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479B1 -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479B1
KR101223479B1 KR1020060114149A KR20060114149A KR101223479B1 KR 101223479 B1 KR101223479 B1 KR 101223479B1 KR 1020060114149 A KR1020060114149 A KR 1020060114149A KR 20060114149 A KR20060114149 A KR 20060114149A KR 101223479 B1 KR101223479 B1 KR 101223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enerator
impact
portable terminal
roller
contro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4730A (ko
Inventor
정준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479B1/ko
Priority to US11/649,852 priority patent/US7738929B2/en
Priority to DE602007002606T priority patent/DE602007002606D1/de
Priority to EP07001197A priority patent/EP1924062B1/en
Priority to AT07001197T priority patent/ATE444642T1/de
Priority to DE102007003267A priority patent/DE102007003267B4/de
Priority to BRPI0700263-7A priority patent/BRPI0700263A/pt
Priority to RU2007105769/09A priority patent/RU2358351C2/ru
Priority to MX2007002302A priority patent/MX2007002302A/es
Priority to CN2007100850665A priority patent/CN101184282B/zh
Priority to JP2007071630A priority patent/JP4512606B2/ja
Publication of KR20080044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1H2019/146Roller type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6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신호 발생장치가 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 면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신호 발생장치와; 상기 신호 발생장치가 외부의 물체로부터 가압 되거나 또는 충격을 받지 않도록 신호 발생장치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충격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되는 외력에 의한 입력장치(신호 발생장치)의 파손 및/또는 손상이 방지되며, 또한, 충격 방지부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충격방지, 제어키, 낙하, 휴대 단말기, 돌출부

Description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COLLIS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구조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구조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일 바디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충격 방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제어키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구조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어키와 충격 방지부의 높이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구조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충격 방지구조를 구성하는 충격 방지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휴대 단말기 10 ... 제 2 바디
11 ... 표시부 11a ... 투광창
11b ... 표시소자 12 ... 제어키
12a ... 바디 12b ... 롤러
12c ... 롤러 지지부 12d,12e ... 지지부
13,130 ... 장착구멍 14 ... PCB(Printed Circuit Board)
14a ... 버튼 스위치 15 ... 체결홈
20 ... 제 1 바디 21 ... 키패드
100 ... 충격 방지부 110 ... 바디
111 ... 체결부 111a ... 체결구멍
112 ... 삽입구멍 113 ... 가압부
120 ... 돌출부
본 발명은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과 같이 무선 통신과 정보 처리 기능을 결합한 차세대 개인 휴대 기기를 포함하여 일컬어지는 통칭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각종 데이터의 입력, 저장, 처리 및 출력 등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넷 통신, 전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 어, 이동 중에도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래의 산업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장 큰 기술적 요인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음성통화 이외에도 문자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문자메시지를 서비스한다. 이에 상대방과 음성으로 통화할 수 없는 경우에도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종래의 휴대 단말기들은 카메라 기능, MP3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일정관리 기능, 인터넷 기능 등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들은 데이터의 입력 및/또는 기능의 전환 및/또는 제어를 위하여 구비되는 신호 발생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신호 발생장치(입력장치)는 내장된 기능의 사용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신호 발생장치는 예를 들어 키패드의 구조로 구성되는 것, 레버의 구조로 구성되는 것, 휠 구조로 구성되는 것, 그리고 스크롤 구조로 구성되는 것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입력장치로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 중에 휠 구조 또는 레버 구조 등과 같이 작동 수단이 외부에 돌출되게 구성되는 입력장치는 외부의 충격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손상되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한편, 외부의 충격이 커서 아예 입력장치가 파괴되는 경우에는 아예 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휴대 단말기가 바닥에 떨어져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경우도 있지만, 돌출되게 장착된 입력장치가 외부의 다른 물체에 의해 한계 이상의 힘 으로 눌려지는 경우에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한편, 본 발명이 의도하는 일 목적은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되는 외력에 의한 입력장치(신호 발생장치)의 파손 및/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되는 외력에 의한 입력장치(신호 발생장치)의 파손 및/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이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되는 외력에 의한 입력장치(신호 발생장치)의 파손 및/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 방지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되는 외력에 의한 입력장치(신호 발생장치)의 파손 및/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 방지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한편, 