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198Y1 - 푸쉬버튼키(pushbottonkey)의부주의한누름을방지하는장치 - Google Patents
푸쉬버튼키(pushbottonkey)의부주의한누름을방지하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0198Y1 KR200360198Y1 KR2019980015334U KR19980015334U KR200360198Y1 KR 200360198 Y1 KR200360198 Y1 KR 200360198Y1 KR 2019980015334 U KR2019980015334 U KR 2019980015334U KR 19980015334 U KR19980015334 U KR 19980015334U KR 200360198 Y1 KR200360198 Y1 KR 20036019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ndrel
- protrusions
- bent
- keys
- artic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물품의 푸쉬버튼(push button)키들의 부주의한 누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상부덮개수단, 회전굴대수단, 및 선회축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덮개수단의 상부덮개판이 들어올려질 때, 회전굴대수단의 릴레이축의 두 굴곡돌출부들의 돌출부분들은 두 굴곡단부들의 돌출부분들에 단부구석들을 따라 배치되고, 따라서 릴레이축은 신축자재스프링을 누르고 횡방향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두 측면날개들은 단부챔버 속으로 뻗는 한편 단부날개들은 날개챔버속으로 뻗는다. 두 개의 굴곡돌출부들의 돌출부분들이 두 굴곡단부들의 돌출부분 위로 통과될 때, 굴곡돌출부들의 돌출부분이 지지력을 잃기 때문에, 위치되어질때까지 스프링의 탄력수단에 의해 단부구석들을 따라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덮개판은 푸쉬버튼키(push botton key)들의 누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적절한 각도로 자동적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Description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생활은 점점 편리해져 가고 있다. 대부분의 가정용전기제품들, 예를들면, 텔레비젼, 스테레오세트, 비디오레코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등은 원격조정기(리모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원격조정기에 있는 푸쉬버튼키들을 눌러서 해당하는 전기제품이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작동된다. 특히, 전화기, 이동전화기, 팩스기기 등과 같은 통신장비들은 대부분 푸쉬버튼키들에 의해 제어된다. 직접회로의 발전과 더불어, 전화번호부 또는 명함들을 통해 일일이 번호를 누르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전화기 및 팩시밀리기기등은 신속 다이얼링 및 반복기능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장비에 사전설정된 전화번호 또는 팩시밀리번호를 필요로 하고, 자동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키 또는 특정키들을 누를 수가 있다. 이것은 참으로 편리하고 시간을 절약한다.
그러나, 종종 전화 및 팩시밀리 번호들을 기억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만약 다른 키를 눌러서 사전설정된 다른 번호가 자동적으로 다이얼링 된다면, 시간낭비는 물론 전화 및 팩시밀리 이용비용이 증가된다. 팩스기기들에 대해서는 어린이들이 푸쉬버튼들로 장난을 칠 수 가 있고 자동다이얼링기능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또, 이동전화에 대해서는, 키에 조그마한 힘만 가하여도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손에 그것들을 휴대하고 있을 때 잘못된 키가 눌려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에 언급된 장비들의 푸쉬버튼키들의 부주의한 누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기존의 어떤 이동전화들에는 들어올리거나 슬라이딩 가능한 덮개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덮개는 푸쉬버튼을 사용하기 위하여 완전히 들어 올려져야만 하며, 또한 힌지나 상호협동하는 결합부재들에 의해 전화기 몸체의 기저부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일정기간동안 사용 후에는 전화기 몸체와 덮개 사이의 연결이 일정한 마찰에 기인하여 느슨하게 된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기존 이동전화기들은 들어올리거나 슬라이딩 가능한 덮개들을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며, 따라서 푸쉬버튼키들에 대한 부주의한 누름의 문제점이 그대로 남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비의 푸쉬버튼키들에 대한 부주의한 누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비-작동상태에 있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작동상태에 있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덮개수단 2 .......... 회전굴대수단
