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752A -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752A
KR20020035752A KR1020010068663A KR20010068663A KR20020035752A KR 20020035752 A KR20020035752 A KR 20020035752A KR 1020010068663 A KR1020010068663 A KR 1020010068663A KR 20010068663 A KR20010068663 A KR 20010068663A KR 20020035752 A KR20020035752 A KR 20020035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button
dial
frame
switching device
butt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1925B1 (ko
Inventor
사와다마사키
요리츠네야스히로
모리니시유스케
스즈끼히로히또
하세가와토모노리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모리시타 요오이치
마쯔시타 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모리시타 요오이치, 마쯔시타 전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35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1H2019/146Roller type actu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하나의 엑추에이터와 그 하나의 엑추에이터의 양측면으로부터 서로 분리되어 배열된 두개의 엑추에이터를 가진 조작성이 높은 전환장치(11) 있어서, 상기 중앙 엑추에이터는 기본판의 한 쌍의 축베어링(26)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눌려지게 지지된 원통형 다이얼(23)이며, 상기 중앙 엑추에이터를 지지하는 기본판(25)은 프레임(22)에 꼭 맞게 장착되며, 각각의 상기 외부 엑추에이터는 세 개의 엑추에이터가 배열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그 조작면(35)이 눌려지는 방향에 직교하는 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됨으로써, 상기 외부 엑추에이터가 회전될 때 프레임(22)에 배열된 접점(30)을 누르며, 각각의 상기 외부 엑추에이터는 정면에서 볼 때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다이얼의 측면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된 피지지대(34)를 갖고, 상기 피지지대(34)의 말단에서 상기 프레임(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상기 중앙 엑추에이터의 축베어링를 가로지르는 중심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장치를 가진다.

Description

전환 장치{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전환장치의 조작(操作)성을 향상시키는 기술과 몸체 표면 상단부에 세개의 엑추에이터(Actuator)를 배열하는 전환장치에 관계된다.
휴대전화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장치는 다수의 기능 선택을 위한 전환장치인 조그 다이얼(Jog Dial)을 사용하였다.
또한, 조그 다이얼(Jog Dial)을 가진 전환장치와 조그 다이얼(Jog Dial)의양쪽 측면에 분리되어 배치된 두개의 누름단추가 제안되었다. 두 개의 누름단추는 조그 다이얼(Jog Dial)에 의해 선택되어 설정하고, 하나의 요구하는 선택을 실행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하는 기술의 조그 다이얼(Jog Dial)과 배열된 두개의 누름단추는 불편한 조작성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조그 다이얼(Jog Dial)과 두 개의 누름단추 스위치는 보통 같은 손가락(예를들면, 엄지)에의해 조작된다. 그러나, 조그 다이얼(Jog Dial)과 누름단추 스위치는 조그 다이얼(Jog Dial)로부터 누름단추까지 손가락을 편히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되거나, 구성되지 못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엑추에이터(Actuator)와 다른 두개의 엑추에이터 (Actuator)가 양측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향상된 조작성을 지닌 전환장치를 제공함이다.
하나의 중앙 엑추에이터와 그 양측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열된 두 개의 외부 엑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엑추에이터는 기본판의 한 쌍의 축베어링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눌려지게 지지된 원통형 다이얼이며, 상기 중앙 엑추에이터를 지지하는 기본판은 프레임에 꼭 맞게 장착되며, 각각의 상기 외부 엑추에이터는 세 개의 엑추에이터가 배열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그 조작면이 눌려지는 방향에 직교하는 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됨으로써, 상기 외부 엑추에이터가 회전될 때 프레임에 배열된 접점을 누르며, 각각의 상기 외부 엑추에이터는 정면에서 볼 때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다이얼의 측면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된 피지지대를 갖고, 상기 피지지대의 말단에서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상기 중앙 엑추에이터의 축베어링를 가로지르는 중심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전환장치에서, 외부 엑추에이터는 회전에 의해 조작되고 그 축은 상대적으로 길게 만들어 지며, 그래서 엑추에이터가 조작되는 동안 외부 엑추에이터를 누르는 손가락이 기울어지더라도, 눌려지는 외부 엑추에이터에는 "프라잉(Prying)"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들목적 및 본 발명의 다른목적,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질 때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관한 이후의 상세한 기술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된다.