본 발명이 의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는 신호 발생장치가 장착되는 바디와; 바디의 일 면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신호 발생장치와; 신호 발생장치가 외부의 물체로부터 가압 되거나 또는 충격을 받지 않도록 신호 발생장치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충격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충격 방지부는 상기 신호 발생장치와 인접한 상기 바디에 상기 신호 발생장치보다 더 돌출되는 높이를 갖는 돌출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충격 방지부는 신호 발생장치가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장착구멍이 형성되며, 휴대 단말기의 어느 일 바디에 장착되는 바디와; 신호 발생장치보다 더 돌출되는 높이로 상기 장착구멍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충격 방지부는 휴대 단말기의 바디 내부에 장착되며, 신호 발생장치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바디와; 바디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신호 발생장치보다 더 돌출되는 높이로 신호 발생장치의 양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충격 방지부는 바디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충격 방지부는 바디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신호 발생장치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누르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신호 발생장치는 롤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장착되는 롤러 지지부가 구비된 바디와; 롤러 지지부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하나 버튼 스위치를 작동 가능하도록 구 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1)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타입(Slide-type)의 휴대 단말기(1)를 기초로 하여 설명되나,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충격 방지구조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고, 폴더 타입(Folder-type)의 휴대 단말기, 스위블 타입(Swivel-type)의 휴대 단말기 그리고 바 타입(Bar-type)의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휴대 단말기(1)는 제 1 바디(20)와 상기 제 1 바디(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바디(1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바디(20)에는 데이터의 입력 및/또는 기능의 선택/전환을 위한 키패드(21)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바디(10)에는 표시부(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기능 및/또는 모드의 선택/전환을 위한 신호 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발생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장치로 적용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이해의 편의상 제어키(12)로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상기 제어키(12)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어느 일 바디(10,20)의 외부면에 돌출되는 상태로 적용되어 외부의 충격 및/또는 가압에 의해 파손 및/또는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제어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키(12)와 인접한 위치에는 충격 방지구(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격 방지부(100)는 상기 제어키(12)가 외부의 물체로부터 가압 되거나 또는 충격을 받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의 일예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의 제 2 바디(10) 내부에 충격 방지부(10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제 2 바디(10)는 상부 케이스(10a)와 하부 케이스(1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10)에 표시부(11)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부 케이스(10a)에 투광창(11a)이 구비될 수 있고, 하부 케이스(10b)에는 표시소자(11b)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0b)에는 이하 설명되는 제어키(12)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개의 버튼 스위치(14a)를 구비하는 PCB(14)가 구 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키(12)는 복수개의 버튼 스위치(14a)가 구비되는 PCB(14)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게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키(12)의 작동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10a)에 형성되는 장착구멍(1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로 장착된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어키(12)는 스크롤이 가능한 롤러(12b)와 버튼 스위치(14a)를 작동시킬 수 있는 바디(12a)로 구성되는 제어키(12)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키(12)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바디(12a)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버튼 스위치(14a)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2a)의 양 단부에는 스크롤이 가능하게 작동되는 롤러(12b)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12c)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 지지부(12c)는 상기 롤러(12b)의 회전을 감지하여 롤러(12b)의 회전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키(12)의 바디(12a)에는 상기 각 롤러 지지부(12c)의 외측 방향으로 이하 설명되는 충격 방지부(100)의 바디(110)에 의해 눌려지게 되는 지지부(12e)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e)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어키(12)의 바디(12a) 중간 부분에는 이하 설명되는 충격 방지부(100)의 바디(110)에 구성되는 가압부(113)에 의해 눌려지게 되는 또 다른 지지부(12d)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어키(12)는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가 이하 설명되는 충격 방지부(100)의 삽입구멍(112)을 통과하여 상부 케이스(10a)에 형성되 는 장착구멍(1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되는 상기 제어키(12)는 상기 충격 방지부(10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한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충격 방지부(100)의 일 예를 설명하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어키(12)의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12)이 형성되는 바디(1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10)의 