3 .......... 선회축연결수단 11 .......... 상부덮개굴대
12 .......... 상부덮개판 13 .......... 판틈새
14 .......... 좌굴대고리 15 .......... 우굴대고리
21 .......... 주축 22 .......... 우측굴대
24 .......... 릴레이축 25 .......... 좌측굴대
31 .......... 좌측연결부재 32 .......... 우측연결부재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설명될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히 이해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푸쉬버튼키들의 부주의한 누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부덮개수단(1), 회전굴대수단(2), 및 선회축연결수단(3)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부덮개수단(1)은 상부덮개굴대(11)와 상부덮개판(12)을 구비하고, 그것들 사이에는 판틈새(13)가 규정되어 있다. 이 판틈새(13)는 푸쉬버튼키의 높이에 일치한다. 상부덮개판(12)의 크기는 다수의 푸쉬버튼키들이 이 덮개판에 의해 감추어질 수 있는 면적에 일치한다. 상부덮개굴대(11)의 양측은 각각 좌굴대고리(14) 및 우굴대고리(15)를 형성하기 위하여 아랫방향으로 뻗어있다. 좌굴대고리(14)는 내부에 둥근 좌굴대구멍(141)을 형성하고 있고, 우굴대고리(15)는 회전굴대수단(2)의 관통및 수납을 위한 장타원형의 우굴대구멍(151)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회전굴대수단(2)은 기본적으로 소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우측굴대(22) 및 신축자재의 스프링(23)을 관통하고 또 릴레이축(24) 및 좌측굴대(25)를 관통하는 주축(21)을 포함한다. 우측굴대(22)에는 중앙에 주축(21)을 통과시키기 위한 우측굴대구멍(221)이 제공되고, 그 우측끝부분은 고착단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호맞물림을 위한 우굴대구멍(151)에 일치하는 우굴대촉(222)을 갖고 있다. 더우기, 우굴대촉(222)의 타측면의 전·후단부들은 각각 바깥측으로 뻗어 전면날개(223) 및 배면날개(224)를 형성하고, 그것들 사이에는 주축(21)의 통로는 물론 신축자재스프링(23)을 수납하기 위한 날개챔버(225)가 형성되어 있다. 릴레이축(24)의 중심에는 주축(21)의 통로를 위한 릴레이굴대구멍(241)이 제공된다. 또한, 릴레이축(24)은 우굴대촉(222)의 전면 및 배면날개들(223,224)과 교호관계로 배치된 상단 및 하단단날개들(242,243)을 구비하고 있고, 따라서 이 두 전면 및 배면날개들과 상단 및 하단날개들이 맞댐이음(butt joint)된 후 이론적으로 원통체를 형성한다. 단부챔버(244)는 신축자재스프링(23)을 수납하기 위하여 상단 및 하단날개들(242,243) 사이에 형성된다. 더욱이, 전면굴곡돌출부(245) 및 배면굴곡돌출부(246)는 좌측굴대(25)와 맞댈이음되기 위하여 상단 및 하단날개들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좌측굴대(25)의 중심에도 주축(21)의 통과를 위한 좌측굴대구멍(251)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굴대(25)는 내부방향으로 상부굴곡단부(252) 및 하부굴곡단부(253)를 구비하고, 이것들은 맞댐이음 될 수 있도록 전면 및 배면굴곡돌출부들(245,246)과 교호관계로 배열되어 있다. 부가하여,상부 및 하부굴곡단부들(252,253)의 타측면은 선회축연결수단(3)에 연결하기 위하여 좌굴대구멍(141)을 통하여 통과하는 장타원형의 좌굴대촉(254)을 구비하고 있다.
선회축연결수단(3)은, 만약 그것이 본 고안의 장치가 사용되는 물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라면, 좌측연결부재(31) 및 우측연결부재(32)를 포함한다. 좌측연결부재(31)의 중심에는 장타원형의 좌측연결구멍(311)이 가로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은 좌측날개판(312)을 형성하도록 뻗어 있다. 스크류들(33)은 물품의 일측단부에 좌측연결부재(31)를 고정하기 위하여 좌측날개판(312)의 좌측판구멍들(313)을 관통하도록 사용된다. 좌굴대촉(254)은 체결단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좌측연결구멍(311)에 삽입된다. 한편, 우측연결부재(32)의 중심에는 우굴대촉(222)을 수납하기 위한 둥근우측연결구멍(321)이 가로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연결부재(32)는 우측날개판(322)을 구비하고, 스크류들(33)은 물품의 타측단부에 우측연결부재(32)를 고정하기 위하여 우측날개판(322)의 우측판구멍들(323)을 통과하도록 사용된다. 상부덮개수단(1) 및 회전굴대수단(2)은 좌측 및 우측연결부재(31,32)사이에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부가적으로, 선회축연결수단(3)은 본 고안의 장치가 이용되는 물품에 일체로 구성되어져도 좋다. 좌측연결부재(31) 및 우측연결부재(32)는 각각 물품의 적절한 단부로부터 각각 뻗어 있다. 좌측연결부재(31)는 장타원형의 좌측연결구멍(311)을 구비하고 있는데 비하여 우측연결부재(32)는 둥근우측연결구멍(321)을 구비하고 있다. 