도 1 ~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전환장치가 포함된 폴딩타입(Folding Type)의 휴대전화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휴대전화기의 상측과 하측의 덮개가 서로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휴대전화기의 상측과 하측의 덮개가 서로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휴대전화기의 상측과 하측의 덮개가 서로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측과 하측의 덮개가 서로 열려진 휴대전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5 ~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전환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는 전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전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전환장치의 부분 절개 저면도이다. 도 8은 전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과 다른 방향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 도 11은 손가락에 의해 조작되는 전환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10은 조작되는 중앙 엑추에이터(Actuator)를 나타내는 전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손가락이 중앙 엑추에이터(Actuator)에서 외측 엑추에이터(Actuator
)로 이행되는 상태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외측 엑추에이터(Actuator)가 조작되는 상태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조그 다이얼(Jog Dial)과 휴대전화기와 상기 도면에서 보여준 조그다이얼 (Jog Dial)에서 양측으로 분리 배열된 두 개의 엑추에이터
(Actuator)를 포함하는 접속장치로 주목된다.
간단히 말하면, 첫째로 본 발명에 의한 전환장치를 이용한 간편한 전자장치로서의 휴대전화기로 설명된다.
휴대전화기는 대게 도면부호(1)로 표시된다. 상술한, 휴대전화기(1)는 각종 구성품들이 수납되고 설치되는 본체(2)를 포함한다.
본체(2)는 상반부(이하,"상부 케이스"라 칭함)(3)와 하반부(이하,"하부 케이스"라 칭함)(4)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3)는 하단에서 하부 케이스(4)의 상단부와 경첩되어 움직인다(도면부호(5)를 지시함). 상부 케이스(3)와 하부 케이스(4)는 정면이 서로 닫혀지는 위치와 정면이 외부에서 보여지는 위치 사이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와 하부 케이스(4)가 열려진 위치에 있을 때, 정면을 상호각 약 160°로 정의함에 주목한다. 이런조건에서, 상부 케이스(3)의 하단부분은 각 케이스 (3),(4)와 열려질 수 있는 최대의 각도에 제한을 두어 하부 케이스 (4)와 접해있다.
상부 케이스(3)의 최상단에 제공되는 것은 휴대전화기(1)가 기지국으로부터 전파를 송수신하는 끼워넣는 방식의 안테나(9)이다.
또한, 상부 케이스(3)의 상측 전면(前面)에는 대화중의 수신측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전기음향 변환기와 같은 스피커가 제공된다.
하부 케이스(4)는 하측 전면(前面) 중 일부에 대화중의 휴대전화기(1) 사용자의 음성을 포착하는 마이크로폰(8)이 제공된다.
상부 케이스(3) 전면(前面)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액정 표시장치(LCD)에는 전파수신상태, 남은 배터리의 양, 통화하고 있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수신측 전화번호와 이름을 포함하는 전화번호부 내용, 송수신 기록과 그 밖의 다양한 종류의 기억된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표시된다.
하부 케이스(4)의 상하측의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은 입력수단인 다양한 조작키(10)가 배열되어 있다. 이들 조작키(10)를 누름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에 다양한 명령어와 문자들이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의 상측 전면(前面) 중 일부에, 조작키(10)와 분리된 입력수단인 본 발명에 의한 전환장치(11)가 제공된다.