양단부에는 상기 롤러 지지부(12c)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돌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의 구성위치는 제어키(12)의 작동을 고려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롤러 지지부(12c)의 양측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돌출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어키(12)의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와 함께 상기 상부 케이스(10a)에 형성되는 장착구멍(1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20)가 장착구멍(1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제어키(12)의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가 장착구멍(1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 보다 약간 더 높게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의 돌출 높이와 돌출부(120)의 돌출 높이의 차(h)는 외부 물체의 충격 또는 가압이 발생할 때, 최소한 외부 물체가 상기 돌출부(120)에 의해 저지되어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에 영향을 주지 않은 정도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충격 방지부(100)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케이스(10b)에 장착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 방지부(100)의 바디(110)에서 연장되며, 체결구멍(111a)이 형성되는 체결부(111)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키(12)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충격 방지부(100)의 바디(110)에는 상기 제어키(12)의 바디(12a)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지지부(12d)를 누르기 위한 가압부(113)가 삽입구멍(112)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설명된 제어키(12)의 다른 지지부(12e)는 상기 충격 방지부(100)의 바디(110)에 의해 눌려지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e)를 가압하게 되는 부분은 롤러 지지부(12c)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즉 상기 돌출부(120)가 배치되는 바디(110)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키(12)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충격 방지부(100)의 구성을 통해서 상기 충격 방지부(10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제 2 바디(10)의 내부로 밀리게 되는 경우, 상기 제어키(12)는 충격 방지부(100)와 함께 제 2 바디(10)의 내부로 밀리기 때문에 제어키(12)가 외부의 물체와 직접 부딪히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상기 돌출부(120)가 상기 롤러 지지부(12c)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롤러(12b)를 작동시킬 때,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이루게 되는 돌출부(120)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게 되어 충격 방지구조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사용이 편리하게 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충격 방지부(100)의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변형된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 첫 번째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구성상 차이가 있는 부분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충격 방지부(100)의 구성은 상기 제 2 바디(10)와 별도로 구성되어 제 2 바디(10)의 외관 일부를 구성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바디(10)의 외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충격 방지부(100)가 결합되는 장착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충격 방지부(100)는 제어키(12)의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장착구멍(130)이 구비되는 바디(1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110)는 휴대 단말기(1)의 외관과 슬림화를 고려하여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충격 방지부(100)는 제 2 바디의 외관 일부를 구성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휴대 단말기(1)의 제 2 바디(10)에는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장착구멍(13)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키(12)의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는 상기 충격 방지부(100)의 장착구멍(130)을 통과하여 제 2 바디(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되는 상기 제어키(12)는 제 2 바디(10)의 하부 케이스(10b)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구멍(130)의 인접한 위치에는 돌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 예로는, 상기 돌출부(120)는 상기 장착구멍(130)의 어느 일 주위의 위치에 상기 롤러 지지부(12c)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한 적용 예는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120)가 돌출되는 높이는 도 4의 도시와 유사하게 상기 제어키(12)의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가 장착구멍(13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 보다 약간 더 높게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의 돌출 높이와 돌출부(120)의 돌출 높이의 차(h)는 외부 물체의 충격 또는 가압이 발생할 때, 최소한 외부 물체가 상기 돌출부(120)에 의해 저지되어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에 영향을 주지 않은 정도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어키(12)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충격 방지부(100)의 장착구멍(130)에는 장착구멍(130)의 주위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압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충격 방지부(100)에 대한 실시예들과 다른 변형된 또 다른 일 변형 실시예로는, 상기 돌출부(120)를 제 2 바디(10)의 장착구멍(13) 주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제어키(12)가 제 2 바디(10)의 내부에 장착되어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가 장착구멍(13)을 통해 제 2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구멍(13)의 주위에 구비되는 돌출부(120)는 상기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장착구멍(13)의 어느 일 주위의 위치에 상기 롤러 지지부(12c)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한 적용 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 기로 한다.