두 개의 연결부재들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덮개수단(1)의 두 굴대고리들(14,15)에 있는 회전굴대수단(2)의 크기는 굴대고리들의 양단 사이의 거리에 일치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상부덮개수단(1) 및 회전굴대수단(2)이 두 연결부재들의 사이에 위치된 후, 정점굴대(341)를 갖는 플러그(34)가 전체 회전굴대수단(2)을 밀도록 우측연결구멍(321)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고, 그러므로 정점굴대(341)는 우측연결구멍(321)을 통해 우측굴대(22)의 우측굴대구멍(221) 속에 삽입되고 좌굴대촉(254)은 좌측연결구멍(311) 속에 끼워맞춤되어, 굴대고리들의 양단이 각각의 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푸쉬버튼키들의 사용이 요구될 때, 상부덮개판(12)이 최초로 가볍게 들어 올려진다. 이 때, 좌측굴대(25)의 좌굴대촉(254)은 좌측연결부재(31)의 좌측연결구멍(311)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정지된 상태로 그대로 있게 된다. 우측굴대(22)의 우굴대촉(222)은 우굴대구멍(151)과 맞닿고 또한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래서, 릴레이축(24)의 전면 및 배면굴곡돌출부들(245,246)은 상부 및 하부굴곡단부들(252,253)의 굴곡단부오목부들(255)을 따라 축회전하고, 또 릴레이축(24)이 신축자재스프링(23)에 대항하여 가압하도록 작용하며, 그러므로 측면날개들(223,224)은 단부챔버(244)속으로 뻗는데 비하여 단부날개들(242,243)은 우측굴대(22)의 날개챔버(225)속으로 뻗는다. 따라서, 방사상 변위를 형성한다. 그리고, 전면 및 배면굴곡돌출부들(245,246)의 단부들이 상부 및 하부굴곡단부들(252,253)의 단부들 위를 지날 때, 굴곡돌출부들(245,246) 사이에 굴곡오목부들(247)이 있고 또한 굴곡단부들(252,253) 사이에 굴곡단부오목부들(255)이 있기 때문에, 전면 및 배면굴곡돌출부들(245,246)은 그것의 지지를 잃게될 것이고, 신축자재스프링(23)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재빨리 상부 및 하부굴곡단부들(252,253) 사이의 단부구석들(255)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굴곡단부들(252,25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각(高角)으로 상부덮개판(12)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전면 및 배면 굴곡돌출부들(245,246) 사이에 있는 굴곡구석들(247) 속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 시점에서, 이용자는 키들의 푸쉬동작을 할 수 가 있다.
키들을 덮기 위하여, 직접 상부덮개판(12)을 반대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이 필요하며, 따라서, 전면 및 배면 굴곡돌출부들(245,246)은 상부 및 하부굴곡단부들(252,253) 위로 지나가고, 신축자재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해 굴곡돌출부들 및 굴곡단부들은 단부오목부들(255) 및 굴곡오목부들(247)에 위치된다. 도 3은 키들을 덮고 있는 덮개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연질재료(16)가 키들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판틈새(13)에 부착되어져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푸쉬버튼키들의 부주의한 누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키들을 먼지나 액체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가 있으므로, 키들의 서비스 수명을 확실히 보장할 수 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실시예에 기술적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한 청구범위의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 물품의 푸쉬버튼키들의 부주의한 누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둥근 좌굴대구멍을 갖는 좌굴대고리와 장타원형 우굴대구멍을 갖는 우굴대고리를 가지는 상부덮개굴대, 및 물품의 푸쉬버튼키들을 덮는 상부덮개판의 부분에서 판틈새를 규정하도록 상기 상부덮개굴대와 연결된 상부덮개판을 구비한 상부덮개수단;장타원형 우굴대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우굴대고리와 함께 회전하는 우굴대촉, 및 날개챔버를 그것들 간에 규정하는 두 개의 측면날개들을 가지는 우측굴대; 릴레이축의 한 끝부분이, 상기 두 개의 측면날개들 사이에서 연장되며 단부챔버를 두 개의 단부날개들 간에 규정하는 대향하는 두 개의 단부날개들을 가지고, 릴레이축의 반대측 끝부분이, 두 개의 굴곡오목부들을 그것들 간에 규정하는 대향하는 두 개의 굴곡돌출부들을 가지는 릴레이축; 좌측굴대의 한 끝부분이, 상기 두 개의 굴곡돌출부들과 교호관계로 위치되며 그것들 간에 두 개의 굴곡단부오목부들을 규정하는 두 개의 굴곡단부들을 가지고, 좌측굴대의 반대측 끝부분이, 상기 좌굴대구멍을 통과하여 좌굴대고리로부터 돌출한 장타원형 좌굴대촉을 가지는 좌측굴대; 상기 날개챔버 및 상기 단부챔버 내에 위치되며 굴곡돌출부들이 좌측굴대의 굴곡단부들에 맞물리게끔 굴곡돌출부들을 치우쳐 있게 하기 위해 상기 릴레이축에 작용하는 스프링; 및 상기 우측굴대, 상기 릴레이축 및 상기 좌측굴대를 관통하는 주축을 구비한 회전굴대수단; 및푸쉬버튼키들을 갖는 물품의 끝부분에 고정된 좌측연결부재 및 우측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연결부재는 상기 좌굴대촉을 수납하는 장타원형 좌측연결구멍을 구비하여 좌측연결부재와 좌측굴대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우측연결부재는 