다른 입력수단인 누름버튼 스위치(12)는 하부 케이스(4)에 전환장치(11)로 부터 조금 떨어져서 양측으로 배열되어 있다. 개구부(開口部)(4a)는 하부 케이스(4)의 바닥면과 하측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합성고무로부터 형성된 보호부재(13)는 개구부(開口部)와 하부 케이스(4)의 측면을 덮기 위해 부착된다.
하부 케이스(4)의 하측 개구부(開口部)(4a) 안쪽에 개구부(開口部)(4a)로부터 다소 아래쪽으로 튀어나온 접속 연결장치(IF connector)가 배치되어 있다.
이어폰 잭(15)는 개구부(開口部)(4a)의 위치보다 다소 윗 부분에 위치한 하측 개구부(開口部)(4a)의 우측면에 제공된다.
하부 케이스(4)의 하단부에 부착된 보호부재(13)는 하부 케이스(4)의 개구부를 덮어준다. 뿐만아니라, 접속 연결장치(IF connector)를 덮기위해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호부재(13)는 접속 연결장치(IF connector)를 닫아주는 연결장치 커버(13a)와 이어폰 잭(15)를 닫아주는 이어폰 잭 커버(13b)와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환장치(11)는 조그 다이얼(Jog Dial)(20), 조그 다이얼(20)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조작 버튼 스위치(21), 하나의 유닛으로 조그 다이얼(20)과 좌우측에 위치한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지탱해 줄 직사각의 프레임(Frame)(22)을 포함하고 있다.
조작버튼(24)은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위한 엑추에이터(Actuator)로서 좌우방향(이하, "수평방향"이라 칭한다.)으로 배열되는데, 이는 조그 다이얼(20)을 위한 엑추에이터로서의 다이얼(23)과 양측면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다. 주목할 점은, 조그 다이얼(20)의 다이얼(23)은 이후 기술될 청구범위에 정의된 중앙 엑추에이터와 대응하고,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조작 버튼(24)는 청구범위에 정의된 외부 엑추에이터에 대응된다.
조그 다이얼(20)은 상기 원통형 다이얼(23)을 포함하고, 기본판(Base Plate)(25)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판으로 다이얼(23)이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아래쪽으로 약 1/3정도 오목하게 형성된다.
기본 판(25)은 다이얼(23)의 좌우측단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축베어링(26)을 포함하고, 또한 조그 다이얼(20)을 전환장치(11)의 프레임(20)에 고정시키기 위한 텅 피스(Tongue pieces)(27)를 수평으로(좌측과 우측) 돌출시킨 것을 포함한다. 기본 판(25)내부에 다양한 접점이 제공되고(도시생략), 축베어링 (26)에 엔코더(Encoder)등이 설치된다.
조그 다이얼(20)의 다이얼(23)을 회전함에 의해 LCD(9)에 메뉴와 같은 다양한 선택, 송신과 수신 기록, 전화번호부등의 표시가 가능하고, 표시를 위해 스크롤
(Scroll)과 커서(Cursor)의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조그 다이얼(20)을 하부 케이스(4)의 내부로 누름에 의해, LCD(9)에 표시되는 선택항목이 설정되고,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우측 혹은 좌측으로 조작함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선택항목이 선택되고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누름에 의하여 선택항목이 한번에 제거될 수 있다.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누름에 의하여 계층적인 메뉴에서 한단계씩 표시되는 메뉴를 올려주는 것과 대화중에 메뉴표시가 가능하다.
조그 다이얼(20)에서, 프레임(Frame)(22)의 뒷면에 형성된 작은 돌출부는 기본 판(25)의 텅 피스(Tongue pieces)(27)에 형성된 작은 구멍(27a)에 장착되고, 남는 끝부분은 열접합에 의해 프레임(Frame)(22)에 접합된다.
프레임(Frame)(22)은 프레임 피스(Piece)인 (22u),(22d),(22r),(22l)로 구성되었고, 이들 프레임 피스(Piece)에 의해 구성되는 구멍(28)을 중심으로 위치하는 조그 다이얼(20)을 가진다.