이때에도, 상기 돌출부(120)가 돌출되는 높이는 도 4의 도시와 유사하게 상기 제어키(12)의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가 장착구멍(13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 보다 약간 더 높게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이때에도,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의 돌출 높이와 돌출부(120)의 돌출 높이의 차(h)는 외부 물체의 충격 또는 가압이 발생할 때, 최소한 외부 물체가 상기 돌출부(120)에 의해 저지되어 롤러(12b)와 롤러 지지부(12c)에 영향을 주지 않은 정도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되는 외력에 의한 입력장치(신호 발생장치)의 파손 및/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되는 외력에 의한 입력장치(신호 발생장치)의 파손 및/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방지부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상기 충격 방지부의 구성이 제어키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되는 외력에 의한 입력장치 (신호 발생장치)의 파손 및/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방지부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에 제약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되는 외력에 의한 입력장치(신호 발생장치)의 파손 및/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방지부의 구성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신호 발생장치가 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 면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신호 발생장치와;
    상기 신호 발생장치가 외부의 물체로부터 가압 되거나 또는 충격을 받지 않도록 신호 발생장치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충격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격 방지부는,
    신호 발생장치가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장착구멍이 형성되며, 휴대 단말기의 바디 내부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장착구멍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신호발생장치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신호 발생장치보다 더 돌출된 높이로 상기 신호 발생장치의 양측 위치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방지부는 본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방지부는 본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신호 발생장치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누르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장치는 롤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장착되는 롤러 지지부가 구비된 바디와;
    상기 롤러 지지부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 스위치를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20060114149A 2006-11-17 2006-11-17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1223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149A KR101223479B1 (ko) 2006-11-17 2006-11-17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US11/649,852 US7738929B2 (en) 2006-11-17 2007-01-05 Mobile terminal having a buffer
EP07001197A EP1924062B1 (en) 2006-11-17 2007-01-19 Mobile terminal having a buffer
AT07001197T ATE444642T1 (de) 2006-11-17 2007-01-19 Mobiles endgerät mit stossdämpfer
DE602007002606T DE602007002606D1 (de) 2006-11-17 2007-01-19 Mobiles Endgerät mit Stossdämpfer
DE102007003267A DE102007003267B4 (de) 2006-11-17 2007-01-23 Mobiles Endgerät mit einem Stoßdämpfer
BRPI0700263-7A BRPI0700263A (pt) 2006-11-17 2007-02-12 terminal móvel dotado de um amortecedor
RU2007105769/09A RU2358351C2 (ru) 2006-11-17 2007-02-15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 амортизатором
MX2007002302A MX2007002302A (es) 2006-11-17 2007-02-26 Terminal movil que tiene un amortiguador.
CN2007100850665A CN101184282B (zh) 2006-11-17 2007-02-28 具有缓冲器的移动终端
JP2007071630A JP4512606B2 (ja) 2006-11-17 2007-03-19 バッファを備える携帯端末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149A KR101223479B1 (ko) 2006-11-17 2006-11-17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730A KR20080044730A (ko) 2008-05-21
KR101223479B1 true KR101223479B1 (ko) 2013-01-17

Family

ID=3911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149A KR101223479B1 (ko) 2006-11-17 2006-11-17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38929B2 (ko)
EP (1) EP1924062B1 (ko)
JP (1) JP4512606B2 (ko)
KR (1) KR101223479B1 (ko)
CN (1) CN101184282B (ko)
AT (1) ATE444642T1 (ko)
BR (1) BRPI0700263A (ko)
DE (2) DE602007002606D1 (ko)
MX (1) MX2007002302A (ko)
RU (1) RU235835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056A1 (ja) 2011-02-15 2012-08-2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及び携帯型電子機器の保護方法
US8774716B2 (en) * 2012-03-29 2014-07-08 Auden Techno Corp. Mobile terminal extension case