상기 우굴대촉을 수납하여 위치를 정하게 하는 둥근 우측연결구멍을 가지는 선회축연결수단을 포함하여,골곡돌출부들과 굴곡단부들의 맞물림은 상부덮개수단을 두 위치들 중의 한 위치로 유지하며, 상기 두 위치들 중에서, 제1위치는 상부덮개수단이 푸쉬버튼키들을 덮어 푸쉬버튼키들의 부주의한 누름을 방지하는 위치이고, 제2위치는 상부덮개수단이 푸쉬버튼키들로부터 멀어지도록 변위되어 상기 푸쉬버튼키들에의 접근을 허용하는 위치인 물품의 푸쉬버튼키들의 부주의한 누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날개들 및 상기 단부날개들은 그것들이 맞물릴 때 우측굴대와 릴레이축의 결합물이 원통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물품의 푸쉬버튼키들의 부주의한 누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돌출부들 및 상기 굴곡단부들은 그것들이 맞물릴 때 좌측굴대와 릴레이축의 결합물이 원통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물품의 푸쉬버튼키들의 부주의한 누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축연결수단의 상기 좌측 및 우측연결부재들은 푸쉬버튼키들을 갖는 물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좌측 및 우측연결부재들은 이것들을 물품에 부착하기 위해 스크류들을 통과시키는 구멍들을 구비한 좌측 및 우측 날개판들을 각각 구비하는 물품의 푸쉬버튼키들의 부주의한 누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연결부재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우측굴대와 맞물리는 정점굴대를 갖는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물품의 푸쉬버튼키들의 부주의한 누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5334U KR200360198Y1 (ko) | 1998-08-14 | 1998-08-14 | 푸쉬버튼키(pushbottonkey)의부주의한누름을방지하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5334U KR200360198Y1 (ko) | 1998-08-14 | 1998-08-14 | 푸쉬버튼키(pushbottonkey)의부주의한누름을방지하는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4775U KR20000004775U (ko) | 2000-03-15 |
KR200360198Y1 true KR200360198Y1 (ko) | 2004-11-17 |
Family
ID=4943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5334U KR200360198Y1 (ko) | 1998-08-14 | 1998-08-14 | 푸쉬버튼키(pushbottonkey)의부주의한누름을방지하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0198Y1 (ko) |
-
1998
- 1998-08-14 KR KR2019980015334U patent/KR20036019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4775U (ko) | 2000-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718265B2 (ja) | 複数の係止位置を有する係止ヒンジ装置 | |
CA2051442C (en) | Portable telephone | |
KR100346893B1 (ko) | 힌지 장치 | |
US20100050384A1 (en) |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20020035752A (ko) | 전환 장치 | |
US20100050382A1 (en) |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US5996179A (en) | Device for preventing inadvertent pressing of push button keys | |
KR200360198Y1 (ko) | 푸쉬버튼키(pushbottonkey)의부주의한누름을방지하는장치 | |
JP3889393B2 (ja) | 携帯用端末機のヒンジ装置 | |
KR19980065142A (ko) | 힌지 장치 | |
GB2355043A (en) | Hinge for a mobile phone | |
JP3634002B2 (ja) | 携帯端末装置の置き台 | |
KR200344449Y1 (ko) | 휴대폰의플립형커버개폐구조 | |
KR100834667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양방향 키 | |
KR100575739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 |
CN217847753U (zh) | 一种防误触的轻触开关 | |
KR200253350Y1 (ko) | 플립형 필통 | |
KR200187928Y1 (ko) |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홀더 | |
KR100597492B1 (ko) | 사선 방향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192860Y1 (ko) | 휴대용 전화기의 힌지 조립 구조 | |
JP3057048U (ja) | プッシュボタン誤触防止装置 | |
JPH035940Y2 (ko) | ||
KR200179806Y1 (ko) | 휴대폰용 안테나 및 플립개방장치 | |
KR200266282Y1 (ko) |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결합장치 | |
KR200199758Y1 (ko) | 이동성 이어피스부를 갖는 플립타입 휴대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