구멍(28)에 위치하는 좌측(22r)과 우측(22l)의 각 프레임 피스(Piece)는 상대적으로 넓은 부분(部分)(29)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중심으로부터 약간 위로 배치된 원형의 접점(30)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돌출된 축(31)은 프레임(22)의 상측(22u)과 하측(22d) 부분(部分)에서 각각의 좌우측부분(선택적으로, 넓은 부분(部分)(29)에 근접함)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축(31)은 조그 다이얼(20)의 기본 판(25)의 축베어링(26)과 각각 수직으로 대응되어 제공된다.
청구범위에 정의된 외측 엑추에이터 축과 축(31)은 서로 대응되고, 청구항 3,4에 정의된 "세 개의 엑추에이터가 배열된 방향"은 이 실시예의 수평방향과 대응되며, "조작하는 면이 눌려지는 방향"은 이 실시예의 하부 케이스(4)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에 대응된다. 간단히 말하면, 이들 축(31)의 방향은 상기의 수평방향과 내부로의 방향, 즉 수직방향과 거의 직각을 이룬다.
텅 피스과 같은 형상으로 외부로 지지되기 위한 피스(Piece)(32)는 프레임(22)의 각 좌우측 프레임 피스인 (22r)과(22l)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피스의 중앙으로부터 아래에 위치되어 있으며, 작은 구멍(32a)은 피스(32)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4)의 전반부(前半部)의 후면(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작은 돌출부(보이지 않음)는 각각 피스(32)에 형성된 작은 구멍(32a)에 삽입된다. 전환장치(11)는 예를들면, 작은 돌출부의 말단의 남는부분을 열접합시킴으로 인해 하부 케이스(4)에 설치될 수 있다. 조그 다이얼(20)의 다이얼(23)과 각각 좌우측의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조작버튼(24)은 하부 케이스(4)의 전면(前面)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전환장치(11)의 좌우측의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수평으로 대칭적(좌 - 우)인 것을 제외하고 같은 형상으로 설계되었는데, 단지 이하 좌측 조작 버튼 스위치 (21)는 "조작 버튼 스위치(21)"처럼 간단히 서술되고 언급할 것이다. 그래서, 앞으로 우측면의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기술하지 않고 우측 조작 버튼 스위치 (21)의 영역과 부분이 좌측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영역과 부분과 대응되어 지시될 것이다.
조작 버튼(24)을 포함하는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상하좌우 닫혀진 반원통형으로 설계되어, 누름 피스(33)는 조작 버튼(24)의 뒷면 가장자리로 부터 좌측으로 돌출되고 프레임(22)의 넓은 부분(29)의 앞쪽 부분에 위치하게 되며, 피지지대(34)는 조작 버튼(24)의 전면 가장자리로 부터 상하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전면 가장자리에서 조작 버튼(24)의 후면을 향하여서도 돌출되어 있다.
조작 버튼(24)은 다이얼(23)의 반대면으로 조그 다이얼(20)의 축베어링(26)을 상하좌우로 덮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설계된다. 조작 버튼(24)의 전면, 혹은 상부는 이후 기술될 손가락(F)에 의해 눌려질 조작면(35)이다.
누름 피스(33)은 상기 기술된 원형의 접점(3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후면에 작은 볼록부분(36)을 가지고 있다. 이후 기술되겠지만, 조작 버튼(24)이 눌려졌을 때, 작은 볼록부분(36)이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작동시키는 접점(30)을 누른다.
각각의 피지지대(34)는 짝을 이루는 피지지대(34)에 대칭적으로 말단에 작은피스(34a)를 제공한다. 조작 버튼 스위치(21)가 프레임(22)에 축으로 지지됨에 의하여, 작은 피스(34a)는 프레임(22)의 각 축(31)이 끼워지는 작은 구멍(34 b)을 가지는 형상이다. 본 발명은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축에 의한 지지방식에 국한되지 않지만, 그와 같은 축에 의한 지지에 의해 각 피지지대(34)에서 버튼 축의 제공을 위해 작은 구멍이 프레임(22)에 형성됨을 주목한다.