CN106506473A (zh) * 2016-10-31 2017-03-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投影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8538A (ja) * 2000-10-03 2002-04-12 Yaskawa Electric Corp シートキーボード
JP2002150895A (ja) * 2000-11-07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03337650A (ja) * 2002-05-20 2003-11-28 Kyocera Corp 小型携帯情報端末
KR200351476Y1 (ko) * 2004-01-30 2004-05-24 금승호 택트 스위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8240A (en) 1991-08-29 1995-09-05 Alps Electric Co., Ltd. Remote control input device
DE9414086U1 (de) 1994-08-31 1994-11-17 Dewert Antriebs- und Systemtechnik GmbH & Co KG, 32278 Kirchlengern Elektromotorischer Möbelantrieb
JP3186635B2 (ja) 1997-03-21 2001-07-11 ソニー株式会社 持ち運び可能な電話装置
DE19715360B4 (de) * 1997-04-12 2007-09-06 Siemens Ag Bedienvorrichtung
DE19819287A1 (de) 1997-04-30 1998-11-05 Leonische Drahtwerke Ag Elektrisches Bauteil
DE19906386A1 (de) 1999-02-16 2000-08-31 Siemens Ag Wipptasten-Eingabevorrichtung
DE19941960A1 (de) 1999-09-03 2001-03-08 Volkswagen Ag Multifunktions-Bedienelement
JP4410961B2 (ja) * 2001-05-11 2010-02-10 日本電気株式会社 キーボタン構造
CN2496198Y (zh) * 2001-07-17 2002-06-19 天津市尚赫投资顾问有限公司 立体手机保护套
US20040204000A1 (en) 2002-05-30 2004-10-14 Aaron Dietrich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array sensor
JP4017103B2 (ja) 2002-06-28 2007-12-05 京セラ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情報選択プログラム
US20050003870A1 (en) * 2002-06-28 2005-01-06 Kyocera Corporation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for processing displaying information used for the same
US7057120B2 (en) * 2003-04-09 2006-06-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hock absorbent roller thumb wheel
RU32636U1 (ru) 2003-04-24 2003-09-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ировский завод "Маяк" Клавиатура пульта управления
JP2005124232A (ja) 2004-12-06 2005-05-12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情報端末
US7539524B2 (en) * 2006-04-03 2009-05-26 Invent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rotating mem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8538A (ja) * 2000-10-03 2002-04-12 Yaskawa Electric Corp シートキーボード
JP2002150895A (ja) * 2000-11-07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03337650A (ja) * 2002-05-20 2003-11-28 Kyocera Corp 小型携帯情報端末
KR200351476Y1 (ko) * 2004-01-30 2004-05-24 금승호 택트 스위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4282B (zh) 2012-02-22
CN101184282A (zh) 2008-05-21
ATE444642T1 (de) 2009-10-15
US7738929B2 (en) 2010-06-15
JP2008131634A (ja) 2008-06-05
MX2007002302A (es) 2008-11-14
DE602007002606D1 (de) 2009-11-12
EP1924062B1 (en) 2009-09-30
BRPI0700263A (pt) 2008-07-01
EP1924062A1 (en) 2008-05-21
RU2007105769A (ru) 2008-08-20
JP4512606B2 (ja) 2010-07-28
RU2358351C2 (ru) 2009-06-10
KR20080044730A (ko) 2008-05-21
DE102007003267A1 (de) 2008-05-21
US20080119245A1 (en) 2008-05-22
DE102007003267B4 (de)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1107B2 (en) Key button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703815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unit
GB2330032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retractable keyboard
KR101223479B1 (ko)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CN1813461A (zh) 双输入移动通信设备
KR200700143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구조
US7688311B2 (en) Mobile device with rotatable keyboard
KR101272342B1 (ko)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JP3688317B2 (ja) 携帯形無線装置
US8503158B2 (en) Key button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3099977U (ja) 携帯電話機の入力キー部材
KR100703270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를 위한 백라이팅장치
KR101126380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US20030153282A1 (en) Mobile phone with replaceable key assemblies
KR200280101Y1 (ko) 휴대폰의 키버튼 장치
KR20070028697A (ko) 필름커버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중앙버튼구조
KR10083466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양방향 키
KR101085757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0542364B1 (ko) 유선 통신 단말기
KR101042818B1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
JP4566016B2 (ja) 小型電子機器
JP2006211581A (ja) 電子機器のサイドキースィッチ
GB2384132A (en) Multi-screen mobile telephone
KR100652765B1 (ko) 이동 단말기의 경사 키버튼 장치
KR20080046418A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