다시말하면,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프레임(22)에서 다이얼(23)의 회전방향 너비(축의 직각방향인 너비)로부터 수직으로, 바깥쪽으로 약간 이동한 위치에서 축으로 지지된다. 그것들은 각각 피지지대(34)에 의해 프레임(22)에 지지된다. 이와같이,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작업 단계의 감소로 쉽게 조립될 수 있다.
조작 버튼(24)의 조작면(35)은 그 우측면에서 상하로 원형을 이루며, 즉 다시말하면 위쪽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으며, 다이얼(23)의 주변곡률보다 같거나 작게되어 있다. 그것은 그 좌측으로 향할수록 전면보다 올라온 경사면(35a)과 조작면(35)의 좌측 말단부분에 그 바깥쪽 돌출부분이 끝에서 끝으로 그리 다양한 형태가 아닌 평탄면(35b)을 포함한다.
경사면(35a)의 "경사" 또는, 평탄면(35b)의 "평탄" 이라는 용어는 아래로 형상을 관찰하여 경사지고, 혹은 평탄한 조작 버튼(24)의 가장자리 선을 기술한다. 실제로, 조작면(35)의 경사면(35a)은 좌측방향으로 부채꼴모양을 하고있다.
이 실시예에서, 경사면(35a)는 수평방향에 있어서 조작 버튼(24)의 중앙에서 시작하여 점차 증가하는 경사를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조작 버튼(24)의 구조에 제한을 두지 않고, 경사면이 조그 다이얼(20)의 면과 근접한 조작 버튼(24)의말단에서 시작하여 형성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22)에서 회전성이 지원되면,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조작 버튼(24) 내부의 공간에 있는 조그 다이얼(20)의 축베어링(26)을 덮는다.
이와 같이, 조작면(35)의 우측 가장자리는 조그 다이얼(20)의 다이얼(23)의 좌측 가장자리와 근접하여 위치한다. 또한,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누름 피스(Piece)(33)로 형성된 작은 볼록부분(36)은 접점(30)에 접하거나 근접해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조그 다이얼(20)과 조작 버튼 스위치(21)가 일체화된 전환장치(11)는 하부 케이스(4)에 설치되고, 다이얼(23)과 우(좌)측 조작 버튼(24)은 하부 케이스(4)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조그 다이얼(20)의 작동을 위하여 다이얼(23)은 손가락(F)의 접촉에 의하여 상하로 회전되거나, 하부 케이스(4)의 내부로 눌려진다.
우측 혹은 좌측의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작동시킴으로서, 다이얼(23)에 놓여진 손가락(F)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구르기 위해 이동한다. 조작 버튼(24)의 조작면(35)은 손가락부분, 즉 손가락(F) 표면의 측면으로의 적은 움직임에 의하여 눌려진다.
이와 같은 누름에 의한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축(31)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며, 그(누름 피스(33)) 바깥부분은 하부 케이스(4)의 내부적으로 눌려지며, 누름 피스(33)의 후면에 제공되는 돌출된 작은 볼록부분(36)은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동작시키는 접점(30)을 누른다.
이 때, 조작 버튼 스위치(21)가 회전하게 되는 중심축은 피지지대(34)의 작은 피스(34a)와 다이얼(23)의 축베어링(26)을 관통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22)의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회전방향의 다이얼(23)의 너비(회전축에 직각방향의 너비)로부터 수직으로, 바깥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돌출된 피지지대(34)로 인해 축으로 지지되므로, 그래서 회전하는 중심축은 상대적으로 길게 만들어 질 수 있고, 이와 같이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누르는 손가락이 기울어질 지라도,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어떤 "프라잉(Prying)"이 없이 정확하게 눌려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의한 전환장치(11)는 좋은 조작(操作)성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더욱 특별히,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접점거리가 감소되었을 때,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누르는 손가락이 기울어 진다면, 조작 버튼 스위치(21)에 "프라잉(P -rying)"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눌려질 수 없다. 조작 버튼 스위치(21)가 회전운동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긴 중심축때문에, 그와 같은 "프라잉(Prying)"은 발생하지 않고,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정확하게 눌려질 수 있다.
다이얼(23)의 손가락(F)이 다이얼(23)을 회전시키기 위해 좌측 혹은 우측으로 움직여 질 때, 손가락(F)의 접촉면이 조작 버튼(24)을 누르는 손가락(F)부분이 회전하기위해 바깥쪽으로 움직이고, 조작면(35)의 경사면(35a)과 접촉되는 동안 다이얼(23)과 접촉된다. 조작면(35)의 평탄면(35b)에 손가락(F)의 주부분에 놓여 질 때, 하부 케이스(4)의 내부로 평탄면(35b)에 적용되는 힘이 조작 버튼 스위치(21)가 회전되고, 작은 볼록부분(36)이 접점(30)을 누르게 하도록 증가한다. 그러므로, 조작면(35)의 평탄면(35b)은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조작(操作)을 쉽게 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반면에, 손가락(F)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조작면(35)의 경사면(35a)에서 다소 길게 손가락(F)이 이동하지 않는다면, 조작 버튼 스위치 (21)의 회전하는 힘은 발생하지 않으며, 그 결과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잘 작동되지 않는다.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좌측 혹은 우측으로 조작(操作)하기 위해 그 외부(좌측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좌측말단 혹은 우측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우측말단)가 눌려진다. 이와 같이, 다이얼(23)은 눌려지지 않을 것이다. 다시말해, 두 개의 누름 버튼이 함께 눌려지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다이얼(23)에 가까이에 있는 조작 버튼(24)의 말단 부분이 눌려지더라도, 그 부분은 각각 좌측과 우측의 조작 버튼 스위치(21)가 다이얼(23)의 측면에 위치한 축(31)의 지레받침을 가지므로 후면방향(하부 케이스(4)의 내부방향)으로 눌려질 수 없다. 그러므로, 각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작동시키려 할 때, 이미 다이얼(23)으로부터 멀어진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누르려하거나, 다이얼(23)이 눌려진 방향으로 어떤 힘도 가해지지 않을 것이다. 손가락(F)이 다이얼(23)과 접하여도, 나중에 눌려질 버튼은 후면방향(하부 케이스(4)의 내부방향)으로 눌려지지 않아, 이와 같이 두 개의 누름버튼이 동시에 같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하부 케이스(4)의 내부방향으로 다이얼(23)을 누르는 것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시말하면, 손가락(F)이 각각의 좌, 우측 조작 버튼 스위치(24)와 접하였을 때, 다이얼(23)은 내부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으나, 조작 버튼 스위치(24)는 축(31)에 의해 차단되어, 이는 내부방향으로 눌려지지 않을 것이다. 즉, 두 개의 누름 버튼이 동시에 같이 눌려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전환장치(11)에서, 각각의 엑추에이터(다이얼(23)과 조작 버튼(24)))는 그것들의 배열과 방향에 있어서 그 크기가 15mm 에서 25mm가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는 엑추에이터(다이얼(23)과 조작 버튼(24)))를 조작하는 손가락(F)이 엄지인 휴대전화기의 구성요소인 본 발명의 전환장치(11) 기하학적인 구성때문이다. 대부분, 여성의 손가락 너비가 15mm 에서 20mm임에 비해 남성의 손가락 너비는 20mm 에서 25mm이다. 상기의 관점에서 볼 때, 전환장치(11)는 쉬운 조작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여기서 전환장치(11)는 20mm의 크기로 설계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 경우, 각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길이가 5.2mm일 때 다이얼(23)의 길이는 9mm가 되고, 다이얼(23)과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간격은 약 0.3mm가 되며,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조작면(35)의 경사면(35a)의 길이는 4.3mm가 되고, 조작면 (35)의 경사면(35b)의 길이는 0.9mm가 된다.
게다가, 전환장치(11)의 수평크기는 상기 언급된 보통사람의 손가락(F)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그것은 휴대전화기(1)의 너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장치(11)에서, 두 개의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다이얼(23)의 양 측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열된다. 그러나, 그 세 개의 엑추에이터(다이얼(23)과 조작버튼 스위치(21))는 서로 근접하게 배열되며, 전환장치(11)는 향상된 조작성과 배열된 세 개의 엑추에이터의 방향에서 전환장치(11)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전환장치(11)를 적용함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와 같은 단말기는 자연스럽게 수평크기(좌-우)가 감소될 수 있고, 또한 다른 스위치, 예를 들면, 본 실시예가 포함된 조작 버튼 스위치(21)가 단말기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가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모양과 구조는 본 발명이 제한적이지 않다는 예이며, 이와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는 점을 주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환장치에서, 외부 엑추에이터는 회전에 의해 조작되고 그 축은 상대적으로 길게 만들어지며, 그래서 엑추에이터가 조작되는 동안 외부 엑추에이터를 누르는 손가락이 기울어지더라도, 눌려지는 외부 엑추에이터에는 "프라잉(Prying)"이 발생하는 없이 확실히 외측 엑추에이터를 누르므로써 손가락 하나로 세 개의 엑추에이터를 가지는 전환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하나의 중앙 엑추에이터와 그 양측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열된 두 개의 외부 엑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엑추에이터는 기본판의 한 쌍의 축베어링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눌려지게 지지된 원통형 다이얼이며,
    상기 중앙 엑추에이터를 지지하는 기본판은 프레임에 꼭 맞게 장착되며,
    각각의 상기 외부 엑추에이터는 세 개의 엑추에이터가 배열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그 조작면이 눌려지는 방향에 직교하는 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됨으로써, 상기 외부 엑추에이터가 회전될 때 프레임에 배열된 접점을 누르며,
    각각의 상기 외부 엑추에이터는 정면에서 볼 때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다이얼의 측면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된 피지지대를 갖고, 상기 피지지대의 말단에서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상기 중앙 엑추에이터의 축베어링를 가로지르는 중심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장치.
KR1020010068663A 2000-11-07 2001-11-05 전환 장치 KR100871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39125A JP4356911B2 (ja) 2000-11-07 2000-11-07 スイッチ装置
JPJP-P-2000-00339125 2000-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752A true KR20020035752A (ko) 2002-05-15
KR100871925B1 KR100871925B1 (ko) 2008-12-05

Family

ID=1881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663A KR100871925B1 (ko) 2000-11-07 2001-11-05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62459B2 (ko)
EP (1) EP1206101B1 (ko)
JP (1) JP4356911B2 (ko)
KR (1) KR100871925B1 (ko)
CN (1) CN1249746C (ko)
DE (1) DE6011657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279A (ja) * 2002-08-30 2004-05-20 Fujitsu Ltd 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3999092B2 (ja) * 2002-09-30 2007-10-31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端末装置
JP2004320375A (ja) * 2003-04-15 2004-11-1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電子機器
US7088348B2 (en) * 2003-07-14 2006-08-08 Microsoft Corporation Ergonomic pointing device
US7082323B2 (en) * 2004-02-17 2006-07-25 Speed Tech Corp. Mobile navigation device
KR100804790B1 (ko) 2004-03-10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
US7164891B2 (en) * 2004-04-07 2007-01-16 Speed Tech Corp. Roller construction with a sense of feel for a mobile navigation device
US7145557B2 (en) * 2004-06-09 2006-12-05 Speed Tech Corp. Roller construction with direction finding for a mobile navigation device
US7212834B2 (en) * 2004-08-18 2007-05-01 Speed Tech Corp. Mobile device having an improved roller feel
US20060087492A1 (en) * 2004-09-01 2006-04-27 Speed Tech Corp. Fixture device for a roller construction module
TWM277053U (en) * 2005-03-18 2005-10-01 Speed Tech Corp Holder structure improvement of guiding devices
TWM276344U (en) * 2005-04-08 2005-09-21 Speed Tech Corp Guiding instruction device
KR100675179B1 (ko) * 2005-05-16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크롤형 입력장치
CN101026040A (zh) * 2006-02-18 2007-08-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开关装置
US7860538B2 (en) * 2006-02-28 2010-12-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7996050B2 (en) * 2006-02-28 2011-08-09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23479B1 (ko) 2006-11-17 201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20080044729A (ko) * 2006-11-17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20080044728A (ko) * 2006-11-17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 단말기
US8019394B2 (en) * 2007-06-29 2011-09-13 Motorola Mobility, Inc. Component packaging for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TWM329848U (en) * 2007-09-20 2008-04-01 Speed Tech Corp Electrical navigation device
US20090170571A1 (en) * 2007-12-31 2009-07-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flip-open assist of ultra thin clam communication devices
US8204560B2 (en) * 2008-12-17 2012-06-19 Motorola Mobility, Inc. Clamshell phone with edge access
US8508480B2 (en) * 2009-01-09 2013-08-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non-flush general navigation buttons for a clamshell handheld device
US8681131B2 (en) * 2009-06-29 2014-03-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assembly
US8611078B2 (en) * 2010-12-29 2013-12-1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2631A (en) * 1989-06-02 1991-02-12 Atari Corporation Multi-directional switch assembly
US6097964A (en) * 1997-09-04 2000-08-0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Navigation key for a handset
GB2330981B (en) * 1997-10-31 2002-07-03 Nokia Mobile Phones Ltd A radiotelephone handset
CN1183431C (zh) 1998-03-05 2005-01-05 三菱电机株式会社 便携式终端
US6137477A (en) * 1998-08-11 2000-10-24 Hu; Ken-Pei Encoder whee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62459B2 (en) 2005-03-01
EP1206101B1 (en) 2006-01-11
DE60116579D1 (de) 2006-04-06
US20020086698A1 (en) 2002-07-04
EP1206101A2 (en) 2002-05-15
KR100871925B1 (ko) 2008-12-05
DE60116579T2 (de) 2006-12-07
EP1206101A3 (en) 2004-01-07
CN1354486A (zh) 2002-06-19
JP2002150895A (ja) 2002-05-24
CN1249746C (zh) 2006-04-05
JP4356911B2 (ja)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925B1 (ko) 전환 장치
JP2630224B2 (ja) 携帯無線機
US6941618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EP2120426B1 (en) Portable terminal
FI118073B (fi) Kannettava, ainakin kaksi käyttöasentoa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aranamekanismi sitä varten
KR100753094B1 (ko) 회전조작스위치장치 및 통신단말장치
FI118621B (fi) Kannettava, avatun ja suljetun käyttöasennon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en kahvajärjestely
JP2004007414A (ja) 無線電話
KR101261997B1 (ko) 사이드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WO2002039471A1 (fr) Dispositif de commutation
KR20000047803A (ko) 스위치 장치
KR20000062611A (ko) 가변 디스플레이와 조합되는 전자 장치
US7664256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US20070123320A1 (en) Key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EP1924056B1 (en) Folding type mobile terminal
KR100648643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20030068684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JP3844585B2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JP2003069677A (ja) マウスを付設した携帯電話
JP3965918B2 (ja) サイドスイッチ付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
JP2002044217A (ja) 通信端末装置
JP4369737B2 (ja) 携帯機器
KR20020031572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버튼 홀딩장치
KR20090006599A (ko)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이드 키 입력장치
KR100690799B1 (ko) 듀얼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